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22924A - 전동식 압축기 - Google Patents
전동식 압축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00122924A KR20200122924A KR1020190046347A KR20190046347A KR20200122924A KR 20200122924 A KR20200122924 A KR 20200122924A KR 1020190046347 A KR1020190046347 A KR 1020190046347A KR 20190046347 A KR20190046347 A KR 20190046347A KR 20200122924 A KR20200122924 A KR 20200122924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oil
- scroll
- passage
- electric compressor
- rear housing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bandon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18/00—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 F04C18/02—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of arcuate-engagement type, i.e. with circular translatory movement of co-operating members, each member having the same number of teeth or tooth-equivalents
- F04C18/0207—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of arcuate-engagement type, i.e. with circular translatory movement of co-operating members, each member having the same number of teeth or tooth-equivalents both members having co-operating elements in spiral form
- F04C18/0215—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of arcuate-engagement type, i.e. with circular translatory movement of co-operating members, each member having the same number of teeth or tooth-equivalents both members having co-operating elements in spiral form where only one member is moving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18/00—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 F04C18/02—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of arcuate-engagement type, i.e. with circular translatory movement of co-operating members, each member having the same number of teeth or tooth-equivalents
- F04C18/0207—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of arcuate-engagement type, i.e. with circular translatory movement of co-operating members, each member having the same number of teeth or tooth-equivalents both members having co-operating elements in spiral form
- F04C18/0246—Details concerning the involute wraps or their base, e.g. geometry
- F04C18/0253—Details concerning the base
- F04C18/0261—Details of the ports, e.g. location, number, geometry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3/00—Combinations of two or more pumps, each being of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type,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Pumping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Multi-stage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 F04C23/02—Pumps characterised by combination with, or adaptation to, specific driving engines or moto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4C18/00 - F04C28/00
- F04C29/02—Lubrication; Lubricant separation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4C18/00 - F04C28/00
- F04C29/02—Lubrication; Lubricant separation
- F04C29/023—Lubricant distribution through a hollow driving shaft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4C18/00 - F04C28/00
- F04C29/02—Lubrication; Lubricant separation
- F04C29/026—Lubricant separation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4C18/00 - F04C28/00
- F04C29/04—Heating; Cooling; Heat insulation
- F04C29/045—Heating; Cooling; Heat insulation of the electric motor in hermetic pump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210/00—Fluid
- F04C2210/26—Refrigerants with particular properties, e.g. HFC-134a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240/00—Components
- F04C2240/30—Casings or housing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240/00—Components
- F04C2240/40—Electric motor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240/00—Components
- F04C2240/50—Bearing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240/00—Components
- F04C2240/80—Other component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240/00—Components
- F04C2240/80—Other components
- F04C2240/809—Lubricant sump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10/00—Working fluid
- F05B2210/10—Kind or type
- F05B2210/14—Refrigerants with particular properties, e.g. HFC-134a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40/00—Components
- F05B2240/50—Bearing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40/00—Components
- F05B2240/57—Seal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60/00—Function
- F05B2260/98—Lubr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otary Pumps (AREA)
- Applications Or Details Of Rotary Compressor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전동식 압축기는, 메인 하우징; 상기 메인 하우징의 일단부에 구비되는 전동부; 상기 전동부에 결합되어 회전하는 회전축; 상기 전동부를 마주보도록 상기 메인 하우징의 타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메인 하우징에 결합되고, 상기 회전축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고정스크롤; 상기 회전축에 결합되어 상기 고정스크롤에 대해 선회운동을 하고, 상기 고정스크롤과의 사이에 압축공간을 형성하며, 토출구가 형성되는 선회스크롤; 및 상기 고정스크롤을 등지는 상기 선회스크롤의 일측면을 마주보도록 배치되어 상기 메인 하우징에 결합되는 리어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리어 하우징은, 상기 선회스크롤의 토출구와 연통되는 공간부가 형성되고, 상기 공간부에는 상기 선회스크롤을 축방향으로 지지하는 스크롤 지지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토출된 냉매로부터 분리된 오일의 저유 공간을 충분하게 확보하면서도 저유공간을 형성하는 리어 하우징의 가공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압축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스크롤 방식으로 이루어져 모터로 구동되는 전동식 압축기에 관한 것이다.
압축기는 엔진을 구동원으로 하는 기계식과, 모터를 구동원으로 하는 전동식으로 구분된다. 전동식 압축기로는 고압축비 운전에 적합한 스크롤 압축 방식이 널리 알려져 있다.
스크롤 압축 방식을 갖는 전동식 압축기(이하, 전동식 압축기로 약칭함)의 밀폐된 케이싱의 내부에는 구동모터로 구성되는 전동부가 설치된다. 그리고 전동부의 일측에 고정스크롤과 선회스크롤로 구성되는 압축부가 설치된다. 전동부와 압축부는 회전축으로 연결된다. 전동부의 회전력은 회전축을 통해 압축부로 전달된다. 그리고 압축부는 회전축을 통해 전달받은 회전력에 의해 냉매 등의 유체를 압축한다.
전동식 압축기는 전기 자동차에 장착되어 전기 자동차의 냉동 사이클(refrigeration cycle)을 구성할 수 있다. 전기 자동차는 엔진을 이용하는 자동차에 비해 상대적으로 출력이 약하기 때문에 가능한 한 자동차 부품의 무게를 낮추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전동식 압축기는 작고 가볍게 제작되어야 전기 자동차에서의 설치공간을 줄이는 동시에 무게를 경감시킬 수 있어 유리하다.
그러나, 종래의 전동식 압축기는, 압축부를 이루는 고정스크롤과 선회스크롤이 프레임에 의해 지지됨에 따라, 압축기의 크기를 줄이고 무게를 경감시키는데 한계가 있었다. 이에,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4-0136796호(이하, 특허문헌1)에는 고정스크롤과 선회스크롤을 지지하는 프레임을 배제하고 고정스크롤을 이용하여 프레임의 역할을 겸용하게 하는 프레임 스크롤 방식의 압축기가 제시된 바 있다. 하지만, 특허문헌1은 주로 공조용으로 개발되는 것일 뿐만 아니라, 전동부와 압축부가 상하 방향으로 배열되는 종형 압축기인데 반해 차량용 압축기는 통상 전동부와 압축부가 횡방향으로 배열되는 횡형 압축기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특허문헌1을 차량용에 채용하기에는 적합하지 않다. 이에, 차량에 채용할 수 있는 횡형이면서 프레임 스크롤 방식의 전동식 압축기에 대한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횡형이면서 프레임 스크롤이 적용된 전동식 압축기를 제공하려는데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은, 횡형이면서 프레임 스크롤이 적용되되, 급유구조를 간소화하면서 냉매로부터 분리된 오일을 저장하는 공간을 확대하여 베어링면에 오일을 원활하게 공급할 수 있는 전동식 압축기를 제공하려는데 있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은, 횡형이면서 프레임 스크롤이 적용되되, 리어 하우징과 리어 하우징을 마주보는 선회스크롤에 급유통로를 형성하여 급유구조를 단순화할 수 있고, 리어 하우징의 내부구조를 단순화하여 리어 하우징에 대한 제조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전동식 압축기를 제공하려는데 있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은, 횡형 이면서 프레임 스크롤이 적용되되, 선회스크롤의 주변에 구비되는 실링부재의 개수를 줄여 제조 비용을 낮출 수 있는 전동식 압축기를 제공하려는데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구동모터를 마주보도록 구비되는 프레임 스크롤; 상기 프레임 스크롤에 맞물려 압축공간을 형성하는 선회스크롤; 상기 프레임 스크롤의 반대쪽에 구비되어 상기 선회스크롤을 지지하는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에는 토출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토출공간의 둘레를 따라 스크롤 지지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압축기가 제공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구동모터를 기준으로 프레임 스크롤, 선회스크롤, 리어 하우징이 차례대로 구비되며, 상기 리어 하우징에는 토출구와 연통되는 제1 공간 및 상기 제1 공간에 연통되며 배기구가 형성되는 제2 공간이 구비되고, 상기 제1 공간은 상기 리어 하우징과 선회스크롤에 구비된 오일통로를 통해 상기 선회스크롤과 프레임 스크롤 사이로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압축기가 제공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프레임 스크롤 방식의 전동식 압축기에서, 선회스크롤과 상기 선회스크롤을 프레임 스크롤 방향으로 지지하는 하우징의 사이에 스러스트 플레이트가 구비되며, 상기 스러스트 플레이트의 양쪽 측면에는 각각 실링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선회스크롤 또는 상기 선회스크롤에 결합되는 회전축에 감압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압축기가 제공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메인 하우징; 상기 메인 하우징의 일단부에 구비되는 전동부; 상기 전동부에 결합되어 회전하는 회전축; 상기 전동부를 마주보도록 상기 메인 하우징의 타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메인 하우징에 결합되고, 상기 회전축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고정스크롤; 상기 회전축에 결합되어 상기 고정스크롤에 대해 선회운동을 하고, 상기 고정스크롤과의 사이에 압축공간을 형성하며, 토출구가 형성되는 선회스크롤; 및 상기 고정스크롤을 등지는 상기 선회스크롤의 일측면을 마주보도록 배치되어 상기 메인 하우징에 결합되는 리어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리어 하우징은, 상기 선회스크롤의 토출구와 연통되는 공간부가 형성되고, 상기 공간부를 이루는 상기 리어 하우징의 내주면에는 반경방향으로 돌출되는 스크롤 지지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압축기가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스크롤 지지부에는 상기 스크롤 지지부의 축방향 양쪽 측면을 관통하는 오일회수통로가 형성되고, 상기 선회스크롤에는 상기 오일회수통로에 연통되어 상기 오일회수통로를 통해 전달되는 오일을 베어링면으로 안내하는 오일안내통로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선회스크롤과 리어 하우징의 사이에는 스러스트 플레이트가 구비되고, 상기 스러스트 플레이트는 상기 리어 하우징과 고정스크롤 사이에 고정 결합되며, 상기 스러스트 플레이트에는 상기 오일회수통로와 오일안내통로를 연통시키는 제1 오일연통구멍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리어 하우징과 스러스트 플레이트의 사이에는 상기 공간부를 감싸는 실링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실링부재에는 상기 제1 오일연통구멍과 오일안내통로를 연통시키는 제2 오일연통구멍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스크롤 지지부에는 상기 실링부재가 삽입되도록 실링홈이 형성되고, 상기 오일회수통로는 상기 실링홈에 연통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실링부재는 상기 리어 하우징에 대해 원주방향으로 구속되고, 상기 오일안내통로의 내경은 상기 제1 오일연통구멍의 내경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리어 하우징과 상기 실링부재의 사이에는 고정핀이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실링부재는 상기 스러스트 플레이트에 대해 원주방향으로 구속되고, 상기 오일안내통로의 내경은 상기 제1 오일연통구멍의 내경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스크롤 지지부에는 상기 공간부를 감싸는 실링부재가 삽입되도록 실링홈이 형성되고, 상기 오일회수통로는 상기 실링홈보다 안쪽 또는 바깥쪽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오일안내통로의 내경은 상기 오일회수통로의 내경 또는 상기 제1 오일연통구멍의 내경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선회스크롤의 중심부분에는 회전축 결합부가 형성되며, 상기 회전축 결합부에 결합되는 상기 회전축에는 상기 오일안내통로와 연통되도록 오일공급통로가 형성되며, 상기 오일공급통로는, 상기 회전축에서 축방향으로 형성되는 급유홈과, 상기 급유홈의 내주면에서 상기 회전축의 외주면으로 관통되는 한개 이상의 급유구멍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오일안내통로는 상기 회전축 결합부에 연통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오일안내통로는 상기 고정스크롤을 향하도록 돌출되는 상기 선회스크롤의 선회랩을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스크롤에는 상기 회전축의 일측을 반경방향으로 지지하는 메인 베어링이 구비되고, 상기 회전축 결합부에는 상기 회전축의 타측을 반경방향으로 지지하는 편심 베어링이 구비되며, 상기 회전축과 편심 베어링 사이의 제2 간격은 상기 회전축과 메인 베어링 사이의 제1 간격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스크롤을 마주보는 상기 선회랩의 단부에는 급유연통홈이 형성되고, 상기 급유연통홈은 상기 회전축 결합부의 내측면으로 연통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편심 베어링의 내주면에 대응하는 상기 회전축의 외주면에는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오일연통홈이 리세스 되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오일안내통로 또는 상기 오일공급통로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한 쪽에는 오일량을 조절하는 유량제어부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전동식 압축기는, 횡형으로 구성되면서도 프레임과 고정스크롤을 일체화한 프레임 스크롤 방식의 전동식 압축기를 제공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의한 전동식 압축기는, 리어 하우징의 토출저유 공간부를 그 토출저유 공간부에 비해 상대적으로 압력이 낮은 압축부에 연통시킴에 따라, 토출저유 공간부에 고인 오일을 차압에 의해 압축부쪽으로 신속하게 공급할 수 있다. 아울러, 리어 하우징에 토출 공간과 저유 공간을 일체로 형성함에 따라, 유 공간의 체적을 확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압축부로 이동한 오일이 베어링면으로 신속하게 이동하면서 베어링면을 원활하게 윤활하여 베어링면에서의 오일부족으로 인한 마찰손실 또는 마모를 줄일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의한 전동식 압축기는, 리어 하우징과 선회스크롤에 각각 오일회수통로와 오일안내통로를 형성함에 따라, 급유구조를 단순화하여 리어 하우징을 비롯한 부품들에 대한 제조 비용을 낮출 수 있다. 또, 리어 하우징에 토출 공간부와 저유 공간부를 일체로 형성함에 따라, 리어 하우징의 제조를 더욱 단순화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은, 선회스크롤의 오일안내통로 또는 회전축의 오일공급통로에 유량제어부를 설치하여 토출압 상태인 토출저유 공간부의 오일이 리어 하우징과 선회스크롤 사이를 통과하도록 함으로써, 리어 하우징과 선회스크롤 사이가 토출압 상태를 유지하게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리어 하우징과 선회스크롤 사이에 구비되는 실링부재의 개수를 줄여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 실링부재를 관통하여 오일통로를 형성하는 경우에는 실링부재의 개수를 더욱 줄여 제조 비용을 더욱 낮출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을 따른 전동식 압축기의 외관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따른 전동식 압축기를 분해하여 보인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따른 전동식 압축기를 조립하여 내부를 보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압축부에서 고정스크롤과 선회스크롤의 결합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선회스크롤을 후방측에서 보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리어 하우징을 전방측에서 보인 사시도,
도 7은 본 실시예에 따른 급유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보인 전동식 압축기의 일부를 보인 단면도,
도 8은 도 7의 "A"부를 확대하여 보인 단면도,
도 9는 본 실시예에 따른 제2 실링부재가 리어 하우징에 고정된 예를 보인 평면도,
도 10은 도 9의 "Ⅵ-Ⅵ"선단면도,
도 11은 도 7에서 제2 실링부재의 고정구조에 대한 다른 실시예를 보인 정면도,
도 12 및 도 13는 도 11의 "Ⅶ-Ⅶ"선단면도들,
도 14는 본 실시예에 따른 급유구조에 대한 다른 실시예를 보인 단면도,
도 15는 도 14의 "Ⅷ-Ⅷ"선단면도로서, 회전축 결합부의 단면을 보인 확대도,
도 16은 도 14에서, 메인 베어링의 간격과 편심 베어링의 간격을 비교하여 보인 단면도,
도 17은 도 14의 "Ⅸ-Ⅸ"선단면도로서, 편심부의 외주면에 구비된 오일통로를 보인 단면도.
도 2는 도 1에 따른 전동식 압축기를 분해하여 보인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따른 전동식 압축기를 조립하여 내부를 보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압축부에서 고정스크롤과 선회스크롤의 결합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선회스크롤을 후방측에서 보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리어 하우징을 전방측에서 보인 사시도,
도 7은 본 실시예에 따른 급유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보인 전동식 압축기의 일부를 보인 단면도,
도 8은 도 7의 "A"부를 확대하여 보인 단면도,
도 9는 본 실시예에 따른 제2 실링부재가 리어 하우징에 고정된 예를 보인 평면도,
도 10은 도 9의 "Ⅵ-Ⅵ"선단면도,
도 11은 도 7에서 제2 실링부재의 고정구조에 대한 다른 실시예를 보인 정면도,
도 12 및 도 13는 도 11의 "Ⅶ-Ⅶ"선단면도들,
도 14는 본 실시예에 따른 급유구조에 대한 다른 실시예를 보인 단면도,
도 15는 도 14의 "Ⅷ-Ⅷ"선단면도로서, 회전축 결합부의 단면을 보인 확대도,
도 16은 도 14에서, 메인 베어링의 간격과 편심 베어링의 간격을 비교하여 보인 단면도,
도 17은 도 14의 "Ⅸ-Ⅸ"선단면도로서, 편심부의 외주면에 구비된 오일통로를 보인 단면도.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전동식 압축기를 첨부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을 따른 전동식 압축기의 외관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전동식 압축기(100)는, 압축모듈(101)과 인버터모듈(102)을 포함한다. 압축모듈(101)은 냉매 등의 유체를 압축하기 위한 부품들의 집합을 가리키고, 인버터모듈(102)은 압축모듈(101)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부품들의 집합을 가리킨다. 인버터모듈(102)은 압축모듈(101)의 전방측에 결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인버터모듈이 설치되는 쪽을 전방측으로, 압축모듈이 설치되는 쪽을 후방측으로 각각 정의한다. 압축 대상 유체(이하, 냉매)는 흡기구(111)로 유입되어 배기구(126)로 배출되므로, 흡기구(111)에 가깝게 배치되는 인버터모듈(102)은 압축모듈(101)의 전방측에 결합되는 것이 인버터모듈을 냉각하는데 유리하다.
압축모듈(101)의 외관은 제1 하우징을 이루는 메인 하우징(110) 및 제2 하우징을 이루는 리어 하우징(120)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인 하우징(110)은 전방측 단부는 막히고 후방측 단부는 개구된 형상으로 형성되고, 리어 하우징(120)은 전방측 단부는 개구되고 후방측 단부는 막힌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에 따라, 메인 하우징(110)의 후방측 단부와 리어 하우징(120)의 전방측 단부가 서로 연통되어 압축모듈(101)의 밀폐된 케이싱을 형성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따른 전동식 압축기를 분해하여 보인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에 따른 전동식 압축기를 조립하여 내부를 보인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메인 하우징(110)은 속이 빈 원기둥, 다각 기둥 또는 그에 준하는 외관을 갖는다. 메인 하우징(110)은 횡방향을 향해 연장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메인 하우징(110)은 후술하게 될 전동부(130)를 감싸도록 형성된다. 메인 하우징(110)의 축방향 일단은 막힌 형상으로 형성되고 축방향 타단은 개구될 수 있다.
메인 하우징(110)의 외주면에는 흡기구(111)가 형성된다. 흡기구(111)는 냉매(예를 들어, R134a, R32, CO2 등)를 압축모듈(101)의 내부 공간으로 공급하는 유로를 형성한다.
메인 하우징(110)의 후방측 단부의 내주면에는 후술할 고정스크롤(140)의 지지돌부(143)를 축방향으로 지지하는 제1 스크롤 지지부(112)가 형성된다. 제1 스크롤 지지부(112)는 원호 형상으로 단차지게 형성될 수도 있고, 환형으로 단차지게 형성될 수도 있다.
리어 하우징(120)은 메인 하우징(110)의 후방측 단부에 결합된다. 리어 하우징(120)은 메인 하우징(110)의 후방측 단부를 덮도록 형성될 수 있다. 리어 하우징(120)에는 배기구(126)가 형성되고, 배기구(126)에는 유분리기(123a)가 설치된다.
또, 리어 하우징(120)은 후술할 선회스크롤(150)의 배면을 마주보도록 구비되어, 스크롤 수용부(121), 토출저유 공간부(122) 그리고 유분리 공간부(123)를 형성하는 것으로, 이에 대해서는 나중에 연관되는 부재와 함께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시,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압축모듈(101)은 케이싱의 일부를 이루는 메인 하우징(110)의 내부공간에 전동부(130)(구동부 혹은 구동모터)와 압축부(105)가 축방향으로 배열되고, 전동부(130)와 압축부(105)는 회전축(160)에 의해 연결된다. 전동부(130)는 메인 하우징(110)의 전방측에, 압축부(105)는 메인 하우징(110)의 후방측에 각각 위치하게 된다.
여기서, 메인 하우징(110)에 흡기구(111)가 형성됨에 따라 메인 하우징(110)의 내부공간은 흡입공간(S1)을 형성하게 되고, 따라서 전동부(130)와 압축부(105)는 흡입압을 형성하는 흡입공간(S1)에 배치된다. 따라서, 흡입공간(S1)은 모터실이라고도 할 수 있다.
전동부(130)는 압축부(105)의 선회스크롤(150)을 선회 운동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발생시키도록 형성된다. 전동부(130)는 구동모터라고도 하며, 전동 모터로 구성된다.
구동모터를 이루는 전동부(130)는 고정자(131)와 회전자(132)를 포함한다.
고정자(131)는 메인 하우징(110)의 내주면에 열박음(또는 열간압입)으로 삽입되어 고정된다. 하지만, 삽입 후 용접하여 고정하거나 또는 다른 고정부재를 이용하여서 고정할 수도 있다.
회전자(132)는 고정자(131)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다. 회전자(132)는 고정자(131)에 전력이 인가되면, 고정자(131)와의 전자기적 상호 작용에 의해 회전하게 된다.
회전자(132)의 중심에는 회전축(160)이 결합된다. 회전축(160)에는 편심부(164)가 형성되어 선회스크롤(150)에 편심지게 결합된다. 이에 따라, 회전축(160)은 구동모터의 회전력을 선회스크롤(150)에 전달하게 된다. 회전축에 대해서는 나중에 다시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압축부에서 고정스크롤과 선회스크롤의 결합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압축부(105)는 프레임 스크롤을 이루는 고정스크롤(프레임 스크롤과 고정스크롤은 동일한 부재이므로, 이하에서는 프레임 스크롤과 고정스크롤을 혼용할 수 있다)(140)과 선회스크롤(150)을 포함한다. 압축부(105)는 고정스크롤(140)과 선회스크롤(150)에 의해 형성된다. 고정스크롤(140)과 선회스크롤(150)은 각각 제1 스크롤과 제2 스크롤로 정의될 수 있다.
고정스크롤(140)과 선회스크롤(150)은 서로 결합되어 한 쌍의 압축실을 형성한다. 선회스크롤(150)이 선회 운동함에 따라 압축실의 용적이 반복적으로 변동되고, 이에 따라 압축실에서 냉매가 압축된다.
다시 도 3을 참고하면, 고정스크롤(140)은 상대적으로 전동부(130)에 가깝게 배치되고, 선회스크롤(150)은 상대적으로 전동부(130)로부터 멀게 배치된다. 고정스크롤(140)은 축 방향에서 선회스크롤(150)과 메인 하우징(110)의 사이에 배치된다. 선회스크롤(150)은 축 방향에서 고정스크롤(140)과 리어 하우징(120)의 사이에 배치된다.
고정스크롤(140)은 고정 경판부(141) 및 고정랩(142)을 포함한다.
고정 경판부(141)는 대략 원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고정 경판부(141)의 외주면에는 복수 개의 지지돌부(143)가 원주방향을 따라 환형으로 형성되고, 지지돌부(143)의 외주면에는 체결볼트(미도시)가 통과하도록 볼트통과홈(143c)이 원주방향을 따라 기설정된 간격을 두고 형성된다.
구동모터를 향하는 지지돌부(143)의 제1 측면(143a)은 메인 하우징(110)의 내주면에 구비되는 제1 스크롤 지지부(112)에 의해 전방측 축방향으로 지지되고, 지지돌부(143)의 제1 측면(143a)에 대해 반대쪽인 제2 측면(143b)은 후술할 리어 하우징(120)의 제2 스크롤 지지부(125)에 의해 후방측 축방향으로 지지된다. 이에 따라, 고정스크롤(140)은 리어 하우징(120)에 의해 반경방향으로 지지되는 동시에 메인 하우징(110)과 리어 하우징(120)에 의해 축방향으로 지지된다.
여기서, 지지돌부(143)의 제2 측면(143b)과 리어 하우징(120)의 제2 스크롤 지지부(125) 사이에는 스러스트 플레이트(180)가 삽입되어 고정스크롤(140)과 함께 고정된다. 이에 대해서는 나중에 다시 설명한다.
또, 지지돌부(143)에는 흡입공간(S1)과 흡입실(V1) 사이를 연통시키는 흡입구(145)가 관통 각각 형성된다. 따라서, 제1 스크롤 지지부(112)의 반경방향 높이는 흡입구(145)를 가리지 않는 정도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고정 경판부(141)의 중심부분에는 구동모터를 향해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스크롤 축수부(146)가 형성되고, 스크롤 축수부(146)의 내부에는 회전축 수용부(147)가 축방향으로 관통 형성된다.
회전축 수용부(147)의 내주면에는 회전축(160)의 메인 베어링부(162)가 삽입되어 반경방향으로 지지되도록 메인 베어링(171)이 삽입되어 고정된다. 메인 베어링(171)은 볼 베어링으로 이루어 질 수도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부시베어링이 적용되어 제조 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
회전축 수용부(147)의 전방단에는 회전축(160)과 고정스크롤(140) 사이를 실링하는 실링부재(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회전축(160)은 구동모터의 회전자(132)를 중심으로 후방측에 형성되는 메인 베어링부(162)가 고정스크롤(140)에 의해 반경방향으로 지지된다.
회전축(160)의 전방측에 형성되는 서브 베어링부(163)는 메인 하우징(110)의 전방측면에 구비되는 서브 베어링(172)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서브 베어링(172)은 볼 베어링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메인 하우징(110)의 전방 내측면에 구비되는 축 지지부(113)에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서브 베어링(172)이 볼 베어링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회전축(160)은 그 서브 베어링(172)에 의해 반경방향 및 축방향으로 지지된다.
도 4를 참조하면, 고정랩(142)은 선회스크롤(150)을 향하는 고정 경판부(141)의 제2 측면(141b)에서 선회스크롤(150)을 향해 돌출 형성된다. 고정랩(142)은 인벌류트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지만, 본 실시예는 회전축(160)이 고정스크롤(140)을 관통하여 선회스크롤(150)에 삽입되어 결합됨에 따라, 본 실시예에 따른 고정랩(142)은 비인벌류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고정랩의 형상에 대해서는 나중에 선회랩과 함께 다시 설명한다.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선회스크롤(150)은 고정스크롤(140)을 마주보는 위치에 배치된다. 선회스크롤(150)은 회전축(160)의 후방단에 구비되는 편심부(164)에 결합된다. 이에 따라 선회스크롤(150)은 회전축(160)에 편심되게 결합된다. 편심부(164)를 통해 회전력을 전달받은 선회스크롤(150)은 자전 방지 기구(190)에 의해 선회 운동하게 된다.
선회스크롤(150)은 선회 경판부(151), 선회랩(152) 및 회전축 결합부(153)를 포함한다.
선회 경판부(151)는 고정 경판부(141)에 대응되는 판 모양으로 형성된다. 고정 경판부(141)가 원판 형상의 단면을 갖는다면, 선회 경판부(151)는 원판 형상의 단면을 갖는다.
선회 경판부(151)의 축방향 양쪽 측면중에서 고정스크롤(140)을 향하는 면을 제1 측면(151a)이라고 하고, 리어 하우징(120)을 향하는 면을 제2 측면(151b)이라고 할 때, 제1 측면(151a)에는 선회랩(152)이 형성되고, 제2 측면(151b)에는 자전방지홈(154)이 형성된다. 자전방지홈(154)은 도 1과 같이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 개가 형성된다.
선회랩(152)은 선회 경판부(151)의 제1 측면(151a)으로부터 고정스크롤(140)을 향해 인볼류트(involute) 곡선, 산술 와선(아르키메데스 와선, Archimedean spiral) 또는 대수 나선(로그 나선, Logarithmic spiral) 형상으로 돌출될 수도 있다.
하지만, 본 실시예에 따른 선회랩(152)은 고정랩(142)과 함께 비 인벌류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회전축(160)이 고정스크롤(140)을 관통하여 선회스크롤(150)의 선회랩(152)과 반경방향으로 중첩되도록 결합됨에 따라, 고정랩(142)을 기준으로 외측에 형성되는 압축포켓과 내측에 형성되는 압축포켓 사이의 압력차를 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선회랩(152)은 회전축 결합부(153)를 이루는 토출측 단부에 돌출부(153a)가 형성되어, 내측 압축포켓의 크랭크각(압축각)이 연장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내측 압축포켓의 압축각을 늘려 압축주기를 연장시킬 수 있고, 내측 압축포켓의 압축비를 증가시켜 양쪽 압축포켓의 압력차를 최소화할 수 있다.
회전축 결합부(153)는 선회 경판부(151)의 중심에 형성된다. 회전축 결합부(153)는 선회 경판부(151)의 제1 측면(151a)으로부터 고정스크롤(140)을 향해 돌출된다. 회전축 결합부(153)는 선회랩(152)을 정의하는 기초원에 해당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회전축 결합부(153)는 선회랩(152)의 가장 안쪽 부분을 형성한다.
회전축 결합부(153)는 회전축(160)의 편심부(164)를 수용하도록 속이 빈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된다. 회전축 결합부(153)는 회전축(160)의 편심부(164)를 감싸도록 형성된다.
선회스크롤(150)의 회전축 결합부(153)는 한 쪽으로만 개구된다. 예를 들어, 선회스크롤(150)의 회전축 결합부(153)는 고정스크롤(140)을 향해서는 개구되어 있지만, 개구된 부분의 반대쪽인 후방면은 선회 경판부(151)에 의해 막혀 있다. 따라서 회전축(160)의 편심부(164)는 선회스크롤(150)의 회전축 결합부(153)에 삽입되지만, 선회 경판부(151)를 관통하는 것은 아니다.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선회스크롤을 후방측에서 보인 사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선회 경판부(151)의 제2 측면(152b)에는 복수 개의 자전방지홈(154), 스크롤측 실링홈(155a), 토출안내홈(156)이 각각 형성된다.
복수 개의 자전방지홈(정확하게는 자전방지링)(154)은 후술할 자전방지핀(192)과 함께 선회스크롤(150)의 자전을 방지하는 자전방지기구(190)를 형성하는 것으로, 복수 개의 자전방지홈(154)은 원주방향을 따라 기설정된 간격을 두고 형성된다. 복수 개의 자전방지홈(154)은 복수 개의 자전방지핀(192)과 일대일 대응하도록 형성된다. 복수 개의 자전방지홈(154)에는 각각 자전방지링(191)이 삽입되어 결합된다. 이에 따라, 자전방지링(191)에 자전방지핀(192)이 회전가능하게 삽입된다.
스크롤측 실링홈(155a)은 자전방지홈보다 바깥쪽(가장자리부)에서 환형으로 형성된다. 더 정확하게는 스크롤측 실링홈(155a)은 후술할 오일안내통로(159)보다 바깥쪽에 위치하도록 형성된다.
스크롤측 실링홈(155a)에는 후술할 스러스트 플레이트(180)와 선회스크롤(150) 사이를 실링하기 위한 전방측 실링부재(이하, 제1 실링부재)(181)가 삽입된다. 이에 따라, 선회스크롤(150)의 제2 측면(151b)과 스러스트 플레이트(180) 사이에 제1 실링부재(181)가 구비되어 토출저유 공간부(122)와 오일안내통로(159) 사이가 실링된다.
토출안내홈(156)은 선회 경판부(151)의 제2 측면(151b)으로부터 기설정된 깊이만큼 음각지게 형성되는 것으로, 선회 경판부(151)의 제2 측면(151b)에서 중심부에 형성된다. 토출구(157)가 축중심으로부터 편심되게 형성됨에 따라, 토출안내홈(156) 역시 축중심으로부터 편심되게 형성된다. 스크롤측 실링홈(155a)은 토출안내홈(156)의 내주면에 단차지게 형성될 수 있다.
또, 토출안내홈(156)의 내부에는 토출구(157)가 형성된다. 토출구(157)은 선회 경판부(151)의 제1 측면(151a)과 제2 측면(151b) 사이를 관통하여 형성되고, 토출구(157)의 단부에는 그 토출구(157)를 개폐하여 일종의 토출밸브 역할을 하는 체크밸브(158)가 설치된다.
선회 경판부(151)에는 후술할 리어 하우징(120)의 토출저유 공간부(122)로 유입되는 오일을 후술할 회전축(160)의 오일공급통로(165)로 안내하기 위한 오일안내통로(159)가 형성된다. 이에 대해서는 리어 하우징과 함께 나중에 다시 설명한다.
다시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회전축(160)은 전동부(130)에서 발생되는 구동력을 선회스크롤(150)에 전달하도록 전동부(130)와 선회스크롤(150)에 각각 연결된다. 이를 위해, 회전축(160)은 전동식 압축기(100)의 전방측에서 후방측을 향해 연장된다. 회전축(160)이 연장되는 방향이 곧 회전축(160)의 축방향이다. 회전축(160)은 열박음(또는 열간압입)의 방법으로 회전자(132)에 삽입 및 고정된다.
회전축(160)은 모터결합부(161), 메인 베어링부(162)와 서브 베어링부(163) 및 편심부(164)를 포함한다.
모터결합부(161)는 회전자(132)의 중심을 관통하여 결합된다.
메인 베어링부(162)는 모터결합부(161)의 후방측에 해당하는 부분이고, 서브 베어링부(163)는 모터결합부(161)의 전방측에 해당하는 부분이다. 이에 따라, 메인 베어링부(162)와 서브 베어링부(163)는 모터결합부(161)로부터 축방향을 따라 서로 반대방향으로 각각 연장된다. 메인 베어링부(162)와 서브 베어링부(163)는 모터결합부(161)와 다른 외경을 가질 수 있다. 메인 베어링부(162)와 서브 베어링부(163)의 중심은 모터결합부(161)의 중심과 각각 일치한다.
메인 베어링부(162)는 후술할 고정스크롤(140)의 회전축 수용부(147)를 축방향으로 관통하도록 삽입된다. 회전축 수용부(147)에는 부시 베어링으로 된 메인 베어링(171)이 결합된다. 따라서, 메인 베어링부(162)는 메인 베어링(171)에 의해 반경방향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서브 베어링부(163)는 메인 하우징(110)의 전방면에 구비된 회전축 수용부(147)에 결합된다. 회전축 수용부(147)에는 볼 베어링으로 된 서브 베어링(172)이 결합된다. 따라서, 서브 베어링부(163)는 서브 베어링(172)에 의해 반경방향 및 축방향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편심부(164)는 메인 베어링부(162)의 후방측에 해당하는 부분이다. 편심부(164)는 메인 베어링부(162)로부터 축 방향을 따라 연장된다. 편심부(164)는 메인 베어링부(162)보다 작은 외경을 가질 수 있다.
편심부(164)의 중심은 메인 베어링부(162)의 중심에 대해 편심지게 형성된다. 도 4를 참조하면, 편심부(164)의 중심(Oe)은 회전축(160)의 축방향에서 모터결합부(161)의 중심 또는 모터결합부(161)와 동축인 회전축(160)의 축중심(Oc)으로부터 편심된 위치에 형성된다. 편심부(164)는 회전축(160)의 후방단에 형성되어 선회스크롤(150)의 회전축 결합부(153)에 삽입된다.
회전축(160)의 내부에는 선회스크롤(150)의 회전축 결합부(154)로 유입되는 오일을 메인 베어링부(162)와 편심부(164)로 안내하기 위한 오일공급통로(165)가 형성된다. 오일공급통로(165)는 급유홈(165a)과 복수 개의 급유구멍(165b,165c)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급유구조와 함께 나중에 다시 설명한다.
한편,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케이싱은 메인 하우징(110)과 리어 하우징(120)으로 이루어지고, 메인 하우징(110)과 리어 하우징(120)의 사이에 고정스크롤(140)이 축방향으로 지지되어 고정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리어 하우징을 전방측에서 보인 사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리어 하우징(120)은 메인 하우징(110)의 후방단에 결합하는 동시에 고정스크롤(140)을 축방향으로 지지하게 된다.
리어 하우징(120)의 내부공간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압축실(V)에서부터 냉매가 유동하는 순서를 따라 스크롤 수용부(121), 토출저유 공간부(122) 그리고 유분리 공간부(123)를 포함할 수 있다.
스크롤 수용부(121)와 토출저유 공간부(122)는 리어 하우징(120)의 내주면에서 반경방향으로 돌출되는 제2 스크롤 지지부(125)에 의해 분리된다. 제2 스크롤 지지부(125)는 환형으로 형성되어 전방면은 스크롤 수용부(121)를 형성하고, 후방면은 토출저유 공간부(122)를 형성하게 된다.
제2 스크롤 지지부(125)는 리어 하우징(120)에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고, 경우에 따라서는 후조립될 수도 있다. 도 3은 제2 스크롤 지지부(125)가 리어 하우징(120)에서 일체로 연장된 예를 보인 도면이다.
예를 들어, 제2 스크롤 지지부(125)가 리어 하우징(120)에 일체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토출저유 공간부(122)의 내경이 제2 스크롤 지지부(125)의 내경과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그러면 토출저유 공간부(122)의 내경을 넓게 확보할 수 있어, 그만큼 토출저유 공간부(122)의 체적이 확대될 수 있다. 그러면 토출되는 냉매에 대한 소음 저감 효과가 향상되고 오일의 저장 공간이 확대되어 유토출을 줄일 수 있다.
또, 제2 스크롤 지지부(125)가 리어 하우징(120)에 조립되는 경우에는 그 제2 스크롤 지지부(125)의 후방면이 리어 하우징(120)에 축방향으로 지지되어야 하므로 토출저유 공간부(122)의 내경은 스크롤 수용부(121)의 내경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토출저유 공간부(122)의 내경을 최대한 넓게 확보하기 위해 제2 스크롤 지지부(125)를 지지하는 리어 하우징(120)의 지지면(미도시)을 최대한 작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토출저유 공간부(122)는 후방면이 막힌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토출저유 공간부(122)의 후방면에는 유분리 공간부(123)가 형성된다. 따라서, 토출저유 공간부(122)의 후방면은 유분리 공간부(123)를 확보할 수 있도록 전방측으로 약간 볼록하게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토출저유 공간부(122)의 후방면에는 유분리 공간부(123)와 연통되도록 복수 개의 유분리 연통구멍(122a)(122b)이 상하 양측에 형성될 수 있다.
상측에 형성되는 유분리 연통구멍(이하, 제1 유분리 연통구멍)(122a)은 토출저유 공간부(122)의 냉매를 유분리 공간부(123)로 안내하는 구멍이고, 하측에 형성되는 유분리 연통구멍(이하, 제2 유분리 연통구멍)(122b)은 유분리 공간부(123)에서 분리된 오일을 토출저유 공간부(122)로 안내하는 구멍이다. 따라서, 하측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유분리 연통구멍(122a)은 유분리 공간부(123)의 측면으로 연통되도록 형성되고, 제2 유분리 연통구멍(122b)은 유분리 공간부(123)의 하면으로 연통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분리 공간부(123)는 상하 방향 또는 상하방향으로 형성되거나 또는 상하방향에 대해 약간 경사진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유분리 공간부(123)에는 유분리기(123a)가 설치되어 유분리 공간부(123)로 유입되는 냉매로부터 오일을 분리하게 된다. 오일이 분리된 냉매는 유분리 공간부(123)의 상단에 관통된 배기구(126)를 통해 냉동사이클로 이동하는 반면, 냉매로부터 분리된 머스트 상태의 오일은 유분리 공간부(123)의 하단에 관통된 제2 유분리 연통구멍(122b)을 통해 토출저유 공간부(122)로 이동하게 된다.
토출저유 공간부(122)의 전방면을 이루는 제2 스크롤 지지부(125)에는 토출저유 공간부(122)의 오일을 압축부쪽으로 안내하는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오일회수통로(127)가 형성된다. 오일회수통로에 대해서는 나중에 급유구조와 함께 다시 설명한다.
한편, 제2 스크롤 지지부(125)에는 하우징측 실링홈(125a)이 형성되고, 스크롤 실링홈(125a)에는 하우징측 실링부재(이하, 제2 실링부재)(182)가 삽입된다. 제2 실링부재(182)는 제1 실링부재(181)와 함께 토출저유 공간부(122)와 흡입공간(또는 압축실)(S1) 사이를 실링하게 된다. 제2 실링부재(182)에는 오일회수통로(127)와 후술할 스러스트 플레이트(180)의 제1 오일연통구멍(180b)과 연통되는 제2 오일연통구멍(182a)이 형성된다. 이에 대해서는 나중에 급유구조와 함께 다시 설명한다.
선회스크롤(150)과 리어 하우징(120)의 사이에는 스러스트 플레이트(180)가 설치된다. 스러스트 플레이트(180)는 선회스크롤(150)의 선회운동시 리어 하우징(120)과의 마찰손실 및 마모를 줄이기 위해 설치되는 것이므로, 선회스크롤(150) 또는 리어 하우징(120)에 비해 내마모성이 큰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 스러스트 플레이트(180)는 환형으로 형성된다. 스러스트 플레이트(180)의 가장자리인 외주부는 리어 하우징(120)과 고정스크롤(140) 사이에서 고정 결합되고, 중심부인 내주부는 리어 하우징(120)과 선회스크롤(150) 사이에서 자유상태로 위치하게 된다. 이에 따라, 스러스트 플레이트(180)의 외경은 리어 하우징(120)의 스크롤 수용부(121)의 내경과 거의 동일하게 형성되고, 스러스트 플레이트(180)의 내경은 리어 하우징(120)의 제2 스크롤 지지부(125)의 내경과 거의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스러스트 플레이트(180)에는 자전방지핀(192)이 관통 결합되는 핀구멍(180a)이 원주방향을 따라 기설정된 간격을 두고 복수 개가 형성된다. 핀구멍(180a)은 대략 자전방지핀(192)과 동일하거나 약간 크게 형성된다.
또, 스러스트 플레이트(180)에는 제1 오일연통구멍(180b)이 형성된다. 제1 오일연통구멍(180b)은 제2 실링부재(182)의 제2 오일연통구멍(182a)과 선회스크롤(150)의 오일안내통로(159)와의 사이에 위치한다. 이에 따라, 제2 오일연통구멍(182a)과 오일안내통로(159)는 오일연통구멍(180b)에 의해 연통된다. 이에 대해서는 급유구조와 함께 나중에 다시 설명한다.
상기와 같은 본 실시예에 따른 전동식 압축기는 다음과 같이 동작된다.
즉, 구동모터(130)에 전원이 인가되면, 회전축(160)이 회전자(132)와 함께 회전을 하면서 선회스크롤(150)에 회전력을 전달하게 되고, 선회스크롤(150)은 자전방지링(191)과 자전방지핀(192)에 의해 고정스크롤(140)에 대해 선회운동을 하게 된다. 그러면 압축실(V)은 중심측을 향해 지속적으로 이동되면서 체적이 감소하게 된다.
그러면, 냉매는 흡기구(111)를 통해 흡입공간인 모터실(S1)로 유입되고, 모터실(S1)로 유입된 냉매는 고정자(131)의 외주면과 메인 하우징(110)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유로 또는 고정자(131)와 회전자(132) 사이의 공극을 통과하여 압축실(V)로 흡입된다.
그러면, 이 냉매는 선회스크롤(140)과 고정스크롤(150)에 의해 압축되어 토출구(157)를 통해 토출저유 공간부(122)로 토출되고, 이 냉매는 토출저유 공간부(122)에서 제1 유분리 연통구멍(122a)을 통해 유분리 공간부(123)로 이동하며, 이 냉매는 유분리 공간부(123)에서 냉매와 오일로 분리된다. 오일이 분리된 냉매는 배기구(126)를 통해 냉동사이클로 배출되는 반면 미스트 상태의 냉매오일은 제2 유분리 연통구멍(122b)을 통해 토출저유 공간부(122)로 이동한다. 이 오일은 후술할 오일회수통로(127)와 오일안내통로(159) 그리고 오일공급통로(165)를 통해 각각의 베어링면과 압축실로 이동하는 일련의 과정을 반복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전동식 압축기에서는, 토출저유 공간부(122)의 오일을 압축부(105)로 안내하기 위한 급유구조가 구비된다. 급유구조는 리어 하우징(120)의 오일회수통로(127)와 제2 실링부재(182)의 제2 오일연통구멍(182a)과 스러스트 플레이트(180)의 제1 오일연통구멍(180b)과 선회스크롤(150)의 오일안내통로(159) 그리고 회전축(160)의 오일공급통로(165)로 이루어진다. 이하에서는 이들 급유구조에 대해 오일의 유동순서를 따라 살펴본다.
도 7은 본 실시예에 따른 급유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보인 전동식 압축기의 일부를 보인 단면도이고, 도 8은 도 7의 "A"부를 확대하여 보인 단면도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리어 하우징(120)의 제2 스크롤 지지부(125)에는 오일회수통로(127)가 형성된다. 오일회수통로(127)는 제2 스크롤 지지부(125)의 후방면에서 전방면으로 관통 형성된다. 따라서, 오일회수통로(127)의 입구는 제2 스크롤 지지부(125)의 후방면에, 오일회수통로(127)의 출구는 제2 스크롤 지지부(125)의 전방면에 각각 형성된다.
오일회수통로(127)의 입구는 가능한 한 토출저유 공간부(122)의 최하점 또는 최하점 부근에 형성되는 것이 유리하다.
오일회수통로(127)의 출구는 앞서 설명한 하우징측 실링홈(125a)의 후방면을 축방향으로 관통하여, 하우징측 실링홈(125a)의 내부에 연통되도록 형성된다. 이에 따라, 오일회수통로(127)의 내경은 하우징측 실링홈(125a)의 후방면의 높이보다 작거나 같게 형성된다.
여기서, 하우징측 실링홈(125a)은 제2 스크롤 지지부(125)의 전방면 가장자리에서 환형으로 형성된다. 예를 들어, 하우징측 실링홈(125a)은 스크롤측 실링홈(155a)에 비해 반경방향으로 바깥쪽에 형성되며, 선회스크롤(150)의 오일안내통로(159)보다 바깥쪽에 형성되거나 또는 오일안내통로(159)와 중첩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하우징측 실링홈(125a)이 오일안내통로(159)와 중첩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예를 중심으로 살펴본다.
오일회수통로(127)의 출구 역시 하우징측 실링홈(125a)의 최저점 또는 최저점 부근에서 관통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유리하다.
한편, 하우징측 실링부재(제2 실링부재)(182)는 하우징측 실링홈(125a)에 삽입된다. 이에 따라, 제2 실링부재(182)는 오일회수통로(127)를 통해 하우징측 실링홈(125a)으로 유입되는 오일의 압력 또는 리어 하우징(120)과 스러스트 플레이트 사이의 틈새를 통해 토출저유 공간부에서 하우징측 실링홈(125a)으로 유입되는 냉매(또는 오일)의 압력에 의해 전방측으로 부상하게 되고, 제2 실링부재(182)의 전방면이 스러스트 플레이트(180)의 후방면 가장자리에 밀착되어 리어 하우징(120)과 스러스트 플레이트(180) 사이를 실링하게 된다. 그러면,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2 실링부재(182)는 제1 실링부재(181)와 함께 토출저유 공간부(122)와 흡입공간(또는 압축실)(S1) 사이를 실링하게 된다.
제2 실링부재(182)에는 오일회수통로(127)와 오일안내통로(159)를 연통시키는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제2 오일연통구멍(182a)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오일회수통로(127)를 통해 하우징측 실링홈(125a)으로 유입되는 오일은 제2 실링부재(182)의 제2 오일연통구멍(182a)을 통해 오일안내통로(159)로 이동하게 된다.
여기서, 선회스크롤(150)은 선회운동을 하는 부재이므로, 제2 실링부재(182)와 스러스트 플레이트(180)를 선회스크롤(150)에 고정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따라서, 제2 실링부재(182)와 스러스트 플레이트(180)는 리어 하우징(120)에 고정하되, 제2 실링부재(182)의 제2 오일연통구멍(182a)과 스러스트 플레이트(180)의 제1 오일연통구멍(180b)이 선회스크롤(150)의 오일안내통로(159)와 항상 연통되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도 8과 같이, 선회스크롤(150)에 구비된 오일안내통로(159) 중에서 입구를 이루는 제1 안내통로(159a)의 내경(D1)은 스러스트 플레이트(180)에 구비된 제1 오일연통구멍(180b)의 내경(D2)보다 넓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제1 안내통로(159a)의 내경(D1)은 제1 오일연통구멍(180b)의 내경(D2)에 비해 대략 선회반경만큼 넓게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오일안내통로(159)의 입구와 제1 오일연통구멍(180b)은 적어도 일부가 반경방향으로 항상 중첩되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스러스트 플레이트(180)의 제1 오일연통구멍(180b)의 내경(D2)은 제2 실링부재(182)의 제2 오일연통구멍(182a)의 내경(D3)과 대략 동일하거나 또는 약간 크게 형성되고, 제2 실링부재(182)의 제2 오일연통구멍(182a)의 내경(D3)은 오일회수통로(127)의 내경(D4)과 대략 동일하거나 약간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오일연통구멍(180b)의 내경(D2)은 제2 오일연통구멍(182a)의 내경(D3)은 물론 오일회수구멍(127)의 내경(D4)과 대략 동일하거나 약간 크게 형성된다.
물론, 스러스트 플레이트(180)의 제1 오일연통구멍(180b)은 제2 실링부재(182)의 제2 오일연통구멍(182a)보다 크게 형성되고, 오일안내통로(159)의 제1 안내통로(159a)와 동일하게 형성될 수도 있다. 하지만, 이 경우에는 제1 오일연통구멍(180b)의 내경(D2)이 제2 실링부재(182)의 폭(D5)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그러면, 제2 실링부재(182)가 토출저유 공간부(122)를 원활하게 실링하지 못하게 되고, 그러면 제2 실링부재(182)의 외곽에 별도의 실링부재가 추가되어야 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오일연통구멍(180b)의 내경(D2)은 제2 오일연통구멍(182a)의 내경(D3)과 대략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한편, 제2 실링부재(182)의 제2 오일연통구멍(182a)이 오일회수통로(127)와 오일안내통로(159) 사이에 위치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제2 실링부재(182)는 하우징측 실링홈(125a)에서 원주방향에 대해 리어 하우징(120)에 고정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도 9는 본 실시예에 따른 제2 실링부재가 리어 하우징에 고정된 예를 보인 평면도이고, 도 10은 도 9의 "Ⅵ-Ⅵ"선단면도이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제2 실링부재(182)에는 축방향으로 관통되는 적어도 한 개 이상의 핀구멍(182b)이 형성되고, 핀구멍(182b)에 축방향으로 마주보는 리어 하우징(120)의 하우징측 실링홈(125a)에는 적어도 한 개 이상의 핀홈(125b)이 형성될 수 있다. 핀구멍(182b)을 통과하여 핀홈(125b)에 삽입되는 고정핀(195)을 이용하여 제2 실링부재(182)가 리어 하우징(120)에 구속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리어 하우징(120)에 고정핀부(미도시)가 일체로 연장되어, 제2 실링부재(182)의 핀구멍(182b)에 결합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제2 실링부재(182)가 리어 하우징(120)에 결합되어 회전이 방지되도록 하는 경우에도 제2 실링부재(182)는 고정핀(195) 또는 고정핀부에 미끄러지게 결합되어, 제2 실링부재(182)가 리어 하우징(120)과 스러스트 플레이트(180)에 대해 축방향으로는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하우징측 실링홈(125a)에 삽입되는 제2 실링부재(182)가 스러스트 플레이트(180)쪽으로 밀릴 경우 그 제2 실링부재(182)와 하우징측 실링홈(125a) 사이에는 환형으로 된 일종의 오일통로가 형성된다. 그러면 제2 실링부재(182)의 제2 오일연통구멍(182a)은 그 제2 실링부재(182)와 하우징측 실링홈(125a) 사이의 오일통로와 항상 연통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실링부재(182)가 하우징측 실링홈(125a)에서 원주방향으로 반드시 고정될 필요는 없다.
다만, 제2 실링부재(182)가 리어 하우징(120)에 대해 회전을 하게 되면, 제2 오일연통구멍(182a)이 스러스트 플레이트(180)의 제1 오일연통구멍(180b)에 대해 축방향으로 어긋나게 되어 오일통로가 막힐 수 있다. 따라서, 제2 실링부재(182)와 스러스트 플레이트(180)는 서로 원주방향으로 구속되는 것이 유리하다. 이때, 스러스트 플레이트(18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리어 하우징(120)과 메인 하우징(110) 사이에서 구속됨에 따라, 리어 하우징(120), 제2 실링부재(182), 스러스트 플레이트(180)가 모두 구속되게 된다. 그러면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오일회수통로(127), 제2 오일연통구멍(182a), 제1 오일연통구멍(180b)은 항상 연통되도록 정렬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나아가, 선회스크롤(150)이 선회운동을 하더라도 그 선회스크롤(150)에 구비된 오일안내구멍(159)의 입구가 제1 오일연통구멍(180b)의 내경보다 크게 형성됨에 따라, 오일안내구멍(159)까지 연통되어 오일통로는 항상 열린 상태가 될 수 있다.
한편, 스러스트 플레이트(180)는 리어 하우징(120)과 고정스크롤(140) 사이에서 고정됨에 따라, 제2 실링부재(182)가 리어 하우징이 아닌 스러스트 플레이트(180)에 고정될 수도 있다.
도 11은 도 7에서 제2 실링부재의 고정구조에 대한 다른 실시예를 보인 정면도이고, 도 12 및 도 13는 도 11의 "Ⅶ-Ⅶ"선단면도들이다.
예를 들어, 도 11 및 도 12와 같이, 스러스트 플레이트(180)와 제2 실링부재(182)를 관통하는 고정핀(195)을 이용하여 스러스트 플레이트(180)와 제2 실링부재(182)가 서로 구속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스러스트 플레이트(180)와 제2 실링부재(182)에는 각각 핀홈(180c)(182c)이 형성되어 고정핀(195)의 양단이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스러스트 플레이트(180)는 제2 실링부재(182)가 고정되도록 일정 정도의 두께를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도 13과 같이, 스러스트 플레이트(180)에 버(burr)와 같은 고정핀부(180d)를 형성하고 스러스트 플레이트(180)를 마주보는 제2 실링부재(182)의 전방면에 고정핀부(180d)가 삽입되는 핀홈(182c)을 형성할 수도 있다.
다만, 이들 경우에 제2 실링부재(182)는 고정핀 또는 고정핀부에 미끄러지게 결합되어, 제2 실링부재(182)가 리어 하우징(120)과 스러스트 플레이트(180)에 대해 축방향으로는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제2 실링부재(182)가 스러스트 플레이트(180)에 결합되어 회전이 방지되도록 함으로써, 오일회수통로(127)와 오일안내통로(159)가 항상 중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할 수도 있다.
한편, 도면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오일회수통로(127)와 오일안내통로(159)가 제2 실링부재(182)를 중심으로 안쪽 또는 바깥쪽에서 연통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제2 실링부재(182)가 하우징측 실링홈(125a)의 내부에서 원주방향으로 자유롭게 움직이도록 결합될 수 있다. 또, 이 경우에는 리어 하우징(120)과 스러스트 플레이트(180)의 사이에 제2 실링부재(182) 외에 별도의 실링부재를 더 구비하여, 오일회수통로(127)와 오일안내통로(159)를 연통시키는 통로를 중심으로 안쪽과 바깥쪽을 각각 실링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한편, 선회스크롤(150)에는 앞서 설명한 오일안내통로(159)가 형성되고, 오일안내통로(159)는 스러스트 플레이트(180)의 제1 오일연통구멍(180b)과 제2 실링부재(182)의 제2 오일연통구멍(182a)을 통해 리어 하우징(120)의 오일회수통로(127)와 연통된다.
다시 도 7을 참조하면, 선회 경판부(151)의 가장자리에는 제2 측면(151b)에서 축방향으로 기설정된 깊이만큼 리세스되어 오일안내통로(159)의 입구단을 이루는 제1 안내통로(159a)가 형성되고, 선회 경판부(151)의 내부에는 제1 안내통로(159a)에 연통되어 반경방향으로 기설정된 깊이만큼 리세스되는 제2 안내통로(159b)가 형성되며, 선회 경판부(151)의 중심부에는 제2 안내통로(159b)에서 선회 경판부(151)의 제1 측면(151a)으로 관통되는 제3 안내통로(159c)가 형성된다.
제1 안내통로(159a)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 오일연통구멍(180b)에 비해 넓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선회스크롤(150)은 선회운동을 하는 반면 스러스트 플레이트(180)는 고정되더라도 제1 안내통로(159a)와 제1 오일연통구멍(180b)은 항상 반경방향으로 중첩될 수 있다.
제2 안내통로(159b)는 제1 안내통로(159a)에 비해서는 작게 형성될 수 있다. 하지만, 제2 안내통로(159b)는 제1 안내통로(159a)에 비해 길게 형성되므로, 가공이 곤란할 수 있다. 따라서, 제2 안내통로(159b)는 제1 안내통로(159a)와 유사한 정도의 내경을 가지도록 형성하되, 그 내부에 유량제어부(159d)가 설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해 고압인 토출저유 공간부(122)의 오일이 유량제어부(159d)에서 감압되어 압축부(105)쪽으로 유입되도록 할 수 있다. 물론, 유량제어부(159d)는 후술할 회전축(160)의 오일공급통로(165)에 설치될 수도 있다.
유량제어부(159d)는 오일안내통로(159)를 통과하는 오일의 유동량을 조절하여 토출저유 공간부(122)의 오일이 압축부(105)로 유입될 때 중간압으로 감압되도록 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따라서, 유량제어부(159d)는 오일안내통로(159)의 내경보다 작은 외경을 갖는 감압핀 또는 감압봉과 같은 감압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3 안내통로(159c)는 회전축 결합부(153)의 후벽면으로 관통되어 회전축 결합부(153)에 연통된다. 하지만, 제3 안내통로(159c)는 반드시 회전축 결합부(153)의 후벽면으로 관통될 필요는 없다. 필요에 따라서는 선회랩(152)의 선단면으로 관통하여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회전축(160)에는 앞서 설명한 오일공급통로(165)가 형성된다. 오일공급통로(165)는 축방향으로 형성되는 한 개의 급유홈(165a)과 반경방향으로 형성되는 복수 개의 급유구멍(165b)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급유홈(165a)은 회전축(160)의 후방단에서 기설정된 깊이까지 리세스된 홈으로 형성되고, 급유구멍(165b,165c)은 급유홈(165a)에서 회전축의 외주면, 즉 메인 베어링부(162)의 외주면과 편심부(164)의 외주면으로 관통되는 구멍으로 형성될 수 있다. 메인 베어링부(162)에 관통 형성되는 급유구멍을 제1 급유구멍(165b), 편심부(164)에 관통 형성되는 급유구멍을 제2 급유구멍(165c)이라고 정의한다.
제1 급유구멍(165b)과 제2 급유구멍(165c)은 동일한 내경 및 동일한 방향으로 관통될 수 있다. 다만, 경우에 따라서는 제2 급유구멍(165c)의 내경이 제1 급유구멍(165b)의 내경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메인 베어링부(162)에 비해 편심부(164)로 더 많은 양의 오일이 공급되어, 압축실로의 오일공급이 더욱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실시예에 따른 급유구조에서 토출저유 공간부의 오일이 압축부로 이동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즉, 토출저유 공간부(122)의 오일은 그 토출저유 공간부(122)의 압력이 토출압을 형성함에 따라, 상대적으로 낮은 압력인 압축부(105)쪽으로 이동을 하게 된다. 이에 따라, 토출저유 공간부(122)의 오일은 오일회수통로(127)를 통해 리어 하우징측 실링홈(125)으로 이동을 하게 된다.
이 오일은 하우징측 실링홈(125a)에 연통되는 제2 실링부재(182)의 제2 오일연통구멍(182a)과 스러스트 플레이트(180)의 제1 오일연통구멍(180b)을 통해 선회스크롤(150)의 오일안내통로(159)로 유입된다.
이때, 제2 실링부재(182)는 고정핀(195)에 의해 스러스트 플레이트(180)에 결합되거나 또는 리어 하우징(120)에 결합됨에 따라, 제2 실링부재(182)의 제2 오일연통구멍(182a)이 스러스트 플레이트(180)의 제1 오일연통구멍(180b)에 항상 연통되게 된다. 따라서, 오일회수통로(127)의 오일은 막힘없이 제2 오일연통구멍(182a)과 제1 오일연통구멍(180b)을 거쳐 스러스트 플레이트(180)와 선회스크롤(150) 사이로 이동을 하게 된다.
그리고, 스러스트 플레이트(180)는 고정되는 반면 선회스크롤(150)은 선회운동을 함에 따라, 스러스트 플레이트(180)의 제1 오일연통구멍(180b)이 선회스크롤(150)의 오일안내통로(159)와 어긋날 수 있다. 하지만, 오일안내통로(159)의 입구를 이루는 제1 안내통로(159a)의 내경(D1)이 제1 오일연통구멍(180b)의 내경(D2)보다 넓게 형성되어, 제1 오일연통구멍(180b)과 제1 안내통로(159a)는 항상 중첩되어 서로 연통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스러스트 플레이트(180)와 선회스크롤(150) 사이로 이동하는 오일은 막힘없이 오일안내통로(159)로 유입된다. 이때, 오일안내통로(159)에는 감압부재로 된 유량제어부(159d)가 구비됨에 따라, 고압 상태의 오일이 중간압으로 감압되어 이동하게 된다.
그러면, 이 오일은 오일안내통로(159)를 거쳐 회전축(160)의 후방단을 마주보는 회전축 결합부(153)의 내부로 유입되고, 회전축 결합부(153)로 유입되는 오일은 회전축(165)의 후방단에 구비된 급유홈(165a)과 각각의 급유구멍(165b)(165c)을 통해 회전축(165)의 메인 베어링부(162)와 메인 베어링(171) 사이의 베어링면, 회전축(160)의 편심부(164)와 편심베어링(173) 사이의 베어링면으로 공급되어, 각각의 베어링면을 윤활하게 된다.
그러면, 각각의 베어링면을 윤활한 오일은 그 베어링면의 틈새를 통해 고정스크롤(140)과 선회스크롤(150) 사이의 윤활면을 윤활하면서 압축실(V)로 유입되어 냉매와 함께 토출되게 되는 일련의 과정을 반복하게 된다.
한편,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토출 공간과 저유 공간이 일체로 된 토출저유 공간부를 형성하는 것이나, 경우에 따라서는 토출 공간과 저유 공간이 분리될 수도 있다. 즉, 리어 하우징은 냉매의 유동순서에 따라, 스크롤 수용부, 토출공간부, 유분리 공간부, 저유 공간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냉매와 오일은 토출저유 공간부로 형성된 경우와 동일하게 유동을 하게 된다. 다만, 토출 공간부와 저유 공간부로 분리된 경우가 토출저유 공간부로 합쳐진 경우에 비해 유분리 효과 측면에서 유리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전동식 압축기에 대한 다른 실시예가 있는 경우는 다음과 같다.
즉, 전술한 실시예는 오일안내통로가 회전축 결합부를 통해 오일공급통로에 직접 연결되는 것이나, 본 실시예는 오일안내통로가 베어링면을 거쳐 오일공급통로에 연결되는 것이다.
도 14는 본 실시예에 따른 급유구조에 대한 다른 실시예를 보인 단면도이고, 도 15는 도 14의 "Ⅷ-Ⅷ"선단면도로서, 회전축 결합부의 단면을 보인 확대도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오일회수통로(127)는 하우징측 실링홈(125a)보다 안쪽(중심부쪽)에서 제2 스크롤 지지부(125)의 전방면으로 관통 형성된다. 이에 따라, 스러스트 플레이트(180)에는 오일회수통로(127)에 대응하도록 제1 오일연통구멍(180b)이 형성되고, 선회스크롤(150)에는 제1 오일연통구멍(180b)에 대응하도록 오일안내통로(159)가 형성된다. 이때, 오일안내통로(159)는 선회스크롤(150)이 스러스트 플레이트(180)에 대해 선회운동을 하는 것을 고려하여, 전술한 실시예와 같이 제1 오일연통구멍(180b)의 내경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오일안내통로(159)는 그 출구단이 선회스크롤(150)의 선회랩(152)의 단면으로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더 정확하게는, 도 14 및 도 15를 참조하면, 오일안내통로(159)의 출구단은 최내측 선회랩, 즉 회전축 결합부(153)를 이루는 선회랩(152)의 단면으로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또 오일안내통로(159)에는 전술한 실시예와 같이 유량제어부(159d)가 설치될 수 있다. 유량제어부는 회전축의 오일공급통로에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오일안내통로(159)가 선회랩(152)의 단면으로 관통하여 형성되는 경우에는 오일회수통로(127)와 제1 오일연통구멍(180b)을 통해 토출저유 공간부(122)에서 압축부(105)쪽으로 이동하는 오일이 선회랩(152)과 이에 대응하는 고정스크롤(140)의 고정경판부(141) 사이로 유입되고, 이 오일은 압축되는 냉매와 함께 중심쪽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후, 오일은 편심베어링(173)의 내주면과 편심부(164)의 외주면 사이로 유입되어 회전축(160)의 후방단과 회전축 결합부(153)의 후방면 사이의 공간으로 유입되고, 이 오일은 회전축(160)의 후방단에 구비된 급유홈(165a)으로 유입된다. 이 오일은 각각의 급유구멍(165b)(165c)을 통해 각각의 베어링면을 윤활한 후에 압축실로 재유입된 후 냉매와 함께 토출구(157)를 통해 토출되는 일련의 과정을 반복한다.
여기서, 고정스크롤과 선회스크롤의 사이에는 오일이 회전축의 오일공급통로쪽으로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통로가 형성될 수 있다.
도 15를 참조하면, 고정경판부(141)를 마주보는 선회랩(152)의 단부, 더 정확하게는 선회랩을 이루는 회전축 결합부(153)의 선단면에는 급유연통홈(153a)이 형성될 수 있다. 급유연통홈(153a)은 회전축 결합부(153)의 선단면에서 기설정된 깊이만큼 리세스되어 회전축 결합부(153)의 내측면으로 연통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오일안내통로(159)를 통해 유입되는 오일이 회전축 결합부(153)의 내부로 원활하게 유입될 수 있다.
또, 오일안내통로를 통해 회전축 결합부의 단면과 고정경판부 사이로 유입되는 오일은 편심베어링과 편심부 사이의 베어링면 뿐만 아니라, 메인 베어링과 메인 베어링부 사이의 베어링면으로도 이동할 수 있다.
만약, 오일이 압력차로 인해 편심 베어링보다 메인 베어링쪽으로 더 많이 흘러나가게 되면 오일공급통로로 유입되는 오일량이 감소될 수 있다. 도 16은 도 14에서, 메인 베어링의 간격과 편심 베어링의 간격을 비교하여 보인 단면도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편심 베어링(173)의 내주면과 편심부(164)의 외주면 사이의 제2 간격(t2)이 메인 베어링(171)의 내주면과 메인 베어링부(162)의 외주면 사이의 제1 간격(t1)보다 크게 형성되어, 오일은 주로 편심 베어링(173)쪽, 즉 회전축 결합부(153)로 이동하여 오일공급통로(165)로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게 된다.
또, 오일이 편심 베어링(173)쪽으로 보다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위해서는 편심부(164)에 오일통로가 더 형성될 수 있다. 도 17은 도 14의 "Ⅸ-Ⅸ"선단면도로서, 편심부의 외주면에 구비된 오일통로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17을 참조하면, 편심부(164)의 외주면에 오일연통홈(164a)이 형성될 수 있다. 오일연통홈(164a)은 편심부(164)의 외주면을 디컷 모양으로 절삭하여 편심 베어링(173)의 내주면과 편심부(164)의 외주면 사이의 간격을 더 넓혀 오일통로가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편심 베어링(173)의 내주면과 편심부(164)의 외주면 사이의 간격이 더욱 확대되어 오일이 회전축 결합부(153)의 내측공간으로 더욱 원활하게 유입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기본적인 구조는 전술한 실시예와 유사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전술한 실시예에 대한 설명으로 대신한다.
이렇게 하여, 차량에 채용할 수 있는 횡형이면서 프레임과 고정스크롤을 일체화한 프레임 스크롤 방식의 전동식 압축기를 제공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은, 리어 하우징의 토출저유 공간부를 그 토출저유 공간부에 비해 상대적으로 압력이 낮은 압축부에 연통시킴에 따라, 토출저유 공간부에 고인 오일을 압축부쪽으로 신속하게 공급할 수 있다. 아울러, 리어 하우징에 토출 공간과 저유 공간을 일체로 형성함에 따라, 저유 공간의 체적을 확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압축부로 이동한 오일이 베어링면으로 신속하게 이동하면서 베어링면을 원활하게 윤활하여 베어링면에서의 오일부족으로 인한 마찰손실 또는 마모를 줄일 수 있다.
또, 본 발명은, 리어 하우징과 선회스크롤에 각각 오일회수통로와 오일안내통로를 형성함에 따라, 급유구조를 단순화하여 리어 하우징을 비롯한 부품들에 대한 제조 비용을 낮출 수 있다. 또, 리어 하우징에 토출 공간부와 저유 공간부를 일체로 형성함에 따라, 리어 하우징의 제조를 더욱 단순화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은, 선회스크롤의 오일안내통로 또는 회전축의 오일공급통로에 유량제어부를 설치하여 토출압 상태인 토출저유 공간부의 오일이 리어 하우징과 선회스크롤 사이를 통과하도록 함으로써, 리어 하우징과 선회스크롤 사이가 토출압 상태를 유지하게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리어 하우징과 선회스크롤 사이에 구비되는 실링부재의 개수를 줄여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 실링부재를 관통하여 오일통로를 형성하는 경우에는 실링부재의 개수를 더욱 줄여 제조 비용을 더욱 낮출 수 있다.
Claims (17)
- 메인 하우징;
상기 메인 하우징의 일단부에 구비되는 전동부;
상기 전동부에 결합되어 회전하는 회전축;
상기 전동부를 마주보도록 상기 메인 하우징의 타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메인 하우징에 결합되고, 상기 회전축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고정스크롤;
상기 회전축에 결합되어 상기 고정스크롤에 대해 선회운동을 하고, 상기 고정스크롤과의 사이에 압축공간을 형성하며, 토출구가 형성되는 선회스크롤; 및
상기 고정스크롤을 등지는 상기 선회스크롤의 일측면을 마주보도록 배치되어 상기 메인 하우징에 결합되는 리어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리어 하우징은,
상기 선회스크롤의 토출구와 연통되는 공간부가 형성되고, 상기 공간부를 이루는 상기 리어 하우징의 내주면에는 반경방향으로 돌출되는 스크롤 지지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압축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롤 지지부에는 상기 스크롤 지지부의 축방향 양쪽 측면을 관통하는 오일회수통로가 형성되고,
상기 선회스크롤에는 상기 오일회수통로에 연통되어 상기 오일회수통로를 통해 전달되는 오일을 베어링면으로 안내하는 오일안내통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압축기.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선회스크롤과 리어 하우징의 사이에는 스러스트 플레이트가 구비되고,
상기 스러스트 플레이트는 상기 리어 하우징과 고정스크롤 사이에 고정 결합되며,
상기 스러스트 플레이트에는 상기 오일회수통로와 오일안내통로를 연통시키는 제1 오일연통구멍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압축기.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리어 하우징과 스러스트 플레이트의 사이에는 상기 공간부를 감싸는 실링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실링부재에는 상기 제1 오일연통구멍과 오일안내통로를 연통시키는 제2 오일연통구멍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압축기.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롤 지지부에는 상기 실링부재가 삽입되도록 실링홈이 형성되고,
상기 오일회수통로는 상기 실링홈에 연통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압축기.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부재는 상기 리어 하우징에 대해 원주방향으로 구속되고, 상기 오일안내통로의 내경은 상기 제1 오일연통구멍의 내경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압축기.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리어 하우징과 상기 실링부재의 사이에는 고정핀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압축기.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부재는 상기 스러스트 플레이트에 대해 원주방향으로 구속되고, 상기 오일안내통로의 내경은 상기 제1 오일연통구멍의 내경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압축기.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롤 지지부에는 상기 공간부를 감싸는 실링부재가 삽입되도록 실링홈이 형성되고,
상기 오일회수통로는 상기 실링홈보다 안쪽 또는 바깥쪽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압축기.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오일안내통로의 내경은 상기 오일회수통로의 내경 또는 상기 제1 오일연통구멍의 내경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압축기.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선회스크롤의 중심부분에는 회전축 결합부가 형성되며,
상기 회전축 결합부에 결합되는 상기 회전축에는 상기 오일안내통로와 연통되도록 오일공급통로가 형성되며,
상기 오일공급통로는,
상기 회전축에서 축방향으로 형성되는 급유홈과, 상기 급유홈의 내주면에서 상기 회전축의 외주면으로 관통되는 한개 이상의 급유구멍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압축기.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오일안내통로는 상기 회전축 결합부에 연통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압축기.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오일안내통로는 상기 고정스크롤을 향하도록 돌출되는 상기 선회스크롤의 선회랩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압축기. -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스크롤에는 상기 회전축의 일측을 반경방향으로 지지하는 메인 베어링이 구비되고,
상기 회전축 결합부에는 상기 회전축의 타측을 반경방향으로 지지하는 편심 베어링이 구비되며,
상기 회전축과 편심 베어링 사이의 제2 간격은 상기 회전축과 메인 베어링 사이의 제1 간격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압축기. -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스크롤을 마주보는 상기 선회랩의 단부에는 급유연통홈이 형성되고,
상기 급유연통홈은 상기 회전축 결합부의 내측면으로 연통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압축기. -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편심 베어링의 내주면에 대응하는 상기 회전축의 외주면에는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오일연통홈이 리세스 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압축기. - 제11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오일안내통로 또는 상기 오일공급통로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한 쪽에는 오일량을 조절하는 유량제어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압축기.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46347A KR20200122924A (ko) | 2019-04-19 | 2019-04-19 | 전동식 압축기 |
US16/796,457 US20200332798A1 (en) | 2019-04-19 | 2020-02-20 | Motor-operated compresso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46347A KR20200122924A (ko) | 2019-04-19 | 2019-04-19 | 전동식 압축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122924A true KR20200122924A (ko) | 2020-10-28 |
Family
ID=728330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046347A Abandoned KR20200122924A (ko) | 2019-04-19 | 2019-04-19 | 전동식 압축기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US (1) | US20200332798A1 (ko) |
KR (1) | KR20200122924A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240084797A1 (en) * | 2022-09-13 | 2024-03-14 | Mahle International Gmbh | Electric compressor with a multicavity pulsation muffler system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40136796A (ko) | 2013-05-21 | 2014-12-01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스크롤 압축기 |
-
2019
- 2019-04-19 KR KR1020190046347A patent/KR20200122924A/ko not_active Abandoned
-
2020
- 2020-02-20 US US16/796,457 patent/US20200332798A1/en not_active Abandoned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40136796A (ko) | 2013-05-21 | 2014-12-01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스크롤 압축기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20200332798A1 (en) | 2020-10-2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3904221B2 (ja) | 流体機械及び冷凍サイクル装置 | |
KR102191126B1 (ko) | 전동식 압축기 | |
CN111456934A (zh) | 涡旋式压缩机 | |
US20200102956A1 (en) | Motor operated compressor | |
WO2019044867A1 (ja) | スクロール型圧縮機 | |
EP0683321B1 (en) | Swinging rotary compressor | |
CN100504034C (zh) | 流体机械及制冷循环装置 | |
KR20200122924A (ko) | 전동식 압축기 | |
JP6633305B2 (ja) | スクロール圧縮機 | |
KR102232272B1 (ko) | 전동식 압축기 | |
KR20200122925A (ko) | 전동식 압축기 | |
JP2009127517A (ja) | 密閉型圧縮機 | |
JP2009127440A (ja) | スクロール圧縮機 | |
WO2024122093A1 (ja) | 両回転式スクロール型圧縮機 | |
KR102031851B1 (ko) | 전동식 압축기 | |
JP3574904B2 (ja) | 密閉式容積形圧縮機 | |
US12000394B2 (en) | Scroll compressor | |
JP2019056336A (ja) | スクロール型流体機械 | |
JP2007270818A (ja) | 流体機械及び冷凍サイクル装置 | |
JP2012211569A (ja) | ロータリ圧縮機 | |
EP2554845A1 (en) | Electrically driven gas compressor | |
JP2024062277A (ja) | スクロール流体機械 | |
KR20200047099A (ko) | 전동식 압축기 | |
JP5285339B2 (ja) | スクロール圧縮機 | |
JPH07233791A (ja) | トロコイド型冷媒圧縮機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0419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060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01201 |
|
PC1904 |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