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210103547A - 탄환 및 발사체 - Google Patents

탄환 및 발사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03547A
KR20210103547A KR1020217022817A KR20217022817A KR20210103547A KR 20210103547 A KR20210103547 A KR 20210103547A KR 1020217022817 A KR1020217022817 A KR 1020217022817A KR 20217022817 A KR20217022817 A KR 20217022817A KR 20210103547 A KR20210103547 A KR 202101035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llet
water
explosive charge
triggering
explosiv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228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705635B1 (ko
Inventor
앤드류 카
티모시 키이스 걸링
토마스 패트릭 오닐
머레이 톰슨
Original Assignee
배 시스템즈 피엘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EP18275186.7A external-priority patent/EP3671103A1/en
Priority claimed from GBGB1820705.0A external-priority patent/GB201820705D0/en
Priority claimed from GB1912696.0A external-priority patent/GB2586820B/en
Priority claimed from GB1917754.2A external-priority patent/GB2583394B/en
Application filed by 배 시스템즈 피엘시 filed Critical 배 시스템즈 피엘시
Priority claimed from PCT/GB2019/053599 external-priority patent/WO2020128461A1/en
Publication of KR202101035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035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7056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705635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2AMMUNITION; BLASTING
    • F42BEXPLOSIVE CHARGES, e.g. FOR BLASTING, FIREWORKS, AMMUNITION
    • F42B12/00Projectiles, missiles or mines characterised by the warhead, the intended effect, or the material
    • F42B12/02Projectiles, missiles or mines characterised by the warhead, the intended effect, or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warhead or the intended effect
    • F42B12/36Projectiles, missiles or mines characterised by the warhead, the intended effect, or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warhead or the intended effect for dispensing materials; for producing chemical or physical reaction; for signalling ; for transmitting information
    • F42B12/365Projectiles transmitting information to a remote location using optical or electronic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2AMMUNITION; BLASTING
    • F42BEXPLOSIVE CHARGES, e.g. FOR BLASTING, FIREWORKS, AMMUNITION
    • F42B10/00Means for influencing, e.g. improving, the aerodynamic properties of projectiles or missiles; Arrangements on projectiles or missiles for stabilising, steering, range-reducing, range-increasing or fall-retarding
    • F42B10/32Range-reducing or range-increasing arrangements; Fall-retarding means
    • F42B10/48Range-reducing, destabilising or braking arrangements, e.g. impact-braking arrangements; Fall-retarding means, e.g. balloons, rockets for braking or fall-retard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2AMMUNITION; BLASTING
    • F42BEXPLOSIVE CHARGES, e.g. FOR BLASTING, FIREWORKS, AMMUNITION
    • F42B12/00Projectiles, missiles or mines characterised by the warhead, the intended effect, or the material
    • F42B12/02Projectiles, missiles or mines characterised by the warhead, the intended effect, or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warhead or the intended effect
    • F42B12/20Projectiles, missiles or mines characterised by the warhead, the intended effect, or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warhead or the intended effect of high-explosive type
    • F42B12/201Projectiles, missiles or mines characterised by the warhead, the intended effect, or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warhead or the intended effect of high-explosive type characterised by target class
    • F42B12/202Projectiles, missiles or mines characterised by the warhead, the intended effect, or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warhead or the intended effect of high-explosive type characterised by target class for attacking land area or area targets, e.g. airburs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2AMMUNITION; BLASTING
    • F42BEXPLOSIVE CHARGES, e.g. FOR BLASTING, FIREWORKS, AMMUNITION
    • F42B21/00Depth char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2AMMUNITION; BLASTING
    • F42BEXPLOSIVE CHARGES, e.g. FOR BLASTING, FIREWORKS, AMMUNITION
    • F42B30/00Projectiles or missi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the ammunition class or type, e.g. by the launching apparatus or weapon used
    • F42B30/08Ordnance projectiles or missiles, e.g. shel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2AMMUNITION; BLASTING
    • F42CAMMUNITION FUZES; ARMING OR SAFETY MEANS THEREFOR
    • F42C13/00Proximity fuzes; Fuzes for remote detonation
    • F42C13/06Proximity fuzes; Fuzes for remote detonation operated by sound wa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2AMMUNITION; BLASTING
    • F42CAMMUNITION FUZES; ARMING OR SAFETY MEANS THEREFOR
    • F42C13/00Proximity fuzes; Fuzes for remote detonation
    • F42C13/08Proximity fuzes; Fuzes for remote detonation operated by variations in magnetic fiel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2AMMUNITION; BLASTING
    • F42CAMMUNITION FUZES; ARMING OR SAFETY MEANS THEREFOR
    • F42C3/00Fuzes actuated by exposure to a liquid, e.g. seawat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2AMMUNITION; BLASTING
    • F42CAMMUNITION FUZES; ARMING OR SAFETY MEANS THEREFOR
    • F42C5/00Fuzes actuated by exposure to a predetermined ambient fluid pres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2AMMUNITION; BLASTING
    • F42CAMMUNITION FUZES; ARMING OR SAFETY MEANS THEREFOR
    • F42C7/00Fuzes actuated by application of a predetermined mechanical force, e.g. tension, torsion, pres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2AMMUNITION; BLASTING
    • F42CAMMUNITION FUZES; ARMING OR SAFETY MEANS THEREFOR
    • F42C9/00Time fuzes; Combined time and percussion or pressure-actuated fuzes; Fuzes for timed self-destruction of ammun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Aiming, Guidance, Guns With A Light Source, Armor, Camouflage, And Targe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양태에 따르면, 복수의 탄환 각각을 위한 폭발물 장약을 촉발시키는 방법이 제공되며, 본 방법은, 제 1 탄환을 목표물 위치를 타격하도록 제 1 포신으로부터 공중으로 그리고 물 속으로 발사하는 단계(제 1 탄환은 제 1 폭발물 장약 및 물 속에서 제 1 폭발물 장약을 촉발시키도록 되어 있는 제 1 신관 시스템을 포함함), 및 제 2 탄환을 목표물 위치를 타격하도록 제 2 포신으로부터 공중으로 그리고 물 속으로 발사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제 2 탄환은 제 2 폭발물 장약 및 물 속에서 제 2 폭발물 장약을 촉발시키도록 되어 있는 제 2 신관 시스템을 포함하며, 본 방법은, 목표물 위치에서 조정된 폭발 이벤트를 이루기 위해 제 1 폭발물 장약과 제 2 폭발물 장약의 촉발의 시기를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탄환 및 발사체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탄환 및 발사체, 특히, 그러한 탄환 및 발사체와 관련된 방법과 시스템, 및 특정한 탄환과 발사체 자체에 관한 것이다.
탄환은 많은 상이한 용례를 위해 많은 상이한 형태로 제공된다. 전형적으로, 특정한 용례 또는 의도를 위한 특정한 탄환이 사용될 것이다. 이의 좋은 예는, 용례가 수중 대상물(예컨대, 목표물)을 타격하거나 일반적으로 그와 상호 작용하는 것을 포함하는 경우이다.
수중 목표물을 타격할 때, 전형적인 접근법은 수중 폭뢰(depth charge)를 사용하는 것이다. 수중 폭뢰는 선박의 일측에서 또는 헬리콥터 등에서 투하되며, 그런 다음에 수중 폭뢰는 물 속에서 수중 폭뢰가 활성화되는 미리 결정된 깊이까지 내려가게 된다(즉, 그의 폭발물 장약은 수중 폭뢰가 폭발되도록 촉발됨). 이상적으로, 이 깊이는 목표물을 손상시키거나 불능시키도록, 타격할 목표물(또는 다른 대상물)의 일반적인 근처가 될 것이다. 목표물을 하나 이상의 수중 폭뢰로 타격하는 것은 수십 년간 비교적 흔한 일이고 종종 효과적이지만, 이 접근법에는 단점이 있다.
주 단점 중의 하나는 사정 거리이다. 즉, 수중 폭뢰는 요구되는 손상을 수중 목표물에 가할 수 있지만, 이는, 수중 목표물이 그 목표물을 타격하는 선박의 바로 아래에 위치되어 있지 않고 대신에 선박으로 멀리 떨어진 거리(예컨대, 수면을 가로질러 측정됨)에, 예컨대 수백 미터 또는 심지어 수 킬로미터 떨어져 위치되는 경우에는 달성하기가 어렵거나 불가능할 수 있다. 추가로, 복수의 수중 폭뢰로 목표물을 동시에 또는 복수의 선박으로부터 동시에 타격하는 것은 어려울 수 있다. 다시 말해, 목표물 위치에서 조정된(co-ordinated) 폭발 이벤트 및 확실히 큰 사정 거리에서의 조정을 이루기 위해 복수의 수중 폭뢰의 사용과의 조정이 없다. 또한, 수중 폭뢰에 의해 야기되는 폭발은, 선박 자체의 근처에 있다면, 수중 폭뢰를 전개한 실제 선박을 손상시키는 위험을 갖는다.
헬리콥터 또는 다른 항공기의 사용이 수중 폭뢰의 사용 범위를 상당히 증가시킬 수 있지만, 예컨대, 항공기가 관련된 선박 또는 다른 플랫폼으로부터 전개되는 경우에는, 이 접근법은 항공기의 사용을 포함하는데, 이 항공기는 비싸거나 위험할 수 있다. 물론, 항공기가 발진된 선박으로부터의 상당한 거리에 복수의 또는 한 무리의 수중 폭뢰를 전개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또는 한 무리의 항공기를 사용하는 것은 실제적이지 않거나 가끔 가능하지 않다. 또한, 항공기는 빠르게 이동할 수 있더라도, 항공기가 목표물 위치에 도달하고 수중 폭뢰를 전개시키는 데에 상당한 양의 시간이 걸릴 수 있다. 이는, 목표물을 타격하기 위한 명령 또는 지시가 발해진 경우에, 특히 항공기가 비행 중이지 않을 때 그러하다.
다른 접근법은 박격포 포탄의 사용을 포함한다. 박격포 포탄은 선박의 갑판으로부터 발사되어 주변 물 속으로 들어갈 수 있는데, 그런 다음에 박격포 포탄은 특정한 깊이까지 내려가 폭발되어 수중 목표물을 불능 상태로 만들거나 손상시킬 수 있다. 이들 박격포 포탄은 아마도 수중 폭뢰의 사용과 비교하여 증가된 사정 거리를 가질 수 있지만, 그의 폭발력은 아마도 수중 폭뢰 만큼 크지 않다. 또한, 발사 정확도는 이상적이지 않고, 박격포 포탄의 사정 거리는 여전히 제한된다.
수중 목표물을 타격하는 추가 접근법은 어뢰, 예컨대 선박의 갑판에서 발사되는 갑판 발사 어뢰 또는 잠수함, 헬리콥터 또는 비행기에서 발사되는 어뢰를 사용하는 것이다. 주로 어뢰는 자기 추진식이기 때문에, 어뢰의 사용은 사정 거리에 대해 위에서 논의된 문제 중의 일부를 극복할 수 있다. 그러나, 어뢰는 궁극적으로 이론적으로 사용되기에 너무 비싸고, 또는 목표물의 예상되는 또는 결정된 위치(예컨대, 목표물 위치, 타격할 대상물과 정확히 동일한 위치일 필요는 없음)에서 또는 그 근처에서 복수의 폭발을 일으키기 위해 한번에 복수의 어뢰를 사용하는 것은 너무 비싸다.
추가적으로, 탄환이 포에서 물 쪽으로 발사되어 그 물 속으로 들어가 큰 정확도로 상당한 사정 거리를 얻을 때에도, 자연적인(예컨대, 탄도) 궤적으로 인해 수면과의 충돌이 야기될 것인데, 이 충돌은 탄환에 대한 손상, 탄환 경로의 큰 변화를 야기할 수 있으며 또는 일반적으로 탄환이 아마도 처음에 의도된 대로 기능하지 않게 할 것이다. 이는 또한 일반적으로 다음에 물과 충돌하기 위해 발포되거나 또는 일반적으로 발사되는 발사체, 예컨대 정찰 발사체 등에 대한 경우이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 형태의 일 예시적인 목표는, 여기서 또는 다른 곳에서 언급된 종래 기술의 하나 이상의 단점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피하거나 극복하거나 또는 적어도 기존의 장치 및 방법에 대한 실행 가능한 대안예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1 양태에 따르면, 복수의 탄환 각각을 위한 폭발물 장약을 촉발시키는 방법이 제공되며, 본 방법은, 제 1 탄환을 목표물 위치를 타격하도록 제 1 포신으로부터 공중으로 그리고 물 속으로 발사하는 단계(제 1 탄환은 제 1 폭발물 장약 및 물 속에서 상기 제 1 폭발물 장약을 촉발시키도록 되어 있는 제 1 신관 시스템을 포함함); 제 2 탄환을 목표물 위치를 타격하도록 제 2 포신으로부터 공중으로 그리고 물 속으로 발사하는 단계(제 2 탄환은 제 2 폭발물 장약 및 물 속에서 상기 제 2 폭발물 장약을 촉발시키도록 되어 있는 제 2 신관 시스템을 포함함); 및 상기 목표물 위치에서 조정된 폭발 이벤트를 이루기 위해 상기 제 1 폭발물 장약과 제 2 폭발물 장약의 촉발의 시기를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목표물 위치에서 조정된 폭발 이벤트를 이루기 위해 상기 제 1 폭발물 장약과 제 2 폭발물 장약의 촉발의 시기를 조정하는 단계는, 각각의 제 1 및/또는 제 2 탄환의 외부로부터 조정 데이터 신호를 상기 제 1 및/또는 제 2 신관 시스템에 전송하는 것을 포함한다.
목표물 위치에서 조정된 폭발 이벤트를 이루기 위해 상기 제 1 폭발물 장약과 제 2 폭발물 장약의 촉발의 시기를 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및/또는 탄환 이외의 물체로부터 상기 조정 데이터 신호를 전송하는 것을 포함한다.
목표물 위치에서 조정된 폭발 이벤트를 이루기 위해 상기 제 1 폭발물 장약과 제 2 폭발물 장약의 촉발의 시기를 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탄환이 조정 데이터 신호를 제 2 탄환의 제 2 신관 시스템에 전송하는 것을 포함한다.
제 1 탄환으로부터 데이터 신호를 전송하는 것은 제 1 탄환의 위치에 환경적 조건을 감지하여 촉발된다.
제 2 탄환의 제 2 신관 시스템은 상기 조정 데이터 신호를 받으면 제 2 폭발물 장약만 촉발시킬 수 있다.
조정 데이터 신호는 데이터 신호를 받는 탄환의 신관 시스템의 촉발의 시기를 정하는 데에 사용되는 시기 데이터(예컨대, 시기 데이터만)를 포함할 수 있다.
목표물 위치에서 조정된 폭발 이벤트를 이루기 위해 상기 제 1 폭발물 장약과 제 2 폭발물 장약의 촉발의 시기를 조정하는 단계는, 탄환 발사 기준을 조정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발사 기준은 발사 시기와 신관 세팅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및 제 2 포신은 동일한 포신이고, 상기 제 1 및 제 2 탄환은 상이한 시간에 발사되며, 또는 상기 제 1 및 제 2 포신은 상이한 위치에 있다.
목표물 위치에서 조정된 폭발 이벤트를 이루기 위해 상기 제 1 폭발물 장약과 제 2 폭발물 장약의 촉발의 시기를 조정하는 단계는, 결과적인 제 1 및 제 2 폭발이 목표물 위치에서 부가적인 폭발 효과를 갖도록 되어 있다.
목표물 위치에서 조정된 폭발 이벤트를 이루기 위해 상기 제 1 폭발물 장약과 제 2 폭발물 장약의 촉발의 시기를 조정하는 단계는, 결과적인 제 1 및 제 2 폭발이 목표물 위치에서 보강 간섭 폭발 효과를 갖도록 되어 있다.
본 방법은 3개 이상의 탄환에 대해 수행되고, 상기 목표물 위치에서 조정된 폭발 이벤트를 이루기 위해 상기 제 1 폭발물 장약과 제 2 폭발물 장약의 촉발의 시기를 조정하는 단계는, 결과적인 제 1, 제 2 및 제 3 또는 그 이상의 폭발 이 선형적인 방식으로 배치되도록 되어 있다.
본 방법은 탄환들 중의 하나 이상 또는 전부에 대한 물 진입 충격을 감소시키기 위해 물과의 상호 작용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 2 양태에 따르면, 탄환 시스템이 제공되며, 이 탄환 시스템은 목표물 위치를 타격하도록 제 1 포신으로부터 공중으로 그리고 물 속으로 발사되고, 제 1 폭발물 장약 및 물 속에서 상기 제 1 폭발물 장약을 촉발시키도록 되어 있는 제 1 신관 시스템을 포함하는 제 1 탄환; 및 목표물 위치를 타격하도록 제 2 포신으로부터 공중으로 그리고 물 속으로 발사되고, 제 2 폭발물 장약 및 물 속에서 상기 제 2 폭발물 장약을 촉발시키도록 되어 있는 제 2 신관 시스템을 포함하는 제 2 탄환을 포함하고, 탄환 시스템은, 상기 목표물 위치에서 조정된 폭발 이벤트를 이루기 위해 상기 제 1 폭발물 장약과 제 2 폭발물 장약의 촉발의 시기를 조정하도록 배치된다.
본 발명의 제 3 양태에 따르면, 탄환이 제공되며, 이 탄환은 폭발물 장약; 및 물 속에서 상기 폭발물 장약을 촉발시키도록 되어 있는 신관 시스템을 포함하고, 신관 시스템은, 폭발물 장약의 촉발을 다른 탄환의 폭발물 장약의 촉발과 조정하기 위해 상기 탄환의 외부로부터 조정 데이터 신호를 받도록 배치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 4 양태에 따르면, 물에 들어가는 발사체에 대한 물 진입 충격을 감소시키기 위한 시스템이 제공되며, 본 시스템은 물 진입 충격이 감소될 목표물 이동 가능하며, 제 2 요소에 대한 물 진입 충격을 감소시키기 위해 물과 상호 작용하도록 배치되는 제 1 요소; 및 발사체의 형태로 된 제 2 요소를 포함하고, 제 2 요소는 제 1 요소에 의해 물 진입 충격이 감소된 영역 내의 물에 들어가도록 배치되며, 제 2 발사체 요소의 기능은 물에 의해 촉발된다.
제 1 요소는 물과 상호 작용하여, 제 2 요소에 대한 물 진입 충격을 감소시키도록 물을 더 기체적인 상태로 변화시키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 1 요소에 의한 물과의 상호 작용은, 요소의 전체적인 대략적인 형상, 예컨대 오자이브(ogive) 형상 또는 원통형에 의한 물과의 충돌과 개별적일 수 있다.
제 1 요소는, 제 2 요소에 대한 물 진입 충격을 감소시키기 위해 물에 가스를 제공하도록 배치되는 가스 발생기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요소는, 제 2 요소에 대한 물 진입 충격을 감소시키기 위해 폭발하여 물을 증발시키도록 촉발되게 배치되는 장약, 선택적으로 성형 장약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요소는, 제 2 요소에 대한 물 진입 충격을 감소시키기 위해 물을 증발시키도록 배치되는 수퍼공동화(supercavitating) 표면 특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 2 요소는 선택적으로 폭발물 장약을 포함하는 탄환 또는 서브탄환; 및 물 속에서 폭발물을 촉발시키도록 되어 있는 신관 시스템을 포함한다.
제 2 요소는, 물과 접촉하면 정찰 기능을 개시하고 선택적으로 물에서 압력파를 방출 및/또는 검출하도록 배치되는 정찰 발사체일 수 있다.
제 1 요소와 제 2 요소는 동일한 발사체의 일부분일 수 있다.
제 1 요소는 발사체의 노즈에 위치될 수 있다.
제 2 요소는 발사체의 노즈의 후방에 위치된다.
제 1 요소 및 제 2 요소는 서로 개별적으로 있을 수 있다(즉, 동일한 발사체의 일부분이 아님).
제 1 요소는 또는 발사체일 수 있다.
제 1 요소는 제 2 요소에 대해 또한 그와는 개별적으로 움직이도록 제어될 수 있다.
제 2 요소는 포신으로부터 공중으로 발사되어 물에 들어갈 수 있다.
제 1 요소와 제 2 요소는 포신으로부터 개별적으로 공중으로 발사되어 물에 들어갈 수 있다.
제 1 요소와 제 2 요소는 포신으로부터 함께 동일한 발사체의 일부분으로서 공중으로 발사되어 물에 들어갈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5 양태에 따르면, 물에 들어가는 발사체에 대한 물 진입 충격을 감소시키기 위한 방법이 제공되며, 이 방법은, 물 진입 충격이 감소될 목표물 영역에 대해, 발사체에 대한 물 진입 충격을 감소시키기 위해 물과 상호 작용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물 진입 충격이 감소된 목표물 영역에서 발사체가 물에 들어가고, 제 2 발사체 요소의 기능은 물에 의해 촉발된다. 본 발명의 탄환 양태 또는 실시 형태와 관련하여 설명한 바와 같은 하나 이상의 특징은 발사체 양태 또는 실시 형태의 하나 이상의 특징과 조합되어 또는 그 대신에 또한 다른 방식으로 사용될 수 있음을 알 것이다. 더 일반적으로, 당업자가 본 개시를 읽은 후에 그러한 대체 또는 조합이 상호 배타적인 것으로 이해하지 않는다면, 한 양태와 관련하여 설명된 하나 이상의 특징은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다른 양태의 하나 이상의 특징과 조합되어 또는 그 대신에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더 양호한 이해를 위해, 또한 본 발명의 실시 형태가 어떻게 실시되는지를 보여주기 위해, 이제, 첨부 도면을 예로서 참조할 것이다.
도 1은 일 예시적인 실시 형태에 따른, 포신에서 탄환(또는 일반적으로 발사체를)를 공중으로 발사하는 선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2는 도 1의 선박에서 발사된 탄환을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3은 예시적인 실시 형태에 따라 도 1 및 2의 탄환이 물 쪽으로 향하고 있는 것을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4는 예시적인 실시 형태에 따라 도 1 내지 3의 탄환의 신관이 특정한 기준에 따라 수중에서 탄환의 주 폭발물 장약을 어떻게 개시하도록 되어 있는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5는 예시적인 실시 형태에 따라 하나 이상의 포신에서 발사되고 수중 목표물을 타격하도록 배치되는 복수의 탄환을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6은 도 5의 탄환이 물 속에서 내려가 목표물을 타격하는 것을 나타낸다.
도 7은 예시적인 실시 형태에 따라 목표물 위치에서 조정된 폭발 이벤트를 이루기 위해 복수의 탄환의 폭발물 장약의 촉발 시기의 조정을 나타낸다.
도 8은 예시적인 실시 형태에 따른 탄환 발사 기준의 조정을 포함하는, 도 7의 조정을 실행하기 위한 제 1 접근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9는 예시적인 실시 형태에 따라, 탄환의 외부로부터 조정 데이터 신호를 탄환에 전송하는 것을 포함하는, 도 7의 조정을 실행하기 위한 제 2 접근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10은 예시적인 실시 형태에 따라, 한 탄환으로부터 조정 데이터 신호를 다른 탄환에 전송하는 것을 포함하는, 도 7의 조정을 실행하기 위한 제 3 접근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11은 예시적인 실시 형태에 따라, 수중 탄환의 촉발을 조정하는 것과 관련된 일반적인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12는 예시적인 실시 형태에 따라, 물에 들어가 목표물을 타격하는 탄환에 대한 이상적이고 실제적인 궤적을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13은 예시적인 실시 형태에 따른, 별도의 발사체 또는 탄환이 들어가는 물과 상호 작용하여 그 탄환 또는 발사체에 대한 물 진입 충격을 감소시키기 위한 요소를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14는 예시적인 실시 형태에 따른, 탄환 또는 발사체의 일부분을 형성하는, 물 진입 충격을 감소시키기 위한 요소를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15는 다른 예시적인 실시 형태에 따른, 탄환 또는 발사체의 일부분을 형성하는, 물 진입 충격을 감소시키기 위한 요소를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16은 다른 예시적인 실시 형태에 따른, 탄환 또는 발사체의 일부분을 형성하는, 물 진입 충격을 감소시키기 위한 요소를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17은 예시적인 실시 형태에 따른, 물에 들어가는 발사체에 대한 물 진입 충격을 감소시키는 것과 관련된 일반적인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위에서 논의된 바와 같이, 수중 목표물을 타격하거나 일반적으로 그와 상호 작용하기 위한 기존의 장치와 방법과 관련된 많은 단점이 있다. 이들 단점은 그러한 목적으로 사용되는 일부 기존의 탄환의 제한된 사정 거리, 기존 탄환의 제한된 정확도, 또는 기존 탄환과 관련된 상당한 비용이 있다. 일반적으로, 바람직한 방식으로 수중 대상물(예컨대, 목표물)을 타격하거나 일반적으로 그와 상호 작용하기 위한 비교적 저렴하고 빠르게 전개 가능하며 그러면서도 긴 사정 거리를 가지며 또한 정확한 탄환 또는 관련된 어셈블리 또는 방법은 없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기존의 접근법과 관련된 문제는 섬세하지만 효과적이고 강력한 방식으로 대체로 극복될 수 있음을 인식했다. 특히, 탄환이 제공될 수 있음을 인식하였다. 그 탄환은 폭발물 장약과 신관을 포함한다. 탄환은 공중으로 발사되도록 되어 있다. 중요하게도, 탄환은 포신에서 발사되도록 되어 있다. 이는, 탄환은 전형적으로(그리고 실제로 가능성이 있게) 추진 폭발물을 포함하거나 적어도 그와 함께 사용되며 또한 폭발 추진될 수 있고 그러한 폭발 추진을 견딜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는 예컨대 수중 폭뢰 또는 어뢰와는 대조적인 것이다. 포신에서 발사되므로, 이는 박격포 포탄과도 대조적이다. 탄환은 발사되어, 전형적으로 타격할 목표물 또는 대상물이 위치되어 있는(예컨대, 목표물 위치에 있거나 그를 포함함) 물 속으로 들어갈 수 있다. 탄환의 신관은 예컨대 미리 설정된 기준에 따라 수중에서 탄환의 폭발물 장약을 촉발시키도록 되어 있다. 포신의 사용은 또한 높은 정확도의 사정 거리 및 겨냥을 보장한다. 이들 원리는 물 속으로 들어가 정찰 기능을 수행하는 포 발사 또는 포신 발사 정찰 발사체에도 적용된다.
본 발명은 섬세하지만 강력하다. 본 발명은 아마도 포신에서 탄환을 발사하는 형태인 일부 기존의 기술을 이용하기 때문에 섬세하다. 이는, 탄환의 사정 거리는 수백 미터 또는 심지어 수 킬로미터 일 수 있어 기존의 장치 또는 방법과 관련된 사정 거리 문제를 극복할 수 있다. 동시에, 탄환은 전형적으로 발사체이고, 그래서 비추진식이고 그리고/또는 자기 추진의 형태를 포함하지 않는다. 이는 탄환은 비교적 간단하고 저렴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래서 전적으로, 이는 예시적인 실시 형태에 따른 탄환은 발사체를 발사하는 어셈블리(예컨대, 플랫폼, 선박, 차량, 등 또는 관련된 포 또는 포신)로부터 상당한 거리에 있는 목표물을 정확하게, 저렴하게, 효과적으로 그리고 대략적으로 효율적으로 타격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포신에서 발사될 수 있는 탄환의 사용은, 복수의 탄환이 동일한 포신에서 연속적으로 매우 빨리 또는 복수의 포신에서, 선택적으로 서로 다른 어셈블리로부터 연속적으로 그리고/또는 병렬적으로 발사될 수 있고, 또는 동일한 위치 또는 동일한 물의 근처 상으로 또는 안으로 겨냥됨을 의미한다. 그래서 마찬가지로, 목표물 타격 효율 및 효과가 비교적 간단한 방식으로 증가될 수 있다.
위의 접근법을 취하면, 예컨대 수중 폭뢰, 박격포 또는 어뢰의 사용과 비교하여, 탄환의 폭발물 장약의 촉발의 긴 사정 거리의 정확한 조정(co-ordination)이 더 쉽게 이루어질 수 있다.
포신으로부터 발사되는 탄환 또는 일반적으로 발사체는 물론 그러한 포신으로부터 발사되도록 되어 있지만(그러므로, 예컨대 손상이 거의 또는 전혀 없이 그 발사를 견딜 수 있음), 그럼에도 불구하고 탄환 또는 발사체가 물 속으로 안전하게 또는 효과적으로 들어가는 것을 좋게 할 필요가 있을 수 있다. 이는 탄환 또는 발사체가 상당한 속도로 물과 충돌하기 때문이다. 이를 행하기 위한 한가지 방법은 탄환 또는 발사체가 물 속으로 들어가기 전에 감속시키는 것이다. 그러나, 이는 특정한 목표물 위치를 빠르게 또는 정확하게 타격하는 것을 더 어렵게 할 수 있고 또는 탄환 또는 발사체에서 또는 그의 더 많은 제어 또는 복잡성을 요구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감속이 없으면, 물과의 충돌은 탄환 또는 발사체에 손상 또는 파괴를 야기할 수 있는데, 이는 바람직하지 않다. 이 위험은 탄도 또는 예측 가능한 궤적에 가능한 한 가까운 탄도를 유지하거나 그 궤적에 가능한 가깝게 유지할 필요성과 균형 잡힐 필요가 있으며, 그래서 대상물의 겨냥 또는 복수의 탄환을 사용하는 대상물의 겨냥의 조정이 실제적이고 신뢰적이며 또한 일관적인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들 문제 중의 하나 이상(이들 문제 전부는 아니더라도)을 극복하는 한가지 방법은, 예컨대 탄환 또는 발사체가 겨냥될 물의 영역과 상호 작용하여 탄환 또는 발사체에 대한 물 진입 충격을 감소시키는 것이다. 이는 감속 또는 제동 기술 또는 방법이 필요치 않고 동시에 발사체가 물에 들어갈 때 그 탄환 또는 발사체에 대한 손상의 위험이 최소화되거나 회피됨을 의미한다. 또한 발사체가 물에 들어갈 때 그 발사체의 상당한 궤적 변화가 방지되거나 제한된다.
도 1은 예시적인 실시 형태에 따른 어셈블리 또는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이 예에서, 그 어셈블리는 물(4)에 위치되어 있는 선박(2)을 포함한다. 이 선박은 포신(8)을 갖는 포(6)을 포함한다. 다른 예에서, 어셈블리는 특정 차량을 포함할 필요가 없고, 단순히 포를 포함할 수 있다.
탄환(10)은 포신(8)으로부터 공중으로 폭발로 발사되는 것으로 나타나 있다. 위에서 논의한 바와 같이, 이는 큰 사정 거리 및 사정 거리의 정확도를 탄환(10)에 준다.
도 2는 도 1의 탄환(10)을 더 상세히 나타낸다. 이 탄환(10)은 신관 시스템(20)를 포함하고, 이 예에서 그 신관 시스템은 탄환(10)의 노즈 또는 헤드에 위치된다. 탄환(10)은 또한 폭발 장약(22)을 포함한다. 신관 시스템(20)은, 탄환(10)이 물에 있을 때, 그리고 적절한 목표물 위치(예컨대, 목표물 또는 물의 목표물 영역)에서 예컨대 어떤 촉발 기준을 만족하면 폭발물 장약(22)을 촉발시키도록 배치된다.
공중으로 발사되기 전에, 탄환(10)(또는 더 구체적으로는 그의 신관 시스템(20))은 어떤 방식으로 프로그램될 수 있다. 프로그래밍은 포, 포신 내에서 또는 심지어 탄환(10)의 발사 후에 특정한 사정 거리 내에서 예컨대 무선 전송 등으로 일어날 수 있다. 프로그래밍은 특정한 신관 기준을 실행하거나 변화시키도록, 예컨대 탄환(10) 내의 폭발물 장약(22)을 특정한 기준에 따라 촉발시키도록 착수될 수 있다. 전형적으로, 이 프로그래밍을 이루기 위해, 탄환(10)은 본래 프로그램 가능한 신관 시스템(20)을 포함할 것이다. 다시 말해, 신관 시스템(20)은 원하는 대로 프로그램되거나 구성될 수 있다.
장약(22)을 촉발시키기 위한 기준은 예컨대 다수의 상이한 형태 중의 하나 이상을 취할 수 있다: 탄환이 물에 들어간 후 미리 결정된 시간 후; 목표물 소나(sonar) 시그너쳐를 발견할 때; 목표물 자기적 시그너쳐를 발견할 때; 목표물 전기장 시그너쳐를 발견할 때; 수면 아래의 미리 결정된 압력에서; 수면 아래의 미리 결정된 깊이에서; 미리 결정된 물의 염도에서; 미리 결정된 물의 온도에서; 미리 결정된 수중 음속에서; 또는 수면 아래에서 목표물과의 충돌시. 이들 모두는 환경적인 조건이다. 아래에서 더 상세히 논의하는 바와 같이, 촉발, 또는 그 촉발의 시기는 예컨대 복수의 탄환의 폭발물 장약의 촉발을 조정하고 또한 조정된 폭발 이벤트를 달성하기 위해 예컨대 다른 탄환 또는 다는 탄환과 상이한(즉, 그를 포함하지 않는) 물체로부터 받는 조정(co-ordinating) 데이터 신호의 수신에도 관련 있다.
포신에서 발사된 탄환에 대해 전형적인 바와 같이, 탄환은 전형적으로 활강 포신에서 발사되도록 배치된다. 전형적으로, 탄환은 핀(fin) 안정화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탄환은 강선 구경에서 발사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정확한 구성은 요구되는 용례에 달려 있을 것이다.
물론, 탄환 특성(예컨대, 크기, 중량, 형상, 부품 등)의 조합 및 발사 사양(예컨대, 폭발물 추진, 발사각)이 탄환(10)이 발사시에 폭발되지 않도록 되어 있는 것을 보장하기 위해 주의를 할 필요가 있다. 이는 탄환(10) 또는 전형적으로 탄환(10)의 폭발의 개시와 관련되어 있는, 그 탄환 내부에 위치되어 있는 적어도 구성품에 대한 특별한 주의를 줄 필요가 있다. 예컨대, 탄환(10) 내부의 신관 시스템(20) 및 장약(22)은, 예컨대 선박에서 투하되는 수중 폭뢰 또는 잠수함 등에서 발사되는 어뢰 보다 발사 중에 훨씬 더 높은 가속력을 받을 것이다. 발사 사양 및 관련 기준을 둘러싸는 이러한 개념은 본 개시를 읽은 후에 전형적으로 포기반 발사에 관련된 탄환 기술에 알려지거나 그로부터 얻어질 것이다.
도 3은 탄도 궤적(30)을 가지고 물(4)로 향하고 있고 또한 그에 막 들어가려고 하는 탄환(10)을 나타낸다. 포신으로부터 폭발 발사된 후에, 탄환(10)은 큰 속도와 에너지로 물(4)에 들어갈 것이다. 실제로, 탄환 특성(예컨대, 크기, 중량, 형상, 부품 등)과 물(4)과의 충돌 속도의 조합이 탄환(10)이 충돌시 폭발하지 않거나 또는 원하는 대로 작동 불가능한 정도까지 손상되지 않도록 되어 있는 것을 보장하기 위해 일반적인 주의를 기울일 필요가 있을 것이다. 일반적으로, 탄환(10)의 충돌 저항 또는 전형적으로 탄환(10)의 폭발의 개시와 관련되어 있는, 그 탄환 내부에 위치되어 있는 적어도 구성품에 대한 특별한 주의를 줄 필요가 있다.
한 예로, 이에 대해 도움을 줄 수 있는 간단하지만 효과적인 특징은, 예컨대 전반적인 공기역학적 형상을 갖는 탄환(10)의 전반적인 형상이고, 이때, 탄환의 전형적이고 전반적인 공기역학적 형상에 따라 탄환의 헤드 또는 팁은 오자이브(ogive) 형상이거나 라운딩된 형상 또는 테이퍼 형상이다. 다시, 이는 수중 폭뢰 등과는 대조적이다.
그러나, 탄환(10)의 전반적인 형상은, 물과의 충돌시 탄환(10)의 폭발을 방지하거나 물(4) 아래에서 만족스럽게 작동하지 않도록 탄환(10)을 손상시키도록 단독으로 또는 심지어 탄환의 구조적 내충격 특징과 조합되어도 충분하지 않을 수 있다.
이들 문제를 제한하거나 피하는 한 방법은, 예컨대 탄환(10)의 핀 또는 날개 기반 자동 회전(및 감속)을 사용하여 탄환(10)이 공기를 통과함에 따라 그 탄환을 감속시키거나 낙하산 등을 전개시키는 것이 될 것이다. 이는 사실 충격 에너지를 줄여 줄 수 있지만, 탄환(10)을 감속시키고 또한 그의 궤적을 변경시키는 부정적인 영향이 있다. 탄환(10)의 감속은, 목표물을 맞힐 수 있는 속도, 예컨대, 걸리는 시간이 또한 감소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데, 이는 분명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탄환(10)이 공기 중에서 특히 비유도 방식으로 감속되면, 탄환(10)이 목표물 위치 쪽으로 들어가거나 이동하는 것을 정확히 보장하는 것이 어려울 수 있다. 또한, 탄환(10)의 속도를 감소시키는 데에 필요한 부품은 그 탄환의 가격 및/또는 복잡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마지막으로, 탄환(10)을 인공적으로 감속시키는 것은, 탄환(10)이 더 이상 본래의 탄도 궤적을 따르지 않음을 의미하고, 이 본래의 탄도 궤적은 증가된 사정 거리, 정확하고 일정한 신뢰적인 목표물 겨냥 등에 바람직할 수 있다.
이들 문제를 극복하는 한 방법은, 아래에서 더 논의하는 바와 같이 대안적인 접근법을 취하고 또한 탄환(10)이 물(4)에 들어가는 영역에서 물과 상호 작용함으로써, 탄환(또는 일반적으로 동일한 시스템의 발사체 형성 부분)을 위해 물 진입 충격을 감소시키도록 특별히 설계된 부품을 갖는 시스템을 대신 구현하는 것이다.
도 4는 물(4)에 충돌하여 그 물속으로 들어간 후에 물(4)을 통해 아래로 내려가고 있는 탄환(10)을 나타낸다. 도 4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탄환(10)의 신관 시스템은 수중 목표물(42)을 성공적으로 또한 효과적으로 타격하도록 탄환(10) 내부의 폭발물 장약을 촉발(40)시키도록 되어 있을 수 있다.
위에서 논의한 바와 같이, 촉발(40)은, 특정 시간(44) 후에, 예컨대, 전술한 바와 같은 포신으로부터의 발사 및/또는 물(4)에 들어간 후의 미리 결정된 시간 기간(예컨대, 환경적 조건)의 조합 중의 하나 이상으로부터 폭발물 장약을 촉발시킴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이 후자의 시간 기간은 전형적으로 물(4) 속의 특정 깊이(46)에 상당할 것이다(예컨대, 예상되는 또는 계산된 하강 속도에 근거함). 대안적으로, 촉발(40)은 시기(44)와 조합적으로 또는 그 시기와 무관하게 특정 깊이(46)에서 일어날 수 있다. 예컨대, 대안적인 또는 추가적인 접근법은 깊이의 직접적인 검출(하나 이상의 센서 등을 통해)을 포함할 수 있다. 깊이는 전술한 바와 같이 시간, 또는 아마도 표면 아래의 수압, 물의 염도, 물의 온도 또는 심지어 물 속에서의 미리 결정된 음속에 근거하여 검출될 수 있다. 이들 모두는 물속의 깊이를 나타낼 수 있는데, 이 깊이는 예컨대 지역의 맵핑, 물리적 원리로부터 사전에 알려져 있거나, 그리고/또는 물(4)을 통해 하강될 때 하나 이상의 센서를 통해 탄환(10)에 의해 감지된다.
물론, 신관은 목표물(42)과의 충돌시에 폭발 장약을 촉발시키도록 되어 있을 수 있다. 그러나, 어떤 형태의 깊이 활성화를 사용하는 것이 더 안전할 수 있는데, 그래서 탄환(10)은 목표물(42)의 깊이 또는 그 근처에서 폭발하여, 목표물(42)이 아닌 물체에서 또는 그 근처에서 있을 수 있는 의도치 않은 폭발을 피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신관은 신관이 의도대로 또는 의도시에 폭발물을 촉발(40)시키기 위해 필요한 그러한 기준 또는 관련된 기준으로 프로그램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신관(10)의 촉발은 거의 확실히 탄환(10)이 물 속에 있는 시간 기간을 포함하여 어떤 종류의 환경적 조건, 예컨대, 전술한 조건들 중의 하나 이상에 근거할 것이다. 여기서도, 그리고 단순히 더 명백하게 되도록, 위의 모든 조건들은, 목표물 소나 시그너쳐의 검출, 목표물 자기적 시그너쳐의 검출, 목표물 전기장 시그너쳐의 검출 등을 포함하는 환경적 조건에 상당할 것이다. 다시 말해, 폭발물 장약의 촉발은 유리하게도 어떤 종류의 환경적 촉발기를 필요로 할 수 있다. 이는, 촉발 기준의 어느 정도의 프로그래밍 또는 배선이 예컨대 점화의 신관 시스템에 제공될 수 있거나 탄환 안에 프로그램될 수 있지만, 환경적 감지 또는 촉발의 요소가 필요함을 의미한다. 이는 예컨대 발사 전에 탄환을 취급할 때, 탄환의 발사 동안에, 탄환의 비행 동안에, 또는 심지어 탄환이 물 속에서 하강하고 있는 동안에 또는 탄환, 예컨대 비폭발 탄환의 회수 동안에 안전성을 개선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이는 심지어 목표물 위치에서도, 예컨대, 목표물 위치에 대한 특정한 폭발 패턴 및/또는 탄환이 동시에 또는 특정한 순서 등으로 폭발하는 경우에 조정된 폭발물을 이루기 위해 수중에 위치될 때 다수의 탄환의 폭발물 장약의 촉발의 조정에 도움을 줄 수 있다.
수중 목표물을 타격하기 위한 포신 발사 탄환의 사용이 예컨대 매우 짧은 사정 거리의 수중 폭뢰, 또는 폭발물 또는 복합 어뢰 등과 비교하여 얼마나 특히 유리한 접근법인가는 이미 전술한 바와 같다. 예컨대, 탄환의 사용은, 단일 포신으로부터, 상이한 포신으로부터, 또는 동일한 플랫폼(예컨대, 선박)의 포신으로부터, 또는 상이한 플랫폼(예컨대, 상이한 선박)의 상이한 포신으로부터 다수의 탄환이 순차적으로, 조합적으로 또는 병렬적으로 발사될 수 있게 해준다. 이러한 유연성으로, 섬세하지만 강력한 추가 이점이 얻어진다. 이는 하나 이상의 포로부터 발사되는 다수의 탄환의 폭발물의 촉발의 조정이다.
도 5는 제 1 궤적(52)으로 공중으로 발사되어 물(4) 쪽으로 가서 결국 목표물(42)을 타격하는 제 1 탄환(50)을 나타낸다. 제 2 탄환(54)도 나타나 있는데, 이 탄환은 제 2 포신으로부터 제 2 궤적(56)으로 공중으로 발사되어 물(4) 및 동일한 목표물(42)을 타격하는 것으로 나타나 있다. 제 1 및 제 2 탄환(50, 54)이 발사된 또는 다른 식으로 발포된 제 1 및 제 2 포신은 동일한 포신일 수 있고, 제 1 및 제 2 탄환(50, 54)은 다른 시간에 발사되거나, 또는 제 1 및 제 2 포신은 상이한 위치에 있는 상이한 포신일 수 있다. 상이한 위치는 서로에 비교적 가까이 있을 수 있는데, 예컨대, 포신은 동일한 포 또는 포가 위치되는 동일한 플랫폼의 일부분으로서 위치되며, 또는 포신들은 상당히 먼 위치에, 예컨대 수백 미터 또는 심지어 수십 킬로미터 서로 떨어져 있을 수 있다.
도 6은 물(4)에 들어가 이제 그 물(4)을 통해 하강하고 있는 두 탄환(50, 54)을 나타낸다. 이 도는 물(4)에 들어가기 전에, 물(4) 속으로 들어가는 동안에, 그리고 물(4) 속으로 들어간 후에 실질적으로 유지되는 탄환(50, 54)의 궤적(52, 56)을 나타낸다(예컨대, 물의 항력을 고려하여). 이는 모든 상황에서 요구될 수 있는 것은 아니지만, 예컨대, 목표물(42)을 성공적으로 또는 더 효과적으로 타격하기 위해, 목표물(42)의 더 정확하거나 또는 더 신뢰적인 타격, 폭발물 장약의 촉발시에 목표물(42)과 탄환(50, 54)의 상대 위치 면에서 바람직할 수 있다. 물에 들어갈 때 또한 들어간 후에 궤적의 유지를 개선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은 아래에서 더 상세히 논의된다.
도 7은 탄환이 촉발(60, 62)되었을 때의 상황을 나타낸다. 촉발(60, 62)은 임의적이지 않고, 대신에 촉발 시기는 목표물 위치에서도 조정된 폭발 이벤트를 이루기 위해 조정된다. 조정된 폭발 이벤트는, 사전에 요구되고 또한 촉발을 통해 실행되는, 예컨대 목표물 위치에 대한 특정한 폭발 패턴이 있으며 그리고/또는 폭발은 동시에 또는 다시 사전에 계획되는 특정한 순서로 또는 조합적으로 일어남을 의미한다.
촉발(60, 62) 및 특히 이 촉발(60, 62)의 조정은, 촉발되는 폭발(60, 62)이 선형적인 방식(64)으로 배치되도록(특히, 2개 보다 많은 탄환, 예컨대 선형적인 방식으로 배치되는 제 1, 제 2 및 제 3 또는 그 이상의 폭발이 있을 때 특히 그러하도록) 되어 있다. 2개의 폭발물(60, 62)이 단지 단순성을 위해 도 7에 나타나 있고, 추가의 탄환으로부터의 추가 폭발이 동일한 방식으로 조정될 수 있음을 알 것이다. 선형적인 세트의 폭발을 야기하는 조정된 폭발 이벤트가 유리할 수 있는데, 왜냐하면, 이는 목표물(42)에 주어지는 압력 또는 과도 압력의 "벽"(예컨대, 열, 칼럼 또는 대각선의 형태임)을 효과적으로 제공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는 목표물이 특정 영역을 침입하거나 통과하는 것을 방지하는 데에 유리할 수 있고 또는 이는 연속적인 폭발 또는 가압 영역(66)(이 영역은 목표물(42)이 침투하기가 어렵거나 목표물(42)을 성공적으로 또한 효과적으로 타격할 더 큰 기회를 가짐)을 제공하기 위해 폭발(60, 62)이 어떤 방식으로 조합되는 것을 보장하기 위해 편리하게 사용될 수 있다. 예컨대, 영역(66)은, 촉발된 폭발(60, 62)의 폭발 효과가 부가적인 효과를 제공함에 있어 서로 고립되어 작용하지 않고 서로 조합되어 작용함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조정은, 선형적인 방식(64)으로 정렬되어 있든 그렇지 않든, 조정으로 얻어지는 부가적인 효과는 목표물 위치(42)에서 건설적으로 겹치는 압력파(70, 72)의 전설적인 간섭(68)을 야기할 수 있다.
폭발(60, 62)의 촉발의 조정은 많은 다른 방식들 중의 하나로 얻어질 수 있고, 각 방식은 상이한 이점을 갖는다.
도 8은 그러한 조정의 한 예를 나타낸다. 이 예에서, 조정은 탄환 발사 기준의 조정으로 얻어진다. 예컨대, 이는 탄환 간의 데이터 전송에 의한 조정 또는 수중에 있을 때 탄환과의 조정과는 별개이다. 특히, 탄환 발사 기준은 탄환(50, 54)에 대한 발사 시기(T1, T2) 및/또는 탄환(50, 54)에 대한 신관 세팅(F1, F2)을 포함할 수 있다. 발사각이 또한 유용한 기준이될 수 있다.
매우 간단한 예로, 발사 포신이 목표물 위치에 대해 정지되어 있고 목표물 위치에서 물을 통과하는 탄환의 하강 속도가 알려져 있으면, 폭발물 촉발의 선형 패턴이, 목표물 위치에 있을 때 신관이 탄환의 폭발물 장약을 동시에 촉발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는 발사 기준으로 동일한 포신에서 다수의 탄환을 단순히 발사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제 1 탄환 후에 제 2 탄환이 발사된다는 사실을 고려하여, 제 1 탄환은 그의 폭발물이 제 1 탄환과 비교하여 촉발되기 전에 물 속에서 더 많은 시간이 허용될 수 있다. 다시, 이는 발사 단계에서의 적절한 신관 세팅으로 달성될 수 있다.
도 8에 나타나 있는 접근법의 이점은, 물(4)에 있을 때 탄환들 자체 사이의 데이터 신호의 통신 또는 전송을 포함하여, 물 속에 있을 때 탄환(50, 54)과 통신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간단하다는 것이다. 또한, 방법과 장치를 포함하여 기존의 기술이 이 조정을 실행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예컨대 상이한 플랫폼들 사이에 시기 또는 클록을 조정할 필요가 있을 수 있지만, 이는 예컨대 통상적인 클록 또는 동기화 신호 등을 사용하여 쉽게 달성될 것이다.
도 8에 나타나 있는 실행예의 잠재적인 단점 역시 그의 단순성이다. 조정을 실행하기 위해 발사 기준만 사용되면, 이는 폭발물의 촉발시에 또는 탄환의 궤적의 변화로 인해 또는 목표물 위치의 이동 또는 발사 후의 어떤 다른 변화로 인해 요구되거나 바람직할 수 있는 환경적 감지에 대해 목표물 위치에서 요구될 수 있는 섬세함 또는 정교함이 부족할 수 있다.
도 8의 시스템 및 방법과 관련된 단점들 중의 일부는, 전형적으로 신호를 전송하거나 받는 각각의 탄환이 목표물 위치가 있는 물 속에 위치되어 있을 때 각각의 탄환에 대해 외부로부터 탄환의 신관 시스템에의 조정 데이터 신호의 전송을 사용하여 극복될 수 있다.
도 9는, 한 실행예에서, 제 1 및 제 2 탄환(50, 54)이 물(4)을 통해 하강하고 있는 것을 나타낸다. 탄환(50, 54)과는 별개인 물체(80)가 탄환(50, 54)의 촉발을 조정하기 위한 시스템의 일부분으로서 제공된다.
물체(80)는 많은 상이한 형태 중의 어느 하나를 취할 수 있다. 예컨대, 물체(80)는 선택적으로 목표물이 위치되어 있는 환경에 있는 선박 또는 플랫폼일 수 있다. 물체(80)는 심지어 탄환(50, 54)의 발포 또는 발사에 관여된 선박 또는 플랫폼일 수 있다. 대안적으로, 물체(80)는 탄환(50, 54)의 촉발을 조정하는 유일한 목적을 갖는 전용의 물체일 수 있다. 예컨대, 물체(80)는 자체의 추진으로 또는 그 위치로 발사되거나 추진되어 목표물의 위치 보다 근위에 있는 환경으로 이동 가능하다.
물체(80)는 그 탄환(50, 54)의 폭발물 장약의 촉발의 시기를 조정하고 또한 위에서 논의된 바와 같은 조정된 폭발 이벤트를 달성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조정 데이터 신호(82, 84)를 제 1 및 제 2 탄환(50, 54)의 신관 시스템에 전달하도록 배치된다.
한 예에서, 조정 데이터 신호는 매우 간단한 촉발 신호일 수 있고, 또는 다른 예에서는 더 복잡하거나 섬세할 수 있으며, 예컨대, 장약의 촉발을 결정하는 데에 탄환에 의해 사용될 데이터, 예컨대, 촉발에 사용될 특정한 환경 기준에 관한 데이터,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탄환의 촉발 기준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포함하고, 그래서 하나 이상의 탄환이 조정된 방식으로 촉발될 수 있다.
도 9에 나타나 있는 시스템의 이점은, 조정이 예컨대 도 8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은 발사 기준에만 한정되지 않고 전송된 그리고 받은 조정된 시기 신호에 근거한다는 것이며, 그래서 폭발물 장약의 촉발의 시기가 조정될 수 있다. 그러므로 도 9의 시스템은 잠재적으로 도 8의 시스템 보다 더 큰 유연성을 준다. 그러나, 추가되는 복잡성은 물체(80)가 탄환에 전달하기 위한 필요성이며, 이는 시스템 전체의 더 큰 관리 정도를 요구할 수 있다.
도 10은, 시스템이 다소 자급 자족적이다 라는 점에서 도 8 및 9의 시스템에 대해 개선되어 있는 것을 나타낸다. 도 10에서, 탄환(50, 54)의 촉발의 조정은, 장약의 촉발의 조정에 사용되는 조정 데이터 신호(XY)를 다른/제 2 탄환(50)에, 예컨대 신관 시스템으로부터 신관 시스템으로, 또는 수신 탄환(50)의 신관 시스템에 의한 다음 처리를 위해 전송기로부터 수신기에 전달하는 것에 기반한다.
본질적인 것은 아니지만, 이는 도 10의 시스템은 발사 기준을 요구하지 않거나 그 발사 기준에만 의존하지 않으며 또한 외부의 물체(예컨대, 80)로부터 목표물 위치에서 조정된 폭발 이벤트에 사용되는 하나 이상의 탄환으로의 전송을 요구하지 않거나 그에만 의존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이는 더 효율적이거나 효과적인 조정을 줄 수 있다.
도 10은 일 유리한 상황에서 탄환(50, 54)의 촉발이 탄환(54) 중의 하나가 그 탄환(54)의 위치에서 환경적 조건을 감지하는 것에 근거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그 환경적 조건은 전술한 것들 중의 하나 이상, 예컨대 목표물(42)에 대한 근접 정도(90), 또는 물(4)에 들어간 후의 시간(92) 또는 탄환(54)의 깊이(94)일 수 있다. 탄환(54)에 의한 이 감지는, 탄환(54)은 특정한 기준을 감지하는 시점에서 폭발한다는 것을 반드시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특정 값의 이 감지가 주목되고 또한 신호(XY)를 다른 탄환(50)에 전송하는 과정이 시작되며, 때 그 전송시에 특정한 데이터가 전송된다. 여기서도, 이는, 임계값 또는 문턱값 등의 기준이 감지되자 마자 테이타 전송됨을 의미하지는 않을 수 있다. 전송은 나중에 보내질 수 있다. 중요한 것은, 하나 보다 많은 탄환의 폭발물 장약의 촉발의 조정이 그들 탄환 중의 하나에 의한 환경적 감지에 의존한다는 것이다. 이는, 복수의 탄환의 외로부터 외부 전송 또는 수신은 필요치 않음을 의미하고, 한 탄환이 요구되는 환경적 조건을 감지하지 않으면 탄환은 조정된 방식으로 또는 전혀 촉발하지 않는 다는 점에서 안전 요소를 도입한다. 예컨대, 다른 탄환(54)으로부터 전송된 신호(XY)를 받는 탄환(50)은 그 신호(XY)를 받지 않으면 단순히 그의 폭발물 장약을 촉발시킬 수 없다. 다시 말해, 받는 탄환의 신관 시스템은 조정 데이터 신호(XY)를 받을 때에만 그의 폭발물 장약을 촉발시킬 수 있다. 이는 정확하고 신뢰적인 조정에 중요할 수 있지만, 안전 면에서도 중요하다.
이전의 단락에서 찾아지는 원리를 확장하면, 탄환들 사이의 신호(XY)의 전송은 그러한 촉발에 필요하다는 점에서 탄환을 촉발시키는 데에 중요할 수 있다. 이는 적절한 조정 시기 신호(XY)가 수신되지 않으면 그리고 수신될 때까지, 탄환은 근처에서 폭발하는 탄환의 힘에 의해 촉발될 수 없거나 적어도 이를 염두에 두고 설계됨을 의미할 수 있다.
조정 데이터 신호(XY)는 전형적으로 데이터 신호를 받는 탄환의 신관 시스템의 촉발의 시기를 정하는 데에 사용되는 시기 데이터를 포함할 것이다. 즉, 신호(XY)는 주로 폭발물 장약의 촉발의 시기를 조정하기 위해 사용되고, 예컨대, 보내진 환경적 데이터와 같은 다른 데이터를 포함할 필요가 없고 또한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이는 시스템이 더 간단하게 또한 더 신뢰적으로 실현될 수 있고 또한 어떤 방식으로 제 3 자에 의해 차단되거나 추적되면, 탄환의 의도 또는 작동의 면에서 유용한 정보를 거의 또는 전혀 외부에 주지 않을 수 있음을 의미할 수 있다.
신호의 전송 또는 수신은 통상적인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수중에 있을 때, 음향 전송이 광학 또는 무선 실행과 비교하여 간단하고 효과적인 데이터 전송 방법일 수 있다.
아마도 위의 설명으로부터 더 분명하게 되는 바와 같이, 목표물 위치는 구체적으로 또는 정확하게 반드시 목표물의 위치(예컨대, 잠수 가능한 수중)에 있을 필요는 없고, 물 속의 특정한 영역 또는 위치 영역일 수 있다. 전형적으로, 이는 타격될 대상의 근처이거나 어떤 다른 방식으로 그 대상으로부터의 거리에 관련될 것이지만, 이는 모든 용례에서 반드시 그럴 필요는 없다.
위에서 설명된 실시 형태에서, 특정한 방법을 사용하여 본 발명에 관련된 원리를 입증하였다. 도 11은 아마도 더 일반적인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복수의 탄환 각각의 폭발물 장약을 촉발시키는 방법이 나타나 있다. 이 방법은 목표물 위치를 타격하도록 제 1 포신으로부터 제 1 탄환을 공중으로 그리고 물속으로 발사하는 것을 포함한다(110). 제 1 탄환은 제 1 폭발물 장약 및 물 속에서 제 1 폭발물 장약을 촉발시키도록 되어 있는 제 1 신관 시스템을 포함한다.
본 방법은 또한 목표물 위치를 타격하도록 제 2 포신으로부터 제 2 탄환을 공중으로 그리고 물속으로 발사하는 것을 포함한다(112). 제 2 탄환도 제 2 폭발물 장약 및 물 속에서 제 2 폭발물 장약을 촉발시키도록 되어 있는 제 2 신관 시스템을 포함한다.
본 방법은 목표물 위치에서 조정된 폭발 이벤트를 이루기 위해 제 1 폭발물 장약과 제 2 폭발물 장약의 촉발의 시기를 조정하는 것을 포함한다(114).
위에서 암시된 바와 같이, 물 위쪽과 수중에서의 탄환의 궤적을 허용 오차 범위 내에서 알거나 예측하는 것은, 목표물이 성공적으로 또는 효과적으로 타격되는 것을 보장하는 데에 중요할 수 있다. 이는 다수의 탄환이 조정된 방식으로 사용될 때 특히 그러하다. 아마도 더 일반적으로, 발사체를 물 속으로 발사할 때, 그 발사체가 그 물 속의 특정 목표물 위치에서 끝나는 것을 보장하는 것이 요망되는 경우, 발사체의 궤적은 가능한 한 일정하고 신뢰적이며 또한 대체로 예측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탄환형(예컨대, 탄환 또는 서브탄환) 발사체를 포함할 수 있지만, 정찰 기능(예컨대, 위에서 수행되는 환경 감지 활동 중의 하나 이상)이 수행될 위치로 발포 또는 발사되는 정찰 발사체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들 목표 중의 하나 이상은, 발사체에 대한 물 진입 충격을 감소시키기 위해, 발사체가 물과 충돌하고 또한 그 물과 상호 작용하는 물의 목표 영역 안으로 이동할 수 있는 요소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는 것을 알았다. 전형적으로 그리고 간단히, 이 상호 작용은 발사체에 대한 물 진입 충격력을 감소시키기 위해 물을 더 기체적인 상태로 변화시키는 것을 포함할 것이다.
그러나, 다른 예도 가능한데, 예컨대, 물 속도 또는 조성을 감소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추가적으로, 이 요소는 요소 또는 발사체의 전반적인 대략적인 형상(예컨대, 오자이브 또는 원통 형상)에 의한 물과의 충돌과는 별개일 것이다. 즉, 그 요소의 유일한 또는 주된 목적은, 물과 상호 작용하여 물 진입 충격력을 감소시키는 것이고, 예컨대 발사 또는 비행 등의 동안에 그 요소 또는 발사체의 공기역학적 성능을 개선하는 것은 아니다.
일반적으로, 이 개념은 2개의 서로 별개인 방법 중의 하나로 실현될 수 있다. 제 1 접근법에서, 시스템의 제 2 요소를 형성하는 발사체는, 물과 상호 작용하여 발사체에 대한 물 진입 충격을 감소시키기 위해 제공되는 (제 1) 요소와는 별개이다.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제 1 및 제 2 요소(발사체 및 물 상호 작용 요소)는 동일한 대상의 일부분이다.
도 12는 위의 도 6에 이미 나타나 있고 이 도를 참조하여 설명한 상황과 많이 동일한데, 탄환(50, 54)의 궤적(52, 56)이 나타나 있고 중요한 것으로 설명되어 있다. 그러나 대조적으로, 도 12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물(4)과의 충돌로 인해 예상 궤적(52, 56)(예컨대, 물 속으로 들어가는 상당한 영향을 고려한 탄도, 접근 탄도)이 나타나지 않을 수 있고, 대신에, 물과의 충돌 후에, 탄환은 하나 이상의 예상치 못한 궤적(120, 122)을 취할 수 있는데, 예컨대 물(4)에서 빗나가거나(120) 또는 물(4)과 충돌하고 나서 수중에서 예상 궤적(56)으로부터 벗어날 수 있다(122).
도 13은 물(4)에 들어가는 발사체(예컨대, 탄환(10))에 대해 물 진입 충격을 감소시키기 위한 예시적인 시스템을 나타낸다.
이 시스템은 제 1 요소(130)를 포함하고, 이 제 1 요소는 물 진입 충격이 감소되어야 할 목표물 영역(132)에 대해 움직일 수 있다. 제 1 요소(130)는 제 2 요소에 대한 물 진입 충격을 감소시키기 위해 물과 상호 작용하도록 배치되며, 이 경우에 제 2 요소는 탄환(10)이다.
제 1 요소(130)는 많은 상이한 형태 중의 어느 하나를 취할 수 있는데, 예컨대, 위치(132)로 이동 가능하고 그리고 나서 탄환(10)과의 충돌이 예상되는 영역(132)에서 물과 상호 작용하게 되는 드론 등일 수 있다. 대안적인 예에서, 물 진입 충격을 감소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요소는 예컨대 발사체(10)를 발사하는 동일한 포에 의해 영역(132)으로 발포 또는 발사될 수 있다. 요소(130)는 물(4)로 날려 보내지거나 물 위쪽에서 맴돌 필요는 없다. 물체는 전형적으로 해당 용도에 관계된 어떤 형태라도 취할 수 있다. 예컨대, 제 1 요소는 실제로 물(4)에 또는 그 아래에 위치되는 물체(134)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도, 그 물체는 그 자신의 추진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호 작용은 영역(132)을 가열하거나 초음파 등을 영역(132)에 보내거나 또는 물과 상호 작용하여 물 진입 충격을 감소시키는 것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 전형적으로 그리고 아마도 가장 간단하게는 그리고/또는 효과적으로, 이는 그 영역(132) 내의 물을 더 기체적인 상태로 변화시키기 위해 물과 상호 작용하는 것을 포함할 것이다. 물체는 또한 가열 또는 진동 등을 통해 물과 상호 작용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물체 또는 요소는 다음에 충돌하는 발사체(10)를 위해 물을 부드럽게 하는 기포를 발생시킬 수 있다.
도 13의 예는, 유용하지만, 실제로 실시하기가 상당히 복잡할 수 있고 또는 예컨대 물체를 목표물 위치로 날려 보내거나 다른 식으로 이동시켜, 이어서 도착하는 탄환 또는 일반적으로 발사체가 물과 충돌하게 되는 위치 위에서 맴돌거나 그에 대한 위치를 유지하는 것이 필요하다면 상당한 양의 자원을 필요로 할 수 있다. 매우 간단한 방법으로, 발사체가 제어될 필요가 있고 그 발사체에 대한 물 진입 충격을 감소시키기 위한 요소도 그럴 필요가 있다는 점에서 적어도 2개의 요소가 제어될 필요가 있다.
다른 예로, 발사체 및 이 발사체에 대한 물 진입 충격을 감소시키기 위한 요소는 동일한 물체(예컨대, 발사체)의 일부분일 수 있다. 물 진입 충격을 감소시키기 위한 제 1 요소는 발사체의 노즈(헤드)에 위치될 수 있는데, 왜냐하면, 이는, 노즈(헤드)가 제일 먼저 물과 접촉할 것이므로, 처음에 물과 더 쉽게 상호 작용할 수 있는 발사체의 일부분이기 때문이다. 예컨대 폭발 기능 또는 정찰 기능을 위한 제 2 요소는 노즈(헤드) 또는 적어도 제 1 요소의 뒤쪽에 위치되어, 폭발 또는 정찰 기능을 수행하는 요소에 대한 손상 또는 충격을 줄일 수 있다.
도 14는 예시적인 실시 형태에 따른 발사체(140)를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이 발사체는 전술한 바와 같은 신관 시스템 및 관련된 폭발물 장약을 포함할 수 있고 또는 선택적으로 압력파를 물(4)에 방출하고 그리고/또는 물 속의 압력파를 검출하도록 배치되는 정찰 발사체일 수 있다. 이러한 정찰 발사체는 물속의 목표물을 검출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고, 또한 이러한 검출은 정찰 발사체로부터 그 발사체 외부의 어떤 지점 또는 물체, 예컨대, 물 속의 탄환, 물 속으로 발사될 탄환 또는 그들 탄환을 위한 플랫폼 또는 조정 또는 제어 시스템에 전송될 수 있다.
이 예에서, 물 진입 충격을 감소시키기 위한 요소는 발사체(140)의 노즈 또는 헤드에 위치된다. 그 요소는 전형적으로 물 진입 위치(148)에서 물과 제일 먼저 접촉하게 될 발사체(140)의 위치에 있는 출구(146)에서 가스를 방출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가스 발생기(144)를 포함한다.
가스 발생기(144)는 많은 상이한 형태 중의 어느 하나를 취할 수 있고, 유리하게, 물에서 기포를 발생시키기 위한 비교적 간단하고 직접적이고 효과적인 요소인 로켓 모터를 포함한다. 가스 발생기(144)는 발사체(140)의 비행 중에, 예컨대, 물(4)의 영역(148)과의 충돌 바로 전에 개시될 수 있다. 발생기(144)에 의해 발생된 기포는 발사체(140)의 외부 표면에 부착되거나 일반적으로 그 표면을 따라 이동할 것인데, 이는 발사체(140)는 목표물 위치(148)에서 물(4)에 더 쉽게 또한 더 부드럽게 들어감을 의미하며, 그래서, 예상되거나 예측되는 궤적이 유지되거나 가스 발생기(144)가 사용되지 않는 경우 보다 더 잘 유지될 수 있다. 기포는 또한 많이 동일한 이점을 위해 발사체(140)의 앞에서 간단하게 제공될 수 있다.
도 15는 발사체(150)의 대안적인 예를 나타내며, 이때 발사체의 노즈 또는 헤드(152)가 장약, 전형적으로 성형 장약(154)의 형태로 되어 있는, 물(4)과의 상호 작용을 위한 요소를 포함한다. 장약(154)은, 발사체에 대한 물 진입을 부드럽게 하기 위해 물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증발시키거나 더 일반적으로는 위치(148)에서 기포를 도입하기 위해 물(4)의 목표물 위치(148)와의 충돌 바로 전에 기폭되거나 폭발하도록 촉발될 수 있다.
도 16은 발사체(160)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낸다. 이 예에서, 발사체(160)의 헤드 또는 노즈(162)에는 수퍼공동화(supercavitating) 표면 특징부(164)가 제공되어 있고, 이 특징부는, 발사체 및 그의 표면 특징부(164)가 목표물 위치(148)와 접촉할 때 목표물 위치에서 물을 증발시키도록 배치된다. 전형적으로, 수퍼공동화 표면 특징부(164)는 하나 이상의 수퍼공동화 홈을 포함할 수 있고, 이 홈은 물의 요구되는 증발 및 발사체(160) 전체에 대한 물 진입 충격의 관련된 감소를 얻는 데에 유용한 간단한 표면 특징부이다.
물 진입 충격을 감소시키기 위한 특정 예를 지금까지 설명하였다. 도 17은 물에 들어가는 발사체에 대한 물 진입 충격을 감소시키는 것과 관련된 아마도 더 일반적인 방법을 나타낸다.
본 방법은 물과 상호 작용하여 목표물 영역을 위한 발사체에 대한 물 진입 충격을 감소시키는 것을 포함한다(170).
본 방법은 물 진입 충격이 감소된 목표물 영역 내의 물에 발사체가 들어가는 것을 추가로 포함하고, 발사체의 기능은 물에 들어감으로써 촉발된다(172).
예컨대, 이 기능은 탄환의 신관 세팅의 촉발 또는 정찰 발사체 등의 정찰 기능의 촉발일 수 있다.
위에서 논의한 바와 같이, 수중에 있는 다수의 탄환의 촉발의 조정에 관한 개념 및 발사체에 대한 물 진입 충격의 감소의 개념은 유리하게 조합되어 사용될 수 있음이 명백할 것이다. 그러나, 위에서 논의한 바와 같이, 그 개념은 단독으로도 사용될 수 있고 반드시 조합되어 사용될 필요는 없음을 알 것이다.
몇 개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나타냈고 설명했지만, 당업자는 첨부된 청구 범위에 규정되어 있는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을 알 것이다.
본 출원과 관련하여 본 명세서와 동시에 또는 그에 앞서 출원되었고 또한 본 명세서와 함께 공공의 검사에 개방되어 있는 모든 논문과 문헌에 관심을 기울이며, 모든 그러한 논문과 문헌의 내용은 여기서 참조로 관련되어 있다.
본 명세서(첨부된 청구 범위, 요약서 및 도면을 포함함)에서 논의된 모든 특징 및/또는 그렇게 개시된 방법 또는 공정의 모든 단계는, 그러한 특징 및/또는 단계 중의 적어도 일부는 서로 배타적인 조합을 제외하고, 임의의 조합으로 조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첨부된 청구 범위, 요약서 및 도면을 포함함)에 개시된 각 특징은, 명확한 다른 언급이 없다면, 동일한, 동등한 또는 유사한 목적을 위한 대안적인 특징으로 대체될 수 있다. 따라서, 명확한 다른 언급이 없다면, 개시된 각 특징은 동등하거나 유사한 특징의 일반적인 시리즈 중의 단지 한 예일 뿐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 형태의 상세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본 명세서(첨부된 청구 범위, 요약서 및 도면을 포함함)에 개시된 특징 중의 임의의 신규한 특징 또는 신규한 조합 또는 그렇게 개시된 방법 또는 공정의 단계 중의 임의의 신규한 단계 또는 신규한 조합으로 확장된다.

Claims (15)

  1. 복수의 탄환 각각을 위한 폭발물 장약을 촉발시키는 방법으로서,
    제 1 탄환을 목표물 위치를 타격하도록 제 1 포신으로부터 공중으로 그리고 물 속으로 발사하는 단계 - 제 1 탄환은 제 1 폭발물 장약 및 물 속에서 상기 제 1 폭발물 장약을 촉발시키도록 되어 있는 제 1 신관 시스템을 포함함 -;
    제 2 탄환을 목표물 위치를 타격하도록 제 2 포신으로부터 공중으로 그리고 물 속으로 발사하는 단계 - 제 2 탄환은 제 2 폭발물 장약 및 물 속에서 상기 제 2 폭발물 장약을 촉발시키도록 되어 있는 제 2 신관 시스템을 포함함 -; 및
    상기 목표물 위치에서 조정된(co-ordinated) 폭발 이벤트를 이루기 위해 상기 제 1 폭발물 장약과 제 2 폭발물 장약의 촉발의 시기를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복수의 탄환 각각을 위한 폭발물 장약을 촉발시키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목표물 위치에서 조정된 폭발 이벤트를 이루기 위해 상기 제 1 폭발물 장약과 제 2 폭발물 장약의 촉발의 시기를 조정하는 단계는, 각각의 제 1 및/또는 제 2 탄환의 외부로부터 조정(co-ordinating) 데이터 신호를 상기 제 1 및/또는 제 2 신관 시스템에 전송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목표물 위치에서 조정된 폭발 이벤트를 이루기 위해 상기 제 1 폭발물 장약과 제 2 폭발물 장약의 촉발의 시기를 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및/또는 탄환 이외의 물체로부터 상기 조정 데이터 신호를 전송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목표물 위치에서 조정된 폭발 이벤트를 이루기 위해 상기 제 1 폭발물 장약과 제 2 폭발물 장약의 촉발의 시기를 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탄환이 조정 데이터 신호를 제 2 탄환의 제 2 신관 시스템에 전송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탄환으로부터 데이터 신호를 전송하는 것은 제 1 탄환의 위치에 환경적 조건을 감지하여 촉발되는, 방법.
  6.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탄환의 제 2 신관 시스템은 상기 조정 데이터 신호를 받으면 제 2폭발물 장약만 촉발시킬 수 있는, 방법.
  7. 제 2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 데이터 신호는 데이터 신호를 받는 탄환의 신관 시스템의 촉발의 시기를 정하는 데에 사용되는 시기 데이터를 포함하는, 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목표물 위치에서 조정된 폭발 이벤트를 이루기 위해 상기 제 1 폭발물 장약과 제 2 폭발물 장약의 촉발의 시기를 조정하는 단계는, 탄환 발사 기준을 조정하는 것을 포함하며, 선택적으로
    상기 발사 기준은 발사 시기와 신관 세팅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방법.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포신은 동일한 포신이고, 상기 제 1 및 제 2 탄환은 상이한 시간에 발사되며, 또는 상기 제 1 및 제 2 포신은 상이한 위치에 있는 상이한 포신인, 방법.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목표물 위치에서 조정된 폭발 이벤트를 이루기 위해 상기 제 1 폭발물 장약과 제 2 폭발물 장약의 촉발의 시기를 조정하는 단계는, 결과적인 제 1 및 제 2 폭발이 목표물 위치에서 부가적인 폭발 효과를 갖도록 되어 있는, 방법.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목표물 위치에서 조정된 폭발 이벤트를 이루기 위해 상기 제 1 폭발물 장약과 제 2 폭발물 장약의 촉발의 시기를 조정하는 단계는, 결과적인 제 1 및 제 2 폭발이 목표물 위치에서 보강 간섭 폭발 효과(constructive interference explosive effect)를 갖도록 되어 있는, 방법.
  12.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3개 이상의 탄환에 대해 수행되고, 상기 목표물 위치에서 조정된 폭발 이벤트를 이루기 위해 상기 제 1 폭발물 장약과 제 2 폭발물 장약의 촉발의 시기를 조정하는 단계는, 결과적인 제 1, 제 2 및 제 3 또는 그 이상의 폭발 이 선형적인 방식으로 배치되도록 되어 있는, 방법.
  13. 제 1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탄환들 중의 하나 이상 또는 전부에 대한 물 진입 충격을 감소시키기 위해 물과의 상호 작용을 포함하는, 방법.
  14. 탄환 시스템으로서,
    목표물 위치를 타격하도록 제 1 포신으로부터 공중으로 그리고 물 속으로 발사되고, 제 1 폭발물 장약 및 물 속에서 상기 제 1 폭발물 장약을 촉발시키도록 되어 있는 제 1 신관 시스템을 포함하는 제 1 탄환; 및
    목표물 위치를 타격하도록 제 2 포신으로부터 공중으로 그리고 물 속으로 발사되고, 제 2 폭발물 장약 및 물 속에서 상기 제 2 폭발물 장약을 촉발시키도록 되어 있는 제 2 신관 시스템을 포함하는 제 2 탄환을 포함하고,
    상기 탄환 시스템은, 상기 목표물 위치에서 조정된 폭발 이벤트를 이루기 위해 상기 제 1 폭발물 장약과 제 2 폭발물 장약의 촉발의 시기를 조정하도록 배치되는, 탄환 시스템.
  15. 탄환으로서,
    폭발물 장약; 및
    물 속에서 상기 폭발물 장약을 촉발시키도록 되어 있는 신관 시스템을 포함하고,
    상기 신관 시스템은, 폭발물 장약의 촉발을 다른 탄환의 폭발물 장약의 촉발과 조정하기 위해 상기 탄환의 외부로부터 조정 데이터 신호를 받도록 배치되어 있는, 탄환.
KR1020217022817A 2018-12-19 2019-12-18 탄환 및 발사체 Active KR10270563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8275186.7 2018-12-19
EP18275186.7A EP3671103A1 (en) 2018-12-19 2018-12-19 Munition
GB1820705.0 2018-12-19
GBGB1820705.0A GB201820705D0 (en) 2018-12-19 2018-12-19 Munition
GB1912696.0A GB2586820B (en) 2019-09-04 2019-09-04 A munition and munition assembly
GB1912696.0 2019-09-04
GB1917754.2A GB2583394B (en) 2018-12-19 2019-12-05 Munitions and projectiles
EP19275141 2019-12-05
GB1917754.2 2019-12-05
EP19275141.0 2019-12-05
PCT/GB2019/053599 WO2020128461A1 (en) 2018-12-19 2019-12-18 Munitions and projectil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3547A true KR20210103547A (ko) 2021-08-23
KR102705635B1 KR102705635B1 (ko) 2024-09-10

Family

ID=766625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22817A Active KR102705635B1 (ko) 2018-12-19 2019-12-18 탄환 및 발사체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821716B2 (ko)
EP (1) EP3899412B1 (ko)
KR (1) KR102705635B1 (ko)
AU (1) AU2019403987B2 (ko)
CA (1) CA3124293A1 (ko)
PL (1) PL3899412T3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580776B (en) * 2018-12-19 2022-12-28 Bae Systems Plc Munitions and projectiles
US12173995B2 (en) 2018-12-19 2024-12-24 Bae Systems Plc Munitions and projectiles
AU2019403985B2 (en) 2018-12-19 2025-03-20 Bae Systems Plc Improved apparatus and method suitable for use with a munition
GB2586820B (en) * 2019-09-04 2023-12-20 Bae Systems Plc A munition and munition assembly
GB2605967B (en) * 2021-04-19 2025-03-26 Bae Systems Plc Defeat system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22968A (en) * 1970-07-09 1975-12-02 Us Navy Bomblet fuze system
GB2277980A (en) * 1993-05-13 1994-11-16 Marconi Gec Ltd Gun launchable shell and fuse
US20110297032A1 (en) * 2007-04-12 2011-12-08 Lockheed Martin Corporation Cavity-enhancing features and methods for a cavity-running projectile
US20170328682A1 (en) * 2016-05-11 2017-11-16 Rivada Research, Llc Method and System for Using Enhanced Location-Based Information to Guide Munitions

Family Cites Families (7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2089A (en) 1898-07-11 1899-08-29 Louis J Mccray Automobile torpedo.
FR473708A (fr) 1913-10-09 1915-01-22 Giovani Emanuele Elia Mines sous-marines accouplées pouvant etre lancées à distance à la manière de projectiles
US1292668A (en) 1917-12-26 1919-01-28 Ira A Weaver Torpedo.
US2184028A (en) 1938-05-16 1939-12-19 Urban Wesley Aircraft bomb
US2634924A (en) 1946-11-01 1953-04-14 Brown Owen Means and method for conduction warfare
US3050024A (en) 1957-06-26 1962-08-21 Barnes W Mccormick Torpedo propulsion and control
DE1126274B (de) 1959-04-25 1962-03-22 Paul Hildebrand Flugzeugtorpedo
US3109373A (en) 1961-05-25 1963-11-05 Thiokol Chemical Corp Explosive perforator for use on underwater bodies and structures
US4478148A (en) 1963-12-30 1984-10-23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Navy Missile delivered explosive sound system
US5012717A (en) 1964-09-29 1991-05-07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Navy Air-to-subsurface missile system
US3677179A (en) 1966-09-29 1972-07-18 Lester A Potteiger Telescoping ordnance device
US3434425A (en) 1967-06-30 1969-03-25 Aai Corp Underwater projectile
US4219374A (en) 1967-10-23 1980-08-26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Navy Monopropellant composition
US3799094A (en) 1971-06-17 1974-03-26 Us Navy Underwater acoustical jamming apparatus
US5247887A (en) 1974-06-27 1993-09-28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Navy Dynamic method for enhancing effects of underwater explosions
DE2460303A1 (de) 1974-12-20 1978-10-19 Messerschmitt Boelkow Blohm Kombiniertes hohlladungsgeschoss
US3962537A (en) * 1975-02-27 1976-06-08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Navy Gun launched reconnaissance system
SU1087749A1 (ru) 1979-07-11 1984-04-23 Предприятие П/Я Р-6462 Газогенератор
US4638737A (en) 1985-06-28 1987-01-27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Army Multi-warhead, anti-armor missile
DE3800407C1 (en) 1988-01-09 1989-03-23 Messerschmitt-Boelkow-Blohm Gmbh, 8012 Ottobrunn, De Different distribution of submunitions
US5022470A (en) 1989-06-28 1991-06-11 Ocean Systems Research, Inc. Autonomous rapid thermal ice penetrating method and system
US5280751A (en) * 1991-11-26 1994-01-25 Hughes Aircraft Company Radio frequency device for marking munition impact point
US5353711A (en) 1993-10-04 1994-10-11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Army Extended range artillery projectile
US5497704A (en) * 1993-12-30 1996-03-12 Alliant Techsystems Inc. Multifunctional magnetic fuze
DE69606951T2 (de) 1995-06-07 2000-11-16 Raytheon Co., El Segundo Vollkalibergeschoss zur verwendung gegen unterwasserziele
IL120159A (en) 1995-06-07 2000-11-21 Raytheon Co Aerodynamically stabilized projectile system for use against under water objects
US5955698A (en) 1998-01-28 1999-09-21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Navy Air-launched supercavitating water-entry projectile
US6388184B1 (en) 2000-10-04 2002-05-14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Navy Deployable nose for an underwater vehicle
US6405653B1 (en) 2000-10-26 2002-06-18 Atlantic Research Corporation Supercavitating underwater projectile
US6601517B1 (en) 2001-10-31 2003-08-05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Navy Super-cavitating penetrator warhead
DE03726967T1 (de) 2002-01-03 2005-05-04 Pax Scient Inc Wirbelringerzeuger
US7701692B2 (en) * 2003-11-13 2010-04-20 Taser International, Inc. Systems and methods for projectile status reporting
SE526947C2 (sv) * 2004-01-15 2005-11-22 Saab Bofors Support Ab Stridsdel med ett flertal projektiler
US7067732B1 (en) 2004-07-22 2006-06-27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Navy Apparatus for utilizing waste heat from weapon propulsion system to produce vapor explosion
US7347146B1 (en) 2005-04-25 2008-03-25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Navy Supercavitating projectile with propulsion and ventilation jet
US7363862B2 (en) 2005-05-27 2008-04-29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Army Multi-purpose single initiated tandem warhead
US8314374B2 (en) * 2005-06-20 2012-11-20 Aurora Flight Sciences Corporation Remotely-guided vertical take-off system and method for delivering an ordnance to a target
US8151710B2 (en) 2007-03-27 2012-04-10 Lockheed Martin Corporation Surface ship, deck-launched anti-torpedo projectile
US7874251B1 (en) 2007-04-12 2011-01-25 Lockheed Martin Corporation Cavity-running projectile having a telescoping nose
US8047135B1 (en) 2007-11-05 2011-11-01 Lockheed Martin Corporation Counter-mine dart
US7836827B2 (en) 2007-12-03 2010-11-23 Lockheed Martin Corporation Method of operating a supercavitating projectile based on time constraints
US8146501B1 (en) 2008-03-03 2012-04-03 Lockheed Martin Corporation Supercavitating projectile having a morphable nose
US8263919B2 (en) * 2008-08-27 2012-09-11 Raytheon Company Unmanned surveillance vehicle
US7779759B2 (en) 2008-11-21 2010-08-24 Lockheed Martin Corporation Supercavitating water-entry projectile
US8245645B1 (en) 2009-02-10 2012-08-21 Lockheed Martin Corporation Mine-defeating projectile
US8151711B1 (en) 2009-03-07 2012-04-10 Lockheed Martin Corporation Supercavitating projectile with reduced-drag control surfaces
US8222583B2 (en) 2009-03-23 2012-07-17 Lockheed Martin Corporation Drag-stabilized water-entry projectile and cartridge assembly
US8050138B2 (en) 2009-03-24 2011-11-01 Lockheed Martin Corporation Ballistic-acoustic transducer system
US8487227B2 (en) 2009-11-08 2013-07-16 Omnitek Partners Llc Speed-adaptive deployable boat-tailing cone for munitions for range extension
US9448040B2 (en) * 2010-03-22 2016-09-20 Omnitek Partners Llc Remotely guided gun-fired and mortar rounds
US8371204B2 (en) 2010-04-30 2013-02-12 Raytheon Company Bubble weapon system and methods for inhibiting movement and disrupting operations of vessels
US9316469B2 (en) * 2010-05-14 2016-04-19 Insights International Holdings, Llc Electronic tracking system
US8939084B2 (en) 2011-03-15 2015-01-27 Anthony Joseph Cesaroni Surface skimming munition
KR101195773B1 (ko) 2012-05-09 2012-11-05 국방과학연구소 수중운동체의 공동생성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수중운동체
US9441928B1 (en) 2013-04-29 2016-09-13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Army Method for discriminating between military operations in urban terrain (MOUT) targets
US9234728B2 (en) * 2013-11-08 2016-01-12 Lonestar Inventions, L.P. Rocket or artillery launched smart reconnaissance pod
US20170007865A1 (en) 2015-07-12 2017-01-12 David Dor-el Intelligent Method of Protecting Forest and Brush from Fire
US10746519B2 (en) * 2016-02-16 2020-08-18 Bae Systems Plc Fuse system for projectile
BR112018016660A2 (pt) * 2016-02-16 2018-12-26 Bae Systems Plc sistema de comunicação, arma a distância, projétil, e, métodos de comunicação, de transmissão de dados e de recepção de dados
US10619983B2 (en) 2017-11-27 2020-04-14 Raytheon Company Non-lethal naval vessel interdiction weapon
SE545174C2 (en) * 2017-12-28 2023-05-02 Bae Systems Bofors Ab A guidance and reconnaissance unit and a process for guiding a projectile
CN109387122A (zh) 2018-09-01 2019-02-26 哈尔滨工程大学 一种反向喷水通气空泡协助高速入水减低冲击载荷机构
DE102018129778B4 (de) * 2018-11-26 2022-02-24 Rheinmetall Waffe Munition Gmbh Übungsmunition und Trainingssystem unter Verwendung der Übungsmunition
WO2020128460A1 (en) 2018-12-19 2020-06-25 Bae Systems Plc Munitions and projectiles
US12173995B2 (en) 2018-12-19 2024-12-24 Bae Systems Plc Munitions and projectiles
WO2020128461A1 (en) 2018-12-19 2020-06-25 Bae Systems Plc Munitions and projectiles
US10703451B1 (en) * 2018-12-22 2020-07-07 Richard D Adams Countermeasures apparatus and method
US11624596B2 (en) 2019-01-10 2023-04-11 Advanced Acoustic Concepts, LLC Supercavitating cargo round
KR102136824B1 (ko) 2020-01-14 2020-07-22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초공동 수중 운동체 및 이의 동작 방법
RU2753986C1 (ru) 2020-12-08 2021-08-25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казенное воен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образования "Военный учебно-научный центр Военно-Морского Флота "Военно-морская академия им. Адмирала Флота Советского Союза Н.Г. Кузнецова" Авиационный плавающий подводный снаряд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22968A (en) * 1970-07-09 1975-12-02 Us Navy Bomblet fuze system
GB2277980A (en) * 1993-05-13 1994-11-16 Marconi Gec Ltd Gun launchable shell and fuse
US20110297032A1 (en) * 2007-04-12 2011-12-08 Lockheed Martin Corporation Cavity-enhancing features and methods for a cavity-running projectile
US20170328682A1 (en) * 2016-05-11 2017-11-16 Rivada Research, Llc Method and System for Using Enhanced Location-Based Information to Guide Munition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20082361A1 (en) 2022-03-17
PL3899412T3 (pl) 2024-11-18
KR102705635B1 (ko) 2024-09-10
EP3899412B1 (en) 2024-09-11
EP3899412A1 (en) 2021-10-27
AU2019403987B2 (en) 2024-11-07
US11821716B2 (en) 2023-11-21
CA3124293A1 (en) 2020-06-25
AU2019403987A1 (en) 2021-07-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705635B1 (ko) 탄환 및 발사체
US3877376A (en) Directed warhead
WO2020128461A1 (en) Munitions and projectiles
GB2580776A (en) Munitions and projectiles
GB2582050A (en) Improved apparatus and method suitable for use with a munition
EP3899416B1 (en) Improved apparatus and method suitable for use with a munition
CA2331724C (en) An armor piercing projectile
AU2020342607B2 (en) A reconnaissance and communication assembly
WO2020128460A1 (en) Munitions and projectiles
US12173995B2 (en) Munitions and projectiles
RU2336486C2 (ru) Комплекс самозащиты летательных аппаратов от зенитных управляемых ракет
EP3671103A1 (en) Munition
US20240182145A1 (en) Anti torpedo system
RU2517782C2 (ru) Способ защиты подводной лодки от широкополосной мины-торпеды
US20250155222A1 (en) Method, fire control system and combat system for simultaneous detonation of projectil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10719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20722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010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4082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4090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4090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