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210031264A - 구절초, 겨우살이, 바위손, 쇠비름 및 소엽 혼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구절초, 겨우살이, 바위손, 쇠비름 및 소엽 혼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31264A
KR20210031264A KR1020190113009A KR20190113009A KR20210031264A KR 20210031264 A KR20210031264 A KR 20210031264A KR 1020190113009 A KR1020190113009 A KR 1020190113009A KR 20190113009 A KR20190113009 A KR 20190113009A KR 20210031264 A KR20210031264 A KR 202100312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smetic composition
skin
mixed extract
gujeolcho
mistleto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130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89943B1 (ko
Inventor
김지영
Original Assignee
(주)브로컬리컴퍼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브로컬리컴퍼니 filed Critical (주)브로컬리컴퍼니
Priority to KR10201901130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89943B1/ko
Publication of KR202100312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312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99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9943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41Pteridophyta [fer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05Preparations for sensitiv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2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bleaching or whiten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2Stabilizers
    • A61K2800/522Antioxidants; Radical scaveng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9Mixtur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Botany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절초, 겨우살이, 바위손, 쇠비름 및 소엽 혼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구절초, 겨우살이, 바위손, 쇠비름 및 소엽 혼합추출물은 우수한 항산화 효과, 피부미백 효과, 피부진정 효과를 나타내므로 화장료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구절초, 겨우살이, 바위손, 쇠비름 및 소엽 혼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complex extracts of Chrysanthemum Sibiricum, Viscum Album, Selaginella Tamariscina, Portulaca Oleracea and Perilla Frutescens}
본 발명은 구절초(Chrysanthemum Sibiricum), 겨우살이(Viscum Album), 바위손(Selaginella Tamariscina), 쇠비름(Portulaca Oleracea) 및 소엽(Perilla Frutescens) 혼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여 우수한 항산화, 미백 및 피부진정 활성을 나타내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현대인들의 생활수준 향상과 삶의 질을 중시하는 경향에 따라 건강하고 젊게 삶을 영위하려는 욕구가 커지고 있다. 이에 따라 화장품분야에서도 단순한 화장(化粧, makeup)을 넘어, 피부노화를 방지하는 다양한 기능성 제품에 대한 수요가 증대되고 있다.
멜라닌(melanin)은 폐놀류가 산화효소에 의해 산화되어 유도된 갈색 또는 흑색 고분자 색소의 총칭이다. 인체에서 피부색을 결정하는 가장 중요한 인자이며 극히 적은 양으로도 피부색이나 모발 색 전체를 결정하고 단백질과 결합된 형태의 폴리머로서 자외선을 포함한 넓은 영역의 빛을 흡수하는 기능이 있다. 이러한 멜라닌의 생성은 기저층의 멜라닌세포(melanocyte)내 멜라닌소체(melanosome)라는 소기관에서 이루어진다. 멜라닌이 비정상적으로 소량 생산되면 백반증과 같은 피부병변이 유발되고, 반대로 일광, 호르몬 변화, 염증 또는 약제 등 여러 가지 환경적 요인에 의해 멜라닌이 과도하게 합성되거나 색소가 침착되면 기미, 주근깨를 형성한다.
과도한 멜라닌의 생성으로 인한 색소 침착 현상을 방지하고 미백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멜라닌 생성 과정의 일 부분을 저해하여 멜라닌의 생성을 감소시켜야 한다. 이 멜라닌 생성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는 효소가 바로 티로시나제(tyrosinase)이며 멜라노좀(melanosome) 내의 티로신(tyrosine)을 산화시켜 DOPA(3,4-dihydroxyphenylalanine)를 만드는 티로신 수산화효소(tyrosine hydroxylase)로 DOPA를 산화시켜 도파크롬(dopachrome)을 만드는 DOPA 옥시다제(oxidase)로 작용하여 최종적으로 멜라닌 폴리머(melanin polymer)를 합성하게 된다.
미백 기능성화장품의 활성성분으로서 닥나무추출물, 알부틴, 에칠아스코빌에텔, 유용성 감초추출물, 아스코빌글루코사이드, 마그네슘아스코빌포스페이트, 나이아신아마이드, 알파-비사보롤 및 아스코빌테트라이소팔미테이트 등이 미백 기능성 원료로 고시되어 있다.
한편, 민감성 피부란 외부의 자극성물질이나 인체 내부 원인 등에 대하여 정상인 피부보다 더 민감하게 반응하여 자극반응이나 피부염이 잘 나타나는 피부를 의미한다. 최근 생활환경의 변화나 대기오염, 스트레스 등으로 인해 스스로를 민감성피부로 생각하는 사람이 증가하고 있다. 실제로 피부질환, 과로, 수면부족, 스트레스, 음식, 자외선, 화장품, 공해, 계절변화 등 다양한 원인에 의하여 피부 민감성이 증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여러 자극물질과의 접촉 후 건조하거나 따갑거나 가려움을 호소하는 주관적 반응과 홍반, 팽진, 구진, 수포, 농포, 인설 등의 객관적인 반응 등으로 민감성 피부를 진단할 수 있다. 그런데 다양한 기능성을 부여하는 기능성 화장료들이 오히려 민감성 피부에 자극원으로서 기능할 수 있으므로 피부 민감성 완화 내지는 피부진정 성분들에 대한 연구가 병행되고 있다.
본 발명자들은 항산화 활성을 가지는 천연물들을 선별하고 조합하여 피부 미백활성을 가지는 화장료를 개발하고자 노력하였으며, 구절초, 겨우살이, 바위손, 쇠비름 및 소엽의 혼합추출물이 우수한 항산화 및 미백활성을 나타낼 뿐 아니라 피부진정효과를 가진다는 것을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0001)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9-0076620호(2019.07.02) (0002)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34668호(2016.06.23)
본 발명은 구절초, 겨우살이, 바위손, 쇠비름 및 소엽 혼합추출물을 함유하여 우수한 항산화, 미백 및 피부진정효과를 나타내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르면 구절초, 겨우살이, 바위손, 쇠비름 및 소엽 혼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이 제공된다.
상기 혼합추출물은 구절초, 겨우살이, 바위손, 쇠비름 및 소엽을 물, 탄소수 1 내지 4의 무수 또는 함수알코올, 에틸아세테이트, 아세톤, 글리세린, 에탄올, 프로필렌글리콜 및 부틸렌글리콜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추출용매로 추출하여 제조되는 것이다.
상기 혼합추출물은 구절초, 겨우살이, 바위손, 쇠비름 및 소엽이 각각 1~5:1~5:1~5:1~5:1~5의 중량비율로 혼합하여 추출 제조되는 것이다.
상기 혼합추출물은 화장료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0.01~30중량% 포함된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항산화용, 피부미백용 또는 피부진정용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구절초, 겨우살이, 바위손, 쇠비름 및 소엽 혼합추출물은 그 상승작용에 의하여 더욱 우수한 항산화 및 미백활성을 나타낼 뿐 아니라 피부진정효과를 나타내므로 화장료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구절초(Chrysanthemum zawadskii var. latilobum KITAMURA.)는 구일초(九日草), 선모초(仙母草)라고도 한다. 구절초라는 이름은 아홉 번 꺾이는 풀, 또는 음력 9월 9일에 꺾는 풀이라는 뜻에서 유래하였다. 높이는 50㎝ 내외이고, 땅 속줄기가 옆으로 길게 뻗으면서 번식한다. 잎은 난형 또는 넓은 난형이며, 가장자리가 1회 우상(羽狀)으로 갈라져 있다. 측렬편(側裂片)은 흔히 4개로 긴 타원형이며, 끝이 뭉툭하고 가장자리가 다소 갈라지거나 톱니가 있다. 꽃은 9∼11월에 담홍색 또는 백색으로 피며, 가지 끝에 두상화서(頭狀花序)로 달린다. 두상화서의 가장자리 꽃은 설상화(舌狀花)이고, 복판의 꽃들은 관상화(冠狀花)이다. 열매는 수과(瘦果)이다. 높은 지대의 능선에서 군락을 형성하여 자라지만, 들에서도 흔히 자란다. 우리 나라에는 전국적으로 분포되어 있으며, 일본·만주·중국에도 분포한다. 구절초는 모양이 아름다워 관상용으로 가치가 높으며, 재배도 가능하다. 또한 예로부터 월경 불순·자궁 냉증·불임증 등의 부인병에 약으로 쓰여왔다. 구절초와 비슷한 산구절초·바위구절초 등도 민간 약재로 혼용되고 있다. 본 발명 혼합추출물의 제조에는 구절초의 잎, 줄기, 전초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겨우살이(Mistletoe, Viscum album)는 참나무, 밤나무를 숙주로 하여 생장하는 상록관목 반기생 식물로서 그 숙주식물에 따라 여러 과와 종으로 나뉘어지며 세계적으로 30속 1,500여 종의 식물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겨우살이는 숙주 나무 둥치에 뿌리를 박아 물관에서 물을, 체관에서는 숙주식물이 만든 양분을 빨아먹고 살며 꽃을 피우고 열매까지 맺는다. 광합성을 하여 스스로 양분을 만들기도 하며, 그 엽록체는 겨울에도 파괴되지 않아 푸르름을 유지하여 동청(凍靑) 이라고도 불리운다. 민간 및 한방에서 암, 동맥경화, 심장병, 고혈압, 치통, 생리통 등 각종 질병의 약재로 널리 이용되어 왔다. 본 발명 혼합추출물의 제조에는 겨우살이의 잎, 줄기, 전초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바위손(Selaginella tamariscina)은 석송목 부처손과의 여러해살이풀이다. 바위손은 부처손, 불사초, 장생불사초, 회양초, 권백 등으로도 불린다. 가지는 편평하게 갈라지며, 앞면은 녹색, 뒷면은 다소 흰빛을 띈다. 건조할 때는 가지가 수축되어 공처럼 되었다가, 습기가 있으면 다시 활짝 펴진다. 월경이 순조롭지 못할 때, 타박상 등으로 상처가 생겼을 때, 피를 토하거나 대변에서 피가 보이는 증상 등을 치료한다. 또한 항염 및 항산화 효능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본 발명 혼합추출물의 제조에는 바위손의 전초를 사용할 수 있다.
쇠비름(Portulaca oleracea L.)은 1년생 초본으로서 오행초, 장명채, 마치채 등으로 불리기도 하는데, 주로 길가나 텃밭 등에서 5-9월에 걸쳐 주로 자생하며 줄기의 높이가 약 15∼30cm 내외로 털이 없으며, 줄기는 갈적색이고 가지가 많이 갈라져서 땅 위로 비스듬히 퍼지면서 자라는 식물이다. 쇠비름(Portulaca oleracea L.)의 전초를 말린 것은 마치현이라 하며 약재로 사용한다. '본초강목'과 '동의보감' 등에는 쇠비름을 충독 및 사독 등의 해독제로도 사용한다고 기록되어 있다. 아라비아 반도에서는 방부제, 항괴혈병제제, 진경제, 이뇨제, 구충제, 피부진정제로 사용되고 있다. 본 발명 혼합추출물의 제조예는 쇠비름의 전초를 사용할 수 있다.
소엽(Perilla frutescens var. acuta)은 꿀풀과에 속하는 일년생 초본으로 중국이 원산지이며 약용식물로 들여와 우리나라 각처에서 재배되고 있는 귀화식물이다. 봄에 씨를 뿌려 재배하는 소엽의 줄기에는 성긴 털이 나 있고 잎은 꼭지가 길며 가장자리는 성긴 톱니 모양이다. 여름철에는 줄기 끝 엽액에서 줄기가 나와 연한 자주색의 작은 꽃이 핀다. 잎은 소엽(蘇葉), 차조기 또는 차즈기라고 부르며, 종자는 소자(蘇子)라고 하며 약재로 사용된다. 소엽은 흥분, 발한, 지해(止咳), 진정, 진통, 이뇨, 건위의 약리작용이 있으며, 향료, 조미료, 강장제, 식용 색소 및 화장품 색소 원료로도 사용된다. 본 발명 혼합추출물의 제조에는 소엽의 잎, 줄기, 전초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구절초, 겨우살이, 바위손, 쇠비름, 소엽은 오프라인 또는 인터넷 마켓에서 구입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출물의 제조에 있어서 구절초, 겨우살이, 바위손, 쇠비름, 소엽은 정제수로 깨끗이 세척하여 사용하며, 추출 방법에 따라 건조시켜 세절하거나, 가루로 만들어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구절초, 겨우살이, 바위손, 쇠비름 및 소엽 혼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구절초, 겨우살이, 바위손, 쇠비름 및 소엽 혼합추출물은 다음과 같이 제조된다.
세척 후 건조된 구절초, 겨우살이, 바위손, 쇠비름 및 소엽을 각각 1~5:1~5:1~5:1~5:1~5의 중량비율로 혼합하여 혼합물을 제조한다. 상기 혼합물에 추출용매로서 물, 탄소수 1 내지 4의 무수 또는 함수알코올, 에틸아세테이트, 아세톤, 글리세린, 에탄올, 프로필렌글리콜 및 부틸렌글리콜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용매를 사용하여 통상의 방법에 따라 추출한다. 본 발명의 혼합추출물은 감압 농축액, 농축액을 동결 건조한 분말 또는 농축액을 분무 건조하여 건조한 분말일 수 있다.
상기 혼합추출물은 구절초, 겨우살이, 바위손, 쇠비름 및 소엽이 각각 3~5:1:2~3:1:1~2의 중량비율로 혼합되어 추출되는 경우에 더욱 우수한 항산화, 피부미백 및 피부진정활성을 나타내므로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혼합추출물은 상승작용에 의하여 각각의 추출물에 비하여 더욱 우수한 항산화, 피부미백 및 피부진정활성을 나타내었다.
상기 혼합추출물은 유효성분으로서 화장료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0.01~30중량% 포함된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항산화용, 피부미백용 또는 피부진정용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그 제형에 있어서 특별히 한정되는 바가 없으며, 예를 들면, 스킨로션, 스킨 소프너, 스킨토너, 아스트린젠트, 로션, 밀크로션, 모이스처 로션, 영양로션, 맛사지 크림, 영양크림, 모이스처 크림, 핸드크림, 에센스, 팩, 비누, 샴푸, 클렌징폼, 클렌징로션, 클렌징크림, 바디로션, 바디클렌저, 유액, 프레스파우더, 루스파우더 또는 아이섀도의 제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각 제형의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혼합추출물 외에 다른 성분들을 기타 화장료의 제형 또는 사용목적 등에 따라 임의로 선정하여 배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착색제(색소), 착향제(향료), 현탁화제, 유화제, 용해보조제, 안정제, 등장제, pH조절제, 점도조절제, 용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혼합추출물 이외에 피부보습, 진정 및 재생 효과를 나타내는 다른 유효 성분을 1가지 이상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내용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실시예]
제조예 1: 구절초 추출물의 제조
건조 후 분쇄된 구절초(전초) 100g에 추출용매로서 정제수 700g, 에탄올 300g을 사용하였으며, 70~75℃에서 2시간 동안 중탕 추출하였다. 이 후 300메쉬 여과지로 여과하고, 에드벤텍 5번 여과지와 와트만 GFC 150mm 여과지로 2번 여과하였다. 여과액을 감압증발기로 감압농축하여 추출물을 얻었다.
제조예 2: 겨우살이 추출물의 제조
건조 후 분쇄된 겨우살이(전초) 100g에 추출용매로서 정제수 700g, 에탄올 300g을 사용하였으며, 70~75℃에서 2시간 동안 중탕 추출하였다. 이 후 300메쉬 여과지로 여과하고, 에드벤텍 5번 여과지와 와트만 GFC 150mm 여과지로 2번 여과하였다. 여과액을 감압증발기로 감압농축하여 추출물을 얻었다.
제조예 3: 바위손 추출물의 제조
건조 후 분쇄된 바위손(전초) 100g에 추출용매로서 정제수 700g, 에탄올 300g을 사용하였으며, 70~75℃에서 2시간 동안 중탕 추출하였다. 이 후 300메쉬 여과지로 여과하고, 에드벤텍 5번 여과지와 와트만 GFC 150mm 여과지로 2번 여과하였다. 여과액을 감압증발기로 감압농축하여 추출물을 얻었다.
제조예 4: 쇠비름 추출물의 제조
건조 후 분쇄된 쇠비름(전초) 100g에 추출용매로서 정제수 700g, 에탄올 300g을 사용하였으며, 70~75℃에서 2시간 동안 중탕 추출하였다. 이 후 300메쉬 여과지로 여과하고, 에드벤텍 5번 여과지와 와트만 GFC 150mm 여과지로 2번 여과하였다. 여과액을 감압증발기로 감압농축하여 추출물을 얻었다.
제조예 5: 소엽 추출물의 제조
건조 후 분쇄된 소엽(잎) 100g에 추출용매로서 정제수 700g, 에탄올 300g을 사용하였으며, 70~75℃에서 2시간 동안 중탕 추출하였다. 이 후 300메쉬 여과지로 여과하고, 에드벤텍 5번 여과지와 와트만 GFC 150mm 여과지로 2번 여과하였다. 여과액을 감압증발기로 감압농축하여 추출물을 얻었다.
실시예 1 내지 13: 구절초, 겨우살이, 바위손, 쇠비름 및 소엽 혼합추출물의 제조
건조 후 분쇄된 구절초(전초) 20g, 겨우살이(전초) 20g, 바위손(전초) 20g, 쇠비름(전초) 20g, 소엽(잎) 20g에 추출용매로서 정제수 700g, 에탄올 300g을 사용하였으며, 70~75℃에서 2시간 동안 중탕 추출하였다. 이 후 300메쉬 여과지로 여과하고, 에드벤텍 5번 여과지와 와트만 GFC 150mm 여과지로 2번 여과하였다. 여과액을 감압증발기로 감압농축하여 혼합 추출물을 얻었다.
하기 표 1과 같이 중량비를 달리하여 100g의 혼합물을 제조하고, 동일한 방법으로 추출하여 혼합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중량비 구절초 겨우살이 바위손 쇠비름 소엽
실시예 1 1 1 1 1 1
실시예 2 3 1 2 1 1
실시예 3 3 1 2 1 2
실시예 4 3 1 3 1 1
실시예 5 3 1 3 1 2
실시예 6 4 1 2 1 1
실시예 7 4 1 2 1 2
실시예 8 4 1 3 1 1
실시예 9 4 1 3 1 2
실시예 10 5 1 2 1 1
실시예 11 5 1 2 1 2
실시예 12 5 1 3 1 1
실시예 13 5 1 3 1 2
시험예 1: 세포 생존율 측정 시험
세포 생존율 측정 실험(MTT assay)
상기 제조예 및 실시예의 추출물들의 세포 생존율을 확인하기 위하여 MTT assay을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수행하였다.
MTT assay법은 MTT [3-(4,5-dimethythiasol-2-yl)-2,5-diphenyl tetrazolium bromide] 시약이 세포 내로 흡수된 후 미토콘드리아의 숙신산 탈수소효소(succinate dehydrogenase)에 의해 포마잔(formazan)을 형성하는데 이 물질의 세포 내 축적은 미토콘드리아의 활성, 넓게는 세포의 활성을 의미하는 것으로써 세포의 생존율을 측정하는 대표적인 방법이다.
사람 유래 섬유아세포를 1×105cell/well의 밀도로 96 well에 200㎕ 배지와 함께 분주한 뒤 5% CO2, 37℃ incubator에서 24시간 배양한 후 배지를 버리고 PBS로 씻어준 다음 같은 양의 배지와 PBS에 녹인 시료를 1000ppm~50000ppm까지 다양한 농도에 따라 각 well에 처리하여 24시간 배양하였다. 배양이 끝나기 4시간 전에 PBS에 녹인 5㎎/㎖ MTT를 20㎕씩 각 well에 첨가하고 알루미늄 호일로 차광시킨 후 3간 동안 5% CO2 및 37℃ 조건의 incubator에서 배양하였다. 배양액을 제거하고 DMSO용액 200㎕를 첨가하여 37℃ incubator에서 1시간 반응시킨 후 ELISA reader를 이용하여 570nm에서 흡광도(optical density)를 측정하여 비교하였다. 세포 생존율은 하기 식에 의해 산출되었고, 그 결과는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세포 생존율(%) = 시료 첨가군의 O.D. at 570㎚/시료 무 첨가군의 O.D. at 570㎚ × 100
구분 세포 생존율(%)
1000ppm 5000ppm 10000ppm 50000ppm
실시예 1 101 100 100 101
실시예 2 101 101 100 100
실시예 3 101 100 101 100
실시예 4 100 100 100 100
실시예 5 101 100 100 100
실시예 6 100 100 101 101
실시예 7 101 100 101 101
실시예 8 101 101 100 100
실시예 9 101 100 101 100
실시예 10 100 100 101 100
실시예 11 101 101 100 100
실시예 12 100 100 100 101
실시예 13 100 100 100 101
Arbutin 100 100 101 101
상기 표 2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실시예 1 내지 13 모두 세포독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시험예 2: 항산화 활성평가
상기 제조예 및 실시예의 추출물들의 항산화 활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DPPH 라디칼에 대한 프리라디칼 소거활성 시험(DPPH free radical scavenging effect assay)을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수행하였다.
DPPH 라디칼 소거활성은 DPPH 라디칼에 대한 시료의 환원력으로 측정하였다. DPPH(1,1-Diphenyl-2-picrylhydrazyl)을 에탄올에 용해하여 0.4mM 용액을 제조한다. Standard로 사용하는 BHT(Butylated hydroxyl toluene 또는 2,6-Di-tert-butyl-p-cresol)을 에탄올에 용해하여 준비한다. 96 well plate에 농도별로 준비된 시료 또는 BHT 100㎕와 0.4 mM DPPH 용액 100㎕을 넣고 혼합한다. 37℃에서 30분간 반응시킨다. ELISA reader를 이용하여 517㎚에서 흡광도를 측정한다. 아래 계산식을 이용하여 시료 또는 standard(BHT)의 DPPH 프리 라디칼 소거능(%)을 계산하였다.
DPPH 프리 라디칼 소거능(%) = {1-(A/B)} × 100
A : STD. 또는 시료의 흡광도
B : DPPH 용액에 0 ppm 시료를 혼합한 용액의 흡광도
그 결과를 하기의 표 3에 나타내었다.
구분 DPPH free radical scavenging effect(%)
10 ppm 50 ppm 100 ppm
제조예 1 12.05 40.02 62.24
제조예 2 10.21 38.26 58.24
제조예 3 11.26 36.18 56.36
제조예 4 12.04 38.29 60.28
제조예 5 11.86 34.24 58.38
실시예 1 14.02 48.23 68.64
실시예 2 16.23 52.04 72.82
실시예 3 16.24 54.28 72.76
실시예 4 17.06 55.35 74.16
실시예 5 16.68 54.62 75.28
실시예 6 18.23 56.34 76.34
실시예 7 18.26 56.38 77.25
실시예 8 19.48 57.27 78.26
실시예 9 18.26 56.26 76.26
실시예 10 19.24 58.34 78.61
실시예 11 22.45 64.27 86.46
실시예 12 20.13 58.24 80.48
실시예 13 20.24 58.64 78.26
BHT(100ppm) 76.26
상기 표 3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상기 실시예의 혼합추출물은 농도의존적으로 DPPH 프리 라디칼 소거능이 향상되었으며, 제조예의 각각의 추출물들에 비하여 더 우수한 항산화 활성을 나타냄을 알 수 있다.
시험예 3: 미백활성평가
상기 제조예 및 실시예의 추출물들의 미백효능을 평가하기 위하여 멜라닌 생성 억제 시험을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수행하였다.
본 시험예에서 사용된 멜라닌 형성세포는 마우스에서 유래한 B16F10 세포주로서, 멜라닌이라는 흑색 색소를 분비하는 세포이며 한국세포주은행 (Korean Cell Line Bank)로부터 분양 받아 사용하였다.
B16F10 멜라닌 형성세포의 멜라닌 생합성 억제효과 측정은 B16F10 세포의 인공배양 중에 시료를 처리하여 멜라닌 흑색 색소가 감소하는 정도를 비교 평가하였다. B16F10 멜라닌 형성세포를 6웰 플레이트에 각 웰당 2×106 농도로 분주하여 세포를 부착시킨 후 독성을 유발하지 않는 농도로 각 군별 시료를 처리하여 72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배양 후 세포를 트립신-EDTA(trypsin-ethylenediamine tetra acetic acid)로 떼어내어 세포수를 측정한 다음 원심분리 하여 세포를 회수하였다. 세포 내 멜라닌의 정량은 로탄(Lotan: Cancer Res., 40: 3345-3350, 1980)의 방법을 변형하여 실시하였으며, 셀 펠릿을 PBS(phosphate buffered saline)로 1회 세척한 후 균질화 버퍼액(50mM 소듐 포스페이트, pH 6.8, 1% Triton X-100, 2mM PMSF) 1㎖를 첨가하여 5분간 와류시켜 세포를 파쇄 하였다. 상기 파쇄된 세포를 원심분리(3,000rpm, 10분)하여 얻은 세포 여액에 1N NaOH(10% DMSO)를 첨가하여 추출된 멜라닌을 용해한 후, 상기 마이크로 플레이트 판독기로 405㎚에서 멜라닌의 흡광도를 측정하여 멜라닌을 정량하였다. B16F10 멜라닌 형성세포의 멜라닌 생성 억제율은 하기 식에 의거하여 계산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이때 멜라닌 생성 저해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진 물질인 알부틴(arbutin)을 비교군으로 사용하였다.
멜라닌 생성 억제율(%)=[(A-B)/A]×100
A: 시료를 첨가하지 않은 웰의 멜라닌 양
B: 시료를 첨가한 웰의 멜라닌 양
구분 멜라닌 생성 억제율(%)
100 ppm 500 ppm 1000 ppm
제조예 1 18.56 21.34 24.54
제조예 2 12.54 14.26 18.56
제조예 3 12.05 14.12. 16.34
제조예 4 14.25 18.46 20.32
제조예 5 14.23 18.65 22.84
실시예 1 20.05 23.46 26.32
실시예 2 22.86 24.36 28.52
실시예 3 23.05 25.12 28.83
실시예 4 24.02 26.14 29.46
실시예 5 24.65 27.12 30.08
실시예 6 24.26 28.76 30.12
실시예 7 24.46 28.72 32.24
실시예 8 25.02 28.86 34.21
실시예 9 24.84 26.24 33.12
실시예 10 25.04 30.12 32.26
실시예 11 26.25 34.26 40.05
실시예 12 25.46 30.42 32.28
실시예 13 26.06 32.04 38.46
알부틴
(1000ppm)
40.26
상기 표 4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 실시예의 혼합추출물은 제조예의 각각의 추출물에 비하여 우수한 멜라닌 생성 억제율을 나타내었다. 실시예 2 내지 13은 실시예 1에 비하여 더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실시예 11은 가장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었다.
제형 실시예 1: 스킨로션의 제조
하기 표 5의 조성에 따라, 하기의 방법으로 혼합추출물을 함유한 스킨로션을 1kg을 제조하였다.
번호 원 료 함량(중량%)
1 혼합추출물(실시예 11) 1.0
2 글리세린 3.0
3 부틸렌글리콜 2.0
4 프로필렌글리콜 2.0
5 폴리옥시에칠렌 경화피마자유 1.0
6 트리에탄올아민 0.1
7 방부제 미량
8 색소 미량
9 향료 미량
10 정제수 잔량
상기 표 5에서 10번 물질에 2, 3, 4, 7번 물질을 순서대로 반응용기에 투입하고 교반하여 용해시킨 후, 5번 물질을 60℃ 정도로 가열하여 용해시켰다. 이 후, 9번 물질을 투입하여 용해한 후 10번 물질에 투입하였다. 마지막으로 1, 6, 8번 물질을 투입하여 충분히 교반시킨 뒤 25℃에서 3일간 숙성시켜 표제의 스킨로션을 제조하였다.
제형 실시예 2: 영양로션의 제조
하기 표 6의 조성에 따라, 하기의 방법으로 혼합추출물을 함유한 하이드로좀 영양로션을 1kg을 제조하였다.
번호 원 료 함량(중량%)
1 혼합추출물(실시예 11) 1.0
2 밀납 1.0
3 폴리솔베이트 60 1.5
4 솔비탄 세스퀴올레이트 0.5
5 유동 파라핀 10.0
6 소르비탄 스테아레이트 1.0
7 친유형 모노스테아린산 글리세린 0.5
8 스테아린산 1.5
9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피이지-400 스테아레이트 1.0
10 프로필렌글리콜 3.0
11 카르복시폴리머 0.1
12 트리에탄올아민 0.2
13 방부제 미량
14 색소 미량
15 향료 미량
16 정제수 잔량
상기 표 6에서 10, 11, 13, 16번 물질을 혼합 교반하면서, 80~85 ℃ 사이로 가열하여 제조부에 투입한 후 유화기를 작용시키고 2, 3, 4, 5, 6, 7, 8, 9, 12번 물질을 80~85℃사이로 가열 용해한 후 유화시켰다. 유화가 끝나면 교반기를 이용하여 교반하면서 50℃까지 냉각한 뒤 15번 물질을 투입하고 45℃까지 냉각한 뒤 14번 물질을 투입하고 35℃에서 1번 물질을 투입하여 25℃까지 냉각한 뒤 25℃에서 3일간 숙성시켜 표제의 영양로션을 제조하였다.
시험예 4: 피부 진정 효과 확인
현재 피부병 내지 피부 알레르기 증상이 없는 20 내지 30대 남녀 12명을 대상으로 하완의 안쪽 부위에 테입 스트리핑 법(Tape Stripping Method)을 통한 피부자극을 유발한 후, 본 발명에 따른 혼합추출물을 함유한 상기 제형 실시예 1의 스킨로션을 도포하여 유발된 자극이 진정되는 정도를 상대평가 하였다. 본 발명 혼합추출물을 함유하지 않은 스킨로션을 대조예로 하였다.
먼저 하완의 안쪽부위 좌 우측 두 곳에 일반 스카치 테잎으로 20회 내지 30회(자원자의 피부 민감정도에 따라 회수를 조정함) 테이핑을 하여 피부 홍반을 유발하였다. 홍반 유발된 후, 본 발명에 따른 제형 실시예 1의 화장료 조성물을 좌측에 도포하였으며, 본 발명에 따른 혼합추출물을 함유하지 않은 대조예 화장료 조성물을 우측에 도포하였다. 도포 후 2시간 후 피부진정 정도를 평가하였다.
<피부자극정도 (홍반) 평가>
0 (무반응) 1 (매우 경미한 홍반흔적) 2 (희미한 또는 가벼운 홍반)
3 (경계가 뚜렷하나 약한 홍반) 4 (뚜렷한 홍반) 5 (심한 홍반)
피시험자 초기 제형 실시예 1
(좌)
대조예
(우)
1 4 4 1 3
2 3 3 1 3
3 2 2 0 1
4 3 3 0 2
5 3 3 0 2
6 2 2 1 1
7 3 3 0 2
8 3 3 0 1
9 4 4 1 3
10 2 2 1 1
11 3 3 0 1
12 4 4 1 2
상기 표 7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구절초, 겨우살이, 바위손, 쇠비름 및 소엽 혼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높은 피부진정효과를 가지는 것을 알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그 과정에서 언급한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일 뿐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님을 분명히 하고, 본 발명은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균등하게 대처 될 수 있는 정도의 구성요소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Claims (7)

  1. 구절초, 겨우살이, 바위손, 쇠비름 및 소엽 혼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추출물은 구절초, 겨우살이, 바위손, 쇠비름 및 소엽을 물, 탄소수 1 내지 4의 무수 또는 함수알코올, 에틸아세테이트, 아세톤, 글리세린, 에탄올, 프로필렌글리콜 및 부틸렌글리콜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추출용매로 추출하여 제조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추출물은 구절초, 겨우살이, 바위손, 쇠비름 및 소엽을 각각 1~5:1~5:1~5:1~5:1~5의 중량비율로 혼합하여 추출 제조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추출물은 화장료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0.01~30 중량% 함유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항산화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미백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진정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190113009A 2019-09-11 2019-09-11 구절초, 겨우살이, 바위손, 쇠비름 및 소엽 혼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Active KR1022899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3009A KR102289943B1 (ko) 2019-09-11 2019-09-11 구절초, 겨우살이, 바위손, 쇠비름 및 소엽 혼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3009A KR102289943B1 (ko) 2019-09-11 2019-09-11 구절초, 겨우살이, 바위손, 쇠비름 및 소엽 혼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1264A true KR20210031264A (ko) 2021-03-19
KR102289943B1 KR102289943B1 (ko) 2021-08-13

Family

ID=752621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3009A Active KR102289943B1 (ko) 2019-09-11 2019-09-11 구절초, 겨우살이, 바위손, 쇠비름 및 소엽 혼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8994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15609A (ko) * 2008-05-02 2009-11-05 (주)아모레퍼시픽 포제를 활용한 약용식물 추출물 및 이를 함유하는 피부외용제 조성물
KR101233857B1 (ko) * 2010-03-18 2013-02-15 (주)솜니허브 미백, 항균, 항산화 및 보습 효과를 나타내는 한방 화장료 조성물
KR101634668B1 (ko) 2015-07-27 2016-06-30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겨우살이의 발효된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또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20190076620A (ko) 2017-12-22 2019-07-02 이경미 기미제거 및 미백 기능을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15609A (ko) * 2008-05-02 2009-11-05 (주)아모레퍼시픽 포제를 활용한 약용식물 추출물 및 이를 함유하는 피부외용제 조성물
KR101233857B1 (ko) * 2010-03-18 2013-02-15 (주)솜니허브 미백, 항균, 항산화 및 보습 효과를 나타내는 한방 화장료 조성물
KR101634668B1 (ko) 2015-07-27 2016-06-30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겨우살이의 발효된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또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20190076620A (ko) 2017-12-22 2019-07-02 이경미 기미제거 및 미백 기능을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그린 네츄럴 선스프레이 - 텐바이텐 10X10 (2018.05.31.) 1부.*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89943B1 (ko) 2021-08-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137457B2 (ja) 幹細胞増殖因子発現上昇抑制剤
KR102054793B1 (ko) 천연물추출물과 발효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탄력개선 및 다크서클완화용 항산화 화장품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0443588B1 (ko) 목단피추출물과 자귀나무추출물을 함유하는 노화방지화장료 조성물
KR102628844B1 (ko) 등나무 꽃, 두릅나무 꽃, 동백나무 잎 및 동백나무 꽃 혼합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피부미백 및 피부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63686B1 (ko) 콩뿌리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CN114502139B (zh) 富含2,5-二甲酰基呋喃的阿拉伯辣木种子提取物、其获得方法及其在化妆品组合物中的用途
KR102632084B1 (ko) 오이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피부미백 및 피부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WO2012117170A2 (fr) Extrait de rameaux d&#39;hiver d&#39;hippophae et son utilisation dans une composition cosmétique.
KR101700105B1 (ko) 낭아초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 미백 및 주름 개선을 위한 조성물
KR101574248B1 (ko) 왕호장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050117958A (ko) 복방 생약 추출물이 함유된 나노 리포좀 조성물 및 이를이용한 피부 미백용 화장료
KR101869763B1 (ko) 무좀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
KR101093901B1 (ko) 조직배양한 금선련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상기 조직배양한 금선련 추출물의 제조방법
KR102646545B1 (ko) 비비추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 또는 피부장벽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060025630A (ko) 새싹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 화장료 조성물
KR102289943B1 (ko) 구절초, 겨우살이, 바위손, 쇠비름 및 소엽 혼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208482B1 (ko) 피부트러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227874B1 (ko) 아토피와 각종 피부염증을 개선할 수 있는 화장품조성물
KR20170136969A (ko) 당류를 이용한 천연 추출물 제조 방법
KR20140115229A (ko) 생약재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또는 미백용 조성물
KR101695781B1 (ko) 층꽃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 미백 및 주름 개선을 위한 조성물
KR102504878B1 (ko) 능소화 꽃, 매화 꽃, 붉가시나무의 가지 또는 잎의 혼합발효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항염, 피부진정 및 가려움증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0507292B1 (ko) 전호 추출물 또는 파슬리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주름개선용 외용제 조성물
KR100744947B1 (ko) 천궁 추출물 및 프로테아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2313083B1 (ko) 등수국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091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031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1080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1080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1080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71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