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210049289A - 창짝 개폐 연동형 방충망이 구비되는 창호 - Google Patents

창짝 개폐 연동형 방충망이 구비되는 창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49289A
KR20210049289A KR1020190133401A KR20190133401A KR20210049289A KR 20210049289 A KR20210049289 A KR 20210049289A KR 1020190133401 A KR1020190133401 A KR 1020190133401A KR 20190133401 A KR20190133401 A KR 20190133401A KR 20210049289 A KR20210049289 A KR 202100492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rail
frame
bar
guide bracke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334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701163B1 (ko
Inventor
김영삼
Original Assignee
(주)엘지하우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엘지하우시스 filed Critical (주)엘지하우시스
Priority to KR10201901334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701163B1/ko
Publication of KR202100492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49289A/ko
Priority to KR1020240104286A priority patent/KR202401248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7011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701163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2Device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insects, e.g. fly screens; Mesh windows for other purpos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2Device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insects, e.g. fly screens; Mesh windows for other purposes
    • E06B9/522Dimensionally adjustable fly scree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34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 E06B3/42Sliding wings; Details of frames with respect to guiding
    • E06B3/46Horizontally-sliding wings
    • E06B3/4609Horizontally-sliding wings for window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2Device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insects, e.g. fly screens; Mesh windows for other purposes
    • E06B2009/527Mounting of screens to window or door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2Device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insects, e.g. fly screens; Mesh windows for other purposes
    • E06B2009/528Screens extending between movable wing and fixed frame of window or do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Architecture (AREA)
  • Wing Frames And Configuration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창짝 개폐 연동형 방충망이 구비되는 창호에 관한 것으로써, 개시된 본 발명은 외창레일과 내창레일이 구비되는 창틀 프레임과, 상기 외창레일을 따라 슬라이딩 개폐되는 외창과 상기 내창레일을 따라 슬라이딩 개폐되는 내창으로 구성되는 창짝 및 상기 외창레일과 내창레일 사이에 설치되며, 창틀 프레임에 고정되는 고정바와, 상기 외창레일과 내창레일의 사이를 따라 이동되는 가동바 및 상기 고정바와 가동바 사이의 망부재로 구성된 방충망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 특징이다.

Description

창짝 개폐 연동형 방충망이 구비되는 창호{Window with insect screens that open and close with windows}
본 발명은 창짝과 연동되는 방충망이 구비된 창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창짝이 열리거나 닫힌 상태에서 방충망이 시야를 가리지 않도록 함으로써, 조망권을 확보하고,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창짝 개폐 연동형 방충망이 구비된 창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창호(窓戶)란 건물 내부를 외부와 차단하기 위해 창이나 출입구 등의 개구부(開口部)에 설치되는 각종의 창 또는 문을 말하는 것으로, 실내의 환기를 위해 설치되며, 창호를 통해 건물의 내부에서 외부를 확인할 수도 있다.
이러한 창호 중에서 슬라이딩 방식의 창호인 경우, 창짝의 핸들을 파지한 상태에서 창짝을 슬라이딩시키면 창짝의 하부에 장착되어 있는 롤러가 창틀 프레임 상의 레일을 따라서 이동되면서 창틀 프레임의 내측면과 멀어져 열리거나 창틀 프레임의 내측면에 닿아 멈추면서 닫히게 된다.
한편, 창호는 창짝의 개방시 외부로부터 모기와 같은 해충의 실내유입을 방지할 수 있도록 방충망이 더 포함되며, 이러한 방충망은 창틀 프레임에 설치된다.
그러나 종래의 방충망은 창틀 프레임에서 창짝의 바깥쪽에 설치되기 때문에 창짝과 방충망의 개폐가 이중으로 작동되어 사용에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방충망은 여름철과 같이 해충이 많은 계절적인 특성에 따라 사용기간이 정해져 있음에도 일년 내내 외기에 노출되어 있어 각종 먼지 등에 오염되기 쉽고 일기 변화에 따라 파손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아울러, 종래의 방충망은 창틀 프레임에 항상 설치되어 있음에 따라 창밖을 바라보는 재실자의 시야를 방해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허문헌 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91155호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방충망이 창짝과 함께 연동되도록 구성됨에 따라 방충망의 작동 편의성을 높이고, 방충망의 오염 및 파손을 방지하며, 방충망으로 인해 시야가 방해받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창짝 개폐 연동형 방충망이 구비되는 창호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위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될 필요는 없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구현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창짝 개폐 연동형 방충망이 구비되는 창호는 외창레일과 내창레일이 구비되는 창틀 프레임과,
상기 외창레일에 설치되는 외창과 상기 내창레일에 설치되는 창짝 및,
상기 외창레일과 내창레일 사이에 설치되며, 창틀 프레임의 내측둘레 일측에 설치되는 고정바와, 상기 외창레일과 내창레일의 사이에서 이동되는 가동바 및 상기 고정바와 가동바를 연결해주는 망부재로 구성된 방충망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더 바람직하게 상기 창틀 프레임의 내측둘레 측면쪽에 위치하는 외창레일과 내창레일 사이에 길이방향을 따라 가이드바가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바의 내부로 상기 가동바가 탈착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 상기 가동바의 내면에 상기 내창의 측면 프레임 선단이 걸리도록 걸림턱이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가동바의 걸림턱에 끼움홈이 형성되고, 상기 끼움홈으로 상기 내창의 측면 프레임 선단이 탈착 가능하게 끼워져 고정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가동바의 걸림턱과 상기 내창의 측면 프레임 선단에 자성체가 마주하여 각각 설치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 상기 망부재는 주름형태로 접철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 상기 창틀 프레임의 내측둘레 상면쪽에 위치하는 외창레일과 내창레일 사이에는 상기 망부재 상단의 이동을 안내할 수 있도록 상부 가이드브래킷이 설치되고, 상기 창틀 프레임의 내측둘레 저면쪽에 위치하는 외창레일과 내창레일 사이에는 상기 망부재 하단의 이동을 안내할 수 있도록 하부 가이드브래킷이 설치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상부 가이드브래킷은 일측에 간격조절구가 설치되어 상기 창틀 프레임 내측둘레 상면쪽 바닥면과의 간격이 조절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상부 가이드브래킷과 상기 하부 가이드브래킷은 슬라이드홈이 형성되고, 상기 망부재의 상단과 하단에는 각각 적어도 하나의 슬라이더가 구비되며, 상기 슬라이더의 끝단에는 상기 슬라이드홈에 선택적으로 끼워져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걸림구가 형성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슬라이드홈은 입구와, 상기 입구의 안쪽의 내부 공간으로 구성되며, 상기 걸림구는 회전 상태에 따라 상기 입구를 관통하여 상기 내부 공간으로 끼워지거나, 상기 내부 공간에서 상기 입구 안쪽에 걸려 빠져나오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창틀 프레임의 내측둘레 저면쪽의 외창레일과 내창레일 사이로 간격유지구가 설치되되, 상기 외창레일에 형성되는 배수홀과 일치되지 않도록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되고, 상기 간격유지구 상에 상기 하부 가이드브래킷이 설치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하부 가이드브래킷의 한쪽에는 고정홈이 형성되고, 상기 간격유지구는 상기 고정홈에 끼움 결합되는 고정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에 따른 본 발명의 창짝 개폐 연동형 방충망이 구비되는 창호는 방충망이 주름형태로 구성되어 일측은 창틀 프레임에 고정되고 타측은 개폐되는 창짝에 선택적으로 고정됨에 따라 창짝의 개폐과정에서 방충망이 창짝과 함께 작동되면서 방충망의 사용을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창짝을 폐쇄하게 되면 방충망이 접히는 상태가 되어 외부 노출에 따른 오염 및 파손을 방지할 수 있고, 방충망을 접힌 상태로 유지시켜 두면 창짝의 개폐와 관계없이 창짝을 통한 외부 시야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이 배가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아울러, 이와 같이 기재된 본 발명의 효과는 발명자의 인지 여부와 무관하게 기재된 내용의 구성에 의해 당연히 발휘되게 되는 것이므로 상술한 효과는 기재된 내용에 따른 몇 가지 효과일 뿐 발명자가 파악한 또는 실재하는 모든 효과를 기재한 것이라 인정되어서는 안 된다.
또한, 본 발명의 효과는 명세서의 전체적인 기재에 의해서 추가로 파악되어야 할 것이며, 설사 명시적인 문장으로 기재되어 있지 않더라도 기재된 내용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명세서를 통해 그러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인정할 수 있는 효과라면 본 명세서에 기재된 효과로 보아야 할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창짝 개폐 연동형 방충망이 설치된 창호를 나타낸 요부 평단면도이다.
도 2 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창짝 개폐 연동형 방충망이 설치된 창호를 나타낸 다른 요부 평단면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창짝 개폐 연동형 방충망이 설치된 창호를 나타낸 또 다른 요부 평단면도이다.
도 4 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창짝 개폐 연동형 방충망이 설치된 창호를 나타낸 요부 측단면도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창짝 개폐 연동형 방충망의 상단과 창틀 프레임 내면과의 간격을 조절해주는 간격조절구를 나타낸 요부 사시도이다.
도 6 의 (a)(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창짝 개폐 연동형 방충망의 상단과 창틀 프레임 내면과의 간격이 조절되는 전후과정을 나타낸 요부 측단면도이다.
도 7 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창짝 개폐 연동형 방충망의 상하단에 설치되는 슬라이더를 나타낸 요부 사시도이다.
도 8a 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창짝 개폐 연동형 방충망의 상하단에 설치된 슬라이더가 창틀 프레임에 설치되기 전 상태를 나타낸 요부 분리 사시도이다.
도 8b 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창짝 개폐 연동형 방충망의 상하단에 설치된 슬라이더가 창틀 프레임의 슬라이드공에 끼워진 상태를 나타낸 요부 평단면도이다.
도 9 a 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창짝 개폐 연동형 방충망의 상하단에 설치된 슬라이더가 창틀 프레임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요부 분리 사시도이다.
도 9b 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창짝 개폐 연동형 방충망의 상하단에 설치된 슬라이더가 창틀 프레임의 슬라이드공에 끼워진 후 회전되어 고정된 상태를 나타낸 요부 평단면도이다.
도 10 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창짝 개폐 연동형 방충망의 하단을 지지하여 창틀 프레임의 배수홀과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는 간격유지구를 나타낸 요부 측단면도이다.
도 1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창짝 개폐 연동형 방충망의 하단을 지지하여 창틀 프레임의 배수홀과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는 간격유지구를 타나낸 요부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내용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또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대해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로 표기되었음에 유의하여야 하며,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고,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판단될 필요가 있다.
우선, 본 발명에 따른 창짝 개폐 연동형 방충망이 구비되는 창호의 구성요소는 도 1 내지 3 에서와 같이 외창레일(110)과 내창레일(120)이 구비되는 창틀 프레임(100), 그러한 외창레일(110)과 내창레일(120)을 따라 이동되는 외창(210) 및 내창(220)으로 이루어진 창짝(200), 외창레일(110)과 내창레일(120) 사이에 설치되어 내창(220)과 연동되어 작동되는 방충망(300)으로 크게 구분될 수 있으며, 예시된 도면을 통해 구성요소를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창틀 프레임(100)은,
실내외를 구분하는 벽체 등에 설치되며, 창틀 프레임(100)의 내측둘레에 설치되는 후술될 창짝(200)을 지지해주고, 그러한 창짝(200)의 슬라이딩을 안내한다.
창틀 프레임(100)은 내측둘레에 창짝(200)의 슬라이딩을 위한 복수의 레일이 설치되는데, 구체적으로 바깥쪽에 외창레일(110)이 설치되고, 이격된 안쪽으로 내창레일(120)이 설치된다.
창짝(200)은,
전술한 창틀 프레임(100)의 내측둘레에 전후방향으로 겹쳐져 설치되는 외창(210)과 내창(220)을 포함하며, 외창(210)은 창틀 프레임(100)의 외창레일(110)에 설치되어 외창레일(110)을 따라 슬라이딩 작동되고, 내창(220)은 창틀 프레임(100)의 내창레일(120)에 설치되어 내창레일(120)을 따라 슬라이딩 작동되면서 이러한 내창(220)과 외창(210)의 작동상태에 따라 실내가 개폐될 수 있다.
창짝(200)은 구체적으로 외곽을 이루는 창짝 프레임과 그러한 창짝 프레임의 내부에 설치되는 유리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창짝 프레임의 외측둘레에는 전술한 창틀 프레임(100)의 레일이 결합되는 레일홈이 구비되고, 창짝 프레임의 하측에는 슬라이딩 작동을 도울 수 있도록 로울러 등이 설치될 수도 있다.
방충망(300)은,
전술한 창짝(200)과 함께 창틀 프레임(100)에 설치되어 창짝(200)이 개방될 때 개방된 부위에 위치되어 해충이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해주는 역할을 한다.
종래 방충망의 경우, 창짝의 바깥쪽에 위치하게 되는 창틀 프레임의 바깥쪽 방충망 레일에 설치됨에 따라 창짝의 개폐와 관계없이 항상 시야를 방해하게 되며, 외부에 전체적으로 노출되어 오염이나 손상이 쉽게 이루어지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 방충망의 단점이 해소될 수 있도록 방충망을 창짝과 연동시켜 창짝의 개폐에 따라 방충망이 펼쳐지거나 접어지도록 함으로써, 방충망에 의한 시야의 방해를 방지하고, 오염이나 손상 또한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방충망(300)의 실시 예를 도 1 내지 3 을 통해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방충망(300)은 고정바(310)와 가동바(330) 및 망부재(3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방충망은 외창레일(110)과 내창레일(120) 사이에 설치된다.
고정바(310)는 창틀 프레임(100)의 내측둘레에서 측면쪽에 위치하는 외창레일(110)과 내창레일(120)의 사이 바닥면에서 설치되며, 창틀 프레임(100)의 내측둘레 측면 상하 길이와 상응하는 길이로 구성될 수 있다.
고정바(310)와 마주하여 이격되는 가동바(330)는 고정바(310)와 상응한 길이를 가지며, 창틀 프레임(100)의 외창레일(110)과 내창레일(120)의 사이 길이방향을 따라 양방향 이동될 수 있다.
이격된 고정바(310)와 가동바(330)는 망부재(320)를 통해 연결되며, 망부재(320)의 한쪽 측면은 고정바(310)의 한쪽 측면과 연결되고, 망부재(320)의 다른 한쪽 측면은 가동바(330)의 한쪽 측면과 연결됨에 따라 고정바(310)와 펼쳐진 상태의 망부재(320)와 가동바(330)가 대략 사각형상을 이룬다.
도 2 에서와 같이 가동바(330)는 안쪽면에 걸림턱(321)이 돌출 형성될 수 있으며, 내창(220)이 폐쇄되기 위하여 내창(220)의 측면 프레임(221) 선단이 창틀 프레임(100)의 내측둘레 측면쪽으로 이동될 때 도 1 과 같이 내창(220)의 측면 프레임(221) 선단이 걸림턱(321)에 걸리게 된다.
즉, 도 3 과 같이 폐쇄상태의 내창(220)을 개방시키기 위하여 이동시킬 때 가동바(330)를 함께 이동시켜주면 접힌 상태의 망부재(320)가 펼쳐지게 되면서 내창(220)의 개방된 부위가 망부재(320)에 의해 차단되며, 개방된 상태의 내창(220)을 폐쇄시키기 위하여 이동시키면 내창(220)의 측면 프레임(221) 선단이 가동바(330)의 걸림턱(321)에 닿아 가동바(330)를 고정바(310)쪽으로 이동시켜줌에 따라 도 1 과 같이 펼쳐졌던 망부재(320)가 접히게 된다.
여기서, 내창(220)이 폐쇄되고 망부재(320)가 접힌 상태에서 내창(220)이 개방되는 경우, 사용자가 의도적으로 내창(220)과 함께 가동바(330)를 함께 파지하여 이동시키지 않으면 가동바(330)는 이동되지 않으므로 필요에 따라 가동바(330)는 그대로 둔 상태에서 도 2 와 같이 내창(220)만 개방시켜주면 망부재(320)가 가리지 않는 완전 개방상태가 될 수도 있다.
한편, 방충망(300) 사용의 편의를 위해 내창(220)이 개폐될 때 가동바(330)가 자연적으로 함께 이동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실시 예로, 걸림턱(321)을 탄성재질의 소재로 구성하여 가동바(330)에 결합시키고, 걸림턱(321)의 내창을 향하는 면에 끼움홈을 형성하게 되면, 내창(220)의 측면 프레임(221)이 가동바(330)로 이동될 때 내창(220)의 측면 프레임(221) 선단이 가동바(330)의 끼움홈에 탄력적으로 끼워지게 되므로 내창(220)의 측면 프레임(221)과 가동바(330)가 서로 고정되어 내창(220)의 개폐에 따라 가동바(330)가 함께 연동될 수도 있으며, 내창(220)의 측면 프레임(221)을 가동바(330)와 분리시켜 이동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가동바(330)의 끼움홈에 탄력적으로 끼워진 내창(220)의 측면 프레임(221)을 잡아당겨 간단하게 분리시킨 후 이동시킬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내창(220)의 측면 프레임(221) 선단이 가동바(330)의 끼움홈으로 직접 끼워지기는 어려우므로 내창(220)의 측면 프레임(221) 선단에 끼움구를 돌출 형성하고, 이러한 끼움구가 가동바(330)의 끼움홈에 끼워져 고정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내창(220)과 가동바(330)가 함께 연동되면 내창(220)이 개방되는 경우, 개방된 부위에 망부재(320)가 자연적으로 펼쳐져 개방된 부위가 차단하게 되고, 내창(220)이 폐쇄되면서 망부재(320)가 자연적으로 접히게 되어 망부재(320)의 오염이나 파손을 방지할 수 있고, 폐쇄된 내창(220)을 통한 외부 시야를 양호하게 확보할 수 있는 것이다.
방충망(300) 사용의 편의를 위해 내창(220)이 개폐될 때 가동바(330)가 자연적으로 함께 이동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다른 실시 예로, 도 1 내지 3 에 예시한 바와 같이 가동바(330)의 걸림턱(321)에서 내창(220)을 향하는 방향의 일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의 자성체(322)를 설치하고, 내창(220)의 측면 프레임(221) 선단 또한 걸림턱(321)의 자성체(322)와 마주하는 상응한 위치에 자성체(222)를 설치하여 자력에 의해 서로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여기서, 자성체(322)(222)는 외부에 노출될 수도 있지만, 공기 중 미세 철가루가 붙어 부식될 경우, 자성체(322)(222)의 표면이 쉽게 오염되어 자력에 의한 결합력이 약해질 수도 있으므로 자성체(322)(222)에 자력이 통과할 수 있는 연질의 얇은 보호커버를 감싸 설치하거나, 자성체(322)(222)를 걸림턱(321) 내부나 내창(220)의 측면 프레임(221) 선단 내부에 수용되도록 설치하여 자성체(322)(222)가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한편, 고정바(310)는 창틀 프레임(100)의 내측둘레 측면쪽에 위치한 외창레일(110)과 내창레일(120) 사이에 설치될 때, 창틀 프레임(100)의 내측둘레 측면쪽에 위치한 외창레일(110)과 내창레일(120) 사이의 바닥면에 직접 고정될 수도 있지만, 바람직하게 도 3 에서와 같이 외창레일(110)과 내창레일(120) 사이 상하 길이방향을 따라 "└┘" 형상의 가이드바(340)가 먼저 설치되고, 이러한 가이드바(340)에 고정바(310)를 끼워 고정시킴으로써, 고정바(310)가 가이드바(340)에서 탈착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여기서, 가동바(330)와 가이드바(340)의 끝단을 각각 연장시켜 연장부(331)(341)를 형성하면
ㅇㄹㅇㄹㅇㄹㅇㄹㅇㄹㅇㄹㅇㄹ
가동바(330)가 고정바(310)로 이동되면서 망부재(320)가 접힐 때 도 1 과 같이 연장부(331)(341)가 서로 근접되면서 접힌 망부재(320)가 외부에 노출되지 않고 가동바(330)와 가이드바(340)의 연장부(331)(341) 내에 수용되어 감춰짐에 따라 망부재(320)의 오염 및 손상을 방지하고, 전체적인 외관을 미려하게 할 수 있다.
아울러, 도 1 에 예시한 바와 같이 가동바(330)의 한쪽 연장부(331)를 단차지게 구부리면서 내면에 끼움홈(323)을 형성하게 되면, 망부재(320)가 접힐 때 가이드바(340)의 연장부(341)가 가동바(330)의 연장부(331)에 형성된 끼움홈(323)에 끼워지게 되면서 서로 고정될 수 있어 망부재(320)가 접힌 상태에서 가동바(330)가 불필요하게 이동되어 망부재(320)가 임의로 펼쳐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망부재(320)는 해충이 유입되지 않은 정도의 통공이 표면에 복수개 형성되고, 고정바(310)와 가동바(330) 사이에 설치되어 가동바(330)의 이동에 따라 펼쳐지거나 접힐 수 있도록 유연성을 가지는 재질로 구성된다.
망부재(320)는 예를 들어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는 주름이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면서 지그재그 형태로 구성되어 주름망 또는 자바라망으로 구성될 수 있다.
방충망(300)은 다른 실시 예로 도면으로 예시되지 않았지만 창틀 프레임(100)의 내측둘레 측면쪽에 위치한 외창레일(110)과 내창레일(120) 사이에 드럼 형태의 고정봉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이러한 고정봉에 망부재의 일단이 탄력적으로 수회 감겨지며, 망부재의 타단에는 가동바(330)가 설치되고, 가동바(330)는 내창(220)의 측면 프레임(221)에 걸려 고정되도록 구성하게 되면 창짝(200)의 개방을 위해 창짝(200)과 함께 가동바(330)가 창틀 프레임(100)의 외창레일(110)과 내창레일(120) 사이를 따라 이동될 때 고정봉으로부터 망부재가 풀리면서 망부재가 펼쳐지게 되고, 창짝(200)의 폐쇄를 위해 창짝(200)과 함께 가동바(330)가 반대쪽으로 이동되면 망부재는 고정봉에 다시 감겨지게 되는 것이다.
한편, 도 4 예시한 바와 같이 창틀 프레임(100)의 내측둘레 상면쪽 위치하는 외창레일(110)과 내창레일(120) 사이 및 창틀 프레임(100)의 내측둘레 저면쪽에 위치하는 외창레일(110)과 내창레일(120) 사이에는 망부재(320)의 상단 및 하단이 이동될 때 안내를 위한 "┌┐" 형상의 상부 가이드브래킷(130)과 "└┘" 형상의 하부 가이드브래킷(140)이 마주하여 각각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부 가이드브래킷(130)에는 내면 한쪽에 간격조절구가 체결되고 그러한 간격조절구(131)의 끝단은 창틀 프레임(100)의 내측둘레 상면쪽 외창레일(110)과 내창레일(120) 사이 바닥면에 접면되도록 하며, 상부 가이드브래킷(130)의 내면 다른 한쪽에는 창틀 프레임(100)의 내측둘레 상면쪽 외창레일(110)과 내창레일(120) 사이 바닥면에 나사(132)를 통해 체결될 수 있다.
여기서 간격조절구(131)와 나사(132)는 상부 가이드브래킷(130)의 내면에 직접 관통하도록 설치될 수도 있지만, 도 5 과 같이 간격조절 위치를 자유롭게 이동시킬 수 있도록 상부 가이드브래킷(130)의 한쪽 상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홈(135)을 형성하고, 그러한 설치홈(135)에 간격조절구(131)와 나사(132)가 체결될 수 있도록 체결공(134)이 각각 형성된 보조브래킷(133)이 끼워져 이동될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러한 간격조절구(131)의 필요는 창틀 프레임(100)의 정상적으로 시공된 경우에는 관계가 없으나, 도 6 의 (a)와 같이 시공 과정에서 창틀 프레임(100)의 상부가 들리는 경우, 망부재(320)의 상단과 상부 가이드브래킷(130)의 내면과의 간격이 크게 발생되어 해충의 유입될 수 있으며, 창틀 프레임(100)의 상부가 처지는 경우에는 망부재(320)의 상단이 상부 가이드브래킷(130)의 내면과 접촉되어 눌리게 되면서 망부재(320)의 펼침과 접힘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할 수도 있다.
따라서, 창틀 프레임(100)의 내측둘레 상면쪽 외창레일(110)과 내창레일(120) 사이 바닥면에 상부 가이드브래킷(130)을 고정시킬 때, 간격조절구(131)를 정회전 또는 역회전시키면서 상부 가이드브래킷(130)의 내면과 망부재(320)의 상단과의 간격을 도 6 의 (b)와 같이 적절하게 조절함으로써, 해충의 유입은 방지하고 망부재(320)의 펼침과 접힘시 망부재(320)의 상단과 상부 가이드브래킷(130) 내면과의 불필요한 간섭은 방지할 수 있도록 하며, 이와 같이 간격조절구(131)의 조절이 완료된 상태에서 상부 가이드브래킷(130)을 창틀 프레임(100)의 내측둘레 상면쪽 외창레일(110)과 내창레일(120) 사이 바닥면에 고정시키면 된다.
한편, 상부 가이드브래킷(130)과 하부 가이드브래킷(140)을 통해 망부재(320)의 상단과 하단이 보다 효과적으로 안내될 수 있도록 도 7 내지 도 9 에 예시한 바와 같이 상부 가이드브래킷(130)과 하부 가이드브래킷(140)에 슬라이드홈(150)을 각각 형성하고, 상기 망부재(320)의 상단과 하단 각각에는 슬라이더(350)를 적어도 하나 설치하며, 그러한 슬라이더(350)의 끝단에는 상부 가이드브래킷(130)과 하부 가이드브래킷(140)의 슬라이드홈(150)에 선택적으로 걸려 이동될 수 있는 걸림구(351)를 돌출시켜 형성할 수도 있다.
즉, 슬라이드홈(150)은 상부 가이드브래킷(130)과 하부 가이드브래킷(140)의 내면 다른 한쪽에 단차를 이루면서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의 폭을 가지는 입구(151) 및 그러한 입구(151)의 안쪽에 입구(151)보다 크게 형성되는 내부 공간(152)으로 구성되며, 슬라이더(350)의 걸림구(351)는 대략 직사각형이면서 단변(353)의 길이가 슬라이드홈(150)에 형성된 입구(151)의 폭보다 짧게 형성됨에 따라 걸림구(351)의 장변(352)을 슬라이드홈(150)의 길이방향과 평행하게 해주면 걸림구(351)가 슬라이드홈(150)의 입구(151)를 통해 끼워져 내부 공간(152)으로 이동될 수 있으며, 이러한 상태에서 걸림구(351)가 회전되어 장변(352)이 슬라이드홈(150)의 길이방향과 평행하지 않게 되면 걸림구(351)의 장변(352)이 슬라이드홈(150)에 형성된 입구(151)의 안쪽에 걸리는 상태가 되어 슬라이드홈(150)에 형성된 입구(151)를 통해 걸림구(351)는 이탈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망부재(320)를 망부재(320)의 상단과 하단에 고정된 슬라이더(350)를 이용하여 상부 가이드브래킷(130)과 하부 가이드브래킷(140)에 설치할 경우, 도 8 의 (a)(b)에서와 같이 외력을 가해 가동바(330)를 고정바(310)로부터 최대한 이격시켜 망부재(320)의 주름이 완전히 펴지도록 하면 슬라이더(350)에 형성된 걸림구(351)의 장변이 슬라이드홈(150)의 길이방향과 평행한 수평을 이루게 되므로 이러한 상태에서 걸림구(351)를 슬라이드홈(150)의 입구(151)를 통해 내부 공간(152)으로 끼운 다음, 망부재(320)의 주름이 완전히 펴지도록 가해졌던 외력을 제거하면 도 9 의 (a)(b)에서와 같이 망부재(320)의 주름들에 의해 망부재(320)가 기본적인 상태로 접히게 되면서 내부 공간(152)에 위치한 걸림구(351)의 장변(352)이 수평상태에서 경사지는 상태가 됨에 따라 걸림구(351)의 장변(352)이 슬라이드홈(150)의 입구(151)에 걸려 걸림구(351)가 슬라이드홈(150)에서 분리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
한편, 창틀 프레임(100)의 내측둘레 저면쪽에 하부 가이드브래킷(140)이 설치되면 창틀 프레임(100)의 내측둘레 저면쪽에 위치한 외창레일(110)의 배수홀(111)이 하부 가이드브래킷에 의해 가려질 수 있으므로 도 10 및 도 11 에서와 같이 창틀 프레임(100)의 내측둘레 저면쪽에 위치한 외창레일(110)과 내창레일(120) 사이에 배수홀(111)과 간섭되지 않도록 하나 이상의 간격유지구(160)를 설치하고, 이러한 간격유지구(160)에 하부 가이드브래킷(140)을 안착시켜 설치함에 따라 하부 가이드브래킷(140)에 의해 외창레일(110)의 배수홀(111)이 막히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아울러, 외창레일(110)의 배수홀(111)의 위치는 창틀 프레임(100)의 사양에 따라 위치가 다양할 수 있으므로 하부 가이드브래킷(140)에는 내면 한쪽에 길이방향을 따라 고정홈(141)을 형성하고, 간격유지구(160)의 상면에는 그러한 고정홈(141)에 끼워져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고정돌기(161)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한 설명을 하였으나, 기재된 내용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기재된 내용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질 필요는 없으며, 후술되는 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10 : 창틀 프레임 110 : 외창레일
111 : 배수홀 120 : 외창레일
130 :상부 가이드브래킷 131 : 간격조절구
132 : 나사 133 : 보조브래킷
134 : 체결공 135 : 설치홈
140 : 하부 가이드브래킷 141 : 고정홈
150 : 슬라이드홈 151 : 입구
152 : 내부 공간 160 : 간격유지구
161 : 고정돌기 200 : 창짝
210 : 외창 220 : 내창
221 : 측면 프레임 222, 322 : 자성체
300 : 방충망 310 : 고정바
320 : 망부재 323 : 끼움홈
330 : 가동바 331, 341 : 연장부
340 : 가이드바 350 : 슬라이더
351 : 걸림구 352 : 장변
353 : 단변

Claims (13)

  1. 외창레일(110)과 내창레일(120)이 구비되는 창틀 프레임(100);
    상기 외창레일(110)에 설치되는 외창(210)과 상기 내창레일(120)에 설치되는 내창(220)으로 구성되는 창짝(200); 및
    상기 외창레일(110)과 내창레일(120) 사이에 설치되며, 창틀 프레임(100)의 내측둘레 일측에 설치되는 고정바(310)와, 상기 외창레일(110)과 내창레일(120)의 사이에서 이동되는 가동바(330) 및 상기 고정바(310)와 가동바(330)를 연결해주는 망부재(320)로 구성된 방충망(300);
    을 포함하는 창짝 개폐 연동형 방충망이 구비되는 창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창틀 프레임(100)의 내측둘레 측면쪽에 위치하는 외창레일(110)과 내창레일(120) 사이에 길이방향을 따라 가이드바(340)가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바(340)의 내부로 상기 가동바(330)가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인 창짝 개폐 연동형 방충망이 구비되는 창호.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바(330)의 내면에 상기 내창(220)의 측면 프레임(221) 선단이 걸리도록 걸림턱(321)이 돌출 형성된 것인 창짝 개폐 연동형 방충망이 구비되는 창호.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바(330)의 걸림턱(321)에 끼움홈이 형성되고, 상기 끼움홈으로 상기 내창의 측면 프레임(221) 선단이 탈착 가능하게 끼워져 고정되는 것인 창짝 개폐 연동형 방충망이 구비되는 창호.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바(330)의 걸림턱(321)과 상기 내창(220)의 측면 프레임(221) 선단에 자성체(322)(222)가 마주하여 각각 설치되는 것인 창짝 개폐 연동형 방충망이 구비되는 창호.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망부재(320)는 주름형태로 접철되는 것인 창짝 개폐 연동형 방충망이 구비되는 창호.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창틀 프레임(100)의 내측둘레 상면쪽에 위치하는 외창레일(110)과 내창레일(120) 사이에는 상기 망부재(320) 상단의 이동을 안내할 수 있도록 상부 가이드브래킷(130)이 설치되고,
    상기 창틀 프레임(100)의 내측둘레 저면쪽에 위치하는 외창레일(110)과 내창레일(120) 사이에는 상기 망부재(320) 하단의 이동을 안내할 수 있도록 하부 가이드브래킷(140)이 설치된 것인 창짝 개폐 연동형 방충망이 구비되는 창호.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가이드브래킷은,
    일측에 간격조절구(131)가 설치되어 상기 창틀 프레임(100) 내측둘레 상면쪽 바닥면과의 간격이 조절되는 것인 창짝 개폐 연동형 방충망이 구비되는 창호.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가이드브래킷에는 설치홈이 형성되고,
    상기 설치홈으로 상기 간격조절구와 나사가 관통되는 체결공이 구비된 보조브래킷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인 창짝 개폐 연동형 방충망이 구비되는 창호.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가이드브래킷(130)과 상기 하부 가이드브래킷(140)은 슬라이드홈(150)이 형성되고,
    상기 망부재(320)의 상단과 하단에는 각각 적어도 하나의 슬라이더(350)가 구비되며, 상기 슬라이더(350)의 끝단에는 상기 슬라이드홈(150)에 선택적으로 끼워져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걸림구(351)가 형성된 것인 창짝 개폐 연동형 방충망이 구비되는 창호.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홈(150)은 입구(151)와, 상기 입구(151)의 안쪽의 내부 공간(152)으로 구성되며,
    상기 걸림구(351)는 회전 상태에 따라 상기 입구(151)를 관통하여 상기 내부 공간(152)으로 끼워지거나, 상기 내부 공간(152)에서 상기 입구(151) 안쪽에 걸려 빠져나오지 않도록 구성된 것인 창짝 개폐 연동형 방충망이 구비되는 창호.
  12.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창틀 프레임(100)의 내측둘레 저면쪽의 외창레일(110)과 내창레일(120) 사이로 간격유지구(160)가 설치되되, 상기 외창레일(110)에 형성되는 배수홀(111)과 일치되지 않도록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되고, 상기 간격유지구(160) 상에 상기 하부 가이드브래킷(140)이 설치되는 것인 창짝 개폐 연동형 방충망이 구비되는 창호.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가이드브래킷(140)의 한쪽에는 고정홈(141)이 형성되고, 상기 간격유지구(160)는 상기 고정홈(141)에 끼움 결합되는 고정돌기(161)가 형성된 것인 창짝 개폐 연동형 방충망이 구비되는 창호.
KR1020190133401A 2019-10-25 2019-10-25 창짝 개폐 연동형 방충망이 구비되는 창호 Active KR1027011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3401A KR102701163B1 (ko) 2019-10-25 2019-10-25 창짝 개폐 연동형 방충망이 구비되는 창호
KR1020240104286A KR20240124860A (ko) 2019-10-25 2024-08-06 창짝 개폐 연동형 방충망이 구비되는 창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3401A KR102701163B1 (ko) 2019-10-25 2019-10-25 창짝 개폐 연동형 방충망이 구비되는 창호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0104286A Division KR20240124860A (ko) 2019-10-25 2024-08-06 창짝 개폐 연동형 방충망이 구비되는 창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9289A true KR20210049289A (ko) 2021-05-06
KR102701163B1 KR102701163B1 (ko) 2024-09-02

Family

ID=75916185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3401A Active KR102701163B1 (ko) 2019-10-25 2019-10-25 창짝 개폐 연동형 방충망이 구비되는 창호
KR1020240104286A Pending KR20240124860A (ko) 2019-10-25 2024-08-06 창짝 개폐 연동형 방충망이 구비되는 창호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0104286A Pending KR20240124860A (ko) 2019-10-25 2024-08-06 창짝 개폐 연동형 방충망이 구비되는 창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70116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20035A (ko) 2022-02-08 2023-08-16 임성규 미서기 덧댐 이중 방충망 구조
KR20240010978A (ko) * 2022-07-18 2024-01-25 (주)다우솔루션 방충망인출용이장치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25017U (ko) * 1993-04-15 1994-11-17 주식회사 엘지화학 절첩식 방충망 슬라이더 구조
JPH0849483A (ja) * 1994-08-09 1996-02-20 Shin Nikkei Co Ltd 網 戸
KR970021629A (ko) * 1995-10-26 1997-05-28 남창완 커텐 겸 방충망을 구비한 슬라이딩 샤시창
KR101282736B1 (ko) * 2013-04-15 2013-07-05 김태경 자동청소기능을 가진 방충망의 설치구조
KR101291155B1 (ko) 2011-09-07 2013-07-31 김순석 방충망이 구비된 미서기창호
KR101663733B1 (ko) * 2016-03-25 2016-10-07 신해숙 높이 조절이 가능한 방범 미세방충망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25017U (ko) * 1993-04-15 1994-11-17 주식회사 엘지화학 절첩식 방충망 슬라이더 구조
JPH0849483A (ja) * 1994-08-09 1996-02-20 Shin Nikkei Co Ltd 網 戸
KR970021629A (ko) * 1995-10-26 1997-05-28 남창완 커텐 겸 방충망을 구비한 슬라이딩 샤시창
KR101291155B1 (ko) 2011-09-07 2013-07-31 김순석 방충망이 구비된 미서기창호
KR101282736B1 (ko) * 2013-04-15 2013-07-05 김태경 자동청소기능을 가진 방충망의 설치구조
KR101663733B1 (ko) * 2016-03-25 2016-10-07 신해숙 높이 조절이 가능한 방범 미세방충망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20035A (ko) 2022-02-08 2023-08-16 임성규 미서기 덧댐 이중 방충망 구조
KR20240010978A (ko) * 2022-07-18 2024-01-25 (주)다우솔루션 방충망인출용이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124860A (ko) 2024-08-19
KR102701163B1 (ko) 2024-09-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51044B1 (ko) 롤스크린 장치
KR20240124860A (ko) 창짝 개폐 연동형 방충망이 구비되는 창호
KR101871766B1 (ko) 방진 기능이 구비된 롤 타입 방충망
KR101996122B1 (ko) 막구조물의 버티컬 셔터
CN100595415C (zh) 具有遮蔽装置的窗户
KR20080029057A (ko) 햇빛가리개가 구비된 절첩식 방충망
KR102642124B1 (ko) 장력 조절이 가능한 주름 방충망
KR101778077B1 (ko) 출입문용 방범 도어
JPH06158961A (ja) 網戸装置
KR200246124Y1 (ko) 출입문용 방범창
KR101939680B1 (ko) 창짝 연동형 미세먼지 차단장치
JP5420291B2 (ja) 建物開口部用スクリーン装置
KR20180001066U (ko) 롤스크린을 구비한 방충문
JP2601691Y2 (ja) スラットカーテンの出入口構造
JPH04202991A (ja) 玄関扉用の小窓装置
KR102477901B1 (ko) 창문용 롤 방충망 장치
JP2002364267A (ja) ブラインド装置
JP5580039B2 (ja) 引き戸用換気装置
JP3199466U (ja) 連窓の外開き窓用平板スライド式網戸装置
JP3622077B2 (ja) 収納網戸
KR200213288Y1 (ko) 권취식 방충망
JP3609717B2 (ja) 巻取式網戸
JP4397280B2 (ja) 開口部装置
JPS5916477Y2 (ja) 小窓付きドア
KR20230120035A (ko) 미서기 덧댐 이중 방충망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1025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11103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91025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102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4061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4082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4082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