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210024813A - 안경 결합형 확대경 - Google Patents

안경 결합형 확대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24813A
KR20210024813A KR1020190104443A KR20190104443A KR20210024813A KR 20210024813 A KR20210024813 A KR 20210024813A KR 1020190104443 A KR1020190104443 A KR 1020190104443A KR 20190104443 A KR20190104443 A KR 20190104443A KR 20210024813 A KR20210024813 A KR 202100248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asses
coupled
magnifying glass
lens unit
support fram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44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19060B1 (ko
Inventor
김수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크리스탈옵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크리스탈옵틱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크리스탈옵틱
Priority to KR10201901044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19060B1/ko
Publication of KR202100248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248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90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9060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5/00Eyepieces; Magnifying glasses
    • G02B25/002Magnifying glass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yeglasses (AREA)
  • Len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물체나 문자 등을 확대하여 볼 수 있는 확대경을 일반적인 안경과 유사한 형상으로 형성하여 안경착용자가 안경에 결합시켜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 안경을 착용하지 않은 사람도 착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안경 결합형 확대경에 관한 것으로,
물체 또는 문자를 확대하여 볼 수 있도록 볼록렌즈(11)(12)가 좌우로 대칭되게 배치되어 일체로 연결됨과 아울러 연결부분의 하단에 상측으로 오목한 형태의 곡면부(15)가 구비된 렌즈부(10)와; 상기 렌즈부(10)의 상측에 가로 방향으로 배치되되 양단이 후방측으로 휘어 있는 구조로 형성되며 중앙 하단에 결합된 상기 렌즈부(10)를 지지하는 탄성 재질의 지지테(20)와; 착용자의 귀에 걸릴 수 있도록 후단부가 아래 방향으로 절곡 형성되며 선단부는 상기 지지테(20)의 양단에 각각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탄성 재질의 걸이부재(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안경 결합형 확대경{Magnifying Glass Combined Eyeglass}
본 발명은 안경 결합형 확대경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물체나 문자 등을 확대하여 볼 수 있는 확대경을 일반적인 안경과 유사한 형상으로 형성하여 안경착용자가 안경에 결합시켜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 안경을 착용하지 않은 사람도 착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안경 결합형 확대경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볼록렌즈는 중앙부의 두께가 테두리부의 두께보다 두꺼운 렌즈로서, 볼록렌즈의 초점보다 가까운 곳에 위치한 물체를 렌즈를 통해서 보게 되면, 실물보다 큰 바로 선 허상이 보이게 된다. 이러한 볼록렌즈의 작용을 이용하여 작은 물체를 확대하여 보는 기구를 돋보기 또는 확대경이라 한다.
그리고, 볼록렌즈를 양쪽 눈으로 볼 수 있도록 배치하고, 공지의 안경테에 고정하여 안경처럼 착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을 돋보기 안경이라고 하는데, 이러한 돋보기 안경은 작은 글씨 등을 확대하여 보고자 할 때는 유용하지만, 평상시에는 확대된 시야로 인해 사물을 보는데 오히려 어려움이 발생한다. 따라서, 평상시에는 돋보기 안경을 벗어서 보관하고 나안으로 활동하거나 통상의 안경으로 바꿔 착용해야 한다.
하지만, 안경착용자가 돋보기 안경을 사용하기 위하여 사용중인 안경을 벗고 돋보기 안경을 사용하는 것은 매우 불편하므로, 대부분 일반 안경에 돋보기 안경을 걸친 상태로 사용하고 있다. 즉, 안경다리가 구비된 일반 안경과는 달리 안경다리가 없어 대략 평면 형태로 형성된 돋보기 안경을 일반 안경의 앞쪽에 겹쳐서 사용하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돋보기 안경은 일반 안경과의 결합을 위한 별도의 결합기구가 요구될 뿐반 아니라 경질 재질로 형성되어 외부 충격이나 압력에 의해 손상될 수 있고, 일반 안경과의 결합력이 약해 일반 안경에 겹쳐 사용하는 동안 쉽게 분리될 수 있으며, 안경착용자가 아닌 일반인은 착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과 관련하여 선행기술을 조사한 결과 다수의 특허문헌이 검색되었으며, 그 중 일부를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
특허문헌 1은, 안경테의 양외단은 손잡이로 하여 주어 왼손잡이나 바른손잡이가 불편없이 사용할 수 있게 하여 주고, 동 안경테의 중앙부위에 걸이부를 형성시켜 주어 착용하고 있는 안경테의 걸침기능을 갖어질 수 있게 하여 주며, 동안경테의 양 외측에 외측걸이부를 형설시켜주어 착용하고 있는 안경의 겉쪽에서 걸침기능을 가질 수 있게 덛안경을 구성하고, 또한, 안경테의 양외단은 손잡이로 하여주고 동안경테의 중앙부위에 "∩" 형으로 된 걸이부를 접착시켜주고 동걸이부의 좌우에도 별도의 걸이부를 형성시켜주어 착용하고 있는 안경의 겉쪽에서 걸어질 수가 있게 한 덛안경을 구성한, 돋보기 안경을 개시하고 있다.
특허문헌 2는, 한 쌍의 렌즈를 수용하는 프레임, 프레임 상에서 한 쌍의 렌즈 사이에 배치되어 프레임의 전방을 촬영하는 카메라 유닛, 카메라 유닛에서 촬영한 영상데이터를 분석하여 문자정보를 추출하는 분석 유닛, 문자정보에 대응하는 음성신호를 생성 및 출력하는 음성출력 유닛, 한 쌍의 렌즈 전면에 각각 배치되고 한 쌍의 렌즈보다 면적이 작은 한 쌍의 확대경, 및 한 쌍의 확대경의 변위를 제어하는 위치제어 유닛을 포함하고, 한 쌍의 확대경은 한 쌍의 렌즈의 투과범위 내에서 슬라이드 가능하게 배치되고, 분석 유닛은 영상데이터의 문자정보를 기초로 문자정보의 좌표구간을 추출하고, 위치제어 유닛은 좌표구간에 대응하여 한 쌍의 확대경의 위치를 제어하도록 한, 문자 추적형 돋보기 안경을 개시하고 있다.
특허문헌 3은, 중간 연결 부위를 중심으로 마주하게 접히거나 펼쳐지는 좌,우 렌즈부를 포함하는 돋보기; 일측이 개방된 수용공간을 갖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개방부 일측 면 모서리 부분에 좌,우 렌즈부 중 어느 하나에 돌출 마련된 연결부재를 회동 가능하게 축 결합시켜 수용공간에 대해 인입/인출을 유도하는 회전조작부;를 포함하며, 접어서 전체 사이즈와 부피를 축소시켜 일체로 이루어진 케이스에 안전하게 수납 보관할 수 있도록 된 돋보기 안경을 개시하고 있다.
KR 20-0284892 Y1 KR 10-1262023 B1 KR 10-2019-0084648 A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렌즈를 제외한 구성들이 탄성 재질로 형성되어 외부 충격이나 압력에 의해 쉽게 손상되지 않고 일반 안경과 유사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안경착용자는 물론 안경을 착용하지 않은 일반인도 착용할 수 있도록 한 안경 결합형 확대경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 본 발명은 수납공간을 줄일 수 있어 휴대가 용이하고 일반인이 착용하더라도 흘러내리지 않도록 한 안경 결합형 확대경을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렌즈가 손상될 경우 렌즈만 교체하여 재사용할 수 있고, 일반 안경과의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한 안경 결합형 확대경을 제공하는데 또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물체 또는 문자를 확대하여 볼 수 있도록 볼록렌즈가 좌우로 대칭되게 배치되어 일체로 연결됨과 아울러 연결부분의 하단에 상측으로 오목한 형태의 곡면부가 구비된 렌즈부와; 렌즈부의 상측에 가로 방향으로 배치되되 양단이 후방측으로 휘어 있는 구조로 형성되며 중앙 하단에 결합된 상기 렌즈부를 지지하는 탄성 재질의 지지테와; 착용자의 귀에 걸릴 수 있도록 후단부가 아래 방향으로 절곡 형성되며 선단부는 상기 지지테의 양단에 각각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탄성 재질의 걸이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안경 결합형 확대경에 따르면, 상기 렌즈부의 하단 내측에 착용자의 코에 걸리는 탄성 재질의 코받침이 구비되고, 상기 코받침은 양측 단부가 상기 렌즈부의 내측면에서 곡면부를 따라 부착됨과 아울러 상부에 개구부가 형성되는 하광상협 구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안경 결합형 확대경에 따르면, 상기 렌즈부는 지지테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안경 결합형 확대경에 따르면, 상기 지지테의 중앙 하부에 렌즈부가 결합되는 결합부가 하향 돌출된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안경 결합형 확대경에 따르면, 상기 걸이부재는 지지테의 안쪽으로만 회동할 수 있도록 상기 걸이부재의 양단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안경 결합형 확대경은 일반 안경과 유사한 형태로 형성되어 통상적인 확대경에 비해 미감이 우수하고, 안경착용자가 착용중인 기존 안경에 결합시켜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 코받침이 구비되어 안경을 착용하지 않는 사람이 일반 안경처럼 착용할 수 있어 범용성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또, 본 발명의 안경 결합형 확대경에 따르면, 지지테가 얇고 렌즈의 상단 중앙부만 지지테에 결합되어 있어 안경착용자가 착용중인 기존 안경의 상측에 결합시켜 사용할 때 기존 안경과의 간섭이 발생하지 않게 되므로 안경착용자가 사용에 불편을 느끼지 않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안경 결합형 확대경에 따르면, 수평 방향으로 배치되는 지지테 중앙의 결합부에 렌즈부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므로 렌즈부의 렌즈가 손상될 경우 렌즈부만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 기존 안경과의 간섭이 발생하지 않게 되어 사용이 편리한 효과가 있다.
또, 본 발명의 안경 결합형 확대경에 따르면, 걸림부재가 안쪽으로만 회동할 수 있도록 지지테의 양 끝단에 결합됨에 따라 걸림부재가 외측 방향 회전하여 확대경이 흘러내리거나 벗겨지는 현상이 방지되고 수납공간의 부피가 감소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안경 결합형 확대경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안경 결합형 확대경에서 렌즈부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안경 결합형 확대경의 코받침을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안경 결합형 확대경의 수납을 위하여 접은 모습을 나타낸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안경 결합형 확대경을 안경에 결합시킨 모습을 나타낸 참고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안경 결합형 확대경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안경 결합형 확대경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안경 결합형 확대경에서 렌즈부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안경 결합형 확대경의 코받침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안경 결합형 확대경의 수납을 위하여 접은 모습을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안경 결합형 확대경을 안경에 결합시킨 모습을 나타낸 참고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안경 결합형 확대경은,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렌즈부(10)와, 지지테(20), 걸이부재(30) 및 코받침(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렌즈부(10)는 물체 또는 문자를 확대하여 볼 수 있도 한 쌍의 볼록렌즈(11)(12)가 좌우로 대칭되게 배치되어 일체로 연결된 것으로, 연결부분의 하단에 상측으로 오목한 형태의 곡면부(15)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볼록렌즈(11)(12)는 초점거리에 위치한 물체 또는 문자를 대략 1.5~2배 정도로 확대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1.6~1.8배로 확대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는 초점거리에서의 배율이 1.5 배 미만이면 확대 효과가 좋지 않고, 초점거리에서의 배율이 2배를 초과하게 되면 물체가 문자가 너무 가깝게 보이게 되어 전체 형상에 대한 인식율이 저하될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지지테(20)는 렌즈부(10)를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렌즈부(10)의 상측에 가로 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으로, 양단이 후방측으로 휘어 있는 구조로 형성됨과 아울러 중앙 하부에 상기 렌즈부(10)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때, 상기 렌즈부(10)가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지지테(20)의 중앙 하부에는 결합부(25)가 하향 돌출된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지지테(20)는 외부 충격이나 압력에 의해 쉽게 부러지지 않고, 필요에 따라 변형할 수 있도록 탄성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지지테(20)는 일반 안경의 안경테에 올려지면서도 일반 안경과의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직선부 길이가 일반 안경의 안경테보다 길게 형성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또, 상기 지지테(20)의 결합부(25)에는 상기 렌즈부(10)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렌즈부(10)에 볼록렌즈(11)(12)에 손상이 발생할 때 상기 렌즈부(10)를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수납시 렌즈부910)를 분리하여 재배치함으로써 수납공간의 부피를 줄이기 위한 것이다.
상기 걸이부재(30)는 렌즈부(10)가 결합된 지지테(20)가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것으로, 착용자의 귀에 걸릴 수 있도록 후단부가 아래 방향으로 절곡 형성되며 선단부는 상기 지지테(20)의 양단에 각각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때, 상기 걸이부재(30) 역시 외부 충격이나 압력에 의해 쉽게 부러지지 않고, 필요에 따라 변형할 수 있도록 탄성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걸이부재(30)는 지지테(20)의 안쪽으로만 회동할 수 있도록 상기 지지테(20)의 양단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걸이부재(30)가 외측으로 젖혀지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수납시 부피를 최소화하기 위한 것이다.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걸이부재(30)은 안쪽으로 젖힌 상태에서 상기 지지테(20)와 걸이부재(30) 사이에 상기 지지테(20)로부터 분리된 렌즈부(10)를 위치시킨 상태로 수납함으로써, 적어도 상기 지지테(20)의 높이만큼 수납공간을 줄일 수 있게 된다.
상기 코받침(40)은 착용자의 코에 걸 수 있도록, 상기 렌즈부(10)의 하단 내측에 부착되며, 착용자의 코에 피해를 주지 않도록 탄성 재질로 형성된다. 이와 같이 상기 코받침(40)이 구비됨에 따라, 안경을 착용하지 않은 사람도 착용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코받침(4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측 단부가 상기 렌즈부(10)의 내측면에서 곡면부(15)를 따라 부착됨과 아울러 상부에 개구부가 형성되는 하광상협 구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안경 결합형 확대경은 안경 착용자가 사용중인 기존 안경에 겹쳐서 사용하거나 안경을 착용하지 않는 일반인이 일반 안경처럼 착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안경착용자는 물론 일반인이 본 발명의 안경 결합형 확대경을 이용하혀 글씨나 주변 사물들을 확대하여 볼 수 있게 되고, 그로 인해 작은 글씨나 물체에 대한 인식율이 대폭 향상된다.
특히, 상기한 본 발명의 안경 결합형 확대경은 치과의사, 금이나 은 등의 금속을 세공하는 금속세공사, 눈썹문신이나 속눈썹 연장술을 수행하는 뷰티 매니저 등에게 매우 유용할 것으로 생각된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하기 위한 몇 가지 실시 예들과 관련하여 설명하고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와 같이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며, 발명의 설명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의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해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통상의 기술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10...렌즈부
11, 12...볼록렌즈
15...곡면부
20....지지테
25...결합부
30...걸이부재
40...코받침

Claims (5)

  1. 물체 또는 문자를 확대하여 볼 수 있도록 볼록렌즈(11)(12)가 좌우로 대칭되게 배치되어 일체로 연결됨과 아울러 연결부분의 하단에 상측으로 오목한 형태의 곡면부(15)가 구비된 렌즈부(10)와;
    상기 렌즈부(10)의 상측에 가로 방향으로 배치되되 양단이 후방측으로 휘어 있는 구조로 형성되며 중앙 하단에 결합된 상기 렌즈부(10)를 지지하는 탄성 재질의 지지테(20)와;
    착용자의 귀에 걸릴 수 있도록 후단부가 아래 방향으로 절곡 형성되며 선단부는 상기 지지테(20)의 양단에 각각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탄성 재질의 걸이부재(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 결합형 확대경.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부(10)의 하단 내측에 착용자의 코에 걸리는 탄성 재질의 코받침(40)이 구비되고,
    상기 코받침(40)은 양측 단부가 상기 렌즈부(10)의 내측면에서 곡면부(15)를 따라 부착됨과 아울러 상부에 개구부가 형성되는 하광상협 구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특징으로 하는 안경 결합형 확대경.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부(10)는 지지테(2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 결합형 확대경.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테(20)의 중앙 하부에 상기 렌즈부(10)가 결합되는 결합부(25)가 하향 돌출된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 결합형 확대경.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걸이부재(30)는 지지테(20)의 안쪽으로만 회동할 수 있도록 상기 지지테(20)의 양단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 결합형 확대경.
KR1020190104443A 2019-08-26 2019-08-26 안경 결합형 확대경 Active KR1023190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4443A KR102319060B1 (ko) 2019-08-26 2019-08-26 안경 결합형 확대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4443A KR102319060B1 (ko) 2019-08-26 2019-08-26 안경 결합형 확대경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4813A true KR20210024813A (ko) 2021-03-08
KR102319060B1 KR102319060B1 (ko) 2021-10-29

Family

ID=751849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4443A Active KR102319060B1 (ko) 2019-08-26 2019-08-26 안경 결합형 확대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19060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4892Y1 (ko) 2002-05-14 2002-08-07 원인호 돋보기 안경
KR20090131315A (ko) * 2008-06-18 2009-12-29 오토스테크 주식회사 마스크를 착용하기 편리한 안경의 렌즈구조
JP3159824U (ja) * 2010-03-16 2010-06-03 有限会社日本光材 眼鏡型拡大鏡
KR101262023B1 (ko) 2013-03-14 2013-05-13 이지윤 문자 추적형 돋보기 안경
KR101368449B1 (ko) * 2013-07-23 2014-02-28 이영해 렌즈 교체 장착이 가능한 고글
KR20160004555A (ko) * 2014-07-03 2016-01-13 (주)반도옵티칼 고글의 렌즈 탈부착장치
JP3210521U (ja) * 2017-03-09 2017-05-25 株式会社トライ−アングル 明視用付加メガネ
KR20190084648A (ko) 2018-01-09 2019-07-17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돋보기 안경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4892Y1 (ko) 2002-05-14 2002-08-07 원인호 돋보기 안경
KR20090131315A (ko) * 2008-06-18 2009-12-29 오토스테크 주식회사 마스크를 착용하기 편리한 안경의 렌즈구조
JP3159824U (ja) * 2010-03-16 2010-06-03 有限会社日本光材 眼鏡型拡大鏡
KR101262023B1 (ko) 2013-03-14 2013-05-13 이지윤 문자 추적형 돋보기 안경
KR101368449B1 (ko) * 2013-07-23 2014-02-28 이영해 렌즈 교체 장착이 가능한 고글
KR20160004555A (ko) * 2014-07-03 2016-01-13 (주)반도옵티칼 고글의 렌즈 탈부착장치
JP3210521U (ja) * 2017-03-09 2017-05-25 株式会社トライ−アングル 明視用付加メガネ
KR20190084648A (ko) 2018-01-09 2019-07-17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돋보기 안경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19060B1 (ko) 2021-10-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076209A (zh) 具有深度调节功能的增强现实实现装置
JP6023793B2 (ja) 調節自在なアイウェア
CN110785696A (zh) 一种旋转眼镜(选配)
US8096652B1 (en) Headband eyeglasses
JP5199509B1 (ja) 折り畳めるモダン
JP5876531B2 (ja) 眼鏡曇り防止器具
US20050039240A1 (en) Multi-usage eyewear supportable on a cap
CN101939687B (zh) 望远镜式眼镜
KR102319060B1 (ko) 안경 결합형 확대경
JP6792854B2 (ja) デバイスを取付けることが出来るメガネフレーム
US20070115427A1 (en) Ring device with optical focusing mechanism
CN208834023U (zh) 一种日常近视用金属眼镜框
US6986577B1 (en) Eyeglasses with extension member supports
US7011403B1 (en) Prescription flip ups
JP7199094B2 (ja) オーバーグラス
JP2018205676A (ja) 集中力向上器具
KR20140022092A (ko) 코받침 없는 안경
JP3004945U (ja) 移動式遠近両用眼鏡
CN214252777U (zh) 一种具有多焦点眼镜镜片的智能眼镜
CN207067558U (zh) 一种具有镜腿镜框可分离功能的眼镜
CN208224642U (zh) 眼镜腿
CN211268986U (zh) 一种便携眼镜盒
CN110073277A (zh) 可以反转变身为手镯的眼镜设备
US20130107198A1 (en) Eyewear for limiting wandering vision
CN207264044U (zh) 一种不低头便能看到桌面读物或手机的眼镜舒适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0826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011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10723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1102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1102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