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210069501A -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용 클러치 장치 - Google Patents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용 클러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69501A
KR20210069501A KR1020190159406A KR20190159406A KR20210069501A KR 20210069501 A KR20210069501 A KR 20210069501A KR 1020190159406 A KR1020190159406 A KR 1020190159406A KR 20190159406 A KR20190159406 A KR 20190159406A KR 20210069501 A KR20210069501 A KR 202100695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utch
hub
connecting member
electric vehicle
hybrid electric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594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750545B1 (ko
Inventor
안철민
변성곤
김석준
맹수현
천동희
김백유
하준영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594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750545B1/ko
Publication of KR202100695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695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7505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750545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48/00External control of clutches
    • F16D48/02Control by fluid 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6/00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for mutual or common propulsion, e.g. hybrid propulsion systems comprising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Control systems therefor, i.e. systems controlling two or more prime movers, or controlling one of these prime movers and any of the transmission, drive or drive units
    • B60K6/20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for mutual or common propulsion, e.g. hybrid propulsion systems comprising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Control systems therefor, i.e. systems controlling two or more prime movers, or controlling one of these prime movers and any of the transmission, drive or drive units the prime-movers consisting of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e.g. HEVs
    • B60K6/42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for mutual or common propulsion, e.g. hybrid propulsion systems comprising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Control systems therefor, i.e. systems controlling two or more prime movers, or controlling one of these prime movers and any of the transmission, drive or drive units the prime-movers consisting of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e.g. HEVs characterised by the architecture of the hybrid electric vehicle
    • B60K6/48Parallel ty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500/00External control of clutches by electric or electronic means
    • F16D2500/10System to be controlled
    • F16D2500/106Engine
    • F16D2500/1066Hybri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500/00External control of clutches by electric or electronic means
    • F16D2500/50Problem to be solved by the control system
    • F16D2500/51Relating safety
    • F16D2500/5114Failsaf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62Hybrid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Hybrid Electric Vehicles (AREA)

Abstract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용 클러치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용 클러치 장치는 클러치 피스톤이 모터측 허브 연결부재와의 사이에서, 댐퍼 출력축과 허브 연결부재로부터 유압을 공급받는 유압 작동실을 형성하도록 배치하여 리턴 스프링 및 유압에 의한 클러치 피스톤의 반작용력을 허브 연결부재에서 지지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클러치 피스톤의 반작용력을 지지하는 별도의 변속기측 축방향 지지 베어링을 삭제할 수 있으며, 모터의 로터 허브와 연결되는 허브 연결부재를 이용하여 클러치 피스톤과의 유압 작동실을 형성하고, 축방향 지지 베어링을 삭제하여 부품수 최소화로 설치 공간 및 전장을 축소한다.

Description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용 클러치 장치{CLUTCH SYSTEM FOR HYBRID ELECTRIC VEHICLES}
본 발명은 하이브리드 전기 자동차용 클러치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모터의 로터 허브와 연결되는 허브 연결부재를 이용하여 클러치 피스톤과의 유압 작동실을 형성하고, 축방향 지지 베어링은 삭제하여 설치 공간 및 전장을 축소하는 하이브리드 전기 자동차용 클러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차량에 있어서의 친환경 기술은 미래 자동차 산업의 핵심 기술로서, 자동차 메이커들은 환경 및 연비 규제를 달성하기 위한 친환경 자동차 개발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미래 자동차 기술은 전기 에너지를 이용하는 전기 자동차(EV : Electric Vehicle), 하이브리드 전기 자동차(HEV : Hybrid Electric Vehicle), 효율과 편의성을 향상시킨 더블 클러치 변속기(DCT : Double Clutch Transmission)를 예로 들 수 있다.
상기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는 2개 이상의 동력원(Power Source)을 사용하는 자동차로서, 여러 가지 방식으로 조합될 수 있는데, 통상적으로 기존 화석 연료를 사용하는 가솔린엔진 또는 디젤엔진과, 전기 에너지에 의하여 구동되는 모터/제너레이터가 혼합(Hybrid)되어 구성된다.
또한, 상기 더블 클러치 변속기는 클러치 2개를 적용하여 홀수단과 짝수단의 변속 시, 번갈아 작동시키면서 변속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변속기로서, 상기와 같이 홀수단과 짝수단의 변속을 번갈아 작동시키는 매커니즘은 기존 수동 변속기(MT) 및 자동화 수동 변속기(AMT)의 변속 시의 토크 단절감을 개선할 수 있다.
최근에는 화두가 되고 있는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는 엔진과 모터의 회전동력을 변속기에 효과적으로 전달하여 효율을 높이고, 연비를 극대화시키도록 효과적인 동력전달과 사이즈 및 부품 축소 등을 가능하게 하는 클러치 장치의 개발이 요구되어 왔다.
이에 따라,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HEV)를 효율적으로 조합하기 위한 클러치 장치의 요구가 있어왔으며, 엔진 클러치의 기능을 포함하여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의 모터와 함께 모듈화하기 위한 연구개발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클러치 피스톤이 모터측 허브 연결부재와의 사이에서, 댐퍼 출력축과 허브 연결부재로부터 유압을 공급받는 유압 작동실을 형성하도록 배치하여 리턴 스프링 및 유압에 의한 클러치 피스톤의 반작용력을 허브 연결부재에서 지지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클러치 피스톤의 반작용력을 지지하는 별도의 변속기측 축방향 지지 베어링을 삭제할 수 있도록 하는 하이브리드 전기 자동차용 클러치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모터의 로터 허브와 연결되는 허브 연결부재를 이용하여 클러치 피스톤과의 유압 작동실을 형성하고, 축방향 지지 베어링을 삭제하여 부품수 최소화로 설치 공간 및 전장을 축소하는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용 클러치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모터의 로터 허브를 엔진측 프론트 케이스에 베어링을 통하여 회전 지지한 상태로 클러치 드럼의 기능을 하도록 구성하여 공간 활용성을 높이는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용 클러치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하나 또는 다수의 실시 예에서는 모터의 회전동력을 변속기의 입력축에 상시 전달하고, 엔진으로부터 전달되는 회전동력을 댐퍼 출력축을 통하여 변속기의 입력축에 선택적으로 전달하는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용 클러치 장치에 있어서, 상기 모터의 로터에 고정 연결되는 로터 허브; 상기 로터 허브의 반경방향 내측 선단에 고정 연결된 상태로, 내단부에 축방향 내측과 외측으로 각각 연장된 유로단과 결합단을 형성하여 상기 결합단의 내경부를 통해 상기 댐퍼 출력축 상에 회전 지지되며, 상기 결합단의 외경부를 통해 프론트 케이스에 축방향 내측으로 형성된 지지단에 회전 지지되는 허브 연결부재; 상기 로터 허브의 일측 내경부에 스플라인 결합되는 복수의 클러치 플레이트; 상기 로터 허브의 일측 내경부에 대응하여 반경방향 내측에 배치되며, 반경방향 내측 선단이 상기 댐퍼 출력축의 선단에 고정 연결되는 클러치 허브; 상기 클러치 플레이트 사이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클러치 허브의 외경부에 스플라인 결합되는 복수의 클러치 디스크; 상기 로터 허브의 일측 내경부의 내측 선단에 외주단이 스플라인 결합되고, 내주단의 내경부가 상기 입력축의 선단부 일측에 스플라인 결합되는 클러치 연결부재; 및 상기 클러치 허브와 상기 허브 연결부재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허브 연결부재와의 사이에 유압 작동실을 형성하여 상기 클러치 플레이트와 클러치 디스크를 작동 제어하는 클러치 피스톤 유닛를 포함하는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용 클러치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클러치 피스톤 유닛은 상기 허브 연결부재의 일측에 형성된 실링단과, 상기 유로단 사이에 각각 시일링을 통하여 밀폐된 상태로 유압 작동실을 형성하여 축방향으로 안내되며, 외단부가 상기 클러치 플레이트에 대응하여 작동하는 클러치 피스톤; 상기 허브 연결부재의 유로단 일측에 반경방향 내측 선단이 지지된 상태로, 상기 클러치 피스톤의 일측에 형성된 연장단에 반경방향 외측 선단이 슬립 가능하게 설치되는 스프링 리테이너; 및 상기 클러치 피스톤과 스프링 리테이너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클러치 피스톤에 복원력을 제공하는 리턴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스프링 리테이너는 내측 선단이 상기 허브 연결부재의 유로단 일측에 스냅링에 의해 축방향 내측으로 지지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댐퍼 출력축의 선단부는 상기 허브 연결부재의 결합단 내주면과, 상기 입력축의 선단부 외주면과의 사이에 각각 베어링을 개재되어 회전 지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허브 연결부재는 상기 유로단의 선단과 상기 댐퍼 출력축의 선단부 외측과의 사이에 베어링을 개재되어 회전 지지될 수 있다.
상기 클러치 연결부재는 외주단이 상기 로터 허브의 일측 내경부의 내측 선단에 설치되는 스냅링을 통하여 축방향 내측으로 지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클러치 연결부재는 반경방향 내부의 외측면과 상기 댐퍼 출력축의 선단부 내측과의 사이에 베어링을 개재하여 회전 지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클러치 피스톤이 모터측 허브 연결부재와의 사이에서, 댐퍼 출력축과 허브 연결부재로부터 유압을 공급받는 유압 작동실을 형성하도록 배치하여 리턴 스프링과 유압에 의한 클러치 피스톤의 반작용력을 허브 연결부재에서 지지하도록 구성하여 기존의 클러치 피스톤에 걸리는 반작용력을 지지하기 위한 변속기측 축방향 지지 베어링 등을 삭제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변속기의 축방향 전장을 축소하고 재료비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모터의 로터 허브와 연결되는 허브 연결부재를 이용하여 클러치 피스톤과의 유압 작동실을 형성함으로써, 유압 작동실을 구성하기 위한 별도의 부품을 배제할 수 있고, 이로 인한 설치 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모터의 로터 허브를 엔진측 프론트 케이스에 베어링을 통하여 회전 지지한 상태로 클러치 드럼의 기능을 하도록 구성함으로써, 모터 내주 측의 여유 공간에 대한 공간 활용성을 높이고, 클러치 드럼을 별도로 구비하지 않아도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용 클러치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용 클러치 장치의 주요부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용 클러치 장치의 동력 전달 작동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단,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적용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용 클러치 장치의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용 클러치 장치의 주요부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용 클러치 장치(CL, 이하, 클러치 장치라 함)는 기본적으로 모터(M: 즉, 모터/제너레이터)를 통해 전달되는 회전동력을 입력축(IS)에 상시 연결하고, 엔진(미도시)의 엔진 출력축(ES)에 댐퍼(D)를 통해 연결된 댐퍼 출력축(DS)으로부터 전달되는 회전동력을 입력축(IS)에 선택적으로 연결하여 변속기(미도시, 즉, 변속기구)에 회전동력을 전달한다.
여기서, 상기 모터(M)는 일반 전기자동차에 적용되는 것과 같이 로터(R)와 스테이터(S)로 이루어져 모터 및 제너레이터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즉, 상기 로터(R)는 로터 허브(11)와 허브 연결부재(13)를 통하여 프론트 케이스(FC)의 반경방향 내측에 형성되는 지지단(5)에 회전 지지되고, 상기 스테이터(S)는 프론트 케이스(FC)에 서포트 링(3)을 통하여 고정된다.
이러한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의 동력계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클러치 장치(CL)는 상기 로터 허브(11), 허브 연결부재(13), 복수의 클러치 플레이트(21), 클러치 허브(15), 복수의 클러치 디스크(23), 클러치 연결부재(17), 및 클러치 피스톤 유닛(30)을 포함한다.
즉,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클러치 장치(CL)는 상기 모터(M)의 회전동력은 입력축(IS)에 상시 전달하면서 엔진(미도시)의 회전동력은 상기 입력축(IS)에 선택적으로 전달하는 기능을 갖는다.
여기서, 상기 댐퍼 출력축(DS)은 선단부 내주면이 상기 입력축(IS)의 선단부 외주면과의 사이에 베어링(B)을 개재되어 회전 지지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클러치 장치의 각 구성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상기 로터 허브(11)는 모터(M)의 로터(R)에 고정된 상태로 연결된다.
상기 허브 연결부재(13)는 상기 로터 허브(11)의 반경방향 내측 선단에 고정 연결되며, 내단부에 축방향 내측과 외측으로 각각 연장 형성된 유로단(13b)와 결합단(13a)이 형성된다.
상기 허브 연결부재(13)는 결합단(13a)의 내경부에 베어링(B)을 개재하여 댐퍼 출력축(DS) 상의 외주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결합단(13a)의 외경부는 프론트 케이스(FC)에 축방향 내측으로 형성된 지지단(5)과의 사이에 베어링(B)을 개재하여 회전 지지된다.
또한, 상기 허브 연결부재(13)는 유로단(13b)의 선단과 상기 댐퍼 출력축(DS)의 선단부 외측과의 사이에 베어링(B)을 개재되어 회전 지지된다.
이때, 상기 허브 연결부재(13)는 외주단이 상기 로터 허브(11)의 반경방향 내측 선단에 용접되어 상호 고정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복수의 클러치 플레이트(21)는 상기 로터 허브(11)의 일측 내경부에 스플라인 결합된다.
상기 클러치 허브(15)는 상기 로터 허브(11)의 일측 내경부에 대응하여 반경방향 내측에 배치되는데, 반경방향 내측 선단이 상기 댐퍼 출력축(DS)의 선단에 용접되어 고정 연결된다.
또한, 상기 복수의 클러치 디스크(23)는 상기 클러치 플레이트(21) 사이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클러치 허브(15)의 외경부에 스플라인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클러치 연결부재(17)는 상기 로터 허브(11)의 일측 내경부의 선단부에 외주단(17b)이 스플라인 결합된다.
이때, 상기 클러치 연결부재(17)는 내주단(17a)의 내경부가 상기 입력축(IS)의 선단부 일측에 스플라인 결합된다.
이러한 클러치 연결부재(17)는 외주단(17a)이 상기 로터 허브(11)의 일측 내경부의 내측 선단에 설치되는 스냅링(SR)을 통하여 축방향 내측으로 지지되고, 반경방향 내부의 외측면과 상기 댐퍼 출력축(DS)의 선단부 내측과의 사이에 베어링(B)을 개재하여 회전 지지된다.
그리고 상기 클러치 피스톤 유닛(30)은 상기 클러치 허브(15)와 상기 허브 연결부재(13)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허브 연결부재(13)와의 사이에 유압 작동실(LC)을 형성하여 상기 클러치 플레이트(21)와 클러치 디스크(23)를 작동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클러치 피스톤 유닛(30)은 클러치 피스톤(31), 스프링 리테이너(33) 및 리턴 스프링(35)으로 구성된다.
상기 클러치 피스톤(31)은 중앙부 일측에 형성된 실링홈부(31a)와 내단부(31b)가 상기 허브 연결부재(13)의 일측에 형성된 실링단(13c)과 유로단(13b) 사이에 각각 시일링(37)을 통하여 밀폐된 상태로 유압 작동실(LC)을 형성하여 상기 유로단(13b)을 따라 축방향으로 안내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클러치 피스톤(31)의 외단부(31c)는 상기 클러치 플레이트(21)에 내측에 대응하여 작동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스프링 리테이너(33)는 반경방향 내측 선단이 상기 허브 연결부재(13)의 유로단(13b) 일측에 지지된 상태로, 반경방향 외측 선단이 상기 클러치 피스톤(31)의 일측에 형성된 연장단(31d)에 슬립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때, 상기 스프링 리테이너(33)는 내측 선단이 상기 허브 연결부재(13)의 유로단(13b) 일측에 스냅링(SR)에 의해 축방향 내측으로 지지되도록 설치된다.
또한, 상기 리턴 스프링(35)은 상기 클러치 피스톤(31)과 스프링 리테이너(33)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클러치 피스톤(31)에 복원력을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용 클러치 장치의 동력 전달 작동도이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클러치 장치의 작동을 설명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엔진(미도시)의 회전동력은 상기 클러치 장치(CL)가 작동하면, 댐퍼(D)를 거처 댐퍼 출력(DS), 클러치 허브(15), 마찰부재(21,23)(즉, 클러치 플레이트와 클러치 디스크), 로터 허브(11), 클러치 연결부재(17), 입력축(IS) 순의 동력전달경로를 통하여 선택적으로 동력 전달된다.
이때, HEV 모드에서는 모터(M)가 구동하여 모터(M)의 회전동력이 보조동력으로 전달될 수 있다.
또한, 엔진은 정지하고, 모터(M)의 구동력만으로 동력이 전달되는 EV 모드에서는 상기 클러치 장치(CL)의 작동을 해제한 상태로, 모터(M)의 회전동력이 클러치 장치(CL)의 작동과 상관없이 로터(R)로부터 로터 허브(11), 클러치 연결부재(17), 입력축(IS) 순의 동력전달경로를 통하여 상시 전달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용 클러치 장치는 클러치 피스톤(31)이 모터측 허브 연결부재(13)와의 사이에서, 댐퍼 출력(DS)축과 허브 연결부재(13)로부터 유압을 공급받는 유압 작동실(LC)을 형성하도록 배치하여 리턴 스프링(35)과 유압에 의한 클러치 피스톤(31)의 반작용력을 허브 연결부재(13)에서 지지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로 인해, 클러치 피스톤(31)에 걸리는 반작용력을 지지하기 위한 별도의 변속기측 축방향 지지 베어링 등을 삭제할 수 있어 변속기의 축방향 전장을 축소할 수 있으며, 재료비도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모터(M)의 로터 허브(11)와 연결되는 허브 연결부재(13)를 이용하여 클러치 피스톤(31)과의 유압 작동실(LC)을 형성함으로써, 유압 작동실(LC)을 구성하기 위한 별도의 부품을 배제할 수 있고, 이로 인한 설치 공간의 최소화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클러치 장치(CL)는 모터(M)의 로터 허브(11)를 엔진측 프론트 케이스(FC)에 베어링(B)을 통하여 회전 지지한 상태로 클러치 드럼의 기능을 하도록 구성함으로써, 모터(M) 내주 측의 여유 공간에 대한 공간 활용성을 높임과 동시에, 클러치 드럼을 별도로 구비하지 않아도 되는 효과가 있다.
상기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개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실시 예로부터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발명하여 균등하다고 인정되는 범위의 모든 변경을 포함한다.
FC: 프론트 케이스
M: 모터(모터/제너레이터)
D: 댐퍼
IS: 입력축
ES: 엔진 출력축
DS: 댐퍼 출력축
B: 베어링
3: 서포트 링
5: 지지단
11: 로터 허브
13: 허브 연결부재
13a: 결합단
13b: 유로단
15: 클러치 허브
17: 클러치 연결부재
21: 복수의 클러치 플레이트
23: 복수의 클러치 디스크
30: 클러치 피스톤 유닛
31: 클러치 피스톤
33: 스프링 리테이너
35: 리턴 스프링
37: 시일링
SR: 스냅링

Claims (14)

  1. 모터의 회전동력을 변속기의 입력축에 상시 전달하고, 엔진으로부터 전달되는 회전동력을 댐퍼 출력축을 통하여 변속기의 입력축에 선택적으로 전달하는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용 클러치 장치에 있어서,
    상기 모터의 로터에 고정 연결되는 로터 허브;
    상기 로터 허브의 반경방향 내측 선단에 고정 연결된 상태로, 내단부에 축방향 내측과 외측으로 각각 연장된 유로단과 결합단을 형성하여 상기 결합단의 내경부를 통해 상기 댐퍼 출력축 상에 회전 지지되며, 상기 결합단의 외경부를 통해 프론트 케이스에 축방향 내측으로 형성된 지지단에 회전 지지되는 허브 연결부재;
    상기 로터 허브의 일측 내경부에 스플라인 결합되는 복수의 클러치 플레이트;
    상기 로터 허브의 일측 내경부에 대응하여 반경방향 내측에 배치되며, 반경방향 내측 선단이 상기 댐퍼 출력축의 선단에 고정 연결되는 클러치 허브;
    상기 클러치 플레이트 사이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클러치 허브의 외경부에 스플라인 결합되는 복수의 클러치 디스크;
    상기 로터 허브의 일측 내경부의 내측 선단에 외주단이 스플라인 결합되고, 내주단의 내경부가 상기 입력축의 선단부 일측에 스플라인 결합되는 클러치 연결부재; 및
    상기 클러치 허브와 상기 허브 연결부재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허브 연결부재와의 사이에 유압 작동실을 형성하여 상기 클러치 플레이트와 클러치 디스크를 작동 제어하는 클러치 피스톤 유닛;
    를 포함하는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용 클러치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러치 피스톤 유닛은
    상기 허브 연결부재의 일측에 형성된 실링단과, 상기 유로단 사이에 각각 시일링을 통하여 밀폐된 상태로 유압 작동실을 형성하여 축방향으로 안내되며, 외단부가 상기 클러치 플레이트에 대응하여 작동하는 클러치 피스톤;
    상기 허브 연결부재의 유로단 일측에 반경방향 내측 선단이 지지된 상태로, 상기 클러치 피스톤의 일측에 형성된 연장단에 반경방향 외측 선단이 슬립 가능하게 설치되는 스프링 리테이너; 및
    상기 클러치 피스톤과 스프링 리테이너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클러치 피스톤에 복원력을 제공하는 리턴 스프링;
    을 포함하는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용 클러치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리테이너는
    내측 선단이 상기 허브 연결부재의 유로단 일측에 스냅링에 의해 축방향 내측으로 지지되도록 설치되는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용 클러치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댐퍼 출력축의 선단부는
    상기 허브 연결부재의 결합단 내주면과, 상기 입력축의 선단부 외주면과의 사이에 각각 베어링을 개재되어 회전 지지되는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용 클러치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허브 연결부재는
    상기 유로단의 선단과 상기 댐퍼 출력축의 선단부 외측과의 사이에 베어링을 개재되어 회전 지지되는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용 클러치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러치 연결부재는
    외주단이 상기 로터 허브의 일측 내경부의 내측 선단에 설치되는 스냅링을 통하여 축방향 내측으로 지지되는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용 클러치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러치 연결부재는
    반경방향 내부의 외측면과 상기 댐퍼 출력축의 선단부 내측과의 사이에 베어링을 개재하여 회전 지지되는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용 클러치 장치.
  8. 모터의 회전동력을 변속기의 입력축에 상시 전달하고, 엔진으로부터 전달되는 회전동력을 댐퍼 출력축을 통하여 변속기의 입력축에 선택적으로 전달하는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용 클러치 장치에 있어서,
    상기 모터의 로터 허브의 반경방향 내측 선단에 고정 연결된 상태로, 내단부에 축방향 내측과 외측으로 각각 연장된 유로단과 결합단을 형성하여 상기 댐퍼 출력축과 상기 프론트 케이스의 축방향 내측으로 형성된 지지단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허브 연결부재;
    상기 로터 허브의 일측 내경부에 스플라인 결합되는 복수의 클러치 플레이트;
    상기 로터 허브의 일측 내경부에 대응하여 반경방향 내측에 배치되며, 반경방향 내측 선단이 상기 댐퍼 출력축의 선단에 고정 연결되는 클러치 허브;
    상기 클러치 플레이트 사이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클러치 허브의 외경부에 스플라인 결합되는 복수의 클러치 디스크;
    상기 로터 허브의 일측 내경부의 내측 선단에 외주단이 스플라인 결합되고, 내주단의 내경부가 상기 입력축의 선단부 일측에 스플라인 결합되는 클러치 연결부재; 및
    상기 클러치 허브와 상기 허브 연결부재 사이에서, 상기 허브 연결부재의 내측면과의 사이에 유압 작동실을 형성하여 상기 유로단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클러치 피스톤이 설치되며, 클러치 피스톤이 상기 유로단 상에 축방향 내측으로 지지된 스프링 리테이너와의 사이에 설치되는 리턴 스프링에 의해 복원력을 제공받으면서 상기 클러치 플레이트와 클러치 디스크를 작동 제어하는 클러치 피스톤 유닛;
    을 포함하는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용 클러치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허브 연결부재는
    상기 결합단의 내경부와 외경부가 상기 댐퍼 출력축과 상기 프론트 케이스의 지지단 상에 베어링을 통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유로단의 선단이 상기 댐퍼 출력축의 선단부 외측에 베어링을 통하여 회전 지지되는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용 클러치 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댐퍼 출력축의 내경부는
    상기 입력축의 선단부 외주면과의 사이에 베어링을 개재되어 회전 지지되는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용 클러치 장치.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클러치 피스톤 유닛은
    상기 허브 연결부재의 일측에 형성된 실링단과, 상기 유로단 사이에 각각 시일링을 통하여 밀폐된 상태로 유압 작동실을 형성하여 축방향으로 안내되며, 외단부가 상기 클러치 플레이트에 대응하여 작동하는 클러치 피스톤;
    상기 허브 연결부재의 유로단 일측에 반경방향 내측 선단이 지지된 상태로, 상기 클러치 피스톤의 일측에 형성된 연장단에 반경방향 외측 선단이 슬립 가능하게 설치되는 스프링 리테이너; 및
    상기 클러치 피스톤과 스프링 리테이너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클러치 피스톤에 복원력을 제공하는 리턴 스프링;
    을 포함하는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용 클러치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리테이너는
    내측 선단이 상기 허브 연결부재의 유로단 일측에 스냅링에 의해 축방향 내측으로 지지되도록 설치되는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용 클러치 장치.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클러치 연결부재는
    외주단이 상기 로터 허브의 일측 내경부의 내측 선단에 설치되는 스냅링을 통하여 축방향 내측으로 지지되는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용 클러치 장치.
  14.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클러치 연결부재는
    반경방향 내부의 외측면과 상기 댐퍼 출력축의 선단부 내측과의 사이에 베어링을 개재하여 회전 지지되는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용 클러치 장치.
KR1020190159406A 2019-12-03 2019-12-03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용 클러치 장치 Active KR1027505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9406A KR102750545B1 (ko) 2019-12-03 2019-12-03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용 클러치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9406A KR102750545B1 (ko) 2019-12-03 2019-12-03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용 클러치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9501A true KR20210069501A (ko) 2021-06-11
KR102750545B1 KR102750545B1 (ko) 2025-01-06

Family

ID=763765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9406A Active KR102750545B1 (ko) 2019-12-03 2019-12-03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용 클러치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75054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810853A (zh) * 2022-03-15 2022-07-29 博格华纳联合传动系统有限公司 一种应用于纯电多档变速箱的湿式离合器
KR20230057182A (ko) * 2021-10-21 2023-04-28 현대트랜시스 주식회사 하이브리드 변속기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192913A (ja) * 2011-02-28 2012-10-11 Aisin Aw Co Ltd 車両用駆動装置
JP2017180730A (ja) * 2016-03-31 2017-10-05 アイシン・エィ・ダブリュ株式会社 車両用駆動装置
KR20180116936A (ko) * 2017-04-18 2018-10-2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하이브리드 전기 자동차용 더블 클러치 장치
KR20190027442A (ko) * 2017-09-07 2019-03-1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용 클러치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192913A (ja) * 2011-02-28 2012-10-11 Aisin Aw Co Ltd 車両用駆動装置
JP2017180730A (ja) * 2016-03-31 2017-10-05 アイシン・エィ・ダブリュ株式会社 車両用駆動装置
KR20180116936A (ko) * 2017-04-18 2018-10-2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하이브리드 전기 자동차용 더블 클러치 장치
KR20190027442A (ko) * 2017-09-07 2019-03-1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용 클러치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57182A (ko) * 2021-10-21 2023-04-28 현대트랜시스 주식회사 하이브리드 변속기 장치
CN114810853A (zh) * 2022-03-15 2022-07-29 博格华纳联合传动系统有限公司 一种应用于纯电多档变速箱的湿式离合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750545B1 (ko) 2025-0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51874B1 (ko) 하이브리드 전기 자동차용 더블 클러치 장치
JP5042973B2 (ja) ハイブリッド車両用動力伝達装置
KR102487173B1 (ko)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용 클러치 장치
KR102417335B1 (ko) 하이브리드 전기 자동차용 더블 클러치 장치
KR101940043B1 (ko) 트리플 클러치 및 그 액츄에이터
JP6840146B2 (ja) ローテーション軸線を有する摩擦クラッチ
KR102322261B1 (ko)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용 클러치 장치
KR101490917B1 (ko) 하이브리드 전기 자동차용 더블 클러치 장치
US10486519B2 (en) Torque transmission device, in particular for a motor vehicle
EP2349769A1 (en) Vehicular drive apparatus
CN105090266B (zh) 用于车辆的湿式多离合器装置以及转矩传递装置
JP5256783B2 (ja) ハイブリッド駆動装置
KR20210012542A (ko)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용 동력전달장치
JP2018512327A (ja) ハイブリッド車両用ドライブトレイン
KR20210069501A (ko)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용 클러치 장치
KR102487159B1 (ko) 변속기용 더블 클러치 장치
KR101909223B1 (ko) 이중 클러치용 액츄에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이중 클러치
KR102800133B1 (ko) 함께 회전되고 댐퍼 장치와 축방향으로 중첩되는 작동 장치를 포함하는, 정상-상태 폐쇄형의 압력 매체-작동형 분리 클러치
US11007861B2 (en) Double clutch apparatus for hybrid electric vehicle
CN111251871A (zh) 混合动力驱动系统及车辆
KR20210033306A (ko)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용 클러치 장치
KR20210004281A (ko)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용 동력전달장치
KR102487174B1 (ko) 변속기용 더블 클러치 장치
KR20180116938A (ko) 변속기용 더블 클러치 장치
US20040104089A1 (en) Torque transmission system for a vehi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1203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21017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91203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052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41105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5010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5010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