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210108262A - 도로 측구 보수공법 - Google Patents

도로 측구 보수공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08262A
KR20210108262A KR1020200023225A KR20200023225A KR20210108262A KR 20210108262 A KR20210108262 A KR 20210108262A KR 1020200023225 A KR1020200023225 A KR 1020200023225A KR 20200023225 A KR20200023225 A KR 20200023225A KR 20210108262 A KR20210108262 A KR 202101082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pair
site
layer
concrete
temporary pavemen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32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호영
Original Assignee
전호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호영 filed Critical 전호영
Priority to KR10202000232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08262A/ko
Publication of KR202101082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08262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1/00Details of pavings
    • E01C11/005Methods or materials for repairing pav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1/00Details of pavings
    • E01C11/22Gutters; Kerbs ; Surface drainage of streets, roads or like traffic areas
    • E01C11/221Kerbs or like edging members, e.g. flush kerbs, shoulder retaining means ; Joint members, connecting or load-transfer means specially for kerb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측구의 열화부분을 긁어내고 고강도콘크리트로 보수층을 형성하는 과정에서 콘크리트의 흘러내림을 막는 보수틀이 콘크리트에 함께 매립되어 양생 뒤 보강재 역할을 겸하도록 함으로써, 별도 거푸집 시공과정이 생략되므로 시공성이 향상되는 도로 측구 보수공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손상된 측구 표면과 포장층 일부를 긁어서 보수자리 및 임시포장자리를 만들고, 상기 보수자리와 임시포장자리의 경계에 보수틀을 세운 뒤 상기 보수자리에 고강도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이후 임시포장자리에 아스콘을 타설하여 보수층 및 임시포장층을 형성하는 도로 측구 보수공법에 있어서, 상기 보수틀은 상기 보수자리에 놓이는 바닥부, 상기 바닥부의 한쪽 끝에서 상기 보수자리와 임시포장자리의 경계에 수직으로 세워져서 고강도콘크리트가 임시포장자리로 넘어가지 못하게 막는 벽부, 그리고 상기 바닥부의 반대쪽 끝에서 보수자리 쪽으로 꺾여서 상기 보수자리에 형성되는 고정홈에 끼워져 상기 벽부를 수직으로 고정시키는 고정부로 구성되고; 상기 고강도콘크리트가 상기 보수자리에 타설되면 상기 바닥부와 고정부는 콘크리트에 매립되고 상기 벽부는 임시포장층과 보수층 사이에 놓이게 되는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도로 측구 보수공법{Road side ditch repair method}
본 발명은 도로 측구 보수공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측구의 열화부분을 긁어내고 고강도콘크리트로 보수층을 형성하는 과정에서 콘크리트의 흘러내림을 막는 보수틀이 콘크리트에 함께 매립되어 양생 뒤 보강재 역할을 겸하도록 함으로써, 별도 거푸집 시공과정이 생략되므로 시공성이 향상되는 도로 측구 보수공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로는 아스팔트나 콘크리트로 포장되는데, 도로의 가장자리에는 도로 측구가 마련됨으로써 도로에 고인 물을 배수시키게 된다. 이러한 측구는 차량 등에 의한 진동과 겨울철 물의 동결융해 및 염화칼슘 등의 염해로 인해서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노화 및 열화되므로 측구의 장기 사용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이러한 노화부분 및 열화부분에 대한 보수 및 보강작업이 필요하게 된다. 보통 도로 측구는 열화된 부분을 파쇄기로 긁어 보수자리를 만들고 여기에 고강도 콘크리트를 타설하였다.
종래 특허 제1377858호의 도로측구 보수방법은 측구를 파쇄기로 일일이 깨뜨리지 않고 평삭기로 표면을 긁고, 측구의 평삭면에 보수 몰탈을 포설하는 방식으로 측구 보수 작업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보수 작업 시간을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러나 종래 특허는 측구와 측구 경계의 아스팔트 포장층 일부를 긁어내고 측구 경계에 가림막을 세워 콘크리트 몰탈 타설시 거푸집 역할을 하도록 하였으나, 가림막을 여러 버팀목으로 지탱시켜야 되므로 작업성이 떨어지고 또한 버팀목 및 가림막은 콘크리트 타설후 철거해야 되므로 작업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개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측구의 열화부분을 긁어내고 고강도콘크리트로 보수층을 형성하는 과정에서 콘크리트의 흘러내림을 막는 보수틀이 콘크리트에 함께 매립되어 양생 뒤 보강재 역할을 겸하도록 함으로써, 별도 거푸집 시공과정이 생략되므로 시공성이 향상되는 도로 측구 보수공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평지에서 측구에 고인 물이 빗물배수구로 원활히 흘러가게 상기 빗물배수구들 사이 중간 지점을 높게 형성해야 되는데, 상기 보수틀이 측구의 경사면 형성에 도움을 주도록 함으로써, 측구의 평지 시공이 편리한 도로 측구 보수공법을 제공함에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손상된 측구 표면과 포장층 일부를 긁어서 보수자리 및 임시포장자리를 만들고, 상기 보수자리와 임시포장자리의 경계에 보수틀을 세운 뒤 상기 보수자리에 고강도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이후 임시포장자리에 아스콘을 타설하여 보수층 및 임시포장층을 형성하는 도로 측구 보수공법에 있어서, 상기 보수틀은 상기 보수자리에 놓이는 바닥부, 상기 바닥부의 한쪽 끝에서 상기 보수자리와 임시포장자리의 경계에 수직으로 세워져서 고강도콘크리트가 임시포장자리로 넘어가지 못하게 막는 벽부, 그리고 상기 바닥부의 반대쪽 끝에서 보수자리 쪽으로 꺾여서 상기 보수자리에 형성되는 고정홈에 끼워져 상기 벽부를 수직으로 고정시키는 고정부로 구성되고; 상기 고강도콘크리트가 상기 보수자리에 타설되면 상기 바닥부와 고정부는 콘크리트에 매립되고 상기 벽부는 임시포장층과 보수층 사이에 놓이게 되는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보수가 필요한 측구 표면을 평삭기로 긁어낼 때 측구 경계의 아스팔트 포장층 일부도 함께 긁어서 측구의 보수자리와 포장층의 임시포장자리가 형성되도록 한다. 이후 측구와 포장층 경계에 거푸집 역할을 하는 보수틀을 설치하는데, 보수틀은 하단이 측구 표면의 홈으로 끼워져 고정되므로 보수틀을 고정하기 위한 버팀목 시공이 불필요하고 또한 콘크리트 양생 뒤 보수틀이 콘크리트에 묻혀 보강재 역할을 하므로 측구와 포장층 경계의 내구성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평지에서 측구는 20M 간격으로 빗물 배수구가 형성되기 때문에 이들 빗물 배수구들 사이 중간지점은 빗물 배수구들 보다 높게 해야 빗물이 배수구로 원활히 흘러간다. 따라서 상기 보수틀은 20M 간격으로 떨어진 빗물 배수구들 사이에서 중간지점을 기준으로 양쪽으로 낮아지는 기울기가 형성되는 수단이 구비되므로 보수자리에 고강도 콘크리트를 타설할 때 측구 표면 기울기를 정확하게 시공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 한 실시예의 보수공법에 사용되는 보수틀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한 실시예의 보수공법의 측구 보수전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 한 실시예의 보수공법의 측구 보수후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 한 실시예의 보수공법의 측구 보수후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 다른 실시예의 보수공법에 사용되는 보수틀의 사시도
도 1 내지 도 4에서 본 발명 한 실시예의 보수공법은 평지에 시공된 측구(10)의 손상된 표면 및 포장층(20)의 일부를 함께 긁어서 보수자리(11) 및 임시포장자리(21)를 형성한다. 상기 임시포장자리(21)는 측구(10)의 손상된 표면만 정확하게 긁어낼 수 없으므로 포장층(20) 일부를 함께 긁어내기 위한 것으로서, 측구(10)가 보수되면 임시포장자리(21)는 아스콘으로 재포장된다.
상기 보수자리(11)에는 보수틀(30)이 사용되는데, 상기 보수틀(30)은 고강도콘크리트가 임시포장자리(21)로 흘러들지 않도록 가림막 역할을 한다. 상기 보수틀(30)은 20M 간격으로 설치되는 빗물 배수구(40)들 사이에 놓이도록 20M 길이로 제작되어야 하는데, 운반 및 보관을 고려하여 2M 간격으로 10개가 한조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처럼 분할된 각 보수틀(30)은 측구(10)를 긁어서 만들어진 보수층(12) 표면에 놓이는 바닥부(31)가 구비되고, 상기 바닥부(31) 끝단에는 직각으로 꺾인 고정부(32)가 형성된다. 상기 고정부(32)는 상기 보수층(12) 표면에 일정깊이 만들어진 고정홈(13)에 억지끼움 식으로 끼워져 상기 바닥부(31)가 보수층(12) 표면에 고정되도록 해준다.
상기 바닥부(31)에는 상기 고정부(32) 반대쪽 측면에 수직으로 벽부(33)가 형성되는데, 상기 벽부(33)는 고강도콘크리트가 임시포장자리(21)로 흘러들지 않게 가림막 역할을 한다. 따라서 상기 벽부(33)는 임시포장자리(21)와 보수자리(11)의 경계에 놓이도록 상기 고정홈(13)이 보수자리(11)에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바닥부(31)에는 다수의 관통부(34)가 형성되는데, 상기 관통부(34)는 고강도콘크리트가 상기 바닥부(31)를 통과하여 보수자리(11)에 접하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하며 또한 콘크리트가 바닥부(31)의 상하측을 관통하여 양생되도록 하여서 바닥부(31)가 콘크리트에 매립되도록 해준다.
그리고 상기 각 보수틀(30)은 평지의 측구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20M 간격으로 떨어진 빗물 배수구(40)들 사이에서 다수개가 연속으로 연결되고, 빗물 배수구(40)들 중간에서 양쪽으로 낮아지는 기울기가 형성되도록 각 벽부(33)의 상단이 연속된 곡면부(35)로 형성된다. 이들 곡면부(35)는 빗물 배수구(40)들 사이 길이(20M)의 약 5% 이내의 기울기(d)를 갖도록 해야 측구에 빗물이 고이지 않고 빗물 배수구(40)로 흘러 들어간다. 미설명부호 14는 보도와 차도를 구분하는 경계석이다.
이처럼 구성된 본 발명 한 실시예의 보수공법은 평지에 형성되는 측구(10)와 포장층(20) 일부를 긁어서 보수자리(11)와 임시포장자리(21)를 형성한 뒤 고강도콘크리트를 타설하기 위한 가림막 및 버팀목의 시공이 불필요하고 또한 콘크리트 양생 뒤 가림막과 버팀목을 철거할 필요가 없으므로 시공이 편리한 이점이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시공과정은 다음과 같다. 먼저 평삭기로 평지 측구(10)의 손상된 표면과 포장층(20)의 일부를 긁어서 약 50mm 깊이로 파낸 보수자리(11) 및 임시포장자리(21)를 형성한다. 이후 보수자리(11) 표면에는 보수틀(30)의 벽부(33)가 보수자리(11)와 임시포장자리(21)의 경계에 세워지도록 고정홈(13)을 파고 상기 보수틀(30)의 고정부(32)를 고정홈(13)에 억지끼움 식으로 끼워 고정하면 바닥부(31)가 보수자리(11)에 놓인 상태로 벽부(33)가 수직으로 세워진다. 이때 고정홈(32)을 파지 않고 보수틀(30)에 앵커볼트를 체결하여 임시포장자리(21)에 고정시킬 수 도 있다.
상기 빗물 배수구(40)들 사이에 놓이는 상기 보수틀(30)은 여러개 분할된 것이 한조를 이루기 때문에 각 보수틀(30)을 보수자리(11)에 고정할때 각 벽부(33) 상단의 곡면부(35)가 연속된 기울기를 갖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곡면부(35)들은 빗물 배수구(40)들 중간에서 양쪽으로 낮아지는 기울기가 형성되도록 연결한다.
이후 고강도콘크리트를 보수자리(11)에 타설하고 표면을 평탄하게 다지는 과정에서 각 벽부(33) 상단의 곡면부(35)가 기준선이 되도록 하면 콘크리트 양생된 만들어지는 보수층(12)은 빗물 배수구(40)들 중간에서 양쪽으로 낮아지는 기울기가 자연스럽게 만들어진다. 또한 벽부(33)로 인하여 콘크리트가 임시포장자리(21)로 흘러들지 않으며 바닥부(31)가 콘크리트에 매립되고 이후 임시포장자리(21)에 아스콘을 타설하여 임시포장층(22)을 형성하면 벽부(33)로 인하여 보수층(12)과 임시포장층(22) 사이 틈새가 보강되어 파손이 방지되는 이점이 있다.
도 5는 본 발명 다른 실시예의 보수공법으로써, 평지가 아닌 경사지에 측구(10)가 형성되었을 때 보수틀(30)의 형태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 보수틀(30)은 평지에 설치되는 것과 동일하며, 단지 서로 분할된 각 보수틀(30)은 연속된 상태에서 상단에 곡면부(35)가 형성되지 않고 높이가 동일하게 형성된 차이가 있다.
경사지의 경우 측구에 빗물이 고이지 않고 각 빗물 배수구(40)로 흘러들기 때문에 측구(10) 표면에 구배를 형성할 필요가 없으므로 측구의 보수과정에서 콘크리트에 구배를 형성할 필요가 없으므로 곡면부(35)가 불필요하다.
10 : 측구 11 : 보수자리
12 : 보수층 13 : 고정홈
20 : 포장층 21 : 임시포장자리
22 : 임시포장층 30 : 보수틀
31 : 바닥부 32 : 고정부
33 : 벽부 34 : 관통부
35 : 곡면부

Claims (3)

  1. 손상된 측구 표면과 포장층 일부를 긁어서 보수자리 및 임시포장자리를 만들고, 상기 보수자리와 임시포장자리의 경계에 보수틀을 세운 뒤 상기 보수자리에 고강도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이후 임시포장자리에 아스콘을 타설하여 보수층 및 임시포장층을 형성하는 도로 측구 보수공법에 있어서,
    상기 보수틀은 상기 보수자리에 놓이는 바닥부, 상기 바닥부의 한쪽 끝에서 상기 보수자리와 임시포장자리의 경계에 수직으로 세워져서 고강도콘크리트가 임시포장자리로 넘어가지 못하게 막는 벽부, 그리고 상기 바닥부의 반대쪽 끝에서 보수자리 쪽으로 꺾여서 상기 보수자리에 형성되는 고정홈에 끼워져 상기 벽부를 수직으로 고정시키는 고정부로 구성되고;
    상기 고강도콘크리트가 상기 보수자리에 타설되면 상기 바닥부와 고정부는 콘크리트에 매립되고 상기 벽부는 임시포장층과 보수층 사이에 놓이게 됨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측구 보수공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수틀은 상기 측구에 일정거리마다 놓이는 빗물 배수구들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보수틀의 벽부 상단은 중간지점에서 양쪽으로 낮아지는 곡면부로 구성되어서 콘크리트 타설후 보수층 표면 다짐시 빗물 배수구 쪽으로 높이가 낮아지도록 안내하는 기준선 역할을 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측구 보수공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부에는 콘크리트가 관통되어 보수자리 표면에 닿도록 안내하는 관통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하는 도로 측구 보수공법.
KR1020200023225A 2020-02-25 2020-02-25 도로 측구 보수공법 Ceased KR2021010826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3225A KR20210108262A (ko) 2020-02-25 2020-02-25 도로 측구 보수공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3225A KR20210108262A (ko) 2020-02-25 2020-02-25 도로 측구 보수공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8262A true KR20210108262A (ko) 2021-09-02

Family

ID=777944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3225A Ceased KR20210108262A (ko) 2020-02-25 2020-02-25 도로 측구 보수공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108262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108597A (ko) 2023-01-02 2024-07-09 주식회사 이에스씨솔루션 방초 및 염해부식 방지용 도로 측구 보수공법
KR102694282B1 (ko) 2023-10-19 2024-08-13 주식회사 이에스씨솔루션 지주 지지력 보강이 가능한 방초 및 방호 영역 구축 장치 및 방법
KR20240146361A (ko) 2023-03-29 2024-10-08 주식회사 이에스씨솔루션 지주 지지력 보강이 가능한 친환경 소재 활용 방초 및 방호 영역 구축 방법 및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108597A (ko) 2023-01-02 2024-07-09 주식회사 이에스씨솔루션 방초 및 염해부식 방지용 도로 측구 보수공법
KR20240146361A (ko) 2023-03-29 2024-10-08 주식회사 이에스씨솔루션 지주 지지력 보강이 가능한 친환경 소재 활용 방초 및 방호 영역 구축 방법 및 장치
KR102694282B1 (ko) 2023-10-19 2024-08-13 주식회사 이에스씨솔루션 지주 지지력 보강이 가능한 방초 및 방호 영역 구축 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10108262A (ko) 도로 측구 보수공법
KR101005340B1 (ko) 인조구장 및 그 시공방법
US3213768A (en) Road construction
CN212103654U (zh) 一种桥梁伸缩缝排水装置
KR101172668B1 (ko) 우수 저류구조물 및 이의 시공방법
CN210262555U (zh) 一种轻质土道路结构
US20240352682A1 (en) In-situ reconstruction and extension structure of embankment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US20120269573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Diverting Sub-surface Water
KR100592416B1 (ko) 보도가 확보되지 않은 협소한 도로에서 콘크리트옹벽블록과 트러스형 받침대를 이용한 보도확보 및차도확폭 시공방법
JP2518390Y2 (ja) 張出歩道ブロック及びそれを用いた張出歩道構造
KR102174082B1 (ko) 비탈면 배수로 시공방법
CN214362568U (zh) 无砟轨道结构
CN115748345A (zh) 一种适用于毗邻水塘地段路基加宽的施工方法
CN111501459B (zh) 山区公路的路基结构及其施工方法
JP3856791B2 (ja) 張出歩道の敷設方法
CN211816324U (zh) 一种路基边坡防护结构
KR20130140238A (ko) 다이크집수거를 이용한 도로 포장시공방법
CN210529482U (zh) 一种桥梁伸缩缝排水结构
KR20060110163A (ko) 조립식 식생 배수로 및 그 시공방법
KR100964721B1 (ko) 도로 확장 블록 시공방법
RU2841439C1 (ru) Способ строительства дороги
CN112663431A (zh) 混凝土路面断裂沉陷段处治结构及施工方法
CN218175450U (zh) 一种抗沉降式公路结构
WO2008090392A1 (en) Crossings, especially home driveway crossings
CN215051703U (zh) 道路路面修复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00225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00316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00225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070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201111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200704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PJ0201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Patent event date: 20201210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code: PJ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01111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J02011S01I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Appeal identifier: 2020101003006

Request date: 20201210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0101003006;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201210

Effective date: 20210930

PJ1301 Trial decision

Patent event code: PJ13011S01D

Patent event date: 20210930

Comment text: Trial Decision on Objection to Decision on Refusal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 date: 20201210

Decision date: 20210930

Appeal identifier: 20201010030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