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210024378A - 턴슈공법을 이용한 로퍼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턴슈공법을 이용한 로퍼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24378A
KR20210024378A KR1020190103748A KR20190103748A KR20210024378A KR 20210024378 A KR20210024378 A KR 20210024378A KR 1020190103748 A KR1020190103748 A KR 1020190103748A KR 20190103748 A KR20190103748 A KR 20190103748A KR 20210024378 A KR20210024378 A KR 202100243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nufacturing
loafer
sole
shoe
presen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Withdrawn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37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나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마이니스튜디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마이니스튜디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마이니스튜디오
Priority to KR10201901037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24378A/ko
Publication of KR202100243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24378A/ko
Withdrawn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38Built-in insoles joined to uppers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e.g. structural insoles; Insoles glued to shoes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02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43B13/12Soles with several layers of different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38Built-in insoles joined to uppers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e.g. structural insoles; Insoles glued to shoes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 A43B13/40Built-in insoles joined to uppers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e.g. structural insoles; Insoles glued to shoes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with cush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3/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 A43B3/14Moccasins, opanken, or like shoe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DMACHINES, TOOLS, EQUIPMENT OR METHODS FOR MANUFACTURING OR REPAIRING FOOTWEAR
    • A43D11/00Machines for preliminary treatment or assembling of upper-parts, counters, or insoles on their lasts preparatory to the pulling-over or lasting operations; Applying or removing protective covering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DMACHINES, TOOLS, EQUIPMENT OR METHODS FOR MANUFACTURING OR REPAIRING FOOTWEAR
    • A43D8/00Machines for cutting, ornamenting, marking or otherwise working up shoe part blanks
    • A43D8/32Working on edges or margins
    • A43D8/40Working on edges or margins by folding, turning in or over, hammer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턴슈공법을 이용한 로퍼의 제조방법을 개시한다.
본 발명의 턴슈공법을 이용한 로퍼의 제조방법은 지면에 접촉하는 것으로 합성수지재 또는 고무재로 성형되는 솔과, 상기 솔의 상부에 봉제로 고정되어 발을 감싸는 것으로 피혁이나 섬유원단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어퍼로 구성된 턴슈공법을 이용한 로퍼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A) 준비된 가공피혁을 사용자의 발이 접촉하는 내면인 착화 표면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어퍼를 성형하는 단계; (B) 상기 어퍼의 하단 테두리를 접는 단계; (C) 구두의 바닥을 형성하는 솔의 상부 테두리에 상기 어퍼의 하단 테두리를 봉제로 일체 접합하는 단계; (D) 상기 솔이 접합된 어퍼를 뒤집어서 착화표면이 내부로 위치되게 뒤집어서 완성하는 단계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턴슈공법을 이용한 로퍼의 제조방법은 사용자의 발이 접촉되는 내부 착화면이 외부로 노출된 상태에서 제작을 한 뒤 완성된 후 내부 착화면이 외부로 노출되게 뒤집은 것으로 밑창과 갑피인 어퍼 사이의 주요 이음새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고 감춰짐에 따라 디자인의 미려함을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음새 노출로 인한 손상의 우려를 낮추고 아울러 습기나 이물질이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는 유용한 효과가 기대된다.

Description

턴슈공법을 이용한 로퍼의 제조방법{MANUFACTURING METHOD OF LIGHT WEIGHT SHOES}
본 발명은 턴슈공법을 이용한 로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발이 접촉되는 내부 착화면이 외부로 노출된 상태에서 제작을 한 뒤 완성된 후 내부 착화면이 외부로 노출되게 뒤집은 것으로 밑창과 갑피인 어퍼 사이의 봉재선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고 감춰지도록 하여 디자인의 자유도를 높임으로써 제품의 고급화를 가능하게 하고, 아울러 봉재선 노출로 인한 내구성 저하와 습기나 이물질이 로퍼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는 턴슈공법을 이용한 로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구두는 신체에서 가장 큰 하중을 받고 있는 발에 대한 방한방서, 오염침윤(浸潤) 동물들로부터의 보호와 함께 보행시의 충격을 분산 및 완화하고 장식신분표시 등의 목적으로 착용되는 것이며, 통상 발등 부분을 덮는 어퍼라 칭하기도 하는 갑피(upper) 부분과, 갑피가 고정되며 지면에 대어지는 솔(sole)이라 칭하는 창으로 구성되며, 정통적인 구두는 안창, 중창, 본창, 굽 등의 중첩된 구성을 가지고, 갑피는 뒤내피, 베라, 선심, 내피 등의 여러 다른 종류의 재질과 조각들이 조합되어 제작된다.
즉, 구두는 주로 가죽을 재료로 하여 만든 신으로서 발등을 감싸는 두 겹의 내외측 갑피와 발바닥을 받치는 창으로 구성되고, 상기 창은 최하부의 겉창과 겉창 위에 접착되는 중창 및 상기 중창 위에 올려지는 속창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구두는 형태에 따라 분류될 수 있으며, 크게 톱라인에 따라 단화와 장화(부츠)로 구분되고, 갑피(Upper)의 개폐 유무에 따라 막힌 구두와 열린구두로 구분되고, 굽희 형태와 갑피의 소재 그리고 사용목적 등에 따라 구분된다.
또한, 제작방법에 따라 굳이어 웰트 식(Goodyear Welt Porcess), 실루웰트 식(Silhouwelt Process), 스티치다운 식(Stitch - down Process), 맥케이 식(Mckay Process), 시멘트 식(Cement Process), 캘리포니아 식(California Process), 직접 가황압착 식(Direct Vulcanizing Process), 사출성형 식(Injection Moulding Process)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굳이어 웰트식은 중창에 부착된 리브(Rib)에 골을 씌운 갑피의 가장자리와 대다리(Welt)를 체인 스티칭 재봉기로 봉합하고 겉창을 덮은 후 대다리와 겉창 가장자리를 로크스티칭 하는 제조법이고, 상기 실루웰트 식은 중창에 부축된 리브에 골을 씌운 갑피의 가장자리와 대다리를 체인스티칭 재봉 기로 봉합하고 대다리와 겉창 주변에 접착제를 발라서 압착기로 창을 붙이는 제 조법이며, 상기 스티치다운 식은 골을 씌운 갑피에 겉창을 임시로 붙이고 나중에 골을 빼어 중창부분에서 갑피 와 겉창을 함께 로크 스티칭하는 제조법을 뜻한다.
그리고 상기 맥케이 식은 골을 씌운 갑피에 겉창을 임시로 붙이고 나중에 골을 빼어 중창부분에서 갑피골을 겉창을 함께 로크 스티칭하는 제조법이고, 상기 시멘트 식은 갑피 가장자리를 중창에 씌운 후 갑피 가장자리(겉창 접착부분)와 겉창 가장자리에 접착제를 발라서 압착기로 창을 붙이는 제조법이며, 상기 캘리포니아 식은 갑피 가장장리와 중창 가장자리, 플랫폼 가죽을 봉합하고 구두골을 삽입하여 플랫폼 가죽을 감고 골을 씌운 다음, 이 플랫폼 가죽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압착기로 창을 붙이는 제조법이다.
끝으로 상기 직접 가황압착 식은 갑피 가장자리를 중창에 씌운 후 가황 압착기에 정착하고 미가황 고무를 삽입하여 가열, 가압 성형하면서 밑창 부분을 가황 압착하는 제조법이고, 상기 사출성형 식은 갑피 가장자리를 중창에 씌운 후 사출 성형기에 장착하여, 미가황 고무 또는 합성수지를 금형 속에 사출하여 밑창 부분을 성형하는 제조법이다.
한편, 로퍼는 별도의 버클이나 끈으로 이루어진 여밈 구조를 갖지 않아 탈착이 편리하고 비교적 굽이 낮은 구두의 한 종류로, 격식을 덜 차려도 되는 비즈니스 용도에서부터 레저용도로까지 남녀노소 널리 착용하고 있으며, 세부 디자인에 따라 크게 발등을 가로지르는 가죽 띠인 절개된 새들을 형성된 페니(penny)로퍼와, 발등에 태슬 장식이 있는 태슬(tassel)로퍼, 그리고 발등에 말 재갈 모양의 금속 장식이 있는 것이 홀스 빗(horse bit)로퍼로 분류되고 있다.
도 1은 공지의 구두의 일부분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구두(100)의 창(130)을 제외한 위의 가죽 부분 전체를 칭하는 것으로 발등 부분을 덮는 갑피인 어퍼(110)와, 상기 갑피(110)가 고정되며 사용자의 발바닥과 지면 사이에 위치되는 창인 아웃솔과 미드솔과 인솔 등을 적층하여 된 솔(130)로 구성된다.
그러나 종래 대부분의 구두는 갑피인 어퍼(110)와, 창인 솔(130)을 서로 바느질에 의해 일체로 접합됨에 따라 봉제선이 외부로 노출되는 구조이어서 결과적으로 봉제선의 노출로 인한 디자인의 자유도가 떨어지는 폐단이 있을 뿐만 아니라 봉제선이 쉽게 오염되고 손상될 염려가 있으며, 손상된 봉제선을 통해 외부로부터 이물질이나 습기 등이 쉽게 유입되는 문제점을 초래함에 따라 제품에 대한 소비자의 불만이 커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등록특허공보 제10-0396240(2003.08.19.) 공개특허공보 제10-2014-0051848(2014.05.02.)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의 발이 접촉되는 내부 착화면이 외부로 노출된 상태에서 제작을 한 뒤 완성된 후 내부 착화면이 외부로 노출되게 뒤집은 것으로 밑창과 갑피인 어퍼 사이의 주요 이음새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고 감춰짐에 따라 디자인의 미려함을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음새 노출로 인한 손상의 우려를 낮추고 아울러 습기나 이물질이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는 턴슈공법을 이용한 로퍼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례에 따른 턴슈공법을 이용한 로퍼의 제조방법은, 지면에 접촉하는 것으로 합성수지재 또는 고무재로 성형되는 솔과, 상기 솔의 상부에 봉제로 고정되어 발을 감싸는 것으로 피혁이나 섬유원단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어퍼로 구성된 턴슈공법을 이용한 로퍼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A) 준비된 가공피혁을 사용자의 발이 접촉하는 내면인 착화 표면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어퍼를 성형하는 단계; (B) 상기 어퍼의 하단 테두리를 접는 단계; (C) 구두의 바닥을 형성하는 솔의 상부 테두리에 상기 어퍼의 하단 테두리를 봉제로 일체 접합하는 단계; (D) 상기 솔이 접합된 어퍼를 뒤집어서 착화표면이 내부로 위치되게 뒤집어서 완성하는 단계로 구성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한 특징으로서, 상기 (A)단계는 갑피를 내피와 외피를 덧대어 상단을 봉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한 특징으로서, 상기 (C) 단계는 사용자의 발이 발바닥이 접촉하는 인솔과 아웃솔을 각각 준비하고 상기 인솔의 하면 테두리에 상기 어퍼의 하단 테두리를 봉제하여 일체로 구비하고, 상기 인솔의 하면으로 아웃솔을 접합하는 단계로 구성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특징으로서, 상기 (D) 단계는 탄성재로 이루어진 쿠션창을 적층 구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턴슈공법을 이용한 로퍼의 제조방법은 사용자의 발이 접촉되는 내부 착화면이 외부로 노출된 상태에서 제작을 한 뒤 완성된 후 내부 착화면이 외부로 노출되게 뒤집은 것으로 밑창과 갑피인 어퍼 사이의 주요 이음새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고 감춰짐에 따라 디자인의 미려함을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음새 노출로 인한 손상의 우려를 낮추고 아울러 습기나 이물질이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으므로 제품에 대한 소비자의 만족도를 크게 높일 수 있는 유용한 효과가 기대된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구두의 일부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턴슈공법을 이용한 로퍼의 제조방법의 제조과정을 발췌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턴슈공법을 이용한 로퍼의 제조방법에 따른 로퍼를 앞쪽에서 바라본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턴슈공법을 이용한 로퍼의 제조방법에 따른 로퍼를 뒤쪽에서 바라본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턴슈공법을 이용한 로퍼의 제조방법에 따른 로퍼의 뒤쪽 부분 요부 발췌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턴슈공법을 이용한 로퍼의 제조방법에 따른 로퍼의 앞쪽 부분 요부 발췌 도면.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구성 및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즉,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여기서, 반복되는 설명,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턴슈공법을 이용한 로퍼의 제조방법의 제조과정을 발췌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턴슈공법을 이용한 로퍼의 제조방법에 따른 로퍼를 앞쪽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그리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턴슈공법을 이용한 로퍼의 제조방법에 따른 로퍼를 뒤쪽에서 바라본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턴슈공법을 이용한 로퍼의 제조방법에 따른 로퍼의 뒤쪽 부분 요부 발췌 도면이다.
끝으로,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턴슈공법을 이용한 로퍼의 제조방법에 따른 로퍼의 앞쪽 부분 요부 발췌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턴슈공법을 이용한 로퍼의 제조방법은 지면에 접촉하는 것으로 합성수지재 또는 고무재로 성형되는 솔과, 상기 솔의 상부에 봉제로 고정되어 발을 감싸는 것으로 피혁이나 섬유원단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어퍼로 구성된 턴슈공법을 이용한 로퍼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A) 준비된 가공피혁을 사용자의 발이 접촉하는 내면인 착화 표면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어퍼를 성형하는 단계; (B) 상기 어퍼의 하단 테두리를 접는 단계; (C) 구두의 바닥을 형성하는 솔의 상부 테두리에 상기 어퍼의 하단 테두리를 봉제로 일체 접합하는 단계; (D) 상기 솔이 접합된 어퍼를 뒤집어서 착화표면이 내부로 위치되게 뒤집어서 완성하는 단계로 구성된다.
한편, 상기 (A)단계에서 갑피인 어퍼는 내피와 외피를 덧대어 상단을 봉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의 외피와 내피는 서로 다른 재질의 피혁이나 직물 원단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C) 단계는 사용자의 발이 발바닥이 접촉하는 인솔과 아웃솔을 각각 준비하고 상기 인솔의 하면 테두리에 상기 어퍼의 하단 테두리를 봉제하여 일체로 구비하고, 상기 인솔의 하면으로 아웃솔을 접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D) 단계는 탄성재로 이루어진 쿠션창을 적층 구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제조방법에 의한 로퍼를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크게 가공피혁으로 된 갑피인 어퍼와, 상기 어퍼의 하단부를 접어 봉제되는 인솔 그리고 상기 인솔의 하면에 접착되는 아웃솔로 구성된다.
상기 솔은 구두의 창을 구성하는 요소로, 상기 인솔은 신체의 발바닥이 접촉되는 것으로 쿠션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아웃솔은 지면에 접촉되는 것으로 쉽게 닳거나 마모되지 않는 재질로 성형되며, 이들 인솔과 아웃솔은 접착제를 이용하여 접합되거나 또는 열융착이나 봉제에 의해 일체로 접합될 수 있다. 최근에는 사출성형을 이용하여 성형되기도 한다.
한편, 상기 어퍼의 하단은 일부분이 접혀 상기 인솔의 하면 테두리에 봉제되어 일체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솔은 사용자의 발이 접촉하는 상부측에 탄성재로 이루어진 쿠션창이 더 구비될 수 있으며, 이때의 쿠션창은 완충성이 우수한 고무재나, 실리콘, 우레탄 등의 합성수지재로 제공되거나 또는 직물 원단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솔은 사용자의 발이 접촉하는 인솔과, 지면에 접촉되는 아웃솔 그리고 이들 인솔과 아웃솔 사이에 미들솔이 적층 접합되며, 상기 미들솔은 발 앞꿈치 부분에 횡 방향으로 다수개의 절개선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턴슈공법을 이용한 로퍼의 제조방법은 사용자의 발이 접촉되는 내부 착화면이 외부로 노출된 상태에서 제작을 한 뒤 완성된 후 내부 착화면이 외부로 노출되게 뒤집어서 제작되는 것이다. 따라서 솔을 구성하는 아웃솔과 갑피인 어퍼 사이의 주요 이음새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고 감춰지게 되므로 결과적으로 구두에 대한 디자인의 자유도를 높일 수 있어 소비자의 기호를 충족시킬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구두 개발이 가능하고 미려함을 높일 수 있으며, 특히 박음질 부분인 재봉선의 이음새 노출로 인한 손상이나 오염의 우려를 해소할 수 있고, 이 재봉선 부분을 통한 습기나 이물질이 구두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례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적용 부위를 변경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을 할 수 있음은 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1 : 턴슈공법을 이용한 로퍼의 제조방법

Claims (4)

  1. 지면에 접촉하는 것으로 합성수지재 또는 고무재로 성형되는 솔과, 상기 솔의 상부에 봉제로 고정되어 발을 감싸는 것으로 피혁이나 섬유원단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어퍼로 구성된 턴슈공법을 이용한 로퍼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A) 준비된 가공피혁을 사용자의 발이 접촉하는 내면인 착화 표면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어퍼를 성형하는 단계;
    (B) 상기 어퍼의 하단 테두리를 접는 단계;
    (C) 구두의 바닥을 형성하는 솔의 상부 테두리에 상기 어퍼의 하단 테두리를 봉제로 일체 접합하는 단계;
    (D) 상기 솔이 접합된 어퍼를 뒤집어서 착화표면이 내부로 위치되게 뒤집어서 완성하는 단계;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턴슈공법을 이용한 로퍼의 제조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A)단계는 갑피를 내피와 외피를 덧대어 상단을 봉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턴슈공법을 이용한 로퍼의 제조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사용자의 발이 발바닥이 접촉하는 인솔과 아웃솔을 각각 준비하고 상기 인솔의 하면 테두리에 상기 어퍼의 하단 테두리를 봉제하여 일체로 구비하고, 상기 인솔의 하면으로 아웃솔을 접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턴슈공법을 이용한 로퍼의 제조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는 탄성재로 이루어진 쿠션창을 적층 구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턴슈공법을 이용한 로퍼의 제조방법.
KR1020190103748A 2019-08-23 2019-08-23 턴슈공법을 이용한 로퍼의 제조방법 Withdrawn KR2021002437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3748A KR20210024378A (ko) 2019-08-23 2019-08-23 턴슈공법을 이용한 로퍼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3748A KR20210024378A (ko) 2019-08-23 2019-08-23 턴슈공법을 이용한 로퍼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4378A true KR20210024378A (ko) 2021-03-05

Family

ID=751640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3748A Withdrawn KR20210024378A (ko) 2019-08-23 2019-08-23 턴슈공법을 이용한 로퍼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24378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6240B1 (ko) 2001-01-22 2003-09-03 쳉-시안 치 폼 형태의 안창을 갖는 신발 제조방법
KR20140051848A (ko) 2011-04-08 2014-05-02 다쉬아메리카, 아이엔씨. 디/비/에이 펄 이즈미 유에스에이, 아이엔씨. 이음매 없는 신발 갑피 및 이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6240B1 (ko) 2001-01-22 2003-09-03 쳉-시안 치 폼 형태의 안창을 갖는 신발 제조방법
KR20140051848A (ko) 2011-04-08 2014-05-02 다쉬아메리카, 아이엔씨. 디/비/에이 펄 이즈미 유에스에이, 아이엔씨. 이음매 없는 신발 갑피 및 이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55420B2 (en) Combination sock and shoe
CN100441119C (zh) 保护脚趾的凉鞋
US8834770B2 (en) Sole component for an article of footwear and method for making same
CN102626995B (zh) 鞋及相关制造方法
CN101836778B (zh) 鞋底的结构和相关的制造方法
US9204681B2 (en) Hybrid boots
US20150000165A1 (en) Versatile footwear covers and methods relating to same
US20030233771A1 (en) Shoe upper and methods of manufacture
US9032643B2 (en) Elastic strap sandal
US20070107257A1 (en) Multi-material molded shell for footwear
US20250169574A1 (en) Structure and procedure for making a shoe with knitted upper
US6092251A (en) Method for manufacturing shoes and shoe obtained with the method
US9192206B2 (en) Reinforced elastic strap sandal
US11576462B2 (en) Footwear with mesh sole construction
KR101279450B1 (ko) 구두 및 그 제조방법
KR20210024378A (ko) 턴슈공법을 이용한 로퍼의 제조방법
KR101207982B1 (ko) 구두 및 그 제조방법
EP3884799B1 (en) Footwear having covered midsole and methods of manufacturing the same
KR20210024376A (ko) 이음매가 감춰진 경량 구두
CN109043735B (zh) 一种无底一体鞋的制作工艺
JP2023501976A (ja) 二色靴のアウターソールとそのようなアウターソールの製造方法
US2484743A (en) Method for making slip-lasted footwear
RU66161U1 (ru) Влагозащитные сапоги
US1477140A (en) Boot and shoe
US2431858A (en) Shoe and method of making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0823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C1203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