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래,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더 설명하였다. 본 발명에 의해 제공되는 식(I)으로 표시되는 종양 치료를 위한 백금 착체, 이의 바람직한 화합물의 대표적인 예도 하기 표 1에 열거될 수 있지만, 본 발명에 포함되는 백금 착체은 하기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화합물 번호 |
구조 |
명명 |
1 |
|
디아미노백금(II)[3-메틸렌-(2-O-L-아스코르브산)시클로부탄-1,1-디카르복실산] |
2 |
|
디아미노백금(II)[3-메틸렌-(3-O-L-아스코르브산)시클로부탄-1,1-디카르복실산] |
3 |
|
디아미노백금(II)[3-포르메이트-(6-O-L-아스코르브산)시클로부탄-1,1-디카르복실산] |
4 |
|
디아미노백금(II)[3-에틸렌-(2-O-L-아스코르브산)시클로부탄-1,1-디카르복실산] |
5 |
|
디아미노백금(II)[3-에틸렌-(3-O-L-아스코르브산)시클로부탄-1,1-디카르복실산] |
6 |
|
디아미노백금(II)[3-아세테이트-(6-O-L-아스코르브산)시클로부탄-1,1-디카르복실산] |
7 |
|
디아미노백금(II)[3-프로필렌-(2-O-L-아스코르브산)시클로부탄-1,1-디카르복실산] |
8 |
|
디아미노백금(II)[3-프로필렌-(3-O-L-아스코르브산)시클로부탄-1,1-디카르복실산] |
9 |
|
디아미노백금(II)[3-프로피오네이트-(6-O-L-아스코르브산)시클로부탄-1,1-디카르복실산] |
10 |
|
시스-[트랜스-(1R,2R)-다이아미노시클로헥산]백금(II)[3-메틸렌-(2-O-L-아스코르브산)시클로부탄-1,1-디카르복실산] |
11 |
|
시스-[트랜스-(1R,2R)-다이아미노시클로헥산]백금(II)[3-메틸렌-(3-O-L-아스코르브산)시클로부탄-1,1-디카르복실산] |
12 |
|
시스-[트랜스-(1R,2R)-다이아미노시클로헥산]백금(II)[3-포르메이트-(6-O-L-아스코르브산)시클로부탄-1,1-디카르복실산] |
13 |
|
시스-[트랜스-(1R,2R)-다이아미노시클로헥산]백금(II)[3-에틸렌-(2-O-L-아스코르브산)시클로부탄-1,1-디카르복실산] |
14 |
|
시스-[트랜스-(1R,2R)-다이아미노시클로헥산]백금(II)[3-에틸렌-(3-O-L-아스코르브산)시클로부탄-1,1-디카르복실산] |
15 |
|
시스-[트랜스-(1R,2R)-다이아미노시클로헥산]백금(II)[3-아세테이트-(6-O-L-아스코르브산)시클로부탄-1,1-디카르복실산] |
16 |
|
시스-[트랜스-(1R,2R)-다이아미노시클로헥산]백금(II)[3-프로필렌-(2-O-L-아스코르브산)시클로부탄-1,1-디카르복실산] |
17 |
|
시스-[트랜스-(1R,2R)-다이아미노시클로헥산]백금(II)[3-프로필렌-(3-O-L-아스코르브산)시클로부탄-1,1-디카르복실산] |
18 |
|
시스-[트랜스-(1R,2R)-다이아미노시클로헥산]백금(II)[3-프로피오네이트-(6-O-L-아스코르브산)시클로부탄-1,1-디카르복실산] |
<실시예 화합물 리스트>
실시예 1
디아미노백금(II)[3-메틸렌-(2-O-L-아스코르브산)시클로부탄-1,1-디카르복실산]의 제조
(1) 디-tert-부틸 3-벤질옥시메틸-시클로부탄-1,1-디카르복실레이트의 제조
수소화나트륨(286 mg)을 5㎖의 N,N-디메틸포름아미드에 현탁시키고, 질소가스로 플라스크 내 공기를 치환하며, 플라스크를 빙욕에 놓는다. 질소가스 보호 하에 디-tert-부틸말로네이트(1.6㎖)를 천천히 적가하고, 0.5 시간 동안 반응시킨 후, 2-벤질옥시메틸-1,3-디브로모프로판(1.15g)의 N,N-디메틸포름아미드(5㎖) 용액을 천천히 적가하며, 반응액을 70℃까지 승온시키고, 7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TLC로 반응 종점을 모니터링하고, 반응이 완료된 후, 반응액을 실온까지 냉각시키며, 반응액에 100㎖의 에틸아세테이트를 넣은 다음, 포화 염화암모늄 수용액(1 x 50㎖)으로 세척하고, 수상을 에틸아세테이트로 추출(2 x 25㎖)하며, 유기상을 합병하였다. 유기상을 포화 염화암모늄 수용액(1 x 100㎖), 증류수(1 x 100㎖), 포화 염화나트륨 용액(1 x 100㎖)으로 순차적으로 세척한 다음,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하고, 용매를 감압 농축하며, 얻은 담황색 오일상 산물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석유 에테르/에틸아세테이트 = 50/1)로 정제하여, 1.1g의 무색 투명 오일상 목적 산물을 얻었다.
1H NMR (600 MHz, CDCl3) δ 7.35 - 7.27 (m, 5H), 4.50 (s, 2H), 3.43 (d, J = 6.5 Hz, 2H), 2.63 - 2.58 (m, 1H), 2.53 (t, J = 10.2 Hz, 2H), 2.24 (t, J = 9.9 Hz, 2H), 1.46 (s, 9H), 1.43 (s, 9H). MS(m/z): 399.1 [M + Na]+
(2) 디-tert-부틸 3-히드록시메틸-시클로부탄-1,1-디카르복실레이트의 제조
디-tert-부틸 3-벤질옥시메틸-시클로부탄-1,1-디카르복실레이트(1.1g)를 10㎖의 메탄올에 용해시키고, 10%의 팔라듐 카본(0.1g)을 넣으며, 질소가스로 플라스크 내 공기를 3회 치환한 다음, 수소가스로 플라스크 내 질소가스를 3회 치환하고, 반응액을 수소가스 가압 하에 실온에서 하룻밤 교반하였다. 반응이 완료된 후, 질소가스로 플라스크 내 수소가스를 치환하고, 여과한 후, 필터 케이크를 메탄올로 3회 세척하고, 여과액을 감압 농축한 후, 건조시켜, 0.8g의 무색 투명 오일상 산물을 얻었다.
1H NMR (600 MHz, CDCl3) δ 3.60 (brs, 2H), 2.52 (brs, 3H), 2.26 - 2.25 (m, 2H), 1.47 (s, 9H), 1.45 (s, 9H). MS(m/z): 309.1 [M + Na]+
(3) 디-tert-부틸 3-브로모메틸-시클로부탄-1,1-디카르복실레이트의 제조
디-tert-부틸 3-히드록시메틸-시클로부탄-1,1-디카르복실레이트(0.8g)을 5㎖의 건조한 디클로로메탄에 용해시키고, 빙욕에서 트리페닐포스핀(1.1g)의 디클로로메탄 용액(5㎖)을 천천히 넣으며, 10분 동안 반응시킨 후, 사브롬화탄소(1.4g)의 디클로로메탄 용액(5㎖)을 천천히 적가하고, 반응액을 실온까지 천천히 승온시키며,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TLC로 반응 종점을 모니터링하고, 반응이 완료된 후, 용매를 감압 농축하며,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석유 에테르/에틸아세테이트 = 50/1)로 정제하여, 0.9g의 무색 투명 오일상 목적 산물을 얻었다.
1H NMR (600 MHz, CDCl3) δ 3.41 (d, J = 7.4 Hz, 2H), 2.73 - 2.68 (m, 1H), 2.58 (t, J = 10.2 Hz, 2H), 2.21 (t, J = 9.9 Hz, 2H), 1.46 (s, 9H), 1.45 (s, 9H).MS(m/z): 371.1[M + Na]+
(4) 5,6-O-이소프로필리덴-2-O-(디-tert-부틸 3-메틸렌-시클로부탄-1,1-디카르복실레이트)-3-O-벤질-L-아스코르브산의 제조
실온 조건에서, 5,6-O-이소프로필리덴-3-벤질-L-아스코르브산(1.4g) 및 디-tert-부틸 3-브로모메틸-시클로부탄-1,1-디카르복실레이트(0.8g)를 10㎖의 디메틸술폭시드에 용해시키고, 반응액에 탄산칼륨(0.6g)을 넣으며, 반응액을 50℃까지 승온시키고,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TLC로 반응 종점을 모니터링하고, 반응이 완료된 후, 반응액을 실온까지 냉각시키며, 반응액에 50㎖의 물을 넣어 희석하고, 1M의 희염산으로 중화시킨 다음, 100㎖의 에틸아세테이트로 추출하며, 유기상을 증류수(1 x 100㎖), 포화 염화나트륨 용액(1 x 100㎖)으로 순차적으로 세척한 다음,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키고, 회전증발기로 용매를 증발 건조시키며, 얻은 오일상 산물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석유 에테르/에틸아세테이트 = 5/1)로 정제하여, 0.9g의 무색 투명 오일상 산물을 얻었다.
1H NMR (600 MHz, CDCl3) δ 7.43 - 7.34 (m, 5H), 5.47 (s, 2H), 4.54 (d, J = 2.3 Hz, 1H), 4.30 - 4.28 (m, 1H), 4.12 - 4.07 (m, 2H), 4.04 - 4.01 (m, 2H), 2.71 - 2.69 (m, 1H), 2.56 - 2.51 (m, 2H), 2.36 - 2.29 (m, 2H), 1.46 (s, 9H), 1.43 (s, 9H), 1.39 (s, 3H), 1.36 (s, 3H).MS(m/z): 597.2 [M + Na]+
(5) 5,6-O-이소프로필리덴-2-O-(디-tert-부틸 3-메틸렌-시클로부탄-1,1-디카르복실레이트) L-아스코르브산의 제조
5,6-O-이소프로필리덴-2-O-(디-tert-부틸 3-메틸렌-시클로부탄-1,1-디카르복실레이트)-3-O-벤질-L-아스코르브산(0.9g)을 10㎖의 에탄올에 용해시키고, 5%의 팔라듐 카본(0.1g)을 넣으며, 질소가스로 플라스크 내 공기를 3회 치환한 다음, 수소가스로 플라스크 내 질소가스를 3회 치환하고, 반응액을 수소가스 가압 하에 실온에서 하룻밤 교반하였다. 반응이 완료된 후, 질소가스로 플라스크 내 수소가스를 치환하며, 여과하고, 필터 케이크를 에탄올로 3회 세척하고, 여과액을 감압 농축하여, 0.7g의 무색 투명 오일상 산물을 얻었다.
1H NMR (600 MHz, CDCl3) δ 4.65 (d, J = 2.9 Hz, 1H), 4.35 - 4.33 (m, 1H), 4.19 - 3.99 (m, 4H), 2.72 - 2.61 (m, 2H), 2.54 - 2.52 (m, 3H), 1.46 (s, 9H), 1.46 (s, 9H), 1.41 (s, 3H), 1.37 (s, 3H). MS(m/z): 507.2 [M + Na]+
(6) 2-O-(3-메틸렌-시클로부탄-1,1-디카르복실산) L-아스코르브산의 제조
5,6-O-이소프로필리덴-2-O-(디-tert-부틸 3-메틸렌-시클로부탄-1,1-디카르복실레이트) L-아스코르브산(0.7g)을 10㎖의 디클로로메탄에 용해시키고, 0℃까지 냉각시키며, 질소가스 보호 하에 트리플루오로아세테이트(5㎖)를 천천히 적가하였다. 반응액을 실온까지 천천히 승온시키며, 하룻밤 교반하였다. 반응이 완료된 후, 감압 농축하여 용매를 제거하고, 동결 건조기로 건조시킨 후 0.4g의 무색의 점성 액체를 얻으며, 조품을 다음 단계의 반응에 직접 사용하였다.
MS(m/z): 355.1[M + Na]+
(7) 디아미노백금(II)[3-메틸렌-(2-O-L-아스코르브산)시클로부탄-1,1-디카르복실산]의 제조
2-O-(3-메틸렌-시클로부탄-1,1-디카르복실산) L-아스코르브산 조품(0.4g)을 10㎖의 물에 용해시키고, 수산화바륨 포화 용액을 넣어 반응액의 pH를 7까지 조절하며, 실온에서 30분 동안 교반하였다. 질소가스 보호 하에 디아민 백금 설페이트(0.4g)를 2㎖의 물에 용해시키고, 이 용액을 상기 반응액에 넣으며, 수산화바륨 포화 용액으로 pH를 7까지 조절하고, 실온, 차광 조건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HPLC로 반응을 측정하고, 반응이 완료된 후, 원심분리기를 사용하여 침전을 제거하고, 상청액을 수집하며, 반분취(Semi-Preparative) 고압 액체 크로마토그래피로 분리하고 동결 건조기를 사용하여 동결 건조시켜 0.3g의 최종 산물인 백색 고체를 얻었다.
1H NMR (400 MHz, D2O) δ 4.98 (d, J = 1.3 Hz, 1H), 4.20 (brs, 4H), 4.09 (td, J = 6.9, 1.7 Hz, 1H), 3.99 (d, J = 4.6 Hz, 2H), 3.75 (d, J = 6.8 Hz, 2H), 3.13 - 3.06 (m, 2H), 2.68 - 2.62 (m, 3H).
MS(m/z): 582.0 [M + Na]+
실시예 2
디아미노백금(II)[3-메틸렌-(3-O-L-아스코르브산)시클로부탄-1,1-디카르복실산]의 제조
(1) 5,6-O-이소프로필리덴-3-O-(디-tert-부틸 3-메틸렌-시클로부탄-1,1-디카르복실레이트) L-아스코르브산의 제조
실온 조건에서, 5,6-O-이소프로필리덴 L-아스코르브산(0.8g)을 5㎖의 디메틸술폭시드에 용해시키고, 탄산수소나트륨(0.3g)을 넣으며, 반응액을 20분 동안 교반한 후, 디-tert-부틸 3-브로모메틸-시클로부탄-1,1-디카르복실레이트(0.9g)의 디메틸술폭시드 용액(5㎖)을 넣고, 반응액을 60℃까지 승온시키며, 하룻밤 교반하였다. TLC로 반응 종점을 모니터링하고, 반응이 완료된 후, 반응액을 실온까지 냉각시키며, 반응액에 50㎖의 물을 넣어 희석하고, 1M의 희염산으로 중화시킨 다음, 100㎖의 에틸아세테이트로 추출하며, 유기상을 증류수(1 x 100㎖), 포화 염화나트륨 용액(1 x 100㎖)으로 순차적으로 세척하고,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한 후, 감압 농축하고, 얻어진 황색 오일상 산물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석유 에테르/에틸아세테이트 = 5/1)로 정제하여, 0.87g의 무색 투명 오일상 목적 산물을 얻었다.
1H NMR (600 MHz, CDCl3) δ 4.56 (d, J = 2.8 Hz, 1H), 4.45 (d, J = 5.9 Hz, 2H), 4.27 - 4.24 (m, 1H), 4.14 (t, J = 7.5 Hz, 1H), 4.03 (t, J = 7.8 Hz, 1H), 2.76 - 2.71 (m, 1H), 2.59 - 2.49 (m, 2H), 2.33 - 2.30 (m, 2H), 1.47 (s, 9H), 1.45 (s, 9H), 1.39 (s, 3H), 1.37 (s, 3H). MS(m/z): 507.2 [M + Na]+
(2) 3-O-(3-메틸렌-시클로부탄-1,1-디카르복실산) L-아스코르브산의 제조
5,6-O-이소프로필리덴-3-O-(디-tert-부틸 3-메틸렌-시클로부탄-1,1-디카르복실레이트) L-아스코르브산(0.87g)을 10㎖의 디클로로메탄에 용해시키고, 0℃까지 냉각시키며, 질소가스 보호 하에 트리플루오로아세테이트(5㎖)를 천천히 적가하였다. 반응액을 실온까지 천천히 승온시키며, 하룻밤 교반하였다. 반응이 완료된 후, 감압하여 용매를 제거하고, 동결 건조기로 건조시킨 후, 얻어진 0.5g의 무색의 점성 액체의 조품을 다음 단계의 반응에 직접 사용하였다.
MS(m/z): 355.1 [M + Na]+
(3) 디아미노백금(II)[3-메틸렌-(3-O-L-아스코르브산)시클로부탄-1,1-디카르복실산]의 제조
3-O-(3-메틸렌-시클로부탄-1,1-디카르복실산)L-아스코르브산 조품(0.5g)을 10㎖의 물에 용해시키고, 수산화바륨 포화 용액을 넣어 반응액의 pH를 7까지 조절하며, 실온에서 30분 동안 교반하였다. 질소가스 보호 하에 디아민 백금 설페이트(0.5g)를 2㎖의 물에 용해시키고, 상기 반응액에 넣으며, 수산화바륨 포화 용액으로 pH를 7까지 조절하고, 실온, 차광 조건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HPLC로 반응을 측정하고, 반응이 완료된 후, 원심분리기를 사용하여 침전을 제거하고, 상청액을 수집하며, 반분취 고압 액체 크로마토그래피로 분리하고 동결 건조기를 사용하여 동결 건조시켜 0.4g의 최종 산물인 백색 고체를 얻었다.
1H NMR (400 MHz, D2O) δ 4.95 (d, J = 1.7 Hz, 1H), 4.56 - 4.48 (m, 2H), 4.19 (brs, 6H), 4.07 - 4.01 (m, 1H), 3.75 - 3.73 (m, 2H), 3.14 - 3.03 (m, 2H), 2.81 - 2.66 (m, 3H). MS(m/z): 582.0 [M + Na]+
실시예 3
디아미노백금(II)[3-포름산-(6-O-L-아스코르브산)시클로부탄-1,1-디카르복실산]의 제조
(1) 디-tert-부틸 3-카르복실산-시클로부탄-1,1-디카르복실레이트의 제조
디-tert-부틸 3-히드록시메틸-시클로부탄-1,1-디카르복실레이트(0.8g)를 10㎖의 아세톤에 용해시키고, 빙욕 조건 하에서 존스 시약(420 mg의 삼산화크롬, 371㎕의 농황산, 물을 넣어 1.6㎖까지 희석함)을 천천히 적가하며, 반응액을 실온까지 천천히 승온시키고, 2시간 동안 교반하며, TLC로 반응을 모니터링하고, 반응이 종료된 후, 몇 방울의 이소프로판올을 적가하여 과량의 산화제를 제거하였다. 반응액을 여과하고, 회전증발기로 용매를 증발 건조시켜 얻어진 녹색 오일상 산물을 물로 희석하고, 에틸아세테이트로 추출한 후, 유기상을 포화 염화나트륨 용액으로 세척하고,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킨 후, 용매를 감압 농축하여 0.76g의 백색 고체의 조품을 얻고, 이를 다음 단계의 반응에 직접 사용하였다.
MS(m/z): 323.0[M + Na]+
(2) 2-O-벤질-3-O-벤질-6-O-(디-tert-부틸 3-포르메이트-시클로부탄-1,1-디카르복실레이트) L-아스코르브산의 제조
디-tert-부틸 3-카르복실산-시클로부탄-1,1-디카르복실레이트(0.76g)를 10㎖의 디클로로메탄에 용해시키고, 디시클로헥실카르보디이미드 ( 0.622g), 촉매량의 4-디메틸아미노피리딘을 넣으며, 반응액을 0.5시간 동안 교반한 후, 2-O-벤질-3-O-벤질-L-아스코르브산(1.1g)의 디클로로메탄 용액(5㎖)을 천천히 적가하고, 반응액을 실온에서 하룻밤 교반하였다. TLC로 반응을 모니터링하고, 반응이 종료된 후, 여과하고, 여과액을 회전증발기로 농축하며, 얻은 황색 오일상 산물을 직접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석유 에테르/에틸아세테이트 = 7/1)로 정제하여, 1.0g의 백색과 유사한 고체 산물을 얻었다.
1H NMR (400 MHz, CDCl3) δ 7.40 - 7.20 (m,10H), 5.22 - 5.08 (m, 4H), 4.67 (d, J = 2.0 Hz, 1H), 4.28 (ddd, J = 16.3, 11.5, 5.9 Hz, 2H), 4.09 - 4.05 (m, 1H), 3.20 - 3.08 (m, 1H), 2.77 - 2.61 (m, 4H), 1.46 (s, 9H), 1.43 (s, 9H). MS(m/z): 661.2 [M + Na]+
(3) 6-O-(디-tert-부틸 3-포르메이트-시클로부탄-1,1-디카르복실레이트)L-아스코르브산의 제조
2-O-벤질-3-O-벤질-6-O-(디-tert-부틸 3-포르메이트-시클로부탄-1,1-디카르복실레이트) L-아스코르브산(1.0g)을 10㎖의 에탄올에 용해시키고, (0.1g) 5%의 팔라듐 카본을 넣으며, 질소가스로 플라스크 내 공기를 3회 치환한 다음, 수소가스로 플라스크 내 질소가스를 3회 치환하고, 반응액을 수소가스 가압 하에 실온에서 하룻밤 교반하였다. 반응이 완료된 후, 질소가스로 플라스크 내 수소가스를 치환하며, 여과하고, 필터 케이크를 에탄올로 3회 세척하며, 용매를 감압 농축하여, 0.68g의 무색 투명 오일상 산물을 얻고, 이 조품을 다음 단계의 반응에 직접 사용하였다.
MS(m/z): 481.2 [M + Na]+
(4) 6-O-(3-포르메이트-시클로부탄-1,1-디카르복실산)L-아스코르브산의 제조
6-O-(디-tert-부틸 3-포르메이트-시클로부탄-1,1-디카르복실레이트) L-아스코르브산(0.68g)을 10㎖의 디클로로메탄에 용해시키고, 0℃까지 냉각시키며, 질소가스 보호 하에 트리플루오로아세테이트(5㎖)를 천천히 적가하였다. 반응액을 실온까지 천천히 승온시키며, 하룻밤 교반하였다. 반응이 완료된 후, 회전증발기로 용매를 제거하고, 동결 건조기로 건조시킨 후 0.5g의 무색의 점성 액체를 얻고, 이 조품을 다음 단계의 반응에 직접 사용하였다.
MS(m/z): 369.2 [M + Na]+
(5) 디아미노백금(II)[3-포르메이트-(6-O-L-아스코르브산)시클로부탄-1,1-디카르복실산]의 제조
6-O-(3-포르메이트-시클로부탄-1,1-디카르복실산)L-아스코르브산 조품(0.5g)을 10㎖의 물에 용해시키고, 포화 수산화바륨 용액을 넣어 반응액의 pH를 7까지 조절하며, 실온에서 30분 동안 교반하였다. 질소가스 보호 하에 시클로헥산디아민 백금 설페이트(0.45g)를 2㎖의 물에 용해시키고, 상기 반응액에 넣으며, 수산화바륨 용액으로 pH를 7까지 조절하고, 실온, 차광 조건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HPLC로 반응을 측정하고, 반응이 완료된 후, 원심분리기를 사용하여 침전을 제거하고, 상청액을 수집하며, 반분취 고압 액체 크로마토그래피로 분리하고 동결 건조기를 사용하여 동결 건조시켜 0.4g의 최종 산물인 백색 고체를 얻었다.
1H NMR (400 MHz, D2O) δ 4.95 (brs, 1H), 4.35 - 4.24 (m, 3H), 4.20 (brs, 5H), 3.28 - 3.16 (m, 3H), 3.10 - 3.08 (m, 2H). MS(m/z): 596.0 [M + Na]+
실시예 4
디아미노백금(II)[3-에틸렌-(2-O-L-아스코르브산)시클로부탄-1,1-디카르복실산]의 제조
(1) 디-tert-부틸 3-벤질옥시에틸-시클로부탄-1,1-디카르복실레이트의 제조
수소화나트륨(452 mg)을 10㎖의 N,N-디메틸포름아미드에 현탁시키고, 질소가스로 플라스크 내 공기를 치환하며, 플라스크를 빙욕에 놓는다. 질소가스 보호 하에 디-tert-부틸말로네이트(2.5㎖)를 천천히 적가하고, 0.5 시간 동안 반응시킨 후, 2-벤질옥시에틸-1,3-디브로모프로판(1.9g)의 N,N-디메틸포름아미드 용액(5㎖)을 천천히 적가하고, 반응액을 70℃까지 승온시키고, 7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TLC로 반응 종점을 모니터링하고, 반응이 완료된 후, 반응액을 실온까지 냉각시키며, 반응액에 100㎖의 에틸아세테이트를 넣은 다음, 포화 염화암모늄 수용액(1 x 50㎖)으로 세척하고, 수상을 에틸아세테이트로 추출(2Х25㎖)하며, 유기상을 합병하였다. 유기상을 포화 염화암모늄 수용액(1 x 100㎖), 증류수(1 x 100㎖), 포화 염화나트륨 용액(1 x 100㎖)으로 순차 세척하고,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키며, 감압 농축하고, 얻은 담황색 오일상 산물,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석유 에테르/에틸아세테이트 = 50/1)로 정제하여, 1.7g의 무색 투명 오일상 산물을 얻었다.
1H NMR (600 MHz, CDCl3) δ 7.35 - 7.27 (m, 5H), 4.47 (s, 2H), 3.40 (t, J = 6.3 Hz, 2H), 2.53 (t, J = 10.2 Hz, 2H), 2.46 - 2.40 (m, 1H), 2.11 (t, J = 9.9 Hz, 2H), 1.72 (q, J = 6.6 Hz, 2H), 1.46 (s, 9H), 1.44 (s, 9H). MS(m/z): 413.2 [M + Na]+
(2) 디-tert-부틸 3-히드록시에틸-시클로부탄-1,1-디카르복실레이트의 제조
디-tert-부틸 3-벤질옥시에틸-시클로부탄-1,1-디카르복실레이트(1.7g)를 10㎖의 메탄올에 용해시키고, 10%의 팔라듐 카본(0.1g)을 넣으며, 질소가스로 플라스크 내 공기를 3회 치환한 다음, 수소가스로 플라스크 내 질소가스를 3회 치환하고, 반응액을 수소가스 가압 하에 실온에서 하룻밤 교반하였다. 반응이 완료된 후, 질소가스로 플라스크 내 수소가스를 치환하며, 여과하고, 필터 케이크를 메탄올로 3회 세척하고, 여과액을 감압 농축하여, 1.3g의 무색 투명 오일상 산물을 얻었다.
1H NMR (600 MHz, CDCl3) δ 3.59 (t, J = 6.4 Hz, 2H), 2.56 (t, J = 9.9 Hz, 2H), 2.45 - 2.39 (m, 1H), 2.13 (t, J = 10.8 Hz, 2H), 1.68 (q, J = 6.6 Hz, 2H), 1.46 (s, 9H), 1.44 (s, 9H). MS(m/z): 323.2 [M + Na]+
(3) 디-tert-부틸 3-브로모에틸-시클로부탄-1,1-디카르복실레이트의 제조
디-tert-부틸 3-히드록시에틸-시클로부탄-1,1-디카르복실레이트(1.3g)를 10㎖의 건조한 디클로로메탄에 용해시키고, 빙욕에서 트리페닐포스핀(1.7g)의 디클로로메탄 용액(5㎖)을 천천히 넣으며, 10분 동안 반응시킨 후, 사브롬화탄소(2.1g)의 디클로로메탄 용액(5㎖)을 천천히 적가하고, 반응액을 실온까지 천천히 승온시키며,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TLC로 반응 종점을 모니터링하고, 반응이 완료된 후, 반응액을 감압 농축하고,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석유 에테르/에틸아세테이트 = 50/1)로 정제하여, 1.4g의 무색 투명 오일상 산물을 얻었다.
1H NMR (600 MHz, CDCl3) δ 3.30 (t, J = 6.8 Hz, 2H), 2.58 (t, J = 9.9 Hz, 2H), 2.50 - 2.44 (m, 1H), 2.11 (t, J = 10.2 Hz, 2H), 1.98 (q, J = 6.9 Hz, 2H), 1.47 (s, 9H), 1.45 (s, 9H). MS(m/z): 385.1 [M + Na]+
(4) 5,6-O-이소프로필리덴-2-O-(디-tert-부틸 3-에틸렌-시클로부탄-1,1-디카르복실레이트)-3-O-벤질-L-아스코르브산의 제조
실온 조건에서, 5,6-O-이소프로필리덴-3-O-벤질-L-아스코르브산(2.4g) 및 디-tert-부틸 3-브로모에틸-시클로부탄-1,1-디카르복실레이트(1.4g)를 10㎖의 디메틸술폭시드에 용해시키고, 반응액에 탄산칼륨(1.1g)을 넣으며, 반응액을 50℃까지 승온시키고,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TLC로 반응 종점을 모니터링하고, 반응이 완료된 후, 반응액을 실온까지 냉각시키며, 반응액에 50㎖의 물을 넣어 희석하고, 1M의 희염산으로 중화시킨 다음, 에틸아세테이트로 추출하고, 유기상을 증류수(1 x 100㎖), 포화 염화나트륨 용액(1 x 100㎖)으로 순차 세척하고,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키고, 감압 농축하고, 얻은 담황색 오일상 산물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석유 에테르/에틸아세테이트 = 5/1)로 정제하여, 1.7g의 무색 투명 오일상 산물을 얻었다.
1H NMR (600 MHz, CDCl3) δ 7.46 - 7.34 (m, 5H), 5.46 (s, 2H), 4.54 (brs, 1H), 4.30 (brs, 1H), 4.11 (t, J = 7.5 Hz, 1H), 4.04 (t, J = 7.5 Hz, 1H) 4.01 - 3.90 (m, 2H), 2.55 (t, J = 9.9 Hz, 2H), 2.45 - 2.39 (m, 1H), 2.12 (t, J = 9.0 Hz, 2H), 1.81 - 1.74 (m, 2H), 1.44 (s, 18H), 1.39 (s, 3H), 1.36 (s, 3H). MS(m/z): 611.3 [M + Na]+
(5) 5,6-O-이소프로필리덴-2-O-(디-tert-부틸 3-에틸렌-시클로부탄-1,1-디카르복실레이트) L-아스코르브산의 제조
5,6-O-이소프로필리덴-2-O-(디-tert-부틸 3-에틸렌-시클로부탄-1,1-디카르복실레이트)-3-O-벤질-L-아스코르브산(1.7g)을 15㎖의 에탄올에 용해시키고, 5%의 팔라듐 카본(0.1g)을 넣고, 질소가스로 플라스크 내 공기를 3회 치환한 다음, 수소가스로 플라스크 내 질소가스를 3회 치환하고, 반응액을 수소가스 가압 하에 실온에서 하룻밤 교반하였다. 반응이 완료된 후, 질소가스로 플라스크 내 수소가스를 치환하며, 여과하고, 필터 케이크를 에탄올로 3회 세척하고, 여과액을 감압 농축하여, 1.3g의 무색 투명 오일상 산물을 얻었다.
1H NMR (400 MHz, CDCl3) δ 4.68 (d, J = 3.7 Hz, 1H), 4.42 - 4.39 (m, 1H), 4.19 - 4.02 (m, 4H), 2.58 - 2.46 (m, 3H), 2.34 - 2.23 (m, 2H), 1.77 (q, J = 5.6 Hz, 2H), 1.47 (s, 9H), 1.45 (s, 9H), 1.42 (s, 3H), 1.37 (s, 3H). MS(m/z): 521.2 [M + Na]+
(6) 2-O-(3-에틸렌-시클로부탄-1,1-디카르복실산) L-아스코르브산의 제조
5,6-O-이소프로필리덴-2-O-(디-tert-부틸 3-에틸렌-시클로부탄-1,1-디카르복실레이트) L-아스코르브산(1.3g)을 10㎖의 디클로로메탄에 용해시키고, 0℃까지 냉각시키고, 질소가스 보호 하에 트리플루오로아세테이트(5㎖)를 천천히 적가하였다. 반응액을 실온까지 천천히 승온시키며, 하룻밤 교반하였다. 반응이 완료된 후, 반응액을 감압 농축하고, 동결 건조기로 건조시킨 후 0.8g의 무색의 점성 액체를 얻으며, 조품을 다음 단계의 반응에 직접 사용하였다.
MS(m/z): 369.1 [M + Na]+
(7) 디아미노백금(II)[3-에틸렌-(2-O-L-아스코르브산)시클로부탄-1,1-디카르복실산]의 제조
2-O-(3-에틸렌-시클로부탄-1,1-디카르복실산) L-아스코르브산 조품(0.8g)을 10㎖의 물에 용해시키고, 수산화바륨 포화 용액을 넣어 반응액의 pH를 7까지 조절하며, 실온에서 30분 동안 교반하였다. 질소가스 보호 하에 디아민 백금 설페이트(0.7g)를 2㎖의 물에 용해시키고, 상기 반응액에 넣고, 수산화바륨 포화 용액으로 pH를 7까지 조절하고, 실온, 차광 조건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HPLC로 반응을 측정하고, 반응이 완료된 후, 원심분리기를 사용하여 침전을 제거하고, 상청액을 수집하며, 반분취 고압 액체 크로마토그래피로 분리하고 동결 건조기를 사용하여 동결 건조시켜 0.6g의 최종 산물인 백색 고체를 얻었다.
1H NMR (600 MHz, D2O) δ 4.82 (d, J = 1.3 Hz, 1H), 4.15 (brs, 5H), 4.01 (td, J = 6.9, 1.7 Hz, 1H), 3.89 (d, J = 4.6 Hz, 2H), 3.70 (d, J = 6.8 Hz, 2H), 3.08 (brs, 2H), 2.42 (t, J = 8.7 Hz, 2H), 2.32 - 2.27 (m, 1H), 1.75 - 1.73 (m, 2H). MS(m/z): 572.0 [M - H]-
실시예 5
디아미노백금(II)[3-에틸렌-(3-O-L-아스코르브산)시클로부탄-1,1-디카르복실산]의 제조
(1) 5,6-O-이소프로필리덴-3-O-(디-tert-부틸 3-에틸렌-시클로부탄-1,1-디카르복실레이트) L-아스코르브산의 제조
실온 조건에서, 5,6-O-이소프로필리덴L-아스코르브산(1.2g)을 10㎖의 디메틸술폭시드에 용해시키고, 탄산수소나트륨(0.5g)을 넣으며, 반응액을 20분 동안 교반한 후, 디-tert-부틸 3-브로모에틸-시클로부탄-1,1-디카르복실레이트(1.4g)의 디메틸술폭시드 용액(5㎖)을 넣고, 반응액을 60℃까지 승온시키며, 하룻밤 교반하였다. TLC로 반응 종점을 모니터링하고, 반응이 완료된 후, 반응액을 실온까지 냉각시키며, 반응액에 50㎖의 물을 넣어 희석하고, 1M의 희염산으로 중화시킨 다음, 에틸아세테이트(100㎖)로 추출하고, 유기상을 증류수(1 x 100㎖), 포화 염화나트륨 용액(1 x 100㎖)으로 순차 세척한 다음,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키고, 감압 농축하고, 얻은 황색 오일상 산물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석유 에테르/에틸아세테이트 = 5/1)로 정제하여, 1.6g의 무색 투명 오일상 산물을 얻었다.
1H NMR (600 MHz, CDCl3) δ 4.52 (brs, 1H), 4.41 (t, J = 6.2 Hz, 2H), 4.26 (brs, 1H), 4.14 (t, J = 7.6 Hz, 1H), 4.02 (t, J = 7.5 Hz, 1H), 2.56 (t, J = 10.2 Hz, 2H), 2.45 - 2.40 (dt, 1H), 2.15 (t, J= 10.2 Hz, 2H), 1.85 (q, J = 8.6 Hz, 2H), 1.46 (s, 9H), 1.45 (s, 9H), 1.39 (s, 3H), 1.36 (s, 3H). MS(m/z): 521.2 [M + Na]+
(2) 3-O-(3-에틸렌-시클로부탄-1,1-디카르복실산) L-아스코르브산의 제조
5,6-O-이소프로필리덴-3-O-(디-tert-부틸 3-에틸렌-시클로부탄-1,1-디카르복실레이트) L-아스코르브산(1.6g)을 10㎖의 디클로로메탄에 용해시키고, 0℃까지 냉각시키며, 질소가스 보호 하에 트리플루오로아세테이트(5㎖)를 천천히 적가하였다. 반응액을 실온까지 천천히 승온시키고, 하룻밤 교반하였다. 반응이 완료된 후, 감압하여 용매를 제거하고, 동결 건조기로 건조시킨 후 1.0g의 무색의 점성 액체를 얻었다. 이 조품을 다음 단계의 반응에 직접 사용하였다. MS(m/z): 369.1 [M + Na]+
(3) 디아미노백금(II)[3-에틸렌-(3-O-L-아스코르브산)시클로부탄-1,1-디카르복실산]의 제조
3-O-(3-에틸렌-시클로부탄-1,1-디카르복실산) L-아스코르브산 조품(1.0g)을 10㎖의 물에 용해시키고, 수산화바륨 포화 용액을 넣어 반응액의 pH를 7까지 조절하며, 실온에서 30분 동안 교반하였다. 질소가스 보호 하에 디아민 백금 설페이트(0.9g)를 2㎖의 물에 용해시키고, 상기 반응액에 넣으며, 수산화바륨 포화 용액으로 pH를 7까지 조절하고, 실온, 차광 조건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HPLC로 반응을 측정하고, 반응이 완료된 후, 원심분리기를 사용하여 침전을 제거하고, 상청액을 수집하고, 반분취 고압 액체 크로마토그래피로 분리하고 동결 건조기를 사용하여 동결 건조시켜 0.8g의 최종 산물인 백색 고체를 얻었다.
1H NMR (400 MHz, D2O) δ 4.82 (brs, 1H), 4.49 - 4.34 (m, 2H), 4.08 (brs, 6H), 3.94 (t, J = 6.3 Hz, 1H), 3.64 - 3.62 (m, 2H), 3.07 - 3.00 (m, 2H), 2.46 - 2.35 (m, 2H), 2.32 - 2.22 (m, 1H), 1.77 (q, J = 6.4 Hz, 2H). MS(m/z): 596.1 [M + Na]+
실시예 6
디아미노백금(II)[3-아세테이트-(6-O-L-아스코르브산)시클로부탄-1,1-디카르복실산]의 제조
(1) 디-tert-부틸 3-아세트산-시클로부탄-1,1-디카르복실레이트의 제조
디-tert-부틸 3-히드록시에틸-시클로부탄-1,1-디카르복실레이트(1.3g)를 10㎖의 아세톤에 용해시키고, 빙욕 조건 하에 존스 시약(650 mg의 삼산화크롬, 559㎕의 농황산, 물을 넣어 2.4㎖까지 희석함)을 천천히 적가하며, 반응액을 실온까지 천천히 승온시키고, 2시간 동안 교반하며, TLC로 반응을 모니터링하고, 반응이 종료된 후, 이소프로판올을 적가하여 과량의 산화제를 제거하였다. 반응액을 여과하고, 여과액을 감압 농축하여, 녹색 오일상 산물을 얻었다. 오일상 산물을 물로 희석하고, 에틸아세테이트로 추출하며, 유기상을 포화 염화나트륨 용액으로 세척하고,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하고, 감압 농축하여, 1.2g의 백색과 유사한 고체를 얻고, 조품을 다음 단계의 반응에 직접 사용하였다. MS(m/z): 337.2 [M + Na]+
(2) 2-O-벤질-3-O-벤질-6-O-(디-tert-부틸 3-아세테이트-시클로부탄-1,1-디카르복실레이트)L-아스코르브산의 제조
디-tert-부틸 3-아세트산-시클로부탄-1,1-디카르복실레이트(1.2g)를 디클로로메탄에 용해시키고, 디시클로 헥 카르 보디이미드(1.2g), 촉매량의 4-디메틸아미노피리딘을 넣으며, 반응액을 0.5시간 동안 교반한 후, 2-O-벤질-3-O-벤질-L-아스코르브산(2.1g)의 디클로로메탄 용액(5㎖)을 천천히 적가하고, 반응액을 실온에서 하룻밤 교반하였다. TLC로 반응을 모니터링하고, 반응이 종료된 후, 여과하고, 여과액을 감압 농축하고, 얻은 황색 오일상 산물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석유 에테르/에틸아세테이트 = 7/1)로 정제하여, 1.7g의 백색 고체 산물을 얻었다.
1H NMR (400 MHz, CDCl3) δ 7.40 - 7.21(m, 10H), 5.23 - 5.08 (m, 4H), 4.64 (d, J = 2.1 Hz, 1H), 4.24 (ddd, J = 16.5, 11.6, 6.0 Hz, 2H), 4.08 - 4.00 (m, 1H), 2.73 - 2.57 (m, 3H), 2.47 (d, J = 7.1 Hz, 2H), 2.23 - 2.11 (m, 2H), 1.46 (s, 9H), 1.44 (s, 9H). MS(m/z): 675.3 [M + Na]+
(3) 6-O-(디-tert-부틸 3-아세테이트-시클로부탄-1,1-디카르복실레이트) L-아스코르브산의 제조
2-O-벤질-3-O-벤질-6-O-(디-tert-부틸 3-아세테이트-시클로부탄-1,1-디카르복실레이트)L-아스코르브산(1.7g)을 10㎖의 에탄올에 용해시키고, 5%의 팔라듐 카본(0.1g)을 넣으며, 질소가스로 플라스크 내 공기를 3회 치환한 다음, 수소가스로 플라스크 내 질소가스를 3회 치환하고, 반응액을 수소가스 가압 하에 실온에서 하룻밤 교반하였다. 반응이 완료된 후, 질소가스로 플라스크 내 수소가스를 치환하며, 여과하고, 필터 케이크를 에탄올로 3회 세척하고, 여과액을 감압 농축하여, 1.1g의 무색 투명 오일상 산물을 얻었다. 이 조품을 다음 단계의 반응에 직접 사용하였다. MS(m/z): 495.2 [M + Na]+
(4) 6-O-(3-아세테이트-시클로부탄-1,1-디카르복실산) L-아스코르브산의 제조
6-O-(디-tert-부틸 3-아세테이트-시클로부탄-1,1-디카르복실레이트)L-아스코르브산(1.1g)을 10㎖의 디클로로메탄에 용해시키고, 0℃까지 냉각시키며, 질소가스 보호 하에 트리플루오로아세테이트(5㎖)를 천천히 적가하였다. 반응액을 실온까지 천천히 승온시키며, 하룻밤 교반하였다. 반응이 완료된 후, 감압하여 용매를 제거하고, 동결 건조시킨 후 0.8g의 무색의 점성 액체를 얻으며, 조품을 다음 단계의 반응에 직접 사용하였다. MS(m/z): 383.1 [M + Na]+
(5) 디아미노백금(II)[3-아세테이트-(6-O-L-아스코르브산)시클로부탄-1,1-디카르복실산]의 제조
6-O-(3-아세테이트-시클로부탄-1,1-디카르복실산)L-아스코르브산 조품(0.8g)을 10㎖의 물에 용해시키고, 포화 수산화바륨 용액을 넣어 반응액의 pH를 7까지 조절하며, 실온에서 30분 동안 교반하였다. 질소가스 보호 하에 시클로헥산디아민 백금 설페이트(0.7g)를 2㎖의 물에 용해시키고, 상기 반응액에 넣으며, 수산화바륨 용액으로 pH를 7까지 조절하고, 실온, 차광 조건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HPLC로 반응을 측정하고, 반응이 완료된 후, 원심분리기를 사용하여 침전을 제거하고, 상청액을 수집하고, 반분취 고압 액체 크로마토그래피로 분리하고 동결 건조기를 사용하여 동결 건조시켜 0.6g의 최종 산물인 백색 고체를 얻었다.
1H NMR (600 MHz, D2O) δ 4.91 (d, J = 1.9 Hz, 1H), 4.16 (brs, 5H), 4.33 - 4.23 (m, 3H), 3.15 - 3.13 (m, 2H), 2.62 - 2.45 (m, 5H). MS(m/z): 610.1 [M + Na]+
실시예 7
디아미노백금(II)[3-프로필렌-(2-O-L-아스코르브산)시클로부탄-1,1-디카르복실산]의 제조
(1) 디-tert-부틸 3-벤질옥시프로필-시클로부탄-1,1-디카르복실레이트의 제조
수소화나트륨(549 mg)을 10㎖의 N,N-디메틸포름아미드에 용해시키고, 질소가스로 플라스크 내 공기를 치환하며, 플라스크를 빙욕에 놓는다. 질소가스 보호 하에 디-tert-부틸말로네이트(3.1㎖)를 천천히 적가하고, 0.5 시간 동안 반응시킨 후, 2-벤질옥시프로필-1,3-디브로모프로판(2.4g)의 N,N-디메틸포름아미드(5㎖) 용액을 천천히 적가하며, 반응액을 70℃까지 승온시키고, 7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TLC로 반응 종점을 모니터링하고, 반응이 완료된 후, 반응액을 실온까지 냉각시키며, 반응액에 100㎖의 에틸아세테이트를 넣은 다음, 포화 염화암모늄 수용액(1 x 50㎖)으로 세척하고, 수상을 에틸아세테이트로 추출(2Х25㎖)하며, 유기상을 합하였다. 유기상을 포화 염화암모늄 수용액(1 x 100㎖), 증류수(1 x 100㎖), 포화 염화나트륨 용액(1 x 100㎖)으로 순차적으로 세척한 다음,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하고, 감압 농축하고, 얻은 담황색 오일상 산물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석유 에테르/에틸아세테이트 = 50/1)로 정제하여, 1.9g의 무색 투명 오일상 목적 산물을 얻었다.
1H NMR (600 MHz, CDCl3) δ 7.38 - 7.27 (m, 5H), 4.48 (s, 2H), 3.43 (t, J = 6.2 Hz, 2H), 2.51 (t, J = 10.2 Hz, 2H), 2.30 - 2.25 (m, 1H), 2.06 (t, J = 10.2 Hz, 2H), 1.56 - 1.51 (m, 4H), 1.46 (s, 9H), 1.44 (s, 9H).MS(m/z): 427.2 [M + Na]+
(2) 디-tert-부틸 3-히드록시프로필-시클로부탄-1,1-디카르복실레이트의 제조
디-tert-부틸 3-벤질옥시프로필-시클로부탄-1,1-디카르복실레이트(1.9g)를 10㎖의 메탄올에 용해시키고, 10%의 팔라듐 카본(0.1g)을 넣으며, 질소가스로 플라스크 내 공기를 3회 치환한 다음, 수소가스로 플라스크 내 질소가스를 3회 치환하고, 반응액을 수소가스 가압 하에 실온에서 하룻밤 교반하였다. 반응이 완료된 후, 질소가스로 플라스크 내 수소가스를 치환하며, 여과하고, 필터 케이크를 메탄올로 3회 세척하고, 여과액을 감압 농축하여, 1.4g의 무색 투명 오일상 산물을 얻었다.
1H NMR (600 MHz, CDCl3) δ 3.61 (t, J = 6.0 Hz, 2H), 2.52 (t, J = 10.0 Hz, 2H), 2.31 - 2.26 (m, 1H), 2.06 (t, J = 9.6 Hz, 2H), 1.57 - 1.46 (m, 13H), 1.44 (s, 9H). MS(m/z): 337.2 [M + Na]+
(3) 디-tert-부틸 3-브로모프로필-시클로부탄-1,1-디카르복실레이트의 제조
1.4g의 디-tert-부틸 3-히드록시프로필-시클로부탄-1,1-디카르복실레이트를 10㎖의 건조 디클로로메탄에 용해시키고, 빙욕에서 트리페닐포스핀(1.7g)의 디클로로메탄 용액(5㎖)을 천천히 넣으며, 10분 동안 반응시킨 후, 사브롬화탄소(2.2g)의 디클로로메탄 용액(5㎖)을 천천히 적가하고, 반응액을 실온까지 천천히 승온시키며,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TLC로 반응 종점을 모니터링하고, 반응이 완료된 후, 반응액을 감압 농축하고,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석유 에테르/에틸아세테이트 = 50/1)로 정제하여, 1.6g의 무색 투명 오일상 목적 산물을 얻었다.
1H NMR (600 MHz, CDCl3) δ 3.37 (t, J = 6.7 Hz, 2H), 2.53 (t, J = 9.9 Hz, 2H), 2.32 - 2.26 (m, 1H), 2.08 (t, J = 9.6 Hz, 2H), 1.80 - 1.74 (m, 2H), 1.54 (q, J = 7.6 Hz, 2H), 1.46 (s, 9H), 1.45 (s, 9H). MS(m/z): 399.1 [M + Na]+
(4) 5,6-O-이소프로필리덴-2-O-(디-tert-부틸 3-프로필렌-시클로부탄-1,1-디카르복실레이트)-3-O-벤질-L-아스코르브산의 제조
실온 조건에서, 5,6-O-이소프로필리덴-3-O-벤질-L-아스코르브산(2.6g) 및 디-tert-부틸 3-브로모프로필-시클로부탄-1,1-디카르복실레이트(1.6g)를 15㎖의 디메틸술폭시드에 용해시키고, 반응액에 탄산칼륨(1.2g)을 넣으며, 반응액을 50℃까지 승온시키고,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TLC로 반응 종점을 모니터링하고, 반응이 완료된 후, 반응액을 실온까지 냉각하고, 반응액에 50㎖의 물을 넣어 희석하고, 1M의 희염산으로 중화시킨 다음, 에틸아세테이트로 추출하며, 유기상을 증류수(1 x 100㎖), 포화 염화나트륨 용액(1 x 100㎖)으로 순차적으로 세척한 다음,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키고, 감압 농축하고, 얻은 담황색 오일상 산물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석유 에테르/에틸아세테이트 = 5/1)로 정제하여, 2.0g의 무색 투명 오일상 산물을 얻었다.
1H NMR (600 MHz, CDCl3) δ 7.44 - 7.33 (m, 5H), 5.47 (s, 2H), 4.54 (d, J = 2.1 Hz, 1H), 4.31 - 4.29 (m, 1H), 4.14 - 3.93 (m, 4H), 2.51 (t, J = 10.2 Hz, 2H), 2.30 - 2.25 (m, 1H), 2.05 (t, J = 10.2 Hz, 2H), 1.59 - 1.52 (m, 2H), 1.48 - 1.46 (m, 11H), 1.44 (s, 9H), 1.39 (s, 3H), 1.36 (s, 3H). MS(m/z): 625.3 [M + Na]+
(5) 5,6-O-이소프로필리덴-2-O-(디-tert-부틸 3-프로필렌-시클로부탄-1,1-디카르복실레이트) L-아스코르브산의 제조
5,6-O-이소프로필리덴-2-O-(디-tert-부틸 3-프로필렌-시클로부탄-1,1-디카르복실레이트)-3-O-벤질-L-아스코르브산(2.0g)을 10㎖의 에탄올에 용해시키고, 5%의 팔라듐 카본(0.2g)을 넣으며, 질소가스로 플라스크 내 공기를 3회 치환한 다음, 수소가스로 플라스크 내 질소가스를 3회 치환하고, 반응액을 수소가스 가압 하에 실온에서 하룻밤 교반하였다. 반응이 완료된 후, 질소가스로 플라스크 내 수소가스를 치환하며, 여과하고, 필터 케이크를 에탄올로 3회 세척하며, 감압 농축하여, 1.6g의 무색 투명 오일상 산물을 얻었다.
1H NMR (400 MHz, CDCl3) δ 4.69 (d, J = 3.7 Hz, 1H), 4.44 - 4.37 (m, 1H), 4.19 - 4.01 (m, 4H), 2.58 - 2.49 (m, 2H), 2.31 - 2.23 (m, 1H), 2.12 - 1.99 (m, 2H), 1.61 - 1.50 (m, 4H), 1.46 (s, 9H), 1.45 (s, 9H), 1.42 (s, 3H), 1.37 (s, 3H). MS(m/z): 535.3 [M + Na]+
(6) 2-O-(3-프로필렌-시클로부탄-1,1-디카르복실산) L-아스코르브산의 제조
5,6-O-이소프로필리덴-2-O-(디-tert-부틸 3-프로필렌-시클로부탄-1,1-디카르복실레이트) L-아스코르브산(1.6g)을 10㎖의 디클로로메탄에 용해시키고, 0℃까지 냉각시키며, 질소가스 보호 하에 트리플루오로아세테이트(5㎖)를 천천히 적가하였다. 반응액을 실온까지 천천히 승온시키고, 하룻밤 교반하였다. 반응이 완료된 후, 반응액을 감압 농축하고, 동결 건조시킨 후 1.0g의 무색의 점성 액체를 얻고, 이 조품을 다음 단계의 반응에 직접 사용하였다.
MS(m/z): 383.2 [M + Na]+
(7) 디아미노백금(II)[3-프로필렌-(2-O-L-아스코르브산)시클로부탄-1,1-디카르복실산]의 제조
2-O-(3-프로필렌-시클로부탄-1,1-디카르복실산)L-아스코르브산 조품(1.0g)을 10㎖의 물에 용해시키고, 포화 수산화바륨 용액을 넣어 반응액의 pH를 7까지 조절하고, 실온에서 30분 동안 교반하였다. 질소가스 보호 하에 디아민 백금 설페이트(1.0g)를 2㎖의 물에 용해시키고, 상기 반응액에 넣으며, 수산화바륨 용액으로 pH를 7까지 조절하고, 실온, 차광 조건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HPLC로 반응을 측정하고, 반응이 완료된 후, 원심분리기를 사용하여 침전을 제거하고, 상청액을 수집하고, 반분취 고압 액체 크로마토그래피로 분리하고 동결 건조기를 사용하여 동결 건조시켜 0.9g의 최종 산물인 백색 고체를 얻었다.
1H NMR (400 MHz, D2O) δ 4.94 (d, J = 1.6 Hz, 1H), 4.18 (brs, 5H), 4.08 (td, J = 6.8, 1.6 Hz, 1H), 3.98 (t, J = 6.7 Hz, 2H), 3.75 (d, J = 6.8 Hz, 2H), 3.10 (dd, J = 12.2, 8.6 Hz, 2H), 2.41 (dd, J = 12.4, 8.7 Hz, 2H), 2.27 - 2.19 (m, 1H), 1.68 - 1.57 (m, 2H), 1.52- 1.46 (m, 2H). MS(m/z): 610.0[M + Na]+
실시예 8
디아미노백금(II)[3-프로필렌-(3-O-L-아스코르브산)시클로부탄-1,1-디카르복실산]의 제조
(1) 5,6-O-이소프로필리덴-3-O-(디-tert-부틸 3-프로필렌-시클로부탄-1,1-디카르복실레이트) L-아스코르브산의 제조
실온 조건에서, 5,6-O-이소프로필리덴L-아스코르브산(1.4g)을 10㎖의 디메틸술폭시드에 용해시키고, 탄산수소나트륨(0.5g)을 넣으며, 반응액을 20분 동안 교반한 후, 디-tert-부틸 3-브로모프로필-시클로부탄-1,1-디카르복실레이트(1.6g)의 디메틸술폭시드 용액(5㎖)을 넣고, 반응액을 60℃까지 승온시키며, 하룻밤 교반하였다. TLC로 반응 종점을 모니터링하고, 반응이 완료된 후, 반응액을 실온까지 냉각시키며, 반응액에 50㎖의 물을 넣어 희석하고, 1M의 희염산으로 중화시킨 다음, 에틸아세테이트로 추출하며, 유기상을 증류수(1 x 100㎖), 포화 염화나트륨 용액(1 x 100㎖)으로 순차 세척한 다음,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키고, 감압 농축하고, 얻은 담황색 오일상 산물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 (석유 에테르/에틸아세테이트 = 5/1)로 정제하여, 1.7g의 무색 투명 오일상 산물을 얻었다.
1H NMR (600 MHz, CDCl3) δ 4.55 (brs, 1H), 4.43 (d, J = 5.6 Hz, 2H), 4.27 (brs, 1H), 4.15 (t, J = 7.6 Hz, 1H), 4.03 (t, J = 7.5 Hz, 1H), 2.53 (t, J = 9.9 Hz, 2H), 2.33 - 2.27 (m, 1H), 2.06 (t, J = 9.9 Hz, 2H), 1.68 - 1.61 (m, 2H), 1.53 - 1.47 (m, 2H), 1.46 (s, 9H), 1.44 (s, 9H), 1.39 (s, 3H), 1.37 (s, 3H). MS(m/z): 535.2 [M + Na]+
(2) 3-O-(3-프로필렌-시클로부탄-1,1-디카르복실산) L-아스코르브산의 제조
5,6-O-이소프로필리덴-3-O-(디-tert-부틸 3-프로필렌-시클로부탄-1,1-디카르복실레이트) L-아스코르브산(1.7g)을 15㎖의 디클로로메탄에 용해시키고, 0℃까지 냉각하고, 질소가스 보호 하에 트리플루오로아세테이트(5㎖)를 천천히 적가하였다. 반응액을 실온까지 천천히 승온시키며, 하룻밤 교반하였다. 반응이 완료된 후, 반응액을 감압 농축하고, 동결 건조시킨 후 1.1g의 무색의 점성 액체를 얻고, 이 조품을 다음 단계의 반응에 직접 사용하였다.
MS(m/z): 383.2[M + Na]+
(3) 디아미노백금(II)[3-프로필렌-(3-O-L-아스코르브산)시클로부탄-1,1-디카르복실산]의 제조
3-O-(3-프로필렌-시클로부탄-1,1-디카르복실산) L-아스코르브산 조품(1.1g)을 10㎖의 물에 용해시키고, 포화 수산화바륨 용액을 넣어 반응액의 pH를 7까지 조절하며, 실온에서 30분 동안 교반하였다. 질소가스 보호 하에 디아민 백금 설페이트(1.0g)를 2㎖의 물에 용해시키고, 상기 반응액에 넣으며, 수산화바륨 용액으로 pH를 7까지 조절하고, 실온, 차광 조건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HPLC로 반응을 측정하고, 반응이 완료된 후, 원심분리기를 사용하여 침전을 제거하고, 상청액을 수집하며, 반분취 고압 액체 크로마토그래피로 분리하고 동결 건조기를 사용하여 동결 건조시켜 0.9g의 최종 산물인 백색 고체를 얻었다.
1H NMR (400 MHz, D2O) δ 4.93 (d, J = 1.8 Hz, 1H), 4.60 - 4.45 (m, 2H), 4.18 (brs, 5H), 4.03 (td, J = 7.0, 1.7 Hz, 1H), 3.81 - 3.69 (m, 2H), 3.14 - 3.09 (m, 2H), 2.48 - 2.38 (m, 2H), 2.30 - 2.22 (m, 1H), 1.79 - 1.66 (m, 2H), 1.53 (q, J = 7.3 Hz, 2H). MS(m/z): 610.0[M + Na]+
실시예 9
디아미노백금(II)[3-프로피오네이트-(6-O-L-아스코르브산)시클로부탄-1,1-디카르복실산]의 제조
(1) 디-tert-부틸 3-프로피온산-시클로부탄-1,1-디카르복실레이트의 제조
디-tert-부틸 3-히드록시프로필-시클로부탄-1,1-디카르복실레이트(1.4g)를 10㎖의 아세톤에 용해시키고, 빙욕 조건 하에 존스 시약(669 mg의 삼산화크롬, 576㎕의 농황산, 물을 넣어 2.5㎖까지 희석함)을 천천히 적가하며, 반응액을 실온까지 천천히 승온시키고, 2시간 동안 교반하며, TLC로 반응을 모니터링하고, 반응이 종료된 후, 이소프로판올을 적가하여 과량의 산화제를 제거하였다. 반응액을 여과하고, 여과액을 감압 농축하여, 녹색 오일상 산물을 얻었다. 오일상 산물을 물로 희석하고, 에틸아세테이트로 추출하며, 유기상을 포화 염화나트륨 용액으로 세척하고,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하고, 감압 농축하여, 1.3g의 백색 고체를 얻고, 이 조품을 다음 단계의 반응에 직접 사용하였다. MS(m/z): 351.2 [M + Na]+
(2) 2-O-벤질-3-O-벤질-6-O-(디-tert-부틸 3-프로피오네이트-시클로부탄-1,1-디카르복실레이트)L-아스코르브산의 제조
디-tert-부틸 3-프로피온산-시클로부탄-1,1-디카르복실레이트(1.3g)를 10㎖의 디클로로메탄에 용해시키고, 디시클로헥 카르보디이미드(1.2g), 촉매량의 4-디메틸아미노피리딘을 넣으며, 반응액을 0.5시간 동안 교반한 후, 2-O-벤질-3-O-벤질-L-아스코르브산(2.1g)의 디클로로메탄 용액(5㎖)을 천천히 적가하고, 반응액을 실온에서 하룻밤 교반하였다. TLC로 반응을 모니터링하고, 반응이 종료된 후, 여과하고, 여과액을 감압 농축하며, 얻은 황색 오일상 산물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석유 에테르/에틸아세테이트 = 7/1)로 정제하여, 2.0g의 백색과 유사한 고체 산물을 얻었다.
1H NMR (600 MHz, CDCl3) δ 7.45 - 7.33 (m, 8H), 7.25 - 7.19 (m, 2H), 5.24 - 5.07 (m, 4H), 4.66 (brs, 1H), 4.25 (ddd, J = 16.4, 11.6, 5.9 Hz, 2H), 4.05 (brs, 1H), 2.51 (t, J = 9.0 Hz, 2H), 2.31 - 2.22 (m, 3H), 2.06 (t, J = 9.9 Hz, 2H), 1.72 (q, J = 7.5 Hz, 2H), 1.45 (s, 9H), 1.44 (s, 9H). MS(m/z): 689.3 [M + Na]+
(3) 6-O-(디-tert-부틸 3-프로피오네이트-시클로부탄-1,1-디카르복실레이트)L-아스코르브산의 제조
2-O-벤질-3-O-벤질-6-O-(디-tert-부틸 3-프로피오네이트-시클로부탄-1,1-디카르복실레이트)L-아스코르브산(2.0g)을 10㎖의 에탄올에 용해시키고, 5%의 팔라듐 카본(0.2g)을 넣으며, 질소가스로 플라스크 내 공기를 3회 치환한 다음, 수소가스로 플라스크 내 질소가스를 3회 치환하고, 반응액을 수소가스 가압 하에 실온에서 하룻밤 교반하였다. 반응이 완료된 후, 질소가스로 플라스크 내 수소가스를 치환하며, 여과하고, 필터 케이크를 에탄올로 3회 세척하고, 여과액을 감압 농축하여, 1.4g의 무색 투명 오일상 산물을 얻고, 이 조품을 다음 단계의 반응에 직접 사용하였다.
MS(m/z): 509.1 [M + Na]+
(4) 6-O-(3-프로피오네이트-시클로부탄-1,1-디카르복실산)L-아스코르브산의 제조
6-O-(디-tert-부틸 3-프로피오네이트-시클로부탄-1,1-디카르복실레이트)L-아스코르브산(1.4g)을 10㎖의 디클로로메탄에 용해시키고, 0℃까지 냉각시키며, 질소가스 보호 하에 트리플루오로아세테이트(5㎖)를 천천히 적가하였다. 반응액을 실온까지 천천히 승온시키며, 하룻밤 교반하였다. 반응이 완료된 후, 회전증발기로 용매를 제거하고, 동결 건조기로 건조시켜 1.0g의 무색의 점성 액체를 얻고, 이 조품을 다음 단계의 반응에 직접 사용하였다.
MS(m/z): 397.1 [M + Na]+
(5) 디아미노백금(II)[3-프로피오네이트-(6-O-L-아스코르브산)시클로부탄-1,1-디카르복실산]의 제조
6-O-(3-프로피오네이트-시클로부탄-1,1-디카르복실산)-L-아스코르브산 조품(1.0g)을 10㎖의 물에 용해시키고, 포화 수산화바륨 용액을 넣어 반응액의 pH를 7까지 조절하며, 실온에서 30분 동안 교반하였다. 질소가스 보호 하에 시클로헥산디아민 백금 설페이트(0.8g)를 2㎖의 물에 용해시키고, 상기 반응액에 넣으며, 수산화바륨 용액으로 pH를 7까지 조절하고, 실온, 차광 조건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HPLC로 반응을 측정하고, 반응이 완료된 후, 원심분리기를 사용하여 침전을 제거하고, 상청액을 수집하며, 반분취 고압 액체 크로마토그래피로 분리하고 동결 건조기를 사용하여 동결 건조시켜 0.7g의 최종 산물인 백색 고체를 얻었다.
1H NMR (400 MHz, D2O) δ 4.83 (d, J = 1.6 Hz, 1H), 4.35 - 4.24 (m, 3H), 4.18 (brs, 5H), 3.10 (dd, J = 12.2, 8.6 Hz, 2H), 2.49 - 2.36 (m, 4H), 2.27 - 2.19 (m, 1H), 1.75 (q, J = 7.4 Hz, 2H). MS(m/z): 624.1 [M + Na]+
실시예 10
시스-[트랜스-(1R,2R)-다이아미노시클로헥산]백금(II)[3-메틸렌-(2-O-L-아스코르브산)시클로부탄-1,1-디카르복실산]의 제조
2-O-(3-메틸렌-시클로부탄-1,1-디카르복실산)- L-아스코르브산 조품(0.4g)을 10㎖의 물에 용해시키고, 수산화바륨 포화 용액을 넣어 반응액의 pH를 7까지 조절하며, 실온에서 30분 동안 교반하였다. 질소가스 보호 하에 시클로헥산디아민 백금 설페이트(0.5g)를 2㎖의 물에 용해시키고, 상기 반응액에 넣으며, 수산화바륨 포화 용액으로 pH를 7까지 조절하고, 실온, 차광 조건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HPLC로 반응을 측정하고, 반응이 완료된 후, 원심분리기를 사용하여 침전을 제거하고, 상청액을 수집하며, 반분취 고압 액체 크로마토그래피로 분리하고 동결 건조기를 사용하여 동결 건조시켜 0.4g의 최종 산물인 백색 고체를 얻었다.
1H NMR (400 MHz, D2O) δ 5.75 (brs, 2H), 5.03 (brs, 2H), 4.94 (d, J = 1.7 Hz, 1H), 4.07 (td, J = 6.7, 1.6 Hz, 1H), 3.97 (d, J = 6.1 Hz, 2H), 3.74 (d, J = 6.7 Hz, 2H), 3.11 - 3.07 (m, 2H), 2.70 - 2.58 (m, 3H), 2.43 - 2.33 (m, 2H), 1.99 (d, J = 12.0 Hz, 2H), 1.53 (d, J = 8.4 Hz, 2H), 1.30 - 1.17 (m, 2H), 1.16 - 1.03 (m, 2H).MS(m/z): 638.0 [M - H]-
실시예 11
시스-[트랜스-(1R,2R)-다이아미노시클로헥산]백금(II)[3-메틸렌-(3-O-L-아스코르브산)시클로부탄-1,1-디카르복실산]의 제조
3-O-(3-메틸렌-시클로부탄-1,1-디카르복실산) L-아스코르브산 조품(0.5g)을 10㎖의 물에 용해시키고, 수산화바륨 포화 용액을 넣어 반응액의 pH를 7까지 조절하며, 실온에서 30분 동안 교반하였다. 질소가스 보호 하에 시클로헥산디아민 백금 설페이트(0.6g)를 2㎖의 물에 용해시키고, 상기 반응액에 넣으며, 수산화바륨 포화 용액으로 pH를 7까지 조절하고, 실온, 차광 조건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HPLC로 반응을 측정하고, 반응이 완료된 후, 원심분리기를 사용하여 침전을 제거하고, 상청액을 수집하며, 반분취 고압 액체 크로마토그래피로 분리하고 동결 건조기를 사용하여 동결 건조시켜 0.5g의 최종 산물인 백색 고체를 얻었다.
1H NMR (400 MHz, D2O) δ 5.75 (brs, 1H), 5.07 (brs, 1H), 4.95 (brs, 1H), 4.57 - 4.49 (m, 2H), 4.04 (t, J = 5.7 Hz, 1H), 3.80 - 3.68 (m, 2H), 3.21 - 3.01 (m, 2H), 2.79 - 2.71 (m, 3H), 2.38 (d, J = 8.7 Hz, 2H), 2.03 (d, J = 11.1 Hz, 2H), 1.57 (d, J = 6.6 Hz, 2H), 1.36 - 1.21 (m, 2H), 1.13 (brs, 2H). MS(m/z): 662.0 [M + Na]+
실시예 12
시스-[트랜스-(1R,2R)-다이아미노시클로헥산]백금(II)[3-포르메이트-(6-O-L-아스코르브산)시클로부탄-1,1-디카르복실산]의 제조
6-O-(3-포르메이트-시클로부탄-1,1-디카르복실산)-L-아스코르브산 조품(0.5g)을 10㎖의 물에 용해시키고, 포화 수산화바륨 용액을 넣어 반응액의 pH를 7까지 조절하며, 실온에서 30분 동안 교반하였다. 질소가스 보호 하에 시클로헥산디아민 백금 설페이트(0.54g)를 2㎖의 물에 용해시키고, 상기 반응액에 넣고, 수산화바륨 용액으로 pH를 7까지 조절하고, 실온, 차광 조건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HPLC로 반응을 측정하고, 반응이 완료된 후, 원심분리기를 사용하여 침전을 제거하고, 상청액을 수집하며, 반분취 고압 액체 크로마토그래피로 분리하고 동결 건조기를 사용하여 동결 건조시켜 0.5g의 최종 산물인 백색 고체를 얻었다.
1H NMR (400 MHz, D2O) δ 5.74 (brs, 2H), 5.08 (brs, 2H), 4.86 (d, J = 1.9 Hz, 1H), 4.38 - 4.21 (m, 3H), 3.28 - 3.14 (m, 3H), 3.11 - 3.03 (m, 2H), 2.38 (brs, 2H), 2.01 (d, J = 12.0 Hz, 2H), 1.54 (d, J = 8.4 Hz, 2H), 1.31 - 1.21 (m, 2H), 1.16 - 1.08 (m, 2H). MS(m/z): 676.0 [M + Na]+
실시예 13
시스-[트랜스-(1R,2R)-다이아미노시클로헥산]백금(II)[3-에틸렌-(2-O-L-아스코르브산)시클로부탄-1,1-디카르복실산]의 제조
2-O-(3-에틸렌-시클로부탄-1,1-디카르복실산) -L-아스코르브산 조품(0.8g)을 10㎖의 물에 용해시키고, 수산화바륨 포화 용액을 넣어 반응액의 pH를 7까지 조절하고, 실온에서 30분 동안 교반하였다. 질소가스 보호 하에 시클로헥산디아민 백금 설페이트(0.9g)를 2㎖의 물에 용해시키고, 상기 반응액에 넣으며, 수산화바륨 포화 용액으로 pH를 7까지 조절하고, 실온, 차광 조건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HPLC로 반응을 측정하고, 반응이 완료된 후, 원심분리기를 사용하여 침전을 제거하고, 상청액을 수집하며, 반분취 고압 액체 크로마토그래피로 분리하고 동결 건조기를 사용하여 동결 건조시켜 0.8g의 최종 산물인 백색 고체를 얻었다.
1H NMR (400 MHz, D2O) δ 5.76 (brs, 2H), 5.04 (brs, 2H), 4.93 (d, J = 1.2 Hz, 1H), 4.08 (td, J = 6.7, 1.5 Hz, 1H), 3.98 (t, J = 6.6 Hz, 2H), 3.75 (d, J = 6.7 Hz, 2H), 3.19 - 3.10 (m, 2H), 2.53 - 2.33 (m, 5H), 2.01 (d, J = 11.7 Hz, 2H), 1.81 (d, J = 6.7 Hz, 2H), 1.55 (d, J = 7.9 Hz, 2H), 1.31 - 1.06 (m, 4H).
MS(m/z): 676.1 [M + Na]+
실시예 14
시스-[트랜스-(1R,2R)-다이아미노시클로헥산]백금(II)[3-에틸렌-(3-O-L-아스코르브산)시클로부탄-1,1-디카르복실산]의 제조
3-O-(3-에틸렌-시클로부탄-1,1-디카르복실산)-L-아스코르브산 조품(1.0g)을 10㎖의 물에 용해시키고, 수산화바륨 포화 용액을 넣어 반응액의 pH를 7까지 조절하며, 실온에서 30분 동안 교반하였다. 질소가스 보호 하에 시클로헥산디아민 백금 설페이트(1.2g)를 2㎖의 물에 용해시키고, 상기 반응액에 넣으며, 수산화바륨 포화 용액으로 pH를 7까지 조절하고, 실온, 차광 조건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HPLC로 반응을 측정하고, 반응이 완료된 후, 원심분리기를 사용하여 침전을 제거하고, 상청액을 수집하며, 반분취 고압 액체 크로마토그래피로 분리하고 동결 건조기를 사용하여 동결 건조시켜 0.9g의 최종 산물인 백색 고체를 얻었다.
1H NMR (400 MHz, D2O) δ 5.75 (brs, 1H), 5.04 (brs, 1H), 4.94 (d, J = 1.6 Hz, 1H), 4.59 - 4.47 (m, 2H), 4.07 - 4.02 (m, 1H), 3.77 - 3.71 (m, 2H), 3.21 - 3.09 (m, 2H), 2.57 - 2.47 (m, 2H), 2.44 - 2.38 (m, 3H), 2.02 (d, J = 11.7 Hz, 2H), 1.90 (q, J = 6.3 Hz, 2H) 1.56 (d, J = 6.0 Hz, 2H),1.28 - 1.23 (m, 2H), 1.12 (brs, 2H).
MS(m/z): 676.1 [M + Na]+
실시예 15
시스-[트랜스-(1R,2R)-다이아미노시클로헥산]백금(II)[3-아세테이트-(6-O-L-아스코르브산)시클로부탄-1,1-디카르복실산]의 제조
6-O-(3-아세테이트-시클로부탄-1,1-디카르복실산)-L-아스코르브산 조품(0.8g)을 10㎖의 물에 용해시키고, 포화 수산화바륨 용액을 넣어 반응액의 pH를 7까지 조절하고, 실온에서 30분 동안 교반하였다. 질소가스 보호 하에 시클로헥산디아민 백금 설페이트(0.9g)를 2㎖의 물에 용해시키고, 상기 반응액에 넣으며, 수산화바륨 용액으로 pH를 7까지 조절하고, 실온, 차광 조건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HPLC로 반응을 측정하고, 반응이 완료된 후, 원심분리기를 사용하여 침전을 제거하고, 상청액을 수집하며, 반분취 고압 액체 크로마토그래피로 분리하고 동결 건조기를 사용하여 동결 건조시켜 0.7g의 최종 산물인 백색 고체를 얻었다.
1H NMR (400 MHz, D2O) δ 5.74 (brs, 2H), 5.03 (brs, 2H), 4.91 (d, J = 1.9 Hz, 1H), 4.41 - 4.21 (m, 3H), 3.23 - 3.12 (m, 2H), 2.59 - 2.52 (m, 5H), 2.36 (brs, 2H), 2.00 (d, J = 9.7 Hz, 2H), 1.54 (brs, 2H), 1.27 - 1.19 (m, 2H), 1.14 - 1.10 (m, 2H). MS(m/z): 690.1 [M + Na]+
실시예 16
시스-[트랜스-(1R,2R)-다이아미노시클로헥산]백금(II)[3-프로필렌-(2-O-L-아스코르브산)시클로부탄-1,1-디카르복실산]의 제조
2-O-(3-프로필렌-시클로부탄-1,1-디카르복실산) -L-아스코르브산 조품(1.0g)을 10㎖의 물에 용해시키고, 포화 수산화바륨 용액을 넣어 반응액의 pH를 7까지 조절하며, 실온에서 30분 동안 교반하였다. 질소가스 보호 하에 시클로헥산디아민 백금 설페이트(1.2g)를 2㎖의 물에 용해시키고, 상기 반응액에 넣으며, 수산화바륨 용액으로 pH를 7까지 조절하고, 실온, 차광 조건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HPLC로 반응을 측정하고, 반응이 완료된 후, 원심분리기를 사용하여 침전을 제거하고, 상청액을 수집하고, 반분취 고압 액체 크로마토그래피로 분리하고 동결 건조기를 사용하여 동결 건조시켜 1.0g의 최종 산물인 백색 고체를 얻었다.
1H NMR (400 MHz, D2O) δ 5.73 (brs, 1H), 5.05 (brs, 1H), 4.93 (brs, 1H), 4.08 (td, J = 6.7, 1.5 Hz, 1H), 3.98 (t, J = 6.7 Hz, 2H), 3.75 (d, J = 6.8 Hz, 2H), ), 3.12 - 3.07 (m, 2H), 2.44 - 2.39 ( m, 4H), 2.27 - 2.19 (m, 1H), 2.03 (d, J = 11.3 Hz, 2H), 1.69 - 1.42 (m, 6H), 1.26 (brs, 2H), 1.20 - 1.06 (m, 2H). MS(m/z): 690.0 [M + Na]+
실시예 17
시스-[트랜스-(1R,2R)-다이아미노시클로헥산]백금(II)[3-프로필렌-(3-O-L-아스코르브산)시클로부탄-1,1-디카르복실산]의 제조
3-O-(3-메틸렌-시클로부탄-1,1-디카르복실산) -L-아스코르브산 조품(1.1g)을 10㎖의 물에 용해시키고, 포화 수산화바륨 용액을 넣어 반응액의 pH를 7까지 조절하고, 실온에서 30분 동안 교반하였다. 질소가스 보호 하에 시클로헥산디아민 백금 설페이트(1.2g)를 2㎖의 물에 용해시키고, 상기 반응액에 넣으며, 수산화바륨 용액으로 pH를 7까지 조절하고, 실온, 차광 조건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HPLC로 반응을 측정하고, 반응이 완료된 후, 원심분리기를 사용하여 침전을 제거하고, 상청액을 수집하고, 반분취 고압 액체 크로마토그래피로 분리하고 동결 건조기를 사용하여 동결 건조시켜 1.0g의 최종 산물인 백색 고체를 얻었다.
1H NMR (400 MHz, D2O) δ 5.79 (brs, 2H), 5.03 (brs, 2H), 4.95 (d, J = 1.7 Hz, 1H), 4.60 - 4.47 (m, 2H), 4.09 - 4.00 (m, 1H), 3.75 (d, J = 6.8 Hz, 2H), 3.17 - 3.08 (m, 2H), 2.51 - 2.35 (m, 4H), 2.31 - 2.22 (m, 1H), 2.02 (d, J = 11.5 Hz, 2H), 1.79 - 1.66 (m, 2H), 1.55 (d, J = 6.1 Hz, 4H), 1.24 (brs, 2H), 1.14 - 1.09 (m, 2H). MS(m/z): 690.0 [M + Na]+
실시예 18
시스-[트랜스-(1R,2R)-다이아미노시클로헥산]백금(II)[3-프로피오네이트-(6-O-L-아스코르브산)시클로부탄-1,1-디카르복실산]의 제조
6-O-(3-프로피오네이트-시클로부탄-1,1-디카르복실산)L-아스코르브산 조품(1.0g)을 10㎖의 물에 용해시키고, 포화 수산화바륨 용액을 넣어 반응액의 pH를 7까지 조절하며, 실온에서 30분 동안 교반하였다. 질소가스 보호 하에 시클로헥산디아민 백금 설페이트(1.1g)를 2㎖의 물에 용해시키고, 상기 반응액에 넣으며, 수산화바륨 용액으로 pH를 7까지 조절하고, 실온, 차광 조건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HPLC로 반응을 측정하고, 반응이 완료된 후, 원심분리기를 사용하여 침전을 제거하고, 상청액을 수집하며, 반분취 고압 액체 크로마토그래피로 분리하고 동결 건조기를 사용하여 동결 건조시켜 0.9g의 최종 산물인 백색 고체를 얻었다.
1H NMR (400 MHz, D2O) δ 5.74 (brs, 2H), 5.03 (brs, 2H), 4.91 (d, J = 1.9 Hz, 1H), 4.41 - 4.21 (m, 3H), 3.23 - 3.12 (m, 2H), 2.59 - 2.52 (m, 5H), 2.36 (brs, 2H), 2.00 (d, J = 9.7 Hz, 2H), 1.75 (q, J = 7.4 Hz, 2H), 1.54 (brs, 2H), 1.27 - 1.19 (m, 2H), 1.14 - 1.10 (m, 2H).MS(m/z): 704.1 [M + Na]+
실험예 1: 용해도 실험
실험 방법: 5㎖의 EP관으로 약 0.5㎖의 증류수를 취하여 건조한 화합물에 용해(25℃ 초음파 진탕에서 여전히 혼탁 현상이 발생됨)되지 않을 때까지 천천히 넣는다. 용액을 다른 5㎖의 깨끗하고 칭량한 EP관에 여과하고, 다시 칭량하여, 용액의 중량을 계산하였다. 여과액을 동결 건조시키고, 칭량하여 나머지 고체의 용질 질량을 계산하여, 용매의 중량 및 용질의 중량을 알 수 있음으로써, 물에서의 화합물의 용해도를 계산할 수 있다.
화합물 |
용해도(mg/㎖) |
화합물 |
용해도(mg/㎖) |
1 |
1332.9 |
10 |
395.4 |
2 |
1292.5 |
11 |
298.1 |
3 |
1500.0 |
12 |
580.6 |
4 |
987.0 |
13 |
544.8 |
5 |
1005.2 |
14 |
240.9 |
6 |
1395.1 |
15 |
517.4 |
7 |
1100.0 |
16 |
228.3 |
8 |
1155.8 |
17 |
205.6 |
9 |
1320.5 |
18 |
540.3 |
시스플라틴 |
1.0 |
카르보플라틴 |
17.0 |
옥살리플라틴 |
6.0 |
|
|
<물에서의 실시예 샘플의 용해도 데이터>
물에서의 본 발명의 백금류 착체의 용해도는 출시된 시스플라틴, 카르보플라틴 및 옥살리플라틴보다 훨씬 크고, 수용성은 몇십 배 내지 몇천 배 향상될 수 있다.
실험예 2
이하 실험은 상이한 종류의 인간 종양 세포에 대한 본 발명의 종양 치료를 위한 비타민 C-백금 착체의 증식 억제 효과에 대해 실험 검증을 진행하였다.
(1) 실험 방법 :
세포 배양액:
10%의 소태아혈청(fetal bovine serum)을 함유한 세포 배양액을 사용하였다.
주요 실험기기:
HERAcell150i형 이산화탄소 인큐베이터(Thermo), 연구 등급 도립 형광 현미경(Nikon, 일본), 다기능 마이크로플레이트 리더(Thermo), 초저온 냉장고(Thermo), 생물 안전 캐비닛(1300 Series A2, Thermo), 마이크로 피펫(독일 eppendorf), 초순수 시스템(미국 Milli-Q)
실험 시약:
MTT: Sigma-Aldrich 회사
DMSO: 톈진시찌앙톈화학공업기술유한회사
종양 세포:
세포번호 |
세포유형 |
HT29 |
인간 결장암세포 |
A549 |
인간 비소세포폐암세포 |
SMMC7721 |
인간 간암세포 |
MCF-7 |
인간 유방암세포 |
SKOV3 |
인간 난소암세포 |
ECA109 |
인간 식도암세포 |
DU145 |
인간 전립선암세포 |
Hela |
인간 자궁경부암세포 |
A375 |
인간 흑색종세포 |
KB |
인간 구강표피암종세포 |
HGC27 |
인간 위암세포 |
SW579 |
인간 갑상선암세포 |
5637 |
인간 방광암세포 |
Panc-1 |
인간 췌장암세포 |
H460 |
인간 대세포폐암세포 |
H929 |
인간 형질세포백혈병세포 |
HepG2 |
인간 간암세포 |
THP-1 |
인간 단핵구성 백혈병 |
<MTT 실험 세포 리스트>
세포 독성 측정:
세포 독성 측정은 MTT법을 사용하였다. 대수기 종양 세포를 수집하고, 세포 현탁액 농도를 조절하여, 웰 당 100㎕씩 넣고, 플레이팅(plating)하여 측정할 세포 밀도를 1,000~10,000개/웰까지 조절하였다(주변 웰에는 무균 PBS으로 충진함). 5% CO2, 37℃에서 배양하고, 37℃ 조건 하에 72시간 동안 배양하며, 도립 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96웰판에 조제된 MTT 용액(5 mg/㎖)을 넣되, 웰 당 20㎕씩 넣고, 균일하게 혼합하며, 37℃, 5% CO2 조건 하에 4 h 동안 배양한 후, 플레이트 내 액체를 버리고, 웰 당 150㎕의 DMSO를 넣고, 마이크로플레이트 리더로 3분 동안 진탕하며, 490 nm 위치에서 OD 값(광학 밀도 값)을 측정하였다.
대조군:
상기 동일한 조건 하에 측정할 활성 성분을 첨가하지 않고, 마지막으로 490 nm 위치에서 측정된 종양 세포의 OD 값을 얻었다. 종양 세포에 대한 약물의 억제 활성 IC50:
세포 억제율 계산: 하기 공식에 따라 종양 세포 성장에 대한 약물의 억제율을 계산하였다.
1) 세포 생존율(%) = (치료군 OD 값/대조군 OD 값)Х100
2) 각 약물 농도에서의 세포 생존율을 구하고, 이것으로 약물 농도에 대해 작도하였다. 이것으로 종양 세포 증식에 대한 상이한 약물의 억제 효과를 판단하였다.
3) 세포 생존율은 대조군의 50% 경우에 대응되는 약물 농도로서, 종양 세포에 대한 약물의 중간 억제 농도, 즉 약물의 IC50 값이다.
상기 각 약물 농도의 실험은 4그룹으로 반복하여, 평균 OD값을 취하여 세포 생존율을 계산하였다.
(2) 실험 결과:
IC50 (μM) |
1 |
2 |
3 |
4 |
5 |
6 |
7 |
8 |
9 |
카르보플라틴 |
HT29 |
20.80 |
10.05 |
35.62 |
40.61 |
24.23 |
9.27 |
9.21 |
20.14 |
18.48 |
53.20 |
SMMC7721 |
6.32 |
2.19 |
9.02 |
10.74 |
6.44 |
2.18 |
2.09 |
5.16 |
6.15 |
12.03 |
MCF-7 |
101.12 |
55.81 |
162.38 |
172.64 |
65.12 |
51.21 |
47.15 |
82.79 |
101.23 |
282.81 |
A549 |
48.25 |
13.50 |
80.91 |
81.44 |
41.01 |
15.19 |
13.66 |
38.59 |
42.68 |
95.26 |
SKOV3 |
153.42 |
53.72 |
243.73 |
231.20 |
148.37 |
61.29 |
53.42 |
107.72 |
126.65 |
318.37 |
ECA109 |
13.13 |
4.95 |
18.39 |
20.88 |
10.89 |
4.57 |
5.15 |
12.67 |
9.98 |
26.88 |
DU145 |
49.79 |
24.96 |
68.25 |
74.67 |
39.15 |
26.57 |
21.22 |
49.42 |
48.56 |
135.10 |
Hela |
14.95 |
6.03 |
24.99 |
24.22 |
15.16 |
6.06 |
6.67 |
12.76 |
11.79 |
34.13 |
A375 |
11.42 |
5.73 |
20.67 |
22.22 |
12.25 |
5.71 |
5.32 |
12.63 |
11.74 |
31.24 |
KB |
14.38 |
6.34 |
21.90 |
23.00 |
12.78 |
6.09 |
6.55 |
14.54 |
14.68 |
33.51 |
HGC27 |
23.30 |
12.94 |
42.00 |
43.22 |
20.87 |
12.76 |
12.81 |
24.46 |
23.98 |
68.31 |
SW579 |
70.56 |
33.45 |
100.25 |
112.65 |
73.28 |
32.27 |
31.56 |
80.01 |
76.23 |
170.46 |
5637 |
11.45 |
5.05 |
17.77 |
19.98 |
10.41 |
4.85 |
5.54 |
13.01 |
12.16 |
27.90 |
Panc-1 |
87.96 |
40.25 |
143.23 |
150.22 |
91.02 |
41.84 |
40.84 |
87.25 |
81.87 |
213.94 |
H929 |
6.36 |
4.45 |
13.13 |
18.93 |
9.12 |
4.13 |
3.93 |
10.00 |
11.23 |
23.14 |
HepG2 |
17.27 |
5.11 |
20.99 |
21.67 |
12.99 |
5.87 |
5.19 |
14.33 |
11.47 |
29.70 |
THP-1 |
3.93 |
2.94 |
11.43 |
10.55 |
7.77 |
2.89 |
2.54 |
7.15 |
8.12 |
15.01 |
H460 |
10.78 |
4.39 |
16.33 |
17.00 |
9.29 |
4.01 |
4.47 |
11.76 |
11.11 |
24.09 |
<MTT 실험 결과 (1)>
IC50 (μM)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카르보플라틴 |
HT29 |
30.61 |
37.09 |
9.15 |
12.72 |
36.16 |
19.9 |
8.26 |
12.44 |
8.65 |
53.20 |
SMMC7721 |
5.41 |
1.73 |
4.33 |
5.25 |
2.6 |
7.45 |
4.438 |
4.32 |
4.09 |
12.03 |
MCF-7 |
48.28 |
28.47 |
28.73 |
65.63 |
32.62 |
22.45 |
21.36 |
32.32 |
17.46 |
282.81 |
A549 |
24.45 |
19.57 |
20.68 |
18.95 |
30.17 |
18.88 |
16.92 |
34.77 |
15.25 |
95.26 |
SKOV3 |
104.75 |
92.62 |
102.71 |
103.56 |
102.36 |
108.64 |
109.32 |
97.29 |
92.71 |
318.37 |
ECA109 |
11.05 |
12.01 |
15.27 |
15.32 |
19.98 |
16.85 |
13.25 |
15.07 |
17.45 |
26.88 |
DU145 |
59.70 |
54.16 |
10.22 |
23.44 |
33.15 |
36.17 |
51.02 |
69.42 |
28.59 |
135.10 |
Hela |
21.15 |
16.03 |
11.11 |
13.45 |
20.11 |
22.06 |
11.63 |
12.71 |
11.79 |
34.13 |
A375 |
22.22 |
20.77 |
15.90 |
20.22 |
20.25 |
17.73 |
17.32 |
17.23 |
17.24 |
31.24 |
KB |
12.58 |
11.34 |
12.93 |
20.99 |
16.78 |
14.09 |
10.58 |
21.04 |
24.62 |
33.51 |
HGC27 |
40.39 |
32.14 |
30.00 |
44.33 |
40.84 |
35.26 |
39.21 |
34.48 |
33.98 |
68.31 |
SW579 |
103.22 |
100.40 |
103.21 |
94.00 |
101.11 |
94.24 |
105.23 |
110.53 |
100.88 |
170.46 |
5637 |
11.45 |
13.02 |
12.11 |
15.22 |
11.41 |
16.87 |
16.54 |
12.01 |
15.16 |
27.90 |
Panc-1 |
77.16 |
58.35 |
54.99 |
67.34 |
111.22 |
134.84 |
96.14 |
41.25 |
101.87 |
213.94 |
H929 |
3.33 |
5.63 |
3.56 |
7.88 |
12.11 |
13.13 |
14.22 |
6.89 |
14.23 |
23.14 |
HepG2 |
12.21 |
10.21 |
18.43 |
17.52 |
12.56 |
11.87 |
20.19 |
15.33 |
14.47 |
29.70 |
THP-1 |
3.99 |
7.56 |
4.33 |
5.87 |
8.11 |
4.64 |
9.10 |
9.52 |
6.52 |
15.01 |
H460 |
8.70 |
6.33 |
9.21 |
8.43 |
7.22 |
8.01 |
7.47 |
8.46 |
7.56 |
24.09 |
<MTT 실험 결과 (2)>
본 발명의 비타민 C-백금 착체은 우수한 항종양 활성을 구비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