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200141453A - 원심력 진자 - Google Patents

원심력 진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41453A
KR20200141453A KR1020207029574A KR20207029574A KR20200141453A KR 20200141453 A KR20200141453 A KR 20200141453A KR 1020207029574 A KR1020207029574 A KR 1020207029574A KR 20207029574 A KR20207029574 A KR 20207029574A KR 20200141453 A KR20200141453 A KR 202001414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ndulum
flange
pendulum mass
preload element
centrifugal forc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295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751717B1 (ko
Inventor
플로랑 크레머
알랭 러쉬
에브게니 프란츠
요나스 슈넬
Original Assignee
섀플러 테크놀로지스 아게 운트 코. 카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섀플러 테크놀로지스 아게 운트 코. 카게 filed Critical 섀플러 테크놀로지스 아게 운트 코. 카게
Publication of KR202001414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414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7517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751717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1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rotating systems by making use of members moving with the system
    • F16F15/14Suppression of vibrations in rotating systems by making use of members moving with the system using masses freely rotating with the system, i.e. uninvolved in transmitting driveline torque, e.g. rotative dynamic dampers
    • F16F15/1407Suppression of vibrations in rotating systems by making use of members moving with the system using masses freely rotating with the system, i.e. uninvolved in transmitting driveline torque, e.g. rotative dynamic dampers the rotation being limited with respect to the driving means
    • F16F15/145Masses mounted with play with respect to driving means thus enabling free movement over a limited ran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Operated Clutches (AREA)
  • One-Way And Automatic Clutches, And Combinations Of Different Clutc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심력 진자(1)에 관한 것으로, 이는 적어도 하나의 플랜지(2, 3)와 복수의 진자 매스(4)를 갖되, 진자 매스(4)는 회전 축(6)에 대해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플랜지(2, 3)에 대해 적어도 반경 방향(5)으로 운동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플랜지(2, 3) 상에 배열되고; 진자 매스(4)는 적어도 하나의 제1 프리로드 요소(7)에 의해 축 방향(8)으로 적어도 하나의 플랜지(2, 3)에 대해 프리로드되고; 진자 매스(4)는 진자 매스(4)의 가장 안쪽 지점(10)과 가장 바깥쪽 지점(11) 사이에 반경 방향(5)으로 연장부(9)를 갖고; 적어도 하나의 제1 프리로드 요소(7)는, 연장부(9)의 반경 방향(5) 가장 바깥쪽 지점(11)으로부터 최대 5%의 거리(13)에 배열된 제1 부위(12)에서 진자 매스(4)와 접촉한다.

Description

원심력 진자
본 발명은 원심력 진자, 특히 마찰 클러치용 원심력 진자에 관한 것이다.
마찰 클러치는, 특히 자동차, 바람직하게는 자동차의 구동 트레인에서 사용될 수 있다. 원심력 진자는, 특히 엔진에 의해 야기된 비틀림 진동을 줄이기 위한 것이다. 원심력 진자는 (플라이휠 매스로서) 적어도 하나의 플랜지와 상기 플랜지 상에서 운동하기 위해 배열된 복수의 진자 매스를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마찰 클러치는, 적어도 하나의 카운터 플레이트, 상기 카운터 플레이트에 대해 축 방향으로 변위될 수 있는 압력 플레이트, 및 상기 카운터 플레이트와 상기 압력 플레이트 사이에 배열될 수 있는 클러치 디스크를 포함한다. 마찰 클러치가 결합되는 경우, 클러치 디스크는 카운터 플레이트와 압력 플레이트에 마찰 연결되어, 토크가, 예를 들어 내연기관으로부터 카운터 플레이트와 압력 플레이트를 통해 클러치 디스크로 그리고 클러치 디스크에서 허브로 전달될 수 있도록 한다. 마찰 클러치가 분리되는 경우, 마찰 연결이 해제된다. 허브는, 특히 트랜스미션 입력 샤프트에 회전 고정 방식으로 연결된다.
원심력 진자는 특히 마찰 클러치에서 사용되어, 일반적으로 내연기관에서 구동 시스템으로 적어도 소정의 주파수 범위 내의 바람직하지 않은 진동이 전달되는 것을 억제한다. 원심력 가속 분야에서, 진자 매스가 내연기관의 토크 변동에 의해 여기되면, 그 궤도를 따라 진동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진동 과정 중, 적당한 시간에 여기 진동(excitation oscillation)에서 에너지를 빼내고 다시 피드백하여, 여기 진동이 진정되도록 하며, 원심력 진자는 댐퍼로서 역할한다. 원심력 진자 진동의 고유 주파수와 여기 주파수 모두 속도에 비례하기 때문에, 특히 전체 주파수 범위에서 원심력 진자의 댐퍼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저속에서, 그리고 결과적으로 내연기관에서 전달된 토크의 높은 변동으로 인해, 진자 매스가 진동 공간의 경계를 타격할 수 있다. 따라서, 원심력 진자의 기능이 손실되어 더 이상 진동 격리가 없게 된다.
DE 10 2010 049 553 A1에는 진자 매스의 진동 각도가 마찰에 의해 (원주 방향에서) 감소하는 원심력 진자가 공지되어 있다. 진자 매스는, 축 방향에 대해 진자 매스의 내부 부위에서 지지된다.
진자 매스가 롤러(롤러 몸체)를 통해 플랜지와 관련하여 이동식으로 지지되는 것이 DE 10 2010 049 553 A1에 또한 공지되어 있다. 이들 롤러는, 원심력 진자 플랜지의 베어링 표면(정지부)과 진자 매스 사이에 배열되도록 설계되어, 진자 매스가, 진동이 들어온 결과로서 소정의 댐핑 운동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진자 매스는 롤러의 롤링 섹션 위로 구른다. 적어도 하나의 진자 매스는, 축 방향으로 고정되며 소정의 곡선을 따라 진동 축에 수직인 평면에서 진동할 수 있는 방식으로, 롤러를 통해 플랜지에 이동식으로 고정된다. 진동 축은 마찰 클러치의 회전 축이므로, 플랜지가 마찰 클러치의 회전 축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원심력 진자의 기능과 구조를 개선하기 위한 필요성이 항상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목적은, 특히 축 방향에 대해 진자 매스를 개선된 방식으로 지지할 수 있는 원심력 진자를 제안하는 것이다.
본 목적은 독립항 제1항의 특징부에 따른 원심력 진자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유리한 추가 실시예는 종속항들에 구체화된다. 설정된 종속항들에 개별적으로 열거된 특징부는, 기술적으로 의미있는 방식으로 서로 조합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추가 설계를 정의할 수 있다. 또한, 청구항들에 기재된 특징부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추가 실시예가 예시되는 명세서에 보다 상세히 구체적으로 설명된다.
제안된 것은, 적어도 하나의 플랜지와 복수의 진자 매스(예, 적어도 두 개, 바람직하게는 세 개 이상)을 갖는 원심력 진자이며, 상기 진자 매스는, 회전 축에 대해 그리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플랜지에 대해 적어도 반경 방향으로 운동하기 위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플랜지 상에 배열된다. 진자 매스는, 적어도 하나의 제1 프리로드 요소를 통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플랜지에 대해 축 방향으로 프리로드(preload)된다. 진자 매스는, 진자 매스의 가장 안쪽 지점(회전 축에 가장 가까운 지점)과 가장 바깥쪽 지점(회전 축에서 가장 먼 지점) 사이에 반경 방향으로 연장부를 갖는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프리로드 요소는, 가장 바깥쪽 지점으로부터 연장부의 최대 5%, 특히 최대 2%, 바람직하게는 최대 1%의 거리에서 반경 방향으로 배열된 제1 부위에서 진자 매스와 접촉한다.
원심력 진자는 특히 마찰 클러치에서 사용되어, 일반적으로 내연기관에서 구동 시스템으로 적어도 소정의 주파수 범위의 바람직하지 않은 진동이 전달되는 것을 억제한다. 원심력 가속 분야에서, 예를 들어 내연기관의 토크 변동에 의해 진자 매스가 여기되면, 궤도를 따라 진동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진동 과정 중, 적당한 시간에 여기 진동에서 에너지를 빼내고 다시 피드백하여, 여기 진동이 진정되도록 하며 원심력 진자는 댐퍼로서 역할한다.
마찰 클러치는, 특히 적어도 하나의 카운터 플레이트, 상기 카운터 플레이트에 대해 축 방향으로 변위될 수 있는 압력 플레이트, 및 상기 카운터 플레이트와 상기 압력 플레이트 사이에 배열될 수 있는 클러치 디스크를 포함한다. 마찰 클러치가 결합되는 경우, 클러치 디스크는 카운터 플레이트와 압력 플레이트에 마찰 연결되어, 토크가, 예를 들어 내연기관으로부터 카운터 플레이트와 압력 플레이트를 통해 클러치 디스크로 그리고 클러치 디스크에서 허브로 전달될 수 있도록 한다. 마찰 클러치가 분리되는 경우, 마찰 연결이 해제된다. 허브는, 특히 트랜스미션 입력 샤프트에 회전 고정 방식으로 연결되거나 트랜스미션 입력 샤프트를 형성한다. 원심력 진자는, 예를 들어 허브 또는 트랜스미션 입력 샤프트 상에 바로 배열될 수 있다.
본원에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프리로드 요소가 가능한 멀리 바깥쪽 (반경 방향으로) 진자 매스 중 적어도 하나와 접촉하는 것이 제안된다. 따라서, 진자 매스는 축 방향과 관련하여 효과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제1 및/또는 제2) 프리로드 요소는, 한편으로는 축 방향으로 진자 매스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다른 한편으로, 이는, 플랜지에 대한 진자 매스의 변위가 원주 방향으로 제동될 수 있도록 (미리 결정 가능한) 마찰 효과를 설정하는 역할을 한다.
특히, 플랜지는 가장 큰 직경을 갖는 제1 (환형) 외부 원주 라인을 가지며, 여기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프리로드 요소는, 반경 방향으로 가장 큰 직경 외부에 배열된 제1 부위에서 진자 매스와 접촉한다. 특히, 이러한 특징은 이미 설명된 제1 부위의 정의와 독립적으로 또한 구현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제1 부위는 상기 가장 바깥쪽 지점으로부터 연장부의 최대 5%의 거리에서 반경 방향으로 배열된다.
특히, 제1 부위는 반경 방향으로 플랜지 외부에 배열된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프리로드 요소는, 모든 진자 매스와 접촉하는 환형 프리로드 요소일 수 있다. 특히, 환형 프리로드 요소는 회전 축 주위로 완전히 연장된다.
특히,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또는 제2) 프리로드 요소는, 적어도 하나의 마찰 요소(이는 특히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짐)를 통해 진자 매스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플랜지에 연결된다. 마찰 요소는, 소정의 활주 조건(또는 마찰 계수)을 보장하여 원주 방향으로 진자 매스의 편향에 대해 소정의 제동 효과를 설정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플랜지는, 진자 매스 사이의 원주 방향을 따라 제1 각도 부위에서 연장되고 반경 방향으로 더 작은 제1 직경을 갖는, 외부 원주 라인을 가질 수 있다. 외부 원주 라인은 (또한) 원주 방향으로 제2 각도 부위에서 연장되고, (이 경우) 진자 매스에 인접하고 제2 각도 부위 사이에 배열되며 반경 방향으로 더 큰 제2 직경을 갖는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프리로드 요소는, 제2 각도 범위에서 그리고 반경 방향으로 제1 직경의 외부에서 진자 매스와 접촉한다.
외부 원주 라인은, 특히 상이한 두 직경에 대해 원주 방향으로 연장된다. 직경 사이의 전이는 특히 연속적이다(상기 직경은, 예를 들어 작은 직경에서 시작하여 큰 직경으로 배타적으로 확대를 통해 변경되거나 부분적으로 일정한 직경을 가지므로, 직경 감소를 포함하지 않음).
특히,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프리로드 요소는, 반경 방향으로 제1 직경 외부의 플랜지와 접촉한다.
특히, 더 큰 제2 직경을 갖는 부위가 플랜지 상에 제공되어, 진자 매스를 지지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제1 프리로드 요소가 여기서 지지될 수 있도록 한다.
적어도 하나의 제1 프리로드 요소는 진자 매스와 접촉하며, 특히 플랜지보다 반경 방향 더 바깥쪽으로 접촉한다.
특히, 적어도 하나의 제2 프리로드 요소는 반경 방향으로 제1 프리로드 요소 내부에 배열된다.
특히, 적어도 하나의 진자 매스는 축 방향에 대해 내부 부위에서 추가 지지될 수 있다.
적어도 제1 프리로드 요소(제2 프리로드 요소도 가능)는 비탄성 스페이서 (즉, 탄성 변형 불가능)일 수 있다. 그러나, 제1 및/또는 제2 프리로드 요소는 바람직하게는 탄성 변형 가능하도록 설계된다(스프링, 파형 와셔, 예를 들어 플레이트 스프링, 리프(leaf) 스프링 등).
특히, 원심력 진자는 제1 플랜지와 제2 플랜지를 갖고, 복수의 진자 매스는 축 방향으로 이들 사이에 배열된다. 대안적으로, 플랜지가 제공될 수 있으며, 여기서 진자 매스의 대부분은 플랜지의 한 측면 또는 플랜지의 양 측면에 배열된다.
특히, 적어도 하나의 제1 및/또는 제2 프리로드 요소는, 제1 플랜지 및 제 2 플랜지 중 하나와 진자 매스 사이에만 배열된다.
카운터 플레이트, 압력 플레이트(축 방향을 따라 상기 카운터 플레이트와 관련해서 변위될 수 있음), 및 상기 카운터 플레이트와 상기 압력 플레이트 사이에 배열된 클러치 디스크를 적어도 포함하는 마찰 클러치도 제안되며, 여기서 상기 마찰 클러치는 적어도 상기 설명된 원심력 진자를 추가적으로 갖는다. 원심력 진자는 특히 (허브를 통해 트랜스미션 입력 샤프트에 연결되거나 및/또는) 클러치 디스크에 연결된다.
미리 주의할 것은, 본원에 사용된 숫자("제1", "제2" 등)는 주로(단지) 몇 가지 유사한 물체, 크기 또는 프로세스를 구별하는 역할만 하는 것이고, 특히 이들 물체, 크기 또는 프로세스의 상호 필수적인 의존성 및/또는 순서를 목적으로 하는 것은 아니다. 의존성 및/또는 순서가 필요한 경우, 이는 본원에 명시적으로 언급되거나, 구체적으로 설명된 구성을 연구하는 경우에 당업자에게 명백한 방식으로 이루어질 것이다.
본 발명 및 기술 환경 모두는 도면을 참조하여 아래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본 발명은 나타낸 예시적인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도록 의도하지 않았음을 이해해야 한다. 특히, 명시적으로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도면에 설명된 요소의 부분적인 양태를 추출하고 이를 다른 구성 요소 및 본 설명 및/또는 도면으로부터 얻어진 결과물들과 조합하는 것 또한 가능하다. 특히, 도면 및 특히 나타낸 비율은 단지 개략적인 것임을 이해해야 한다.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대상을 나타내므로, 다른 도면으로부터의 설명을 보충으로 사용할 수 있다. 도면 중,
도 1은 원심력 진자의 분해도를 사시도로 나타낸다.
도 2는 원심력 진자를 측면도로 나타낸다.
도 3은 원심력 진자의 제1 실시예 변형예를 회전 축을 따라 정면도로 나타낸다.
도 4는 도 3에 따른 원심력 진자를 측면도로 나타낸다.
도 5는 원심력 진자의 제2 실시예 변형예를 회전 축을 따라 정면도로 나타낸다.
도 6은 도 5에 따른 원심력 진자를 측면도로 나타낸다.
도 7은 원심력 진자를 갖는 마찰 클러치를 측면도로 나타낸다.
도 1은 원심력 진자(1)의 분해도를 사시도로 나타낸다. 도 2는 원심력 진자(1)를 측면도로 나타낸다. 도 1과 도 2는 아래에 함께 설명된다.
원심력 진자(1)는 제1 플랜지(2), 제2 플랜지(3), 및 복수의(예컨대 3개의) 진자 매스(4)를 갖는다. 진자 매스(4)는, 회전 축(6)에 대해 그리고 플랜지(2, 3)에 대해 반경 방향(5)으로 운동하기 위해 플랜지(2, 3) 상에 배열된다.
진자 매스(4)는 롤러(22)를 통해, 플랜지(2, 3)에 대해 이동식으로 지지된다. 이들 롤러(22)는 원심력 진자(1) 플랜지(2, 3)의 베어링 표면과 진자 매스(4) 사이에 배열되도록 설계되어, 진자 매스(4)가, 진동이 들어온 결과로서 소정의 댐핑 운동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진자 매스(4)는 롤러(22)의 롤링 섹션 위로 구른다. 진자 매스(4)는, 축 방향(8)으로 고정되며 소정의 곡선을 따라 진동 축(회전 축(6))에 수직인 평면에서 진동할 수 있는 방식으로, 롤러(22)를 통해 플랜지(2, 3)에 이동식으로 고정된다.
원심력 진자(1)는 두 개의 제1 프리로드 요소(7)를 추가로 포함하고, 이는 진자 매스(4)를 플랜지(2, 3)에 대해 지지될 수 있게 한다. 제1 프리로드 요소(7)는, 한편으로는 축 방향(8)에서 진자 매스(4)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다른 한편으로, 이는, 플랜지(2, 3)에 대한 진자 매스(4)의 변위가 원주 방향(18)으로 제동될 수 있도록 (미리 결정 가능한) 마찰 효과를 설정하는 역할을 한다.
도 2는 원심력 진자(4)가 (고정) 플랜지(2, 3)에 대해 이동식으로 배열되는 것을 나타낸다. 따라서, 원심력 진자(4)는 제1 프리로드 요소(7)(여기서는 스프링으로 나타남)를 통해 축 방향(8)에 대해 프리로드된다. 따라서, 원심력 진자(4)에 프리로드 요소(7)가 접촉함에 따라 원심력 진자(4)의 기울임이 가능하다. 여기서, 제1 프리로드 요소(7)는 반경 방향(5)으로 내측에 배치된 제1 부위(12)에서 원심력 진자(4)와 접촉한다.
도 3은 원심력 진자(1)의 제1 실시예 변형예를 회전 축(6)을 따라 정면도로 나타낸다. 도 4는 도 3에 따른 원심력 진자(1)를 측면도로 나타낸다. 도 3과 도 4는 아래에 함께 설명된다. 도 1과 도 2에 대한 설명을 참조한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예시와 대조적으로, 여기서는 반경 방향(5)으로 가장 바깥쪽 진자 매스와 접촉하는 제1 프리로드 요소(7)가 제공된다. 원심력 진자(1)는 제1 플랜지(2), 제2 플랜지(3) 및 복수의 진자 매스(4)(여기서는 3개)를 포함하고, 여기서 진자 매스(4)는 회전 축(6) 및 플랜지(2, 3)에 대해 적어도 반경 방향(5)으로 운동하기 위해 플랜지(2, 3) 상에 배열된다. 진자 매스(4)는, 각각의 플랜지(2, 3)에 대해 축 방향(8)으로 제1 환형 프리로드 요소(7)를 통해 각각 프리로드된다. 진자 매스(4)는, 진자 매스(4)의 가장 안쪽 지점(10)(회전 축에 가장 가까운 지점)과 가장 바깥쪽 지점(11)(회전 축에서 가장 먼 지점) 사이에 반경 방향으로 연장부(9)를 갖는다. 각각의 제1 프리로드 요소(7)는, 반경 방향(5)에서 가장 바깥쪽 지점(11)으로부터 거리(13)에 배열된 제1 부위(12)에서, 진자 매스(4)와 접촉한다.
특히, 플랜지(2, 3)는 가장 큰 직경(15)을 갖는 제1 (환형) 외부 원주 라인(14)을 가지며, 여기서 제1 프리로드 요소(7)는, 반경 방향(5)으로 가장 큰 직경(15) 외부에 배열된 제1 부위(12)에서, 진자 매스(4)와 접촉한다.
제1 부위(12)는 반경 방향(5)으로 플랜지(2, 3) 외부에 배열된다.
제1 프리로드 요소(7)는, 모든 진자 매스(4)와 접촉하는 각각의 환형 프리로드 요소이다.
본 경우에서, 제1 프리로드 요소(7)는 마찰 요소(24)를 통해 진자 매스(4)에 연결된다. 마찰 요소(24)는, 소정의 활주 조건(또는 마찰 계수)을 보장하여 원주 방향(18)으로 진자 매스(4)의 편향에 대해 소정의 제동 효과를 설정할 수 있도록 한다.
제1 프리로드 요소(7)는 각각의 플랜지(2, 3)보다 반경 방향(5)의 가장 바깥 쪽으로 진자 매스(4)와 접촉한다.
도 5는 원심력 진자(1)의 제2 실시예 변형예를 회전 축(6)을 따라 정면도로 나타낸다. 도 6은, 도 5에 따른 원심력 진자(1)를 측면도로 나타낸다. 도 5와 도 6은 아래에 함께 설명된다. 도 3과 도 4에 대한 설명을 참조한다.
도 3 및 도 4와 대조적으로, 플랜지(2, 3)와 제1 프리로드 요소(7)는 여기서 상이하게 설계된다. 플랜지(2, 3)는, 진자 매스(4) 사이의 원주 방향(18)으로 제1 각도 부위(17)에서 연장되고 반경 방향(5)으로 더 작은 제1 직경(19)(더 작은 제1 반경)을 갖는 외부 원주 라인(14)을 갖는다. 외부 원주 라인(14)은 또한 원주 방향(18)으로 제2 각도 부위(20)에서 연장되고, 진자 매스(4)에 인접하고 제2 각도 부위(20) 사이에 배열되며 반경 방향(5)으로 더 큰 제2 직경(21)(또는 더 큰 제2 반경)을 갖는다. 제1 프리로드 요소(7)는, 제2 각도 부위(20)에서, 그리고 반경 방향 (5)으로 제1 부위(12)에서 제1 직경(19)(제 1 반경) 외부에서 진자 매스(4)와 접촉한다.
외부 원주 라인(14)은, 상이한 두 직경(19, 21)에 대해 원주 방향(18)으로 연장된다. 직경(19, 21) 사이의 전이는 연속적으로 일어난다.
여기서 제1 프리로드 요소(7)는, 플랜지(2, 3)에 고정되고 거기에서 축 방향(8)으로 진자 매스(4)를 향해 연장되는 스프링으로 설계된다. 제1 프리로드 요소(7)는, 각각의 진자 매스(4)와 각각의 플랜지(2, 3)를 위해 제공된다. 제1 프리로드 요소(7)는, 반경 방향(5)으로 제1 직경(19) 외부의 플랜지(2, 3)와 접촉한다.
여기서, 더 큰 제2 직경(21)을 갖는 부위가 플랜지(2, 3) 상에 제공되어, 진자 매스(4) 지지용 제1 프리로드 요소(7)가 여기서 지지될 수 있도록 한다.
도 7은 원심력 진자(1)를 갖는 마찰 클러치(25)를 측면도로 나타낸다. 마찰 클러치(25)는 카운터 플레이트(26), 카운터 플레이트(26)에 대해 축 방향(8)으로 변위될 수 있는 압력 플레이트(27), 및 카운터 플레이트(26)와 압력 플레이트(27) 사이에 배열될 수 있는 클러치 디스크(28)를 포함한다. 마찰 클러치(25)가 결합되는 경우, 클러치 디스크(28)는 카운터 플레이트(26)와 압력 플레이트(27)에 마찰 연결되어, 토크가, 예를 들어 내연기관으로부터 카운터 플레이트(26)와 압력 플레이트(27)를 통해 클러치 디스크(28)로 그리고 클러치 디스크(28)에서 허브로 전달될 수 있도록 한다. 마찰 클러치(25)가 분리되는 경우, 마찰 연결이 해제된다. 허브는, 예를 들어 트랜스미션 입력 샤프트에 회전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 원심력 진자(1)는 허브를 통해 트랜스미션 입력 샤프트에 연결된다. 클러치 디스크(28)로 전달되는 진동은, 적어도 원심력 진자(1)에 의해 감소될 수 있다.
1 : 원심력 진자 2 : 제1 플랜지
3 : 제2 플랜지 4 : 진자 매스
5 : 반경 방향 6 : 회전 축
7 : 프리로드 요소 8 : 축 방향
9 : 연장부 10 : 가장 안쪽 지점
11 : 가장 바깥쪽 지점 12 : 제1 부위
13 : 거리 14 : 외부 원주 라인
15 : 최대 직경 16 : 제2 부위
17 : 제1 각도 부위 18 : 원주 방향
19 : 제1 직경 20 : 제2 각도 부위
21 : 제2 직경 22 : 제2 프리로드 요소
23 : 롤러 24 : 마찰 요소
25 : 마찰 클러치 26 : 카운터 플레이트
27 : 압력 플레이트 28 : 클러치 디스크

Claims (10)

  1. 적어도 하나의 플랜지(2, 3)와 복수의 진자 매스(4)를 포함하며,
    상기 진자 매스(4)는 회전 축(6)에 대해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플랜지(2, 3)에 대해 적어도 반경 방향(5)으로 운동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플랜지(2, 3) 상에 배열되고;
    상기 진자 매스(4)는 적어도 하나의 제1 프리로드 요소(7)에 의해 축 방향(8)으로 적어도 하나의 플랜지(2, 3)에 대해 프리로드되고;
    상기 진자 매스(4)는 진자 매스(4)의 가장 안쪽 지점(10)과 가장 바깥쪽 지점(11) 사이에 반경 방향(5)으로 연장부(9)를 갖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프리로드 요소(7)는, 연장부(9)의 반경 방향(5) 가장 바깥쪽 지점(11)으로부터 최대 5%의 거리(13)에 배열된 제1 부위(12)에서 상기 진자 매스(4)와 접촉하는, 원심력 진자(1).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플랜지(2, 3)는 가장 큰 직경(15)을 갖는 외부 원주 라인(14)을 갖고, 적어도 하나의 제1 프리로드 요소(7)는, 반경 방향(5)으로 가장 큰 직경(15) 외부에 배열된 제1 부위(12)에서 진자 매스((4)와 접촉하는, 원심력 진자(1).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프리로드 요소(7)는 모든 원심력 진자(4)와 접촉하는 환형 프리로드 요소인, 원심력 진자(1).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플랜지(2, 3)는 외부 원주 라인(14)을 갖고, 상기 외부 원주 라인(14)은 상기 진자 매스(4) 사이의 원주 방향(17)으로 제1 각도 부위(16)에서 연장되고, 반경 방향(5)에서 더 작은 제1 직경(18)을 가지며; 상기 외부 원주 라인(14)은 제2 각도 부위(19)에서 원주 방향(17)으로 연장되고, 상기 진자 매스(4)에 인접하도록 제2 각도 부위(19) 사이에 배열되고, 반경 방향(5)에서 더 큰 제2 직경(20)을 갖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프리로드 요소(7)는 상기 제2 각도 부위(1)에서 그리고 상기 제1 부위(18) 외부에서 반경 방향(5)으로 상기 진자 매스(4)와 접촉하는, 원심력 진자(1).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프리로드 요소(7)는 제1 직경(18) 외부에서 반경 방향(5)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플랜지(2, 3)와 접촉하는, 원심력 진자(1).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프리로드 요소(7)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플랜지(2, 3)보다 더 반경 방향(5) 바깥 쪽에서 상기 진자 매스(4)와 접촉하는 원심력 진자(1).
  7. 제1항 또는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프리로드 요소(21)는 반경 방향(5)으로 제1 프리로드 요소(7) 내부에 배열되는, 원심력 진자(1).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제1 프리로드 요소(7)는 비탄성 스페이서인, 원심력 진자(1).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원심력 진자(1)는 제1 플랜지(2) 및 제2 플랜지(3)를 갖고, 상기 복수의 진자 매스(4)가 축 방향(8)으로 이들 사이에 배열되는, 원심력 진자(1).
  10. 카운터 플레이트(26), 압력 플레이트(27), 및 카운터 플레이트(26)와 압력 플레이트(27) 사이에 배열된 클러치 디스크 (28)를 적어도 포함하며,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원심력 진자(1)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클러치 디스크(25).
KR1020207029574A 2018-04-20 2019-04-11 원심력 진자 Active KR10275171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8109558.9A DE102018109558A1 (de) 2018-04-20 2018-04-20 Fliehkraftpendel
DE102018109558.9 2018-04-20
PCT/DE2019/100334 WO2019201388A1 (de) 2018-04-20 2019-04-11 Fliehkraftpende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41453A true KR20200141453A (ko) 2020-12-18
KR102751717B1 KR102751717B1 (ko) 2025-01-10

Family

ID=663236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29574A Active KR102751717B1 (ko) 2018-04-20 2019-04-11 원심력 진자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1067149B2 (ko)
EP (1) EP3781839B1 (ko)
JP (1) JP7026821B2 (ko)
KR (1) KR102751717B1 (ko)
CN (1) CN112041590B (ko)
DE (2) DE102018109558A1 (ko)
WO (1) WO2019201388A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0034812A1 (de) * 2009-09-17 2011-03-24 Schaeffler Technologies Gmbh & Co. Kg Schwungrad und Reibungskupplung
CN106337898A (zh) * 2015-07-08 2017-01-18 舍弗勒技术股份两合公司 离心力摆装置
CN106461012A (zh) * 2014-06-18 2017-02-22 舍弗勒技术股份两合公司 离心力摆
KR20170051312A (ko) * 2015-10-30 2017-05-11 발레오 앙브라이아쥐 토션 진동 댐핑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6028552B4 (de) 2005-10-29 2024-05-08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Kupplungseinrichtung mit Kupplungsscheibe
DE102009050353A1 (de) 2008-11-19 2010-05-20 Luk Lamellen Und Kupplungsbau Beteiligungs Kg Drehschwingungsdämpfer mit separater Trägerscheibe für Pendelmassen
DE102009042812A1 (de) 2008-11-24 2010-05-27 Luk Lamellen Und Kupplungsbau Beteiligungs Kg Torsionsdämpfungseinrichtung
DE102010049553A1 (de) 2009-11-05 2011-05-12 Schaeffler Technologies Gmbh & Co. Kg Fliehkraftpendeleinrichtung
CN102762887B (zh) 2009-12-21 2016-07-20 舍弗勒技术股份两合公司 离心力摆装置
CN102792058B (zh) 2010-03-11 2015-03-25 舍弗勒技术股份两合公司 离心摆重装置
CN102792059B (zh) 2010-03-11 2015-09-23 舍弗勒技术股份两合公司 离心摆装置
DE102010029464A1 (de) 2010-05-28 2011-12-01 Zf Friedrichshafen Ag Torsionsschwingungsdämpferanordnung und Schwingungsdämpfereinrichtung, insbesondere in einer Torsionsschwingungsdämpferanordnung
DE102011086532A1 (de) 2010-12-15 2012-06-21 Schaeffler Technologies Gmbh & Co. Kg Fliehkraftpendel und Kupplungsscheibe mit demselben
DE102012220560A1 (de) 2011-12-05 2013-06-06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Fliehkraftpendeleinrichtung
FR2984983B1 (fr) 2011-12-22 2017-01-13 Valeo Embrayages Dispositif de filtration comportant des moyens d'amortissement par frottement
EP2872796B2 (de) 2012-07-12 2023-06-21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Drehzahladaptiver schwingungstilger und drehschwingungsdämpfer mit diesem
DE112013006148A5 (de) * 2012-12-20 2015-09-03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Fliehkraftpendel
US10094444B2 (en) * 2013-09-26 2018-10-09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Centrifugal pendulum device
DE102013225622A1 (de) * 2013-12-11 2015-06-11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Drehmomentübertragungsvorrichtung
EP3105464B1 (de) * 2014-02-11 2022-03-09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Normal-eingerückte kupplungsvorrichtung
DE102014211427A1 (de) 2014-06-16 2015-12-17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Sensoraufnahme für einen hydraulischen Zylinder und Verfahren zum Fixieren eines Sensors
DE102014212771A1 (de) 2014-07-02 2016-01-07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Pendelmasse sowie Verwendung einer Pendelmasse
DE102014217304A1 (de) 2014-08-29 2016-03-03 Zf Friedrichshafen Ag Fliehkraftpendeleinrichtung
DE102014217460A1 (de) 2014-09-02 2016-03-03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Einrichtung zur Übertragung von Drehmoment
DE102014217459B4 (de) 2014-09-02 2024-04-18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Einrichtung zur Übertragung von Drehmoment
JP6531387B2 (ja) 2014-12-22 2019-06-19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ダンパ装置
DE102016200129A1 (de) * 2015-02-06 2016-08-11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Fliehkraftpendel
DE102016223192A1 (de) * 2015-11-24 2017-05-24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Fliehkraftpendeleinrichtung
DE102017104968B4 (de) 2017-03-09 2020-06-18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Fliehkraftpendel und Antriebsanordnung für ein Kraftfahrzeug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0034812A1 (de) * 2009-09-17 2011-03-24 Schaeffler Technologies Gmbh & Co. Kg Schwungrad und Reibungskupplung
CN106461012A (zh) * 2014-06-18 2017-02-22 舍弗勒技术股份两合公司 离心力摆
CN106337898A (zh) * 2015-07-08 2017-01-18 舍弗勒技术股份两合公司 离心力摆装置
KR20170051312A (ko) * 2015-10-30 2017-05-11 발레오 앙브라이아쥐 토션 진동 댐핑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201388A1 (de) 2019-10-24
JP7026821B2 (ja) 2022-02-28
JP2021519899A (ja) 2021-08-12
KR102751717B1 (ko) 2025-01-10
US11067149B2 (en) 2021-07-20
EP3781839A1 (de) 2021-02-24
CN112041590B (zh) 2022-05-17
DE102018109558A1 (de) 2019-10-24
CN112041590A (zh) 2020-12-04
EP3781839B1 (de) 2023-03-08
DE112019002058A5 (de) 2020-12-31
US20210180664A1 (en) 2021-06-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88098B2 (en) Clutch disk comprising a centrifugal pendulum
CN104246287B (zh) 旋转减振组件
JP6274796B2 (ja) 自動車用のトルク伝達装置
JP6100362B2 (ja) 特に自動車のトランスミッションのための振り子式ダンパ装置
KR102032574B1 (ko) 가이드 와셔에 대하여 축방향으로 오프셋된 진자 플라이웨이트를 포함하는 토션 감쇠 장치
KR20150120375A (ko) 자동차의 클러치의 마찰 디스크용 토션 댐퍼
KR20110103450A (ko) 자동차용으로 특히 적합한 유연성 플라이휠
US10309482B2 (en) Damper for an automobile clutch
JP2018535372A (ja) 振子減衰装置
US10788099B2 (en) Torsional vibration damper
JP2017530317A (ja) ブレード付きトーショナルダンパ
KR102460355B1 (ko) 원심력 추를 구비한 클러치 디스크
US20140338493A1 (en) Dual mass flywheel
KR101724474B1 (ko) 플라이휠 조립체
KR102391462B1 (ko) 진자식 댐핑 장치를 구비한 토크 전달 장치
KR102523248B1 (ko) 토션 진동 댐핑 장치
CN111247355B (zh) 具有施加至间隔件的压力的摆式阻尼装置
JP6425593B2 (ja) 動吸振装置、及び流体継手
KR102751717B1 (ko) 원심력 진자
KR100973153B1 (ko) 토션댐퍼플라이휠
KR20200135197A (ko) 적어도 제 1 댐퍼 및 동적 진동 흡수기가 장착된 전달 장치
CN105276021A (zh) 用于间置在汽车的曲轴与变速箱之间的摩擦离合器
CN112145624B (zh) 带离心力摆的扭振减振器
EP3369963B1 (en) Torsional vibration damper for automotive applications
JP6827311B2 (ja) ダンパ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01015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20407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030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41015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