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210118276A - 차량의 콘솔에 장착되는 암레스트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차량의 콘솔에 장착되는 암레스트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18276A
KR20210118276A KR1020200033855A KR20200033855A KR20210118276A KR 20210118276 A KR20210118276 A KR 20210118276A KR 1020200033855 A KR1020200033855 A KR 1020200033855A KR 20200033855 A KR20200033855 A KR 20200033855A KR 20210118276 A KR20210118276 A KR 202101182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sole
armrest
vehicle
button member
hook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Pending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338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계영
임우현
이상기
박해주
여성구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에코플라스틱 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에코플라스틱 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338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18276A/ko
Priority to DE102020211858.2A priority patent/DE102020211858B4/de
Priority to CN202011009361.4A priority patent/CN113492743A/zh
Priority to US17/036,832 priority patent/US11541792B2/en
Publication of KR202101182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18276A/ko
Pending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75Arm-rests
    • B60N2/79Adaptations for additional use of the arm-rests
    • B60N2/793Adaptations for additional use of the arm-rests for use as storage compart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7/00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 B60R7/04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in driver or passenger space, e.g. using ra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7/00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 B60R7/04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in driver or passenger space, e.g. using racks
    • B60R7/06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in driver or passenger space, e.g. using racks mounted on or below dashboard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00Knobs or handles for wings; Knobs, handles, or press buttons for locks or latches on wings
    • E05B1/0038Sliding handles, e.g. push butt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3/00Vehicle lock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wing or vehicle
    • E05B83/28Locks for glove compartments, console boxes, fuel inlet covers or the like
    • E05B83/32Locks for glove compartments, console boxes, fuel inlet covers or the like for console boxes, e.g. between passenger sea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3/00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 E05C3/12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with latching action
    • E05C3/16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with latching action with operating handle or equivalent member moving otherwise than rigidly with the latch
    • E05C3/162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with latching action with operating handle or equivalent member moving otherwise than rigidly with the latch the handle or member moving essentially towards or away of the plane of the wing or fram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9/00Arrangements of simultaneously actuated bolts or other securing devices at well-separated positions on the same wing
    • E05C9/08Arrangements of simultaneously actuated bolts or other securing devices at well-separated positions on the same wing with a rotary bar for actuating the fasten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암레스트의 상단과 동일한 면상에서 상기 암레스트가 콘솔로부터 언락되도록 하는 작동이 가능한 차량의 콘솔에 장착되는 암레스트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콘솔에 장착되는 암레스트 어셈블리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는 스토리지 박스(12)가 구비되고, 차량의 운전석과 조수석 사이에 설치되는 콘솔본체(11)와, 차량에 탑승한 탑승자의 팔을 지지하고 상기 스토리지 박스(12)의 상부를 개폐하도록 상기 스토리지 박스(12)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암레스트(15)와, 상기 콘솔본체(11)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탑승자가 상기 암레스트(15)를 언락시키기 위해 작동되는 버튼부재(21)와, 상기 버튼부재(21)의 작동 여부 따라 상기 암레스트(15)를 상기 콘솔본체(11)로부터 락킹 또는 언락시키는 작동유닛과, 상기 콘솔본체(11)에서 상기 버튼부재(21)와 상기 작동유닛이 설치되는 부위를 덮고, 상기 버튼부재(21)의 상단이 노출되는 콘솔커버(13)를 포함하고, 상기 암레스트(15)의 상단, 상기 콘솔커버(13)의 표면과 상기 버튼부재(21)의 상단은 상기 암레스트(15)로부터 상기 콘솔커버(13)까지 동일한 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차량의 콘솔에 장착되는 암레스트 어셈블리{ARM REST ASSEMBLY MOUNTED TO CONSOLE OF VEHICLE}
본 발명은 차량 실내의 콘솔에 장착되에 탑승자의 팔을 지지하는 암레스트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서, 암레스트의 상단과 동일한 면상에서 상기 암레스트가 콘솔로부터 언락되도록 하는 작동이 가능한 차량의 콘솔에 장착되는 암레스트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차량의 1열 좌석의 중간에는 운전석과 조수석을 분리하는 콘솔 상에 탑승자의 팔을 지지하는 암레스트가 설치된다.
특히, 상기 콘솔에 각종 물건을 수납할 수 있는 스토리지 박스가 설치되고, 상기 암레스트가 상기 스토리지 박스의 덮개 역할을 한다. 이러한 경우, 상기 암레스트는 평상시(암레스트로 사용시)에는 상기 스토리지 박스 측에 락킹되어 있고, 상기 스토리지 박스의 개방시에는 상기 암레스트의 락킹을 해제한 후, 상기 암레스트를 회전시킨다.
상기 암레스트를 상기 스토리지 박스에 락킹 또는 언락하기 위한 구조를 살펴보면, 상기 암레스트의 전단에 작동을 위한 노브가 설치되고, 상기 노브의 작동에 의해 작동하는 락킹후크가 설치되었다.
상기 노브가 상기 암레스트의 전단 하부에 설치되기 때문에, 상기 탑승자가 상기 노브를 작동하기 위한 공간이 필요하였고, 이에 따라 상기 암레스트가 상기 콘솔에 얹혀지는 형태를 가지고 있어, 상기 암레스트의 전단이 상기 콘솔과 자연스럽게 연결되지 못하여, 미려한 실내를 구현하기 어려웠다.
또한, 상기 노브가 상기 암레스트의 전단 하부에 위치하고 있어서, 상기 암레스트를 언락시키기 위해서 탑승자는 손목이 과도하게 꺾어야 되기 때문에 사용시 불편하였다.
KR 10-2017-0112430 A (2017.10.12, 차량용 콘솔 암레스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서, 암레스트의 상단과 동일한 면상에서 암레스트의 언락 작동이 가능하도록 한 차량의 콘솔에 장착되는 암레스트 어셈블리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콘솔에 장착되는 암레스트 어셈블리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는 스토리지 박스가 구비되고, 차량의 운전석과 조수석 사이에 설치되는 콘솔본체; 차량에 탑승한 탑승자의 팔을 지지하고 상기 스토리지 박스의 상부를 개폐하도록 상기 스토리지 박스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암레스트; 상기 콘솔본체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탑승자가 상기 암레스트를 언락시키기 위해 작동되는 버튼부재; 상기 버튼부재의 작동 여부 따라 상기 암레스트를 상기 콘솔본체로부터 락킹 또는 언락시키는 작동유닛; 상기 콘솔본체에서 상기 버튼부재와 상기 작동유닛이 설치되는 부위를 덮고, 상기 버튼부재의 상단이 노출되는 콘솔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암레스트의 상단, 상기 콘솔커버의 표면과 상기 버튼부재의 상단은 상기 암레스트로부터 상기 콘솔커버까지 동일한 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암레스트의 상단, 상기 콘솔커버의 표면과 상기 버튼부재의 상단이 배치되는 면은 곡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버튼부재는 상기 콘솔본체의 내부에 슬라이딩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콘솔본체의 내부에 상기 버튼부재의 슬라이딩을 가이드하는 버튼가이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작동유닛은, 상기 콘솔본체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암레스트의 일측을 락킹하며, 상기 버튼부재로부터 작동력이 전달되면, 상기 암레스트를 언락하는 락킹후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락킹후크는 상기 암레스트를 락킹하는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탄성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락킹후크의 회전중심에는 상기 락킹후크를 탄성지지하기 위한 토션스프링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락킹후크는 상기 차량의 폭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설치되고, 상기 버튼부재의 작동력을 상기 복수의 락킹후크로 전달하기 위한 후크연결로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후크연결로드는 상기 락킹후크와 동축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후크연결로드의 일측에는, 상기 버튼부재의 하단과 접하여, 상기 버튼부재의 작동력이 상기 후크연결로드로 입력되는 누름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버튼부재는, 상단이 상기 콘솔커버에 노출되어 상기 탑승자에 의해 작동되는 버튼노브와, 상기 버튼노브로부터 상기 버튼부재의 슬라이딩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어 상기 버튼노브로 입력된 작동력을 상기 작동유닛으로 전달하는 버튼로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암레스트는, 상기 락킹후크의 단부가 걸려 고정되는 후크걸림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락킹후크와 상기 암레스트는 상기 차량의 폭방향을 따라 복수로 배치되고, 각각의 상기 락킹후크는 각각의 상기 암레스트를 전담하여 락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암레스트는 상기 차량의 폭방향을 따라 좌측 및 우측으로 각각 개폐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락킹후크는 상기 후크연결로드의 양단에 각각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토리지 박스의 외측에 상기 락킹후크와 상기 후크연결로드가 힌지연결되는 브라켓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락킹후크와 상기 후크연결로드 및 상기 브라켓부를 관통하는 힌지핀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후크연결로드의 외측에는 상기 후크연결로드와 상기 락킹후크가 정해진 각도 이상으로 회전하는 것을 제한하는 스토퍼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브라켓부에 상기 콘솔커버가 장착되는 커버마운팅브라켓이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콘솔본체의 내부에 상기 버튼부재의 슬라이딩을 가이드하는 버튼가이드는 상기 커버마운팅브라켓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차량의 콘솔에 장착되는 암레스트 어셈블리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는 스토리지 박스가 구비되고, 차량의 운전석과 조수석 사이에 설치되는 콘솔본체; 차량에 탑승한 탑승자의 팔을 지지하고 상기 스토리지 박스의 상부를 개폐하도록 상기 스토리지 박스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암레스트; 상기 콘솔본체의 상부 일부를 덮는 콘솔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콘솔본체의 내부에 슬라이딩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탑승자가 상기 암레스트를 언락시키기 위해 작동되는 버튼부재와, 상기 콘솔본체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암레스트의 일측을 락킹하며, 상기 버튼부재로부터 작동력이 전달되면, 상기 암레스트를 언락하는 락킹후크를 더 포함하며, 상기 락킹후크는 상기 차량의 폭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설치되고, 상기 락킹후크와 동축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버튼부재의 작동력을 상기 복수의 락킹후크로 전달하기 위한 후크연결로드를 더 포함하며, 상기 후크연결로드의 일측에는, 상기 버튼부재의 하단과 접하여, 상기 버튼부재의 작동력이 상기 후크연결로드로 입력되는 누름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차량의 콘솔에 장착되는 암레스트 어셈블리에 따르면, 암레스트를 언락시키는 버튼 부재를 상기 암레스트의 상단과 동일한 면상에서 작동함으로써, 상기 암레스트의 언락시 손목이 꺽어야 하는 불편함이 사라지고, 작동이 편해진다.
또한, 상기 암레스트의 상단과 상기 콘솔커버가 연속된 면으로 형성됨으로써, 차량의 실내가 미려해 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콘솔에 장착되는 암레스트 어셈블리가 락킹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콘솔에 장착되는 암레스트 어셈블리가 언락되어 암레스트가 일부 회전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콘솔에 장착되는 암레스트 어셈블리에서 버튼부재가 설치되는 부위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콘솔에 장착되는 암레스트 어셈블리에서 버튼부재가 설치되는 부위의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콘솔에 장착되는 암레스트 어셈블리가 락킹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콘솔에 장착되는 암레스트 어셈블리가 작동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콘솔에 장착되는 암레스트 어셈블리에서 버튼부재 내지 락킹후크를 도시한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콘솔에 장착되는 암레스트 어셈블리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콘솔에 장착되는 암레스트 어셈블리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는 스토리지 박스(12)가 구비되고, 차량의 운전석과 조수석 사이에 설치되는 콘솔본체(11)와, 차량에 탑승한 탑승자의 팔을 지지하고 상기 스토리지 박스(12)의 상부를 개폐하도록 상기 스토리지 박스(12)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암레스트(15)와, 상기 콘솔본체(11)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탑승자가 상기 암레스트(15)를 언락시키기 위해 작동되는 버튼부재(21)와, 상기 버튼부재(21)의 작동 여부 따라 상기 암레스트(15)를 상기 콘솔본체(11)로부터 락킹 또는 언락시키는 작동유닛과, 상기 콘솔본체(11)에서 상기 버튼부재(21)와 상기 작동유닛이 설치되는 부위를 덮고, 상기 버튼부재(21)의 상단이 노출되는 콘솔커버(13)를 포함하고, 상기 암레스트(15)의 상단, 상기 콘솔커버(13)의 표면과 상기 버튼부재(21)의 상단은 상기 암레스트(15)로부터 상기 콘솔커버(13)까지 동일한 면에 배치되도록 한다.
콘솔본체(11)는 차량의 운전석과 조수석 사이에 설치된다. 상기 콘솔본체(11)는 상기 운전석과 상기 조수석 사이를 분할하면서, 기어노브, 각종 작동버튼 등이 설치되거나, 컵홀더 등과 같은 수납공간이 설치된다.
상기 콘솔본체(11)에는 내부에 각종 물건을 수납할 수 있도록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스토리지 박스(12)가 설치된다.
상기 콘솔본체(11)의 일측에는 리어커버(14)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암레스트(15)는 상기 스토리지 박스(12)의 상부에 대하여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암레스트(15)는 쿠션재질로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암레스트(15)는 탑승자의 팔을 지지하는 역할과 상기 스토리지 박스(12)의 상부를 개폐하는 덮개 역할을 한다. 즉, 상기 암레스트(15)는 평상시에는 상기 콘솔본체(11)의 일측에 락킹되어 있어서, 상기 탑승자의 팔을 지지하면서, 상기 스토리지 박스(12)의 상부를 폐쇄한다. 상기 암레스트(15)가 언락되면, 상기 암레스트(15)는 상기 스토리지 박스(12)에 대하여 회전하면서, 상기 스토리지 박스(12)의 상부가 개방되도록 하여, 상기 스토리지 박스(12)의 내부로 물건을 수납하거나, 수납된 물건을 꺼낸다. 상기 암레스트(15)에는 상기 암레스트(15)가 상기 스토리지 박스(12)를 폐쇄할 때, 상기 암레스트(15)와 상기 스토리지 박스(12) 사이에서 발생하는 충격을 완충하고 상기 암레스트(15)가 언락되면 상기 암레스트(15)를 팝업시키는 팝업부재(15b)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락킹후크(23)의 락킹시 발생하는 충격을 흡수하기 위해 탄성재질로 형성되면서 상기 락킹후크(23)와 상기 암레스트(15) 사이의 간격을 없애주는 완충부재(15c)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버튼부재(21)는 상기 콘솔본체(11)의 내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버튼부재(21)는 대략 상하 방향으로 승강되게 설치되어 있어서, 상기 탑승자가 상기 버튼부재(21)를 눌러 작동한다. 상기 버튼부재(21)가 상기 탑승자로부터 눌러지면, 상기 암레스트(15)를 언락시킨다.
작동유닛은 상기 버튼부재(21)로 입력된 작동력에 의해 상기 암레스트(15)를 상기 콘솔본체(11)로부터 언락시킨다.
콘솔커버(13)는 상기 콘솔본체(11)의 상부에 결합된다. 상기 콘솔커버(13)는 상기 콘솔본체(11)의 상부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콘솔본체(11)의 상부 또는 상부 일부를 덮는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콘솔본체(11)는 상기 콘솔본체(11)에서 상기 버튼부재(21)와 상기 작동유닛이 설치되는 부위를 덮는다.
상기 콘솔커버(13)의 일측에는 관통공이 형성되어, 상기 버튼부재(21)의 상단이 노출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암레스트(15)의 상단, 상기 콘솔커버(13)의 표면 및 상기 버튼부재(21)의 상단은 동일한 면상에 위치한다. 상기 암레스트(15)의 상단면, 상기 콘솔커버(13)의 표면 및 상기 버튼부재(21)의 상단이 배치되는 면은 곡면이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암레스트(15)의 상단, 상기 콘솔커버(13)의 표면 및 상기 버튼부재(21)의 상단이 동일한 면에 위치하므로, 상기 암레스트(15)의 전단과 상기 콘솔커버(13)가 자연스럽게 연결됨으로써, 미려한 실내를 구현할 수 있다.
상기 버튼부재(21)는 상기 탑승자가 눌러 작동하는 버튼노브(21a)와, 상기 버튼노브(21a)으로부터 상기 버튼부재(21)의 슬라이딩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어 상기 버튼노브(21a)로 입력된 작동력을 전달하는 버튼로드(21b)로 이루어진다. 상기 버튼부재(21)는 상기 탑승자의 작동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상기 콘솔본체(11)의 내부에 설치된다.
또한, 상기 버튼부재(21)는 탑승자의 작동후, 원위치로 복귀할 수 있도록 버튼복귀 스프링(21c) 등에 의해 탄성지지된 상태로 설치된다.
상기 버튼노브(21a)의 상단은 상기 콘솔커버(13) 상에서 노출된다. 상기 버튼노브(21a)의 상단과 상기 콘솔커버(13)의 표면은 동일한 면에 형성된다. 상기 버튼노브(21a)는 상단이 상기 탑승자가 작동할 수 있도록 일정 면적으로 형성된다. 상기 버튼노브(21a)의 일측에는 상기 버튼복귀 스프링(21c)이 설치된다.
상기 버튼로드(21b)는 상기 버튼노브(21a)의 하단으로부터 상기 버튼부재(21)의 작동방향으로 연장된다. 상기 버튼부재(21)가 실질적으로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하므로, 상기 버튼로드(21b)는 상기 버튼노브(21a)의 하단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게 형성된다. 상기 버튼로드(21b)의 하단은 작동유닛의 일측에 접촉되거나, 인접되게 위치한다.
상기 콘솔본체(11)의 내부에 상기 버튼부재(21)의 슬라이딩을 가이드하는 버튼가이드(22)가 장착된다. 상기 버튼로드(21b)가 상기 버튼가이드(22)를 관통하는 형태로 설치됨으로써, 상기 버튼가이드(22)가 상기 버튼로드(21b)의 슬라이딩을 가이드한다. 상기 버튼가이드(22)는 상기 스토리지 박스(12)의 브라켓부(12a)에 형성된 장착된 커버마운팅브라켓(16)에 상기 버튼가이드(22)가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버튼가이드(22)가 상기 버튼부재(21)가 장착됨으로써, 상기 버튼부재(21)는 상기 콘솔본체(11)의 내부에서 슬라이딩 가능한 상태로 설치된다.
작동유닛은 상기 콘솔본체(11)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평상시에는 상기 암레스트(15)의 일측을 락킹하고, 상기 버튼부재(21)가 작동되면 상기 암레스트(15)를 언락하는 락킹후크(23)를 포함한다.
락킹후크(23)는 상기 콘솔본체(11)의 내부, 바람직하게는 상기 스토리지 박스(12)의 일측에 형성된 브라켓부(12a)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락킹후크(23)는 중간부분이 상기 브라켓부(12a)에 회전가능하게 형성되고, 상단이 상기 암레스트(15)의 일측을 구속하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락킹후크(23)는 상기 암레스트(15)를 구속하는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탄성지지되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락킹후크(23)는 작동력이 입력되지 않으면, 상기 암레스트(15)를 구속하는 방향(도 5에서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한편, 상기 암레스트(15)에는 상기 락킹후크(23)에 의해 락킹되는 후크걸림부(15a)기 형성된다. 상기 후크걸림부(15a)는 상기 락킹후크(23)의 상단을 수용하면서 상기 락킹후크(23)의 상단에 걸리는 형태로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락킹후크(23)의 상단이 상기 후크걸림부(15a)에 수용되면, 상기 암레스트(15)는 락킹되고, 상기 락킹후크(23)가 상기 후크걸림부(15a)로부터 이탈되면, 상기 암레스트(15)는 언락된다.
또한, 상기 작동유닛은 상기 버튼부재(21)의 작동력을 상기 락킹후크(23)로 전달하기 위한 후크연결로드(24)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후크연결로드(24)가 상기 버튼부재(21)의 작동력을 입력받고, 상기 후크연결로드(24)가 입력된 작동력을 상기 락킹후크(23)로 전달되도록 함으로써, 하나의 버튼부재(21)로 복수의 락킹후크(23)를 동작시킬 수 있다.
상기 후크연결로드(24)는 상기 스토리지 박스(12)에 형성된 브라켓부(12a)에 힌지연결되어, 상기 버튼부재(21)가 작동되면, 회전한다.
상기 후크연결로드(24)에는 상기 버튼로드(21b)의 하단에 접촉하는 누름부(24a)가 형성되어, 상기 누름부(24a)를 통하여 상기 버튼로드(21b)로부터 작동력이 상기 후크연결로드(24)로 입력된다.
상기 후크연결로드(24)는 서로 이격된 복수의 락킹후크(23)가 상기 버튼부재(21)의 작동시 동시에 회전하도록 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락킹후크(23)를 차량의 폭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하고, 상기 후크연결로드(24)를 통하여 서로 연결하여, 복수의 상기 락킹후크(23)가 동시에 작동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상기 암레스트(15)가 상기 차량의 폭방향을 따라 복수로 배치되면, 각각의 상기 락킹후크(23)는 각각의 상기 암레스트(15)를 전담하여 락킹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암레스트(15)가 2개로 분할되어 상기 차량의 폭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차량의 좌측과 우측으로 각각 개폐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경우, 상기 후크연결로드(24)의 양단에 각각 설치된 락킹후크(23)가 좌측과 우측으로 개폐되도록 설치된 암레스트(15)를 각각 전담하여 락킹할 수 있다.
상기 락킹후크(23)는 상기 후크연결로드(24)에 결합핀(23a)을 이용하여 결합됨으로써 상기 후크연결로드(24)와 상기 락킹후크(23)는 일체로 회전한다.
상기 후크연결로드(24)의 외측에는 상기 후크연결로드(24)와 상기 락킹후크(23)가 정해진 각도 이상으로 회전하는 것을 제한하는 스토퍼(24b)가 형성된다. 상기 스토퍼(24b)가 상기 콘솔본체(11)의 일측에 걸리도록 하여, 상기 후크연결로드(24)와 상기 락킹후크(23)가 정해진 각도 이상으로 회전하는 것을 제한한다. 상기 암레스트(15)가 언락된 후, 개방된 상태에서, 상기 버튼부재(21)를 누르는 작동력이 없어지면, 상기 락킹후크(23)가 과도하게 회전하여(도 5에서 시계방향), 상기 암레스트(15)의 폐쇄시, 상기 암레스트(15)의 하부에 눌리게 되어 상기 락킹후크(23)가 상기 암레스트(15)를 락킹할 수 없다. 따라서, 상기 암레스트(15)가 회전한 상태에서도 상기 락킹후크(23)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위치를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스토퍼(24b)가 상기 후크연결로드(24)의 회전을 제한함으로써, 상기 락킹후크(23)도 회전이 제한된다.
상기 스토리지 박스(12)에 형성된 브라켓부(12a), 상기 락킹후크(23)와 상기 후크연결로드(24)를 관통하도록 힌지핀(25)이 설치되어, 상기 락킹후크(23)와 상기 후크연결로드(24)가 상기 힌지핀(25)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상기 브라켓부(12a)에는 상기 콘솔커버(13)가 장착되는 커버마운팅브라켓(16)이 체결된다. 상기 커버마운팅브라켓(16)에 상기 콘솔커버(13)의 일측이 장착되므로써, 상기 콘솔커버(13)가 상기 콘솔본체(11)에 장착되도록 한다.
상기 커버마운팅브라켓(16)은 상기 버튼가이드(22)가 장착되기도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콘솔에 장착되는 암레스트 어셈블리의 작동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에는 상기 암레스트(15)가 락킹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락킹후크(23)가 상기 암레스트(15)를 락킹하고 있는 상태에서는 상기 암레스트(15)에 상기 탑승자의 팔을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암레스트(15)는 상기 스토리지 박스(12)의 상부를 폐쇄하고 있다.
이후, 상기 탑승자가 상기 스토리지 박스(12)의 상부를 개방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탑승자는 상기 버튼노브(21a)를 눌러 상기 암레스트(15)가 언락되도록 한다.
상기 탑승자가가 상기 암레스트(15)에 팔을 거치한 상태에서, 상기 암레스트(15)의 전방에 위치하면서, 상기 암레스트(15)의 상단과 동일한 면에 위치한 상기 버튼노브(21a)를 누르면, 상기 암레스트(15)가 언락된다. 상기 버튼노브(21a)가 상기 암레스트(15)의 전방에서 상기 암레스트(15)의 상단과 동일한 면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상기 탑승자가 손으로 용이하게 상기 버튼노브(21a)를 작동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버튼노브(21a)가 눌러지면, 상기 버튼부재(21)는 상기 버튼가이드(22)에 의해 가이드된 상태에서 하강된다.
상기 버튼부재(21)가 하강하면, 상기 버튼로드(21b)의 하단은 상기 누름부(24a)를 누르게 된다.
상기 누름부(24a)가 눌려지면, 상기 후크연결로드(24)와 상기 락킹후크(23)는 회전하고, 상기 락킹후크(23)가 회전하면서, 상기 락킹후크(23)의 상단이 상기 암레스트(15)의 후크걸림부(15a)로부터 이탈되어, 상기 암레스트(15)가 회전가능한 상태가 된다.
상기 암레스트(15)가 언락되면, 상기 암레스트(15)는 팝업되고, 상기 탑승자는 상기 언락된 상기 암레스트(15)를 회전시켜 상기 스토리지 박스(12)의 상부를 개방시킨다. 상기 스토리지 박스(12)의 상부가 개방되면, 상기 스토리지 박스(12)의 내부로 물건을 집어 넣거나, 상기 스토리지 박스(12)에 수납된 물건을 꺼낼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후크연결로드(24)를 배제하고, 상기 버튼부재(21)가 직접 상기 락킹후크(23)를 작동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즉, 상기 스토리지 박스(12)의 일측에 회전가능한 상태로 설치되고, 상기 버튼로드(21b)의 하단이 상기 락킹후크(23)의 일측에 접하도록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탑승자가 상기 버튼부재(21)를 누르면, 상기 락킹후크(23)로 작동력이 전달되어 상기 락킹후크(23)가 회전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상기 락킹후크(23)가 상기 차량의 폭방향에 대하여 중간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암레스트가 양측으로 개방되는 경우, 하나의 락킹후크로 2개이 암레스트를 동시에 락킹 또는 언락시킬 수 있다.
11 : 콘솔본체 12 : 스토리지박스
12a : 브라켓부 13 : 콘솔커버
14 : 리어커버 15 : 암레스트
15a : 후크걸림부 15b : 팝업부재
15c : 완충부재 16 : 커버마운팅브라켓
21 : 버튼부재 21a : 버튼노브
21b : 버튼로드 21c: 버튼복귀 스프링
22 : 버튼가이드 23 : 락킹후크
23a : 결합핀 24 : 후크연결로드
24a : 누름부 24b : 스토퍼
25 : 힌지핀 26 : 토션스프링

Claims (20)

  1.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는 스토리지 박스가 구비되고, 차량의 운전석과 조수석 사이에 설치되는 콘솔본체;
    차량에 탑승한 탑승자의 팔을 지지하고 상기 스토리지 박스의 상부를 개폐하도록 상기 스토리지 박스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암레스트;
    상기 콘솔본체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탑승자가 상기 암레스트를 언락시키기 위해 작동되는 버튼부재;
    상기 버튼부재의 작동 여부 따라 상기 암레스트를 상기 콘솔본체로부터 락킹 또는 언락시키는 작동유닛;
    상기 콘솔본체에서 상기 버튼부재와 상기 작동유닛이 설치되는 부위를 덮고, 상기 버튼부재의 상단이 노출되는 콘솔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암레스트의 상단, 상기 콘솔커버의 표면과 상기 버튼부재의 상단은 상기 암레스트로부터 상기 콘솔커버까지 동일한 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콘솔에 장착되는 암레스트 어셈블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암레스트의 상단, 상기 콘솔커버의 표면과 상기 버튼부재의 상단이 배치되는 면은 곡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콘솔에 장착되는 암레스트 어셈블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부재는 상기 콘솔본체의 내부에 슬라이딩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콘솔에 장착되는 암레스트 어셈블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콘솔본체의 내부에 상기 버튼부재의 슬라이딩을 가이드하는 버튼가이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콘솔에 장착되는 암레스트 어셈블리.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유닛은,
    상기 콘솔본체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암레스트의 일측을 락킹하며, 상기 버튼부재로부터 작동력이 전달되면, 상기 암레스트를 언락하는 락킹후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콘솔에 장착되는 암레스트 어셈블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락킹후크는 상기 암레스트를 락킹하는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탄성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콘솔에 장착되는 암레스트 어셈블리.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락킹후크의 회전중심에는 상기 락킹후크를 탄성지지하기 위한 토션스프링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콘솔에 장착되는 암레스트 어셈블리.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락킹후크는 상기 차량의 폭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설치되고,
    상기 버튼부재의 작동력을 상기 복수의 락킹후크로 전달하기 위한 후크연결로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콘솔에 장착되는 암레스트 어셈블리.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연결로드는 상기 락킹후크와 동축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콘솔에 장착되는 암레스트 어셈블리.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연결로드의 일측에는, 상기 버튼부재의 하단과 접하여, 상기 버튼부재의 작동력이 상기 후크연결로드로 입력되는 누름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콘솔에 장착되는 암레스트 어셈블리.
  11.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부재는,
    상단이 상기 콘솔커버에 노출되어 상기 탑승자에 의해 작동되는 버튼노브와,
    상기 버튼노브로부터 상기 버튼부재의 슬라이딩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어 상기 버튼노브로 입력된 작동력을 상기 작동유닛으로 전달하는 버튼로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콘솔에 장착되는 암레스트 어셈블리.
  12.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암레스트는,
    상기 락킹후크의 단부가 걸려 고정되는 후크걸림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콘솔에 장착되는 암레스트 어셈블리.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락킹후크와 상기 암레스트는 상기 차량의 폭방향을 따라 복수로 배치되고,
    각각의 상기 락킹후크는 각각의 상기 암레스트를 전담하여 락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콘솔에 장착되는 암레스트 어셈블리.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암레스트는 상기 차량의 폭방향을 따라 좌측 및 우측으로 각각 개폐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락킹후크는 상기 후크연결로드의 양단에 각각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콘솔에 장착되는 암레스트 어셈블리.
  15.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리지 박스의 외측에 상기 락킹후크와 상기 후크연결로드가 힌지연결되는 브라켓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콘솔에 장착되는 암레스트 어셈블리.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락킹후크와 상기 후크연결로드 및 상기 브라켓부를 관통하는 힌지핀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콘솔에 장착되는 암레스트 어셈블리.
  17.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연결로드의 외측에는 상기 후크연결로드와 상기 락킹후크가 정해진 각도 이상으로 회전하는 것을 제한하는 스토퍼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콘솔에 장착되는 암레스트 어셈블리.
  1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부에 상기 콘솔커버가 장착되는 커버마운팅브라켓이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콘솔에 장착되는 암레스트 어셈블리.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콘솔본체의 내부에 상기 버튼부재의 슬라이딩을 가이드하는 버튼가이드는 상기 커버마운팅브라켓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콘솔에 장착되는 암레스트 어셈블리.
  20.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는 스토리지 박스가 구비되고, 차량의 운전석과 조수석 사이에 설치되는 콘솔본체;
    차량에 탑승한 탑승자의 팔을 지지하고 상기 스토리지 박스의 상부를 개폐하도록 상기 스토리지 박스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암레스트;
    상기 콘솔본체의 상부 일부를 덮는 콘솔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콘솔본체의 내부에 슬라이딩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탑승자가 상기 암레스트를 언락시키기 위해 작동되는 버튼부재와,
    상기 콘솔본체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암레스트의 일측을 락킹하며, 상기 버튼부재로부터 작동력이 전달되면, 상기 암레스트를 언락하는 락킹후크를 더 포함하며,
    상기 락킹후크는 상기 차량의 폭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설치되고,
    상기 락킹후크와 동축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버튼부재의 작동력을 상기 복수의 락킹후크로 전달하기 위한 후크연결로드를 더 포함하며,
    상기 후크연결로드의 일측에는, 상기 버튼부재의 하단과 접하여, 상기 버튼부재의 작동력이 상기 후크연결로드로 입력되는 누름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콘솔에 장착되는 암레스트 어셈블리.
KR1020200033855A 2020-03-19 2020-03-19 차량의 콘솔에 장착되는 암레스트 어셈블리 Pending KR20210118276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3855A KR20210118276A (ko) 2020-03-19 2020-03-19 차량의 콘솔에 장착되는 암레스트 어셈블리
DE102020211858.2A DE102020211858B4 (de) 2020-03-19 2020-09-22 Armlehnenanordnung an einer konsole eines fahrzeugs
CN202011009361.4A CN113492743A (zh) 2020-03-19 2020-09-23 安装在车辆的控制台上的扶手组件
US17/036,832 US11541792B2 (en) 2020-03-19 2020-09-29 Armrest assembly mounted on console of vehi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3855A KR20210118276A (ko) 2020-03-19 2020-03-19 차량의 콘솔에 장착되는 암레스트 어셈블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8276A true KR20210118276A (ko) 2021-09-30

Family

ID=775525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3855A Pending KR20210118276A (ko) 2020-03-19 2020-03-19 차량의 콘솔에 장착되는 암레스트 어셈블리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1541792B2 (ko)
KR (1) KR20210118276A (ko)
CN (1) CN113492743A (ko)
DE (1) DE102020211858B4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60705A (ko) * 2021-10-28 2023-05-08 주식회사 서연이화 차량의 암레스트 잠금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16331782U (zh) * 2021-03-11 2022-04-19 福特全球技术公司 存储控制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12430A (ko) 2016-03-31 2017-10-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콘솔 암레스트

Family Cites Families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16099A (en) * 1991-05-14 1992-05-26 Lear Seating Corporation Mechanical latch locking a cover of pivoting armrest assembly
KR19990006441U (ko) * 1997-07-26 1999-02-25 양재신 자동차용 리어 시트의 아암 레스트 장치
US5803537A (en) * 1997-08-20 1998-09-08 General Motors Corporation Storable vehicle arm rest with improved latch block out
DE10139867B4 (de) * 2001-08-14 2005-10-27 Dr.Ing.H.C. F. Porsche Ag Ablagefach in einem Fahrzeug
KR100558409B1 (ko) * 2003-11-11 2006-03-10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콘솔박스
JP2006022482A (ja) * 2004-07-06 2006-01-26 Honda Motor Co Ltd プッシュボタン式ボックス開放構造
JP4695522B2 (ja) * 2006-02-14 2011-06-08 株式会社パイオラックス リッドのロック装置
JP4777123B2 (ja) * 2006-04-18 2011-09-21 株式会社ニフコ ロック装置
KR100738805B1 (ko) * 2006-06-12 2007-07-12 주식회사 키프코 자동차용 트레이의 덮개 잠금장치
KR100837907B1 (ko) * 2006-10-18 2008-06-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트레이의 잠금장치
KR100798845B1 (ko) * 2006-12-07 2008-01-28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용 트레이의 잠금장치
KR100906670B1 (ko) * 2007-12-12 2009-07-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 암레스트 콘솔박스의 고정 구조
CN101931067A (zh) * 2009-06-26 2010-12-29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电池盖组件
KR101470118B1 (ko) * 2013-01-29 2014-12-05 주식회사 니프코코리아 자동차 암 레스트 커버 개폐장치
US9238439B2 (en) * 2013-07-30 2016-01-19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Storage assembly for vehicle center console
EP3111030A1 (en) * 2014-02-04 2017-01-04 Johnson Controls Technology Company Latch assembly for a vehicle compartment door
EP3105395A1 (en) * 2014-02-12 2016-12-21 Johnson Controls Technology Company Latch assembly for a vehicle compartment door
CN208168582U (zh) * 2015-09-28 2018-11-30 上海延锋金桥汽车饰件系统有限公司 车辆内部部件
US9863171B1 (en) * 2016-09-28 2018-01-09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le compartment
US10604974B2 (en) * 2017-03-27 2020-03-31 Shanghai Yanfeng Jinqiao Automotive Trim Systems Co. Ltd. Vehicle interior component
JP6840631B2 (ja) * 2017-06-23 2021-03-10 小島プレス工業株式会社 車両用内装装置
CN207089147U (zh) * 2017-11-03 2018-03-13 东莞广泽汽车饰件有限公司 一种车用储物盒
US10352071B2 (en) * 2017-11-09 2019-07-16 Fca Us Llc Locking assembly for vehicle armrest
US10669752B2 (en) * 2017-12-20 2020-06-02 Lear Corporation Armrest assembly with lid with latch release handle
CN208073186U (zh) * 2018-03-19 2018-11-09 广州汽车集团股份有限公司 扶手箱结构及汽车
US10428564B1 (en) * 2018-06-07 2019-10-01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Storage container with latch for seating assembly
JP6517410B1 (ja) * 2018-06-27 2019-05-22 カルソニックカンセイ株式会社 リッドロック機構およびコンソールボックス
CN209336604U (zh) * 2018-11-14 2019-09-03 李刚 一种车用扶手箱
DE102018222778A1 (de) * 2018-12-21 2020-06-25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Verschließeinrichtung für ein Ablagefach, Ablagefach für ein Kraftfahrzeug
US11077778B2 (en) * 2019-08-05 2021-08-03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Offset dual pawl armrest latch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12430A (ko) 2016-03-31 2017-10-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콘솔 암레스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60705A (ko) * 2021-10-28 2023-05-08 주식회사 서연이화 차량의 암레스트 잠금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10291710A1 (en) 2021-09-23
US11541792B2 (en) 2023-01-03
DE102020211858B4 (de) 2025-07-03
CN113492743A (zh) 2021-10-12
DE102020211858A1 (de) 2021-09-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199915A1 (en) Overslam bumper for vehicle door latch
JP3001800B2 (ja) 車両の開閉体
EP1155912B1 (en) Rear luggage compartment structure for vehicle bodies
US20120001447A1 (en) Integrated Inertial Lock and Latch for Console Lid
EP0546668A1 (en) Glove compartment
US10358069B2 (en) Armrest assembly for vehicle interior
KR100683225B1 (ko) 자동차의 트레이 록킹 구조
EP3309006B1 (en) Sliding armrest for vehicle
EP3356626B1 (en) Vehicle interior component
JP2001180385A (ja) 収納ボックス
US20200071984A1 (en) Double-doored lid apparatus
KR20210118276A (ko) 차량의 콘솔에 장착되는 암레스트 어셈블리
JP4020755B2 (ja) 自動車の小物入れ兼用カップホルダ装置
KR20180073027A (ko) 차량용 센터콘솔 암레스트
US11498491B2 (en) Vehicle storage device
JPH04224431A (ja) 車両用収納ボックスのリッド開閉装置
JP4329055B2 (ja) 車両の後部荷室構造
KR100738305B1 (ko) 자동차의 콘솔박스 덮개 개폐장치
CN117962721A (zh) 可两侧翻转开启的扶手箱
JP4332827B2 (ja) 車両の後部荷室構造
JP2016101769A (ja) 車載用カップホルダ
KR101052831B1 (ko) 암레스트의 팝업장치
KR102291235B1 (ko) 차량용 스트랩 핸들 일체형 인사이드 핸들 구조
KR100836102B1 (ko) 차량용 리어 암레스트
US7870984B2 (en) Housing with lid and kinematic fr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00319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5012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