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210077108A - 운전자 졸음 방지 시스템 - Google Patents

운전자 졸음 방지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77108A
KR20210077108A KR1020190168331A KR20190168331A KR20210077108A KR 20210077108 A KR20210077108 A KR 20210077108A KR 1020190168331 A KR1020190168331 A KR 1020190168331A KR 20190168331 A KR20190168331 A KR 20190168331A KR 20210077108 A KR20210077108 A KR 202100771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ver
vehicle
prevention system
drowsiness prevention
seat bel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683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15326B1 (ko
Inventor
성창용
Original Assignee
성창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창용 filed Critical 성창용
Priority to KR10201901683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15326B1/ko
Publication of KR202100771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771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53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5326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8/00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 B60K28/02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responsive to conditions relating to the driver
    • B60K28/06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responsive to conditions relating to the driver responsive to incapacity of driv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5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 A61L9/04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using substances evaporated in the air without he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20Accessories, e.g. wind deflectors, blinds
    • B60J1/2011Blinds; curtains or screens reducing heat or light intensity
    • B60J1/2013Roller blinds
    • B60J1/2066Arrangement of blinds in vehicles
    • B60J1/2086Arrangement of blinds in 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openable windows, e.g. side window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5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the presence or position of passengers, passenger seats or child seats, and the related safety parameters therefor, e.g. speed or timing of airbag inflation in relation to occupant position or seat belt use
    • B60R21/01512Passenger detection systems
    • B60R21/01544Passenger detection systems detecting seat belt parameters, e.g. length, tension or height-adjus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02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ambient cond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08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drivers or passeng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1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vehicle motion
    • B60W40/105Speed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65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vertically-sliding wings
    • E05F15/689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vertically-sliding w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windo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08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drivers or passengers
    • B60W2040/0818Inactivity or incapacity of driver
    • B60W2040/0827Inactivity or incapacity of driver due to sleepin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2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overall vehicle dynamics
    • B60W2520/10Longitudinal spe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55/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exterior conditions, not covered by groups B60W2552/00, B60W2554/00
    • B60W2555/20Ambient conditions, e.g. wind or ra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 B60Y2400/303Speed sens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 E05Y2900/55Window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 Auxiliary Drives, Propulsion Controls, And Safety Devices (AREA)
  • Emergency Alarm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운전자 졸음 방지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차량 내부의 인원수를 감지하는 감지부; 상기 감지부에서 감지된 인원수에 따라 카 윈도우 개폐시간을 설정하는 타이머 및 상기 타이머에서 설정된 개폐시간에 따라 글라스 작동부를 제어하여 상기 윈도우 글라스를 개방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운전자 졸음 방지 시스템{Driver sleep prevention system}
본 발명은 운전자 졸음 방지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의 탑승 인원수에 따라 실내에서 발생되는 이산화탄소 농도가 증가하는 주기에 작동되어 카 윈도우를 개방하여 이산화탄소 농도를 떨어뜨림으로서, 운전자의 졸음 운전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운전자 졸음 방지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는 주행 시 발생하는 공기마찰음을 줄이기 위해서 실내와 실외를 차단한 상태에서 주행하는데, 최근에는 교통수단의 발달과 고도화로 인하여 자동차를 이용하는 인구 1가구당 1대 꼴로 증가하였고, 장거리 이동을 위한 장시간 운전과 정체 현상으로 운행시간이 증가하고 있다.
한편, 한정된 공간에서 장시간에 걸친 운전으로 인하여 운전자와 승객의 호흡에 의한 이산화탄소 양의 증가로 인하여 산소 농도가 희박해지고, 운전자로 하여금 졸음 운전을 유발할 수 있다.
또한, 장시간 운전으로 인한 지루함 또는 피곤, 식사 후의 식곤증으로 인해 운전자가 졸음 운전을 할 수도 있는 위험성이 존재하였다.
구체적으로, 차량 내부의 이산화탄소는 농도에 따라 다양한 증상과 영향을 운전자에게 미치며, 차량내의 이산화탄소 농도가 1,000ppm이상일 경우 산소 농도가 상대적으로 낮아져 나른함을 발생시킬 수 있고, 2,000ppm 이상일 경우 졸음을 유발하며 운전자에게 두통은 물론 집중력 저하, 주의력 결핍을 발생시킬 수 있으며, 차량에서 외부 공기의 유입을 차단할 경우, 탑승자가 1명일 땐 약 30분, 3명일 땐 약 10분 정도가 지나면 이산화탄소 농도가 위험 수준까지 높아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졸음 운전은 운행흐름을 저해함과 동시에 교통사고의 원인을 제공하여 재산상 및 정신적으로 막대한 손실을 가져올 수 있다.
이와 같이, 주행 중 졸음이나 시야의 불안정 등을 해결하기 위해서 카메라를 이용한 운전자의 상태를 측정하는 졸음방지 시스템(공개번호 특1999-0049722)이 공개되었다.
그러나, 이는 운전자가 이미 졸음 상태에 진입한 후, 그 기능이 작동되어 예방의 차원을 벗어난 상태에서 그 효과가 실질적으로 크지 않으며, 시스템의 장착에 따른 구매비용이 상승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운전자 졸음 방지 시스템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운전자가 이미 잠든 후 각성을 위해 작동하는 것이 아닌, 운전자가 운전중 조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므로, 운전자의 안전성과, 도로교통의 흐름을 원활히 할 수 있는 운전자 졸음 방지 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운전자 졸음 방지 시스템은, 차량 내부의 인원수를 감지하는 감지부; 상기 감지부에서 감지된 인원수에 따라 카 윈도우 개폐시간을 설정하는 타이머 및 상기 타이머에서 설정된 개폐시간에 따라 글라스 작동부를 제어하여 상기 윈도우 글라스를 개방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타이머는, 사용자가 임의로 개폐시간을 설정할 수 있는 가변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운전자 졸음방지 시스템은, 상기 차량 외부 공기의 오염도를 측정하는 외기센서로 차량의 외부 공기가 오염 상황임을 인지하면 작동을 멈추도록 제어되고, 차량의 차속이 일정 속도 이하일 경우 작동, 일정 속도를 초과할 경우 작동을 멈추도록 제어하는 차속센서 및 차량의 주행 중 날씨정보가 우천상황일시 작동을 중지하도록 하는 날씨판독부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운전자 졸음 방지 시스템은, 차량에 구비되는 안전 벨트를 당겨주는 롤링 모터; 상기 안전 벨트에 구비되며, 상기 안전벨트의 길이방향을 따라 제 1 인식부, 제 2 인식부를 포함하는 인식부 및 상기 제 1 인식부 및 제 2 인식부를 판별하는 판별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 인식부는, 운전자가 정상 상태일 때 인출되는 안전 벨트 길이방향의 구간에 마련되고, 상기 제 2 인식부는, 운전자의 몸이 앞으로 쏠리기 시작할 때 인출되는 안전 벨트 길이방향의 구간에 마련되며, 상기 안전 벨트가 제 2 인식부까지 인출될 경우, 상기 롤링 모터가 작동되어 안전벨트를 당겨줄 수 있다.
또한, 상기 차량의 실내로 각성향을 분사하는 각성향 분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타이머에서 설정된 시간에 도달하면, 상기 각성향 분사부를 제어하여 차량의 실내로 각성향을 분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운전자 졸음 방지 시스템은, 차량 내부의 이산화탄소 농도를 감지하는 이산화탄소 센서 및 차량 내부에 구비되며 차량의 전면 유리창 방향으로 광을 조사하는 프로젝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젝터는, 이산화탄소 농도에 따라, 붉은색, 초록색, 파란색으로 차량의 전방 유리창에 조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운전자 졸음 방지 시스템은, 상기 전방 유리창에 조사되는 프로젝터의 광 가시성 확보 및 맞은편에서 운행 중인 차량에 상기 프로젝터에서 조사되는 광으로 인한 눈부심을 방지하는 차단 스크린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운전자 졸음 방지 시스템은, 차량의 실내 인원수를 측정하여, 능동적으로 작동되는 타이머와, 상기 타이머로 제어되는 카 윈도우가 개방되어, 차량내의 이산화탄소 농도를 자율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며, 이로 인해 운전자가 졸음운전 할 수 있는 상황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운전자 졸음 방지 시스템은, 가변 스위치를 포함하여, 운전자가 자율적으로 카 윈도우 개폐 시기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운전자 졸음 방지 시스템은, 외기센서, 차속센서, 날씨판독부를 더 포함하여, 차량의 주행상태에 따라 작동/중지 될수 있으므로, 운전자의 편의성을 증감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운전자 졸음 방지 시스템은, 운전자가 졸음으로 인하여 상체가 숙여짐을 감지할 수 있는 인식부 및 판별부로, 안전벨트에 구비되는 롤링모터를 작동시켜 안전벨트를 당겨줌으로서, 운전자의 졸음을 깨울 수 있어 졸음 운전으로 인한 인명/대물 피해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운전자 졸음 방지 시스템은, 각성향 분사부를 포함하여, 차량내의 이산화탄소 농도가 상승하여 운전자가 졸릴 때 각성향을 분사하여, 운전자의 졸음운전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운전자 졸음 방지 시스템은, 프로젝터를 구비하여, 차량내의 이산화탄소 농도를 실시간으로 운전자에게 안내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운전자 졸음 방지 시스템의 전체적인 구성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카 윈도우가 개방된 차량의 우측면도이다.
도 3 의 (a)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롤링모터, 인식부, 판독부의 예시도이며, (b)는 제 1 인식부 및 제 2 인식부가 구비된 안전벨트의 예시도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각성향 분사부를 포함하는 운전자 졸음 방지 시스템의 예시도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프로젝터를 구비한 운전자 졸음 방지 시스템의 예시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한 본 발명의 설명은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하는 내용은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되는 용어로서, 그 자체에 의미가 한정되지 아니하며,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사용되는 동일한 참조 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이하에서 기재되는 "포함하다", "구비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갖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운전자 졸음 방지 시스템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기초로 상세하게 설명하면서 구체적인 실시 예를 함께 살펴본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운전자 졸음 방지 시스템의 전체적인 구성도이며, 도 2 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카 윈도우가 개방된 차량의 우측면도이고, 도 3 의 (a)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롤링모터, 인식부, 판독부의 예시도이며, (b)는 제 1 인식부 및 제 2 인식부가 구비된 안전벨트의 예시도이고, 도 4 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각성향 분사부를 포함하는 운전자 졸음 방지 시스템의 예시도이고, 도 5 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프로젝터를 구비한 운전자 졸음 방지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먼저, 도 1 내지 도 2 를 참조하면, 운전자 졸음 방지 시스템은 감지부(200), 타이머(100), 글라스 작동부(300), 제어부(1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감지부(200)는, 차량(1)에 탑승하는 인원을 도출하기 위한 목적을 가진 구성이다.
구체적으로 감지부(200)는, 차량 내부에 구비되는 시트의 하부에 구비되는 하중센서로 차량에 탑승인원을 감지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하지 않고, 운전자가 직접 차량내의 탑승 인원을 가변적으로 선택할 수 있는 인원 입력 스위치로 구비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타이머(100)는, 상기 감지부(200)에 입력된 인원수에 따라 자동으로 가변 가능하다.
예를 들어, 차량내의 인원이 1명이라 했을 때, 상기 타이머(100)에 입력되는 시간은 30분으로 기설정될 수 있고, 차량내의 인원이 2명이라 했을 때는 20분, 차량내의 인원이 4명이라 했을 때는 10분으로 설정될 수 있으며, 상기 시간이 기설정된 타이머(100)와, 상기 타이머(100)와 연결된 제어부(10)로 하여, 기설정된 시간에 맞춰 글라스 작동부(300)를 제어하여 카 윈도우(310)를 개폐시키는 것이다.
이로써, 차량내의 인원수에 연계되어 증가하는 이산화탄소를, 상기 타이머(100)에 기설정된 시간에 따라 글라스 작동부(310)를 사용하여 카 윈도우(310)를 개방함으로써, 차량내의 이산화탄소 농도를 저감시킬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타이머(100)는, 상기 감지부(200)와 연결되어, 기저장된 시간에 따라 제어부(10)로 신호를 보내 글라스 작동부(300)를 작동시킬 수 있으나, 운전자의 요구에 맞게, 사용자가 임의로 개폐시간을 설정할 수 있도록 가변 스위치를 포함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가변 스위치는 운전자 핸들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 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조수석의 글러브박스 혹은 운전석 후방에 구비되는 시트에 구비될 수도 있다.
이는, 운전자가 상기 가변 스위치를 조작하여 카 윈도우의 개폐시기를 조절하고, 동시에, 동승자 역시 상기 가변 스위치를 조작하여 카 윈도우(310)의 개폐 시기를 적절히 조절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이로써, 상기 타이머(100)로 하여 자동으로 카 윈도우(310)를 개폐시킬수 있으나, 운전자가 요구에 맞는 시간값으로 설정 가능한 가변 스위치를 포함한 타이머(100)로써, 카 윈도우(310)가 개방되는 시간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타이머(100)로 개폐되는 카 윈도우(310)는, 운전석쪽에 구비되는 카 윈도우(310)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조수석 혹은 후방 시트 양측에 위치한 카 윈도우를 포함하여 작동할 수도 있다.
이는, 차내의 탑승인원이 운전자를 제외하고 모두 자고있는 상황이라면, 운전자 역시 조용한 차내 분위기에 편승하여 같이 자게되는 경우를 방지하기 위함이다.
이에 따라, 운전자뿐만 아닌 동승자 역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운전자 졸음 방지 시스템을 통해 졸음을 ?i을 수 있으며, 운전자가 졸지 않도록 지속적으로 대화를 걸거나, 졸음운전에 대한 경각심을 줄 수 있다.
또한, 상기 운전자 졸음방지 시스템은, 외기센서(400), 차속센서(500), 날씨판독부(6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외기센서(400)는, 차량이 주행 중 외부 공기의 오염도를 측정하는 외기센서(400)이며, 상기 외기센서(400)로 하여, 차량의 외부 공기가 오염상태라고 판단될 경우, 상기 운전자 졸음 방지 시스템의 작동을 중지 시킬 수 있다.
이로써, 차량의 외부공기가 오염상태인 경우에도, 상기 운전자 졸음 방지 시스템이 작동되어 카 윈도우(310)를 자동으로 개폐시켜, 오염 공기가 차량(1)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차속센서(500)는, 본 발명의 운전자 졸음 방지 시스템에 포함하고 있는 구성뿐만 아닌, 자동차 자체 내에 구비된 시속을 감지하는 시스템으로 대체될 수도 있다.
구체적인 작동 방식으로는, 차량(1)의 차속이 일정 속도 이하일 경우 작동, 일정 속도를 초과할 경우 작동을 멈추도록 제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1)의 시속이 85km를 초과하는 고속 주행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운전자 졸음 방지 시스템이 작동하여, 갑작스럽게 카 윈도우(310)가 열림으로서, 갑자기 강한 압력의 바람이 실내로 유입되어 발생되는 피해를 방지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상기 날씨판독부(600)는, 차량 외부의 날씨가 우천상황일 경우 중지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것이며, 구체적으로, 비가 오거나, 눈이 오는 경우, 차량의 카 윈도우(310)가 열림으로서 발생하는 차량의 시트가 젖는 문제 혹은 운전자가 주행 중 카 윈도우(310)가 열림으로서 비 또는 눈이 들이닥쳐 놀라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기 위해 구비되는 것이다.
또한, 차량 외부의 실외 공기가 높은 농도의 미세먼지를 포함하고 있거나, 공장 부지와 같은 산업 현장에서 발생되는 매연을 감지할 경우, 운전자 졸음 방지 시스템을 자동으로 중지시켜, 카 윈도우(310)가 개방되어 오염된 차량 외부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운전자 및 동승자는 상기 오염된 차량 외부 공기를 카 윈도우(310)가 자동으로 개폐됨으로 인해 차량 내로 들어와 들이마시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차량의 주행중 외부에서 들어오는 오염 공기로 인한 호흡기 질환을 예방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또한, 도 3 를 참조하면, 상기 운전자 졸음 방지 시스템은, 롤링 모터(710), 인식부(720), 판별부(7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상기 롤링 모터(710)는, 차량 내에 운전자의 안전을 위해 구비되는 안전 벨트(700)를 당겨주기 위해 구비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인식부(720)는, 상기 안전 벨트(700)의 표면 혹은 내부에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안전 벨트(7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제 1 인식부(700a) 및 제 2 인식부(700b)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 1 인식부(700a)는, 운전자가 정상 상태일 때 인출되는 안전 벨트(700) 길이방향의 구간으로 마련되며, 상기 제 2 인식부(700b)는, 운전자의 몸이 앞으로 쏠리기 시작할 때 인출되는 안전 벨트(700) 길이방향의 구간에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판독부(730)는, 상기 안전 벨트(700)의 인출되는 길이가 상기 제 1 인식부(700a) 혹은 제 2 인식부(700b)로 하여 어느정도 인출 되었는지 감지하기 위해 구비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운전자는 평소 안전 벨트(700)를 착용하되, 허리를 핀 상태에서는 안전 벨트(700)가 제 1 인식부(700a)까지 인출되었으나, 운전자가 졸음으로 인하여 몸 혹은 어깨가 운전석 방향으로 쳐지게 되어, 제 1 인식부(700a)까지 인출되었던 안전 벨트(700)가 제 2 인식부(700b)까지 인출되게 되며, 상기 판독부(730)는, 안전 벨트(700)가 제 2 인식부(700b)까지 인출되게 될 경우, 롤링 모터(710)를 작동시켜, 안전 벨트(700)로 하여 운전자의 몸을 시트 방향으로 당겨줄 수 있다.
이로 인해, 운전자가 졸음을 이기지 못하고 몸이 운전석 방향으로 치우쳐지며 졸게되는 경우, 갑작스럽게 안전 벨트(700)가 당겨짐으로서, 졸음을 깰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안전 벨트(700)는, 상기 롤링 모터(710)가 구동됨으로써 운전자의 안전벨트(700)를 당겨주어 졸음을 ?i을 수 있으나, 안전벨트(700)의 일측, 혹은 내부에 안전벨트 진동모터(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안전벨트 진동모터(700)는, 운전자가 졸고있다고 판단되는 제 2 인식부(700b)까지 안전벨트(700)가 인출될 경우, 롤링 모터(710)가 작동하여 안전벨트(700)를 시트방향으로 당겨줌과 동시에 작동하여, 운전자의 어깨와 복부를 진동시켜 보다 효과적으로 운전자의 졸음을 깨울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한편, 도 4 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운전자 졸음 방지 시스템은, 각성향 분사부(8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각성향 분사부(800)는 각성향 혹은 각성액을 저장하는 저장탱크(810), 상기 저장탱크(810)에 저장된 각성향 혹은 각성액을 분사하기 위한 공압을 제공하는 컴프레셔(830), 상기 차량의 실내로 연결된 공급라인에 설치되는 제어 밸브(820) 및 상기 각성향 혹은 각성액을 분사하기 위한 분사구(840)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 밸브(820)는, 상기 타이머(100)와 연결되어, 상기 타이머(100)에 기설정된 시간에 따라 개방되어 각성향을 분사하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제어 밸브(820)가 개방됨으로서, 상기 저장탱크(810)에 저장되어있던 각성향 또는 각성액을 차량(1)의 실내로 공급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분사구(840)는, 운전석 시트의 하부 혹은 운전석 시트 상부에 구비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하지 않고, 조수석 및 후방에 구비되는 시트의 하부 및 상부에 구비될 수도 있다.
이는, 분사구(840)에서 분사되는 각성향의 효과를 차량 내부에 고루 분사하기 위함이며, 운전자뿐만 아닌 동승자 역시 각성향의 효과를 느낄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또한, 차내의 동승자 역시 각성향의 효과로 졸음을 방지할 수 있어, 운전자에게 지속적으로 대화를 하거나 졸음 운전에 대한 경각심을 줄 수 있어 보다 안전한 차량 운전이 가능해진다.
이로써,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운전자 졸음방지 시스템은, 상기 타이머(100)와 연동된 각성향 분사부(800)로 하여, 차량의 실내로 각성향 또는 각성액을 분사하여, 운전자의 졸음을 방지하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분사구(840)는, 각성향을 효과적으로 차내에 분사할 수 있도록, 분사구(840)의 단부와 측면 둘레에 미세한 중공을 형성하고, 상기 분사구(840)를 회전시키는 모터를 구비하여, 분사구(840)로 각성향을 분사시, 분사구(840)를 회전시켜 각성향을 넓은 범위로 비산시킬 수도 있다.
한편, 상기 각성액을 저장하는 저장탱크(810)에 저장되는 각성액은, 박하 농축액, 혹은 정향 농축액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각성 효과가 뛰어난 박하 농축액일 수 있다.
그러나, 이는 바람직한 일예일뿐, 반드시 한정하는 것이 아닌, 운전자의 각성을 위한 각성액이라면 모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도 5 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운전자 졸음 방지 시스템은, 차량의 실내에 이산화탄소 센서(210) 및 프로젝터(220)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이산화탄소 센서(210)는, 차량의 실내 공기에서 이산화탄소를 감지하고, 감지된 신호를 상기 제어부(10)로 전송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10)는 상기 감지부(200)에서 전송된 신호를 이용하여 이산화탄소의 농도를 연산하는 단계(211)를 거칠 수 있으며, 상기 연산된 이산화탄소의 농도는 차량(1)내에 구비되며, 차량(1)의 운전석 전면 유리창 방향으로 광을 조사하는 프로젝터(220)를 통해 이산화탄소 농도에 따라 각기 다른 색을 발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 내의 이산화탄소 농도가 1,000ppm 미만일 경우, 프로젝터(220)는 운전석의 정면 유리창에 파란색의 광을 조사하며, 1,000ppm 을 초과할 경우, 초록색 광을 조사하고, 2,000ppm이상일 경우, 붉은색의 광을 조사하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프로젝터(220)는 광을 지속적으로 조사할 수 있으나, 운전자의 시인성을 높이고, 주목하는 효과를 갖기 위하여 일정 주기를 가지고 점멸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프로젝터(220)는, 신호음을 출력하기 위한 스피커를 포함한 프로젝터(220)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 내의 이산화탄소 농도가 1,000ppm 이하일 경우, 프로젝터(220)에 구비된 스피커가 차량 내의 이산화탄소 농도가 안정적이라는 것을 알려주기 위해 기설정된 안전 신호음을 출력하고, 1,000ppm 을 초과할 경우, 주의를 줄 수 있는 신호음을 출력하고, 2,000ppm 이상일 경우, 위험을 나타내는 신호음을 출력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로써, 운전자는, 운전 중 정면 유리창에 비치는 광의 색깔과, 소리로 하여 차량 내의 이산화탄소 농도가 어느 수준인지 파악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능동적인 대처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여기서, 상기 이산화탄소 센서(210) 및 프로젝터(220)를 포함한 상기 운전자 졸음 방지 시스템은, 차량의 외부로 광이 투과되는 것을 방지하는 차단 스크린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는, 주간 주행 중, 태양의 가시광선으로 인해 전방 유리창에 조사되는 프로젝터(220) 광의 색을 운전자가 감지할 수 없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함이며,
야간 주행 중, 맞은편에서 운전 중인 차량의 운전자가 상기 프로젝터(220)에서 조사되는 빛으로 인하여 눈부시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이로써, 운전자와, 상기 맞은편에서 운전 중인 운전자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으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이다.
1 : 차량
10 : 제어부
100 : 타이머
110 : 가변 스위치
200 : 감지부
210 : 이산화탄소 센서
220 : 프로젝터
300 : 글라스 작동부
310 : 카 윈도우
400 : 외기센서
500 : 차속센서
600 : 날씨판독부
700 : 안전 벨트
710 : 롤링모터
720 : 인식부
730 : 판별부
800 : 각성향 분사부
810 : 저장탱크
820 : 제어 밸브
830 : 컴프레셔
840 : 분사구

Claims (7)

  1. 차량 내부의 인원수를 감지하는 감지부;
    상기 감지부에서 감지된 인원수에 따라 카 윈도우 개폐시간을 설정하는 타이머 및
    상기 타이머에서 설정된 개폐시간에 따라 글라스 작동부를 제어하여 상기 윈도우 글라스를 개방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운전자 졸음 방지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타이머는,
    사용자가 임의로 개폐시간을 설정할 수 있는 가변 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자 졸음 방지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운전자 졸음방지 시스템은,
    상기 차량 외부 공기의 오염도를 측정하는 외기센서로 차량의 외부 공기가 오염 상황임을 인지하면 작동을 멈추도록 제어되고,
    차량의 차속이 일정 속도 이하일 경우 작동, 일정 속도를 초과할 경우 작동을 멈추도록 제어하는 차속센서 및
    차량의 주행 중 날씨정보가 우천상황일시 작동을 중지하도록 하는 날씨판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자 졸음 방지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운전자 졸음 방지 시스템은,
    차량에 구비되는 안전 벨트를 당겨주는 롤링 모터;
    상기 안전 벨트에 구비되며, 상기 안전벨트의 길이방향을 따라 제 1 인식부, 제 2 인식부를 포함하는 인식부 및
    상기 제 1 인식부 및 제 2 인식부를 판별하는 판별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 인식부는,
    운전자가 정상 상태일 때 인출되는 안전 벨트 길이방향의 구간에 마련되고,
    상기 제 2 인식부는,
    운전자의 몸이 앞으로 쏠리기 시작할 때 인출되는 안전 벨트 길이방향의 구간에 마련되며,
    상기 안전 벨트가 제 2 인식부까지 인출될 경우, 상기 롤링 모터가 작동되어 안전벨트를 당겨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자 졸음 방지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실내로 각성향을 분사하는 각성향 분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타이머에서 설정된 시간에 도달하면, 상기 각성향 분사부를 제어하여 차량의 실내로 각성향을 분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자 졸음 방지 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운전자 졸음 방지 시스템은,
    차량 내부의 이산화탄소 농도를 감지하는 이산화탄소 센서 및
    차량 내부에 구비되며 차량의 전면 유리창 방향으로 광을 조사하는 프로젝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젝터는,
    이산화탄소 농도에 따라, 붉은색, 초록색, 파란색으로 차량의 전방 유리창에 조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자 졸음 방지 시스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운전자 졸음 방지 시스템은,
    상기 전방 유리창에 조사되는 프로젝터의 광 가시성 확보 및 맞은편에서 운행 중인 차량에 상기 프로젝터에서 조사되는 광으로 인한 눈부심을 방지하는 차단 스크린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자 졸음 방지 시스템
KR1020190168331A 2019-12-16 2019-12-16 운전자 졸음 방지 시스템 Active KR1023153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8331A KR102315326B1 (ko) 2019-12-16 2019-12-16 운전자 졸음 방지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8331A KR102315326B1 (ko) 2019-12-16 2019-12-16 운전자 졸음 방지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7108A true KR20210077108A (ko) 2021-06-25
KR102315326B1 KR102315326B1 (ko) 2021-10-20

Family

ID=766290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68331A Active KR102315326B1 (ko) 2019-12-16 2019-12-16 운전자 졸음 방지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15326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30169A (ko) * 1996-10-29 1998-07-25 김영귀 자동차의 실내자동환기장치
JPH11310053A (ja) * 1998-04-28 1999-11-09 Mitsubishi Motors Corp 車両用覚醒維持装置
JP2005112119A (ja) * 2003-10-07 2005-04-2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酸素富化機
KR20170007003A (ko) * 2015-07-10 2017-01-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차량의 능동형 공기 정화 장치
KR20170088702A (ko) * 2016-01-25 2017-08-02 주식회사 케이티 창문 자동개폐 장치 및 그 방법
JP2018154329A (ja) * 2018-04-27 2018-10-04 株式会社デンソー 車載制御装置及び車載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30169A (ko) * 1996-10-29 1998-07-25 김영귀 자동차의 실내자동환기장치
JPH11310053A (ja) * 1998-04-28 1999-11-09 Mitsubishi Motors Corp 車両用覚醒維持装置
JP2005112119A (ja) * 2003-10-07 2005-04-2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酸素富化機
KR20170007003A (ko) * 2015-07-10 2017-01-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차량의 능동형 공기 정화 장치
KR20170088702A (ko) * 2016-01-25 2017-08-02 주식회사 케이티 창문 자동개폐 장치 및 그 방법
JP2018154329A (ja) * 2018-04-27 2018-10-04 株式会社デンソー 車載制御装置及び車載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15326B1 (ko) 2021-10-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515374B (zh) 一种车内空气流通控制方法及其装置
CN105253085A (zh) 车内滞留乘员状态识别及险态控制系统
EP1609644B1 (en) Dust reducing apparatus
US20100129263A1 (en) Method for Supporting A Driver Using Fragrance Emissions
KR102315326B1 (ko) 운전자 졸음 방지 시스템
JP2010061596A (ja) 覚醒装置
KR100868920B1 (ko) 이산화탄소 센서를 이용한 차량용 질식 방지 시스템
KR102324098B1 (ko) 운전자의 졸음 방지 시스템
KR101344522B1 (ko) 차량환기방법
KR101475794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20140121604A (ko) 자동차의 지능형 공조 시스템 및 방법
CN112693290A (zh) 一种车辆及其自动通风控制方法和系统
CN103434508B (zh) 一种天窗自动控制方法和系统
CN201872668U (zh) 开车门智能示警及解中控锁的装置
CN112874436B (zh) 一种电动汽车座椅安全带救助系统
KR20090007415U (ko) 차량용 졸음 방지 장치
CN205706441U (zh) 一种具有自动报警功能的后视镜外壳
CN206128980U (zh) 基于传感检测的智能车窗控制逃生系统
CN206532389U (zh) 一种基于儿童安全出行的智能预警装置
KR19980030169A (ko) 자동차의 실내자동환기장치
JP2015168281A (ja) 車両用気体供給装置
CN205768499U (zh) 汽车车内空气自动净化装置
CN204978151U (zh) 一种汽车预警系统及汽车
KR19980010752U (ko) 자동차용 질식 방지 시스템
JP2005112119A (ja) 酸素富化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1216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04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11012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1101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1101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70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