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210000129U - 자외선 차단 마스크 - Google Patents

자외선 차단 마스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00129U
KR20210000129U KR2020190002869U KR20190002869U KR20210000129U KR 20210000129 U KR20210000129 U KR 20210000129U KR 2020190002869 U KR2020190002869 U KR 2020190002869U KR 20190002869 U KR20190002869 U KR 20190002869U KR 20210000129 U KR20210000129 U KR 2021000012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ck
face
nose
mask
cov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202019000286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정희
Original Assignee
지티코퍼레이션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티코퍼레이션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지티코퍼레이션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9000286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00129U/ko
Publication of KR2021000012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0129U/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11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300/00Details of garments
    • A41D2300/30Closures
    • A41D2300/33Closures using straps or ti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400/00Functions or special features of garments
    • A41D2400/26UV light protec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주로 야외 활동시 얼굴이나 목 부분 등을 자외선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하여 착용하게 되는 자외선 차단 마스크에 관한 곳으로서, 특히, 얼굴의 콧등 부분을 포함하여 목 아래쪽 부분까지 커버 가능하도록 얼굴에 착용하여 자외선으로부터 피부를 안전하게 보호하면서도 호흡이나 대화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자외선 차단 마스크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의 마스크 본체(110)는 눈 아랫부분의 얼굴 전면을 비롯하여 귀 부분을 제외한 측면 및 턱을 포함하여 목 부분까지 전체적으로 커버 가능한 형태로 구성되고, 또 마스크 본체의 좌우로는 귀에 걸어 착용시 착용 끈의 길이를 조절구(120)를 통해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는 착용끈 길이 조절부를 가지며, 상기 마스크 본체(110)는 코 가림부(112), 입 가림부(114), 턱 가림부(116), 목 가림부(118)가 얼굴의 정면 및 측면 라인을 따라 밀착 가능하게 순차적으로 굴곡지게 재봉 형성되고, 상기 코 가림부(112)는 재봉 처리된 상단을 기준으로 하단부(112b)를 개방 가능하게 형성하여 착용시, 입 가림부(114)의 상단 일부가 개방된 형태의 코 받침공간(112a)에 위치되는 코를 통해 호흡이 용이하게 하고, 또한, 입 가림부(114)와 턱 가림부(116)의 경계로는 착용시, 입이 위치되는 부분의 일부를 개방공간(114a)으로 형성하여 대화시 말소리가 외부로 쉽게 전달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자외선 차단 마스크{ULTRAVIOLET BLOCKING MASK}
본 고안은 주로 야외 활동시 얼굴이나 목 부분 등을 자외선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하여 착용하게 되는 자외선 차단 마스크에 관한 곳으로서, 특히, 얼굴의 콧등 부분을 포함하여 목 아래쪽 부분까지 커버 가능하도록 얼굴에 착용하여 자외선으로부터 피부를 안전하게 보호하면서도 호흡이나 대화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자외선 차단 마스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마스크는 공기 중에 황사와 미세먼지 또는 차도에서의 매연 등이 발생될 때 착용하여 인체 내로 유해물질의 유입을 차단하거나 겨울철 추운 날씨에 외부에 차가운 공기와 호흡기를 차단하여 찬 공기의 직접 흡입을 억제하거나 얼굴의 눈 아랫부분을 덮어 자외선을 차단하는 것으로 사용용도 및 사용 방법에 따라 가정에서 얼굴 보호용으로 사용하는 일반용과, 탄광 연구실, 화학 식품, 전자 봉제, 부품조립, 일반 작업자가 사용하는 산업용과, 의사 및 간호사, 그리고 간병인은 물론 입원 환자들이 사용하는 병원용 및 소방관들이 사용하는 소방용 등 다양하게 구분 제작되어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일반 위생마스크는 황사나 미세먼지 또는 매연 등을 제대로 걸러내지 못하여 인체에 유해한 물질들이 호흡과 동시에 인체 내로 유입되는 문제점이 발생 되고, 나아가, 마스크의 가장자리 부분이 피부에 완전히 밀착되지 못할 뿐만 아니라 얼굴의 눈 아랫부분을 완전히 덮지 못하여 좌우 뺨이 자외선 등에 노출되는 단점이 있었다.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종래 착용감이나 자외선 차단효과를 기대하고 개발된 개발된 “마스크”가, 도 1에 제시되고 있으나, 상기한 선행 기술의 마스크(1)는 본체(10)의 중앙부(12)에 대하여 콧등을 덮는 상측부(11)와 착용시, 턱에 걸려지도록 커버되는 하측부(13)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구조를 채택하고 있기 때문에 마스크를 얼굴에 착용시, 피부에 직접 밀착되는 구조상 호흡이 곤란하게 되는 문제를 비롯하여 마스크 착용 상태에서 대화가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 또한 하측부가 턱에 걸쳐지는 정도의 폭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목 부분 전체를 커버하는 것이 불가능하여 목 부분까지의 자외선을 전체적으로 차단하는 효과는 기대하기 어렵다고 보아야 한다. 또한, 마스크 착용시 단순히 탄성밴드(15)를 이용하여 귀에 걸어 착용하기 때문에 착용자의 얼굴 크기에 따른 길이 조절이 불가능하게 되는 문제를 포함하고 있다고 보아야 한다.
1. KR1020100055715 A(2010.05.27. 공개)
따라서, 본 고안은 종래 자외선 차단 마스크에서 발생되는 제반 문제점들을 해결하고자 고안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얼굴의 콧등 부분을 포함하여 목 아래쪽 부분까지 커버 가능하도록 얼굴에 착용하여 자외선으로부터 피부를 안전하게 보호하면서도 호흡이나 대화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자외선 차단 마스크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자외선 차단 마스크는, 마스크 본체는 눈 아랫부분의 얼굴 전면을 비롯하여 귀 부분을 제외한 측면 및 턱을 포함하여 목 부분까지 전체적으로 커버 가능한 형태로 구성되고, 또 마스크 본체의 좌우로는 귀에 걸어 착용시 착용 끈의 길이를 조절구를 통해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는 착용끈 길이 조절부를 가지며, 상기 마스크 본체는 코 가림부와, 입 가림부, 턱 가림부, 목 가림부가 얼굴의 정면 및 측면에 밀착되도록 순차적으로 굴곡지게 재봉 형성되되, 상기 코 가림부는 재봉 처리된 상단을 기준으로 하단부를 개방 가능하게 형성하여 착용시, 입 가림부의 상단 일부가 개방된 형태의 코 받침공간에 위치되는 코를 통해 호흡이 용이하게 하고, 또한, 입 가림부와 턱 가림부의 경계로는 착용시, 입이 위치되는 부분의 일부를 개방공간으로 형성하여 대화시 말소리가 외부로 쉽게 전달 가능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목 가림부는 적어도 목 뒤쪽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이 커버되는 형태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마스크 착용시, 눈 아랫부분을 기준으로 얼굴의 전면 및 측면을 포함하여 목 부분까지 전체적으로 커버가 가능하기 때문에 야외 활동시 얼굴이나 목 부분이 자외선에 노출되는 것을 최대한으로 커버 보호하는 것이 가능하여 자외선의 노출에 따른 피부 손상을 최대한으로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고, 또 착용시 코 가림부가 입 가림부에 대하여 개방되는 상태로 재봉되어 있어서 호흡을 용이하게 할 수 있고, 동시에 입이 위치되는 입 가림부의 일부가 개방되어 있기 때문에 의사소통이 가능하게 되는 효과를 제공하여 마스크 착용에 따른 불편을 최소화 할 수 있도록 한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도 1은 종래 마스크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마스크의 전체 형태를 보인 사시 사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마스크의 정면 사진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마스크의 배면 사진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마스크의 측면 사진이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마스크의 코 가림부 개방 및 입 가림부의 개방공간 구조를 보인 사진이다.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마스크의 착용 상태를 보인 사진이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자외선 차단 마스크(100)는, 마스크 본체(110)와, 마스크 본체 좌우 양측으로 갖추어지는 작용끈 길이 조절구(1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마스크 본체(110)는, 눈 아랫부분의 얼굴 전면을 비롯하여 귀 부분을 제외한 측면 및 턱을 포함하여 목 부분까지 전체적으로 커버 가능한 형태로 구성된다.
이를 위해, 상기 마스크 본체(110)는 코 가림부(112)와, 입 가림부(114), 턱 가림부(116), 목 가림부(118)는 착용시 얼굴의 정면 및 측면의 라인을 따라 밀착 가능하도록 순차적으로 굴곡지게 재봉 형성된다.
상기 코 가림부(112)는 재봉 처리된 상단을 기준으로 하단부(112b)를 개방 가능하게 형성하여 착용시, 입 가림부(114)의 상단 일부가 개방된 형태의 코 받침공간(112a)에 위치되는 코를 통해 호흡이 용이하게 구성되어 있다.
또한, 입 가림부(114)와 턱 가림부(116)의 경계로는 착용시, 입이 위치되는 부분의 일부를 개방공간(114a)으로 형성하여 대화시 말소리가 외부로 쉽게 전달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마스크 본체(110)의 좌우로 구비되는 착용끈 길이 조절부(120)는 귀에 걸어지는 착용 끈(122)의 길이는 착용 끈에 끼워진 조절구(124)를 통해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목 가림부(118)는 적어도 목 뒤쪽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이 커버되는 형태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마스크 본체(110)는, 통기성 직물이나, 천, 패드 등 다양한 소재가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자외선 차단 마스크(100)는 얼굴에 착용시, 마스크 본체(100)의 코 가림부(112), 입 가림부(114), 턱 가림부(116), 목 가림부(118)에 의해 얼굴의 정면 및 측면 라인을 따라 밀착 가능하게 착용되어 질 수 있고, 눈 아래부분을 포함하여 목 부분까지 전체적으로 커버되어 질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마스크 본체 착용시 코는 입 가림부(114)의 상단 일부가 개방된 형태의 코 받침공간(112a)에 위치되도록 착용되어지기 때문에 코 가림부(112)의 하단이 개방된 상태로 구성됨에 따라 호흡이 용이하게 되고, 필요시, 상기 코 가림부(112)를 상 측으로 들어올려 개방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마스크 본체(110)의 착용시, 입 가림부(114)에 의해 커버되는 입은 입 가림부(114)와 턱 가림부(116)의 경계에 형성되어지는 개방공간(114a)을 통해 대화시 말소리가 외부로 쉽게 전달됨에 따라 마스크 본체를 착용한 상태에서 전화 통화나 상대방과의 원활한 대화가 가능하게 된다.
한편, 사람의 얼굴 형태나 크기 등에 따라 마스크 본체(110)의 착용 길이를 조절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착용끈 길이 조절부(120)의 조절구(124)를 통해 착용 끈(122)의 착용 길이를 적정하게 조임 또는 느슨하게 하는 것을 통해 자유롭게 조절 가능함으로써 누구나가 간편하게 착용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의 자외선 차단 마스크(100)에 따르면 마스크 본체(110)를 얼굴에 착용시, 눈을 제외한 얼굴, 턱, 목 부분의 정면을 비롯하여 측면부분까지 전체적으로 커버되어 짐에 따라 야외 활동시, 자외선으로부터 얼굴을 비롯하여 목 부분까지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게 되는 것이며, 하단부(112b)가 개방 가능한 코 가림부(112)를 비롯하여 입 가림부(114)에 형성된 개방공간(114a)을 통해 호흡이나 대회가 가능하게 되어 제품의 사용 편리성을 현저하게 높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비록, 본 고안이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되었으나,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하기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많은 수정 및 변경이 있을 수 있음은 물론이다.
110: 마스크 본체 112: 코 가림부
112a: 코 받침공간 112b: 하단부
114: 입 가림부 114a: 개방공간
116: 턱 가림부 118: 목 가림부
120: 착용끈 길이 조절부

Claims (2)

  1. 마스크 본체(110)는 눈 아래 부분의 얼굴 전면을 비롯하여 귀 부분을 제외한 측면 및 턱을 포함하여 목 부분까지 전체적으로 커버 가능한 형태로 구성되고, 또 마스크 본체의 좌우로는 귀에 걸어 착용시 착용 끈(122)의 길이를 조절구(124)를 통해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는 착용끈 길이 조절부(120)를 가지며,
    상기 마스크 본체(110)는 코 가림부(112), 입 가림부(114), 턱 가림부(116), 목 가림부(118)가 얼굴의 정면 및 측면 라인을 따라 밀착 가능하게 순차적으로 굴곡지게 재봉 형성되고,
    상기 코 가림부(112)는 재봉 처리된 상단을 기준으로 하단부(112b)를 개방 가능하게 형성하여 마스크 착용시, 입 가림부(114)의 상단 일부가 개방된 형태의 코 받침공간(112a)에 위치되는 코를 통해 호흡이 용이하게 하고,
    또한, 입 가림부(114)와 턱 가림부(116)의 경계로는 마스크 착용시, 입이 위치되는 부분의 일부를 개방공간(114a)으로 형성하여 대화시 말소리가 외부로 쉽게 전달 가능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차단 마스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목 가림부(118)는 적어도 목 뒤쪽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이 커버되는 형태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차단 마스크.
KR2020190002869U 2019-07-09 2019-07-09 자외선 차단 마스크 Ceased KR20210000129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2869U KR20210000129U (ko) 2019-07-09 2019-07-09 자외선 차단 마스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2869U KR20210000129U (ko) 2019-07-09 2019-07-09 자외선 차단 마스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0129U true KR20210000129U (ko) 2021-01-19

Family

ID=742393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90002869U Ceased KR20210000129U (ko) 2019-07-09 2019-07-09 자외선 차단 마스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00129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750178B1 (ko) * 2024-01-22 2025-01-03 김정희 자외선 차단 마스크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55715A (ko) 2008-11-18 2010-05-27 성 엽 이 마스크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55715A (ko) 2008-11-18 2010-05-27 성 엽 이 마스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750178B1 (ko) * 2024-01-22 2025-01-03 김정희 자외선 차단 마스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70113076A1 (en) Clothing with built-in respiratory filter
KR20100008169U (ko) 안경에 김 서림을 방지하는 마스크
CA2599571A1 (en) Hood with adaptive face opening
JPS62221373A (ja) 花粉防護装置
KR102052410B1 (ko) 미세먼지 및 자외선 차단 겸용 코 마스크
KR200457145Y1 (ko) 야외용 자외선차단 마스크
KR20210000129U (ko) 자외선 차단 마스크
KR200445739Y1 (ko) 자외선 차단 마스크
KR200496142Y1 (ko) 햇빛 차단용 마스크
JP2012030020A (ja) 顔・首用スポーツマスク
KR20210000416U (ko) 페이스 실드 마스크
KR20110001044U (ko) 자외선 및 황사 차단용 마스크
KR20080004323U (ko) 안면 보호 마스크
JP3205333U (ja) 耳カバー付きマスク
KR200492417Y1 (ko) 마스크
KR20050060944A (ko) 마스크
KR101885965B1 (ko) 유해광 차단 마스크
KR200474386Y1 (ko) 자외선 차단 마스크
CN216453560U (zh) 一种全覆式防护帽及防护装置
JP3229017U (ja) マスク
JP3233269U (ja) インナーマスク
CN212233183U (zh) 一种新型口罩
KR102153905B1 (ko) 안경 부착용 미세먼지 차단 코 마스크
KR200344294Y1 (ko) 마스크
KR20220001052U (ko) 마스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190709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U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20200925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U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UE06011S01D

Patent event date: 20201217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