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34810A - Submarine drone system - Google Patents
Submarine drone system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10034810A KR20210034810A KR1020190116578A KR20190116578A KR20210034810A KR 20210034810 A KR20210034810 A KR 20210034810A KR 1020190116578 A KR1020190116578 A KR 1020190116578A KR 20190116578 A KR20190116578 A KR 20190116578A KR 20210034810 A KR20210034810 A KR 20210034810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rone
- capsule
- submarine
- type
- capsule body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Granted
Links
- 239000002775 capsul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3
- 239000013535 sea wat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5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9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304 fi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904 shorte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41000255925 Dipter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1515997 Eristalis tenax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459 approach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629 sup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466 transform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844 transform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G—OFFENSIVE OR DEFENSIVE ARRANGEMENTS ON VESSELS; MINE-LAYING; MINE-SWEEPING; SUBMARINES; AIRCRAFT CARRIERS
- B63G8/00—Underwater vessels, e.g. submarines; Equipment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63G8/38—Arrangement of visual or electronic watch equipment, e.g. of periscopes, of rada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G—OFFENSIVE OR DEFENSIVE ARRANGEMENTS ON VESSELS; MINE-LAYING; MINE-SWEEPING; SUBMARINES; AIRCRAFT CARRIERS
- B63G8/00—Underwater vessels, e.g. submarines; Equipment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63G8/04—Superstructur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G—OFFENSIVE OR DEFENSIVE ARRANGEMENTS ON VESSELS; MINE-LAYING; MINE-SWEEPING; SUBMARINES; AIRCRAFT CARRIERS
- B63G8/00—Underwater vessels, e.g. submarines; Equipment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63G8/28—Arrangement of offensive or defensive equipment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39/00—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C39/02—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 B64C39/024—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of the remote controlled vehicle type, i.e. RPV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70/00—Launching, take-off or landing arrangements
- B64U70/50—Launching from storage containers, e.g. from submarine missile tub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80/00—Transport or storage specially adapted for UAVs
- B64U80/80—Transport or storage specially adapted for UAVs by vehicles
- B64U80/84—Waterborne vehicles
-
- B64C2201/12—
-
- B64C2201/146—
-
- B64C2201/205—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2101/00—UAV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or applications
- B64U2101/15—UAV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or applications for conventional or electronic warfar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2101/00—UAV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or applications
- B64U2101/30—UAV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or applications for imaging, photography or videography
- B64U2101/31—UAV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or applications for imaging, photography or videography for surveillanc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2201/00—UAVs characterised by their flight controls
- B64U2201/20—Remote contro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Moving Bodies (AREA)
- Aiming, Guidance, Guns With A Light Source, Armor, Camouflage, And Targets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잠수함의 드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피탐 확률을 낮추기 위해 원거리에서 공격, 감시, 정찰이 가능하도록 잠수함에서 드론을 활용할 수 있는 잠수함의 드론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rone system of a submarine, and more particularly, to a drone system of a submarine that can use a drone in a submarine to enable attack, surveillance, and reconnaissance from a distance in order to lower the probability of detection.
주지된 바와 같이, 잠수함은 수중에서 은밀히 정찰, 감시 임무를 수행하는 무기체계이다. As is well known, a submarine is a weapon system that performs covert reconnaissance and surveillance missions underwater.
현대전에서 잠수함의 은밀성 때문에 그 소요가 날로 증가하는 추세이며, 특히 평상시 전쟁 억제 및 감시/정찰용으로 주로 사용된다.In modern warfare, due to the stealth of submarines, the demand is increasing day by day, and it is usually used mainly for war suppression and surveillance/reconnaissance.
이러한 잠수함 활동을 저지하기 위하여 상대국가(즉, 적국)는 잠수함을 탐지할 수 있는 음향센서를 근해 해저에 설치하거나, 대잠 헬기 및 정찰 함정 사용한다. In order to block such submarine activities, the other country (that is, the enemy country) installs acoustic sensors capable of detecting submarines on the sea floor, or uses anti-submarine helicopters and reconnaissance ships.
이 때문에, 잠수함이 적진 가까이 접근할 경우 피탐 가능성이 높고 이로 인한 국가간 마찰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 For this reason, if a submarine approaches an enemy enemy, it is highly likely to be detected, and there is a high possibility of friction between countries.
또한, 피탐 시 수중에서 빠른 속도로 위험지역을 회피하기에 곤란한 문제가 있다. 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difficult to avoid dangerous areas at high speed underwater during detection.
본 발명의 목적은 피탐 확률을 낮추기 위해 원거리에서 공격, 감시, 정찰이 가능하도록 잠수함에서 드론을 활용할 수 있는 잠수함의 드론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drone system for a submarine that can utilize a drone in a submarine to enable attack, surveillance, and reconnaissance from a distance in order to lower the probability of detection.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The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objects, and other object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that are not mentioned can be understood by the following description, and will be more clearly understood by example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it will be easily understood that the object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realized by the means shown in the claims and combinations thereof.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는 잠수함의 드론 시스템은, 잠수함에 구비된 발사관을 이용하여 드론을 발사하는 잠수함의 드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제1 드론을 내장하며, 잠수함의 수직발사관을 통해 사출되고, 사출 후 해수면 위로 상기 제1 드론을 외부로 비상시키는 제1 캡슐형 드론; 및 상기 제1 드론과 제1 연동 케이블로 연결되며, 상기 제1 드론에 경로 및 운용 정보를 입력하는 제1 드론 통제장치;를 포함한다. A drone system of a submarine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rone system of a submarine that launches a drone using a launch tube provided in a submarine, and contains a first drone, is ejected through the vertical launch tube of the submarine, and ejects A first capsule-type drone for flying the first drone to the outside above sea level afterwards; And a first drone control device connected to the first drone by a first interlocking cable and inputting route and operation information to the first drone.
상기 수직발사관은, 상기 제1 캡슐형 드론의 사출에 필요한 힘을 제공하는 제1 캐니스터; 상기 수직발사관의 내벽을 따라 상하로 구비되어, 상기 수직발사관 내에서의 상기 제1 캡슐형 드론의 이동 방향을 안내하는 제1 캡슐 가이드 레일; 상기 제1 캡슐형 드론의 사출 전 압력평형을 위한 해수 유입 경로의 개폐를 조절하는 제1 압력평형밸브; 및 상기 수직발사관의 출구에 위치하며 개폐 가능하게 형성되는 제1 해치;를 포함한다. The vertical launch tube includes: a first canister providing a force required for ejection of the first capsule-type drone; A first capsule guide rail provided up and down along the inner wall of the vertical emission tube to guide the movement direction of the first capsule type drone in the vertical emission tube; A first pressure balance valve for controlling opening and closing of a seawater inflow path for pressure balance before injection of the first capsule-type drone; And a first hatch positioned at the outlet of the vertical emission pipe and formed to be openable and closed.
상기 제1 캡슐형 드론은, 상기 제1 드론의 수납 공간을 제공하며 전체적으로 밀봉된 구조를 갖는 제1 캡슐 몸체; 및 상기 제1 캡슐 몸체의 선단에 구비되어 상기 제1 드론의 비상 시 개방 후 상기 제1 캡슐 몸체로부터 분리되는 제1 캡;을 포함한다. The first capsule-type drone includes: a first capsule body that provides a storage space for the first drone and has an entirely sealed structure; And a first cap provided at the front end of the first capsule body and separated from the first capsule body after opening when the first drone is in an emergency.
상기 제1 캡슐형 드론은, 상기 제1 캡슐 몸체의 외측에 구비되어 상기 제1 캡의 개방 시 공기를 주입 받아 상기 제1 캡슐 몸체를 해수면상에 부상시키는 제1 에어 튜브; 및 상기 제1 캡의 개방에 필요한 공기 압력을 제공하며, 상기 제1 에어 튜브에 공기를 공급하는 제1 가스발생기;를 포함한다. The first capsule-type drone includes: a first air tube provided outside the first capsule body to receive air when the first cap is opened and to float the first capsule body on the sea surface; And a first gas generator that provides air pressure required to open the first cap and supplies air to the first air tube.
상기 제1 캡슐형 드론은, 상기 제1 캡슐 몸체에 구비되며, 상기 제1 드론의 비상 후 상기 제1 캡슐 몸체의 내부에 해수를 유입시켜 상기 제1 캡슐 몸체를 가라앉게 해주는 제1 해수유입밸브; 및 상기 제1 캡슐 몸체의 하단에 구비되며, 상기 제1 캡슐 몸체가 해수면상에서 수직 방향으로 자세를 유지하도록 해주는 제1 중량체;를 포함한다. The first capsule-type drone is provided in the first capsule body, and a first seawater inlet valve to sink the first capsule body by introducing seawater into the inside of the first capsule body after the emergency of the first drone ; And a first weight body provided at a lower end of the first capsule body and configured to maintain a posture in a vertical direction on the sea surface of the first capsule body.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캡슐 몸체에 적어도 하나 구비되며, 해수면상의 공기와의 접촉 여부를 감지하여 상기 제1 캡을 개방시키는 에어 감지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Preferably, at least one air sensor is provided in the first capsule body, and may further include an air detection sensor configured to open the first cap by detecting contact with air on the sea level.
이에 더하여, 상기 제1 드론은 고정익 또는 회전익 드론 일 수 있다. 고정익 드론의 경우 프로펠러를 구비하여 동력을 제공받을 수 있다. 제1 드론은 겉 날개와 속 날개를 갖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겉 날개는 발사 전에 속 날개를 보관하며, 발사 시 펼쳐져 공중에서 양력을 제공한다. 속 날개는 제1 캡슐형 드론의 공간 활용을 높이기 위해 겉 날개의 내부에 설치될 수 있으며, 양력을 제공한다. In addition, the first drone may be a fixed-wing or rotary-wing drone. In the case of a fixed-wing drone, it can be powered by a propeller. The first drone may have an outer wing and an inner wing. The outer wing holds the inner wing before firing, and when fired, it expands to provide lift in the air. The inner wing can be installed inside the outer wing to increase the space utilization of the first capsule type drone, and provides lift.
한편, 제1 드론은 힌지를 구비하며, 힌지는 전, 후 날개는 힌지점을 기준으로 펼쳐지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Meanwhile, the first drone may have a hinge, and the hinge may have a structure in which the front and rear wings are spread based on the hinge point.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는 잠수함의 드론 시스템은, 제2 드론을 내장하며, 잠수함의 마스트를 통해 사출되고, 사출 후 해수면 위로 상기 제2 드론을 비상시키는 제2 캡슐형 드론; 및 상기 제2 드론과 제2 연동 케이블로 연결되며, 상기 제2 드론에 경로 및 운용 정보를 입력하는 제2 드론 통제장치;를 더 포함한다. On the other hand, the drone system of a submarin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econd capsule-type drone containing a second drone, ejected through the mast of the submarine, and flying the second drone above sea level after ejection; And a second drone control device connected to the second drone through a second interlocking cable and inputting route and operation information to the second drone.
상기 마스트는, 상기 제2 캡슐형 드론의 사출에 필요한 힘을 제공하는 제2 캐니스터; 상기 마스트의 발사관 내벽을 따라 상하로 구비되어, 상기 마스트 내에서의 상기 제2 캡슐형 드론의 이동 방향을 안내하는 제2 캡슐 가이드 레일; 상기 제2 캡슐형 드론의 사출 전 압력평형을 위한 해수 유입 경로의 개폐를 조절하는 제2 압력평형밸브; 및 상기 마스트의 발사관 출구에 위치하며 개폐 가능하게 형성되는 제2 해치;를 포함한다. The mast may include a second canister providing a force required for ejection of the second capsule-type drone; A second capsule guide rail provided up and down along an inner wall of the mast of the mast to guide the movement direction of the second capsule type drone in the mast; A second pressure balance valve for controlling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seawater inflow path for pressure balance before injection of the second capsule-type drone; And a second hatch positioned at the exit of the tube of the mast and formed to be opened and closed.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는 잠수함의 드론 시스템은 제3 드론을 내장하며, 잠수함의 수평발사관을 통해 사출되고, 사출 후 해수면 위로 상기 제3 드론을 비상시키는 제3 캡슐형 드론; 및 상기 제3 드론과 제3 연동 케이블로 연결되며, 상기 제3 드론에 경로 및 운용 정보를 입력하는 제3 드론 통제장치;를 더 포함한다. On the other hand, the drone system of a submarin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hird capsule type drone that embeds a third drone, is ejected through a horizontal launch tube of the submarine, and makes the third drone fly above sea level after ejection; And a third drone control device connected to the third drone through a third interlocking cable and inputting route and operation information to the third drone.
상기 수평발사관은, 상기 제3 캡슐형 드론의 사출에 필요한 힘을 제공하는 압축공기실린더; 상기 수평발사관의 내벽을 따라 전후로 구비되어, 상기 수평발사관 내에서의 상기 제3 캡슐형 드론의 이동 방향을 안내하는 제3 캡슐 가이드 레일; 상기 제3 캡슐형 드론의 사출 전 압력평형을 위한 해수 유입 경로의 개폐를 조절하는 제3 압력평형밸브; 및 상기 수평발사관의 출구에 위치하며 개폐 가능하게 형성되는 제3 해치;를 포함한다. The horizontal launch tube may include a compressed air cylinder that provides a force required for ejection of the third capsule-type drone; A third capsule guide rail provided back and forth along the inner wall of the horizontal launch tube to guide the movement direction of the third capsule-type drone in the horizontal launch tube; A third pressure balance valve for controlling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seawater inflow path for pressure balance before injection of the third capsule-type drone; And a third hatch positioned at the outlet of the horizontal launch pipe and formed to be openable and closed.
상기 제3 캡슐형 드론은, 상기 제3 드론의 수납 공간을 제공하며 전체적으로 밀봉된 구조를 갖는 제3 캡슐 몸체; 및 상기 제3 캡슐 몸체의 선단에 구비되어 상기 제3 드론의 비상 시 개방 후 상기 제3 캡슐 몸체로부터 분리되는 제3 캡;을 포함한다. The third capsule-type drone may include a third capsule body providing a storage space for the third drone and having an entirely sealed structure; And a third cap provided at a front end of the third capsule body and separated from the third capsule body after opening when the third drone is in an emergency.
이에 더하여, 상기 제3 캡슐형 드론은, 상기 제3 캡슐 몸체의 외측에 구비되어 상기 제3 캡의 개방 시 공기를 주입 받아 상기 제3 캡슐 몸체를 해수면상에 부상시키는 제3 에어 튜브; 및 상기 제3 캡의 개방에 필요한 공기 압력을 제공하며, 상기 제3 에어 튜브에 공기를 공급하는 제3 가스발생기;를 포함한다. In addition, the third capsule-type drone may include a third air tube provided outside the third capsule body to receive air when the third cap is opened to float the third capsule body on the sea surface; And a third gas generator that provides air pressure required to open the third cap and supplies air to the third air tube.
그리고 상기 제3 캡슐형 드론은, 상기 제3 캡슐 몸체에 구비되며, 상기 제3 드론의 비상 후 상기 제3 캡슐 몸체의 내부에 해수를 유입시켜 상기 제3 캡슐 몸체를 가라앉게 해주는 제3 해수유입밸브; 및 상기 제3 캡슐 몸체의 하단에 구비되며, 상기 제3 캡슐 몸체가 해수면상에서 수직 방향으로 자세를 유지하도록 해주는 제3 중량체;를 포함한다.And the third capsule type drone is provided in the third capsule body, and after the flight of the third drone, a third seawater inflow that allows seawater to flow into the interior of the third capsule body to sink the third capsule body. valve; And a third weight provided at a lower end of the third capsule body and configured to maintain a posture in a vertical direction on the sea level of the third capsule body.
본 발명에 의하면 피탐 확률을 낮추기 위해 원거리에서 공격, 감시, 정찰이 가능하도록 잠수함에서 드론을 활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드론은 소형으로 인해 피탐 가능성이 낮고, 적진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지점에서 전개가 가능하므로 잠수함의 은닉성을 극대화 할 수 있다. 또한, 기존 잠수함이 보유한 각종 무기체계 및 센서에 비해 비용이 매우 낮은 장점이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a drone can be used in a submarine to enable attack, surveillance, and reconnaissance from a distance in order to lower the probability of detection. Due to its small size, the possibility of detection is low, and since it can be deployed at a point far from the enemy, it can maximize the concealment of the submarine. In addition, it has the advantage of being very low in cost compared to various weapon systems and sensors possessed by existing submarines.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유리한 기술적 효과가 있다. 첫째, 드론은 비용 대비 효과 측면에서 매우 활용도가 높은 장점이 있다. 둘째, 드론은 소형으로 육안 및 레이더로 탐지가 어려워 적진 깊숙이 침투하여 원하는 정보를 확보 및 전송 가능하고, 전략 목표 타격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셋째, 드론 캡슐은 기존 발사관에 호환 가능토록 하여 개조 범위를 최소화 하여 개발 기간을 단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넷째, 발사 후 드론 캡슐을 물속에 가라앉혀 적에게 탐지될 가능성을 줄일 수 있다. Specifical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are advantageous technical effects as follows. First, drones have the advantage of being very useful in terms of cost-effectiveness. Second, drones are small and difficult to detect with the naked eye or radar, so they can penetrate deep into the enemy area to secure and transmit desired information, and have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hit strategic targets. Third, the drone capsule has the advantage of shortening the development period by minimizing the range of modifications by making it compatible with the existing launch tube. Fourth, the possibility of detection by an enemy can be reduced by submerging the drone capsule in water after launch.
상술한 효과와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In addition to the above-described effects, specific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together with explanation of specific matters for carrying out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잠수함의 드론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는 잠수함의 드론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1 is a diagram showing a drone system of a submar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diagram showing a drone system of a submarin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가리키는 것으로 사용된다.The above-described 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will be described later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accordingly, a person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ll be able to easily implemen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known technology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drawing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to indicate the same or similar elements.
이하에서 구성요소의 "상부 (또는 하부)" 또는 구성요소의 "상 (또는 하)"에 임의의 구성이 배치된다는 것은, 임의의 구성이 상기 구성요소의 상면 (또는 하면)에 접하여 배치되는 것뿐만 아니라, 상기 구성요소와 상기 구성요소 상에 (또는 하에) 배치된 임의의 구성 사이에 다른 구성이 개재될 수 있음을 의미할 수 있다.Hereinafter, the "top (or bottom)" of the component or the "top (or bottom)" of the component means that an arbitrary component is arranged in contact with the top (or bottom) of the component. In addition, it may mean that other components may be interposed between the component and any component disposed on (or under) the component.
또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상기 구성요소들은 서로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요소가 "개재"되거나, 각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를 통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In addition, when a component is described as being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the components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each other, but other components are "interposed" between each component. It is to be understood that "or, each component may be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through other components.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잠수함의 드론 시스템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a drone system of a submar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수직발사관 및 마스트를 통해 발사 가능한 잠수함의 드론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 추가적으로 수평발사관을 통해 발사 가능한 잠수함의 드론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1 is a view showing a drone system of a submarine capable of launching through a vertical launch tube and a mas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drone of a submarine capable of launching through a horizontal launch tube in addition to the embodiment shown in FIG. 1 It is a diagram showing the system.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는 잠수함의 드론 시스템(1000)은 수직발사관 드론 발사장치(100), 마스트 드론 발사장치(200), 및 수평발사관 드론 발사장치(300)를 포함한다. As shown, the
다시 말해, 잠수함(10)에 기 적용된 수직발사관(120), 다목적 마스트(220), 수평발사관(320)을 통해 발사 가능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캡슐형 드론(130, 230, 330)을 포함한다. 여기서, 드론은 임무 목적에 적합한 고정익 또는 회전익 드론을 이용할 수 있으며, 특정 형태로 제한되지는 않는다. In other words, it includes at least one capsule-type drone (130, 230, 330) capable of launching through the
수직발사관 드론 발사장치(100)는 제1 드론 통제장치(110), 수직발사관(120), 제1 캡슐형 드론(130)을 포함한다. The vertical launch tube
제1 드론 통제장치(110)는 상기 제1 드론(133)과 제1 연동 케이블(111)로 연결되며, 상기 제1 드론(133)에 경로 및 운용 정보를 입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The first
제1 캡슐형 드론(130)은 제1 드론(133)을 내장하며, 잠수함(10)의 수직발사관(120)을 통해 사출된다. The first capsule-
제1 캡슐형 드론(130)은 사출 후 해수면 위로 상기 제1 드론(133)을 외부로 비상, 즉 발사시킨다. The first capsule-
수직발사관(120)은 제1 캐니스터(121), 제1 캡슐 가이드 레일(123), 제1 압력평형밸브(125), 제1 해치(127)를 포함한다. The
제1 캐니스터(121)는 제1 캡슐형 드론(130)의 사출에 필요한 힘을 제공한다. The
제1 캡슐 가이드 레일(123)은 수직발사관(120)의 내벽을 따라 상하로 구비되어, 수직발사관(120) 내에서의 제1 캡슐형 드론(133)의 이동 방향을 안내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The first
제1 압력평형밸브(125)는 제1 캡슐형 드론(130)의 사출 전 압력평형을 위한 해수 유입 경로의 개폐를 조절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The first
제1 해치(127)는 수직발사관(120)의 출구에 위치하며 개폐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제1 해치(127)의 개폐 시 제1 캡슐형 드론(130)은 함 외부로 사출될 수 있다. The
제1 캡슐형 드론(130)은 제1 캡슐 몸체(131), 제1 캡(132), 제1 드론(133), 제1 가스발생기(134), 제1 에어 튜브(135), 제1 해수유입밸브(136), 제1 중량체(137)를 포함한다. The first capsule-
제1 캡슐 몸체(131)는 제1 드론(133)의 수납 공간을 제공한다. 그리고 제1 캡슐 몸체(131)는 전체적으로 밀봉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The
제1 캡(132)은 제1 캡슐 몸체(131)의 선단에 구비되어 상기 제1 드론(133)의 비상 시 개방 후 상기 제1 캡슐 몸체(131)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The
제1 드론(133)은 도시된 바로는 고정익 드론 형태로 이용되는데,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다양한 드론 형태를 이용할 수 있다.The
제1 에어 튜브(135)는 제1 캡슐 몸체(131)의 외측에 구비되어 상기 제1 캡(132)의 개방 시 공기를 주입 받아 상기 제1 캡슐 몸체(131)를 해수면상에 부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The
제1 가스발생기(134)는 제1 캡(132)의 개방에 필요한 공기 압력을 제공할 수 있다. 이와 함께, 제1 에어 튜브(135)에 공기를 공급하여 제1 에어 튜브를 팽창시킬 수 있다. The
제1 해수유입밸브(136)는 제1 캡슐 몸체(131)에 구비되며, 제1 드론(133)의 비상 후 제1 캡슐 몸체(131)의 내부에 해수를 유입시켜 제1 캡슐 몸체(131)를 수중으로 가라앉도록 해준다. The first
제1 중량체(137)는 상기 제1 캡슐 몸체(131)의 하단에 구비되며, 제1 캡슐 몸체(131)가 해수면상에서 수직 방향으로 자세를 유지하도록 해준다. The
바람직하게는, 에어 감지센서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에어 감지센서는 제1 캡에 근접하여 위치할 수 있는데, 제1 캡슐 몸체(131)에 적어도 하나 구비될 수 있다. 에어 감지센서는 해수면상의 공기와의 접촉 여부를 감지하여 상기 제1 캡(132)을 개방시킬 수 있다. Preferably, an air sensor may be further provided. The air detection sensor may be located close to the first cap, and at least one air sensor may be provided on the
이에 더하여, 제1 드론(133)은 고정익 또는 회전익 드론 일 수 있다. 고정익 드론의 경우 프로펠러를 구비하여 동력을 제공받을 수 있다. In addition, the
제1 드론(133)은 겉 날개와 속 날개를 갖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겉 날개는 발사 전에 속 날개를 보관하며, 발사 시 펼쳐져 공중에서 양력을 제공한다. 속 날개는 제1 캡슐형 드론(130)의 공간 활용을 높이기 위해 겉 날개의 내부에 설치될 수 있으며, 양력을 제공한다. The
한편, 제1 드론(133)은 힌지를 구비하며, 힌지는 전, 후 날개는 힌지점을 기준으로 펼쳐지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1을 참조하면, 제1 캡슐 몸체(131)로부터 발사되어 공중으로 비상하는 제1 드론(133')의 형상을 확인할 수 있다. Meanwhile, the
예컨대, 제1 캡슐형 드론(130)이 해수면의 공기와 접촉하면 에어 감지센서가 작동하여 제1 캡(132)이 개방된다. 이와 동시에 제1 가스발생기(134)가 작동하여 제1 에어 튜브(135)에 공기가 주입되어 해수면 상에 안정적으로 서 있을 수 있다. For example, when the first capsule-
제1 드론(133)이 발사된 이후, 또는 설정 시간 이내에 제1 드론(133)의 발사가 수행되지 못한 경우에는, 적에게 피탐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제1 캡슐 몸체(131)의 하부에 위치한 제1 해수유입밸브(136)를 이용하여 해수를 유입시킨다. 이로써, 제1 캡슐형 드론(130)은 수명 아래로 가라앉을 수 있다. After the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는 잠수함의 드론 시스템(1000)은, 마스트 드론 발사장치(2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Meanwhile, the
마스트 드론 발사장치(200)는 제2 드론을 내장하며, 잠수함의 마스트를 통해 사출되고, 사출 후 해수면 위로 상기 제2 드론을 비상시키는 제2 캡슐형 드론(230)과 제2 드론과 제2 연동 케이블(211)로 연결되며, 제2 드론에 경로 및 운용 정보를 입력하는 제2 드론 통제장치(210)를 더 포함한다. The mast
이때, 마스트(220)는 제2 캡슐형 드론(230)의 사출에 필요한 힘을 제공하는 제2 캐니스터(221), 마스트의 발사관 내벽을 따라 상하로 구비되어, 마스트 내에서의 제2 캡슐형 드론(230)의 이동 방향을 안내하는 제2 캡슐 가이드 레일(223)을 포함한다. At this time, the
또한, 마스트(220)는 제2 캡슐형 드론(230)의 사출 전 압력평형을 위한 해수 유입 경로의 개폐를 조절하는 제2 압력평형밸브(225)와, 제2 해치(227)를 더 포함한다. In addition, the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는 잠수함의 드론 시스템(1000)은 수평발사관 드론 발사장치(300)를 더 포함한다. On the other hand, the
수평발사관 드론 발사장치(300)는 제3 드론(333)을 내장하며, 잠수함의 수평발사관(320)을 통해 사출되고, 사출 후 해수면 위로 제3 드론(333)을 비상시키는 제3 캡슐형 드론(330)과, 제3 드론(333)과 제3 연동 케이블(311)로 연결되며, 제3 드론(333)에 경로 및 운용 정보를 입력하는 제3 드론 통제장치(310)를 더 포함한다. The horizontal launcher
수평발사관(320)은 제3 캡슐형 드론(330)의 사출에 필요한 힘을 제공하는 압축공기실린더(321)와, 수평발사관(320)의 내벽을 따라 전후로 구비되어, 수평발사관(320) 내에서의 제3 캡슐형 드론(330)의 이동 방향을 안내하는 제3 캡슐 가이드 레일(323)을 포함한다. 그리고 제3 압력평형밸브(325)와 제3 해치(327)를 더 포함한다. The
제3 압력평형밸브(325)는 제3 캡슐형 드론(330)의 사출 전 압력평형을 위한 해수 유입 경로의 개폐를 조절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제3 해치(327)는 수평발사관(320)의 출구에 위치하며 개폐 가능하게 형성된다. The third
또한, 제3 캡슐형 드론(33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익 드론을 적층하여 보관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In addition, the third capsule-
제3 캡슐형 드론(330)은 제3 캡슐 몸체(331), 제3 캡(332), 제3 에어 튜브(335), 제3 가스발생기(334), 제3 해수유입밸브(336), 제3 중량체(337)를 포함한다(도 2 참조).The third
제3 캡슐 몸체(331)는 제3 드론(333)의 수납 공간을 제공하며 전체적으로 밀봉된 구조를 갖는다. The
제3 드론(333)이 회전익 드론 일 경우 제3 캡슐 몸체(331) 내에서 길이 방향으로 다수 개가 적층 보관될 수 있어 여러 대의 드론을 발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When the
제3 캡(332)은 제3 캡슐 몸체(331)의 선단에 구비되어 제3 드론(333)의 비상 시 개방 후 상기 제3 캡슐 몸체(331)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The
제3 에어 튜브(335)는 상기 제3 캡슐 몸체(331)의 외측에 구비되어 제3 캡(332)의 개방 시 공기를 주입 받아 제3 캡슐 몸체(331)를 해수면상에 부상시킨다. 그리고 제3 가스발생기(334)와, 제3 해수유입밸브(336)와, 제3 중량체(337)는 전술한 제1 가스발생기(134), 제1 해수유입밸브(336), 제1 중량체(137)와 동일한 기능을 갖는 구성으로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The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에 따르면 잠수함의 피탐 확률을 낮추기 위해 원거리에서 공격, 감시, 정찰이 가능하도록 잠수함에서 드론을 활용할 수 있다. 드론은 소형으로 인해 피탐 가능성이 낮고, 적진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지점에서 전개가 가능하므로 잠수함의 은닉성을 극대화 할 수 있다. 또한, 기존 잠수함이 보유한 각종 무기체계 및 센서에 비해 비용이 매우 낮은 장점이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 drone can be used in a submarine to enable attack, surveillance, and reconnaissance from a distance in order to lower the probability of detection of the submarine. Due to its small size, the possibility of detection is low, and since it can be deployed at a point far from the enemy, it is possible to maximize the concealment of the submarine. In addition, it has the advantage of being very low in cost compared to various weapon systems and sensors possessed by existing submarines.
구체적으로는 다음과 같은 유리한 기술적 효과가 있다. 첫째, 드론은 비용 대비 효과 측면에서 매우 활용도가 높은 장점이 있다. 둘째, 드론은 소형으로 육안 및 레이더로 탐지가 어려워 적진 깊숙이 침투하여 원하는 정보를 확보 및 전송 가능하고, 전략 목표 타격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셋째, 드론 캡슐은 기존 발사관에 호환 가능토록 하여 개조 범위를 최소화 하여 개발 기간을 단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넷째, 발사 후 드론 캡슐을 물속에 가라앉혀 적에게 탐지될 가능성을 줄일 수 있다. Specifically, there are advantageous technical effects as follows. First, drones have the advantage of being very useful in terms of cost-effectiveness. Second, drones are small and difficult to detect with the naked eye or radar, so they can penetrate deep into the enemy area to secure and transmit desired information, and have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hit strategic targets. Third, the drone capsule has the advantage of shortening the development period by minimizing the range of modifications by making it compatible with the existing launch tube. Fourth, the possibility of detection by an enemy can be reduced by submerging the drone capsule in water after launch.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대해서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자명하다. 아울러 앞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면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작용 효과를 명시적으로 기재하여 설명하지 않았을지라도, 해당 구성에 의해 예측 가능한 효과 또한 인정되어야 함은 당연하다.As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illustrated for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embodiments and drawings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various by a person skilled in the art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obvious that transformations can be made. In addition, even if not explicitly described and described the operational effects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hile describing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bove, it is natural that the predictable effect by the configuration should also be recognized.
1000: 잠수함의 드론 시스템
10: 잠수함
100: 수직발사관 드론 발사장치
110: 제1 드론 통제장치
111: 제1 연동 케이블
120: 수직발사관
121: 제1 캐니스터
123: 제1 캡슐 가이드 레일
125: 제1 압력평형밸브
127: 제1 해치
130: 제1 캡슐형 드론
131: 제1 캡슐 몸체
132: 제1 캡
133, 133': 고정익 드론
134: 제1 가스발생기
135: 제1 에어 튜브
136: 제1 해수유입밸브
137: 제1 중량체
200: 마스트 드론 발사장치
210: 제2 드론 통제장치
211: 제2 연동 케이블
220: 수직발사관
221: 제2 캐니스터
223: 제2 캡슐 가이드 레일
225: 제2 압력평형밸브
227: 제2 해치
230: 제2 캡슐형 드론
300: 수평발사관 드론 발사장치
310: 제3 드론 통제장치
311: 제3 연동 케이블
320: 수평발사관
321: 압축공기실린더
323: 제3 캡슐 가이드 레일
325: 제3 압력평형밸브
327: 제3 해치
330: 제3 캡슐형 드론
331: 제3 캡슐 몸체
332: 제3 캡
333: 회전익 드론
334: 제3 가스발생기
335: 제3 에어 튜브
336: 제3 해수유입밸브
337: 제3 중량체1000: Submarine's drone system
10: submarine
100: vertical launcher drone launcher
110: first drone control device
111: first interlocking cable
120: vertical launcher
121: first canister
123: first capsule guide rail
125: first pressure balancing valve
127: first hatch
130: first capsule type drone
131: first capsule body
132: first cap
133, 133': fixed-wing drone
134: first gas generator
135: first air tube
136: first seawater inlet valve
137: first weight body
200: Mast drone launcher
210: second drone control device
211: second interlocking cable
220: vertical launcher
221: second canister
223: second capsule guide rail
225: second pressure balancing valve
227: second hatch
230: second capsule type drone
300: horizontal launcher drone launcher
310: 3rd drone control device
311: third interlocking cable
320: horizontal launcher
321: compressed air cylinder
323: third capsule guide rail
325: third pressure balancing valve
327: third hatch
330: third capsule type drone
331: third capsule body
332: third cap
333: rotorcraft drone
334: third gas generator
335: third air tube
336: third seawater inlet valve
337: third weight body
Claims (10)
제1 드론을 내장하며, 잠수함의 수직발사관을 통해 사출되고, 사출 후 해수면 위로 상기 제1 드론을 외부로 비상시키는 제1 캡슐형 드론; 및
상기 제1 드론과 제1 연동 케이블로 연결되며, 상기 제1 드론에 경로 및 운용 정보를 입력하는 제1 드론 통제장치;
를 포함하는 잠수함의 드론 시스템.
It relates to a drone system of a submarine that launches a drone using a launch tube provided in a submarine,
A first capsule-type drone containing a first drone, ejected through a vertical launch tube of a submarine, and flying the first drone to the outside above sea level after ejection; And
A first drone control device connected to the first drone by a first interlocking cable and inputting route and operation information to the first drone;
Submarine drone system comprising a.
상기 수직발사관은,
상기 제1 캡슐형 드론의 사출에 필요한 힘을 제공하는 제1 캐니스터;
상기 수직발사관의 내벽을 따라 상하로 구비되어, 상기 수직발사관 내에서의 상기 제1 캡슐형 드론의 이동 방향을 안내하는 제1 캡슐 가이드 레일;
상기 제1 캡슐형 드론의 사출 전 압력평형을 위한 해수 유입 경로의 개폐를 조절하는 제1 압력평형밸브; 및
상기 수직발사관의 출구에 위치하며 개폐 가능하게 형성되는 제1 해치;
를 포함하는 잠수함의 드론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vertical launch tube,
A first canister providing a force required for ejection of the first capsule-type drone;
A first capsule guide rail provided up and down along the inner wall of the vertical launch tube to guide the movement direction of the first capsule type drone in the vertical launch tube;
A first pressure balance valve for controlling opening and closing of a seawater inflow path for pressure balance before injection of the first capsule-type drone; And
A first hatch positioned at the outlet of the vertical emission pipe and formed to be openable and closed;
Submarine drone system comprising a.
상기 제1 캡슐형 드론은,
상기 제1 드론의 수납 공간을 제공하며 전체적으로 밀봉된 구조를 갖는 제1 캡슐 몸체; 및
상기 제1 캡슐 몸체의 선단에 구비되어 상기 제1 드론의 비상 시 개방 후 상기 제1 캡슐 몸체로부터 분리되는 제1 캡;
을 포함하는 잠수함의 드론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2,
The first capsule type drone,
A first capsule body providing a storage space for the first drone and having an entirely sealed structure; And
A first cap provided at a front end of the first capsule body and separated from the first capsule body after opening when the first drone is in an emergency;
A drone system of a submarine that includes.
상기 제1 캡슐형 드론은,
상기 제1 캡슐 몸체의 외측에 구비되어 상기 제1 캡의 개방 시 공기를 주입 받아 상기 제1 캡슐 몸체를 해수면상에 부상시키는 제1 에어 튜브; 및
상기 제1 캡의 개방에 필요한 공기 압력을 제공하며, 상기 제1 에어 튜브에 공기를 공급하는 제1 가스발생기;
를 포함하는 잠수함의 드론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3,
The first capsule type drone,
A first air tube provided outside the first capsule body to receive air when the first cap is opened to float the first capsule body on the sea surface; And
A first gas generator that provides air pressure required to open the first cap and supplies air to the first air tube;
Submarine drone system comprising a.
상기 제1 캡슐형 드론은,
상기 제1 캡슐 몸체에 구비되며, 상기 제1 드론의 비상 후 상기 제1 캡슐 몸체의 내부에 해수를 유입시켜 상기 제1 캡슐 몸체를 가라앉게 해주는 제1 해수유입밸브; 및
상기 제1 캡슐 몸체의 하단에 구비되며, 상기 제1 캡슐 몸체가 해수면상에서 수직 방향으로 자세를 유지하도록 해주는 제1 중량체;
를 포함하는 잠수함의 드론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4,
The first capsule type drone,
A first seawater inlet valve provided in the first capsule body and configured to sink the first capsule body by introducing seawater into the first capsule body after the first drone is in flight; And
A first weight body provided at a lower end of the first capsule body and allowing the first capsule body to maintain a posture in a vertical direction on the sea level;
Submarine drone system comprising a.
제2 드론을 내장하며, 잠수함의 마스트를 통해 사출되고, 사출 후 해수면 위로 상기 제2 드론을 비상시키는 제2 캡슐형 드론; 및
상기 제2 드론과 제2 연동 케이블로 연결되며, 상기 제2 드론에 경로 및 운용 정보를 입력하는 제2 드론 통제장치;
를 더 포함하는 잠수함의 드론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A second capsule-type drone containing a second drone, ejecting through the mast of the submarine, and flying the second drone above sea level after ejection; And
A second drone control device connected to the second drone through a second interlocking cable and inputting route and operation information to the second drone;
The drone system of the submarine further comprising a.
상기 마스트는,
상기 제2 캡슐형 드론의 사출에 필요한 힘을 제공하는 제2 캐니스터;
상기 마스트의 발사관 내벽을 따라 상하로 구비되어, 상기 마스트 내에서의 상기 제2 캡슐형 드론의 이동 방향을 안내하는 제2 캡슐 가이드 레일;
상기 제2 캡슐형 드론의 사출 전 압력평형을 위한 해수 유입 경로의 개폐를 조절하는 제2 압력평형밸브; 및
상기 마스트의 발사관 출구에 위치하며 개폐 가능하게 형성되는 제2 해치;
를 포함하는 잠수함의 드론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6,
The mast,
A second canister providing force required for ejection of the second capsule-type drone;
A second capsule guide rail provided up and down along an inner wall of the mast of the mast to guide the movement direction of the second capsule type drone in the mast;
A second pressure balance valve for controlling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seawater inflow path for pressure balance before injection of the second capsule-type drone; And
A second hatch positioned at the exit of the mast of the tube and formed to be opened and closed;
Submarine drone system comprising a.
제3 드론을 내장하며, 잠수함의 수평발사관을 통해 사출되고, 사출 후 해수면 위로 상기 제3 드론을 비상시키는 제3 캡슐형 드론; 및
상기 제3 드론과 제3 연동 케이블로 연결되며, 상기 제3 드론에 경로 및 운용 정보를 입력하는 제3 드론 통제장치;
를 더 포함하는 잠수함의 드론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6,
A third capsule-type drone containing a third drone, ejected through a horizontal launch tube of a submarine, and flying the third drone above sea level after ejection; And
A third drone control device connected to the third drone through a third interlocking cable and inputting route and operation information to the third drone;
The drone system of the submarine further comprising a.
상기 수평발사관은,
상기 제3 캡슐형 드론의 사출에 필요한 힘을 제공하는 압축공기실린더;
상기 수평발사관의 내벽을 따라 전후로 구비되어, 상기 수평발사관 내에서의 상기 제3 캡슐형 드론의 이동 방향을 안내하는 제3 캡슐 가이드 레일;
상기 제3 캡슐형 드론의 사출 전 압력평형을 위한 해수 유입 경로의 개폐를 조절하는 제3 압력평형밸브; 및
상기 수평발사관의 출구에 위치하며 개폐 가능하게 형성되는 제3 해치;
를 포함하는 잠수함의 드론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8,
The horizontal launch tube,
A compressed air cylinder that provides the force required for ejection of the third capsule-type drone;
A third capsule guide rail provided back and forth along the inner wall of the horizontal launch tube to guide the movement direction of the third capsule-type drone in the horizontal launch tube;
A third pressure balance valve for controlling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seawater inflow path for pressure balance before injection of the third capsule-type drone; And
A third hatch positioned at the outlet of the horizontal launch pipe and formed to be opened and closed;
Submarine drone system comprising a.
상기 제3 캡슐형 드론은,
상기 제3 드론의 수납 공간을 제공하며 전체적으로 밀봉된 구조를 갖는 제3 캡슐 몸체; 및
상기 제3 캡슐 몸체의 선단에 구비되어 상기 제3 드론의 비상 시 개방 후 상기 제3 캡슐 몸체로부터 분리되는 제3 캡;
을 포함하는 잠수함의 드론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9,
The third capsule-type drone,
A third capsule body providing a storage space for the third drone and having an entirely sealed structure; And
A third cap provided at the tip of the third capsule body and separated from the third capsule body after opening when the third drone is in an emergency;
A drone system of a submarine that includes.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16578A KR102753571B1 (en) | 2019-09-23 | 2019-09-23 | Submarine drone system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16578A KR102753571B1 (en) | 2019-09-23 | 2019-09-23 | Submarine drone system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034810A true KR20210034810A (en) | 2021-03-31 |
KR102753571B1 KR102753571B1 (en) | 2025-01-09 |
Family
ID=752379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116578A Active KR102753571B1 (en) | 2019-09-23 | 2019-09-23 | Submarine drone system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753571B1 (en)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20000976A (en) * | 2021-08-03 | 2022-01-04 | 백남용 | For submarine recoilless canister |
KR20240041653A (en) * | 2022-09-23 | 2024-04-01 | 주식회사 한국니코 | Flying drone with underwater wireless detection function |
KR20240062417A (en) * | 2022-11-01 | 2024-05-09 | 국방기술품질원 | Capsule for drone and submarine surveillance and reconnaissance system using the same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100024708A1 (en) * | 2004-12-20 | 2010-02-04 | Wallin C Roger | Submarine short-range defense system |
JP2011514499A (en) * | 2007-09-18 | 2011-05-06 | レイセオン カンパニー | Marine deployment method and apparatus |
US20120205488A1 (en) * | 2011-02-16 | 2012-08-16 | Sparton Corporation | Unmanned aerial vehicle launch system |
KR20180083080A (en) | 2017-01-12 | 2018-07-20 | 신동명 | Missile early detection system using under-water drone |
-
2019
- 2019-09-23 KR KR1020190116578A patent/KR102753571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100024708A1 (en) * | 2004-12-20 | 2010-02-04 | Wallin C Roger | Submarine short-range defense system |
JP2011514499A (en) * | 2007-09-18 | 2011-05-06 | レイセオン カンパニー | Marine deployment method and apparatus |
US20120205488A1 (en) * | 2011-02-16 | 2012-08-16 | Sparton Corporation | Unmanned aerial vehicle launch system |
KR20180083080A (en) | 2017-01-12 | 2018-07-20 | 신동명 | Missile early detection system using under-water drone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20000976A (en) * | 2021-08-03 | 2022-01-04 | 백남용 | For submarine recoilless canister |
KR20240041653A (en) * | 2022-09-23 | 2024-04-01 | 주식회사 한국니코 | Flying drone with underwater wireless detection function |
KR20240062417A (en) * | 2022-11-01 | 2024-05-09 | 국방기술품질원 | Capsule for drone and submarine surveillance and reconnaissance system using the sam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753571B1 (en) | 2025-01-0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418914B2 (en) | Pre-positioning deployment system | |
US7946241B2 (en) | Methods and apparatus for marine deployment | |
EP2190743B1 (en) | Methods and apparatus for marine deployment | |
KR20210034810A (en) | Submarine drone system | |
US8161899B1 (en) | Multiple torpedo mine | |
US6487952B1 (en) | Remote fire system | |
AU2002318789B2 (en) | Operation of a decoy against threats | |
US6498767B2 (en) | Cruise missile deployed sonar buoy | |
US7779772B2 (en) | Submarine short-range defense system | |
US6376762B1 (en) | Small vehicle launch platform | |
US6834608B1 (en) | Assembly of underwater bodies and launcher therefor | |
KR20150081757A (en) | Testing device for torpedo launching | |
RU2511211C2 (en) | False sea target system | |
CN103673760A (en) | Diving/buoyancy power/gliding (missile/torpedo) system | |
RU2613632C2 (en) | Method of concealed underwater movement of unmanned aerial vehicle and its release at launching base | |
RU2413156C1 (en) | Controlled independent universal positional underwater anti-aircraft (anti-ship) complex ("spider") and method of its implementation | |
RU2382313C2 (en) | Antiaircraft self-contained complex of submarine self-defense (sds "spider") and method of its use | |
WO2019146595A9 (en) | Life-saving implement for accident on water, and tool, device and method employing same | |
KR102561649B1 (en) | For submarine recoilless canister | |
Williamson | U-boat Tactics in World War II | |
CN109178264A (en) | A kind of unmanned plane submarine projection system penetrated of diving | |
RU2834491C1 (en) | Launcher with gravitational-spring firing of underwater projectiles with possibility of placement on waterborne vehicles and/or aircraft | |
KR102753570B1 (en) | Projectile torpedo defense device of underwater vessel | |
Bosma | Lighter-Than-Air (LTA)‘Aircraft Carriers' of Persistent, Cheap Micro-Weaponized UAV Swarms for Fleet BMD Overwatch, EW, and Wide-Area ASW/Surveillance | |
KR102590608B1 (en) | Submarine weapon launche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0923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20921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90923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040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41223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5010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5010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