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56227A - Air conditioner for vehicle - Google Patents
Air conditioner for vehicl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10056227A KR20210056227A KR1020200131905A KR20200131905A KR20210056227A KR 20210056227 A KR20210056227 A KR 20210056227A KR 1020200131905 A KR1020200131905 A KR 1020200131905A KR 20200131905 A KR20200131905 A KR 20200131905A KR 20210056227 A KR20210056227 A KR 20210056227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ir
- seat
- heat exchanger
- rear seat
- vehicl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Ceas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007—Combined heating, ventilating, or cooling devices
- B60H1/00021—Air flow details of HVAC devices
- B60H1/00028—Constructional lay-out of the devices in the vehicl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664—Construction or arrangement of damper doors
- B60H1/00671—Damper doors moved by rotation; Grill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007—Combined heating, ventilating, or cooling devices
- B60H1/00021—Air flow details of HVAC devices
- B60H2001/00185—Distribution of conditionned air
- B60H2001/002—Distribution of conditionned air to front and rear part of passenger compartmen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차량 전방 운전석의 하부 공간을 확보하여 콘솔을 삭제한 자율주행 차량 등에 적용 가능하며, 응축수의 역류를 방지할 수 있는 차량용 공조장치가 개시된다. 차량용 공조장치는 내부에 공기유로가 형성되고 복수의 공기토출구를 갖는 공조케이스와, 상기 공조케이스의 공기유로에 구비되어 이를 통과하는 공기와 열교환하는 냉각용 열교환기 및 가열용 열교환기를 포함하고, 상기 공기토출구는 전석공기토출구와 후석공기토출구를 구비하며, 상기 후석공기토출구는 중력 방향으로 가열용 열교환기의 하부에 배치된다.Disclosed is an air conditioning system for a vehicle capable of securing a space under a driver's seat in front of a vehicle and applicable to an autonomous vehicle with a console removed, and preventing condensate from flowing backward. The vehicle air conditioning apparatus includes an air conditioning case having an air flow path formed therein and a plurality of air discharge ports, a cooling heat exchanger and a heating heat exchanger provided in the air flow path of the air conditioning case and exchanging heat with air passing therethrough, and the The air discharge port includes a front stone air discharge port and a rear stone air discharge port, and the rear stone air discharge port is disposed below the heat exchanger for heating in the direction of gravity.
Description
본 발명은 차량용 공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 후석의 공조를 수행하기 위한 후석 토출구를 갖고 그 배치를 최적화한 차량용 공조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ir conditioner for a vehicle,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ir conditioner for a vehicle having a rear seat discharge port for performing air conditioning of a rear seat of a vehicle and optimizing the arrangement thereof.
일반적으로, 차량용 공조장치는 하절기나 동절기에 자동차 실내를 냉,난방하거나 또는 우천시나 동절기에 윈드 실드에 끼게 되는 성에 등을 제거하여 운전자가 전후방 시야를 확보할 수 있게 할 목적으로 설치되는 자동차의 내장품이다. 공조장치는 통상 난방시스템과 냉방시스템을 동시에 갖추고 있어서, 외기나 내기를 선택적으로 도입하여 그 공기를 가열 또는 냉각한 다음 차량 실내에 송풍함으로써 차량 실내를 냉,난방하거나 환기한다.In general, vehicle air conditioners are interior products installed for the purpose of cooling or heating the interior of a vehicle in summer or winter, or removing frost that may be trapped on the windshield in rainy or winter seasons, so that the driver can secure the front and rear view. to be. An air conditioner is usually equipped with a heating system and a cooling system at the same time, and then selectively introduces outside air or inside air, heats or cools the air, and then blows it into the vehicle interior to cool, heat or ventilate the interior of the vehicle.
선 출원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484718호(2015.01.14)에는 후석 템프도어와 후석 보조템프도어 및 후석 온오프도어의 위치를 제어하여 후석 풍량을 조절하는 차량용 공조장치가 개시된바 있다. 도 1은 종래의 차량용 공조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용 공조장치는 공조케이스(10)와, 증발기(20) 및 히터코어(30)와, 전석 템프도어(51) 및 전석 모드도어를 포함한다.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484718 (2015.01.14), previously applied, discloses an air conditioner for a vehicle that controls the rear seat air volume by controlling the positions of the rear seat temp door, the rear auxiliary temp door, and the rear seat on-off door. 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nventional vehicle air conditioner. As shown in FIG. 1, the vehicle air conditioning apparatus includes an
공조케이스(10)는 공기유입구(11)와 공기토출구를 구비하며 내부에 공기통로가 형성된다. 공기유입구(11) 측에 송풍장치가 연결되어 내기 또는 외기가 선택적으로 공조케이스(10) 내부 공기통로로 유입된다. 공기토출구는 디프로스트 벤트(12), 전석 페이스 벤트(13), 전석 플로어 벤트(114), 후석 페이스 벤트(15) 및 후석 플로어 벤트(16)로 구성된다. 공조케이스(10) 내부 공기통로는 전석 냉풍통로(P1), 온풍통로(P2) 및 후석 냉풍통로(P3)로 구성된다.The
증발기(20)는 냉각용 열교환기로서 이를 통과하는 공기를 냉각시킨다. 히터코어(30)는 가열용 열교환기로서 이를 통과하는 공기를 가열시킨다. 히터코어(30)는 공기 유동 방향으로 증발기(20)의 하류 측인 온풍통로(P2)에 배치된다. 온풍통로(P2)에는 PTC히터 등의 전열히터(4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전석 템프도어(51)는 증발기(20)와 히터코어(30) 사이에 배치되어 히터코어(30)를 통과하는 온풍통로(P2)와 히터코어(30)를 바이패스하는 냉풍통로(P1)(P3)의 개도를 조절한다. 전석 모드도어는 디프로스트 도어(53), 벤트 도어(54) 및 플로어 도어(55)로 구성된다.The
후석 공기통로는 증발기(20)를 통과한 공기가 히터코어(30)를 바이패스하는 후석 냉풍통로(P3)와 히터코어(30)를 통과하는 온풍통로로 구성된다. 이 후석 공기통로의 온풍통로는 전석 공기통로의 온풍통로(P2)와 함께 사용된다. 즉, 히터코어(30)를 통과하여 온풍통로(P2)를 유동하는 공기의 일부는 상부로 이동하여 디프로스트 벤트(12), 전석 페이스 벤트(13), 전석 플로어 벤트(14) 중 적어도 하나로 토출되며, 공기의 다른 일부는 하부로 이동하여 콘솔 벤트(15)와 후석 플로어 벤트(16) 중 적어도 하나로 토출된다. 후석 공기통로에는 콘솔 벤트(15)와 후석 플로어 벤트(16)의 개도를 조절하는 후석 모드도어(58)가 구비된다.The rear seat air passage is composed of a rear seat cold air passage P3 through which air passing through the
공조케이스(10) 내에는 후석 템프도어(52)와, 후석 보조템프도어(56)와, 후석 온오프도어(57)가 구비된다. 후석 템프도어(52)는 증발기(20)와 히터코어(30) 사이에 구비되어 온풍통로(P2)로 유동하는 통로와 후석 냉풍통로(P3)로 유동하는 통로의 개도를 조절하며, 후석 보조템프도어(56)는 공기 유동 방향으로 히터코어(30)의 하류 측에 배치되어 후석 공기토출구로 유동하는 통로의 개도를 조절한다. 후석 온오프도어(57)는 후석 냉풍통로(P3)의 개도를 조절한다.In the
전후석 냉방 모드 시, 전석 템프도어(51)는 온풍통로(P2)를 폐쇄하고 전석 냉풍통로(P1)를 개방하며, 후석 템프도어(52)는 온풍통로(P2)를 폐쇄하고 후석 냉풍통로(P3)를 개방한다. 후석 보조템프도어(56)는 후석 공기토출구로 유동하는 통로를 폐쇄하고, 후석 온오프도어(57)는 후석 냉풍통로(P3)를 개방한다. 증발기(20)를 통과하며 차가워진 공기는 히터코어(30)를 바이패스하여 일부는 전석 냉풍통로(P1)를 지나 전석 공기토출구 중 적어도 하나로 토출되며, 다른 일부는 후석 냉풍통로(P3)를 지나 후석 공기토출구 중 적어도 하나로 토출된다.In the front and rear seat cooling mode, the front
전후석 난방 모드 시, 전석 템프도어(51)는 전석 냉풍통로(P1)를 폐쇄하고 온풍통로(P2)를 개방하며, 후석 템프도어(52)는 후석 냉풍통로(P3)를 폐쇄하고 온풍통로(P2)를 개방한다. 후석 보조템프도어(56)는 후석 공기토출구로 유동하는 통로를 개방하고, 후석 온오프도어(57)는 후석 냉풍통로(P3)를 폐쇄한다. 증발기(20)를 통과한 공기는 히터코어(30)를 통과하면서 가열된 후 일부는 상부로 이동하여 전석 공기토출구 중 적어도 하나로 토출되며, 다른 일부는 하부로 이동하여 후석 공기토출구 중 적어도 하나로 토출된다.In the front and rear seat heating mode, the front
종래의 차량용 공조장치는 차량 전후 방향으로 소정 이상의 폭을 요구한다. 최근 개발되고 있는 자율 주행차 등의 차량에서는 실내 공간의 확보를 위해 대시보드의 체적을 최소화 설계하고 있다. 결국, 종래의 차량용 공조장치는 차량 전후 방향의 폭을 줄이기 위한 다양한 시도가 행해지고 있다.Conventional vehicle air conditioners require a predetermined or more width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of the vehicle. In vehicles such as self-driving cars, which are being developed recently, the volume of the dashboard is designed to be minimized in order to secure an interior space. As a result, various attempts have been made in the conventional vehicle air conditioner to reduce the width in the front-rear direction of the vehicle.
특히, 최근에 활발하게 개발되고 있는 자율주행 차량은 전석과 후석 사이에 위치하는 콘솔을 삭제하는 컨셉을 갖기도 한다. 이러한 컨셉의 차량의 경우 전석 아래의 공간을 확보할 필요가 있다.In particular, autonomous vehicles, which are being actively developed in recent years, have the concept of deleting the console located between the front and rear seats. In the case of a vehicle of this concept, it is necessary to secure space under all seats.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공조케이스의 전방 방향으로의 부피를 줄여 대시보드 내의 실내 공간을 충분히 확보하면서 다양한 후석 공조 모드, 후석 온도 제어를 효율적으로 구현할 수 있는 차량용 공조장치를 제공한다.In order to solve such a conventional problem,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air conditioner for a vehicle that can efficiently implement various rear seat air conditioning modes and rear seat temperature control while sufficiently securing an indoor space in the dashboard by reducing the volume in the front direction of the air conditioning case. to provide.
또한, 본 발명에서는 차량 전방 운전석의 하부 공간을 확보하여 콘솔을 삭제한 자율주행 차량 등에 적용 가능하며, 응축수의 역류를 방지할 수 있는 차량용 공조장치를 제공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air conditioner for a vehicle that can be applied to an autonomous vehicle in which a console is removed by securing a space under the driver's seat in front of the vehicle, and can prevent reverse flow of condensate.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는 내부에 공기유로가 형성되고 복수의 공기토출구를 갖는 공조케이스와, 상기 공조케이스의 공기유로에 구비되어 이를 통과하는 공기와 열교환하는 냉각용 열교환기 및 가열용 열교환기를 포함하고, 상기 공기토출구는 전석공기토출구와 후석공기토출구를 구비하며, 상기 후석공기토출구는 중력 방향으로 가열용 열교환기의 하부에 배치된다.An air conditioning apparatus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air conditioning case having an air passage formed therein and a plurality of air discharge ports, and a cooling heat exchanger and a heating heat exchanger provided in the air passage of the air conditioning case to exchange heat with air passing through the air passage. The air discharge port includes a front seat air discharge port and a rear stone air discharge port, and the rear stone air discharge port is disposed under the heat exchanger for heating in the direction of gravity.
상기 후석공기토출구는 공조케이스에서 하부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곳에 배치된다.The rear stone air discharge port is disposed at a location extending downward from the air conditioning case.
상기 공조케이스의 공기유로는, 냉각용 열교환기를 통과한 공기가 가열용 열교환기를 통과하도록 형성된 온풍유로와, 냉각용 열교환기를 통과한 공기가 가열용 열교환기를 바이패스하여 차량 전석으로 토출되도록 형성된 전석냉풍유로 및 냉각용 열교환기를 통과한 공기가 가열용 열교환기를 바이패스하여 차량 후석으로 토출되도록 형성된 후석냉풍유로를 구비하며, 상기 전석냉풍유로, 온풍유로 및 후석냉풍유로는 상측에서 하측으로 순차로 형성된다.The air flow path of the air conditioning case includes a hot air flow path formed so that the air passing through the cooling heat exchanger passes through the heating heat exchanger, and the all-seat cold air formed so that the air passing through the cooling heat exchanger bypasses the heating heat exchanger and is discharged to all seats of the vehicle. A rear-seat cooling air flow passage formed so that air passing through the flow passage and the cooling heat exchanger is discharged to the rear seat of the vehicle by bypassing the heating heat exchanger, and the front-seat cooling air flow passage, the hot air flow passage and the rear-seat cooling air flow passage are sequentially formed from the top to the lower side .
상기 전석냉풍유로와 온풍유로 사이의 개도를 조절하는 전석템프도어와; 냉각용 열교환기와 가열용 열교환기 사이에 배치되어 후석냉풍유로와 온풍유로 사이의 개도를 조절하는 제1 후석템프도어; 가열용 열교환기의 하류에 배치되어 후석냉풍유로와 온풍유로 사이의 개도를 조절하는 제2 후석템프도어; 및 후석냉풍유로의 개도를 조절하는 후석온오프도어를 포함한다.A front temp door for adjusting an opening degree between the all-seat cold air passage and the warm air passage; A first rear temper door disposed between the cooling heat exchanger and the heating heat exchanger to adjust an opening degree between the cold air flow passage and the hot air flow passage; A second rear temper door disposed downstream of the heat exchanger for heating to adjust an opening degree between the cold air flow passage and the hot air flow passage; And a rear seat on-off door for adjusting the opening degree of the rear seat cold air passage.
상기 전석 믹싱부와 후석 믹싱부는 중력 방향으로 상하 나란하게 배치된다.The front-seat mixing unit and the rear-seat mixing unit are arranged vertically and side by side in the direction of gravity.
상기 후석공기토출구는 가열용 열교환기와 평행하며 공조케이스에 접하는 평행 연장선의 내측에 위치한다.The rear stone air discharge port is parallel to the heat exchanger for heating and is located inside a parallel extension line in contact with the air conditioning case.
상기 후석공기토출구, 제2 후석템프도어 및 후석온오프도어는 차량 전후 방향으로 가열용 열교환기의 폭 내에 배치된다.The rear seat air outlet, the second rear seat temp door, and the rear seat on-off door are disposed within the width of the heat exchanger for heating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of the vehicle.
상기 후석공기토출구, 제2 후석템프도어 및 후석온오프도어는 모두 대시보드를 기준으로 차량 실외 측에 배치된다.The rear-seat air outlet, the second rear-seat temp door, and the rear-seat on-off door are all disposed outside the vehicle based on the dashboard.
상기 후석온오프도어는 후석 믹싱부의 하류측에 배치된다.The rear seat on-off door is disposed on the downstream side of the rear seat mixing unit.
상기 가열용 열교환기는 기울어져 배치된다.The heat exchanger for heating is disposed in an inclined manner.
상기 공조케이스에 응축수를 포함하는 물이 상기 후석공기토출구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류방지리브가 형성된다.A non-return rib is formed in the air conditioning case to prevent water including condensed water from being discharged to the rear stone air discharge port.
상기 역류방지리브는, 공조케이스의 바닥면으로부터 상부로 돌출되며, 냉각용 열교환기와 후석 믹싱부 사이에 형성된다.The backflow prevention rib protrudes upward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air conditioning case, and is formed between the cooling heat exchanger and the rear seat mixing unit.
상기 제2 후석템프도어 및 후석온오프도어는 중력 방향으로 가열용 열교환기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제2후석템프도어, 후석온오프도어 및 후석공기토출구는 중력 방향으로 일직선 상에 순차로 배치된다.The second rear seat temp door and the rear seat on/off door are disposed under the heat exchanger for heating in the direction of gravity, and the second rear seat temp door, the rear seat on and off door, and the rear seat air outlet are arranged in a straight line in the direction of gravity. do.
상기 온풍유로를 통과한 공기와 후석냉풍유로를 통과한 공기가 합류하는 후석 믹싱부는 가열용 열교환기의 하부에 형성되고, 상기 후석공기토출구는 후석 믹싱부에 하부에 형성된다.A rear seat mixing unit in which the air passing through the warm air passage and the air passing through the rear seat cold air passage merge is formed under the heat exchanger for heating, and the rear seat air discharge port is formed under the rear seat mixing unit.
상기 후석공기토출구의 하부에 후석공기토출덕트가 구비되고, 상기 후석공기토출덕트는 하부 방향으로 연장되어 차량 바닥에 형성된다.A rear stone air discharge duct is provided below the rear stone air discharge port, and the rear stone air discharge duct extends downward and is formed on the vehicle floor.
본 발명의 다른 양상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는 내부에 공기유로가 형성되고 복수의 공기토출구를 갖는 공조케이스와, 상기 공조케이스의 공기유로에 구비되어 이를 통과하는 공기와 열교환하는 냉각용 열교환기 및 가열용 열교환기를 포함하고, 상기 공기토출구는 전석공기토출구와 후석공기토출구를 구비하며, 상기 후석공기토출구는 중력 방향으로 전석공기토출구의 하부에 배치된다.An air conditioning apparatus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air conditioning case having an air passage formed therein and a plurality of air outlets, a cooling heat exchanger and heating provided in the air passage of the air conditioning case to exchange heat with air passing therethrough. A heat exchanger, wherein the air discharge port has a front seat air discharge port and a rear stone air discharge port, and the rear stone air discharge port is disposed below the front stone air discharge port in the direction of gravity.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는 공조케이스의 전방 방향으로의 부피를 줄여 대시보드 내의 실내 공간을 충분히 확보하면서 다양한 후석 공조 모드, 후석 온도 제어를 효율적으로 구현할 수 있다. 따라서, 자율 주행 차량과 같은 신규 개발차량에 효과적으로 적용 가능하다.The vehicl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efficiently implement various rear seat air conditioning modes and rear seat temperature control while sufficiently securing an indoor space in the dashboard by reducing the volume of the air conditioning case in the front direction. Therefore, it can be effectively applied to newly developed vehicles such as autonomous vehicles.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는 후석 토출구의 위치를 최적화하여 콘솔이 삭제된 차량의 경우에도 적용 가능하며, 후석 토출구의 위치 최적화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증발기 응축수의 역류 문제를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vehicl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a vehicle in which the console has been deleted by optimizing the position of the rear seat discharge port, and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solve the problem of backflow of the evaporator condensate that may occur due to the optimization of the position of the rear seat discharge port.
도 1은 종래의 차량용 공조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가 대시보드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며,
도 4는 도 2의 일부를 확대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단면도이며,
도 6은 도 5의 일부를 확대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7 내지 도 9는 도 6의 변형 예에 따른 단면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벤트 모드를 도시한 것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바이레벨 모드를 도시한 것이며,
도 1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플로어 모드를 도시한 것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단면도이며,
도 1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공조케이스의 하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nventional vehicle air conditioner,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air conditioning apparatus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shows a state in which the vehicle air condition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on the dashboard,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nlarged part of FIG. 2,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air conditioning apparatus for a vehicl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nlarged part of FIG. 5,
7 to 9 are cross-sectional views according to a modified example of FIG. 6,
10 is a view showing a vent mode of an air conditioning apparatus for a vehicl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shows a bi-level mode of an air conditioning apparatus for a vehicl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diagram showing a floor mode of an air conditioning apparatus for a vehicl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air conditioning apparatus for a vehicl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lower portion of an air conditioning cas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서 차량용 공조장치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technical configuration of the vehicle air conditioner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ccording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는 내부에 공기유로가 형성된 공조케이스(110)와, 공조케이스(110)의 공기유로에 구비되어 이를 통과하는 공기와 열교환하는 냉각용 열교환기 및 가열용 열교환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2 to 4, the vehicle air condition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공조케이스(110)는 복수의 공기토출구를 구비하며, 공기유입구 측에 송풍장치가 연결되어 내기 또는 외기가 선택적으로 공기유로로 유입된다. 공기토출구는 디프로스트벤트(112), 전석페이스벤트(113) 및 전석플로어벤트(114)로 이루어진 전석공기토출구와, 후석페이스벤트(115) 및 후석플로어벤트(116)로 이루어진 후석공기토출구를 포함한다. 후석페이스벤트(115)는 콘솔 또는 B-필라 토출구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The
냉각용 열교환기는 증발기(120)로 구성된다. 증발기(120)의 내부에 흐르는 냉매와 증발기(120)를 통과하는 공기가 열교환되어 공기는 냉각된다. 가열용 열교환기는 히터코어(130)로 구성된다. 히터코어(130)의 내부에 흐르는 냉각수와 히터코어(130)를 통과하는 공기가 열교환되어 공기는 가열된다. 히터코어(130)는 공기 유동 방향으로 증발기(120)의 하류 측인 온풍유로(P2)에 배치된다. 온풍유로(P2)에는 PTC히터 등의 전열히터(140)가 더 구비된다.The cooling heat exchanger is composed of an
공조케이스(110) 내부 공기유로는 전석냉풍유로(P1), 온풍유로(P2) 및 후석냉풍유로(P3)로 이루어진다. 즉, 증발기(120)의 하류 측에서 공기유로는 전석냉풍유로(P1), 온풍유로(P2) 및 후석냉풍유로(P3) 3가지로 나뉜다. 아울러, 전석냉풍유로(P1), 온풍유로(P2) 및 후석냉풍유로(P3)는 상측에서 하측으로 순차로 형성된다. 상하 방향으로 온풍유로(P2)가 전석냉풍유로(P1)와 후석냉풍유로(P3)의 사이에 배치된다.The air flow passage inside the
온풍유로(P2)는 증발기(120)를 통과한 공기가 히터코어(130) 및 전열히터(140)를 통과하여 차량 전석 또는 후석 측으로 유동하도록 형성된다. 전석냉풍유로(P1)는 증발기(120)를 통과한 공기가 히터코어(130) 및 전열히터(140)를 바이패스하여 차량 전석으로 토출되도록 형성된다. 후석냉풍유로(P3)는 증발기(120)를 통과한 공기가 히터코어(130) 및 전열히터(140)를 바이패스하여 차량 후석으로 토출되도록 형성된다. 증발기(120)를 통과한 공기는 온풍유로(P2)의 히터코어(130)를 바이패스하여 전석냉풍유로(P1)와 후석냉풍유로(P3)로 유동하거나, 온풍유로(P2)의 히터코어(130)를 통과한 후 다시 전석냉풍유로(P1) 또는 후석냉풍유로(P3)로 합류하여 유동한다.The warm air passage P2 is formed so that the ai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evaporator 120 passes through the
공조케이스(110)에는 챠랑 전석 측으로 공기를 토출하기 위한 전석공기토출구가 마련되며, 전석공기토출구는 전석모드도어에 의해 그 개도가 제어된다. 전석모드도어는 디프로스트벤트(112)의 개도를 조절하는 디프로스트도어(153), 전석페이스벤트(113)의 개도를 조절하는 벤트도어(154) 및 전석플로어벤트(114)의 개도를 조절하는 플로어도어(155)로 구성된다. 아울러, 공조케이스(110)에는 차량 후석 측으로 공기를 토출하기 위한 후석공기토출구가 마련되며, 후석공기토출구는 후석모드도어(158)에 의해 그 개도가 제어된다.The
차량용 공조장치는 전석템프도어(171)를 구비한다. 전석템프도어(171)는 전석냉풍유로(P1)와 온풍유로(P2) 일부 사이의 개도를 조절한다. 전석템프도어(171)는 증발기(120)의 하류에 인접하며 전석냉풍유로(P1)와 온풍유로(P2)가 갈라지는 경계 부위에 위치한다. 전석 템프도어(171)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반경 방향 양측으로 판 부재가 형성된 테일 도어(Tail door) 타입으로 이루어진다.The vehicle air conditioning system is provided with a front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는 전방 운전석, 전방 조수석 및 후석의 독립된 3존(3 Zone)의 온도 제어를 수행하도록 구성되며, 후석의 온도 제어를 3개의 도어로 구현한다. 즉, 차량용 공조장치는 제1 후석템프도어(172), 제2 후석템프도어(156) 및 후석모드도어(158)를 구비한다.The air conditioner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perform temperature control of three independent zones of a front driver's seat, a front passenger seat, and a rear seat, and implements temperature control of the rear seats with three doors. That is, the vehicle air conditioner includes a first rear
제1 후석템프도어(172)는 증발기(120)와 히터코어(130)의 사이에 배치되며, 온풍유로(P2)의 다른 일부의 개도를 조절한다. 즉, 제1 후석템프도어(172)는 온풍유로(P2)의 입구 중 전석템프도어(171)가 커버하지 않는 온풍유로(P2)의 입구 하측 일부의 개도를 조절한다.The first
제2 후석템프도어(156)는 히터코어(130) 및 전열히터(140)의 하류에 배치되며, 온풍유로(P2)와 후석냉풍유로(P3) 사이의 개도를 조절한다. 히터코어(130)의 하류의 온풍유로(P2)와 후석냉풍유로(P3)는 연통되게 구성된다. 제2 후석템프도어(156)는 히터코어(130)의 하류의 온풍유로(P2)와 후석냉풍유로(P3) 간의 연통유로에 배치된다. 즉, 제2 후석템프도어(156)는 온풍유로(P2)와 후석냉풍유로(P3) 간의 연통유로와 후석냉풍유로(P3) 사이의 개도를 조절한다.The second rear
후석모드도어(158)는 제2 후석템프도어(156)의 하류에 배치되고, 후석공기토출구의 개도를 조절한다. 후석모드도어(158)는 플랫(Flat)형 도어 타입으로 이루어진다. 후석모드도어(158)는 후석페이스벤트(115) 및 후석플로어벤트(116) 사이의 개도를 조절한다. 또한, 후석냉풍유로(P3)에는 후석냉풍유로(P3)의 개방 또는 폐쇄를 조절하는 후석온오프도어(157)가 더 구비된다.The rear
상기 후석공기토출구는 중력 방향으로 가열용 열교환기의 하부에 배치된다. 또한, 후석모드도어(158)는 중력 방향으로 가열용 열교환기의 하부에 배치된다. 즉, 후석공기토출구 및 후석모드도어(158)는 중력 방향으로 히터코어(130) 및 전열히터(140)의 하부에 배치된다. 아울러, 제2 후석템프도어(156) 및 후석온오프도어(157)는 중력 방향으로 가열용 열교환기의 하부에 배치된다.The rear stone air discharge port is disposed below the heat exchanger for heating in the direction of gravity. In addition, the rear
이러한 구성을 통해, 대시보드(170) 내에 공조장치를 모두 장착 가능하여, 차량 전방의 실내 공간을 증대시킬 수 있다. 결국, 신규 개발되고 있는 자율 주행차와 같은 차량에 공조장치를 효과적으로 적용 가능하다.Through this configuration, it is possible to mount all of the air conditioning devices in the
또한, 온풍유로(P2)의 하류와 후석냉풍유로(P3)의 합류부(211)는 히터코어(130) 및 전열히터(140)의 하부에 형성된다. 이 경우, 온풍유로(P2)의 하류와 후석냉풍유로(P3)의 합류부(211)로부터 후석공기토출구는 하부를 향해 연장 형성된다.In addition, the
또한, 후석공기토출구, 제2 후석템프도어(156), 후석온오프도어(157) 및 후석모드도어(158)는 모두 대시보드(170)를 기준으로 차량 실외 측에 배치된다. 아울러, 후석공기토출구, 제2 후석템프도어(156), 후석온오프도어(157) 및 후석모드도어(158)는 차량 전후 방향으로 가열용 열교환기(히터코어 및 전열히터)의 폭 내에 배치된다.In addition, the rear seat air discharge port, the second rear
제1 후석템프도어(172)는 가열용 열교환기(히터코어 및 전열히터)의 전단(상류)에 배치되어, 가열용 열교환기로의 유입 공기량을 제어한다. 제2 후석템프도어(156)는 가열용 열교환기의 후단(하류)에 배치되어, 가열용 열교환기를 통과하여 후석공기토출구로 전달되는 온풍의 양을 제어한다.The first
후석온오프도어(157)는 가열용 열교환기의 하단에 배치되어, 가열용 열교환기를 바이패스한 냉풍의 양을 제어한다. 아울러, 후석모드도어(158)는 후석온오프도어(157)의 하단에 배치되어, 후석페이스벤트(115) 및 후석플로어벤트(116)의 개도를 조절한다.The rear seat on-off
본원발명은 이러한 구성을 통해, 공조장치의 차량 전후 방향의 폭을 축소 가능하면서도 다양한 후석 공조 모드와 온도 제어를 효과적으로 구현 가능하고 풍량을 저하시키지 않아 공조 성능을 유지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an reduce the width of the air conditioner in the front-rear direction of the vehicle through this configuration, and can effectively implement various rear-seat air conditioning modes and temperature control, and maintain air-conditioning performance without lowering the air volume.
또한, 전석 믹싱부(M1)와 후석 믹싱부(M2)는 중력 방향으로 상하 나란하게 배치된다. 전석 믹싱부(M1)는 전석냉풍유로와 온풍유로를 통과한 공기가 합류하여 믹싱되는 공간이며, 후석 믹싱부(M2)는 후석냉풍유로와 온풍유로를 통과한 공기가 합류하여 믹싱되는 공간이다. 이 경우, 후석 믹싱부(M2)는 전술한 합류부(211)와 동일하다. 아울러, 후석온오프도어(157)는 후석 믹싱부(M2)의 하류측에 배치된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유로의 배치를 최적화하여 차량 전후 방향으로 공조케이스의 폭을 최소화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ront-seat mixing unit M1 and the rear-seat mixing unit M2 are arranged vertically and side by side in the direction of gravity. The front seat mixing unit (M1) is a space where the ai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all-seat cold air passage and the warm air passage merges and is mixed, and the rear seat mixing unit (M2) is a space where the ai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rear seat cold air passage and the warm air passage merges and is mixed. In this case, the rear seat mixing unit M2 is the same as the above-described
한편,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는 내부에 공기유로가 형성된 공조케이스(110)와, 공조케이스(110)의 공기유로에 구비되어 이를 통과하는 공기와 열교환하는 냉각용 열교환기 및 가열용 열교환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On the other hand, referring to FIGS. 5 and 6, the vehicle air condition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in an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는 전방 운전석, 전방 조수석 및 후석의 독립된 3존(3 Zone)의 온도 제어를 수행하도록 구성되며, 후석의 온도 제어를 3개의 도어로 구현한다. 즉, 차량용 공조장치는 제1 후석템프도어(172), 제2 후석템프도어(156) 및 후석모드도어(158)를 구비한다.The air conditioner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perform temperature control of three independent zones of a front driver's seat, a front passenger seat, and a rear seat, and implements temperature control of the rear seats with three doors. That is, the vehicle air conditioner includes a first rear
상기 후석공기토출구는 중력 방향으로 가열용 열교환기의 하부에 배치된다. 또한, 후석모드도어(158)는 중력 방향으로 가열용 열교환기의 하부에 배치된다. 즉, 후석공기토출구 및 후석모드도어(158)는 중력 방향으로 히터코어(130) 및 전열히터(140)의 하부에 배치된다. 아울러, 제2 후석템프도어(156) 및 후석온오프도어(157)는 중력 방향으로 가열용 열교환기의 하부에 배치된다.The rear stone air discharge port is disposed below the heat exchanger for heating in the direction of gravity. In addition, the rear
또한, 온풍유로(P2)의 하류와 후석냉풍유로(P3)의 합류부(211)는 히터코어(130) 및 전열히터(140)의 하부에 형성된다. 이 경우, 온풍유로(P2)의 하류와 후석냉풍유로(P3)의 합류부(211)로부터 후석공기토출구는 하부를 향해 연장 형성된다.In addition, the
이 경우, 온풍유로(P2)는 히터코어(130) 및 전열히터(140)의 하류에서 상부와 하부로 나뉘어 지도록 형성된다. 즉, 히터코어(130) 및 전열히터(140)는 대략 수직 방향으로 설치되고, 히터코어(130) 및 전열히터(140)를 통과하는 공기는 대략 수평 방향으로 유동하다 히터코어(130) 및 전열히터(140)의 하류에서 일부 공기는 상부로 다른 일부 공기는 하부로 유동하게 된다.In this case, the warm air passage P2 is formed to be divided into upper and lower portions in the downstream of the
즉, 히터코어(130) 및 전열히터(140)의 하류 온풍유로는 차량 전후 방향으로 비교적 짧게 형성되며, 전석공기토출구로 향하는 유로는 상측으로 후석공기토출구로 향하는 유로는 하측으로 형성함에 따라 차량 전후 방향의 유로 폭을 최소화할 수 있는 것이다.That is, the downstream warm air flow path of the
또한, 후석공기토출구, 제2 후석템프도어(156), 후석온오프도어(157) 및 후석모드도어(158)는 모두 대시보드(170)를 기준으로 차량 실외 측에 배치된다. 아울러, 후석공기토출구, 제2 후석템프도어(156), 후석온오프도어(157) 및 후석모드도어(158)는 차량 전후 방향으로 가열용 열교환기(히터코어 및 전열히터)의 폭 내에 배치된다.In addition, the rear seat air discharge port, the second rear
제1 후석템프도어(172)는 가열용 열교환기(히터코어 및 전열히터)의 전단(상류)에 배치되어, 가열용 열교환기로의 유입 공기량을 제어한다. 제2 후석템프도어(156)는 가열용 열교환기의 후단(하류)에 배치되어, 가열용 열교환기를 통과한 온풍과 가열용 열교환기를 바이패스한 냉풍 간의 혼입량을 제어한다.The first
후석온오프도어(157)는 제2 후석템프도어(156)의 하단에 배치되어, 후석공기토출구로 향하는 공기의 풍량을 제어한다. 아울러, 후석모드도어(158)는 후석온오프도어(157)의 하단에 배치되어, 후석페이스벤트(115) 및 후석플로어벤트(116)의 개도를 조절한다.The rear seat on-off
이와 같이, 제2후석템프도어(156), 후석온오프도어(157) 및 후석모드도어(158)는 중력 방향으로 일직선 상에 상부에서 하부로 순차로 배치된다. 상세하게는, 온풍유로(P2)의 하류와 후석냉풍유로(P3)의 합류부(211)에 제2 후석템프도어(156)가 구비된다. 제2 후석템프도어(156)는 온풍유로(P2)와 후석냉풍유로(P3) 사이의 개도를 조절한다.In this way, the second rear
더욱 상세하게는, 온풍유로(P2)의 하류와 후석냉풍유로(P3)의 합류 유로는 대략 "Y"자 형상을 이룬다. 즉, 온풍유로(P2)의 하류와 후석냉풍유로(P3)의 합류부(211)는 "Y"자 형상의 중앙부에 형성된다. 합류부(211)를 중심으로 상부 좌측 유로는 후석냉풍유로(P3)로 구성되고, 상부 우측 유로는 온풍유로(P2)로 구성되며, 하부 유로는 후석공기토출구를 향하는 유로로 구성된다.More specifically, the confluence flow path of the downstream of the warm air flow path P2 and the rear seat cold air flow path P3 forms an approximately "Y" shape. That is, the
이러한 구성을 통해, 차량 전후 방향 폭을 더욱 축소 가능하며, 축소된 폭만큼 대시보드를 전방으로 설치가능하여 차량 실내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즉, 전술한 실시 예와 비교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는 제2 후석템프도어(156)를 가열용 열교환기의 후단이 아닌 하단에 배치시켜 차량 전후 방향 폭을 더욱 축소 가능한 것이다.Through this configuration, the width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of the vehicle can be further reduced, and the dashboard can be installed forward by the reduced width, thereby securing a vehicle interior space. That is, compar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vehicl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reduces the width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of the vehicle by arranging the second rear
한편,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제2 후석템프도어(156)는 온풍유로(P2)의 하류와 후석냉풍유로(P3)의 합류부(211)에 배치되며, 돔(Dome)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제2 후석템프도어(156)는 온풍유로(P2), 후석냉풍유로(P3) 및 후석공기토출구를 향하는 유로들 간의 개도를 조절한다. 제2 후석템프도어(156)는 후석 온도조절 기능과 후석 온오프 기능을 함께 수행한다. 즉, 변형 예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는 후석온오프도어를 생략하고, 후석 온도조절 기능과 후석 온오프 기능을 돔형으로 이루어진 하나의 제2 후석템프도어(156)가 함께 수행한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도어의 개수를 줄여 제조원가를 낮출 수 있고 차량 전후 방향 폭뿐 아니라 상하 방향의 폭을 함께 축소 가능하다.Meanwhile, referring to FIGS. 7 to 9, the second rear
한편, 도 2에 도시된 실시 예와 도 5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면, 후석공기토출구는 가열용 열교환기와 평행하며 공조케이스에 접하는 평행 연장선(L)의 내측에 위치한다. 평행 연장선(L)은 히터코어(130)와 평행함과 아울러 공조케이스(110)의 전방면에 접한다. 도 2 및 도 5에서는 후석공기토출구가 평행 연장선(L)에 완전히 내측에 위치하지 않게 도시되었으나, 바람직하게는 후석공기토출구를 평행 연장선(L)의 완전히 내측에 위치시켜, 공조장치의 차량 전후 방향 폭을 더욱 줄일 수 있어 패키지 확보에 더욱 유리하다.On the other hand, referring to the embodiment shown in Fig. 2 and the embodiment shown in Fig. 5, the rear stone air discharge port is parallel to the heat exchanger for heating and is located inside the parallel extension line L in contact with the air conditioning case. The parallel extension line L is parallel to the
도 10을 참조하면, 벤트 모드 시, 전석템프도어(171) 및 제1 후석템프도어(172)는 온풍유로(P2)를 폐쇄한다. 증발기(120)를 통과한 공기중 일부는 전석페이스벤트(113)를 통해 실내로 토출되며, 다른 일부는 후석페이스벤트(115)를 통해 실내로 토출된다. 이 경우, 제2 후석템프도어(156)는 온풍유로(P2)를 폐쇄하고, 후석온오프도어(157)는 후석공기토출구를 향하는 유로를 개방하며, 후석모드도어(158)는 후석플로어벤트(116)를 폐쇄한다.Referring to FIG. 10, in the vent mode, the front
도 11을 참조하면, 바이레벨 모드 시, 전석템프도어(171) 및 제1 후석템프도어(172)는 전석냉풍유로(P1), 온풍유로(P2) 및 후석냉풍유로(P3)를 개방한다. 증발기(120)를 통과한 공기중 일부는 히터코어(130) 및 전열히터(140)를 통과하고 다른 일부는 전석냉풍유로(P1) 및 후석냉풍유로(P3)로 유동한다. 일부의 공기는 전석페이스벤트(113)를 통해 실내로 토출되며, 다른 일부는 후석플로어벤트(116) 및 후석페이스벤트(115)를 통해 실내로 토출된다. 이 경우, 제2 후석템프도어(156)는 온풍유로(P2)를 개방하고, 후석온오프도어(157)는 후석공기토출구를 향하는 유로를 개방하며, 후석모드도어(158)는 후석플로어벤트(116) 및 후석페이스벤트(115)를 개방한다.Referring to FIG. 11, in the bi-level mode, the front
도 12를 참조하면, 플로어 모드 시, 전석템프도어(171) 및 제1 후석템프도어(172)는 전석냉풍유로(P1)를 폐쇄하고 온풍유로(P2)를 개방한다. 증발기(120)를 통과한 공기는 히터코어(130) 및 전열히터(140)를 통과하여 일부는 전석플로어벤트(114)를 통해 실내로 토출되며, 다른 일부는 후석플로어벤트(116)를 통해 실내로 토출된다. 이 경우, 제2 후석템프도어(156)는 온풍유로(P2)를 개방하고, 후석온오프도어(157)는 후석공기토출구를 향하는 유로를 개방하며, 후석모드도어(158)는 후석페이스벤트(115)를 폐쇄한다.Referring to FIG. 12, in the floor mode, the front
한편,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는 내부에 공기유로가 형성된 공조케이스(110)와, 공조케이스(110)의 공기유로에 구비되어 이를 통과하는 공기와 열교환하는 증발기(120)로 구성된 냉각용 열교환기와, 히터코어(130) 및 전열히터(140)로 구성된 가열용 열교환기를 구비한다. 공기토출구는 디프로스트벤트(112), 전석페이스벤트(113) 및 전석플로어벤트(114)로 이루어진 전석공기토출구와, 차량 후석으로 공기를 토출하기 위한 후석공기토출구(250)를 구비한다.Meanwhile, referring to FIGS. 13 and 14, the air conditioning apparatus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in an
공조케이스(110) 내부에는 디프로스트벤트(112)의 개도를 조절하는 디프로스트도어(153), 전석페이스벤트(113)의 개도를 조절하는 벤트도어(154) 및 전석플로어벤트(114)의 개도를 조절하는 플로어도어(155)가 구비된다. 공조케이스(110) 내부 공기유로는 전석냉풍유로(P1), 온풍유로(P2) 및 후석냉풍유로(P3)로 구성된다. 전석냉풍유로(P1)를 통과한 공기와 온풍유로(P2)를 통과한 공기가 합류하는 전석 믹싱부(M1)는 가열용 열교환기의 상부에 형성되고, 온풍유로(P2)를 통과한 공기와 후석냉풍유로(P3)를 통과한 공기가 합류하는 후석 믹싱부(M2)는 가열용 열교환기의 하부에 형성된다.Inside the
또한, 공조케이스(110) 내부에는 전석냉풍유로(P1)와 온풍유로(P2) 일부 사이의 개도를 조절하는 전석템프도어(171)와, 증발기(120)와 히터코어(130) 사이에 배치되어 후석냉풍유로(P3)와 온풍유로(P2) 사이의 개도를 조절하는 제1 후석템프도어(172)와, 히터코어(130)의 하류에 배치되어 후석냉풍유로(P3)와 온풍유로(P2) 사이의 개도를 조절하는 제2 후석템프도어(156)와, 후석냉풍유로(P3)의 개도를 조절하는 후석온오프도어(157)를 구비한다.In addition, the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는 대시패드(300)와 크래시패드(310) 사이에 설치되며, 공조케이스(110)의 상부에 디프로스트벤트(112)와 연결되는 디프덕트(261)와 전석페이스벤트(113)와 연결되는 벤트덕트(262)가 구비된다. 후석공기토출구(250)는 공조케이스(110)에서 하부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곳에 배치된다. 또한, 후석공기토출구(250)는 후석 믹싱부(M2)의 직하부에 위치한다. 즉, 후석공기토출구(250)는 후석 믹싱부(M2)와 동일 수직선상에 배치된다.The air conditioning apparatus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between the
아울러, 후석공기토출구(250)의 하부에 후석공기토출덕트(260)가 구비되며, 후석공기토출덕트(260)는 하부 방향으로 연장되어 차량 바닥에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전방 운전석 하부의 공간(S)을 확보할 수 있어 자율주행 차량 등과 같이 콘솔을 삭제하는 컨셉의 차량의 경우에도 차량용 공조장치를 효율적으로 설치 가능하다. 이 경우, 후석공기토출구(250)는 탑승자의 얼굴과 발쪽으로 공조공기를 송풍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으며, 토출덕트 쪽에 별도의 도어를 구비하여 차량 실내로 토출되는 공조공기의 풍량을 조절할 수 있다.In addition, a rear stone
한편, 가열용 열교환기는 기울어져 배치된다. 즉, 히터코어(130) 및 전열히터(140)는 수직선상에 대해 일정 각도 경사진 상태로 공조케이스(110)에 설치된다. 아울러, 후석공기토출구(250), 제2 후석템프도어(156) 및 후석온오프도어(157)는 차량 전후 방향으로 가열용 열교환기(히터코어 및 전열히터)의 폭(t) 내에 배치된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히터코어(130) 및 전열히터(140)를 통과하는 공기의 저항을 최소화하여 풍량을 저하를 방지함과 아울러 공조장치의 차량 전후 방향으로의 폭을 줄일 수 있어 전방 운전석 하부의 공간(S)을 더욱 넓게 확보 가능하다.On the other hand, the heat exchanger for heating is disposed in an inclined manner. That is, the
또한, 공조케이스(110)에 역류방지리브(270)가 형성된다. 역류방지리브(270)는 공조케이스(110) 내의 응축수를 포함하는 물이 후석공기토출구(250)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즉, 역류방지리브(270)는 공조케이스(110)의 바닥면으로부터 상부로 돌출되고, 차량 폭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며, 증발기(120)와 후석 믹싱부(M2) 사이에 형성된다. 역류방지리브(270)는 증발기(120)의 응축수가 모이는 드레인부(271)의 상단부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a
따라서, 가열용 열교환기의 바로 하부에 후석공기토출구(250)로 향하는 후석유로가 형성될 경우, 응축수가 후석공기토출구(250)를 통해 차량 실내로 유입될 수 있는 가능성을 차단하게 된다.Accordingly, when a rear stone flow path toward the rear stone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는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업자라면 누구든지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Until now, the vehicle air condition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 shown in the drawings, but this is only exemplary, and any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are possible therefrom. Therefore, the true technical scope of protec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spirit of the appended claims.
110: 공조케이스
112: 디프로스트벤트
113: 전석페이스벤트
114: 전석플로어벤트
115: 후석페이스벤트
116: 후석플로어벤트
120: 증발기
130: 히터코어
140: 전열히터
153: 디프로스트도어
154: 벤트도어
155: 플로어도어
156: 제2 후석템프도어
157: 후석온오프도어
158: 후석모드도어
171: 전석템프도어
172: 제1 후석템프도어
P1: 전석냉풍유로
P2: 온풍유로
P3: 후석냉풍유로
211: 합류부
250: 후석공기토출구
260: 후석공기토출덕트
270: 역류방지리브
271: 드레인부110: air conditioning case
112: defrost vent 113: all seat face vent
114: front seat floor vent 115: rear seat face vent
116: rear seat floor vent 120: evaporator
130: heater core 140: electric heater
153: defrost door 154: vent door
155: floor door 156: 2nd Husuk Temp Door
157: rear seat on/off door 158: rear seat mode door
171: front seat temp door 172: first rear seat temp door
P1: All-seat cold air passage P2: Warm air flow
P3: Rear seat cold air passage
211: confluence
250: rear stone air discharge port 260: rear stone air discharge duct
270: backflow prevention rib 271: drain part
Claims (16)
상기 공기토출구는 전석공기토출구와 후석공기토출구를 구비하며,
상기 후석공기토출구는 중력 방향으로 가열용 열교환기의 하부에 배치되는 차량용 공조장치.An air conditioning case having an air flow path formed therein and having a plurality of air discharge ports, and a cooling heat exchanger and a heating heat exchanger provided in the air flow path of the air conditioning case to exchange heat with air passing therethrough,
The air outlet has a front seat air outlet and a rear seat air outlet,
The rear stone air discharge port is a vehicle air conditioner disposed below the heat exchanger for heating in the direction of gravity.
상기 후석공기토출구는 공조케이스에서 하부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곳에 배치되는 차량용 공조장치.The method of claim 1,
The rear-seat air discharge port is an air conditioner for a vehicle disposed at a location extending downward from the air conditioner case.
공조케이스의 공기유로는, 냉각용 열교환기를 통과한 공기가 가열용 열교환기를 통과하도록 형성된 온풍유로와, 냉각용 열교환기를 통과한 공기가 가열용 열교환기를 바이패스하여 차량 전석으로 토출되도록 형성된 전석냉풍유로 및 냉각용 열교환기를 통과한 공기가 가열용 열교환기를 바이패스하여 차량 후석으로 토출되도록 형성된 후석냉풍유로를 구비하며,
상기 전석냉풍유로, 온풍유로 및 후석냉풍유로는 상측에서 하측으로 순차로 형성된 차량용 공조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air flow path of the air conditioning case is a hot air flow path formed so that the air passing through the cooling heat exchanger passes through the heating heat exchanger, and the all-seat cold air flow path formed so that the air passing through the cooling heat exchanger bypasses the heating heat exchanger and is discharged to all seats of the vehicle. And a rear seat cooling air passage formed so that air passing through the cooling heat exchanger is discharged to the rear seat of the vehicle by bypassing the heating heat exchanger,
The front seat cold air passage, the warm air passage, and the rear seat cold air passage are sequentially formed from an upper side to a lower side.
전석냉풍유로와 온풍유로 사이의 개도를 조절하는 전석템프도어와;
냉각용 열교환기와 가열용 열교환기 사이에 배치되어 후석냉풍유로와 온풍유로 사이의 개도를 조절하는 제1 후석템프도어;
가열용 열교환기의 하류에 배치되어 후석냉풍유로와 온풍유로 사이의 개도를 조절하는 제2 후석템프도어; 및
후석냉풍유로의 개도를 조절하는 후석온오프도어를 포함하는 차량용 공조장치.The method of claim 3,
A front-seat temp door for controlling an opening degree between the all-seat cold air passage and the warm air passage;
A first rear temper door disposed between the cooling heat exchanger and the heating heat exchanger to adjust an opening degree between the cold air flow passage and the hot air flow passage;
A second rear temper door disposed downstream of the heat exchanger for heating to adjust an opening degree between the cold air flow passage and the hot air flow passage; And
An air conditioning system for a vehicle including a rear seat on-off door that adjusts the opening of the rear seat cold air passage.
전석 믹싱부와 후석 믹싱부는 중력 방향으로 상하 나란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A vehicle air conditioner, characterized in that the front-seat mixing unit and the rear-seat mixing unit are arranged vertically and side by side in the direction of gravity.
상기 후석공기토출구는 가열용 열교환기와 평행하며 공조케이스에 접하는 평행 연장선의 내측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rear stone air outlet is parallel to the heat exchanger for heating and is located inside a parallel extension line in contact with the air conditioning case.
상기 후석공기토출구, 제2 후석템프도어 및 후석온오프도어는 차량 전후 방향으로 가열용 열교환기의 폭 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The method of claim 4,
The rear-seat air outlet, the second rear-seat temp door, and the rear-seat on-off door are disposed within a width of a heat exchanger for heating in a front-rear direction of the vehicle.
상기 후석공기토출구, 제2 후석템프도어 및 후석온오프도어는 모두 대시보드를 기준으로 차량 실외 측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The method of claim 4,
The rear-seat air outlet, the second rear-seat temp door, and the rear-seat on-off door are all disposed on the outside of the vehicle based on the dashboard.
상기 후석온오프도어는 후석 믹싱부의 하류측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The method of claim 4,
The rear seat on-off door is an air conditioner for a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disposed on the downstream side of the rear seat mixing unit.
상기 가열용 열교환기는 기울어져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vehicle air conditioner, characterized in that the heat exchanger for heating is disposed in an inclined manner.
상기 공조케이스에 응축수를 포함하는 물이 상기 후석공기토출구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류방지리브가 형성되는 차량용 공조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A vehicle air conditioner in which a backflow prevention rib is formed in the air conditioning case to prevent water including condensed water from being discharged to the rear stone air discharge port.
상기 역류방지리브는,
공조케이스의 바닥면으로부터 상부로 돌출되며, 냉각용 열교환기와 후석 믹싱부 사이에 형성되는 차량용 공조장치.The method of claim 11,
The backflow prevention rib,
A vehicle air conditioner protruding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air conditioning case to the top and formed between the cooling heat exchanger and the rear seat mixing unit.
상기 제2 후석템프도어 및 후석온오프도어는 중력 방향으로 가열용 열교환기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제2후석템프도어, 후석온오프도어 및 후석공기토출구는 중력 방향으로 일직선 상에 순차로 배치되는 차량용 공조장치.The method of claim 4,
The second rear seat temp door and the rear seat on-off door are disposed under the heat exchanger for heating in the direction of gravity,
The second rear seat temp door, the rear seat on-off door, and the rear seat air discharge port are sequentially arranged in a straight line in the direction of gravity.
온풍유로를 통과한 공기와 후석냉풍유로를 통과한 공기가 합류하는 후석 믹싱부는 가열용 열교환기의 하부에 형성되고,
상기 후석공기토출구는 후석 믹싱부에 하부에 형성되는 차량용 공조장치.The method of claim 4,
The rear-seat mixing unit where the air passing through the hot air flow passage and the air passing through the rear-seat cold air flow merge is form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heat exchanger for heating,
The rear-seat air discharge port is a vehicle air conditioner formed in a lower portion of the rear-seat mixing unit.
상기 후석공기토출구의 하부에 후석공기토출덕트가 구비되고,
상기 후석공기토출덕트는 하부 방향으로 연장되어 차량 바닥에 형성되는 차량용 공조장치.The method of claim 14,
A rear stone air discharge duct is provided under the rear stone air discharge port,
The rear seat air discharge duct extends downward and is formed on the vehicle floor.
상기 공기토출구는 전석공기토출구와 후석공기토출구를 구비하며,
상기 후석공기토출구는 중력 방향으로 전석공기토출구의 하부에 배치되는 차량용 공조장치.An air conditioning case having an air flow path formed therein and having a plurality of air discharge ports, and a cooling heat exchanger and a heating heat exchanger provided in the air flow path of the air conditioning case to exchange heat with air passing therethrough,
The air outlet has a front seat air outlet and a rear seat air outlet,
The rear-seat air discharge port is an air conditioner for a vehicle disposed below the all-seat air discharge port in the direction of gravity.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PCT/KR2020/015260 WO2021091204A1 (en) | 2019-11-08 | 2020-11-04 | Air conditioning apparatus for vehicle |
CN202080068780.7A CN114502398B (en) | 2019-11-08 | 2020-11-04 | Car air conditioning |
DE112020005508.6T DE112020005508T5 (en) | 2019-11-08 | 2020-11-04 | Air conditioning for a vehicle |
US17/761,390 US11801729B2 (en) | 2019-11-08 | 2020-11-04 | Air conditioning apparatus for vehicl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42198 | 2019-11-08 | ||
KR20190142198 | 2019-11-08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056227A true KR20210056227A (en) | 2021-05-18 |
Family
ID=761588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131905A Ceased KR20210056227A (en) | 2019-11-08 | 2020-10-13 | Air conditioner for vehicl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210056227A (en)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4078834A1 (en) * | 2022-10-13 | 2024-04-18 | Valeo Systemes Thermiques | Vehicle air conditioner |
WO2024105233A1 (en) * | 2022-11-18 | 2024-05-23 | Valeo Systemes Thermiques | Vehicle air conditioner |
WO2024180198A1 (en) * | 2023-03-01 | 2024-09-06 | Valeo Systemes Thermiques | Vehicle air conditioner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84718B1 (en) | 2012-05-07 | 2015-01-21 |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 Air conditioner for vehicle |
-
2020
- 2020-10-13 KR KR1020200131905A patent/KR20210056227A/en not_active Ceased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84718B1 (en) | 2012-05-07 | 2015-01-21 |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 Air conditioner for vehicle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4078834A1 (en) * | 2022-10-13 | 2024-04-18 | Valeo Systemes Thermiques | Vehicle air conditioner |
WO2024105233A1 (en) * | 2022-11-18 | 2024-05-23 | Valeo Systemes Thermiques | Vehicle air conditioner |
WO2024180198A1 (en) * | 2023-03-01 | 2024-09-06 | Valeo Systemes Thermiques | Vehicle air conditioner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210056227A (en) | Air conditioner for vehicle | |
KR20180001693A (en) | Air conditioner for vehicle | |
KR101648124B1 (en) | Air conditioning system for vehicles | |
KR102536570B1 (en) | Air conditioner for vehicle | |
CN110576716B (en) | Air conditioner for vehicle | |
KR102536569B1 (en) | Air conditioner for vehicle | |
KR102533423B1 (en) | Air conditioner for vehicle | |
KR20160135033A (en) | Air conditioner for vehicle | |
KR102552122B1 (en) | Air conditioner for vehicle | |
CN111483290B (en) | Air conditioner for vehicle | |
CN110871663B (en) | Air conditioner for vehicle | |
KR20220109787A (en) | Air conditioner for vehicle | |
US11801729B2 (en) | Air conditioning apparatus for vehicle | |
KR102739698B1 (en) | Air conditioner for vehicle | |
KR20180001612A (en) | Two layer type air conditioner for vehicle | |
KR101313583B1 (en) | Air conditioner for vehicle | |
KR20200134865A (en) | Air conditioner for vehicle | |
KR102635127B1 (en) | Air conditioner for vehicle | |
KR102698340B1 (en) | Air conditioner for vehicle | |
KR20180125687A (en) | Air conditioner for vehicle | |
KR20200127663A (en) | Air conditioner for vehicle | |
KR100642132B1 (en) | Car seat air conditioner | |
KR20240078887A (en) | Air conditioner for vehicle | |
KR20240078905A (en) | Air conditioner for vehicle | |
KR20240014725A (en) | Air conditioner for vehicl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01013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21019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201013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071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250327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