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208482B1 - 피부트러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피부트러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08482B1
KR102208482B1 KR1020200039094A KR20200039094A KR102208482B1 KR 102208482 B1 KR102208482 B1 KR 102208482B1 KR 1020200039094 A KR1020200039094 A KR 1020200039094A KR 20200039094 A KR20200039094 A KR 20200039094A KR 102208482 B1 KR102208482 B1 KR 1022084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skin
powder
snapdragon
cosmetic composit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390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은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맥스코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맥스코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맥스코프
Priority to KR10202000390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848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84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8482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61K8/23Sulfur; Selenium; Tellurium;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animal origin
    • A61K8/98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animal origin of species other than mammals or bir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9Mixtur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Zoology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부트러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금어초 추출물, 지칭개 추출물 및 여뀌 추출물로 이루어진 복합 추출물, 해면침 분말 및 식이유황을 특정 비율로 포함하여 피부 보습, 피부 진정, 피부 염증 및 여드름 등의 피부트러블 개선 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피부에 대한 부작용 없이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항염, 피부 재생 및 상처 치유 개선 효과가 우수한바, 피부 보습, 피부 진정, 피부 염증 및 여드름 등의 피부트러블 개선을 위한 화장료 조성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피부트러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Cosmetic composition for improving skin troubles}
본 발명은 피부트러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금어초 추출물, 지칭개 추출물 및 여뀌 추출물로 이루어진 복합 추출물, 해면침 분말 및 식이유황을 특정 비율로 포함하여 피부 보습, 피부 진정, 피부 염증 및 여드름 등의 피부트러블 개선 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피부에 나타나는 염증 반응은 붉어짐, 따금거림, 화끈거림, 팽윤, 조직의 변화와 같은 5가지 현상으로 나타나는데, 이는 해로운 주위 환경, 즉 세균과 같은 외부 물질의 침입과 기계적 손상으로부터 생체를 보호하려는 생리적 반응이다.
염증과 관계되는 대표적인 피부트러블의 형태로는 아토피성 피부염과 여드름 등이 있으며 특히, 아토피성 피부염은 그 원인이 충분히 밝혀지지 않았으나 알레르기와 연관된 면역글로불린인 IgE의 증가에 따른 면역 과민 반응 또는 T 림프구의 기능 결여에 의한 것으로 알려져있다.
한편, 한의학에서는 아토피성 피부염이 생기는 원인에 대해 몸속 깊숙이 숨어 있던 열독이 피부층까지 올라와 각종 트러블을 일으키는 것으로 보고 있다. 또한, 열독은 피부 이상만을 일으키는 것이 아니라 몸의 면역력을 떨어뜨려 각종 합병증을 유발시키므로 단순히 증상만 치료하는 것이 아니라 아토피성 피부염의 원인을 찾아 근본적인 치료가 필요한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즉, 한의학에서는 아토피성 피부염의 원인이 되는 열독을 풀어 주고, 알레르기에 대항할 수 있는 자생력을 키우는 등 근본치료를 해야 재발을 막을 수 있다고 이야기하고 있다.
이렇게 다양하게 거론되고 있는 아토피 피부염의 발병 원인들 중 최근 중요하게 고려되고 있는 것이 비정상적 체내 항산화 시스템과 과도한 반응성 자유 라디칼의 발생이다. 원래 자유 라디칼은 면역 시스템의 일환으로 체내로 침투한 외인성 병원균을 소멸시키는 방어 기작으로도 작용하나 아토피성 피부염 환자의 체내 및 피부에서는 발생 민감도가 크게 증가하여 과도한 자유 라디칼이 오히려 피부 보호막 혹은 피부 세포를 손상시키는 것으로 알려져있다.
이와 같은 면역 과민반응과 활성산소의 과다 발생은 근본적인 발병원인이 명확하지는 않지만 유전적 원인 이외에 주로 환경오염에 따른 다이옥신과 같은 환경호르몬의 인체 내 유입에 따른 내, 외인적 스트레스에 의해 면역체계의 기능악화 및 파괴에 의해서 발병하는 것으로 알려져있다. 그리고 아토피성 피부염에 수반되는 피부장벽 손상, 이차적인 세균감염, 약물 부작용에 대한 감수성의 증가, 곰팡이류나 바이러스 등의 감염에 대한 저항력 감소 등도 나타나게 된다.
이러한 아토피성 피부염을 치료하는 방법으로 알레르기원을 제거하거나 면역체계를 개선시키는 방법이 고려되고 있는데, 알레르기원을 제거하는 것이 어렵기 때문에 주로 면역에 관련된 치료와 비만세포로부터 히스타민 분비를 낮추기 위한 약물 치료를 받는 것이 보편적인 방법이다.
현재 사용되고 있는 치료방법으로는 면역억제제를 사용하여 아토피성 피부염에 의해 발생하는 각종 증상을 완화시키거나 또는 아토피 질환자의 피부건조를 방지하기 위하여 보습제를 도포하고 수반되는 염증을 치료하기 위하여 국소 부신피질호르몬과 같은 스테로이드제 등을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스테로이드제를 장기간 사용할 경우 스테로이드성 여드름, 피부위축 및 모세혈관확장 등 다양한 피부 부작용을 유발한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항히스타민제는 비만세포에서 히스타민이 유리되지 못하도록 하여 가려운 증상을 경감시키는 임시방편으로 사용되는데, 장기간 복용 시 불면, 불안, 식욕감퇴 등의 부작용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부작용을 나타내지 않으면서 우수한 항염증 효과를 나타내는 소재에 대한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한편, 최근에는 미용이나 질환 치료 목적으로 레이저 치료나 박피술 등이 성행되고 있다. 레이저 치료란 단일파장의 빛을 빛의 복사, 투과, 흡수, 에너지전달의 특성을 이용하여 치료하는 것이다. 단일 파장이라는 의미에서 치료 레이저는 파장대별로 또 에너지 방출 방식에 따라 그 종류가 다양하다. 즉 질환별로 치료용 레이저가 달라진다. 레이저 광선이 신체에 닿으면 열로 바뀌고 열로 인해서 흡수된 부위는 온도가 상승하는데 40도가 넘으면 단백변성이 시작된다. 68도 이상이면 혈액응고가 100도 이상이면 탄화 또는 증화된다. 이에 비해 40도 이하에서는 세포조직 활성화가 되는데 혈액순환과 신진대사가 좋아지고 높아지기 때문이다. 40도 이하의 광자극을 이용한 치료를 저반응 레이저치료라고 하고 40도 이상의 열자극을 이용한 것을 고반응 레이저 치료라 한다.
박피술이란 화학 약품이나 레이저를 이용하여 피부의 일부를 박피술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정도로 벗겨냄으로써 새로운 표피의 생성을 유도하고, 진피의 콜라겐 섬유의 생성을 자극하고자 하는 시술이다. 여드름, 흉터, 주름살, 색소성 병변, 넓어진 모공의 치료에 이용된다. 박피 방법에 따른 분류로는 화학약품을 이용하여 피부를 벗겨내는 화학 박피술, 레이저를 이용하여 피부를 벗겨내는 레이저 박피술이 있고, 박피 깊이에 따른 분류로는 각질층이나 표피까지만 벗겨내는 표층 박피술, 진피 상부층 까지 벗겨내는 중층 박피술, 진피의 하부까지 벗겨내는 전층 박피술이 있다.
이러한 레이저 치료나 박피술 이후에는 염증 반응 없이 피부재생을 유도하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며, 이를 위해 피부 재생이나 상처 치유를 위한 화장품이 다양하게 개발되고 있으나, 지금까지 개발된 피부 재생 및 상처 치유를 위한 화장품 대부분은 인위적으로 제조된 화합물 성분을 다량 함유하여 피부가 자극되는 부작용이 나타나거나 피부 재생 능력에 한계가 있다는 문제점이 존재하였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금어초 추출물, 지칭개 추출물 및 여뀌 추출물로 이루어진 복합 추출물, 해면침 분말 및 식이유황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트러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금어초 추출물, 지칭개 추출물 및 여뀌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두 가지 이상의 조합을 포함하는 복합 추출물; 해면침 분말; 및 식이유황;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트러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조성물은 금어초 추출물 및 지칭개 추출물을 1:0.2-5의 중량비로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조성물은 금어초 추출물 및 여뀌 추출물을 1:0.2-5의 중량비로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조성물은 지칭개 추출물 및 여뀌 추출물을 1:0.2-5의 중량비로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조성물은 금어초 추출물, 지칭개 추출물 및 여뀌 추출물을 1:0.15-6:0.15-6의 중량비로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조성물은 복합 추출물, 해면침 분말 및 식이유황을1:0.15-6:0.15-6의 중량비로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조성물은 피부 보습, 피부 진정, 피부 염증 및 여드름 개선용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조성물은 용액, 외용 연고, 크림, 폼, 영양 화장수, 유연 화장수, 팩, 유연수, 유액, 메이크업 베이스, 에센스, 비누, 액체 세정료, 입욕제, 선 스크린 크림, 선 오일,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 활성제 함유 클렌징,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패취 및 스프레이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제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피부에 대한 부작용 없이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항염, 피부 재생 및 상처 치유 개선 효과가 우수한바, 피부 보습, 피부 진정, 피부 염증 및 여드름 등의 피부트러블 개선을 위한 화장료 조성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다른 식으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모든 기술적 및 과학적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숙련된 전문가에 의해서 통상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명명법은 본 기술 분야에서 잘 알려져 있고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금어초 추출물, 지칭개 추출물 및 여뀌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두 가지 이상의 조합을 포함하는 복합 추출물; 해면침 분말; 및 식이유황;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트러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조성물은 천연 유래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여 기능성 및 생체 안전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피부 자극이 적고, 피부 보습, 피부 진정, 피부 염증 및 여드름 등의 피부트러블 개선 효과가 우수하다.
상기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은 피부트러블 개선 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예컨대, 피부 보습, 피부 진정, 피부 염증 및 여드름 개선, 모공 수축, 피지 분지 억제, 주름 개선, 피부 탄력 개선 효과 등을 나타낼 수 있는 정도의 유효량을 함유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금어초(Antirrhinum majus)는 현삼과(Scrophulariaceae)에 속하는 여러해살이풀로 아프리카와 남유럽이 원산지이며, 꽃 모양이 금붕어의 입처럼 생겨서 금어초(金漁草)라는 이름이 붙었으며, 유럽등지에서는 snapdragon으로 불린다. 금어초는 관상용으로 많이 이용되고 있으나, 씨앗이나 잎, 꽃을 약재로도 사용하고 있으며, 안토시아닌류를 비롯해 리놀레산과 올레산 등이 풍부한 것으로 알려져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금어초는 피부 보습, 피부 진정, 피부 염증 및 여드름 등의 피부트러블 개선 효과를 부여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지칭개(Hemistepita lyrata Bunge)는 국화과(Compositae)에 속하는 2년생 초본으로 5월경에 홍자색 꽃이 핀다. 지칭개의 생약명은 이호채(泥胡菜), 야고마(野苦麻), 고마채(苦馬菜), 나미채 라고도 불리우며 높이는 30~80 ㎝이고 다육질인 원뿔꼴의 뿌리가 있으며, 잎은 가늘고 긴 피침형으로 우리나라 전국의 산이나 들에서 자생한다. Hemistepita lyrata Bunge의 전초는 열을 내리고 해독하며 부기를 가라앉히고 어혈을 없애는 효능이 있으며, 조그마한 종기, 외상의 출혈, 골절을 치료하는 것으로 알려져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지칭개는 피부 보습, 피부 진정, 피부 염증 및 여드름 등의 피부트러블 개선 효과를 부여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여뀌(Persicaria hydropiper L.)는 북반구 온대 및 난대지방에 걸쳐 분포하는 마디풀목 마디풀과의 1년생 초본으로 흔히 습지 또는 물가에서 야생한다. 줄기는 40~100cm 정도로 자라고 가지가 많이 갈라지며 털이 없고, 어긋나게 달리는 잎은 잎자루가 없는 피침형으로 양끝이 좁고 표면에 털이 거의 없으며, 가장자리는 밋밋하고 뒷면에 선점이 산재한다. 6~9월에 가지나 줄기 끝에서 붉은빛을 띠는 백록색의 꽃이 수상화서로 달린다. 수과인 열매는 꽃받침에 싸여 검게 익는다. 꽃, 잎, 열매는 식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데, 씹으면 매운맛이 난다. 지혈작용이 있어 자궁출혈, 치질출혈 및 그 밖의 내출혈에 사용하며, 잎과 줄기는 항균작용이 뛰어나고, 혈압을 내려주며 소장과 자궁의 긴장도를 강화시킨다. 본 발명에서 상기 여뀌는 피부 보습, 피부 진정, 피부 염증 및 여드름 등의 피부트러블 개선 효과를 부여할 수 있다.
상기 금어초, 지칭개, 여뀌 추출물은 물, 유기용매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추출될 수 있으며, 상기 유기용매로는 C1-C4 알코올, 아세톤, 클로로포름, 메틸렌클로라이드, 에테르, 에틸아세테이트, 핵산 또는 이들의 조합 등이 이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C1-C4 알코올로는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및 부탄올을 예시할 수 있으며, 에탄올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추출물은 천연물의 추출 분야에서 당업자에게 공지된 임의의 추출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열 추출, 냉침 추출, 환류 냉각 추출 및 초음파 추출 등을 사용하여 1회 이상 실시하여 추출할 수 있다. 또한, 추출온도는 유용 성분이 손상되지 않을 정도의 온도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20 내지 100℃, 바람직하게는 약 50 내지 90℃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추출한 다음 통상의 정제과정을 통해 더 정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일정한 분자량 컷-오프 값을 갖는 한외 여과막을 이용한 분리, 다양한 크로마토그래피(크기, 전하, 소수성 또는 친화성에 따른 분리를 위해 제작된 것)에 의한 분리 등, 추가적으로 정제를 할 수 있다. 또한, 감압 증류, 동결 건조 및 분무 건조 등과 같은 건조 과정을 통해 분말 상태로 제조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먼저,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미세침 분말을 포함하므로, 상기 조성물의 유효성분의 피부 내 침투율이 현저히 증대될 수 있다. 상기 미세침(Spicule)은 대개 유럽, 러시아 지역의 담수에서 서식하는 해면 동물에서 채취되는 다양한 미세침의 형태를 띈 칼슘과 실리케이트로 이루어진 복합 물질이고, 일반적으로 분말의 형태로 수득할 수 있다.
상기 미세침은 미세한 침상형 구조로서 피부층을 침투하여 미세 통로를 형성하므로 도포된 화장료 성분의 침투 효과가 현저히 증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미세침은 인위적 상처 치유에 작용하는 콜라겐의 피부재생을 촉진하고 피부조직 온도를 상승시켜 생체 활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상기 미세침은 인체에 무해한 물질로서 피부에 접촉될 때 피부를 자극하여 미세한 기공을 형성하고 체내에서 용해되거나 배출될 수 있는 분말형 소재라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미세침 분말은 해면 동물에서 수득할 수 있으며, 상기 해면 동물은 스폰질라 라쿠스트리스 엘(Spongilla lacustris L.), 스폰질라 프라길리스 레이디(Spongilla fragilis Leidy) 및 에피다티아 플루비아틸리스(Ephydatia fluviatilis) 종에 속하는 해면일 수 있다.
상기 해면 동물은 근육, 신경 또는 장기가 존재하지 않은 원시적인 해양 생물로 5000 여종 이상이 존재한다. 골편은 무척추 동물의 체내에 존재하는 바늘 모양을 가지는 골격의 기능을 하는 조직으로 주로 규산 및 탄산 칼슘을 주성분으로 한다. 상기 해면 동물은 탄산칼슘 또는 규산을 주성분으로 하는 1축, 3축, 4축 또는 다축 골편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해면 동물은 주황색이나 청록색 등 다양한 색의 스펀지(sponge) 형태로 주로 바다에 서식하나, 민물 해면 동물도 존재한다.
상기 해면 동물은 세포들이 응집된 상태로 조직의 시초 단계에 있는 생물이며 몸체는 스펀지 섬유소(sponge fibers), 체벽을 형성하는 골편(spicules) 및 골편에 결합된 세포군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골편의 주성분은 석회질, 규산 또는 실리카 등이고 크기는 100 ㎛ 내외이므로 현미경에 의해 관찰될 수 있다.
상기 골편은 피부재생의 효과적 수단으로서, 다양한 병인의 과색소침착, 미세 주름, 일광에 의한 손상 및 표재성 흉터, 면포, 확대된 모공과 같은 시각적 안면 결함을 교정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피부상태를 개선하는 물리적 시술인 미세 피부 연마술 및 피부 연마술, 화학 박피술, CO2 레이저 박피술 및 어븀 레이저 박피술에 대한 천연의 대안적 접근법으로 활용되고 있다.
상기 골편은 피부층에 접촉되어 마찰될 때, 물리적으로 분리하여 각질세포 응집을 감소시키고, 각질층, 피지 플러그, 및 각질세포를 탈리시켜 미세 통로를 형성하므로 화장료 성분의 침투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으며, 피부의 재생을 촉진할 수도 있다.
상기 미세침 분말의 평균 길이는 60 내지 500 ㎛일 수 있다. 상기 미세침 분말의 평균 길이가 60㎛ 미만이면 피부 내에 효과적으로 침투하여 기공을 형성할 수 없고, 500 ㎛이면 분산성이 저하되거나 피부에 대한 과도한 자극을 유발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식이유황(MethylSulfonyl Methane)은 분자식이 (CH3)2SO2이고, 분자량이 94이며, 녹는점(Melting point)이 108~109℃인 성분이다. 상기 식이유황은 다양한 역할을 수행하며, 특히 인체에 근본적인 역할을 수행한다. 우선적으로 식이유황은 해독 기능과 혈액 순환을 원활하게 하는 기능을 가지며, 또한 체내의 산성과 알카리성의 균형을 유지시켜준다. 그리고, 식이유황은 건강한 머리카락, 피부, 손, 발톱 등을 유지하는 필수 단백질인 콜라겐과 케라틴을 생성하는데 필수적인 성분으로서, 이는 인체의 모든 체세포 조직의 탄력과 유연성을 유지시키는데 도움을 주는 필수적인 요소로서 작용한다. 또한 상기 식이유황은 세포조직의 투과성을 유지시키는데 반드시 필요하며, 적절한 투과성은 세포가 영양분을 흡수하고 노폐물을 배출할 수 있도록 해준다. 특히 피부나 혈관, 기관 그리고 관절 등의 대부분의 체세포 조직의 복구와 치료에 필수 요소인 메치오닌과 시스테인의 함황(含黃) 아미노산의 근본을 구성하는 물질이다. 이외에도 식이유황은 유리기(Free radical)로서 꽃가루와 음식물 알러지를 없애주며, 기타 의약품에 대한 과민반응을 없애주는 것으로 알려져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식이유황은 피부를 진정하며, 콜라겐 합성을 촉진하고 피부 장벽 강화 및 조직 회복효과를 부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금어초와 지칭개 추출물의 조합과 해면침 분말 및 식이유황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금어초 추출물 및 지칭개 추출물을 1:0.2-5의 중량비로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비율의 상한치를 초과하거나 하한치 미만인 경우 피부 보습, 피부 진정, 피부 염증 및 여드름 등의 피부트러블 개선 효과가 낮을 수 있으며, 상기 중량비로 포함시, 각 유효성분 간의 시너지 효과가 극대화되어 우수한 피부 보습, 피부 진정, 피부 염증 및 여드름 개선효과를 갖고, 제형 사용감이 우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금어초와 여뀌 추출물의 조합과 해면침 분말 및 식이유황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금어초 추출물 및 여뀌 추출물을 1:0.2-5의 중량비로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비율의 상한치를 초과하거나 하한치 미만인 경우 피부 보습, 피부 진정, 피부 염증 및 여드름 등의 피부트러블 개선 효과가 낮을 수 있으며, 상기 중량비로 포함시, 각 유효성분 간의 시너지 효과가 극대화되어 우수한 피부 보습, 피부 진정, 피부 염증 및 여드름 개선효과를 갖고, 제형 사용감이 우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지칭개와 여뀌 추출물의 조합과 해면침 분말 및 식이유황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지칭개 추출물 및 여뀌 추출물을 1:0.2-5의 중량비로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비율의 상한치를 초과하거나 하한치 미만인 경우 피부 보습, 피부 진정, 피부 염증 및 여드름 등의 피부트러블 개선 효과가 낮을 수 있으며, 상기 중량비로 포함시, 각 유효성분 간의 시너지 효과가 극대화되어 우수한 피부 보습, 피부 진정, 피부 염증 및 여드름 개선효과를 갖고, 제형 사용감이 우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금어초, 지칭개, 여뀌 추출물의 조합과 해면침 분말 및 식이유황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금어초 추출물, 지칭개 추출물 및 여뀌 추출물을 1:0.15-6:0.15-6의 중량비로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비율의 상한치를 초과하거나 하한치 미만인 경우 피부 보습, 피부 진정, 피부 염증 및 여드름 등의 피부트러블 개선 효과가 낮을 수 있으며, 상기 중량비로 포함시, 각 유효성분 간의 시너지 효과가 극대화되어 우수한 피부 보습, 피부 진정, 피부 염증 및 여드름 개선효과를 갖고, 제형 사용감이 우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금어초 추출물, 지칭개 추출물 및 여뀌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두 가지 이상의 조합을 포함하는 복합 추출물과, 해면침 분말 및 식이유황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복합 추출물, 해면침 분말 및 식이유황을 1:0.15-6:0.15-6의 중량비로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비율의 상한치를 초과하거나 하한치 미만인 경우 피부 보습, 피부 진정, 피부 염증 및 여드름 등의 피부트러블 개선 효과, 화장료 성분의 침투 효과, 피부 장벽 강화 및 조직 회복효과가 낮을 수 있으며, 상기 중량비로 포함시, 각 유효성분 간의 시너지 효과가 극대화되어 우수한 피부 보습, 피부 진정, 피부 염증 및 여드름 개선효과를 갖고, 제형 사용감이 우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전술한 성분 이외에도 통상의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성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식품의약품안전청에 등록된 화장품 원료 리스트 및 ICID(국제화장품원료집)에 등재되어 있는 성분을 1종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점증제, 보습제, pH 조절제, 유화제, 색소, 향료, 방부제 또는 용제 중에서 1종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점증제는 통상적인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카보머, 아크릴레이트, 암모늄아크릴로일디메칠타우레이트/브이피코폴리머, 아크릴레이트/C10-30알킬아크릴레이트크로스폴리머, 잔탄검 및 셀룰로오스검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보습제는 통상적인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부틸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렌글리콜, 글리세린, 디글리세린, 프로판디올, 1,2-헥산디올, 소듐하이알루로네이트, 우레아 및 트레할로스(trehalose)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pH 조절제는 통상적인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구연산, 숙신산, 타르타르산, 락트산, 말산, 푸마르산, 말레산, 글리콜산 등의 유기산, 염산, 황산, 인산, 질산 등의 무기산, 이들 산의 나트륨염, 칼륨염 또는 암모늄염, 및 알지닌 중에서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트리에탄올아민, 소듐클로라이드,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 등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유화제는 통상적인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모노라우레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 및 피이지-하이드로제네이티드 캐스터 오일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모노라우레이트인 트윈 20과 친유성 계면활성제인 피이지-60 하이드로제네이티드 캐스터 오일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색소는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유기 및 무기 색소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백운모, 합성운모, 견운도, 카올린, 이산화티탄, 산화티탄 피복 운모, 알루미늄 파우더, 황산화철, 흑산화철, 황산바륨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향료는 통상적으로 화장료 조성물에 사용되는 성분들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방부제는 통상적인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벤조산, 파라옥시안식향산에스테르, 메칠클로로이소치아졸리논의 혼합물, 페녹시에탄올, 메칠파라벤(Methylparaben), 에틸파라벤 또는 프로필파라벤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용제는 통상적인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정제수, 에탄올, 사이클로메치콘 또는 디메치콘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전술한 성분들 이외에도 보습 및 피부 진정 효과를 내는 것으로 알려진 공지의 천연 추출물이나, 비타민 유도체 또는 금속이온봉쇄제 등을 추가로 포함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용액, 외용 연고, 크림, 폼, 영양 화장수, 유연 화장수, 팩, 유연수, 유액, 메이크업 베이스, 에센스, 비누, 액체 세정료, 입욕제, 선 스크린 크림, 선 오일,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 활성제-함유 클렌징,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패취 및 스프레이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제형으로 제조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화장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에 따라 다양하다.
본 발명의 제형이 연고, 페이스트, 크림 또는 젤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성 유, 식물성 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산화 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들은 단독으로 사용되거나 2종 이상 혼합되어 사용될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사이드, 칼슘 실케이트, 폴리아미드 파우더 등이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하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제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아니다. 이들은 단독으로 사용되거나 2종 이상 혼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해화제 또는 유탁화제 등이 이용될 수 있으며,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등이 이용될 수 있고, 특히, 목화씨 오일, 땅콩 오일, 옥수수 배종 오일, 올리브 오일, 피마자 오일 및 참깨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이용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들은 단독으로 사용되거나 2종 이상 혼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의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하이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이 이용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들은 단독으로 사용되거나 2종 이상 혼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비누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산의 알칼리 금속 염, 지방산 헤미에스테르 염, 지방산 단백질 히드롤리제이트, 이세티오네이트, 라놀린 유도체, 지방족 알코올, 식물성 유, 글리세롤, 당 등이 이용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들은 단독으로 사용되거나 2종 이상 혼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과 레이저 시술 후 또는 여드름 부위에 도포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을 도포시 피부 재생 및 상처 치유 개선 효과가 우수하고, 안정성이 우수하여 인체에 부작용이 없으며, 사용감이 우수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들과 그것들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제조예 1: 금어초, 지칭개 및 여뀌 추출물의 제조
(1) 동결건조한 금어초 꽃을 분쇄하여 제조한 시료 100 g에 추출용매(70% 에탄올)를 넣어 60℃에서 90분간 추출 후 감압 여과하였으며, 여액을 감압농축기를 이용하여 에탄올 제거 후 동결 건조시켜 분말화된 금어초 추출물을 얻었다.
(2) 지칭개 건조 분말 100 g에 추출용매(70% 에탄올)를 넣어 60℃에서 90분간 추출 후 감압 여과하였으며, 여액을 감압농축기를 이용하여 에탄올 제거 후 동결 건조시켜 분말화된 지칭개 추출물을 얻었다.
(3) 건조된 여뀌를 분쇄하여 제조한 시료 100 g에 추출용매(70% 에탄올)를 넣어 60℃에서 90분간 추출 후 감압 여과하였으며, 여액을 감압농축기를 이용하여 에탄올 제거 후 동결 건조시켜 분말화된 여뀌 추출물을 얻었다.
제조예 2: 미세침 분말 제조
건조된 해면(Spongilla lacustris)에서 수득한 천연 스폰지 200g에 0.5N-수산화나트륨 용액을 800ml를 투입하여 초음파 공정으로 혼합 및 분쇄하였다. 교반 후 원심분리를 통해 불순물을 제거하고, 정제수로 700ml를 투입하여 가용성 불순물 및 수산화나트륨 용액을 제거하였다.
2%-L-아스코르빈산 용액 800ml로 미량의 수산화나트륨을 화학 반응으로 제거하고 과투입된 L-아스코르빈산 용액을 제거한 후 건조시켜 정제수가 제거된 미세침 분말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비교예
상기 제조예 1을 통해 수득한 금어초, 지칭개 및 여뀌 추출물, 상기 제조예 2를 통해 수득한 미세침 분말, 및 식이 유황의 피부트러블 개선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기 표 1 내지 표 7과 같이 시료를 혼합하여 실시예 및 비교예를 설정하였다.
시료[함량(중량부)]
실시예 금어초 지칭개 여뀌 미세침 식이유황
1-1 150 150 - 100 100
2-1 150 - 150 100 100
3-1 - 150 150 100 100
시료[함량(중량부)]
실시예 금어초 지칭개 여뀌 미세침 식이유황
1-1 150 150 - 100 100
1-2 200 100 - 100 100
1-3 250 50 - 100 100
1-4 275 25 - 100 100
1-5 100 200 - 100 100
1-6 50 250 - 100 100
1-7 25 275 - 100 100
시료[함량(중량부)]
실시예 금어초 지칭개 여뀌 미세침 식이유황
2-1 150 - 150 100 100
2-2 200 - 100 100 100
2-3 250 - 50 100 100
2-4 275 - 25 100 100
2-5 100 - 200 100 100
2-6 50 - 250 100 100
2-7 25 - 275 100 100
시료[함량(중량부)]
실시예 금어초 지칭개 여뀌 미세침 식이유황
3-1 - 150 150 100 100
3-2 - 200 100 100 100
3-3 - 250 50 100 100
3-4 - 275 25 100 100
3-5 - 100 200 100 100
3-6 - 50 250 100 100
3-7 - 25 275 100 100
시료[함량(중량부)]
실시예 금어초 지칭개 여뀌 미세침 식이유황
4-1 150 150 150 100 100
4-2 100 100 100 100 100
4-3 150 75 75 100 100
4-4 200 50 50 100 100
4-5 225 37.5 37.5 100 100
4-6 250 25 25 100 100
4-7 75 150 75 100 100
4-8 50 200 50 100 100
4-9 37.5 225 37.5 100 100
4-10 25 250 25 100 100
4-11 75 75 150 100 100
4-12 50 50 200 100 100
4-13 37.5 37.5 225 100 100
4-14 25 25 250 100 100
시료[함량(중량부)]
실시예 금어초 지칭개 여뀌 미세침 식이유황
5-1 100 100 100 100 100
5-2 100 100 100 125 75
5-3 100 100 100 150 50
5-4 100 100 100 175 25
5-5 100 100 100 187.5 12.5
5-6 100 100 100 75 125
5-7 100 100 100 50 150
5-8 75 150 75 25 175
5-9 50 200 50 12.5 187.5
시료[함량(중량부)]
비교예 금어초 지칭개 여뀌 미세침 식이유황
1 - - - 250 250
2 300 - - 100 100
3 - 300 - 100 100
4 - - 300 100 100
실험예 1: 피부 안전성 시험
실시예 및 비교예의 시료에 대한 피부 안전성을 검증하기 위해, 섬유아세포(HDF), 멜라닌형성세포(B16F10), 각질세포(HaCaT)에 대한 MTT assay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시예 및 비교예의 시료를 정제수에 0, 1, 5, 10, 20, 50 및 100mg/L의 농도별로 각각 현탁한 후, 세포 생존율을 측정하였다. 세포 독성은 MTT{3-(4,5-dimethylthiazol-2-yl)-2-5-diphenyltetrazolium bromide} 시약을 이용하여 세포 생존율을 측정하는 모스만(Mosmann)의 방법을 변형하여 수행하였다. 섬유아세포(HDF), 멜라닌형성세포(B16F10), 및 각질세포(HaCaT)를 각각 96-웰 플레이트에 1×104 cells/well의 농도로 분주하여 37℃, 5% CO2에서 48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배양 배지를 제거하고 시료를 농도별로 처리한 배지에 48시간 동안 배양한 후 배지를 제거하고 PBS(Phosphate buffered saline)로 반복 세척하였다. MTT를 5mg/mL로 PBS에 녹여 50L 첨가하고 37℃, 5%의 CO2에서 48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DMSO(Dimethyl sulfoxide)를 한 웰(well) 당 100L 넣고, 10분 동안 교반한 후 54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측정 결과, 각 시료의 모든 농도에서 세포 독성이 나타나지 않았으며, 이를 통해, 본 발명에 사용된 성분들이 인체에 무해할 뿐만 아니라 인체 안전성이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2: 피부진정 효과 평가
실시예 및 비교예의 시료를 제형화한 화장료 조성물의 피부진정 효과를 평가하였다. 각 시료를 동일한 조성의 크림으로 제형화하였으며, 실시예 및 비교예 시료만을 달리하였다. 19~26세의 여성 중 자극에 민감성 피부를 가진 50명에 대하여 팔 안쪽 부위에 테이프 스트리핑 법(Tape stripping method)을 통한 피부자극을 유발한 후, 상기 제형화된 실시예 1-1, 2-1, 3-1, 4-2 및 비교예 1 내지 4의 시료를 매일 2회씩 1개월간 얼굴 및 전반부에 도포하게 하였으며, 따가움, 가려움, 홍조, 홍반 등 사용자의 의견에 따라 개선 정도를 판정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8에 나타내었다.
구분 1주 2주 3주 4주
실시예 1-1 + ++ +++ +++
실시예 2-1 + ++ +++ +++
실시예 3-1 + ++ ++ +++
실시예 4-2 ++ +++ +++ +++
비교예 1 ± ± ± ±
비교예 2 ± ± + +
비교예 3 ± ± + +
비교예 4 ± ± ± +
<평가기준>
+++: 매우 양호한 개선 효과가 있음 / ++: 상당한 개선 효과가 있음 / +: 약간의 개선 효과가 있음 / ±: 개선 효과는 없으나 악화되지도 않음 / -: 개선 효과 없고 오히려 약화됨
상기 표 8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금어초 추출물, 지칭개 추출물 및 여뀌 추출물 중 두 가지 이상의 조합과 해면침 분말 및 식이유황을 포함하는 시료(실시예 1-1, 실시예 2-1, 실시예 3-1 및 실시예 4-2)는 해면침 분말 및 식이유황만을 포함하거나(비교예 1), 금어초 추출물, 지칭개 추출물 및 여뀌 추출물 중 하나의 추출물과 해면침 분말 및 식이유황을 포함하는 시료(비교예 2 내지 4)에 비해 피부진정 효과가 현저하게 우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실험예 3: 피부 탄력 개선 효과 평가
실시예 및 비교예의 시료를 제형화한 화장료 조성물의 피부 탄력 개선 효과를 평가하였다. 각 시료를 동일한 조성의 크림으로 제형화하였으며, 실시예 및 비교예 시료만을 달리하였다. 온도 24 내지 26℃, 습도 75%의 조건에서 20세 이상의 건강한 여성(평균연령 37세)을 그룹별로 나누고 제형화한 실시예 및 비교예의 크림을 각각 도포하였다. 눈가를 중심으로 하루 2회씩(아침 및 저녁) 12주간 제형화한 크림을 도포하였고, 피부 탄력 측정기(Cutometer MPA580, Conrage + Khazaka사, 독일연방국)를 이용하여 피부 탄력을 측정하였다. 시험결과는 cutometer MPA580의 R8(R8(12주)-R8(0주)) 값으로 기재하였고, R8 값은 피부 점탄성(Vicoelasticity)의 성질을 나타내며, 측정 결과는 하기 표 9에 나타내었다.
구분 피부 탄력 개선 효과
실시예 1-1 0.88
실시예 2-1 0.87
실시예 3-1 0.84
실시예 4-2 0.93
비교예 1 0.43
비교예 2 0.52
비교예 3 0.54
비교예 4 0.49
양성 대조군(비타민 C) 0.91
음성 대조군(무처리) 0.29
상기 표 9에 나타난 결과를 통해, 본 발명에 따른 금어초 추출물, 지칭개 추출물 및 여뀌 추출물 중 두 가지 이상의 조합과 해면침 분말 및 식이유황을 포함하는 시료(실시예 1-1, 실시예 2-1, 실시예 3-1 및 실시예 4-2)는 해면침 분말 및 식이유황만을 포함하거나(비교예 1), 금어초 추출물, 지칭개 추출물 및 여뀌 추출물 중 하나의 추출물과 해면침 분말 및 식이유황을 포함하는 시료(비교예 2 내지 4)에 비해 피부 탄력 개선 효과가 현저히 향상됨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4: 아토피 피부 개선 효과에 대한 임상실험
실시예 및 비교예의 시료를 제형화한 화장료 조성물의 피부 가려움증 개선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아토피 질환을 가진 환자에 대해 다음과 같이 임상실험을 진행하였다. 각 시료를 동일한 조성의 크림으로 제형화하였으며, 실시예 및 비교예 시료만을 달리하였다.
임상실험은 10세에서 60세 사이의 아토피에 의한 피부 가려움증 증세가 있는 환자 80명(실시예 1-1, 실시예 1-2, 실시예 1-3, 실시예 4-2 및 비교예 1 내지 4 모두 각 10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실험 시작 2주 전부터 가려움 치료에 관련된 스테로이드, 항히스타민 계열 약물을 일절 사용하지 않도록 하였다.
그리고 모든 실험 대상자에게는 가려움증이 있는 부위에 1일 3회씩 4주 동안 도포하도록 한 후 1개월 후의 상태를 하기 표 10과 같은 항목으로 평가하도록 하였으며, 그 결과를 표 11에 나타내었다.
실험 항목 주관적 점수


피부 가려움 개선 효과
a: 매우 개선됨
b: 개선됨
c: 차이가 없음
d: 악화됨
e: 매우 악화됨
매우 개선됨 개선됨 차이가 없음 악화됨 매우 악화됨
실시예 1-1 3명 6명 1명 - -
실시예 2-1 2명 6명 2명 - -
실시예 3-1 1명 5명 3명 - -
실시예 4-1 6명 4명 - - -
실시예 4-2 4명 6명
비교예 1 - 7명 3명 -
비교예 2 - 3명 6명 1명 -
비교예 3 - 2명 7명 1명 -
비교예 4 - 1명 7명 2명 -
상기 표 11에 나타난 결과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금어초 추출물, 지칭개 추출물 및 여뀌 추출물 중 두 가지 이상의 조합과 해면침 분말 및 식이유황을 포함하는 시료(실시예 1-1, 실시예 2-1, 실시예 3-1 및 실시예 4-2)를 사용한 대상자 대부분이 피부 가려움 증상이 매우 개선 또는 개선되었다고 답한 반면, 해면침 분말 및 식이유황만을 포함하거나(비교예 1), 금어초 추출물, 지칭개 추출물 및 여뀌 추출물 중 하나의 추출물과 해면침 분말 및 식이유황을 포함하는 시료(비교예 2 내지 4)를 사용한 대상자는 일부 개선되었다는 답변이 있었을 뿐, 대부분은 차이가 없거나, 오히려 가려움 증상이 악화되었다고 답하였다. 또한, 복합추출물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매우 개선 또는 개선되었다고 답한 대상자가 증가하였다(실시예 4-1 및 실시예 4-2 비교), 이러한 결과를 통해 본 발명에 따른 유용성분이 피부 가려움증 해소에 큰 역할을 함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5: 아토피성 피부염의 감염 증상에 대한 임상실험
실시예 및 비교예의 시료를 제형화한 화장료 조성물의 아토피성 피부염의 감염 증상에 대한 개선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아토피 질환을 가진 환자에 대해 다음과 같이 임상실험을 진행하였다. 각 시료를 동일한 조성의 크림으로 제형화하였으며, 실시예 및 비교예 시료만을 달리하였다. 임상실험은 10세에서 60세 사이에 아토피에 의한 피부 감염증이 있는 환자 40명(실시예 1-1, 실시예 1-2, 실시예 1-3, 실시예 4-2 및 비교예 1 내지 4 모두 각 5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실험 시작 2주 전부터 아토피 치료에 관련된 스테로이드, 항히스타민 계열 약물을 일절 사용하지 않도록 하였다.
그리고 모든 실험 대상자에게는 피부 감염증이 있는 부위에 1일 3회씩 4주 동안 도포하도록 한 후 1개월 후의 상태를 하기 표 12와 같은 항목으로 평가하도록 하였으며, 그 결과를 표 13에 나타내었다.
실험 항목 주관적 점수

아토피 피부 감염증상 개선 효과
a: 매우 개선됨
b: 개선됨
c: 차이가 없음
d: 악화됨
e: 매우 악화됨
매우 개선됨 개선됨 차이가 없음 악화됨 매우 악화됨
실시예 1-1 2명 2명 1명 - -
실시예 2-1 1명 2명 2명 - -
실시예 3-1 1명 2명 2명 - -
실시예 4-1 4명 1명 - - -
실시예 4-2 2명 3명
비교예 1 - - 3명 2명 -
비교예 2 - 2명 3명 - -
비교예 3 - 1명 3명 1명 -
비교예 4 - 1명 3명 1명 -
상기 표 13에 나타난 결과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금어초 추출물, 지칭개 추출물 및 여뀌 추출물 중 두 가지 이상의 조합과 해면침 분말 및 식이유황을 포함하는 시료(실시예 1-1, 실시예 2-1, 실시예 3-1 및 실시예 4-2)를 사용한 대상자 대부분이 환부에 발생한 지루성 염증이 매우 개선 또는 개선되었다고 답한 반면, 해면침 분말 및 식이유황만을 포함하거나(비교예 1), 금어초 추출물, 지칭개 추출물 및 여뀌 추출물 중 하나의 추출물과 해면침 분말 및 식이유황을 포함하는 시료(비교예 2 내지 4)를 사용한 대상자는 일부 개선되었다는 답변이 있었을 뿐, 대부분은 차이가 없거나, 오히려 증상이 악화되었다고 답하였다. 또한, 복합추출물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매우 개선 또는 개선되었다고 답한 대상자가 증가하였다(실시예 4-1 및 실시예 4-2 비교), 이러한 결과를 통해 본 발명에 따른 유용성분이 아토피에 의한 피부 감염증상의 개선에 큰 역할을 함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6: 여드름 개선 효과에 대한 임상실험
실시예 및 비교예의 시료를 제형화한 화장료 조성물의 여드름 개선 효과를 평가하였다. 각 시료를 동일한 조성의 크림으로 제형화하였으며, 실시예 및 비교예 시료만을 달리하였다. 임상실험은 19~26세의 여성 중 여드름을 가진 40명(실시예 1-1, 실시예 1-2, 실시예 1-3, 실시예 4-2 및 비교예 1 내지 4 모두 각 5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각 4주간 일상적인 로션과 같은 사용방법으로 사용하도록 한 후의 상태를 하기 표 14와 같은 항목으로 평가하도록 하였으며, 그 결과를 표 15에 나타내었다.
실험 항목 주관적 점수


여드름 개선 효과
a: 매우 개선됨
b: 개선됨
c: 차이가 없음
d: 악화됨
e: 매우 악화됨
매우 개선됨 개선됨 차이가 없음 악화됨 매우 악화됨
실시예 1-1 1명 3명 1명 - -
실시예 2-1 1명 2명 2명 - -
실시예 3-1 - 3명 2명 - -
실시예 4-1 3명 2명 - - -
실시예 4-2 1명 4명
비교예 1 - - 3명 2명 -
비교예 2 - 1명 4명 - -
비교예 3 - 1명 3명 1명 -
비교예 4 - 1명 2명 2명 -
상기 표 15에 나타난 결과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금어초 추출물, 지칭개 추출물 및 여뀌 추출물 중 두 가지 이상의 조합과 해면침 분말 및 식이유황을 포함하는 시료(실시예 1-1, 실시예 2-1, 실시예 3-1 및 실시예 4-2)를 사용한 대상자 대부분이 여드름 증상이 매우 개선 또는 개선되었다고 답한 반면, 해면침 분말 및 식이유황만을 포함하거나(비교예 1), 금어초 추출물, 지칭개 추출물 및 여뀌 추출물 중 하나의 추출물과 해면침 분말 및 식이유황을 포함하는 시료(비교예 2 내지 4)를 사용한 대상자는 일부 개선되었다는 답변이 있었을 뿐, 대부분은 차이가 없거나, 오히려 증상이 악화되었다고 답하였다. 또한, 복합추출물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매우 개선 또는 개선되었다고 답한 대상자가 증가하였다(실시예 4-1 및 실시예 4-2 비교), 이러한 결과를 통해 본 발명에 따른 유용성분이 여드름 증상의 개선에 큰 역할을 함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7: NO(nitric oxide) 생성 억제 효과 측정
실시예 및 비교예의 시료에 대하여 피부 염증 발생의 주요 인자로 작용하는 NO의 생성 억제 효과 시험을 실시하였다. 먼저 쥐의 대식세포인 RAW 264.7 cell을 10% FBS DMEM 배지로 배양하고 24-웰 플레이트에 4×105 cell/well로 분주하여 5% CO2 항온항습기에서 24시간 배양하였다. 이후 배지를 제거하고 실시예 및 비교예의 시료와 Methylarginine(LNMMA)를 각각 함유한 FBS free DMEM을 처리하고 30분 후 lipopolysaccharide(LPS)로 NO를 유발하여 24시간 배양하였다. NO assay kit를 이용하여 LPS 처리 대비 시료의 NO 양을 계산하여 NO 생성 억제율을 평가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16에 나타내었다.
구분 농도(ppm) NO 생성 억제율(%)
실시예 1-1 10 68.7
실시예 1-2 10 71.4
실시예 1-3 10 72.3
실시예 1-4 10 69.9
실시예 1-5 10 67.4
실시예 1-6 10 65.3
실시예 1-7 10 63.8
실시예 2-1 10 67.4
실시예 2-2 10 69.2
실시예 2-3 10 70.1
실시예 2-4 10 68.6
실시예 2-5 10 66.5
실시예 2-6 10 63.9
실시예 2-7 10 61.7
실시예 3-1 10 67.2
실시예 3-2 10 68.9
실시예 3-3 10 69.6
실시예 3-4 10 68.1
실시예 3-5 10 66.1
실시예 3-6 10 63.0
실시예 3-7 10 60.8
실시예 4-1 10 87.3
실시예 4-2 10 78.6
실시예 4-3 10 77.0
실시예 4-4 10 75.8
실시예 4-5 10 75.5
실시예 4-6 10 74.9
실시예 4-7 10 73.8
실시예 4-8 10 72.2
실시예 4-9 10 71.7
실시예 4-10 10 70.3
실시예 4-11 10 70.1
실시예 4-12 10 68.4
실시예 4-13 10 65.7
실시예 4-14 10 65.1
실시예 5-1 10 78.6
실시예 5-2 10 75.3
실시예 5-3 10 73.7
실시예 5-4 10 68.4
실시예 5-5 10 66.6
실시예 5-6 10 76.5
실시예 5-7 10 74.8
실시예 5-8 10 68.2
실시예 5-9 10 67.3
비교예 1 10 41.8
비교예 2 10 52.3
비교예 3 10 51.7
비교예 4 10 50.5
LNMMA 10 46.3
상기 표 16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금어초 추출물, 지칭개 추출물 및 여뀌 추출물 중 두 가지 이상의 조합과 해면침 분말 및 식이유황을 포함하는 시료(실시예 1-1, 실시예 2-1, 실시예 3-1 및 실시예 4-2)는 대표적인 NO 생성 저해물질인 LNMMA, 해면침 분말 및 식이유황만을 포함하거나(비교예 1), 금어초 추출물, 지칭개 추출물 및 여뀌 추출물 중 하나의 추출물과 해면침 분말 및 식이유황을 포함하는 시료(비교예 2 내지 4) 보다 우수한 NO 생성 억제율을 나타내는바, 항염 효능이 매우 우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복합추출물의 함량이 증가할수록(실시예 4-1 및 실시예 4-2 비교), NO 생성 억제율이 상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금어초 추출물과 지칭개 추출물의 조합과 해면침 분말 및 식이유황을 포함하는 시료의 경우(실시예 1-1 내지 실시예 1-7), 금어초 추출물과 지칭개 추출물을 혼합한 조성 모두에서 NO 생성 억제율이 증가하였으며, 특히 실시예 1-1 내지 실시예 1-4의 경우 NO 생성 억제율이 우수하였으며, 그 중에서도 실시예 1-2 및 실시예 1-3의 경우 NO 생성 억제율이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금어초 추출물과 여뀌 추출물의 조합과 해면침 분말 및 식이유황을 포함하는 시료의 경우(실시예 2-1 내지 실시예 2-7), 금어초 추출물과 여뀌 추출물을 혼합한 조성 모두에서 NO 생성 억제율이 증가하였으며, 특히 실시예 2-1 내지 실시예 2-4의 경우 NO 생성 억제율이 우수하였으며, 그 중에서도 실시예 2-2 및 실시예 2-3의 경우 NO 생성 억제율이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지칭개 추출물과 여뀌 추출물의 조합과 해면침 분말 및 식이유황을 포함하는 시료의 경우(실시예 3-1 내지 실시예 3-7), 지칭개 추출물과 여뀌 추출물을 혼합한 조성 모두에서 NO 생성 억제율이 증가하였으며, 특히 실시예 3-1 내지 실시예 3-4의 경우 NO 생성 억제율이 우수하였으며, 그 중에서도 실시예 3-2 및 실시예 3-3의 경우 NO 생성 억제율이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금어초 추출물, 지칭개 추출물 및 여뀌 추출물의 조합과 해면침 분말 및 식이유황을 포함하는 시료의 경우(실시예 4-1 내지 실시예 4-14), 금어초 추출물, 지칭개 추출물 및 여뀌 추출물을 혼합한 조성 모두에서 NO 생성 억제율이 증가하였으며, 대부분 금어초 추출물, 지칭개 추출물 및 여뀌 추출물 중 두 가지를 조합한 경우(실시예 1 내지 3)보다 NO 생성 억제율이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났고, 특히 실시예 4-1 내지 4-3의 경우 NO 생성 억제율이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금어초 추출물, 지칭개 추출물 및 여뀌 추출물의 조합을 포함하되, 해면침 분말과 식이유황의 혼합 조성을 달리한 시료의 경우(실시예 5-1 내지 5-9)에도 모든 조성에서 NO 생성 억제율이 증가하였으나, 특히 실시예 5-1 내지 5-3 및 실시예 5-6 내지 5-7의 경우 NO 생성 억제율이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실험예 8: MMP -1(Matrix metalloproteinase -1) 및 PGE2 ( Prostagladin E2) 발현 억제 효과 측정
실시예 및 비교예의 시료에 대하여 피부 염증 발생의 주요 인자로 작용하는 MMP-1 및 PGE2 발현 억제 효과를 측정하기 위해서 ELISA(Enzyme Linked Immuno Sorbent Assay)를 실시하였다. 먼저, 쥐의 대식세포인 RAW264.7 cell을 10% FBS DMEM 배지로 배양하고 24-웰 플레이트에 1×105 cell/well로 분주하여 5% CO2 항온항습기에서 24시간 배양하였다. 이후 배지를 교환하고 실시예 및 비교예의 시료를 처리하여 24시간 더 배양한 후 일차항체(단일클론항체)를 처리하여 37 ℃에서 90분간 반응시켰다. 다음으로 이차항체인 항마우스이뮤노글로불린지(alkaline phosphatase conjugated anti-mouse IgG)를 처리하여 90분간 반응시킨 후, 완충 용액으로 세척한 다음 알카린 포스파타제 기질 용액(디에탄올아민 완충용액 내의 1 mg/ml p-니트로페닐포스페이트)을 상온에서 30분간 반응시키고 흡광 광도계를 이용하여 405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실시예 및 비교예의 시료를 처리하지 않은 세포배양액의 흡광도를 대조군으로 하였으며, MMP-1 및 PGE2의 발현 억제 효과는 하기 수학식 1에 의하여 산출하였으며, 그 결과는 하기 표 17에 나타내었다.
[수학식 1]
MMP-1 및 PGE2의 발혁 억제율(%) = (A-B)/A*100
A: 시료를 첨가하지 않은 웰의 흡광도
B: 시료를 첨가한 웰의 흡광도
구분 MMP-1 발현 억제율(%) PGE2 발현 억제율(%)
실시예 1-1 84.7 87.4
실시예 1-2 87.3 90.1
실시예 1-3 88.2 90.9
실시예 1-4 85.0 88.4
실시예 1-5 83.6 86.2
실시예 1-6 81.4 84.7
실시예 1-7 80.9 83.9
실시예 2-1 83.6 86.7
실시예 2-2 86.8 89.2
실시예 2-3 87.0 90.1
실시예 2-4 83.8 86.3
실시예 2-5 81.8 84.4
실시예 2-6 80.9 83.7
실시예 2-7 79.7 81.5
실시예 3-1 83.4 86.2
실시예 3-2 84.5 87.1
실시예 3-3 85.3 88.0
실시예 3-4 84.2 87.0
실시예 3-5 82.7 85.4
실시예 3-6 80.4 83.1
실시예 3-7 78.6 81.5
실시예 4-1 94.3 95.2
실시예 4-2 90.5 91.8
실시예 4-3 89.4 90.0
실시예 4-4 88.8 89.9
실시예 4-5 87.9 88.7
실시예 4-6 87.6 88.5
실시예 4-7 87.8 88.7
실시예 4-8 86.6 87.4
실시예 4-9 86.3 87.2
실시예 4-10 85.8 87.1
실시예 4-11 85.7 86.9
실시예 4-12 84.3 85.2
실시예 4-13 82.0 85.3
실시예 4-14 81.8 84.7
실시예 5-1 90.5 91.8
실시예 5-2 88.3 89.9
실시예 5-3 88.2 88.5
실시예 5-4 85.6 86.4
실시예 5-5 83.7 84.2
실시예 5-6 88.8 88.6
실시예 5-7 88.4 88.5
실시예 5-8 85.6 85.7
실시예 5-9 84.9 83.8
비교예 1 51.4 52.5
비교예 2 66.7 67.8
비교예 3 65.4 66.6
비교예 4 65.8 66.0
대조군 - -
상기 표 17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금어초 추출물, 지칭개 추출물 및 여뀌 추출물 중 두 가지 이상의 조합과 해면침 분말 및 식이유황을 포함하는 시료(실시예 1-1, 실시예 2-1, 실시예 3-1 및 실시예 4-2)는 해면침 분말 및 식이유황만을 포함하거나(비교예 1), 금어초 추출물, 지칭개 추출물 및 여뀌 추출물 중 하나의 추출물과 해면침 분말 및 식이유황을 포함하는 시료(비교예 2 내지 4) 보다, 피부의 염증 인자인 MMP-1 및 PGE2의 발현을 효과적으로 억제하여 피부 염증 및 트러블을 방지하는 효과가 매우 우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복합추출물의 함량이 증가할수록(실시예 4-1 및 실시예 4-2 비교), 발현 억제율이 상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금어초 추출물과 지칭개 추출물의 조합과 해면침 분말 및 식이유황을 포함하는 시료의 경우(실시예 1-1 내지 실시예 1-7), 금어초 추출물과 지칭개 추출물을 혼합한 조성 모두에서 MMP-1 및 PGE2의 발현 억제율이 증가하였으며, 특히 실시예 1-1 내지 실시예 1-4의 경우 MMP-1 및 PGE2의 발현 억제율이 우수하였으며, 그 중에서도 실시예 1-2 및 실시예 1-3의 경우 MMP-1 및 PGE2의 발현 억제율이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금어초 추출물과 여뀌 추출물의 조합과 해면침 분말 및 식이유황을 포함하는 시료의 경우(실시예 2-1 내지 실시예 2-7), 금어초 추출물과 여뀌 추출물을 혼합한 조성 모두에서 MMP-1 및 PGE2의 발현 억제율이 증가하였으며, 특히 실시예 2-1 내지 실시예 2-4의 경우 MMP-1 및 PGE2의 발현 억제율이 우수하였으며, 그 중에서도 실시예 2-2 및 실시예 2-3의 경우 MMP-1 및 PGE2의 발현 억제율이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지칭개 추출물과 여뀌 추출물의 조합과 해면침 분말 및 식이유황을 포함하는 시료의 경우(실시예 3-1 내지 실시예 3-7), 지칭개 추출물과 여뀌 추출물을 혼합한 조성 모두에서 MMP-1 및 PGE2의 발현 억제율이 증가하였으며, 특히 실시예 3-1 내지 실시예 3-4의 경우 MMP-1 및 PGE2의 발현 억제율이 우수하였으며, 그 중에서도 실시예 3-2 및 실시예 3-3의 경우 MMP-1 및 PGE2의 발현 억제율이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금어초 추출물, 지칭개 추출물 및 여뀌 추출물의 조합과 해면침 분말 및 식이유황을 포함하는 시료의 경우(실시예 4-1 내지 실시예 4-14), 금어초 추출물, 지칭개 추출물 및 여뀌 추출물을 혼합한 조성 모두에서 MMP-1 및 PGE2의 발현 억제율이 증가하였으며, 대부분 금어초 추출물, 지칭개 추출물 및 여뀌 추출물 중 두 가지를 조합한 경우(실시예 1 내지 3)보다 MMP-1 및 PGE2의 발현 억제율이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났고, 특히 실시예 4-1 내지 4-3의 경우 MMP-1 및 PGE2의 발현 억제율이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금어초 추출물, 지칭개 추출물 및 여뀌 추출물의 조합을 포함하되, 해면침 분말과 식이유황의 혼합 조성을 달리한 시료의 경우(실시예 5-1 내지 5-9)에도 모든 조성에서 MMP-1 및 PGE2의 발현 억제율이 증가하였으나, 특히 실시예 5-1 내지 5-3 및 실시예 5-6 내지 5-7의 경우 MMP-1 및 PGE2의 발현 억제율이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으로 본 발명 내용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실시형태일 뿐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들과 그것들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Claims (8)

  1. 금어초 추출물, 지칭개 추출물 및 여뀌 추출물을 포함하는 복합 추출물;
    해면침 분말; 및
    식이유황;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고,
    상기 금어초 추출물, 상기 지칭개 추출물 및 상기 여뀌 추출물을 1:0.15-6:0.15-6의 중량비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트러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복합 추출물, 해면침 분말 및 식이유황을 1:0.15-6:0.15-6의 중량비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트러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피부 보습, 피부 진정, 피부 염증 및 여드름 개선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트러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용액, 외용 연고, 크림, 폼, 영양 화장수, 유연 화장수, 팩, 유연수, 유액, 메이크업 베이스, 에센스, 비누, 액체 세정료, 입욕제, 선 스크린 크림, 선 오일,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 활성제 함유 클렌징,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패취 및 스프레이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제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트러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200039094A 2020-03-31 2020-03-31 피부트러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Active KR1022084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9094A KR102208482B1 (ko) 2020-03-31 2020-03-31 피부트러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9094A KR102208482B1 (ko) 2020-03-31 2020-03-31 피부트러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08482B1 true KR102208482B1 (ko) 2021-01-27

Family

ID=742388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9094A Active KR102208482B1 (ko) 2020-03-31 2020-03-31 피부트러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0848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175493A (ko) 2023-06-13 2024-12-20 황기철 피부 트러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62584A (ko) * 2015-11-27 2017-06-08 예랑영농조합법인 천연 생약 발효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1891218B1 (ko) * 2018-01-22 2018-08-23 주식회사 위드내추럴 천연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염 질환의 치료용 조성물
KR101969684B1 (ko) * 2018-11-15 2019-04-16 주식회사 엠디글로벌 천연 미세침 분말과 천연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주름개선 및 모공축소 기능의 화장료 조성물
KR20190119020A (ko) * 2019-10-14 2019-10-21 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 지칭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염증 조성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62584A (ko) * 2015-11-27 2017-06-08 예랑영농조합법인 천연 생약 발효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1891218B1 (ko) * 2018-01-22 2018-08-23 주식회사 위드내추럴 천연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염 질환의 치료용 조성물
KR101969684B1 (ko) * 2018-11-15 2019-04-16 주식회사 엠디글로벌 천연 미세침 분말과 천연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주름개선 및 모공축소 기능의 화장료 조성물
KR20190119020A (ko) * 2019-10-14 2019-10-21 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 지칭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염증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인터넷 기사, ‘한국수생명연구소, 통증을 요격하는 닥터유 딥케어 미사일크림 개발’, http://www.futurekorea.co.kr/news/articlePrint.html?idxno=127458 (2020.01.31.)* *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175493A (ko) 2023-06-13 2024-12-20 황기철 피부 트러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46206B1 (ko) 화장품 조성물 및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1387308B1 (ko) 황칠나무 발효산물을 이용한 피부 미백 화장료 조성물
KR20080002279A (ko) 아토피 증상 개선의 효과가 있는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829892B1 (ko) 물푸레나무 추출물 및 갯메꽃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885224B1 (ko) 금불초, 삼지구엽초 및 마디풀 복합 추출물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KR102113645B1 (ko) 미세침 분말 및 천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 방지 및 모발 성장 촉진용 화장료 조성물
KR102169463B1 (ko) 피부트러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046438B1 (ko) 피부 주름 개선 및 피부 수렴 작용을 갖는 혼합 식물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969684B1 (ko) 천연 미세침 분말과 천연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주름개선 및 모공축소 기능의 화장료 조성물
KR101047612B1 (ko) 여드름 및 여드름양 발진 완화용 또는 치료용 화장료 조성물
KR100633380B1 (ko) 특정 생약추출 혼합물을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용 한방화장료 조성물
KR102300581B1 (ko) 식물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KR101039532B1 (ko) 연잎, 지부자, 지골피 추출물로 구성되는 천연항균복합체를 함유하는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208482B1 (ko) 피부트러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257448B1 (ko) 흑다시마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130243B1 (ko) 글루타치온, 미세침, 아세틸헥사펩타이드, 닥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미백, 주름개선, 항노화, 항산화 효능의 화장료 조성물
KR102226179B1 (ko) 항노화 화장료 조성물
KR102100345B1 (ko) 제주광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168534B1 (ko) 한약재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탄력 증진 또는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JP2001233727A (ja) 化粧品
KR101002797B1 (ko) 연잎, 지부자, 지골피의 추출물과 피탄트리올을 함유하는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080049234A (ko) 봉숭아 추출물을 함유하는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41543B1 (ko) 한약재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보습 및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090042073A (ko) 자극완화 효능을 가진 특정의 식물추출 혼합물과 이를함유하는 알레르기성 피부용 화장료 조성물
KR20210059517A (ko) 모링가오일, 시어버터, 병풀추출물, 감초추출물의 아토피성 피부염 개선 및 예방효능을 극대화 시킨 4중 컴플렉스와 그 배합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0033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00401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00331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052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01217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1012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1012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102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12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