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210011534A - 가변 얀 위치를 갖는 위편기 편직 구조 - Google Patents

가변 얀 위치를 갖는 위편기 편직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11534A
KR20210011534A KR1020190088296A KR20190088296A KR20210011534A KR 20210011534 A KR20210011534 A KR 20210011534A KR 1020190088296 A KR1020190088296 A KR 1020190088296A KR 20190088296 A KR20190088296 A KR 20190088296A KR 20210011534 A KR20210011534 A KR 202100115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yarn
sinkers
needles
needle
knitt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82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32288B1 (ko
Inventor
흐신-청 리
Original Assignee
파이룽 머시너리 밀 코., 엘티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파이룽 머시너리 밀 코., 엘티디. filed Critical 파이룽 머시너리 밀 코., 엘티디.
Priority to KR10201900882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2288B1/ko
Publication of KR202100115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115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22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2288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15/06Sinker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00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1/10Patterned fabrics or articles
    • D04B1/12Patterned fabrics or articles characterised by thread material
    • D04B1/126Patterned fabrics or articles characterised by thread material with colour pattern, e.g. intarsia fabric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3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knitting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4B35/02Knitting tools or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 D04B15/00 or D04B27/00
    • D04B35/04Latch need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Knitting Machines (AREA)

Abstract

가변 얀 위치를 갖는 위편기 편직 구조가 제공된다. 대향하는 얀과 그 아래에 위치하는 하부얀은 편직 중에 공급되고, 위편기는 복수의 싱커 및 복수의 니들을 포함하며, 복수의 니들은 복수의 싱커 중 하나에 각각 인접하여 배치되고, 복수의 싱커 각각은 선형 변위 이동을 수행하도록 가이드된다. 복수의 니들 각각은 후크에 대해 마무리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후크 및 래치를 구비한다.

Description

가변 얀 위치를 갖는 위편기 편직 구조{WEFT KNITTING MACHINE KNITTING STRUCTURE WITH CHANGEABLE YARN POSITIONS}
본 발명은 위편기 편직 구조, 특히, 가변 얀 위치를 갖는 위편기 편직 구조에 관한 것이다.
얀 겹침으로 알려진 플레이팅(plating)은, 편직을 하는 동안 서로 다른 두 가지 색상의 얀을 동시에 공급하는 것을 말하며, 편직된 직물의 앞면(technical face)과 뒷면(technical back)의 색상이 다르게 보인다. 그러나, 직물의 색상 또는 패턴 변화를 증가시키기 위해, 편직 공정 중에 공급되는 2개의 얀의 위치를 변경하여, 앞면 상에 플레이팅된 색을 변화시키는 것이 종래 기술에서 제안되었으며, 이러한 직물 표면을 도 1에 나타내었다. 이와 같이, 전술한 편직 기술은 당업계에서 자카드(Jacquard)로 알려져 있다.
미국특허 제1,666,794호, 제1,950,405호, 제3,157,035호, 제2,616,276호, 중국특허출원 104532458호, 국제특허출원 WO00/15890호 등에서, 공급되는 2개의 얀의 위치는 얀 캐리어 자체 또는 배열 구조에 의해 변화된다. 그러나, 얀 캐리어는 위편기가 편직을 수행하는 위치로부터 여전히 떨어져 있기 때문에, 얀 캐리어가 얀의 위치를 즉시 변경할 수 있더라도, 원격으로 위치하는 복수의 니들은 변하지 않는 위치에서 여전히 얀을 잡고 있을 수 있으므로, 도 2의 잔상(90)으로 표시된 바와 같은, 직물 상에 잔류 그림자가 생길 수 있다.
또한, 미국특허 제1,977,590호, 중국특허 제2,249,253Y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다양한 싱커를 통해 얀 변화의 필요성을 충족시키기 위한 실시예들이 있지만, 이러한 실시예들은 위편기 장치의 개구부마다 배치될 수 있는 니들의 수가 현저히 줄어들어, 니들의 수와 관련하는 현재 산업의 요구에 적합하지 않다.
미국특허 제1,666,794호 미국특허 제1,950,405호 미국특허 제3,157,035호 미국특허 제2,616,276호 중국특허출원 104532458호 국제특허출원 WO00/15890호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얀 편직에 사용되는 얀 캐리어가 직물에 잔상을 쉽게 남기는 종래 기술의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두 번째 목적은 종래 다양한 싱커에서 얀의 변화가 요구되는 사실로부터 나타나는 현실적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외장얀과 상기 외장얀 아래에 위치하는 하부얀이 편직중에 공급되는 가변 얀 위치를 갖는 위편기 편직 구조를 제공한다. 이러한 위편기 편직 구조는 복수의 싱커와 복수의 니들을 포함한다. 복수의 싱커 각각은 복수의 니들 중 하나에 각각 인접하여 배치된다. 복수의 싱커 각각은 벨리부, 상기 벨리부와 연결된 노우즈부, 및 상기 벨리부와 상기 노우즈부 사이의 스로트부를 각각 포함한다. 복수의 싱커 각각은 선형 변위 이동을 수행하도록 가이드되고, 상기 선형 변위 이동 중에 상기 외장얀은 상기 노우즈부 위에 위치되며, 상기 하부얀은 상기 스로트부 내에 위치한다. 복수의 니들 각각은, 후크 및 후크에 대하여 폐쇄 동작을 수행하는 래치를 포함한다. 니들 각각은, 후크 내에서 상기 외장얀과 상기 하부얀의 위치를 변경시키지 않고 표준 플레이팅을 편직하는 제1 니들 후퇴 궤도 내에서 이동하거나, 후크 내에서 상기 외장얀과 상기 하부얀의 위치를 변경시키면서 교대 플레이팅을 편직하는 제2 니들 후퇴 궤도 내에서 이동하도록 제어된다. 제2 니들 후퇴 궤도 내에서, 복수의 니들 각각에 인접한 상기 복수의 싱커 중 하나가 상기 외장얀과 하부얀의 위치를 제한하지 않을 때, 상기 하부얀이 상기 복수의 싱커 중 하나의 노우즈부에 의해 가압되도록 상기 래치가 상기 하부얀을 돌린다. 래치가 상기 제2 니들 후퇴 궤도 내에서 폐쇄 동작을 발생시키는 시점은, 제1 니들 후퇴 궤도 내에서보다 앞선다.
일 실시예에서, 위편기 편직 구조는, 복수의 니들을 제1 니들 후퇴 궤도 또는 제2 니들 후퇴 궤도에 안내하는 니들 가이드 플레이트와, 복수의 싱커를 안내하여 선형 변위 이동을 수행하는 싱커 가이드 플레이트를 포함한다.
또한, 위편기 편직 구조는, 복수의 니들 각각을 제어하는 니들 선별기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복수의 싱커 각각은 제1 후퇴 영역, 제1 후퇴 영역에 이어지는 제1 압출 영역, 제1 압출 영역에 이어지는 제2 후퇴 영역, 제2 후퇴 영역에 이어지는 제2 압출 영역의 동작을 되풀이하는 하나의 이동 궤도만을 포함한다. 복수의 니들 각각의 래치가 제1 니들 후퇴 궤도에서 폐쇄 동작을 생성하는 시점은, 래치에 인접한 복수의 싱커 중 하나가 제2 후퇴 영역으로 이동하는 시점이고, 복수의 니들 각각의 래치가 제2 니들 후퇴 궤도에서 폐쇄 동작을 생성하는 시점은, 래치에 인접하는 복수의 싱커 중 하나가 제1 압출 영역으로 이동하는 시점이다.
일 실시예에서, 외장얀과 하부얀은 색상이 서로 상이하다.
본 발명의 실시를 통해 종래 기술과 비교하여,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갖는다. 본 발명에 기재된 위편기 편직 구조에 의하면, 외장얀과 하부얀의 공급 위치에서 얀 위치의 변화가 일어나기 때문에, 얀을 교환하기 위한 편직 요건을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고, 직물상의 잔상을 구체적으로 회피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이 제공하는 위편기 편직 구조는, 전체 구조를 크게 변경하지 않고, 신속하게 얀의 교체와 편직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도 1은 직물에서 얀이 직접 변경되었을 때의 직물 표면의 개략도이다.
도 2는 잔상을 갖는 직물의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편기 편직 구조를 나타내는 구조적인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니들 및 싱커의 궤도(track) 비교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싱커의 동작 개략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니들이 제1 니들 후퇴(retract) 궤도에서 이동할 때의 니들 후퇴 작동 다이어그램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준 플레이팅 작업 동안의 상부얀 및 하부얀의 위치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니들이 제2 니들 후퇴 궤도에서 이동할 때의 니들 후퇴 작동 다이어그램(1)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바늘이 제2 니들 후퇴 궤도에서 이동할 때의 니들 후퇴 작동 다이어그램(2)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대(interchanged) 플레이팅 작업 동안의 후크에서의 상부얀과 하부얀의 위치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기술적 내용을 설명하기로한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위편기의 니들 베드(needle bed)(20) 상에 제공된 가변 얀 위치를 갖는 위편기 편직 구조(10)을 제공하며, 위편기는 환편기이다. 위편기 편직 구조(10)는 복수의 싱커(11)와 복수의 니들(12)을 구비하고, 복수의 싱커(11)는 동일한 간격으로 배치되어 있으며, 복수의 싱커(11) 각각은 벨리부(111), 벨리부(111)와 연결된 노우즈부(112) 및 벨리부(111)와 노우즈부(112) 사이의 스토르부(113)를 포함한다. 복수의 싱커(11) 각각의 얀 지지면(114)은 스로트부(113)를 향하지 않는 노우즈부(112)의 측면 상에 위치되고, 얀 지지면(114)은 평면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구현 요구에 따라 설계될 수 있다. 한편, 노우즈부(112)의 단부에는 얀 가압면(115)이 위치되고, 이 실시예에서는 얀 가압면(115)이 평면이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구현 요구에 따라 설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복수의 싱커(11) 각각은 싱커 가이드 플레이트(13)에 의해 안내되어 선형 변위 이동(116)이 수행된다. 또한, 선형 변위 이동(116)은 실제로는 1차원 이동이다.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복수의 니들(12)은 각각 복수의 싱커(11) 중 하나에 인접하여 배치된다. 즉, 복수의 니들(12) 각각은 인접하는 복수의 싱커 (11) 중 임의의 2개 사이에 배치된다. 복수의 니들(12) 각각은 후크(121) 및 후크(121)에 대하여 폐쇄 동작을 수행하는 래치(122)를 포함한다. 또한, 복수의 니들(12) 각각이 이동하여 얀을 거는 경우, 래치(122)는 후크(121)를 개방하여 후크(121) 내로 얀이 진입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니들(12)의 각각을 후퇴시킬 때, 래치(122)는 이전에 편직된 플레이팅(50)의 동작으로 인하여, 후크(121) 방향으로 폐쇄 동작을 수행하여 원래의 후크(121)의 개방부를 폐쇄한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복수의 니들(12)은 후크(121)의 개방부는 복수의 싱커(11) 중 하나에 인접하는 스로트부(113)와 마주하는 방향으로 배열된다. 또한, 본 발명의 복수의 니들(12)의 운동 방향은 선형 변위 이동(116)의 방향에 수직이고, 복수의 니들(12) 각각은 니들 가이드 플레이트(14)에 의해 제어되어 복수의 니들(12) 각각을 제1 니들 후퇴 궤도(40) 또는 제2 니들 후퇴 궤도(41) 내에서 이동시키도록 안내한다. 또한, 복수의 니들(12) 각각은 니들 선별기(미도시)에 의해 제어된다. 또한, 제2 니들 후퇴 궤도(41)에서 폐쇄 동작을 수행하는 복수의 니들(12) 각각의 래치(122)의 시점이 제1 니들 후퇴 궤도(40)보다 앞서 있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위편기 편직 구조(10)는 편직 도중에 얀 공급 장치(미도시)에 의해 공급되는 외장얀(facing yarn, 30)의 아래에 위치하는 하부얀(31)을 수용한다. 일 실시예에서, 외장얀(30)의 색상은 하부얀(31)의 색상과 서로 다르다. 특히, 복수의 니들(12)의 작용을 나타내면, 각 순간의 복수의 싱커(11), 외장얀(30) 및 하부얀(31)의 관계가 설명된다. 따라서, 복수의 싱커(11) 각각은 싱커 가이드 플레이트(13)에 의해 안내되어 선형 변위 이동(116)을 수행하고, 선형 변위 이동(116)의 과정에서, 외장얀(30)는 항상 노우즈부(112) 위에 위치되고, 하부얀(31)은 항상 스로트부(113) 내에 위치된다. 또한, 복수의 싱커(11) 각각은 1차원 이동만을 수행한다.
도 4,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복수의 니들(12) 각각의 동작이 위편기 편직 구조(10)의 전체 동작을 설명된다. 따라서, 복수의 니들(12) 각각이 제1 니들 후퇴 궤도(40) 내에서 이동하는 경우, 복수의 니들(12) 각각은 후크(121)의 외장얀(30) 및 하부얀(31)의 위치를 변경하지 않고 표준 플레이팅을 편직하고, 소위 "표준 플레이팅"은 직물의 앞면으로부터 바라볼 때 외장얀(30)이 하부얀(31) 상부에 위치하는 플레이팅을 의미한다.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복수의 니들(12) 각각이 제2 니들 후퇴 궤도(41)에서 이동하면, 복수의 니들(12) 각각에 인접한 복수의 싱커(11) 중 하나가 외장얀(30) 및 하부얀(31)의 위치를 후퇴시키지 않고, 래치(122)가 하부얀(31)를 돌려 하부얀(31)이 복수의 싱커(11)의 노우즈부(112)에 의해 가압되며, 후크(121)에서의 외장얀(30)와 하부얀(31)의 위치를 변경시켜, 교대 플레이팅을 편직한다. 소위 "교대 플레이팅"은 직물의 앞면에서 바라보았을 때, 외장얀(30)이 하부얀(31) 아래에 위치하는 플레이팅을 의미한다. 따라서, 제1 니들 후퇴 궤도(40) 또는 제2 니들 후퇴 궤도(41) 내의 복수의 니들(12)의 운동은, 본 발명의 위편기 편직 구조(10)가 얀의 위치를 변화시키는지 여부를 결정한다.
도 4,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복수의 싱커(11) 각각은 제1 후퇴 영역(421), 제1 후퇴 영역에 이어지는 제1 압출(push-out) 영역(422), 제1 압출영역(422)에 이어지는 제2 후퇴 영역(423)와, 제2 후퇴 영역(423)에 이어지는 제2 압출 영역(424)의 동작을 되풀이하는 하나의 이동 궤도(42)만을 포함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후퇴는, 복수의 싱커(11)가 외장얀(30) 및 하부얀(31)의 공급 지점과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으로 규정되고, 따라서, 외장얀(30) 및 하부얀(31)이 복수의 싱커(11)에 의해 방해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압출 동작은, 후퇴 이후에 복수의 싱커 (11) 각각이 외장얀(30) 및 하부얀(31)의 공급 지점을 향해 이동하는 것으로 규정되고, 따라서, 외장얀(30)과 하부얀(31)은 복수의 싱커(11)에 의해 제한되어 위치를 바꿀 수 없다. 따라서, 이동 궤도(42)의 각 영역 내의 복수의 싱커(11) 각각은 단일 위치에 위치하기보다는 연속적으로 위치를 변화시킨다. 도 4,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니들(12) 각각이 제1 니들 후퇴 궤도(40) 내에서 이동하면, 래치(122)가 폐쇄 동작을 생성하는 시점은 래치(122)에 인접한 복수의 싱커(11) 중 하나가 제2 후퇴 영역(423)으로 이동하는 시점이다. 따라서, 외장얀(30) 및 하부얀(31)은 위편기 편직 구조(10)에 처음 공급되는 상태에서 후크(121)에 의해 걸어진다. 한편, 도 4, 도 8,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니들(12) 각각이 제2 니들 후퇴 궤적(41)에서 움직일 때, 폐쇄 동작을 생성하는 래치(122)의 시점은, 래치(122)에 인접하는 복수의 싱커(11) 중 하나가 제1 압출 영역(422)으로 이동하는 시점이다. 구체적으로, 폐쇄 동작을 생성하는 래치(122)의 시점은 제1 압출 영역(422)의 종점에 있지 않고, 대신에 복수의 싱커(11) 각각이 외장얀(30) 및 하부얀(31)의 위치를 계속하여 제한하지 않는 단계이다. 따라서, 복수의 니들(12) 각각의 래치(122)가 폐쇄 동작을 할 때, 하부얀(31)이 원래 위치로부터 벗어나고 복수의 싱커(11) 중 하나에 인접하는 노우즈부 (112)의 변위 궤도 상에 위치되도록 하부얀(31)이 돌려지며, 연속적으로 가압 동작을 수행하는 복수의 싱커(11)를 통해, 얀 가압면(115)이 하부얀(31)을 가압할 수 있게 되어, 복수의 니들(12) 중 하나의 후크(121)가 걸릴 때까지, 외장얀(30)에 대한 하부얀(31)의 위치를 변경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자카드 편직을 수행하기 위해 외장얀(30) 및 하부얀(31)이 위편기 편직 구조(10)에 공급되는 위치에서 위치 변경을 수행한다. 종래와 비교하여, 위편기 편직 구조(10)의 얀 변화 반응 시간은 실시간이며, 종래의 느린 얀 변화 속도로 인해 직물의 패턴이 이미지 이후에 나타나는 문제를 해결할 수있다.

Claims (6)

  1. 벨리부, 상기 벨리부와 연결된 노우즈부, 및 상기 벨리부와 상기 노우즈부 사이의 스로트부를 각각 포함하는 복수의 싱커; 및
    상기 복수의 싱커 중 하나에 각각 인접하여 배치되는 복수의 니들을 포함하고,
    외장얀과 상기 외장얀 아래에 위치하는 하부얀이 편직중에 공급되며,
    상기 복수의 싱커 각각은 선형 변위 이동을 수행하도록 가이드되고, 상기 선형 변위 이동 중에 상기 외장얀은 상기 노우즈부 위에 위치되며, 상기 하부얀이 상기 스로트부 내에 위치하고,
    상기 복수의 니들 각각은, 후크 및 상기 후크에 대하여 폐쇄 동작을 수행하는 래치를 포함하며, 상기 후크 내에서 상기 외장얀과 상기 하부얀의 위치를 변경시키지 않고 표준 플레이팅을 편직하는 제1 니들 후퇴 궤도 내에서 이동하거나, 상기 후크 내에서 상기 외장얀과 상기 하부얀의 위치를 변경시키면서 교대 플레이팅을 편직하는 제2 니들 후퇴 궤도 내에서 이동하도록 제어되고,
    상기 제2 니들 후퇴 궤도 내에서, 상기 복수의 니들 각각에 인접한 상기 복수의 싱커 중 하나가 상기 외장얀과 하부얀의 위치를 제한하지 않을 때, 상기 하부얀이 상기 복수의 싱커 중 하나의 노우즈부에 의해 가압되도록 상기 래치가 상기 하부얀을 돌리며,
    상기 래치가 상기 제2 니들 후퇴 궤도 내에서 상기 폐쇄 동작을 발생시키는 시점은, 상기 제1 니들 후퇴 궤도 내에서보다 앞서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얀 위치를 갖는 위편기 편직 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위편기 편직 구조는,
    상기 복수의 니들을 상기 제1 니들 후퇴 궤도 또는 상기 제2 니들 후퇴 궤도에 안내하는 니들 가이드 플레이트와, 상기 복수의 싱커를 안내하여 상기 선형 변위 이동을 수행하는 싱커 가이드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얀 위치를 갖는 위편기 편직 구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위편기 편직 구조는 상기 복수의 니들 각각을 제어하는 니들 선별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얀 위치를 갖는 위편기 편직 구조.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싱커 각각은 제1 후퇴 영역, 상기 제1 후퇴 영역에 이어지는 제1 압출 영역, 상기 제1 압출 영역에 이어지는 제2 후퇴 영역, 상기 제2 후퇴 영역에 이어지는 제2 압출 영역의 동작을 되풀이하는 하나의 이동 궤도만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니들 각각의 래치가 상기 제1 니들 후퇴 궤도에서 폐쇄 동작을 생성하는 시점은, 상기 래치에 인접한 복수의 싱커 중 하나가 상기 제2 후퇴 영역으로 이동하는 시점이며,
    상기 복수의 니들 각각의 래치가 상기 제2 니들 후퇴 궤도에서 폐쇄 동작을 생성하는 시점은, 상기 래치에 인접하는 복수의 싱커 중 하나가 상기 제1 압출 영역으로 이동하는 시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얀 위치를 갖는 위편기 편직 구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외장얀과 하부얀은 색상이 서로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얀 위치를 갖는 위편기 편직 구조.
  6.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외장얀과 하부얀은 색상이 서로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얀 위치를 갖는 위편기 편직 구조.
KR1020190088296A 2019-07-22 2019-07-22 가변 얀 위치를 갖는 위편기 편직 구조 Active KR1022322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8296A KR102232288B1 (ko) 2019-07-22 2019-07-22 가변 얀 위치를 갖는 위편기 편직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8296A KR102232288B1 (ko) 2019-07-22 2019-07-22 가변 얀 위치를 갖는 위편기 편직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1534A true KR20210011534A (ko) 2021-02-02
KR102232288B1 KR102232288B1 (ko) 2021-03-29

Family

ID=745596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8296A Active KR102232288B1 (ko) 2019-07-22 2019-07-22 가변 얀 위치를 갖는 위편기 편직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3228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68357A (ko) * 2022-06-07 2023-12-14 파이룽 머시너리 밀 코., 엘티디. 환편기 구조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16276B2 (ja) 1991-05-13 1997-06-04 三菱電機株式会社 空気調和機
WO2000015890A1 (en) 1998-09-14 2000-03-23 E.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Adjustable plating yarn carrier assembly for knitting plated fabric
KR20010029210A (ko) * 1999-09-30 2001-04-06 핑-신 왕 이중루프 타올 원형 편성기용 내부 파일 자카드 장치
JP3157035B2 (ja) 1992-04-09 2001-04-16 株式会社フジクラ 低挿入力コネクタ
CN104532458A (zh) 2014-12-16 2015-04-22 江南大学 一种纬编单面交换添纱提花织物的生产方法和专用装置
JP2016176159A (ja) * 2015-03-20 2016-10-06 佰龍機械廠股▲ふん▼有限公司 横編機が技術面片面で糸交換プレーティングを編織する方法
KR101666794B1 (ko) 2016-08-11 2016-10-18 금산씨엔씨(주) 기능성 밀폐재
JP2018071021A (ja) * 2016-10-31 2018-05-10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プレーティング編成方法及びそれに用いる横編機
KR101950405B1 (ko) 2015-11-12 2019-02-20 주식회사 모리스 필기구 조립체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16276B2 (ja) 1991-05-13 1997-06-04 三菱電機株式会社 空気調和機
JP3157035B2 (ja) 1992-04-09 2001-04-16 株式会社フジクラ 低挿入力コネクタ
WO2000015890A1 (en) 1998-09-14 2000-03-23 E.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Adjustable plating yarn carrier assembly for knitting plated fabric
KR20010029210A (ko) * 1999-09-30 2001-04-06 핑-신 왕 이중루프 타올 원형 편성기용 내부 파일 자카드 장치
CN104532458A (zh) 2014-12-16 2015-04-22 江南大学 一种纬编单面交换添纱提花织物的生产方法和专用装置
JP2016176159A (ja) * 2015-03-20 2016-10-06 佰龍機械廠股▲ふん▼有限公司 横編機が技術面片面で糸交換プレーティングを編織する方法
KR101950405B1 (ko) 2015-11-12 2019-02-20 주식회사 모리스 필기구 조립체
KR101666794B1 (ko) 2016-08-11 2016-10-18 금산씨엔씨(주) 기능성 밀폐재
JP2018071021A (ja) * 2016-10-31 2018-05-10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プレーティング編成方法及びそれに用いる横編機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68357A (ko) * 2022-06-07 2023-12-14 파이룽 머시너리 밀 코., 엘티디. 환편기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32288B1 (ko) 2021-03-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696035B1 (ja) 編糸の位置が変更可能な緯編機編成構造
US11136698B2 (en) Weft knitting machine knitting structure with changeable yarn positions
EP1867768B1 (en) Method of knitting cylindrical fabric in weft knitting machine and weft knitting machine
EP3960920B1 (en) Knitting mechanism for knitting jacquard knitted fabric on circular knitting machine, knitting method using the same, and sinker for use in the same
US5138849A (en) Flat knitting machine
EP3315642B1 (en) A plating-knitting method and a flat knitting machine for the method
JP2023109287A (ja) 円形編み機構造
KR100627534B1 (ko) 편직기를 위한 장치
KR102232288B1 (ko) 가변 얀 위치를 갖는 위편기 편직 구조
GB2046802A (en) Method of and machine for knitting
US11781253B1 (en) Circular knitting machine structure
KR102697548B1 (ko) 환편기 구조
US4319468A (en) Raschel machine
CN107663709B (zh) 经编机和用于制造经编织物的方法
US4266410A (en) Method and warp knitting machine for the manufacture of a looped pile warp knit fabric having a pile pattern
US2750772A (en) Knitting machine needle device
EP3770312B1 (en) Weft knitting machine capable of changing yarn positions
US3006172A (en) Flat warp knitting machines
CN100408741C (zh) 有至少两个针床的横机
TWI724452B (zh) 可變換紗線位置的緯編機針織結構
CN211057361U (zh) 一种双针筒织机成圈机构
EP3702501B1 (en) Method for knitting three-dimensional fabric with variable thickness through a flat knitting machine
EP4286577A1 (en) Circular knitting machine structure
CN112176511B (zh) 可变换纱线位置的纬编机针织结构
JP7425006B2 (ja) 編地の編成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0722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90801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90722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092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10302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1031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1032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21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