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25687A - Air conditioner for vehicle - Google Patents
Air conditioner for vehicl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80125687A KR20180125687A KR1020170060262A KR20170060262A KR20180125687A KR 20180125687 A KR20180125687 A KR 20180125687A KR 1020170060262 A KR1020170060262 A KR 1020170060262A KR 20170060262 A KR20170060262 A KR 20170060262A KR 20180125687 A KR20180125687 A KR 20180125687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ir
- temperature control
- control door
- air passage
- passag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Gran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814—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 B60H1/00821—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the components being ventilating, air admitting or air distributing devices
- B60H1/00835—Damper doors, e.g. position control
- B60H1/00842—Damper doors, e.g. position control the system comprising a plurality of damper doors; Air distribution between several outle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007—Combined heating, ventilating, or cooling devices
- B60H1/00021—Air flow details of HVAC devices
- B60H1/00028—Constructional lay-out of the devices in the vehicl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007—Combined heating, ventilating, or cooling devices
- B60H1/00021—Air flow details of HVAC devices
- B60H2001/00078—Assembling, manufacturing or layout details
- B60H2001/00092—Assembling, manufacturing or layout details of air deflecting or air directing means inside the devic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007—Combined heating, ventilating, or cooling devices
- B60H1/00021—Air flow details of HVAC devices
- B60H2001/00185—Distribution of conditionned air
- B60H2001/002—Distribution of conditionned air to front and rear part of passenger compartmen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히터코어로 유입되는 공기의 양을 정밀하게 제어하여 온도 및 풍량 제어를 안정적으로 하고, 도어의 개수를 줄여 부피, 무게 및 원가를 줄일 수 있으며, 차량 전후 방향으로 패키지 길이를 축소 가능한 차량용 공조장치가 개시된다. 차량용 공조장치는 내부에 공기통로가 형성된 공조케이스와, 상기 공조케이스의 공기통로에 구비되어 이를 통과하는 공기와 열교환하는 냉각용 열교환기 및 가열용 열교환기를 포함하는 차량용 공조장치에 있어서, 차량 전석 측으로 유동하는 냉풍의 통로 개도를 제어하는 제1 온도조절도어; 차량 전석 또는 후석 측으로 유동하는 온풍의 통로 개도를 제어하는 제2 온도조절도어; 및 차량 후석 측으로 유동하는 냉풍의 통로 개도를 제어하는 제3 온도조절도어를 구비한다.Weight, and cost by reducing the number of doors, and reducing the package length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of the vehicle. In addition, the air conditioner . An air conditioner for a vehicle, comprising: an air conditioning case having an air passage formed therein; a cooling heat exchanger provided in an air passage of the air conditioning case to exchange heat with air passing therethrough; and a heat exchanger for heating, A first temperature control door for controlling the passage opening degree of the flowing cold air; A second temperature control door for controlling the passage opening degree of the heated air flowing to the front or rear side of the vehicle; And a third temperature control door for controlling the passage opening degree of the cold air flowing to the back side of the vehicle.
Description
본 발명은 차량용 공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의 전석측 공조와 더불어 후석측 공조를 함께 수행하기 위해 후석측으로 공조풍을 보낼 수 있는 차량용 공조장치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hicle air condition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vehicle air conditioner capable of transmitting air conditioning air to a rear seat side in order to simultaneously perform front seat side air conditioning and vehicle rear air conditioning.
일반적으로, 차량용 공조장치는 하절기나 동절기에 자동차 실내를 냉,난방하거나 또는 우천시나 동절기에 윈드 실드에 끼게 되는 성에 등을 제거하여 운전자가 전후방 시야를 확보할 수 있게 할 목적으로 설치되는 자동차의 내장품이다. 공조장치는, 통상, 난방시스템과 냉방시스템을 동시에 갖추고 있어서, 외기나 내기를 선택적으로 도입하여 그 공기를 가열 또는 냉각한 다음 차량 실내에 송풍함으로써 차량 실내를 냉,난방하거나 환기한다.Generally, the air conditioner for a vehicle is installed in the interior of a vehicle installed for the purpose of cooling and heating the interior of the vehicle during the summer or winter season, or for securing the front and rear visibility of the driver by removing the windshield, to be. The air conditioner is usually equipped with a heating system and a cooling system at the same time so that the outside or inside air is selectively introduced to heat or cool the air and then air is blown into the inside of the vehicle to cool,
선 출원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5-0088577호(2015.08.03)에는 후석 온도조절도어와 후석 보조온도조절도어 및 후석 온오프도어의 위치를 제어하여 후석 풍량을 조절하는 차량용 공조장치가 개시된바 있다. 도 1은 종래의 차량용 공조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용 공조장치는 공조케이스(10)와, 증발기(20) 및 히터코어(30)와, 전석 온도조절도어(51) 및 전석 모드도어를 포함한다.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2015-0088577 (2015.08.03), which was filed in the same year, discloses a vehicle air conditioner that controls the position of a seated temperature control door, a seated assistant temperature control door, and a seated on- . 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nventional automotive air conditioner. As shown in Fig. 1, the vehicle air conditioner includes an
공조케이스(10)는 공기유입구(11)와 공기토출구를 구비하며 내부에 공기통로가 형성된다. 공기유입구(11) 측에 송풍장치가 연결되어 내기 또는 외기가 선택적으로 공조케이스(10) 내부 공기통로로 유입된다. 공기토출구는 디프로스트 벤트(12), 전석 페이스 벤트(13), 플로어 벤트(114), 후석 페이스 벤트(15) 및 후석 플로어 벤트(16)로 구성된다. 공조케이스(10) 내부 공기통로는 전석 냉풍통로(P1), 온풍통로(P2) 및 후석 냉풍통로(P3)로 구성된다.The air conditioning case (10) has an air inlet (11) and an air outlet, and an air passage is formed therein. A blowing device is connected to the air inlet (11) side so that the inside air or the outside air selectively flows into the air passage inside the air conditioner case (10). The air outlet comprises a
증발기(20)는 냉방용 열교환기로서 이를 통과하는 공기를 냉각시킨다. 히터코어(30)는 난방용 열교환기로서 이를 통과하는 공기를 가열시킨다. 히터코어(30)는 공기 유동 방향으로 증발기(20)의 하류 측인 온풍통로(P2)에 배치된다. 온풍통로(P2)에는 PTC히터 등의 전기식 히터(4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전석 온도조절도어(51)는 증발기(20)와 히터코어(30) 사이에 배치되어 히터코어(30)를 통과하는 온풍통로(P2)와 히터코어(30)를 바이패스하는 냉풍통로(P1)(P3)의 개도를 조절한다. 전석 모드도어는 디프로스트 도어(53), 벤트 도어(54) 및 플로어 도어(55)로 구성된다.The
후석 공기통로는 증발기(20)를 통과한 공기가 히터코어(30)를 바이패스하는 후석 냉풍통로(P3)와 히터코어(30)를 통과하는 온풍통로로 구성된다. 이 후석 공기통로의 온풍통로는 전석 공기통로의 온풍통로(P2)와 함께 사용된다. 즉, 히터코어(30)를 통과하여 온풍통로(P2)를 유동하는 공기의 일부는 상부로 이동하여 디프로스트 벤트(12), 전석 페이스 벤트(13), 플로어 벤트(114) 중 적어도 하나로 토출되며, 공기의 다른 일부는 하부로 이동하여 후석 페이스 벤트(15)와 후석 플로어 벤트(16) 중 적어도 하나로 토출된다. 후석 공기통로에는 후석 페이스 벤트(15)와 후석 플로어 벤트(16)의 개도를 조절하는 후석 모드도어(58)가 구비된다.The overturned air passage is composed of a chilled air passage P3 through which the air passed through the
공조케이스(10) 내에는 후석 온도조절도어(52)와, 후석 보조온도조절도어(56)와, 후석 온오프도어(57)가 구비된다. 후석 온도조절도어(52)는 증발기(20)와 히터코어(30) 사이에 구비되어 온풍통로(P2)로 유동하는 통로와 후석 냉풍통로(P3)로 유동하는 통로의 개도를 조절하며, 후석 보조온도조절도어(56)는 공기 유동 방향으로 히터코어(30)의 하류 측에 배치되어 후석 공기토출구로 유동하는 통로의 개도를 조절한다. 후석 온오프도어(57)는 후석 냉풍통로(P3)의 개도를 조절한다.In the
도 2는 종래의 차량용 공조장치의 전후석 냉방 모드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전후석 냉방 모드 시, 전석 온도조절도어(51)는 온풍통로(P2)를 폐쇄하고 전석 냉풍통로(P1)를 개방하며, 후석 온도조절도어(52)는 온풍통로(P2)를 폐쇄하고 후석 냉풍통로(P3)를 개방한다. 후석 보조온도조절도어(56)는 후석 공기토출구로 유동하는 통로를 폐쇄하고, 후석 온오프도어(57)는 후석 냉풍통로(P3)를 개방한다. 증발기(20)를 통과하며 차가워진 공기는 히터코어(30)를 바이패스하여 일부는 전석 냉풍통로(P1)를 지나 전석 공기토출구 중 적어도 하나로 토출되며, 다른 일부는 후석 냉풍통로(P3)를 지나 후석 공기토출구 중 적어도 하나로 토출된다.Fig. 2 shows a front and rear cooling mode of a conventional automotive air conditioner. 2, in the forward / backward stall cooling mode, the all-round
도 3은 종래의 차량용 공조장치의 전후석 난방 모드를 도시한 것이다. 도 3를 참조하면, 전후석 난방 모드 시, 전석 온도조절도어(51)는 전석 냉풍통로(P1)를 폐쇄하고 온풍통로(P2)를 개방하며, 후석 온도조절도어(52)는 후석 냉풍통로(P3)를 폐쇄하고 온풍통로(P2)를 개방한다. 후석 보조온도조절도어(56)는 후석 공기토출구로 유동하는 통로를 개방하고, 후석 온오프도어(57)는 후석 냉풍통로(P3)를 폐쇄한다. 증발기(20)를 통과한 공기는 히터코어(30)를 통과하면서 가열된 후 일부는 상부로 이동하여 전석 공기토출구 중 적어도 하나로 토출되며, 다른 일부는 하부로 이동하여 후석 공기토출구 중 적어도 하나로 토출된다.3 shows a front and rear heating mode of a conventional automotive air conditioner. 3, the front seat
종래의 차량용 공조장치는 전석 온도조절도어(51), 후석 온도조절도어(52), 후석 보조온도조절도어(56) 및 후석 온오프도어(57)로 구성된 4개의 도어를 전석 및 후석의 온도조절을 구현한다. 전석 온도조절도어(51)의 회전 각도에 따라 히터코어(30)로의 공기 유입량을 조절하여 온도를 조절한다.The conventional automotive air conditioner includes four doors composed of an all-steel
전석 온도조절도어(51)는 회전 반경이 상대적으로 다른 도어들에 비해 크게 이루어져 히터코어(30)로 유동하는 통로의 대부분의 개도를 조절한다. 이로 인해, 전석 온도조절도어(51)의 회전 각도에 따라 토출 풍량이 크게 변하는 문제가 발생하며, 히터코어(30)로 유동하는 공기의 유입량을 조절하기 어렵다. 또한, 후석 온도조절도어(52)가 전석 냉풍통로(P3)를 폐쇄하는 경우 후석 온오프도어(57)는 제 기능을 상실하여 불필요해진다. 아울러, 전석 온도조절도어의 회전 반경이 커짐에 따라 차량 전후 방향으로 공조장치의 패키지 길이가 커지는 문제가 있다.The front seat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히터코어로 유입되는 공기의 양을 정밀하게 제어하여 온도 및 풍량 제어를 안정적으로 하고, 차량 전후 방향으로 패키지 길이를 축소 가능한 차량용 공조장치를 제공한다.In order to solve such conventional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vehicle air conditioner capable of precisely controlling the amount of air flowing into the heater core, stably controlling the temperature and air volume, and reducing the package length in the vehicle longitudinal direction .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는 내부에 공기통로가 형성된 공조케이스와, 상기 공조케이스의 공기통로에 구비되어 이를 통과하는 공기와 열교환하는 냉각용 열교환기 및 가열용 열교환기를 포함하는 차량용 공조장치에 있어서, 차량 전석 측으로 유동하는 냉풍의 통로 개도를 제어하는 제1 온도조절도어; 차량 전석 또는 후석 측으로 유동하는 온풍의 통로 개도를 제어하는 제2 온도조절도어; 및 차량 후석 측으로 유동하는 냉풍의 통로 개도를 제어하는 제3 온도조절도어를 구비한다.The vehicl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air conditioner case having an air passage formed therein, and a cooling heat exchanger and a heating heat exchanger provided in the air passage of the air conditioner case for exchanging heat with air passing through the air passage, A first temperature control door for controlling a passage opening degree of the cold air flowing to the front seat side of the vehicle; A second temperature control door for controlling the passage opening degree of the heated air flowing to the front or rear side of the vehicle; And a third temperature control door for controlling the passage opening degree of the cold air flowing to the back side of the vehicle.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는 히터코어로 유입되는 공기의 양을 정밀하게 제어하여 온도 및 풍량 제어를 안정적으로 하고, 차량 전후 방향으로 패키지 길이를 축소 가능할 뿐 아니라, 온풍통로의 굴곡 구간이 줄어들어 풍량 확보에 유리하다.The vehicle air condition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precisely control the amount of air flowing into the heater core to stably control the temperature and the air volume and to reduce the package length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of the vehicle and reduce the bending section of the warm air passage, It is advantageous to secure.
도 1은 종래의 차량용 공조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2는 종래의 차량용 공조장치의 전후석 냉방 모드를 도시한 것이며,
도 3은 종래의 차량용 공조장치의 전후석 난방 모드를 도시한 것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전후석 냉방 모드를 도시한 것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전후석 난방 모드를 도시한 것이다.1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 conventional automotive air conditioner,
Fig. 2 shows the front and rear cooling mode of the conventional automotive air conditioner,
Fig. 3 shows the front and rear heating mode of the conventional automotive air conditioner,
4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vehicle air condition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llustrates a front and rear cooling mode of a vehicl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llustrates a front and rear heating mode of a vehicl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서 차량용 공조장치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technical configuration of the air conditioner for a vehicl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4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vehicle air condition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는 내부에 공기통로가 형성된 공조케이스(110)와, 공조케이스(110)의 공기통로에 구비되어 이를 통과하는 공기와 열교환하는 냉각용 열교환기 및 가열용 열교환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4, the vehicl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공조케이스(110)는 공기유입구(111)와 공기토출구를 구비하며 내부에 공기통로가 형성된다. 공기유입구(111) 측에 송풍장치가 연결되어 내기 또는 외기가 선택적으로 공조케이스(110) 내부 공기통로로 유입된다. 공기토출구는 디프로스트 벤트(112), 전석 페이스 벤트(113) 및 전석 플로어 벤트(114)로 이루어진 전석 공기토출구와, 후석 페이스 벤트(115) 및 후석 플로어 벤트(116)로 이루어진 후석 공기토출구로 구성된다. 공조케이스(110) 내부 공기통로는 전석 냉풍통로(P1), 온풍통로(P2) 및 후석 냉풍통로(P3)로 구성된다.The
냉각용 열교환기는 증발기(120)로 구성된다. 증발기(120)의 내부에 흐르는 냉매와 증발기(120)를 통과하는 공기가 열교환되어 공기는 냉각된다. 가열용 열교환기는 히터코어(130)로 구성된다. 히터코어(130)의 내부에 흐르는 냉각수와 히터코어(130)를 통과하는 공기가 열교환되어 공기는 가열된다. 히터코어(130)는 공기 유동 방향으로 증발기(120)의 하류 측인 온풍통로(P2)에 배치된다. 온풍통로(P2)에는 PTC히터 등의 전기식 히터(140)가 더 구비될 수 있다.The cooling heat exchanger is composed of an evaporator (120). The refrigerant flowing inside the
공조케이스(110)에는 챠랑 전석 측으로 공기를 토출하기 위한 전석 공기토출구가 마련되며, 전석 공기토출구는 전석 모드도어에 의해 그 개도가 제어된다. 전석 모드도어는 디프로스트 벤트(112)의 개도를 조절하는 디프로스트 도어(153), 전석 페이스 벤트(113)의 개도를 조절하는 벤트 도어(154) 및 전석 플로어 벤트(114)의 개도를 조절하는 플로어 도어(155)로 구성된다. 아울러, 공조케이스(110)에는 차량 후석 측으로 공기를 토출하기 위한 후석 공기토출구가 마련되며, 후석 공기토출구는 후석 모드도어(158)에 의해 그 개도가 제어된다.The air conditioning case (110) is provided with an air discharge port for discharging air to the side of the car charger, and the opening of the air discharge port is controlled by the all-purpose mode door. The all-over mode door includes a
차량용 공조장치는 제1 온도조절도어(171)와, 제2 온도조절도어(172)와, 제3 온도조절도어(173)를 포함한다. 제1 온도조절도어(171)는 차량 전석 측으로 유동하는 냉풍의 통로 개도를 제어한다. 제2 온도조절도어(172)는 차량 전석 또는 후석 측으로 유동하는 온풍의 통로 개도를 제어한다. 제3 온도조절도어(173)는 차량 후석 측으로 유동하는 냉풍의 통로 개도를 제어한다.The vehicle air conditioner includes a first
공조케이스(110) 내의 공기통로는 전석 냉풍통로(P1)와, 후석 냉풍통로(P3)와, 온풍통로(P2)로 이루어진다. 전석 냉풍통로(P1)는 증발기(120)를 통과한 공기가 히터코어(130)를 바이패스하여 차량 전석 측으로 유동되는 통로이다. 후석 냉풍통로(P3)는 증발기(120)를 통과한 공기가 히터코어(130)를 바이패스하여 차량 후석 측으로 유동되는 통로이다. 온풍통로(P2)는 증발기(120)를 통과한 공기가 히터코어(130)를 통과하여 차량 전석 또는 후석 측으로 유동되는 통로이다.The air passage in the
제1 온도조절도어(171)는 전석 냉풍통로(P1)만의 개도를 조절한다. 즉, 제1 온도조절도어(171)는 전석 냉풍통로(P1)의 입구에 구비된다. 이 경우, 전석 냉풍통로(P1)의 입구는 공기 유동 방향으로 증발기(120)에 인접한 하류 부위로서 전석 냉풍통로(P1)와 온풍통로(P2)가 갈라지는 경계 부위를 의미한다. 제1 온도조절도어(171)는 전석 냉풍통로(P1)의 입구 전체를 커버하여 그 통로의 개도를 조절한다. 제1 온도조절도어(171)는 구동축인 회전축을 중심으로 양측으로 판 부재가 형성된 테일 도어(Tail door) 타입으로 이루어진다.The first
제1 온도조절도어(171)는 전석 냉풍통로(P1)를 개방한 상태에서 꼬리 부분은 온풍통로(P2)와 전석 냉풍통로(P1)의 사이를 폐쇄한다. 이 경우, 증발기(120)를 통과한 공기는 히터코어(130)를 바이패스하여 전석 냉풍통로(P1)를 통해 전석 공기토출구로 유동한다. 아울러, 제1 온도조절도어(171)는 전석 냉풍통로(P1)를 폐쇄한 상태에서 꼬리 부분은 온풍통로(P2)와 전석 냉풍통로(P1)의 사이를 개방한다. 이 경우, 증발기(120)를 통과한 공기는 온풍통로(P2)를 통해 히터코어(130)를 통과하여 전석 공기토출구로 유동한다. 제1 온도조절도어(171)는 전석 냉풍통로(P1)의 온/오프 기능만을 수행한다.The first
제2 온도조절도어(172)는 온풍통로(P2) 일부의 개도를 조절한다. 즉, 제2 온도조절도어(172)는 온풍통로(P2)의 입구에 구비된다. 이 경우, 온풍통로(P1)의 입구는 공기 유동 방향으로 증발기(120)의 하류 부위와 히터코어(130)의 상류 부위의 사이로서, 히터코어(130)의 인접한 전단을 의미한다. 제2 온도조절도어(172)는 온풍통로(P2)의 입구 중 상부 일부 공간을 커버하여 그 통로의 개도를 조절한다. 제2 온도조절도어(172)는 구동축인 회전축을 중심으로 양측으로 판 부재가 형성된 테일 도어(Tail door) 타입으로 이루어진다. 제2 온도조절도어(172)는 온풍통로(P2) 일부의 개도만을 조절한다.The second
제3 온도조절도어(173)는 온풍통로(P2)의 다른 일부 및 후석 냉풍통로(P3)의 개도를 조절한다. 즉, 제3 온도조절도어(173)는 온풍통로(P2)의 입구 및 후석 냉풍통로(P3)의 입구에 구비된다. 이 경우, 온풍통로(P1)의 입구는 공기 유동 방향으로 증발기(120)의 하류 부위와 히터코어(130)의 상류 부위의 사이로서, 히터코어(130)의 인접한 전단을 의미한다. 아울러, 후석 냉풍통로(P3)의 입구는 공기 유동 방향으로 증발기(120)에 인접한 하류 부위로서 온풍통로(P2)와 후석 냉풍통로(P3)가 갈라지는 경계 부위를 의미한다.The third
제3 온도조절도어(173)는 온풍통로(P2)의 입구 중 하부 일부 공간을 커버하여 그 통로의 개도를 조절함과 아울러, 후석 냉풍통로(P3)의 입구 전체를 커버하여 그 통로의 개도를 조절한다. 제3 온도조절도어(173)는 온풍통로(P2)의 일부를 폐쇄한 상태에서 후석 냉풍통로(P3)를 개방한다. 이 경우, 증발기(120)를 통과한 공기는 히터코어(130)를 바이패스하여 후석 냉풍통로(P3)를 통해 후석 공기토출구로 유동한다. 아울러, 제3 온도조절도어(173)는 온풍통로(P2)의 일부를 개방한 상태에서 후석 냉풍통로(P3)를 폐쇄한다. 이 경우, 증발기(120)를 통과한 공기는 히터코어(130)를 통과하여 온풍통로(P2)를 통해 후석 공기토출구로 유동한다.The third
제1 온도조절도어(171)의 구동축은 히터코어(130)의 상측에 위치한다. 아울러, 제2 온도조절도어(172) 및 제3 온도조절도어(173)의 구동축은 히터코어(130)의 상하폭 안에 위치한다. 따라서, 도어의 회전 반경이 작아져 차량 전후 방향으로 공조장치의 패키지 길이를 축소할 수 있다.The drive shaft of the first
공조케이스(110) 내부에는 후석 보조온도조절도어(174)가 더 구비된다. 후석 보조온도조절도어(174)는 공기 유동 방향으로 히터코어(130)의 하류 측 온풍통로(P2)와 후석 냉풍통로(P3) 사이의 개도를 조절한다. 즉, 후석 보조온도조절도어(174)는 공기 유동 방향으로 히터코어(130)의 하류 측 온풍통로(P2)와 후석 냉풍통로(P3)의 경계 부위에 배치된다.The auxiliary seating
후석 보조온도조절도어(174)가 공기 유동 방향으로 히터코어(130)의 하류 측 온풍통로(P2)와 후석 냉풍통로(P3)의 사이를 폐쇄하는 경우, 온풍통로(P2)와 후석 냉풍통로(P3)는 구획되며, 증발기(120)를 통과한 공기는 후석 냉풍통로(P3)를 통해 후석 공기토출구로 유동한다. 아울러, 후석 보조온도조절도어(174)가 공기 유동 방향으로 히터코어(130)의 하류 측 온풍통로(P2)와 후석 냉풍통로(P3)의 사이를 개방하는 경우, 증발기(120)를 통과한 후 히터코어(130)를 통과한 공기는 온풍통로(P2)에서 후석 냉풍통로(P3)로 유입되어 후석 공기토출구로 유동한다.When the rear auxiliary
제3 온도조절도어(173)는 공기 유동 방향으로 히터코어(130)의 상류 측 온풍통로(P2)와 후석 냉풍통로(P3) 사이의 개도를 조절한다. 제3 온도조절도어(173)와 보조 온도조절도어(174)가 모두 온풍통로(P2)를 폐쇄하는 경우, 증발기(120)를 통과한 공기는 제3 온도조절도어(173)의 제어만을 통해 다이렉트로 후석 공기토출구까지 유동한다. 즉, 제3 온도조절도어(173)와 후석 공기토출구의 사이 후석 냉풍통로(P3)에는 다른 도어는 구비되지 않는다.The third
후석 보조온도조절도어(174)는 제3 온도조절도어(173)를 보조하여 후석 공조 공기의 온도조절을 수행함과 아울러 제3 온도조절도어(173)와 함께 후석 온오프도어의 기능도 함께 수행한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종래기술에서 설명한 후석 온오프도어를 생략 가능하여 도어의 개수를 줄일 수 있는 것이다.The rear auxiliary
제1 온도조절도어(171), 제2 온도조절도어(172) 및 제3 온도조절도어(173)는 상하 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된다. 즉, 제1 온도조절도어(171)는 제2 온도조절도어(172)의 상부에 배치되고, 제2 온도조절도어(172)는 제3 온도조절도어(173)의 상부에 배치된다.The first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전후석 냉방 모드를 도시한 것이다.FIG. 5 shows a front and rear cooling mode of a vehicle air condition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조하면, 전후석 냉방 모드 시, 제1 온도조절도어(171)는 전석 냉풍통로(P1)를 개방하며, 제2 온도조절도어(172) 및 제3 온도조절도어(173)는 온풍통로(P2)를 폐쇄한다. 아울러, 제3 온도조절도어(173)는 후석 냉풍통로(P3)를 개방한다. 증발기(120)를 통과하며 차가워진 공기는 히터코어(130)를 바이패스하여 일부는 전석 냉풍통로(P1)를 지나 전석 공기토출구 중 적어도 하나로 토출되며, 다른 일부는 후석 냉풍통로(P3)를 지나 후석 공기토출구 중 적어도 하나로 토출된다. 이 경우, 후석 보조온도조절도어(174)는 공기 유동 방향으로 히터코어(130)의 하류측 온풍통로(P2)와 후석 냉풍통로(P3)의 사이를 폐쇄한다.5, the first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전후석 난방 모드를 도시한 것이다.FIG. 6 illustrates a front and rear heating mode of a vehicl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을 참조하면, 전후석 난방 모드 시, 제1 온도조절도어(171)는 전석 냉풍통로(P1)를 폐쇄하며, 제2 온도조절도어(172) 및 제3 온도조절도어(173)는 온풍통로(P2)를 개방한다. 아울러, 제3 온도조절도어(173)는 후석 냉풍통로(P3)를 폐쇄한다. 증발기(120)를 통과한 공기는 히터코어(130)를 통과하면서 가열된 후 일부는 상부로 이동하여 전석 공기토출구 중 적어도 하나로 토출되며, 다른 일부는 하부로 이동하여 후석 공기토출구 중 적어도 하나로 토출된다. 이 경우, 후석 보조온도조절도어(174)는 공기 유동 방향으로 히터코어(130)의 하류측 온풍통로(P2)와 후석 냉풍통로(P3)의 사이를 개방한다.6, the first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는 냉풍만 조절하는 1개의 도어와 온풍만 조절하는 2개의 도어, 총 3개의 온도조절도어를 구성함에 따라, 각 도어들이 공기통로 영역을 분할하여 자신만의 영역을 커버하면서 통로의 개도를 조절한다. 이로 인해, 각 도어의 회전 반경이 줄어들게 되어 차량 전후 방향으로 공조장치의 패키지 길이를 축소시킬 수 있다.The vehicl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hree doors for controlling temperature, one door for controlling only cold air and two doors for controlling only hot air, Thereby adjusting the opening degree of the passage. As a result, the turning radius of each door is reduced, and the package length of the air conditioner in the front-rear direction of the vehicle can be reduced.
또한, 본 발명은 3개의 온도조절도어의 조작을 통해, 전석 및 후석 토출 온도를 히터코어 측 유입 온도 및 풍량제어를 통해 안정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아울러, 3개의 온도조절도어가 상하 방향으로 정렬되기 때문에 히터코어 배치상 패키지의 이점이 있으며 유로의 확보가 용이하다. 즉, 기존의 전석 온도조절도어가 그 하부에 새로 추가된 제2 온도조절도어에 의해, 회전 반경을 작게 구성할 수 있고 기존의 위치보다 상부로 올라가게 배치할 수 있어 온풍통로(P2)의 급격한 굴곡 구간이 줄어들게 됨에 따라 풍량의 확보가 유리해진다.Fur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stably control the all-over seat and rear seat discharge temperature through the operation of the three temperature control doors through the inflow temperature and air flow rate control on the heater core side. In addition, since the three temperature control doors are arranged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re is an advantage of the package in the arrangement of the heater core, and the flow path can be easily secured. In other words, the conventional rolling door temperature control door can be configured to have a smaller turning radius by the second temperature control door newly added to the lower portion thereof, and can be arranged so as to be higher than the existing position, As the bending section is reduced, securing the air volume is advantageous.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는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업자라면 누구든지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Although the vehicle air-condition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shown in the drawing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embodiment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ly, the scope of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idea of the appended claims.
110: 공조케이스
111: 공기유입구
112: 디프로스트 벤트
113: 전석 페이스 벤트
114: 전석 플로어 벤트
115: 후석 페이스 벤트
116: 후석 플로어 벤트
120: 증발기
130: 히터코어
140: 전기식 히터
153: 디프로스트 도어
154: 벤트 도어
158: 후석 모드도어
171: 제1 온도조절도어
172: 제2 온도조절도어
173: 제3 온도조절도어
174: 후석 보조온도조절도어
P1: 전석 냉풍통로
P2: 온풍통로
P3: 후석 냉풍통로110: air conditioning case 111: air inlet
112: De-Frost Vents 113: Whole Face Face Vents
114: All floor floor vents 115: Facing face vents
116: top floor vent 120: evaporator
130: heater core 140: electric heater
153: Defrost door 154: Bent door
158: Barge mode door 171: First temperature control door
172: second temperature control door 173: third temperature control door
174: Auxiliary auxiliary temperature control door P1: All-purpose cold air passage
P2: Hot air passage P3: Hot air passage
Claims (10)
차량 전석 측으로 유동하는 냉풍의 통로 개도를 제어하는 제1 온도조절도어(171);
차량 전석 또는 후석 측으로 유동하는 온풍의 통로 개도를 제어하는 제2 온도조절도어(172); 및
차량 후석 측으로 유동하는 냉풍의 통로 개도를 제어하는 제3 온도조절도어(173)를 구비하는 차량용 공조장치.A cooling heat exchanger provided in the air passage of the air conditioner case and having a heat exchanger for exchanging heat with air passing through the air passage; and a heating heat exchanger,
A first temperature control door (171) for controlling the opening degree of the cold air flowing to the front seat side of the vehicle;
A second temperature control door (172) for controlling the passage opening degree of the heated air flowing to the front or rear side of the vehicle; And
And a third temperature control door (173) for controlling the opening degree of the cold air flowing to the back side of the vehicle.
상기 공조케이스(110) 내의 공기통로는, 냉각용 열교환기를 통과한 공기가 가열용 열교환기를 바이패스하여 차량 전석 측으로 유동되는 통로인 전석 냉풍통로(P1)와, 냉각용 열교환기를 통과한 공기가 가열용 열교환기를 바이패스하여 차량 후석 측으로 유동되는 통로인 후석 냉풍통로(P3)와, 냉각용 열교환기를 통과한 공기가 가열용 열교환기를 통과하여 차량 전석 또는 후석 측으로 유동되는 통로인 온풍통로(P2)로 이루어지는 차량용 공조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air passage in the air conditioning case (110) is provided with an all-around cool air passage (P1), which is a passage through which the ai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cooling heat exchanger bypasses the heating heat exchanger and flows to the vehicle front seat side, A cold air passage P3 which is a passage through which the heat exchanger for a vehicle flows and which flows to the rear side of the vehicle and a hot air passage P2 which is a passage through which air passing through the cooling heat exchanger passes through the heating heat exchanger The air conditioning system comprising:
상기 제1 온도조절도어(171), 제2 온도조절도어(172) 및 제3 온도조절도어(173)는 상하 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되는 차량용 공조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temperature control door (171), the second temperature control door (172), and the third temperature control door (173) are arranged in parallel in the vertical direction.
상기 제1 온도조절도어(171)는 전석 냉풍통로(P1)만의 개도를 조절하는 차량용 공조장치.3. The method of claim 2,
The first temperature control door (171) adjusts the opening degree of only the all-round cold air passage (P1).
상기 제2 온도조절도어(172)는 온풍통로(P2) 일부의 개도를 조절하는 차량용 공조장치.3. The method of claim 2,
The second temperature control door (172) adjusts the opening degree of a part of the warm air passage (P2).
상기 제3 온도조절도어(173)는 온풍통로(P2)의 다른 일부 및 후석 냉풍통로(P3)의 개도를 조절하는 차량용 공조장치.6. The method of claim 5,
The third temperature control door (173) regulates the opening of another part of the warm air passage (P2) and the open air passage (P3).
공기 유동 방향으로 상기 난방용 열교환기의 하류 측 온풍통로(P2)와 후석 냉풍통로(P3) 사이의 개도를 조절하는 후석 보조온도조절도어(174)를 구비하는 차량용 공조장치.3. The method of claim 2,
(174) for adjusting the opening degree between the downstream side warm air passage (P2) and the back side cold air passage (P3) of the heating heat exchanger in the air flow direction.
상기 제3 온도조절도어(173)는 공기 유동 방향으로 상기 난방용 열교환기의 상류 측 온풍통로(P2)와 후석 냉풍통로(P3) 사이의 개도를 조절하며,
상기 제3 온도조절도어(173)와 후석 보조온도조절도어(174)가 모두 온풍통로(P2)를 폐쇄하는 경우, 냉각용 열교환기를 통과한 공기는 상기 제3 온도조절도어(173)의 제어만을 통해 다이렉트로 후석 공기토출구까지 유동하는 차량용 공조장치.8. The method of claim 7,
The third temperature control door 173 adjusts the opening degree between the upstream side warm air passage P2 and the back side cold air passage P3 of the heating heat exchanger in the air flow direction,
When both the third temperature control door 173 and the rear auxiliary temperature control door 174 close the warm air passage P2, the air passing through the cooling heat exchanger is only controlled by the third temperature control door 173 To the air outlet.
상기 제1 온도조절도어(171)의 구동축은 가열용 열교환기의 상측에 위치하는 차량용 공조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the drive shaft of the first temperature control door (171) is located above the heat exchanger for heating.
상기 제2 온도조절도어(172) 및 제3 온도조절도어(173)의 구동축은 가열용 열교환기의 상하폭 안에 위치하는 차량용 공조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the drive shaft of the second temperature control door (172) and the third temperature control door (173) are located in the upper and lower widths of the heat exchanger for heating.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60262A KR102365007B1 (en) | 2017-05-16 | 2017-05-16 | Air conditioner for vehicl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60262A KR102365007B1 (en) | 2017-05-16 | 2017-05-16 | Air conditioner for vehicl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125687A true KR20180125687A (en) | 2018-11-26 |
KR102365007B1 KR102365007B1 (en) | 2022-02-21 |
Family
ID=646028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060262A Active KR102365007B1 (en) | 2017-05-16 | 2017-05-16 | Air conditioner for vehicl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365007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4502398A (en) * | 2019-11-08 | 2022-05-13 | 翰昂汽车零部件有限公司 | Air conditioner for vehicle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8189181A (en) * | 2007-02-06 | 2008-08-21 | Calsonic Kansei Corp | Air conditioner for vehicle |
KR20120138928A (en) * | 2011-06-16 | 2012-12-27 | 한라공조주식회사 | Car air conditioner |
KR20150088577A (en) | 2014-01-24 | 2015-08-03 |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 Air conditioner for vehicle |
-
2017
- 2017-05-16 KR KR1020170060262A patent/KR102365007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8189181A (en) * | 2007-02-06 | 2008-08-21 | Calsonic Kansei Corp | Air conditioner for vehicle |
KR20120138928A (en) * | 2011-06-16 | 2012-12-27 | 한라공조주식회사 | Car air conditioner |
KR20150088577A (en) | 2014-01-24 | 2015-08-03 |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 Air conditioner for vehicle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4502398A (en) * | 2019-11-08 | 2022-05-13 | 翰昂汽车零部件有限公司 | Air conditioner for vehicle |
CN114502398B (en) * | 2019-11-08 | 2025-02-25 | 翰昂汽车零部件有限公司 | Car air conditioning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365007B1 (en) | 2022-02-2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210056227A (en) | Air conditioner for vehicle | |
KR20220109787A (en) | Air conditioner for vehicle | |
KR101648124B1 (en) | Air conditioning system for vehicles | |
KR20180132214A (en) | Air conditioner for vehicle | |
KR101162696B1 (en) | Air conditioner for vehicles | |
KR20060027939A (en) | Automotive Console Air Conditioning Unit | |
KR20190044893A (en) | Air conditioner for vehicle | |
CN110576716B (en) | Air conditioner for vehicle | |
KR102663207B1 (en) | Apparatus for air-ventilation of vehic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 |
KR20180125687A (en) | Air conditioner for vehicle | |
KR102425352B1 (en) | Air conditioner for vehicle | |
KR20160135033A (en) | Air conditioner for vehicle | |
CN110871663B (en) | Air conditioner for vehicle | |
KR102739698B1 (en) | Air conditioner for vehicle | |
KR102533423B1 (en) | Air conditioner for vehicle | |
US11351840B2 (en) | Air conditioner for vehicle | |
KR101313583B1 (en) | Air conditioner for vehicle | |
KR20210105582A (en) | Air conditioner for vehicle | |
KR20150129883A (en) | Air conditioner for vehicle | |
KR102104529B1 (en) | Air conditioner for vehicle | |
KR20250016769A (en) | Air conditioner for vehicle | |
KR20200127663A (en) | Air conditioner for vehicle | |
JP6560636B2 (en) | Air conditioner for vehicles | |
KR101187287B1 (en) | Air conditioner for vehicles | |
KR101222511B1 (en) | Air conditioner for vehicle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0516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00318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70516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070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211130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210709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
|
AMND | Amendment | ||
PX0901 | Re-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211130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210906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
|
PX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220126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3S01D Patent event date: 20211229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211130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1S01I Patent event date: 20210906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2021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2021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