KR20210142554A - Ron 돌연변이와 관련된 비소세포 폐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방법 - Google Patents
Ron 돌연변이와 관련된 비소세포 폐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10142554A KR20210142554A KR1020210063823A KR20210063823A KR20210142554A KR 20210142554 A KR20210142554 A KR 20210142554A KR 1020210063823 A KR1020210063823 A KR 1020210063823A KR 20210063823 A KR20210063823 A KR 20210063823A KR 20210142554 A KR20210142554 A KR 20210142554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oxo
- oxy
- carboxamide
- fluorophenyl
- phenyl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Pending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5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at least one nitrogen and one oxygen as the ring hetero atoms, e.g. 1,2-oxazines
- A61K31/5375—1,4-Oxazines, e.g. morpholine
- A61K31/5377—1,4-Oxazines, e.g. morpholine not condensed and containing further heterocyclic rings, e.g. timolol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61K31/4353—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ortho- or peri-condensed with heterocyclic ring systems
- A61K31/435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ortho- or peri-condensed with heterocyclic ring systems the heterocyclic ring system containing a five-membered ring having oxygen as a ring hetero atom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61K31/44—Non condensed pyridines; Hydrogenated derivatives thereof
- A61K31/4427—Non condensed pyridines; Hydrogenated derivatives thereof containing further heterocyclic ring systems
- A61K31/444—Non condensed pyridines; Hydrogenated derivatives thereof containing further heterocyclic ring systems containing a six-membered ring with nitrogen as a ring heteroatom, e.g. amrinone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61K31/47—Quinolines; Isoquinolines
- A61K31/4709—Non-condensed quinolines and containing further heterocyclic ring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two or more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atoms, e.g. piperazine or tetrazines
- A61K31/496—Non-condensed piperazines containing further heterocyclic rings, e.g. rifampin, thiothixene or sparfloxacin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respiratory system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1/00—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 C12Q1/68—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involving nucleic acids
- C12Q1/6876—Nucleic acid products used in the analysis of nucleic acids, e.g. primers or probes
- C12Q1/6883—Nucleic acid products used in the analysis of nucleic acids, e.g. primers or probes for diseases caused by alterations of genetic material
- C12Q1/6886—Nucleic acid products used in the analysis of nucleic acids, e.g. primers or probes for diseases caused by alterations of genetic material for cancer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 G01N33/574—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for cancer
- G01N33/57407—Specifically defined cancers
- G01N33/57423—Specifically defined cancers of lung
-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2600/00—Oligonucleotides characterized by their use
- C12Q2600/106—Pharmacogenomics, i.e. genetic variability in individual responses to drugs and drug metabolism
-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2600/00—Oligonucleotides characterized by their use
- C12Q2600/156—Polymorphic or mutational marker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800/00—Detection or diagnosis of diseases
- G01N2800/52—Predicting or monitoring the response to treatment, e.g. for selection of therapy based on assay results in personalised medicine; Prognosi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mmunolog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Path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Zo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 Micro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nc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Biophys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matolog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ell Biology (AREA)
- Heterocyclic Carbon Compounds Containing A Hetero Ring Having Oxygen Or Sulfu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RON 돌연변이와 관련된 비소세포 폐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은 RON 돌연변이가 존재하는 비소세포 폐암 환자에 적용 가능하다. 특히, 상기 약학 조성물은 종래 암 치료에 사용되고 있는 세툭시맙에 내성이 있으며 RON△155, RON△160, 또는 RON△165에 돌연변이가 존재하는 비소세포 폐암 환자의 치료에 있어서, 정밀의료로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RON 돌연변이와 관련된 비소세포 폐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비소세포 폐암의 예방 또는 치료 방법에 관한 것이다.
폐암이란 폐에 생긴 악성 종양을 말하며, 크게 암세포가 기관지나 폐포에서 처음 발생한 원발성 폐암과 암세포가 다른 기관에서 생겨나 혈관이나 림프관을 타고 폐로 이동해 증식하는 전이성 폐암으로 나눌 수 있다. 조직형에 따라서는 크게 소세포 폐암과 비소세포 폐암, 즉 소세포 폐암이 아닌 다른 종류의 폐암으로 구분된다.
비소세포 폐암은 폐암 환자의 약 80~85%에서 발생하며, 다시 편평상피세포암, 선암, 대세포암 등으로 나누어진다. 그중에서도 선암은 폐말초 부위에서 잘 발생하고, 여성이나 담배를 피우지 않는 사람에게도 발생하며, 크기가 작아도 전이가 되어 있는 경우가 많다. 선암은 최근 들어 그 발생빈도가 증가 추세에 있다. 이는 담배의 타르 양 변화, 흡연 습관의 변화, 흡연양의 변화, 식생활의 변화, 환경적-작업적 요인에 따른 것으로 보인다. 선암은 주로 기관지의 말단부에서 생겨 흉부 엑스선 사진에서 조그마한 폐결절이나 폐렴과 같은 폐경화 소견(음영)을 보이기도 한다.
비소세포 폐암은 소세포 폐암에 비해 비교적 성장 속도가 느리고 주변 조직으로 퍼진 후 나중에 전신으로 전이해 나가므로 초기에는 수술로 완치가 가능하고 가장 효과적인 치료 또한 수술이지만 실제로 폐암 환자의 1/4 이하에서만 수술 적응이 된다. 폐암의 5년 생존율은 전체 약 10%이며 수술 가능한 환자는 40% 내지 50%로 1기 60 내지 80%, 2기 30% 내지 50%, 3A기 10% 내지 30%, 3B기 5%, 4기 2%로 보고된다. 또한 장기 생존자의 경우 이차 원발암(Second primary cancer)이 매년 3 내지 5%의 빈도로 발생할 수 있다는 것도 매우 유의해야 할 부분이며 이에 대한 치료 약물 개발의 중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한편, 세툭시맙(Cetuximab)은 표피 성장 인자 수용체(Epidermal growth factor receptor; EGFR)를 표적으로 하는 단일클론 항체이다. 상기 항체는 세포 표면의 EGFR에 특이적으로 결합하여 암세포의 증식을 억제한다. 특히, 전이성 비소세포 폐암(Metastatic non-small cell lung cancer), 전이성 소세포 폐암(Metastatic small cell lung cancer) 및 전이성 대장암(Metastatic colorectal cancer)의 암세포에서 EGFR이 과발현되므로, 세툭시맙은 상기 질환의 치료에 주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 항암제에 내성을 가지는 환자는 세툭시맙을 이용할 수 없다. 세툭시맙에 내성을 가지는 원인은 여러 가지가 있다. 대표적으로 EGFR 표적 치료제에 대한 내성은 RON(Recepteur d'origine nantais) 돌연변이와 관련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RON의 활성 여부는 종양의 발생, 진행 및 전이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특히, 폐암, 대장암 및 유방암에서 과발현 또는 과활성되면 종양의 침윤 및 전이를 유도하고 세포사멸을 억제하는데 기여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이러한 RON의 비정상적인 활성을 특이적으로 억제할 수 있는 물질은 RON과 관련된 여러 질환, 특히 비소세포 폐암과 같은 종양을 효과적으로 치료할 수 있다.
RON(Recepteur d'origine nantais)은 c-MET 계열에 속하는 단백질 수용체로서, 간에서 분비되며 대식세포의 작용을 조절하는 혈청 단백질(Macrophage-stimulating protein; MSP)의 수용체이다. 세툭시맙과 같은 항암 치료의 효과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RON의 돌연변이 여부로 암 환자의 약물의 반응 및 생존 기간을 의미 있게 개선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 매우 중요하게 여겨지고 있다.
따라서, 효과적인 암 치료를 위해서, 종래 항암제에 내성을 가지는 RON 돌연변이를 포함하는 암에도 적용 가능한 새로운 항암제가 필요하다.
Wei-li Han et al., Chin Med J (Engl), 2012, 125(6):1110-1114
Rajani Kanteti et al., Genes Chromosomes Cancer, 2012, 51(9):841-851
Ichiro Kawada et al., Cancer Res., 2014, 74(3):884-895
본 발명의 목적은 RON 돌연변이를 포함하는 비소세포 폐암을 예방 또는 치료할 수 있는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소세포 폐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비소세포 폐암의 예방 또는 치료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은, 화학식 1 또는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소세포 폐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화학식 1]
[화학식 2]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비소세포 폐암에 걸린 개체로부터 유래된 생물학적 시료에서 RON의 돌연변이를 검출하는 단계로서, 상기 RON 돌연변이는 엑손 5번, 6번 및 11번이 결손된 RON△155, 엑손 5번 및 6번이 결손된 RON△160 또는 엑손 11번이 결손된 RON△165인 것인 단계; 및 상기 RON의 돌연변이가 검출된 개체에게 제1항의 약학 조성물을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비소세포 폐암을 예방 또는 치료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비소세포 폐암에 걸린 개체로부터 유래된 생물학적 시료에서 RON의 돌연변이를 검출하는 단계로서, 상기 RON 돌연변이는 엑손 5번, 6번 및 11번이 결손된 RON△155, 엑손 5번 및 6번이 결손된 RON△160 또는 엑손 11번이 결손된 RON△165인 것인 단계; 및 상기 RON의 돌연변이가 검출된 개체에게 제1항의 약학 조성물이 비소세포 폐암의 예방 또는 치료에 적합하다는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항암 치료제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은, 비소세포 폐암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한 상기 약학 조성물의 용도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은 RON 돌연변이가 존재하는 비소세포 폐암 환자에 적용 가능하다. 특히, 상기 약학 조성물은 종래 항암 치료에서 사용되고 있는 세툭시맙에 내성이 있으며, RON△155, RON△160 또는 RON△165에 돌연변이가 존재하는 비소세포 폐암 환자의 치료에 있어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돌연변이 RON△155 유형의 비소세포 폐암 세포주인 A549와 NCI-H358 세포주에 실시예 1(WM-S1-030) 내지 5, 양성 대조군 1(BMS-777607) 및 양성 대조군 2(AMG-510)의 화합물을 각각 1 μM의 농도로 처리한 후 세포 사멸 효능을 비교 확인한 것이다.
도 2는 돌연변이 RON△155 유형의 비소세포 폐암 세포주인 A549 세포주를 이식한 마우스 모델에 50 mpk의 실시예 1(WM-S1-030)을 투여한 후, 종양의 성장율을 확인한 것이다.
도 3은 돌연변이 RON△155 유형의 비소세포 폐암 세포주인 NCI-H358 세포주를 이식한 마우스 모델에 3 mpk, 10 mpk 및 30 mpk의 실시예 1(WM-S1-030)을 투여한 후, 종양의 성장율을 확인한 것이다.
도 4는 돌연변이 RON△155 유형의 비소세포 폐암 세포주인 NCI-H358 세포주를 이식한 마우스 모델에 3 mpk, 10 mpk 및 30 mpk의 실시예 1(WM-S1-030)을 투여한 후, 종양 조직을 면역화학염색한 것이다.
도 5는 돌연변이 RON△165 유형의 비소세포 폐암 세포주인 NCI-H460 세포주를 이식한 마우스 모델에 50 mpk의 실시예 1(WM-S1-030) 또는 50 mpk의 양성 대조군 1(BMS-777607)을 투여한 후, 종양의 성장율을 확인한 것이다.
도 6은 돌연변이 RON△165 유형의 비소세포 폐암 세포주인 NCI-H460 세포주를 이식한 마우스 모델에 30 mpk 및 50 mpk의 실시예 1(WM-S1-030) 또는 50 mpk의 양성 대조군 1(BMS-777607)을 투여한 후, 종양 조직을 면역화학염색한 것이다.
도 7은 25종의 비소세포 폐암 세포주에서 RON 돌연변이 서열을 분석한 것이다.
도 8은 150개의 한국인 및 84개의 코카서스 인종 비소세포 폐암 환자의 조직에서 RON 돌연변이 서열을 분석한 것이다.
도 2는 돌연변이 RON△155 유형의 비소세포 폐암 세포주인 A549 세포주를 이식한 마우스 모델에 50 mpk의 실시예 1(WM-S1-030)을 투여한 후, 종양의 성장율을 확인한 것이다.
도 3은 돌연변이 RON△155 유형의 비소세포 폐암 세포주인 NCI-H358 세포주를 이식한 마우스 모델에 3 mpk, 10 mpk 및 30 mpk의 실시예 1(WM-S1-030)을 투여한 후, 종양의 성장율을 확인한 것이다.
도 4는 돌연변이 RON△155 유형의 비소세포 폐암 세포주인 NCI-H358 세포주를 이식한 마우스 모델에 3 mpk, 10 mpk 및 30 mpk의 실시예 1(WM-S1-030)을 투여한 후, 종양 조직을 면역화학염색한 것이다.
도 5는 돌연변이 RON△165 유형의 비소세포 폐암 세포주인 NCI-H460 세포주를 이식한 마우스 모델에 50 mpk의 실시예 1(WM-S1-030) 또는 50 mpk의 양성 대조군 1(BMS-777607)을 투여한 후, 종양의 성장율을 확인한 것이다.
도 6은 돌연변이 RON△165 유형의 비소세포 폐암 세포주인 NCI-H460 세포주를 이식한 마우스 모델에 30 mpk 및 50 mpk의 실시예 1(WM-S1-030) 또는 50 mpk의 양성 대조군 1(BMS-777607)을 투여한 후, 종양 조직을 면역화학염색한 것이다.
도 7은 25종의 비소세포 폐암 세포주에서 RON 돌연변이 서열을 분석한 것이다.
도 8은 150개의 한국인 및 84개의 코카서스 인종 비소세포 폐암 환자의 조직에서 RON 돌연변이 서열을 분석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은 일 측면은, 화학식 1 또는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소세포 폐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비소세포 폐암은 RON(Recepteur d'origine nantais)에 돌연변이가 존재하는 것일 수 있다. 특히, 본 명세서에서 상기 비소세포 폐암은 EGFR 표적 치료제에 대한 내성을 가지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EGFR 표적 치료제는 세툭시맙(Cetuximab), 게피티닙(Gefitinib), 엘로티닙(Erlotinib), 아파티닙(Apatinib), 이코티닙(Icotinib), 브리가티닙(Brigatinib), 라파티닙(Lapatinib), 카네르티닙(Canertinib), AEE788, XL647, 작티마(Zactima), 및 파니투무맙(Panitumumab)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RON"은 인간의 MST1R(Macrophage stimulating 1 receptor)유전자에 암호화된 단백질이다. c-MET 계열에 속하는 단백질 수용체로서, 간에서 분비되며 대식세포의 작용을 조절하는 혈청 단백질(Macrophage-stimulating protein; MSP)의 수용체이다. 세포 표면에서의 리간드 결합은 세포 내 도메인에서 RON이 인산화를 유도하여 하류 신호 전달 분자를 위한 도킹 사이트를 제공한다. RON의 신호는 상피세포 이동, 증식 및 상처 부위에서의 생존을 촉진함으로써 상처 치유 반응을 활성화시킨다. 대식세포의 이동 및 식균 활성을 조절함으로써 선천적 면역 반응에서 역할을 한다. 또한, RON은 또한 MST1 리간드 이외의 성장 인자에 반응하여 세포 이동 및 증식과 같은 신호를 촉진할 수 있다. RON은 주로 간, 폐, 내장, 신장, 뇌, 뼈, 부신, 피부 등의 상피세포에서 발현한다.
상기 RON이 돌연변이된 형태는 비소세포 폐암(NSCLC), 소세포 폐암(SCLC), 췌장암, 대장암 등 다양한 고형암에서 발견된다. 이때, 상기 RON은 서열번호 2, 3 또는 4의 염기 서열을 가질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MST1R 유전자"는 MST1리간드에 결합함으로써 세포질로 신호를 전달하는 티로신 키나아제 수용체다. 세포의 생존, 이동 및 분화를 포함한 다양한 생리적 과정을 조절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RON 돌연변이"는 엑손(Exon) 5번, 6번 및 11번이 결손된 RON△155, 엑손 5번 및 6번이 결손된 RON△160, 및 엑손 11번이 결손된 RON△165 중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RON△155의 cDNA는 서열번호 2의 염기서열을 가질 수 있다. 상기 RON△160의 cDNA는 서열번호 3의 염기서열을 가질 수 있다. 상기 RON△165의 cDNA는 서열번호 4의 염기서열을 가질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내성"은 해당 약물에 대하여 민감하게 반응하지 아니하여 약물의 효능이 없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EGFR 표적 치료제"는 EGFR을 표적(Target)으로 하는 항암제를 의미하며, 항암효과를 나타내는 한, 어떠한 EGFR 표적 치료제도 적용될 수 있다. 상기 EGFR 표적 치료제는, 바람직하게는 세툭시맙(Cetuximab), 게피티닙(Gefitinib), 엘로티닙(Erlotinib), 아파티닙(Apatinib), 이코티닙(Icotinib), 브리가티닙(Brigatinib), 라파티닙(Lapatinib), 카네르티닙(Canertinib), AEE788, XL647, 작티마(Zactima) 또는 파니투무맙(Panitumumab)이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세툭시맙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화학식 1의 화합물은 아래와 같이 표시된다.
[화학식 1]
상기 화학식 1에서,
R1 및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H, 할로겐, C1-10알콕시, 또는 할로C1-10알킬이고;
X는 -C(-R3)= 또는 -N=이고;
R3 및 R4는 각각 독립적으로 H, 할로겐, C1-10알킬, 또는 C1-10알콕시이고;
R5는 H, 할로겐, 또는 C1-10알킬이고;
R6 및 R7은 이들이 결합된 N 원자와 함께 4 내지 10원의 헤테로사이클을 형성하거나, 또는 R6는 -C2H4-O-CH3이고, R7은 H, 메틸 또는 t-부톡시카보닐이고;
상기 헤테로사이클은 R6과 R7이 결합된 N 원자 이외에도 N, O 및 S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 또는 2개의 헤테로원자를 더 갖거나 갖지 않으며, 또한 상기 헤테로사이클은 할로겐 및 C1-6알킬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으로 치환되거나 비치환된다.
상기 C1-10알킬은 C1-6알킬, C1-3알킬, C3-10알킬, C3-6알킬, C6-10알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C1-10알콕시는 C1-6알콕시, C1-3알콕시, C3-10알콕시, C3-6알콕시, C6-10알콕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4 내지 10원의 헤테로사이클은 4 내지 7원의 헤테로사이클, 4 내지 6원의 헤테로사이클, 5 내지 7원의 헤테로사이클, 5 또는 6원의 헤테로사이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화학식 1에서, R1 및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H, 할로겐, 메톡시, 또는 -CF3일 수 있다. 여기서 할로겐은 F, Cl, Br 또는 I일 수 있다.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화학식 1에서, R3 및 R4는 각각 독립적으로 H, 할로겐, 메틸, 메톡시, 또는 에톡시일 수 있다. 여기서 할로겐은 F, Cl, Br 또는 I일 수 있다.
또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화학식 1에서, X는 -C(-R3)=이고; R3 및 R4는 각각 독립적으로 H, 할로겐, 메틸, 메톡시, 또는 에톡시이며, 이때 R3 및 R4는 동시에 H가 아니다.
또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화학식 1에서, X는 -N=이고; R4는 할로겐, 메틸, 메톡시, 또는 에톡시일 수 있다. 여기서 할로겐은 F, Cl, Br 또는 I일 수 있다.
또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화학식 1에서, R5는 H 또는 할로겐일 수 있다. 여기서 할로겐은 F, Cl, Br 또는 I일 수 있다.
또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화학식 1에서, R6과 R7은 이들이 결합된 N 원자와 함께 를 형성하고; 여기서 Ra 및 Rb는 각각 독립적으로 C1-3알킬렌이고; A는 -N(-R9)- 또는 -O-이고, R9는 C1-6알킬일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서, R6과 R7은 이들이 결합된 N 원자와 함께 아제티딘일, 디아제티딘일, 피롤리딘일, 피롤릴, 이미다졸리딘일, 이미다졸릴, 피라졸리딘일, 피라졸릴, 옥사졸리딘일, 옥사졸릴, 이속사졸리딘일, 이속사졸릴, 티아졸리딘일, 티아졸릴, 이소티아졸리딘일, 이소티아졸릴, 피페리딘일, 피리딘일, 피페라진일, 디아진일, 모폴리노, 티오모폴리노, 아제판일, 디아제판일, 또는 이들에 C1-6알킬이 치환된 헤테로사이클 그룹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Ra 및 Rb는 각각 독립적으로 -CH2-, -C2H4- 또는 -C3H6-일 수 있다. 또한 R9는 메틸, 에틸, n-프로필, i-프로필, n-부틸, i-부틸, t-부틸, n-펜틸, i-펜틸, t-펜틸, sec-펜틸, 네오펜틸, 헥실 등일 수 있다.
또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화학식 1에서, R1 및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H, 할로겐, 메톡시, 또는 -CF3이고; R3 및 R4는 각각 독립적으로 H, 할로겐, 메틸, 메톡시, 또는 에톡시이고; R5는 H 또는 할로겐이고; R6는 -C2H4-O-CH3이고, R7은 H, 메틸 또는 t-부톡시카보닐이거나, 또는 R6과 R7은 서로 결합하여 모폴리노 또는 메틸피페라진일을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할로겐은 F, Cl, Br 또는 I일 수 있다.
구체적인 일례에 따르면,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1a로 표시될 수 있다.
[화학식 1a]
상기 화학식 1a에서 R1 내지 R7은 상기 화학식 1에서 정의한 바와 같다.
구체적으로, 상기 화학식 1a에서, R1 및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H, 할로겐, 또는 -CF3일 수 있다. 또한, R3 및 R4는 각각 독립적으로 H, 할로겐, 메틸, 메톡시, 또는 에톡시일 수 있으며, 이때 R3 및 R4는 동시에 H가 아니다. 또한, R5는 H 또는 할로겐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화학식 1a에서, R1 및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H, 할로겐, 또는 -CF3이고; R3 및 R4는 각각 독립적으로 H, 할로겐, 메틸, 메톡시, 또는 에톡시이고; R5는 H 또는 할로겐이고; R6는 -C2H4-O-CH3이고, R7은 H, 메틸 또는 t-부톡시카보닐일 수 있다.
구체적인 다른 예에 따르면,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1b로 표시될 수 있다.
[화학식 1b]
상기 화학식 1b에서 R1 내지 R7은 상기 화학식 1에서 정의한 바와 같다.
구체적으로, 상기 화학식 1b에서, R1 및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H, 할로겐, 또는 -CF3일 수 있다. 또한, R4는 할로겐, 메틸, 메톡시, 또는 에톡시일 수 있다. 또한, R5는 H 또는 할로겐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화학식 1b에서, R1 및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H, 할로겐, 또는 -CF3이고; R4는 할로겐, 메틸, 메톡시, 또는 에톡시이고; R5는 H 또는 할로겐이고; R6는 -C2H4-O-CH3이고; R7은 H, 메틸 또는 t-부톡시카보닐일 수 있다.
구체적인 또 다른 예에 따르면,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1c로 표시될 수 있다.
[화학식 1c]
상기 화학식 1c에서 R1 내지 R5은 상기 화학식 1에서 정의한 바와 같고; Ra 및 Rb는 각각 독립적으로 C1-3알킬렌이고; A는 -N(-R9)- 또는 -O-이고, R9는 C1-6알킬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화학식 1c에서, R1 및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H, 할로겐, 또는 -CF3일 수 있다. 또한, R3 및 R4는 각각 독립적으로 H, 할로겐, 메틸, 메톡시, 또는 에톡시일 수 있으며, 이때 R3 및 R4는 동시에 H가 아니다. 또한, R5는 H 또는 할로겐일 수 있다. 또한, Ra 및 Rb는 이들이 결합된 N 및 A와 함께 모폴리노 또는 메틸피페라진일을 형성할 수 있다.
구체적인 또 다른 예에 따르면,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1d로 표시될 수 있다.
[화학식 1d]
상기 화학식 1d에서 R1 내지 R5은 상기 화학식 1에서 정의한 바와 같고; Ra 및 Rb는 각각 독립적으로 C1-3알킬렌이고; A는 -N(-R9)- 또는 -O-이고, R9는 C1-6알킬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화학식 1d에서, R1 및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H, 할로겐, 또는 -CF3일 수 있다. 또한, R4는 할로겐, 메틸, 메톡시, 또는 에톡시일 수 있다. 또한, R5는 H 또는 할로겐일 수 있다. 또한, Ra 및 Rb는 이들이 결합된 N 및 A와 함께 모폴리노 또는 메틸피페라진일을 형성할 수 있다.
구체적인 예에 따르면,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구체적인 예는 아래와 같다:
1) 4-에톡시-N-(3-플루오로-4-{[2-(5-{[(2-메톡시에틸)아미노]메틸}피리딘-2-일)티에노[3,2-b]피리딘-7-일]옥시}페닐)-2-옥소-1-페닐-1,2-디히드로피리딘-3-카르복스아미드;
2) N-(3-플루오로-4-{[2-(5-{[(2-메톡시에틸)아미노]메틸}피리딘-2-일)티에노[3,2-b]피리딘-7-일]옥시}페닐)-1-(4-플루오로페닐)-4-메톡시-2-옥소-1,2-디히드로피리딘-3-카르복스아미드;
3) N-(3-플루오로-4-{[2-(5-{[(2-메톡시에틸)아미노]메틸}피리딘-2-일)티에노[3,2-b]피리딘-7-일]옥시}페닐)-4-메톡시-2-옥소-1-페닐-1,2-디히드로피리딘-3-카르복스아미드;
4) N-(3-플루오로-4-{[2-(5-{[(2-메톡시에틸)아미노]메틸}피리딘-2-일)티에노[3,2-b]피리딘-7-일]옥시}페닐)-1-(4-플루오로페닐)-2-옥소-1,2-디히드로피리딘-3-카르복스아미드;
5) N-(3-플루오로-4-{[2-(5-{[(2-메톡시에틸)아미노]메틸}피리딘-2-일)티에노[3,2-b]피리딘-7-일]옥시}페닐)-2-옥소-1-페닐-1,2-디히드로피리딘-3-카르복스아미드;
6) t-부틸 {[6-(7-{4-[4-에톡시-1-(4-플루오로페닐)-2-옥소-1,2-디히드로피리딘-3-카르복스아미도]-2-플루오로페녹시}티에노[3,2-b]피리딘-2-일)피리딘-3-일]메틸}(2-메톡시에틸)카바메이트;
7) 4-에톡시-N-(3-플루오로-4-{[2-(5-{[(2-메톡시에틸)아미노]메틸}피리딘-2-일)티에노[3,2-b]피리딘-7-일]옥시}페닐)-1-(4-플루오로페닐)-2-옥소-1,2-디히드로피리딘-3-카르복스아미드;
8) 1-(4-클로로페닐)-4-에톡시-N-(3-플루오로-4-{[2-(5-{[(2-메톡시에틸)아미노]메틸}피리딘-2-일)티에노[3,2-b]피리딘-7-일]옥시}페닐)-2-옥소-1,2-디히드로피리딘-3-카르복스아미드;
9) N-(3-클로로-4-{[2-(5-{[(2-메톡시에틸)아미노]메틸}피리딘-2-일)티에노[3,2-b]피리딘-7-일]옥시}페닐)-1-(4-플루오로페닐)-4-메톡시-2-옥소-1,2-디히드로피리딘-3-카르복스아미드;
10) N-(2-클로로-4-{[-2-(5-{[(2-메톡시에틸)아미노]메틸}피리딘-2-일)티에노[3,2-b]피리딘-7-일]옥시}페닐)-1-(4-플루오로페닐)-4-메톡시-2-옥소-1,2-디히드로피리딘-3-카르복스아미드;
11) 1-(4-플루오로페닐)-4-메톡시-N-(4-{[2-(5-{[(2-메톡시에틸)아미노]메틸}피리딘-2-일)티에노[3,2-b]피리딘-7-일)옥시)페닐)-2-옥소-1,2-디히드로피리딘-3-카르복스아미드;
12) 4-에톡시-N-(3-플루오로-4-{[2-(5-{[(2-메톡시에틸)아미노]메틸}피리딘-2-일)티에노[3,2-b]피리딘-7-일]옥시}페닐)-2-옥소-1-(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1,2-디히드로피리딘-3-카르복스아미드;
13) 1-(4-클로로페닐)-N-(3-플루오로-4-{[2-(5-{[(2-메톡시에틸)아미노]메틸}피리딘-2-일)티에노[3,2-b]피리딘-7-일]옥시}페닐)-4-메톡시-2-옥소-1,2-디히드로피리딘-3-카르복스아미드;
14) 4-에톡시-N-(3-플루오로-4-{[2-(5-{[(2-메톡시에틸)아미노]메틸}피리딘-2-일)티에노[3,2-b]피리딘-7-일]옥시}페닐)-1-(3-플루오로페닐)-2-옥소-1,2-디히드로피리딘-3-카르복스아미드;
15) 4-에톡시-N-(3-플루오로-4-{[2-(5-{[(2-메톡시에틸)아미노]메틸}피리딘-2-일)티에노[3,2-b]피리딘-7-일]옥시}페닐)-1-(4-메톡시페닐)-2-옥소-1,2-디히드로피리딘-3-카르복스아미드;
16) 4-에톡시-N-(3-플루오로-4-{[2-(5-{[(2-메톡시에틸)아미노]메틸}피리딘-2-일)티에노[3,2-b]피리딘-7-일]옥시}페닐)-1-(3-메톡시페닐)-2-옥소-1,2-디히드로피리딘-3-카르복스아미드;
17) N-(3-플루오로-4-{[2-(5-{[(2-메톡시에틸)아미노]메틸}피리딘-2-일)티에노[3,2-b]피리딘-7-일]옥시}페닐)-2-(4-플루오로페닐)-5-메틸-3-옥소-2,3-디히드로피리다진-4-카르복스아미드;
18) N-(3-플루오로-4-{[2-(5-{[(2-메톡시에틸)아미노]메틸}피리딘-2-일)티에노[3,2-b]피리딘-7-일]옥시}페닐)-5-메틸-3-옥소-2-페닐-2,3-디히드로피리다진-4-카르복스아미드;
19) N-(3-플루오로-4-{[2-(5-{[(2-메톡시에틸)아미노]메틸}피리딘-2-일)티에노[3,2-b]피리딘-7-일]옥시}페닐)-3-옥소-2-페닐-2,3-디히드로피리다진-4-카르복스아미드;
20) N-(3-플루오로-4-[{2-(5-[{(2-메톡시에틸)아미노}메틸]피리딘-2-일)티에노[3,2-b]피리딘-7-일}옥시]페닐)-2-(4-플루오로페닐)-3-옥소-2,3-디히드로피리다진-4-카르복스아미드;
21) N-(3-플루오로-4-{[2-(5-{[(2-메톡시에틸)아미노]메틸}피리딘-2-일)티에노[3,2-b]피리딘-7-일]옥시}페닐)-6-메틸-2-옥소-1-페닐-1,2-디히드로피리딘-3-카르복스아미드;
22) N-(3-플루오로-4-{[2-(5-{[(2-메톡시에틸)아미노]메틸}피리딘-2-일)티에노[3,2-b]피리딘-7-일]옥시}페닐)-1-(4-플루오로페닐)-6-메틸-2-옥소-1,2-디히드로피리딘-3-카르복스아미드;
23) 5-브로모-N-(3-플루오로-4-{[2-(5-{[(2-메톡시에틸)아미노]메틸}피리딘-2-일)티에노[3,2-b]피리딘-7-일]옥시}페닐)-1-(4-플루오로페닐)-2-옥소-1,2-디히드로피리딘-3-카르복스아미드;
24) 5-클로로-N-(3-플루오로-4-{[2-(5-{[(2-메톡시에틸)아미노]메틸}피리딘-2-일)티에노[3,2-b]피리딘-7-일]옥시}페닐)-1-(4-플루오로페닐)-2-옥소-1,2-디히드로피리딘-3-카르복스아미드;
25) N-(3-플루오로-4-{[2-(5-{[(2-메톡시에틸)아미노]메틸}피리딘-2-일)티에노[3,2-b]피리딘-7-일]옥시}페닐)-1-(4-플루오로페닐)-4-메틸-2-옥소-1,2-디히드로피리딘-3-카르복스아미드;
26) N-(2-클로로-4-{[2-(5-{[(2-메톡시에틸)아미노]메틸}피리딘-2-일)티에노[3,2-b]피리딘-7-일]옥시}페닐)-4-에톡시-1-(4-플루오로페닐)-2-옥소-1,2-디히드로피리딘-3-카르복스아미드;
27) N-(3-플루오로-4-([2-(5-{[(2-메톡시에틸)아미노)메틸]피리딘-2-일}티에노[3,2-b]피리딘-7-일)옥시]페닐}-1-(4-플루오로페닐)-5,6-디메틸-2-옥소-1,2-디히드로피리딘-3-카르복스아미드;
28) N-(3-플루오로-4-{[-2-(5-{[(2-메톡시에틸)아미노]메틸}피리딘-2-일)티에노[3,2-b]피리딘-7-일]옥시}페닐)-4-메틸-2-옥소-1-페닐-1,2-디히드로피리딘-3-카르복스아미드;
29) N-(3-플루오로-4-{[-2-(5-{[(2-메톡시에틸)아미노]메틸}피리딘-2-일)티에노[3,2-b]피리딘-7-일]옥시}페닐)-1-(4-플루오로페닐)-5-메틸-2-옥소-1,2-디히드로피리딘-3-카르복스아미드;
30) 4-에톡시-N-(3-플루오로-4-{[2-(5-{[(2-메톡시에틸)(메틸)아미노]메틸}피리딘-2-일)티에노[3,2-b]피리딘-7-일]옥시}페닐)-1-(4-플루오로페닐)-2-옥소-1,2-디히드로피리딘-3-카르복스아미드;
31) 4-에톡시-N-[3-플루오로-4-({2-[5-(모르폴리노메틸)피리딘-2-일]티에노[3,2-b]피리딘-7-일}옥시)페닐]-1-(4-플루오로페닐)-2-옥소-1,2-디히드로피리딘-3-카르복스아미드;
32) 4-에톡시-N-[3-플루오로-4-({2-[5-(모르폴리노메틸)피리딘-2-일]티에노[3,2-b]피리딘-7-일}옥시)페닐]-2-옥소-1-페닐-1,2-디히드로피리딘-3-카르복스아미드;
33) 4-에톡시-N-{3-플루오로-4-[(2-{5-[(4-메틸피페라진-1-일)메틸]피리딘-2-일}티에노[3,2-b]피리딘-7-일)옥시]페닐}-1-(4-플루오로페닐)-2-옥소-1,2-디히드로피리딘-3-카르복스아미드;
34) 4-에톡시-N-{3-플루오로-4-[(2-{5-[(-메틸피페라진-1-일)메틸]피리딘-2-일}티에노[3,2-b]피리딘-7-일)옥시]페닐}-2-옥소-1-페닐-1,2-디히드로피리딘-3-카르복스아미드;
35) 1-(4-클로로페닐)-4-에톡시-N-[3-플로오로-4-({2-[5-(모르폴리노메틸)피리딘-2-일]티에노[3,2-b]피리딘-7-일}옥시)페닐]-2-옥소-1,2-디히드로피리딘-3-카르복스아미드;
36) N-[3-클로로-4-({2-[5-(모르폴리노메틸)피리딘-2-일]티에노[3,2-b]피리딘-7-일}옥시)페닐]-4-에톡시-1-(4-플루오로페닐)-2-옥소-1,2-디히드로피리딘-3-카르복스아미드; 및
37) N-[2-클로로-4-({2-[5-(모르폴리노메틸)피리딘-2-일]티에노[3,2-b]피리딘-7-일}옥시)페닐]-4-에톡시-1-(4-플루오로페닐)-2-옥소-1,2-디히드로피리딘-3-카르복스아미드.
바람직하게는,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4-에톡시-N-[3-플루오로-4-({2-[5-(모르폴리노메틸)피리딘-2-일]티에노[3,2-b]피리딘-7-일}옥시)페닐]-1-(4-플루오로페닐)-2-옥소-1,2-디히드로피리딘-3-카르복스아미드;
4-에톡시-N-(3-플루오로-4-{[2-(5-{[(2-메톡시에틸)아미노]메틸}피리딘-2-일)티에노[3,2-b]피리딘-7-일]옥시}페닐)-2-옥소-1-페닐-1,2-디히드로피리딘-3-카르복스아미드; 및
4-에톡시-N-{3-플루오로-4-[(2-{5-[(-메틸피페라진-1-일)메틸]피리딘-2-일}티에노[3,2-b]피리딘-7-일)옥시]페닐}-2-옥소-1-페닐-1,2-디히드로피리딘-3-카르복스아미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화합물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에 사용되는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221689호에 개시된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으며, 기타 공지된 방법 및/또는 유기합성 분야의 기술에 근간한 다양한 방법들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상기 방법들을 기초로 치환기의 종류에 따라 적절한 합성방법을 사용하여 다양한 유도체들을 합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화학식 2의 화합물은 아래와 같이 표시된다:
[화학식 2]
상기 화학식 2에서,
L은 -NH- 또는 -CH2-이고,
R1 내지 R4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할로겐, 히드록시, 시아노, C1-4 알킬, C1-4 알콕시, C1-4 할로알킬, C2-4 알케닐, C2-4 알키닐, C3-7 사이클로알킬, C6-10 아릴, 5원 내지 9원의 헤테로아릴 또는 3원 내지 9원의 헤테로사이클로알킬이고,
X는 O, S, -CH(-Rx)- 또는 -N(-Rx)-이고,
Rx는 수소, C1-4 알킬, C1-4 알콕시, C1-4 할로알킬, C2-4 알케닐, C2-4 알키닐, C6-10 아릴, C6-10 아릴-C1-4 알킬, 또는 3원 내지 9원의 헤테로사이클로알킬이고,
Y는 -N= 또는 -CH=이고,
R5 및 R6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아미노, 할로겐, 시아노, C1-6 알킬, C1-6 할로알킬, C1-6 알콕시, 아미노-C1-6 알콕시, 아미노카르보닐, C1-6 알킬아미노카르보닐, 디C1-6 알킬카르보닐아미노, C1-6 알킬카르보닐아미노, C1-6 알킬아미노, 또는 C1-6 알킬-아미노-C1-6 알콕시이고,
이때 R5 및 R6는 각각 독립적으로 3원 내지 9원의 사이클로알킬; 또는 3원 내지 9원의 헤테로사이클로알킬로 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고,
상기 사이클로알킬 또는 헤테로사이클로알킬은 할로겐, 옥소, 시아노, 히드록시, 히드록시-C1-6 알킬, 아미노, 디C1-6 알킬아미노, C1-6 알킬, C1-6 알콕시, 및 C1-6 알콕시-C1-6 알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치환기를 갖거나 갖지 않고,
상기 헤테로사이클로알킬은 N, O 및 S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 내지 4개의 헤테로원자를 포함한다.
상기 C1-6 알킬은 C1-3 알킬, C3-6 알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C1-6 알콕시는 C1-3 알콕시, C3-6 알콕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화학식 2에서, R1 내지 R4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C1-4 할로알킬, 또는 할로겐일 수 있다. 여기서 할로겐은 F, Cl, Br 또는 I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R1은 수소, 트리플루오로메틸, 또는 플루오로이고, R2는 수소이고, R3는 플루오로이고, R4는 수소일 수 있다.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화학식 2에서, X는 O 또는 -CH(-Rx)-이고, Rx는 수소 또는 C1-6 알킬일 수 있다.
또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화학식 2에서, R5 및 R6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아미노, 할로겐, 시아노, C1-6 알킬, C1-6 할로알킬, C1-6 알콕시, 아미노-C1-6 알콕시, 아미노카르보닐, C1-6 알킬아미노카르보닐, 디C1-6 알킬카르보닐아미노, C1-6 알킬카르보닐아미노, C1-6 알킬아미노, C1-6 알킬-아미노-C1-6 알콕시, 또는 5원 내지 9원의 헤테로아릴이고, 이때 R5 및 R6는 각각 독립적으로 C1-6 알킬; C1-6 알콕시-C1-6 알킬-아미노, 3원 내지 9원의 사이클로알킬 및 3원 내지 9원의 헤테로사이클로알킬 중 어느 하나로 치환된 C1-6 알킬 또는 C1-6 알킬-아미노-C1-6 알킬; 3원 내지 9원의 사이클로알킬; 또는 3원 내지 9원의 헤테로사이클로알킬로 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고, 상기 사이클로알킬 또는 헤테로사이클로알킬은 할로겐, 옥소, 시아노, 히드록시, 히드록시-C1-6 알킬, 아미노, 디C1-6 알킬아미노, C1-6 알킬, C1-6 알콕시, 및 C1-6 알콕시-C1-6 알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치환기를 갖거나 갖지 않고, 상기 헤테로아릴 및 상기 헤테로사이클로알킬은 각각 독립적으로 N, O 및 S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헤테로원자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헤테로아릴은 피리디닐, 이미다졸릴, 또는 피라졸릴이고, 상기 헤테로사이클로알킬은 아제티디닐, 피롤리디닐, 테트라히드로피란일, 모폴리노, 모폴리닐, 디옥시도티오모폴리노, 피페라지닐, 피페리디닐, 또는 옥세탄일이고, 상기 사이클로알킬은 사이클로부틸, 사이클로펜틸, 또는 사이클로헥실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헤테로아릴 또는 상기 헤테로사이클로알킬이 하나 이상의 N 원자를 포함하는 경우, 이들 중 어느 하나의 N 원자 위치에서 치환될 수 있으나,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화학식 2에서, R1 및 R2는 수소, C1-4 할로알킬, 또는 할로겐이고, R3 및 R4는 수소 또는 할로겐이며, X는 O 또는 -CH(-Rx)-이고, Rx는 수소 또는 C1-4 알킬이고, A는 퀴놀린, 퀴나졸린, 피리딘, 피리미딘, 티에노피리딘, 피롤로피리딘, 피라졸로피리딘, 이미다조피리딘, 피롤로피리미딘, 디히드로피롤로피리미딘, 퓨로피리딘, 피라졸로피리미딘, 퓨린 또는 인다졸이며, R5 및 R6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아미노, 할로겐, 시아노, C1-6 알킬, C1-6 할로알킬, C1-6 알콕시, 아미노-C1-6 알콕시, 아미노카르보닐, C1-6 알킬아미노카르보닐, 디C1-6 알킬카르보닐아미노, C1-6 알킬카르보닐아미노, C1-6 알킬아미노, C1-6 알킬-아미노-C1-6 알콕시, 또는 5원 내지 9원의 헤테로아릴이고, 이때 R5 및 R6는 각각 독립적으로 C1-6 알킬; C1-6 알콕시-C1-6 알킬-아미노, 3원 내지 9원의 사이클로알킬 및 3원 내지 9원의 헤테로사이클로알킬 중 어느 하나로 치환된 C1-6 알킬 또는 C1-6 알킬-아미노-C1-6 알킬; 3원 내지 9원의 사이클로알킬; 또는 3원 내지 9원의 헤테로사이클로알킬로 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고, 상기 사이클로알킬 또는 헤테로사이클로알킬은 할로겐, 옥소, 시아노, 히드록시, 히드록시-C1-6 알킬, 아미노, 디C1-6 알킬아미노, C1-6 알킬, C1-6 알콕시, 및 C1-6 알콕시-C1-6 알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치환기를 갖거나 갖지 않고, 상기 헤테로아릴 및 상기 헤테로사이클로알킬은 각각 독립적으로 N, O 및 S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헤테로원자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화학식 2에서, R5 및 R6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니트로, 아미노, 할로겐, 히드록시, 시아노, C1-6 알킬, C1-6 할로알킬, C1-6 알콕시, 아미노-C1-6 알콕시, 아미노카르보닐, C1-6 알킬아미노카르보닐, 디C1-6 알킬아미노카르보닐, C1-6 알킬카르보닐아미노, C1-6 알킬아미노, C1-6 알킬-아미노-C1-6 알콕시, C6-10 아릴, C6-10 아릴-C1-4 알킬, 또는 5원 내지 9원의 헤테로아릴이고, 상기 아미노, 상기 알킬, 상기 알콕시, 상기 아릴 및 상기 헤테로아릴은 각각 독립적으로 C1-6 알킬; C1-6 알콕시-C1-6 알킬아미노, 3원 내지 9원의 사이클로알킬 및 3원 내지 9원의 헤테로사이클로알킬 중 어느 하나로 치환된 C1-6 알킬 또는 C1-6 알킬아미노-C1-6 알킬; 3원 내지 9원의 사이클로알킬; 또는 3원 내지 9원의 헤테로사이클로알킬로 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고, 상기 사이클로알킬 또는 헤테로사이클로알킬은 할로겐, 옥소, 시아노, 히드록시, 히드록시-C1-6 알킬, 아미노, 디C1-6 알킬아미노, C1-6 알킬, C1-6 알콕시, 및 C1-6 알콕시-C1-6 알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치환기를 갖거나 갖지 않고, 상기 헤테로사이클릭 고리, 헤테로아릴 및 헤테로사이클로알킬은 각각 독립적으로 N, O 및 S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헤테로원자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화학식 2에서, R5 및 R6는 동시에 C6-10 아릴, C6-10 아릴-C1-4 알킬, 또는 5원 내지 9원의 헤테로아릴이 아닐 수 있다. 또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화학식 1에서, R5 및 R6는 동시에 3원 내지 9원의 사이클로알킬 및 3원 내지 9원의 헤테로사이클로알킬 중 어느 하나로 치환된 C1-6 알킬 또는 C1-6 알킬아미노-C1-6 알킬; 3원 내지 9원의 사이클로알킬; 또는 3원 내지 9원의 헤테로사이클로알킬로 치환되지는 것은 아닐 수 있다. 구체적인 일례로서, R5가 아릴, 헤테로아릴 등의 고리를 포함할 경우, R6는 이들 고리를 동시에 포함하지는 않을 수 있다. 또한 R5가 사이클로알킬, 헤테로사이클로알킬 등의 고리를 포함하는 그룹으로 치환될 경우, R6는 이들 고리를 포함하는 그룹으로 동시에 치환되지는 않을 수 있다.
보다 구체적인 일례로서, R5는 C6-10 아릴, C6-10 아릴-C1-4 알킬, 또는 5원 내지 9원의 헤테로아릴이고, R6는 수소, 니트로, 아미노, 할로겐, 히드록시, 시아노, C1-6 알킬, C1-6 할로알킬, C1-6 알콕시, 아미노-C1-6 알콕시, 아미노카르보닐, C1-6 알킬아미노카르보닐, 디C1-6 알킬아미노카르보닐, C1-6 알킬카르보닐아미노, C1-6 알킬아미노, 또는 C1-6 알킬-아미노-C1-6 알콕시일 수 있다. 이때 R5는 C1-6 알킬; 또는 C1-6 알콕시-C1-6 알킬아미노, 3원 내지 9원의 사이클로알킬 및 3원 내지 9원의 헤테로사이클로알킬 중 어느 하나로 치환된 C1-6 알킬 또는 C1-6 알킬아미노-C1-6 알킬로 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R6는 3원 내지 9원의 사이클로알킬; 또는 3원 내지 9원의 헤테로사이클로알킬로 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을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사이클로알킬 또는 헤테로사이클로알킬은 할로겐, 옥소, 시아노, 히드록시, 히드록시-C1-6 알킬, 아미노, 디C1-6 알킬아미노, C1-6 알킬, C1-6 알콕시, 및 C1-6 알콕시-C1-6 알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치환기를 갖거나 갖지 않고, 상기 헤테로아릴 및 상기 헤테로사이클로알킬은 각각 독립적으로 N, O 및 S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헤테로원자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화학식 2에서, R5 및 R6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아미노, 할로겐, 히드록시, C1-6 알콕시, 아미노카르보닐, C1-6 알킬아미노카르보닐, 디C1-6 알킬아미노카르보닐, C1-6 알킬카르보닐아미노, 시아노, C1-4 할로알킬, C1-6 알킬, 5원 내지 9원의 헤테로아릴, Ax-(CH2)a-L1-(CH2)b-L2-, 또는 Ax-(CH2)a-L1-(CH2)b-L2-피리디닐이고, Ax는 C3-6 사이클로알킬 또는 3원 내지 6원의 헤테로사이클로알킬이고, L1 및 L2는 각각 독립적으로 단일결합, -O-, -NH-, -C(=O)-NH-, 또는 -NH-C(=O)-이고, a 및 b는 각각 독립적으로 0 내지 3의 정수이되, b가 0인 경우에 L2는 단일결합이고, 상기 사이클로알킬, 헤테로아릴 및 헤테로사이클로알킬은 각각 독립적으로 할로겐, 옥소, 시아노, 히드록시, 히드록시메틸, C1-6 알킬, 메톡시, 메톡시메틸, 디메틸아미노, 및 메톡시에틸아미노메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개 또는 2개의 치환기를 갖거나 갖지 않고, 상기 헤테로아릴 및 상기 헤테로사이클로알킬은 각각 독립적으로 N, O 및 S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헤테로원자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헤테로아릴 및 상기 헤테로사이클로알킬은 각각 독립적으로 N, O 및 S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헤테로원자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구체적인 예는 아래와 같다:
40) N-(4-((6,7-디메톡시퀴놀린-4-일)옥시)-3-플루오로페닐)-5-(4-플루오로페닐)-6-옥소-2,3,5,6-테트라히드로퓨로[3,2-c]피리딘-7-카르복스아미드;
41) N-(4-((6,7-디메톡시퀴놀린-4-일)옥시)-3-플루오로페닐)-6-옥소-5-페닐-2,3,5,6-테트라히드로퓨로[3,2-c]피리딘-7-카르복스아미드;
42) N-(4-((6,7-디메톡시퀴놀린-4-일)옥시)-3-플루오로페닐)-6-옥소-5-(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2,3,5,6-테트라히드로퓨로[3,2-c]피리딘-7-카르복스아미드;
43) N-(4-((6,7-디메톡시퀴놀린-4-일)옥시)-3-플루오로페닐)-6-옥소-5-(3-플루오로페닐)-2,3,5,6-테트라히드로퓨로[3,2-c]피리딘-7-카르복스아미드;
44) N-(3-플루오로-4-((6-메톡시퀴놀린-4-일)옥시)페닐)-5-(4-플루오로페닐)-6-옥소-2,3,5,6-테트라히드로퓨로[3,2-c]피리딘-7-카르복스아미드;
45) N-(3-플루오로-4-((7-메톡시퀴놀린-4-일)옥시)페닐)-5-(4-플루오로페닐)-6-옥소-2,3,5,6-테트라히드로퓨로[3,2-c]피리딘-7-카르복스아미드;
46) N-(4-((6,7-디메톡시퀴나졸린-4-일)옥시)-3-플루오로페닐)-5-(4-플루오로페닐)-6-옥소-2,3,5,6-테트라히드로퓨로[3,2-c]피리딘-7-카르복스아미드;
47) N-(4-((6-카르바모일-7-메톡시퀴놀린-4-일)옥시)-3-플루오로페닐)-5-(4-플루오로페닐)-6-옥소-2,3,5,6-테트라히드로퓨로[3,2-c]피리딘-7-카르복스아미드;
48) N-(3-플루오로-4-((7-메톡시-6-(메틸카르바모일)퀴놀린-4-일)옥시)페닐)-5-(4-플루오로페닐)-6-옥소-2,3,5,6-테트라히드로퓨로[3,2-c]피리딘-7-카르복스아미드;
49) N-(4-((6-(디메틸카르바모일)-7-메톡시퀴놀린-4-일)옥시)-3-플루오로페닐)-5-(4-플루오로페닐)-6-옥소-2,3,5,6-테트라히드로퓨로[3,2-c]피리딘-7-카르복스아미드;
50) N-(3-플루오로-4-((7-메톡시-6-((2-모폴리노에틸)카르바모일)퀴놀린-4-일)옥시)페닐)-5-(4-플루오로페닐)-6-옥소-2,3,5,6-테트라히드로퓨로[3,2-c]피리딘-7-카르복스아미드;
51) N-(4-((6-(에틸카르바모일)-7-메톡시퀴놀린-4-일)옥시)-3-플루오로페닐)-5-(4-플루오로페닐)-6-옥소-2,3,5,6-테트라히드로퓨로[3,2-c]피리딘-7-카르복스아미드;
52) N-(4-((6-아세트아미도-7-메톡시퀴놀린-4-일)옥시)-3-플루오로페닐)-5-(4-플루오로페닐)-6-옥소-2,3,5,6-테트라히드로퓨로[3,2-c]피리딘-7-카르복스아미드;
53) N-(3-플루오로-4-((7-메톡시-6-(2-모폴리노아세트아미도)퀴놀린-4-일)옥시)페닐)-5-(4-플루오로페닐)-6-옥소-2,3,5,6-테트라히드로퓨로[3,2-c]피리딘-7-카르복스아미드;
76) N-(3-플루오로-4-((6-메톡시-7-(3-모폴리노프로폭시)퀴놀린-4-일)옥시)페닐)-5-(4-플루오로페닐)-6-옥소-2,3,5,6-테트라히드로퓨로[3,2-c]피리딘-7-카르복스아미드;
77) N-(3-플루오로-4-((6-메톡시-7-(3-모폴리노프로폭시)퀴놀린-4-일)옥시)페닐)-2-(4-플루오로페닐)-3-옥소-3,5,6,7-테트라히드로-2H-사이클로펜타[c]피리딘-4-카르복스아미드;
78) N-(3-플루오로-4-((6-메톡시-7-(2-모폴리노에톡시)퀴놀린-4-일)옥시)페닐)-5-(4-플루오로페닐)-6-옥소-2,3,5,6-테트라히드로퓨로[3,2-c]피리딘-7-카르복스아미드;
79) N-(3-플루오로-4-((6-메톡시-7-(2-모폴리노에톡시)퀴놀린-4-일)옥시)페닐)-6-옥소-5-페닐-2,3,5,6-테트라히드로퓨로[3,2-c]피리딘-7-카르복스아미드;
80) N-(3-플루오로-4-((6-메톡시-7-(3-(4-메틸피페라진-1-일)프로폭시)퀴놀린-4-일)옥시)페닐)-5-(4-플루오로페닐)-6-옥소-2,3,5,6-테트라히드로퓨로[3,2-c]피리딘-7-카르복스아미드;
81) N-(3-플루오로-4-((7-(3-(3-히드록시아제티딘-1-일)프로폭시)-6-메톡시퀴놀린-4-일)옥시)페닐)-5-(4-플루오로페닐)-6-옥소-2,3,5,6-테트라히드로퓨로[3,2-c]피리딘-7-카르복스아미드;
82) N-(3-플루오로-4-((7-(3-(3-히드록시-3-메틸아제티딘-1-일)프로폭시)-6-메톡시퀴놀린-4-일)옥시)페닐)-5-(4-플루오로페닐)-6-옥소-2,3,5,6-테트라히드로퓨로[3,2-c]피리딘-7-카르복스아미드;
83) N-(3-플루오로-4-((7-(3-(3-(히드록시메틸)아제티딘-1-일)프로폭시)-6-메톡시퀴놀린-4-일)옥시)페닐)-5-(4-플루오로페닐)-6-옥소-2,3,5,6-테트라히드로퓨로[3,2-c]피리딘-7-카르복스아미드;
84) N-(3-플루오로-4-((6-메톡시-7-(3-(3-메톡시아제티딘-1-일)프로폭시)퀴놀린-4-일)옥시)페닐)-5-(4-플루오로페닐)-6-옥소-2,3,5,6-테트라히드로퓨로[3,2-c]피리딘-7-카르복스아미드;
85) N-(3-플루오로-4-((6-메톡시-7-(3-(3-메톡시-3-메틸아제티딘-1-일)프로폭시)퀴놀린-4-일)옥시)페닐)-5-(4-플루오로페닐)-6-옥소-2,3,5,6-테트라히드로퓨로[3,2-c]피리딘-7-카르복스아미드;
86) N-(3-플루오로-4-((7-(3-(3-플루오로아제티딘-1-일)프로폭시)-6-메톡시퀴놀린-4-일)옥시)페닐)-5-(4-플루오로페닐)-6-옥소-2,3,5,6-테트라히드로퓨로[3,2-c]피리딘-7-카르복스아미드;
87) N-(4-((7-(3-(3,3-디플루오로아제티딘-1-일)프로폭시)-6-메톡시퀴놀린-4-일)옥시)-3-플루오로페닐)-5-(4-플루오로페닐)-6-옥소-2,3,5,6-테트라히드로퓨로[3,2-c]피리딘-7-카르복스아미드;
88) N-(4-((7-(3-(3-시아노아제티딘-1-일)프로폭시)-6-메톡시퀴놀린-4-일)옥시)-3-플루오로페닐)-5-(4-플루오로페닐)-6-옥소-2,3,5,6-테트라히드로퓨로[3,2-c]피리딘-7-카르복스아미드;
89) N-(3-플루오로-4-((6-메톡시-7-(3-(3-메틸아제티딘-1-일)프로폭시)퀴놀린-4-일)옥시)페닐)-5-(4-플루오로페닐)-6-옥소-2,3,5,6-테트라히드로퓨로[3,2-c]피리딘-7-카르복스아미드;
90) N-(3-플루오로-4-((7-(3-(3-히드록시피롤리딘-1-일)프로폭시)-6-메톡시퀴놀린-4-일)옥시)페닐)-5-(4-플루오로페닐)-6-옥소-2,3,5,6-테트라히드로퓨로[3,2-c]피리딘-7-카르복스아미드;
91) N-(3-플루오로-4-((7-(3-(3-히드록시-3-메틸피롤리딘-1-일)프로폭시)-6-메톡시퀴놀린-4-일)옥시)페닐)-5-(4-플루오로페닐)-6-옥소-2,3,5,6-테트라히드로퓨로[3,2-c]피리딘-7-카르복스아미드;
92) N-(3-플루오로-4-((6-메톡시-7-(3-(3-메톡시피롤리딘-1-일)프로폭시)퀴놀린-4-일)옥시)페닐)-5-(4-플루오로페닐)-6-옥소-2,3,5,6-테트라히드로퓨로[3,2-c]피리딘-7-카르복스아미드;
93) N-(3-플루오로-4-((6-메톡시-7-(3-(피롤리딘-1-일)프로폭시)퀴놀린-4-일)옥시)페닐)-5-(4-플루오로페닐)-6-옥소-2,3,5,6-테트라히드로퓨로[3,2-c]피리딘-7-카르복스아미드;
94) N-(3-플루오로-4-((7-(3-(3-플루오로피롤리딘-1-일)프로폭시)-6-메톡시퀴놀린-4-일)옥시)페닐)-5-(4-플루오로페닐)-6-옥소-2,3,5,6-테트라히드로퓨로[3,2-c]피리딘-7-카르복스아미드;
95) N-(4-((7-(3-(3,3-디플루오로피롤리딘-1-일)프로폭시)-6-메톡시퀴놀린-4-일)옥시)-3-플루오로페닐)-5-(4-플루오로페닐)-6-옥소-2,3,5,6-테트라히드로퓨로[3,2-c]피리딘-7-카르복스아미드;
96) N-(3-플루오로-4-((7-(3-(4-히드록시피페리딘-1-일)프로폭시)-6-메톡시퀴놀린-4-일)옥시)페닐)-5-(4-플루오로페닐)-6-옥소-2,3,5,6-테트라히드로퓨로[3,2-c]피리딘-7-카르복스아미드;
97) N-(3-플루오로-4-((7-(3-(3-히드록시피페리딘-1-일)프로폭시)-6-메톡시퀴놀린-4-일)옥시)페닐)-5-(4-플루오로페닐)-6-옥소-2,3,5,6-테트라히드로퓨로[3,2-c]피리딘-7-카르복스아미드;
98) N-(3-플루오로-4-((7-(3-(4-히드록시-4-메틸피페리딘-1-일)프로폭시)-6-메톡시퀴놀린-4-일)옥시)페닐)-5-(4-플루오로페닐)-6-옥소-2,3,5,6-테트라히드로퓨로[3,2-c]피리딘-7-카르복스아미드;
99) N-(3-플루오로-4-(6-메톡시-7-(3-(4-메톡시피페리딘-1-일)프로폭시)퀴놀린-4-일)옥시)페닐)-5-(4-플루오로페닐)-6-옥소-2,3,5,6-테트라히드로퓨로[3,2-c]피리딘-7-카르복스아미드;
100) N-(3-플루오로-4-((6-메톡시-7-(3-(3-메톡시피페리딘-1-일)프로폭시)퀴놀린-4-일)옥시)페닐)-5-(4-플루오로페닐)-6-옥소-2,3,5,6-테트라히드로퓨로[3,2-c]피리딘-7-카르복스아미드;
101) N-(3-플루오로-4-((6-메톡시-7-(3-(4-옥소피페리딘-1-일)프로폭시)퀴놀린-4-일)옥시)페닐)-5-(4-플루오로페닐)-6-옥소-2,3,5,6-테트라히드로퓨로[3,2-c]피리딘-7-카르복스아미드;
102) N-(4-((7-(3-(1,1-디옥시도티오모폴리노)프로폭시)-6-메톡시퀴놀린-4-일)옥시)-3-플루오로페닐)-5-(4-플루오로페닐)-6-옥소-2,3,5,6-테트라히드로퓨로[3,2-c]피리딘-7-카르복스아미드;
103) N-(3-플루오로-4-(6-메톡시-7-(3-(피페리딘-1-일)프로폭시)퀴놀린-4-일)옥시)페닐)-5-(4-플루오로페닐)-6-옥소-2,3,5,6-테트라히드로퓨로[3,2-c]피리딘-7-카르복스아미드;
104) N-(3-플루오로-4-((7-(3-(4-플루오로피페리딘-1-일)프로폭시)-6-메톡시퀴놀린-4-일)옥시)페닐)-5-(4-플루오로페닐)-6-옥소-2,3,5,6-테트라히드로퓨로[3,2-c]피리딘-7-카르복스아미드;
105) N-(4-((7-(3-(4,4-디플루오로피페리딘-1-일)프로폭시)-6-메톡시퀴놀린-4-일)옥시)-3-플루오로페닐)-5-(4-플루오로페닐)-6-옥소-2,3,5,6-테트라히드로퓨로[3,2-c]피리딘-7-카르복스아미드;
106) N-(3-플루오로-4-((6-메톡시-7-(3-(4-메틸피페리딘-1-일)프로폭시)퀴놀린-4-일)옥시)페닐)-5-(4-플루오로페닐)-6-옥소-2,3,5,6-테트라히드로퓨로[3,2-c]피리딘-7-카르복스아미드;
107) N-(4-((7-(3-(4,4-디메틸피페리딘-1-일)프로폭시)-6-메톡시퀴놀린-4-일)옥시)-3-플루오로페닐)-5-(4-플루오로페닐)-6-옥소-2,3,5,6-테트라히드로퓨로[3,2-c]피리딘-7-카르복스아미드;
108) N-(3-플루오로-4-((7-(3-((3-히드록시사이클로부틸)아미노)프로폭시)-6-메톡시퀴놀린-4-일)옥시)페닐)-5-(4-플루오로페닐)-6-옥소-2,3,5,6-테트라히드로퓨로[3,2-c]피리딘-7-카르복스아미드;
109) N-(3-플루오로-4-((6-메톡시-7-(3-((3-메톡시사이클로부틸)아미노)프로폭시)퀴놀린-4-일)옥시)페닐)-5-(4-플루오로페닐)-6-옥소-2,3,5,6-테트라히드로퓨로[3,2-c]피리딘-7-카르복스아미드;
110) N-(3-플루오로-4-((6-메톡시-7-(3-(옥세탄-3-일아미노)프로폭시)퀴놀린-4-일)옥시)페닐)-5-(4-플루오로페닐)-6-옥소-2,3,5,6-테트라히드로퓨로[3,2-c]피리딘-7-카르복스아미드;
111) N-(3-플루오로-4-((6-메톡시-7-(3-((옥세탄-3-일메틸)아미노)프로폭시)퀴놀린-4-일)옥시)페닐)-5-(4-플루오로페닐)-6-옥소-2,3,5,6-테트라히드로퓨로[3,2-c]피리딘-7-카르복스아미드;
112) N-(3-플루오로-4-((7-(3-((3-히드록시사이클로펜틸)아미노)프로폭시)-6-메톡시퀴놀린-4-일)옥시)페닐)-5-(4-플루오로페닐)-6-옥소-2,3,5,6-테트라히드로퓨로[3,2-c]피리딘-7-카르복스아미드;
113) N-(3-플루오로-4-((7-(3-((3-히드록시사이클로헥실)아미노)프로폭시)-6-메톡시퀴놀린-4-일)옥시)페닐)-5-(4-플루오로페닐)-6-옥소-2,3,5,6-테트라히드로퓨로[3,2-c]피리딘-7-카르복스아미드;
114) N-(3-플루오로-4-((7-(3-(((3-히드록시사이클로헥실)메틸)아미노)프로폭시)-6-메톡시퀴놀린-4-일)옥시)페닐)-5-(4-플루오로페닐)-6-옥소-2,3,5,6-테트라히드로퓨로[3,2-c]피리딘-7-카르복스아미드;
115) N-(3-플루오로-4-((6-메톡시-7-(3-((테트라히드로-2H-파이란-4-일)아미노)프로폭시)퀴놀린-4-일)옥시)페닐)-5-(4-플루오로페닐)-6-옥소-2,3,5,6-테트라히드로퓨로[3,2-c]피리딘-7-카르복스아미드;
116) N-(3-플루오로-4-((6-메톡시-7-(3-(((테트라히드로-2H-파이란-4-일)메틸)아미노)프로폭시)퀴놀린-4-일)옥시)페닐)-5-(4-플루오로페닐)-6-옥소-2,3,5,6-테트라히드로퓨로[3,2-c]피리딘-7-카르복스아미드;
117) N-(3-플루오로-4-((7-(2-(3-히드록시아제티딘-1-일)에톡시)-6-메톡시퀴놀린-4-일)옥시)페닐)-5-(4-플루오로페닐)-6-옥소-2,3,5,6-테트라히드로퓨로[3,2-c]피리딘-7-카르복스아미드;
118) N-(3-플루오로-4-((7-(2-(3-히드록시-3-메틸아제티딘-1-일)에톡시)-6-메톡시퀴놀린-4-일)옥시)페닐)-5-(4-플루오로페닐)-6-옥소-2,3,5,6-테트라히드로퓨로[3,2-c]피리딘-7-카르복스아미드;
119) N-(3-플루오로-4-((7-(2-(3-(히드록시메틸)아제티딘-1-일)에톡시)-6-메톡시퀴놀린-4-일)옥시)페닐)-5-(4-플루오로페닐)-6-옥소-2,3,5,6-테트라히드로퓨로[3,2-c]피리딘-7-카르복스아미드;
120) N-(3-플루오로-4-((6-메톡시-7-(2-(3-메톡시아제티딘-1-일)에톡시)퀴놀린-4-일)옥시)페닐)-5-(4-플루오로페닐)-6-옥소-2,3,5,6-테트라히드로퓨로[3,2-c]피리딘-7-카르복스아미드;
121) N-(3-플루오로-4-((6-메톡시-7-(2-(3-메톡시-3-메틸아제티딘-1-일)에톡시)퀴놀린-4-일)옥시)페닐)-5-(4-플루오로페닐)-6-옥소-2,3,5,6-테트라히드로퓨로[3,2-c]피리딘-7-카르복스아미드;
122) N-(3-플루오로-4-((6-메톡시-7-(2-(3-(메톡시메틸)아제티딘-1-일)에톡시)퀴놀린-4-일)옥시)페닐)-5-(4-플루오로페닐)-6-옥소-2,3,5,6-테트라히드로퓨로[3,2-c]피리딘-7-카르복스아미드;
123) N-(3-플루오로-4-((7-(2-(3-플루오로아제티딘-1-일)에톡시)-6-메톡시퀴놀린-4-일)옥시)페닐)-5-(4-플루오로페닐)-6-옥소-2,3,5,6-테트라히드로퓨로[3,2-c]피리딘-7-카르복스아미드;
124) N-(4-((7-(2-(3,3-디플루오로아제티딘-1-일)에톡시)-6-메톡시퀴놀린-4-일)옥시)-3-플루오로페닐)-5-(4-플루오로페닐)-6-옥소-2,3,5,6-테트라히드로퓨로[3,2-c]피리딘-7-카르복스아미드;
125) N-(4-((7-(2-(3-에티닐아제티딘-1-일)에톡시)-6-메톡시퀴놀린-4-일)옥시)-3-플루오로페닐)-5-(4-플루오로페닐)-6-옥소-2,3,5,6-테트라히드로퓨로[3,2-c]피리딘-7-카르복스아미드;
126) N-(3-플루오로-4-((6-메톡시-7-(2-(3-메틸아제티딘-1-일)에톡시)퀴놀린-4-일)옥시)페닐)-5-(4-플루오로페닐)-6-옥소-2,3,5,6-테트라히드로퓨로[3,2-c]피리딘-7-카르복스아미드;
127) N-(4-((7-(2-(3,3-디메틸아제티딘-1-일)에톡시)-6-메톡시퀴놀린-4-일)옥시)-3-플루오로페닐)-5-(4-플루오로페닐)-6-옥소-2,3,5,6-테트라히드로퓨로[3,2-c]피리딘-7-카르복스아미드;
128) N-(4-((7-(2-(3-(디메틸아미노)아제티딘-1-일)에톡시)-6-메톡시퀴놀린-4-일)옥시)-3-플루오로페닐)-5-(4-플루오로페닐)-6-옥소-2,3,5,6-테트라히드로퓨로[3,2-c]피리딘-7-카르복스아미드;
129) N-(3-플루오로-4-((7-(2-(3-히드록시피롤리딘-1-일)에톡시)-6-메톡시퀴놀린-4-일)옥시)페닐)-5-(4-플루오로페닐)-6-옥소-2,3,5,6-테트라히드로퓨로[3,2-c]피리딘-7-카르복스아미드;
130) N-(3-플루오로-4-((7-(2-(3-히드록시-3-메틸피롤리딘-1-일)에톡시)-6-메톡시퀴놀린-4-일)옥시)페닐)-5-(4-플루오로페닐)-6-옥소-2,3,5,6-테트라히드로퓨로[3,2-c]피리딘-7-카르복스아미드;
131) N-(3-플루오로-4-((6-메톡시-7-(2-(3-메톡시피롤리딘-1-일)에톡시)퀴놀린-4-일)옥시)페닐)-5-(4-플루오로페닐)-6-옥소-2,3,5,6-테트라히드로퓨로[3,2-c]피리딘-7-카르복스아미드;
132) N-(3-플루오로-4-((6-메톡시-7-(2-(피롤리딘-1-일)에톡시)퀴놀린-4-일)옥시)페닐)-5-(4-플루오로페닐)-6-옥소-2,3,5,6-테트라히드로퓨[3,2-c]피리딘-7-카르복스아미드;
133) N-(3-플루오로-4-((7-(2-(3-플루오로피롤리딘-1-일)에톡시)-6-메톡시퀴놀린-4-일)옥시)페닐)-5-(4-플루오로페닐)-6-옥소-2,3,5,6-테트라히드로퓨로[3,2-c]피리딘-7-카르복스아미드;
134) N-(4-((7-(2-(3,3-디플루오로피롤리딘-1-일)에톡시)-6-메톡시퀴놀린-4-일)옥시)-3-플루오로페닐)-5-(4-플루오로페닐)-6-옥소-2,3,5,6-테트라히드로퓨로[3,2-c]피리딘-7-카르복스아미드;
135) N-(3-플루오로-4-((7-(2-(4-히드록시피페리딘-1-일)에톡시)-6-메톡시퀴놀린-4-일)옥시)페닐)-5-(4-플루오로페닐)-6-옥소-2,3,5,6-테트라히드로퓨로[3,2-c]피리딘-7-카르복스아미드;
136) N-(3-플루오로-4-((7-(2-(3-히드록시피페리딘-1-일)에톡시)-6-메톡시퀴놀린-4-일)옥시)페닐)-5-(4-플루오로페닐)-6-옥소-2,3,5,6-테트라히드로퓨로[3,2-c]피리딘-7-카르복스아미드;
137) N-(3-플루오로-4-((7-(2-(4-히드록시-4-메틸피페리딘-1-일)에톡시)-6-메톡시퀴놀린-4-일)옥시)페닐)-5-(4-플루오로페닐)-6-옥소-2,3,5,6-테트라히드로퓨로[3,2-c]피리딘-7-카르복스아미드;
138) N-(3-플루오로-4-((6-메톡시-7-(2-(4-메톡시피페리딘-1-일)에톡시)퀴놀린-4-일)옥시)페닐)-5-(4-플루오로페닐)-6-옥소-2,3,5,6-테트라히드로퓨로[3,2-c]피리딘-7-카르복스아미드;
139) N-(3-플루오로-4-((6-메톡시-7-(2-(3-메톡시피페리딘-1-일)에톡시)퀴놀린-4-일)옥시)페닐)-5-(4-플루오로페닐)-6-옥소-2,3,5,6-테트라히드로퓨로[3,2-c]피리딘-7-카르복스아미드;
140) N-(3-플루오로-4-((6-메톡시-7-(2-(4-옥소피페리딘-1-일)에톡시)퀴놀린-4-일)옥시)페닐)-5-(4-플루오로페닐)-6-옥소-2,3,5,6-테트라히드로퓨로[3,2-c]피리딘-7-카르복스아미드;
141) N-(3-플루오로-4-((6-메톡시-7-(2-(3-옥소피페리딘-1-일)에톡시)퀴놀린-4-일)옥시)페닐)-5-(4-플루오로페닐)-6-옥소-2,3,5,6-테트라히드로퓨로[3,2-c]피리딘-7-카르복스아미드;
142) N-(4-((7-(2-(1,1-디옥시도티오모폴리노)에톡시)-6-메톡시퀴놀린-4-일)옥시)-3-플루오로페닐)-5-(4-플루오로페닐)-6-옥소-2,3,5,6-테트라히드로퓨로[3,2-c]피리딘-7-카르복스아미드;
143) N-(3-플루오로-4-((6-메톡시-7-(2-(피페리딘-1-일)에톡시)퀴놀린-4-일)옥시)페닐)-5-(4-플루오로페닐)-6-옥소-2,3,5,6-테트라히드로퓨[3,2-c]피리딘-7-카르복스아미드;
144) N-(3-플루오로-4-((7-(2-(4-플루오로피페리딘-1-일)에톡시)-6-메톡시퀴놀린-4-일)옥시)페닐)-5-(4-플루오로페닐)-6-옥소-2,3,5,6-테트라히드로퓨로[3,2-c]피리딘-7-카르복스아미드;
145) N-(4-((7-(2-(4,4-디플루오로피페리딘-1-일)에톡시)-6-메톡시퀴놀린-4-일)옥시)-3-플루오로페닐)-5-(4-플루오로페닐)-6-옥소-2,3,5,6-테트라히드로퓨로[3,2-c]피리딘-7-카르복스아미드;
146) N-(3-플루오로-4-((6메톡시-7-(2-(4-메틸피페리딘-1-일)에톡시)퀴놀린-4-일)옥시)페닐)-5-(4-플루오로페닐)-6-옥소-2,3,5,6-테트라히드로퓨로[3,2-c]피리딘-7-카르복스아미드;
147) N-(4-((7-(2-(4,4-디메틸피페리딘-1-일)에톡시)-6-메톡시퀴놀린-4-일)옥시)-3-플루오로페닐)-5-(4-플루오로페닐)-6-옥소-2,3,5,6-테트라히드로퓨로[3,2-c]피리딘-7-카르복스아미드;
148) N-(3-플루오로-4-((7-(2-((3-히드록시사이클로부틸)아미노)에톡시)-6-메톡시퀴놀린-4-일)옥시)페닐)-5-(4-플루오로페닐)-6-옥소-2,3,5,6-테트라히드로퓨로[3,2-c]피리딘-7-카르복스아미드;
149) N-(3-플루오로-4-((6-메톡시-7-(2-((3-메톡시사이클로부틸)아미노)에톡시)퀴놀린-4-일)옥시)페닐)-5-(4-플루오로페닐)-6-옥소-2,3,5,6-테트라히드로퓨로[3,2-c]피리딘-7-카르복스아미드;
150) N-(3-플루오로-4-((6-메톡시-7-(2-(옥세탄-3-일아미노)에톡시)퀴놀린-4-일)옥시)페닐)-5-(4-플루오로페닐)-6-옥소-2,3,5,6-테트라히드로퓨로[3,2-c]피리딘-7-카르복스아미드;
151) N-(3-플루오로-4-((6-메톡시-7-(2-((옥세탄-3-일메틸)아미노)에톡시)퀴놀린-4-일)옥시)페닐)-5-(4-플루오로페닐)-6-옥소-2,3,5,6-테트라히드로퓨로[3,2-c]피리딘-7-카르복스아미드;
152) N-(3-플루오로-4-((7-(2-((4-히드록시사이클로헥실)아미노)에톡시)-6-메톡시퀴놀린-4-일)옥시)페닐)-5-(4-플루오로페닐)-6-옥소-2,3,5,6-[3,2-c]피리딘-7-카르복스아미드;
153) N-(3-플루오로-4-((7-(2-((3-히드록시사이클로헥실)아미노)에톡시)-6-메톡시퀴놀린-4-일)옥시)페닐)-5-(4-플루오로페닐)-6-옥소-2,3,5,6-테트라히드로퓨로[3,2-c]피리딘-7-카르복스아미드;
154) N-(3-플루오로-4-((7-(2-(((3-히드록시사이클로헥실)메틸)아미노)에톡시)-6-메톡시퀴놀린-4-일)옥시)페닐)-5-(4-플루오로페닐)-6-옥소-2,3,5,6-테트라히드로퓨로[3,2-c]피리딘-7-카르복스아미드;
155) N-(3-플루오로-4-((6-메톡시-7-(2-((테트라히드로-2H-피란-4-일)아미노)에톡시)퀴놀린-4-일)옥시)페닐)-5-(4-플루오로페닐)-6-옥소-2,3,5,6-테트라히드로퓨로[3,2-c]피리딘-7-카르복스아미드;
156) N-(3-플루오로-4-((6-메톡시-7-(2-((4-메톡시사이클로헥실)아미노)에톡시)퀴놀린-4-일)옥시)페닐)-5-(4-플루오로페닐)-6-옥소-2,3,5,6-테트라히드로퓨로[3,2-c]피리딘-7-카르복스아미드;
157) N-(3-플루오로-4-((7(2-모폴리닐에톡시)퀴놀린-4-일)옥시)페닐)-5-(4-플루오로페닐)-6-옥소-2,3,5,6-테트라히드로퓨로[3,2-c]피리딘-7-카르복스아미드;
158) N-(3-플루오로-4-((7-(3-모폴리노프로폭시)퀴놀린-4-일)옥시)페닐)-5-(4-플루오로페닐)-6-옥소-2,3,5,6-테트라히드로퓨로[3,2-c]피리딘-7-카르복스아미드;
159) N-(3-플루오로-4-((7-(3-모폴리노프로폭시)퀴놀린-4-일)옥시)페닐)-2-(4-플루오로페닐)-3-옥소-3,5,6,7-테트라히드로-2H-사이클로펜타[c]피리딘-4-카르복스아미드;
160) N-(3-플루오로-4-((7-(3-(4-메틸피페라진-1-일)프로폭시)퀴놀린-4-일)옥시)페닐)-5-(4-플루오로페닐)-6-옥소-2,3,5,6-테트라히드로퓨로[3,2-c]피리딘-7-카르복스아미드;
161) 7-(2-(3-플루오로-4-((7-(3-(피페리딘-1-일)프로폭시)퀴놀린-4-일)옥시)페닐)아세틸)-5-(4-플루오로페닐)-3,5-디히드로퓨로[3,2-c]피리딘-6(2H)-온;
162) 7-(2-(3-플루오로-4-((7-(3-(4-메틸피페리딘-1-일)프로폭시)퀴놀린-4-일)옥시)페닐)아세틸)-5-(4-플루오로페닐)-3,5-디히드로퓨로[3,2-c]피리딘-6(2H)-온;
163) N-(3-플루오로-4-((6-(메틸카르바모일)-7-(2-모폴리노에톡시)퀴놀린-4-일)옥시)페닐)-5-(4-플루오로페닐)-6-옥소-2,3,5,6-테트라히드로퓨로[3,2-c]피리딘-7-카르복스아미드;
164) N-(3-플루오로-4-((6-(메틸카르바모일)-7-(3-모폴리노프로폭시)퀴놀린-4-일)옥시)페닐)-5-(4-플루오로페닐)-6-옥소-2,3,5,6-테트라히드로퓨로[3,2-c]피리딘-7-카르복스아미드;
165) N-(3-플루오로-4-((6-메톡시-7-(메틸카르바모일)퀴놀린-4-일)옥시)페닐)-5-(4-플루오로페닐)-6-옥소-2,3,5,6-테트라히드로퓨로[3,2-c]피리딘-7-카르복스아미드;
166) N-(3-플루오로-4-((7-(메틸카르바모일)-6-(2-모폴리노에톡시)퀴놀린-4-일)옥시)페닐)-5-(4-플루오로페닐)-6-옥소-2,3,5,6-테트라히드로퓨로[3,2-c]피리딘-7-카르복스아미드;
167) N-(3-플루오로-4-((6-플루오로-7-(2-모폴리노에톡시)퀴놀린-4-일)옥시)페닐)-5-(4-플루오로페닐)-6-옥소-2,3,5,6-테트라히드로퓨로[3,2-c]피리딘-7-카르복스아미드;
168) N-(3-플루오로-4-((6-플루오로-7-(3-모폴리노프로폭시)퀴놀린-4-일)옥시)페닐)-5-(4-플루오로페닐)-6-옥소-2,3,5,6-테트라히드로퓨로[3,2-c]피리딘-7-카르복스아미드;
169) N-(3-플루오로-4-((7-(2-모폴리노에톡시)-6-(트리플루오로메틸)퀴놀린-4-일)옥시)페닐)-5-(4-플루오로페닐)-6-옥소-2,3,5,6-테트라히드로퓨로[3,2-c]피리딘-7-카르복스아미드;
170) N-(3-플루오로-4-((7-(3-모폴리노프로폭시)-6-(트리플루오로메틸)퀴놀린-4-일)옥시)페닐)-5-(4-플루오로페닐)-6-옥소-2,3,5,6-테트라히드로퓨로[3,2-c]피리딘-7-카르복스아미드;
171) N-4-((6-클로로-7-(2-모폴리노에톡시)퀴놀린-4-일)옥시)-3-플루오로페닐)-5-(4-플루오로페닐)-6-옥소-2,3,5,6-테트라히드로퓨로[3,2-c]피리딘-7-카르복스아미드;
172) N-4-((6-클로로-7-(3-모폴리노프로폭시)퀴놀린-4-일)옥시)-3-플루오로페닐)-5-(4-플루오로페닐)-6-옥소-2,3,5,6-테트라히드로퓨로[3,2-c]피리딘-7-카르복스아미드;
173) N-(4-((6-시아노-7-(2-모폴리노에톡시)퀴놀린-4-일)옥시)-3-플루오로페닐)-5-(4-플루오로페닐)-6-옥소-2,3,5,6-테트라히드로퓨로[3,2-c]피리딘-7-카르복스아미드;
174) N-(4-((6-시아노-7-(3-모폴리노프로폭시)퀴놀린-4-일)옥시)-3-플루오로페닐)-5-(4-플루오로페닐)-6-옥소-2,3,5,6-테트라히드로퓨로[3,2-c]피리딘-7-카르복스아미드;
175) N-(3-플루오로-4-((7-메톡시-6-(2-모폴리노에톡시)퀴놀린-4-일)옥시)페닐)-5-(4-플루오로페닐)-6-옥소-2,3,5,6-테트라히드로퓨로[3,2-c]피리딘-7-카르복스아미드;
176) N-(3-플루오로-4-((7-메톡시-6-(3-모폴리노프로폭시)퀴놀린-4-일)옥시)페닐)-5-(4-플루오로페닐)-6-옥소-2,3,5,6-테트라히드로퓨로[3,2-c]피리딘-7-카르복스아미드;
177) N-(3-플루오로-4-((6-(2-모폴리노에톡시)퀴놀린-4-일)옥시)페닐)-5-(4-플루오로페닐)-6-옥소-2,3,5,6-테트라히드로퓨로[3,2-c]피리딘-7-카르복스아미드;
178) N-(3-플루오로-4-((6-(3-모폴리노프로폭시)퀴놀린-4-일)옥시)페닐)-5-(4-플루오로페닐)-6-옥소-2,3,5,6-테트라히드로퓨로[3,2-c]피리딘-7-카르복스아미드;
179) N-(4-((6-아미노-7-메톡시퀴놀린-4-일)옥시)-3-플루오로페닐)-5-(4-플루오로페닐)-6-옥소-2,3,5,6-테트라히드로퓨로[3,2-c]피리딘-7-카르복스아미드;
180) N-(3-플루오로-4-((7-메톡시-6-(3-모폴리노프로판아미도)퀴놀린-4-일)옥시)페닐)-5-(4-플루오로페닐)-6-옥소-2,3,5,6-테트라히드로퓨로[3,2-c]피리딘-7-카르복스아미드;
181) N-(4-((7-아미노-6-메톡시퀴놀린-4-일)옥시)-3-플루오로페닐)-5-(4-플루오로페닐)-6-옥소-2,3,5,6-테트라히드로퓨로[3,2-c]피리딘-7-카르복스아미드;
182) N-(3-플루오로-4-((6-메톡시-7-(2-모폴리노아세트아미도)퀴놀린-4-일)옥시)페닐)-5-(4-플루오로페닐)-6-옥소-2,3,5,6-테트라히드로퓨로[3,2-c]피리딘-7-카르복스아미드;
183) N-(3-플루오로-4-((6-메톡시-7-(3-모폴리노프로파나미도)퀴놀린-4-일)옥시)페닐)-5-(4-플루오로페닐)-6-옥소-2,3,5,6-테트라히드로퓨로[3,2-c]피리딘-7-카르복스아미드;
184) N-(4-((7-아세트아미도-6-메톡시퀴놀린-4-일)옥시)-3-플루오로페닐)-5-(4-플루오로페닐)-6-옥소-2,3,5,6-테트라히드로퓨로[3,2-c]피리딘-7-카르복스아미드;
185) N-(3-플루오로-4-((7-메톡시-6-((2-모폴리노에틸)아미노)퀴놀린-4-일)옥시)페닐)-5-(4-플루오로페닐)-6-옥소-2,3,5,6-테트라히드로퓨로[3,2-c]피리딘-7-카르복스아미드;
186) N-(3-플루오로-4-((7-메톡시-6-((3-모폴리노프로필)아미노)퀴놀린-4-일)옥시)페닐)-5-(4-플루오로페닐)-6-옥소-2,3,5,6-테트라히드로퓨로[3,2-c]피리딘-7-카르복스아미드;
187) N-(3-플루오로-4-((6-메톡시-7-((2-모폴리노에틸)아미노)퀴놀린-4-일)옥시)페닐)-5-(4-플루오로페닐)-6-옥소-2,3,5,6-테트라히드로퓨로[3,2-c]피리딘-7-카르복스아미드; 및
188) N-(3-플루오로-4-((6-메톡시-7-((3-모폴리노프로필)아미노)퀴놀린-4-일)옥시)페닐)-5-(4-플루오로페닐)-6-옥소-2,3,5,6-테트라히드로퓨로[3,2-c]피리딘-7-카르복스아미드.
바람직하게는, 상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N-(3-플루오로-4-((6-메톡시-7-(2-모폴리노에톡시)퀴놀린-4-일)옥시)페닐)-5-(4-플루오로페닐)-6-옥소-2,3,5,6-테트라히드로퓨로[3,2-c]피리딘-7-카르복스아미드; 또는
N-(4-((7-(3-(3-시아노아제티딘-1-일)프로폭시)-6-메톡시퀴놀린-4-일)옥시)-3-플루오로페닐)-5-(4-플루오로페닐)-6-옥소-2,3,5,6-테트라히드로퓨로[3,2-c]피리딘-7-카르복스아미드일 수 있다.
이하 상기 화학식 2의 화합물의 제조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화학식 2의 화합물은 하기의 반응식들에 도시된 방법에 의하여 제조할 수 있지만, 이러한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특히, 당업자라면 당해 분야에서 잘 알려진 공지의 기술을 사용하여 다양한 방법에 의하여, 본 발명의 상기 화학식 2의 화합물을 제조할 수 있음을 충분히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하기의 반응식은 상기 화학식 2의 화합물의 제조방법을 제조 단계별로 나타내는 것으로서, 상기 화학식 2의 여러 화합물들은 이하 제조 단계에서 사용되는 시약과 용매를 변경하거나 반응 순서를 바꿔 제조될 수도 있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아래 반응식 1 및 2의 절차에 따라 화학식 2의 화합물을 제조할 수 있다.
[반응식 1]
상기 반응식 1에서, R1, R2, 및 X는 상기 화학식 2에서 정의한 바와 같다.
상기 반응식 1은 상업적으로 쉽게 확보할 수 있거나 기존에 알려져 있는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락톤 계열의 화합물(2)를 출발물질로 하여 카르복실산 화합물(6a)을 제조한다.
상기 반응식 1의 각 단계별로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단계 1에서는, 상업적으로 쉽게 확보할 수 있는 화합물(2)를 디메틸디메톡시아세탈을 이용하여 포르밀화(Formylation) 반응에 의하여 화학식(3)의 화합물을 제조한다. 일반적으로 고온 하에서 반응을 수행할 수 있으나 반응 시간이 오래 소요되는 단점이 있어서 마이크로웨이브 반응기를 이용하여 반응을 수행한다.
단계 2에서는, 상기 단계 1에서 포름화된 락톤 화합물(3)과 상업적으로 쉽게 확보할 수 있는 트리에틸옥소늄 테트라플루오로붕산염을 이용하여 화합물(4)을 제조한다. 이 반응은 무수 조건하에서 수행하며 바람직하게는 반응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는 N,N-디클로로메탄, 클로로포름 등의 용매를 이용하여 반응을 수행한다. 반응 온도는 일반적으로 상온 하에서 수행한다.
단계 3에서는, 상기 단계 2에서 제조한 화합물(4)을 나트륨 에톡시드 존재 하에서 기존에 알려져 있는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에틸-3-아미노-3-옥소프로피오네이트 화합물과 반응시켜 원형화(Cyclization)된 화합물(5)을 제조한다. 이 반응은 바람직하게는 반응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는 에탄올 용매를 사용하여 반응을 수행한다. 반응 온도는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으나, 일반적으로 반응은 냉온 내지 가온 하에서 수행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상온에서 수행한다.
또는, 원형화된 화합물(5)를 제조하기 위해 단계 4에서와 같이 상업적으로 쉽게 확보할 수 있는 락톤 계열의 화합물(2)를 출발물질로 하여 사염화티타늄과 피리딘의 존재 하에 기존에 알려져 있는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에틸-3-아미노-3-옥소프로피오네이트 화합물과 반응시켜 화합물(6)을 제조할 수 있다. 이 반응은 바람직하게는 반응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는 디클로로메탄을 사용하여 반응을 수행하며 반응 온도는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으나, 일반적으로 반응은 냉온 내지 상온 하에서 수행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냉온에서 시작하여 상온에서 수행한다.
이후 단계 5에서, 상기 단계 4에서 제조된 화합물(6)을 디메틸디메톡시아세탈을 이용하여 포르밀화 반응(Formylation)과 원형화에 의하여 화합물(5)을 제조한다. 일반적으로 가온 및 고온 하에서 반응을 수행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가온 하에서 수행한다.
단계 6에서는, 상기 단계 3과 단계 5에서 제조한 원형화된 화합물(5)을 가수분해 반응을 통해 카르복실산 화합물(6a)을 제조한다. 일반적으로 가수분해 반응은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이나 수산화리튬 수용액과 같은 염기성 수용액을 사용하여 반응을 수행한다. 이 반응은 가수분해 반응에 사용될 수 있는 수산화리튬 수용액의 존재 하에서 반응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는 용매인 에탄올, 메탄올, 데트라하아드로퓨란 등을 이용하여 반응을 수행한다. 반응 온도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일반적으로 반응은 상온 내지 가온 하에 수행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가온 하에서 수행하여 카르복실산 화합물(6a)을 제조한다.
[반응식 2]
상기 반응식 2에서, R1 내지 R6, X 및 Y는 상기 화학식 2에서 정의한 바와 같고 W는 이탈기이다.
상기 반응식 2는 본 발명의 목적 화합물(10)을 제조하기 위한 각 단계를 구체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단계 1에서는, 상업적으로 쉽게 확보할 수 있거나 기존에 알려져 있는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일환 또는 이환 화합물(7)을 탄산칼륨 등의 염기 존재 하에서 상업적으로 쉽게 확보할 수 있는 니트로 페놀 화합물과 반응시켜 페녹시 화합물(8)을 제조한다. 이 반응은 일반적으로 페놀 화합물의 에테르 생성 반응으로 에테르 생성 반응에 사용될 수 있는 염기의 존재 하에 수행한다. 이러한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염기의 예로는 나트륨수화물(NaH), 탄산칼륨, 탄산나트륨, 탄산세슘, 나트륨 또는 칼륨 알콕사이드(Alkoxide)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반응은 바람직하게는 반응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는 용매의 존재 하에서 수행하며, 디클로로메탄, 클로로포름, 테트라히드로퓨란, 디에틸 에테르, 톨루엔, N,N-디메틸포름아미드, 아세토니트릴, 또는 디페닐에테르 등의 용매를 사용하여 반응을 수행한다. 반응 온도는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으나, 일반적으로 반응은 상온 내지 가온 하에서 수행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가온 하에서 수행한다.
단계 2에서는, 상기 단계 1에서 제조한 니트로 페놀 화합물(8)을 철과 염화암모늄 존재 하에서 환원하여 아민 화합물(9)을 제조한다. 이 반응은 일반적으로 니트로 화합물의 아민으로의 환원 반응으로 수소, 철, 주석(±염화물, 아연 등 다양한 환원제(Reducing agent)를 사용하여 반응이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반응은 바람직하게는 반응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는 용매인 디클로로메탄, 에틸아세테이트, 메탄올, 에탄올, 테트라히드로퓨란, 또는 N,N-디메틸포름아미드 등을 사용하며, 반응에 따라 물을 조용매로 사용하여 반응을 수행한다. 반응 온도는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으나, 일반적으로 반응은 상온 내지 가온 하에서 수행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가온 하에서 수행한다.
단계 3에서는, 상기 단계 2에서 제조한 아민 화합물(9)과 반응식 1에서 제조된 카르복실산 화합물(6a)을 커플링 시약(Coupling reagent)을 사용하여 반응시키는 일반적인 아미드화 반응(Amidation reaction)을 통해 목적 화합물(10)을 제조한다. 일반적으로 커플링 시약으로는 상업적으로 쉽게 구할 수 있는 1-(3-디메틸아미노프로필)-3-에틸카르보디이미드(EDC), 1,3-디사이클로헥실 카르보이미드(DCC), 1,1-카르보닐 디이미다졸(CDI), 1-[비스(디메틸아미노)메틸렌]-1H-1,2,3-트리아졸로[4,5-b]피리디늄 3-옥시드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HATU) 등을 사용하여 반응을 수행한다. 이 반응은 염기를 사용하지 않고 반응을 수행할 수 있으나, 아미드화 반응에 사용될 수 있는 일반적인 염기인 4-디메틸아미노피리딘, 피리딘, 트리에틸아민, 디에틸이소프로필아민, N-메틸모폴린 또는 디메틸페닐아민 등의 존재 하에서 반응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는 용매인 아세토니트릴, 디메틸포름아미드, 디클로로메탄 등을 이용하여 반응을 수행한다. 반응 온도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일반적으로 반응은 상온 내지 가온 하에 수행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상온에서 수행하여 목적 화합물(10)을 제조한다.
상기 반응식에서 생성된 목적 화합물들은 통상적인 방법, 예를 들면 관크로마토그래피, 재결정화 등의 방법을 이용하여 분리 정제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할로겐"은 다른 언급이 없으면 F, Cl, Br 또는 I를 의미한다.
용어 "알킬"은, 달리 명시되지 않는 한, 선형 또는 분지형의 포화된 탄화수소 잔기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C1-10 알킬"은 1 내지 10개 탄소로 골격이 이루어진 알킬을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C1-10 알킬은 메틸, 에틸, n-프로필, i-프로필, n-부틸, i-부틸, t-부틸, n-펜틸, i-펜틸, t-펜틸, sec-펜틸, 네오펜틸, 헥실, 헵틸, 옥틸, 노닐, 데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용어 "할로알킬"은 하나 이상의 할로겐으로 치환된 알킬을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할로알킬은 동종의 할로겐이 2개 이상 치환되거나 2종 이상의 할로겐이 치환된 알킬일 수 있다.
용어 "알콕시"는, 달리 명시되지 않는 한, 앞에 정의한 알킬기가 산소 원자를 통하여 모 화합물에 부착되어 있는, 화학식 -O-알킬을 갖는 기를 의미한다. 알콕시기의 알킬 부분은 1 내지 20개의 탄소원자(즉, C1-C20 알콕시), 1 내지 12개의 탄소원자(즉, C1-C12 알콕시), 또는 1 내지 6개의 탄소원자(즉, C1-C6 알콕시)를 가질 수 있다. 적합한 알콕시기의 예로는 메톡시(-O-CH3 또는 -OMe), 에톡시(-OCH2CH3 또는 -OEt), t-부톡시(-O-C(CH3)3 또는 -O-tBu) 등이 있다.
용어 "아릴"은 모 방향족 고리 시스템을 구성하는 탄소원자로부터 1개의 수소 원자가 제거되어 유도되는 방향족 탄화수소 라디칼을 의미한다. 예를 들면, 아릴기는 6 내지 20개의 탄소원자, 6 내지 14개의 탄소원자, 또는 6 내지 10개의 탄소원자를 가질 수 있다.
용어 "사이클로알킬"은 고리 중에 탄소원자만을 포함하는 포화 모노사이클 또는 폴리사이클을 지칭한다. 사이클로알킬은, 모노사이클로서는 3 내지 7개의 탄소원자를, 바이사이클로서는 7 내지 12 탄소원자를, 폴리사이클로서는 최대 약 20개의 탄소원자를 가질 수 있다.
용어 "헤테로아릴"은 고리 내에 하나 이상의 헤테로원자를 갖는 방향족 헤테로사이클릴을 지칭한다. 헤테로아릴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피리디닐, 피롤릴, 옥사졸릴, 인돌릴, 이소인돌릴, 퓨리닐, 퓨라닐, 티에닐, 벤조퓨라닐, 벤조티오페닐, 카르바졸릴, 이미다졸릴, 티아졸릴, 이속사졸릴, 피라졸릴, 이소티아졸릴, 퀴놀릴, 이소퀴놀릴, 피리다질, 피리미딜, 피라질(이들은 고리에 하나 이상의 치환기를 가질 수 있음) 등이 있다.
용어 "헤테로사이클"은 하나 이상의 헤테로원자를 갖는 방향성 또는 비방향성의 고리를 의미하며, 포화되거나 불포화될 수 있고, 단일고리 또는 다중고리일 수 있다. 예를 들어 "4 내지 10원의 헤테로사이클"은 헤테로원자 및 탄소원자를 포함하여 총 4 내지 10개의 원자로 골격이 이루어진 헤테로사이클을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4 내지 10원의 헤테로사이클은 아제티딘, 디아제티딘, 피롤리딘, 피롤, 이미다졸리딘, 이미다졸, 피라졸리딘, 피라졸, 옥사졸리딘, 옥사졸, 이속사졸리딘, 이속사졸, 티아졸리딘, 티아졸, 이소티아졸리딘, 이소티아졸, 피페리딘, 피리딘, 피페라진, 디아진, 모폴린, 티오모폴린, 아제판, 디아제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용어 "헤테로사이클로알킬"은 고리 내에 하나 이상의 헤테로원자를 갖는 비방향족 헤테로사이클릴을 지칭한다. 헤테로사이클로알킬은 이중 결합의 존재로 인해 고리가 방향성(Aromatic)을 갖지 않는 범위에서 고리 내에 하나 이상의 탄소-탄소 이중 결합 또는 탄소-헤테로원자 이중 결합을 가질 수 있다. 헤테로사이클로알킬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아제티딘일, 아지리딘일, 피롤리딘일, 피페리딘일, 피페라진일, 호모피페라진일, 모폴리노, 티오모폴리노, 테트라히드로퓨란일, 테트라히드로티오퓨란일, 테트라히드로피란일, 피란일(이들은 고리에 하나 이상의 치환기를 가질 수 있음) 등이 있다.
용어 "헤테로원자"는 탄소(C) 이외의 원자를 의미하며, 구체적으로 질소(N), 산소(O) 또는 황(S) 원자일 수 있다. 위에서 언급한 헤테로아릴 및 헤테로사이클로알킬은 하나 이상의 헤테로원자를 포함하며, 예를 들어 1개, 1개 내지 2개, 1개 내지 3개, 또는 1개 내지 4개의 헤테로원자를 포함할 수 있다.
용어 "치환"은, 지정된 원자 상의 원자가(Valence)를 초과하지 않으면서 이러한 치환으로부터 화학적으로 안정한 화합물이 되도록, 분자 구조체 내의 수소 원자를 치환기로 대체하는 것을 지칭한다. 예를 들어 "그룹 A가 치환기 B로 치환"된다거나 또는 "그룹 A가 치환기 B를 갖는다"는 것은, 그룹 A의 골격을 구성하는 탄소 등의 원자에 결합된 수소 원자가 치환기 B로 대체되어, 그룹 A와 치환기 B가 공유 결합을 형성함을 의미할 수 있다. 따라서 탈리가 가능한 수소 원자를 갖지 않는 그룹은 치환기를 갖는 것이 실질적으로 어렵거나 불가능하고, 이에 본 명세서에서 치환기를 가지기 어려운 그룹을 포함하는 다양한 그룹과 치환기의 조합의 범위를 예시하는 경우에는, 치환기 불가능한 것이 자명한 그룹과 치환기의 조합은 그 범위에서 제외하는 것으로 해석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유효 성분으로서 상기 화학식 1 또는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포함한다.
상기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은 인간에 대한 독성이 낮아야 하며, 모 화합물의 생물학적 활성 및 물리화학적 특성에 임의의 부정적인 영향을 주지 않아야 한다.
예를 들어, 상기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은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유리 산(Free acid)에 의해 형성된 산부가염일 수 있다.
상기 유리 산으로는 무기 산 또는 유기 산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때 무기 산은 염산, 황산, 질산, 인산, 과염소산, 브롬산 등일 수 있고, 유기 산은 아세트산, 메탄설폰산, 에탄설폰산, p-톨루엔설폰산, 푸마르산, 말레산, 말론산, 프탈산, 석신산, 락트산, 시트르산, 글루콘산, 타르타르산, 살리실산, 말산, 옥살산, 벤조산, 엠본산, 아스파트산, 글루탐산 등일 수 있다.
상기 산부가염은 통상의 방법, 예를 들어 상기 화학식 1 또는 화학식 2의 화합물을 과량의 산 수용액에 용해시키고, 이 염을 수혼화성 유기 용매, 예를 들어 메탄올, 에탄올, 아세톤 또는 아세토니트릴을 사용하여 침전시켜서 제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은 알칼리금속염(나트륨염 등) 또는 알칼리토금속염(칼륨염 등)일 수 있다.
상기 알칼리금속염 또는 알칼리토금속염은, 예를 들어 상기 화학식 1 또는 화학식 2의 화합물을 과량의 알칼리금속 수산화물 또는 알칼리토금속 수산화물 용액 중에 용해시키고, 미용해된 화합물 염을 여과한 후 여액을 증발 및 건조시켜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화합물은 키랄 탄소 중심을 가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R 또는 S 이성질체, 라세미 화합물, 개개의 거울상 이성질체 또는 혼합물, 개개의 부분입체 이성질체 또는 혼합물 형태로 존재할 수 있으며, 이러한 모든 입체 이성질체 및 이들의 혼합물이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화합물은 상기 화학식 1 또는 화학식 2의 화합물의 수화물 및 용매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화물 및 용매화물은 공지된 방법을 사용하여 제조될 수 있으며, 무독성 및 수용성인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상기 수화물 및 용매화물은 각각 물 및 알코올성 용매(특히, 에탄올 등)의 1 내지 5개의 분자가 결합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유효성분으로서 상기 화학식 1 또는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약 0.1 중량% 내지 약 90 중량%, 구체적으로 약 0.5 중량% 내지 약 75 중량%, 보다 구체적으로 약 1 중량% 내지 약 50 중량%로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제제로 배합되는 통상적이고 무독성인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약학 조성물은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사용되는 첨가제의 예는 감미제, 결합제, 용매, 용해 보조제, 습윤제, 유화제, 등장화제, 흡수제, 붕해제, 산화방지제, 보존제, 윤활제, 활택제, 충전제, 향미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첨가제는 락토오스, 덱스트로스, 수크로스, 만니톨, 소르비톨, 셀룰로스, 글리신, 실리카, 활석, 스테아르산, 스테아린,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마그네슘 알루미노실리케이트, 전분, 젤라틴, 트라가칸트 검, 알긴산, 나트륨 알기네이트, 메틸셀룰로스, 나트륨 카복시메틸셀룰로스, 한천, 물, 에탄올, 폴리에틸렌 글리콜, 폴리비닐피롤리돈, 염화나트륨, 염화칼슘, 오렌지 에센스, 딸기 에센스, 바닐라 향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경구 투여(예컨대, 정제, 환제, 산제, 캡슐제, 시럽 또는 에멀젼) 또는 비경구 투여(예컨대, 근육내, 정맥내 또는 피하 주사)를 위한 다양한 제제 형태로 배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조성물은 경구 투여용 제제로 배합될 수 있으며, 이때 사용되는 첨가제로는 셀룰로스, 칼슘 실리케이트, 옥수수 전분, 락토오스, 수크로스, 덱스트로스, 칼슘 포스페이트,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칼슘 스테아레이트, 젤라틴, 활석, 계면활성제, 현탁제, 유화제, 희석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활택제(Glidant)의 예로는 콜로이드성 이산화규소(Colloidal Silicon Dioxide), 마그네슘 실리케이트(Magnesuim Sillicate) 등이 있고; 희석제(Diluent)의 예로는 미세결정질 셀룰로오스(Microcrystalline Cellulose), 락토오스 Fast Flo 락토오스 무수물(Lactose Anhydrous), 락토오스 1수화물(Lactose Monohydrate), 규화(Silicified) MCC HD 90 등이 있으며, 붕해제(Disintegrant)의 예로는 크로스카르멜로스 소듐(Croscarmellose Sodium), 크로스포비돈(Crospovidone) 등이 있고; 윤활제(Lubricant)의 예로는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Magnesium Stearate), 소듐 라우릴 설페이트(Sodium Lauryl Sulfate), 스테아르산(Stearic Acid) 등이 있다.
또한, 경구 투여를 위한 액상 제제로는 현탁제, 유제, 시럽제 등이 예시될 수 있으며, 흔히 사용되는 단순 희석제인 물, 액체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제,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 제제 및 좌제가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현탁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 마크로골, 트윈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제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주사제에는 용해제, 등장화제, 현탁화제, 유화제, 안정화제, 방부제 등과 같은 종래의 첨가제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용어 "예방"은 상기 약학적 조성물의 투여에 의해 비소세포 폐암의 발생을 억제하거나 그의 발병을 지연시키는 모든 행위를 말한다. 상기 용어 "치료"는 상기 약학적 조성물의 투여에 의해 비소세포 폐암의 증세가 호전되거나 이롭게 변경하는 모든 행위를 말한다.
본 발명의 화합물 또는 조성물은 치료학적으로 유효한 양 또는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으로 환자에 투여될 수 있다.
여기서 "치료학적으로 유효한 양" 또는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이란 대상 질환을 예방 또는 치료하는데 유효한 화합물 또는 조성물의 양으로서, 의학적 치료에 적용 가능한 합리적인 수혜/위험 비율로 질환을 치료하기에 충분하며 부작용을 일으키지 않을 정도의 양을 의미한다. 상기 유효량의 수준은 환자의 건강상태, 질환의 종류, 중증도, 약물의 활성, 약물에 대한 민감도, 투여 방법,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및 배출 비율, 치료 기간, 배합 또는 동시 사용되는 약물을 포함한 요소 및 기타 의학 분야에 잘 알려진 요소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상기 용어 "투여"는 어떠한 적절한 방법으로 환자에게 소정의 약물을 도입하는 것을 의미하며, 상기 물질의 투여 경로는 약물이 목적 조직에 도달할 수 있는 한 어떠한 일반적인 경로를 통하여 투여될 수 있다. 투여 경로는 복강내 투여, 정맥내 투여, 근육내 투여, 피하 투여. 피내 투여, 경구 투여, 국소 투여, 비내 투여, 폐내 투여, 직장내 투여 등이 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화합물 또는 조성물은 개별 치료제로 투여하거나 다른 치료제와 병용하여 투여될 수 있고, 종래의 치료제와 순차적으로 또는 동시에 투여될 수 있으며, 단일 또는 다중 투여될 수 있다. 상기한 요소들을 모두 고려하여 최소한의 부작용으로 또는 부작용 없이 최소한의 양으로 최대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양을 투여하는 것이 중요하며, 이는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결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화합물의 유효량은 환자의 나이, 성별, 체중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는 체중 kg 당 약 0.1 mg 내지 약 1,000 mg, 또는 약 5 mg 내지 약 200 mg을 매일 또는 격일 투여하거나 1일 1회 내지 3회로 나누어 투여할 수 있다. 그러나, 투여 경로, 질병의 중증도, 성별, 체중, 연령 등에 따라서 증감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화합물 또는 조성물은 화학요법, 방사선 요법, 면역요법, 호르몬 치료, 골수 이식, 줄기세포 대체치료, 다른 생물학적 치료, 수술적 개입 또는 이들의 조합과 병용하여 종양 요법을 위해 투여될 수 있다. 예컨대, 본 발명의 화합물 또는 조성물은 장기적으로 진행되는 다른 치료 전략과 함께 보조 요법으로 사용되거나, 중증 환자에서 종양 퇴행 또는 화학 예방 요법 후 환자의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1종 이상의 유효성분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추가의 유효성분은 항-증식 화합물 예컨대, 아로마타제 저해제, 항-에스트로겐, 토포이소머라제 I 저해제, 토포이소머라제 II 저해제, 미세소관 활성 화합물, 알킬화 화합물, 히스톤 데아세틸라제 저해제, 세포 분화 과정을 유도하는 화합물, 시클로옥시게나제 저해제, MMP 저해제, mTOR 저해제, 항-신생물, 항-대사물질, 백금계 화합물, 단백질 또는 지질 키나제 활성을 표적화/감소시키는 화합물, 항-혈관신생 화합물, 단백질 또는 지질 포스파타제의 활성을 표적화하거나 감소시키거나 저해하는 화합물, 고나도렐린 효능제, 항-안드로겐, 메티오닌 아미노펩티다제 저해제, 비스포스포네이트, 생물학적 반응 개질제, 항-증식성 항체, 헤파라나제 저해제, Ras 종양원성 이소형의 저해제, 텔로머라제 저해제, 프로테아솜 저해제, 혈액계 악성종양의 치료에 사용되는 화합물, Flt-3의 활성을 표적화하거나 감소시키거나 저해하는 화합물, Hsp90 저해제, 키네신 스핀들 단백질 저해제, MEK 저해제, 류코보린, EDG 결합제, 항-백혈병 화합물, 리보뉴클레오티드 리덕타제 저해제, S-아데노실메티오닌 데카르복실라제 저해제, 지혈성 스테로이드, 코르티코스테로이드, 다른 화학요법 화합물, 또는 광감작 화합물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추가의 유효성분은 공지의 항암제일 수 있다. 상기 항암제의 비제한적인 예는 DNA 알킬화제(DNA alkylating agents)로 메클로에타민(Mechloethamine), 클로람부칠(Chlorambucil), 페닐알라닌(Phenylalanine), 무스타드(Mustard), 사이클로포스파미드(Cyclophosphamide), 이포스파미드(Ifosfamide), 카르무스틴(Carmustine: BCNU), 로무스틴(Lomustine: CCNU), 스트렙토조토신(Streptozotocin), 부술판(Busulfan), 티오테파(Thiotepa), 시스플라틴(Cisplatin) 및 카보플라틴(Carboplatin); 항암 항생제(Anti-cancer antibiotics)로 닥티노마이신(Dactinomycin: actinomycin D), 독소루비신(Doxorubicin: adriamycin), 다우노루비신(Daunorubicin), 이다루비신(Idarubicin), 미토크산트론(Mitoxantrone), 플리카마이신(Plicamycin), 마이토마이신 C(Mitomycin C) 및 블레오마이신(Bleomycin); 및 식물 알카로이드(Plant alkaloids)로 빈크리스틴(Vincristine), 빈블라스틴(Vinblastine), 파클리탁셀(Paclitaxel), 도세탁셀(Docetaxel), 에토포시드(Etoposide), 테니포시드(Teniposide), 토포테칸(Topotecan) 및 이리노테칸(Irinotecan) 등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약물은 화학식 1 또는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일 수 있다.
이때, 상기 EGFR 표적 치료제에 대한 내성은 상술한 바와 같다. 또한, 상기 EGFR 표적 치료제는 세툭시맙(Cetuximab), 게피티닙(Gefitinib), 엘로티닙(Erlotinib), 아파티닙(Apatinib), 이코티닙(Icotinib), 브리가티닙(Brigatinib), 라파티닙(Lapatinib), 카네르티닙(Canertinib), AEE788, XL647, 작티마(Zactima) 또는 파니투무맙(Panitumumab) 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은, 상기 비소세포 폐암 예방 및 치료용 약학 조성물의 용도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약학 조성물은 상술한 바와 같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으로, 비소세포 폐암에 걸린 개체로부터 유래된 생물학적 시료에서 RON의 돌연변이를 검출하는 단계로서, 상기 RON 돌연변이는 엑손 5번, 6번 및 11번이 결손된 RON△155, 엑손 5번 및 6번이 결손된 RON△160 또는 엑손 11번이 결손된 RON△165인 것인 단계; 및 상기 RON의 돌연변이가 검출된 개체에게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약학 조성물을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비소세포 폐암을 예방 또는 치료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RON, RON의 돌연변이, 약학 조성물, 투여, 예방, 및 치료는 전술한 바와 같다.
상기 생물학적 시료는 상기 개체로부터 수득된 시료를 말한다. 상기 생물학적 시료는 조직, 혈액, 혈장, 혈청, 골수액, 림프액, 타액, 누액, 점막액, 양수,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
상기 개체는 포유동물, 예를 들면, 인간, 소, 말, 돼지, 개, 양, 염소 또는 고양이일 수 있다. 상기 개체는 상기 RON의 돌연변이와 관련된 질병, 예를 들어 비소세포 폐암을 앓는 환자이거나 비소세포 폐암을 앓을 가능성이 큰 개체일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상기 개체에게 항암제를 투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항암제는 상기 약학 조성물과 동시, 개별, 또는 순차로 투여될 수 있다.
투여 방법은 경구, 또는 비경구 투여일 수 있다. 투여 방법은 예를 들어, 경구, 경피, 피하, 직장, 정맥내, 동맥내, 복강내, 근육내, 흉골내, 국소, 코안(intranasal), 기관내(intratracheal), 또는 피내 경로일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전신적으로 또는 국부적으로 투여될 수 있고, 단독으로 또는 다른 약학적 활성 화합물과 함께 투여될 수 있다.
상기 약학 조성물의 바람직한 투여량은 환자의 상태 및 체중, 질병의 정도, 약물 형태, 투여 경로 및 기간에 따라 다르지만, 당업자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상기 투여량은 예를 들어, 성인 기준으로 약 0.001 ㎎/kg 내지 약 100 ㎎/kg, 약 0.01 ㎎/kg 내지 약 10 ㎎/kg, 또는 약 0.1 ㎎/kg 내지 약 1 ㎎/kg의 범위 내 일 수 있다. 상기 투여는 1일 1회, 1일 다회, 또는 1주일에 1회, 2주일에 1회, 3주일에 1회, 또는 4주일에 1회 내지 1년에 1회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으로, 비소세포 폐암에 걸린 개체로부터 유래된 생물학적 시료에서 RON의 돌연변이를 검출하는 단계로서, 상기 RON 돌연변이는 엑손 5번, 6번 및 11번이 결손된 RON△155, 엑손 5번 및 6번이 결손된 RON△160 또는 엑손 11번이 결손된 RON△165인 것인 단계; 및 상기 RON의 돌연변이가 검출된 개체에게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약학 조성물이 비소세포 폐암의 예방 또는 치료에 적합하다는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항암 치료제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생물학적 시료, RON, RON의 돌연변이, 약학 조성물, 개체, 예방, 및 치료는 전술한 바와 같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을 하기 실시예에 의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1: 5-(4-플루오로페닐)-6-옥소-2,3,5,6-테트라히드로퓨로[3,2-c]피리딘-7-카르복실산
단계 1: 3-((디메틸아미노)메틸렌)-디히드로퓨란-2-(3H)-온의 합성
감마-부티로락톤(2.69 mL, 35.0 mmol)과 디메틸디메톡시아세탈(11.62 mL, 87.5 mmol)을 교반한 후, 마이크로웨이브 반응기에서 230℃ 온도에서 70분 이상 반응시켰다. 반응 혼합물을 농축하여 과량의 디메틸디메톡시아세탈을 제거하였다. 디에틸에테르로 고체화하고, 침전된 고체를 디에틸에테르로 씻어주면서 여과하였다. 여과된 고체를 감압 농축하여 표제 화합물(2.9 g, 수율: 59%, 갈색빛 고체)을 얻었다.
1H NMR (500 MHz, CDCl3) δ 7.13 (s, 1H), 4.24 (t, J = 7.5 Hz, 2H), 3.11 (t, J = 7.5 Hz, 2H), 3.03 (s, 6H); 1H NMR (500 MHz, DMSO-d6) δ 7.00 (t, J = 1.5 Hz, 1H), 4.11 (t, J = 7.5 Hz, 2H), 3.06 (t, J = 7.5 Hz, 2H), 3.00 (s, 3H)
단계 2: 3-((디메틸아미노)메틸렌)-2-(3H)-디히드로퓨라닐리덴 에틸 옥소늄 테트라플루오로붕산염의 합성
상기 단계 1에서 얻은 화합물(1.085 g, 7.68 mmol)을 8 ㎖의 클로로포름에 녹인 후, 트리에틸옥소늄 테트라플루오로붕산염(1.729 g, 7.68 mmol)을 첨가하고 1일 이상 상온에서 질소 하에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감압 농축하고, 핵자기공명기로 출발 물질과 생성 물질이 약 15:85의 비율로 생성됨을 확인하고 정제 없이 다음 반응을 진행하였다.
1H NMR (500 MHz, DMSO-d6) δ 7.93 (s, 1H), 4.86-4.82 (m, 2H), 4.51 (q, J = 7.0 Hz, 2H), 3.33 (s, 3H), 3.30 (t, J = 8.5 Hz, 2H), 3.26 (s, 3H), 1.36 (t, J = 7.0 Hz, 3H)
단계 3: 에틸 5-(4-플루오로페닐)-6-옥소-2,3,5,6,-테트라히드로퓨로[3,2-c]피리딘-7-카르복실레이트의 합성
상기 단계 2에서 얻은 비정제 혼합물(1.96 g)을 10 ㎖의 에탄올에 녹인 후, 0℃ 온도의 수조에서 나트륨 에톡시드(20 wt%의 에탄올 용액, 2.56 ㎖, 6.53 mmol)를 첨가한 후, 서서히 상온까지 30분간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에 에틸 3-((4-플루오로페닐)아미노)-3-옥소프로피오네이트(1.47 g, 6.53 mmol)을 첨가하고 상온에서 20시간 이상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감압 농축하고 물과 디클로로메탄으로 추출하였다. 분리한 유기층을 무수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 여과하고 감압 농축하여 얻은 잔여물을 관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900 mg, 수율: 39% (단계 2 및 단계 3 총수율 기준) /46% (단계 3 수율 기준), 노란색 고체)을 얻었다.
1H NMR (500 MHz, DMSO-d6) δ 7.70 (t, J = 1.5 Hz, 1H), 7.42-7.40 (m, 2H), 7.34-7.31 (m, 2H), 4.74 (t, J = 8.0 Hz, 2H), 4.17 (q, J = 7.0 Hz, 2H), 3.05 (td, J = 8.0 Hz, 2H), 1.21 (t, J = 7.0 Hz, 3H)
단계 4: 5-(4-플루오로페닐)-6-옥소-2,3,5,6-테트라히드로퓨로[3,2-c]피리딘-7-카르복실산의 합성
상기 단계 3에서 얻은 화합물(0.9 g, 2.97 mmol)을 10 ㎖의 에탄올과 5 ㎖의 증류수에 녹인 후, 수산화리튬 일수화물(249 mg, 5.94 mmol)을 첨가하고 50℃ 온도로 가온하여 4시간 이상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감압 농축하고 물과 디클로로메탄으로 추출하였다. 분리한 물층에 1N 염산 용액을 첨가한 뒤, 물과 디클로로메탄으로 추출하였다. 분리한 유기층을 무수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 여과하고 감압 농축하였다. 농축한 잔여물에 소량의 디클로로메탄과 디에틸에테르로 고체를 석출시켜 여과한 뒤, 여과된 고체를 건조하여 표제 화합물(680 mg, 수율: 84%, 미색의 고체)를 얻었다.
1H NMR (500 MHz, DMSO-d6) δ 14.5 (bs, OH), 7.97 (s, 1H), 7.54-7.51 (m, 2H), 7.41-7.37 (m, 2H), 4.90 (t, J = 8.5 Hz, 2H), 3.11 (td, J = 8.5, 1.0 Hz, 2H)
실시예 1: 4-에톡시-N-[3-플루오로-4-({2-[5-(모르폴리노메틸)피리딘-2-일]티에노[3,2-b]피리딘-7-일}옥시)페닐]-1-(4-플루오로페닐)-2-옥소-1,2-디히드로피리딘-3-카르복스아미드 염산염
화합물 WM-S1-030인 표제 화합물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221689호의 실시예 31에서 기재된 방법으로 합성하였다.
1H NMR (500MHz, DMSO-d6) δ 10.66 (s, 1H), 8.81 (s, 1H), 8.60 (d, J = 5.0 Hz, 1H), 8.48 (s, 1H), 8.43 (d, J = 5.0 Hz, 1H), 8.23 (d, J = 5.0 Hz, 1H), 7.96 (d, J = 15.0 Hz, 1H), 7.87 (d, J = 5.0 Hz, 1H), 7.52-7.45 (m, 4H), 7.39-7.36 (m, 2H), 6.83 (d, J = 5.0 Hz, 1H), 6.53 (d, J = 10.0 Hz, 1H), 4.44 (s, 2H), 4.26 (qt, J = 5.0 H, 2H), 3.96-3.94 (m, 2H), 3.77 (t, J = 10.0 Hz, 2H), 3.32-3.30 (m, 2H), 3.14 (qt, J = 10.0 2H), 1.31 (t, J = 5.0 Hz, 3H)
실시예 2: 4-에톡시-N-(3-플루오로-4-{[2-(5-{[(2-메톡시에틸)아미노]메틸}피리딘-2-일)티에노[3,2-b]피리딘-7-일]옥시}페닐)-2-옥소-1-페닐-1,2-디히드로피리딘-3-카르복스아미드 염산염
표제 화합물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221689호의 실시예 1에서 기재된 방법으로 합성하였다.
1H NMR (500 MHz, DMSO-d6) δ 10.70 (brs, 1H), 9.50 (brs, 2H), 8.80 (s, 1H), 8.69 (d, J = 5.0 Hz, 1H), 8.47 (s, 1H), 8.44 (d, J = 5.0 Hz, 1H), 8.22 (dd, J = 10.0 and 5.0 Hz, 1H), 7.99 (d, J = 10.0 Hz, 1H), 7.88 (d, J = 5.0 Hz, 1H), 7.57-7.40 (m, 7H), 6.97 (d, J = 5.0 Hz, 1H), 6.53 (d, J = 5.0 Hz, 1H), 4.29-4.25 (m, 4H), 3.65 (t, J = 5.0 Hz, 2H), 3.31 (s, 3H), 3.16-3.12 (m, 2H), 1.31 (t, J = 5.0 Hz, 3H)
실시예 3: 4-에톡시-N-{3-플루오로-4-[(2-{5-[(-메틸피페라진-1-일)메틸]피리딘-2-일}티에노[3,2-b]피리딘-7-일)옥시]페닐}-2-옥소-1-페닐-1,2-디히드로피리딘-3-카르복스아미드 염산염
표제 화합물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221689호의 실시예 34에서 기재된 방법으로 합성하였다.
1H NMR (500MHz, DMSO-d6) δ 10.68 (s, 1H), 8.82 (brs, 1H), 8.61 (d, J = 5.0 Hz, 1H), 8.47 (s, 1H), 8.41 (d, J = 5.0 Hz, 1H), 8.23 (s, 1H), 7.97 (d, J = 15.0 Hz, 1H), 7.87 (d, J = 5.0 Hz, 1H), 7.56-7.46 (m, 5H), 7.42-7.40 (m, 2H), 6.86 (d, J = 5.0 Hz, 1H), 6.52 (d, J = 5.0 Hz, 1H), 4.26 (qt, J = 5.0 H, 2H), 3.93 (brs, 8H), 3.58 (brs, 2H), 2.81 (s, 3H), 1.31 (t, J = 5.0 Hz, 3H)
실시예 4: N-(3-플루오로-4-((6-메톡시-7-(2-모폴리노에톡시)퀴놀린-4-일)옥시)페닐)-5-(4-플루오로페닐)-6-옥소-2,3,5,6-테트라히드로퓨로[3,2-c]피리딘-7-카르복스아미드
단계 1: 4-(2-((4-클로로-6-메톡시퀴놀린-7-일)옥시)에틸)모폴린의 합성
4-클로로-6-메톡시퀴놀린-7-올(500 mg, 2.39 mmol)를 디메틸포름아미드에 용해시킨 후, 세슘카보네이트(2.33 g, 7.16 mmol), 아이오딘화나트륨(536 mg, 3.58 mmol), 4-((2-클로로에틸)모폴린)염산염(666 mg, 3.58 mmol)을 차례로 넣고 60℃ 온도에서 하룻밤 동안 교반하였다. 이후 에틸아세테이트와 물로 추출하고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한 후, 여과 및 감압 농축하여 얻은 잔여물을 관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310 mg, 수율: 40%, 아이보리색 고체)을 얻었다.
1H NMR (500 MHz, CDCl3) δ 8.57(d, J = 5.2 Hz, 1H), 7.40(d, J = 6.0 Hz, 2H), 7.35(d, J = 5.2 Hz, 1H), 4.33 (t, J = 6.4Hz, 2H), 4.02(s, 3H), 3.74 (t, J = 4.8Hz, 4H), 2.95 (t, J = 6.0Hz, 2H), 3.74 (t, J = 5.2Hz, 4H) δ 8.58 (d, J = 5.0 Hz, 1H), 7.42 (s, 1H), 7.40 (s, 1H), 7.36 (d, J = 5.0 Hz, 1H), 4.28 (t, J = 5.0 Hz, 2H), 4.03 (s, 3H), 3.85 (m, 4H), 2.65 (m, 4H), 2.32 (m, 2H), 2.15 (m, 2H)
단계 2: 4-(2-((4-(2-플루오로-4-니트로페녹시)-6-메톡시퀴놀린-7-일)옥시)에틸)모폴린의 합성
상기 단계 1에서 제조한 화합물(310 mg, 0.96 mmol)을 디페닐에테르에 용해시킨 후 무수 탄산칼륨(199 mg, 1.44 mmol)과 2-플루오로-4-니트로페놀(302 mg, 1.92 mmol)을 차례로 첨가하고, 220℃ 온도에서 하룻밤 동안 교반하였다. 이후, 상온으로 냉각하고 에틸아세테이트와 물로 추출한 후,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하고 여과 및 감압 농축하여 얻은 잔여물을 관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362 mg, 수율: 85%, 노란색 고체)을 얻었다.
1H NMR (500 MHz, DMSO-d6) δ 8.57(d, J = 5.5 Hz, 1H), 8.47-8.45(dd, J = 3.0 Hz, J = 10.5 Hz, 1H), 8.21(m, 1H), 7.63 (t, J = 8.5Hz, 1H), 7.48(s, 1H), 7.45(s, 1H), 6.78(d, J = 5.0 Hz, 1H), 4.30 (t, J = 5.5Hz, 2H), 3.92(s, 3H), 3.60 (t, J = 4.5Hz, 4H), 2.80 (t, J = 5.5Hz, 2H), 2.52-2.49 (m, 4H, partially overlapped with DMSO)
단계 3: 3-플루오로-4-((6-메톡시-7-(2-모폴리노에톡시)퀴놀린-4-일)옥시)아닐린의 합성
상기 단계 2에서 제조한 화합물(360 mg, 0.81 mmol)을 에탄올과 물에 녹인 후, 철(136 mg, 2.43 mmol)과 염화암모늄(433 mg, 8.10 mmol)을 상온에서 차례로 첨가하고 80℃ 온도로 승온하여 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종결 후, 셀라이트 패드를 이용하여 여과하고 감압 농축하여 얻은 잔여물을 디클로로메탄과 물로 추출하였다. 분리한 유기층을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하고 감압 농축한 후 헥산으로 여과하여 표제 화합물(280 ㎎, 수율: 83%, 노란색 고체)을 얻었다.
1H NMR (500 MHz, DMSO-d6) δ 8.45 (d, J = 5.0 Hz, 1H), 7.50 (s, 1H), 7.41 (s, 1H), 7.07 (t, J = 10.0 Hz, 1H), 6.54 (d, J = 10.0 Hz, 1H), 6.47 (d, J = 10.0 Hz, 1H), 6.38 (d, J = 5.0 Hz, 1H), 5.50 (brs, 2H), 4.27 (t, J = 10.0 Hz, 2H), 3.94 (s, 3H), 3.60 (t, J = 5.0 Hz, 4H), 2.79 (brs, 2H) 2.52 (brs, 4H, partially overlapped with DMSO)
단계 4: N-(3-플루오로-4-((6-메톡시-7-(2-모폴리노에톡시)퀴놀린-4-일)옥시)페닐)-5-(4-플루오로페닐)-6-옥소-2,3,5,6-테트라히드로퓨로[3,2-c]피리딘-7-카르복스아미드의 합성
제조예 1에서 제조한 화합물(149 ㎎, 0.54 mmol)을 디메틸포름아미드에 용해시킨 후, 1-[비스(디메틸아미노)메틸렌]-1H-1,2,3-트리아졸로[4,5-b]피리디늄 3-옥사이드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HATU, 205 ㎎, 0.54 mmol), 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293 ㎕, 1.80 mmol), 및 상기 단계 3에서 제조한 화합물(150 ㎎, 0.36 mmol)을 차례로 첨가하고 상온에서 하룻밤 동안 교반하였다. 이후 에틸아세테이트와 포화 중탄산수소나트륨 수용액으로 추출한 후,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하고 여과 및 감압 농축하여 얻은 잔여물을 관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170 ㎎, 수율: 70%, 하얀색 고체)을 얻었다.
1H NMR (500 MHz, DMSO-d6) δ 11.89 (s, 1H), 8.48 (d, J = 5.0 Hz, 1H), 8.00 (d, J = 10.0 Hz, 1H), 7.88 (s, 1H), 7.54-7.49 (m, 3H), 7.45-7.37 (m, 5H), 6.48 (d, J = 5.0 Hz, 1H), 4.85 (t, J = 10.0 Hz, 2H), 4.32 (brs, 2H), 3.95 (s, 3H), 3.63 (brs, 4H), 3.11 (t, J = 10.0 Hz, 2H), 2.52 (m, 2H, partially overlapped with DMSO), 2.50 (m, 4H, overlapped with DMSO)
실시예 5: N-(4-((7-(3-(3-시아노아제티딘-1-일)프로폭시)-6-메톡시퀴놀린-4-일)옥시)-3-플루오로페닐)-5-(4-플루오로페닐)-6-옥소-2,3,5,6-테트라히드로퓨로[3,2-c]피리딘-7-카르복스아미드
상기 실시예 4의 합성 경로에 따라 제조하되, 단계 1의 출발물질로서 아제티딘-3-카르보니트릴을 이용하여 표제 화합물(수율: 57%, 미색 고체)을 얻었다.
1H NMR (400 MHz, CDCl3) δ 12.04 (S, 1H), 8.48 (d, J = 5.2 Hz, 1H), 8.03 (dd, J = 12.4, 2.4 Hz, 1H), 7.57 (s, 1H), 7.40-7.37 (m, 5H), 7.26-7.22 (m, 2H), 7.17 (t, J = 8.8 Hz, 1H), 6.44 (d, J = 5.6 Hz, 1H), 5.01 (t, J = 8.4 Hz, 2H), 4.26 (t, J = 6.4 Hz, 2H), 4.03 (s, 3H), 3.64 (t, J = 11.6 Hz, 4H), 3.20 (t, J = 8.0 Hz, 2H), 2.81 (t, J = 6.8 Hz, 2H), 2.05 (q, J = 6.8 Hz, 3H)
양성 대조군 1
양성 대조군 1의 화합물로서, 미국 등록특허 제8,536,200 B2호에 개시되어 있는 화합물 1인 N-{4-[(2-아미노-3-클로로-4-피리디닐)옥시]-3-플루오로페닐}-4-에톡시-1-(4-플루오로페닐)-2-옥소-1,2-디히드로-3-피리딘카르복스아미드를 사용하였으며, 이는 BMS-777607로 잘 알려진 RON 저해제이다.
양성 대조군 2
양성 대조군 2의 화합물로서, PCT 국제공개 WO 2018/217651 A1에 개시되어 있는 실시예 41 화합물을 사용하였으며, 이는 AMG-510으로 잘 알려진 비소세포폐암 적응증을 포함한 KRAS 저해제이다.
실험예 1. 비소세포 폐암 세포주에서 세포 성장 억제능 확인
실시예 1(WM-S1-030) 내지 5 및 양성 대조군 1(BMS-777607), 양성 대조군 2(AMG-510)의 돌연변이 RON△155 유형의 비소세포 폐암 세포주 4종(Calu-6, A549, NCI-H358, NCI-H1944)에서의 세포 성장 억제능을 비교 확인하기 위하여, MTS 분석(Assay)을 수행하였다.
MTS 분석은 96-웰-플레이트에 웰 당 각각의 비소세포 폐암 세포주를 1,000개씩 접종(Seeding)하고 24시간 후에 각 웰 당 100 ㎕의 10% FBS-RPMI 배지(Welgene)에서 다양한 농도(0.000001 μM 내지 10 μM)의 실시예 1 내지 5, 양성 대조군 1 및 양성 대조군 2의 화합물을 처리하였다. 그리고 72시간 동안 세포를 배양한 다음 MTS 용액(Promega)을 20 ㎕씩 첨가하고 2시간 동안 배양한 다음 49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으며 GraphPad PrismTM 5을 이용하여 실시예 1 내지 5, 양성 대조군 1 및 양성 대조군 2의 화합물에 대한 IC50를 도출하여 세포 독성을 분석하였다. 돌연변이 RON△155 유형의 비소세포 폐암 세포주의 경우,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5에 대해 높은 반응성을 보여 세포 성장이 억제되는 것을 확인하였으나, 양성 대조군 1 및 양성 대조군 2의 경우에는 약물에 대한 반응성이 낮은 것을 확인하였다(표 1).
세포주 | Calu-6 | A549 | NCI-H358 | NCI-H1944 | |
RON 돌연변이 | △155 | △155 | △155 | △155 | |
MTS IC50 (μM) |
양성 대조군 1 | >10 | >10 | >10 | >10 |
양성 대조군 2 | >10 | >10 | 0.05 | >10 | |
실시예 1 | 0.72 | 2.02 | 1.27 | 1.62 | |
실시예 2 | 7.29 | 1.94 | 9.11 | >10 | |
실시예 3 | 1.55 | 0.61 | 2.61 | 2.16 | |
실시예 4 | 0.85 | 0.37 | 0.89 | 0.60 | |
실시예 5 | 1.33 | 0.19 | 0.27 | 0.31 |
실험예 2. 비소세포 폐암 세포주에서 세포 사멸 효능 확인
돌연변이 RON△155 유형의 비소세포 폐암 세포주인 A549 및 NCI-H358을 분주하고 24시간 후에 배지를 교환하면서 실시예 1(WM-S1-030) 내지 5, 양성 대조군 1(BMS-777607) 및 양성 대조군 2(AMG-510)의 화합물을 각각 1 μM씩 처리하였다. 48시간 후에 세포 및 세포액을 수거하였고(1500 rpm, 4분) 트리판 블루(15250-061, Gibco) 배제 어세이를 통하여 살아있는 세포와 죽은 세포를 정량하였으며, 통계학적인 분석은 Excel의 T-test를 이용하였다.
그 결과, 실시예 1 내지 5 화합물을 처리한 돌연변이 RON 유형인 비소세포 폐암 세포주에서 세포 사멸이 유도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반면, 양성 대조군 1 및 양성 대조군 2를 처리하였을 때는 약물에 대한 반응성을 낮은 것을 확인하였다(도 1).
실험예 3. 비소세포 폐암 세포주(A549: mRON△155) 이식 동물 모델에서 실시예 1에 대한 종양 성장 억제 효능 확인 Ⅰ
돌연변이 RON△155 유형의 비소세포 폐암 세포주인 A549를 이식한 마우스 모델에 실시예 1(WM-S1-030)을 50 mpk 용량으로 투여하여 종양 성장이 억제되는지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5주령 암컷 BALB/c-nude 마우스를 입수하여 1주 동안 순화 후, 돌연변이 RON△155 유형의 비소세포 폐암 세포주 A549(5×106 cells/mice)를 PBS(Phosphate Buffered Saline)에 희석하여 100 ㎕를 마우스의 오른쪽 배측면에 피하 주사하였다. 종양의 크기가 약 100 mm3이 되었을 때 음성 대조군(부형제)과 실시예 1을 경구로 투여하였다. 1일 1회, 3주 동안 약물을 투여하였으며, 주 2회 종양 크기와 체중을 측정하였다. 약물 투여가 종료된 후 마우스를 안락사시켜 종양 적출하여 무게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실시예 1을 50 mpk 용량으로 투여한 마우스에서 유의미하게 종양 성장이 억제되는 것을 확인하였다(표 2 및 도 2).
실시예 1 | |
투여량 | 50 mg/kg |
종양 성장 억제율(TGI, %) | 58.9±3.8 |
실험예 4. 비소세포 폐암 세포주(NCI-H358: mRON△155) 이식 동물 모델에서 실시예 1에 대한 종양 성장 억제 효능 확인 Ⅱ
돌연변이 RON△155 유형의 비소세포 폐암 세포주인 NCI-H358를 이식한 마우스 모델에 실시예 1(WM-S1-030)을 3 mpk, 10 mpk 및 30 mpk 용량으로 투여하여 종양 성장이 억제되는지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5주령 암컷 BALB/c-nude 마우스를 입수하여 1주 동안 순화 후, 돌연변이 RON△155 유형의 비소세포 폐암 세포주 NCI-H358(5×106 cells/mice)을 PBS와 마트리겔(Matrigel)에 희석하여 200 ㎕를 마우스의 오른쪽 배측면에 피하 주사하였다. 종양의 크기가 약 100 mm3이 되었을 때 음성 대조군(부형제)과 실시예 1을 경구로 투여하였다. 1일 1회, 38일 동안 약물을 투여하였으며, 주 2회 종양 크기와 체중을 측정하였다. 약물 투여가 종료된 후 마우스를 안락사시켜 종양 적출하여 무게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실시예 1을 3 mpk, 10 mpk 및 30 mpk 용량으로 투여한 마우스에서 유의미하게 투여 용량에 비례하여 종양 성장이 억제되는 것을 확인하였다(표 3 및 도 3).
실시예 1 | |||
투여량 | 3 mg/kg | 10 mg/kg | 30 mg/kg |
종양 성장 억제율(TGI, %) | 12.3±13.8 | 64.5±6.2 | 91.0±2.3 |
실험예 5. 비소세포 폐암 세포주(NCI-H358: mRON△155)
이식 동물 모델에서 실시예 1에 대한 단백질 발현 변화 분석
돌연변이 RON△155 유형의 비소세포 폐암 세포주인 NCI-H358가 이식된 마우스 모델에서 실시예 1(WM-S1-030)을 농도별(3 mpk, 10 mpk, 30 mpk)로 투여한 후 종양을 적출하여 면역화학염색법을 통해 단백질들의 발현 변화를 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 상기 희생시킨 마우스로부터 분리한 조직을 이용하여 파라핀 슬라이드 제작하였다. 조직 절편들은 탈 파라핀화되어 재수화 되었으며, 표적 복구 완충액 1×(ScyTek Laboratories, Cat# CBB999)에 담궈서 15분 동안 가열하여 항원 복구 과정을 수행하였다. 반응 후, 트리스 완충 식염수-0.05% 트윈 20(TBS-T)(T&I, BTT-9310)에서 5분간 세척 후에 비 특이적 항체반응 차단 시약(vector, SP-5035)으로 1시간 동안 반응하였다.
mRON(Abcam, ab52927, 1:50), pTyr-mRON(Mybioscience, MBS462024, 1:100), Cleaved caspase 3(Asp175)(R&D Systems, MAB835, 1:50), cyclin D1(Cyclin D1(SP4), #Z2027RS, 1:100)로 4℃에서 하룻밤 동안 배양한 뒤, TBS-T로 5분간 세척 후에 내인성 퍼옥시다제 활성을 퍼옥시다제 차단 시약(Cellmarque, 925B-05)을 사용하여 차단하였다. 이후 조직 절편들을 TBS-T로 5분간 세척 후에 레빗 2차 항체(vector, PK-6101)로 실온에서 한 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조직 절편들을 TBS-T로 5분간 세척 후에 디아미노벤지딘(cat# SK-4100)으로 발색하였다. 조직들의 핵을 염색하기 위해 헤마톡실린(ScyTek Laboratories, HMM999)으로 1분 동안 염색하고 탈수화 과정을 거친 뒤 봉입하였다.
그 결과, pTyr-mRON의 발현이 약물을 투여한 군에서 감소하였으며, Cleaved caspase 3의 발현이 유도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추가로 PD 마커인 Cyclin D1의 발현이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도 4).
실험예 6. 비소세포 폐암 세포주(NCI-H460: mRON△165) 이식 동물 모델에서 실시예 1에 대한 종양 성장 억제 효능 확인 Ⅲ
돌연변이 RON△165 유형의 비소세포 폐암 세포주인 NCI-H460을 이식한 마우스 모델에 실시예 1(WM-S1-030)을 50 mpk 용량으로 투여하여 종양 성장이 억제되는지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5주령 암컷 BALB/c-nude 마우스를 입수하여 1주 동안 순화 후, 돌연변이 RON△165 유형의 비소세포 폐암 세포주 NCI-H460(2Х106 cells/mice)을 PBS와 마트리겔(Matrigel)에 희석하여 200 ㎕를 마우스의 오른쪽 배측면에 피하 주사하였다. 종양의 크기가 약 100 mm3이 되었을 때 음성 대조군(부형제)과 실시예 1을 경구로 투여하였다. 이때, 양성 대조군 1(BMS-777607)을 50 mpk 용량으로 투여하였다. 1일 1회, 2주 동안 약물을 투여하였으며, 주 2회 종양 크기와 체중을 측정하였다. 약물 투여가 종료된 후 마우스를 안락사시켜 종양 적출하여 무게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실시예 1을 50 mpk 용량으로 투여한 마우스에서 유의미하게 종양 성장이 억제되는 것을 확인하였다(표 4 및 도 5).
실시예 1 | 양성 대조군 1 | |
투여량 | 50 mg/kg | 50 mg/kg |
종양 성장 억제율(TGI, %) | 69.7±5.4 | 26.1±1.7 |
실험예 7. 비소세포 폐암 세포주(NCI-H460: mRON△165) 이식 동물 모델에서 실시예 1에 대한 단백질 발현 변화 분석 Ⅱ
돌연변이 RON△165 유형의 비소세포 폐암 세포주인 NCI-H460이 이식된 마우스 모델에서 실시예 1(WM-S1-030)을 농도별(30 mpk, 50 mpk)로, 양성 대조군 1을 50 mpk 용량으로 투여한 후 종양을 적출하여 면역화학염색법을 통해 단백질들의 발현 변화를 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 상기 희생시킨 마우스로부터 분리한 조직을 이용하여 파라핀 슬라이드 제작하였다. 조직 절편들은 탈 파라핀화되어 재수화 되었으며, 표적 복구 완충액 1×(ScyTek Laboratories, Cat# CBB999)에 담궈서 15분 동안 가열하여 항원 복구 과정을 수행하였다. 반응 후, 트리스 완충 식염수-0.05% 트윈 20(TBS-T)(T&I, BTT-9310)에서 5분간 세척 후에 비 특이적 항체반응 차단 시약(vector, SP-5035)으로 1시간 동안 반응하였다.
mRON(Abcam, ab52927, 1:50), pTyr-mRON(Mybioscience, MBS462024, 1:100), Cleaved caspase 3(Asp175)(R&D Systems, MAB835, 1:50), Cyclin D1(Cyclin D1(SP4), #Z2027RS, 1:100)로 4℃에서 하룻밤 동안 배양한 뒤, TBS-T로 5분간 세척 후에 내인성 퍼옥시다제 활성을 퍼옥시다제 차단 시약(Cellmarque, 925B-05)을 사용하여 차단하였다. 이후 조직 절편들을 TBS-T로 5분간 세척 후에 레빗 2차 항체(vector, PK-6101)로 실온에서 한 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조직 절편들을 TBS-T로 5분간 세척 후에 디아미노벤지딘(cat# SK-4100)으로 발색하였다. 조직들의 핵을 염색하기 위해 헤마톡실린(ScyTek Laboratories, HMM999)으로 1분 동안 염색하고 탈수화 과정을 거친 뒤 봉입하였다.
그 결과, pTyr-mRON의 발현이 약물을 투여한 군에서 감소하였으며, Cleaved caspase 3의 발현이 유도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추가로 PD 마커인 Cyclin D1의 발현이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도 6).
실험예 8. 25종의 비소세포 폐암 세포주에서 RON 돌연변이 서열 분석
25종의 비소세포 폐암 세포주를 수확하여 트리졸(Trizol)을 이용하여 RNA 추출(Preparation)을 진행하였다. 수득한 RNA는 AccuPower®RT PreMix 키트(바이오니어)를 이용하여 cDNA를 합성했다. 합성된 cDNA를 이용하여 엑손(Exon) 5번 및 엑손 6번의 결손(Deletion), 엑손 11번의 결손 여부를 PCR을 수행하여 확인하였다. 사용된 프라이머(Primer)는 각각 서열 번호 5, 6, 7 및 8과 같다:(Exon5&6 deletion F: 5'-GAGCTGGTCAGGTCACTAAAC-3'; Exon5&6 deletion R: 5'-CAGACACTCAGTCCCATTGAC-3'; Exon11 deletion F: 5'-ATCTGTGGCCAGCATCTAAC-3'; Exon11 deletion R: 5'-AAAGGCAGCAGGATACCAAG-3').
PCR이 완료된 생성물을 겔 전기영동(Gel electrophoresis)으로 확인하여 밴드를 QIAquick Gel Extraction 키트(QIAGEN)를 사용하여 추출한 뒤 Macrogen사에 생어 염기서열 분석(Sanger sequencing)을 의뢰하여 서열을 분석하여 RON의 돌연변이 여부를 확인하였다.
총 25종의 비소세포 폐암 세포주를 분석한 결과 KRAS가 정상형(Wild type)인 세포주 중에서 RON 변이 형태(Variant type)가 정상형이 2종(SK-MES-1, NCI-H838), Exon 11번이 결손된 돌연변이 RON△165 유형이 2종(NCI-H820, NCI-H596), 엑손 5번, 6번 및 11번이 모두 결손된 돌연변이 RON△155 유형이 11종(NCI-H1703, HCC-1833, NCI-H1435, HCC827, NCI-H1975, NCI-H292, NCI-H1299, NCI-H1650, NCI-H1666, NCI-H1793, NCI-H2087, Calu-3)이 확인되었다. KRAS가 돌연변이형(Mutant type)인 세포주 중에서는 RON 변이 형태가 정상형이 1종(NCI-H23), 돌연변이 RON△165 유형이 3종(NCI-H647, SK-LU-1, NCI-H460), 돌연변이 RON△155 유형이 5종(Calu-1, A549, NCI-H358, NCI-H1944, Calu-6)이 확인되었다(도 7).
실험예 9. 비소세포 폐암 환자의 조직에서 RON 돌연변이 분석
한국의 비소세포 폐암 환자 150명의 조직은 서울아산병원에서 제공받았고 코카서스 인종(Caucasian)의 비소세포 폐암 환자 84명의 조직은 해외의 조직 회사(Proteogenex & Cureline, USA)를 통해 구입하였다. 각각의 조직들은 균질기(Homogenizer)를 이용하여 분쇄하였고 트리졸을 이용하여 RNA 추출을 진행하였다. 뽑은 RNA는 AccuPower®RT PreMix 키트(바이오니어)를 이용하여 cDNA를 합성했다. 합성된 cDNA를 이용하여 엑손(Exon) 5번 및 6번의 결손(Deletion), 엑손 11번의 결손 여부를 PCR을 진행하여 확인하였다. 사용된 프라이머는 각각 서열 번호 5, 6, 7 및 8과 같다:(Exon5&6 deletion F: 5'-GAGCTGGTCAGGTCACTAAAC-3'; Exon5&6 deletion R: 5'-CAGACACTCAGTCCCATTGAC-3'; Exon11 deletion F: 5'-ATCTGTGGCCAGCATCTAAC-3'; Exon11 deletion R: 5'-AAAGGCAGCAGGATACCAAG-3').
PCR이 완료된 생설물을 겔 전기영동(Gel electrophoresis)으로 확인하여 밴드를 QIAquick Gel Extraction 키트(QIAGEN)를 사용하여 추출한 뒤 Macrogen사에 생어 염기서열 분석을 의뢰하여 서열을 분석하여 RON의 돌연변이 여부를 확인하였다.
먼저 한국의 비소세포 폐암 환자의 RON 변이 형태 분석결과 150명의 조직 중에서 돌연변이 RON△155 유형은 26명으로 17.3%, 돌연변이 RON△160 유형이 78명으로 무려 52%를 차지하였다. 한편, 코카서스 인종의 비소세포 폐암 환자의 RON 변이 형태 분석결과 84명의 조직 중에서 돌연변이 RON△155 유형은 17명으로 20.2%, 돌연변이 RON△165 유형은 37명으로 44.1%의 비율을 보였으며, 돌연변이 RON△160 유형은 7명으로 8.3% 비율로 확인되었다(도 8).
<110> Wellmarker Bio Co., LTD.
<120>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NON-SMALL
CELL LUNG CANCER ASSOCIATED WITH RON MUTATION AND METHOD USING
THE SAME
<130> SPD21-019-WMB
<150> KR 10-2020-0059141
<151> 2020-05-18
<160> 8
<170> KoPatentIn 3.0
<210> 1
<211> 188
<212> PRT
<213> Homo sapiens
<400> 1
Met Thr Glu Tyr Lys Leu Val Val Val Gly Ala Gly Gly Val Gly Lys
1 5 10 15
Ser Ala Leu Thr Ile Gln Leu Ile Gln Asn His Phe Val Asp Glu Tyr
20 25 30
Asp Pro Thr Ile Glu Asp Ser Tyr Arg Lys Gln Val Val Ile Asp Gly
35 40 45
Glu Thr Cys Leu Trp Asp Ile Leu Asp Thr Ala Gly Gln Glu Glu Tyr
50 55 60
Ser Ala Met Arg Asp Gln Tyr Met Arg Thr Gly Glu Gly Phe Leu Cys
65 70 75 80
Val Phe Ala Ile Asn Asn Thr Lys Ser Phe Glu Asp Ile His His Tyr
85 90 95
Arg Glu Gln Ile Lys Arg Val Lys Asp Ser Glu Asp Val Pro Met Val
100 105 110
Leu Val Gly Asn Lys Cys Asp Leu Pro Ser Arg Thr Val Asp Thr Lys
115 120 125
Gln Ala Gln Asp Leu Ala Arg Ser Tyr Gly Ile Pro Phe Ile Glu Thr
130 135 140
Ser Ala Lys Thr Arg Gln Gly Val Asp Asp Ala Phe Tyr Thr Leu Val
145 150 155 160
Arg Glu Ile Arg Lys His Lys Glu Lys Met Ser Lys Asp Gly Lys Lys
165 170 175
Lys Lys Lys Lys Ser Lys Thr Lys Cys Val Ile Met
180 185
<210> 2
<211> 3732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RON 155 cDNA
<400> 2
atggagctcc tcccgccgct gcctcagtcc ttcctgttgc tgctgctgtt gcctgccaag 60
cccgcggcgg gcgaggactg gcagtgcccg cgcaccccct acgcggcctc tcgcgacttt 120
gacgtgaagt acgtggtgcc cagcttctcc gccggaggcc tggtacaggc catggtgacc 180
tacgagggcg acagaaatga gagtgctgtg tttgtagcca tacgcaatcg cctgcatgtg 240
cttgggcctg acctgaagtc tgtccagagc ctggccacgg gccctgctgg agaccctggc 300
tgccagacgt gtgcagcctg tggcccagga ccccacggcc ctcccggtga cacagacaca 360
aaggtgctgg tgctggatcc cgcgctgcct gcgctggtca gttgtggctc cagcctgcag 420
ggccgctgct tcctgcatga cctagagccc caagggacag ccgtgcatct ggcagcgcca 480
gcctgcctct tctcagccca ccataaccgg cccgatgact gccccgactg tgtggccagc 540
ccattgggca cccgtgtaac tgtggttgag caaggccagg cctcctattt ctacgtggca 600
tcctcactgg acgcagccgt ggctgccagc ttcagcccac gctcagtgtc tatcaggcgt 660
ctcaaggctg acgcctcggg attcgcaccg ggctttgtgg cgttgtcagt gctgcccaag 720
catcttgtct cctacagtat tgaatacgtg cacagcttcc acacgggagc cttcgtgtac 780
ttcctgactg tacagccggc cagcgtgaca gatgatccta gtgccctgca cacacgcctg 840
gcacggctta gcgccactga gccagagttg ggtgactatc gggagctggt cctcgactgc 900
agatttgctc caaaacgcag gcgccggggg gccccagaag gcggacagcc ctaccctgtg 960
ctgcgggtgg cccactccgc tccagtgggt gcccaacttg ccactgagct gagcatcgcc 1020
gagggccagg aagtactatt tggggtcttt gtgactggca aggatggtgg tcctggcgtg 1080
ggccccaact ctgtcgtctg tgccttcccc attgacctgc tggacacact aattgatgag 1140
ggtgtggagc gctgttgtga atccccagtc catccaggcc tccggcgagg cctcgacttc 1200
ttccagtcgc ccagtttttg ccccaacccg cctggcctgg aagccctcag ccccaacacc 1260
agctgccgcc acttccctct gctggtcagt agcagcttct cacgtgtgga cctattcaat 1320
gggctgttgg gaccagtaca ggtcactgca ttgtatgtga cacgccttga caacgtcaca 1380
gtggcacaca tgggcacaat ggatgggcgt atcctgcagg tggagctggt caggtcacta 1440
aactacttgc tgtatgtgtc caacttctca ctgggtgaca gtgggcagcc cgtgcagcgg 1500
gatgtcagtc gtcttgggga ccacctactc tttgcctctg gggaccaggt tttccaggta 1560
cctatccaag gccctggctg ccgccacttc ctgacctgtg ggcgttgcct aagggcatgg 1620
catttcatgg gctgtggctg gtgtgggaac atgtgcggcc agcagaagga gtgtcctggc 1680
tcctggcaac aggaccactg cccacctaag cttactgagg agccagtgct gatagcagtg 1740
caacccctct ttggcccacg ggcaggaggc acctgtctca ctcttgaagg ccagagtctg 1800
tctgtaggca ccagccgggc tgtgctggtc aatgggactg agtgtctgct agcacgggtc 1860
agtgaggggc agcttttatg tgccacaccc cctggggcca cggtggccag tgtccccctt 1920
agcctgcagg tggggggtgc ccaggtacct ggttcctgga ccttccagta cagagaagac 1980
cctgtcgtgc taagcatcag ccccaactgt ggctacatca actcccacat caccatctgt 2040
ggccagcatc taacttcagc atggcactta gtgctgtcat tccatgacgg gcttagggca 2100
gtggaaagca ggcagtgtga gaggcagctt ccagagcagc agctgtgccg ccttcctgaa 2160
tatgtggtcc gagaccccca gggatgggtg gcagggaatc tgagtgcccg aggggatgga 2220
gctgctggct ttacactgcc tggctttcgc ttcctacccc caccccatcc acccagtgcc 2280
aacctagttc cactgaagcc tgaggagcat gccattaagt ttgaggtctg cgtagatggt 2340
gaatgtcata tcctgggtag agtggtgcgg ccagggccag atggggtccc acagagcacg 2400
ctccttggta tcctgctgcc tttgctgctg cttgtggctg cactggcgac tgcactggtc 2460
ttcagctact ggtggcggag gaagcagcta gttcttcctc ccaacctgaa tgacctggca 2520
tccctggacc agactgctgg agccacaccc ctgcctattc tgtactcggg ctctgactac 2580
agaagtggcc ttgcactccc tgccattgat ggtctggatt ccaccacttg tgtccatgga 2640
gcatccttct ccgatagtga agatgaatcc tgtgtgccac tgctgcggaa agagtccatc 2700
cagctaaggg acctggactc tgcgctcttg gctgaggtca aggatgtgct gattccccat 2760
gagcgggtgg tcacccacag tgaccgagtc attggcaaag gccactttgg agttgtctac 2820
cacggagaat acatagacca ggcccagaat cgaatccaat gtgccatcaa gtcactaagt 2880
cgcatcacag agatgcagca ggtggaggcc ttcctgcgag aggggctgct catgcgtggc 2940
ctgaaccacc cgaatgtgct ggctctcatt ggtatcatgt tgccacctga gggcctgccc 3000
catgtgctgc tgccctatat gtgccacggt gacctgctcc agttcatccg ctcacctcag 3060
cggaacccca ccgtgaagga cctcatcagc tttggcctgc aggtagcccg cggcatggag 3120
tacctggcag agcagaagtt tgtgcacagg gacctggctg cgcggaactg catgctggac 3180
gagtcattca cagtcaaggt ggctgacttt ggtttggccc gcgacatcct ggacagggag 3240
tactatagtg ttcaacagca tcgccacgct cgcctacctg tgaagtggat ggcgctggag 3300
agcctgcaga cctatagatt taccaccaag tctgatgtgt ggtcatttgg tgtgctgctg 3360
tgggaactgc tgacacgggg tgccccacca taccgccaca ttgacccttt tgaccttacc 3420
cacttcctgg cccagggtcg gcgcctgccc cagcctgagt attgccctga ttctctgtac 3480
caagtgatgc agcaatgctg ggaggcagac ccagcagtgc gacccacctt cagagtacta 3540
gtgggggagg tggagcagat agtgtctgca ctgcttgggg accattatgt gcagctgcca 3600
gcaacctaca tgaacttggg ccccagcacc tcgcatgaga tgaatgtgcg tccagaacag 3660
ccgcagttct cacccatgcc agggaatgta cgccggcccc ggccactctc agagcctcct 3720
cggcccactt ga 3732
<210> 3
<211> 3879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RON 160 cDNA
<400> 3
atggagctcc tcccgccgct gcctcagtcc ttcctgttgc tgctgctgtt gcctgccaag 60
cccgcggcgg gcgaggactg gcagtgcccg cgcaccccct acgcggcctc tcgcgacttt 120
gacgtgaagt acgtggtgcc cagcttctcc gccggaggcc tggtacaggc catggtgacc 180
tacgagggcg acagaaatga gagtgctgtg tttgtagcca tacgcaatcg cctgcatgtg 240
cttgggcctg acctgaagtc tgtccagagc ctggccacgg gccctgctgg agaccctggc 300
tgccagacgt gtgcagcctg tggcccagga ccccacggcc ctcccggtga cacagacaca 360
aaggtgctgg tgctggatcc cgcgctgcct gcgctggtca gttgtggctc cagcctgcag 420
ggccgctgct tcctgcatga cctagagccc caagggacag ccgtgcatct ggcagcgcca 480
gcctgcctct tctcagccca ccataaccgg cccgatgact gccccgactg tgtggccagc 540
ccattgggca cccgtgtaac tgtggttgag caaggccagg cctcctattt ctacgtggca 600
tcctcactgg acgcagccgt ggctgccagc ttcagcccac gctcagtgtc tatcaggcgt 660
ctcaaggctg acgcctcggg attcgcaccg ggctttgtgg cgttgtcagt gctgcccaag 720
catcttgtct cctacagtat tgaatacgtg cacagcttcc acacgggagc cttcgtgtac 780
ttcctgactg tacagccggc cagcgtgaca gatgatccta gtgccctgca cacacgcctg 840
gcacggctta gcgccactga gccagagttg ggtgactatc gggagctggt cctcgactgc 900
agatttgctc caaaacgcag gcgccggggg gccccagaag gcggacagcc ctaccctgtg 960
ctgcgggtgg cccactccgc tccagtgggt gcccaacttg ccactgagct gagcatcgcc 1020
gagggccagg aagtactatt tggggtcttt gtgactggca aggatggtgg tcctggcgtg 1080
ggccccaact ctgtcgtctg tgccttcccc attgacctgc tggacacact aattgatgag 1140
ggtgtggagc gctgttgtga atccccagtc catccaggcc tccggcgagg cctcgacttc 1200
ttccagtcgc ccagtttttg ccccaacccg cctggcctgg aagccctcag ccccaacacc 1260
agctgccgcc acttccctct gctggtcagt agcagcttct cacgtgtgga cctattcaat 1320
gggctgttgg gaccagtaca ggtcactgca ttgtatgtga cacgccttga caacgtcaca 1380
gtggcacaca tgggcacaat ggatgggcgt atcctgcagg tggagctggt caggtcacta 1440
aactacttgc tgtatgtgtc caacttctca ctgggtgaca gtgggcagcc cgtgcagcgg 1500
gatgtcagtc gtcttgggga ccacctactc tttgcctctg gggaccaggt tttccaggta 1560
cctatccaag gccctggctg ccgccacttc ctgacctgtg ggcgttgcct aagggcatgg 1620
catttcatgg gctgtggctg gtgtgggaac atgtgcggcc agcagaagga gtgtcctggc 1680
tcctggcaac aggaccactg cccacctaag cttactgagg agccagtgct gatagcagtg 1740
caacccctct ttggcccacg ggcaggaggc acctgtctca ctcttgaagg ccagagtctg 1800
tctgtaggca ccagccgggc tgtgctggtc aatgggactg agtgtctgct agcacgggtc 1860
agtgaggggc agcttttatg tgccacaccc cctggggcca cggtggccag tgtccccctt 1920
agcctgcagg tggggggtgc ccaggtacct ggttcctgga ccttccagta cagagaagac 1980
cctgtcgtgc taagcatcag ccccaactgt ggctacatca actcccacat caccatctgt 2040
ggccagcatc taacttcagc atggcactta gtgctgtcat tccatgacgg gcttagggca 2100
gtggaaagca ggcagtgtga gaggcagctt ccagagcagc agctgtgccg ccttcctgaa 2160
tatgtggtcc gagaccccca gggatgggtg gcagggaatc tgagtgcccg aggggatgga 2220
gctgctggct ttacactgcc tggctttcgc ttcctacccc caccccatcc acccagtgcc 2280
aacctagttc cactgaagcc tgaggagcat gccattaagt ttgagtatat tgggctgggc 2340
gctgtggctg actgtgtggg tatcaacgtg accgtgggtg gtgagagctg ccagcacgag 2400
ttccgggggg acatggttgt ctgccccctg cccccatccc tgcagcttgg ccaggatggt 2460
gccccattgc aggtctgcgt agatggtgaa tgtcatatcc tgggtagagt ggtgcggcca 2520
gggccagatg gggtcccaca gagcacgctc cttggtatcc tgctgccttt gctgctgctt 2580
gtggctgcac tggcgactgc actggtcttc agctactggt ggcggaggaa gcagctagtt 2640
cttcctccca acctgaatga cctggcatcc ctggaccaga ctgctggagc cacacccctg 2700
cctattctgt actcgggctc tgactacaga agtggccttg cactccctgc cattgatggt 2760
ctggattcca ccacttgtgt ccatggagca tccttctccg atagtgaaga tgaatcctgt 2820
gtgccactgc tgcggaaaga gtccatccag ctaagggacc tggactctgc gctcttggct 2880
gaggtcaagg atgtgctgat tccccatgag cgggtggtca cccacagtga ccgagtcatt 2940
ggcaaaggcc actttggagt tgtctaccac ggagaataca tagaccaggc ccagaatcga 3000
atccaatgtg ccatcaagtc actaagtcgc atcacagaga tgcagcaggt ggaggccttc 3060
ctgcgagagg ggctgctcat gcgtggcctg aaccacccga atgtgctggc tctcattggt 3120
atcatgttgc cacctgaggg cctgccccat gtgctgctgc cctatatgtg ccacggtgac 3180
ctgctccagt tcatccgctc acctcagcgg aaccccaccg tgaaggacct catcagcttt 3240
ggcctgcagg tagcccgcgg catggagtac ctggcagagc agaagtttgt gcacagggac 3300
ctggctgcgc ggaactgcat gctggacgag tcattcacag tcaaggtggc tgactttggt 3360
ttggcccgcg acatcctgga cagggagtac tatagtgttc aacagcatcg ccacgctcgc 3420
ctacctgtga agtggatggc gctggagagc ctgcagacct atagatttac caccaagtct 3480
gatgtgtggt catttggtgt gctgctgtgg gaactgctga cacggggtgc cccaccatac 3540
cgccacattg acccttttga ccttacccac ttcctggccc agggtcggcg cctgccccag 3600
cctgagtatt gccctgattc tctgtaccaa gtgatgcagc aatgctggga ggcagaccca 3660
gcagtgcgac ccaccttcag agtactagtg ggggaggtgg agcagatagt gtctgcactg 3720
cttggggacc attatgtgca gctgccagca acctacatga acttgggccc cagcacctcg 3780
catgagatga atgtgcgtcc agaacagccg cagttctcac ccatgccagg gaatgtacgc 3840
cggccccggc cactctcaga gcctcctcgg cccacttga 3879
<210> 4
<211> 4056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RON 165 cDNA
<400> 4
atggagctcc tcccgccgct gcctcagtcc ttcctgttgc tgctgctgtt gcctgccaag 60
cccgcggcgg gcgaggactg gcagtgcccg cgcaccccct acgcggcctc tcgcgacttt 120
gacgtgaagt acgtggtgcc cagcttctcc gccggaggcc tggtacaggc catggtgacc 180
tacgagggcg acagaaatga gagtgctgtg tttgtagcca tacgcaatcg cctgcatgtg 240
cttgggcctg acctgaagtc tgtccagagc ctggccacgg gccctgctgg agaccctggc 300
tgccagacgt gtgcagcctg tggcccagga ccccacggcc ctcccggtga cacagacaca 360
aaggtgctgg tgctggatcc cgcgctgcct gcgctggtca gttgtggctc cagcctgcag 420
ggccgctgct tcctgcatga cctagagccc caagggacag ccgtgcatct ggcagcgcca 480
gcctgcctct tctcagccca ccataaccgg cccgatgact gccccgactg tgtggccagc 540
ccattgggca cccgtgtaac tgtggttgag caaggccagg cctcctattt ctacgtggca 600
tcctcactgg acgcagccgt ggctgccagc ttcagcccac gctcagtgtc tatcaggcgt 660
ctcaaggctg acgcctcggg attcgcaccg ggctttgtgg cgttgtcagt gctgcccaag 720
catcttgtct cctacagtat tgaatacgtg cacagcttcc acacgggagc cttcgtatac 780
ttcctgactg tacagccggc cagcgtgaca gatgatccta gtgccctgca cacacgcctg 840
gcacggctta gcgccactga gccagagttg ggtgactatc gggagctggt cctcgactgc 900
agatttgctc caaaacgcag gcgccggggg gccccagaag gcggacagcc ctaccctgtg 960
ctgcgggtgg cccactccgc tccagtgggt gcccaacttg ccactgagct gagcatcgcc 1020
gagggccagg aagtactatt tggggtcttt gtgactggca aggatggtgg tcctggcgtg 1080
ggccccaact ctgtcgtctg tgccttcccc attgacctgc tggacacact aattgatgag 1140
ggtgtggagc gctgttgtga atccccagtc catccaggcc tccggcgagg cctcgacttc 1200
ttccagtcgc ccagtttttg ccccaacccg cctggcctgg aagccctcag ccccaacacc 1260
agctgccgcc acttccctct gctggtcagt agcagcttct cacgtgtgga cctattcaat 1320
gggctgttgg gaccagtaca ggtcactgca ttgtatgtga cacgccttga caacgtcaca 1380
gtggcacaca tgggcacaat ggatgggcgt atcctgcagg tggagctggt caggtcacta 1440
aactacttgc tgtatgtgtc caacttctca ctgggtgaca gtgggcagcc cgtgcagcgg 1500
gatgtcagtc gtcttgggga ccacctactc tttgcctctg gggaccaggt tttccaggta 1560
cctatccaag gccctggctg ccgccacttc ctgacctgtg ggcgttgcct aagggcatgg 1620
catttcatgg gctgtggctg gtgtgggaac atgtgcggcc agcagaagga gtgtcctggc 1680
tcctggcaac aggaccactg cccacctaag cttactgagt tccaccccca cagtggacct 1740
ctaaggggca gtacaaggct gaccctgtgt ggctccaact tctaccttca cccttctggt 1800
ctggtgcctg agggaaccca tcaggtcact gtgggccaaa gtccctgccg gccactgccc 1860
aaggacagct caaaactcag accagtgccc cggaaagact ttgtagagga gtttgagtgt 1920
gaactggagc ccttgggcac ccaggcagtg gggcctacca acgtcagcct caccgtgact 1980
aacatgccac cgggcaagca cttccgggta gacggcacct ccgtgctgag aggcttctct 2040
ttcatggagc cagtgctgat agcagtgcaa cccctctttg gcccacgggc aggaggcacc 2100
tgtctcactc ttgaaggcca gagtctgtct gtaggcacca gccgggctgt gctggtcaat 2160
gggactgagt gtctgctagc acgggtcagt gaggggcagc ttttatgtgc cacaccccct 2220
ggggccacgg tggccagtgt cccccttagc ctgcaggtgg ggggtgccca ggtacctggt 2280
tcctggacct tccagtacag agaagaccct gtcgtgctaa gcatcagccc caactgtggc 2340
tacatcaact cccacatcac catctgtggc cagcatctaa cttcagcatg gcacttagtg 2400
ctgtcattcc atgacgggct tagggcagtg gaaagcaggt gtgagaggca gcttccagag 2460
cagcagctgt gccgccttcc tgaatatgtg gtccgagacc cccagggatg ggtggcaggg 2520
aatctgagtg cccgagggga tggagctgct ggctttacac tgcctggctt tcgcttccta 2580
cccccacccc atccacccag tgccaaccta gttccactga agcctgagga gcatgccatt 2640
aagtttgagg tctgcgtaga tggtgaatgt catatcctgg gtagagtggt gcggccaggg 2700
ccagatgggg tcccacagag cacgctcctt ggtatcctgc tgcctttgct gctgcttgtg 2760
gctgcactgg cgactgcact ggtcttcagc tactggtggc ggaggaagca gctagttctt 2820
cctcccaacc tgaatgacct ggcatccctg gaccagactg ctggagccac acccctgcct 2880
attctgtact cgggctctga ctacagaagt ggccttgcac tccctgccat tgatggtctg 2940
gattccacca cttgtgtcca tggagcatcc ttctccgata gtgaagatga atcctgtgtg 3000
ccactgctgc ggaaagagtc catccagcta agggacctgg actctgcgct cttggctgag 3060
gtcaaggatg tgctgattcc ccatgagcgg gtggtcaccc acagtgaccg agtcattggc 3120
aaaggccact ttggagttgt ctaccacgga gaatacatag accaggccca gaatcgaatc 3180
caatgtgcca tcaagtcact aagtcgcatc acagagatgc agcaggtgga ggccttcctg 3240
cgagaggggc tgctcatgcg tggcctgaac cacccgaatg tgctggctct cattggtatc 3300
atgttgccac ctgagggcct gccccatgtg ctgctgccct atatgtgcca cggtgacctg 3360
ctccagttca tccgctcacc tcagcggaac cccaccgtga aggacctcat cagctttggc 3420
ctgcaggtag cccgcggcat ggagtacctg gcagagcaga agtttgtgca cagggacctg 3480
gctgcgcgga actgcatgct ggacgagtca ttcacagtca aggtggctga ctttggtttg 3540
gcccgcgaca tcctggacag ggagtactat agtgttcaac agcatcgcca cgctcgccta 3600
cctgtgaagt ggatggcgct ggagagcctg cagacctata gatttaccac caagtctgat 3660
gtgtggtcat ttggtgtgct gctgtgggaa ctgctgacac ggggtgcccc accataccgc 3720
cacattgacc cttttgacct tacccacttc ctggcccagg gtcggcgcct gccccagcct 3780
gagtattgcc ctgattctct gtaccaagtg atgcagcaat gctgggaggc agacccagca 3840
gtgcgaccca ccttcagagt actagtgggg gaggtggagc agatagtgtc tgcactgctt 3900
ggggaccatt atgtgcagct gccagcaacc tacatgaact tgggccccag cacctcgcat 3960
gagatgaatg tgcgtccaga acagccgcag ttctcaccca tgccagggaa tgtacgccgg 4020
ccccggccac tctcagagcc tcctcggccc acttga 4056
<210> 5
<211> 21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RON d5_6 sense primer
<400> 5
gagctggtca ggtcactaaa c 21
<210> 6
<211> 21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RON d5_6 antisense primer
<400> 6
cagacactca gtcccattga c 21
<210> 7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RON d11 sense primer
<400> 7
atctgtggcc agcatctaac 20
<210> 8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RON d11 antisense primer
<400> 8
aaaggcagca ggataccaag 20
Claims (9)
- 하기 화학식 1 또는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소세포 폐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화학식 1]
상기 화학식 1에서,
R1 및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H, 할로겐, C1-10알콕시 또는 할로C1-10알킬이고;
X는 -C(-R3)= 또는 -N=이고;
R3 및 R4는 각각 독립적으로 H, 할로겐, C1-10알킬, 또는 C1-10알콕시이고;
R5는 H, 할로겐, 또는 C1-10알킬이고;
R6 및 R7은 이들이 결합된 N 원자와 함께 4 내지 10원의 헤테로사이클을 형성하거나, 또는 R6는 -C2H4-O-CH3이고, R7은 H, 메틸 또는 t-부톡시카보닐이고;
상기 헤테로사이클은 R6과 R7이 결합된 N 원자 이외에도 N, O 및 S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 또는 2개의 헤테로원자를 더 갖거나 갖지 않으며, 또한 상기 헤테로사이클은 할로겐 및 C1-6알킬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으로 치환되거나 비치환되고,
[화학식 2]
상기 화학식 2에서,
L은 -NH- 또는 -CH2-이고,
R1 내지 R4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할로겐, 히드록시, 시아노, C1-4 알킬, C1-4 알콕시, C1-4 할로알킬, C2-4 알케닐, C2-4 알키닐, C3-7 사이클로알킬, C6-10 아릴, 5원 내지 9원의 헤테로아릴 또는 3원 내지 9원의 헤테로사이클로알킬이고,
X는 O, S, -CH(-Rx)- 또는 -N(-Rx)-이고,
Rx는 수소, C1-4 알킬, C1-4 알콕시, C1-4 할로알킬, C2-4 알케닐, C2-4 알키닐, C6-10 아릴, C6-10 아릴-C1-4 알킬, 또는 3원 내지 9원의 헤테로사이클로알킬이고,
Y는 -N= 또는 -CH=이고,
R5 및 R6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아미노, 할로겐, 시아노, C1-6 알킬, C1-6 할로알킬, C1-6 알콕시, 아미노-C1-6 알콕시, 아미노카르보닐, C1-6 알킬아미노카르보닐, 디C1-6 알킬카르보닐아미노, C1-6 알킬카르보닐아미노, C1-6 알킬아미노, 또는 C1-6 알킬-아미노-C1-6 알콕시이고,
이때 R5 및 R6는 각각 독립적으로 3원 내지 9원의 사이클로알킬; 또는 3원 내지 9원의 헤테로사이클로알킬로 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고,
상기 사이클로알킬 또는 헤테로사이클로알킬은 할로겐, 옥소, 시아노, 히드록시, 히드록시-C1-6 알킬, 아미노, 디C1-6 알킬아미노, C1-6 알킬, C1-6 알콕시, 및 C1-6 알콕시-C1-6 알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치환기를 갖거나 갖지 않고,
상기 헤테로사이클로알킬은 N, O 및 S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 내지 4개의 헤테로원자를 포함한다.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이
4-에톡시-N-[3-플루오로-4-({2-[5-(모르폴리노메틸)피리딘-2-일]티에노[3,2-b]피리딘-7-일}옥시)페닐]-1-(4-플루오로페닐)-2-옥소-1,2-디히드로피리딘-3-카르복스아미드;
4-에톡시-N-(3-플루오로-4-{[2-(5-{[(2-메톡시에틸)아미노]메틸}피리딘-2-일)티에노[3,2-b]피리딘-7-일]옥시}페닐)-2-옥소-1-페닐-1,2-디히드로피리딘-3-카르복스아미드; 및
4-에톡시-N-{3-플루오로-4-[(2-{5-[(-메틸피페라진-1-일)메틸]피리딘-2-일}티에노[3,2-b]피리딘-7-일)옥시]페닐}-2-옥소-1-페닐-1,2-디히드로피리딘-3-카르복스아미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화합물인, 약학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이
N-(3-플루오로-4-((6-메톡시-7-(2-모폴리노에톡시)퀴놀린-4-일)옥시)페닐)-5-(4-플루오로페닐)-6-옥소-2,3,5,6-테트라히드로퓨로[3,2-c]피리딘-7-카르복스아미드; 또는
N-(4-((7-(3-(3-시아노아제티딘-1-일)프로폭시)-6-메톡시퀴놀린-4-일)옥시)-3-플루오로페닐)-5-(4-플루오로페닐)-6-옥소-2,3,5,6-테트라히드로퓨로[3,2-c]피리딘-7-카르복스아미드인, 약학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소세포 폐암은 RON(Recepteur d'origine nantais) 돌연변이가 존재하는 것인, 비소세포 폐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소세포 폐암은 EGFR 표적 치료제에 대한 내성을 가지는 것인, 비소세포 폐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RON 돌연변이는 엑손 5번, 6번 및 11번이 결손된 RON△155, 엑손 5번 및 6번이 결손된 RON△160 또는 엑손 11번이 결손된 RON△165인 것인, 비소세포 폐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EGFR 표적 치료제는 세툭시맙(Cetuximab), 게피티닙(Gefitinib), 엘로티닙(Erlotinib), 아파티닙(Apatinib), 이코티닙(Icotinib), 브리가티닙(Brigatinib), 라파티닙(Lapatinib), 카네르티닙(Canertinib), AEE788, XL647, 작티마(Zactima) 또는 파니투무맙(Panitumumab)인, 비소세포 폐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 비소세포 폐암에 걸린 개체로부터 유래된 생물학적 시료에서 RON의 돌연변이를 검출하는 단계로서,
상기 RON 돌연변이는 엑손 5번, 6번 및 11번이 결손된 RON△155, 엑손 5번 및 6번이 결손된 RON△160 또는 엑손 11번이 결손된 RON△165인 것인 단계; 및
상기 RON의 돌연변이가 검출된 개체에게 제1항의 약학 조성물을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비소세포 폐암을 예방 또는 치료하는 방법. - 비소세포 폐암에 걸린 개체로부터 유래된 생물학적 시료에서 RON의 돌연변이를 검출하는 단계로서,
상기 RON 돌연변이는 엑손 5번, 6번 및 11번이 결손된 RON△155, 엑손 5번 및 6번이 결손된 RON△160 또는 엑손 11번이 결손된 RON△165인 것인 단계; 및
상기 RON의 돌연변이가 검출된 개체에게 제1항의 약학 조성물이 비소세포 폐암의 예방 또는 치료에 적합하다는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항암 치료제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059141 | 2020-05-18 | ||
KR1020200059141 | 2020-05-18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142554A true KR20210142554A (ko) | 2021-11-25 |
Family
ID=787086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063823A Pending KR20210142554A (ko) | 2020-05-18 | 2021-05-18 | Ron 돌연변이와 관련된 비소세포 폐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방법 |
Country Status (6)
Country | Link |
---|---|
US (1) | US20230241073A1 (ko) |
EP (1) | EP4154891A4 (ko) |
JP (1) | JP2023526443A (ko) |
KR (1) | KR20210142554A (ko) |
CN (1) | CN116390729A (ko) |
WO (1) | WO2021235812A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3195807A1 (ko) * | 2022-04-06 | 2023-10-12 | 웰마커바이오 주식회사 | 돌연변이형 ron 저해제 및 항-pd-1 항체를 포함하는 암 치료용 약학 조성물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230202992A1 (en) * | 2020-05-18 | 2023-06-29 | Wellmarker Bio Co., Ltd. |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small-cell lung cancer associated with ron mutants and method using same |
Family Cites Families (1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L2007003226A1 (es) | 2006-11-08 | 2008-02-08 | Bristol Myers Squibb Co | Compuestos derivados de piridinona; composicion farmaceutica; y uso para tratar el cancer. |
CN102816175B (zh) * | 2011-06-09 | 2015-12-16 | 上海汇伦生命科技有限公司 | 一种杂环并吡啶酮类化合物,其中间体、制备方法和用途 |
JO3300B1 (ar) * | 2012-06-06 | 2018-09-16 | Novartis Ag | مركبات وتركيبات لتعديل نشاط egfr |
KR101350006B1 (ko) * | 2012-09-06 | 2014-02-13 | 씨제이제일제당 (주) | 피리돈 유도체를 포함하는 단백질 키나제 억제제 |
TWI649308B (zh) * | 2013-07-24 | 2019-02-01 | 小野藥品工業股份有限公司 | 喹啉衍生物 |
JP6779858B2 (ja) * | 2014-07-29 | 2020-11-04 | ウェルマーカー バイオ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 Egfr−標的製剤に対する感受性予測用の新規なバイオマーカー及びその用途 |
KR101862719B1 (ko) * | 2014-09-03 | 2018-05-31 | 웰마커바이오 주식회사 | 단백질 키나제 억제제에 대한 감수성 예측용 바이오 마커 및 이의 용도 |
JOP20190272A1 (ar) | 2017-05-22 | 2019-11-21 | Amgen Inc | مثبطات kras g12c وطرق لاستخدامها |
CN108314682A (zh) * | 2018-01-31 | 2018-07-24 | 江西科技师范大学 | 6,7-双取代-4-芳杂喹啉类化合物的制备及应用 |
CN111295386B (zh) * | 2018-03-08 | 2022-09-06 | 伟迈可生物有限公司 | 噻吩并吡啶衍生物及含有该衍生物的药物组合物 |
CN114206883A (zh) * | 2019-08-02 | 2022-03-18 | 伟迈可生物有限公司 | 氧代吡啶稠环衍生物及包含该衍生物的药物组合物 |
US20230172914A1 (en) * | 2019-09-06 | 2023-06-08 | Wellmarker Bio Co., Ltd. | Biomarker-based therapeutic composition |
US20230346790A1 (en) * | 2020-02-06 | 2023-11-02 | Wellmarker Bio Co., Ltd. |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on or treatment of cancers associated with kras mutation |
US20230202992A1 (en) * | 2020-05-18 | 2023-06-29 | Wellmarker Bio Co., Ltd. |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small-cell lung cancer associated with ron mutants and method using same |
-
2021
- 2021-05-18 CN CN202180059774.XA patent/CN116390729A/zh active Pending
- 2021-05-18 WO PCT/KR2021/006182 patent/WO2021235812A1/ko unknown
- 2021-05-18 JP JP2022570556A patent/JP2023526443A/ja active Pending
- 2021-05-18 US US17/999,191 patent/US20230241073A1/en active Pending
- 2021-05-18 KR KR1020210063823A patent/KR20210142554A/ko active Pending
- 2021-05-18 EP EP21808658.5A patent/EP4154891A4/en active Pending
Non-Patent Citations (3)
Title |
---|
Ichiro Kawada et al., Cancer Res., 2014, 74(3):884-895 |
Rajani Kanteti et al., Genes Chromosomes Cancer, 2012, 51(9):841-851 |
Wei-li Han et al., Chin Med J (Engl), 2012, 125(6):1110-1114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3195807A1 (ko) * | 2022-04-06 | 2023-10-12 | 웰마커바이오 주식회사 | 돌연변이형 ron 저해제 및 항-pd-1 항체를 포함하는 암 치료용 약학 조성물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20230241073A1 (en) | 2023-08-03 |
CN116390729A (zh) | 2023-07-04 |
EP4154891A1 (en) | 2023-03-29 |
JP2023526443A (ja) | 2023-06-21 |
WO2021235812A1 (ko) | 2021-11-25 |
EP4154891A4 (en) | 2023-12-0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4129295A1 (en) |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on or treatment of cancers associated with kras mutation | |
JP2024138293A (ja) | バイオマーカー型治療用組成物 | |
US9617257B2 (en) | Fused pyridine derivatives useful as c-Met tyrosine kinase inhibitors | |
US20140364431A1 (en) | Quinoline and cinnoline derivatives and their applications | |
TWI825637B (zh) | 啶-1,6(2h,7h)-二酮 | |
KR20210142554A (ko) | Ron 돌연변이와 관련된 비소세포 폐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방법 | |
KR20210142553A (ko) | Ron 돌연변이와 관련된 소세포 폐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방법 | |
US20220002308A1 (en) | Aromatic ring-linked dioxino-quinazoline or dioxino-quinoline compounds, compositions and use thereof | |
EP4154890A1 (en) |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pancreatic cancer associated with ron mutation and method using same | |
US10173995B2 (en) | Pyridine compounds used as PI3 kinase inhibitors | |
KR20220152155A (ko) | Ron 돌연변이와 관련된 담도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 |
JP2016522223A (ja) | チロシンキナーゼ阻害活性を有する物質ならびにその調製方法および使用 | |
KR20230144483A (ko) | Ron 돌연변이와 관련된 두경부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 |
RU2826000C1 (ru) | 3,4-дигидро-2,7-нафтиридин-1,6(2h,7h)-дионы в качестве ингибиторов mek | |
JP2024047569A (ja) | Mek阻害剤としての3,4-ジヒドロ-2,7-ナフチリジン-1,6(2h,7h)-ジオン | |
KR20230144484A (ko) | 돌연변이형 ron 저해제 및 항-pd-1 항체를 포함하는 암 치료용 약학 조성물 | |
CN117357650A (zh) | 包含sos1抑制剂的药物组合物 | |
EA047982B1 (ru) | 3,4-дигидро-2,7-нафтиридин-1,6(2h,7h)-дионы в качестве ингибиторов mek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10518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40516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210518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