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210102736A - 서버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서버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02736A
KR20210102736A KR1020200017135A KR20200017135A KR20210102736A KR 20210102736 A KR20210102736 A KR 20210102736A KR 1020200017135 A KR1020200017135 A KR 1020200017135A KR 20200017135 A KR20200017135 A KR 20200017135A KR 20210102736 A KR20210102736 A KR 202101027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door unit
valve
group
air conditioners
pow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171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791424B1 (ko
Inventor
김경재
송관우
김준형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171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791424B1/ko
Priority to US17/166,428 priority patent/US11573025B2/en
Priority to PCT/KR2021/001700 priority patent/WO2021162404A1/en
Publication of KR202101027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027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7914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791424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6Remote contro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6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 or by internal processing, e.g. using fuzzy logic, adaptive control or estimation of values
    • F24F11/63Electronic process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24F11/46Improving electric energy efficiency or sav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6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 or by internal processing, e.g. using fuzzy logic, adaptive control or estimation of values
    • F24F11/63Electronic processing
    • F24F11/64Electronic processing using pre-stored data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6Remote control
    • F24F11/58Remote control using Internet communic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10Temperat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4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system states
    • F24F2140/60Energy consump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06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f heat-exchange fluid for the subsequent treatment of primary air in the room units
    • F24F3/065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f heat-exchange fluid for the subsequent treatment of primary air in the room units with a plurality of evaporators or condens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uzzy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서버가 개시된다. 본 서버는 통신부 및 통신부를 통해 복수의 공기 조화 장치의 운전 정보를 수신하고, 운전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공기 조화 장치의 각 실내기에 연결되는 배관에 포함되어 냉매의 흐름을 제어하는 밸브의 개폐 주기를 판단하며, 밸브의 개폐 주기에 기초하여 복수의 공기 조화 장치의 각 실내기를 복수의 그룹으로 그룹핑하고, 복수의 공기 조화 장치에 의해 소비되는 전력량이 기준 전력량에 도달하는 경우, 제어 우선 순위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그룹 중 적어도 하나의 그룹을 판단하고, 적어도 하나의 그룹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실내기로 운전 제어를 위한 신호를 통신부를 통해 전송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서버 및 그 제어 방법 {SERVER AND CONTRL METHOD THEREOF}
본 개시는 서버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공기 조화 장치의 운전을 제어하는 서버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빌딩, 백화점 등의 대형 건물에는 다수의 공기 조화 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이에 따라, 건물 내 사용자는 쾌적한 환경에서 업무, 쇼핑 등의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되었다.
그런데, 다수의 공기 조화 장치를 운전시키는 경우, 소비 전력량이 지나치게 증가하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특히 많은 전력량을 소비하는 공기 조화 장치의 운전을 제어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종래에는 건물 관리자가 주관적인 판단에 따라 복수의 공기 조화 장치 중 일부 공기 조화 장치의 운전을 제어하였다.
그러나, 다수의 공기 조화 장치가 설치된 환경에서 공기 조화 장치를 하나씩 제어하도록 하는 것은 건물 관리자에게 부담이 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운전 제어 대상이 되는 공기 조화 장치는 건물 관리자의 주관적인 판단에 의해 결정되므로 전력이 효율적으로 관리되기 어렵다.
이에 따라, 그룹 단위로 복수의 공기 조화 장치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방법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본 개시는 상술한 필요성에 의해 안출된 것으로써, 본 개시의 목적은 그룹 단위로 복수의 공기 조화 장치의 운전을 제어할 수 있는 서버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이상과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서버는, 통신부 및 상기 통신부를 통해 복수의 공기 조화 장치의 운전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운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공기 조화 장치의 각 실내기에 연결되는 배관에 포함되어 냉매의 흐름을 제어하는 밸브의 개폐 주기를 판단하며, 상기 밸브의 개폐 주기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공기 조화 장치의 각 실내기를 복수의 그룹으로 그룹핑하고, 상기 복수의 공기 조화 장치에 의해 소비되는 전력량이 기준 전력량에 도달하는 경우, 제어 우선 순위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그룹 중 적어도 하나의 그룹을 판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그룹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실내기로 운전 제어를 위한 신호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전송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밸브가 열린 시간 및 상기 밸브가 닫힌 시간을 포함하는 밸브의 개폐 시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운전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밸브의 개폐 시간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밸브의 개폐 주기를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밸브의 개폐 시간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밸브가 닫힌 제1 시점으로부터 상기 닫힌 밸브가 열린 이후 다시 닫힌 제2 시점을 판단하고, 상기 제1 및 제2 시점에 기초하여 상기 밸브의 개폐 주기를 판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제1 시점은, 상기 실내기 주변의 온도가 상기 실내기에 설정된 온도에 도달함에 따라, 상기 밸브가 닫힌 시점이 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어 우선 순위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그룹 중 상대적으로 짧은 밸브 개폐 주기를 가진 밸브를 포함하는 배관이 연결된 실내기가 포함된 그룹을 판단하고, 상기 그룹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실내기로 상기 운전 제어를 위한 신호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복수의 공기 조화 장치의 각 실내기에 매칭된 타겟 온도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실내기에 설정된 온도를 상기 타겟 온도로 변경하기 위한 신호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실내기로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실내기에 설정된 온도를 상기 타겟 온도로 변경할 경우, 상기 복수의 공기 조화 장치에 의해 소비되는 전력량이 상기 기준 전력량에 도달하는지를 판단하고, 상기 복수의 공기 조화 장치에 의해 소비되는 전력량이 상기 기준 전력량에 도달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어 우선 순위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실내기를 포함하는 제1 그룹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제어 우선 순위를 가진 제2 그룹을 판단하고, 상기 제2 그룹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실내기로 운전 제어를 위한 신호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2 그룹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실내기에 설정된 온도를 상기 타겟 온도로 변경하기 위한 신호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제2 그룹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실내기로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복수의 그룹 각각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실내기에 설정된 온도를 상기 타겟 온도로 변경할 경우, 상기 복수의 공기 조화 장치에 의해 소비되는 전력량이 상기 기준 전력량에 도달하는지를 판단하고, 상기 복수의 공기 조화 장치에 의해 소비되는 전력량이 상기 기준 전력량에 도달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1 그룹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실내기로 상기 밸브를 닫기 위한 신호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복수의 그룹 각각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실내기의 밸브를 닫을 경우, 상기 복수의 공기 조화 장치에 의해 소비되는 전력량이 상기 기준 전력량에 도달하는지를 판단하고, 상기 복수의 공기 조화 장치에 의해 소비되는 전력량이 상기 기준 전력량에 도달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1 그룹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실내기로 전원 오프를 위한 신호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전송할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서버의 제어 방법은, 복수의 공기 조화 장치의 운전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운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공기 조화 장치의 각 실내기에 연결되는 배관에 포함되어 냉매의 흐름을 제어하는 밸브의 개폐 주기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밸브의 개폐 주기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공기 조화 장치의 각 실내기를 복수의 그룹으로 그룹핑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공기 조화 장치에 의해 소비되는 전력량이 기준 전력량에 도달하는 경우, 제어 우선 순위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그룹 중 적어도 하나의 그룹을 판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그룹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실내기로 운전 제어를 위한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운전 정보는, 상기 밸브가 열린 시간 및 상기 밸브가 닫힌 시간을 포함하는 밸브의 개폐 시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밸브의 개폐 주기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밸브의 개폐 시간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밸브의 개폐 주기를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밸브의 개폐 주기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밸브의 개폐 시간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밸브가 닫힌 제1 시점으로부터 상기 닫힌 밸브가 열린 이후 다시 닫힌 제2 시점을 판단하고, 상기 제1 및 제2 시점에 기초하여 상기 밸브의 개폐 주기를 판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제1 시점은, 상기 실내기 주변의 온도가 상기 실내기에 설정된 온도에 도달함에 따라, 상기 밸브가 닫힌 시점이 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제어 우선 순위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그룹 중 상대적으로 짧은 밸브 개폐 주기를 가진 밸브를 포함하는 배관이 연결된 실내기가 포함된 그룹을 판단하고, 상기 그룹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실내기로 상기 운전 제어를 위한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공기 조화 장치의 각 실내기에 매칭된 타겟 온도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실내기에 설정된 온도를 상기 타겟 온도로 변경하기 위한 신호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실내기로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실내기에 설정된 온도를 상기 타겟 온도로 변경할 경우, 상기 복수의 공기 조화 장치에 의해 소비되는 전력량이 상기 기준 전력량에 도달하는지를 판단하고, 상기 복수의 공기 조화 장치에 의해 소비되는 전력량이 상기 기준 전력량에 도달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어 우선 순위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실내기를 포함하는 제1 그룹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제어 우선 순위를 가진 제2 그룹을 판단하고, 상기 제2 그룹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실내기로 운전 제어를 위한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제2 그룹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실내기에 설정된 온도를 상기 타겟 온도로 변경하기 위한 신호를 상기 제2 그룹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실내기로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그룹 각각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실내기에 설정된 온도를 상기 타겟 온도로 변경할 경우, 상기 복수의 공기 조화 장치에 의해 소비되는 전력량이 상기 기준 전력량에 도달하는지를 판단하고, 상기 복수의 공기 조화 장치에 의해 소비되는 전력량이 상기 기준 전력량에 도달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1 그룹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실내기로 상기 밸브를 닫기 위한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그룹 각각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실내기의 밸브를 닫을 경우, 상기 복수의 공기 조화 장치에 의해 소비되는 전력량이 상기 기준 전력량에 도달하는지를 판단하고, 상기 복수의 공기 조화 장치에 의해 소비되는 전력량이 상기 기준 전력량에 도달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1 그룹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실내기로 전원 오프를 위한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그룹 단위로 복수의 공기 조화 장치의 운전을 효율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서버 및 그 제어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력 관리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a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밸브의 개폐 주기에 기초하여 복수의 실내기를 그룹핑하는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b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밸브의 개폐 주기에 기초하여 복수의 실내기를 그룹핑하는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3c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밸브의 개폐 주기에 기초하여 복수의 실내기를 그룹핑하는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a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내부 온도에 기초하여 복수의 실내기를 그룹핑하는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b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내부 온도에 기초하여 복수의 실내기를 그룹핑하는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c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내부 온도에 기초하여 복수의 실내기를 그룹핑하는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 조화 장치의 운전을 제어하는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서버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이하,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재된다. 그러나, 이는 본 개시에 기재된 기술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개시의 실시 예의 다양한 변경(modifications), 균등물(equivalents), 및/또는 대체물(alternatives)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가진다," "가질 수 있다," "포함한다," 또는 "포함할 수 있다" 등의 표현은 해당 특징(예: 수치, 기능, 동작, 또는 부품 등의 구성요소)의 존재를 가리키며, 추가적인 특징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는다.
본 개시에서, "A 또는 B," "A 또는/및 B 중 적어도 하나," 또는 "A 또는/및 B 중 하나 또는 그 이상"등의 표현은 함께 나열된 항목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A 또는 B," "A 및 B 중 적어도 하나," 또는 "A 또는 B 중 적어도 하나"는, (1) 적어도 하나의 A를 포함, (2) 적어도 하나의 B를 포함, 또는 (3) 적어도 하나의 A 및 적어도 하나의 B 모두를 포함하는 경우를 모두 지칭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사용된 "제1," "제2," "첫째," 또는 "둘째,"등의 표현들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순서 및/또는 중요도에 상관없이 수식할 수 있고,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뿐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어떤 구성요소(예: 제1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예: 제2 구성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 연결되어((operatively or communicatively) coupled with/to)" 있다거나 "접속되어(connected to)"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다른 구성요소(예: 제3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예: 제1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예: 제2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와 상기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요소(예: 제 3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사용된 표현 "~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configured to)"은 상황에 따라, 예를 들면, "~에 적합한(suitable for)," "~하는 능력을 가지는(having the capacity to)," "~하도록 설계된(designed to)," "~하도록 변경된(adapted to)," "~하도록 만들어진(made to)," 또는 "~를 할 수 있는(capable of)"과 바꾸어 사용될 수 있다. 용어 "~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은 하드웨어적으로 "특별히 설계된(specifically designed to)" 것만을 반드시 의미하지 않을 수 있다. 대신, 어떤 상황에서는, "~하도록 구성된 장치"라는 표현은, 그 장치가 다른 장치 또는 부품들과 함께 "~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문구 "A, B, 및 C를 수행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 프로세서"는 해당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전용 프로세서(예: 임베디드 프로세서), 또는 메모리 장치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들을 실행함으로써, 해당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는 범용 프로세서(generic-purpose processor)(예: CPU 또는 application processor)를 의미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모듈" 혹은 "부"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수행하며,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모듈" 혹은 복수의 "부"는 특정한 하드웨어로 구현될 필요가 있는 "모듈" 혹은 "부"를 제외하고는 적어도 하나의 모듈로 일체화되어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미도시)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력 관리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력 관리 시스템(1000)은 서버(100) 및 복수의 공기 조화 장치(10)를 포함할 수 있다.
공기 조화 장치(10)는 냉방 사이클 또는 난방 사이클에 따라 실내 온도를 제어하는 장치로서,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 조화 장치(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외기(11) 및 실외기(11)에 연결되는 복수의 실내기(12)를 포함하는 멀티형 공기 조화 장치(10)가 될 수 있다. 그리고, 복수의 실내기(12) 각각은 서로 다른 공간에 배치되어 각 공간의 온도를 제어하기 위해 냉방 사이클 또는 난방 사이클로 동작할 수 있다. 물론, 실시 예에 따라 복수의 실내기(12) 중 일부는 동일한 공간에 배치될 수도 있다. 또한, 멀티형 공기 조화 장치(10)는 일 실시 예로서,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 조화 장치(10)는 하나의 실외기(11) 및 하나의 실내기(12)를 포함하는 싱글형 공기 조화 장치(10)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도 1에서는 두 개의 공기 조화 장치(10)를 도시하였으나, 실시 예에 따라 공기 조화 장치(10)는 하나 또는 세 개 이상이 될 수 있다.
공기 조화 장치(10)는 저온 저압의 기체 냉매를 고온 고압으로 압축하는 압축기 및 고온 고압으로 압축된 기체 냉매를 고온 고압의 액상 냉매로 응축하는 응축기를 포함하는 실외기(11), 고온 고압의 액상 냉매를 저온 저압의 기체 냉매로 팽창시키는 팽창 밸브 및 저온 저압의 기체 냉매를 증발시키는 증발기를 포함하는 실내기(12) 및 실외기(11)와 실내기(12)를 연결하는 배관에 포함되어, 냉매의 흐름을 조절하는 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실시 예에 따라 상술한 응축기는 실내기(12)에 포함될 수 있고, 팽창 밸브는 실외기(11)에 포함될 수도 있다.
또한, 공기 조화 장치(10)는 공기 조화 장치(10) 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 하기 위한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공기 조화 장치(10)의 프로세서는 공기 조화 장치(10)에 포함된 다수의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을 제어할 수 있고, 각종 데이터 처리 및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예로, 공기 조화 장치(10)의 프로세서는 실내 온도에 따라 밸브의 개폐를 제어함으로써 냉매의 흐름을 조절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공기 조화 장치(10)의 프로세서는 적어도 하나의 범용 프로세서(general processor), 중앙 처리장치(central processing unit(CPU)),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SoC(system on chip), MICOM(Microcomputer)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공기 조화 장치(10)는 서버(100)와 통신을 수행하여 다양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공기 조화 장치(10)는 유선 또는 무선 통신 방식을 통해 서버(100)와 통신 연결되어 서버(100)와 다양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일 예로, 공기 조화 장치(10)는 통신 케이블 또는 와이파이 네트워크를 통해 서버(100)와 통신 연결되고, 서버(100)로 공기 조화 장치(10)의 운전 정보(가령, 각 실내기(12)의 운전 모드에 대한 정보, 각 실내기(12)에 설정된 온도에 대한 정보, 냉매의 흐름을 조절하는 밸브의 개폐 시간에 대한 정보, 각 실외기(10)에 포함된 모터에 인가된 전원의 주파수에 대한 정보 등) 또는 공기 조화 장치(10)의 각 실내기(12) 주변의 온도에 대한 정보 등을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이는 일 실시 예로써, 공기 조화 장치(10)는 중계기(미도시)에 통신 연결되고, 중계기(미도시)를 통해 서버(100)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도 있다. 여기에서, 중계기(미도시)는 서버(100)와 유선 또는 무선 통신 방식으로 통신 연결된 전자 장치로써, 공기 조화 장치(10)는 유선 또는 무선 통신 방식으로 중계기(미도시)와 통신 연결되고, 중계기(미도시)를 통해 서버(100)로 공기 조화 장치(10)의 운전 정보 또는 공기 조화 장치(10)의 각 실내기(12) 주변의 온도에 대한 정보 등을 전송할 수 있다.
서버(100)는 복수의 공기 조화 장치(10)로부터 수신한 운전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공기 조화 장치(10)의 각 실내기(12)를 복수의 그룹으로 그룹핑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서버(100)는 복수의 공기 조화 장치(10)로부터 수신한 운전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공기 조화 장치(10)의 각 실내기(12)에 연결되는 배관에 포함되어 냉매의 흐름을 제어하는 밸브의 개폐 주기를 판단하고, 밸브의 개폐 주기에 기초하여 복수의 공기 조화 장치(10)의 각 실내기를 복수의 그룹으로 그룹핑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2 이하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그리고, 서버(100)는 복수의 공기 조화 장치(10)에 의해 소비되는 전력량이 기준 전력량에 도달하는 경우, 제어 우선 순위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그룹 중 적어도 하나의 그룹을 판단하고, 적어도 하나의 그룹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실내기(12)로 운전 제어를 위한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여기에서, 운전 제어를 위한 신호는, 실내기(12)에 설정된 온도를 변경하기 위한 신호, 냉매의 흐름을 조절하는 밸브를 닫기 위한 신호 또는 실내기(12)의 전원을 오프하기 위한 신호 중 적어도 하나가 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서버(100)는 복수의 그룹 중에서, 상대적으로 짧은 밸브 개폐 주기를 가진 실내기를 포함하는 그룹을 판단하고, 판단된 그룹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실내기로 운전 제어를 위한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이는, 상대적으로 짧은 밸브 개폐 주기를 가진 실내기가 설치된 공간은 단열도가 낮은 공간으로서, 이러한 공간에 설치된 실내기 및 해당 실내기에 연결된 실외기가 소비하는 전력량은 다른 다른 공간에 설치된 실내기 및 해당 실내기에 연결된 실외기가 소비하는 전력량 보다 높으므로 제어할 필요성이 높음을 반영한 것이다.
이와 같이 본 개시는 특히 소비 전력량이 높은 실내기를 그룹 단위로 일괄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개시는 종래 다수의 공기 조화 장치가 설치된 환경에서 실내기를 하나씩 제어해야 했던 건물 관리자의 부담을 해소시킬 수 있고, 그룹 단위로 복수의 실내기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서버(100)는 통신부(110) 및 프로세서(120)를 포함한다.
통신부(110)는 다양한 외부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여, 다양한 데이터를 송수신 할 수 있다.
일 예로, 통신부(110)는 공기 조화 장치(10)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통신부(110)는 유선 통신 방식 또는 무선 통신 방식을 통해 공기 조화 장치(10)와 통신 연결되어, 공기 조화 장치(10)와 다양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일 예로, 통신부(110)는 통신 케이블 또는 와이파이 네트워크를 통해 공기 조화 장치(10)와 통신 연결되고, 공기 조화 장치(10)로부터 공기 조화 장치(10)의 운전 정보(가령, 각 실내기(12)의 운전 모드에 대한 정보, 각 실내기(12)에 설정된 온도에 대한 정보, 냉매의 흐름을 조절하는 밸브의 개폐 시간에 대한 정보, 각 실외기(10)에 포함된 모터에 인가된 전원의 주파수에 대한 정보 등) 또는 공기 조화 장치(10)의 각 실내기(12) 주변의 온도에 대한 정보 등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110)는 공기 조화 장치(10)로 운전 제어를 위한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여기에서, 운전 제어를 위한 신호는 공기 조화 장치(10)의 실내기(12)에 설정된 온도를 변경하기 위한 신호, 냉매의 흐름을 조절하는 밸브의 개폐를 제어하기 위한 신호 또는 공기 조화 장치(10)의 실외기(11) 또는 실내기(12)의 전원을 오프하기 위한 신호가 될 수 있다.
한편, 이는 일 실시 예로써, 통신부(110)는 중계기(미도시)와 통신 연결되고, 중계기(미도시)를 통해 공기 조화 장치(10)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도 있다. 여기에서, 중계기(미도시)는 공기 조화 장치(10)와 유선 또는 무선 통신 방식으로 통신 연결된 전자 장치로써, 통신부(110)는 유선 또는 무선 통신 방식으로 중계기(미도시)와 통신 연결되고, 중계기(미도시)를 통해 공기 조화 장치(10)로부터 공기 조화 장치(10)의 운전 정보 또는 공기 조화 장치(10)의 각 실내기(12) 주변의 온도에 대한 정보 등을 수신하거나, 중계기(미도시)를 통해 공기 조화 장치(10)로 운전 제어를 위한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중계기(미도시)는 공기 조화 장치(10)의 각 실내기(12)와 통신 연결되어, 서버(10) 및 실내기(12)간의 데이터 송수신을 중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공기 조화 장치(10)의 실외기(10)와 통신 연결되어, 서버(10) 및 실외기(11)간의 데이터 송수신을 중계할 수 있다. 후자의 경우, 실외기(11)는 중계기(미도시)로부터 수신한 데이터에 포함된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데이터를 전송할 실내기(12)를 판단하고,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실내기(12)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서버(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 하기 위한 구성이다. 프로세서(120)는 운영 체제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구동하여 프로세서(120)에 연결된 다수의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을 제어할 수 있고, 각종 데이터 처리 및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프로세서(120)는 중앙 처리장치(central processing unit(CPU)),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plication processor(AP)),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communication processor(CP))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20)는 적어도 하나의 범용 프로세서(general processor),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SoC(system on chip), MICOM(Microcomputer)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통신부(110)를 통해 복수의 공기 조화 장치(10)의 운전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에서, 운전 정보는 냉매의 흐름을 조절하는 밸브의 개폐 주기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술한 바와 같이, 공기 조화 장치(10)는 실외기(11) 및 실내기(12)를 연결하는 배관에 포함되어, 냉매의 흐름을 조절하는 밸브(이하, 제어 밸브라 한다.)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공기 조화 장치(10)는 실내기(12) 주변의 온도 및 실내기(12)에 설정된 온도에 기초하여, 제어 밸브의 개폐를 제어할 수 있다. 즉, 공기 조화 장치는 실내 온도 및 희망 온도에 기초하여, 제어 밸브의 개폐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공기 조화 장치(10)는 제어 밸브가 열린 상태에서 실내기(12) 주변의 온도를 온도 감지 센서를 통해 감지하고, 공기 조화 장치(10)가 냉방 사이클로 동작함에 따라 실내기(12) 주변의 온도가 실내기(12)에 설정된 온도에 도달하는 경우 또는 실내기(12) 주변의 온도 및 실내기(12)에 설정된 온도의 차이가 임계 값 이하가 되는 경우, 제어 밸브를 닫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실내기(12) 주변의 온도가 30 °С이고 실내기(12)에 설정된 온도가 20 °С인 경우, 공기 조화 장치(10)는 냉방 사이클로 동작하는 동안 실내기(12) 주변의 온도를 감지하고, 실내기(12) 주변의 온도가 20 °С에 도달하는 경우, 또는 실내기(12) 주변의 온도가 20 °С에 도달한 이후 19 °С가 되는 경우(가령, 임계 값이 1°С인 경우), 제어 밸브를 닫을 수 있다. 즉, 공기 조화 장치(10)는 냉방 운전을 중단하고 송풍 운전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공기 조화 장치(10)는 제어 밸브를 닫은 이후, 실내기(12) 주변의 온도가 실내기(12)에 설정된 온도에 도달하는 경우 또는 실내기(12) 주변의 온도 및 실내기(12)에 설정된 온도의 차이가 임계 값 이상인 경우, 제어 밸브를 열 수 있다. 예를 들어, 실내기(12)에 설정된 온도가 20 °С인 경우, 공기 조화 장치(10)는 제어 밸브를 닫은 이후, 19 °С이던 실내기(12) 주변의 온도가 20 °С에 도달하는 경우, 또는 실내기(12) 주변의 온도가 20 °С에 도달한 이후 21 °С가 되는 경우(가령, 임계 값이 1°С인 경우), 제어 밸브를 열 수 있다. 즉, 공기 조화 장치(10)는 송풍 운전을 중단하고 냉방 운전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공기 조화 장치(10)는 제어 밸브가 열린 시간 및 닫힌 시간을 포함하는 제어 밸브의 개폐 시간에 대한 정보를 서버(100)로 전송하고, 이에 따라 프로세서(120)는 통신부(110)를 통해 제어 밸브의 개폐 시간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운전 정보에 포함된 제어 밸브의 개폐 시간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제어 밸브의 개폐 주기를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20)는 제어 밸브의 개폐 시간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제어 밸브가 닫힌 제1 시점으로부터, 닫힌 제어 밸브가 열린 이후 다시 닫힌 제2 시점을 판단하고, 제1 및 제2 시점에 기초하여 제어 밸브의 개폐 주기를 판단할 수 있다. 가령, 제1 시점이 t1이고 제2 시점이 t2이면, 프로세서(120)는 t2 및 t1의 차이를 제어 밸브의 개폐 주기로 판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제1 시점은, 실내기(12) 주변의 온도가 실내기(12)에 설정된 온도에 도달함에 따라, 제어 밸브가 닫힌 시점이 될 수 있다. 즉, 제1 시점은, 상술한 실시 예와 같이, 실내기(12)에 설정된 온도가 20 °С인 경우, 공기 조화 장치(10)의 냉방 운전에 따라 30 °С이던 실내기(12) 주변의 온도가 20 °С에 도달함에 따라 제어 밸브가 닫힌 시점, 또는 공기 조화 장치(10)의 냉방 운전에 따라 30 °С이던 실내기(12) 주변의 온도가 20 °С에 도달한 이후 19 °С가 됨에 따라(가령, 임계 값이 1°С인 경우) 제어 밸브가 닫힌 시점이 될 수 있다. 이를 위해, 공기 조화 장치(10)는 실내기(12) 주변의 온도가 실내기(12)에 설정된 온도에 도달함에 따라 제어 밸브를 닫을 때, 제어 밸브를 닫은 시점에 대한 정보를 서버(100)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이는 일 실시 예로써, 공기 조화 장치(10)는 공기 조화를 위해 공기 조화 장치(10)의 전원을 온하는 사용자 명령이 입력된 이후부터 제어 밸브의 개폐 시간에 대한 정보를 서버(100)로 전송하고, 프로세서(120)는 제어 밸브의 개폐 시간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제어 밸브가 최초로 닫힌 시점을 상술한 제1 시점으로 판단할 수도 있다. 또는, 프로세서(120)는 제어 밸브의 개폐 시간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제어 밸브의 개폐가 일정 주기로 이루어 지는 구간을 판단하고, 해당 구간의 시간을 제어 밸브의 개폐 주기로 판단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120)는 제어 밸브의 개폐 주기에 기초하여 복수의 공기 조화 장치(10)의 각 실내기(12)를 복수의 그룹으로 그룹핑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20)는 복수의 실내기(12) 중에서 동일한 개폐 주기를 가진 실내기(12)를 동일한 그룹으로 그룹핑할 수 있다. 일 예로, 제1 및 제2 실내기에 포함된 제어 밸브의 개폐 주기가 T1이고, 제3 및 제4 실내기에 포함된 제어 밸브의 개폐 주기가 T2이면, 프로세서(120)는 제1 및 제2 실내기를 제1 그룹으로 그룹핑하고 제3 및 제4 실내기를 제2 그룹으로 그룹핑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120)는 유사한 개폐 주기를 가진 실내기(12)를 동일한 그룹으로 그룹핑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20)는 제1 실내기에 포함된 제어 밸브의 개폐 주기가 T1이고, 제2 실내기에 포함된 제어 밸브의 T2이며, T1 및 T2의 차이가 임계 값(가령, 1분)이하이면, 제1 및 제2 실내기를 동일한 그룹으로 그룹핑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복수의 공기 조화 장치(10)에 의해 소비되는 전력량에 기초하여 복수의 그룹 중 적어도 하나의 그룹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실내기(12)로 운전 제어를 위한 신호를 통신부(110)를 통해 전송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20)는 복수의 공기 조화 장치(10)에 의해 소비되는 전력량이 기준 전력량에 도달하는 경우, 제어 우선 순위 정보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그룹 중 운전 제어의 대상이 되는 그룹을 판단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프로세서(120)는 복수의 공기 조화 장치(10)에 의해 소비되는 전력량이 기준 전력량에 도달하였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여기에서, 기준 전력량은 사용자 명령에 따라 설정된 전력량으로써, 일(day) 단위로 설정될 수 있음은 물론, 월 단위, 주 단위, 시간 단위, 분 단위 등 다양한 기준 시간 단위로 설정될 수 있다. 일 예로, 기준 전력량은 1000kwh/day로 설정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20)는 통신부(110)를 통해 수신한 복수의 공기 조화(10)의 소비 전력량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공기 조화 장치(10)에 의해 소비되는 전력량이 기준 전력량에 도달하였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120)는 복수의 공기 조화 장치(10)에 의해 소비되는 전력량이 기준 전력량에 도달할 것으로 예측되는 경우, 제어 우선 순위 정보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그룹 중 운전 제어의 대상이 되는 그룹을 판단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20)는 프로세서(120)는 통신부(110)를 통해 수신한 복수의 공기 조화(10)의 소비 전력량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기설정된 시간 이후 복수의 공기 조화 장치(10)에 의해 소비될 것으로 예측되는 전력량을 판단하고, 복수의 공기 조화 장치(10)에 의해 소비되는 전력량이 기설정된 시간 이후 기준 전력량에 도달할 것으로 예측되는 경우, 제어 우선 순위 정보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그룹 중 운전 제어의 대상이 되는 그룹을 판단할 수 있다.
한편, 제어 우선 순위는 제어 밸브의 개폐 주기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20)는 제어 우선 순위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그룹 중 상대적으로 짧은 밸브 개폐 주기를 가진 밸브를 포함하는 배관이 연결된 실내기가 포함된 그룹을 운전 제어의 대상이 되는 그룹으로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a 내지 도 3c를 참조하면, 프로세서(120)는 제1 및 제2 실내기로부터 제1 제어 밸브의 개폐 주기에 대한 정보(310)를 수신하고, 제3 및 제4 실내기로부터 제2 제어 밸브의 개폐 주기에 대한 정보(320)를 수신하며, 제5 실내기로부터 제3 제어 밸브의 개폐 주기에 대한 정보(330)를 수신한 경우, 동일(또는, 임계 값 이하의 차이)한 개폐 주기를 가진 제1 및 제2 실내기를 제1 그룹으로 그룹핑하고, 제3 및 제4 실내기를 제2 그룹으로 그룹핑하며, 제5 실내기를 제3 그룹으로 그룹핑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20)는 복수의 공기 조화 장치(10)에 의해 소비되는 전력량이 기준 전력량에 도달하면, 복수의 그룹 중 운전 제어의 대상이 되는 그룹을 제어 밸브의 개폐 주기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20)는 복수의 그룹 중 상대적으로 짧은 개폐 주기를 가진 제어 밸브를 포함하는 배관이 연결된 실내기가 포함된 그룹을 운전 제어의 대상이 되는 그룹으로 판단할 수 있다. 즉, 상술한 실시 예에서, 프로세서(120)는 제1 내지 제3 그룹 중에서, 상대적으로 짧은 개폐 주기를 가진 제어 밸브를 포함하는 배관이 연결된 제1 및 제2 실내기를 포함하는 제1 그룹을 운전 제어의 대상이 되는 그룹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는, 상대적으로 짧은 개폐 주기를 가진 밸브를 포함하는 배관이 연결된 실내기가 설치된 공간은 단열도가 낮은 공간으로서, 이러한 공간에 설치된 실내기 및 해당 실내기에 연결된 실외기가 소비하는 전력량은 다른 공간에 설치된 실내기 및 해당 실내기에 연결된 실외기가 소비하는 전력량 보다 높으므로 제어할 필요성이 높음을 반영한 것이다.
그리고, 프로세서(120)는 복수의 그룹 중 운전 제어의 대상이 되는 그룹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실내기(12)로 운전 제어를 위한 신호를 통신부(110)를 통해 전송할 수 있다. 물론, 실시 예에 따라 프로세서(120)는 운전 제어를 위한 신호를 실외기(11) 또는 중계기(미도시)로 전송할 수도 있다.
여기에서, 운전 제어를 위한 신호는, 운전 제어의 대상이 되는 그룹에 포함된 실내기(12)에 설정된 온도를 변경하기 위한 신호, 운전 제어의 대상이 되는 그룹에 포함된 실내기(12)에 연결된 배관에 포함된 제어 밸브를 닫기 위한 신호 또는 운전 제어의 대상이 되는 그룹에 포함된 실내기(12)의 전원을 오프하기 위한 신호 중 적어도 하나가 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20)는 복수의 공기 조화 장치(10)의 각 실내기(12)에 매칭된 타겟 온도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운전 제어의 대상이 되는 그룹에 포함된 실내기에 설정된 온도를 타겟 온도로 변경하기 위한 신호를 통신부(110)를 통해 운전 제어의 대상이 되는 그룹에 포함된 실내기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에서, 타겟 온도는 복수의 공기 조화(10)의 운전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20)는 통신부(110)를 통해 수신한 복수의 공기 조화(10)의 운전 정보에 기초하여, 공기 조화 장치(10)의 각 실내기(12) 별로, 실내기(12)에 설정된 온도가 유지된 시간을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20)는 실내기(12)에 설정된 온도가 기설정된 시간 이상 유지된 경우, 해당 온도를 해당 실내기(12)의 타겟 온도로 매칭하여 저장할 수 있다. 일 예로, 제1 실내기에 23 °С가 희망 온도로 설정되고, 제1 실내기가 설정된 희망 온도에 따라 기설정된 시간(가령, 60분)을 운전한 경우, 프로세서(120)는 제1 실내기의 타겟 온도를 23 °С로 저장할 수 있다. 이는, 희망 온도가 기설정된 시간 이상 유지된 경우이면(즉, 사용자가 희망 온도를 조절하지 않은 경우이면), 사용자는 해당 온도에서 쾌적함을 느끼는 것으로 볼 수 있으므로, 소비 젼력량이 기준 전력량에 도달함에 따라 실내기(12)에 설정된 온도를 타겟 온도로 변경하더라도 사용자의 쾌적함을 유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한편, 프로세서(120)는 기설정된 시간 이상 유지된 희망 온도가 복수 개인 경우, 상대적으로 가장 높은 희망 온도를 해당 실내기(12)의 타겟 온도로 매칭하여 저장할 수 있다. 일 예로, 프로세서(120)는 제1 실내기가 20 °С로 설정된 희망 온도를 기설정된 시간 유지하고, 22 °С로 설정된 희망 온도도 기설정된 시간 유지한 경우, 상대적으로 높은 22 °С를 제1 실내기의 타겟 온도로 저장할 수 있다. 이는, 사용자의 쾌적함을 유지하면서, 공기 조화 장치(10)에 의해 소비되는 전력량을 최소화하기 위함이다.
한편, 프로세서(120)는 운전 제어의 대상이 되는 그룹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실내기(12)에 설정된 온도를 타겟 온도로 변경함에 있어서, 실내기(12)의 온도를 순차적으로 변경할 수 있다. 일 예로, 운전 제어의 대상이 되는 그룹에 포함된 실내기(12) 주변의 온도가 20°С이고, 실내기(12)의 타겟 온도가 22 °С인 경우, 프로세서(120)는 20°С로 설정된 실내기(12)의 온도를 우선 21°С로 변경하고, 기설정된 시간(가령, 10분) 후 실내기(12)의 온도를 타겟 온도인 22 °С로 변경할 수 있다. 이는, 설정 온도를 급격하게 변경할 경우 발생하는 사용자의 불쾌적도를 최소화하기 위함이다.
한편, 프로세서(120)는 운전 제어의 대상이 되는 그룹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실내기(12)에 설정된 온도를 타겟 온도로 변경할 경우, 복수의 공기 조화 장치(10)에 의해 소비되는 전력량이 기준 전력량에 도달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20)는 복수의 공기 조화 장치(10)에 의해 소비되는 전력량이 기준 전력량에 도달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 우선 순위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운전 제어의 대상이 된 제1 그룹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제어 우선 순위를 가진 제2 그룹을 판단하고, 제2 그룹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실내기로 운전 제어를 위한 신호를 통신부(110)를 통해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a 내지 도 3b를 참조하면, 프로세서(120)는 제1 그룹보다 상대적으로 긴 개폐 주기를 가지나 제3 그룹보다 상대적으로 짧은 개폐 주기를 가진 제어 밸브를 포함하는 배관이 연결된 제3 및 제4 실내기를 포함하는 제2 그룹을 제2 운전 제어의 대상이 되는 그룹으로 판단하고, 상대적으로 가장 긴 개폐 주기를 가진 제어 밸브를 포함하는 배관이 연결된 제5 실내기를 포함하는 제3 그룹을 제3 운전 제어의 대상이 되는 그룹으로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20)는 제2 그룹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실내기로 운전 제어를 위한 신호를 통신부(110)를 통해 전송할 수 있다. 즉, 프로세서(120)는 제2 그룹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실내기에 설정된 온도를 타겟 온도로 변경하기 위한 신호를 통신부(110)를 통해 제2 그룹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실내기로 전송할 수 있다. 만약, 제2 그룹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실내기에 설정된 온도를 타겟 온도로 변경하였음에도 복수의 공기 조화 장치(10)에 의해 소비되는 전력량이 기준 전력량에 도달할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이면, 프로세서(120)는 제3 그룹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실내기에 설정된 온도를 타겟 온도로 변경하기 위한 신호를 통신부(110)를 통해 제3 그룹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실내기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120)는 복수의 그룹 각각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실내기(12)에 설정된 온도를 타겟 온도로 변경할 경우, 복수의 공기 조화 장치(10)에 의해 소비되는 전력량이 기준 전력량에 도달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즉, 상술한 실시 예에서 제1 내지 제3 그룹에 포함된 복수의 실내기(12)를 타겟 온도로 변경할 경우, 복수의 공기 조화 장치(10)에 의해 소비되는 전력량이 기준 전력량에 도달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20)는 복수의 공기 조화 장치(10)에 의해 소비되는 전력량이 기준 전력량에 도달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제1 그룹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실내기로 제어 밸브를 닫기 위한 신호를 통신부(110)를 통해 전송할 수 있다. 즉, 프로세서(120)는 복수의 공기 조화 장치(10)가 타겟 온도로 운전할 경우에도 소비 전력량이 기준 전력량에 도달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제1 그룹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실내기가 송풍 운전을 수행하도록 제1 그룹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실내기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20)는 제1 그룹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실내기(12)의 제어 밸브를 닫을 경우에, 복수의 공기 조화 장치(10)에 의해 소비되는 전력량이 기준 전력량에 도달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20)는 복수의 공기 조화 장치(10)에 의해 소비되는 전력량이 기준 전력량에 도달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제1 그룹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제어 우선 순위를 가진 제2 그룹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실내기로 제어 밸브를 닫기 위한 신호를 통신부(110)를 통해 전송할 수 있다. 만약, 제2 그룹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실내기의 제어 밸브를 닫았음에도 복수의 공기 조화 장치(10)에 의해 소비되는 전력량이 기준 전력량에 도달할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이면, 프로세서(120)는 제3 그룹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실내기로 제어 밸브를 닫기 위한 신호를 통신부(110)를 통해 전송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120)는 복수의 그룹 각각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실내기(12)의 제어 밸브를 닫을 경우, 복수의 공기 조화 장치(10)에 의해 소비되는 전력량이 상기 기준 전력량에 도달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즉, 상술한 실시 예에서 제1 내지 제3 그룹에 포함된 복수의 실내기(12)의 제어 밸브를 닫을 경우, 복수의 공기 조화 장치(10)에 의해 소비되는 전력량이 기준 전력량에 도달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20)는 복수의 공기 조화 장치(10)에 의해 소비되는 전력량이 기준 전력량에 도달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제1 그룹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실내기로 전원 오프를 위한 신호를 통신부(110)를 통해 전송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20)는 제1 그룹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실내기(12)의 전원을 오프한 경우에, 복수의 공기 조화 장치(10)에 의해 소비되는 전력량이 기준 전력량에 도달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20)는 복수의 공기 조화 장치(10)에 의해 소비되는 전력량이 기준 전력량에 도달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제1 그룹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제어 우선 순위를 가진 제2 그룹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실내기로 전원 오프를 위한 신호를 통신부(110)를 통해 전송할 수 있다. 만약, 제2 그룹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실내기의 전원을 오프했음에도 복수의 공기 조화 장치(10)에 의해 소비되는 전력량이 기준 전력량에 도달할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이면, 프로세서(120)는 제3 그룹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실내기로 전원 오프를 위한 신호를 통신부(110)를 통해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개시는 그룹 단위로 복수의 공기 조화 장치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고, 사용자의 불쾌적도를 최소화 시킬 수 있다.
한편, 이상에서는 제어 밸브가 실외기(11) 및 실내기(12)를 연결하는 배관에 포함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제어 밸브의 위치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제어 밸브는 공기 조화 장치(10)의 다양한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일 예로, 제어 밸브는 실외기(11)의 압축기 및 실내기(12)의 증발기 사이에 연결된 배관에 포함되어 증발기로 흐르는 냉매를 조절하는 밸브가 딜 수 있음은 물론, 실외기(11)의 압축기 및 응축기 사이에 연결된 배관에 포함되어 압축기로 흐르는 냉매를 조절하는 밸브가 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공기 조화 장치(10)가 냉방 사이클로 동작하는 경우를 중심으로 기재하였으나, 본 개시는 공기 조화 장치(10)가 난방 사이클로 동작하는 경우에도 유사한 기술적 사상이 적용될 수 있다고 볼 것이다.
도 4a 내지 도 4c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내부 온도에 기초하여 복수의 실내기를 그룹핑하는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상에서는, 제어 밸브의 개폐 주기에 기초하여 복수의 실내기를 그룹핑하는 실시 예에 대해 설명하였다. 다만, 이는 일 실시 예일 뿐, 프로세서(120)는 복수의 공기 조화 장치(10)의 각 실내기에 의해 감지된 온도에 기초하여, 복수의 실내기를 복수의 그룹으로 그룹핑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프로세서(120)는 통신부(110)를 통해 복수의 공기 조화 장치(10)의 운전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에서, 운전 정보는 복수의 공기 조화 장치(10)의 각 실내기(12)에 의해 감지된 실내 온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20)는 실내 온도의 변화 주기에 기초하여 복수의 공기 조화 장치(10)의 각 실내기를 그룹핑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20)는 운전 정보에 포함된 실내 온도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실내 온도의 변화 주기를 판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20)는 실내 온도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실내 온도가 상승하는 제1 시점으로부터, 상승하던 실내 온도가 하강한 이후 다시 상승하는 제2 시점을 판단하고, 제1 및 제2 시점에 기초하여 실내 온도의 변화 주기를 판단할 수 있다. 가령, 제1 시점이 t1이고 제2 시점이 t2이면, 프로세서(120)는 t2 및 t1의 차이를 실내 온도의 변화 주기로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20)는 실내 온도의 변화 주기에 기초하여 복수의 공기 조화 장치(10)의 각 실내기(12)를 복수의 그룹으로 그룹핑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20)는 복수의 실내기(12) 중에서 동일한 실내 온도 변화 주기를 가진 실내기(12)를 동일한 그룹으로 그룹핑할 수 있다. 일 예로, 제1 및 제2 실내기에 의해 감지된 실내 온도에 기초하여 판단한 실내 온도의 변화 주기가 T1이고, 제3 및 제4 실내기에 의해 감지된 실내 온도에 기초하여 판단한 실내 온도의 변화 주기가 T2이면, 프로세서(120)는 제1 및 제2 실내기를 제1 그룹으로 그룹핑하고 제3 및 제4 실내기를 제2 그룹으로 그룹핑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120)는 유사한 실내 온도 변화 주기를 가진 실내기(12)를 동일한 그룹으로 그룹핑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20)는 제1 실내기에 의해 감지된 실내 온도에 기초하여 판단한 실내 온도의 변화 주기가 T1이고, 제2 실내기에 의해 감지된 실내 온도에 기초하여 판단한 실내 온도의 변화 주기가 T2이며, T1 및 T2의 차이가 임계 값(가령, 1분)이하이면, 제1 및 제2 실내기를 동일한 그룹으로 그룹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a 내지 도 4c를 참조하면, 프로세서(120)는 제1 및 제2 실내기로부터 제1 실내 온도 변화 주기에 대한 정보(410)를 수신하고, 제3 및 제4 실내기로부터 제2 실내 온도 변화 주기에 대한 정보(420)를 수신하며, 제5 실내기로부터 제3 실내 온도 변화 주기에 대한 정보(430)를 수신한 경우, 동일(또는, 유사)한 실내 온도 변화 주기를 가진 제1 및 제2 실내기를 제1 그룹으로 그룹핑하고, 제3 및 제4 실내기를 제2 그룹으로 그룹핑하며, 제5 실내기를 제3 그룹으로 그룹핑할 수 있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 조화 장치의 운전을 제어하는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프로세서(120)는 복수의 공기 조화 장치(10)의 운전 정보를 수신(S510)하고, 복수의 공기 조화 장치(10)에 의해 소비되는 전력량 판단(S520)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20)는 소비 전력량이 기준 전력량에 도달하였는지를 판단(S530)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20)는 소비 전력량이 기준 전력량을 도달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복수의 공기 조화 장치(10)에 의해 소비되는 전력량을 계속해서 판단(또는, 모니터링)(S520)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20)는 소비 전력량이 기준 전력량에 도달한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 우선 순위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제어 대상이 되는 공기 조화 장치(10)를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20)는 공간 사용 스케줄, 재실자 수, 실내 온도, 제어 밸브의 개폐 주기 및 제어 밸브가 열린 시간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제어 대상이 되는 적어도 하나의 공기 조화 장치를 판단(S540)할 수 있다.
여기에서, 공간 사용 스케줄은 복수의 공기 조화 장치(10)의 각 실내기가 설치된 공간의 스케줄에 대한 정보가 될 수 있다. 일 예로, 제1 공간에 대해 사용 스케줄에 대한 정보가 저장되어 있고, 제2 공간에 대해 사용 스케줄에 대한 정보가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 프로세서(120)는 제1 공간에 설치된 실내기 및 제2 공간에 설치된 실내기 중에서, 제2 공간에 설치된 실내기를 우선 제어할 수 있다. 즉, 프로세서(120)는 실내기의 운전 제어를 위한 신호를 통신부(110)를 통해 제2 공간에 설치된 실내기로 제어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120)는 복수의 공간 모두 공간 사용에 대한 스케줄에 대한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경우, 재실자 수에 기초하여 제어 대상이 되는 적어도 하나의 공기 조화 장치를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20)는 재실자 수가 적은 공간에 설치된 실내기를 우선 제어 대상이 되는 실내기로 판단할 수 있다. 일 예로, 프로세서(120)는 제1 및 제2 공간 모두 사용자에 의해 사용중인 경우, 제1 공간의 재실자 수 및 제2 공간의 재실자 수를 판단하고, 제1 및 제2 공간 중 상대적으로 적은 수의 재실자가 포함된 공간의 실내기를 우선 제어 대상이 되는 실내기로 판단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프로세서(120)는 스케줄에 대한 정보에 포함된 재실자 수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각 공간의 재실자 수를 판단할 수 있다. 또는, 프로세서(120)는 외부 장치에 의해 감지된 재실자 수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각 공간의 재실자 수를 판단할 수도 있다. 여기에서, 외부 장치는 카메라, 적외선 센서 등 사용자를 감지할 수 있는 다양한 전자 장치가 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120)는 각 공간의 재실자 수가 동일한 것으로 판단되면, 각 공간의 실내 온도에 기초하여 제어 대상이 되는 적어도 하나의 공기 조화 장치를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20)는 실내 온도가 낮은 공간에 설치된 실내기를 우선 제어 대상이 되는 실내기로 판단할 수 있다. 일 예로, 프로세서(120)는 제1 및 제2 공간 모두 사용자에 의해 사용중이고, 제1 및 제2 공간의 재실자가 동일한 경우, 제1 공간의 실내 온도 및 제2 공간의 실내 온도를 판단하고, 제1 및 제2 공간 중 상대적으로 낮은 실내 온도를 공간의 실내기를 우선 제어 대상이 되는 실내기로 판단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프로세서(120)는 복수의 공기 조화 장치(10)의 각 실내기(12)로부터 실내 온도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는, 실내 온도가 낮은 경우이면 실내기의 운전을 제어하더라도 사용자의 쾌적도가 어느 정도 유지될 수 있음을 고려한 것이다.
한편, 프로세서(120)는 각 공간의 실내 온도가 동일(또는, 임계 값 이하의 차이)를 가진 경우이면, 복수의 그룹 중에서 제어 밸브의 개폐 주기가 짧은 실내기가 포함된 그룹을 판단하고, 해당 그룹에 포함된 실내기의 운전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제어 밸브의 개폐 주기와 관련된 동작은 상술한 바 있으므로 여기서는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프로세서(120)는 각 실내기의 제어 밸브의 개폐 주기가 동일(또는, 임계 값 이하의 차이)를 가진 경우이면, 제어 밸브가 열려 있는 시간에 기초하여 제어 대상이 되는 적어도 하나의 공기 조화 장치를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20)는 상대적으로 긴 시간 동안 열려 있는 제어 밸브를 포함하는 실내기를 제어 대상이 되는 실내기로 판단할 수 있다. 일 예로, 프로세서(120)는 제1 및 제2 공간 모두 사용자에 의해 사용중이고, 제1 및 제2 공간의 재실자 수가 동일(또는, 임계 값 이하의 차이)하며, 제1 공간의 실내 온도 및 제2 공간의 실내 온도가 동일(또는, 임계 값 이하의 차이)이면, 각 공간의 실내기 중에서 상대적으로 긴 시간 동안 제어 밸브를 열고 있는 실내기를 우선 제어 대상이 되는 실내기로 판단할 수 있다. 즉, 제1 및 제2 실내기의 제어 밸브 개폐 주기가 T이고, 주기 T 동안, 제1 실내기는 t1동안 제어 밸브를 열고 있고, 제2 실내기는 t2 시간 동안 제어 밸브를 열고 있으며, t1이 t2보다 큰 경우, 프로세서(120)는 제1 실내기를 제어 대상이 되는 실내기로 판단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프로세서(120)는 복수의 공기 조화 장치(10)의 각 실내기(12)로부터 수신한 제어 밸브의 개폐 시간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는, 제어 밸브가 오랜 시간 열려 있는 경우이면, 해당 제어 밸브를 포함하는 실내기가 설치된 공간은 열 부하가 높고, 해당 실내기의 소비 전력은 높음을 고려한 것이다.
이후, 프로세서(120)는 제어 대상이 되는 적어도 하나의 공기 조화 장치의 운전을 제어(S550)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개시의 서버(100)는 공간 사용 스케줄, 재실자 수, 실내 온도, 밸브의 개폐 주기 및 밸브가 열린 시간 등 다양한 인자를 통해 결정된 공기 조화 장치(10)의 운전을 제어함으로써, 사용자의 불쾌적도를 최소화 시키면서 전력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서버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서버(100)는 복수의 공기 조화 장치(100의 운전 정보를 수신(S610)할 수 있다. 여기에서, 운전 정보는 복수의 공기 조화 장치(10)의 각 실내기(12)의 운전 모드에 대한 정보, 각 실내기(12)에 설정된 온도에 대한 정보, 냉매의 흐름을 조절하는 제어 밸브의 개폐 시간에 대한 정보 및 각 실외기(10)에 포함된 모터에 인가된 전원의 주파수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될 수 있다.
서버(100)는 운전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공기 조화 장치의 각 실내기에 연결되는 배관에 포함되어 냉매의 흐름을 제어하는 밸브의 개폐 주기를 판단(S620)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서버(100)는 각 실내기의 제어 밸브가 열린 시간 및 닫힌 시간을 포함하는 제어 밸브의 개폐 시간에 대한 정보를 공기 조화 장치(1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서버(100)는 운전 정보에 포함된 제어 밸브의 개폐 시간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제어 밸브의 개폐 주기를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서버(100)는 제어 밸브의 개폐 시간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제어 밸브가 닫힌 제1 시점으로부터, 닫힌 제어 밸브가 열린 이후 다시 닫힌 제2 시점을 판단하고, 제1 및 제2 시점에 기초하여 제어 밸브의 개폐 주기를 판단할 수 있다.
서버(100)는 밸브의 개폐 주기에 기초하여 복수의 공기 조화 장치의 각 실내기를 복수의 그룹으로 그룹핑(S630)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서버(100)는 복수의 실내기(12) 중에서 동일한 개폐 주기 또는, 임계 값 이하의 차이가 있는 개폐 주기를 가진 실내기(12)를 동일한 그룹으로 그룹핑할 수 있다. 일 예로, 프로세서(120)는 제1 실내기에 포함된 제어 밸브의 개폐 주기가 T1이고, 제2 실내기에 포함된 제어 밸브의 T2이며, T1 및 T2가 동일하거나 T1 및 T2의 차이가 임계 값(가령, 1분)이하이면, 제1 및 제2 실내기를 동일한 그룹으로 그룹핑할 수 있다.
한편, 서버(100)는 실내 온도의 변화 주기에 기초하여 복수의 공기 조화 장치(10)의 각 실내기(12)를 복수의 그룹으로 그룹핑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서버(100)는 복수의 실내기(12) 중에서 동일한 온도 변화 주기를 가진, 또는 임계 값 이하의 차이가 있는 온도 변화 주기를 가진 복수의 실내기(12)를 동일한 그룹으로 그룹핑할 수 있다.
또한, 서버(100)는 각 실외기(10)에 포함된 모터에 인가된 전원의 주파수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각 실내기(12)를 복수의 그룹으로 그룹핑할 수도 있다. 여기에서, 모터는 공기 조화 장치(10)의 각 실외기(11)에 포함된 압축기를 동작시키는 모터가 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서버(100)는 각 실외기(10)에 포함된 모터에 인가된 전원의 주파수가 변경되는 주기를 판단하고, 주파수 변경 주기가 동일한(또는, 임계 값 이하의 차이를 가진) 실외기(12)에 연결된 실내기(11)를 동일한 그룹으로 그룹핑할 수 있다. 이는, 공기 조화 장치(10)가 인버터 방식으로 동작하는 경우의 실시 예로 볼 수 있다.
서버(100)는 복수의 공기 조화 장치에 의해 소비되는 전력량이 기준 전력량에 도달하는 경우, 제어 우선 순위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그룹 중 적어도 하나의 그룹을 판단(S640)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서버(100)는 복수의 그룹 중에서, 상대적으로 짧은 밸브 개폐 주기를 가진 실내기를 포함하는 그룹을 판단하고, 판단된 그룹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실내기로 운전 제어를 위한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서버(100)는 공간 사용 스케줄, 재실자 수, 실내 온도 및 제어 밸브가 열린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고려하여 제어 대상이 되는 공기 조화 장치(10)를 판단할 수도 있다.
서버(100)는 적어도 하나의 그룹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실내기로 운전 제어를 위한 신호를 전송(S650)할 수 있다. 여기에서, 운전 제어를 위한 신호는, 실내기(12)에 설정된 온도를 변경하기 위한 신호, 냉매의 흐름을 조절하는 밸브를 닫기 위한 신호 또는 실내기(12)의 전원을 오프하기 위한 신호 중 적어도 하나가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개시는 특히 소비 전력량이 높은 실내기를 그룹 단위로 일괄 제어함으로써, 전력 사용의 효율성을 높이고 건물 관리자의 부담을 감소시킬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방법들은, 기존 서버에 설치 가능한 소프트웨어 또는 어플리케이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방법들은, 기존 서버에 대한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 또는 하드웨어 업그레이드만으로도 구현될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에 따른 서버의 제어 방법을 순차적으로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가 제공될 수 있다.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란 레지스터, 캐쉬, 메모리 등과 같이 짧은 순간 동안 데이터를 저장하는 매체가 아니라 반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기기에 의해 판독(reading)이 가능한 매체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는, 상술한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또는 프로그램들은 CD, DVD, 하드 디스크, 블루레이 디스크, USB, 메모리카드, ROM 등과 같은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에 저장되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개시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개시는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개시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10: 공기 조화 장치
11: 실외기
12: 실내기
100: 서버
110: 통신부
120: 프로세서

Claims (20)

  1. 서버에 있어서,
    통신부; 및
    상기 통신부를 통해 복수의 공기 조화 장치의 운전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운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공기 조화 장치의 각 실내기에 연결되는 배관에 포함되어 냉매의 흐름을 제어하는 밸브의 개폐 주기를 판단하며, 상기 밸브의 개폐 주기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공기 조화 장치의 각 실내기를 복수의 그룹으로 그룹핑하고, 상기 복수의 공기 조화 장치에 의해 소비되는 전력량이 기준 전력량에 도달하는 경우, 제어 우선 순위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그룹 중 적어도 하나의 그룹을 판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그룹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실내기로 운전 제어를 위한 신호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전송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서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밸브가 열린 시간 및 상기 밸브가 닫힌 시간을 포함하는 밸브의 개폐 시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운전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밸브의 개폐 시간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밸브의 개폐 주기를 판단하는, 서버.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밸브의 개폐 시간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밸브가 닫힌 제1 시점으로부터 상기 닫힌 밸브가 열린 이후 다시 닫힌 제2 시점을 판단하고, 상기 제1 및 제2 시점에 기초하여 상기 밸브의 개폐 주기를 판단하는, 서버.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시점은,
    상기 실내기 주변의 온도가 상기 실내기에 설정된 온도에 도달함에 따라, 상기 밸브가 닫힌 시점인, 서버.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어 우선 순위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그룹 중 상대적으로 짧은 밸브 개폐 주기를 가진 밸브를 포함하는 배관이 연결된 실내기가 포함된 그룹을 판단하고, 상기 그룹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실내기로 상기 운전 제어를 위한 신호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전송하는, 서버.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복수의 공기 조화 장치의 각 실내기에 매칭된 타겟 온도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실내기에 설정된 온도를 상기 타겟 온도로 변경하기 위한 신호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실내기로 전송하는, 서버.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실내기에 설정된 온도를 상기 타겟 온도로 변경할 경우, 상기 복수의 공기 조화 장치에 의해 소비되는 전력량이 상기 기준 전력량에 도달하는지를 판단하고,
    상기 복수의 공기 조화 장치에 의해 소비되는 전력량이 상기 기준 전력량에 도달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어 우선 순위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실내기를 포함하는 제1 그룹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제어 우선 순위를 가진 제2 그룹을 판단하고, 상기 제2 그룹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실내기로 운전 제어를 위한 신호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전송하는, 서버.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2 그룹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실내기에 설정된 온도를 상기 타겟 온도로 변경하기 위한 신호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제2 그룹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실내기로 전송하는, 서버.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복수의 그룹 각각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실내기에 설정된 온도를 상기 타겟 온도로 변경할 경우, 상기 복수의 공기 조화 장치에 의해 소비되는 전력량이 상기 기준 전력량에 도달하는지를 판단하고,
    상기 복수의 공기 조화 장치에 의해 소비되는 전력량이 상기 기준 전력량에 도달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1 그룹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실내기로 상기 밸브를 닫기 위한 신호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전송하는, 서버.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복수의 그룹 각각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실내기의 밸브를 닫을 경우, 상기 복수의 공기 조화 장치에 의해 소비되는 전력량이 상기 기준 전력량에 도달하는지를 판단하고,
    상기 복수의 공기 조화 장치에 의해 소비되는 전력량이 상기 기준 전력량에 도달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1 그룹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실내기로 전원 오프를 위한 신호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전송하는, 서버.
  11. 서버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복수의 공기 조화 장치의 운전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운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공기 조화 장치의 각 실내기에 연결되는 배관에 포함되어 냉매의 흐름을 제어하는 밸브의 개폐 주기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밸브의 개폐 주기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공기 조화 장치의 각 실내기를 복수의 그룹으로 그룹핑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공기 조화 장치에 의해 소비되는 전력량이 기준 전력량에 도달하는 경우, 제어 우선 순위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그룹 중 적어도 하나의 그룹을 판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그룹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실내기로 운전 제어를 위한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서버의 제어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운전 정보는,
    상기 밸브가 열린 시간 및 상기 밸브가 닫힌 시간을 포함하는 밸브의 개폐 시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밸브의 개폐 주기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밸브의 개폐 시간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밸브의 개폐 주기를 판단하는, 서버의 제어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의 개폐 주기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밸브의 개폐 시간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밸브가 닫힌 제1 시점으로부터 상기 닫힌 밸브가 열린 이후 다시 닫힌 제2 시점을 판단하고, 상기 제1 및 제2 시점에 기초하여 상기 밸브의 개폐 주기를 판단하는, 서버의 제어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시점은,
    상기 실내기 주변의 온도가 상기 실내기에 설정된 온도에 도달함에 따라, 상기 밸브가 닫힌 시점인, 서버의 제어 방법.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제어 우선 순위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그룹 중 상대적으로 짧은 밸브 개폐 주기를 가진 밸브를 포함하는 배관이 연결된 실내기가 포함된 그룹을 판단하고, 상기 그룹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실내기로 상기 운전 제어를 위한 신호를 전송하는, 서버의 제어 방법.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공기 조화 장치의 각 실내기에 매칭된 타겟 온도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실내기에 설정된 온도를 상기 타겟 온도로 변경하기 위한 신호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실내기로 전송하는, 서버의 제어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실내기에 설정된 온도를 상기 타겟 온도로 변경할 경우, 상기 복수의 공기 조화 장치에 의해 소비되는 전력량이 상기 기준 전력량에 도달하는지를 판단하고,
    상기 복수의 공기 조화 장치에 의해 소비되는 전력량이 상기 기준 전력량에 도달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어 우선 순위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실내기를 포함하는 제1 그룹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제어 우선 순위를 가진 제2 그룹을 판단하고, 상기 제2 그룹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실내기로 운전 제어를 위한 신호를 전송하는, 서버의 제어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제2 그룹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실내기에 설정된 온도를 상기 타겟 온도로 변경하기 위한 신호를 상기 제2 그룹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실내기로 전송하는, 서버의 제어 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그룹 각각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실내기에 설정된 온도를 상기 타겟 온도로 변경할 경우, 상기 복수의 공기 조화 장치에 의해 소비되는 전력량이 상기 기준 전력량에 도달하는지를 판단하고,
    상기 복수의 공기 조화 장치에 의해 소비되는 전력량이 상기 기준 전력량에 도달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1 그룹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실내기로 상기 밸브를 닫기 위한 신호를 전송하는, 서버의 제어 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그룹 각각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실내기의 밸브를 닫을 경우, 상기 복수의 공기 조화 장치에 의해 소비되는 전력량이 상기 기준 전력량에 도달하는지를 판단하고,
    상기 복수의 공기 조화 장치에 의해 소비되는 전력량이 상기 기준 전력량에 도달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1 그룹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실내기로 전원 오프를 위한 신호를 전송하는, 서버의 제어 방법.
KR1020200017135A 2020-02-12 2020-02-12 서버 및 그 제어 방법 Active KR1027914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7135A KR102791424B1 (ko) 2020-02-12 2020-02-12 서버 및 그 제어 방법
US17/166,428 US11573025B2 (en) 2020-02-12 2021-02-03 Serv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for a multi-air conditioning system including grouping of indoor units
PCT/KR2021/001700 WO2021162404A1 (en) 2020-02-12 2021-02-09 Serv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7135A KR102791424B1 (ko) 2020-02-12 2020-02-12 서버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2736A true KR20210102736A (ko) 2021-08-20
KR102791424B1 KR102791424B1 (ko) 2025-04-08

Family

ID=771783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7135A Active KR102791424B1 (ko) 2020-02-12 2020-02-12 서버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573025B2 (ko)
KR (1) KR102791424B1 (ko)
WO (1) WO202116240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791424B1 (ko) * 2020-02-12 2025-04-08 삼성전자주식회사 서버 및 그 제어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25043A (ja) * 1994-02-10 1995-08-22 Fujitsu General Ltd 空気調和機の制御方法
KR100677881B1 (ko) * 2005-08-13 2007-02-05 삼성전자주식회사 멀티 에어컨 시스템의 운전제어장치 및 운전제어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85474B2 (ja) * 1988-03-04 1997-12-03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多室形空気調和装置
FR2646579A1 (fr) * 1989-03-20 1990-11-02 Guillemot Gerard Equipement chauffant electriquement a haute temperature par zones regulees pour la mise en oeuvre de produits en materiaux composites
JP2002340390A (ja) 2001-05-18 2002-11-27 Fujitsu General Ltd 多室形空気調和機
JP3864980B2 (ja) 2005-04-18 2007-01-10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気調和機
JP4874617B2 (ja) * 2005-10-04 2012-02-15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の制御装置
WO2008122026A1 (en) * 2007-04-02 2008-10-09 Mark Allen Systems, devices, and methods for reaction and/or separation
US8136365B2 (en) * 2007-07-02 2012-03-20 Hoshizaki Denki Kabushiki Kaisha Cooling apparatus having a variable speed compressor with speed limited on the basis of a sensed performance parameter
KR101368456B1 (ko) 2007-11-22 2014-02-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기기기 시스템의 디맨드 제어장치
KR101415768B1 (ko) 2007-12-10 2014-07-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력 절감을 위한 피크 제어 방법
KR101495159B1 (ko) 2007-12-18 2015-02-24 엘지전자 주식회사 멀티 에어컨 시스템의 피크 전력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KR101035384B1 (ko) 2008-12-04 2011-05-20 엘지전자 주식회사 멀티형 공기조화기 및 그 운전 방법
KR101263172B1 (ko) 2011-07-19 2013-05-10 삼성물산 주식회사 군관리 운전을 이용한 에너지 관리방법
JP6328049B2 (ja) * 2012-07-23 2018-05-23 三菱電機株式会社 空調装置
GB2506197B (en) * 2012-09-25 2014-11-05 Camcon Auto Ltd Valve control system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nd methods of operation thereof
JP5943255B2 (ja) 2013-01-22 2016-07-05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エネルギー管理装置及びエネルギー管理システム
KR20150002145A (ko) 2013-06-28 2015-01-07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US9884394B2 (en) * 2014-05-19 2018-02-06 Lennox Industries Inc. Solenoid control methods for dual flow HVAC systems
JP2016138666A (ja) * 2015-01-26 2016-08-04 ジョンソンコントロールズ ヒタチ エア コンディショニング テクノロジー(ホンコン)リミテッド 空気調和機
JP2016138711A (ja) * 2015-01-28 2016-08-04 ジョンソンコントロールズ ヒタチ エア コンディショニング テクノロジー(ホンコン)リミテッド 空気調和機
JP2016194375A (ja) * 2015-03-31 2016-11-17 三菱重工業株式会社 制御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空気調和システム、制御方法並びに制御プログラム
JP6685602B2 (ja) 2016-07-05 2020-04-22 三菱電機ビルテクノサービス株式会社 空調システム
CN107576108B (zh) 2017-08-01 2021-09-21 青岛海尔空调电子有限公司 一种一拖多空调控制方法
US11954713B2 (en) * 2018-03-13 2024-04-09 Johnson Controls Tyco IP Holdings LLP Variable refrigerant flow system with electricity consumption apportionment
CN109373543B (zh) * 2018-10-15 2020-08-04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一拖多空调器及其控制方法、装置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KR102582538B1 (ko) * 2019-05-17 2023-09-26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 조화 장치 및 공기 조화 장치의 배관탐색방법
KR102688990B1 (ko) 2019-05-23 2024-07-29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7519176B2 (ja) * 2019-09-12 2024-07-19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気調和システム
KR102791424B1 (ko) * 2020-02-12 2025-04-08 삼성전자주식회사 서버 및 그 제어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25043A (ja) * 1994-02-10 1995-08-22 Fujitsu General Ltd 空気調和機の制御方法
KR100677881B1 (ko) * 2005-08-13 2007-02-05 삼성전자주식회사 멀티 에어컨 시스템의 운전제어장치 및 운전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573025B2 (en) 2023-02-07
KR102791424B1 (ko) 2025-04-08
US20210247090A1 (en) 2021-08-12
WO2021162404A1 (en) 2021-08-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148147B1 (en) Method of controlling air conditioner
CN1707190B (zh) 设备控制系统
JP5405076B2 (ja) 空調冷凍システム
US10269238B2 (en) Air conditioner and a communication method for an air conditioner
WO2023040249A1 (zh) 空调系统及其控制方法
KR20140129779A (ko) 공기조화기 및 공기조화기 제어방법
CN113728205B (zh) 空调装置、运转控制方法以及存储介质
CN114353249A (zh) 用于多联机空调的控制方法及装置、多联机空调
KR101991561B1 (ko) 공기 조화 시스템의 제어 방법 및 장치
JP6785867B2 (ja) 空調システム
KR102791424B1 (ko) 서버 및 그 제어 방법
KR102123428B1 (ko) 공기조화기 및 공기조화기 시스템
WO2024122266A1 (ja) 節電システム、節電装置、空気調和機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0630831B1 (ko) 에어컨의 실내 온도센서 고장시 응급 운전방법
KR20080001293A (ko) 공기 조화기의 슬립 모드 제어 장치 및 방법
US20060207273A1 (en) Method of controlling over-load cooling operation of air conditioner
CN114061021A (zh) 空调系统启动的控制方法、控制装置、控制器及空调系统
EP3816527A1 (en) Air conditioning management device and air conditioning system
KR102114310B1 (ko) 공기조화기 및 공기조화기 제어방법
KR20000055135A (ko) 공기조화기의 운전제어 장치 및 방법
KR102104446B1 (ko) 공기조화기 및 그 동작 방법
EP4530548A1 (en) Air conditioner
US11692729B2 (en) Single-package air conditioner and methods of operation
KR20090114837A (ko) 멀티형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CN112041619B (zh) 空气调节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00212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21222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200212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082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5032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5040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5040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