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95758A - 수소 회수율을 증가시키도록 설계된 튜브형 수소분리막을 구비한 분리막 모듈 및 이를 이용한 수소 생산 장치 및 공정 - Google Patents
수소 회수율을 증가시키도록 설계된 튜브형 수소분리막을 구비한 분리막 모듈 및 이를 이용한 수소 생산 장치 및 공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10095758A KR20210095758A KR1020200009055A KR20200009055A KR20210095758A KR 20210095758 A KR20210095758 A KR 20210095758A KR 1020200009055 A KR1020200009055 A KR 1020200009055A KR 20200009055 A KR20200009055 A KR 20200009055A KR 20210095758 A KR20210095758 A KR 20210095758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ydrogen
- separation membrane
- gas
- space
- tubula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Gran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22—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diffusion
- B01D53/228—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diffusion characterised by specific membran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22—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diffusion
- B01D53/225—Multiple stage diffusion
- B01D53/226—Multiple stage diffusion in serial connexio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22—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diffusion
- B01D53/225—Multiple stage diffusion
- B01D53/227—Multiple stage diffusion in parallel connexio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22—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diffusion
- B01D53/229—Integrated processes (Diffusion and at least one other process, e.g. adsorption, absorptio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74—General processes for purification of waste gases;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53/86—Catalytic process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3/00—Apparatus in general for separation processes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3/00—Apparatus in general for separation processes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 B01D63/06—Tubular membrane modul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9/00—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structure or properties;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9/10—Supported membranes; Membrane suppor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9/00—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structure or properties;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9/10—Supported membranes; Membrane supports
- B01D69/108—Inorganic support material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9/00—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structure or properties;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9/12—Composite membranes; Ultra-thin membran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9/00—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structure or properties;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9/12—Composite membranes; Ultra-thin membranes
- B01D69/1213—Laminated lay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71/00—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71/02—Inorganic material
- B01D71/022—Metals
- B01D71/0223—Group 8, 9 or 10 metals
- B01D71/02231—Palladium
-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3/00—Hydrogen; Gaseous mixtures containing hydrogen; Separation of hydrogen from mixtures containing it; Purification of hydrogen
- C01B3/50—Separation of hydrogen or hydrogen containing gases from gaseous mixtures, e.g. purification
- C01B3/501—Separation of hydrogen or hydrogen containing gases from gaseous mixtures, e.g. purification by diffusion
- C01B3/503—Separation of hydrogen or hydrogen containing gases from gaseous mixtures, e.g. purification by diffusion characterised by the membrane
- C01B3/505—Membranes containing palladium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6/00—Main component in the product gas stream after treatment
- B01D2256/16—Hydroge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11/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separation process operations and control
- B01D2311/16—Flow or flux control
-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2203/00—Integrated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hydrogen or synthesis gas
- C01B2203/02—Processes for making hydrogen or synthesis gas
- C01B2203/0205—Processes for making hydrogen or synthesis gas containing a reforming step
-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2203/00—Integrated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hydrogen or synthesis gas
- C01B2203/04—Integrated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hydrogen or synthesis gas containing a purification step for the hydrogen or the synthesis gas
- C01B2203/0405—Purification by membrane separation
-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2203/00—Integrated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hydrogen or synthesis gas
- C01B2203/12—Feeding the process for making hydrogen or synthesis gas
- C01B2203/1205—Composition of the feed
- C01B2203/1211—Organic compounds or organic mixtures used in the process for making hydrogen or synthesis gas
- C01B2203/1235—Hydrocarbons
- C01B2203/1241—Natural gas or methane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C—CAPTURE, STORAGE, SEQUESTRATION OR DISPOSAL OF GREENHOUSE GASES [GHG]
- Y02C20/00—Capture or disposal of greenhouse gases
- Y02C20/40—Capture or disposal of greenhouse gases of CO2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20/00—Technologies relating to chemical industry
- Y02P20/151—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e.g. CO2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30/00—Technologies relating to oil refining and petrochemical industry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ydrogen, Water And Hydrids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Abstract
모듈 입구(feed port)로부터 출구로 연결되는 기체 흐름 방향을 기준으로 격벽을 통해 제1공간(1st room), 제2공간(2nd room), …, 제n공간(nth room) (n ≥ 2)을 나누고, 각 공간에, 외부(outside)인 제1면에서 내부(inside)인 제2면으로 수소를 통과시키는 튜브형 수소분리막을 기준으로 제1면 측에서의 수소분압(Poutside) > 제2면 측에서의 수소분압 (Pinside)이고 수소분리막을 통과한 수소를 제2면 측 개방된 부분을 통해 배출시키는 튜브형 수소분리막이 하나 이상 배치된 것이 특징이다.
Description
도 2 내지 도 4는 격벽을 이용하여 도 1의 2단 튜브형 수소분리막 모듈을 구성한 일 구체예들이다.
도 5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일구체예에 따라 튜브형 수소분리막 모듈의 작용원리가 적용된 분리막 반응기의 다양한 실시형태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구체예에 따라 수소 회수율을 증가시키도록 설계된 튜브형 수소분리막 모듈이 2이상 직렬로 연결된 실시형태이다.
도 12는 Permeation port와 feed port가 연결되어 수소 순도를 높이는 기존 분리 cascade 방식을 나타낸 공정도이다.
Claims (27)
- 수소 회수율을 증가시키도록 설계된 튜브형 수소분리막을 구비한 분리막 모듈로서,
모듈 입구(feed port)로부터 출구로 연결되는 기체 흐름 방향을 기준으로 격벽을 통해 제1공간(1st room), 제2공간(2nd room), …, 제n공간(nth room) (n ≥ 2)을 나누고,
각 공간에, 외부(outside)인 제1면에서 내부(inside)인 제2면으로 수소를 통과시키는 튜브형 수소분리막을 기준으로 제1면 측에서의 수소분압(Poutside) > 제2면 측에서의 수소분압 (Pinside)이고 수소분리막을 통과한 수소를 제2면 측 개방된 부분을 통해 배출시키는 튜브형 수소분리막이 하나 이상 배치된 것이 특징인 분리막 모듈. - 제1항에 있어서, 제1공간(1st room)에 배치된 제1 튜브형 수소분리막의 길이, 제2공간(2nd room)에 배치된 제2 튜브형 수소분리막의 길이, …, 및 제n공간(nth room)에 배치된 제n 튜브형 수소분리막의 길이의 총합에 해당하는 길이의 튜브형 수소분리막에서의 수소회수율 보다,
제1 튜브형 수소분리막에서의 수소회수량, 제2 튜브형 수소분리막에서의 수소회수량, …, 및 제n 튜브형 수소분리막에서의 수소회수량의 총 합이 더 큰 것이 특징인 분리막 모듈. - 제1항에 있어서, 튜브형 수소분리막을 구비한 분리막 모듈에서의 총 수소회수량은, 제1공간에 배치된 제1 튜브형 수소분리막들로 구성된 제1단 모듈에서의 수소회수량, 제2공간에 배치된 제2 튜브형 수소분리막들로 구성된 제2단 모듈에서의 수소회수량, …, 및 제n공간에 배치된 제n 튜브형 수소분리막들로 구성된 제n단 모듈에서의 수소회수량의 총 합인 것이 특징인 분리막 모듈.
- 제1항에 있어서, 모듈 입구로부터 격벽을 통해 구분된 각 공간을 연속적으로 흘러 반응기 밖으로 배출되는 기체는 수소분리막을 통해 수소가 제거된 잔류(retentate) 기체이고,
수소분리막을 통해 수소가 제거된 잔류(retentate) 기체 흐름이 배출되는 출구(retentate port)와 수소분리막을 통과하여 튜브형 수소분리막의 내부 공간에서 수집된 수소가 배출되는 출구(permeation port)가 구별되도록 설계된 것이 특징인 분리막 모듈. - 제1항에 있어서, 제1 공간에서 1차 수소분리 후 남은 잔류 수소는 제2 공간에서 분리되고,
제1 공간 및 제2 공간에서 수소분리막을 통해 분리된 수소는 반응기 내 수집기(collector)에 포집되고, 미분리된 잔류 기체는 잔류 기체 출구(retentate port)를 통해 배출되는 것이 특징인 분리막 모듈. - 제1항에 있어서, 수소 회수율을 증가시키도록 설계된 튜브형 수소분리막을 구비한 분리막 모듈이 2이상 직렬로 연결된 것으로, 전단(upstream) 분리막 모듈에서 수소가 제거된 잔류 기체의 출구(retentate port)가 후단(downstream) 분리막 모듈의 입구(feed port)에 연결된 것이 특징인 분리막 모듈.
- 제1항에 있어서, 모듈 입구(feed port)를 통해 제1 공간에 공급되는 기체 흐름에 나선형 유동화를 발생시켜, 튜브형 수소분리막 주변으로 난류를 형성시키는 것이 특징이 분리막 모듈.
- 제1항에 있어서, 모듈 입구(feed port)를 통해 제1 공간에 공급되는 기체 흐름에 하강하는 나선형 유동화를 발생시키기 위해, 분리막 모듈 상부 측면 또는 상단에 분리막 모듈 입구를 배치하고,
하강하는 나선형 유동화를 통해 제1공간을 흐른 후 제2공간으로 역류 상승하는 방향으로 흐르는 것이 특징인 분리막 모듈. - 제8항에 있어서, 효율적으로 하강하는 나선형 유동화를 발생시키기 위해, 모듈 입구(feed port)가 배치된 분리막 모듈 상단에서 시작하는 제1 공간 상부는 원뿔 또는 꼭짓점이 잘린 원뿔대 형태인 것이 특징인 분리막 모듈.
- 제1항에 있어서, 모듈 입구를 통해 공급되는 유체에 선회 흐름(vortex)을 주어 제1 공간에 도입시키고, 제1 공간에서의 선회 흐름 효과(Vortex effect)에 의해 제2공간으로 역류 상승하면서 유입시키며,
제1 공간에서의 선회 흐름은 튜브형 수소분리막을 휘감으면서 수소분리가 일어나도록 구동하는 것이 특징인 분리막 모듈. - 제1항에 있어서, 튜브형 수소분리막들을 구비한 쉘-앤-튜브형 모듈 인 것이 특징인 분리막 모듈.
- 제1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격벽은 쉘-앤-튜브형 모듈 내부에 동심원 상에 배치되고, 격벽을 통해 구분된 공간에 튜브형 수소분리막을 구비한 것이 특징인 분리막 모듈.
- 제1항에 있어서, 모듈 입구를 통해 공급되는 가스 중 산소가 포함되는 경우 수소 연소로 인한 폭발을 방지하기 위해 불활성 가스를 추가로 공급하는 것이 특징인 분리막 모듈.
- 제1항에 있어서, 수소분리막은 팔라듐계 수소분리막인 것이 특징인 분리막 모듈.
- 제1항에 있어서, 수소분리막은 팔라듐계 치밀막 층; 선택적으로 확산 배리어(diffusion barrier) 층; 및 다공성 지지체가 적층된 수소분리막인 것이 특징인 분리막 모듈.
-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모듈 입구(feed port)를 통해 수소생산에 필요한 반응물 또는 수소 함유 혼합가스가 공급되는 것이 특징인 분리막 모듈.
-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수소분리막의 제2면에는 수소분리막을 투과한 수소 농축 가스내 CO를 제거하는 메탄화 촉매 활성이 있는 것이 특징인 분리막 모듈.
-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튜브형 수소분리막의 내부 공간으로 분리 및 수집된 수소를 포집하는 분리막 모듈 내 수집부(collector)에 메탄화 촉매를 장입하여, 수소분리막을 통해 분리된 수소가 배출되는 모듈의 출구(permeation port)에서 일산화탄소 농도를 10ppm 이하로 낮추는 것이 특징인 분리막 모듈.
-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분리막 모듈 내부에 촉매가 장착되어 화학반응이 가능한 분리막 반응기로서,
수소 회수율을 증가시키도록 설계된 수소분리막 모듈을 구비한 분리막 반응기는 격벽에 의해 구분된 쉘 공간 내 충진된 촉매에 의한 수소 생성 반응과 이의 생성물인 수소가 Pd 기반 멤브레인을 통한 수소 분리가 동시에 일어나는 것이며,
격벽에 의해 구분된 쉘 공간 내 장착된 촉매로 (i) 개질 촉매, (ii) 개질 촉매와 수성가스 전환반응(water-gas shift reaction, WGS)용 촉매, (iii) 개질 촉매와 CO2 흡착제, (iv) 개질 촉매와 수성가스 전환반응용 촉매와 CO2 흡착제, (v) 수성가스 전환반응용 촉매, (vi) 수성가스 전환반응용 촉매와 CO2 흡착제를 사용하는 것이 특징인 분리막 반응기. -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분리막 모듈에서 수소를 생산하는 방법.
- 제19항에 기재된 분리막 반응기에서, 메탄 함유 가스로부터 농축된 수소를 생산하는 방법으로서,
격벽에 의해 구획된 적어도 하나의 공간에서 메탄 개질반응을 수행하는 제1단계; 및
메탄 개질반응이 수행되는 공간에 배치된 튜브형 수소분리막을 통해 메탄 개질 반응에서 합성된 수소를 분리시키는 제2단계를 포함하고,
수소분리막의 제1면 측에서 메탄 개질 반응이 일어나고 제1면에서 제2면으로 생성된 수소를 통과시켜 제1면 측에서 일어나는 메탄 개질 반응에서 생성물인 수소가 제거되며 제2면 측에 수소를 농축시키는 것이 특징인 수소 생산 방법. - 제21항에 있어서, 수소가 분리 제거된 Retentate 내의 가스는 Tail gas로써 연소반응을 통해 발생된 열을 열교환기를 통하여 전체 공정에 이용하도록 열효율을 향상시키는 것이 특징인 수소 생산 방법.
- 제21항에 있어서, 메탄 함유 가스는 제철공정에서 발생하는 500℃ ±100 ℃의 고온 부생가스로부터 제공되는 것이며, 고온 부생가스 내 CO2를 포집하면서 고순도의 수소를 생산하는 것이 특징인 수소 생산 방법.
- 제21항에 있어서, 메탄 함유 가스는 천연가스, 셰일가스, 또는 코크스 오븐 가스(Coke Oven Gas, COG)인 것이 특징인 수소 생산 방법.
- 제21항에 있어서, 수소 농축 가스는 연료전지의 연료로, 또는 암모니아 합성, 정유공정, 제련공정, 폴리실리콘 제조공정, 반도체 제조공정 또는 LED 제조공정의 수소로 사용되는 것이 특징인 수소 생산 방법.
- 제21항에 있어서, 주요성분이 수소와 메탄인 코크스 오븐 가스(COG)로부터 COG 가스 중의 CO2를 포집하면서 고순도의 수소를 생산하는 것이 특징인 수소 생산 방법.
-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분리막 모듈; 및 상기 분리막 모듈에서 제공되는 수소 농축 가스를 연료로 사용하는 연료전지를 구비한 전기에너지 발생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09055A KR102298046B1 (ko) | 2020-01-23 | 2020-01-23 | 수소 회수율을 증가시키도록 설계된 튜브형 수소분리막을 구비한 분리막 모듈 및 이를 이용한 수소 생산 장치 및 공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09055A KR102298046B1 (ko) | 2020-01-23 | 2020-01-23 | 수소 회수율을 증가시키도록 설계된 튜브형 수소분리막을 구비한 분리막 모듈 및 이를 이용한 수소 생산 장치 및 공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095758A true KR20210095758A (ko) | 2021-08-03 |
KR102298046B1 KR102298046B1 (ko) | 2021-09-07 |
Family
ID=773143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009055A Active KR102298046B1 (ko) | 2020-01-23 | 2020-01-23 | 수소 회수율을 증가시키도록 설계된 튜브형 수소분리막을 구비한 분리막 모듈 및 이를 이용한 수소 생산 장치 및 공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298046B1 (ko) |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3968573A (zh) * | 2021-11-29 | 2022-01-25 | 大连理工大学盘锦产业技术研究院 | 一种多种类制氢装置含氢尾气协同处理的方法和系统 |
CN114484285A (zh) * | 2022-04-01 | 2022-05-13 | 正和集团股份有限公司 | 一种炼油厂氢气管网压力调节方法 |
KR20230048180A (ko) * | 2021-10-01 | 2023-04-11 | 현대제철 주식회사 | 제철 부생가스를 이용한 고순도 수소가스 제조 방법 |
KR20230121379A (ko) * | 2022-02-11 | 2023-08-18 |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 수소 분리막 모듈 |
WO2024211963A1 (en) * | 2023-04-12 | 2024-10-17 | Lge Pty Ltd | A membrane for hydrogen separation and a method for the manufacture thereof |
KR102799202B1 (ko) | 2023-12-26 | 2025-04-23 | 주식회사 하이젠에너지 | 수소 분리 모듈, 이를 포함하는 수소 분리 장치 및 이들을 이용한 수소 분리 방법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4665656B2 (ja) * | 2005-08-10 | 2011-04-06 |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 水素透過膜および水素透過膜の製造方法 |
US20130136666A1 (en) * | 2011-11-24 | 2013-05-30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Separation membrane, method of manufacture thereof, and apparatus including the separation membrane |
KR20170087812A (ko) * | 2016-07-15 | 2017-07-31 |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 다단 촉매 반응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촉매반응 공정 |
KR101807112B1 (ko) * | 2014-10-22 | 2017-12-11 |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 쉘-앤-튜브형 천연가스 개질용 반응기 및 이를 이용한 합성가스 또는 수소가스의 제조방법 |
KR20190143593A (ko) * | 2018-06-21 | 2019-12-31 |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 메탄화 촉매기능을 가진 다공성 니켈 지지체를 이용한 Pd계 금속 치밀 수소투과 분리막 |
-
2020
- 2020-01-23 KR KR1020200009055A patent/KR102298046B1/ko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4665656B2 (ja) * | 2005-08-10 | 2011-04-06 |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 水素透過膜および水素透過膜の製造方法 |
US20130136666A1 (en) * | 2011-11-24 | 2013-05-30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Separation membrane, method of manufacture thereof, and apparatus including the separation membrane |
KR101807112B1 (ko) * | 2014-10-22 | 2017-12-11 |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 쉘-앤-튜브형 천연가스 개질용 반응기 및 이를 이용한 합성가스 또는 수소가스의 제조방법 |
KR20170087812A (ko) * | 2016-07-15 | 2017-07-31 |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 다단 촉매 반응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촉매반응 공정 |
KR20190143593A (ko) * | 2018-06-21 | 2019-12-31 |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 메탄화 촉매기능을 가진 다공성 니켈 지지체를 이용한 Pd계 금속 치밀 수소투과 분리막 |
Cited By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30048180A (ko) * | 2021-10-01 | 2023-04-11 | 현대제철 주식회사 | 제철 부생가스를 이용한 고순도 수소가스 제조 방법 |
CN113968573A (zh) * | 2021-11-29 | 2022-01-25 | 大连理工大学盘锦产业技术研究院 | 一种多种类制氢装置含氢尾气协同处理的方法和系统 |
CN113968573B (zh) * | 2021-11-29 | 2023-07-25 | 大连理工大学盘锦产业技术研究院 | 一种多种类制氢装置含氢尾气协同处理的方法和系统 |
KR20230121379A (ko) * | 2022-02-11 | 2023-08-18 |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 수소 분리막 모듈 |
CN114484285A (zh) * | 2022-04-01 | 2022-05-13 | 正和集团股份有限公司 | 一种炼油厂氢气管网压力调节方法 |
CN114484285B (zh) * | 2022-04-01 | 2022-06-10 | 正和集团股份有限公司 | 一种炼油厂氢气管网压力调节方法 |
WO2024211963A1 (en) * | 2023-04-12 | 2024-10-17 | Lge Pty Ltd | A membrane for hydrogen separation and a method for the manufacture thereof |
KR102799202B1 (ko) | 2023-12-26 | 2025-04-23 | 주식회사 하이젠에너지 | 수소 분리 모듈, 이를 포함하는 수소 분리 장치 및 이들을 이용한 수소 분리 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298046B1 (ko) | 2021-09-0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298046B1 (ko) | 수소 회수율을 증가시키도록 설계된 튜브형 수소분리막을 구비한 분리막 모듈 및 이를 이용한 수소 생산 장치 및 공정 | |
KR102622341B1 (ko) | 이산화탄소 포집과 수소생산 동시 수행을 위한 수소분리/이산화탄소 흡수 하이브리드 장치 및 공정 | |
KR101807112B1 (ko) | 쉘-앤-튜브형 천연가스 개질용 반응기 및 이를 이용한 합성가스 또는 수소가스의 제조방법 | |
Tosti et al. | Design and process study of Pd membrane reactors | |
US6090312A (en) | Reactor-membrane permeator process for hydrocarbon reforming and water gas-shift reactions | |
US6171574B1 (en) | Method of linking membrane purification of hydrogen to its generation by steam reforming of a methanol-like fuel | |
CA2515514C (en) | Pressure swing reforming for fuel cell systems | |
US6992112B2 (en) | Selective removal of oxygen from syngas | |
Ganguli et al. | Hydrogen production using advanced reactors by steam methane reforming: A review | |
KR102075627B1 (ko) | 메탄화 촉매기능을 가진 다공성 니켈 지지체를 이용한 Pd계 금속 치밀 수소투과 분리막 | |
EP1829821A1 (en) | Membrane process for hydrogen production from reforming of organic products, such as hydrocarbons or alcohols | |
JP2023530356A (ja) | 膜改質器を用いた水素の生産 | |
KR101164546B1 (ko) | 고효율 수소 생산을 위한 다단 수성가스 분리막 반응장치 | |
WO2006017022A2 (en) | Systems and methods for hydrogen production | |
US20140120023A1 (en) | Methods and systems for ammonia production | |
KR102168018B1 (ko) | 메탄화 기능이 추가된 연료개질기와 연계된 연료전지 시스템 | |
EP2212244A1 (en) | Process to prepare a mixture of hydrogen and carbon monoxide | |
JP3406021B2 (ja) | 水素製造装置 | |
Brunetti et al. | Membrane reactors for hydrogen production | |
CA3238658A1 (en) | Blue hydrogen process and plant | |
US7897122B2 (en) | Hybrid adsorptive membrane reactor | |
KR102344813B1 (ko) | 프리리포머(pre-reformer) 및 분리막 리포머를 이용한 수소 생산 장치 및 공정 | |
KR102508711B1 (ko) | 수소 분리막을 이용한 부생가스의 수소증폭공정 | |
KR102669892B1 (ko) | 암모니아 분해 반응에 의해 수소를 생산하는 수소 분리막 반응기를 포함하는 수소 생산시스템 | |
Iulianelli et al. | Green hydrogen production from biocompounds through membrane engineering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00123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031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10621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1083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1083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60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5061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