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210067044A - 황칠낭죽염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황칠낭죽염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67044A
KR20210067044A KR1020190156273A KR20190156273A KR20210067044A KR 20210067044 A KR20210067044 A KR 20210067044A KR 1020190156273 A KR1020190156273 A KR 1020190156273A KR 20190156273 A KR20190156273 A KR 20190156273A KR 20210067044 A KR20210067044 A KR 202100670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bamboo salt
hwangchil
weight
parts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562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45350B1 (ko
Inventor
황길수
Original Assignee
황길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길수 filed Critical 황길수
Priority to KR10201901562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5350B1/ko
Publication of KR202100670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670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53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5350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7/00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Artificial sweetening agents; 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7/40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9/0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9/065Microorganism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10/00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characterised by the products
    • A23P10/20Agglomerating; Granulating; Tablett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20/00Coating of foodstuffs; Coatings therefor; Making laminated, multi-layered, stuffed or hollow foodstuffs
    • A23P20/10Coating with edible coatings, e.g. with oils or fa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14Extractio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황칠나무 추출물 및 죽염을 이용하여 제조한 황칠낭죽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1) 황칠나무를 발효 미생물을 이용하여 40 내지 60 시간 발효시킨 후, 60 내지 70℃에서 6 내지 10시간 동안 추출하여 황칠나무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 2) 꾸지뽕을 열수 추출하여 꾸지뽕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 3) 녹나무를 60 내지 80 중량% 에탄올 수용액으로 추출하여 녹나무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 4) 상기 제조된 황칠나무 추출물, 꾸지뽕 추출물 및 녹나무 추출물을 혼합하여 혼합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5) 상기 제조된 혼합 추출물과 죽염을 혼합하여 상기 죽염에 상기 혼합 추출물을 코팅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의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황칠낭죽염은 천일염의 불순물 및 독성을 제거하고 상기 추출물을 지닌 다양한 효능을 가질 수 있으며, 캔디 형태로 제조됨으로써, 휴대, 보관, 운반 등이 쉽고 간편하여, 일상생활에서 쉽게 이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황칠낭죽염 및 이의 제조방법{BAMBOO SALT COMPRISING DENDROPANAX MORBIFERU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황칠나무 추출물 및 죽염을 이용하여 제조한 황칠낭죽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소금은 염화나트륨을 주성분으로 하는 짠맛이 나는 흰 결정체로, 인간이 생명을 유지하는데 있어서 반드시 필요한 무기질 중 하나이며 음식의 맛을 내는 조미료로써 오랫동안 이용되어 왔다.
소금은 위액의 구성성분인 염산을 만들고 근육, 신경 등의 작용을 조절하는 등 여러 가지 생리적 기능을 담당한다. 특히 나트륨은 세포외액에 가장 많이 존재하는 양이온으로 세포외액량, 산·염기 평형, 세포막 전위 등의 조절 및 세포막에서 물질의 능동수송을 수행하는 우리 몸에 필수적인 무기질의 하나이다.
또한, 소금은 이러한 신체적 기능 이외에도 식품산업에서 여러 가지 중요한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소금을 감미료와 함께 사용하면 단맛을 증가시켜주는 향미증진제의 역할을 하며, 식품에 존재하는 미생물의 생육을 억제하여 방부제의 역할도 한다. 또한 소시지 등의 제조과정에서 소금은 고기의 근육 단백질을 용해시킬 목적으로 사용되기도 한다.
대체로 소금은 불순물을 많이 포함하고 있어 정제가 필요하다. 또한, 소금을 과량 섭취할 경우, 백혈구의 약화로 모든 염증의 원인균과 바이러스 번식 가능성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수분과 결합하여 비만, 당뇨, 고혈압 등을 유발시키고, 면역력을 약화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황칠나무(Dendropanax morbiferus)는 쌍떡잎식물 산형화목 두릅나무과의 상록교목이자 한국 특산종으로, 주로 전라남북도, 경상남도 및 제주도에 분포한다. 제주도에서는 "황칠낭"이라 불리기도 하며, 적갈색의 칠액이 나오는 옻나무와 함께 황칠나무는 옛날부터 귀하게 취급되어 황금색을 내는 우리의 전통 도료로서 다른 천연 도료와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그 품질이 우수하여 목공예품을 만들때 색을 칠하거나 표면을 가공할 때 사용되어 왔다. 최근에 이 외에도 황칠나무의 여러 가지 약리 작용들이 보고되고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2-0066094호 (2012.06.22 공개)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황칠나무 추출물이 코팅된 황칠낭죽염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황칠낭죽염 제조방법은 1) 황칠나무를 발효 미생물을 이용하여 40 내지 60 시간 발효시킨 후, 60 내지 70℃에서 6 내지 10시간 동안 추출하여 황칠나무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 2) 꾸지뽕을 열수 추출하여 꾸지뽕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 3) 녹나무를 60 내지 80 중량% 에탄올 수용액으로 추출하여 녹나무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 4) 상기 제조된 황칠나무 추출물, 꾸지뽕 추출물 및 녹나무 추출물을 혼합하여 혼합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5) 상기 제조된 혼합 추출물과 죽염을 혼합하여 상기 죽염에 상기 혼합 추출물을 코팅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4)의 혼합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는 상기 제조된 황칠나무 추출물, 꾸지뽕 추출물 및 녹나무 추출물이 (5 내지 7) : 1 : 1의 중량비로 혼합될 수 있다.
상기 5)의 코팅시키는 단계는 60 내지 70℃에서 3 내지 5시간 동안 가열하여 수행될 수 있다.
상기 5)의 혼합 추출물과 죽염은 1 : (1 내지 3)의 중량비로 혼합될 수 있다.
상기 제조방법은 5)의 코팅시키는 단계 이후에 상기 혼합 추출물로 코팅된 죽염을 압축 및 고형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압축 및 고형화하는 단계는 상기 혼합 추출물로 코팅된 죽염 전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탄산수소 10 내지 20 중량부, 푸마르산 1 내지 10 중량부 및 구연산 1 내지 10 중량부를 첨가하여 압축 및 고형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황칠낭죽염은 상기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황칠낭죽염은 황칠낭죽염 전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황칠나무 추출물 20 내지 40 중량부, 꾸지뽕 추출물 1 내지 10 중량부, 녹나무 추출물 1 내지 10 중량부 및 죽염 50 내지 70 중량부를 혼합한 후, 60 내지 70℃에서 3 내지 5시간 동안 가열하여 상기 추출물들을 상기 죽염에 코팅시킨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황칠낭죽염 제조방법은 고온에서 제조한 죽염과 다양한 효능을 지닌 제주 자생식물인 황칠나무 추출물, 꾸지뽕 추출물 및 녹나무 추출물을 이용함으로써, 고온에서의 열처리를 통해 천일염의 불순물 및 독성을 제거하고 상기 추출물을 지닌 다양한 효능을 활성화한 황칠낭죽염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 방법에 따라 제조된 황칠낭죽염은 나트륨 함량을 줄이고 대나무의 유효성분을 더하여 위장 강화, 염증 제거, 독소 배출 등의 효능을 가질 수 있고, 더불어 상기 추출물에 따른 다양한 건강상 효능을 통해 상기 황칠낭죽염을 섭취함으로써 건강 증진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황칠낭죽염은 캔디 형태로 제조됨으로써, 휴대, 보관, 운반 등이 쉽고 간편하여, 일상생활에서 쉽게 이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황칠낭죽염 제조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황칠나무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를 상세히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캔디 형태의 황칠낭죽염 이미지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자는 천일염의 독성 및 불순물을 제거하고, 제주도의 자생식물을 이용하여 제조한 소금이 현대인이 우려하는 나트륨 함량을 줄이고 건강상 다양한 효능을 가짐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은 황칠나무 추출물로 코팅된 황칠낭죽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명세서에서, "황칠낭죽염"은 '황칠나무'를 제주도 방언으로 표기한 것으로, 황칠나무 추출물과 죽염을 이용하여 제조한 "황칠나무죽염"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황칠낭죽염 제조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황칠낭죽염 제조방법은 황칠나무 추출물, 꾸지뽕 추출물, 녹나무 추출물을 각각 제조하는 단계(S100); 상기 제조된 황칠나무 추출물, 꾸지뽕 추출물 및 녹나무 추출물을 혼합하여 혼합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S200); 및 상기 제조된 혼합 추출물과 죽염을 혼합하여 상기 죽염에 상기 혼합 추출물을 코팅시키는 단계(S300);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황칠낭죽염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황칠나무 추출물, 꾸지뽕 추출물, 녹나무 추출물을 각각 제조하는 단계(S100)는 황칠나무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S110), 꾸지뽕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S120) 및 녹나무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S1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황칠나무 추출물, 꾸지뽕 추출물, 녹나무 추출물 및 죽염은 각각 하기 기술된 방법 또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방법을 이용하여 제조되거나 또는 구매하여 준비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추출물"이란, 추출 방법, 추출 용매, 추출된 성분 또는 추출물의 형태를 불문하고 천연물의 성분을 뽑아냄으로써 얻어진 물질을 의미하는 것으로, 천연물의 성분을 뽑아내어 얻어진 물질을 추출 후 다른 방법으로 가공 또는 처리하여 얻어질 수 있는 물질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황칠나무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를 상세히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황칠낭죽염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황칠나무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S110)는 황칠나무를 준비하여 세척 후 건조하는 단계(S111), 상기 건조된 황칠나무를 발효시키는 단계(S112) 및 상기 발효된 황칠나무를 재건조시킨 후 추출하는 단계(S11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황칠나무"는 전술한 바와 같이, 옻나무와 함께 황금색을 내는 전통 도료로 사용되어 왔으나, 옻나무와는 다르게 독성이 없고 다양한 효능을 가진다. 상기 황칠나무에 함유된 '사포닌(Saponin)' 성분으로 항암 효과를 가지고, '세르키테르펜' 성분은 신경을 안정시켜주어 갱년기, 불면증, 우울증, 스트레스 해소 등에 도움이 되며, '비타민 C'와 '타닌(Tannin)' 성분으로 피로 회복에도 도움을 준다. 이 외에도 심혈관 질환 예방, 항산화 작용, 면역력 향상에도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황칠나무 준비, 세척 및 건조 단계(S111)에서 상기 황칠나무는 자연에서 채취 또는 재배된 것일 수 있고, 상업적으로 판매되는 것을 구입한 것일 수 있다. 상기 황칠나무는 7년 이상 자란 것으로, 상기 황칠나무의 잎, 줄기, 껍질 또는 이들 부위의 혼합물을 이용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부위의 혼합물을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황칠나무 발효 단계(S112)는 상기 건조된 황칠나무를 발효 미생물 또는 효소를 이용하여 40 내지 60시간, 바람직하게는 45 내지 55시간, 보다 바람직하게는 48시간 발효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발효 단계(S112)는 발효 미생물 및 효소를 모두 이용하여 순차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발효 미생물을 이용하여 제1 차 발효를 수행한 후, 효소를 이용하여 제2 차 발효를 수행하거나, 서로 다른 발효 미생물을 이용하여 제1 차 발효 및 제2 차 발효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발효 미생물은 젖산균을 포함할 수 있고, 보다 상세하게는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Lactobacillus plantarum) 또는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Lactobacillus rhamnosus) 단독, 또는 이들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발효 미생물은 효모(yeast)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효소는 프로테아제(protease), 뉴트라제(neutrase) 또는 이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상기 발효 미생물 및 효소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을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황칠나무 추출 단계(S113)는 상기 발효된 황칠나무를 재건조 시킨 후, 60 내지 70℃에서 6 내지 10시간, 바람직하게는 7 내지 9시간 동안 추출기를 이용하여 추출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상기 황칠나무 추출물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방법에 따라 추출될 수 있고, 예를 들어, 열수 추출법, 초음파 추출법, 여과법, 환류 추출법 등이 있으며, 이들은 단독으로 수행되거나 2종 이상의 방법을 병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꾸지뽕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S120) 및 녹나무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S130)는 상기 황칠나무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S110)와 유사하게 진행될 수 있다. 이에 상응하는 특징들은 상술된 부분에서 대신할 수 있다.
상기 꾸지뽕 추출물 또는 녹나무 추출물은 물, C1 내지 C4의 알코올 또는 이의 혼합액을 이용하여 추출될 수 있다.
상기 "꾸지뽕"은 뽕나무과의 소교목으로, 경남, 전남, 제주 등 주로 우리나라의 남쪽 지방에 분포하며, 가바(GABA), 루틴(플라보노이드 일종), 비타민 C, 칼륨, 아스파라긴산 등이 함유되어 두뇌기능 향상, 항암, 항산화, 항염증 및 피로회복에 도움을 준다.
상기 꾸지뽕 추출물은 상기 꾸지뽕의 잎, 열매, 줄기, 껍질, 뿌리 또는 이들 부위의 혼합물을 추출한 것일 수 있고, 이의 열수 추출물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녹나무"는 우리나라에서는 제주도의 남쪽 지역에 한정적으로 분포하는 수목으로서, 병충해가 없고 생육이 좋으며 목재의 결이 치밀하고 고와서 집안의 여러 기구 및 건축재와 배를 만드는 데 이용되어 왔다. "향장목", "장뇌목", "장수"라고도 하며, 항암, 항염, 감기 예방에 효과가 있고 강심제로 사용되기도 한다.
상기 녹나무 추출물은 상기 녹나무의 잎, 줄기, 뿌리 또는 이들 부의의 혼합물을 추출한 것일 수 있고, 이의 열수 추출물 또는 에탄올 수용액 추출물, 바람직하게는 60 내지 80 중량% 에탄올 수용액으로 추출된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꾸지뽕 추출물 또는 녹나무 추출물은 상기 황칠나무 추출물과 마찬가지로 발효 미생물 등을 이용하여 발효시켜 추출한 발효 추출물일 수 있다.
상기 황칠나무 추출물, 꾸지뽕 추출물 또는 녹나무 추출물은 순차적으로 제조될 수 있고, 동시에 제조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황칠낭죽염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조된 황칠나무 추출물, 꾸지뽕 추출물 및 녹나무 추출물을 혼합하여 혼합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S200)는 상기 제조된 황칠나무 추출물, 꾸지뽕 추출물 및 녹나무 추출물이 (5 내지 7) : 1 : 1의 중량비, 바람직하게는 6 : 1 : 1의 중량비로 혼합되어 혼합 추출물을 제조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황칠나무 추출물, 꾸지뽕 추출물 및 녹나무 추출물이 혼합된 혼합 추출물은 5 내지 15 브릭스(Brix)일 수 있다.
상기 혼합 추출물은 상기 황칠나무 추출물, 꾸지뽕 추출물 및 녹나무 추출물을 혼합한 후 발효시킨 발효 추출물일 수 있다. 상기 혼합 추출물은 상기 추출물들을 혼합한 후, 저온에서 숙성시켜 제조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5 내지 15℃의 온도에서 10 내지 30 시간 숙성 또는 발효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황칠낭죽염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조된 혼합 추출물과 죽염을 혼합하여 상기 죽염에 상기 혼합 추출물을 코팅시키는 단계(S300)는 상기 혼합 추출물과 죽염을 혼합하여 60 내지 70℃에서 3 내지 5시간, 바람직하게는 4시간 동안 가열시킴으로써 수분이 제거되고 상기 추출물로 상기 죽염이 코팅되어 작은 알갱이 형태의 황칠낭죽염이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제조된 혼합 추출물과 상기 죽염은 1 : (1 내지 3)의 중량비, 바람직하게는 1 : (1.5 내지 2)의 중량비로 혼합될 수 있다.
상기 죽염은 천일염을 세정한 후 대나무에 투입하는 단계, 상기 천일염이 투입된 대나무를 가마에 넣어 800 내지 900℃, 바람직하게는 850℃에서 제1 차 굽는 단계, 상기 구워진 천일염을 분쇄한 후 800 내지 900℃, 바람직하게는 850℃에서 제2 차 굽는 단계, 1000 내지 1600℃에서 제3 차 굽는 단계, 800 내지 1000℃에서 제4 차 굽는 단계 및 상기 굽는 단계에 의해 용융된 천일염을 식히는 단계를 통해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죽염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방법에 따라 제조될 수 있고, 또는 구매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죽염은 제1 차 내지 제4 차에 걸친 높은 온도에서의 열처리를 통해, 천일염에 포함된 불순물 및 독성을 제거할 수 있고, 나트륨 농도를 줄일 수 있으며, 대나무의 유효성분을 더하여 위장 강화, 염증 제거, 독소 배출 등 여러 가지 효능을 가질 수 있다.
또는, 상기 제조된 추출물들과 죽염을 한꺼번에 혼합하여 황칠낭죽염을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황칠낭죽염 제조방법은 상기 코팅시키는 단계(S300) 이후에 상기 혼합 추출물로 코팅된 죽염을 압축 및 고형화하는 단계(S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혼합 추출물로 코팅된 죽염에 탄산수소, 푸마르산 및 구연산을 추가하고 압축 및 고형화함으로써 도 3과 같은 얇은 원기둥형의 캔디 모양의 황칠낭죽염을 제조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혼합 추출물로 코팅된 죽염 전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탄산수소 10 내지 20 중량부, 푸마르산 1 내지 10 중량부 및 구연산 1 내지 10 중량부를 첨가하여 압축 및 고형화할 수 있다.
상기 압축 및 고형화 단계를 통해 황칠낭죽염은 구형 및 다면체의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고, 섭취 용도나 섭취량에 따라 크기와 모양을 조절하여 제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조된 황칠낭죽염은 휴대가 간편하고, 보관이 용이하여 언제 어디서든 쉽고 간편하게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제조 방법에 따라 제조된 황칠낭죽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황칠낭죽염 전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황칠나무 추출물 20 내지 40 중량부, 꾸지뽕 추출물 1 내지 10 중량부, 녹나무 추출물 1 내지 10 중량부 및 죽염 50 내지 70 중량부를 혼합한 후, 60 내지 70℃에서 3 내지 5시간 동안 가열하여 상기 추출물들을 상기 죽염에 코팅시킨 황칠낭죽염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내용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실시예 1> 효모 발효 황칠낭죽염 제조
1. 추출물 제조
제주도 자생식물인 황칠나무와 꾸지뽕, 녹나무를 채취하여 적당한 크기로 자른 후, 세척하고 24시간 동안 건조시켰다. 황칠나무는 잎, 줄기, 껍질 등 모든 부위를 혼합하여 사용하였다.
황칠나무 1kg에 효모를 넣어 48시간 동안 발효시킨 후, 24시간 동안 재건조시켰다. 건조된 황칠나무 발효물을 추출기에 넣고 65℃에서 8시간 동안 추출하여 황칠진액(황칠나무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꾸지뽕 추출물은 꾸지뽕 나무줄기 1kg을 분쇄하여 90~100℃ 물에 넣어 4시간 동안 열수 추출한 후 여과하여 수득하였고, 녹나무 추출물은 녹나무의 잎과 줄기 1kg을 분쇄한 뒤 70% 에탄올 수용액을 이용하여 4시간 동안 추출한 후 여과하여 수득하였다.
2. 혼합 추출물 제조
상기 1에서 제조된 황칠나무 추출물(황칠진액), 꾸지뽕 추출물 및 녹나무 추출물을 각각 300g, 50g, 50g 씩 넣어 혼합 추출물(1)을 제조하였다.
상기 혼합 추출물(1)을 10℃에서 24시간 저온 숙성시켜 혼합 추출물(2)를 제조하였다.
3. 죽염 준비
죽염은 천일염을 4번 구워서 제조된 것으로, 솔트힐(전남 신안 증도)에서 구매하였다.
4. 코팅
1에 따라 제조된 황칠나무 추출물 단독, 2에 따라 제조된 혼합 추출물(1) 또는 혼합 추출물(2)를 각각 3의 죽염 600g과 무쇠 솥에 혼합한 뒤 65℃에서 4시간 동안 가열시켰다. 가열에 의해 수분이 날아가면서 상기 혼합 추출물이 죽염 표면에 코팅된 알갱이 형태의 소금이 생성되었다.
5. 압축 고형화
4에 따라 생성된 알갱이 형태의 소금에 탄산수소 14g, 푸마르산 5g, 구연산 5g을 넣어 압축시켜 캔디 사이즈 및 형태의 소금을 형성하였다.
<실시예 2> 젖산균 발효 황칠낭죽염 제조
황칠나무 추출물에 있어서. 상기 수득한 황칠나무를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Lactobacillus plantarum) 및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Lactobacillus rhamnosus)를 조합한 젖산균을 이용하여 발효시킨 후, 추출하여 황칠나무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그 외 제조 방법은 실시예 1과 동일한 과정으로 황칠낭죽염을 제조하였다.
<평가예 1> 관능평가
상기 실시예 1에 따라 제조된 황칠낭죽염을 일반 죽염(A), 황칠나무 추출물로만 코팅한 죽염(B), 황칠나무 추출물, 꾸지뽕 추출물 및 녹나무 추출물을 혼합한 혼합 추출물(1)로 죽염을 코팅한 황칠낭죽염(C), 상기 추출물들의 혼합물을 저온 숙성한 혼합 추출물(2)로 죽염을 코팅한 황칠낭죽염(D), 상기 실시예 2에 따라 제조된 황칠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저온 숙성하지 않은 혼합 추출물(1)로 죽염을 코팅한 황칠낭죽염(E)에 대하여, 관능검사 능력이 있는 검사원 30명을 대상으로 하여 기호도를 평가(5점 척도법)하였다.
이전 시료가 다음 시료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서 한 시료 평가 후에는 55℃ 정수로 한번 입 헹굼을 하여 입안에 잔여감을 없애고 나머지 시료를 평가하였다. 또한, 검사원들에게는 평가 1시간 전부터 물 이외의 음료나 음식물 섭취, 구강 세척제 등의 사용을 피하도록 하였으며, 향이 진한 화장품이나 향수의 사용을 금하도록 하였다.
평가항목은 맛, 향, 색, 조직감, 전체적 기호도로, 평가점수 중 5점은 아주 좋다, 4점은 좋다, 3점은 보통이다, 2점은 나쁘다, 1점은 아주 나쁘다로 평가하였으며, 각 평가 항목에 대한 전체 검사원의 관능검사 결과를 평균하여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하기 표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1 또는 2에 따라 제조된 황칠낭죽염(C, D, E)은 일반 죽염(A) 또는 황칠나무 추출물로만 코팅된 죽염(B)에 비해 맛, 향, 색, 조직감 및 전체적 기호도가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항목 A B C D E
3.2 3.7 4.3 4.5 4.2
3.5 3.8 4.3 4.6 4.1
3.3 3.5 4.5 4.6 4.4
조직감 3.2 3.3 4.2 4.4 4.1
전체적 기호도 3.3 3.6 4.3 4.5 4.2
일반 죽염(A)에 비해, 본 발명의 실시예1 또는 2에 따라 제조된 황칠낭죽염(C, D, E)은 짠맛이 덜하고 전반적인 맛의 밸런스가 좋은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황칠나무 추출물로만 코팅된 죽염(B)에 비해 꾸지뽕 추출물 및 녹나무 추출물을 함께 함유함으로써, 맛과 향이 향상된 것으로 확인되었다.
상기 추출물을 혼합한 후 저온 숙성한 혼합 추출물(2)로 코팅한 황칠낭죽염(D)이 저온 숙성하지 않은 혼합 추출물(1)로 코팅한 황칠낭죽염(C)보다 맛과 향이 다소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으나, 둘 모두 전체적인 기호도가 높게 나타났다.
상기 실시예 1에 따라 효모 발효를 이용한 황칠나무 추출물이 포함된 황칠낭죽염(C)과 상기 실시예 2에 따라 젖산균 발효를 이용한 황칠나무 추출물이 포함된 황칠낭죽염(E)도 평가 항목에 있어서 큰 차이없이 우수한 기호도를 나타내었다.
이상으로 본 발명 내용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 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실시양태일 뿐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하다. 즉,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들과 그것들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

Claims (8)

1) 황칠나무를 발효 미생물을 이용하여 40 내지 60 시간 발효시킨 후, 60 내지 70℃에서 6 내지 10시간 동안 추출하여 황칠나무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
2) 꾸지뽕을 열수 추출하여 꾸지뽕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
3) 녹나무를 60 내지 80 중량% 에탄올 수용액으로 추출하여 녹나무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
4) 상기 제조된 황칠나무 추출물, 꾸지뽕 추출물 및 녹나무 추출물을 혼합하여 혼합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5) 상기 제조된 혼합 추출물과 죽염을 혼합하여 상기 죽염에 상기 혼합 추출물을 코팅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황칠낭죽염 제조방법.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4)의 혼합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는,
상기 제조된 황칠나무 추출물, 꾸지뽕 추출물 및 녹나무 추출물이 (5 내지 7) : 1 : 1의 중량비로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황칠낭죽염 제조방법.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5)의 코팅시키는 단계는,
60 내지 70℃에서 3 내지 5시간 동안 가열하여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황칠낭죽염 제조방법.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5)의 혼합 추출물과 죽염은,
1 : (1 내지 3)의 중량비로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황칠낭죽염 제조방법.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조방법은,
5)의 코팅시키는 단계 이후에 상기 혼합 추출물로 코팅된 죽염을 압축 및 고형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황칠낭죽염 제조방법.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 및 고형화하는 단계는,
상기 혼합 추출물로 코팅된 죽염 전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탄산수소 10 내지 20 중량부, 푸마르산 1 내지 10 중량부 및 구연산 1 내지 10 중량부를 첨가하여 압축 및 고형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황칠낭죽염 제조방법.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황칠낭죽염.
황칠낭죽염 전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황칠나무 추출물 20 내지 40 중량부, 꾸지뽕 추출물 1 내지 10 중량부, 녹나무 추출물 1 내지 10 중량부 및 죽염 50 내지 70 중량부를 혼합한 후, 60 내지 70℃에서 3 내지 5시간 동안 가열하여 상기 추출물들을 상기 죽염에 코팅시킨 황칠낭죽염.
KR1020190156273A 2019-11-29 2019-11-29 황칠낭죽염 및 이의 제조방법 Active KR1023453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6273A KR102345350B1 (ko) 2019-11-29 2019-11-29 황칠낭죽염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6273A KR102345350B1 (ko) 2019-11-29 2019-11-29 황칠낭죽염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7044A true KR20210067044A (ko) 2021-06-08
KR102345350B1 KR102345350B1 (ko) 2021-12-31

Family

ID=763991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6273A Active KR102345350B1 (ko) 2019-11-29 2019-11-29 황칠낭죽염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4535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5033709A1 (ko) * 2023-08-07 2025-02-13 비알 컨설팅 인코포레이티드 황칠 음료 제조 방법 및 황칠 음료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81631A (ko) * 2004-02-16 2005-08-19 대한민국 (소관: 제주대학교) 녹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조성물
KR20120066094A (ko) 2010-12-14 2012-06-22 박원도 황칠소금 및 제조방법
KR20140058233A (ko) * 2012-11-06 2014-05-14 이승구 오디 뽕소금의 제조방법
KR101813065B1 (ko) * 2017-02-28 2017-12-28 주식회사태준제약 알긴산 및/또는 알긴산염을 포함하는 고형 제제
KR20180119749A (ko) * 2017-04-26 2018-11-05 최영자 황칠나무를 이용한 황칠소금 제조 방법, 그리고 이에 의해 제조된 황칠소금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81631A (ko) * 2004-02-16 2005-08-19 대한민국 (소관: 제주대학교) 녹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조성물
KR20120066094A (ko) 2010-12-14 2012-06-22 박원도 황칠소금 및 제조방법
KR20140058233A (ko) * 2012-11-06 2014-05-14 이승구 오디 뽕소금의 제조방법
KR101813065B1 (ko) * 2017-02-28 2017-12-28 주식회사태준제약 알긴산 및/또는 알긴산염을 포함하는 고형 제제
KR20180119749A (ko) * 2017-04-26 2018-11-05 최영자 황칠나무를 이용한 황칠소금 제조 방법, 그리고 이에 의해 제조된 황칠소금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5033709A1 (ko) * 2023-08-07 2025-02-13 비알 컨설팅 인코포레이티드 황칠 음료 제조 방법 및 황칠 음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45350B1 (ko) 2021-12-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256737A (zh) 一种板栗休闲食品及其加工方法
KR100830693B1 (ko) 더덕 고추장 절임의 제조방법
KR101663379B1 (ko) 효모 및 천연효소를 이용한 발효삼채 제조 및 혼합음료 제조방법
KR102345350B1 (ko) 황칠낭죽염 및 이의 제조방법
CN109907205A (zh) 利用藤茶的功能性食品添加剂组成物及利用该添加剂的功能性食品
KR102070507B1 (ko) 흑삼 삼계탕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흑삼 삼계탕
KR102509537B1 (ko) 산패를 억제한 조미김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산패를 억제한 조미김
KR102346415B1 (ko) 천연물질을 이용한 막걸리의 제조방법
KR101037572B1 (ko) 복분자를 이용한 발효분말 제조방법
KR102249253B1 (ko) 오자, 오가피, 야관문 및 계피를 이용한 리큐르주의 제조방법
CN104694354B (zh) 抗疲劳保健酒及其制备方法
KR101111288B1 (ko) 기능성 고추장 및 그 제조방법
KR20170114387A (ko) 산양삼 연잎밥의 제조방법
KR20170061337A (ko) 갈화 추출물을 이용하여 배양, 숙성시킨 청국장 및 이를 이용한 갈화고추장 제조방법
KR102492573B1 (ko) 우동 소스 및 그 제조방법
KR20210051724A (ko) 은행 견과와 도라지 뿌리 추출물을 함유하는 앙금의 제조 방법
KR20160048362A (ko) 항산화 활성이 증진된 와송과 꾸지뽕 혼합 발효물의 제조방법
KR102211759B1 (ko) 카카오닙스를 포함하는 건강 증진용 환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672993B1 (ko) 꼬막혼입 고추장 제조방법
KR102474151B1 (ko) 유자 소스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유자 소스
KR102521110B1 (ko) 야채 무침용 젓갈 간양념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젓이 함유된 야채의 제조방법
KR102792299B1 (ko) 치주염균에 대한 항균 활성을 갖는 모과 열매 및 오미자 열매를 이용한 양갱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양갱
KR20200081550A (ko) 굼벵이 엑기스 발효물을 포함하는 기능성 식품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275341B1 (ko) 연자육 된장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444816B1 (ko) 뽕잎, 오디 및 찹쌀을 이용하여 제조되는 기능성 쌀 앙금의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112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06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11223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1122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1122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111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