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200112933A - 다운링크 채널의 수신 방법, 송신 방법, 단말 및 기지국 - Google Patents

다운링크 채널의 수신 방법, 송신 방법, 단말 및 기지국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12933A
KR20200112933A KR1020207024388A KR20207024388A KR20200112933A KR 20200112933 A KR20200112933 A KR 20200112933A KR 1020207024388 A KR1020207024388 A KR 1020207024388A KR 20207024388 A KR20207024388 A KR 20207024388A KR 20200112933 A KR20200112933 A KR 202001129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ci state
downlink
coreset
data channel
channe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243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95173B1 (ko
Inventor
유 양
펭 순
Original Assignee
비보 모바일 커뮤니케이션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비보 모바일 커뮤니케이션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비보 모바일 커뮤니케이션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claimed from PCT/CN2019/072651 external-priority patent/WO2019154066A1/zh
Publication of KR202001129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129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51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5173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3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regulatory allocation polic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6Reselecting a communication resource in the serving access point
    • H04W72/042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30Monitoring; Testing of propagation channels
    • H04B17/373Predicting channel quality or other radio frequency [RF] parame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48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 H04L5/005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of common pilots, i.e. pilots destined for multiple users or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53Allocation of signalling, i.e. of overhead other than pilot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91Signalling for the administration of the divided path, e.g. signalling of configuration information
    • H04L5/0094Indication of how sub-channels of the path are allocat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91Signalling for the administration of the divided path, e.g. signalling of configuration information
    • H04L5/0096Indication of changes in allocation
    • H04L5/0098Signalling of the activation or deactivation of component carriers, subcarriers or frequency ban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6/00Synchronisation arrangements
    • H04W56/001Synchronization between n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46Resources in time domain, e.g. slots or fram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53Resources in frequency domain, e.g. a carrier in FDMA
    • H04W72/10
    • H04W72/1289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3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6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priority criteri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1Arrangements for dividing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3Two-dimensional division
    • H04L5/0005Time-frequency
    • H04L5/0007Time-frequency the frequencies being orthogonal, e.g. OFDM(A) or DMT
    • H04L5/001Time-frequency the frequencies being orthogonal, e.g. OFDM(A) or DMT the frequencies being arranged in component carri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08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delivery, e.g. discovery data delivery
    • H04W48/12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delivery, e.g. discovery data delivery using downlink control chann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개시는 다운링크 채널의 수신 방법, 송신 방법, 단말 및 기지국을 제공하고, 상기 방법은: 다운링크 제어 채널의 TCI 상태를 확정하고, 여기서, 단말이 오리지널 대역폭 부분 BWP로 스위칭 백되었을 때, 상기 TCI 상태는 상기 단말이 최근 1회에 상기 오리지널 BWP 상에서 사용한 제어 리소스 세트 CORESET의 TCI 상태이며, 상기 다운링크 제어 채널은 상기 오리지널 BWP의 CORESET 상에서 송신하는 단계; 상기 TCI 상태에 따라 상기 다운링크 제어 채널을 수신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다운링크 채널의 수신 방법, 송신 방법, 단말 및 기지국
[관련 출원에 대한 참조]
본 출원은 2018년 2월 11일 중국에서 제출한 중국 특허 출원 제 201810142918.8호의 우선권, 2018년 2월 14일 중국에서 제출한 중국 특허 출원 제 201810151459.X호의 우선권 및 2018년 2월 28일 중국에서 제출한 중국 특허 출원 제 201810169276.0호의 우선권을 주장하며, 그 전체 내용을 본 출원에 원용한다.
[기술분야]
본 개시는 통신분야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다운링크 채널의 수신 방법, 송신 방법, 단말 및 기지국에 관한 것이다.
5세대 (5th Generation, 5G) 통신 시스템에서, 시스템에서 지지하는 작업 주파수 대역을 6GHz 이상 향상시키고, 최고로 약 100GHz 까지 도달할 수 있으며, 따라서 5G 통신 시스템에서 멀티 빔을 채용하여 송신할 수 있다. 복수 개의 빔 송신에 대해, 5G 통신 시스템에서는 송신 배치 지시(Transmission Configuration Indication,TCI) 상태를 통해 단말에 빔 정보를 지시할 수 있다. 그리고, 5G 통신 시스템에서 각 반송파의 최대의 채널 대역폭(channel bandwidth)은 400MHz이지만, 단말이 지지하는 최대 대역폭은 400MHz 보다 작을 수 있으며, 이에 따라 5G 통신 시스템에서 대역폭 부분 (bandwidth part,BWP)이라는 새로운 개념이 도입되고, UE는 복수 개의 BWP에서 작업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실제 응용에서는, 단말에서는 BWP 스위칭 또는 이동 등 경우가 발생하지만, 관련 기술중의 5G 통신 시스템에서, 이와 같은 경우를 대비하여 어떻게 TCI 상태를 배치할 것 인지에 대해 명확히 하지 않았으며, 따라서 데이터 송신의 신뢰성 및 정확도가 비교적 낮은 문제를 초래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는 다운링크 채널의 수신 방법, 송신 방법, 단말 및 기지국을 제공하여, 데이터 송신의 신뢰성 및 정확도가 비교적 낮은 문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제1 측면에 있어서, 본 개시의 실시예는 단말에 적용되는 다운링크 채널의 수신 방법을 더 제공하며, 상기 방법은:
다운링크 제어 채널의 송신 배치 지시 TCI 상태를 확정하고, 여기서 상기 단말이 오리지널 BWP로 스위칭 백(back)되었을 때, 상기 TCI 상태는, 상기 단말이 최근 1회에 상기 오리지널 BWP 상에서 사용한 제어 리소스 세트(control resource set,CORESET)의 TCI 상태이며, 상기 다운링크 제어 채널은 상기 오리지널 BWP의 CORESET 상에서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TCI 상태에 따라 상기 다운링크 제어 채널을 수신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제2 측면에 있어서, 본 개시의 실시예는 단말에 적용되는 다운링크 채널의 수신 방법을 제공하며, 상기 방법은:
다운링크 데이터 채널의 TCI 상태를 확정하고, 여기서, 상기 TCI 상태는: CORESET의 TCI 상태이거나 또는 새로 확정된 TCI 상태이며, 상기 CORESET는 다운링크 제어 정보(Downlink Control Information,DCI)가 위치한 시간 도메인 리소스중 표식이 제일 작은 CORESET를 의미하고, 상기 DCI는 상기 다운링크 데이터 채널을 스케줄링 하기 위한 것인 단계; 및
상기 TCI 상태에 따라 상기 다운링크 데이터 채널을 수신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제3 측면에 있어서, 본 개시의 실시예는 기지국에 적용되는 다운링크 채널의 송신 방법을 제공하며, 상기 방법은:
다운링크 제어 채널의 TCI 상태를 확정하고, 여기서, 상기 TCI 상태는 상기 기지국이 최근 1회에 오리지널 BWP 상에서 사용한 CORESET의 TCI 상태이며, 상기 다운링크 제어 채널은 상기 오리지널 BWP의 CORESET 상에서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TCI 상태에 따라 상기 다운링크 제어 채널을 송신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제4 측면에 있어서, 본 개시의 실시예는 기지국에 적용되는 다운링크 채널의 송신 방법을 제공하며, 상기 방법은;
다운링크 데이터 채널의 TCI 상태를 확정하고, 여기서, 상기 TCI 상태는: CORESET의 TCI 상태이거나 또는 새로 확정된 TCI 상태이며, 상기 CORESET는 DCI가 위치한 시간 도메인 리소스중 표식이 제일 작은 CORESET를 의미하고, 상기 DCI는 상기 다운링크 데이터 채널을 스케줄링 하기 위한 것인 단계; 및
상기 TCI 상태에 따라 상기 다운링크 데이터 채널을 송신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제5 측면에 있어서, 본 개시의 실시예는 단말을 제공하며, 상기 단말은:
다운링크 제어 채널의 TCI 상태를 확정하기 위한 제어 채널 확정 모듈 - 상기 단말이 오리지널 BWP로 스위칭 백(back)되었을 때, 상기 TCI 상태는, 상기 단말이 최근 1회에 상기 오리지널 BWP 상에서 사용한 CORESET의 TCI 상태이며, 상기 다운링크 제어 채널은 상기 오리지널 BWP의 CORESET 상에서 송신함 -; 및
상기 TCI 상태에 따라 상기 다운링크 제어 채널을 수신하기 위한 제어 채널 수신 모듈; 을 포함한다.
제6 측면에 있어서, 본 개시의 실시예는 단말을 제공하며, 상기 단말은:
다운링크 데이터 채널의 TCI 상태를 확정하기 위한 데이터 채널 확정 모듈 - 여기서, 상기 TCI 상태는: CORESET의 TCI 상태이거나 또는 새로 확정된 TCI 상태이며, 상기 CORESET는 DCI가 위치한 시간 도메인 리소스중 표식이 제일 작은 CORESET를 의미하고, 상기 DCI는 상기 다운링크 데이터 채널을 스케줄링 하기 위한 것 임 -; 및
상기 TCI 상태에 따라 상기 다운링크 데이터 채널을 수신하기 위한 데이터 채널 수신 모듈; 을 포함한다.
제7 측면에 있어서, 본 개시의 실시예는 기지국을 제공하며, 상기 기지국은:
다운링크 제어 채널의 TCI 상태를 확정하기 위한 제어 채널 확정 모듈 - 여기서, 상기 TCI 상태는 상기 기지국이 최근 1회에 오리지널 BWP 상에서 사용한 CORESET의 TCI 상태이며, 상기 다운링크 제어 채널은 상기 오리지널 BWP의 CORESET 상에서 송신함 -; 및
상기 TCI 상태에 따라 상기 다운링크 제어 채널을 송신하기 위한 제어 채널 송신 모듈; 를 포함한다.
제8 측면에 있어서, 본 개시의 실시예는 기지국을 제공하며, 상기 기지국은:
다운링크 데이터 채널의 TCI 상태를 확정하기 위한 데이터 채널 확정 모듈 - 여기서, 상기 TCI 상태는: CORESET의 TCI 상태이거나 또는 새로 확정된 TCI 상태이며, 상기 CORESET는 DCI가 위치한 시간 도메인 리소스중 표식이 제일 작은 CORESET를 의미하고, 상기 DCI는 상기 다운링크 데이터 채널을 스케줄링 하기 위한 것임 -; 및
상기 TCI 상태에 따라 상기 다운링크 데이터 채널을 송신하기 위한 데이터 채널 송신 모듈; 을 포함한다.
제9 측면에 있어서, 본 개시의 실시예는 단말을 제공하며, 상기 단말은: 메모리, 프로세서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고 상기 프로세서에서 실행될 수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하며,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술한 제1 측면에서 제공한 다운링크 채널의 수신 방법의 단계를 구현하거나, 또는,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술한 제2 측면에서 제공한 다운링크 채널의 수신 방법의 단계를 구현한다.
제10 측면에 있어서, 본 개시의 실시예는 기지국을 제공하며, 상기 기지국은: 메모리, 프로세서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고 상기 프로세서에서 실행될 수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하며,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술한 제3 측면에서 제공한 다운링크 채널의 송신 방법의 단계를 구현하거나, 또는,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술한 제4 측면에서 제공한 다운링크 채널의 송신 방법의 단계를 구현한다.
제11 측면에 있어서, 본 개시의 실시예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를 제공하며,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에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으며,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이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제공한 다운링크 채널의 수신 방법의 단계를 구현하거나, 또는,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제공한 다운링크 채널의 송신 방법의 단계를 구현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는 데이터 송신의 신뢰성 및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적용 가능한 네트워크 시스템의 구조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다운링크 채널의 수신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또 다른 다운링크 채널의 수신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다운링크 채널의 송신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5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또 다른 다운링크 채널의 송신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6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구조도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또 다른 단말의 구조도이다.
도 8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또 다른 단말의 구조도이다.
도 9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또 다른 단말의 구조도이다.
도 10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의 구조도이다.
도 11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또 다른 기지국의 구조도이다.
도 12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또 다른 기지국의 구조도이다.
도 13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또 다른 단말의 구조도이다.
도 14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또 다른 단말의 구조도이다.
도 15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또 다른 기지국의 구조도이다.
도 16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또 다른 기지국의 구조도이다.
이하,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의 도면을 결부시켜,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기술방안을 명확하고 완전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일 뿐 전부의 실시예가 아님은 자명한 것이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을 토대로,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이 창조적 노동을 하지 않는다는 전제하에 얻어지는 모든 기타 실시예들은 모두 본 개시의 보호 범위에 속한다. 명세서 및 청구항에서 "및/또는"은 연결 대상 중 적어도 하나를 의미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도 1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적용 가능한 네트워크 시스템의 구조도이다. 도 1에서 도시하다 시피, 단말(11) 및 기지국(12)를 포함한다. 여기서, 단말(11)은 단말 기기 또는 사용자 단말(User Equipment,UE)로 칭할 수 있고, 단말(11)은 예컨대, 휴대폰, 태블릿 PC(Tablet Personal Computer), 랩톱 컴퓨터(Laptop Computer), 개인용 디지털 어시스턴트(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모바일 인터넷 장치(Mobile Internet Device, MID), 웨어러블 기기(Wearable Device) 또는 차량 탑재 기기 등 단말측 기기일 수 있다. 설명해야 할 것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는 단말(11)의 구체적인 유형에 대해 한정되지 않는다. 상술한 기지국(12)는 5G 및 이후 버전의 기지국(예컨데, gNB、5G NR NB)일 수 있으며, 또는 기타 통신 시스템중의 기지국일 수 있다, 또는 노드B, 진화형 노드B, 또는 상기 해당 기술분야중 다른 어휘로 부를 수 도 있다. 동일한 기술적 효과를 달성할 수만 있다면, 상기 기지국은 특정된 기술적 어휘를 한정되지 않으며, 설명해야 할 것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오로지 5G 기지국으로 예를 들지만, 기지국(12) 의 구체적인 유형에 대해 한정되지 않는다.
설명해야 할 것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단말(11) 및 기지국(12)의 구체적인 기능은 하기와 같은 복수 개의 실시예를 통해 구체적인 설명을 하려 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도 2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제공한 단말에 적용되는 다운링크 채널의 수신 방법의 흐름도이며, 도 2에서 도시하다 시피, 상기 다운링크 채널의 수신 방법은 하기의 방법을 포함하며, 구체적으로:
단계 201: 다운링크 제어 채널의 송신 배치 지시 TCI 상태(TCI state)를 확정하고, 여기서, 상기 단말이 오리지널 대역폭 부분 BWP로 스위칭 백(back)되었을 때, 상기 TCI 상태는, 상기 단말이 최근 1회에 상기 오리지널 BWP 상에서 사용한 제어 리소스 세트 CORESET의 TCI 상태이며, 상기 다운링크 제어 채널은 상기 오리지널 BWP의 CORESET 상에서 송신하는 단계(201)를 포함한다.
상술한 다운링크 제어 채널의 TCI 상태는, 상술한 다운링크 제어 채널의 TCI 상태를 수신하기 위한 것일 수 있고, 상기 TCI 상태는 상술한 다운링크 제어 채널의 송신 배치 정보를 의미할 수 있으며, 예하면: 다운링크 제어 채널의QCL(Quasi-colocation,QCL) 또는 기타 배치 정보를 지시한다.
상술한 단계에서, 상술한 오리지널 BWP로 스위칭 백(back)된다는 것은, 단말이 오리지널 BWP로 스위칭 백(back)되기 전에, 단말은 상기 오리지널 BWP 상에서 작업을 하였고, 단말은 기타 BWP로 스위칭 된 다음에, 재차 상기 오리지널 BWP로 스위칭 백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예하면, 단말이 BWP1 상에서 작업하고, 단말에 BWP 스위칭이 발생하여, BWP2로 스위칭 되어 작업을 수행하며, 그 후, 단말은 재차 BWP1로 스위칭 백된다.
상술한 최근 1회에 오리지널 BWP 상에서 사용한 CORESET의 TCI 상태는, 단말이 오리지널 BWP로 스위칭 백된 후에, 최근 1회에 상기 오리지널 BWP 상에서 사용한 CORESET의 TCI 상태를 의미한다. 예하면: 단말은 BWP1 상에서 제1 TCI 상태를 사용하여 수신을 수행하고, 단말에 BWP 스위칭이 발생하여, BWP2로 스위칭 되어 작업을 수행하며, 그 후, 단말은 재차 BWP1로 스위칭 백된다. 따라서, 단말이 BWP1로 스위칭 백되여, 계속 제1 TCI 상태를 사용하여 수신을 수행한다. 즉 상술한 제1 TCI 상태는 상술한 최근 1회에 사용한 TCI 상태이다. 물론, 상술한 최근 1회는 지난번(last time)을 의미 할 수 있고, 또는 단말이 오리지널 BWP로 스위칭 백되기 전에, 단말이 상기 오리지널 BWP 상에서 사용한 CORESET의 TCI 상태를 의미할 수 도 있다. 설명해야 할 것은, 단말이 현재 위치한 BWP는 활성화 BWP이며, 상술한 단말이 오리지널 BWP로 스위칭 백되면, 상기 오리지널 BWP는 단말의 활성화 BWP이다.
상기 단계에서, 단말이 오리지널 BWP로 스위칭 백되었으므로, 최근 1회에 상기 오리지널 BWP 상에서 사용한 CORESET의 TCI 상태를 사용하여 다운링크 제어 채널을 수신함으로서, 단말이 오리지널 BWP로 스위칭 백될 때, 사용한 CORESET의 TCI 상태를 단말이 확정하지 못하는 경우를 회피할 수 있고, 그 원인은, 단말이 오리지널 BWP로 스위칭 백된 후, 기지국은 상기 단말에 상기 오리지널 BWP 상의 CORESET의 TCI 상태를 재 배치(re-configure)하지 않을 수 있어, 더 나아가 데이터 송신의 신뢰성 및 정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 외, 최근 1회에 상기 오리지널 BWP에서 사용한 CORESET의 TCI 상태를 직접 사용함으로서, TCI 상태 배치의 과정을 줄일 수 있고, 송신 오버헤드를 줄이며, 또한 단말 및 기지국의 파워 오버헤드를 줄일 수 있다.
상술한 다운링크 제어 채널은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PDCCH), 물리 방송 채널(Physical Broadcast Channel,PBCH)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방법은:
단계 202: 상기 TCI 상태에 따라 상기 다운링크 제어 채널을 수신하는 단계(202)를 포함한다.
상기 단계는 상술한 TCI 상태에 따라 수신 빔을 확정하고, 따라서 상기 수신 빔을 사용하여 상술한 다운링크 제어 채널을 수신한다. 예하면: 다운링크 제어 채널에 있어서, TCI 상태에 대응하는 참조 신호 세트(Reference Signal set,RS set)중 RS 리소스(RS resource)와 단말의 다운링크 제어 채널의 복조 참조 신호(Demodulation Reference Signal,DMRS)의 포트는 QCL의 것이며, 따라서 단말은 상기 TCI 상태에 따라 다운링크 제어 채널을 수신하는 수신 빔을 확정할 수 있으며, 예하면: 상기 TCI 상태에 대응되는 RS 리소스의 수신 빔을 다운링크 제어 채널을 수신하는 수신 빔으로 확정할 수 있다.
상술한 단계를 통하여, 단말이 BWP로 스위칭 되는 등 시나리오하에, 다운링크 제어 채널의 TCI 상태를 확정하지 못하는 경우를 회피할 수 있어, 더 나아가 데이터 송신의 신뢰성 및 정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기지국(또는 네트워크 측이라 함)과 단말은 모두 동일한 방식을 통해 TCI 상태를 확정할 수 있으며, 즉 기지국 및 단말은 정확하고 일치하게 다운링크 제어 채널 및 다운링크 데이터 채널의 TCI 상태를 이해할 수 있다.
설명해야 할 것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제공한 상술한 방법은 5G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지만 이에 대해 한정되지 않으며, 동일한 기술적 효과를 달성할 수만 있다면, 기타 통신 시스템에서도 적용되며, 예하면, 6G 시스템 또는 기타 TCI 상태를 적용하는 통신 시스템 등등에 적용될 수 있다.
선택가능한 실시방식으로서, 상기 다운링크 제어 채널의 TCI 상태를 확정하기 전에, 상기 방법은:
기지국에서 상기 오리지널 BWP의 CORESET을 위해 배치한 제1 TCI 상태에 따라, 상기 오리지널 BWP 상에서 수신을 수행하는 단계;
기타 BWP로 스위칭 하고, 상기 기지국에서 상기 기타 BWP의 CORESET을 위해 배치한 TCI상태에 따라, 상기 기타 BWP 상에서 수신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기타 BWP로부터 상기 오리지널 BWP로 스위칭 백되고, 여기서, 상기 최근 1회에 상기 오리지널 BWP 상에서 사용한 CORESET의 TCI 상태는 상기 제1 TCI 상태인 단계; 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상술한 제1 TCI 상태는, 기지국이 라디오 리소스 제어(Radio Resource Control,RRC)시그널링을 통해 배치된 하나의 TCI 상태일 수 있거나, 또는 기지국이 RRC 시그널링을 통해 배치된 복수 개의 TCI 상태일 수 있거나, 또는 매체 액세스 제어(Media Access Control,MAC)의 제어 유닛(Control Element,CE)을 통해 그중 하나의 TCI 상태를 지시하는 것일 수 있다. 예하면: 기지국과 단말이 상술한 오리지널 BWP 상에서 통신하고, 상기 BWP는 활성화한 BWP(active BWP)이며, 기지국은 상기 BWP 상의 CORESET의 TCI 상태를 통해 PDCCH를 송신하지만, 단말은 상술한 제1 TCI 상태를 통해 상기 PDCCH를 수신한다.
상술한 기타 BWP로 스위칭 된다는 것은, 단말이 상술한 오리지널 BWP로부터 또 다른 BWP로 스위칭 되거나, 또는 단말이 상술한 오리지널 BWP 상에서 또 다른 BWP로 스위칭 되고, 그 후, 또 다시 상기 BWP로부터 기타 BWP로 스위칭 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즉 상술한 기타 BWP는 하나의 BWP일 수 있고, 또는 단말에서 여러 회의 BWP로의 스위칭이 발생한 복수 개의 BWP일 수 있다. 예하면: 상술한 오리지널 BWP에서 PDCCH 상의 DCI를 수신하였을 때, 여기서 DCI는 BWP 스위칭 명령을 캐리하고, 단말은 상기 명령에 따라 또 다른 BWP로 스위칭 되며, 이때, 상기 또 다른 BWP는 활성화 BWP로 된다. 상기 새로운 활성화 BWP 상에서, 단말은 기지국의 RRC 배치에 따라, PDCCH를 수신하기 위한 상기 BWP 상의 CORESET의 TCI 상태를 획득하거나, 또는 단말은 RRC배치 및 MAC CE 지시에 따라, PDCCH를 수신하기 위한 상기 BWP 상의 CORESET의 TCI 상태를 획득한다.
그 후, 단말이 오리지널 BWP로 스위칭 백된 후, 즉 오리지널 BWP는 새로운 활성화 BWP로 된다. 단말은 상기 새로운 활성화 BWP 상에서, 지난번에 상기 BWP 상에서 사용한 CORESET의 TCI 상태를 사용하며, 즉 상술한 제1 TCI 상태를 사용한다. 예하면: 단말이 활성화 BWP(상기 활성화 BWP는, 단말이 상술한 오리지널 BWP로부터 또 다른 BWP로 스위칭된 것일 수 있음) 상의 DCI에 의해 통지된 BWP스위칭 명령에 따라, 단말은 재차 오리지널 BWP로 스위칭 백되었을 때, 오리지널 BWP는 새로운 활성화 BWP로 되며, 상기 BWP 상의 CORESET의 TCI 상태는 여전히 유효하며, 단말은 이러한 여전히 유효한 TCI 상태에 따라 PDCCH를 수신한다.
본 개시의 실시방식에 있어서, 단말이 BWP로 스위칭 될 때, 새로 활성화된 활성화 BWP 상에서, 지난번에 상기 BWP상에서 사용한 CORESET의 TCI 상태를 사용하여, 단말이 BWP로 스위칭 될 때 TCI 상태를 확정하지 못하는 경우를 회피할 수 있고, 더 나아가 데이터 송신의 신뢰성 및 정확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또한 송신 오버헤드를 줄이며, 단말 및 기지국의 파워 오버헤드를 줄일 수 있다.
선택적으로, 본 개시의 실시방식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에서 상기 오리지널 BWP의 CORESET를 위해 제2 TCI 상태를 재 배치, 재 활성화 또는 재 지시 하기 전에, 상기 단말은 상기 오리지널 BWP 상에서 모두 상기 제1 TCI 상태를 사용한다.
따라서, 기지국에서 새로운 TCI 상태를 재 배치, 재 활성화, 또는 재 지시하기 전까지, 단말은 상술한 오리지널 BWP 상에서 상술한 상기 제1 TCI 상태를 사용하여 다운링크 제어 채널을 수신하고, 따라서 단말이 다운링크 채널을 수신할 때의 복잡도를 감소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상술한 단계를 통해 데이터 송신의 신뢰성 및 정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도 3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제공한 단말에 적용되는 또 다른 다운링크 채널의 수신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3에서 도시하다 시피, 또 다른 다운링크 채널의 수신 방법은:
단계 301: 다운링크 데이터 채널의 TCI 상태를 확정하고, 여기서, 상기 TCI 상태는 CORESET의 TCI 상태이거나 또는 새로 확정된 TCI 상태이며, 상기 CORESET는 다운링크 제어 정보 DCI가 위치한 시간 도메인 리소스중 표식이 제일 작은 CORESET를 의미하고, 상기 DCI는 상기 다운링크 데이터 채널을 스케줄링 하기 위한 것인 단계(301); 를 포함하며,
상기 단계에서, 다운링크 데이터 채널의 TCI 상태는 상술한 CORESET의 TCI 상태이거나 또는 새로 확정된 TCI 상태임을 직접 확정할 수 있으며, 따라서 단말이 이동 또는 새로운 동기화 신호 블록(Synchronization Signal block,SSB)이 위치한 빔으로 스위칭 될 때, 단말이 TCI 상태를 확정하지 못하는 경우를 회피할 수 있어, 따라서 데이터 송신의 신뢰성 및 정확성을 향상 시킬 수 있다.
설명해야 할 것은, 상술한 DCI가 위치한 시간 도메인 리소스중 표식이 제일 작은 CORESET에 있어서 두가지 경우가 존재한다. 하나는, 모든 CORESET에서 표식이 제일 작은 CORESET를 의미하며, 예하면: CORESET0(표식이 0인 CORESET)이며, 또 다른 하나는, 현재 단말이 위치한 BWP에서 CORESET0을 제외한 표식이 제일 작은 CORESET를 의미하며, 예하면: CORESET1이다.
상술한 새로 확정된 TCI 상태는 단말이 상술한 다운링크 데이터 채널의 TCI 상태를 확정할 때, 새로 확정된 TCI 상태이다. 예하면, 기지국에서 단말을 위해 배치하거나, 활성화하거나 또는 지시한 TCI 상태이다. 물론, 일부 실시방식에 있어서, 상술한 새로 확정된 TCI 상태는 재 배치, 재 활성화 또는 재 지시된 TCI 상태라고 칭할 수 도 있다.
그 외, 상술한 시간 도메인 리소스는 타임 슬롯(slot)이거나 또는 서브프레임 등 시간 도메인 리소스일 수 있다. 상술한 다운링크 제어 채널은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PDCCH), 물리 방송 채널(Physical Broadcast Channel,PBCH)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술한 다운링크 데이터 채널은 물리 다운링크 공유 채널(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PDSCH)일 수 있다.
상기 방법은:
단계 302: 상기 TCI 상태에 따라 상기 다운링크 데이터 채널을 수신하는 단계(302);를 포함한다.
상기 단계는 상술한 TCI 상태에 따라 수신 빔을 확정하고, 따라서 상기 수신 빔을 사용하여 상술한 다운링크 데이터 채널을 수신한다. 예하면: 다운링크 데이터 채널에 대해, TCI 상태에 대응하는 RS set중 RS 리소스와 스케줄링 할 다운링크 데이터 채널의 DMRS 포트는 QCL의 것이며, 따라서 단말은 상기 TCI 상태에 따라 다운링크 데이터 채널을 수신하는 수신 빔을 확정할 수 있고, 예하면: 상기 TCI 상태에 대응되는 RS 리소스의 수신 빔을 다운링크 데이터 채널을 수신하는 수신 빔으로 확정할 수 있다.
상술한 단계를 통해 단말의 이동 또는 SSB로 스위칭 되는 등 시나리오하에, 다운링크 데이터 채널의 TCI 상태를 확정하지 못하는 경우를 회피할 수 있고, 더 나아가 데이터 송신의 신뢰성 및 정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 외, 기지국(또는 네트워크 측이라 함)과 단말은 모두 동일한 방식을 통해 TCI 상태를 확정할 수 있으며, 즉 기지국 및 단말은 명확하고 일치하게 다운링크 제어 채널 및 다운링크 데이터 채널의 TCI 상태를 이해할 수 있다.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은, 상기 기지국은 오로지 예시를 위한 것이고, 동일한 기술적 효과를 달성할 수 있는 송수신 노드 TRP 또는 기타 유닛이라면 상기 기지국 범위내에 포함할 수 도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할 것이며,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설명해야 할 것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제공한 상술한 방법은 5G 시스템에 적용되지만 이에 대해 한정되지 않으며, 동일한 기술적 효과를 달성할 수만 있다면, 기타 통신 시스템에서도 적용되며, 예하면: 이후의 진화 시스템 또는 기타 TCI 상태를 적용하는 통신 시스템 등에 적용할 수 있다.
선택가능한 구현방식으로서, 상기 TCI 상태에 따라 상기 다운링크 데이터 채널을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TCI 상태가 지시한 공간 QCL 파라미터에 따라 상기 다운링크 데이터 채널을 수신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실시방식에 있어서, 상술한 TCI 상태는 적어도 공간 QCL 파라미터를 지시하기 위해 사용되어야 하며, 따라서 단말은 상기 공간 QCL 파라미터를 사용하여 상기 다운링크 데이터 채널을 수신한다. 물론, 기지국도 상기 공간 파라미터를 사용하여 다운링크 데이터 채널의 송신을 수행할 수 있다.
설명해야 할 것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상술한 TCI 상태는 오로지 공간 QCL 파라미터만 지시하기 위한 것이라고 한정되지 않는다. 기타 송신 배치와 관련된 파라미터를 지시할 수도 있으며, 더 나아가 이런 파라미터를 사용하여 다운링크 데이터 채널을 수신할 수 있다.
또 다른 선택가능한 실시방식으로서, 상기 DCI의 스케줄링 오프셋(scheduling offset)이 기설정 도어 임계치 보다 작거나 같은 경우에, 상기 TCI 상태는 상기 CORESET의 TCI 상태이며, 또한 상기 CORESET는 상기 시간 도메인 리소스중의 활성화 BWP에서 표식이 제일 작은 CORESET를 의미한다.
여기서, 상술한 스케줄링 오프셋은 DCI가 수신되었을 때로부터 상기 DCI가 효력을 발생하는 때까지의 시간 간격을 의미할 수 있고, 상술한 기설정 도어 임계치(k로 표시)는 프로토콜로 미리 정의한 도어 임계치일 수 있고. 또는 기지국이 미리 배치한 도어 임계치일 수 있으며, 또는 단말과 기지국이 미리 협상한 도어 임계치일 수 있으며, 이에 대해 한정되지 않는다.
그 외, 본 개시의 실시방식에 있어서, 상술한 DCI의 스케줄링 오프셋이 기설정 도어 임계치(예컨데:scheduling offset is <=k) 보다 작거나 같은 경우에, 다운링크 데이터 채널의 TCI은 디폴트 TCI 상태(default TCI state)를 의미하고, 상기 디폴트 TCI 상태는 상술한 시간 도메인 리소스중 활성화 BWP상의 표식이 제일 작은 CORESET를 의미한다.
상기 실시방식에서, 다운링크 데이터 채널의 TCI 상태는 상술한 시간 도메인 리소스중 활성화 BWP상의 표식중 제일 작은 CORESET의 TCI 상태를 의미하며, 즉 상기 TCI 상태는 복수 개의 또는 모든 BWP의 전부 CORESET에서 표식이 제일 작은 CORESET의 TCI 상태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하나의 BWP에서 표식이 제일 작은 CORESET의 TCI 상태를 의미함으로서, 네트워크가 각 BWP에 모두 CORESET를 배치할 때, 단말은 표식이 제일 작은 CORESET가 어느 BWP에 있는지를 확정하지 못하며, 따라서 단말이 다운링크 데이터 채널의 TCI 상태를 확정하지 못하는 문제를 회피하여, 더 나아가 데이터 송신의 신뢰성 및 정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설명해야 할 것은, 상기 실시방식에서, 활성화 BWP 상의 표식이 제일 작은 CORESET는 상기 활성화 BWP내의 모든 CORESET중에서 표식이 제일 작은 CORESET일 수 있으며, 즉 표식이 제일 작은 CORESET를 선택할 때, 표식이 0인 CORESET를 고려한다. 예하면: 만약 상기 활성화 BWP내에는 표식이 0인 CORESET이 포함하면, 표식이 0인 CORESET를 선택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실시방식에서, 상기 DCI에 TCI 도메인(TCI field)이 존재하거나 또는 존재하지 않을 경우, 상기 TCI 상태는 모두 상기 CORESET의 TCI 상태를 의미한다,
여기서, 상기 CORESET는 상술한 시간 도메인 리소스중 활성화 BWP상의 표식이 제일 작은 CORESET를 의미한다.
예하면: 기지국과 단말이 어느 BWP에서 통신할 때, 상기 BWP는 활성화 BWP이며, 단말이 상기 BWP상의 CORESET의 TCI 상태를 통해 PDCCH를 수신한다. 그 외, 기지국은 고층 시그널링을 통해 PDCCH의 DCI 에 TCI 도메인이 존재하거나 또는 존재하지 않음을 배치하며, TCI 도메인의 존재 여부에 상관없이, PDCCH가 PDSCH를 스케줄링할 때의 DCI의 스케줄링 오프셋이 기설정 도어 임계치(예컨데:scheduling offset is <=k) 보다 작거나 같을 때, 단말은 디폴트 TCI 상태에 따라 PDSCH를 수신하고, 상기 DCI가 위치한 시간 도메인에서 상기 활성화 BWP상에서 표식이 제일 작은 CORESET의 TCI 상태에 따라 상기 디폴트 TCI 상태를 확정할 수 있다.
상기 실시방식에서, DCI 에 존재하거나 또는 존재하지 않은 TCI 도메인일 경우에, 상기 TCI 상태는 상기 CORESET의 TCI 상태를 의미하며, 따라서 단말의 복잡도를 감소할 수 있다.
설명해야 할 것은, 상기 실시방식에서, 어떻게 다운링크 데이터 채널의 TCI 상태를 확정할 것인지가 포인트이다. 하지만, 실제 데이터 송신 과정에서, 다운링크 데이터 채널을 수신한 외에, 단말은 다운링크 제어 채널을 더 수신하여야 함으로, 상기 실시방식에서, 다운링크 제어 채널의 TCI 상태는 도 2에서 도시하는 실시예에서 단말이 오리지널 BWP로 스위칭 백(back)되어 확정된 다운링크 제어 채널의 TCI 상태를 참조할 수 있으며, 동일한 기술적 효과를 달성할 수 있고 이에 대해 더 이상 설명하지 않는다. 그 외, 단말이 상술한 오리지널 BWP로 스위칭 백되었을 때, 활성화 BWP는 단말이 스위칭 백(back)된 오리지널 BWP일 수 있으며, 그 원인은, 단말이 오리지널 BWP로 스위칭 백된후, 상기 오리지널 BWP는 바로 활성화 BWP이기 때문이다,
물론, 상기 실시방식에서 다운링크 제어 채널은 기지국이 RRC 시그널링을 통해 배치한 CORESET의 TCI 상태이거나, 또는 기지국이 RRC 시그널링 및 MAC CE를 통해 지시된 CORESET의 TCI 상태일 수 있다.
또 다른 선택가능한 실시방식으로서, 상기 DCI의 스케줄링 오프셋이 기설정 도어 임계치 보다 작거나 같은 경우에, 상기 TCI 상태는 상기 CORESET의 TCI 상태이며, 상기 CORESET의 TCI 상태는 상기 CORESET 상에서 제어 채널의 QCL을 지시하기 위한 것이며. 또한 상기 CORESET는 상기 시간 도메인 리소스중 표식이 0인 CORESET를 제외한 표식아 제일 작은 CORESET를 의미한다.
여기서, 상술한 스케줄링 오프셋 및 기설정 도어 임계치는 상기 실시방식에서 대응되는 설명을 참조할수 있으며, 이에 관해서는 더 이상 상세하게 설명하지 않는다.
상기 DCI의 스케줄링 오프셋이 기설정 도어 임계치 보다 작거나 같은 경우에, 다운링크 데이터 채널의 TCI 상태는 디폴트 TCI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디폴트 TCI 상태는 CORESET에서 제어 채널의 QCL을 지시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상기 디폴트 TCI 상태는 DCI가 위치한 시간 도메인 리소스중 표식이 0인 CORESET를 제외한 표식이 제일 작은 CORESET를 의미한다. 즉 여기서 CORESET의 표식이 0인 것을 제외한 표식이 제일 작은 CORESET를 의미하며, 즉 표식이 0 보다 큰 CORESET를 의미한다.
실제 응용에 있어서, 초기 액세스에서, 단말은 측정에 따라 최적화의 SSB를 선택하고, 상기 SSB와 상호 관련된 물리 랜덤 액세스 채널(Physical Random Access Channel,PRACH)리소스를 사용하여 액세스를 발신한다. 랜덤 액세스 완료후, 표식이 0인 CORESET는 물리 방송 채널(Physical Broadcast Channel, PBCH)에서 배치한 것이고, 기타 ID의 CORESET는 기지국이 고층 시그널링을 통해 배치된 것이다.
단말이 랜덤 액세스 완료후, 단말이 이동할 때, 네트워크가 송신한 SSB를 측정하며, 측정결과에 따라 현재 최적화 SSB로 스위칭할 수 있다. PBCH도 표식이 0인 CORESET를 상기 SSB에 배치한다. 따라서 단말은 현재 SSB에서 PBCH가 배치한 표식이 0인 CORESET의 TCI 상태를 사용하여 PDSCH를 수신한다. 하지만, 기직국은 단말의 이동으로하여 표식이 0인 CORESET에 변화가 발생한 것을 인지 못하기에, 기지국은 여전히 전에 사용하던 표식이 0인 CORESET의 TCI 상태를 사용하여 PDSCH를 송신함으로서 데이터 송신을 정확하게 수행 못하는 문제를 초래한다.
본 개시의 실시방식에 있어서, 다운링크 데이터 채널의 TCI 상태는 CORESET의 TCI 상태이며, CORESET는 상기 시간 도메인 리소스중 표식이 0인 CORESET를 제외한 표식이 제일 작은 CORESET를 의미하기에, 따라서 상술한 문제점을 회피할 수 있다. 표식이 0인 CORESET를 제외한 CORESET는 SSB를 통해 배치 된 것이 아니며, 예컨대, 고층 시그널링을 통해 배치 된다면, 단말이 SSB를 스위칭 하더라도, 단말 및 기지국은 여전히 동일한 CORESET의 TCI을 사용하여 데이터 송신을 수행하며, 더 나아가 데이터 송신의 신뢰성 및 정확성을 보장한다.
예하면: 단말이 초기 액세스를 할 때, 단말은 측정에 따라 최적화의 SSB를 선택하여, 상기 SSB와 상호 관련된 PRACH 리소스를 사용하여 액세스를 발신한다. 랜덤 액세스 완료후, 표식이 0인 CORESET는 PBCH에서 배치한 것이고, 기타 ID의 CORESET는 기지국이 고층 시그널링을 통해 배치한 것이다. 단말이 이동할 때, 기지국에서 송신한 SSB를 측정할 수 있으며, 측정결과에 따라 현재 최적화의 SSB로 스위칭할 수 있으며 상기 SSB중의 PBCH도 표식이 0인 CORESET를 배치한다. 단말이 기지국에 의해 스케줄링 될 때, 활성화 BWP(또는 현재 BWP)의 CORESET에서 PDCCH를 송신한다. 단말은 PDCCH의 시그널링에 따라 PDSCH를 수신한다. 구체적으로, DCI의 스케줄링 오프셋이 기설정 도어 임계치(예컨데:scheduling offset is <=k) 보다 작거나 같을 때, 단말은 디폴트 TCI 상태에 따라 PDSCH를 수신한다. 상기 디폴트 TCI 상태는 제어 채널의 QCL 지시(QCL indication)이며, 또한 상기 제어 채널의 QCL지시는 해당 DCI가 위치한 타임 슬롯에서 표식이 0인 CORESET를 제외한 표식이 제일 작은 CORESET의 TCI 상태에 의해 확정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실시방식에 있어서, 상기 DCI에 TCI 도메인(TCI field)이 존재하거나 또는 존재하지 않을 경우, 상기 TCI 상태는 모두 상기 CORESET의 TCI 상태를 의미한다.
여기서, 상기 CORESET는 상술한 시간 도메인 리소스중 활성화 BWP에서 표식이 제일 작은 CORESET를 의미한다.
또한 DCI에 TCI 도메인(TCI field)이 존재하거나 또는 존재하지 않을 경우, 상기 TCI 상태는 모두 상기 CORESET의 TCI 상태를 의미하며, 따라서 단말의 복잡도를 감소할 수 있다.
설명해야 할 것은, 상기 실시방식에 있어서, 어떻게 다운링크 데이터 채널의 TCI 상태를 확정할 것인지가 포인트이다. 하지만, 실제 데이터 송신 과정에서, 다운링크 데이터 채널을 수신한 외에, 단말은 다운링크 제어 채널을 더 수신하여야 한다. 상기 실시방식에서, 다운링크 제어 채널의 TCI 상태는 도 2에서 도시하는 실시예에서 단말이 오리지널 BWP로 스위칭 백되어 확정된 다운링크 제어 채널의 TCI 상태를 참조할 수 있으며, 이에 관해서는 더 이상 상세하게 설명하지 않으며, 동일한 기술적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그 외, 단말이 상술한 오리지널 BWP로 스위칭 백(back)되었을 때, 상기 실시방식중에서 활성화 BWP는 단말이 오리지널 BWP로 스위칭 백된 오리지널 BWP일 수 있으며, 그 원인은, 단말이 오리지널 BWP로 스위칭 백된 후, 해당 오리지널 BWP가 바로 활성화 BWP이기 때문이다.
물론, 상기 실시방식에서 다운링크 제어 채널은 기지국이 RRC 시그널링을 통해 배치한 CORESET의 TCI 상태이거나, 또는 기지국이 RRC 시그널링 및 MAC CE를 통해 지시한 CORESET의 TCI 상태일 수 있다.
또 다른 선택가능한 실시방식으로서, 상기DCI의 스케줄링 오프셋이 기설정 도어 임계치 보다 작거나 같은 경우에, 상기 TCI 상태는 상기 CORESET의 TCI 상태이며, 상기 CORESET의 TCI 상태는 상기 CORESET 상에서 제어 채널의 QCL 지시이며, 또한 상기 CORESET는 상기 시간 도메인 리소스중 유니캐스트(unicast)를 하는 표식이 제일 작은 CORESET를 의미한다.
여기서, 상술한 스케줄링 오프셋 및 기설정 도어 임계치는 상기 실시방식에서 대응되는 설명을 참조할 수 있으며, 이에 관해서는 더 이상 상세하게 설명하지 않는다.
상기 DCI의 스케줄링 오프셋이 기설정 도어 임계칠 보다 작거나 같은 경우에, 다운링크 데이터 채널의 TCI 상태는 디폴트 TCI 상태일 수 있으며, 상기 디폴트 TCI 상태는 CORESET에서 제어 채널의 QCL 지시를 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상기 디폴트 TCI 상태는 DCI가 위치한 시간 도메인 리소스중 유니캐스트(unicast)를 하는 표식이 제일 작은 CORESET를 의미한다. 즉 여기서 CORESET는 유니캐스트(unicast)를 하는 CORESET에서 제일 작은 표식을 가진 CORESET를 의미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실시방식에 있어서, 상기 DCI에 TCI 도메인(TCI field)이 존재하거나 또는 존재하지 않을 경우, 상기 TCI 상태는 모두 상기 CORESET의 TCI 상태를 의미한다.
여기서, 상기 CORESET는 상술한 시간 도메인 리소스중 활성화 BWP에서 표식이 제일 작은 CORESET를 의미한다.
또한 DCI에 TCI 도메인(TCI field)이 존재하거나 또는 존재하지 않을 경우, 상기 TCI 상태는 모두 상기 CORESET의 TCI 상태를 의미하며. 따라서 단말의 복잡도를 감소할 수 있다.
설명해야 할 것은, 상기 실시방식에 있어서, 어떻게 다운링크 데이터 채널의 TCI 상태를 확정할 것인지가 포인트이다. 하지만, 실제 데이터 송신 과정에서, 다운링크 데이터 채널을 수신한 외에, 단말은 다운링크 제어 채널을 더 수신하여야 하기에, 상기 실시방식에서, 다운링크 제어 채널의 TCI 상태는 도 2에서 도시하는 실시예에서 단말이 오리지널 BWP로 스위칭 백되어 확정된 다운링크 제어 채널의 TCI 상태를 참조할 수 있으며, 이에 관해서는 더 이상 상세하게 설명하지 않으며, 동일한 기술적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그 외, 단말이 상술한 오리지널 BWP로 스위칭 백되었을 때, 상기 실시방식중에서 활성화 BWP는 단말이 오리지널 BWP로 스위칭 백된 오리지널 BWP일 수 있으며, 그 원인은, 단말이 오리지널 BWP로 스위칭 백된 후, 해당 오리지널 BWP가 바로 활성화 BWP이기 때문이다.
물론, 상기 실시방식에서 다운링크 제어 채널은 기지국이 RRC 시그널링을 통해 배치한 CORESET의 TCI 상태이거나, 또는 기지국이 RRC 시그널링 및 MAC CE를 통해 지시된 CORESET의 TCI 상태일 수 있다.
또 다른 선택가능한 실시방식에 있어서, 충돌 시간내에서 상기 기설정되거나 또는 상기 기지국에 의해 배치된 우선 순위 규칙에 따라, 높은 우선 순위의 TCI 상태를 사용하여 다운링크 제어 채널 또는 다운링크 데이터 채널을 수신하며;
여기서, 상기 충돌 시간은: 상기 다운링크 데이터 채널의 TCI 상태의 사용 시간과 현재 다운링크 제어 채널을 수신하는 TCI 상태의 사용 시간 사이의 중첩 시간을 포함하거나, 또는 상기 다운링크 데이터 채널의 TCI 상태의 사용 시간과 현재 다운링크 데이터 채널의 TCI 상태의 사용 시간 사이의 중첩 시간을 포함하며, 상기 현재 다운링크 제어 채널을 수신하는 TCI 상태는 상기 기지국에 의해 배치된 다운링크 제어 채널을 수신하기 위한 TCI 상태이며, 상기 현재 다운링크 데이터 채널의 TCI 상태는 상기 기지국에 의해 지시되고 이미 효력을 발생하는 다운링크 데이터 채널의 TCI 상태이다.
여기서, 상기 다운링크 데이터 채널의 TCI 상태는 단계 301에서 확정된 TCI 상태이며, 그 외, 상술한 각 TCI 상태의 사용 시간은, 각 TCI 상태가 사용에 필요한 시간일 수 있다. 예하면: 상술한 다운링크 데이터 채널의 TCI 상태의 사용 시간은 타임 슬롯(4) 및 타임 슬롯(5)를 포함하고, 현재 다운링크 제어 채널을 수신하는 TCI 상태의 사용 시간은 타임 슬롯(4)의 앞 2개 심볼이며, 상술한 충돌 시간은 타임 슬롯(4)의 앞 2개 심볼을 포함하고, 만약 현재 다운링크 데이터 채널의 TCI 상태의 사용 시간이 타임 슬롯(5)이 포함되면, 상술한 충돌 시간에는 타임 슬롯(5)가 더 포함된다.
설명해야 할 것은, 상술한 이미 효력을 발생하는 다운링크 데이터 채널의 TCI 상태는, 또 다른 DCI가 스케줄링한 데이터 채널의 시간내에서 스케줄링 오프셋이 기설정 임계치보다 큰 시간의 TCI 상태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기설정되거나 또는 상기 기지국에 의해 배치된 우선 순위 규칙은 다음 규칙 중 적어도 한 항을 포함하며, 구체적으로:
상기 현재 다운링크 제어 채널을 수신하는 TCI 상태의 우선 순위가 상기 다운링크 데이터 채널의 TCI 상태 보다 높은 것;
상기 현재 다운링크 제어 채널을 수신하는 TCI 상태의 우선 순위가 상기 다운링크 데이터 채널의 TCI 상태 보다 낮은 것;
상기 현재 다운링크 데이터 채널의 TCI 상태의 우선 순위가 상기 다운링크 데이터 채널의 TCI 상태 보다 높은 것; 및
상기 현재 다운링크 데이터 채널의 TCI 상태의 우선 순위가 상기 다운링크 데이터 채널의 TCI 상태 보다 낮은 것; 중 적어도 한 항을 포함한다.
상기 실시방식에서 충돌 문제를 회피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데이터 송신의 신뢰성 및 정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다른 선택가능한 실시방식에 있어서, 충돌 시간내에서 상기 기설정되거나 또는 상기 기지국에 의해 배치된 규칙에 따라 다운링크 데이터 채널 및 다운링크 참조 신호중 적어도 한 항을 수신하되;
여기서, 상기 충돌 시간은: 상기 다운링크 데이터 채널의 TCI 상태의 사용 시간과 상기 다운링크 참조 신호의 TCI 상태의 사용 시간 사이의 중첩 시간을 포함하고, 상기 다운링크 참조 신호의 TCI 상태는 상기 기지국에 의해 배치되거나 또는 지시된 다운링크 참조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TCI 상태를 의미한다.
상기 실시방식에 있어서, 충돌 시간은 상기 기설정되거나 또는 상기 기지국에 의해 배치된 규칙에 따라 다운링크 데이터 채널 및 다운링크 참조 신호중 적어도 한 항을 수신하기에, 따라서 데이터 송신의 영활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충돌 문제를 해결하여, 더 나아가 데이터 송신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술한 다운링크 참조 신호는: 채널 상태 정보 참조 신호(Channel State Information Reference Signal ,CSI-RS) 및 SSB중 적어도 한 항을 포함한다. 물론, 기타 참조 신호일 수 도 있으며, 이에 대해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상술한 다운링크 데이터 채널의 TCI 상태는 상기 다운링크 데이터 채널의 공간 QCL 파라미터의 수신을 지시 할 수 있으며; 상기 다운링크 참조 신호의 TCI 상태는 상기 다운링크 참조 신호의 공간 QCL 파라미터의 수신을 지시 할 수 있다.
이로 하여, 상술한 공간 QCL 파라미터를 사용하여 다운링크 데이터 채널 및 다운링크 참조 신호중 적어도 한 항을 수신 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기설정되거나 또는 상기 기지국에 의해 배치된 규칙은:
상기 충돌 시간내에서, 상기 기지국에 의해 배치된 또는 지시된 다운링크 참조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TCI 상태와 상기 다운링크 데이터 채널의 TCI 상태는 동일하거나; 또는
상기 충돌 시간내에서, 상기 기지국에 의해 배치된 또는 지시된 다운링크 참조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TCI 상태를 사용하여 상기 다운링크 데이터 채널을 수신하는 것; 을 포함한다.
상기 실시방식에 있어서, 다운링크 참조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TCI 상태와 상기 다운링크 데이터 채널의 TCI 상태가 동일하기에, 상기 기지국에 의해 배치된 또는 지시된 다운링크 참조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TCI 상태를 사용하여 상기 다운링크 데이터 채널을 수신함으로서, 따라서 충돌 문제를 회피할 수 있다.
또 다른 선택가능한 실시방식에 있어서, 충돌 시간내에서 기설정되거나 또는 상기 기지국에 의해 배치된 우선 순위 규칙에 따라, 높은 우선 순위의 TCI 상태를 사용하여 다운링크 데이터 채널, 다운링크 제어 채널 및 다운링크 참조 신호를 수신하며;
여기서, 상기 충돌 시간은: 기지국에 의해 배치된 또는 지시된 PDSCH/DMRS의 TCI 상태의 사용 시간과 CSI-RS의 TCI 상태의 사용 시간 사이의 중첩 시간을 포함하거나, 또는 기지국에 의해 배치된 복수 개의 CORESET의 TCI 상태의 사용 시간 사이의 중첩 시간을 포함한다.
상기 PDSCH/DMRS의 TCI 상태는 상기 PDSCH/DMRS의 공간 QCL 파라미터의 수신을 지시 할 수 있다. 상기 CSI-RS의 TCI 상태는 상기 CSI-RS의 공간 QCL 파라미터의 수신을 지시 할 수 있다. 상기 CORESET의 TCI 상태는 상기 CORESET에서 PDCCH의 공간 QCL 파라미터의 수신을 지시 할 수 있다.
상기 기설정되거나 또는 상기 기지국에 의해 배치된 우선 순위 규칙은 다음 중 적어도 한 항을 포함하며, 구체적으로:
상기 PDSCH/DMRS의 TCI 상태의 우선 순위가 상기 CSI-RS의 TCI 상태 보다 높은 것;
상기 PDSCH/DMRS의 TCI 상태의 우선 순위가 상기 CSI-RS의 TCI 상태 보다 낮은 것; 및
상기 CORESET의 TCI 상태의 최고 우선 순위는 표식이 제일 작은 CORESET의 TCI 상태이거나 또는 표식이 제일 큰 CORESET의 TCI 상태인 것; 중 적어도 한 항을 포함한다.
상기 PDSCH/DMRS의 TCI 상태는, DCI에 의해 스케줄링되고 또한 이미 효력을 발생하는 TCI 상태일 수 있다.
상기 CORESET의 TCI 상태의 최고 우선 순위는 기설정되거나 또는 상기 기지국에 의해 배치된 기타 우선 순위 규칙일 수 도 있으며, 예하면 표식에 특정된 특징을 구비한 CORESET의 TCI 상태는 최고 우선 순위를 가진다.
또 다른 선택가능한 실시방식에 있어서, 상기 다운링크 데이터 채널의 TCI 상태를 확정하기 전에, 상기 방법은:
상기 기지국에서 표식이 0인 CORESET를 위해 배치, 활성화 및 지시 중 적어도 한 항에 의해 확정된 TCI 상태를 획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TCI 상태는, 적어도 상기 표식이 0인 CORESET와 QCI 관계가 존재하는 SSB의 인덱스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며, 또한, 상기 새로 확정된 TCI 상태는 상기 적어도 한 항에 의해 확정된 TCI 상태이다.
상기 실시방식에 있어서, 기지국에서 확정된 표식이 0인 CORESET의 TCI 상태를 획득하고, 또한 TCI 상태는 적어도 상기 표식이 0인 CORESET와 QCI와 관계가 존재하는 SSB의 인덱스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기에, 단말은 기지국에서 확정된 표식이 0인 CORESET의 TCI 상태를 사용할 수 있으며, 즉, 상기 표식이 0인 CORESET와 QCI 관계가 존재하는 SSB의 인덱스의 빔에서 다운링크 데이터 채널을 수신한다. 상기 TCI 상태는 기지국에서 확정하기에, 기지국 및 단말은 모두 상기 TCI 상태를 사용하여 데이터 송신을 수행함으로서, 따라서 데이터 송신의 신뢰성 및 정확성을 보장한다.
여기서, 상술한 표식이 0인 CORESET의 TCI 상태를 획득하는 획득 시기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예하면: 기지국은 단말이 빔 보고를 리포팅한 후에 상술한 단말을 위해 확정된 것일 수 있으며, 또는 기지국에서 업링크 참조 신호를 수신하고, 업링크 참조 신호의 측정에 따라 확정된 것 등등 일 수 있고, 선택적으로, 단말이 연결 상태인 경우에 상술한 표식이 0인 CORESET의 TCI 상태를 획득할 수 있다.
예하면: 상기 기지국이 표식이 0인 CORESET를 위해 배치, 활성화 및 지시 중 적어도 한 항에 의해 확정된 TCI 상태를 획득하기 전에, 상기 방법은:
네트워크에서 배치한 참조 신호에 대해 빔 측정을 수행하여, 빔 보고를 얻는 단계 - 상기 빔 보고에는 N개의 참조 신호의 인덱스 및 질량 정보가 포함되고, 여기서, 상기 N개의 참조 신호는 상기 네트워크에서 배치한 참조 신호중 신호 질량이 앞 N자리에 위치한 참조 신호를 의미하며, 상기 N은 0 보다 큰 정수를 의미함 -; 및
기지국에 상기 빔 보고를 리포팅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한다.
따라서 기지국은 상술한 빔 보고에 따라 표식이 0인 CORESET의 TCI 상태를 확정할 수 있다.
여기서, 상술한 참조 신호는 SSB 또는 채널 상태 정보 참조 신호(Channel State Information-Reference Signaling,CSI-RS)등 참조 신호 일 수 있다. 상술한 N은 단말에서 확정된 것이거나, 또는 기지국에서 미리 배치된 것, 또는 프로토콜중에 미리 정의된 것 등 일 수 있다. 상술한 신호 질량이 앞 N 자리에 위치한 참조 신호는, 신호 질량이 높은 것으로부터 낮은 것으로의 순서 중에서 앞 N 자리에 위치한 참조 신호일 수 있다. 즉 질량이 가장 양호한 N개 참조 신호이다. 상술한 신호 질량은 참조 신호 수신 파워(Reference Signal Receiving Power,RSRP) 또는 참조 신호 수신 질량(Reference Signal Received Quality,RSRQ)등 일 수 있다.
그리고, 기지국에서 상술한 빔 보고를 수신 후, 상기 빔 보고에 따라 단말을 위해 표식이 0인 CORESET의 TCI 상태를 확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배치, 활성화 및 지시 중 적어도 한 항을 통해 확정할 수 있다. 예하면: 기지국은 N개 참조 신호에서 하나 또는 복수 개의 참조 신호를 선택하여 SSB의 인덱스로 확정하고, 단말이 표식이 0인 CORESET의 TCI 상태를 획득하는데 사용한다.
예하면: 단말은 초기 액세스 할 때, 단말은 측정에 따라 최적화 SSB를 선택하고, 상기 SSB와 상호 관련된 PRACH 리소스를 사용하여 액세스를 발신한다. 랜덤 액세스 완료후, 표식이 0인 CORESET는 PBCH에서 배치한 것이고, 기타 ID의 CORESET는 기지국이 고층 시그널링을 통해 배치된 것이다. 단말이 기지국에 의해 스케줄링 될 때, 현재의 BWP의 CORESET에서 PDCCH를 송신하고, 단말은 PDCCH의 시그널링을 통해 PDSCH를 수신한다. 구체적으로, 단말이 이동할 때, 단말은 기지국에 의해 배치된 SSB에 대해 빔 측정을 수행하며, 즉 SSB가 위치한 빔의 질량(예컨데: RSRP)을 측정한다. 또한 빔 보고를 통해 기지국에 리포팅하며, 상기 보고에는 최적화의 하나 또는 복수 개의 SSB 인덱스(index) 및 그에 대응하는 질량을 포함된다. 기지국은 빔 보고에 따라, 다운링크 데이터 채널이 사용한 빔을 수신하라고 단말에 지시하며, 또한, 기지국은 재 배치, 재 활성화 또는 재 지시 명령을 송신하고, 상기 명령의 기능에는 표식이 0인 CORESET의 TCI 상태(예컨데: QCL 지시)를 배치하는 것을 포함하며, 상기 TCI 상태는, 기지국에서 확정된 상기 표식이 0인 CORESET와 QCI 관계가 존재하는 SSB의 인덱스에 의해 지시된다. 이때, 단말은 기지국에서 재 배치, 재 활성화, 재 지시한 명령을 기준으로 하여, 표식이 0인 CORESET의 TCI 상태를 확정할 수 있다. 단말이 기지국에 의해 스케줄링 될 때, DCI의 스케줄링 오프셋이 기설정 도어 임계치(예컨데:scheduling offset is <=k) 보다 작거나 같을 때, 기지국은 디폴트 TCI 상태에 따라 PDSCH를 수신하며, 상기 디폴트 TCI 상태는 기지국에서 재 배치, 재 활성화 또는 재 지시된 표식이 0인 CORESET의 TCI 상태를 의미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실시방식에 있어서, 상기 DCI의 스케줄링 오프셋이 기설정 도어 임계치 보다 작거나 같을 때, 상기 다운링크 데이터 채널의 TCI 상태는 상기 새로 확정된 TCI 상태를 의미한다.
여기서, 상술한 DCI는 상술한 다운링크 데이터 채널을 스케줄링한 DCI이며, 스케줄링 오프셋이 기설정 도어 임계치 보다 작거나 같을 때, 상술한 새로 확정된 TCI 상태를 직접 사용하는 것을 구현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실시방식에 있어서, 상기 배치는 RRC 시그널링을 사용하여 배치된다는 것을 의미하며;
상기 활성화는 MAC CE를 사용하여 RRC 시그널링에 의해 배치된 복수 개의 TCI 상태 중 하나의 TCI 상태를 활성화한다는 것을 의미하며;
상기 지시는 MAC CE 또는 물리층 제어 시그널링을 사용하여 지시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표식이 0인 CORESET의 TCI 상태는 RRC 시그널링과 MAC CE, RRC 시그널링, MAC CE와 물리층 제어 시그널링 중 적어도 한 항을 통해 확정되는 것을 구현할 수 있어, 따라서 단말이 SSB를 스위칭 할 때, 기지국 및 단말이 상이한 표식이 0인 CORESET의 TCI 상태를 사용하여, 초래한 데이터 송신의 에러를 회피할 수 있고, 더 나아가 데이터 송신의 신뢰성 및 정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설명해야 할 것은, 상기 실시방식에 있어서, 어떻게 다운링크 채널의 TCI 상태를 확정할 것인지가 포인트이다. 하지만, 실제 데이터 송신 과정에서, 다운링크 데이터 채널을 수신한 외에, 단말은 다운링크 제어 채널을 더 수신하여야 하기에, 상기 실시방식에서, 다운링크 제어 채널의 TCI 상태는 도 2에서 도시하는 실시예에서 단말이 오리지널 BWP로 스위칭 백되어 확정된 다운링크 제어 채널의 TCI 상태를 참조할 수 있으며, 동일한 기술적 효과를 달성할 수 있으며, 여기서 더는 기술하지 않기로 한다. 그 외, 단말이 상술한 오리지널 BWP로 스위칭 백(back)되었을 때, 상기 실시방식중에서 활성화 BWP는 단말이 오리지널 BWP로 스위칭 백된 오리지널 BWP일 수 있으며, 그 원인은, 단말이 오리지널 BWP로 스위칭 백된 후, 해당 오리지널 BWP가 바로 활성화 BWP이기 때문이다.
물론, 상기 실시방식에서 다운링크 제어 채널은 기지국이 RRC 시그널링을 통해 배치한 CORESET의 TCI 상태이거나, 또는 기지국이 RRC 시그널링 및 MAC CE를 통해 지시한 CORESET의 TCI 상태일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술한 단계를 통해 데이터 송신의 신뢰성 및 정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도 4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제공한 기지국에 적용되는 다운링크 채널의 송신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4에서 도시하다 시피, 상기 다운링크 채널의 송신 방법은:
단계 401: 다운링크 제어 채널의 TCI 상태를 확정하고, 여기서 상기 TCI 상태는 상기 기지국이 최근 1회에 오리지널 BWP 상에서 사용한 CORESET의 TCI 상태이며, 상기 다운링크 제어 채널은 상기 오리지널 BWP의 CORESET 상에서 송신하는 단계(401); 및
단계 402: 상기 TCI 상태에 따라 상기 다운링크 제어 채널을 송신하는 단계(402); 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기지국에서 상기 오리지널 BWP의 CORESET를 위해 제2 TCI 상태를 재 배치, 재 활성화 또는 재 지시 하기 전에, 상기 기지국은 상기 오리지널 BWP 상에서 모두 상기 제1 TCI 상태를 사용한다.
설명해야 할 것은, 본 개시의 실시예는 도 2에서 도시하는 실시예에 대응하는 기지국의 실시방식으로서, 구체적인 실시방식은 도 2에서 도시하는 실시예에 대한 관련 설명을 참조 할 수 있으며, 또한 동일한 기술적 효과를 달성할 수 있으며, 중복 설명을 회피하기 위하여, 여기서 더이상 상세하게 기술하지 않기로 한다.
도 5를 참조하면, 도 5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제공한 기지국에 적용되는 또 다른 다운링크 채널의 송신 방법의 흐름도이며, 도 5에서 도시하다 시피, 상기 다운링크 채널의 송신 방법은:
단계 501: 다운링크 데이터 채널의 TCI 상태를 확정하는 단계(501) - 여기서, 상기 TCI 상태는 CORESET의 TCI 상태이거나 또는 새로 확정된 TCI 상태이며, 상기 CORESET는 DCI가 위치한 시간 도메인 리소스중 표식이 제일 작은 CORESET이고, 상기 DCI는 상기 다운링크 데이터 채널을 스케줄링 하기 위한 것임 -; 및
단계 502: 상기 TCI 상태에 따라 상기 다운링크 데이터 채널을 송신하는 단계(502); 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TCI 상태에 따라 상기 다운링크 데이터 채널을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TCI 상태가 지시한 공간 QCL 파라미터에 따라 상기 다운링크 데이터 채널을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DCI의 스케줄링 오프셋이 기설정 도어 임계치 보다 작거나 같은 경우에, 상기 TCI 상태는 상기 CORESET의 TCI 상태이며, 상기 CORESET는 상기 시간 도메인 리소스중의 활성화 BWP상의 표식이 제일 작은 CORESET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DCI의 스케줄링 오프셋이 기설정 도어 임계치 보다 작거나 같은 경우에, 상기 TCI 상태는 상기 CORESET의 TCI 상태이며, 상기 CORESET의 TCI 상태는 상기 CORESET 상에서 제어 채널의 QCL을 지시하기 위한 것이며, 또한 상기 CORESET는 상기 시간 도메인 리소스중 표식이 0인 CORESET를 제외한 표식이 제일 작은 CORESET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DCI의 스케줄링 오프셋이 기설정 도어 임계치 보다 작거나 같은 경우에, 상기 TCI 상태는 상기 CORESET의 TCI 상태이며, 상기 CORESET의 TCI 상태는 상기 CORESET 상에서 제어 채널의 QCL을 지시하기 위한 것이며, 또한 상기 CORESET는 상기 시간 도메인 리소스중 유니캐스트(unicast) 하며 표식이 제일 작은 CORESET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DCI에 TCI 도메인이 존재하거나 또는 존재하지 않을 경우, 상기 TCI 상태는 모두 상기 CORESET의 TCI 상태를 의미한다.
선택적으로, 충돌 시간내에서 상기 기설정되거나 또는 상기 기지국에 의해 배치된 우선 순위 규칙에 따라, 높은 우선 순위의 TCI 상태를 사용하여 다운링크 제어 채널 또는 다운링크 데이터 채널을 수신하며;
여기서, 상기 충돌 시간은: 상기 다운링크 데이터 채널의 TCI 상태의 사용 시간과 현재 다운링크 제어 채널을 수신하는 TCI 상태의 사용 시간 사이의 중첩 시간을 포함하거나, 또는 상기 다운링크 데이터 채널의 TCI 상태의 사용 시간과 현재 다운링크 데이터 채널의 TCI 상태의 사용 시간 사이의 중첩 시간을 포함하며, 상기 현재 다운링크 제어 채널을 수신하는 TCI 상태는 상기 기지국에 의해 배치된 다운링크 제어 채널을 송신하기 위한 TCI 상태이며, 상기 현재 다운링크 데이터 채널의 TCI 상태는 상기 기지국에 의해 지시되고 이미 효력을 발생하는 다운링크 데이터 채널의 TCI 상태를 의미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기설정되거나 또는 상기 기지국에 의해 배치된 우선 순위 규칙은 다음 규칙중 적어도 한 항을 포함하며, 구체적으로:
상기 현재 다운링크 제어 채널의 TCI 상태의 우선 순위가 상기 다운링크 데이터 채널의 TCI 상태 보다 높은 것;
상기 현재 다운링크 제어 채널의 TCI 상태의 우선 순위가 상기 다운링크 데이터 채널의 TCI 상태 보다 낮은 것;
상기 현재 다운링크 데이터 채널의 TCI 상태의 우선 순위가 상기 다운링크 데이터 채널의 TCI 상태 보다 높은 것; 및
상기 현재 다운링크 데이터 채널의 TCI 상태의 우선 순위가 상기 다운링크 데이터 채널의 TCI 상태 보다 낮은 것; 중 적어도 한 항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충돌 시간내에서 상기 기설정되거나 또는 상기 기지국에 의해 배치된 규칙에 따라 다운링크 데이터 채널 및 다운링크 참조 신호중 적어도 한 항을 송신하며;
여기서, 상기 충돌 시간은: 상기 다운링크 데이터 채널의 TCI 상태의 사용 시간과 상기 다운링크 참조 신호의 TCI 상태의 사용 시간 사이의 중첩 시간을 포함하고, 상기 다운링크 참조 신호의 TCI 상태는 상기 기지국에 의해 배치되거나 또는 지시된 다운링크 참조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TCI 상태를 의미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다운링크 참조 신호는: CSI-RS 및 SSB중 적어도 한 항을 포함하며;
상기 다운링크 데이터 채널의 TCI 상태는 상기 다운링크 데이터 채널의 공간 QCL 파라미터를 송신하라고 지시하며; 상기 다운링크 참조 신호의 TCI 상태는 상기 다운링크 참조 신호의 공간 QCL 파라미터를 송신하라고 지시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기설정되거나 또는 기지국에 의해 배치된 규칙은:
상기 충돌 시간내에서, 상기 기지국에 의해 배치되거나 또는 지시된 다운링크 참조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TCI 상태와 상기 다운링크 데이터 채널의 TCI 상태는 동일하거나; 또는
상기 충돌 시간내에서, 상기 기지국에 의해 배치되거나 또는 지시된 다운링크 참조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TCI 상태를 사용하여 상기 다운링크 데이터 채널을 송신하는 것;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다운링크 데이터 채널의 TCI 상태를 확정하기 전에, 상기 방법은:
배치, 활성화 및 지시 중 적어도 한 항을 통해 상기 단말을 위해 표식이 0인 CORESET의 TCI 상태를 확정하고, 상기 TCI 상태는 적어도 상기 표식이 0인 CORESET와 QCI 관계가 존재하는 동기화 신호 블록SSB의 인덱스를 지시하기 위해 사용되며, 또한 상기 새로 확정된 TCI 상태는 상기 적어도 한 항에 의해 확정된 TCI 상태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DCI의 스케줄링 오프셋이 기설정 도어 임계치 보다 작거나 같은 경우에, 상기 다운링크 데이터 채널의 TCI 상태는 상기 새로 확정된 TCI 상태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배치는 라디오 리소스 제어 RRC 시그널링을 사용하여 배치된다는 것을 의미하고;
상기 활성화는 매체 액세스 제어의 제어 유닛 MAC CE를 사용하여 RRC 시그널링에 의해 배치된 복수 개의 TCI 상태 중 하나의 TCI 상태를 활성화한다는 것을 의미하며;
상기 지시는 MAC CE 또는 물리층 제어 시그널링을 사용하여 지시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설명해야 할 것은, 본 개시의 실시예는 도3에서 도시하는 실시예에 대응하는 기지국의 실시방식으로서, 구체적인 실시방식은 도 3에서 도시하는 실시예에 대한 관련 설명을 참조 할 수 있다. 또한 동일한 기술적 효과를 달성할 수 있으며, 중복 설명을 회피하기 위하여, 여기서 더이상 상세하게 기술하지 않기로 한다.
도 6을 참조하면, 도 6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제공한 단말의 구조도이며, 도 6에서 도시하다 시피, 단말 (600)은:
다운링크 제어 채널의 TCI 상태를 확정하기 위한 제어 채널 확정 모듈(601) - 여기서, 상기 단말이 오리지널 BWP로 스위칭 백되었을 때, 상기 TCI 상태는 상기 단말이 최근 1회에 상기 오리지널 BWP 상에서 사용한 CORESET의 TCI 상태이며, 상기 다운링크 제어 채널은 상기 오리지널 BWP의 CORESET 상에서 송신함 -; 및
상기 TCI 상태에 따라 상기 다운링크 제어 채널을 수신하기 위한 제어 채널 수신 모듈(602); 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도 7에서 도시하다 시피, 상기 단말(600)은:
기지국에서 상기 오리지널 BWP의 CORESET를 위해 배치한 제1 TCI 상태에 따라, 상기 오리지널 BWP에서 수신을 수행하기 위한 오리지널 수신 모듈(603);
기타 BWP로 스위칭 하고, 상기 기지국에서 상기 기타 BWP의 CORESET를 위해 배치한 TCI 상태에 따라, 상기 기타 BWP에서 수신을 수행하기 위한 제1 스위칭 모듈(604); 및
상기 기타 BWP로부터 상기 오리지널 BWP로 스위칭 백되기 위한 제2 스위칭 모듈(605) - 상기 최근 1회에 상기 오리지널 BWP 상에서 사용한 CORESET의 TCI 상태는 상기 제1 TCI 상태임 -; 을 더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기지국에서 상기 오리지널 BWP의 CORESET를 위해 제2 TCI 상태를 재 배치, 재 활성화 또는 재 지시 하기 전에, 상기 단말은 상기 오리지널 BWP 상에서 모두 상기 제1 TCI 상태를 사용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제공한 단말은 도 2의 방법 실시예에서 단말에 의해 구현된 각 과정을 구현할 수 있으며, 중복 설명을 회피하기 위하여, 여기서 더이상 상세하게 기술하지 않기로 하며, 더 나아가 데이터 송신의 신뢰성 및 정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도 8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제공한 또 다른 단말의 구조도이며, 도 8에서 도시하다 시피 단말 (800)은:
모듈을 확정하기 위한 것이며 또한 다운링크 데이터 채널의 TCI 상태를 확정하기 위한 데이터 채널 확정 모듈(801) - 상기 TCI 상태는: CORESET의 TCI 상태이거나 또는 새로 확정된 TCI 상태이며, 상기 CORESET는 DCI가 위치한 시간 도메인 리소스중 표식이 제일 작은 CORESET를 의미하고, 상기 DCI는 상기 다운링크 데이터 채널을 스케줄링 하기 위한 것임 -; 및
상기 TCI 상태에 따라 상기 다운링크 데이터 채널을 수신하기 위한 데이터 채널 수신 모듈(802); 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DCI의 스케줄링 오프셋이 기설정 도어 임계치 보다 작거나 같은 경우에, 상기 TCI 상태는 상기 CORESET의 TCI 상태이며, 또한 상기 CORESET는 상기 시간 도메인 리소스중 활성화 BWP에서 표식이 제일 작은 CORESET를 의미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DCI의 스케줄링 오프셋이 기설정 도어 임계치 보다 작거나 같은 경우에, 상기 TCI 상태는 상기 CORESET의 TCI 상태이며, 상기 CORESET의 TCI 상태는 상기 CORESET 상에서 제어 채널의 QCL을 지시하기 위한 것이며, 또한 상기 CORESET는 상기 시간 도메인 리소스중 표식이 0인 CORESET를 제외한 표식이 제일 작은 CORESET를 의미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DCI의 스케줄링 오프셋이 기설정 도어 임계치 보다 작거나 같은 경우에, 상기 TCI 상태는 상기 CORESET의 TCI 상태이며, 상기 CORESET의 TCI 상태는 상기 CORESET 상에서 제어 채널의 QCL을 지시하기 위한것이며, 또한 상기 CORESET는 상기 시간 도메인 리소스중 유니캐스트(unicast) 하며 표식이 제일 작은 CORESET를 의미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DCI에 TCI 도메인이 존재하거나 또는 존재하지 않을 경우, 상기 TCI 상태는 모두 상기 CORESET의 TCI 상태이다.
선택적으로, 충돌 시간내에서 기설정되거나 또는 기지국에 의해 배치된 우선 순위 규칙에 따라, 높은 우선 순위의 TCI 상태를 사용하여 다운링크 제어 채널 또는 다운링크 데이터 채널을 수신하며;
여기서, 상기 충돌 시간은: 상기 다운링크 데이터 채널의 TCI 상태의 사용 시간과 현재 다운링크 제어 채널을 수신하는 TCI 상태의 사용 시간 사이의 중첩 시간을 포함하거나, 또는 상기 다운링크 데이터 채널의 TCI 상태의 사용 시간과 현재 다운링크 데이터 채널의 TCI 상태의 사용 시간 사이의 중첩 시간을 포함하며, 상기 현재 다운링크 제어 채널을 수신하는 TCI 상태는 상기 기지국에 의해 배치된 다운링크 제어 채널을 수신하기 위한 TCI 상태이며, 상기 현재 다운링크 데이터 채널의 TCI 상태는 상기 기지국에 의해 지시되고 이미 효력을 발생하는 다운링크 데이터 채널의 TCI 상태를 의미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기설정되거나 또는 상기 기지국에 의해 배치된 우선 순위 규칙은 다음 규칙 중 적어도 한 항을 포함하며, 구체적으로:
상기 현재 다운링크 제어 채널을 수신하는 TCI 상태의 우선 순위가 상기 다운링크 데이터 채널의 TCI 상태 보다 높은 것;
상기 현재 다운링크 제어 채널을 수신하는 TCI 상태의 우선 순위가 상기 다운링크 데이터 채널의 TCI 상태 보다 낮은 것;
상기 현재 다운링크 데이터 채널의 TCI 상태의 우선 순위가 상기 다운링크 데이터 채널의 TCI 상태 보다 높은 것; 및
상기 현재 다운링크 데이터 채널의 TCI 상태의 우선 순위가 상기 다운링크 데이터 채널의 TCI 상태 보다 낮은 것; 중 적어도 한 항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충돌 시간내에서 기설정되거나 또는 기지국에 의해 배치된 규칙에 따라 다운링크 데이터 채널 및 다운링크 참조 신호중 적어도 한 항을 수신하며;
여기서, 상기 충돌 시간은: 상기 다운링크 데이터 채널의 TCI 상태의 사용 시간과 상기 다운링크 참조 신호의 TCI 상태의 사용 시간 사이의 중첩 시간을 포함하고, 상기 다운링크 참조 신호의 TCI 상태는 상기 기지국에 의해 배치되거나 또는 지시된 다운링크 참조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TCI 상태를 의미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다운링크 참조 신호는: 채널 상태 정보 참조 신호 CSI-RS 및 동기화 신호 블록 SSB중 적어도 한 항을 포함하며;
상기 다운링크 데이터 채널의 TCI 상태는 상기 다운링크 데이터 채널의 공간 QCL 파라미터의 수신을 지시하거나; 또는 상기 다운링크 참조 신호의 TCI 상태는 상기 다운링크 참조 신호의 공간 QCL 파라미터의 수신을 지시 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기설정되거나 또는 기지국에 의해 배치된 규칙은:
상기 충돌 시간내에서, 상기 기지국에 의해 배치되거나 또는 지시된 다운링크 참조 신호를 수신 하기 위한 TCI 상태와 상기 다운링크 데이터 채널의 TCI 상태는 동일하거나; 또는
상기 충돌 시간내에서, 상기 기지국에 의해 배치되거나 또는 지시된 다운링크 참조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TCI 상태를 사용하여 상기 다운링크 데이터 채널을 수신하는 것;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도 9에서 도시하다 시피, 상기 단말 (800)은;
기지국에서 표식이 0인 CORESET를 위해 배치, 활성화 및 지시 중 적어도 한 항에 의해 확정된 TCI 상태를 획득하기 위한 획득 모듈(803)을 포함하며, 상기 TCI 상태는 적어도 상기 표식이 0인 CORESET와 QCI 관계가 존재하는 동기화 신호 블록 SSB의 인덱스를 지시하기 위해 사용되며, 또한 상기 새로 확정된 TCI 상태는 상기 적어도 한 항에 의해 확정된 TCI 상태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DCI의 스케줄링 오프셋이 기설정 도어 임계치 보다 작거나 같은 경우에, 상기 다운링크 데이터 채널의 TCI 상태는 상기 새로 확정된 TCI 상태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배치는 라디오 리소스 제어 RRC 시그널링을 사용하여 배치된다는 것을 의미하고;
상기 활성화는 매체 액세스 제어의 제어 유닛 MAC CE를 사용하여 RRC 시그널링에 의해 배치된 복수 개의 TCI 상태 중 하나의 TCI 상태를 활성화한다는 것을 의미하며;
상기 지시는 MAC CE 또는 물리층 제어 시그널링을 사용하여 지시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제공한 단말은 도 3의 방법 실시예에서 단말에 의해 구현된 각 과정을 구현할 수 있으며, 중복 설명을 회피하기 위하여, 여기서 더이상 상세하게 기술하지 않기로 하며, 더 나아가 데이터 송신의 신뢰성 및 정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도 10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제공한 기지국의 구조도이며, 도 10에서 도시하다 시피, 기지국 (1000)은:
다운링크 제어 채널의 TCI 상태를 확정하기 위한 제어 채널 확정 모듈(1001) - 상기 TCI 상태는 상기 기지국이 최근 1회에 오리지널 BWP 상에서 사용한 CORESET의 TCI 상태이며, 상기 다운링크 제어 채널은 상기 오리지널 BWP의 CORESET 상에서 송신함; 및
상기 TCI 상태에 따라 상기 다운링크 제어 채널을 송신하기 위한 제어 채널 송신 모듈(1002); 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본 개시의 실시방식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에서 상기 오리지널 BWP의 CORESET를 위해 제2 TCI 상태를 재 배치, 재 활성화 또는 재 지시 하기 전에, 상기 단말은 상기 오리지널 BWP 상에서 모두 상기 제1 TCI 상태를 사용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제공한 기지국은 도 4의 방법 실시예에서 기지국에 의해 구현된 각 과정을 구현할 수 있으며, 중복 설명을 회피하기 위하여, 여기서 더이상 상세하게 기술하지 않기로 하며, 더 나아가 데이터 송신의 신뢰성 및 정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도 11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제공한 기지국의 구조도이며, 도 11에서 도시하다 시피, 기지국 (1100)은:
다운링크 데이터 채널의 TCI 상태를 확정하기 위한 데이터 채널 확정 모듈(1101) - 상기 TCI 상태는: CORESET의 TCI 상태이거나 또는 새로 확정된 TCI 상태이며, 상기 CORESET는 DCI가 위치한 시간 도메인 리소스중 표식이 제일 작은 CORESET를 의미하고, 상기 DCI는 상기 다운링크 데이터 채널을 스케줄링 하기 위한 것임 -; 및
상기 TCI 상태에 따라 상기 다운링크 데이터 채널을 송신하기 위한 데이터 채널 송신 모듈(1102); 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데이터 채널 송신 모듈(1102)은 상기 TCI 상태가 지시한 공간 QCL 파라미터에 따라 상기 다운링크 데이터 채널을 송신하기 위한 것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DCI의 스케줄링 오프셋이 기설정 도어 임계치 보다 작거나 같은 경우에, 상기 TCI 상태는 상기 CORESET의 TCI 상태이며, 또한 상기 CORESET는 상기 시간 도메인 리소스중 활성화 BWP에서 표식이 제일 작은 CORESET를 의미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DCI의 스케줄링 오프셋이 기설정 도어 임계치 보다 작거나 같은 경우에, 상기 TCI 상태는 상기 CORESET의 TCI 상태이며, 상기 CORESET의 TCI 상태는 상기 CORESET 상에서 제어 채널의 QCL을 지시하기 위한것이며, 또한 상기 CORESET는 상기 시간 도메인 리소스중 표식이 0인 CORESET를 제외한 표식이 제일 작은 CORESET를 의미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DCI의 스케줄링 오프셋이 기설정 도어 임계치 보다 작거나 같은 경우에, 상기 TCI 상태는 상기 CORESET의 TCI 상태이며, 상기 CORESET의 TCI 상태는 상기 CORESET 상에서 제어 채널의 QCL을 지시하기 위한 것이며, 또한 상기 CORESET는 상기 시간 도메인 리소스중 유니캐스트(unicast) 하며 표식이 제일 작은 CORESET를 의미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DCI에 TCI 도메인이 존재하거나 또는 존재하지 않을 경우, 상기 TCI 상태는 모두 상기 CORESET의 TCI 상태를 의미한다,
선택적으로, 충돌 시간내에서 기설정되거나 또는 기지국에 의해 배치된 우선 순위 규칙에 따라, 높은 우선 순위의 TCI 상태를 사용하여 다운링크 제어 채널 또는 다운링크 데이터 채널을 송신하며;
여기서, 상기 충돌 시간은: 상기 다운링크 데이터 채널의 TCI 상태의 사용 시간과 현재 다운링크 제어 채널의 TCI 상태의 사용 시간 사이의 중첩 시간을 포함하거나, 또는 상기 다운링크 데이터 채널의 TCI 상태의 사용 시간과 현재 다운링크 데이터 채널의 TCI 상태의 사용 시간 사이의 중첩 시간을 포함하며, 상기 현재 다운링크 제어 채널을 수신하는 TCI 상태는 상기 기지국에 의해 배치된 다운링크 제어 채널을 송신하기 위한 TCI 상태이며, 상기 현재 다운링크 데이터 채널의 TCI 상태는 상기 기지국에 의해 지시되고 이미 효력을 발생하는 다운링크 데이터 채널의 TCI 상태를 의미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기설정되거나 또는 상기 기지국에 의해 배치된 우선 순위 규칙은 다음 규칙 중 적어도 한 항을 포함하며, 구체적으로:
상기 현재 다운링크 제어 채널의 TCI 상태의 우선 순위가 상기 다운링크 데이터 채널의 TCI 상태 보다 높은 것;
상기 현재 다운링크 제어 채널의 TCI 상태의 우선 순위가 상기 다운링크 데이터 채널의 TCI 상태 보다 낮은 것;
상기 현재 다운링크 데이터 채널의 TCI 상태의 우선 순위가 상기 다운링크 데이터 채널의 TCI 상태 보다 높은 것; 및
상기 현재 다운링크 데이터 채널의 TCI 상태의 우선 순위가 상기 다운링크 데이터 채널의 TCI 상태 보다 낮은 것; 중 적어도 한 항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충돌 시간내에서 상기 기설정되거나 또는 상기 기지국에 의해 배치된 규칙에 따라 다운링크 데이터 채널 및 다운링크 참조 신호중 적어도 한 항을 송신하며;
여기서, 상기 충돌 시간은: 상기 다운링크 데이터 채널의 TCI 상태의 사용 시간과 상기 다운링크 참조 신호의 TCI 상태의 사용 시간 사이의 중첩 시간을 포함하고, 상기 다운링크 참조 신호의 TCI 상태는 상기 기지국에 의해 배치되거나 또는 지시된 다운링크 참조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TCI 상태를 의미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다운링크 참조 신호는: CSI-RS 및 SSB중 적어도 한 항을 포함하며;
상기 다운링크 데이터 채널의 TCI 상태는 상기 다운링크 데이터 채널의 공간 QCL 파라미터를 송신하라고 지시하며; 상기 다운링크 참조 신호의 TCI 상태는 상기 다운링크 참조 신호의 공간 QCL 파라미터를 송신하라고 지시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기설정되거나 또는 기지국에 의해 배치된 규칙은:
상기 충돌 시간내에서, 상기 기지국에 의해 배치되거나 또는 지시된 다운링크 참조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TCI 상태와 상기 다운링크 데이터 채널의 TCI 상태는 동일하거나; 또는
상기 충돌 시간내에서, 상기 기지국에 의해 배치되거나 또는 지시된 다운링크 참조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TCI 상태를 사용하여 상기 다운링크 데이터 채널을 송신하는 것;을 포함한다.
도 12에서 도시하다 시피, 기지국 (1100)은:
배치, 활성화 및 지시 중 적어도 한 항을 통해 상기 단말을 위해 표식이 0인 CORESET의 TCI 상태를 확정하기 위한 상태 확정 모듈(1103)을 더 포함하며, 상기 TCI 상태는 적어도 상기 표식이 0인 CORESET와 QCI 관계가 존재하는 동기화 신호 블록 SSB의 인덱스를 지시하기 위해 사용되며, 또한 상기 새로 확정된 TCI 상태는 상기 적어도 한 항에 의해 확정된 TCI 상태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DCI의 스케줄링 오프셋이 기설정 도어 임계치 보다 작거나 같은 경우에, 상기 다운링크 데이터 채널의 TCI 상태는 상기 새로 확정된 TCI 상태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배치는 라디오 리소스 제어 RRC 시그널링을 사용하여 배치된다는 것을 의미하고;
상기 활성화는 매체 액세스 제어의 제어 유닛 MAC CE를 사용하여 RRC 시그널링에 의해 배치된 복수 개의 TCI 상태 중 하나의 TCI 상태를 활성화한다는 것을 의미하며;
상기 지시는 MAC CE 또는 물리층 제어 시그널링을 사용하여 지시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제공한 기지국은 도 3의 방법 실시예에서 단말에 의해 구현된 각 과정을 구현할 수 있으며, 중복 설명을 회피하기 위하여, 여기서 더이상 상세하게 기술하지 않기로 하며, 데이터 송신의 신뢰성 및 정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3은 본 개시의 각 실시예를 구현하기 위한 단말의 하드웨어 구조 예시도이며,
단말(1300)은, 무선 주파수 유닛(1301), 네트워크 모듈(1302), 오디오 출력 유닛(1303), 입력 유닛(1304), 센서(1305), 표시 유닛(1306), 사용자 입력 유닛(1307), 인터페이스 유닛(1308), 메모리(1309), 프로세서(1310), 및 전원(1311) 등 컴포넌트를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은, 도 13에 나타내는 단말 구조는 단말에 대한 한정을 구성하지 않으며, 단말은 도시된 것보다 더 많거나 더 적은 컴포넌트를 포함하거나, 또는 일부 컴포넌트들을 조합하거나, 또는 상이한 컴포넌트를 배치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단말은 휴대폰, 태블릿 PC, 노트북 컴퓨터, 팜톱 컴퓨터, 차량 탑재 단말, 웨어러블 기기, 및 보수계 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프로세서(1310)은 다운링크 제어 채널의 TCI 상태를 확정하기 위한 것이며, 여기서, 상기 단말이 오리지널 BWP로 스위칭 백되었을 때, 상기 TCI 상태는 상기 단말이 최근 1회에 상기 오리지널 BWP 상에서 사용한 CORESET의 TCI 상태이며, 상기 다운링크 제어 채널은 상기 오리지널 BWP의 CORESET 상에서 송신하며;
무선 주파수 유닛(1301)은 상기 TCI 상태에 따라 상기 다운링크 제어 채널을 수신하기 위한 것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다운링크 채널의 송신 배치 지시(TCI) 상태를 확정하기 전에, 무선 주파수 유닛(1301)은:
기지국에서 상기 오리지널 BWP의 CORESET를 위해 배치한 제1 TCI 상태에 따라, 상기 오리지널 BWP에서 수신을 수행하기 위한 것;
기타 BWP로 스위칭 하고, 상기 기지국에서 상기 기타 BWP의 CORESET를 위해 배치한 TCI 상태에 따라, 상기 기타 BWP에서 수신을 수행하기 위한 것; 및
상기 기타 BWP로부터 상기 오리지널 BWP로 스위칭 백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최근 1회에 상기 오리지널 BWP 상에서 사용한 CORESET의 TCI 상태는 상기 제1 TCI 상태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기지국에서 상기 오리지널 BWP의 CORESET를 위해 제2 TCI 상태를 재 배치, 재 활성화 또는 재 지시 하기 전에, 상기 단말은 상기 오리지널 BWP 상에서 모두 상기 제1 TCI 상태를 사용한다. 상술한 단말은 데이터 송신의 신뢰성 및 정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해해야 할 것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무선 주파수 유닛(1301)은 정보 송수신 또는 통화 과정에서, 신호를 수신 및 송신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기지국으로부터의 다운링크 데이터를 수신한 후, 프로세서(1310)에 의해 처리되도록 하고; 그리고, 업링크 데이터를 기지국으로 송신한다. 통상적으로, 무선 주파수 유닛(1301)은 안테나, 적어도 하나의 증폭기, 송수신기, 커플러, 저잡음 증폭기, 듀플렉서 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무선 주파수 유닛(1301)은 또한, 무선 통신 시스템을 통해 네트워크 및 기타 기기와 통신할 수 있다.
단말은 네트워크 모듈(1302)을 통해 사용자에게 무선 광대역 인터넷 액세스를 제공하는바, 예컨대, 사용자를 도와 이메일 송수신, 웹 페이지 브라우징 및 스트리밍 미디어 액세스 등을 수행한다.
오디오 출력 유닛(1303)은 무선 주파수 유닛(1301) 또는 네트워크 모듈(1302)이 수신한 또는 메모리(1309)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오디오 신호로 변환시켜 소리로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오디오 출력 유닛(1303)은 또한, 단말(1300)이 수행하는 특정 기능과 관련된 오디오 출력(예컨대, 콜 신호 수신 소리, 메시지 수신 소리 등)을 제공할 수 있다. 오디오 출력 유닛(1303)은 스피커, 버저 및 수화기 등을 포함한다.
입력 유닛(1304)은 오디오 또는 비디오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것이다. 입력 유닛(1304)은 그래픽 프로세서(Graphics Processing Unit, GPU, 13041) 및 마이크(13042)를 포함할 수 있다. 그래픽 프로세서(13041)는 비디오 캡쳐 모드 또는 이미지 캡쳐 모드에서 이미지 캡쳐 장치(예컨대, 카메라)에 의해 획득된 스틸 사진 또는 비디오 이미지 데이터를 처리한다. 처리된 이미지 프레임은 표시 유닛(1306) 상에 표시될 수 있다. 그래픽 프로세서(13041)에 의한 처리를 거친 후의 이미지 프레임은 메모리(1309)(또는 기타 저장 매체)에 저장되거나 또는 무선 주파수 유닛(1301) 또는 네트워크 모듈(1302)을 경유하여 송신된다. 마이크(13042)는 소리를 수신할 수 있으며, 이러한 소리를 오디오 데이터로 처리할 수 있다. 처리된 오디오 데이터는 전화 통화 모드의 경우에 있어서 무선 주파수 유닛(1301)을 경유하여 이동 통신 기지국으로 송신가능한 포맷으로 전환되어 출력될 수 있다.
단말(1300)은, 예컨대 광 센서, 운동 센서 및 기타 센서와 같은 적어도 한 가지 센서(1305)를 더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광 센서는 환경광 센서 및 근접 센서를 포함한다. 환경광 센서는 환경 광선의 명도에 따라 표시 패널(13061)의 휘도를 조절할 수 있고, 근접 센서는 단말(1300)이 귓가로 이동했을 때, 표시 패널(13061) 및/또는 백라이트를 턴 오프할 수 있다. 운동 센서의 일종으로서, 가속도계 센서는 각각의 방향에서의(통상적으로, 3 축) 가속도의 크기를 검출할 수 있고, 정지 시, 중력의 크기 및 방향을 검출할 수 있으며, 단말 자태(예컨대, 가로 및 세로 스크린 스위칭, 관련 게임, 자기력계 자세 교정), 진동 식별 관련 기능 (예컨대, 보수계, 태핑) 등을 식별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센서(1305)는 지문 센서, 압력 센서, 홍채 센서, 분자 센서, 자이로스코프, 기압계, 습도계, 온도계, 적외선 센서 등을 더 포함하는바, 여기서 더이상 상세하게 기술하지 않기로 한다.
표시 유닛(1306)은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정보 또는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것이다. 표시 유닛(1306)은 표시 패널(13061)을 포함할 수 있으며,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등의 형태로 표시 패널(13061)을 구성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 유닛(1307)은 입력된 숫자 또는 문자 부호 정보를 수신하고, 단말의 사용자 설정 및 기능 제어와 관련된 키 신호 입력을 산생시키기 위한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입력 유닛(1307)은 터치 패널(13071) 및 기타 입력 기기(13072)를 포함한다. 터치 패널(13071)은, 터치 스크린으로 칭하기도 하며, 사용자가 터치 패널 상 또는 부근에서의 터치 조작(예컨대, 사용자가 손가락, 스타일러스 등 임의의 적합한 물체 또는 액세서리로 터치 패널(13071) 상 또는 터치 패널(13071) 부근에서의 조작)을 수집할 수 있다. 터치 패널(13071)은 터치 검출 장치 및 터치 제어기 두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터치 검출 장치는 사용자의 터치 방위를 검출하고, 터치 조작에 따른 신호를 검출하고, 신호를 터치 제어기로 송신하며; 터치 제어기는 터치 검출 장치로부터 터치 정보를 수신하여, 접점 좌표로 전환시킨 후에 프로세서(1310)로 보내고, 프로세서(1310)가 보낸 명령을 수신하여 실행한다. 또한, 저항식, 정전용량식, 적외선 및 표면탄성파 등 다양한 유형으로 터치 패널(13071)을 구현할 수 있다. 터치 패널(13071)외에, 사용자 입력 유닛(1307)은 기타 입력 기기(1307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기타 입력 기기(13072)는 물리 키보드, 기능키(예컨대, 음량 제어 키버튼, 전원 스위치 버튼 등), 트랙볼, 마우스 및 조이스틱을 더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바, 여기서 더이상 상세하게 기술하지 않기로 한다.
진일보하여, 터치 패널(13071)은 표시 패널(13061)을 커버할 수 있으며, 터치 패널(13071)은 터치 패널(13071) 상 또는 부근의 터치 조작을 검출한 후, 프로세서(1310)에 송신하여 터치 이벤트의 유형을 확정하도록 하고, 그 후, 프로세서(1310)는 터치 이벤트의 유형에 따라 표시 패널(13061) 상에 상응하는 시각적 출력을 제공한다. 도 13에서 터치 패널(13071)과 표시 패널(13061)이 독립된 두 컴포넌트로서 단말의 입력 및 출력 기능을 구현하고 있으나, 몇몇 실시예들에서, 터치 패널(13071)과 표시 패널(13061)을 집적하여 단말의 입력 및 출력 기능을 구현할 수 있는바, 여기서 구체적으로 한정하지 않기로 한다.
인터페이스 유닛(1308)은 외부 장치가 단말(1300)에 연결되는 인터페이스이다. 예컨대, 외부 장치는 유선 또는 무선 헤드셋 포트, 외부 전원(또는 배터리 충전기) 포트, 유선 또는 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 포트, 식별 모듈을 갖는 장치를 연결하기 위한 포트, 오디오 입력/출력(I/O) 포트, 비디오 I/O 포트, 헤드폰 포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 유닛(1308)은 외부 장치로부터의 입력(예컨대, 데이터 정보, 전력 등)을 수신하고, 수신된 입력을 단말(1300)내의 하나 또는 복수 개의 소자에 송신하기 위한 것 또는 단말(1300)과 외부 장치 사이에서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메모리(1309)는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및 각종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메모리(1309)는 주로 저장 프로그램 영역 및 저장 데이터 영역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저장 프로그램 영역은 운영 체제, 적어도 하나의 기능에 필요한 애플리케이션(예컨대, 소리 재생 기능, 이미지 재생 기능 등) 등을 저장할 수 있으며; 저장 데이터 영역은 휴대폰의 사용에 따라 작성된 데이터(예컨대, 오디오 데이터, 전화 번호부 등) 등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1309)는 고속 랜덤 액세스 메모리를 포함할 수도 있고, 예컨대 적어도 하나의 자기 디스크 저장 디바이스, 플래시 메모리 디바이스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 또는 기타 휘발성 솔리드 스테이트 저장 디바이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310)는 단말의 제어 중심이고, 각종 인터페이스 및 회선을 이용하여 전체 단말의 각 부분을 연결시킨다. 메모리(1309)내에 저장된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및/또는 모듈을 실행 또는 수행하고, 그리고 메모리(1309)내에 저장된 데이터를 호출하여, 단말의 각종 기능을 실행하고 데이터를 처리함으로서, 단말에 대해 전반적인 모니터링을 진행한다. 프로세서(1310)는 하나 또는 복수 개의 처리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프로세서(1310)는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 및 모뎀 프로세서를 집적할 수 있으며,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는 주로 운영 체제,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애플리케이션 등을 처리하고, 모뎀 프로세서는 주로 무선 통신을 처리한다. 상술한 모뎀 프로세서는 프로세서(1310)에 집적되지 않을 수도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단말(1300)은 각각의 컴포넌트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1311)(예컨대, 배터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전원(1311)은 전원 관리 시스템을 통해 프로세서(1310)와 로직적으로 연결되어, 전원 관리 시스템을 통해 충전, 방전 관리 및 전력 소비 관리 등 기능을 실현할 수 있다.
그리고, 단말(1300)은 도시되지 않은 일부 기능 모듈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바, 여기서 더이상 상세하게 기술하지 않기로 한다.
바람직하게, 본 개시의 실시예는 단말을 더 제공한다. 상기 단말은 프로세서(1310), 메모리(1309), 메모리(1309)에 저장되어 상기 프로세서(1310)에서 실행가능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하며, 해당 컴퓨터 프로그램은 프로세서(1310)에 의해 실행될 때, 상술한 다운링크 채널의 수신 방법 실시예의 각각의 과정을 구현하며, 동일한 기술적 효과를 달성할 수 있는바, 중복되는 설명을 피하기 위해, 여기서 더이상 상세하게 기술하지 않기로 한다.
도 14은 본 개시의 각 실시예를 구현하기 위한 단말의 하드웨어 구조 예시도이며,
단말(1400)은, 무선 주파수 유닛(1401), 네트워크 모듈(1402), 오디오 출력 유닛(1403), 입력 유닛(1404), 센서(1405), 표시 유닛(1406), 사용자 입력 유닛(1407), 인터페이스 유닛(1408), 메모리(1409), 프로세서(1410), 및 전원(1411) 등 컴포넌트를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은, 도 14에 나타내는 단말 구조는 단말에 대한 한정을 구성하지 않으며, 단말은 도시된 것보다 더 많거나 더 적은 컴포넌트를 포함하거나, 또는 일부 컴포넌트들을 조합하거나, 또는 상이한 컴포넌트를 배치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단말은 휴대폰, 태블릿 PC, 노트북 컴퓨터, 팜톱 컴퓨터, 차량 탑재 단말, 웨어러블 기기, 및 보수계 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프로세서(1410)는, 다운링크 데이터 채널의 TCI 상태를 확정하기 위한 것이며, 여기서, 상기 TCI 상태는, CORESET의 TCI 상태이거나 또는 새로 확정된 TCI 상태이며, 상기 CORESET는 다운링크 제어 정보 DCI가 위치한 시간 도메인 리소스중 표식이 제일 작은 CORESET를 의미하고, 상기 DCI는 상기 다운링크 데이터 채널을 스케줄링 하기 위한 것이며;
무선 주파수 유닛(1401)은, 상기 TCI 상태에 따라 상기 다운링크 데이터 채널을 수신하기 위한 것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무선 주파수 유닛(1401)이 실행한 상기 TCI 상태에 따라 상기 다운링크 데이터 채널을 수신하는 것은:
상기 TCI 상태가 지시한 QCL 파라미터에 따라, 상기 다운링크 데이터 채널을 수신하는 것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DCI의 스케줄링 오프셋이 기설정 도어 임계치 보다 작거나 같은 경우에, 상기 TCI 상태는 상기 CORESET의 TCI 상태이며, 또한 상기 CORESET는 상기 시간 도메인 리소스중의 활성화 BWP상의 표식이 제일 작은 CORESET를 의미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DCI의 스케줄링 오프셋이 기설정 도어 임계치 보다 작거나 같은 경우에, 상기 TCI 상태는 상기 CORESET의 TCI 상태이며, 상기 CORESET의 TCI 상태는 상기 CORESET 상에서 제어 채널의 QCL을 지시하기 위한것이며, 또한 상기 CORESET는 상기 시간 도메인 리소스중 표식이 0인 CORESET를 제외한 표식이 제일 작은 CORESET를 의미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DCI의 스케줄링 오프셋이 기설정 도어 임계치 보다 작거나 같은 경우에, 상기 TCI 상태는 상기 CORESET의 TCI 상태이며, 상기 CORESET의 TCI 상태는 상기 CORESET 상에서 제어 채널의 QCL을 지시하기 위한것이며, 또한 상기 CORESET는 상기 시간 도메인 리소스중 유니캐스트(unicast) 하며 표식이 제일 작은 CORESET를 의미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DCI에 TCI 도메인이 존재하거나 또는 존재하지 않을 경우, 상기 TCI 상태는 모두 상기 CORESET의 TCI 상태이다.
선택적으로, 충돌 시간내에서 기설정되거나 또는 기지국에 의해 배치된 우선 순위 규칙에 따라, 높은 우선 순위의 TCI 상태를 사용하여 다운링크 제어 채널 또는 다운링크 데이터 채널을 수신하며;
여기서, 상기 충돌 시간은: 상기 다운링크 데이터 채널의 TCI 상태의 사용 시간과 현재 다운링크 제어 채널을 수신하는 TCI 상태의 사용 시간 사이의 중첩 시간을 포함하거나, 또는 상기 다운링크 데이터 채널의 TCI 상태의 사용 시간과 현재 다운링크 데이터 채널의 TCI 상태의 사용 시간 사이의 중첩 시간을 포함하며, 상기 현재 다운링크 제어 채널을 수신하는 TCI 상태는 상기 기지국에 의해 배치된 다운링크 제어 채널을 수신하기 위한 TCI 상태이며, 상기 현재 다운링크 데이터 채널의 TCI 상태는 상기 기지국에 의해 지시되고 이미 효력을 발생하는 다운링크 데이터 채널의 TCI 상태를 의미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기설정되거나 또는 상기 기지국에 의해 배치된 우선 순위 규칙은 다음 규칙 중 적어도 한 항을 포함하며, 구체적으로:
상기 현재 다운링크 제어 채널의 TCI 상태의 우선 순위가 상기 다운링크 데이터 채널의 TCI 상태 보다 높은 것;
상기 현재 다운링크 제어 채널을 수신하는 TCI 상태의 우선 순위가 상기 다운링크 데이터 채널의 TCI 상태 보다 낮은 것;
상기 현재 다운링크 데이터 채널의 TCI 상태의 우선 순위가 상기 다운링크 데이터 채널의 TCI 상태 보다 높은 것; 및
상기 현재 다운링크 데이터 채널의 TCI 상태의 우선 순위가 상기 다운링크 데이터 채널의 TCI 상태 보다 낮은 것; 중 적어도 한 항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충돌 시간내에서 기설정되거나 또는 기지국에 의해 배치된 규칙에 따라 다운링크 데이터 채널 및 다운링크 참조 신호중 적어도 한 항을 수신하며;
여기서, 상기 충돌 시간은: 상기 다운링크 데이터 채널의 TCI 상태의 사용 시간과 상기 다운링크 참조 신호의 TCI 상태의 사용 시간 사이의 중첩 시간을 포함하고, 상기 다운링크 참조 신호의 TCI 상태는 상기 기지국에 의해 배치되거나 또는 지시된 다운링크 참조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TCI 상태를 의미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다운링크 참조 신호는: 채널 상태 정보 참조 신호 CSI-RS 및 동기화 신호 블록 SSB중 적어도 한 항을 포함하며;
상기 다운링크 데이터 채널의 TCI 상태는 상기 다운링크 데이터 채널의 공간 QCL 파라미터의 수신을 지시하거나; 또는 상기 다운링크 참조 신호의 TCI 상태는 상기 다운링크 참조 신호의 공간 QCL 파라미터의 수신을 지시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기설정되거나 또는 기지국에 의해 배치된 규칙은:
상기 충돌 시간내에서, 상기 기지국에 의해 배치되거나 또는 지시된 다운링크 참조 신호를 수신 하기 위한 TCI 상태와 상기 다운링크 데이터 채널의 TCI 상태는 동일하거나; 또는
상기 충돌 시간내에서, 상기 기지국에 의해 배치되거나 또는 지시된 다운링크 참조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TCI 상태를 사용하여 상기 다운링크 데이터 채널을 수신하는 것;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다운링크 채널의 TCI 상태를 확정하기 전에, 무선 주파수 유닛(1401)은 또한:
상기 기지국에서 표식이 0인 CORESET를 위해 배치, 활성화 및 지시 중 적어도 한 항에 의해 확정된 TCI 상태를 획득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TCI 상태는 적어도 상기 표식이 0인 CORESET와 QCI 관계가 존재하는 동기화 신호 블록 SSB의 인덱스를 지시하기 위해 사용되며, 또한 상기 새로 확정된 TCI 상태는 상기 적어도 한 항에 의해 확정된 TCI 상태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DCI의 스케줄링 오프셋이 기설정 도어 임계치 보다 작거나 같은 경우에, 상기 다운링크 데이터 채널의 TCI 상태는 상기 새로 확정된 TCI 상태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배치는 라디오 리소스 제어 RRC 시그널링을 사용하여 배치된다는 것을 의미하고;
상기 활성화는 매체 액세스 제어의 제어 유닛 MAC CE를 사용하여 RRC 시그널링에 의해 배치된 복수 개의 TCI 상태 중 하나의 TCI 상태를 활성화한다는 것을 의미하며;
상기 지시는 MAC CE 또는 물리층 제어 시그널링을 사용하여 지시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상술한 단말은 데이터 송신의 신뢰성 및 정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해해야 할 것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무선 주파수 유닛(1401)은 정보 송수신 또는 통화 과정에서, 신호를 수신 및 송신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기지국으로부터의 다운링크 데이터를 수신한 후, 프로세서(1410)에 의해 처리되도록 하고; 그리고, 업링크 데이터를 기지국으로 송신한다. 통상적으로, 무선 주파수 유닛(1401)은 안테나, 적어도 하나의 증폭기, 송수신기, 커플러, 저잡음 증폭기, 듀플렉서 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무선 주파수 유닛(1401)은 또한, 무선 통신 시스템을 통해 네트워크 및 기타 기기와 통신할 수 있다.
단말은 네트워크 모듈(1402)을 통해 사용자에게 무선 광대역 인터넷 액세스를 제공하는바, 예컨대, 사용자를 도와 이메일 송수신, 웹 페이지 브라우징 및 스트리밍 미디어 액세스 등을 수행한다.
오디오 출력 유닛(1403)은 무선 주파수 유닛(1401) 또는 네트워크 모듈(1402)이 수신한 또는 메모리(1409)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오디오 신호로 변환시켜 소리로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오디오 출력 유닛(1403)은 또한, 단말(1400)이 수행하는 특정 기능과 관련된 오디오 출력(예컨대, 콜 신호 수신 소리, 메시지 수신 소리 등)을 제공할 수 있다. 오디오 출력 유닛(1403)은 스피커, 버저 및 수화기 등을 포함한다.
입력 유닛(1404)은 오디오 또는 비디오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것이다. 입력 유닛(1404)은 그래픽 프로세서(Graphics Processing Unit, GPU, 14041) 및 마이크(14042)를 포함할 수 있다. 그래픽 프로세서(14041)는 비디오 캡쳐 모드 또는 이미지 캡쳐 모드에서 이미지 캡쳐 장치(예컨대, 카메라)에 의해 획득된 스틸 사진 또는 비디오 이미지 데이터를 처리한다. 처리된 이미지 프레임은 표시 유닛(1406) 상에 표시될 수 있다. 그래픽 프로세서(14041)에 의한 처리를 거친 후의 이미지 프레임은 메모리(1409)(또는 기타 저장 매체)에 저장되거나 또는 무선 주파수 유닛(1401) 또는 네트워크 모듈(1402)을 경유하여 송신된다. 마이크(14042)는 소리를 수신할 수 있으며, 이러한 소리를 오디오 데이터로 처리할 수 있다. 처리된 오디오 데이터는 전화 통화 모드의 경우에 있어서 무선 주파수 유닛(1401)을 경유하여 이동 통신 기지국으로 송신가능한 포맷으로 전환되어 출력될 수 있다.
단말(1400)은, 예컨대 광 센서, 운동 센서 및 기타 센서와 같은 적어도 한 가지 센서(1405)를 더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광 센서는 환경광 센서 및 근접 센서를 포함한다. 환경광 센서는 환경 광선의 명도에 따라 표시 패널(14061)의 휘도를 조절할 수 있고, 근접 센서는 단말(1400)이 귓가로 이동했을 때, 표시 패널(14061) 및/또는 백라이트를 턴 오프할 수 있다. 운동 센서의 일종으로서, 가속도계 센서는 각각의 방향에서의(통상적으로, 3 축) 가속도의 크기를 검출할 수 있고, 정지 시, 중력의 크기 및 방향을 검출할 수 있으며, 단말 자태(예컨대, 가로 및 세로 스크린 스위칭, 관련 게임, 자기력계 자세 교정), 진동 식별 관련 기능 (예컨대, 보수계, 태핑) 등을 식별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센서(1405)는 지문 센서, 압력 센서, 홍채 센서, 분자 센서, 자이로스코프, 기압계, 습도계, 온도계, 적외선 센서 등을 더 포함하는바, 여기서 더이상 상세하게 기술하지 않기로 한다.
표시 유닛(1406)은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정보 또는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것이다. 표시 유닛(1406)은 표시 패널(14061)을 포함할 수 있으며,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등의 형태로 표시 패널(14061)을 구성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 유닛(1407)은 입력된 숫자 또는 문자 부호 정보를 수신하고, 단말의 사용자 설정 및 기능 제어와 관련된 키 신호 입력을 산생시키기 위한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입력 유닛(1407)은 터치 패널(14071) 및 기타 입력 기기(14072)를 포함한다. 터치 패널(14071)은, 터치 스크린으로 칭하기도 하며, 사용자가 터치 패널 상 또는 부근에서의 터치 조작(예컨대, 사용자가 손가락, 스타일러스 등 임의의 적합한 물체 또는 액세서리로 터치 패널(14071) 상 또는 터치 패널(14071) 부근에서의 조작)을 수집할 수 있다. 터치 패널(14071)은 터치 검출 장치 및 터치 제어기 두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터치 검출 장치는 사용자의 터치 방위를 검출하고, 터치 조작에 따른 신호를 검출하고, 신호를 터치 제어기로 송신하며; 터치 제어기는 터치 검출 장치로부터 터치 정보를 수신하여, 접점 좌표로 전환시킨 후에 프로세서(1410)로 보내고, 프로세서(1410)가 보낸 명령을 수신하여 실행한다. 또한, 저항식, 정전용량식, 적외선 및 표면탄성파 등 다양한 유형으로 터치 패널(14071)을 구현할 수 있다. 터치 패널(14071)외에, 사용자 입력 유닛(1407)은 기타 입력 기기(1407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기타 입력 기기(14072)는 물리 키보드, 기능키(예컨대, 음량 제어 키버튼, 전원 스위치 버튼 등), 트랙볼, 마우스 및 조이스틱을 더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바, 여기서 더이상 상세하게 기술하지 않기로 한다.
진일보하여, 터치 패널(14071)은 표시 패널(14061)을 커버할 수 있으며, 터치 패널(14071)은 터치 패널(14071) 상 또는 부근의 터치 조작을 검출한 후, 프로세서(1410)에 송신하여 터치 이벤트의 유형을 확정하도록 하고, 그 후, 프로세서(1410)는 터치 이벤트의 유형에 따라 표시 패널(14061) 상에 상응하는 시각적 출력을 제공한다. 도 14에서 터치 패널(14071)과 표시 패널(14061)이 독립된 두 컴포넌트로서 단말의 입력 및 출력 기능을 구현하고 있으나, 몇몇 실시예들에서, 터치 패널(14071)과 표시 패널(14061)을 집적하여 단말의 입력 및 출력 기능을 구현할 수 있는바, 여기서 구체적으로 한정하지 않기로 한다.
인터페이스 유닛(1408)은 외부 장치가 단말(1400)에 연결되는 인터페이스이다. 예컨대, 외부 장치는 유선 또는 무선 헤드셋 포트, 외부 전원(또는 배터리 충전기) 포트, 유선 또는 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 포트, 식별 모듈을 갖는 장치를 연결하기 위한 포트, 오디오 입력/출력(I/O) 포트, 비디오 I/O 포트, 헤드폰 포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 유닛(1408)은 외부 장치로부터의 입력(예컨대, 데이터 정보, 전력 등)을 수신하고, 수신된 입력을 단말(1400)내의 하나 또는 복수 개의 소자에 송신하기 위한 것 또는 단말(1400)과 외부 장치 사이에서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메모리(1409)는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및 각종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메모리(1409)는 주로 저장 프로그램 영역 및 저장 데이터 영역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저장 프로그램 영역은 운영 체제, 적어도 하나의 기능에 필요한 애플리케이션(예컨대, 소리 재생 기능, 이미지 재생 기능 등) 등을 저장할 수 있으며; 저장 데이터 영역은 휴대폰의 사용에 따라 작성된 데이터(예컨대, 오디오 데이터, 전화 번호부 등) 등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1409)는 고속 랜덤 액세스 메모리를 포함할 수도 있고, 예컨대 적어도 하나의 자기 디스크 저장 디바이스, 플래시 메모리 디바이스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 또는 기타 휘발성 솔리드 스테이트 저장 디바이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410)는 단말의 제어 중심이고, 각종 인터페이스 및 회선을 이용하여 전체 단말의 각 부분을 연결시킨다. 메모리(1409)내에 저장된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및/또는 모듈을 실행 또는 수행하고, 그리고 메모리(1409)내에 저장된 데이터를 호출하여, 단말의 각종 기능을 실행하고 데이터를 처리함으로서, 단말에 대해 전반적인 모니터링을 진행한다. 프로세서(1410)는 하나 또는 복수 개의 처리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프로세서(1410)는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 및 모뎀 프로세서를 집적할 수 있으며,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는 주로 운영 체제,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애플리케이션 등을 처리하고, 모뎀 프로세서는 주로 무선 통신을 처리한다. 상술한 모뎀 프로세서는 프로세서(1410)에 집적되지 않을 수도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단말(1400)은 각각의 컴포넌트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1411)(예컨대, 배터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전원(1411)은 전원 관리 시스템을 통해 프로세서(1410)와 로직적으로 연결되어, 전원 관리 시스템을 통해 충전, 방전 관리 및 전력 소비 관리 등 기능을 실현할 수 있다.
그리고, 단말(1400)은 도시되지 않은 일부 기능 모듈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바, 여기서 더이상 상세하게 기술하지 않기로 한다.
바람직하게, 본 개시의 실시예는 단말을 더 제공한다. 상기 단말은 프로세서(1410), 메모리(1409), 메모리(1409)에 저장되어 상기 프로세서(1410)에서 실행가능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하며, 해당 컴퓨터 프로그램은 프로세서(1410)에 의해 실행될 때, 상술한 다운링크 채널의 수신 방법 실시예의 각각의 과정을 구현하며, 동일한 기술적 효과를 달성할 수 있는바, 중복되는 설명을 피하기 위해, 여기서 더이상 상세하게 기술하지 않기로 한다.
도 15를 참조하면, 도 15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제공한 또 다른 기지국의 구조도이며, 도 15에서 도시하다 시피, 상기 기지국(1500)은: 프로세서(1501), 송수신기(1502), 메모리(1503) 및 버스 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
그 중, 프로세서(1501)은, 다운링크 제어 채널의 TCI 상태를 확정하기 위한 것이고, 여기서, 상기 TCI 상태는 상기 기지국이 최근 1회에 오리지널 BWP 상에서 사용한 CORESET의 TCI 상태이며, 상기 다운링크 제어 채널은 상기 오리지널 BWP의 CORESET 상에서 송신하며;
송수신기(1502)는, 상기 TCI 상태에 따라 상기 다운링크 제어 채널을 송신하기 위한 것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기지국에서 상기 오리지널 BWP의 CORESET를 위해 제2 TCI 상태를 재 배치, 재 활성화 또는 재 지시 하기 전에, 상기 기지국은 상기 오리지널 BWP 상에서 모두 상기 제1 TCI 상태를 사용한다.
상술한 기지국은 데이터 송신의 신뢰성 및 정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여기서, 송수신기(1502)는, 프로세서(1501)의 제어하에 테이터를 수신 및 송신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송수신기(1502)는 적어도 두개의 안테나 포트를 포함한다.
도 15에서 도시하다 시피, 버스 아키텍처는 임의의 수량의 서로 연결된 버스와 브릿지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버스는 프로세서(1501)에 의해 대표되는 하나 또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와 메모리(1503)에 의해 대표되는 메모리의 각종 회로를 함께 연결한다. 버스 아키텍처는 또한 주변 기기, 전압 안정기 및 파워 관리 회로 등과 같은 각종 기타 회로를 함께 연결할 수 있는데, 이들은 모두 해당 기술분야에 공지된 것이므로, 본문에서는 더이상 이에 대해 진일보하여 기술하지 않기로 한다. 버스 인터페이스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송수신기(1502)는 복수 개의 소자일 수 있는바, 수신기 및 송신기를 포함하여, 송신 매체 상에서 각종 기타 장치와 통신하기 위한 유닛을 제공한다. 상이한 사용자 기기에 따라,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또한 외접하거나 내접 할때 필요한 기기의 인테페이스일 수 있으며, 접속된 기기는, 키패드, 모니터, 스피커, 마이크로폰, 조이스틱 등을 포함한다.
프로세서(1501)는 버스 아키텍처 및 일반적인 처리를 책임지고 관리하며, 메모리(1503)는 프로세서(1501)가 동작을 수행할 때 사용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또한 기지국을 제공하며, 프로세서(1501), 메모리(1503), 및 상기 메모리(1503)에 저장되고 상기 프로세서(1501)에서 실행될 수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하며,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이 프로세서(1501)에 의해 수행될 때, 상술한 다운링크 채널의 송신 방법 실시예의 각 과정을 구현할 수 있으며, 동일한 기술적 효과를 달성할 수 있으며, 중복 설명을 회피하기 위하여, 여기서 더이상 상세하게 기술하지 않기로 한다.
도 16을 참조하면, 도 16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제공한 또 다른 기지국의 구조도이다. 도 16에서 도시하다 시피, 상기 기지국(1600)은: 프로세서(1601), 송수신기(1602), 메모리(1603) 및 버스 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
그 중, 프로세서(1601)는 다운링크 데이터 채널의 TCI 상태를 확정하기 위한 것이며, 여기서, 상기 TCI 상태는, CORESET의 TCI 상태이거나 또는 새로 확정된 TCI 상태이며, 상기 CORESET는 다운링크 제어 정보 DCI가 위치한 시간 도메인 리소스중 표식이 제일 작은 CORESET를 의미하고, 상기 DCI는 상기 다운링크 데이터 채널을 스케줄링 하기 위한 것이며;
송수신기(1602)는, 상기 TCI 상태에 따라 상기 다운링크 데이터 채널을 송신하기 위한 것이다.
선택적으로, 송수신기(1602)가 상기 TCI 상태에 따라 상기 다운링크 데이터 채널을 송신하는 것은:
상기 TCI 상태가 지시한 공간 QCL 파라미터에 따라 상기 다운링크 데이터 채널을 송신하는 것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DCI의 스케줄링 오프셋이 기설정 도어 임계치 보다 작거나 같은 경우에, 상기 TCI 상태는 상기 CORESET의 TCI 상태이며, 또한 상기 CORESET는 상기 시간 도메인 리소스중의 활성화 BWP상의 표식이 제일 작은 CORESET를 의미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DCI의 스케줄링 오프셋이 기설정 도어 임계치 보다 작거나 같은 경우에, 상기 TCI 상태는 상기 CORESET의 TCI 상태이며, 상기 CORESET의 TCI 상태는 상기 CORESET 상에서 제어 채널의 QCL을 지시하기 위한것이며, 또한 상기 CORESET는 상기 시간 도메인 리소스중 표식이 0인 CORESET를 제외한 표식이 제일 작은 CORESET를 의미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DCI의 스케줄링 오프셋이 기설정 도어 임계치 보다 작거나 같은 경우에, 상기 TCI 상태는 상기 CORESET의 TCI 상태이며, 상기 CORESET의 TCI 상태는 상기 CORESET 상에서 제어 채널의 QCL을 지시하기 위한것이며, 또한 상기 CORESET는 상기 시간 도메인 리소스중 유니캐스트(unicast) 하며 표식이 제일 작은 CORESET를 의미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DCI에 TCI 도메인이 존재하거나 또는 존재하지 않을 경우, 상기 TCI 상태는 모두 상기 CORESET의 TCI 상태이다.
선택적으로, 충돌 시간내에서 기설정되거나 또는 기지국에 의해 배치된 우선 순위 규칙에 따라, 높은 우선 순위의 TCI 상태를 사용하여 다운링크 제어 채널 또는 다운링크 데이터 채널을 수신하며;
여기서, 상기 충돌 시간은: 상기 다운링크 데이터 채널의 TCI 상태의 사용 시간과 현재 다운링크 제어 채널의 TCI 상태의 사용 시간 사이의 중첩 시간을 포함하거나, 또는 상기 다운링크 데이터 채널의 TCI 상태의 사용 시간과 현재 다운링크 데이터 채널의 TCI 상태의 사용 시간 사이의 중첩 시간을 포함하며, 상기 현재 다운링크 제어 채널의 TCI 상태는 상기 기지국에 의해 배치된 다운링크 제어 채널을 송신하기 위한 TCI 상태이며, 상기 현재 다운링크 데이터 채널의 TCI 상태는 상기 기지국에 의해 지시되고 이미 효력을 발생하는 다운링크 데이터 채널의 TCI 상태를 의미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기설정되거나 또는 상기 기지국에 의해 배치된 우선 순위 규칙은 다음 규칙 중 적어도 한 항을 포함하며, 구체적으로:
상기 현재 다운링크 제어 채널의 TCI 상태의 우선 순위가 상기 다운링크 데이터 채널의 TCI 상태 보다 높은 것;
상기 현재 다운링크 제어 채널의 TCI 상태의 우선 순위가 상기 다운링크 데이터 채널의 TCI 상태 보다 낮은 것;
상기 현재 다운링크 데이터 채널의 TCI 상태의 우선 순위가 상기 다운링크 데이터 채널의 TCI 상태 보다 높은 것; 및
상기 현재 다운링크 데이터 채널의 TCI 상태의 우선 순위가 상기 다운링크 데이터 채널의 TCI 상태 보다 낮은 것;중 적어도 한 항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충돌 시간내에서 기설정되거나 또는 기지국에 의해 배치된 규칙에 따라 다운링크 데이터 채널 및 다운링크 참조 신호중 적어도 한 항을 송신하며;
여기서, 상기 충돌 시간은: 상기 다운링크 데이터 채널의 TCI 상태의 사용 시간과 상기 다운링크 참조 신호의 TCI 상태의 사용 시간 사이의 중첩 시간을 포함하고, 상기 다운링크 참조 신호의 TCI 상태는 상기 기지국에 의해 배치되거나 또는 지시된 다운링크 참조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TCI 상태를 의미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다운링크 참조 신호는: 채널 상태 정보 참조 신호 CSI-RS 및 동기화 신호 블록 SSB중 적어도 한 항을 포함하며;
상기 다운링크 데이터 채널의 TCI 상태는 상기 다운링크 데이터 채널의 공간 QCL 파라미터의 송신을 지시하거나; 또는 상기 다운링크 참조 신호의 TCI 상태는 상기 다운링크 참조 신호의 공간 QCL 파라미터의 송신을 지시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기설정되거나 또는 기지국에 의해 배치된 규칙은:
상기 충돌 시간내에서, 상기 기지국에 의해 배치되거나 또는 지시된 다운링크 참조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TCI 상태와 상기 다운링크 데이터 채널의 TCI 상태는 동일하거나; 또는
상기 충돌 시간내에서, 상기 기지국에 의해 배치되거나 또는 지시된 다운링크 참조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TCI 상태를 사용하여 상기 다운링크 데이터 채널을 송신하는 것;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다운링크 데이터 채널의 TCI 상태를 확정하기 전에, 송수신기(1602)은 또한:
배치, 활성화 및 지시 중 적어도 한 항을 통해 상기 단말을 위해 표식이 0인 CORESET의 TCI 상태를 확정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TCI 상태는 적어도 상기 표식이 0인 CORESET와 QCI 관계가 존재하는 동기화 신호 블록SSB의 인덱스를 지시하기 위해 사용되며, 또한 상기 새로 확정된 TCI 상태는 상기 적어도 한 항에 의해 확정된 TCI 상태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DCI의 스케줄링 오프셋이 기설정 도어 임계치 보다 작거나 같은 경우에, 상기 다운링크 데이터 채널의 TCI 상태는 상기 새로 확정된 TCI 상태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배치는 RRC 시그널링을 사용하여 배치된다는 것을 의미하고;
상기 활성화는 매체 액세스 제어의 제어 유닛 MAC CE를 사용하여 RRC 시그널링에 의해 배치된 복수 개의 TCI 상태 중 하나의 TCI 상태를 활성화한다는 것을 의미하며;
상기 지시는 MAC CE 또는 물리층 제어 시그널링을 사용하여 지시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상술한 기지국은 데이터 송신의 신뢰성 및 정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여기서, 송수신기(1602)는, 프로세서(1601)의 제어하에 테이터를 수신 및 송신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송수신기(1602)는 적어도 두개의 안테나 포트를 포함한다.
도 16에서 도시하다 시피, 버스 아키텍처는 임의의 수량의 서로 연결된 버스와 브릿지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버스는 프로세서(1601)에 의해 대표되는 하나 또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와 메모리(1603)에 의해 대표되는 메모리의 각종 회로를 함께 연결한다. 버스 아키텍처는 또한 주변 기기, 전압 안정기 및 파워 관리 회로 등과 같은 각종 기타 회로를 함께 연결할 수 있는데, 이들은 모두 해당 기술분야에 공지된 것이므로, 본문에서는 더이상 이에 대해 진일보하여 기술하지 않기로 한다. 버스 인터페이스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송수신기(1602)는 복수 개의 소자일 수 있는바, 수신기 및 송신기를 포함하여, 송신 매체 상에서 각종 기타 장치와 통신하기 위한 유닛을 제공한다. 상이한 사용자 기기에 따라,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또한 외접하거나 내접 할때 필요한 기기의 인테페이스일 수 있으며, 접속된 기기는, 키패드, 모니터, 스피커, 마이크로폰, 조이스틱 등을 포함한다.
프로세서(1601)는 버스 아키텍처 및 일반적인 처리를 책임지고 관리하며, 메모리(1603)는 프로세서(1601)가 동작을 수행할 때 사용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또한 기지국을 제공하며, 프로세서(1601), 메모리(1603), 및 상기 메모리(1603)에 저장되고 상기 프로세서(1601)에서 실행될 수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하며,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이 프로세서(1501)에 의해 수행될 때, 상술한 다운링크 채널의 송신 방법 실시예의 각 과정을 구현할 수 있으며, 동일한 기술적 효과를 달성할 수만 있으며, 중복 설명을 회피하기 위하여, 여기서 더이상 상세하게 기술하지 않기로 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를 더 제공한다. 상기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에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으며, 해당 컴퓨터 프로그램은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제공한 각종 다운링크 채널의 수신 방법 실시예의 각 과정을 구현하거나, 또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제공한 각종 다운링크 채널의 송신 방법 실시예의 각 과정을 구현하며, 동일한 기술적 효과를 달성할 수 있는바, 중복되는 설명을 피하기 위해, 여기서 더이상 상세하게 기술하지 않기로 한다. 상기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는, 예컨대 읽기 전용 메모리(Read-Only Memory, ROM), 랜덤 액세스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RAM), 자기 디스크 또는 광 디스크 등 이다.
설명해야 할 것은, 본 명세서에서, 용어 '포함', '내포' 또는 기타 임의의 변체는 비배타적인 포함을 포괄하여, 일련의 요소를 포함하는 과정, 방법, 물품 또는 장치가 그런 요소들만을 포함하는 것이 아니라, 명시적으로 열거되지 않은 기타 요소들을 더 포함하거나, 또는 이러한 과정, 방법, 물품 또는 장치에 고유한 요소들을 더 포함하도록 할 것을 의도한다. 진일보한 한정이 없는 경우에 있어서, 어구 '하나의 ??를 포함'에 의해 한정되는 요소는, 당해 요소를 포함하는 과정, 방법, 물품 또는 장치에 다른 동일한 요소가 존재함을 배제하지 않는다.
상기한 실시방식의 설명을 통해,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은, 상술한 실시예 방법이 소프트웨어 플러스 필수적 범용 하드웨어 플랫폼의 방식에 의해 구현될 수 있으며, 물론 하드웨어를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나, 전자가 더 바람직한 실시방식인 경우가 많다는 것을 잘 이해할 수 있다. 이러한 이해를 토대로, 본 개시에 따른 기술방안의 본질적 또는 관련 기술에 기여하는 부분은 소프트웨어 제품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해당 컴퓨터 소프트웨어 제품은 하나의 저장 매체(예컨대, ROM/RAM, 자기 디스크, 광 디스크)에 저장되고, 몇몇 명령들을 포함하여 하나의 단말(휴대폰, 컴퓨터, 서버, 에어컨, 또는 네트워크 기기 등일 수 있음)이 본 개시의 각각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도록 한다.
위에서 도면을 결부시켜 본 개시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개시는 상술한 구체적인 실시방식에 국한되지 않으며, 상술한 구체적인 실시형태는 단지 예시적인 것이지, 한정적인 것이 아니며,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은 본 개시의 계시하에 본 개시의 취지와 특허청구범위를 일탈하지 않고 다양한 형태를 더 실시할 수 있으며, 그러한 형태들은 모두 본 개시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40)

  1. 단말에 적용되는 다운링크 채널의 수신 방법에 있어서,
    다운링크 제어 채널의 송신 배치 지시 TCI 상태를 확정하고, 여기서, 상기 단말이 오리지널 대역폭 부분BWP로 스위칭 백되었을 때, 상기 TCI 상태는, 상기 단말이 최근 1회에 상기 오리지널 BWP 상에서 사용한 제어 리소스 세트 CORESET의 TCI 상태이며, 상기 다운링크 제어 채널은 상기 오리지널 BWP의 CORESET 상에서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TCI 상태에 따라 상기 다운링크 제어 채널을 수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운링크 채널의 수신 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다운링크 제어 채널의 송신 배치 지시 TCI 상태를 확정하기 전에, 상기 방법은:
    기지국에서 상기 오리지널 BWP의 CORESET을 위해 배치한 제1 TCI 상태에 따라, 상기 오리지널 BWP 상에서 수신을 수행하는 단계;
    기타 BWP로 스위칭 하고, 상기 기지국에서 상기 기타 BWP의 CORESET을 위해 배치한 TCI상태에 따라, 상기 기타 BWP 상에서 수신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기타 BWP로부터 상기 오리지널 BWP로 스위칭 백되고, 여기서, 상기 최근 1회에 상기 오리지널 BWP 상에서 사용한 CORESET의 TCI 상태는 상기 제1 TCI 상태인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운링크 채널의 수신 방법.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에서 상기 오리지널 BWP의 CORESET를 위해 제2 TCI 상태를 재 배치, 재 활성화 또는 재 지시 하기 전에, 상기 단말은 상기 오리지널 BWP 상에서 모두 상기 제1 TCI 상태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운링크 채널의 수신 방법.
  4. 단말에 적용되는 다운링크 채널의 수신 방법에 있어서,
    다운링크 데이터 채널의 TCI 상태를 확정하고, 여기서, 상기 TCI 상태는 CORESET의 TCI 상태이거나 또는 새로 확정된 TCI 상태이며, 상기 CORESET는 다운링크 제어 정보 DCI가 위치한 시간 도메인 리소스중 표식이 제일 작은 CORESET를 의미하고, 상기 DCI는 상기 다운링크 데이터 채널을 스케줄링 하기 위한 것인 단계; 및
    상기 TCI 상태에 따라 상기 다운링크 데이터 채널을 수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운링크 채널의 수신 방법.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TCI 상태에 따라 상기 다운링크 데이터 채널을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TCI 상태가 지시한 공간 QCL 파라미터에 따라 상기 다운링크 데이터 채널을 수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운링크 채널의 수신 방법.
  6.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DCI의 스케줄링 오프셋이 기설정 도어 임계치 보다 작거나 같은 경우에, 상기 TCI 상태는 상기 CORESET의 TCI 상태이며, 또한 상기 CORESET는 상기 시간 도메인 리소스중 활성화 BWP에서 표식이 제일 작은 CORESET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운링크 채널의 수신 방법.
  7.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DCI의 스케줄링 오프셋이 기설정 도어 임계치 보다 작거나 같은 경우에, 상기 TCI 상태는 상기 CORESET의 TCI 상태이며, 상기 CORESET의 TCI 상태는 상기 CORESET 상에서 제어 채널의 QCL을 지시하기 위한 것이며, 또한 상기 CORESET는 상기 시간 도메인 리소스중 표식이 0인 CORESET를 제외한 표식이 제일 작은 CORESET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운링크 채널의 수신 방법.
  8.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DCI의 스케줄링 오프셋이 기설정 도어 임계치 보다 작거나 같은 경우에, 상기 TCI 상태는 상기 CORESET의 TCI 상태이며, 상기 CORESET의 TCI 상태는 상기 CORESET 상에서 제어 채널의 QCL을 지시하기 위한 것이며, 또한 상기 CORESET는 상기 시간 도메인 리소스중 유니캐스트(unicast)하며 표식이 제일 작은 CORESET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운링크 채널의 수신 방법.
  9. 제6 항 또는 제7 항 또는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DCI에 TCI 도메인이 존재하거나 또는 존재하지 않을 경우, 상기 TCI 상태는 모두 상기 CORESET의 TCI 상태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운링크 채널의 수신 방법.
  10. 제4 항에 있어서,
    충돌 시간내에서 기설정되거나 또는 기지국에 의해 배치된 우선 순위 규칙에 따라, 높은 우선 순위의 TCI 상태를 사용하여 다운링크 제어 채널 또는 다운링크 데이터 채널을 수신하며;
    여기서, 상기 충돌 시간은: 상기 다운링크 데이터 채널의 TCI 상태의 사용 시간과 현재 다운링크 제어 채널을 수신하는 TCI 상태의 사용 시간 사이의 중첩 시간을 포함하거나, 또는 상기 다운링크 데이터 채널의 TCI 상태의 사용 시간과 현재 다운링크 데이터 채널의 TCI 상태의 사용 시간 사이의 중첩 시간을 포함하며, 상기 현재 다운링크 제어 채널을 수신하는 TCI 상태는 상기 기지국에 의해 배치된 다운링크 제어 채널을 수신하기 위한 TCI 상태이며, 상기 현재 다운링크 데이터 채널의 TCI 상태는 상기 기지국에 의해 지시되고 이미 효력을 발생하는 다운링크 데이터 채널의 TCI 상태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운링크 채널의 수신 방법.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기설정되거나 또는 상기 기지국에 의해 배치된 우선 순위 규칙은 다음 규칙 중 적어도 한 항을 포함하며, 상기 규칙은:
    상기 현재 다운링크 제어 채널을 수신하는 TCI 상태의 우선 순위가 상기 다운링크 데이터 채널의 TCI 상태 보다 높은 것;
    상기 현재 다운링크 제어 채널을 수신하는 TCI 상태의 우선 순위가 상기 다운링크 데이터 채널의 TCI 상태 보다 낮은 것;
    상기 현재 다운링크 데이터 채널의 TCI 상태의 우선 순위가 상기 다운링크 데이터 채널의 TCI 상태 보다 높은 것; 및
    상기 현재 다운링크 데이터 채널의 TCI 상태의 우선 순위가 상기 다운링크 데이터 채널의 TCI 상태 보다 낮은 것; 중 적어도 한 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운링크 채널의 수신 방법.
  12. 제4 항에 있어서,
    충돌 시간내에서 기설정되거나 또는 기지국에 의해 배치된 규칙에 따라 다운링크 데이터 채널 및 다운링크 참조 신호중 적어도 한 항을 수신하되;
    여기서, 상기 충돌 시간은: 상기 다운링크 데이터 채널의 TCI 상태의 사용 시간과 상기 다운링크 참조 신호의 TCI 상태의 사용 시간 사이의 중첩 시간을 포함하고, 상기 다운링크 참조 신호의 TCI 상태는 상기 기지국에 의해 배치되거나 또는 지시된 다운링크 참조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TCI 상태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운링크 채널의 수신 방법.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다운링크 참조 신호는: 채널 상태 정보 참조 신호 CSI-RS 및 동기화 신호 블록 SSB 중 적어도 한 항을 포함하며;
    상기 다운링크 데이터 채널의 TCI 상태는 상기 다운링크 데이터 채널의 공간 QCL 파라미터의 수신을 지시하거나; 상기 다운링크 참조 신호의 TCI 상태는 상기 다운링크 참조 신호의 공간 QCL 파라미터의 수신을 지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운링크 채널의 수신 방법.
  14.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기설정되거나 또는 기지국에 의해 배치된 규칙은:
    상기 충돌 시간내에서, 상기 기지국에 의해 배치된 또는 지시된 다운링크 참조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TCI 상태와 상기 다운링크 데이터 채널의 TCI 상태는 동일하거나; 또는
    상기 충돌 시간내에서, 상기 기지국에 의해 배치된 또는 지시된 다운링크 참조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TCI 상태를 사용하여 상기 다운링크 데이터 채널을 수신하는 것;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운링크 채널의 수신 방법.
  1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다운링크 데이터 채널의 TCI 상태를 확정하기 전에, 상기 방법은:
    기지국에서 표식이 0인 CORESET를 위해 배치, 활성화 및 지시 중 적어도 한 항에 의해 확정된 TCI 상태를 획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TCI 상태는, 적어도 상기 표식이 0인 CORESET와 QCI 관계가 존재하는 SSB의 인덱스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며, 또한, 상기 새로 확정된 TCI 상태는 상기 적어도 한 항에 의해 확정된 TCI 상태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다운링크 채널의 수신 방법.
  16.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DCI의 스케줄링 오프셋이 기설정 도어 임계치 보다 작거나 같은 경우에, 상기 다운링크 데이터 채널의 TCI 상태는 상기 새로 확정된 TCI 상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운링크 채널의 수신 방법.
  17.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배치는 RRC 시그널링을 사용하여 배치된다는 것을 의미하며;
    상기 활성화는 MAC CE를 사용하여 RRC 시그널링에 의해 배치된 복수 개의 TCI 상태 중 하나의 TCI 상태를 활성화한다는 것을 의미하며;
    상기 지시는 MAC CE 또는 물리층 제어 시그널링을 사용하여 지시한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다운링크 채널의 수신 방법.
  18. 기지국에 적용되는 다운링크 채널의 송신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다운링크 제어 채널의 TCI 상태를 확정하고, 여기서 상기 TCI 상태는 상기 기지국이 최근 1회에 오리지널 BWP 상에서 사용한 CORESET의 TCI 상태이며, 상기 다운링크 제어 채널은 상기 오리지널 BWP의 CORESET 상에서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TCI 상태에 따라 상기 다운링크 제어 채널을 송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운링크 채널의 송신 방법.
  19. 제18 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에서 상기 오리지널 BWP의 CORESET를 위해 제2 TCI 상태를 재 배치, 재 활성화 또는 재 지시 하기 전에, 상기 기지국은 상기 오리지널 BWP 상에서 모두 제1 TCI 상태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운링크 채널의 송신 방법.
  20. 기지국에 적용되는 다운링크 채널의 송신 방법에 있어서,
    다운링크 데이터 채널의 TCI 상태를 확정하는 단계 - 상기 TCI 상태는 CORESET의 TCI 상태이거나 또는 새로 확정된 TCI 상태이며, 상기 CORESET는 DCI가 위치한 시간 도메인 리소스중 표식이 제일 작은 CORESET이고, 상기 DCI는 상기 다운링크 데이터 채널을 스케줄링 하기 위한 것임 -; 및
    상기 TCI 상태에 따라 상기 다운링크 데이터 채널을 송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운링크 채널의 송신 방법.
  21. 제20 항에 있어서,
    상기 TCI 상태에 따라 상기 다운링크 데이터 채널을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TCI 상태가 지시한 공간 QCL 파라미터에 따라 상기 다운링크 데이터 채널을 송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운링크 채널의 송신 방법.
  22. 제20 항에 있어서,
    상기 DCI의 스케줄링 오프셋이 기설정 도어 임계치 보다 작거나 같은 경우에, 상기 TCI 상태는 상기 CORESET의 TCI 상태이며, 상기 CORESET는 상기 시간 도메인 리소스중의 활성화 BWP상의 표식이 제일 작은 CORESET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운링크 채널의 송신 방법.
  23. 제20 항에 있어서,
    상기 DCI의 스케줄링 오프셋이 기설정 도어 임계치 보다 작거나 같은 경우에, 상기 TCI 상태는 상기 CORESET의 TCI 상태이며, 상기 CORESET의 TCI 상태는 상기 CORESET 상에서 제어 채널의 QCL을 지시하기 위한 것이며, 또한 상기 CORESET는 상기 시간 도메인 리소스중 표식이 0인 CORESET를 제외한 표식이 제일 작은 CORESET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운링크 채널의 송신 방법.
  24. 제20 항에 있어서,
    상기 DCI의 스케줄링 오프셋이 기설정 도어 임계치 보다 작거나 같은 경우에, 상기 TCI 상태는 상기 CORESET의 TCI 상태이며, 상기 CORESET의 TCI 상태는 상기 CORESET 상에서 제어 채널의 QCL을 지시하기 위한 것이며, 또한 상기 CORESET는 상기 시간 도메인 리소스중 유니캐스트(unicast) 하며 표식이 제일 작은 CORESET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운링크 채널의 송신 방법.
  25. 제22 항 또는 제23항, 또는 제24 항에 있어서,
    상기 DCI에 TCI 도메인이 존재하거나 또는 존재하지 않을 경우, 상기 TCI 상태는 모두 상기 CORESET의 TCI 상태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운링크 채널의 송신 방법.
  26. 제20 항에 있어서,
    충돌 시간내에서 기설정되거나 또는 기지국에 의해 배치된 우선 순위 규칙에 따라, 높은 우선 순위의 TCI 상태를 사용하여 다운링크 제어 채널 또는 다운링크 데이터 채널을 송신하며;
    여기서, 상기 충돌 시간은: 상기 다운링크 데이터 채널의 TCI 상태의 사용 시간과 현재 다운링크 제어 채널의 TCI 상태의 사용 시간 사이의 중첩 시간을 포함하거나, 또는 상기 다운링크 데이터 채널의 TCI 상태의 사용 시간과 현재 다운링크 데이터 채널의 TCI 상태의 사용 시간 사이의 중첩 시간을 포함하며, 상기 현재 다운링크 제어 채널을 수신하는 TCI 상태는 상기 기지국에 의해 배치된 다운링크 제어 채널을 송신하기 위한 TCI 상태이며, 상기 현재 다운링크 데이터 채널의 TCI 상태는 상기 기지국에 의해 지시되고 이미 효력을 발생하는 다운링크 데이터 채널의 TCI 상태 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다운링크 채널의 송신 방법.
  27. 제26 항에 있어서,
    상기 기설정되거나 또는 상기 기지국에 의해 배치된 우선 순위 규칙은 다음 규칙 중 적어도 한 항을 포함하며, 상기 규칙은:
    상기 현재 다운링크 제어 채널의 TCI 상태의 우선 순위가 상기 다운링크 데이터 채널의 TCI 상태 보다 높은 것;
    상기 현재 다운링크 제어 채널의 TCI 상태의 우선 순위가 상기 다운링크 데이터 채널의 TCI 상태 보다 낮은 것;
    상기 현재 다운링크 데이터 채널의 TCI 상태의 우선 순위가 상기 다운링크 데이터 채널의 TCI 상태 보다 높은 것; 및
    상기 현재 다운링크 데이터 채널의 TCI 상태의 우선 순위가 상기 다운링크 데이터 채널의 TCI 상태 보다 낮은 것; 중 적어도 한 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운링크 채널의 송신 방법.
  28. 제20 항에 있어서,
    충돌 시간내에서 기설정되거나 또는 상기 기지국에 의해 배치된 규칙에 따라 다운링크 데이터 채널 및 다운링크 참조 신호중 적어도 한 항을 송신하며;
    여기서, 상기 충돌 시간은: 상기 다운링크 데이터 채널의 TCI 상태의 사용 시간과 상기 다운링크 참조 신호의 TCI 상태의 사용 시간 사이의 중첩 시간을 포함하고, 상기 다운링크 참조 신호의 TCI 상태는 상기 기지국에 의해 배치되거나 또는 지시된 다운링크 참조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TCI 상태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운링크 채널의 송신 방법.
  29. 제28 항에 있어서,
    상기 다운링크 참조 신호는: CSI-RS 및 SSB중 적어도 한 항을 포함하며;
    상기 다운링크 데이터 채널의 TCI 상태는 상기 다운링크 데이터 채널의 공간 QCL 파라미터를 송신하라고 지시하며; 상기 다운링크 참조 신호의 TCI 상태는 상기 다운링크 참조 신호의 공간 QCL 파라미터를 송신하라고 지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운링크 채널의 송신 방법.
  30. 제28 항에 있어서,
    상기 기설정되거나 또는 상기 기지국에 의해 배치된 규칙은:
    상기 충돌 시간내에서, 상기 기지국에 의해 배치되거나 또는 지시된 다운링크 참조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TCI 상태와 상기 다운링크 데이터 채널의 TCI 상태는 동일하거나; 또는
    상기 충돌 시간내에서, 상기 기지국에 의해 배치되거나 또는 지시된 다운링크 참조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TCI 상태를 사용하여 상기 다운링크 데이터 채널을 송신하는 것; 을 포함하는 다운링크 채널의 송신 방법.
  31. 제20 항에 있어서,
    상기 다운링크 데이터 채널의 TCI 상태를 확정하기 전에, 상기 방법은:
    배치, 활성화 및 지시 중 적어도 한 항을 통해 상기 단말을 위해 표식이 0인 CORESET의 TCI 상태를 확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TCI 상태는 적어도 상기 표식이 0인 CORESET와 QCI 관계가 존재하는 동기화 신호 블록SSB의 인덱스를 지시하기 위해 사용되며, 또한 상기 새로 확정된 TCI 상태는 상기 적어도 한 항에 의해 확정된 TCI 상태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운링크 채널의 송신 방법.
  32. 제31 항에 있어서,
    상기 DCI의 스케줄링 오프셋이 기설정 도어 임계치 보다 작거나 같을 때, 상기 다운링크 데이터 채널의 TCI 상태는 상기 새로 확정된 TCI 상태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운링크 채널의 송신 방법.
  33. 제3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치는 라디오 리소스 제어 RRC 시그널링을 사용하여 배치된다는 것을 의미하고;
    상기 활성화는 MAC CE를 사용하여 RRC 시그널링에 의해 배치된 복수 개의 TCI 상태 중 하나의 TCI 상태를 활성화한다는 것을 의미하며;
    상기 지시는 MAC CE 또는 물리층 제어 시그널링을 사용하여 지시한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운링크 채널의 송신 방법.
  34. 단말에 있어서,
    상기 단말은,
    다운링크 제어 채널의 TCI 상태를 확정하기 위한 제어 채널 확정 모듈 - 상기 단말이 오리지널 BWP로 스위칭 백(back)되었을 때, 상기 TCI 상태는, 상기 단말이 최근 1회에 상기 오리지널 BWP 상에서 사용한 CORESET의 TCI 상태이며, 상기 다운링크 제어 채널은 상기 오리지널 BWP의 CORESET 상에서 송신함 -; 및
    상기 TCI 상태에 따라 상기 다운링크 제어 채널을 수신하기 위한 제어 채널 수신 모듈;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35. 단말에 있어서,
    상기 단말은,
    다운링크 데이터 채널의 TCI 상태를 확정하기 위한 데이터 채널 확정 모듈 - 상기 TCI 상태는: CORESET의 TCI 상태이거나 또는 새로 확정된 TCI 상태이며, 상기 CORESET는 DCI가 위치한 시간 도메인 리소스중 표식이 제일 작은 CORESET를 의미하고, 상기 DCI는 상기 다운링크 데이터 채널을 스케줄링 하기 위한 것 임 -; 및
    상기 TCI 상태에 따라 상기 다운링크 데이터 채널을 수신하기 위한 데이터 채널 수신 모듈;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36. 기지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은,
    다운링크 제어 채널의 TCI 상태를 확정하기 위한 제어 채널 확정 모듈 - 상기 TCI 상태는 상기 기지국이 최근 1회에 오리지널 BWP 상에서 사용한 CORESET의 TCI 상태이며, 상기 다운링크 제어 채널은 상기 오리지널 BWP의 CORESET 상에서 송신함 -; 및
    상기 TCI 상태에 따라 상기 다운링크 제어 채널을 송신하기 위한 제어 채널 송신 모듈;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37. 기지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은,
    다운링크 데이터 채널의 TCI 상태를 확정하기 위한 데이터 채널 확정 모듈 - 상기 TCI 상태는: CORESET의 TCI 상태이거나 또는 새로 확정된 TCI 상태이며, 상기 CORESET는 DCI가 위치한 시간 도메인 리소스중 표식이 제일 작은 CORESET를 의미하고, 상기 DCI는 상기 다운링크 데이터 채널을 스케줄링 하기 위한 것임 -; 및
    상기 TCI 상태에 따라 상기 다운링크 데이터 채널을 송신하기 위한 데이터 채널 송신 모듈;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38. 단말에 있어서,
    메모리, 프로세서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고 상기 프로세서에서 실행될 수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하며,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이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제1 항 내지 제3 항 중 임의의 한 항에 따른 다운링크 채널의 수신 방법의 단계를 실현하거나, 또는,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이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제4 항 내지 제17 항 중 임의의 한 항에 따른 다운링크 채널의 수신 방법의 단계를 실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39. 기지국에 있어서,
    메모리, 프로세서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고 상기 프로세서에서 실행될 수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하며,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이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제18 항 내지 제19 항 중 임의의 한 항에 따른 다운링크 채널의 송신 방법의 단계를 실현하거나, 또는,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이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제20 항 내지 제33 항 중 임의의 한 항에 따른 다운링크 채널의 송신 방법의 단계를 실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40.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에는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으며,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제1 항 내지 제3 항 중 임의의 한 항에 따른 다운링크 채널의 수신 방법의 단계를 실현하거나, 또는,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제4 항 내지 제17 항 중 임의의 한 항에 따른 다운링크 채널의 수신 방법의 단계를 실현하거나, 또는,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제18 항 내지 제19 항 중 임의의 한 항에 따른 다운링크 채널의 송신 방법의 단계를 실현하거나, 또는,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제20 항 내지 제33 항 중 임의의 한 항에 따른 다운링크 채널의 송신 방법의 단계를 실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
KR1020207024388A 2018-02-11 2019-01-22 다운링크 채널의 수신 방법, 송신 방법, 단말 및 기지국 Active KR10249517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810142918 2018-02-11
CN201810142918.8 2018-02-11
CN201810151459 2018-02-14
CN201810151459.X 2018-02-14
CN201810169276.0A CN110167091B (zh) 2018-02-11 2018-02-28 下行信道的接收方法、发送方法、终端和基站
CN201810169276.0 2018-02-28
PCT/CN2019/072651 WO2019154066A1 (zh) 2018-02-11 2019-01-22 下行信道的接收方法、发送方法、终端和基站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2933A true KR20200112933A (ko) 2020-10-05
KR102495173B1 KR102495173B1 (ko) 2023-02-06

Family

ID=676358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24388A Active KR102495173B1 (ko) 2018-02-11 2019-01-22 다운링크 채널의 수신 방법, 송신 방법, 단말 및 기지국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11576183B2 (ko)
EP (1) EP3742806B1 (ko)
JP (1) JP7038219B2 (ko)
KR (1) KR102495173B1 (ko)
CN (2) CN111757410B (ko)
ES (1) ES2965864T3 (ko)
HU (1) HUE064570T2 (ko)
PT (1) PT3742806T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202118323A (zh) * 2018-02-23 2021-05-01 美商Idac控股公司 頻寬部分操作系統及方法
US11271635B2 (en) 2018-04-06 2022-03-08 Nokia Technologies Oy Beam indication for multi-panel UE
EP3565172B1 (en) * 2018-05-04 2020-11-25 ASUSTek Computer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downlink control information (dci) content processing considering active downlink (dl) bandwidth part (bwp) change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12047168B2 (en) 2018-09-28 2024-07-23 Lenovo (Singapore) Pte.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a CSI report
CA3067409A1 (en) * 2019-01-09 2020-07-09 Comcast Cable Communications, Llc Methods, devices, and apparatuses for beam management
WO2020165494A1 (en) * 2019-02-12 2020-08-20 Nokia Technologies Oy Dynamic inter-beam-interference indication, configuration and communication in wireless networks
US11483767B2 (en) * 2019-02-15 2022-10-25 Mediatek Inc. Cross-slot scheduling for power saving in mobile communications
EP4033813B1 (en) * 2019-09-20 2025-04-16 Beijing Xiaomi Mobile Software Co., Ltd. Transmission configuration status activation method and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CN112583547B (zh) * 2019-09-27 2022-12-13 中国移动通信有限公司研究院 Tci状态与dmrs映射关系的确定、配置方法及设备
CN113711661B (zh) * 2019-09-30 2023-06-27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数据传输方法、设备及介质
WO2021062709A1 (zh) * 2019-09-30 2021-04-08 华为技术有限公司 数据传输的方法和装置
WO2021062861A1 (en) * 2019-10-02 2021-04-08 Mediatek Inc. Procedure of ue channel state information (csi) report and channel state information reference signal (csi-rs) configuration update for csi
CN114467344A (zh) * 2019-10-12 2022-05-10 华为技术有限公司 频域传输资源配置的方法以及装置
WO2021072610A1 (zh) * 2019-10-14 2021-04-22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激活和释放非动态调度传输的方法及装置
CN114616884A (zh) * 2019-11-07 2022-06-10 富士通株式会社 传输参数的确定方法及装置
KR20220097419A (ko) * 2019-11-08 2022-07-07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 도코모 단말 및 무선 통신 방법
US20210184809A1 (en) * 2019-12-13 2021-06-17 Qualcomm Incorporated Downlink control information based beam and pathloss reference signal configuration activation
US11751174B2 (en) * 2020-01-16 2023-09-05 Qualcomm Incorporated Signaling for configuring downlink transmissions
CN115299088A (zh) * 2020-03-19 2022-11-04 株式会社Ntt都科摩 终端、无线通信方法以及基站
WO2021226934A1 (en) * 2020-05-14 2021-11-18 Apple Inc. Synchronization for low-layer based mobility management
WO2022061118A2 (en) * 2020-09-20 2022-03-24 Cirik Ali Cagatay Downlink signal reception in control channel repetition
EP4216610A4 (en) * 2020-09-22 2023-11-15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TERMINAL DEVICE AND NETWORK DEVICE
CN114363833B (zh) * 2020-09-28 2022-09-13 北京紫光展锐通信技术有限公司 一种多播业务资源指示方法、装置及设备、存储介质
CN116158040B (zh) * 2020-10-15 2024-11-26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信道传输的方法、终端设备和网络设备
KR20220064201A (ko) * 2020-11-11 2022-05-18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랜덤 액세스를 위한 방법 및 장치
WO2022205003A1 (zh) * 2021-03-30 2022-10-06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默认波束的确定方法、装置及通信设备
BR112023019431A2 (pt) * 2021-03-30 2023-12-05 Beijing Xiaomi Mobile Software Co Ltd Método e aparelho para determinar um feixe padrão, dispositivo de comunicação, e, meio de armazenamento de computador
CN115174015B (zh) * 2021-04-02 2024-12-17 展讯半导体(南京)有限公司 Sps pdsch接收方法、装置、终端和存储介质
US20230292328A1 (en) * 2022-03-08 2023-09-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device for beam management in communication system
US20230397262A1 (en) * 2022-06-02 2023-12-07 Qualcomm Incorporated Priority based conflict resolution in full-duplex operations
US20240023111A1 (en) * 2022-07-18 2024-01-18 Qualcomm Incorporated Default condition for unified tci state
CN119212090A (zh) * 2023-06-27 2024-12-27 上海朗帛通信技术有限公司 一种用于无线通信的节点中的方法和装置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769903B (zh) * 2011-05-02 2016-04-06 上海贝尔股份有限公司 一种触发从小区时间对齐过程的方法
JP6399778B2 (ja) * 2014-03-20 2018-10-03 株式会社Nttドコモ ユーザ端末、基地局、通信システム及び通信方法
CN107852220B (zh) * 2015-07-31 2022-03-11 苹果公司 用于5g系统的接收波束指示
CN107659994A (zh) * 2017-09-05 2018-02-02 宇龙计算机通信科技(深圳)有限公司 资源指示方法、相关设备及通信系统
US11723049B2 (en) * 2017-11-15 2023-08-08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Beam management in a wireless network
US10931355B2 (en) * 2018-01-16 2021-02-23 Asustek Computer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QCL association indication for discontinuous transmission indic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11006403B2 (en) * 2018-09-04 2021-05-11 Qualcomm Incorporated Techniques for use in determining a transmission configuration state
US11057896B2 (en) * 2018-11-01 2021-07-06 FG Innovation Company Limited Methods and apparatuses of determining quasi co-location (QCL) assumptions for beam operations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3GPP R1-1800100*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10051667A1 (en) 2021-02-18
JP2021519005A (ja) 2021-08-05
ES2965864T3 (es) 2024-04-17
CN111757410B (zh) 2022-11-25
PT3742806T (pt) 2023-12-11
EP3742806A4 (en) 2021-03-24
US11576183B2 (en) 2023-02-07
EP3742806A1 (en) 2020-11-25
EP3742806B1 (en) 2023-11-15
CN111757410A (zh) 2020-10-09
HUE064570T2 (hu) 2024-03-28
CN110167091B (zh) 2021-03-16
KR102495173B1 (ko) 2023-02-06
JP7038219B2 (ja) 2022-03-17
CN110167091A (zh) 2019-08-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95173B1 (ko) 다운링크 채널의 수신 방법, 송신 방법, 단말 및 기지국
CN115226117B (zh) 波束指示方法、装置、设备及介质
US11825363B2 (en) Resource processing method, apparatus, and system
CN110049559B (zh) 侦听指示方法、终端及网络设备
KR102469210B1 (ko) 업링크 송신 취소 명령의 모니터링 방법 및 단말
US11259323B2 (en) Random access method and user equipment
CN110958710B (zh) 信道接入方法、配置方法、终端及网络侧设备
WO2019154066A1 (zh) 下行信道的接收方法、发送方法、终端和基站
CN110324834B (zh) 测量结果的指示方法、终端和基站
CN109803417B (zh) 确定参考信号的方法、上行探测参考信号发送方法和设备
CN112583544B (zh) 确定源参考信号信息的方法和通信设备
US11452081B2 (en) Spatial relationship determination method, terminal and base station
CN110149185B (zh) Csi资源类型的确定方法、终端和网络侧设备
CN112566264B (zh) 一种参考信号传输方法及设备
CN110740470A (zh) 一种测量指示方法、装置及系统
CN111106914B (zh) 确定控制资源集的准共址的方法、终端和存储介质
CN110740024B (zh) 一种csi上报方法、终端及网络设备
KR20220043176A (ko) 경로 변경 방법 및 장치
CN113473605A (zh) 一种冲突资源确定方法和终端
CN111436143B (zh) 一种上行授权变更方法、信息发送方法及相关装置
CN116801403A (zh) 一种上行发送处理方法、信息配置方法和相关设备
CN111835485A (zh) 网络设备信息接收方法、发送方法、终端和网络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00824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00825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030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220714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220308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AMND Amendment
PX0901 Re-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220714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220509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200825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X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21031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3S01D

Patent event date: 20221013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220714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1S01I

Patent event date: 20220509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200825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3013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3013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