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28142A - 마이크로어레이 기반 멀티플렉스 병원체 분석 및 이의 용도 - Google Patents
마이크로어레이 기반 멀티플렉스 병원체 분석 및 이의 용도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10028142A KR20210028142A KR1020207029030A KR20207029030A KR20210028142A KR 20210028142 A KR20210028142 A KR 20210028142A KR 1020207029030 A KR1020207029030 A KR 1020207029030A KR 20207029030 A KR20207029030 A KR 20207029030A KR 20210028142 A KR20210028142 A KR 20210028142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na
- seq
- specific
- pathogen
- amplicon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Ceas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1/00—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 C12Q1/68—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involving nucleic acids
- C12Q1/6813—Hybridisation assays
- C12Q1/6834—Enzymatic or biochemical coupling of nucleic acids to a solid phase
-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1/00—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 C12Q1/68—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involving nucleic acids
- C12Q1/6813—Hybridisation assays
- C12Q1/6834—Enzymatic or biochemical coupling of nucleic acids to a solid phase
- C12Q1/6837—Enzymatic or biochemical coupling of nucleic acids to a solid phase using probe arrays or probe chips
-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1/00—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 C12Q1/68—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involving nucleic acids
- C12Q1/6876—Nucleic acid products used in the analysis of nucleic acids, e.g. primers or probes
- C12Q1/6888—Nucleic acid products used in the analysis of nucleic acids, e.g. primers or probes for detection or identification of organisms
- C12Q1/6895—Nucleic acid products used in the analysis of nucleic acids, e.g. primers or probes for detection or identification of organisms for plants, fungi or algae
-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2563/00—Nucleic acid detection characterized by the use of physical, structural and functional properties
- C12Q2563/107—Nucleic acid detection characterized by the use of physical, structural and functional properties fluorescence
-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2600/00—Oligonucleotides characterized by their use
- C12Q2600/13—Plant traits
-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2600/00—Oligonucleotides characterized by their use
- C12Q2600/16—Primer sets for multiplex assay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Biophysics (AREA)
- Bio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Measuring Or Testing Involving Enzymes Or Micro-Organisms (AREA)
- Apparatus Associated With Microorganisms And Enzymes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개시내용의 실시형태의 이들 및 다른 특징, 양상 및 이점은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읽을 때 더 잘 이해될 것이며, 첨부 도면에서 유사한 문자는 도면 전체에 걸쳐 유사한 부분을 나타낸다:
도 1a 내지 도 1d는 활성화된 표면에 프린팅된 프로브 및 이작용성 표지를 포함하는 공유 마이크로어레이 시스템을 도시한다. 도 1a는 구성요소 - 물 및 고 비등점 수혼화성 액체를 포함하는 용매 중 비변형 핵산 프로브, 아민-작용화된 (NH) 이작용성 중합체 링커 및 아민-작용화된 (NH) 형광 표지 이작용성 중합체 링커 및 화학적으로 활성화 가능한 기 (X)를 갖는 고체 지지체를 보여준다. 도 1b는 이작용성 중합체 링커와 화학적으로 활성화된 고체 지지체의 제1 단계 반응을 보여주며, 이작용성 중합체 링커는 아민 기에 의해 고체 지지체 상의 화학적으로 활성화된 기에 공유결합에 의해 부착된다. 도 1c는 반응물 - 핵산 프로브 및 이작용성 중합체 링커의 농도를 증가시키기 위해 용매로부터 물의 증발을 통한 농축의 제2 단계를 보여준다. 도 1d는 티미딘 염기를 통한 핵산 프로브의 증발된 표면 내의 이작용성 중합체 링커로의 UV 가교결합의 제3 단계를 보여주며, 일부 경우에는 이는 또한 핵산 프로브에 대한 가교결합을 통해 인접한 이작용성 중합체 링커를 함께 공유결합에 의해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도 2a 내지 도 2d는 프로브 및 이작용성 중합체 링커를 포함하는 흡착성 마이크로어레이 시스템을 도시한다. 도 2a는 구성요소; 물 및 고 비등점 수혼화성 액체를 포함하는 용매 중 비변형 핵산 프로브 및 작용화된 (Rn) 이작용성 중합체 링커 및 유사하게 작용화된 형광 표지 이작용성 중합체 링커 및 고체 지지체를 보여주며, Rn 기는 고체 지지체 표면에의 흡착에 적합하다. 도 2b는 고체 지지체 상의 이작용성 중합체 링커의 제1 단계 흡착을 보여주며, 이작용성 중합체 링커는 Rn 기에 의해 고체 지지체에 비공유결합에 의해 부착된다. 도 2c는 반응물 - 핵산 프로브 및 이작용성 중합체 링커의 농도를 증가시키기 위해 용매로부터의 물의 증발을 통한 농축의 제2 단계를 보여준다. 도 2d는 티미딘 염기를 통한 핵산 프로브의 증발된 표면 내의 이작용성 중합체 링커 및 다른 핵산 프로브로의 UV 가교결합의 제3 단계를 보여주며, 일부 경우에는 이는 또한 핵산 프로브에 대한 가교결합을 통해 인접한 이작용성 중합체 링커를 함께 공유결합에 의해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도 3a 내지 도 3c는 공유 마이크로어레이 시스템을 사용한 실험 데이터를 보여준다. 본 발명의 이 실시예에서, 이작용성 중합체 링커는 에폭시실란으로 이의 표면에서 화학적으로 활성화된 보로실리케이트 유리 고체 지지체와의 공유결합 연결에 적합한 이의 5' 말단에 Cy5 형광 염료가 부착되어 있고, 이의 3' 말단에 아미노기가 부착되어 있는 화학적으로 변형된 40개의 염기 길이의 올리고 데옥시티미딘 (올리고dT)이었다. 핵산 프로브는 용액 상태 표적에의 결합에 적합한 비변형 DNA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를 포함하고, 각각의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는 약 5 내지 7개의 티미딘으로 종결되어 중합체 (올리고dT) 링커의 상부 도메인 내의 티미딘과의 광화학적 가교결합(photochemical crosslinking)을 가능하게 한다.
도 3a는 635nm에서 시각화된 바와 같은 혼성화 및 세척 후 영상화된 마이크로어레이를 보여준다. 635nm 이미지는 각 마이크로어레이 스폿에서 위치 마커가 마이크로어레이 제작 동안 도입된 이작용성 중합체 링커 (올리고dT)의 5' 말단에 부착된 (적색) CY5 fluor의 신호로부터 도출된다.
도 3b는 532nm에서 시각화된 바와 같이 혼성화 및 세척 후 영상화된 마이크로어레이를 보여준다. 532nm 이미지는 DNA 포함 샘플의 PCR 반응 #2로부터 획득된 PCR 증폭 DNA의 5' 말단에 부착된 (녹색) CY3 fluor 신호로부터 도출된다.
도 3c는 532nm 및 635nm 이미지가 중첩되어 시각화된 바와 같이, 혼성화 및 세척 후 영상화된 마이크로어레이를 보여준다. 중첩된 이미지는 CY3 표지된 PCR 산물의 서열 특이적 결합과 관련된 Cy5 표지된 올리고dT 위치 마커의 병렬 부착의 유용성을 보여준다.
도 4a는 대마초 세척액 및 관련 식물 세척액으로부터 획득된 비정제 박테리아 오염을 PCR 증폭하는데 사용되는 16s 유전자 좌위 (모든 박테리아) 내에서 사용되는 PCR 프라이머의 위치를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다. 이러한 PCR 프라이머는 마이크로어레이 혼성화를 통한 박테리아 분석을 위해 이러한 샘플로부터 표지 DNA를 증폭 및 염색하는데 사용된다.
도 4b는 대마초 세척액 및 관련 식물 세척액으로부터 획득된 비정제 박테리아 오염을 PCR 증폭하는데 사용되는 stx1 유전자 좌위 (병원성 E. 콜라이 (E. coli)) 내에서 사용되는 PCR 프라이머의 위치를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다. 이러한 PCR 프라이머는 마이크로어레이 혼성화를 통한 박테리아 분석을 위해 이러한 샘플로부터 표지 DNA를 증폭 및 염색하는데 사용된다.
도 5a는 대마초 세척액 및 관련 식물 세척액으로부터 획득된 비정제 박테리아 오염을 PCR 증폭하는데 사용되는 stx2 유전자 좌위 (병원성 E. 콜라이) 내에서 2단계 PCR 반응으로 사용되는 PCR 프라이머의 위치를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다. 이러한 PCR 프라이머는 마이크로어레이 혼성화를 통한 박테리아 분석을 위해 이러한 샘플로부터 표지 DNA를 증폭 및 염색하는데 사용된다.
도 5b는 대마초 세척액 및 관련 식물 세척액으로부터 획득된 비정제 박테리아 오염을 PCR 증폭하는데 사용되는 invA 유전자 좌위 (살모넬라) 내에서 사용되는 PCR 프라이머의 위치를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다. 이러한 PCR 프라이머는 마이크로어레이 혼성화를 통한 박테리아 분석을 위해 이러한 샘플로부터 표지 DNA를 증폭 및 염색하는데 사용된다.
도 6은 대마초 세척액 및 관련 식물 세척액으로부터 획득된 비정제 박테리아 오염을 PCR 증폭하는데 사용되는 tuf 유전자 좌위 (E. 콜라이) 내에서 사용되는 PCR 프라이머의 위치를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다. 이러한 PCR 프라이머는 마이크로어레이 혼성화를 통한 박테리아 분석을 위해 이러한 샘플로부터 표지 DNA를 증폭 및 염색하는데 사용된다.
도 7은 대마초 세척액 및 관련 식물 세척액으로부터 획득된 비정제 효모, 곰팡이 및 진균 오염을 PCR 증폭하는데 사용되는 ITS2 유전자 좌위 (효모 및 곰팡이) 내에서 사용되는 PCR 프라이머의 위치를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다. 이러한 PCR 프라이머는 마이크로어레이 혼성화를 통한 효모 및 곰팡이 분석을 위해 이러한 샘플로부터 표지 DNA를 증폭 및 염색하는데 사용된다.
도 8은 대마초 세척액으로부터 획득된 비정제 DNA를 PCR 증폭하는데 사용되는 ITS1 유전자 좌위 (대마초 식물 대조군) 내에서 사용되는 PCR 프라이머의 위치를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다. 이러한 PCR 프라이머는 마이크로어레이 혼성화를 통한 DNA 분석을 위해 이러한 샘플로부터 표지 DNA를 증폭 및 염색하는데 사용된다. 이 PCR 반응은 혼성화를 통해 내부 식물 숙주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데 사용되며, 이는 동일한 마이크로어레이에서 마이크로어레이 분석에 의해 획득된 박테리아, 효모, 곰팡이 및 진균 신호를 정규화하는데 사용된다.
도 9는 비정제 대마초 세척액 또는 대마초 (및 관련 식물 물질)로부터의 다른 표면 샘플을 처리하여 미가공 대마초 또는 관련 식물 물질을 PCR 증폭한 다음, 해당 물질에 대한 마이크로어레이 분석을 수행하여 그 식물 샘플의 병원체 보체를 분석하는 과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10은 핵산 프로브를 구현하는데 사용되는 마이크로어레이 형식의 대표적인 이미지이다. 이 대표적인 형식은 유리 슬라이드에 프린팅된 12개의 마이크로어레이로 구성되며 각 마이크로어레이는 Teflon 분할기로 분리된다 (좌측). 각 마이크로어레이는 전체 병원체 검출 패널을 4중 반복 실험으로 조회한다. 또한 대마초 및 관련 식물 물질의 병원체 분석을 위한 이러한 마이크로어레이 하나의 확대 이미지 (우측)를 보여준다. 각 마이크로어레이에 대한 Teflon 경계는 혼성화 분석을 위해 약 50 μL 유체 샘플을 위치화하는데 적합하며, 형광 표지 앰플리콘을 실온에서 30분 동안 마이크로어레이에 배치한 다음, 실온에서 세척한 후, 염료 표지화된 병원체 및 숙주 대마초 DNA를 마이크로어레이 이미지 스캐닝한다.
도 11a 및 도 11b는 정제된 박테리아 DNA 표준 (도 11a) 및 정제된 진균 DNA 표준 (도 11b)으로부터 획득된 대표적인 마이크로어레이 혼성화 데이터를 보여준다. 각각의 경우, 정제된 박테리아 DNA를 비정제 DNA와 같이, PCR 증폭한 다음, 상기에 기재된 마이크로어레이 프로브를 통해 마이크로어레이에서 혼성화한다. 데이터는 이 마이크로어레이 형식에서 각 박테리아가 실온 혼성화 및 세척을 통해 특이적으로 확인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유사하게, 정제된 진균 DNA를 비정제 DNA와 같이, PCR 증폭된 다음, 상기에 기재된 마이크로어레이 프로브를 통해 마이크로어레이에서 혼성화한다. 데이터는 이 마이크로어레이 형식에서 각각의 진균 DNA가 실온 혼성화 및 세척을 통해 특이적으로 확인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도 12는 5개의 대표적인 미가공 대마초 세척 샘플로부터 획득된 대표적인 마이크로어레이 혼성화 데이터를 보여준다. 각각의 경우, 이들 5개 샘플의 미가공 병원체 보체를 PCR 증폭한 다음, 상기에 기재된 마이크로어레이 프로브를 통해 마이크로어레이에서 혼성화한다. 데이터는 이 마이크로어레이 형식에서 특이적 박테리아, 효모, 곰팡이 및 진균 오염원이 실온 혼성화 및 세척을 통해 특이적으로 확인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도 13은 대표적인 (미가공) 고도로 특성화된 칸디다 샘플과 비교하여 대표적인 미가공 대마초 세척 샘플로부터 획득된 대표적인 마이크로어레이 혼성화 데이터를 보여준다. 각각의 경우, 각 샘플의 미가공 병원체 보체를 PCR 증폭한 다음 상기에 기재된 마이크로어레이 프로브를 통해 마이크로어레이에서 혼성화한다. 데이터는 이 마이크로어레이 형식에서 특이적 진균 오염원이 미가공 대마초 세척액 또는 클로닝된 진균 샘플에서의 실온 혼성화 및 세척을 통해 특이적으로 확인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도 14는 E. 콜라이를 포함하는 엔테로박테리아세아과의 박테리아의 저수준 검출을 위한 실시형태의 변형에 사용된 PCR 프라이머의 위치를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다. 이러한 PCR 프라이머는 마이크로어레이 혼성화를 통한 분석을 위해 표적화된 유기체로부터의 표지 DNA를 선택적으로 증폭 및 염색하는데 사용된다.
도 15a는 후물루스 루풀루스 (Humulus lupulus) (홉 식물)에 스파이킹 (spiking)된 특이적 박테리아의 열거된 콜로니로 구성된 검증된 기준 물질로부터 E. 콜라이 O157:H7의 저수준의 검출을 보여주는 마이크로어레이 혼성화 데이터를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다.
도 15b는 후물루스 루풀루스 (홉 식물)에 스파이킹된 특이적 박테리아의 열거된 콜로니로 구성된 검증된 기준 물질로부터 E. 콜라이 O1111의 저수준의 검출을 보여주는 마이크로어레이 혼성화 데이터를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다.
도 15c는 후물루스 루풀루스 (홉 식물)에 스파이킹된 특이적 박테리아의 열거된 콜로니로 구성된 검증된 기준 물질로부터 살모넬라 엔테리카 (Salmonella enterica)의 저수준의 검출을 보여주는 마이크로어레이 혼성화 데이터를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다.
도 16은 2개의 방법으로부터 샘플 수집 및 제조를 위한 다이어그램을 보여준다. 테이프 풀 (tape pull) 및 세척 방법은 모두 마이크로어레이 분석을 통한 미생물 검출 방법을 제공하기 위해 샘플을 처리하는데 사용된다.
도 17a는 대마초 세척액 또는 관련 식물 세척액에서 비정제 박테리아 오염을 PCR 증폭하는데 사용되는 PCR 프라이머의 위치를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다. 2세트의 PCR 프라이머가 사용된다. 정방향 프라이머 (forward primer; FP) 및 역방향 프라이머 (reverse primer; RP)의 제1 세트는 "유전자 좌위 PCR" 단계를 지원하며, 이는 박테리아 재조합 DNA (rDNA)의 증폭이 모든 박테리아에 존재하는 16s 유전자 좌위를 기반으로 한다. 제2 프라이머 세트는 "표지화 PCR" 단계를 지원하며, 프라이머는 염료로 표지되고, 대상 박테리아에 특이적이다. 본 발명의 2개의 PCR 단계는 도 4a 및 도 4b와 상이하고, 1차 PCR을 수행하기 전에 내부 기준 표준으로서 합성 DNA 서열의 인지된 카피 수를 샘플에 첨가하고, 합성 DNA 서열은 샘플의 박테리아 서열과 구별되고, FP 및 RP의 서열에 상보적인 말단 서열을 가지며, 합성 DNA 서열은 샘플의 박테리아 서열과 공동 증폭된다.
도 17b는 대마초 세척액 또는 관련 식물 세척액에서 비정제 박테리아 오염을 PCR 증폭하는데 사용되는 PCR 프라이머의 위치를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다. 2세트의 PCR 프라이머가 사용된다. 정방향 프라이머 (FP) 및 역방향 프라이머 (RP)의 제1 세트는 "유전자 좌위 PCR" 단계를 지원하며, 박테리아 게놈 DNA (DNA)의 증폭은 모든 박테리아에 존재하는 16s 유전자 좌위를 기반으로 한다. 제2 프라이머 세트는 "표지화 PCR" 단계를 지원하고, 프라이머는 염료로 표지되고, 대상 박테리아에 특이적이다. 본 발명의 2개의 PCR 단계는 도 4a 및 도 4b와 상이하고, 1차 PCR을 수행하기 전에 내부 기준 표준으로서 합성 DNA 서열의 인지된 카피 수를 샘플에 첨가하고, 합성 DNA 서열은 샘플의 박테리아 서열과 구별되고, FP 및 RP의 서열에 상보적인 말단 서열을 가지며, 합성 DNA 서열은 샘플의 박테리아 서열과 공동 증폭된다.
도 18은 대마초 세척액 또는 관련 식물 세척액에서 비정제 진핵생물 (예를 들어, 효모 또는 곰팡이) 오염을 PCR 증폭하는데 사용되는 PCR 프라이머의 위치를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다. 2세트의 PCR 프라이머가 사용된다. 정방향 프라이머 (FP) 및 역방향 프라이머 (RP)의 제1 세트는 "유전자 좌위 PCR" 단계를 지원하며, 진핵생물 DNA의 증폭은 모든 진핵생물에 존재하는 ITS2 유전자 좌위를 기반으로 한다. 제2 프라이머 세트는 "표지화 PCR" 단계를 지원하고, 프라이머는 염료로 표지되고, 대상 진핵생물에 특이적이다. 본 발명의 2개의 PCR 단계는 도 4a 및 도 4b와 상이하고, 1차 PCR을 수행하기 전에 내부 기준 표준으로서 합성 DNA 서열의 인지된 카피 수를 샘플에 첨가하고, 합성 DNA 서열은 샘플의 진핵생물 서열과 구별되고, FP 및 RP의 서열에 상보적인 말단 서열을 가지며, 합성 DNA 서열은 샘플의 진핵생물 서열과 공동 증폭된다.
도 19a는 내부 기준 표준으로서 전체 효모 및 곰팡이 정량 대조군 (TYM Quant 대조군)의 3000개의 카피 (인지된 양)의 존재 하에 아스퍼길루스용 전체 효모 및 곰팡이 핵산 프로브 및 내부 표준용 TYM Quant 대조군 프로브를 사용하여 수행된 PCR 반응당 대략 0 내지 30,000개의 카피를 전달하도록 변이된 아스퍼길루스 플라부스 (Aspergillus flavus) 내의 ITS2 영역의 계산된 카피를 도시한다. 아스퍼길루스 (미지의 카피 수) 및 TYM 내부 기준 표준 (인지된 카피 수)의 적정 곡선 사이의 아스퍼길루스 및 TYM Quant 대조군 (화살표) 각각에 대한 3000개 카피의 교차 지점은 샘플에서 아스퍼길루스 DNA의 카피 수를 나타낸다.
도 19b는 내부 기준 표준으로서 전체 효모 및 곰팡이 정량 대조군 (TYM Quant 대조군)의 3000개의 카피 (인지된 양)의 존재 하에 아스퍼길루스용 전체 효모 및 곰팡이 핵산 프로브 및 내부 표준용 TYM Quant 대조군 프로브를 사용하여 수행된 PCR 반응당 대략 0 내지 30,000개의 카피를 전달하도록 변이된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시아에 (Sacharomyces cerevisiae) 내의 ITS2 영역의 계산된 카피를 도시한다. 아스퍼길루스 (미지의 카피 수) 및 TYM 내부 기준 표준 (인지된 카피 수)의 적정 곡선 사이의 아스퍼길루스 및 TYM Quant 대조군 (화살표) 각각에 대한 3000개 카피의 교차 지점은 샘플에서 아스퍼길루스 DNA의 카피 수를 나타낸다.
서열번호 126 | 대마초 ITS1 DNA 대조군 1 | TTTTTTAATCTGCGCCAAGGAACAATATTTTTTT |
서열번호 127 | 대마초 ITS1 DNA 대조군 2 | TTTTTGCAATCTGCGCCAAGGAACAATATTTTTT |
서열번호 128 | 대마초 ITS1 DNA 대조군 3 | TTTATTTCTTGCGCCAAGGAACAATATTTTATTT |
서열번호 81 | stx1 유전자 | TTTTTTCTTTCCAGGTACAACAGCTTTTTT |
서열번호 82 | stx2 유전자 | TTTTTTGCACTGTCTGAAACTGCCTTTTTT |
서열번호 59 | etuf 유전자 | TTTTTTCCATCAAAGTTGGTGAAGAATCTTTTTT |
서열번호 61 | invA 유전자 | TTTTTTTATTGATGCCGATTTGAAGGCCTTTTTT |
서열번호 126 | 대마초 ITS1 DNA 대조군 1 | TTTTTTAATCTGCGCCAAGGAACAATATTTTTTT |
Cn/Co PCR-마이크로어레이에 의해 분석될 원래 샘플 중 측정된 DNA 카피2 수 비 Co = 3000 카피 |
(Sn/So)2 X=2를 사용하여 조정된 실험 마이크로어레이 데이터 비 |
Sn/So 측정된 실험 마이크로어레이 데이터 비 |
0.01 | 0.01 | 0.1 (5,000 RFU /45,000 RFU) |
0.1 | 0.25 | 0.5 (20,000 RFU /40,000 RFU) |
1 |
1 | 1 (32,000 RFU /32,000 RFU) |
10 | 5.3 | 2.3 (40,000 RFU /15,000 RFU) |
Claims (45)
- 3차원 격자 마이크로어레이 시스템 (three-dimensional lattice microarray system)으로서,
전면 및 후면을 갖는 고체 지지체;
각각 상부 도메인 및 하부 말단을 가지며, 하부 말단이 고체 지지체에 부착된 다수의 이작용성 중합체 링커 (bifunctional polymer linker); 및
다수의 이작용성 중합체 링커 각각의 상부 도메인에 부착된 다수의 핵산 프로브 (probe)
를 포함하는, 3차원 격자 마이크로어레이 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다수의 이작용성 중합체 링커 각각은 그의 상부 도메인의 말단에 공유결합에 의해 부착되거나, 내부에 공유결합에 의해 부착된 형광 표지(fluorescent label)를 추가로 포함하는, 3차원 격자 마이크로어레이 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체 지지체는 그의 전면에 부착된 화학적으로 활성화 가능한 다수의 기를 추가로 포함하고, 다수의 이작용성 중합체 링커는 그의 하부 말단에 의해 화학적으로 활성화 가능한 다수의 기 각각에 공유결합에 의해 부착된, 3차원 격자 마이크로어레이 시스템.
- 제3항에 있어서, 화학적으로 활성화 가능한 기는 에폭시실란기, 말레이미도기, 아미노기 또는 활성화된 카복실산 에스테르인, 3차원 격자 마이크로어레이 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다수의 이작용성 중합체 링커 각각은 고체 지지체 내의 화학적으로 활성화 가능한 기에 공유결합에 의해 부착되는 하부 말단의 제1 반응성 모이어티 (moiety) 또는 각각의 다수의 핵산에 공유결합에 의해 부착되는 상부 도메인의 제2 반응성 모이어티 또는 이의 조합을 포함하는, 3차원 격자 마이크로어레이 시스템.
- 제5항에 있어서, 제1 반응성 모이어티는 아미노기, 티올기, 알데하이드기 또는 카복실레이트인, 3차원 격자 마이크로어레이 시스템.
- 제5항에 있어서, 제2 반응성 모이어티는 뉴클레오타이드 염기, 아미노산 또는 아미노당류(aminosaccharide)인, 3차원 격자 마이크로어레이 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다수의 이작용성 중합체 링커 각각은 고체 지지체에 비공유결합에 의해 부착되는 하부 말단에 흡착성 기를 갖는, 3차원 격자 마이크로어레이 시스템.
- 제8항에 있어서, 흡착성 기는 단일 가닥 핵산, 아민-다당류, 또는 연장된 평면 소수성 기인, 3차원 격자 마이크로어레이 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다수의 이작용성 중합체 링커 각각은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 아미노 다당류, 폴리아민 또는 폴리아미노산인, 3차원 격자 마이크로어레이 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각각의 다수의 핵산 프로브(probe)는 5' 말단 및 3' 말단에 적어도 3개의 말단 티미딘 염기를 갖는, 3차원 격자 마이크로어레이 시스템.
- 제11항에 있어서, 티미딘 염기는 다수의 이작용성 중합체 링커 각각 상의 제2 반응성 모이어티에 공유결합에 의해 부착된, 3차원 격자 마이크로어레이 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핵산 프로브는 병원체, 식물 또는 동물의 시그니처 (signiture) 뉴클레오타이드 서열에 상보적인 서열을 갖는, 3차원 격자 마이크로어레이 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고체 지지체는 보로실리케이트 유리, 불활성 금속, 열가소성 아크릴 수지, 사이클로올레핀 중합체,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카보네이트, 나일론, 세라믹, 조작된 탄소 표면(engineered carbon surface) 또는 이의 조합인, 3차원 격자 마이크로어레이 시스템.
- 3차원 격자 마이크로어레이 시스템의 제조 방법으로서,
제1항의 시스템 내의 고체 지지체를
(i) 다수의 핵산 프로브;
(ii) 다수의 이작용성 중합체 링커; 및
(iii) 물 및 100℃ 이상의 비등점을 갖는 수혼화성 액체를 포함하는 용매 혼합물
을 포함하는 제형과 접촉시키는 단계;
제1 부착 반응으로서 고체 지지체의 전면에 다수의 이작용성 중합체 링커 각각의 하부 말단을 부착시키는 단계;
용매 혼합물 내의 물을 증발시켜, 다수의 핵산 프로브 및 고체 지지체에 부착된 다수의 이작용성 중합체 링커를 농축시키는 단계;
제2 부착 반응으로서 다수의 이작용성 중합체 링커 각각의 상부 도메인에 각각의 핵산 프로브를 공유결합에 의해 부착시키는 단계; 및
고체 지지체를 적어도 1회 세척하여, 비부착 이작용성 중합체 링커 및 핵산 프로브를 제거함으로써, 3차원 격자 마이크로어레이 시스템을 제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 제15항에 있어서, 제1 부착 반응은 흡착인, 방법.
- 제15항에 있어서, 제1 부착 반응은 고체 지지체 상의 화학적으로 활성화 가능한 기와 다수의 이작용성 중합체 링커 각각의 하부 말단 상의 제1 반응성 모이어티 사이의 공유결합 연결에 의해 이루어지는, 방법.
- 제15항에 있어서, 수혼화성 액체는 글리세롤, 디메틸 술폭사이드 (DMSO), 프로판디올 또는 이의 조합인, 방법.
- 제15항에 있어서, 제1 부착 반응은 0℃ 내지 40℃의 온도에서 발생하는, 방법.
- 제15항에 있어서, 제2 부착은 0℃ 내지 40℃의 온도에서 발생하는, 방법.
- 제15항에 있어서, 제2 부착 반응은 다수의 핵산 프로브에 대한 다수의 이작용성 중합체 링커 각각의 상부 도메인의 제2 반응성 모이어티의 광화학적 가교결합(photochemical crosslinking)에 의한 것인, 방법.
- 주문 제작 가능 마이크로어레이 키트(microarray kit)로서,
제1항의 3차원 격자 마이크로어레이 시스템 내의 고체 지지체 및 다수의 이작용성 중합체 링커;
각각 병원체, 식물 또는 동물의 시그니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에 상보적인 서열을 갖는 다수의 핵산 프로브;
용매 혼합물; 및
키트 사용 설명서
를 포함하는 주문 제작 가능 마이크로어레이 키트. - 제22항에 있어서, 핵산 프로브는 5' 말단 및 3' 말단에 적어도 3개의 말단 티미딘 염기를 갖는, 주문 제작 가능 마이크로어레이 키트.
- 제22항에 있어서, 용매 혼합물은 약 10:1 내지 약 100:1의 부피비의 물 과, 글리세롤, 디메틸 술폭사이드 (DMSO) 또는 프로판디올 중 하나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주문 제작 가능 마이크로어레이 키트.
- 식물 샘플 중 병원체의 검출 방법으로서,
a) 식물 조직 샘플을 수확(harvesting)하는 단계;
b) 식물 조직 샘플로부터 DNA를 포함하는 전체 핵산을 단리하는 단계;
c) 각각 적어도 하나의 병원체의 DNA에 선택적인 정방향 프라이머(forward primer) 및 역방향 프라이머(reverse primer)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프라이머 쌍(primer pair)을 사용한 단일 분석에서 탠뎀 (tandem) 방식으로 제1 증폭을 수행하여, 하나 이상의 병원체-특이적 제1 앰플리콘 (amplicon)을 획득하는 단계;
d) 주형으로서 병원체 특이적 제1 앰플리콘 및, 각각의 프라이머 쌍은 형광 표지로 표지되고, 병원체-특이적 제1 앰플리콘 내의 내부 측접 영역(internal flanking region)에 상보적인 서열을 갖는 정방향 및 역방향 프라이머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프라이머 쌍을 사용하여 제2 증폭을 수행하여, 형광 표지 제2 앰플리콘을 획득하는 단계; 및
e) 제1항의 3차원 격자 마이크로어레이 시스템을 사용하여
(i) 제2 앰플리콘을 병원체 DNA의 시그니처 서열 결정자(signature sequence determinant)에 특이적인 핵산 프로브와 혼성화하는 단계로서, 핵산 프로브를 다수의 이작용성 중합체 링커 각각을 통해 3차원 격자 마이크로어레이 상의 인지된 특이적 위치에 고정시키는 단계;
(ii) 마이크로어레이를 적어도 1회 세척하는 단계; 및
(iii) 마이크로어레이를 영상화(imaging)하여, 형광 표지 제2 앰플리콘으로부터 형광 신호를 검출함으로써, 식물 샘플 중 병원체를 검출하는 단계
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 제25항에 있어서, 다수의 이작용성 중합체 링커 각각은 형광 표지를 포함하는 방법으로서, 본 방법은 마이크로어레이를 영상화하여, 형광 표지 이작용성 중합체 링커의 형광 신호를 검출하는 단계 및 형광 표지 이작용성 중합체 링커의 신호 상에 형광 표지 제2 앰플리콘의 신호를 중첩시킴으로써, 식물 샘플 중 검출된 병원체를 확인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 제25항에 있어서, 병원체는 박테리아, 진균, 바이러스, 조류 또는 원생동물 또는 이의 조합인, 방법.
- 제27항에 있어서, 병원체는 박테리아이고, 제1 증폭 정방향 및 역방향 프라이머 쌍은 각각 서열번호 1 및 2, 또는 서열번호 3 및 4, 또는 서열번호 5 및 6 또는 서열번호 7 및 8, 또는 서열번호 9 및 10, 또는 서열번호 11 및 12, 또는 서열번호 137 및 138에 제시된 서열을 갖고, 제2 증폭 정방향 및 역방향 프라이머 쌍은 각각 서열번호 19 및 20, 또는 서열번호 21 및 22, 또는 서열번호 23 및 24 또는 서열번호 25 및 26, 또는 서열번호 27 및 28, 또는 서열번호 29 및 30, 또는 서열번호 141 및 30에 제시된 서열을 갖고, 핵산 프로브는 서열번호 37 내지 85에 제시된 서열을 갖는, 방법.
- 제27항에 있어서, 병원체는 진균이고, 제1 증폭 정방향 및 역방향 프라이머 쌍은 각각 서열번호 13 및 14, 또는 서열번호 15 및 16, 또는 서열번호 135 및 136에 제시된 서열을 갖고, 제2 증폭 정방향 및 역방향 프라이머 쌍은 각각 서열번호 31 및 32, 또는 서열번호 33 및 34, 또는 서열번호 139 및 140에 제시된 서열을 갖고, 핵산 프로브는 서열번호 86 내지 125에 제시된 서열을 갖는, 방법.
- 제25항에 있어서, 형광 표지 병원체 DNA-특이적 제2 앰플리콘 내의 형광 표지는 형광 표지 이작용성 중합체 링커 내의 형광 표지와 상이한, 방법.
- 단일 분석에서 식물 및 병원체로부터의 DNA를 동시에 검출하는 방법으로서,
a) 잠재적으로 하나 이상의 병원체를 포함하는 식물 조직 샘플을 수확하는 단계;
b) 적어도 식물 조직 및 하나 이상의 병원체로부터의 DNA를 포함하는 전체 핵산을 단리하는 단계;
c) 적어도 하나의 병원체 DNA-선택적 제1 프라이머 쌍 및 적어도 하나의 식물 DNA-선택적 제1 프라이머 쌍을 사용한 전체 핵산에 대한 단일 분석에서 탠뎀 방식으로 제1 증폭을 수행함으로써, 병원체-특이적 제1 앰플리콘 및 식물-특이적 제1 앰플리콘을 획득하는 단계;
d) 주형으로서 병원체-특이적 제1 앰플리콘 및 식물-특이적 제1 앰플리콘 및, 형광 표지로 표지되고, 병원체-특이적 제1 앰플리콘 내의 내부 측접 영역에 상보적인 서열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제2 프라이머 쌍 및 형광 표지로 표지되고, 식물-특이적 제1 앰플리콘 내의 내부 측접 영역에 상보적인 서열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제2 프라이머 쌍을 사용하여 탠뎀 방식으로 제2 증폭을 수행함으로써, 형광 표지 병원체-특이적 제2 앰플리콘 및 형광 표지 식물-특이적 제2 앰플리콘을 획득하는 단계;
e) 제1항의 3차원 격자 마이크로어레이 시스템을 사용하여
(i) 형광 표지 병원체-특이적 제2 앰플리콘 및 형광 표지 식물 특이적 제2 앰플리콘과 병원체 DNA 및 식물 DNA의 시그니처 서열 결정자에 특이적인 핵산 프로브를 혼성화하는 단계로서, 상기 핵산을 형광 표지 이작용성 중합체 링커를 통해 3차원 격자 마이크로어레이 상의 인지된 특이적 위치에 고정시키는 단계;
(ii) 마이크로어레이를 적어도 1회 세척하는 단계; 및
(iii) 마이크로어레이를 영상화하여, 형광 표지 병원체 특이적 제2 앰플리콘 및 형광 표지 식물 특이적 제2 앰플리콘으로부터 형광 신호를 검출함으로써, 샘플 중 병원체 및 식물을 동시에 검출하는 단계
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 제31항에 있어서, 다수의 이작용성 중합체 링커 각각은 형광 표지를 포함하고, 본 방법은 마이크로어레이를 영상화하여, 형광 표지 이작용성 중합체 링커의 형광 신호를 검출하는 단계 및 형광 표지 이작용성 중합체 링커의 신호 상에 형광 표지 식물 특이적 제2 앰플리콘 및 형광 표지 병원체 특이적 제2 앰플리콘의 신호를 중첩시킴으로써, 식물 샘플 중 검출된 병원체 및 식물을 동시에 확인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 제31항에 있어서, 병원체는 박테리아이고, 제1 증폭 정방향 및 역방향 프라이머 쌍은 각각 서열번호 1 및 2, 또는 서열번호 3 및 4, 또는 서열번호 5 및 6 또는 서열번호 7 및 8, 또는 서열번호 9 및 10, 또는 서열번호 11 및 12, 또는 서열번호 137 및 138에 제시된 서열을 갖고, 제2 증폭 정방향 및 역방향 프라이머 쌍은 각각 서열번호 19 및 20, 또는 서열번호 21 및 22, 또는 서열번호 23 및 24 또는 서열번호 25 및 26, 또는 서열번호 27 및 28, 또는 서열번호 29 및 30, 또는 서열번호 141 및 30에 제시된 서열을 갖고, 핵산 프로브는 서열번호 37 내지 85에 제시된 서열을 갖는, 방법.
- 제31항에 있어서, 병원체는 진균이고, 제1 증폭 정방향 및 역방향 프라이머 쌍은 각각 서열번호 13 및 14, 또는 서열번호 15 및 16, 또는 서열번호 135 및 136에 제시된 서열을 갖고, 제2 증폭 정방향 및 역방향 프라이머 쌍은 각각 서열번호 31 및 32, 또는 서열번호 33 및 34, 또는 서열번호 139 및 140에 제시된 서열을 갖고, 핵산 프로브는 서열번호 86 내지 125에 제시된 서열을 갖는, 방법.
- 식물 샘플에서 하나 이상의 병원체 DNA에 대해 카피 수(copy number)를 정량화하는 방법으로서,
a) 잠재적으로 병원체를 갖는 식물 조직 샘플을 수확하는 단계;
b) DNA를 포함하는 전체 핵산을 단리하는 단계;
c) 단리된 전체 핵산에 내부 기준 표준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합성 DNA 서열의 인지된 카피 수를 첨가하는 단계로서, 각각의 합성 DNA 서열은
병원체 DNA에서의 시그니처 서열 결정자와 별개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을 갖는 중심 영역; 및
병원체 DNA에서의 공통 서열(consensus sequence)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뉴클레오타이드 서열을 갖는 5' 말단 및 3' 말단을 포함하는 단계;
d) 각각 병원체 DNA에 선택적인 정방향 및 역방향 프라이머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프라이머 쌍을 사용한 전체 핵산에 대한 단일 분석에서 탠뎀 방식으로 제1 증폭을 수행함으로써, 하나 이상의 병원체 DNA-특이적 제1 앰플리콘 및 합성 DNA-특이적 제1 앰플리콘을 획득하는 단계;
e) 주형으로서 병원체-특이적 제1 앰플리콘 및, 각각의 프라이머 쌍은 형광 표지로 표지되고, 병원체-특이적 제1 앰플리콘 및 합성 DNA-특이적 제1 앰플리콘 내의 내부 측접 영역에 상보적인 서열을 갖는 정방향 및 역방향 프라이머를 포함하는 합성 DNA-특이적 제1 앰플리콘 및 적어도 하나의 제2 프라이머 쌍을 사용하여 탠뎀 방식으로 제2 증폭을 수행함으로써, 각각 형광 표지 병원체 DNA-특이적 제2 앰플리콘 및 형광 표지 합성 DNA-특이적 제2 앰플리콘을 획득하는 단계;
f) 제1항의 3차원 격자 마이크로어레이 시스템을 사용하여
(i) 각각 병원체 DNA 및 합성 DNA 내의 시그니처 서열 결정자에 특이적인 핵산 프로브와 제2 앰플리콘을 혼성화하는 단계로서, 핵산 프로브를 형광 표지 이작용성 중합체 링커를 통해 3차원 격자 마이크로어레이 상의 인지된 특이적 위치에 고정시키는 단계;
(ii) 마이크로어레이를 적어도 1회 세척하는 단계;
(iii) 마이크로어레이를 영상화하여, 형광 표지 이작용성 중합체 링커를 통해 마이크로어레이 상의 인식된 특이적 위치에 고정된 핵산 프로브에 해당하는 형광 신호, 및 병원체 DNA-특이적 제2 앰플리콘 및 합성 DNA-특이적 제2 앰플리콘 각각의 형광 신호를 검출하는 단계
를 수행하는 단계;
g) 형광 표지 이작용성 중합체 링커의 이미지 상에 병원체 DNA-특이적 제2 앰플리콘 및 합성 DNA-특이적 제2 앰플리콘의 형광 신호의 이미지를 중첩시킴으로써, 중첩된 신호 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
h) 다수의 병원체 DNA의 시그니처 서열 결정자의 데이터베이스와 마이크로어레이 상의 하나 이상의 중첩된 신호 위치의 핵산 프로브의 서열을 비교함으로써, 샘플 중 병원체를 확인하는 단계; 및
i) 병원체 DNA-특이적 제2 앰플리콘 및 합성 DNA-특이적 제2 앰플리콘의 형광 신호로부터의 형광 신호 강도 및 단리된 전체 핵산에 첨가된 합성 DNA의 인지된 카피 수의 상관관계를 수학적으로 확인함으로써, 샘플 내의 병원체 DNA의 카피 수를 정량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 제35항에 있어서, 합성 DNA는 서열번호 154 내지 157에 제시된 서열을 갖는, 방법.
- 제35항에 있어서, 병원체는 박테리아이고, 공통 서열은 서열번호 153에 제시되고, 제1 증폭 정방향 및 역방향 프라이머 쌍은 각각 서열번호 1 및 2, 또는 서열번호 3 및 4, 또는 서열번호 5 및 6 또는 서열번호 7 및 8, 또는 서열번호 9 및 10, 또는 서열번호 11 및 12, 또는 서열번호 137 및 138에 제시된 서열을 갖고, 공통 서열은 서열번호 153에 제시되고, 제2 증폭 정방향 및 역방향 프라이머 쌍은 각각 서열번호 19 및 20, 또는 서열번호 21 및 22, 또는 서열번호 23 및 24 또는 서열번호 25 및 26, 또는 서열번호 27 및 28, 또는 서열번호 29 및 30, 또는 서열번호 141 및 30에 제시된 서열을 갖고, 박테리아에 특이적인 핵산 프로브는 서열번호 37 내지 85에 제시된 서열을 갖고, 합성 DNA는 서열번호 155, 서열번호 156 및 서열번호 157에 제시된 서열을 갖고, 이는 각각 서열번호 142, 서열번호 143 및 서열번호 144에 제시된 서열을 갖는 합성 DNA 특이적 핵산 프로브에 혼성화되는, 방법.
- 제35항에 있어서, 병원체는 진균이고, 공통 서열은 서열번호 152에 제시되고, 제1 증폭 정방향 및 역방향 프라이머 쌍은 각각 서열번호 13 및 14, 또는 서열번호 15 및 16, 또는 서열번호 135 및 136에 제시된 서열을 갖고, 공통 서열은 서열번호 152에 제시되고, 제2 증폭 정방향 및 역방향 프라이머 쌍은 각각 서열번호 31 및 32, 또는 서열번호 33 및 34, 또는 서열번호 139 및 140에 제시된 서열을 갖고, 진균에 특이적인 핵산 프로브는 서열번호 86 내지 125에 제시된 서열을 갖고, 합성 DNA는 서열번호 154에 제시된 서열을 갖고, 이는 서열번호 145에 제시된 서열을 갖는 합성 DNA 특이적 핵산 프로브에 혼성화되는, 방법.
- 제35항에 있어서, 수학적 상관관계 확인 단계는 다음 수학식을 사용하여 수행되고:
Cn/Co = P(Sn/So)x
상기 식에서,
Cn은 정량화될 병원체 종(pathogen species)의 각각의 유형 n의 병원체 DNA의 카피 수이고, Co는 제1 증폭 단계를 수행하기 전에 샘플에 첨가된 합성 DNA의 인지된 카피 수이고, Sn은 마이크로어레이 상의 인지된 특이적 위치의 병원체 DNA 특이적 핵산 프로브에 혼성화되는 병원체 DNA 특이적 형광 표지 제2 앰플리콘으로부터의 병원체 종의 각각의 유형 n의 형광 신호 강도 (상대 형광단위, RFU)이고, So는 마이크로어레이 상의 인지된 특이적 위치에서 합성 DNA 특이적 핵산 프로브에 혼성화되는 합성 DNA 특이적 제2 앰플리콘으로부터의 형광 신호 강도 (RFU)이고, P는 약 0.1 내지 약 10 범위의 상수이며, X는 약 1 내지 약 3의 범위의 지수 인자인, 방법. - 제35항에 있어서, 형광 표지 병원체 DNA-특이적 제2 앰플리콘 및 형광 표지 합성 DNA-특이적 제2 앰플리콘 내의 형광 표지는 형광 표지 이작용성 중합체 링커 내의 형광 표지와 상이한, 방법.
- 단일 분석으로 식물 조직 샘플 중 하나 이상의 병원체 및 식물에 대한 DNA의 카피 수를 동시에 정량화하는 방법으로서, 본 방법은
a) 잠재적으로 하나 이상의 병원체를 포함하는 식물 조직 샘플을 수확하는 단계;
b) 적어도 식물 조직 DNA 및 병원체 DNA를 포함하는 전체 핵산을 단리하는 단계;
c) 단리된 전체 핵산에 내부 기준 표준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합성 DNA 서열의 인지된 카피 수를 첨가하는 단계로서, 각각의 합성 DNA 서열은
병원체 DNA 및 식물 DNA에서의 시그니처 서열 결정자와 별개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을 갖는 중심 영역; 및
병원체 DNA에서의 공통 서열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뉴클레오타이드 서열을 갖는 5' 말단 및 3' 말단
을 포함하는 단계;
d) 적어도 하나의 병원체-특이적 제1 프라이머 쌍 및 적어도 하나의 합성 DNA-특이적 제1 프라이머 쌍 및 적어도 하나의 식물-특이적 제1 프라이머 쌍을 사용한 전체 핵산에 대한 단일 분석에서 탠뎀 방식으로 제1 증폭을 수행함으로써, 병원체 DNA-특이적 제1 앰플리콘, 식물 DNA-특이적 제1 앰플리콘 및 합성 DNA-특이적 제1 앰플리콘을 획득하는 단계;
e) 주형으로서 제1 앰플리콘, 각각의 프라이머 쌍은 형광 표지로 표지되고, 각각 제1 앰플리콘 내의 내부 측접 영역에 상보적인 서열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병원체 DNA-특이적 제2 프라이머 쌍 및 적어도 하나의 식물 DNA-특이적 제2 프라이머 쌍을 사용하여 탠뎀 방식으로 제2 증폭을 수행함으로써, 형광 표지 병원체 DNA-특이적 제2 앰플리콘, 형광 표지 식물 DNA-특이적 제2 앰플리콘, 및 형광 표지 합성 DNA-특이적 제2 앰플리콘을 획득하는 단계;
f) 제1항의 3차원 격자 마이크로어레이 시스템을 사용하여,
(i) 각각 병원체 DNA, 식물 DNA 및 합성 DNA 내의 시그니처 서열 결정자에 특이적인 핵산 프로브와 제2 앰플리콘을 혼성화하는 단계로서, 핵산 프로브를 형광 표지 이작용성 중합체 링커를 통해 3차원 격자 마이크로어레이 상의 인지된 특이적 위치에 고정시키는 단계;
(ii) 마이크로어레이를 적어도 1회 세척하는 단계; 및
(iii) 마이크로어레이를 영상화하여, 형광 표지 이작용성 중합체 링커를 통해 마이크로어레이 상의 인지된 특이적 위치에 고정된 핵산 프로브에 해당하는 형광 신호 및 형광 표지 병원체 DNA-특이적 제2 앰플리콘, 형광 표지 식물 DNA-특이적 제2 앰플리콘, 및 형광 표지 합성 DNA-특이적 제2 앰플리콘 각각에 해당하는 형광 신호를 검출하는 단계
를 수행하는 단계;
g) 형광 표지 이작용성 중합체 링커의 이미지 신호 상에 형광 표지 병원체 DNA-특이적 제2 앰플리콘, 형광 표지 식물 DNA-특이적 제2 앰플리콘, 및 형광 표지 합성 DNA-특이적 제2 앰플리콘의 신호를 중첩시킴으로써, 중첩된 신호 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
h) 다수의 병원체 DNA 및 식물 DNA의 시그니처 서열 결정자의 데이터베이스와 마이크로어레이 상의 하나 이상의 중첩된 신호 위치의 핵산 프로브의 서열을 비교함으로써, 샘플 내의 병원체 및 식물을 확인하는 단계;
i) 병원체 DNA-특이적 제2 앰플리콘 및 합성 DNA-특이적 제2 앰플리콘의 형광 신호 강도 및 합성 DNA의 인지된 카피 수의 상관관계를 수학적으로 확인함으로써, 샘플 내의 병원체 DNA의 카피 수를 정량화하는 단계; 및
j) 식물 DNA-특이적 제2 앰플리콘으로부터의 형광 신호 강도와 합성 DNA-특이적 제2 앰플리콘으로부터의 형광 신호 강도 및 합성 DNA의 인지된 카피 수의 상관관계를 수학적으로 확인함으로써, 샘플 내의 식물 DNA의 카피 수를 정량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 제41항에 있어서, 병원체는 박테리아이고, 공통 서열은 서열번호 153에 제시되고, 제1 증폭 정방향 및 역방향 프라이머 쌍은 각각 서열번호 1 및 2, 또는 서열번호 3 및 4, 또는 서열번호 5 및 6 또는 서열번호 7 및 8, 또는 서열번호 9 및 10, 또는 서열번호 11 및 12, 또는 서열번호 137 및 138에 제시된 서열을 갖고, 공통 서열은 서열번호 153에 제시되고, 제2 증폭 정방향 및 역방향 프라이머 쌍은 각각 서열번호 19 및 20, 또는 서열번호 21 및 22, 또는 서열번호 23 및 24 또는 서열번호 25 및 26, 또는 서열번호 27 및 28, 또는 서열번호 29 및 30, 또는 서열번호 141 및 30에 제시된 서열을 갖고, 박테리아에 특이적인 핵산 프로브는 서열번호 37 내지 85에 제시된 서열을 갖고, 합성 DNA는 서열번호 155, 서열번호 156 및 서열번호 157에 제시된 서열을 갖고, 이는 각각 서열번호 142, 서열번호 143 및 서열번호 144에 제시된 서열을 갖는 합성 DNA 특이적 핵산 프로브에 혼성화되는, 방법.
- 제41항에 있어서, 병원체는 진균이고, 공통 서열은 서열번호 152에 제시되고, 제1 증폭 정방향 및 역방향 프라이머 쌍은 각각 서열번호 13 및 14, 또는 서열번호 15 및 16, 또는 서열번호 135 및 136에 제시된 서열을 갖고, 공통 서열은 서열번호 152에 제시되고, 제2 증폭 정방향 및 역방향 프라이머 쌍은 각각 서열번호 31 및 32, 또는 서열번호 33 및 34, 또는 서열번호 139 및 140에 제시된 서열을 갖고, 진균에 특이적인 핵산 프로브는 서열번호 86 내지 125에 제시된 서열을 갖고, 합성 DNA는 서열번호 154에 제시된 서열을 갖고, 이는 서열번호 145에 제시된 서열을 갖는 합성 DNA 특이적 핵산 프로브에 혼성화되는, 방법.
- 제41항에 있어서, 상관관계를 수학적으로 확인하는 단계는 다음 수학식을 사용하여 수행되고:
Cn/Co = P(Sn/So)x
상기 식에서,
Cn은 정량화될 병원체 또는 식물 종의 각각의 유형 n의 병원체 DNA 또는 식물 DNA의 카피 수이고, Co는 제1 증폭 단계를 수행하기 전에 샘플에 첨가된 합성 DNA의 인지된 카피 수이고, Sn은 병원체 종의 각각의 유형 n의 마이크로어레이 상의 인지된 특이적 위치의 병원체 DNA 특이적 핵산 프로브에 혼성화되는 병원체 DNA 특이적 형광 표지 제2 앰플리콘으로부터의 형광 신호 강도 (상대 형광단위, RFU), 또는 식물 종의 각각의 유형 n의 마이크로어레이 상의 인지된 특이적 위치의 식물 DNA 특이적 핵산 프로브에 혼성화되는 식물 DNA 특이적 제2 앰플리콘으로부터의 형광 신호 강도 (RFU)이고, So는 마이크로어레이 상의 인지된 특이적 위치에서 합성 DNA 특이적 핵산 프로브에 혼성화되는 합성 DNA 특이적 제2 앰플리콘으로부터의 형광 신호 강도 (RFU)이고, P는 약 0.1 내지 약 10 범위의 상수이며, X는 약 1 내지 약 3의 범위의 지수 인자인, 방법. - 제41항에 있어서, 형광 표지 병원체 DNA-특이적 제2 앰플리콘, 형광 표지 식물 DNA-특이적 제2 앰플리콘 및 형광 표지 합성 DNA-특이적 제2 앰플리콘 내의 형광 표지는 형광 표지 이작용성 중합체 링커 내의 형광 표지와 상이한,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US15/916,036 US10612075B2 (en) | 2015-12-28 | 2018-03-08 | Microarray based multiplex pathogen analysis and uses thereof |
US15/916,036 | 2018-03-08 | ||
US15/916,062 | 2018-03-08 | ||
US15/916,062 US11542498B2 (en) | 2015-12-28 | 2018-03-08 | Microarray based multiplex pathogen analysis and uses thereof |
US16/158,276 US10513745B2 (en) | 2015-12-28 | 2018-10-11 | Microarray based multiplex pathogen analysis and uses thereof |
US16/158,276 | 2018-10-11 | ||
PCT/US2019/021317 WO2019173695A2 (en) | 2018-03-08 | 2019-03-08 | Microarray based multiplex pathogen analysis and uses thereof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028142A true KR20210028142A (ko) | 2021-03-11 |
Family
ID=678475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7029030A Ceased KR20210028142A (ko) | 2018-03-08 | 2019-03-08 | 마이크로어레이 기반 멀티플렉스 병원체 분석 및 이의 용도 |
Country Status (9)
Country | Link |
---|---|
EP (1) | EP3762508A4 (ko) |
JP (1) | JP2021516995A (ko) |
KR (1) | KR20210028142A (ko) |
CN (1) | CN112154215A (ko) |
AU (1) | AU2019231794A1 (ko) |
CA (1) | CA3093451A1 (ko) |
MX (1) | MX2020009282A (ko) |
WO (1) | WO2019173695A2 (ko) |
ZA (1) | ZA202006213B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210317540A1 (en) * | 2015-12-28 | 2021-10-14 | Pathogendx, Inc. | Microarray-Based Multiplex Fungal Pathogen Analysis |
US20240279367A1 (en) * | 2020-08-12 | 2024-08-22 | Genemind Biosciences Co., Ltd. | Amino-modified chip, preparation method therefor and use thereof |
Family Cites Families (1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EP0451141B1 (en) * | 1988-05-20 | 1998-11-18 | F. Hoffmann-La Roche Ag | Immobilized sequence-specific probes |
JP4963139B2 (ja) * | 1996-11-06 | 2012-06-27 | シークエノム・インコーポレーテツド | 固体支持体に核酸を固定化するための組成物および方法 |
NZ501917A (en) * | 1997-07-22 | 2001-10-26 | Qiagen Genomics Inc | Method and apparatus for enzymatic reactions performed on nucleic acid arrays conducted at dew point |
US6238869B1 (en) * | 1997-12-19 | 2001-05-29 | High Throughput Genomics, Inc. | High throughput assay system |
CA2339948C (en) * | 1998-08-14 | 2014-09-30 |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 Novel amplicon in the 20q13 region of human chromosome 20 and uses thereof |
WO2003006675A2 (en) * | 2001-07-11 | 2003-01-23 | Baylor College Of Medicine | Methods and devices based upon a novel form of nucleic acid duplex on a surface |
WO2003043402A2 (en) * | 2001-10-19 | 2003-05-30 | Proligo Llc | Nucleic acid probes and methods to detect and/or quantify nucleic acid analytes |
JP2008538496A (ja) * | 2005-04-12 | 2008-10-30 | 454 ライフ サイエンシーズ コーポレイション | ウルトラディープ配列決定を用いて配列変異体を決定するための方法 |
JP5196846B2 (ja) * | 2007-05-14 | 2013-05-15 | キヤノン株式会社 | プローブセット、プローブ担体、検査方法及びdna検出用キット |
EP2789694A1 (en) * | 2009-04-02 | 2014-10-15 | Fluidigm Corporation | Microfluidic device with reaction product recovery system |
EP2532754A1 (en) * | 2011-06-07 | 2012-12-12 |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 Devices and methods for efficient capture of nucleic acids |
EP2997037B1 (en) * | 2013-05-14 | 2018-11-21 | Genomics USA, Inc. | Use of a composition for entrapping a protein on a surface |
CN107683338A (zh) * | 2015-06-17 | 2018-02-09 | 东洋制罐集团控股株式会社 | 微生物的检查方法、微生物的检查试剂盒、微生物检查用微阵列、霉菌检测用载体、霉菌的检测方法、以及霉菌检测用试剂盒 |
-
2019
- 2019-03-08 CN CN201980030521.2A patent/CN112154215A/zh active Pending
- 2019-03-08 WO PCT/US2019/021317 patent/WO2019173695A2/en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2019-03-08 EP EP19764885.0A patent/EP3762508A4/en active Pending
- 2019-03-08 MX MX2020009282A patent/MX2020009282A/es unknown
- 2019-03-08 CA CA3093451A patent/CA3093451A1/en active Pending
- 2019-03-08 JP JP2020571331A patent/JP2021516995A/ja active Pending
- 2019-03-08 KR KR1020207029030A patent/KR20210028142A/ko not_active Ceased
- 2019-03-08 AU AU2019231794A patent/AU2019231794A1/en not_active Abandoned
-
2020
- 2020-10-07 ZA ZA2020/06213A patent/ZA202006213B/en unknow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MX2020009282A (es) | 2021-01-08 |
JP2021516995A (ja) | 2021-07-15 |
EP3762508A4 (en) | 2021-12-15 |
EP3762508A2 (en) | 2021-01-13 |
WO2019173695A2 (en) | 2019-09-12 |
CN112154215A (zh) | 2020-12-29 |
CA3093451A1 (en) | 2019-09-12 |
ZA202006213B (en) | 2022-01-26 |
AU2019231794A1 (en) | 2020-10-29 |
WO2019173695A3 (en) | 2019-12-2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0767235B2 (en) | Microarray based multiplex pathogen analysis and uses thereof | |
US11512307B2 (en) | Microarray based multiplex pathogen analysis and uses thereof | |
US10640835B2 (en) | Microarray based multiplex pathogen analysis and uses thereof | |
US10612075B2 (en) | Microarray based multiplex pathogen analysis and uses thereof | |
Li et al. | Development of a magnetic nanoparticles microarray for simultaneous and simple detection of foodborne pathogens | |
EP0245129B1 (fr) | Sondes oligonucléotidiques et procédés pour la détection par hybridation des acides nucléiques de bactéries et autres êtres vivants | |
RU2270254C2 (ru) | Способ идентификации трансгенных последовательностей днк в растительном материале и продуктах на его основе, набор олигонуклеотидов и биочип для осуществления этого способа | |
JP2007159411A (ja) | プローブセット、プローブ固定担体及び遺伝子検査方法 | |
KR20210028142A (ko) | 마이크로어레이 기반 멀티플렉스 병원체 분석 및 이의 용도 | |
Alshehri | Identification of algae species using advanced molecular techniques | |
US11851705B2 (en) | Microarray based multiplex pathogen analysis for plants, agriculture, food, and water | |
US11781133B2 (en) | Microarray based multiplex pathogen analysis and uses thereof | |
Huang et al. | RNA-based detection of genetically modified plants via current-voltage characteristic measurement | |
KR100611056B1 (ko) | 병원성 미생물 검출을 위한 올리고뉴클레오티드마이크로칩 및 이를 이용한 병원성 미생물 검출방법 | |
KR100759390B1 (ko) | 미배양 미생물의 단일세포 유래 게놈을 디지털 다중 분리증폭법을 이용하여 증폭하여 게놈 마이크로어레이를제작하는 방법 | |
KR100697245B1 (ko) | 중금속 유도성 프로모터와 이의 생물공학적 활용 | |
EP4365292A1 (en) | Aptamer for the detection of the microorganism bacillus subtilis | |
US20210317540A1 (en) | Microarray-Based Multiplex Fungal Pathogen Analysis | |
KR101651212B1 (ko) | 쉬겔라 소네이 생균의 표면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dna 앱타머 및 이의 용도 | |
JP2006094830A (ja) | 微生物群集解析方法 | |
Fayaz et al. | DNA Microarrays as a Versatile Tool for the Detection of Plant Pathogens | |
Van Zuydam | Identification of Leptographium species by oligonucleotide discrimination on a DNA microarray | |
JPWO2012173015A1 (ja) | プローブセット及びその利用 | |
JP2013153706A (ja) | イネもみ枯細菌病菌とイネ苗立枯細菌病菌との検出チップ及びそれを用いた検出方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5 | International application |
Patent event date: 20201008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20307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112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250306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