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01301A - 발판 지지 장치 - Google Patents
발판 지지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10001301A KR20210001301A KR1020190077191A KR20190077191A KR20210001301A KR 20210001301 A KR20210001301 A KR 20210001301A KR 1020190077191 A KR1020190077191 A KR 1020190077191A KR 20190077191 A KR20190077191 A KR 20190077191A KR 20210001301 A KR20210001301 A KR 20210001301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oving
- frame
- moving frame
- frames
- hol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Withdrawn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9000011324 bea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792 add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826 distrib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00—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 E04G1/15—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essentially comprising special means for supporting or forming platforms; Platform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3/0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3/00—Scaffolds essentially supported by building constructions, e.g. adjustable in height
- E04G3/20—Scaffolds essentially supported by building constructions, e.g. adjustable in height supported by wall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 E04G5/08—Scaffold boards or plank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5/00—Equipment usable both on slipways and in dry docks
- B63C5/02—Stagings; Scaffolding; Shores or struts
- B63C2005/025—Stagings, or scaffolding, i.e. constructions providing temporary working platforms on slipways, in building or repair docks, or inside hull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00—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 E04G1/15—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essentially comprising special means for supporting or forming platforms; Platforms
- E04G2001/157—Extensible platforms, e.g. telescopic platfor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ovable Scaffolding (AREA)
Abstract
발판 지지 장치를 제공한다. 발판 지지 장치는 일측으로 길게 형성되고, 지면에 대하여 수직 방향으로 적층되며, 길이 방향의 중공홀을 포함하는 제1 및 제2 고정 프레임과, 일측으로 길게 형성되고, 지면에 대하여 수직 방향으로 적층되며, 적어도 일부가 상기 중공홀에 삽입되어 지지되는 제1 및 제2 이동 프레임, 및 상기 제1 이동 프레임 및 상기 제2 이동 프레임의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제1 이동 프레임 및 상기 제2 이동 프레임 간의 간격을 유지하는 가이드 피스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발판 지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건축물 또는 선박과 같은 비교적 크기가 큰 제조물을 제작함에 있어서 비계가 이용될 수 있다. 비계는 수직재 및 수평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비계에는 족장이 설치될 수 있다. 족장을 통하여 작업자들은 용이하게 고소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060074호 (2015.06.03)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발판 지지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발판 지지 장치의 일 면(aspect)은 일측으로 길게 형성되고, 지면에 대하여 수직 방향으로 적층되며, 길이 방향의 중공홀을 포함하는 제1 및 제2 고정 프레임과, 일측으로 길게 형성되고, 지면에 대하여 수직 방향으로 적층되며, 적어도 일부가 상기 중공홀에 삽입되어 지지되는 제1 및 제2 이동 프레임, 및 상기 제1 이동 프레임 및 상기 제2 이동 프레임의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제1 이동 프레임 및 상기 제2 이동 프레임 간의 간격을 유지하는 가이드 피스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및 제2 고정 프레임은 단면이 사각형인 상기 중공홀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이동 프레임은 단면이 원형인 막대의 형상을 갖는다.
상기 제1 및 제2 이동 프레임이 상기 중공홀에 삽입되는 정도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 고정 프레임에 대한 상기 제1 및 제2 이동 프레임의 노출 길이가 결정된다.
상기 가이드 피스는, 관통홀을 구비하여 상기 제1 및 제2 이동 프레임 중 하나를 관통시키는 몸체, 및 상기 몸체에서 연장 형성되어 상기 관통홀을 관통하지 않은 나머지 이동 프레임의 양측면을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한다.
상기 관통홀의 단면은 사각형이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판 지지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가이드 피스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가이드 피스에 의하여 제1 이동 프레임 및 제2 이동 프레임이 가이드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고정 프레임에 대한 이동 프레임의 동작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이동 프레임을 따라 가이드 피스가 이동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판 지지 장치가 활용되는 것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가이드 피스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가이드 피스에 의하여 제1 이동 프레임 및 제2 이동 프레임이 가이드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고정 프레임에 대한 이동 프레임의 동작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이동 프레임을 따라 가이드 피스가 이동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판 지지 장치가 활용되는 것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게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게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소자(elements) 또는 층이 다른 소자 또는 층의 "위(on)" 또는 "상(on)"으로 지칭되는 것은 다른 소자 또는 층의 바로 위뿐만 아니라 중간에 다른 층 또는 다른 소자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반면, 소자가 "직접 위(directly on)" 또는 "바로 위"로 지칭되는 것은 중간에 다른 소자 또는 층을 개재하지 않은 것을 나타낸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아래(beneath)", "하부(lower)", "위(above)", "상부(upp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소자 또는 구성 요소들과 다른 소자 또는 구성 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또는 동작시 소자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소자를 뒤집을 경우, 다른 소자의 "아래(below)" 또는 "아래(beneath)"로 기술된 소자는 다른 소자의 "위(above)"에 놓여질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인 "아래"는 아래와 위의 방향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소자는 다른 방향으로도 배향될 수 있고, 이에 따라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들은 배향에 따라 해석될 수 있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소자, 구성요소 및/또는 섹션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소자, 구성요소 및/또는 섹션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소자, 구성요소 또는 섹션들을 다른 소자, 구성요소 또는 섹션들과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소자, 제1 구성요소 또는 제1 섹션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소자, 제2 구성요소 또는 제2 섹션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상관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판 지지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발판 지지 장치(10)는 고정 프레임(110, 120), 이동 프레임(210, 220) 및 가이드 피스(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고정 프레임(110, 120)은 제1 고정 프레임(110) 및 제2 고정 프레임(1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1 고정 프레임(110) 및 제2 고정 프레임(120)은 일측으로 길게 형성되고, 지면에 대하여 수직 방향으로 적층되며, 길이 방향의 중공홀(111, 121)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하, 제1 고정 프레임(110) 및 제2 고정 프레임(120) 중 상측에 배치된 고정 프레임을 제1 고정 프레임(110)이라 하고, 하측에 배치된 고정 프레임을 제2 고정 프레임(120)이라 한다. 또한, 제1 고정 프레임(110)에 형성된 중공홀을 제1 중공홀(111)이라 하고, 제2 고정 프레임(120)에 형성된 중공홀을 제2 중공홀(121)이라 한다.
동일한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제1 고정 프레임(110) 및 제2 고정 프레임(120)은 서로 밀착하여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고정 프레임(110) 및 제2 고정 프레임(120)은 용접에 의하여 서로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고정 프레임(110) 및 제2 고정 프레임(120)의 말단에는 제1 중공홀(111) 및 제2 중공홀(121)의 개구가 상하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될 수 있다.
건설 현장에서 또는 조선소에서 작업자의 이동 및 작업 공간 확보를 위하여 비계가 설치될 수 있다. 비계는 복수의 프레임이 조합되어 형성될 수 있는 것으로서, 적절한 위치에 발판을 설치함으로써 작업자를 위한 공간이 확보될 수 있다. 제1 고정 프레임(110) 및 제2 고정 프레임(120)은 비계 중 일부로서 지면에 평행하게 배치된 가로 방향의 비계 중 하나인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또한, 제1 고정 프레임(110) 및 제2 고정 프레임(120)은 건축 구조물 또는 선박과 같은 대상물을 기준으로 이동하지 않고 하나의 장소에 고정 설치된 것일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제1 고정 프레임(110) 및 제2 고정 프레임(120)은 구조물 또는 또 다른 프레임에 고정 설치될 수 있다.
이동 프레임(210, 220)은 제1 이동 프레임(210) 및 제2 이동 프레임(22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이동 프레임(210) 및 제2 이동 프레임(220)은 일측으로 길게 형성되고, 지면에 대하여 수직 방향으로 적층되며, 적어도 일부가 제1 고정 프레임(110) 및 제2 고정 프레임(120)의 중공홀(111, 121)에 삽입되어 지지될 수 있다. 제1 이동 프레임(210) 및 제2 이동 프레임(220)의 일부가 제1 고정 프레임(110) 및 제2 고정 프레임(120)의 중공홀(111, 121)에 삽입됨으로써 제1 이동 프레임(210) 및 제2 이동 프레임(220)의 노출된 부분이 지면에 대한 높이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제1 이동 프레임(210) 및 제2 이동 프레임(220)의 노출된 부분은 발판(미도시)을 지지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제1 이동 프레임(210) 및 제2 이동 프레임(220)이 노출되어 발판을 지지함으로써 작업자의 작업 공간이 확장될 수 있다. 이하, 제1 이동 프레임(210) 및 제2 이동 프레임(220) 중 상측에 배치된 이동 프레임을 제1 이동 프레임(210)이라 하고, 하측에 배치된 이동 프레임을 제2 이동 프레임(220)이라 한다.
동일한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제1 이동 프레임(210) 및 제2 이동 프레임(220)은 서로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될 수 있다. 제1 이동 프레임(210) 및 제2 이동 프레임(220)이 서로 이격되어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는 것으로서, 다만 제1 고정 프레임(110) 및 제2 고정 프레임(120)을 향하지 않는 제1 이동 프레임(210) 및 제2 이동 프레임(220)의 말단은 용접에 의하여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이동 프레임(210) 및 제2 이동 프레임(220) 간에 형성된 용접 비드(230)는 일정한 높이를 갖고 형성되어 제1 이동 프레임(210) 및 제2 이동 프레임(220)의 나머지 부분을 이격시키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제1 이동 프레임(210) 및 제2 이동 프레임(220) 간의 간격은 제1 고정 프레임(110) 및 제2 고정 프레임(120)에 형성된 제1 중공홀(111) 및 제2 중공홀(121) 간의 간격에 대응할 수 있다.
제1 이동 프레임(210)의 상측에는 다른 프레임(미도시)의 이동을 방지하는 걸림부(211)가 구비될 수 있다. 다른 프레임은 걸림부(211)에 걸림으로써 제1 이동 프레임(210)의 상측에 밀착하여 동일한 자세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제1 이동 프레임(210)의 상측 말단에는 발판(미도시)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 방지부(212)가 구비될 수 있다. 발판의 일측 가장자리가 이탈 방지부(212)에 지지됨으로써 제1 이동 프레임(210)의 상측에 배치된 발판이 제1 이동 프레임(210)에서 이탈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제1 고정 프레임(110) 및 제2 고정 프레임(120)은 단면이 사각형인 중공홀(111, 121)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반하여, 제1 이동 프레임(210) 및 제2 이동 프레임(220)은 단면이 원형인 막대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각 중공홀(111, 121)의 단면은 정사각형이고, 한 변의 길이는 각 이동 프레임(210, 220)의 단면의 직경과 동일하거나 유사할 수 있다.
원형 단면을 갖는 제1 이동 프레임(210) 및 제2 이동 프레임(220)이 사각형 단면의 중공홀(111, 121)에 삽입됨에 따라 제1 이동 프레임(210) 및 제2 이동 프레임(220)과 제1 고정 프레임(110) 및 제2 고정 프레임(120) 간의 접촉 면적이 감소되고, 제1 고정 프레임(110) 및 제2 고정 프레임(120)에 대한 제1 이동 프레임(210) 및 제2 이동 프레임(220)의 삽입 및 방출이 보다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다.
가이드 피스(300)는 제1 이동 프레임(210) 및 제2 이동 프레임(220)의 사이에 구비되어 제1 이동 프레임(210) 및 제2 이동 프레임(220) 간의 간격을 유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이동 프레임(210) 및 제2 이동 프레임(220)은 일정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는 평행하게 배치된 제1 중공홀(111) 및 제2 중공홀(121)을 따라 제1 이동 프레임(210) 및 제2 이동 프레임(220)의 이동이 보다 원활하게 수행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제1 이동 프레임(210) 및 제2 이동 프레임(220)의 일측 말단은 용접 비드(230)에 의하여 그 간격이 유지되지만 나머지 부분은 간격이 균일하게 형성되지 못할 수 있다. 가이드 피스(300)가 제1 이동 프레임(210) 및 제2 이동 프레임(220)의 사이에 배치됨에 따라 제1 이동 프레임(210) 및 제2 이동 프레임(220) 간의 균일한 간격 유지가 가능하게 된다. 도 1은 하나의 가이드 피스(300)만을 도시하였으나, 복수의 가이드 피스(300)가 배치되어 제1 이동 프레임(210) 및 제2 이동 프레임(220) 간의 간격을 유지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가이드 피스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가이드 피스(300)는 몸체(310) 및 지지부(3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몸체(310)는 관통홀(311)을 구비하여 제1 이동 프레임(210) 및 제2 이동 프레임(220) 중 하나를 관통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제1 이동 프레임(210) 또는 제2 이동 프레임(220)이 관통홀(311)을 관통할 수 있는 것으로서, 이하 제2 이동 프레임(220)이 관통하는 것을 위주로 설명하기로 한다.
지지부(320)는 몸체(310)에서 연장 형성되어 관통홀(311)을 관통하지 않은 나머지 이동 프레임의 양측면을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제2 이동 프레임(220)이 관통홀(311)을 관통하는 경우 지지부(320)는 제1 이동 프레임(210)의 양측면을 지지할 수 있다.
몸체(310)는 복수의 패널이 조합되어 형성될 수 있는데, 제1 이동 프레임(210)과 제2 이동 프레임(220)의 사이에 배치되는 간격 유지 패널(312)의 두께(D)는 제1 중공홀(111) 및 제2 중공홀(121) 간의 간격에 대응할 수 있다. 관통홀(311)의 단면은 사각형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관통홀(311)의 단면은 정사각형으로서, 한 변의 길이는 제1 고정 프레임(110) 및 제2 고정 프레임(120)에 형성된 중공홀(111, 121)의 단면의 한 변의 길이와 동일할 수 있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가이드 피스에 의하여 제1 이동 프레임 및 제2 이동 프레임이 가이드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가이드 피스(300)는 제1 이동 프레임(210) 및 제2 이동 프레임(220)을 일정 거리만큼 이격시키는데 이용될 수 있다.
제2 이동 프레임(220)이 관통홀(311)에 관통되어 몸체(310)에 지지되고, 제1 이동 프레임(210)이 지지부(320)에 지지됨으로써 제1 이동 프레임(210) 및 제2 이동 프레임(220)은 일정 간격을 유지하면서 외력이 발생하더라도 그 자세를 유지할 수 있다. 특히, 작업자의 하중이 제1 이동 프레임(210)에 작용하는 경우 가이드 피스(300)에 의하여 그 하중이 제2 이동 프레임(220)으로 전달되어 하중의 분산 효과가 수행될 수 있다.
지지부(320)는 제1 이동 프레임(210)의 측면만을 지지하고, 상면은 지지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지지부(320)와 제1 이동 프레임(210)에 형성된 걸림부(211) 간의 간섭이 방지될 수 있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고정 프레임에 대한 이동 프레임의 동작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이동 프레임은 고정 프레임(110, 120)에 대하여 이동할 수 있다. 이동 프레임(210, 220)은 고정 프레임(110, 120)의 중공홀(111, 121)에 삽입되거나 방출될 수 있는 것이다.
제1 이동 프레임(210) 및 제2 이동 프레임(220)이 중공홀(111, 121)에 삽입되는 정도에 따라 제1 고정 프레임(110) 및 제2 고정 프레임(120)에 대한 제1 이동 프레임(210) 및 제2 이동 프레임(220)의 노출 길이가 결정될 수 있다.
작업자의 작업 공간을 확장하기 위하여 고정 프레임(110, 120)에서 이동 프레임(210, 220)을 방출시켜 전체적인 프레임의 길이를 증가시킬 수 있다. 한편, 작업 공간의 확장이 불필요하거나 다른 장비 또는 구조물과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하여 고정 프레임(110, 120)에 이동 프레임(210, 220)을 삽입시켜 전체적인 프레임의 길이를 감소시킬 수 있다.
작업자는 작업 환경에 따라 고정 프레임(110, 120)에 대하여 이동 프레임(210, 220)을 이동시켜 전체적인 프레임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이동 프레임을 따라 가이드 피스가 이동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가이스 피스는 이동 프레임(210, 2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이동 프레임(210, 220)은 긴 막대의 형상을 갖고 있다. 한편, 작업 환경에 따라 하중이 작용하는 이동 프레임(210, 220)의 위치는 달라질 수 있다. 작업자는 하중이 작용하는 위치로 가이드 피스(300)의 위치를 이동시킬 수 있다. 이에, 제1 이동 프레임(210) 및 제2 이동 프레임(220) 간의 균일한 간격 유지가 가능하게 된다.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판 지지 장치가 활용되는 것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작업 공간을 확장시키지 않는 경우 이동 프레임(210, 220)은 고정 프레임(110, 120)에 삽입되고, 작업 공간을 확장시키는 경우 이동 프레임(210, 220)은 고정 프레임(110, 120)에서 방출될 수 있다. 고정 프레임(110, 120)은 별도의 보강 프레임(130)에 의하여 지지될 수 있다.
가이드 피스(300)는 이동 프레임(210, 220)을 따라 이동 가능하다. 따라서, 이동 프레임(210, 220)의 배치에 따라 가이드 피스(300)의 위치도 달라질 수 있다. 즉, 이동 프레임(210, 220)을 고정 프레임(110, 120)에 삽입시키는 경우 가이드 피스(300)는 고정 프레임(110, 120)의 말단에 밀착하여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이동 프레임(210, 220)을 고정 프레임(110, 120)에서 방출하는 경우 가이드 피스(300)는 하중이 발생될 것으로 예상되는 지점에 배치될 수 있다. 특히, 가이드 피스(300)는 복수 개가 구비되어 복수의 지점에서 제1 이동 프레임(210)과 제2 이동 프레임(220) 간의 간격을 유지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복수의 발판 지지 장치(10)가 별도의 프레임(이하, 지지 프레임이라 한다)(400)을 지지하고, 지지 프레임(400)이 발판(20)을 지지할 수 있다. 지지 프레임(400)을 지지하기 위하여 각 발판 지지 장치(10)의 이동 프레임(210, 220)은 고정 프레임(110, 120)에서 방출될 수 있다. 지지 프레임(400)은 이동 프레임(210, 220)이 위치하고 있지 않는 지점에서도 작업자의 하중을 받아 인접한 이동 프레임(210, 220)으로 분산시킬 수 있다.
발판 지지 장치(10)의 길이가 증가하여 발판(20)을 지지함으로써 작업자의 작업 공간이 확장될 수 있다.
이상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 발판 지지 장치
20: 발판
110: 제1 고정 프레임 111: 제1 중공홀
120: 제2 고정 프레임 121: 제2 중공홀
130: 보강 프레임 210: 제1 이동 프레임
211: 걸림부 212: 이탈 방지부
220: 제2 이동 프레임 230: 용접 비드
300: 가이드 피스 310: 몸체
311: 관통홀 312: 간격 유지 패널
320: 지지부 400: 지지 프레임
110: 제1 고정 프레임 111: 제1 중공홀
120: 제2 고정 프레임 121: 제2 중공홀
130: 보강 프레임 210: 제1 이동 프레임
211: 걸림부 212: 이탈 방지부
220: 제2 이동 프레임 230: 용접 비드
300: 가이드 피스 310: 몸체
311: 관통홀 312: 간격 유지 패널
320: 지지부 400: 지지 프레임
Claims (5)
- 일측으로 길게 형성되고, 지면에 대하여 수직 방향으로 적층되며, 길이 방향의 중공홀을 포함하는 제1 및 제2 고정 프레임;
일측으로 길게 형성되고, 지면에 대하여 수직 방향으로 적층되며, 적어도 일부가 상기 중공홀에 삽입되어 지지되는 제1 및 제2 이동 프레임; 및
상기 제1 이동 프레임 및 상기 제2 이동 프레임의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제1 이동 프레임 및 상기 제2 이동 프레임 간의 간격을 유지하는 가이드 피스를 포함하는 발판 지지 장치.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고정 프레임은 단면이 사각형인 상기 중공홀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이동 프레임은 단면이 원형인 막대의 형상을 갖는 발판 지지 장치.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이동 프레임이 상기 중공홀에 삽입되는 정도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 고정 프레임에 대한 상기 제1 및 제2 이동 프레임의 노출 길이가 결정되는 발판 지지 장치.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피스는,
관통홀을 구비하여 상기 제1 및 제2 이동 프레임 중 하나를 관통시키는 몸체; 및
상기 몸체에서 연장 형성되어 상기 관통홀을 관통하지 않은 나머지 이동 프레임의 양측면을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발판 지지 장치. -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홀의 단면은 사각형인 발판 지지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77191A KR20210001301A (ko) | 2019-06-27 | 2019-06-27 | 발판 지지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77191A KR20210001301A (ko) | 2019-06-27 | 2019-06-27 | 발판 지지 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001301A true KR20210001301A (ko) | 2021-01-06 |
Family
ID=741286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077191A Withdrawn KR20210001301A (ko) | 2019-06-27 | 2019-06-27 | 발판 지지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210001301A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40033980A (ko) * | 2022-09-06 | 2024-03-13 | 권성진 | 비계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50060074A (ko) | 2013-11-25 | 2015-06-03 | 에스티엑스조선해양 주식회사 | 다용도 발판 |
-
2019
- 2019-06-27 KR KR1020190077191A patent/KR20210001301A/ko not_active Withdrawn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50060074A (ko) | 2013-11-25 | 2015-06-03 | 에스티엑스조선해양 주식회사 | 다용도 발판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40033980A (ko) * | 2022-09-06 | 2024-03-13 | 권성진 | 비계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0484942Y1 (ko) | 빔 브라켓 | |
KR20210001301A (ko) | 발판 지지 장치 | |
KR101616302B1 (ko) | 승강기 통로용 작업발판 고정대 | |
JP5645334B2 (ja) | 構造物解体システム | |
JP6124444B2 (ja) | 構造物解体システム | |
JP2020180508A (ja) | 手摺支柱支持具 | |
KR20200023861A (ko) | 로프 보호기구 | |
JP2023007329A (ja) | 親綱支柱及びクランプ補強冶具 | |
KR102335856B1 (ko) | 철골빔 설치용 안전 난간대 | |
JP6170229B1 (ja) | 親綱張設具 | |
JP2011206245A (ja) | 橋梁工事用移動式安全帯取付装置 | |
KR101836936B1 (ko) | 거치구가 구비된 갱폼의 하부 케이지 | |
JP2023177007A (ja) | 荷出し開口用型枠とそれを用いた荷出し開口の形成方法 | |
JP5468319B2 (ja) | 仮設作業台用の幅木 | |
JP2011026767A (ja) | 吊り階段構造、建物ユニット、ユニット建物、ユニット建物の構築方法、及び吊りロッドパネルの製造方法 | |
JP4669725B2 (ja) | 仮柱構造、仮柱付き建物ユニット及びユニット建物の施工方法 | |
KR20200066163A (ko) | 건물 외벽시공장치 | |
JP5409955B1 (ja) | 鋼橋構造 | |
KR200389401Y1 (ko) | 상승식 가설대용 안내장치 | |
JP7122080B2 (ja) | 仮設足場 | |
JP6319676B1 (ja) | 屋内空間部用のネット、及び該屋内空間部用ネットの吊り張り方法 | |
JP5512253B2 (ja) | 足場の解体方法 | |
KR102027288B1 (ko) | 발판 지지 장치 | |
JP6169425B2 (ja) | 乗客コンベア | |
JP6628675B2 (ja) | 仮設架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0627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C1203 |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