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210122300A - 전자 로크를 포함하는 스탠드에 자전거를 록킹하기 위한 자전거 주차 스탠드 - Google Patents

전자 로크를 포함하는 스탠드에 자전거를 록킹하기 위한 자전거 주차 스탠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22300A
KR20210122300A KR1020217028392A KR20217028392A KR20210122300A KR 20210122300 A KR20210122300 A KR 20210122300A KR 1020217028392 A KR1020217028392 A KR 1020217028392A KR 20217028392 A KR20217028392 A KR 20217028392A KR 20210122300 A KR20210122300 A KR 202101223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nd
bicycle
gate
electronic
sect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Pending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283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제스퍼 파버 쇠렌센
Original Assignee
제이에프에스 페이턴츠 에이피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이에프에스 페이턴츠 에이피에스 filed Critical 제이에프에스 페이턴츠 에이피에스
Publication of KR202101223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22300A/ko
Pending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HCYCLE STANDS; SUPPORTS OR HOLDERS FOR PARKING OR STORING CYCLES; APPLIANCES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ZED USE OR THEFT OF CYCLES; LOCKS INTEGRAL WITH CYCLES; DEVICES FOR LEARNING TO RIDE CYCLES
    • B62H3/00Separate supports or holders for parking or storing cycles
    • B62H3/10Separate supports or holders for parking or storing cycles involving forked supports or brackets embracing the bottom part of the fram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HCYCLE STANDS; SUPPORTS OR HOLDERS FOR PARKING OR STORING CYCLES; APPLIANCES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ZED USE OR THEFT OF CYCLES; LOCKS INTEGRAL WITH CYCLES; DEVICES FOR LEARNING TO RIDE CYCLES
    • B62H5/00Appliances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cycles; Locks integral with cycles
    • B62H5/08Appliances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cycles; Locks integral with cycles preventing the drive
    • B62H5/10Appliances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cycles; Locks integral with cycles preventing the drive acting on a pedal cran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HCYCLE STANDS; SUPPORTS OR HOLDERS FOR PARKING OR STORING CYCLES; APPLIANCES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ZED USE OR THEFT OF CYCLES; LOCKS INTEGRAL WITH CYCLES; DEVICES FOR LEARNING TO RIDE CYCLES
    • B62H5/00Appliances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cycles; Locks integral with cycles
    • B62H5/20Appliances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cycles; Locks integral with cycles indicating unauthorised use, e.g. acting on signall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HCYCLE STANDS; SUPPORTS OR HOLDERS FOR PARKING OR STORING CYCLES; APPLIANCES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ZED USE OR THEFT OF CYCLES; LOCKS INTEGRAL WITH CYCLES; DEVICES FOR LEARNING TO RIDE CYCLES
    • B62H2700/00Supports or stands for two-wheel vehicles
    • B62H2700/005Stands or support attached to bicycle pedals, stands or supports in combination with locking devices, stands to be used as luggage carri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 Steering Devices For Bicycles And Motorcy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탠드에 자전거를 록킹하기 위한 자전거 주차 스탠드(1)에 관한 것이다. 자전거 주차 스탠드(1)는 상부에 고정된 상부 섹션(B)을 갖는 하부 섹션(A), 하부 섹션(A) 및 상부 섹션(B)에 힌지결합된 게이트(E), 및 상부 섹션(B) 내부에 고정된 전자 유닛(G)을 포함한다. 전자 유닛(G)은 래치(P)를 갖는 전자 로크(H), 및 전자 디바이스에 의한 스탠드(1)의 동작을 가능하게 하는 윈도우(J) 아래에 배치된 안테나를 갖는 인쇄 회로 기판(I)을 포함한다. 스탠드(1)는 크랭크아암(V)을 클램핑 수단에 해제가능하게 클램핑하기 위한 클램핑 수단을 더 포함한다. 게이트(E)는 개방된 위치로부터 폐쇄된 위치로 이동하도록 구비되고, 게이트(E)에 고정된 스트라이커-플레이트(F)는 전자 로크(H)의 래치(P)를 계합함으로써, 게이트(E)가 개방되고 자전거가 클램핑 수단의 외부로 꺼내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Description

전자 로크를 포함하는 스탠드에 자전거를 록킹하기 위한 자전거 주차 스탠드
스탠드에 자전거를 록킹(locking)하기 위한 자전거 주차 스탠드는:
직접적으로 또는 기저부(base)를 통해 지면 또는 보도(pavement)에 고착된 하부 섹션을 포함하고,
상기 하부 섹션은 우측 수직 측벽, 반대측에 배치된 수직 좌측 측벽, 및 후방 벽을 포함한다.
종래 기술의 자전거 스탠드들은 3 개의 주요한 단점들을 가진다. 제1 단점은 볼트 절단기(bolter cutter)를 견딜 수 없는 체인(chain), 와이어(wire), 및 U-로크(U-lock)들로 인한 자전거 절도이다. 제2 단점은 무겁고 고가인 체인, 와이어, 또는 U-로크를 가지고 다녀야 하는 불편함이다. 제3의 주요한 단점은 자전거의 잠재적인 손상, 특히, 전방 휠의 손상 및 프레임의 스크래치(scratch)들이다.
전방 휠의 손상은 그 전방 휠에 의해 자전거를 지지하는 대단히 지배적인 종래 기술의 스탠드에 관련된다. 도 1은 이 유형의 3 개의 실시예들을 도시하고, 자전거가 바람 또는 동료 자전거 타는 사람에 의해 밀어 넘어질 경우에 손상이 발생한다. 자전거는 이 유형들의 스탠드들 내에 있거나 외부 로크, 예컨대, 자전거 타는 사람이 가지고 다닌 체인, 와이어, 또는 U-로크에 의해 스탠드에 록킹되거나, 스탠드는 거치 지지체로서 오직 이용되고 자전거들은 통합된 로크 또는 외부 로크에 의해 개별적으로 록킹된다.
도 2는 자전거가 스탠드에 대해 거치되는 거치 스탠드(leaning stand)들의 2 개의 실시예들을 예시한다. 대부분의 실시예들은 통합된 록킹 디바이스를 구비하지 않으며, 이것은 자전거가 외부 로크에 의해 스탠드에 록킹되거나 자전거가 통합된 로크 또는 외부 로크에 의해 개별적으로 록킹되는 이유이다. 통합된 록킹 디바이스를 갖는 실시예들은 가장 흔하게는, 자전거 주위에 둘러싸이고 자전거의 통합된 로크 또는 외부 로크로 록킹되는 금속 와이어이다. 이 록킹 방법들은 볼트 절단기에 의한 절도를 당하기 쉽고, 대부분의 실시예들이 평범한 금속이기 때문에 자전거가 스크래치 발생될 높은 위험이 마찬가지로 있다.
도 3은 자전거를 구속(entrap)하는 자전거 스탠드의 하나의 실시예를 예시한다. 이 유형의 스탠드의 세계적인 유행은 낮고, 본 혁신은 이 유형의 새로운 실시예를 나타낸다.
아주 대다수의 종래 기술의 자전거 스탠드들은 도 1 및 도 2에서 예시된 실시예들이고, 이들의 보편적인 문제들은 자전거 절도와, 스탠드에 자전거를 록킹하기 위하여 자전거 타는 사람이 체인, 와이어, 또는 U-로크를 가지고 다녀야 하는 불편함이다. 판매된 대다수의 로크들은 볼트 절단기를 견딜 수 없고, 이를 견딜 수 있는 것들은 값비싸고 크고 무겁다.
이것은 수 백만 대의 자전거들이 매년 자전거 스탠드로부터 도난당하는 이유이고, 자전거 절도가 많은 사람들이 매일의 수송을 위하여 자신의 자전거를 이용하는 것을 자제하는 핵심 이유라는 것은 확립된 사실이다. 더 넓은 관점으로부터 볼 때, 자전거 절도는 이에 따라 환경, 공중의 일반적인 건강에 부정적으로 영향을 주고 있고, 도시들에서의 증가하는 교통 체증들의 문제들을 가중시킨다.
이 이유들로, 자전거 타는 사람들 및 일반적으로 사회는 외부 로크를 가지고 다닐 필요 없이 자전거가 주차될 수 있는 자전거 스탠드로부터 이익을 얻을 것이다.
스탠드는 자전거를 손상시키지 않는 거치 지지체를 추가로 제공하고, 이로부터, 자전거는 극심하고, 잡음이 있으며, 시간-소비적인 금속 절단 프로세스에 의해 오직 도난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9에서 제시된 본 발명은 이 장점들을 제공하고, 또한 이용하기가 용이하고 직관적이다.
본 발명에 가장 근접한 종래 기술의 스탠드는 US5244101A에서 설명된다. US5244101A에서 설명된 스탠드는 또한, 자전거 크랭크아암(crankarm)을 구속하는 게이트(gate) 및 폴(pole)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대한 주요한 차이는 US5244101A에서의 크랭크아암이 위로부터 스탠드로 하강되어야 한다는 것과, 크랭크아암-슬롯(crankarm-slot)이 스프링 효과, 및 자전거가 스크래치 발생되지 않는 것을 보장하는 고무 펜더(rubber fender)들을 가지지 않는다는 것이다. US5244101A와 비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장점은 더욱 사용자-친화적 전자 록킹 인터페이스이다.
언급하기 위한 다른 종래 기술의 스탠드들은 EP0147384 및 US2015096335에서 설명된다. EP0147384에서 설명된 스탠드는 거치 지지체를 제공하지만, 크랭크아암-슬롯의 스프링 효과를 가지지 않아서, 이에 의해, 자전거의 안정성이 본 발명만큼 양호하지 않다. 둘째로, 그것은 동일한 레벨의 절도 보호 및 사용자 편리성을 제공하지 않는다. EP0147384의 록킹 시스템은 절도의 관련된 위험, 및 둘째로 이러한 록킹 디바이스를 가지고 다녀야 하는 불편함 및 비용을 갖는 외부 로크(체인, 와이어, 또는 U-로크)에 기초한다.
EP0147384의 록킹 프로세스는 록킹 프로세스의 복잡성 및 낮은 위치 때문에 마찬가지로 오히려 불편하다. EP0147384와 직접적으로 비교하면, 본 발명은 전자 디바이스의 간단한 등록을 통한 자전거의 훨씬 더 편리한 도난 방지 주차, 및 볼트 절단기 방지 설계를 제공한다.
도 3은 자전거 프레임 및 전방 휠을 구속하는 회전 금속 바아(rotational metal bar)를 갖는 거치 유형 스탠드인 US2015096335를 예시한다. US2015096335는 본 발명과 같이, 예컨대, 스마트폰에 의해 동작될 수 있는 진보된 전자 록킹 시스템을 특징으로 한다. US2015096335는 2 개의 당면한 단점들을 가진다. 제1 단점은 자전거가 스탠드의 금속 폴 또는 금속 바아에 대하여 거치되고, 이에 의해, 자전거가 스크래치 발생될 위험이 있다. 제2 단점은 록킹 금속 바아가 전방 휠로부터 나와야 한다는 사실이며, 그 이유는 자전거를 타는 사람이 많은 경우에 금속 바아가 스포크(spoke)를 타격하는 것을 회피하기 위하여 전방 휠을 선회해야 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일부 자전거들은 금속 바아가 휠을 통해 나오는 영역에서 흙받이(mudguard)의 지지체를 심지어 가지며, 이것은 자전거들이 지지체를 절곡시키지 않으면서 스탠드에 록킹될 수 없는 이유이다.
본 발명은 전자 자전거 주차 스탠드에 관한 것이다. 1차적인 목적은 자전거를 타는 사람이 체인, 와이어, 또는 U-로크와 같은 외부 로크를 이용할 필요가 없는 자전거 스탠드를 산출하는 것이다. 또 다른 중요한 목적은 스탠드로부터 자전거를 도난하기 위하여 볼트 절단기 뿐만 아니라 전문적인 전동 절단 공구들이 필요한 자전거 스탠드를 산출하는 것이다. 제3 목적은 자전거를 여하튼 손상시키지 않는 자전거의 거치 지지체를 갖는 자전거 스탠드를 산출하는 것이다.
제4 목적은 이용하기가 용이하고 직관적이어서 자전거를 타는 사람이 자전거를 신속하게 그리고 편리하게 주차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자전거 스탠드를 산출하는 것이다. 최종적으로, 또 다른 목적은 최소 설치 비용들을 갖는 저비용이며 최소한의 설계를 제공하는 것이다.
발명에 따르면, 자전거 주차 스탠드는 이 명세서의 도입부에 따라 제공되고, 여기서, 자전거 주차 스탠드는 상기 하부 섹션의 상부 상에 고정된 상부 섹션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 섹션은 수직 좌측 측벽, 후방 벽, 우측 수직 벽, 및 전방 벽을 포함하고,
스탠드는 힌지(hinge)들에 의해 합쳐진 상부 섹션 및 하부 섹션에 힌지결합된 게이트, 및 상부 섹션 내부에 고정된 전자 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전자 유닛은 래치를 갖는 전자 로크, 및 전자기기들을 포함하는 인쇄 회로 기판을 포함하고,
스탠드는 자전거의 크랭크아암을 상기 클램핑 수단에 해제가능하게 클램핑하기 위한 클램핑 수단을 더 포함하고,
게이트는 개방된 위치로부터 폐쇄된 위치로 이동하도록 구비되고, 게이트 상에서 배치된 스트라이커-플레이트(striker-plate)는 전자 로크의 래치(latch)와 계합함으로써, 전자 로크가 활성화될 때, 상기 게이트가 개방될 수 있고 자전거가 클램핑 수단의 외부로 꺼내어질 수 있는 것을 방지한다.
상부 섹션은 하부 섹션의 상부 상에서 설계되고 배치된 튜브 또는 플레이트에 있을 수 있다. 2 개의 부분들은 예를 들어, 용접에 의해 합쳐진 2 개의 별도의 부분들일 수 있거나, 이들은 하나의 부분으로서 구성될 수 있다.
주차 후의 자전거의 해제는 록킹 프로세스의 반대이다. 사용자는 그 또는 그녀의 전자 디바이스를 재등록하고, 이에 의해, 전자 로크는 게이트를 개방하고, 게이트가 크랭크아암-슬롯을 차단하지 않도록 선회되는 것을 허용하고, 이에 의해, 자전거는 스탠드로부터 외부로 꺼내어질 수 있다.
전체 록킹 및 언록킹(unlocking) 프로세스는 용이하고 편리하며, 사용자가 손들을 오직 자전거 핸들바아(handlebar) 및 개인용 전자 디바이스 상에서 유지하면서 수행될 수 있다. 필요한 스탠드의 유일한 동작은 게이트를 개방하고 폐쇄하는 것이고, 이것은 발에 의한 간단한 푸시(push)로 행해질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전자 디바이스를 위한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하고 제공함으로써, 록킹 및 언록킹 프로세스는 용이하고 직관적으로 될 수 있다.
스탠드가 인터넷에 접속되는 것은 설비 관리부에 의해 스탠드의 중앙 및 원격 제어를 가능하게 한다. 이것은 설비 관리부에 2 개의 핵심 장점들을 제공한다. 첫째, 하나의 장점은 포기된 자전거들의 용이한 제거이고, 이것은 자전거들이 사용자 개인용 로크로 록킹되는 종래 기술의 스탠드들에서의 거대한 도전을 나타낸다. 둘째는 스탠드가 인터넷에 접속되는 것이 설비 관리부가 '예약, 주자, 및 지불'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는 것이고, 여기서, 사용자들은 스탠드를 예약할 수 있고 이 서비스를 위한 수수료를 지불할 수 있다. 그와 같은 방식으로,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의 자전거 스탠드들과 비교하여 새로운 사업 모델을 제공한다.
폐쇄된 모드에서의 게이트로, 스탠드는 크랭크아암 및 페달을 동봉함으로써, 자전거에 대한 크랭크아암의 볼트 고정 및 자전거 크랭크아암에 대한 자전거 페달의 볼트 고정이 접근될 수 있는 것을 방지한다.
사용자는 그 또는 그녀의 전자 디바이스를 윈도우(window) 위에 배치함으로써 자전거의 정당한 소유자로서 등록하고, 이에 의해, 전자 디바이스는 그 상호결부된 안테나(intertied antenna)를 갖는 인쇄 회로 기판과 통신한다.
전자 유닛에는 디바이스의 통합된 부분으로서의 와이어 또는 배터리에 의해 외부적으로 전력이 공급될 수 있다. 하부 섹션은 좌측 벽 및 후방 벽의 내부 코너에 고정된 와이어 가드(wire guard)를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부 섹션은 윈도우를 더 포함하고, 자전거의 록킹/언록킹은 전자 디바이스를 윈도우 위에 배치함으로써 발생하도록 구비되고, 이에 의해, 전자 디바이스는 인쇄 회로 기판 및 그 상호결부된 안테나와 통신하고, 이에 의해, 록킹/언록킹이 발생한다.
윈도우는 바람직하게는 상부 섹션의 상부에서 배치되지만, 또한, 상부 섹션의 측부에서 배치될 수 있다. 전자 디바이스와 통신하는 것이 가능한 것이 단지 중요하다. 윈도우는 바람직하게는, 예컨대, 안전 유리(safety glass) 또는 아크릴 유리(acrylic glass)와 같은, 투명하지만, 여전히 충격 방지 재료를 포함한다. 투명성이 바람직한 이유는 스탠드의 록킹 상태를 사용자에게 표시하기 위하여 LED(들)를 이용하기 위한 가능성이다.
하나의 실시예에 따르면,
클램핑 수단은 하부 섹션에 부착되고 수평으로 신축적인 벽 섹션 상에서 배치되고/벽 섹션과 통합된 펜더를 포함하고, 상기 펜더는 그것을 가로질러서 위치된 하나의 측벽의 내부에서 배치된 제2 펜더와 함께 형성되고, 클램핑 수단은 신축적인 크랭크아암-슬롯이고, 자전거 크랭크아암은 상기 크랭크아암-슬롯으로 푸시되도록 구비되어, 크랭크아암 상의 클램핑 힘이 직립 위치에서 자전거를 유지하게 한다.
벽 섹션은 제2 펜더와 반대측에 배치된다.
자전거 크랭크아암을 갖는 자전거의 순방향 롤링 방향은 그 가장 낮은 수직 위치에 있다. 상기 반대측 벽의 펜더 및 제2 펜더를 갖는 신축적 벽 섹션은 자전거 크랭크아암이 삽입될 때에 구부러져서, 추가적인 거치 지지체 없이 그리고 자전거를 손상시키거나 스크래치 발생시키지 않으면서, 자전거 크랭크아암 상의 클램핑 힘이 직립 위치에서 자전거를 유지하게 한다. 신축적 벽 반대측의 벽 상의 펜더는 벽의 상부에서 위치되고, 벽의 높이는 자전거의 크랭크(crank)가 펜더를 통과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하나의 실시예에 따르면,
그 상호결부된 안테나를 갖는 인쇄 회로 기판은 윈도우의 바로 아래에 위치결정되어, 사용자들 전자 디바이스가 상기 회로 기판의 근접장 통신(Near Field Communication) 및 블루투스(Bluetooth) 모듈들과 같은 무선 통신부와 통신하는 것을 허용한다.
인쇄 회로 기판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전자 유닛의 상부에 배치된다.
하나의 실시예에 따르면,
하나의 실시예는 신축적인 벽 섹션에 부착된 레버(lever)를 더 포함하고, 상기 레버는 자전거가 삽입될 때, 전자 유닛에서의 스위치를 활성화하도록 구비되고, 이것은 자전거가 삽입되지 않으면, 스탠드가 록킹될 수 없고 반전될 수 없다는 것을 보장한다.
하나의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유닛은 스탠드의 록킹 상태를 사용자에게 표시하도록 구비된 LED(들) 또는 음향 디바이스와 같은 신호 디바이스를 더 포함한다.
하나의 실시예에 따르면,
인쇄 회로 기판은 공공 기물 파손(vandalism)을 검출하고 음향 경보를 울리고 및/또는 경보를 설비 관리부로 전송하도록 구비된 마이크로폰, 스피커, 및 SW 솔루션을 더 포함한다.
하나의 실시예에 따르면,
전력 유닛은 로크에서 통합된다. 전력 유닛은 배터리일 수 있고, 외부 전력 공급에 대한 필요성을 최소화하기 위한 솔라 패널(solar panel)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실시예에 따르면,
그 또는 그녀의 전자 디바이스에 의한 사용자 등록은 개별적인 스탠드로부터 떨어진 원격 폴 상에서 위치된 판독기에서 발생한다.
하나의 실시예에 따르면,
게이트의 스트라이커-플레이트는 스탠드에 대한 자전거의 록킹 동안에 래치를 푸시하도록 구비되고, 이에 의해, 래치는 회전하도록 구비된다.
래치는 푸시로 인해 전자 로크에서 고정된 그 축 주위로 회전한다. 래치의 이러한 회전은 2 개의 결과들을 가진다. 제1 결과는 래치가 스트라이커-플레이트를 구속하고, 이에 의해, 게이트가 개방될 수 없고, 자전거가 클램핑 수단의 외부로 꺼내어질 수 없다는 것이다. 제2 결과는 래치가 전자 로크 내부의 록킹 기구에 의해 회전된 위치에서 록킹된다는 것이다. 래치의 이러한 록킹 기구는 사용자들 전자 디바이스 또는 설비 관리부에 의해 오직 제어될 수 있다. 그러므로, 사용자가 게이트를 폐쇄하고 이에 의해, 래치를 록킹한 후에 그 또는 그녀의 전자 디바이스를 등록할 때, 오직 이 디바이스 또는 설비 관리부가 로크를 개방할 수 있다는 것이 보장된다.
주차 후의 자전거의 해제는 록킹 프로세스의 반대이다. 사용자는 그 또는 그녀의 전자 디바이스를 재등록하고, 이에 의해, 전자 로크의 래치가 해제되어, 게이트가 개방되고 자전거가 클램핑 수단의 외부로 꺼내어지는 것을 허용한다.
하나의 실시예에 따르면,
하부 섹션은, 펜더 아래의 벽에 고정됨으로써 자전거 크랭크아암의 하부 단부에서 안착되고, 자전거가 얼마나 많이 스탠드를 향해 틸트(tilt)될 수 있고 스크래치 발생될 수 있는지를 제한하는 펜더를 더 포함한다.
하나의 실시예에 따르면,
스탠드는 무선으로 또는 와이어에 의해 인터넷에 접속된다.
하나의 실시예에 따르면,
모든 펜더들은 자전거 크랭크아암을 스크래치 발생하지 않는 부드러운 재료로 만들어진다.
하나의 실시예에 따르면,
펜더들은 자전거 크랭크아암의 삽입을 위한 단부 정지부(end stop)로서 작동하는 돌출부들을 포함한다.
하나의 실시예에 따르면,
하나의 실시예는 설비 관리자에 의한 스탠드의 중앙 및 원격 감독을 위한 전자기기들 및 SW를 더 포함한다.
하나의 실시예에 따르면,
하나의 실시예는 스탠드를 동작시키기 위한 사용자 전자 디바이스 상의 애플리케이션을 더 포함한다.
하나의 실시예에 따르면,
하나의 실시예는 사용자가 스탠드를 예약하고 주차된 시간에 기초하여 주차 수수료를 설비 관리자에게 지불하기 위한 SW 솔루션을 더 포함한다.
하나의 실시예에 따르면,
스탠드의 높이는 지면 위에서 45 cm 미만이어서, 좌측 이웃 스탠드를 위한 자전거가 스탠드 위의 페달을 가장 상부에 놓은 상태에서 통과하는 것을 허용한다.
하나의 실시예에 따르면,
크랭크아암-슬롯은 하부 섹션의 전방 및 후면의 둘 모두에서 개방되고, 게이트 솔루션은 둘 모두의 개방부들을 차단한다. 이 설계는 자전거가 전방 및 후방 측부의 둘 모두로부터 스탠드에 진입하고 스탠드를 진출하는 것을 허용한다.
하나의 실시예에 따르면,
크랭크아암-슬롯은 자전거의 롤링 방향에 대한 각도로 배향된다.
하나의 실시예에 따르면,
다수의 스탠드들은 완전히 자동화된 주차 하우스를 위하여 이용될 수 있는 캐러셀(carousel) 상에서 고정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3 개의 상이한 전방 휠 지지 스탠드들을 도시한다. 이것은 아주 가장 보편적인 유형의 자전거 스탠드이다.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2 개의 상이한 거치 스탠드들을 도시한다. 이것은 제2의 가장 보편적인 유형의 자전거 스탠드이다.
도 3은 US2015096335에서 설명된 회사 DesignBoom에 의한 자전거 주차 스탠드 "Bikeep"을 도시한다. 이 스탠드는 자전거 프레임 주위의 금속 바아로 그리고 전방 휠을 통해 자전거를 구속한다.
도 4는 자전거 타는 사람이 자전거를 주차하기 위하여 준비된 개방된 모드에서의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를 예시한다.
도 5는 전자 유닛(G)이 상부 섹션(B)의 외부로 꺼내어진 개방된 모드에서의 도 4에서와 동일한 실시예를 예시한다.
도 6은 상부 섹션(B) 및 가드-플레이트(guard-plate)(N)의 전방 벽이 상기 상부 섹션(B) 내부의 전자 유닛(G)을 도시하기 위하여 제거된 개방된 모드에서의 도 4 및 도 5에서와 동일한 실시예를 예시한다.
도 7은 스탠드 게이트(E)를 폐쇄하기 전에 주차된 자전거를 지지하는 도 4 내지 도 6에서와 동일한 실시예를 예시한다.
도 8은 폐쇄된 모드에서의 도 4 내지 도 7에서와 동일한 실시예, 및 폐쇄된 모드에서의 게이트(E)가 어떻게 크랭크아암-슬롯(C)을 차단하는지를 더 상세하게 예시한다.
도 9는 폐쇄된 그리고 록킹된 모드에서의 도 4 내지 도 8에서와 동일한 실시예, 및 스탠드(1)가 어떻게 크랭크아암(V)을 동봉하여 그것이 장착해제(dismount)될 수 있는 것을 방지하는지를 더 상세하게 예시한다.
도 10은 폐쇄된 그리고 록킹된 모드에서의 도 4 내지 도 9에서와 동일한 실시예, 및 스탠드(1)가 어떻게 페달(X)이 접근될 수 있고 장착해제될 수 있는 것을 방지하는지를 더 상세하게 예시한다.
도 11은 자전거 타는 사람이 자전거를 주차하기 위하여 준비된 개방된 모드에서의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예시한다.
도 12는 전자 유닛(G)이 상부 섹션(B)의 외부로 꺼내어진 개방된 모드에서의 도 11에서와 동일한 실시예를 예시한다.
도 13은 상부 섹션(B)의 전방 벽이 상기 상부 섹션(B) 내부의 전자 유닛(G)을 도시하기 위하여 제거된 개방된 모드에서의 도 11 및 도 12에서와 동일한 실시예를 예시한다.
도 14는 스탠드 게이트(E)를 폐쇄하기 전에 주차된 자전거를 지지하는 도 11 내지 도 13에서와 동일한 실시예를 예시한다.
도 15는 폐쇄된 모드에서의 도 11 내지 도 14에서와 동일한 실시예, 및 폐쇄된 모드에서의 게이트(E)가 어떻게 크랭크아암-슬롯(C)을 차단하는지를 더 상세하게 예시한다.
도 16은 폐쇄된 그리고 록킹된 모드에서의 도 11 내지 도 15에서와 동일한 실시예, 및 스탠드(1)가 어떻게 크랭크아암(V)을 동봉하여 그것이 장착해제될 수 있는 것을 방지하는지를 더 상세하게 예시한다.
도 17은 폐쇄된 그리고 록킹된 모드에서의 도 11 내지 도 16에서와 동일한 실시예, 및 스탠드(1)가 어떻게 페달(X)이 접근될 수 있고 장착해제될 수 있는 것을 방지하는지를 더 상세하게 예시한다.
도 18은 주차장을 형성하기 위하여 콘크리트 빔(concrete beam) 상에서 배열된 본 발명의 7 개를 예시한다.
도 19는 캐러셀 주차장에서 배열된 본 혁신을 예시한다.
도 4 내지 도 19는 본 발명을 예시한다. 도 4 내지 도 10은 하나의 실시예를 제시하고, 도 11 내지 도 17은 또 다른 실시예를 제시한다. 도 18 및 도 19는 주차장 솔루션들에서 사용된 본 혁신을 예시한다.
도 4는 자전거가 주차될 준비가 된 개방된 모드에서의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를 예시한다. 개방된 모드는 게이트(E), 및 힌지들(D)을 통해, 게이트(E)가 상기 하부 섹션(A)의 측벽(20)에 대해 평행한 위치로 선회된 포함된 스트라이커-플레이트(F)에 의해 달성된다. 도면은 직접적으로 또는 기저부를 통해 지면 또는 보도에 고착되는 하부 섹션(A)의 수직 측벽들(10 및 20) 및 후방 벽(30)을 도시한다. 도면은 또한, 측벽(10)의 상부 전방 코너에 고정된 펜더(L), 및 상기 측벽(10)에 도한 고정되지만, 펜더(L) 아래에 있는 펜더(K)를 도시한다.
도면은 상부 섹션(B), 및 상기 상부 섹션(B)의 신축적인 섹션(40)에 고정된 포함된 펜더(M)를 추가로 도시한다. 섹션(40) 및 펜더들(M 및 L)의 신축성은 크랭크아암(V)이 삽입되어야 할 크랭크아암-슬롯(C)을 형성한다. 상기 펜더들(L 및 K) 상의 돌출부들(60)은 크랭크아암(V)이 얼마나 길게 삽입될 수 있는지에 대한 단부 정지부를 형성한다. 최종적으로, 도면은, 공급 케이블 및 가드-플레이트(N)를 보호하고, 상기 컷아웃(cutout)(50)을 통해 진입하는 비 및 눈에 대하여 전자 로크(H)를 보호하기 위하여 상기 상부 섹션(B)에서의 컷아웃(50)에 고정되고 컷아웃(50) 상부에서 연장되는 와이어 가드(wire guard)(O)를 예시한다.
도 5는 전자 유닛(G) 및 윈도우(J)가 상부 섹션(B)의 외부로 꺼내어진 개방된 모드에서의 도 4에서와 동일한 실시예를 예시한다. 전자 유닛(G)은 윈도우(J) 아래에 위치된 전자 로크(H), 인쇄 회로 기판(I), 및 LED(들)(Q)를 포함하고, 윈도우(J)는 공공 기물 파손 및 날씨에 대하여 상기 전자 유닛(G)을 보호하지만, 전자 디바이스가 근접장 통신(Near Field Communication; NFC), 블루투스(Bluetooth; BT), 또는 대안적인 통신 표준을 통해 스탠드(1)와 통신하고 스탠드(1)를 동작시키는 것을 허용한다. 상기 인쇄 회로 기판(I)은, 스탠드를 인터넷에 접속하고, 사용자의 전자 디바이스와 통신하는 근접장 통신(NFC) 및 블루투스(BT) 모듈들을 포함하는 스탠드를 동작시키기 위한 모든 전자기기들을 포함한다. 스탠드(1)를 동작시키기 위하여, 사용자는 그 또는 그녀의 전자 디바이스를 상기 윈도우(J) 위에 배치해야 한다. 전자 디바이스가 윈도우(J) 위에 유지될 수 있는 거리는 전자 디바이스의 안테나 성능에 종속된다. 상기 LED(들)(Q)은 3 개의 컬러들을 통해, 스탠드(1)가 록킹되는지 또는 개방되는지를 표시한다.
도면은, 전자 로크(H)가 어떻게 전자 유닛(G)의 중앙 영역에서 고정되고, 래치 슬롯(P)이 상부 섹션의 전방을 향해 대면하여, 전자 유닛(G)이 상부 섹션(B)으로 하강될 때, 상기 래치(P)가 스트라이커-플레이트(F)가 전방 벽(70)의 상기 개방부(50)를 통해 나오고 전자 로크(H)의 상기 래치(P)와 계합하기 위한 상부 섹션(B)의 컷아웃(50)과 정렬되는 것을 추가로 예시한다. 전자 로크(H)의 수직 위치는 스트라이크-플레이트(F)가 각도 그라인더(angle grinder)로 즉각적으로 접근가능하지 않은 게이트(E) 후방의 보호된 위치에서 안착되는 것과, 가드-플레이트(N)에 근접하게 안착되는 것 사이의 절충이어서, 이러한 수직 위치는 컷아웃(50)을 통해 전자 로크(H)를 타격하는 비 및 눈에 대한 보호를 제공한다. 전자 로크의 수평 위치는 스크라이커-플레이트(F)를 위한 상부 섹션(B)에서의 컷아웃(50)이 상기 상부 섹션(B)의 전면 상에서 오직 연장되도록 되어 있고, 이에 의해, 컷아웃(50)은 폐쇄된 위치에서 게이트(E)에 의해 완전히 피복된다.
스탠드(1)를 위한 전력은 와이어를 통해 외부적으로 제공된다. 외부 전력에 대한 필요성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솔라 전력 시스템(solar power system)이 스탠드(1)에서 통합될 수 있다. 하부 섹션(A)의 벽(20 및 30)의 내부 코너에서 용접된 와이어-가드(O)는 스탠드(1)로 안내된 외부 와이어들을 위하여, 지면으로부터 상부 섹션(B) 내부에 고정된 전자 유닛(G)까지의 보호된 채널을 제공한다.
절도 보호를 추가로 강화하기 위하여, 전자 유닛(G) 및 인쇄 회로 기판(I)은 스탠드(1)에 대한 공공 기물 파손으로부터의 잡음을 검출하고 음향 경보를 울리고 스탠드(1)가 인터넷에 접속될 경우에 경보를 설비 관리부로 전송하기 위한 마이크로폰, 스피커, 및 SW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은 상부 섹션(B) 및 가드-플레이트(N)의 전방 벽이 상기 상부 섹션(B) 내부의 전자 유닛(G)을 도시하기 위하여 제거된 개방된 모드에서의 도 4 및 도 5에서와 동일한 실시예를 예시한다. 도면은 섹션(40)이 구부러질 때, 상부 섹션(B)의 신축적인 섹션(40)에 부착된 레버(R)가 어떻게 스위치(S)를 활성화할 것인지를 도시한다. 도면은 인쇄 회로 기판(I)이 어떻게 윈도우(J) 바로 위에 위치되는지를 추가로 도시한다.
도 7은 스탠드 게이트(E)를 폐쇄하기 전에 주차된 자전거를 갖는 도 4 내지 도 6에서와 동일한 실시예를 예시한다. 자전거를 주차하는 것은 좌측 크랭크아암(V)이 그 가장 낮은 수직 위치 주위에 있을 것을 요구하고, 이것은 자전거 타는 사람의 발로 용이하게 그리고 편리하게 행해질 수 있다. 크랭크아암(V)을 크랭크아암-슬롯(C)으로 푸시할 때에 발을 페달(X) 위에 유지하는 것은 이것을 용이하고 편리한 동작으로 한다. 크랭크아암(V)은 임의의 추가적인 거치 지지체 없이 직립 위치에서 자전거를 유지하는 섹션(40)의 신축성을 통해 펜더들(L 및 M) 사이에서 압착(squeeze)되고, 크랭크아암(V)은 마찬가지로, 자전거가 평탄한 지면 상에 기립할 수 있고, 크랭크아암-슬롯(C)에서 유지하기 위하여 순방향 거치 표면 상에 있을 필요가 없다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도면은 하부 섹션(A)의 벽(10) 상의 자전거 크랭크아암(V)의 가장 낮은 단부에서 안착되는 펜더(K)를 추가로 도시하고, 이에 의해, 그것은 자전거가 스탠드(1)를 향해 틸트될 수 없고 스크래치 발생될 수 없다는 것을 보장한다.
도 8은 스탠드 게이트(E)가 폐쇄되고 로킹되고, 이에 의해, 스탠드 게이트(E)가 크랭크아암-슬롯(C)을 차단하여 자전거가 스탠드 외부로 꺼내어질 수 있는 것을 방지하는 도 4 내지 도 7에서와 동일한 실시예를 예시한다.
도 9는 도 4 내지 도 8에서와 동일한 실시예를 예시하고, 상부 섹션(B), 가드-플레이트(N), 및 폐쇄된 모드에서의 게이트(E)가 어떻게 자전거 크랭크아암(V)의 상부를 동봉하고 그것을 크랭크에 고정하는 나사들에 대한 접근을 방지하는지를 더 구체적으로 예시한다. 업스케일이된 도면 상에서, 오직 크랭크아암(V)은 게이트(E)가 어떻게 크랭크아암(V)의 먼 측부를 동봉하지는 예사하도록 도시된다. 도면은 어떻게 크랭크아암-슬롯(C)이 펜더(L), 펜더(M)로 이루어졌는지, 벽 섹션(40)의 신축성이 자전거 크랭크아암(V)을 클래핑함으로써, 자전거를 스크래치 발생하거나 손상시키지 않으면서 자전거를 직립으로 유지하는지를 추가로 예시한다.
도 10은 도 4 내지 도 9에서와 동일한 실시예를 예시하고, 도 10은 록킹된 모드에서의 스탠드(1)가 어떻게 자전거 크랭크아암(V) 및 페달(X)을 동봉함으로써, 자전거가 스탠드 외부로 꺼내어질 수 있거나 자전거 페달(X) 및 크랭크아암(V)이 예컨대, 렌치(wrench) 또는 전동 공구로 즉각적으로 접근될 수 있는지를 예시하는 3 개의 도면들을 가진다. 도면 a)는 게이트(E)가 어떻게 크랭크아암-슬롯(C)을 차단하는지를 예시하는 정면도이다. 도면 b)는 자전거 크랭크아암(V) 및 페달(X)이 이 측부로부터 접근될 수 없다는 것을 예시하는 후면도이다. 도면 c)는 페달(X)을 크랭크아암에 부착하는 볼트에 대한 제한된 접근과, 추가로, 가드-플레이트(N)가 어떻게 스트라이커-플레이트(F)가 상부 섹션(B)과 게이트(E) 사이의 수직 평면에서 각도 그라인더로 직접적으로 접근될 수 없다는 것을 보장하는지를 예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11은 자전거가 주차될 준비가 된 개방된 모드에서의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예시한다. 도 4 내지 도 10에서 예시된 실시예와 비교하여, 이 실시예는 4 개의 주요한 차이들에 의해 특징된다. 제1 주요한 차이는 크랭크아암-슬롯(C)이 전방 벽(70)에 대해 45도 각도 형성된다는 것이다. 제2 주요한 차이는 상부 섹션(B)이 도 4 내지 도 10을 통해 예시된 실시예와 비교하여 더 낮지만, 그 대신에 더 폭넓다는 사실이다. 이 첫 번째 2 개의 차이들은 조합하여, 그 또는 그녀가 페달 상의 발로 크랭크아암을 크랭크아암-슬롯(C)으로 푸시할 때에 자전거 타는 사람의 발을 위한 더 큰 높이 및 폭으로 되게 한다. 제3 주요한 차이는 크랭크아암-슬롯(C)의 신축적인 섹션(40)이 하부 섹션(A)에 고정된 별도의 부분이라는 것이다. 제4 및 최종적인 주요한 차이는 전방 벽(70)이 지면으로 연장되고 힌지들(D)에 고정된다는 것이다.
예시된 바와 같은 개방된 모드는 게이트(E), 및 힌지들(D)을 통해, 게이트(E)가 크랭크아암-슬롯(C)을 차단하지 않는 위치로 선회된 포함된 스크라이커-플레이트(F)에 의해 달성된다. 도면은 직접적으로 또는 기저부를 통해 지면 또는 보도에 고착되는 하부 섹션(A)의 수직 측벽들(10) 및 후방 벽(30)을 도시한다. 도면은 또한, 측벽(10)의 상부 전방 코너에 고정된 펜더(L), 및 상기 측벽(10)에 도한 고정되지만, 펜더(L) 아래에 있는 펜더(K)를 도시한다.
도면은 상부 섹션(B), 및 그 자신이 하부 섹션(A)에 고정되는 신축적인 섹션(40)에 고정된 포함된 펜더(M)를 추가로 도시한다. 섹션(40) 및 펜더들(M 및 L)의 신축성은 크랭크아암(V)이 삽입되어야 할 크랭크아암-슬롯(C)을 형성한다. 신축적인 섹션(40) 상의 돌출부(60)는 크랭크아암(V)이 얼마나 길게 삽입될 수 있는지에 대한 단부 정지부를 형성한다. 도면은 이 도면 상에서 가시적이지 않은 측벽(20)과 조합하여, 공급 케이블을 보호하는 동봉부(enclosure)를 생성하는 와이어 가드(O)를 추가로 예시한다. 최종적으로, 도면은 상기 컷아웃(50)을 통해 진입하는 비 및 눈에 대하여 전자 로크(H)를 보호하기 위하여 상기 상부 섹션(B)에서의 컷아웃(50)에 고정되고 컷아웃(50) 상부에서 연장되는 가드-플레이트(N)를 예시한다.
도 12는 전자 유닛(G) 및 포함된 윈도우(J)가 상부 섹션(B)의 외부로 꺼내어진 개방된 모드에서의 도 11에서와 동일한 실시예를 예시한다. 전자 유닛(G)은 상기 윈도우(J) 아래에 위치된 전자 로크(H), 인쇄 회로 기판(I)을 포함하고, 윈도우(J)는 공공 기물 파손 및 날씨에 대하여 상기 전자 유닛(G)을 보호하지만, 전자 디바이스가 근접장 통신(NFC), 블루투스(BT), 또는 대안적인 통신 표준을 통해 스탠드(1)와 통신하고 스탠드(1)를 동작시키는 것을 허용한다. 상기 인쇄 회로 기판(I)은, 스탠드를 인터넷에 접속하고, 사용자의 전자 디바이스와 통신하는 근접장 통신(NFC) 및 블루투스(BT) 모듈들을 포함하는 스탠드를 동작시키기 위한 모든 전자기기들을 포함한다. 스탠드(1)를 동작시키기 위하여, 사용자는 그 또는 그녀의 전자 디바이스를 상기 윈도우(J) 위에 배치해야 한다. 전자 디바이스가 윈도우(J) 위에 유지될 수 있는 거리는 전자 디바이스의 안테나 성능에 종속된다.
절도 보호를 추가로 강화하기 위하여, 전자 유닛(G) 및 인쇄 회로 기판(I)은 스탠드(1)에 대한 공공 기물 파손으로부터의 잡음을 검출하고 음향 경보를 울리고 스탠드(1)가 인터넷에 접속될 경우에 경보를 설비 관리부로 전송하기 위한 마이크로폰, 스피커, 및 SW를 포함할 수 있다.
도면은 포함된 래치(P)를 갖는 전자 로크(H)가 어떻게 전자 유닛(G)에 고정되고, 래치(P)가 전자 유닛(G)의 전면에서의 컷아웃(90)을 통해 접근가능한지를 추가로 예시한다. 전자 로크(H)는 상기 전자 유닛(G)이 상부 섹션(B)에서의 위치로 하강되고 게이트(E)가 폐쇄될 때, 게이트(E)의 스트라이커-플레이트(F)가 전자 로크(H)의 상기 래치(P)와 계합하도록 정렬된다.
도 13은 상부 섹션(B) 및 전자 유닛(G)의 전방 벽이 상기 상부 섹션(B) 내부에 위치된 상기 전자 유닛(G)을 도시하기 위하여 제거된 개방된 모드에서의 도 11 및 도 12에서와 동일한 실시예를 예시한다. 도면은 섹션(40)이 구부러질 때, 상부 섹션(B)의 신축적인 섹션(40)에 부착된 레버(R)가 어떻게 스위치(S)를 활성화할 것인지를 도시한다. 도면은 인쇄 회로 기판(I)이 어떻게 윈도우(J) 바로 위에 위치되는지를 추가로 도시한다.
도 14는 스탠드 게이트(E)를 폐쇄하기 전에 주차된 자전거를 갖는 도 11 내지 도 13에서와 동일한 실시예를 예시한다. 자전거를 주차하는 것은 좌측 크랭크아암(V)이 그 가장 낮은 수직 위치 주위에 있을 것을 요구하고, 이것은 자전거 타는 사람의 발로 용이하게 그리고 편리하게 행해질 수 있다. 크랭크아암(V)을 크랭크아암-슬롯(C)으로 푸시할 때에 발을 페달(X) 위에 유지하는 것은 이것을 용이하고 편리한 동작으로 한다. 크랭크아암(V)은 임의의 추가적인 거치 지지체 없이 직립 위치에서 자전거를 유지하는 섹션(40)의 신축성을 통해 펜더들(L 및 M) 사이에서 압착되고, 크랭크아암(V)은 마찬가지로, 자전거가 평탄한 지면 상에 기립할 수 있고, 크랭크아암-슬롯(C)에서 유지하기 위하여 순방향 거치 표면 상에 있을 필요가 없다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도면은 하부 섹션(A)의 벽(10) 상의 자전거 크랭크아암(V)의 가장 낮은 단부에서 안착되는 펜더(K)를 추가로 도시하고, 이에 의해, 그것은 자전거가 스탠드(1)를 향해 틸트될 수 없고 스크래치 발생될 수 없다는 것을 보장한다.
도 15는 스탠드 게이트(E)가 폐쇄되고 로킹되고, 이에 의해, 스탠드 게이트(E)가 크랭크아암-슬롯(C)을 차단하여 자전거가 스탠드 외부로 꺼내어질 수 있는 것을 방지하는 도 11 내지 도 14에서와 동일한 실시예를 예시한다.
도 16은 도 11 내지 도 15에서와 동일한 실시예를 예시하고, 포함된 돌출부(60) 및 폐쇄된 모드에서의 게이트(E)를 갖는 신축적인 섹션(40)이 어떻게 자전거 크랭크아암(V)의 상부를 동봉하고 그것을 크랭크에 고정하는 나사들에 대한 접근을 방지하는지를 더 구체적으로 예시한다. 업스케일이된 도면 상에서, 오직 크랭크아암(V)은 게이트(E)가 어떻게 크랭크아암(V)의 먼 측부를 동봉하지는 예사하도록 도시된다. 도면은 어떻게 크랭크아암-슬롯(C)이 펜더(L), 펜더(M)로 이루어졌는지, 벽 섹션(40)의 신축성이 자전거 크랭크아암(V)을 클래핑함으로써, 자전거를 스크래치 발생하거나 손상시키지 않으면서 자전거를 직립으로 유지하는지를 추가로 예시한다.
도 17은 도 11 내지 도 16에서와 동일한 실시예를 예시하고, 도 17은 록킹된 모드에서의 스탠드(1)가 어떻게 자전거 크랭크아암(V) 및 페달(X)을 동봉함으로써, 자전거가 스탠드 외부로 꺼내어질 수 있거나 자전거 페달(X) 및 크랭크아암(V)이 예컨대, 렌치(wrench) 또는 전동 공구로 즉각적으로 접근될 수 있는지를 예시하는 3 개의 도면들을 가진다. 도면 a)는 게이트(E)가 어떻게 크랭크아암-슬롯(C)을 차단하는지를 예시하는 정면도이다. 도면 b)는 자전거 크랭크아암(V) 및 페달(X)이 이 측부로부터 접근될 수 없다는 것을 예시하는 후면도이다. 도면 c는 페달(X)을 크랭크아암(V)에 부착하는 볼트에 대한 비접근을 예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18은 주차장을 형성하기 위하여 콘크리트 빔 상에서 배열된 본 발명의 7 개를 예시한다. 도면은 사용자가 개별적인 스탠드가 아니라 폴에서 그 또는 그녀의 전자 디바이스를 등록하기 위한 윈도우 및 인쇄 회로 기판 및 상호결부된 안테나를 포함하는 포함된 전자 박스(U)를 갖는 폴(T)을 추가로 예시한다. 모든 스탠드들이 동작되어야 하는 하나의 원격 폴(T)을 가짐으로써, 전자기기들 및 이에 따라 전체적인 주차장의 비용은 각각의 스탠드에서의 사용자 전자 디바이스와 통신하기 위한 상호결부된 안테나들을 갖는 인쇄 회로 기판들을 가지는 것과 비교하여 삭감될 수 있다.
도 19는 원형 주차장에서 배열된 본 혁신을 예시한다. 스탠드들은 이 실시예에서, 컷아웃(110)을 갖는 고정된 데크(100)에 의해 분리된 하부 및 상부 원으로 배열된다. 하부 원에서의 스탠드들은 지면에 고정되는 반면, 상부 원에서의 스탠드들은 캐러셀로서 중앙 폴(Y) 주위에서 무제한으로 회전할 수 있다. 데크(100)에서의 상기 컷아웃(110) 아래의 하부 원에서의 2 개의 스탠드 위치들은 좌측이 비어 있고, 결과적인 개방된 영역은 그 대신에, 중앙 폴(Y)에서의 승강 시스템에 의해 하강되거나 승강되는 상부 캐러셀로부터의 스탠드들을 위하여 이용된다. 자전거들을 승강시키고 하강시키기 위하여, 각각의 스탠드는 이 실시예에서, 자전거의 전체 길이를 연장하는 휠 트랙(wheel track)(Z)을 포함한다.
사용자들은 폴(T) 상에서 고정된 전자 박스(U)에서 등록해야 한다. 상기 전자 박스(U)는 사용자 전자 디바이스와의 통신을 위한 상호결부된 안테나를 갖는 인쇄 회로 기판 및 윈도우를 포함한다.
자신의 자전거를 상부 원에 주차하기를 희망하는 사용자는 제1 액션으로서, 그 전자 디바이스를 전자 박스(U)에서 등록해야 한다. 상부 원 상에서 이용가능한 스탠드가 있을 경우에, 상부 원은 하부 원에서의 개방된 공간 위의 위치로 이용가능한 스탠드를 회전시킬 것이고, 스탠드를 지면으로 하강시킬 것이다. 사용자는 그 다음으로, 자전거를 삽입하고, 게이트를 폐쇄할 시에, 삽입된 자전거를 갖는 스탠드는 다시 상부 원으로 승강된다.
상부 원에서의 스탠드로부터 자전거를 수집해야 하는 사용자는 전자 박스(U)에서 자신의 전자 디바이스를 등록해야 하고, 이것은 3-단계 프로세스를 개시한다. 제1 단계는 상부 원이 데크(100)의 상기 컷아웃(110) 위의 위치에서의 삽입된 원 및 하부 원에서의 개방된 공간을 갖는 요구된 스탠드를 가져오기 위하여 회전한다는 것이다. 제2 단계는 자전거를 갖는 스탠드가 지면으로 하강된다는 것이다. 제3 및 최종적인 액션은 스탠드의 게이트가 개방되고, 이에 의해, 사용자가 스탠드로부터 자전거를 제거할 수 있다는 것이다.
하부 원에서의 스탠드들은 도 18에서 예시된 실시예에서와 같이 개별적인 스탠드에서 또는 폴(T) 상의 전자 박스(U)에서 사용자 등록을 위하여 준비될 수 있다.

Claims (15)

  1. 스탠드(1)에 자전거를 록킹하기 위한 자전거 주차 스탠드(1)에 있어서,
    직접적으로 또는 기저부를 통해 지면 또는 보도에 고착된 하부 섹션(A)을 포함하고,
    상기 하부 섹션(A)은 우측 수직 측벽(10), 반대측에 배치된 수직 좌측 측벽(20), 및 후방 벽(30)을 포함하되,
    상기 자전거 주차 스탠드(1)는 상기 하부 섹션(A)의 상부 상에 고정된 상부 섹션(B)을 더 포함하고,
    상기 상부 섹션(B)은 상기 수직 좌측 측벽(20), 상기 후방 벽(30), 우측 수직 벽(80), 및 전방 벽(70)을 포함하고,
    상기 스탠드(1)는 힌지(D)들에 의해 합쳐진 상부 섹션(A) 및 하부 섹션(B)에 힌지결합된 게이트(E), 및 상기 상부 섹션(B) 내부에 고정된 전자 유닛(G)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전자 유닛(G)은 래치(P)를 갖는 전자 로크(H), 및 전자기기들을 포함하는 인쇄 회로 기판(I)을 포함하고,
    상기 스탠드(1)는 상기 자전거의 크랭크아암(V)을 클램핑 수단에 해제가능하게 클램핑하기 위한 상기 클램핑 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게이트(E)는 개방된 위치로부터 폐쇄된 위치로 이동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게이트(E) 상에서 배치된 스트라이커 플레이트(F)는 상기 전자 로크(H)의 상기 래치(P)와 계합함으로써, 상기 전자 로크(H)가 활성화될 때, 상기 게이트(E)가 개방될 수 있고 상기 자전거가 상기 클램핑 수단의 외부로 꺼내어질 수 있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주차 스탠드(1).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섹션(B)은 윈도우(J)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자전거의 록킹/언록킹은 전자 디바이스를 상기 윈도우(J) 위에 배치함으로써 발생하도록 구비되고, 이에 의해, 상기 전자 디바이스는 상기 인쇄 회로 기판(I)과 통신하고, 이에 의해, 상기 록킹/언록킹이 발생하는, 자전거 주차 스탠드(1).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핑 수단은 상기 상부 섹션(B) 또는 상기 하부 섹션(A)에 부착되고 수평으로 신축적인 벽 섹션(40) 상에 배치되고/벽 섹션(40)과 통합된 펜더(M)를 포함하고,
    상기 펜더(M)는 상기 펜더(M)를 가로질러서 위치된 하나의 측벽(10, 20)의 내부에서 배치된 제2 펜더(L)와 함께 형성되고, 상기 클램핑 수단은 신축적인 크랭크아암-슬롯(C)이고,
    상기 자전거 크랭크아암(V)은 상기 크랭크아암-슬롯(C)으로 푸시되도록 구비되어, 크랭크아암(V) 상의 클램핑 힘이 직립 위치에서 상기 자전거를 유지하게 하는, 자전거 주차 스탠드(1).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 회로 기판(I)은 윈도우(J)의 바로 아래에 위치결정되어, 사용자들 전자 디바이스가 상기 회로 기판(I)의 근접장 통신(Near Field Communication; NFC) 및 블루투스(Bluetooth; BT) 모듈들과 같은 무선 통신부와 통신하는 것을 허용하는, 자전거 주차 스탠드(1).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자전거 주차 스탠드(1)는 상기 신축적인 벽 섹션(40)에 부착된 레버(R)를 더 포함하고, 상기 레버는 자전거가 삽입될 때, 상기 전자 유닛(G)에서의 스위치(S)를 활성화하도록 구비되는, 자전거 주차 스탠드(1).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유닛은 상기 스탠드(1)의 록킹 상태를 사용자에게 표시하도록 구비된 LED(들)(Q) 또는 음향 디바이스와 같은 신호 디바이스를 더 포함하는, 자전거 주차 스탠드(1).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 회로 기판(I)은 공공 기물 파손(vandalism)을 검출하고 음향 경보를 울리고 및/또는 경보를 설비 관리부로 전송하도록 구비된 마이크로폰, 스피커, 및 SW 솔루션을 더 포함하는, 자전거 주차 스탠드(1).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유닛은 상기 로크에서 통합되는, 자전거 주차 스탠드(1).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그 또는 그녀의 전자 디바이스에 의한 사용자 등록은 개별적인 스탠드(1)로부터 떨어진 원격 폴(T) 상에서 위치된 판독기(U)에서 발생하는, 자전거 주차 스탠드(1).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E)의 상기 스트라이커 플레이트(F)는 상기 스탠드(1)에 대한 상기 자전거의 록킹 동안에 상기 래치(P)를 푸시하도록 구비되고, 이에 의해, 상기 래치(P)는 회전하도록 구비되는, 자전거 주차 스탠드(1).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섹션(A)은, 상기 펜더(M) 아래의 벽에 고정됨으로써 상기 자전거 크랭크아암(V)의 하부 단부에서 안착되고, 상기 자전거가 얼마나 많이 상기 스탠드(1)를 향해 틸트(tilt)될 수 있고 스크래치 발생될 수 있는지를 제한하는 펜더(M)를 더 포함하는, 자전거 스탠드(1).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탠드(1)는 무선으로 또는 와이어에 의해 인터넷에 접속되는, 자전거 스탠드(1).
  13. 제3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펜더(M)들은 자전거 크랭크아암(V)의 삽입을 위한 단부 정지부(end stop)로서 작동하는 돌출부들을 포함하는, 자전거 스탠드(1).
  14.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자전거 스탠드(1)는 설비 관리자에 의한 스탠드의 중앙 및 원격 감독을 위한 전자기기들 및 SW를 더 포함하는, 자전거 스탠드(1).
  15.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크랭크아암-슬롯(C)은 하부 섹션(A)의 전방 및 후면의 둘 모두에서 개방되고, 게이트 솔루션은 둘 모두의 개방부들을 차단하는, 자전거 스탠드(1).
KR1020217028392A 2019-02-05 2020-01-28 전자 로크를 포함하는 스탠드에 자전거를 록킹하기 위한 자전거 주차 스탠드 Pending KR2021012230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KPA201900163A DK180196B1 (en) 2019-02-05 2019-02-05 A bicycle parking stand for locking a bicycle to the stand comprising an electronic lock
DKPA201900163 2019-02-05
PCT/DK2020/050024 WO2020160736A1 (en) 2019-02-05 2020-01-28 A bicycle parking stand for locking a bicycle to the stand comprising an electronic lock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2300A true KR20210122300A (ko) 2021-10-08

Family

ID=718986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28392A Pending KR20210122300A (ko) 2019-02-05 2020-01-28 전자 로크를 포함하는 스탠드에 자전거를 록킹하기 위한 자전거 주차 스탠드

Country Status (17)

Country Link
US (1) US11400989B2 (ko)
EP (1) EP3921220B1 (ko)
JP (2) JP7588592B2 (ko)
KR (1) KR20210122300A (ko)
CN (1) CN113453977B (ko)
AU (1) AU2020218798B2 (ko)
BR (1) BR112021015351A2 (ko)
CA (1) CA3128430A1 (ko)
DK (1) DK180196B1 (ko)
ES (1) ES2956433T3 (ko)
HR (1) HRP20231462T1 (ko)
HU (1) HUE064120T2 (ko)
MX (1) MX2021009446A (ko)
NZ (1) NZ778913A (ko)
PL (1) PL3921220T3 (ko)
WO (1) WO2020160736A1 (ko)
ZA (1) ZA20210630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067453A (zh) * 2019-04-24 2019-07-30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车锁、车辆停放系统及车辆停放方法
GB2585910A (en) * 2019-07-23 2021-01-27 Bison Security Products Wales Ltd An apparatus for securing a bicycle
CN113428267B (zh) * 2021-08-02 2022-06-14 湖南喜宝达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电单车停车桩及其停车锁结构
KR20240032387A (ko) * 2022-09-02 2024-03-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모빌리티용 주차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70197A (en) * 1974-11-05 1976-07-20 Bale Jr Robert William Rack and bicycle locking unit
FR2414313A1 (fr) * 1978-01-11 1979-08-10 Verelle Philippe Ratelier antivol pour le rangement et le stockage des skis et batons
AT380444B (de) * 1983-12-15 1986-05-26 Kunath Martin Fahrradhalter
US5244101A (en) * 1992-03-30 1993-09-14 Palmer John D Stainless-steel bicycle parking rack with lock protector
US5278538A (en) * 1992-04-20 1994-01-11 Ainsworth Kathryn L Bicycle security system
US5323915A (en) * 1992-09-11 1994-06-28 Graber Products, Inc. Security bicycle stand
JP2000135994A (ja) * 1998-10-30 2000-05-16 Kazuma Yoshizawa ペダルの固定による自転車駐輪及び盗難防止装置
JP4576509B2 (ja) * 2004-03-26 2010-11-10 祥行 鎌中 ロック装置等
CN2732593Y (zh) * 2004-11-02 2005-10-12 极点股份有限公司 简易曲柄停车架
US20060169423A1 (en) * 2005-02-03 2006-08-03 Louis Chuang Collapsible stand for bicycle
US20090178446A1 (en) * 2006-01-03 2009-07-16 Ian Patterson Lock device
US8061499B2 (en) * 2008-04-23 2011-11-22 Societe De Velo En Libre-Service Method and apparatus for securing a movable item to a structure
GB2460062A (en) * 2008-05-14 2009-11-18 Derek Gray Security device for preventing the movement of a pedal vehicle
ES2371402B1 (es) * 2008-09-24 2012-11-22 Geofotón Soluciones Sostenibles, S.L. Sistema de aparcamiento automático para bicicletas eléctricas y normales, con recarga de la batería, seguridad antirrobo y seguimiento del uso de las bicicletas.
TWM356663U (en) * 2009-01-09 2009-05-11 zhi-xiang Zhang Bicycle parking rack capable of locking bicycle
US10641014B2 (en) * 2011-02-22 2020-05-05 Urban Wheely Inc. Advanced bike locking system and method
TWI499538B (zh) * 2012-11-28 2015-09-11 Wen Liang Chen 具有鎖固功能之自行車踏板
US9381964B2 (en) 2013-10-07 2016-07-05 Bikeep Ou System and method for bike locking
FI125606B (en) * 2014-04-23 2015-12-15 Pedalslot Oy Bicycle rack
GB2544736A (en) * 2015-11-23 2017-05-31 Cyclepods Ltd Bicycle storage apparatus
CN105730564B (zh) * 2016-04-26 2018-11-16 林育德 一种用于锁紧自行车的方法及其装置
NL2017981B1 (nl) * 2016-12-12 2018-06-26 Orange Ventures B V Fietsslot en combinatie van een fiets met een frame, een trapas, een aan de trapas bevestigde crank, en een fietsslot
WO2021028128A1 (en) * 2019-08-13 2021-02-18 Haenggi Daniel A vehicle hold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MX2021009446A (es) 2021-09-10
CN113453977A (zh) 2021-09-28
DK180196B1 (en) 2020-08-12
CA3128430A1 (en) 2020-08-13
JP2025020378A (ja) 2025-02-12
BR112021015351A2 (pt) 2021-10-05
EP3921220C0 (en) 2023-08-16
PL3921220T3 (pl) 2024-04-08
AU2020218798A1 (en) 2021-09-02
EP3921220A4 (en) 2022-11-16
JP7588592B2 (ja) 2024-11-22
CN113453977B (zh) 2022-12-06
WO2020160736A1 (en) 2020-08-13
ES2956433T3 (es) 2023-12-21
EP3921220A1 (en) 2021-12-15
HRP20231462T1 (hr) 2024-03-01
NZ778913A (en) 2025-03-28
JP2022519119A (ja) 2022-03-18
US11400989B2 (en) 2022-08-02
HUE064120T2 (hu) 2024-02-28
AU2020218798B2 (en) 2025-01-30
DK201900163A1 (en) 2020-08-07
EP3921220B1 (en) 2023-08-16
ZA202106302B (en) 2022-09-28
US20220073159A1 (en) 2022-03-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10122300A (ko) 전자 로크를 포함하는 스탠드에 자전거를 록킹하기 위한 자전거 주차 스탠드
US20090178446A1 (en) Lock device
US7644544B2 (en) Compact security shelter device for motorcycles, bicycles, four-wheelers and other small personal transportation vehicles
US3945159A (en) Anti-theft vehicle shelter
CA2890633A1 (en) Bicycle storage device
US20230012113A1 (en) Instrumented vehicle storage capsule and system
DK179684B1 (en) Pedal Trap Bicycle Stand
RU2798016C2 (ru) Стойка для парковки велосипедов для фиксации велосипеда на стойке, включающая электронный замок
HK40061175A (en) A bicycle parking stand for locking a bicycle to the stand comprising an electronic lock
HK40061175B (en) A bicycle parking stand for locking a bicycle to the stand comprising an electronic lock
GB2312882A (en) Bicycle stand
CN2187578Y (zh) 自行车货架结合锁具装置
KR101503477B1 (ko) 자전거 잠금장치
WO2021095024A1 (en) Parking apparatus
KR100684510B1 (ko) 자전거 보관장치
EP3409569B1 (en) Bike lock
GB2150898A (en) Cycle security device
WO1999060833A1 (en) Securing and anti-theft device for portable electronic equipment such as lap-top computers
KR200392184Y1 (ko) 자전거 보관장치
JP5902728B2 (ja) 二輪車用収納庫
NL1040524C2 (en) Securing unit for bicycle carry device.
JP2000135994A (ja) ペダルの固定による自転車駐輪及び盗難防止装置
AU2006203403B1 (en) Lock device
GB2310182A (en) Cycle parking apparatus
US20050278995A1 (en) License plate protection fr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10903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5030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