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07779A - Cleaning tool - Google Patents
Cleaning tool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10007779A KR20210007779A KR1020190094251A KR20190094251A KR20210007779A KR 20210007779 A KR20210007779 A KR 20210007779A KR 1020190094251 A KR1020190094251 A KR 1020190094251A KR 20190094251 A KR20190094251 A KR 20190094251A KR 20210007779 A KR20210007779 A KR 20210007779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ixing member
- cleaning tool
- tissue
- cleaning
- main body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Withdraw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3/00—Implement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3/10—Scrubbing; Scouring; Cleaning; Polishing
- A47L13/20—Mops
- A47L13/24—Frames for mops; Mop head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3/00—Implement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3/10—Scrubbing; Scouring; Cleaning; Polishing
- A47L13/20—Mops
- A47L13/24—Frames for mops; Mop heads
- A47L13/254—Plate frames
Landscapes
- Cleaning Implements For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And The Like (AREA)
Abstract
청소 도구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청소 도구는 티슈가 안착되는 본체와, 티슈를 본체에 고정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고, 본체의 일 면에는 티슈가 돌출되는 청소영역이 형성되며, 고정부재는 청소영역의 외부에 위치하고, 청소영역에 비해 낮게 위치한다. The cleaning tool is disclosed. A cleaning tool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ody on which a tissue is seated and a fixing member for fixing the tissue to the body, and a cleaning area from which the tissue protrudes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body, and the fixing member is It is located outside and is located lower than the cleaning area.
Description
본 발명은 구성이 간단하고 손쉬운 사용이 가능한 청소 도구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leaning tool that has a simple configuration and can be easily used.
청소 도구는 빗자루 및 쓰레받기, 막대 걸레 등과 같은 저가이면서 간단한 구성을 갖는 것에서부터 전자식 자동 청소기 또는 자동 물걸레 청소기 등과 같은 고가이면서 복잡한 구성을 갖는 것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가격 및 성능을 갖는 제품들을 포함한다. 특히 최근에는 1인 가구 및 자동차 보급이 증가하면서 물티슈 등을 삽입해서 사용할 수 있는 밀대봉 등이 사용되고 있다. 또한, 밀대봉에 전용 걸레를 부착한 후 사용하는 막대 걸레 등도 많이 사용되고 있다. The cleaning tools include products having a variety of prices and performances ranging from low-cost and simple configurations such as brooms, dustpans, and rod mops to expensive and complex configurations such as electronic automatic cleaners or automatic mop cleaners. In particular, as the supply of single-person households and automobiles has increased in recent years, a swivel bar that can be used by inserting wet tissues has been used. Also, a rod mop, which is used after attaching a dedicated mop to the bar, is also widely used.
상기와 같은 물티슈를 이용하는 밀대봉 또는 막대 걸레 등은 사용 과정에서 물티슈 또는 부착된 걸레가 빠지는 문제점이 자주 발생한다. 이때 사용자는 청소를 중단하고 다시 물티슈 또는 걸레를 부착해야 하기 때문에 사용자의 불편이 초래된다. 그리고 종래의 밀대봉은 부피가 크고 부품수가 많기 때문에 구성이 복잡하고 제조 단가가 높다는 문제점을 갖는다. In the case of a push rod or a rod mop using the wet wipes as described abov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wet wipes or the attached mop come out during use. At this time, the user has to stop cleaning and attach a wet wipe or a rag again, causing inconvenience to the user. In addition, since the conventional sealing rod has a large volume and a large number of parts, the configuration is complicated and the manufacturing cost is high.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출된 것으로서, 구성이 간단하고 사용이 편리한 청소 도구를 제공하고자 한다.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rived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leaning tool that has a simple configuration and is convenient to use.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이하에 서술되는 실시예를 통하여 더욱 명확해질 것이다.Other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through the examples described below.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청소 도구는 티슈가 안착되는 본체와, 티슈를 본체에 고정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고, 본체의 일 면에는 티슈가 돌출되는 청소영역이 형성되며, 고정부재는 청소영역의 외부에 위치하고, 청소영역에 비해 낮게 위치한다. A cleaning tool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ody on which a tissue is seated and a fixing member for fixing the tissue to the body, and a cleaning area from which the tissue protrudes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body, and the fixing member is It is located outside and is located lower than the cleaning area.
본 발명에 따른 청소 부재는 다음과 같은 실시예들을 하나 또는 그 이상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청소영역에는 일정한 높이를 갖는 지지리브가 구비되어 있고, 지지리브의 측면에는 고정부재가 걸리는 잠금홈이 형성될 수 있다. The cleaning mem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one or more of the following embodiments. For example, a support rib having a certain height may be provided in the cleaning area, and a locking groove for a fixing member may be formed on a side of the support rib.
고정부재는 연결 힌지에 의해서 본체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The fixing member may be formed integrally with the main body by the connection hinge.
고정부재의 단부 중 일부에는 연결힌지가 형성되고, 고정부재의 단부 중 다른 일부에는 경사지게 형성되어 본체의 일부가 노출될 수 있다. A connection hinge is formed at some of the ends of the fixing member, and the other part of the fixing member is formed to be inclined to expose a part of the main body.
본체는 손잡이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본체는 외향 돌출된 걸림돌기를 구비할 수 있다. The body can be connected to the handle. In addition, the body may have a locking protrusion protruding outward.
본체는 다수 개의 관통홀을 구비할 수 있다. The body may have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지지리브는 그 상면에 다수 개의 리브돌기를 구비할 수 있다. The support rib may have a plurality of rib projections on its upper surface.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청소 도구는, 티슈가 안착되는 본체와, 본체에 결합되는 손잡이를 포함하고, 본체는 손잡이에 삽입되는 연결부를 구비하며,A cleaning tool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ody on which a tissue is seated, and a handle coupled to the body, and the body has a connection portion inserted into the handle,
연결부는 연결돌기를 구비하고, 손잡이는 연결돌기가 삽입되는 결합홈을 구비하며, 결합홈은 얇게 형성되는 결합막을 구비할 수 있다. The connecting portion may have a connecting protrusion, the handle may have a connecting groove into which the connecting protrusion is inserted, and the connecting groove may have a thinly formed bonding film.
본체는 둘레면에 의해 형성된 수납공간을 구비하고, 수납공간의 일측에는 개방된 입구가 형성될 수 있다. The main body has a storage space formed by a circumferential surface, and an open entrance may be formed at one side of the storage space.
둘레면 중에서 입구에 인접한 부분은 내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A portion of the circumferential surface adjacent to the entrance may be formed by bending inward.
둘레면의 상단부에는 플랜지가 형성되어 있고, 플랜지에는 고정부재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A flange is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circumferential surface, and a fixing member may be rotatably coupled to the flange.
본체는 청소영역을 형성하는 타면을 구비하고, 고정부재는 타면을 가압할 수 있다. The main body has the other surface forming the cleaning area, and the fixing member can press the other surface.
고정부재는 연질부 및 경질부가 교대로 형성될 수 있다. The fixing member may have a soft part and a hard part formed alternately.
본 발명은 구성이 간단해서 제조가 용이하고 사용이 편리한 청소 도구를 제공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 cleaning tool that is easy to manufacture and easy to use due to its simple configuration.
또한, 본 발명은 다양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는 청소 도구를 제공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 cleaning tool that can be used for various purposes.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청소 도구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서 티슈가 제거된 상태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예시된 청소 도구의 본체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3에 예시된 본체의 정면도이다.
도 5는 도 4에서 티슈가 결합되고 고정부재가 티슈를 고정하고 있는 상태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5의 A부분에 대한 확대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청소 도구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청소 도구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9는 도 8에 예시된 청소 도구의 타면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10은 도 8에 예시된 청소 도구에서 고정부재가 타면을 가압하고 있는 상태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leaning tool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tissue is removed in FIG. 1.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ain body of the cleaning tool illustrated in FIG. 1.
4 is a front view of the main body illustrated in FIG. 3.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tissue is coupled and the fixing member fixes the tissue in FIG. 4.
6 is an enlarged view of part A of FIG. 5.
7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leaning tool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leaning tool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other surface of the cleaning tool illustrated in FIG. 8.
10 is a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fixing member presses the other surface of the cleaning tool illustrated in FIG. 8.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상관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in the descrip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dentical or corresponding components are assigne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overlapped with them. Description will be omitted.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청소 도구(100)를 예시하는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서 티슈(102)가 제거된 상태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그리고 도 3은 도 1에 예시된 청소 도구(100)의 본체를 예시하는 도면이고, 도 4는 도 3에 예시된 본체(110)의 정면도이다.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도 1 내지 도 4를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청소 도구(100)는 티슈(102)가 결합하는 본체(110)와, 본체(110)에 연결되는 손잡이(142)를 포함한다. 사용자는 본체(110)에 티슈(102)를 결합한 후 티슈(102)를 청소하고자 하는 면으로 향하게 한 후 청소를 수행할 수 있다. 1 to 4, the
티슈(102)는 종이, 섬유 또는 합성 수지 등 다양한 재질에 의해서 제작될 수 있다. 또한, 티슈(102)에 물을 흡수시켜서 사용할 수도 있다. The
본체(110)는 티슈(102)의 형상에 대응하는 직사각 또는 정사각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본체(110)의 일면(112)에는 다수 개의 지지리브(114)가 형성되어 있다. 지지리브(114)는 일정한 높이를 갖고 상호 평행하게 배치된다. 그리고 지지리브(114)의 상단부에는 리브돌기(도면부호 없음)가 형성되어 있다. 지지리브(114)의 상단부에는 티슈(102)가 재치되고, 티슈(102)는 리브돌기()에 의해 가압되어 쉽게 미끄러지지 않게 된다. The
지지리브(114)는 일면(112)에서 일정한 높이를 갖고 상향 돌출된다. 지지리브(114)에 의해서 그 상부에 위치하는 티슈(102)는 본체(110)의 일면(112)에 비해서 더욱 높게 위치하게 된다. 이로 인해, 티슈(102)가 지지리브(114)에 의해서 지지되어 일면(112)에 비해서 높게 위치하는 청소영역(144)이 형성된다. 사용자는 청소영역(144)을 청소하고자 하는 면에 접촉시켜서 청소를 할 수 있다. The
청소영역(144)은 직사각 형상을 가질 수 있고, 그 좌우 측면에는 고정부재(126)에 의해서 티슈(102)의 일부가 일면(112)에 하향 가압되어 고정될 수 있다. The
본체(110)에는 다수 개의 관통홀(116)이 형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티슈(102)를 본체(110)에 고정한 후 물을 뿌려서 사용할 수 있는데, 이때 수분이 관통홀(116)을 통해서 티슈(102)로 유입되거나 또는 티슈(102)에서 배출될 수 있다. A plurality of through
본체(110)의 중앙에는 한 쌍의 슬롯(118)이 상호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슬롯(118)의 일 단부는 그 폭이 축소되면서 본체(110)의 테두리까지 연장된다. 이와 같은 한 쌍의 슬롯(118)에 의해서 하나의 탄성편(120)이 형성된다. 사용자는 슬롯(118)의 개방된 단부를 통해서 티슈(102)를 탄성편(120)에 삽입한 후 사용할 수 있다. In the center of the
사각 형상의 본체(110) 각 모서리 부분에는 걸림돌기(122)가 형성되어 있다. 걸림돌기(122)에 티슈(102)와는 다른 형상의 청소 부재(예를 들면, 사각형 장갑 형상)를 걸어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걸림돌기(122)에는 걸림홈(124)이 형성되어 있다. 걸림홈(124)에도 장갑 형상의 청소 부재 또는 티슈(102) 등을 끼워서 사용할 수 있다. Each corner portion of the square-
본 실시예에 따른 청소 도구(100)의 본체(110)는 사각 형상을 갖는 것으로 예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본체(110)의 형상에 의해서 제한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청소 도구는 타원형, 원형 또는 다각형 등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The
본체(110)의 한 쌍의 테두리에는 고정부재(126)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고정부재(126)는 도 2와 같이 개방되어 티슈(102)를 본체(110)의 일면(112)에 재치할 수 있게 한다. 그리고 고정부재(126)는 회전에 의해 지지리브(114)의 측면에 결합되어서 티슈(102)를 가압하는데, 이로 인해 티슈(102)가 본체(110)의 일면(112)에 결합된다. A fixing
고정부재(126)는 연결힌지(128)에 의해서 본체(110)의 측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연결힌지(128)는 변형이 가능하게 얇게 형성된 부분으로서, 이로 인해서 본체(110)와 고정부재(126)가 일체로 형성된다. 그리고 고정부재(126)의 단부에는 잠금돌기(132)가 형성되어 있다. 잠금돌기(132)는 지지리브(114)의 측면에 형성된 잠금홈(115)에 삽입되는데, 이로 인해 고정부재(126)가 본체(110)의 일면(112)에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The fixing
연결힌지(128)는 고정부재(126)에 비해서 짧은 길이를 가질 수 있다. 또한, 고정부재(126)의 단부에서 연결힌지(128)가 형성된 이외의 부분은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는데, 이와 같은 고정부재(126)의 형상에 의해서 간격(130)이 형성된다. 간격(130)에 의해서 고정부재(126)가 결합된 상태에서도 티슈(102)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도 1 참조). 이와 같은 간격(102)에 의해서 사용자는 고정부재(126)를 용이하게 파지해서 지지리브(114)의 측면에서 분리할 수 있다. The
고정부재(126)에는 길이 방향에 수직으로 형성된 다수 개의 절곡홈(133)이 형성될 수 있다. 절곡홈(133)은 일정한 깊이를 갖는 홈에 해당하는 것으로, 고정부재(126)의 휨을 용이하게 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고정부재(126)를 지지리브(114)에서 분리하기 위해서 고정부재(126)의 단부를 잡고 당기면 고정부재(126)가 절곡홈(133)에 의해서 휘어지면서 순차적으로 분리된다. A plurality of bending
본 실시예에 따른 청소 도구(100)는 두 개의 고정부재(126)를 구비하는 것으로 예시하였지만,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본 발명은 고정부재(126)의 개수 및 배치 구조에 의해서 제한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청소 도구는 3개 이상의 고정부재(126)를 구비할 수 있다. The
본 발명에 따른 청소 도구(100)는 티슈(102)를 본체(110)에 고정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한 쌍의 고정부재(126)를 구비하는 것으로 예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티슈(102)를 본체(102)에 고정하기 위한 수단의 구조 및 형상에 의해서 제한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청소 도구는 잠금부재로서 클램프, 끼움 구조, 누름 구조, 고정 돌기, 부직포, 고무 밴드 등 다양한 구조 및 형상을 가질 수 있다. The
도 3을 참고하면, 본체(110)의 일면(112)에 대향하는 타면(134)에는 지지리브(114)가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Referring to FIG. 3, the
본체(110)의 네 개의 테두리 중에서 고정부재(126)가 형성되지 않은 테두리에는 연결부(136)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연결부(136)에는 손잡이(142)가 삽입될 수 있다. 연결부(136)의 단부에는 일 단이 개방된 구조를 갖는 연결홈(138)이 형성되어 있다. 연결홈(138)에 의해서 연결부(136)의 단부에 한 쌍의 탄성편(139)이 형성된다. 탄성편(139)은 연결부(136)가 손잡이(142)에 삽입되는 경우 내측으로 절곡되면서 탄성적으로 변형되는데, 이로 인해 연결돌기(140)가 손잡이(142)의 결합홈(도면 부호 없음)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게 된다. A connecting
연결부(136)와 본체(110)의 연결 부분은 연결힌지(128)와 유사하게 얇게 형성될 수 있다. The connection portion between the
손잡이(142)는 단면 크기에 비해서 길이가 길게 형성된 것으로, 일 단부에는 연결부(136)가 삽입될 수 있는 결합홈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결합홈의 인접하게는 결합막(148)이 형성될 수 있다. 결합홈에는 연결부(136)의 연결돌기(140)가 삽입될 수 있다. 결합홈은 결합막(148)에 의해서 차폐되는데, 결합막(148)은 플라스틱 사출 성형에 의해서 얇게 형성되는 부분에 해당한다. 결합홈(148)에 연결돌기(140)가 삽입되면, 결합막(148)은 볼록하게 변형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결합막(148)에 의해서 연결부(136)와 손잡이(142)의 결합력이 강화될 수 있다. The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청소 도구는 손잡이(142)가 본체(11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In the cleaning too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청소 도구(100)는 플라스틱류, 실리콘, 우레탄 또는 얇은 두께의 금속 재질 및 이들의 혼합에 의해서 형성될 수 있다. The
손잡이(142)는 다수 개의 휨영역(150)을 구비할 수 있다. 휨영역(150)은 일정한 깊이를 갖는 홈 형상을 갖는 것으로, 손잡이(142)의 휨을 용이하게 한다. The
도 5는 도 4에서 티슈(102)가 결합되고 고정부재(126)가 티슈(102)를 고정하고 있는 상태를 예시하는 도면이고, 도 6은 도 5의 A부분에 대한 확대 도면이다.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도 5 내지 도 6을 참고하면, 지지리브(114)에 의해서 청소영역(144)이 고정부재(126)에 비해서 돌출 형성됨을 알 수 있다. 그리고 고정부재(126)의 단부에 형성된 잠금돌기(132)는 지지리브(114)의 측면에 형성된 잠금홈(115)에 삽입됨으로써, 안정적으로 티슈(102)를 고정할 수 있게 된다. 5 to 6, it can be seen that the
본 실시예에 따른 청소 도구(100)는 지지리브(114)의 측면에 잠금홈(115)이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예시하였지만,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청소 도구는 지지리브(114)의 측면에 돌기가 형성되고 고정부재(126)의 단부에 잠금홈이 형성될 수도 있다. The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청소 도구(200)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참고로, 도 6에서 두 개의 고정부재(226) 모두가 개방된 상태를 예시한다. For reference, in FIG. 6, both of the two fixing
도 6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청소 도구(200)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청소 도구(100)와 구성이 동일하고 다만 고정부재(226)의 결합 부분에서 차이점을 갖는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청소 도구(200)의 고정부재(226)는 본체(110)의 테두리 중에서 연결부(136)가 형성된 부분 또는 그 대향하는 부분의 테두리에 회전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고정부재(226)의 단부에는 잠금돌기(232)가 형성되어 있고, 잠금돌기(232)는 지지리브(114)의 측면에 형성된 잠금홈(115)에 결합될 수 있는 구성은 제1 실시예에 따른 청소 도구(100)와 동일하다. Referring to FIG. 6, the
고정부재(226)에는 일정한 간격을 갖는 다수 개의 절곡홈(230)이 형성되어 있다. 절곡홈(230)은 고정부재(226)의 다른 부분에 비해 얇게 형성된 부분으로서 고정부재(226)의 휨을 더욱 용이하게 한다. 이로 인해, 사용자는 고정부재(226)의 단부에서 순차적으로 잠금홈(115)에서 분리할 수 있다. The fixing
본체(110)의 측면에는 측면가이드(240)가 형성되어 있다. 측면가이드(240)는 고정부재(226)가 결합된 경우 그 측면을 커버해서 고정부재(226)가 쉽게 개방되지 않게 한다. A
이하에서는 도 8 내지 도 10을 참고하면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청소 도구(300)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청소 도구(300)를 예시하는 도면이고, 도 9는 도 8에 예시된 청소 도구(300)의 타면(320)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그리고 도 10은 도 8에 예시된 청소 도구(300)에서 고정부재(330)가 타면(320)을 가압하고 있는 상태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8 is a diagram illustrating a
도 8 내지 도 10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청소 도구(300)는 본체(310)가 수납공간(312)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체(310)는 세 개의 둘레면(314)을 구비하는데, 이와 같은 둘레면(314)에 의해서 빈 공간에 해당하는 수납공간(312)이 형성된다. 그리고 수납공간(312)의 일 측은 개방된 구조를 갖는 입구(316)가 형성되어 있다. 수납공간(312)에는 청소 도중에 발견된 이물질(머리카락 등)이 수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청소 도구(300)는 쓰레받기의 역할도 할 수 있다. 8 to 10, the
수납공간(312)의 개방된 입구(316)를 통해서 수납공간(312)으로 쓰레기 등이 용이하게 유입될 수 있다. 또한, 입구(316)의 선단부(318)는 상대적으로 날카롭게 형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해, 본 실시예에 따른 청소 도구(300)는 겨울철 차량의 성애 또는 눈을 제거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될 수도 있다. Garbage or the like may easily flow into the
세 개의 둘레면(314) 중에서 좌우 측면에 해당하는 한 쌍의 둘레면(314)에는 그 상단부에 플랜지(313)가 외측으로 돌출 형성된다. 그리고 플랜지(313)의 단부에는 그 길이 방향 거의 전체에 걸쳐서 고정부재(330)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Among the three
세 개의 둘레면(314) 중에서 좌우 측면에 해당하는 한 쌍의 둘레면(314)은 절곡부(315)를 구비한다. 절곡부(315)는 둘레면(314) 중에서 내측으로 다소 절곡되어 형성된 것으로 좌우 대칭으로 형성된다. 이와 같은 절곡부(315)에 의해서, 수직으로 위치하는 고정부재(330, 도 10 참조)와 플랜지(313) 및 타면(320) 사이에 상대적으로 확대된 인입공간(326)이 형성될 수 있다. 인입공간(326)은 사용자의 손가락 등이 용이하게 진입할 수 있게 하는 것으로, 이로 인해 잠금 상태에 있는 고정부재(330, 도 10 참조)를 용이하게 회전시켜서 잠금상태를 해제할 수 있다. Among the three
본체(310)는 청소영역(340)을 형성하는 타면(320)을 구비한다. 타면(320)에 티슈(도시하지 않음)가 올려져서 고정부재(330)에 의해서 본체(310)의 측면에 고정된다. 타면(320)에는 다수 개의 돌기(322)가 형성되어 있는데, 이와 같은 돌기(322)는 그 상부에 올려진 티슈를 가압해서 티슈가 청소영역(340)에서 쉽게 이탈되지 않게 한다. The
타면(320) 중에서 둘레면(314)의 좌우 양측으로 돌출된 부분은 가압면(324)을 형성한다. 가압면(324)은 고정부재(330)의 단부에 의해서 하향 가압되는 부분에 해당한다. 즉, 청소영역(340)에 놓인 티슈의 가장자리 부분이 플랜지(313) 및 가압면(324) 사이에 위치하고, 고정부재(330)를 회전시켜서 도 10과 같이 수직으로 위치시키면, 고정부재(330)의 단부가 티슈를 가압면(324)에 대해서 하향 가압하게 된다. 이로 인해 티슈가 청소영역(340)에 대해서 고정될 수 있다. A portion of the
고정부재(330)는 플랜지(313)의 단부에 일체로 형성된다. 고정부재(330)와 플랜지(313)의 연결 부분은 연결힌지(332)에 해당한다. 연결힌지(332)는 본체(310) 및 고정부재(330)의 다른 부분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얇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고정부재(330)는 사출 성형에 의해서 본체(31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The fixing
고정부재(330)는 플랜지(313)의 길이 방향 전체에 걸쳐서 형성될 수 있다. The fixing
고정부재(330)는 연결힌지(332)에 의해서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다. 고정부재(330)가 회전에 의해서 도 10과 같이 수직으로 위치하면서 가압면(324)을 가압함으로써 티슈를 고정할 수 있다. 이때, 고정부재(330)의 단부와 가압면(324) 사이에 티슈가 삽입되어 하향 가압된다. The fixing
고정부재(330)는 연질부(334) 및 경질부(336)가 교호적이고 연속적으로 형성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연질부(334)는 고정부재(330) 또는 본체(310)의 다른 부분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얇게 형성된 부분에 해당한다. 그리고 경질부(336)는 고정부재(330) 또는 본체(310)의 다른 부분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두껍게 형성된 부분에 해당한다. 또한, 경질부(336)는 연질부(334)에 비해서 길이가 길게 형성된다. 따라서 가압면(324)에 대해서 티슈를 하향 가압하는 부분은 경질부(336)에 해당한다. The fixing
연질부(334)는 고정부재(330)에 가요성을 부여한다. 따라서 고정부재(330)는 연질부(334)에 의해서 쉽게 휘어지면서 순차적으로 부드럽게 개방될 수 있다. 그리고 경질부(336)는 연질부(334)에 비해서 더 큰 강성을 갖는 부분으로서 가압면(324)에 대해서 티슈를 하향 가압한다. 경질부(336)가 가압면(324)을 하향 가압할 때, 플랜지(313)가 변형되거나 또는 얇게 형성된 연결힌지(332)가 변형되면서 경질부(336)가 플랜지(313)와 가압면(324) 사이에 강제 삽입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The
본 실시예에 따른 청소 도구(300)는 손잡이(350)를 구비하는데, 이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청소 도구(100)의 손잡이(142)와 동일하기 때문에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The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lthough the above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relevant technical field can variously modify the present invention within the scope no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the following claims. It will be appreciated that it can be modified and changed.
100, 200, 300: 청소 도구100, 200, 300: cleaning tools
Claims (15)
티슈를 상기 본체에 고정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의 일 면에는 상기 티슈가 돌출되어 위치하는 청소영역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청소영역에 비해 동일하거나 낮게 위치하며,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는 청소 도구.The body on which the tissue is seated; And
Including a fixing member for fixing the tissue to the body,
A cleaning area in which the tissue is protruded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body,
The fixing member is positioned equal to or lower than the cleaning area,
The fixing member is a cleaning tool that is rotatably formed on the main body.
상기 청소영역에는 일정한 높이를 갖는 지지리브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지지리브의 측면에는 상기 고정부재가 걸리는 잠금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 도구.The method of claim 1,
The cleaning area is provided with a support rib having a certain height,
Cleaning tool, characterized in that the locking groove is formed on the side of the support rib through which the fixing member is caught.
상기 고정부재는 연결 힌지에 의해서 상기 본체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연결 힌지는 상기 본체의 다른 부분에 비해서 얇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 도구.The method of claim 2,
The fixing member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main body by a connection hinge,
The cleaning tool,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nection hinge is formed thinner than other parts of the body.
상기 고정부재의 단부 중 일부에는 상기 연결힌지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재의 단부 중 다른 일부에는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본체의 일부가 노출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 도구.The method of claim 3,
The connection hinge is formed at some of the ends of the fixing member,
Cleaning tool, characterized in that the other portion of the end of the fixing member is formed to be inclined to expose a portion of the body.
상기 본체는 손잡이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 도구.The method of claim 1,
The cleaning tool, characterized in that the body is connected to the handle.
상기 본체는 외향 돌출된 걸림돌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 도구.The method of claim 1,
The cleaning tool, characterized in that the main body has a locking projection protruding outward.
상기 본체는 다수 개의 관통홀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 도구.The method of claim 1,
The cleaning tool, characterized in that the body has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상기 지지리브는 그 상면에 다수 개의 리브돌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 도구.The method of claim 1,
The cleaning tool, characterized in that the support rib has a plurality of rib projections on its upper surface.
상기 고정부재에는 그 휨을 용이하게 하는 절곡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 도구. The method of claim 1,
A cleaning tool, characterized in that the fixing member is provided with a bent groove to facilitate the bending.
상기 본체는 둘레면에 의해 형성된 수납공간을 구비하고, 상기 수납공간의 일측에는 개방된 입구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 도구.The method of claim 1,
The cleaning tool, characterized in that the main body has a storage space formed by a circumferential surface, and an open entrance is formed at one side of the storage space.
상기 둘레면 중에서 상기 입구에 인접한 부분은 내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 도구.The method of claim 10,
A cleaning tool, characterized in that the portion of the circumferential surface adjacent to the inlet is bent inward.
상기 둘레면의 상단부에는 플랜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플랜지에는 상기 고정부재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 도구.The method of claim 10,
A flange is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circumferential surface,
A cleaning tool, characterized in that the fixing member is rotatably coupled to the flange.
상기 본체는 상기 청소영역을 형성하는 타면을 구비하고,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타면을 가압하여 티슈를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 도구.The method of claim 12,
The body has the other surface forming the cleaning area,
The fixing member is a cleaning tool, characterized in that for fixing the tissue by pressing the other surface.
상기 고정부재는 연질부 및 경질부가 교대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 도구.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0 to 13,
The fixing member is a cleaning tool, characterized in that the soft portion and the hard portion is formed alternately.
상기 본체에 결합되는 손잡이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는 상기 손잡이에 삽입되는 연결부를 구비하며,
상기 연결부는 연결돌기를 구비하고,
상기 손잡이는 상기 연결돌기가 삽입되는 결합홈을 구비하며,
상기 결합홈은 얇게 형성되는 결합막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 도구. The body on which the tissue is seated; And
Including a handle coupled to the body,
The body has a connection part inserted into the handle,
The connecting portion has a connecting protrusion,
The handle has a coupling groove into which the connection protrusion is inserted,
The cleaning tool, characterized in that the coupling groove is provided with a thin coupling fil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84755A KR20190091418A (en) | 2019-07-12 | 2019-07-12 | Cleaning tool |
KR1020190084755 | 2019-07-12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007779A true KR20210007779A (en) | 2021-01-20 |
Family
ID=67612821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084755A Pending KR20190091418A (en) | 2019-07-12 | 2019-07-12 | Cleaning tool |
KR1020190094251A Withdrawn KR20210007779A (en) | 2019-07-12 | 2019-08-02 | Cleaning tool |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084755A Pending KR20190091418A (en) | 2019-07-12 | 2019-07-12 | Cleaning tool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2) | KR20190091418A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246694B1 (en) * | 2019-10-31 | 2021-04-30 | 구현우 | Cleaning tool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24513Y2 (en) | 1983-02-18 | 1990-02-02 |
Family Cites Familie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24513A (en) | 1988-06-22 | 1990-01-09 | Seiko Epson Corp | Ink jet head |
-
2019
- 2019-07-12 KR KR1020190084755A patent/KR20190091418A/en active Pending
- 2019-08-02 KR KR1020190094251A patent/KR20210007779A/en not_active Withdrawn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24513Y2 (en) | 1983-02-18 | 1990-02-02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246694B1 (en) * | 2019-10-31 | 2021-04-30 | 구현우 | Cleaning tool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91418A (en) | 2019-08-0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262430B1 (en) | Cleaning tool | |
US6606757B2 (en) | Flexible dust mop | |
US7779501B2 (en) | Mop having scrubbing area | |
US10016054B1 (en) | Broom and dustpan | |
JP4159534B2 (en) | Seat holding structure and cleaning tool provided with the same | |
US10413150B2 (en) | Cleaning mop frame and cleaning implement | |
US7225495B2 (en) | Mop with attached scrubber | |
KR20180071370A (en) | Cleaning tool with easily detachable web | |
KR101569906B1 (en) | Wiping sweep cleaner | |
KR20210007779A (en) | Cleaning tool | |
JP4438783B2 (en) | Cleaning tool | |
KR200403071Y1 (en) | A Mop With A Cartridge And A Push Stick | |
CN113384204A (en) | Cleaning implement | |
KR102246694B1 (en) | Cleaning tool | |
WO2005092171A1 (en) | Cleaning tool and holding member used for the same | |
KR101524927B1 (en) | Cleaning Brush | |
KR200310237Y1 (en) | A portable wiper set | |
KR102359221B1 (en) | Cleaning tool | |
KR200437022Y1 (en) | A sweeping tool | |
KR200320961Y1 (en) | The fixed construction of ground scrubbing things's handle | |
JP3870849B2 (en) | Cleaning tool | |
KR200463212Y1 (en) | Cleaner with protrusion on the front | |
JPH10243904A (en) | Mop | |
KR200480521Y1 (en) | Floorcloth plate for wet cleaner | |
KR102489382B1 (en) | Cleaning tools with dendritic structur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0802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C1203 |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