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210024105A - 플라스틱을 분쇄하고 그로부터 분말상 물질을 생산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플라스틱을 분쇄하고 그로부터 분말상 물질을 생산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24105A
KR20210024105A KR1020217002482A KR20217002482A KR20210024105A KR 20210024105 A KR20210024105 A KR 20210024105A KR 1020217002482 A KR1020217002482 A KR 1020217002482A KR 20217002482 A KR20217002482 A KR 20217002482A KR 20210024105 A KR20210024105 A KR 202100241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lease agent
pulverizing
thermoplastic polymer
starting powder
spray tow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024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95492B1 (ko
Inventor
디트마르 오텐
Original Assignee
드레슬러 그룹 게엠베하 앤드 컴퍼니 케이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드레슬러 그룹 게엠베하 앤드 컴퍼니 케이지 filed Critical 드레슬러 그룹 게엠베하 앤드 컴퍼니 케이지
Publication of KR202100241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241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954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95492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9/00Making granules
    • B29B9/16Auxiliary treatment of granu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3/00Conditioning or physical 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 B29B13/10Conditioning or physical 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by grinding, e.g. by triturating; by sieving; by filte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9/00Making granules
    • B29B9/02Making granules by dividing preformed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9/00Making granules
    • B29B9/10Making granules by moulding the material, i.e. treating it in the molten sta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9/00Making granules
    • B29B9/12Making granules characterised by structure or com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9/00Making granules
    • B29B9/12Making granules characterised by structure or composition
    • B29B2009/125Micropellets, microgranules, microp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9/00Making granules
    • B29B9/16Auxiliary treatment of granules
    • B29B2009/163Coating, i.e. applying a layer of liquid or solid material on the granu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9/00Making granules
    • B29B9/16Auxiliary treatment of granules
    • B29B2009/166Deforming granules to give a special form, e.g. spheroidizing, roun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101/00Use of unspecified macromolecular compounds as moulding material
    • B29K2101/12Thermoplastic materia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62Plastics recycling; Rubber recyc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rocessing And Handling Of Plastics And Other Materials For Molding In General (AREA)
  • Processes Of Treat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AREA)
  • Disintegrating Or Milling (AREA)
  • Combined Means For Separation Of Solids (AREA)
  • Developing Agents For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열가소성 고분자, 특히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를 분쇄하고 그로부터 미리 정의된 입자 분포를 갖는 분말상 물질을 생산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로서, 상기 방법은 적어도 다음의 단계 즉, 분쇄 장치(분쇄기(58))에서 덩어리 형태로 제공되는 열가소성 고분자를 출발 분말로 분쇄하는 단계, 및 이후 이 출발 분말을 미리 정의된 입자 분포(48)에 도달할 때까지 적어도 한번 선별(체(46))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출발 분말의 점성 및 응집 형성력을 감소시키는 이형제는 분쇄 단계 동안 분쇄 장치에 공급(파이프(60))된다.

Description

플라스틱을 분쇄하고 그로부터 분말상 물질을 생산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본 발명은 열가소성 고분자를 분쇄하고 그로부터 미리 정의된 입자 분포를 갖는 분말상 물질을 생산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목표는 500㎛ 미만, 특히 100㎛ 미만의 입자 크기, 예를 들어 30㎛ 내지 100㎛ 범위의 입자이다. 지정할 수 있는 최대 상한은 800㎛이다. 하한은 수 나노미터 범위, 바람직하게는 약 1㎛ 또는 10㎛이다. 가능하다면, 구형과의 편차는 입자의 최소 단면 치수가 이들 입자의 최대 단면 치수의 20% 이상, 바람직하게는 50% 이상이 되도록 해야 한다.
그러한 분말상 물질은 많은 사용 분야, 예를 들어 3D 프린팅, 분말 코팅 등에 필요하다. 개별 입자가 더 구형일수록 분말은 더 유동적이다. 이러한 종류의 분말은 각 경우에 필요하고 개별 용도에 맞게 미리 정의된 입자 분포로 시장에서 요구된다. 특정 분말을 생산하기 위해서, 먼저 열가소성 고분자가 덩어리 형태로 제공되는 출발 물질이 분쇄 단계에서 출발 분말로 분쇄되고, 선별 과정에서 원하는 입자 분포(분말 분포 또는 입자 밴드라고도 함)를 얻는 방식으로 출발 분말이 선별된다. 이후, 이러한 최종 분말은 포장 및 운송된다.
그러한 분말상 물질을 제조하는 장치는 독일 특허 제20 2016 106 243 U1호에서 알려져 있다. 여기에서, 플라스틱 출발 생성물의 핫멜트는 용융물이 빠져나와 액적으로 분리되어 떨어지는 노즐 장치에 공급된다. 액적은 극저온 가스에 의해 냉각되어 떨어져 하부 영역에서 수집된다. 이후, 선별 및 포장이 이루어진다.
또한, 플라스틱 출발 생성물을 용매에 먼저 용해시키고 그로부터 입자를 획득하는 방법, 예를 들어 획득한 용액을 원자화 또는 분무하고 용매가 실질적으로 휘발될 때까지 획득한 액적을 분리된 상태로 유지하는 방법이 알려져 있다. 이러한 방법에서는 플라스틱을 더 높은 온도로 올릴 필요가 없기 때문에 이러한 점에서 화학 변화가 예상되지 않는다. 그러나, 용매는 플라스틱에 영향을 미친다.
분말을 분쇄하고 생산하는 방법 및 장치는 업계에서 사용되고 있다. 국제 특허 제2007/008480 A1호는 극저온에서 분쇄하여 분말을 생산하는 방법을 기술하고, 극저온 분쇄에 대한 알려진 선행 기술을 설명의 도입부 몇 페이지에서 상세하게 기술한다. 유럽 특허 제2 957 598 A1호는 극저온 분쇄에 의해 분말로 변환된 폴리아미드를 생산하는 방법을 개시한다. 이후, 선별 공정이 수행된다.
극저온은 일반적으로 -150℃ 이하의 온도로 이해된다. 당면한 출원의 경우, -50℃ 이하의 온도가 포함되어야 하고, 이는 드라이아이스 CO2를 사용한 냉각도 포함한다.
저온에서 분쇄 단계를 수행하지 않을 수도 있다. 고분자의 유리전이온도가 -20℃ 이하, 특히 30℃ 이하인 경우 일반적으로 저온 분쇄가 필요하며, 그렇지 않으면, 각각의 고분자가 정상적으로 분쇄될 수 없다.
전술한 방법은 플라스틱 출발 물질을 분말상 플라스틱으로 분쇄하는 예이다. 추가적인 분쇄 방법은 선행 기술에서 알려져 있다.
분쇄할 때, 시장에서 요구하고 원하는 분말상 최종 생성물은 일반적으로 즉시 얻어지지 않는다. 시장은 필요에 따라, 예를 들어 특정 3D 프린터를 위해 원하는 분말상 물질의 크기 및 분포를 지정한다. 정확한 입자 분포를 얻기 위해, 분쇄 단계에서 얻은 분말상 플라스틱(출발 분말)은 적어도 한번 선별된다. 여러 번의 선별 공정이 차례로 수행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입자 분포는 분쇄 및 선별이 수행되는 방법에 따라서도 달라진다. 적어도 하나의 선별 공정이 분쇄 공정에 맞게 적용되고 조정된다. 그것은 또한 미리 정의된 입자 분포에 맞게 적용된다.
선택된 분쇄 공정에 따라, 얻어진 분말상 물질은 개별 입자 또는 과립의 특징적인 모양을 갖는다. 전형적인 모양은 궁극적으로 원하는 구형에서 어느 정도 벗어날 수 있다. 예를 들어, 과립은 둥글지 않고, 예를 들어 부속물(꼬리)을 가질 수 있고, 비교적 평평한 것(평판)일 수 있고, 막대 모양일 수 있다. 이는 선별 공정 및 선별 결과에 영향을 미친다. 분쇄 단계 이후 및 선별 단계 이전에 과립을 둥글게 만드는 공정이 수행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출원인은 예를 들어, 독일 특허 제10 2017 100 98호를 참조한다.
방법이 실제로 수행됨에 따라, 특히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로부터, 예를 들어 연성 TPU를 갈아서 출발 분말을 얻고 그것이 특정 점성을 나타내는 경우, 선별 공정 중에 분쇄 단계에 의해 야기된 문제들이 발생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장치의 처리량은 빈번하게 크게 감소된다. 선별 장치가 막히는 경향이 있다. 환경적으로 건전한 선별 공정이 빈번하게 수행될 수 없다.
이러한 배경으로, 본 발명의 목표는 선별 공정이 더 쉬어지고 개선되는 방식으로 열가소성 고분자를 분쇄하고, 그로부터 분말을 생산하는 이전 방법 및 이전 장치를 개선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표는 열가소성 고분자, 특히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를 분쇄하고, 그로부터 미리 정의된 입자 분포를 갖는 분말상 물질을 생산하기 위한 방법에 의해 달성되고, 방법은
- 덩어리 형태로 출발 물질로서 제공되는 열가소성 고분자를 분쇄 장치에서 출발 분말로 분쇄하는 단계
- 미리 정의된 입자 분포에 도달할 때까지 적어도 한번 출발 분말을 선별하는 단계
- 바람직하게, 이러한 방식으로 얻은 최종 분말을 채우는 단계를 포함하고,
출발 분말의 점성 및 응집 형성력을 감소시키는 이형제가 분쇄 단계 동안 분쇄 장치에 공급된다.
이러한 방법에 의해 안정적인 선별 공정이 달성될 수 있다. 일정한 분말 분포가 달성되었다. 처리량이 상당히 예를 들어, 10배 증가하였다. 또한, 최종 분말의 벌크 중량이 적어도 10%, 가장 빈번하게는 최소 20% 증가하였다.
분쇄 방법은 선행 기술로부터 알려진 확립된 분쇄 방법 중 하나 이후에 수행된다. 중요한 예는 위에서 언급된다. 기계적 분쇄는 일반적으로 분쇄기에서 수행되고, 본 경우에서는 예를 들어, 선풍 분쇄기, 핀 분쇄기, 볼 분쇄기 등이 사용된다. 분무 탑이 사용되는 경우, 분쇄는 분무 탑에서 원자화 및 열가소성 고분자를 용융 또는 용해시킴으로써 달성된다.
미리 정의된 입자 분포는 일반적으로 시장에 의해, 가장 빈번하게는 특정 고객에 의해 지정된다. 입자 분포의 전형적인 예는 d90 < 125㎛, 60㎛ 내지 80㎛ 사이의 d50, 20㎛ 내지 30㎛ 사이의 d10이다. 덩어리 형태로 제공되는 고분자는 과립 형태, 막대 형태, 블록 형태, 상업적으로 이용 가능한 배송 형태 또는 다른 형태의 열가소성 고분자 출발 물질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출발 물질의 덩어리는 출발 분말의 크기보다 적어도 천배 이상인 크기, 바람직하게는 센티미터 범위 이상의 크기를 갖는다.
일반적으로는 각 경우에 1개의 고분자만 상기 방법에 따라 처리되지만, 2개 이상의 고분자를 동일한 장치에서 동시에 처리할 수도 있다.
선별 공정의 개선으로 인해 최종 분말에서 10㎛보다 작은 미분 함량이 최소화된다. 따라서, 추가적인 탈진 단계가 생략될 수 있다. 처리하는 동안 및 최종 분말의 후속 추가 처리 중에도 예를 들어 최종 고객의 건강 보호가 개선된다. 최종 분말의 자유 유동성이 선행 기술에 따른 최종 분말보다 상당히 개선된다. 응집 형성이 적게 되어 선별 공정이 더 쉬어지기 때문에, 분쇄 단계로 다시 보내야 하는 거친 입자 함량이 적다. 본 발명은 분쇄 단계로 다시 보내야 하는 거친 입자 물질의 비율을 상당히 감소시킬 수 있다. 각각의 분쇄 단계가 반복됨에 따라 미분 함량 비율이 증가하기 때문에, 이는 실제로 이미 정확한 크기를 가지고 있는 입자를 다시 분쇄하는 결과를 낳는다. 출발 분말 또는 최종 분말을 탈진하는 단계가 추가적으로 수행될 수 있고, 본 발명에 따르면 더 적은 노력으로 수행될 수 있다.
방법은 분쇄 단계 이후에 점성 및 응집 형성을 나타내는 경향이 있는 열가소성 물질에 적합하다. 또한, 방법은 예를 들어, PP, PA, PPS, ABS, PBT, PE, PS, PET, PMMA, PC, PEEK, PEKK와 같은 열가소성 고분자에 적합하다. 특히 바람직하게, 방법은 TPU, 에스테르계 및 에테르계 열가소성 물질, 예를 들어 TPEE에 적합하다.
이형제는 바람직하게는 매우 미세한 분말 형태로 제공된다. 이형제는 먼지 같은 방식으로 출발 분말의 입자를 코팅하여 출발 분말의 인접한 두 입자 사이의 직접적인 접촉을 방지한다. 따라서, 출발 분말의 자유 유동성이 향상된다. 이형제는 첨가제, 고화 방지제 또는 응집 방지제라고도 부를 수 있다. 출발 분말의 유동성은 이형제에 의해 개선된다. 공정 플랜트 즉, 그 파이프, 회전 공급기 등에서의 유동성도 개선된다.
금속 스테아린산염 및 아미드 왁스는 특히 선호되는 이형제이다. 이형제의 용융 온도는 바람직하게는 50℃와 160℃ 사이의 범위에 있어야 한다.
분쇄 단계 이후에 출발 분말을 가열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선별 단계는 사례별로 더 편리한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첨가제의 후속 사용이 자주 요구된다. 선행 기술에 따르면, 이를 위해서는 추가적인 방법 단계가 필요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분쇄 단계 동안 첨가제가 이미 첨가되기 때문에 그러한 단계가 더 이상 필요하지 않거나, 이형제 외에 추가로 제공되는 다른 첨가제가 함께 추가될 수 있다.
목표는 방법을 수행하는 역할을 하는 장치에 의해 또한 달성될 수 있다. 열가소성 고분자, 특히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를 분쇄하고, 그로부터 미리 정의된 입자 분포를 갖는 분말상 물질을 생산하기 위한 장치는
- 출발 물질로서 덩어리 형태로 제공되는 열가소성 고분자용 분쇄 장치로서, 바람직하게는 분쇄기 또는 분무 탑을 포함하고, 열가소성 고분자용 주입구, 출발 분말용 배출구, 및 선택적으로 예를 들어 극저온 가스용과 같은 추가 공급 파이프가 있는 분쇄 장치, 및
- 분쇄 장치의 하류에 배치되고, 바람직하게는 출발 분말이 운송되는 파이프라인을 통해 연결되는 선별 장치로서, 미리 정의된 입자 분포를 위해 설계된 적어도 하나의 체를 포함하는 선별 장치를 포함한다. 분쇄 장치에는 이형제를 분쇄 장치에 도입하기 위한 공급 파이프가 있다.
선별 단계와는 별도의 시간에 분쇄 단계를 수행할 수도 있다. 직사각형 메시 체(Oblong-mesh screen) 예를 들어, Allgaier 회사의 300 x 110 ㎛ 직사각형 메시 텀블링 체인 AVTM1600이 체로 사용될 수 있다.
선별 장치의 상류에 위치한 모든 구성 요소 즉, 회전 공급기, 운송 펌프 등은 분쇄 장치의 일부로 간주된다.
예 1: 덩어리 형태의 TPU가 선풍 분쇄기의 분쇄 루프에 도입되어 분쇄된다. (분쇄기에 도입되는 TPU 기준으로) Baerlocher 회사의 아미드 왁스 Baerolub L-AS 1 wt%가 TPU와 함께 도입된다. 분쇄 공정 동안, 분쇄기는 출발 분말에서 이형제의 우수한 분포에 영향을 미친다. 공정에서, 이형제의 윤활 효과는 유리한 것으로 보인다.
예 2: 공정은 예 1과 동일하지만, 0.13 wt%의 산화알루미늄(Alu C)이 이형제로 첨가된다. 입자 분포 d90 < 125㎛, 60㎛ 내지 80㎛ 사이의 d50, 20㎛ 내지 30㎛ 사이의 d10을 위해 372 g/l의 벌크 중량이 달성된다.
예 3: 공정은 예 2와 동일하지만, 2 wt%의 Ca 스테아린산염(Valtris Specialty Chemicals 회사의 114-36 L3)이 이형제로 첨가된다. 전술한 입자 분포를 위해 462 g/l의 벌크 중량이 달성된다. 예 2와 비교할 때, 선별 장치의 처리량을 약 50% 향상시킬 수 있었다.
본 발명의 다른 장점 및 기능은 본 발명의 2개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대한 다음의 설명뿐만 아니라 다른 청구 범위로부터 명백해지며, 이는 제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도면을 참조하여 후술된다.
도 1은 용융 및 원자화에 의해 열가소성 물질을 분쇄하는 장치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도 2는 도 1과 유사하지만 분쇄가 분쇄기에 의해 기계적으로 수행되는 장치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먼저, 도 1에 따른 장치를 설명하고, 도 2에 따른 장치는 그 개별 구성 요소가 도 1에 따른 장치와 상이한 경우에만 설명한다.
과립 형태로 제공되는 TPU는 용융 용기(20)에서 용융된다. 용융된 TPU는 펌프(24)에 의해 운송되어 용융 용기(20)로부터 컨베이어 파이프(22)를 통해 분무 탑을 형성하는 용기(26)로 공급된다. 용융된 물질이 공급되는 노즐 어셈블리(28)는 용기(26) 내 상단에 위치한다. 액체 물질은 예를 들어, 얇은 실 형태로 그 노즐 개구부를 빠져 나와 좀 더 아래에서 액적으로 분리된다. 노즐 어셈블리(28)로부터의 거리가 증가함에 따라 액적은 더 둥글게 되고, 그로부터 자유 낙하 입자들이 형성되고, 그들은 수직으로 아래로 떨어진다.
극저온 가스, 특히 액체 질소용 공급 파이프(30)는 컨베이어 파이프(20) 옆의 용기로 위에서 돌출된다. 공급 파이프(30)는 본 경우에서는 노즐 어셈블리(28) 위와 외부에 위치한 링으로 구성되는 공급 장치(32)에 연결된다.
고분자 물질은 콘(34) 내의 노즐 어셈블리(28)에서 빠져 나온다. 극저온 가스는 콘의 엔벨로프(36) 모양으로 공급 장치를 빠져 나오고, 콘(34)은 콘의 엔벨로프(36) 내에 위치한다. 콘(34)은 가능하면 용기(26) 측벽에 부딪히지 않도록 배향된다.
측면 노즐(38) 또는 유사한 도입 장치는 용기(26)의 하부 영역에 위치한다. 이형제인 금속 스테아린산염은 가능하면 용기(26)의 하부 영역에 이형제의 층(40)이 형성되도록 측면 노즐을 통해 용기(26) 내부로 도입된다(화살표 참조). 액적은 이러한 층(40)을 통해 떨어지기 때문에 어느 정도 이형제로 코팅된다. 공정 제어에 따라, 이형제의 일부는 층(40)에서 아래쪽으로 떨어지고, 이러한 일부는 비스듬한 벽을 갖는 배출구 영역에 떨어진다. 입자는 비스듬한 벽을 친 후 천천히 배출구(42)의 가장 아래쪽 부분에 도달한다. 따라서, 입자는 비스듬한 벽에 머무는 동안 이형제로 또한 코팅될 수 있다. 입자는 비스듬한 벽 위 및 층(40) 아래에 위치하는 동안 이형제로 또한 코팅될 수 있다.
용기(26)의 하부 영역에서, 끝부분은 원뿔 모양의 배출구(42)를 갖는다. 그곳에서, 코팅된 액적은 실질적으로 더이상 변형될 수 없을 정도로 냉각되어 출발 분말을 형성한다. 이는 이제 선별 장치(44)에 도착한다. 수정된 것에서는 도 2에서 알 수 있듯이 회전 공급기가 삽입될 수 있다. 그것은 분쇄 장치의 일부이다. 수정된 것에서는 이러한 회전 공급기에 이형제를 공급할 수 있다.
선별 장치(44)는 선행 기술에 따라 구성된다. 도면을 단순화하기 위해, 도면에는 한 개의 체(46)만 있다. 미리 정의된 입자 분포는 체(46)를 통과하고(화살표(48) 참조), 나머지는 배출된다(화살표(50) 참조).
도 2에 따른 장치에서, 과립 형태의 TPU는 공급 용기(52)에 위치한다. 과립은 회전 공급기(54)를 통해 분쇄기(58)(본 경우에서는 핀 분쇄기로 구성)의 유입부(56)에 공급된다. 이형제(본 경우에서는 아미드 왁스)용 파이프(60)는 추가적으로 분쇄기(58)를 향한 공급 파이프로 연결된다. 따라서, 과립 및 이형제는 동시에 분쇄기(58)의 유입부(56)로 들어가서 분쇄 공정동안 분쇄기(58)에서 직접적으로 혼합된다.
도 1의 것과 유사한 조건이 배출구 측에 제공된다. 또한, 본 경우에서 분쇄기(58)의 배출구(42)는 선별 장치(44)에 직접 연결된다.
실질적으로는, 바람직하게는 등의 용어 및 정확하지 않은 것으로 이해될 수 있는 표시는 정상 값에서 +/- 5%, 바람직하게는 +/- 2% 및 특히 +/- 1%의 편차가 가능하다는 의미로 이해되어야 한다. 출원인은 청구항의 모든 기능 및 하위 기능을 결합할 수 있는 권리 및/또는 설명 문장의 모든 기능 및 일부 기능을, 독립항의 기능을 벗어나는 경우에도, 다른 기능, 하위 기능 또는 모든 형태의 일부 기능과 결합할 수 있는 권리가 있다. 또한, 출원인은 모든 기능 및 일부 기능을 삭제할 권리가 있다.
도면에서, 기능면에서 동등한 부품에는 항상 동일한 참조 번호가 부여되기 때문에 원칙적으로 한번만 설명한다.
20: 용융 용기
22: 컨베이어 파이프
24: 펌프
26: 용기
28: 노즐 어셈블리
30: 공급 파이프
32: 공급 장치
34: 콘(cone)
36: 콘 엔벨로프(cone envelope)
38: 노즐
40: 층(layer)
42: 배출구
44: 선별 장치
46: 체
48: 화살표
50: 화살표
52: 공급 용기
54: 회전 공급기
56: 유입부
58: 분쇄기
60: 파이프

Claims (16)

  1. 열가소성 고분자, 특히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를 분쇄하고 그로부터 미리 정의된 입자 분포를 갖는 분말상 물질을 생산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 덩어리 형태로 제공되는 상기 열가소성 고분자를 분쇄 장치에서 출발 분말로 분쇄하는 단계
    - 상기 미리 정의된 입자 분포에 도달할 때까지 적어도 한번 상기 출발 분말을 선별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출발 분말의 점성 및 응집 형성력을 감소시키는 이형제는 상기 분쇄 단계동안 상기 분쇄 장치에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이형제는 다음의 군 즉, 계면활성제, 왁스, 금속 비누에서 적어도 하나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1 항 또는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이형제는 소수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1 항 내지 제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형제는 상기 고분자의 용융점 온도와 최대 30℃, 바람직하게는 최대 20℃, 특히 최대 10℃ 차이가 나는 용융점 온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1 항 내지 제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형제는 상기 출발 분말의 생산이 완료되기 전에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1 항 내지 제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선별 단계에서 적어도 하나의 기계적으로 움직이는 체(46), 특히 진동 체(46), 텀블링 동작을 수행하는 체(46), 초음파에 의해 여기된 체(46)가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1 항 내지 제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형제는 상기 열가소성 고분자의 중량을 기준으로 최대 5 wt%, 특히 최대 3 wt%, 바람직하게는 최대 2 wt%로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1 항 내지 제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형제는 상기 열가소성 고분자의 중량을 기준으로 적어도 0.1 wt%, 특히 적어도 0.2 wt%로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1 항 내지 제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분쇄 단계는 분쇄기에서 수행되고, 상기 이형제는 덩어리 형태로 제공되는 상기 열가소성 고분자와 함께 상기 분쇄기에 도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제1 항 내지 제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분쇄 단계는 적어도 하나의 분무 노즐 및 배출구(42)를 갖는 분무 탑을 이용하고, 상기 이형제는 상기 분무 탑으로, 특히 상기 분무 노즐과 상기 배출구(42) 사이에서 상기 분무 탑으로 도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제1 항 내지 제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고분자는 정상 온도에서의 Shore A 경도가 90 미만, 특히 80 미만, 바람직하게는 70 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2. 열가소성 고분자, 특히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를 분쇄하고 그로부터 미리 정의된 입자 분포를 갖는 분말상 물질을 생산하기 위한 장치로서,
    - 덩어리 형태로 제공되는 열가소성 고분자용 분쇄 장치로서, 바람직하게는 분쇄기 또는 분무 탑을 포함하고, 상기 열가소성 고분자용 주입구, 출발 분말용 배출구(42), 및 선택적으로 예를 들어 극저온 가스용과 같은 추가 공급 파이프(30)가 있는 분쇄 장치
    - 상기 분쇄 장치의 하류에 배치되고, 상기 출발 분말이 전달되는 파이프라인을 통해 연결되는 선별 장치(44)로서, 상기 미리 정의된 입자 분포를 위해 설계된 적어도 하나의 체(46)를 갖는 선별 장치(44)를 포함하고,
    상기 분쇄 장치는 상기 분쇄 장치에 이형제를 도입하기 위한 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수단은 상기 이형제용 파이프(30) 또는 노즐(38)이고, 상기 수단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열가소성 고분자용 주입구 또는 선택적인 추가 공급 파이프(30)와 통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4. 제12 항 또는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분쇄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분무 노즐 및 배출구(42)를 갖는 분무 탑이 있고, 이형제를 도입하기 위한 수단은 상기 분무 노즐과 상기 배출구(42) 사이에서 상기 분무 탑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노즐(38)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5.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분무 노즐을 빠져나온 액적은 상기 분무 탑 내에서 상기 배출구(42)쪽으로 이동하고, 특히 상기 배출구(42)쪽으로 떨어지고, 상기 노즐(38)은 상기 액적이 이동하는 이형제의 미스트를 상기 분무 탑에서 발생시키기 위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6. 제12 항 또는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분쇄 장치는 분쇄기를 포함하고, 상기 이형제용 파이프(30)는 상기 열가소성 고분자용 및/또는 선택적으로는 극저온 가스용 유입부(56)와 함께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KR1020217002482A 2018-08-03 2019-07-16 플라스틱을 분쇄하고 그로부터 분말상 물질을 생산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Active KR10269549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8118913.3 2018-08-03
DE102018118913 2018-08-03
PCT/EP2019/069103 WO2020025312A1 (de) 2018-08-03 2019-07-16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zerkleinern eines kunststoffs und zur herstellung von pulverförmigen stoffen aus diesem kunststof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4105A true KR20210024105A (ko) 2021-03-04
KR102695492B1 KR102695492B1 (ko) 2024-08-16

Family

ID=673147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02482A Active KR102695492B1 (ko) 2018-08-03 2019-07-16 플라스틱을 분쇄하고 그로부터 분말상 물질을 생산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1) US11534941B2 (ko)
EP (1) EP3829843B1 (ko)
JP (1) JP7200352B2 (ko)
KR (1) KR102695492B1 (ko)
CN (1) CN112543697A (ko)
AU (1) AU2019314951B2 (ko)
CA (1) CA3107048C (ko)
ES (1) ES2962647T3 (ko)
HR (1) HRP20231268T1 (ko)
HU (1) HUE063716T2 (ko)
PL (1) PL3829843T3 (ko)
RS (1) RS64715B1 (ko)
WO (1) WO202002531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291423A (zh) * 2018-11-06 2019-02-01 深圳市诺峰光电设备有限公司 一种用于膜材自动化贴附的载具
US11868124B2 (en) 2018-12-06 2024-01-09 Jabil Inc. Apparatus, system and method of forming polymer microspheres for use in additive manufacturing
US11460410B2 (en) * 2019-04-08 2022-10-04 Puma SE Bioindicator component applied to an article
FR3101635B1 (fr) * 2019-10-08 2022-03-11 Arkema France Composition de polymère thermoplastique pour construction d’articles 3D
US11820890B2 (en) * 2021-04-01 2023-11-21 Stratasys Inc Pulverulent thermoplastic polymer blends
KR102452374B1 (ko) * 2022-02-14 2022-10-07 주식회사 성운테크 플라스틱 압출생산공정에 균등한 플라스틱 입자를 공급하기 위해 조임 장치를 이용하여 여과망을 장착한 분쇄장치
CN114410332B (zh) * 2022-02-18 2024-03-15 宝武碳业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中间相沥青及其制备方法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0342A (ko) * 1995-06-30 1997-01-21 조안 엠. 젤사 극초에너지 극저온 충격 시스템
EP1754725A2 (en) * 2005-08-17 2007-02-21 Nippon Shokubai Co.,Ltd. Production method of water-absorbent resin, water-absorbent resin, and usage of water-absorbent resin
US20110223413A1 (en) * 2010-03-15 2011-09-15 Basf Se Process for Producing Water Absorbent Polymer Particles by Polymerizing Droplets of a Monomer Solution
DE102011080233A1 (de) * 2011-08-01 2013-02-07 Wacker Chemie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Dispersionspulvern
KR20150091388A (ko) * 2012-12-04 2015-08-10 바스프 에스이 섬유 보강 복합 재료의 제조 방법
DE202016106243U1 (de) * 2016-09-21 2016-11-17 Dressler Group GmbH & Co. KG Vorrichtung zur Herstellung von pulverförmigen Kunststoffen mit möglichst kugelförmiger Struktur
JP2017087491A (ja) * 2015-11-06 2017-05-25 松本油脂製薬株式会社 タイヤ内面用離型剤
WO2018113955A1 (de) * 2016-12-21 2018-06-28 Wacker Chemie Ag Kontinuierliches und modulares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in wasser redispergierbaren polymerpulverzusammensetzungen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056058A1 (de) * 1970-11-14 1972-05-18 Huels Chemische Werke Ag Verbessertes Verfahren zur Herstellung rieselfähiger Teilchen aus klebenden Stoffen
JPS4895444A (ko) * 1972-03-23 1973-12-07
JP2571581B2 (ja) * 1987-10-01 1997-01-16 山下ゴム株式会社 ゴム練り生地製造方法
US5006368A (en) * 1988-10-19 1991-04-09 The Dow Chemical Company Plastic particle coated with processing aid and method of coating
DE4319990A1 (de) * 1993-06-17 1994-12-22 Messer Griesheim Gmbh Verfahren zum Herstellen von Teilchen aus Kunststoffen
CA2196507A1 (en) * 1996-02-15 1997-08-16 Zeon Chemicals L.P. Non-agglomerating elastomeric particles
EP0801093A3 (en) * 1996-04-08 1998-07-01 The Goodyear Tire & Rubber Company Free-flowing crumb rubber composition
US6171433B1 (en) 1996-07-17 2001-01-09 Iowa State University Research Foundation, Inc. Method of making polymer powders and whiskers as well as particulate products of the method and atomizing apparatus
US5938994A (en) * 1997-08-29 1999-08-17 Kevin P. Gohr Method for manufacturing of plastic wood-fiber pellets
DE69921957T2 (de) * 1999-02-17 2006-03-02 Ferro Corp., Clevela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gefärbten Polymerharzpulvers für eine Verwendung im Rotationgiessverfahren
JP3859414B2 (ja) 1999-12-24 2006-12-20 倉敷化工株式会社 未加硫ゴム組成粒状物の製造装置及び製造方法
US20040112996A1 (en) * 2002-09-03 2004-06-17 Mobius Technologies, Incorporated Process for pulverization of polyurethane-containing materials
DE10254600B4 (de) 2002-11-22 2007-12-27 Bayer Materialscience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thermoplastischen, nicht klebenden Polyurethanen
US8074906B2 (en) 2005-07-07 2011-12-13 Nanotherapeutics, Inc. Process for milling and preparing powders and compositions produced thereby
JP5183897B2 (ja) 2005-08-17 2013-04-17 株式会社日本触媒 吸水性樹脂の製造方法および吸水性樹脂
JP5632459B2 (ja) * 2009-05-15 2014-11-26 バーゼル・ポリオレフィン・イタリア・ソチエタ・ア・レスポンサビリタ・リミタータ ポリマーペレットの非付着処理方法及びこの方法に用いる遠心脱水機
EP2934839B1 (en) * 2012-12-21 2019-03-27 Solvay Specialty Polymers Italy S.p.A. Process for producing a thermoplastic polymer powder
EP2957598A1 (de) 2014-06-20 2015-12-23 Ems-Patent Ag Komposit enthaltend ein matrixmaterial aus einem amorphen polyamid und dessen verwendung
CN106079146A (zh) 2016-06-30 2016-11-09 禹州市远大塑料电器有限责任公司 一种酚醛模塑料热切粒工艺
CN106221109A (zh) * 2016-08-12 2016-12-14 广州市新稀冶金化工有限公司 一种高流动性弹性体及其制备方法
CA3050168C (en) 2017-01-19 2022-11-15 Dressler Group GmbH & Co. KG Method and device for producing powdery substances from plastic
WO2018160734A1 (en) * 2017-03-02 2018-09-07 Nike Innovate C.V. Rubber pellet treatment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0342A (ko) * 1995-06-30 1997-01-21 조안 엠. 젤사 극초에너지 극저온 충격 시스템
KR100268981B1 (ko) * 1995-06-30 2000-10-16 조안 엠. 젤사 초고에너지 극저온 충격 시스템
EP1754725A2 (en) * 2005-08-17 2007-02-21 Nippon Shokubai Co.,Ltd. Production method of water-absorbent resin, water-absorbent resin, and usage of water-absorbent resin
US20110223413A1 (en) * 2010-03-15 2011-09-15 Basf Se Process for Producing Water Absorbent Polymer Particles by Polymerizing Droplets of a Monomer Solution
DE102011080233A1 (de) * 2011-08-01 2013-02-07 Wacker Chemie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Dispersionspulvern
KR20150091388A (ko) * 2012-12-04 2015-08-10 바스프 에스이 섬유 보강 복합 재료의 제조 방법
JP2017087491A (ja) * 2015-11-06 2017-05-25 松本油脂製薬株式会社 タイヤ内面用離型剤
DE202016106243U1 (de) * 2016-09-21 2016-11-17 Dressler Group GmbH & Co. KG Vorrichtung zur Herstellung von pulverförmigen Kunststoffen mit möglichst kugelförmiger Struktur
WO2018113955A1 (de) * 2016-12-21 2018-06-28 Wacker Chemie Ag Kontinuierliches und modulares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in wasser redispergierbaren polymerpulverzusammensetzung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3107048C (en) 2023-06-13
EP3829843A1 (de) 2021-06-09
ES2962647T3 (es) 2024-03-20
HUE063716T2 (hu) 2024-01-28
HRP20231268T1 (hr) 2024-02-02
KR102695492B1 (ko) 2024-08-16
CA3107048A1 (en) 2020-02-06
EP3829843B1 (de) 2023-08-23
EP3829843C0 (de) 2023-08-23
PL3829843T3 (pl) 2024-02-26
AU2019314951B2 (en) 2022-03-10
CN112543697A (zh) 2021-03-23
US20210299912A1 (en) 2021-09-30
JP7200352B2 (ja) 2023-01-06
AU2019314951A1 (en) 2021-02-11
RS64715B1 (sr) 2023-11-30
US11534941B2 (en) 2022-12-27
WO2020025312A1 (de) 2020-02-06
JP2021533215A (ja) 2021-1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95492B1 (ko) 플라스틱을 분쇄하고 그로부터 분말상 물질을 생산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JP6046489B2 (ja) 硫酸硝酸アンモニウムの錠剤化
CA3035437C (en) Device and method for producing pulverulent plastics with a spherical structure
CN105722803A (zh) 用于减少炉渣绒形成的干式粒化炉渣的方法和设备
US10364152B2 (en) Particle production apparatus, particle production method and method for producing semiconductor encapsulating resin composition
ZA200405477B (en) Method for producing particle shaped material
CN109475832A (zh) 用于生产颗粒状材料的方法
CN102378820B (zh) 粘合剂添加方法、粘合剂添加装置、混炼机及混炼方法
WO2017194485A1 (de) Verfahren und anlage zur herstellung von mikrohohlkugeln aus glas
CN113365723A (zh) 对基于水合硝酸盐矿物盐的组合物的熔体进行造粒的方法、系统及其用途
Mehos et al. Choosing Agglomeration Equipment.
CN107635948A (zh) 制备复合肥料的工艺
WO2002096549A1 (en) Agglomeration of fine particulate material
Watkinson et al. Gas atomization of polimeric materials
JP2003266429A (ja) 熱硬化性樹脂成形材料の製造方法およびその製造装置
Prasertsit et al. PE wax microparticle production by external mixing two-fluid nozzle atomization process
JPWO2019163034A1 (ja) 石炭灰生成物の処理装置及び処理方法
AU2002304970A1 (en) Agglomeration of fine particulate materi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10125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011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11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102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40517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