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200104017A - 5g 네트워크 통신을 지원하는 전자 장치 및 상기 전자 장치가 송신 전력을 제어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5g 네트워크 통신을 지원하는 전자 장치 및 상기 전자 장치가 송신 전력을 제어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04017A
KR20200104017A KR1020190022342A KR20190022342A KR20200104017A KR 20200104017 A KR20200104017 A KR 20200104017A KR 1020190022342 A KR1020190022342 A KR 1020190022342A KR 20190022342 A KR20190022342 A KR 20190022342A KR 20200104017 A KR20200104017 A KR 202001040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nic device
processor
module
lowering
transmission pow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Pending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23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석재
배윤규
송재호
윤정민
조성지
권희준
김민석
이경록
박성철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223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104017A/ko
Priority to PCT/KR2020/001214 priority patent/WO2020175803A1/en
Priority to US16/785,886 priority patent/US11304147B2/en
Priority to EP20157704.6A priority patent/EP3703432A1/en
Publication of KR202001040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4017A/ko
Pending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ransmission Power Control [TPC] or power classes
    • H04W52/04Transmission power control [TPC]
    • H04W52/06TPC algorithms
    • H04W52/14Separate analysis of uplink or downlink
    • H04W52/146Uplink power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ransmission Power Control [TPC] or power classes
    • H04W52/04Transmission power control [TPC]
    • H04W52/1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ransmission Power Control [TPC] or power classes
    • H04W52/04Transmission power control [TPC]
    • H04W52/1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 H04W52/2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user profile, e.g. mobile speed, priority or network state, e.g. standby, idle or non-transmission
    • H04W52/28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user profile, e.g. mobile speed, priority or network state, e.g. standby, idle or non-transmission taking into account the usage mode, e.g. hands-free, data transmission or telephon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20Manipulation of established connections
    • H04W76/27Transitions between radio resource control [RRC] stat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6Terminal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or having at least two operational modes, e.g. multi-mode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ransmission Power Control [TPC] or power classes
    • H04W52/04Transmission power control [TPC]
    • H04W52/30Transmission power control [TPC] using constraints in the total amount of available transmission power
    • H04W52/36Transmission power control [TPC] using constraints in the total amount of available transmission power with a discrete range or set of values, e.g. step size, ramping or offsets
    • H04W52/367Power values between minimum and maximum limits, e.g. dynamic ran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ransmission Power Control [TPC] or power classes
    • H04W52/04Transmission power control [TPC]
    • H04W52/38TPC being performed in particular situations
    • H04W52/42TPC being performed in particular situations in systems with time, space, frequency or polarisation divers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10Small scale networks; Flat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12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5G 네트워크 통신을 지원하는 전자 장치 및 상기 전자 장치가 송신 전력을 제어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기 전자 장치는, 제1주파수 대역에서 통신하는 와이파이 모듈, 지정된 네트워크와 제2 주파수대역에서 무선 통신하는 통신 모듈, 상기 통신 모듈과 작동적으로 연결된 제 1 프로세서, 상기 와이파이 모듈, 및 상기 제 1 프로세서와 작동적으로 연결된 제 2 프로세서, 및 상기 제 2프로세서와 작동적으로 연결된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는, 실행될 때, 상기 제 2 프로세서가: 상기 제 1 프로세서로부터 상기 전자 장치가 상기 지정된 네트워크와 무선 통신하는 상태임을 알리는 메시지를 수신하고, 및 상기 메시지에 응답하여 상기 와이파이 모듈의 송신 전력을 낮추도록 하는 인스트럭션들을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그 밖에 다양한 실시예를 더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5G 네트워크 통신을 지원하는 전자 장치 및 상기 전자 장치가 송신 전력을 제어하는 방법{ELECTRONIC DEVICE SUPPORTING 5G NETWORK COMMUNICATION AND METHOD FOR THE ELECTRONIC DEVICE TO CONTROL TRANSMIT POWER}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5G 네트워크 통신을 지원하는 전자 장치 및 상기 전자 장치가 송신 전력을 제어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자 장치는 외부 장치와 무선 통신을 위해 전자파 신호를 방사할 수 있다. 상기 전자파 신호는 인체에 유해할 수 있으므로, 여러 공인된 기관들에서는 전자 장치의 인체 전자파 흡수율(specific absorption rate, SAR) 및 MPE(Maximum Permissible Exposure) 의 수치를 규제하고 있다. 전자파 흡수율은 6GHz 이하 주파수 대역의 규격이고, MPE 는 6GHz 이상 주파수 대역의 규격이다. 상기 규제는 상기 전자장치가 동시에 통신할 수 있는 각 통신 규격(예: LTE, NR 및 WIFI)의 전자파 흡수율 및 MPE 의 규제 수치로 정규화 된 합이 일정 이하가 되도록 하는 규제를 더 포함하고 있다.
전자 장치는 무선 통신의 주파수 대역에 기반하여 송신 전력을 줄임으로써, 규정된 전자파 관련 규제의 수치를 초과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4G 통신 시스템 상용화 이후 증가 추세에 있는 무선 데이터 트래픽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개선된 5G 통신 시스템 또는 pre-5G 통신 시스템을 개발하기 위한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5G 통신 시스템 또는 pre-5G 통신 시스템은 4G 네트워크 이후 (Beyond 4G Network) 통신 시스템 또는 LTE 시스템 이후 (Post LTE) 이후의 시스템이라 불리어지고 있다. 높은 데이터 전송률을 달성하기 위해, 5G 통신 시스템은 초고주파(mmWave) 대역 (예를 들어, 60기가(60GHz) 대역과 같은)에서의 구현이 고려되고 있다. 초고주파 대역에서의 전파의 경로손실 완화 및 전파의 전달 거리를 증가시키기 위해, 5G 통신 시스템에서는 빔포밍(beamforming), 거대 배열 다중 입출력(massive MIMO), 전차원 다중입출력(Full Dimensional MIMO: FD-MIMO), 어레이 안테나(array antenna), 아날로그 빔형성(analog beam-forming), 및 대규모 안테나 (large scale antenna) 기술들이 논의되고 있다.
그런데, 5G 통신 시스템은 초고주파(mmWave) 대역 (예를 들어, 20GHz 이상 대역과 같은)에서의 구현됨에 따라, 종래의 무선 통신의 주파수 대역에 기반하여 송신 전력을 줄이는 방법으로는 규정된 전자파 흡수율 및 MPE의 수치 규제를 충족시키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전자파 흡수율 및 MPE의 수치를 줄이면서도 최적의 5G 네트워크 통신 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전자 장치 및 상기 전자 장치가 송신 전력을 제어하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제1주파수 대역에서 통신하는 와이파이 모듈, 지정된 네트워크와 제2 주파수대역에서 무선 통신하는 통신 모듈, 상기 통신 모듈과 작동적으로 연결된 제 1 프로세서, 상기 와이파이 모듈, 및 상기 제 1 프로세서와 작동적으로 연결된 제 2 프로세서, 및 상기 제 2프로세서와 작동적으로 연결된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는, 실행될 때, 상기 제 2 프로세서가: 상기 제 1 프로세서로부터 상기 전자 장치가 상기 지정된 네트워크와 무선 통신하는 상태임을 알리는 메시지를 수신하고, 및 상기 메시지에 응답하여 상기 와이파이 모듈의 송신 전력을 낮추도록 하는 인스트럭션들을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송신 전력을 제어하는 방법은, 지정된 네트워크와 무선 통신하는 상태인지 확인하는 동작, 및 지정된 네트워크와 무선 통신하는 상태이면, 와이파이 모듈의 송신 전력을 낮추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제 1 주파수 대역에서 통신하는 와이파이 모듈, 지정된 네트워크 와 제 2 주파수 대역에서 무선 통신하는 통신 모듈, 상기 통신 모듈과 작동적으로 연결된 제 1 프로세서, 상기 와이파이 모듈, 및 상기 제 1 프로세서와 작동적으로 연결된 제 2 프로세서, 및 상기 제 2 프로세서와 작동적으로 연결된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는, 실행될 때, 상기 제 2 프로세서가: 상기 제 1 프로세서로부터 상기 전자 장치가 상기 지정된 네트워크와 무선 통신하는 상태임을 알리는 메시지를 수신하고, 및 상기 메시지에 응답하여 상기 통신 모듈의 송신 전력을 낮추도록 하는 인스트럭션들을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 및 상기 전자 장치가 송신 전력을 제어하는 방법은, 전자파 흡수율 및 MPE의 수치를 줄이면서도 최적의 5G 네트워크 통신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 내의 전자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레거시 네트워크 통신 및 5G 네트워크 통신을 지원하기 위한 전자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3은 5G 네트워크 환경에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4는 5G 네트워크 환경에서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5는 5G 네트워크 환경에서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6은 5G 네트워크 환경에서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업링크 동작에 기초하여 Tx 파워 백오프(backoff)를 수행하는 방법을 설명한 예시이다.
도 1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100) 내의 전자 장치(101)의 블럭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네트워크 환경(100)에서 전자 장치(101)는 제 1 네트워크(198)(예: 근거리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전자 장치(102)와 통신하거나, 또는 제 2 네트워크(199)(예: 원거리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전자 장치(104) 또는 서버(108)와 통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서버(108)를 통하여 전자 장치(104)와 통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프로세서(120), 메모리(130), 입력 장치(150), 음향 출력 장치(155), 표시 장치(160), 오디오 모듈(170), 센서 모듈(176), 인터페이스(177), 햅틱 모듈(179), 카메라 모듈(180), 전력 관리 모듈(188), 배터리(189), 통신 모듈(190), 가입자 식별 모듈(196), 또는 안테나 모듈(197)을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는, 전자 장치(101)에는, 이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예: 표시 장치(160) 또는 카메라 모듈(180))가 생략되거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 요소가 추가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는, 이 구성요소들 중 일부들은 하나의 통합된 회로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센서 모듈(176)(예: 지문 센서, 홍채 센서, 또는 조도 센서)은 표시 장치(160)(예: 디스플레이)에 임베디드된 채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예를 들면,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140))를 실행하여 프로세서(120)에 연결된 전자 장치(101)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구성요소(예: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을 제어할 수 있고, 다양한 데이터 처리 또는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데이터 처리 또는 연산의 적어도 일부로서, 프로세서(120)는 다른 구성요소(예: 센서 모듈(176) 또는 통신 모듈(190))로부터 수신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휘발성 메모리(132)에 로드하고, 휘발성 메모리(132)에 저장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처리하고, 결과 데이터를 비휘발성 메모리(134)에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메인 프로세서(121)(예: 중앙 처리 장치 또는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 및 이와는 독립적으로 또는 함께 운영 가능한 보조 프로세서(123)(예: 그래픽 처리 장치,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 센서 허브 프로세서,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체적으로, 보조 프로세서(123)은 메인 프로세서(121)보다 저전력을 사용하거나, 또는 지정된 기능에 특화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보조 프로세서(123)는 메인 프로세서(121)와 별개로, 또는 그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보조 프로세서(123)는, 예를 들면, 메인 프로세서(121)가 인액티브(예: 슬립) 상태에 있는 동안 메인 프로세서(121)를 대신하여, 또는 메인 프로세서(121)가 액티브(예: 어플리케이션 실행) 상태에 있는 동안 메인 프로세서(121)와 함께, 전자 장치(101)의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예: 표시 장치(160), 센서 모듈(176), 또는 통신 모듈(190))와 관련된 기능 또는 상태들의 적어도 일부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보조 프로세서(123)(예: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는 기능적으로 관련 있는 다른 구성 요소(예: 카메라 모듈(180) 또는 통신 모듈(190))의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메모리(130)는, 전자 장치(101)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예: 프로세서(120) 또는 센서모듈(176))에 의해 사용되는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데이터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140)) 및, 이와 관련된 명령에 대한 입력 데이터 또는 출력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30)는, 휘발성 메모리(132)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134)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그램(140)은 메모리(130)에 소프트웨어로서 저장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운영 체제(142), 미들 웨어(144) 또는 어플리케이션(146)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 장치(150)는, 전자 장치(101)의 구성요소(예: 프로세서(120))에 사용될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전자 장치(101)의 외부(예: 사용자)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입력 장치(150)은, 예를 들면, 마이크, 마우스, 키보드, 또는 디지털 펜(예:스타일러스 펜)을 포함할 수 있다.
음향 출력 장치(155)는 음향 신호를 전자 장치(101)의 외부로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 장치(155)는, 예를 들면, 스피커 또는 리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스피커는 멀티미디어 재생 또는 녹음 재생과 같이 일반적인 용도로 사용될 수 있고, 리시버는 착신 전화를 수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리시버는 스피커와 별개로, 또는 그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표시 장치(160)는 전자 장치(101)의 외부(예: 사용자)로 정보를 시각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표시 장치(160)은,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홀로그램 장치, 또는 프로젝터 및 해당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표시 장치(160)는 터치를 감지하도록 설정된 터치 회로(touch circuitry), 또는 상기 터치에 의해 발생되는 힘의 세기를 측정하도록 설정된 센서 회로(예: 압력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오디오 모듈(170)은 소리를 전기 신호로 변환시키거나, 반대로 전기 신호를 소리로 변환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오디오 모듈(170)은, 입력 장치(150)를 통해 소리를 획득하거나, 음향 출력 장치(155), 또는 전자 장치(101)와 직접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 (예: 스피커 또는 헤드폰))를 통해 소리를 출력할 수 있다.
센서 모듈(176)은 전자 장치(101)의 작동 상태(예: 전력 또는 온도), 또는 외부의 환경 상태(예: 사용자 상태)를 감지하고, 감지된 상태에 대응하는 전기 신호 또는 데이터 값을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센서 모듈(176)은, 예를 들면, 제스처 센서, 자이로 센서, 기압 센서, 마그네틱 센서, 가속도 센서, 그립 센서, 근접 센서, 컬러 센서, IR(infrared) 센서, 생체 센서, 온도 센서, 습도 센서, 또는 조도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177)는 전자 장치(101)이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와 직접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지정된 프로토콜들을 지원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인터페이스(177)는, 예를 들면,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USB(universal serial bus) 인터페이스, SD카드 인터페이스, 또는 오디오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 단자(178)는, 그를 통해서 전자 장치(101)가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와 물리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연결 단자(178)은, 예를 들면, HDMI 커넥터, USB 커넥터, SD 카드 커넥터, 또는 오디오 커넥터(예: 헤드폰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햅틱 모듈(179)은 전기적 신호를 사용자가 촉각 또는 운동 감각을 통해서 인지할 수 있는 기계적인 자극(예: 진동 또는 움직임) 또는 전기적인 자극으로 변환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햅틱 모듈(179)은, 예를 들면, 모터, 압전 소자, 또는 전기 자극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80)은 정지 영상 및 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카메라 모듈(180)은 하나 이상의 렌즈들, 이미지 센서들,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들, 또는 플래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전력 관리 모듈(188)은 전자 장치(101)에 공급되는 전력을 관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력 관리 모듈(388)은, 예를 들면, PMIC(power management integrated circuit)의 적어도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배터리(189)는 전자 장치(101)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 요소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배터리(189)는, 예를 들면, 재충전 불가능한 1차 전지, 재충전 가능한 2차 전지 또는 연료 전지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모듈(190)은 전자 장치(101)와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 전자 장치(104), 또는 서버(108))간의 직접(예: 유선) 통신 채널 또는 무선 통신 채널의 수립, 및 수립된 통신 채널을 통한 통신 수행을 지원할 수 있다. 통신 모듈(190)은 프로세서(120)(예: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와 독립적으로 운영되고, 직접(예: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을 지원하는 하나 이상의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통신 모듈(190)은 무선 통신 모듈(192)(예: 셀룰러 통신 모듈,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 또는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통신 모듈) 또는 유선 통신 모듈(194)(예: LAN(local area network) 통신 모듈, 또는 전력선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들 통신 모듈 중 해당하는 통신 모듈은 제 1 네트워크(198)(예: 블루투스, WiFi direct 또는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 같은 근거리 통신 네트워크) 또는 제 2 네트워크(199)(예: 셀룰러 네트워크, 인터넷, 또는 컴퓨터 네트워크(예: LAN 또는 WAN)와 같은 원거리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외부 전자 장치와 통신할 수 있다. 이런 여러 종류의 통신 모듈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예: 단일 칩)으로 통합되거나, 또는 서로 별도의 복수의 구성 요소들(예: 복수 칩들)로 구현될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192)은 가입자 식별 모듈(196)에 저장된 가입자 정보(예: 국제 모바일 가입자 식별자(IMSI))를 이용하여 제 1 네트워크(198) 또는 제 2 네트워크(199)와 같은 통신 네트워크 내에서 전자 장치(101)를 확인 및 인증할 수 있다.
안테나 모듈(197)은 신호 또는 전력을 외부(예: 외부 전자 장치)로 송신하거나 외부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안테나 모듈은 서브스트레이트(예: PCB) 위에 형성된 도전체 또는 도전성 패턴으로 이루어진 방사체를 포함하는 하나의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안테나 모듈(197)은 복수의 안테나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런 경우, 제 1 네트워크(198) 또는 제 2 네트워크(199)와 같은 통신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통신 방식에 적합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가, 예를 들면, 통신 모듈(190)에 의하여 상기 복수의 안테나들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신호 또는 전력은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를 통하여 통신 모듈(190)과 외부 전자 장치 간에 송신되거나 수신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 따르면, 방사체 이외에 다른 부품(예: RFIC)이 추가로 안테나 모듈(197)의 일부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는 주변 기기들간 통신 방식(예: 버스, GPIO(general purpose input and output), SPI(serial peripheral interface), 또는 MIPI(mobile industry processor interface))를 통해 서로 연결되고 신호(예: 명령 또는 데이터)를 상호간에 교환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명령 또는 데이터는 제 2 네트워크(199)에 연결된 서버(108)를 통해서 전자 장치(101)와 외부의 전자 장치(104)간에 송신 또는 수신될 수 있다. 전자 장치(102, 104) 각각은 전자 장치(101)와 동일한 또는 다른 종류의 장치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에서 실행되는 동작들의 전부 또는 일부는 외부 전자 장치들(102, 104, or 108) 중 하나 이상의 외부 장치들에서 실행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101)가 어떤 기능이나 서비스를 자동으로, 또는 사용자 또는 다른 장치로부터의 요청에 반응하여 수행해야 할 경우에, 전자 장치(101)는 기능 또는 서비스를 자체적으로 실행시키는 대신에 또는 추가적으로, 하나 이상의 외부 전자 장치들에게 그 기능 또는 그 서비스의 적어도 일부를 수행하라고 요청할 수 있다. 상기 요청을 수신한 하나 이상의 외부 전자 장치들은 요청된 기능 또는 서비스의 적어도 일부, 또는 상기 요청과 관련된 추가 기능 또는 서비스를 실행하고, 그 실행의 결과를 전자 장치(101)로 전달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상기 결과를, 그대로 또는 추가적으로 처리하여, 상기 요청에 대한 응답의 적어도 일부로서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예를 들면, 클라우드 컴퓨팅, 분산 컴퓨팅, 또는 클라이언트-서버 컴퓨팅 기술이 이용될 수 있다.
도 2 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레거시 네트워크 통신 및 5G 네트워크 통신을 지원하기 위한 전자 장치(101)의 블록도(200)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1)는 와이파이 모듈(250), 제 1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2), 제 2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4), 제 1 radio frequency integrated circuit(RFIC)(222), 제 2 RFIC(224), 제 3 RFIC(226), 제 4 RFIC(228), 제 1 radio frequency front end(RFFE)(232), 제 2 RFFE(234), 제 1 안테나 모듈(242), 제 2 안테나 모듈(244), 및 안테나(248)을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프로세서(120) 및 메모리(1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199)는 제 1 네트워크(292)와 제2 네트워크(294)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도1에 기재된 부품들 중 적어도 하나의 부품을 더 포함할 수 있고, 네트워크(199)는 적어도 하나의 다른 네트워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2), 제 2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4), 제 1 RFIC(222), 제 2 RFIC(224), 제 4 RFIC(228), 제 1 RFFE(232), 및 제 2 RFFE(234)는 무선 통신 모듈(192)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 4 RFIC(228)는 생략되거나, 제 3 RFIC(226)의 일부로서 포함될 수 있다.
제 1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2)는 제 1 네트워크(292)와의 무선 통신에 사용될 대역의 통신 채널의 수립, 및 수립된 통신 채널을 통한 레거시 네트워크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 1 네트워크(292)는 2세대(2G), 3G, 4G, 또는 long term evolution(LTE) 네트워크를 포함하는 레거시 네트워크일 수 있다. 제 2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4)는 제 2 네트워크(294)와의 무선 통신에 사용될 대역 중 지정된 대역(예: 약 6GHz ~ 약 60GHz)에 대응하는 통신 채널의 수립, 및 수립된 통신 채널을 통한 5G 네크워크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 2 네트워크(294)는 3GPP에서 정의하는 5G 네트워크일 수 있다. 추가적으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2) 또는 제 2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4)는 제 2 네트워크(294)와의 무선 통신에 사용될 대역 중 다른 지정된 대역(예: 약 6GHz 이하)에 대응하는 통신 채널의 수립, 및 수립된 통신 채널을 통한 5G 네크워크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2)와 제 2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4)는 단일(single) 칩 또는 단일 패키지 내에 구현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 1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2) 또는 제 2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4)는 프로세서(120), 보조 프로세서(123), 또는 통신 모듈(190)과 단일 칩 또는 단일 패키지 내에 형성될 수 있다.
제 1 RFIC(222)는, 송신 시에, 제 1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2)에 의해 생성된 기저대역(baseband) 신호를 제 1 네트워크(292)(예: 레거시 네트워크)에 사용되는 약 700MHz 내지 약 3GHz의 라디오 주파수(RF)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수신 시에는, RF 신호가 안테나(예: 제 1 안테나 모듈(242))를 통해 제 1 네트워크(292)(예: 레거시 네트워크)로부터 획득되고, RFFE(예: 제 1 RFFE(232))를 통해 전처리(preprocess)될 수 있다. 제 1 RFIC(222)는 전처리된 RF 신호를 제 1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2)에 의해 처리될 수 있도록 기저대역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제 2 RFIC(224)는, 송신 시에, 제 1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2) 또는 제 2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4)에 의해 생성된 기저대역 신호를 제 2 네트워크(294)(예: 5G 네트워크)에 사용되는 Sub6 대역(예: 약 6GHz 이하)의 RF 신호(이하, 5G Sub6 RF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수신 시에는, 5G Sub6 RF 신호가 안테나(예: 제 2 안테나 모듈(244))를 통해 제 2 네트워크(294)(예: 5G 네트워크)로부터 획득되고, RFFE(예: 제 2 RFFE(234))를 통해 전처리될 수 있다. 제 2 RFIC(224)는 전처리된 5G Sub6 RF 신호를 제 1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2) 또는 제 2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4) 중 대응하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에 의해 처리될 수 있도록 기저대역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제 3 RFIC(226)는 제 2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4)에 의해 생성된 기저대역 신호를 제 2 네트워크(294)(예: 5G 네트워크)에서 사용될 5G Above6 대역(예: 약 6GHz ~ 약 60GHz)의 RF 신호(이하, 5G Above6 RF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수신 시에는, 5G Above6 RF 신호가 안테나(예: 안테나(248))를 통해 제 2 네트워크(294)(예: 5G 네트워크)로부터 획득되고 제 3 RFFE(236)를 통해 전처리될 수 있다. 제 3 RFIC(226)는 전처리된 5G Above6 RF 신호를 제 2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4)에 의해 처리될 수 있도록 기저대역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3 RFFE(236)는 제 3 RFIC(226)의 일부로서 형성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3 RFIC(226)와 별개로 또는 적어도 그 일부로서, 제 4 RFIC(228)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런 경우, 제 4 RFIC(228)는 제 2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4)에 의해 생성된 기저대역 신호를 중간(intermediate) 주파수 대역(예: 약 9GHz ~ 약 11GHz)의 RF 신호(이하, IF 신호)로 변환한 뒤, 상기 IF 신호를 제 3 RFIC(226)로 전달할 수 있다. 제 3 RFIC(226)는 IF 신호를 5G Above6 RF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수신 시에, 5G Above6 RF 신호가 안테나(예: 안테나(248))를 통해 제 2 네트워크(294)(예: 5G 네트워크)로부터 수신되고 제 3 RFIC(226)에 의해 IF 신호로 변환될 수 있다. 제 4 RFIC(228)는 IF 신호를 제 2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4)가 처리할 수 있도록 기저대역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일시예에 따르면, 제 1 RFIC(222)와 제 2 RFIC(224)는 단일 칩 또는 단일 패키지의 적어도 일부로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RFFE(232)와 제 2 RFFE(234)는 단일 칩 또는 단일 패키지의 적어도 일부로 구현될 수 있다. 일시예에 따르면, 제 1 안테나 모듈(242) 또는 제 2 안테나 모듈(244)중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 모듈은 생략되거나 다른 안테나 모듈과 결합되어 대응하는 복수의 대역들의 RF 신호들을 처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3 RFIC(226)와 안테나(248)는 동일한 서브스트레이트에 배치되어 제 3 안테나 모듈(246)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 모듈(192) 또는 프로세서(120)가 제 1 서브스트레이트(예: main PCB)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런 경우, 제 1 서브스트레이트와 별도의 제 2 서브스트레이트(예: sub PCB)의 일부 영역(예: 하면)에 제 3 RFIC(226)가, 다른 일부 영역(예: 상면)에 안테나(248)가 배치되어, 제 3 안테나 모듈(246)이 형성될 수 있다. 제 3 RFIC(226)와 안테나(248)를 동일한 서브스트레이트에 배치함으로써 그 사이의 전송 선로의 길이를 줄이는 것이 가능하다. 이는, 예를 들면, 5G 네트워크 통신에 사용되는 고주파 대역(예: 약 6GHz ~ 약 60GHz)의 신호가 전송 선로에 의해 손실(예: 감쇄)되는 것을 줄일 수 있다. 이로 인해, 전자 장치(101)는 제 2 네트워크(294)(예: 5G 네트워크)와의 통신의 품질 또는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안테나(248)는 빔포밍에 사용될 수 있는 복수개의 안테나 엘레멘트들을 포함하는 안테나 어레이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런 경우, 제 3 RFIC(226)는, 예를 들면, 제 3 RFFE(236)의 일부로서, 복수개의 안테나 엘레멘트들에 대응하는 복수개의 위상 변환기(phase shifter)(238)들을 포함할 수 있다. 송신 시에, 복수개의 위상 변환기(238)들 각각은 대응하는 안테나 엘레멘트를 통해 전자 장치(101)의 외부(예: 5G 네트워크의 베이스 스테이션)로 송신될 5G Above6 RF 신호의 위상을 변환할 수 있다. 수신 시에, 복수개의 위상 변환기(238)들 각각은 대응하는 안테나 엘레멘트를 통해 상기 외부로부터 수신된 5G Above6 RF 신호의 위상을 동일한 또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위상으로 변환할 수 있다. 이것은 전자 장치(101)와 상기 외부 간의 빔포밍을 통한 송신 또는 수신을 가능하게 한다.
제 2 네트워크(294)(예: 5G 네트워크)는 제 1 네트워크(292)(예: 레거시 네트워크)와 독립적으로 운영되거나(예: Stand-Alone (SA)), 연결되어 운영될 수 있다(예: Non-Stand Alone (NSA)). 예를 들면, 5G 네트워크에는 액세스 네트워크(예: 5G radio access network(RAN) 또는 next generation RAN(NG RAN))만 있고, 코어 네트워크(예: next generation core(NGC))는 없을 수 있다. 이런 경우, 전자 장치(101)는 5G 네트워크의 액세스 네트워크에 액세스한 후, 레거시 네트워크의 코어 네트워크(예: evolved packed core(EPC))의 제어 하에 외부 네트워크(예: 인터넷)에 액세스할 수 있다. 레거시 네트워크와 통신을 위한 프로토콜 정보(예: LTE 프로토콜 정보) 또는 5G 네트워크와 통신을 위한 프로토콜 정보(예: New Radio(NR) 프로토콜 정보)는 메모리(230)에 저장되어, 다른 부품(예: 프로세서(120), 제 1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2), 또는 제 2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4))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예: 도 3의 301)는, 제1주파수 대역(예: 6GHz 이하)에서 통신하는 와이파이 모듈(예: 도 2의 250), 지정된 네트워크와 제2 주파수대역(예: 6GHz 이상)에서 무선 통신하는 통신 모듈, 상기 통신 모듈과 작동적으로 연결된 제 1 프로세서(예: 도 2의 214), 상기 와이파이 모듈(250), 및 상기 제 1 프로세서(214)와 작동적으로 연결된 제 2 프로세서(예: 도 2의 120), 및 상기 제 2 프로세서와 작동적으로 연결된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는, 실행될 때, 상기 제 2 프로세서(120)가: 상기 제 1 프로세서(214)로부터 상기 전자 장치(301)가 상기 지정된 네트워크와 무선 통신하는 상태임을 알리는 메시지를 수신하고, 및 상기 메시지에 응답하여 상기 와이파이 모듈(250)의 송신 전력을 낮추도록 하는 인스트럭션들을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제 1 프로세서(214)는, 5G(NR) RRC(radio resource control) connected 상태가 되면, 상기 메시지를 상기 제 2 프로세서(120)에게 전달하고, 상기 메모리는, 실행될 때, 상기 제 2 프로세서(120)가: 상기 제 1 프로세서(214)로부터 상기 메시지를 수신한 것에 응답하여, 상기 와이파이 모듈(250)의 활성화 여부를 감지하고, 및 상기 와이파이 모듈(250)이 활성화되면, 상기 와이파이 모듈(250)의 송신 전력을 낮추도록 하는 인스트럭션들을 저장할 수 있다. 상기 메모리는, 실행될 때, 상기 제 2 프로세서(120)가: 상기 와이파이 모듈(250)의 송신 전력을 낮추는 동안, 상기 5G(NR) RRC connected 상태가 다른 상태로 전환되는지 감지하고, 및 상기 5G(NR) RRC connected 상태가 다른 상태로 전환되면, 상기 와이파이 모듈(250)의 송신 전력을 낮추는 동작을 해제하도록 하는 인스트럭션들을 저장할 수 있다. 상기 메모리는, 실행될 때, 상기 제 2 프로세서(120)가 상기 5G(NR) RRC connected 상태가 다른 상태로 전환되는지 감지하는 동작으로서, 제 1 외부 장치 로부터 제 1 제어 명령을 수신한 것에 응답하여 RRC release 상태로 전환되는지 감지하도록 하는 인스트럭션들을 저장할 수 있다. 상기 메모리는, 실행될 때, 상기 제 2 프로세서(120)가 상기 5G(NR) RRC connected 상태가 다른 상태로 전환되는지 감지하는 동작으로서, 제 2 외부 장치 로부터 제 2 제어 명령을 수신한 것에 응답하여 RRC inactive상태 또는 RRC idle 상태로 전환되는지 감지하도록 하는 인스트럭션들을 저장할 수 있다. 상기 메모리는, 실행될 때, 상기 제 2 프로세서(120)가: 상기 지정된 네트워크를 통한 업링크 송신의 시작을 감지하고, 및 상기 업링크 송신의 시작에 응답하여, 상기 와이파이 모듈(250)의 송신 전력을 낮추도록 하는 인스트럭션들을 저장할 수 있다. 상기 메모리는, 실행될 때, 상기 제 2 프로세서(120)가 상기 업링크 송신의 시작에 응답하여, 상기 와이파이 모듈(250)의 송신 전력을 낮추는 동작으로서, 상기 업링크 송신의 시작 시점으로부터 지정된 시간 동안 상기 와이파이 모듈(250)의 송신 전력을 낮추도록 하는 인스트럭션들을 저장할 수 있다. 상기 메모리는, 실행될 때, 상기 제 2 프로세서(120)가: 상기 와이파이 모듈(250)이 활성화되면, 통화 기능이 실행되는지 감지하고, 및 상기 통화 기능이 실행되면, 상기 와이파이 모듈(250)의 송신 전력을 낮추도록 하는 인스트럭션들을 저장할 수 있다. 상기 메모리는, 실행될 때, 상기 제 2 프로세서(120)가: 상기 와이파이 모듈(250)이 활성화되면, 근접 센서를 통해 외부 오브젝트가 전자 장치(301)에 지정된 거리 이내로 근접하는지 감지하고, 및 상기 근접 센서를 통해 외부 오브젝트가 전자 장치(301)에 지정된 거리 이내로 근접함을 감지하면, 상기 와이파이 모듈(250)의 송신 전력을 낮추도록 하는 인스트럭션들을 저장할 수 있다. 상기 메모리는, 실행될 때, 상기 제 2 프로세서(120)가, 상기 와이파이 모듈(250)의 송신 전력을 낮추는 동작으로서, 상기 와이파이 모듈(250)이 지원하는 적어도 하나의 주파수의 송신 전력을 낮추도록 하는 인스트럭션들을 저장할 수 있다. 상기 메모리는, 실행될 때, 상기 제 2 프로세서(120)가, 상기 와이파이 모듈(250)의 송신 전력을 낮추는 동작으로서, 상기 와이파이 모듈(250)과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의 송신 전력을 낮추도록 하는 인스트럭션들을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예: 도 3의 301)가 송신 전력을 제어하는 방법은, 지정된 네트워크(예: 5G 네트워크)와 무선 통신하는 상태인지 확인하는 동작, 및 지정된 네트워크와 무선 통신하는 상태이면, 와이파이 모듈(예: 도 2의 250)의 송신 전력을 낮추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정된 네트워크와 무선 통신하는 상태인지 확인하는 동작은, 제 1 프로세서(예: 도 2의 214)가 제 2 프로세서(예: 도 2의 120)로부터 수신된 메시지에 기반하여 5G(NR) RRC(radio resource control) connected 상태인 것을 확인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와이파이 모듈(예: 도 2의 250)의 송신 전력을 낮추는 동안, 상기 5G(NR) RRC connected 상태가 다른 상태로 전환되는지 감지하는 동작, 및 상기 5G(NR) RRC connected 상태가 다른 상태로 전환되면, 상기 와이파이 모듈(250)의 송신 전력을 낮추는 동작을 해제하는 동작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5G(NR) RRC connected 상태가 다른 상태로 전환되는지 감지하는 동작은, 제 1 외부 장치 로부터 제 1 제어 명령을 수신한 것에 응답하여 RRC release 상태로 전환되는지 감지하도록 하는 동작, 또는 제 2 외부 장치로부터 제 2 제어 명령을 수신한 것에 응답하여 RRC inactive상태 또는 RRC idle 상태로 전환되는지 감지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와이파이 모듈(250)의 송신 전력을 낮추는 동작은, 상기 지정된 네트워크를 통한 업링크 송신의 시작을 감지하는 동작, 및 상기 업링크 송신의 시작에 응답하여, 상기 와이파이 모듈(250)의 송신 전력을 낮추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와이파이 모듈(250)의 송신 전력을 낮추는 동작은, 통화 기능이 실행되는지 감지하는 동작, 및 상기 통화 기능이 실행되면, 상기 와이파이 모듈(250)의 송신 전력을 낮추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와이파이 모듈(250)의 송신 전력을 낮추는 동작은, 근접 센서를 통해 외부 오브젝트가 전자 장치(301)에 지정된 거리 이내로 근접하는지 감지하는 동작, 및 상기 근접 센서를 통해 외부 오브젝트가 전자 장치(301)에 지정된 거리 이내로 근접함을 감지하면, 상기 와이파이 모듈(250)의 송신 전력을 낮추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와이파이 모듈(250)의 송신 전력을 낮추는 동작은, 상기 와이파이 모듈(250)이 지원하는 적어도 하나의 주파수의 송신 전력을 낮추는 동작, 또는 상기 와이파이 모듈(250)과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의 송신 전력을 낮추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예: 도 3의 301)는, 제 1 주파수 대역에서 통신하는 와이파이 모듈(예: 도 2의 250), 지정된 네트워크 와 제 2 주파수 대역에서 무선 통신하는 통신 모듈, 상기 통신 모듈과 작동적으로 연결된 제 1 프로세서(예: 도 2의 214), 상기 와이파이 모듈(예: 도 2의 250), 및 상기 제 1 프로세서(214)와 작동적으로 연결된 제 2 프로세서(예: 도 2의 120), 및 상기 제 2 프로세서(120)와 작동적으로 연결된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는, 실행될 때, 상기 제 2 프로세서(120)가: 상기 제 1 프로세서(214)로부터 상기 전자 장치(301)가 상기 지정된 네트워크와 무선 통신하는 상태임을 알리는 메시지를 수신하고, 및 상기 메시지에 응답하여 상기 통신 모듈의 송신 전력을 낮추도록 하는 인스트럭션들을 저장할 수 있다.
도 3은 5G 네트워크 환경에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301)의 동작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301)(예: 도 1의 전자 장치(101))는, 제 1 네트워크(예: long term evolution(이하, LTE) 네트워크))를 지원하는 제 1 외부 장치(302)(예: 제 1 기지국)을 이용하여 제 2 네트워크(예: 5G(NR, new radio) 네트워크)를 지원하는 제 2 외부 장치(303)(예: 제 2 기지국)에 액세스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301)는 Non-Stand Alone (NSA) 모드로 운영될 수 있다. 상기 제1 외부 장지(302)는 6GHz 이하 대역에서 통신을 수행하고, 상기 제2 외부 장치는 6GHz 이상 대역에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301)는 와이파이 통신을 수행할 수 있으며, 와이파이 통신을 하는 동안 LTE 및 NR 과 동시에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는 LTE 및 NR 과 동시에 송신 동작을 수행 할 수 있다. 상기 와이파이 통신은 802.11 규격에 기반하고 6GHz 이하 대역에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동작 311에서,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301)는, LTE 통신을 위한 지정된 프로토콜의 설정 정보를 제 1 외부 장치(302)와 교환한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외부 장치(302)와 연결된 connected mode 상태가 될 수 있다.
동작 312 에서,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301)는, 제 1 외부 장치(302)로부터 제 2 네트워크(예: 5G 네트워크)에 액세스하라는 재구성 명령(reconfiguration command)을 수신할 수 있다.
동작 313에서,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301)는, 제 1 외부 장치(302)로부터 수신된 재구성 명령(reconfiguration command)에 응답하여 제 2 외부 장치(303)에 접속하기 위한 지정된 프로토콜의 RA(random access)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동작 314에서,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301)는, 지정된 프로토콜의 RA(random access) 절차를 수행한 결과에 기초하여, 제 2 외부 장치(303)와 연결된 5G(NR) RRC(radio resource control) connected 상태가 될 수 있다.
동작 315에서,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301)는 5G(NR) RRC connected 상태가 되면 , 와이파이 모듈(예: 도 2의 와이파이 모듈(250))의 활성화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301)의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예: 도 2의 제 2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4))는 RA(random access) 절차가 완료되어 5G(NR) RRC connected 상태가 되면, 5G 네트워크를 통한 무선 통신이 시작되었다는 메시지를 생성하여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예: 도 2의 프로세서(120))에게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메시지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4)가 해석할 수 있는 구성(또는 포맷, 형식, 프로토콜 등)을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301)의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120)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4)로부터 전달된 정보에 응답하여, 와이파이 모듈(250)의 활성화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301)의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120)는, 다음과 같은 시나리오들에 기초하여 와이파이 모듈(250)을 활성화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301)의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120)는,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와이파이 모듈(250)을 활성화할 수 있다. 또는, 전자 장치(301)의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120)는, 전자 장치(301)의 장소 정보(예: GPS 정보 또는 고정식 무선 공유기의 IP 주소)를 획득하고, 상기 장소 정보가 미리 설정된 장소에 대응하는 경우 와이파이 모듈(250)을 활성화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301)가 안드로이드TM OS에서 구동되는 경우, 와이파이 모듈(250)은 WifiManger 의 WIFI_STATE_CHANGED_ACTION 을 통해서 상태 변경시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120)에게 알림을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알림에 대한 모니터링은 BroadcastReceiver등록을 통해 가능하며,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120)는 상태 변경 알림인 EXTRA_WIFI_STATE 값을 확인함으로써 통해 와이파이 모듈(250)의 활성화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동작 316에서,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301)는, 와이파이 모듈(250)의 활성화가 감지되면, 와이파이 모듈(250)의 송신 전력을 낮추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301)의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120)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4)로부터 5G 네트워크를 통한 무선 통신이 시작되었다는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정보를 수신한 것에 응답하여 와이파이 모듈(250)의 송신 전력을 낮추도록 와이파이 모듈(250)을 구동하는 드라이버에게 제어 명령을 전송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301)가 안드로이드TM 운영체제(OS)에서 동작하는 경우,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120)는 인텐트-브로드캐스트리시버 (Intent-BroadcastReceiver), 바인더(Binder) 등의 기능을 사용하거나 HAL(Hardware Abstraction Layer or rather Hardware Annotation Library) IDL(Interface Definition Language) 또는 AIDL(Android Interface Definition Language)등을 을 사용하여 와이파이 모듈(250)에게 제어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와이파이 모듈(250)의 송신 전력을 낮추는 것은 와이파이 모듈(250)의 최대 송신 전력을 낮추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301)는 와이파이 모듈(250)의 송신 전력을 낮추는 동안, 추가적으로 LTE 통신의 송신 전력을 낮출 수 있다. 예를 들어 그립 센서에 의해 인체의 근접을 감지하면 LTE 통신의 송신 전력을 낮출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다르면, 전자 장치(301)는 와이파이 모듈(250)이 활성화되면 지정된 이벤트를 감지 하고, 지정된 이벤트가 감지되면 와이파이 모듈(250)의 송신 전력을 낮추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지정된 이벤트는 통화 기능일 수 있고, 전자 장치(301)는 와이파이 모듈(250)이 활성화되면 통화 기능이 실행되는 것에 응답하여 와이파이 모듈(250)의 송신 전력을 낮출 수 있다. 다른 예로, 지정된 이벤트는 근접 센서를 통해 외부 오브젝트가 전자 장치(301)에 근접하는 것일 수 있고, 전자 장치(301)는 근접 센서를 통해 외부 오브젝트가 지정된 거리 이내로 근접함을 감지한 것에 응답하여 와이파이 모듈(250)의 송신 전력을 낮출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301)는 와이파이 모듈(250)의 송신 전력을 낮추는 동작으로서, 와이파이 통신을 지원하는 적어도 하나의 주파수의 송신 전력을 조정하거나, 또는 와이파이 통신을 위해 와이파이 모듈(250)과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의 송신 전력을 조정할 수 있다.
동작 317 및 동작 318에서,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301)는, 와이파이 모듈(250)의 송신 전력을 낮추는 동안, 5G(NR) RRC connected 상태가 다른 상태로 전환되는지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301)는, 와이파이 모듈(250)의 송신 전력을 낮추는 동안 제 1 외부 장치(302)로부터 제 1 제어 명령(예: RRC release 명령)을 수신할 수 있고, 상기 제 1 제어 명령에 응답하여 RRC release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전자 장치(301)의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4)는 제 1 외부 장치(302)로부터 NR release reconfiguration command를 수신하면, 5G(NR) RRC connected 상태가 다른 상태로 전환되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또는, 전자 장치(301)는 SCG failure (RLF, RLC-maxRetransmission 등)가 발생하면 제 1 외부 장치(302)에게 SCGfailure 메시지를 전송하고, 이후 제 1 외부 장치(302)에서 5G 네트워크에 release 하기 위한 reconfiguration command가 수신되면 5G(NR) RRC connected 상태가 다른 상태로 전환되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동작 319에서,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301)는, 5G(NR) RRC connected 상태로부터 다른 상태(예: RRC release 상태)로 전환된 것에 응답하여 와이파이 모듈(250)의 송신 전력을 낮추는 동작을 해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301)의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120)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4)로부터 5G(NR) RRC connected 상태가 다른 상태로 전환되었다는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정보를 수신한 것에 응답하여 와이파이 모듈(250)의 송신 전력을 낮추는 동작을 해제하도록 와이파이 모듈(250)을 구동하는 드라이버에게 제어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도 4는 5G 네트워크 환경에서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301)의 동작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301)는, 5G(NR) RRC connected 상태에서 와이파이 모듈(250)이 활성화되면 제 2 네트워크(예: 5G 네트워크)와 통신하기 위한 안테나의 송신 전력을 낮출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4에 도시된 동작 311 내지 동작 315는 도 3에 도시된 동작 311 내지 동작 315와 동일 또는 유사할 수 있다. 따라서, 이하 설명에서는, 동작 315 이후의 동작들만 설명하기로 한다.
동작 411에서,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301)는, 와이파이 모듈(250)의 활성화가 감지되면, 제 2 네트워크(예: 5G 네트워크)와 통신하기 위한 안테나의 송신 전력을 낮출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301)의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120)는 와이파이 모듈(250)의 활성화를 감지하면,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4)에게 와이파이 모듈(250)이 활성화되었다는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전자 장치(301)의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4)는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120)로부터 와이파이 모듈(250)이 활성화되었다는 정보를 수신하면, 제 2 네트워크(예: 5G 네트워크)와 통신하기 위한 안테나의 송신 전력을 낮출 수 있다. 도 4의 실시예는 전자 장치(301)가 와이파이 모듈(250)을 통해 무선 공유기에 접속한 경우, 대부분의 데이터 통신은 와이파이 통신을 이용하게 되므로,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에 비해 효율적인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면서도 MPE의 수치를 낮출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장치(301)는 추가적으로 LTE 통신의 송신 전력을 낮출 수 있다. 예를 들어 그립 센서에 의해 인체의 근접을 감지하면 LTE 통신의 송신 전력을 낮출 수 있다
동작 412에서,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301)는, 제 2 네트워크(예: 5G 네트워크)와 통신하기 위한 안테나의 송신 전력을 낮추는 동안, 와이파이 모듈(250)이 비활성화되는지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301)의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120)는 사용자 입력에 기반하여 와이파이 기능이 비활성화되는지 감지할 수 있다.
동작 413에서,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301)는, 제 2 네트워크(예: 5G 네트워크)와 통신하기 위한 안테나의 송신 전력을 낮추는 동안, 와이파이 모듈(250)이 비활성화되면(예: 동작 412의 결과가 Yes), 제 2 네트워크(예: 5G 네트워크)와 통신하기 위한 안테나의 송신 전력을 낮추는 동작을 해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301)의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120)는 와이파이 모듈(250)의 비활성화를 감지하면,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4)에게 와이파이 모듈(250)이 비활성화되었다는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전자 장치(301)의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4)는 와이파이 모듈(250)이 비활성화되었다는 정보를 수신하면, 제 2 네트워크(예: 5G 네트워크)와 통신하기 위한 안테나의 송신 전력을 낮추는 동작을 해제할 수 있다.
도 5는 5G 네트워크 환경에서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501)의 동작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501)(예: 도 1의 전자 장치(101))는, 제 1 네트워크(예: long term evolution(이하, LTE) 네트워크))를 지원하는 제 1 외부 장치(302)(예: 도 3의 제 1 외부 장치(302))와는 독립적으로 제 2 네트워크(예: 5G 네트워크)를 지원하는 제 2 외부 장치(502)(예: 제 2 기지국)에 액세스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501)는 Stand-Alone (SA)) 모드로 운영될 수 있다.
동작 511에서,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501)는, 5G 통신을 위한 지정된 프로토콜의 설정 정보를 제 2 외부 장치(502)와 교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501)는 제 2 외부 장치(502)에 접속하기 위한 지정된 프로토콜의 RA(random access)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동작 512에서,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501)는, 지정된 프로토콜의 RA(random access) 절차를 수행한 결과에 기초하여, 제 2 외부 장치(502)와 연결된 RRC(radio resource control) connected 상태가 될 수 있다.
동작 513에서,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501)는 5G(NR) RRC connected 상태가 되면, 와이파이 모듈(예: 도 2의 와이파이 모듈(250))의 활성화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501)의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예: 도 2의 제 2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4))는 RA(random access) 절차가 완료되어 5G(NR) RRC connected 상태가 되면, 5G 네트워크를 통한 무선 통신이 시작되었다는 메시지를 생성하여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예: 도 2의 프로세서(120))에게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메시지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4)가 해석할 수 있는 구성(또는 포맷, 형식, 프로토콜 등)을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501)의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120)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4)로부터 전달된 정보에 응답하여, 와이파이 모듈(250)의 활성화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501)의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120)는, 다음과 같은 시나리오들에 기초하여 와이파이 모듈(250)을 활성화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501)의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120)는,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와이파이 모듈(250)을 활성화할 수 있다. 또는, 전자 장치(501)의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120)는, 전자 장치(501)의 장소 정보(예: GPS 정보 또는 고정식 무선 공유기의 IP 주소)를 획득하고, 상기 장소 정보가 미리 설정된 장소에 대응하는 경우 와이파이 모듈(250)을 활성화할 수 있다.
동작 514에서,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501)는, 와이파이 모듈(250)의 활성화가 감지되면, 와이파이 모듈(250)의 송신 전력을 낮추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501)의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120)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4)로부터 5G 네트워크를 통한 무선 통신이 시작되었다는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정보를 수신한 것에 응답하여 와이파이 모듈(250)의 송신 전력을 낮추도록 와이파이 모듈(250)을 구동하는 드라이버에게 제어 명령을 전송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501)가 안드로이드TM 운영체제(OS)에서 동작하는 경우,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120)는 인텐트-브로드캐스트리시버 (Intent-BroadcastReceiver), 바인더(Binder) 등의 기능을 사용하거나 AIDL(Android Interface Definition Language)등을을 사용하여 와이파이 모듈(250)에게 제어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장치(301)는 추가적으로 LTE 통신의 송신 전력을 낮출 수 있다. 예를 들어 그립 센서에 의해 인체의 근접을 감지하면 LTE 통신의 송신 전력을 낮출 수 있다
동작 515 및 동작 516에서,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501)는, 와이파이 모듈(250)의 송신 전력을 낮추는 동안, 5G(NR) RRC connected 상태가 다른 상태로 전환되는지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501)는, 와이파이 모듈(250)의 송신 전력을 낮추는 동안 제 2 외부 장치(502)로부터 제 2 제어 명령(예: RRC release 명령)을 수신할 수 있고, 상기 제 2 제어 명령에 응답하여 RRC idle 상태 또는 RRC inactive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동작 517에서,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501)는, 5G(NR) RRC connected 상태로부터 다른 상태(예: RRC idle 상태 또는 RRC inactive 상태)로 전환된 것에 응답하여 와이파이 모듈(250)의 송신 전력을 낮추는 동작을 해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501)의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120)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4)로부터 5G(NR) RRC connected 상태가 다른 상태로 전환되었다는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정보를 수신한 것에 응답하여 와이파이 모듈(250)의 송신 전력을 낮추는 동작을 해제하도록 와이파이 모듈(250)을 구동하는 드라이버에게 제어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도 6은 5G 네트워크 환경에서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501)의 동작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501)는, 5G(NR) RRC connected 상태에서 와이파이 모듈(250)이 활성화되면 제 2 네트워크(예: 5G 네트워크)와 통신하기 위한 안테나의 송신 전력을 낮출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6에 도시된 동작 511 내지 동작 513은 도 5에 도시된 동작 511 내지 동작 513과 동일 또는 유사할 수 있다. 따라서, 이하 설명에서는, 동작 513 이후의 동작들만 설명하기로 한다.
동작 611에서,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501)는, 와이파이 모듈(250)의 활성화가 감지되면, 제 2 네트워크(예: 5G 네트워크)와 통신하기 위한 안테나의 송신 전력을 낮출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501)의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120)는 와이파이 모듈(250)의 활성화를 감지하면,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4)에게 와이파이 모듈(250)이 활성화되었다는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전자 장치(501)의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4)는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120)로부터 와이파이 모듈(250)이 활성화되었다는 정보를 수신하면, 제 2 네트워크(예: 5G 네트워크)와 통신하기 위한 안테나의 송신 전력을 낮출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장치(301)는 추가적으로 LTE 통신의 송신 전력을 낮출 수 있다. 예를 들어 그립 센서에 의해 인체의 근접을 감지하면 LTE 통신의 송신 전력을 낮출 수 있다
동작 612에서,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501)는, 제 2 네트워크(예: 5G 네트워크)와 통신하기 위한 안테나의 송신 전력을 낮추는 동안, 와이파이 모듈(250)이 비활성화되는지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501)의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120)는 사용자 입력에 기반하여 와이파이 기능이 비활성화되는지 감지할 수 있다.
동작 613에서,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501)는, 제 2 네트워크(예: 5G 네트워크)와 통신하기 위한 안테나의 송신 전력을 낮추는 동안, 와이파이 모듈(250)이 비활성화되면(예: 동작 412의 결과가 Yes), 제 2 네트워크(예: 5G 네트워크)와 통신하기 위한 안테나의 송신 전력을 낮추는 동작을 해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501)의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120)는 와이파이 모듈(250)의 비활성화를 감지하면,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4)에게 와이파이 모듈(250)이 비활성화되었다는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전자 장치(501)의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4)는 와이파이 모듈(250)이 비활성화되었다는 정보를 수신하면, 제 2 네트워크(예: 5G 네트워크)와 통신하기 위한 안테나의 송신 전력을 낮추는 동작을 해제할 수 있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501)가 업링크 동작에 기초하여 Tx 파워 백오프(backoff)를 수행하는 방법을 설명한 예시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501)는, 5G(NR) RRC connected 상태가 되었더라도 제 2 네트워크(예: 5G 네트워크)를 통한 업링크 송신을 하는 기간에 동기하여 와이파이 모듈(250)의 송신 전력을 낮출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7에서 701은 전자 장치(501)가 5G(NR) RRC connected 상태로 전환된 시작 시점을 의미하고, 도 7에서 702 내지 703의 기간은 업링크 송신을 수행하는 기간을 의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501)는, 전자 장치(501)가 5G(NR) RRC connected 상태로 전환된 시작 시점(701)에는 와이파이 모듈(250)의 송신 전력을 낮추지 않다가, (실제 사용자에게 영향을 미치는 동작인)업링크 송신이 시작되는 시점(702)에 동기하여 와이파이 모듈(250)의 송신 전력을 낮추는 동작을 시작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501)는 업링크 송신의 시작 시점으로부터 지정된 시간 동안 상기 와이파이 모듈(250)의 송신 전력을 낮출 수 있다. 예를 들면, 업링크 송신 이벤트는 매우 빈번하게 발생할 수 있고, 불규칙적으로 발생하기 때문에 업링크 송신 기간에 대응하도록 와이파이 모듈(250)의 송신 전력을 낮출 경우 통신 성능의 저하가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501)는 업링크 송신이 종료되더라도 와이파이 모듈(250)의 송신 전력을 즉시 낮추지 않고, 업링크 송신이 시작된 시점으로부터 지정된 시간 동안은 와이파이 모듈(250)의 송신 전력을 낮출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7의 예시는, 와이파이 모듈(250)의 송신 전력을 낮추는 기간은 업링크 송신이 시작되는 702부터 t1의 시간 동안일 수 있고, 시점 703에서 업링크 송신이 종료되었음에도 와이파이 모듈(250)의 송신 전력을 낮추는 동작이 t2의 시간 동안 유지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501)가 업링크 송신 이벤트를 감지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을 수 있다.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4)는 5G 네트워크의 기지국으로부터 전달 받은 scheduling 정보 에 기초하여 업링크 송신 이벤트가 시작됨을 인지할 수 있고, 업링크 송신 이벤트가 시작되었음을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120)에게 전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501)는, 와이파이 모듈(250)의 송신 전력을 낮추는 동작이 종료된 후에, 5G 네트워크의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uplink grant 정보에 기초하여 추가적인 와이파이 모듈(250)의 송신 전력을 낮추는 동작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다양한 형태의 장치가 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예를 들면, 휴대용 통신 장치 (예: 스마트폰), 컴퓨터 장치, 휴대용 멀티미디어 장치, 휴대용 의료 기기, 카메라, 웨어러블 장치, 또는 가전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전술한 기기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 예들 및 이에 사용된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적 특징들을 특정한 실시 예들로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해당 실시 예의 다양한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또는 관련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아이템에 대응하는 명사의 단수 형은 관련된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지시하지 않는 한, 상기 아이템 한 개 또는 복수 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A 또는 B", "A 및 B 중 적어도 하나",“A 또는 B 중 적어도 하나,”"A, B 또는 C," "A, B 및 C 중 적어도 하나,”및 “A, B, 또는 C 중 적어도 하나"와 같은 문구들 각각은 그 문구들 중 해당하는 문구에 함께 나열된 항목들 중 어느 하나, 또는 그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제 2", 또는 "첫째" 또는 "둘째"와 같은 용어들은 단순히 해당 구성요소를 다른 해당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으며, 해당 구성요소들을 다른 측면(예: 중요성 또는 순서)에서 한정하지 않는다. 어떤(예: 제 1) 구성요소가 다른(예: 제 2) 구성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라는 용어와 함께 또는 이런 용어 없이, “커플드” 또는 “커넥티드”라고 언급된 경우, 그것은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예: 유선으로), 무선으로, 또는 제 3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용어 "모듈"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로 구현된 유닛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로직, 논리 블록, 부품, 또는 회로 등의 용어와 상호 호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모듈은, 일체로 구성된 부품 또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상기 부품의 최소 단위 또는 그 일부가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모듈은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 예들은 기기(machine)(예: 전자 장치(101)) 의해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storage medium)(예: 내장 메모리(136) 또는 외장 메모리(138))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140))로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기(예: 전자 장치(101))의 프로세서(예: 프로세서(120))는, 저장 매체로부터 저장된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 중 적어도 하나의 명령을 호출하고, 그것을 실행할 수 있다. 이것은 기기가 상기 호출된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운영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은 컴파일러에 의해 생성된 코드 또는 인터프리터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 는, 비일시적(non-transitory) 저장매체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비일시적’은 저장매체가 실재(tangible)하는 장치이고, 신호(signal)(예: 전자기파)를 포함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할 뿐이며, 이 용어는 데이터가 저장매체에 반영구적으로 저장되는 경우와 임시적으로 저장되는 경우를 구분하지 않는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computer program product)에 포함되어 제공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상품으로서 판매자 및 구매자 간에 거래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예: compact disc read only memory (CD-ROM))의 형태로 배포되거나, 또는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예: 플레이 스토어TM)를 통해 또는 두개의 사용자 장치들(예: 스마트폰들) 간에 직접, 온라인으로 배포(예: 다운로드 또는 업로드)될 수 있다. 온라인 배포의 경우에,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적어도 일부는 제조사의 서버,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의 서버, 또는 중계 서버의 메모리와 같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적어도 일시 저장되거나, 임시적으로 생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상기 기술한 구성요소들의 각각의 구성요소(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는 단수 또는 복수의 개체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전술한 해당 구성요소들 중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들 또는 동작들이 생략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들 또는 동작들이 추가될 수 있다. 대체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복수의 구성요소들(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은 하나의 구성요소로 통합될 수 있다. 이런 경우, 통합된 구성요소는 상기 복수의 구성요소들 각각의 구성요소의 하나 이상의 기능들을 상기 통합 이전에 상기 복수의 구성요소들 중 해당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것과 동일 또는 유사하게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모듈, 프로그램 또는 다른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들은 순차적으로, 병렬적으로, 반복적으로, 또는 휴리스틱하게 실행되거나, 상기 동작들 중 하나 이상이 다른 순서로 실행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동작들이 추가될 수 있다.
101: 전자 장치
120: 프로세서
130: 메모리
160: 표시 장치

Claims (20)

  1. 전자 장치에 있어서,
    제1주파수 대역에서 통신하는 와이파이 모듈;
    지정된 네트워크와 제2 주파수대역에서 무선 통신하는 통신 모듈;
    상기 통신 모듈과 작동적으로 연결된 제 1 프로세서 ;
    상기 와이파이 모듈, 및 상기 제 1 프로세서와 작동적으로 연결된 제 2 프로세서 , 및
    상기 제 2프로세서와 작동적으로 연결된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는, 실행될 때, 상기 제 2 프로세서가:
    상기 제 1 프로세서로부터 상기 전자 장치가 상기 지정된 네트워크와 무선 통신하는 상태임을 알리는 메시지를 수신하고, 및
    상기 메시지에 응답하여 상기 와이파이 모듈의 송신 전력을 낮추도록 하는 인스트럭션들을 저장하는, 전자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프로세서는, 5G(NR) RRC(radio resource control) connected 상태가 되면, 상기 메시지를 상기 제 2 프로세서에게 전달하고,
    상기 메모리는, 실행될 때, 상기 제 2 프로세서가:
    상기 제 1 프로세서로부터 상기 메시지를 수신한 것에 응답하여, 상기 와이파이 모듈의 활성화 여부를 감지하고, 및
    상기 와이파이 모듈이 활성화되면, 상기 와이파이 모듈의 송신 전력을 낮추도록 하는 인스트럭션들을 저장하는 전자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는, 실행될 때, 상기 제 2 프로세서가:
    상기 와이파이 모듈의 송신 전력을 낮추는 동안, 상기 5G(NR) RRC connected 상태가 다른 상태로 전환되는지 감지하고, 및
    상기 5G(NR) RRC connected 상태가 다른 상태로 전환되면, 상기 와이파이 모듈의 송신 전력을 낮추는 동작을 해제하도록 하는 인스트럭션들을 저장하는 전자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는, 실행될 때, 상기 제 2 프로세서가 상기 5G(NR) RRC connected 상태가 다른 상태로 전환되는지 감지하는 동작으로서,
    제 1 외부 장치 로부터 제 1 제어 명령을 수신한 것에 응답하여 RRC release 상태로 전환되는지 감지하도록 하는 인스트럭션들을 저장하는 전자 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는, 실행될 때, 상기 제 2 프로세서가 상기 5G(NR) RRC connected 상태가 다른 상태로 전환되는지 감지하는 동작으로서,
    제 2 외부 장치 로부터 제 2 제어 명령을 수신한 것에 응답하여 RRC inactive상태 또는 RRC idle 상태로 전환되는지 감지하도록 하는 인스트럭션들을 저장하는 전자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는, 실행될 때, 상기 제 2 프로세서가:
    상기 지정된 네트워크를 통한 업링크 송신의 시작 을 감지하고, 및
    상기 업링크 송신의 시작에 응답하여, 상기 와이파이 모듈의 송신 전력을 낮추도록 하는 인스트럭션들을 저장하는 전자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는, 실행될 때, 상기 제 2 프로세서가 상기 업링크 송신의 시작에 응답하여, 상기 와이파이 모듈의 송신 전력을 낮추는 동작으로서,
    상기 업링크 송신의 시작 시점으로부터 지정된 시간 동안 상기 와이파이 모듈의 송신 전력을 낮추도록 하는 인스트럭션들을 저장하는 전자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는, 실행될 때, 상기 제 2 프로세서가:
    상기 와이파이 모듈이 활성화되면, 통화 기능이 실행되는지 감지하고, 및
    상기 통화 기능이 실행되면, 상기 와이파이 모듈의 송신 전력을 낮추도록 하는 인스트럭션들을 저장하는 전자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는, 실행될 때, 상기 제 2 프로세서가:
    상기 와이파이 모듈이 활성화되면, 근접 센서를 통해 외부 오브젝트가 전자 장치에 지정된 거리 이내로 근접하는지 감지하고, 및
    상기 근접 센서를 통해 외부 오브젝트가 전자 장치에 지정된 거리 이내로 근접함을 감지하면, 상기 와이파이 모듈의 송신 전력을 낮추도록 하는 인스트럭션들을 저장하는 전자 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는, 실행될 때, 상기 제 2 프로세서가, 상기 와이파이 모듈의 송신 전력을 낮추는 동작으로서,
    상기 와이파이 모듈이 지원하는 적어도 하나의 주파수의 송신 전력을 낮추도록 하는 인스트럭션들을 저장하는 전자 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는, 실행될 때, 상기 제 2 프로세서가, 상기 와이파이 모듈의 송신 전력을 낮추는 동작으로서,
    상기 와이파이 모듈과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의 송신 전력을 낮추도록 하는 인스트럭션들을 저장하는 전자 장치.
  12. 전자 장치가 송신 전력을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지정된 네트워크와 무선 통신하는 상태인지 확인하는 동작, 및
    지정된 네트워크와 무선 통신하는 상태이면, 와이파이 모듈의 송신 전력을 낮추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지정된 네트워크와 무선 통신하는 상태인지 확인하는 동작은,
    제 1 프로세서가 제 2 프로세서로부터 수신된 메시지에 기반하여 5G(NR) RRC(radio resource control) connected 상태인 것을 확인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파이 모듈의 송신 전력을 낮추는 동안, 상기 5G(NR) RRC connected 상태가 다른 상태로 전환되는지 감지하는 동작, 및
    상기 5G(NR) RRC connected 상태가 다른 상태로 전환되면, 상기 와이파이 모듈의 송신 전력을 낮추는 동작을 해제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5G(NR) RRC connected 상태가 다른 상태로 전환되는지 감지하는 동작은,
    제 1 외부 장치 로부터 제 1 제어 명령을 수신한 것에 응답하여 RRC release 상태로 전환되는지 감지하도록 하는 동작, 또는
    제 2 외부 장치 로부터 제 2 제어 명령을 수신한 것에 응답하여 RRC inactive상태 또는 RRC idle 상태로 전환되는지 감지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
  16.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파이 모듈의 송신 전력을 낮추는 동작은,
    상기 지정된 네트워크를 통한 업링크 송신의 시작 을 감지하는 동작, 및
    상기 업링크 송신의 시작에 응답하여, 상기 와이파이 모듈의 송신 전력을 낮추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
  17.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파이 모듈의 송신 전력을 낮추는 동작은,
    통화 기능이 실행되는지 감지하는 동작, 및
    상기 통화 기능이 실행되면, 상기 와이파이 모듈의 송신 전력을 낮추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
  18.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파이 모듈의 송신 전력을 낮추는 동작은,
    근접 센서를 통해 외부 오브젝트가 전자 장치에 지정된 거리 이내로 근접하는지 감지하는 동작, 및
    상기 근접 센서를 통해 외부 오브젝트가 전자 장치에 지정된 거리 이내로 근접함을 감지하면, 상기 와이파이 모듈의 송신 전력을 낮추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
  1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파이 모듈의 송신 전력을 낮추는 동작은,
    상기 와이파이 모듈이 지원하는 적어도 하나의 주파수의 송신 전력을 낮추는 동작, 또는
    상기 와이파이 모듈과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의 송신 전력을 낮추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
  20. 전자 장치에 있어서,
    제 1 주파수 대역에서 통신하는 와이파이 모듈;
    지정된 네트워크 와 제 2 주파수 대역에서 무선 통신하는 통신 모듈;
    상기 통신 모듈과 작동적으로 연결된 제 1 프로세서;
    상기 와이파이 모듈, 및 상기 제 1 프로세서와 작동적으로 연결된 제 2 프로세서; 및
    상기 제 2 프로세서와 작동적으로 연결된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는, 실행될 때, 상기 제 2 프로세서가:
    상기 제 1 프로세서로부터 상기 전자 장치가 상기 지정된 네트워크와 무선 통신하는 상태임을 알리는 메시지를 수신하고, 및
    상기 메시지에 응답하여 상기 통신 모듈의 송신 전력을 낮추도록 하는 인스트럭션들을 저장하는 전자 장치.
KR1020190022342A 2019-02-26 2019-02-26 5g 네트워크 통신을 지원하는 전자 장치 및 상기 전자 장치가 송신 전력을 제어하는 방법 Pending KR20200104017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2342A KR20200104017A (ko) 2019-02-26 2019-02-26 5g 네트워크 통신을 지원하는 전자 장치 및 상기 전자 장치가 송신 전력을 제어하는 방법
PCT/KR2020/001214 WO2020175803A1 (en) 2019-02-26 2020-01-23 Electronic device supporting 5g network communication and method for electronic device to control transmit power
US16/785,886 US11304147B2 (en) 2019-02-26 2020-02-10 Electronic device supporting 5G network communication and method for electronic device to control transmit power
EP20157704.6A EP3703432A1 (en) 2019-02-26 2020-02-17 Electronic device supporting 5g network communication and method for electronic device to control transmit pow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2342A KR20200104017A (ko) 2019-02-26 2019-02-26 5g 네트워크 통신을 지원하는 전자 장치 및 상기 전자 장치가 송신 전력을 제어하는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4017A true KR20200104017A (ko) 2020-09-03

Family

ID=696314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2342A Pending KR20200104017A (ko) 2019-02-26 2019-02-26 5g 네트워크 통신을 지원하는 전자 장치 및 상기 전자 장치가 송신 전력을 제어하는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1304147B2 (ko)
EP (1) EP3703432A1 (ko)
KR (1) KR20200104017A (ko)
WO (1) WO2020175803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53747A (ko) 2020-10-22 2022-05-02 주식회사 에스엔와이티 5G MIMO 시스템용 GaN 기반 무선주파수 집적회로
WO2024053843A1 (ko) * 2022-09-08 2024-03-14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tas 제어 방법
US12167348B2 (en) 2021-07-08 2024-12-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controlling transmission power of signal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04017A (ko) * 2019-02-26 2020-09-03 삼성전자주식회사 5g 네트워크 통신을 지원하는 전자 장치 및 상기 전자 장치가 송신 전력을 제어하는 방법
US11595903B2 (en) * 2019-06-21 2023-02-28 Lg Electronics Inc. Electronic device supporting ENDC (EUTRAN (evolved 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 network) NR (new radio) dual connectivity) and a control method of thereof
WO2021042365A1 (en) * 2019-09-06 2021-03-11 Qualcomm Incorporated Uplink cross-carrier scheduling for time division multiplexing carrier aggregation
CN112787745B (zh) * 2021-02-25 2023-06-27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无线通信方法、装置、电子设备、存储介质
CN113543211B (zh) * 2021-06-30 2022-09-30 展讯通信(上海)有限公司 降低信号间干扰的方法及相关产品
CN113423116B (zh) * 2021-08-25 2021-12-24 广州朗国电子科技股份有限公司 基于Android系统的5G热点默认模式的配置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7082253A1 (en) 2006-01-11 2007-07-19 Qualcomm Incorporated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s and apparatus supporting synchronization
WO2013025026A2 (en) * 2011-08-12 2013-02-21 Pantech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in-deivce coexistence inteferenc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O2013048567A1 (en) * 2011-09-30 2013-04-04 Intel Corporation Methods to transport internet traffic over multiple wireless networks simultaneously
JP6309900B2 (ja) * 2012-01-26 2018-04-11 インターデイジタル パテント ホールディング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Lte共存のための動的パラメータ調整
US9307505B2 (en) * 2013-03-12 2016-04-05 Blackberry Limited System and method for adjusting a power transmission level for a communication device
EP2779738B1 (en) 2013-03-12 2018-05-09 BlackBerry Limited System and method for adjusting a power transmission level for a communication for a communication device
CN104244354A (zh) * 2013-06-09 2014-12-24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减少邻频段网络间共设备互扰的方法及装置
EP3614751B1 (en) * 2014-05-15 2021-12-15 LG Electronics Inc. Controlling power in non-licensed band
KR20160017627A (ko) 2014-08-06 2016-02-16 삼성전자주식회사 D2d 단말의 신호 송수신 방법 및 장치
KR102304089B1 (ko) 2014-09-25 2021-09-23 삼성전자 주식회사 단말간 통신의 harq 처리 방법 및 장치
US10397864B2 (en) * 2016-07-05 2019-08-27 Qualcomm Incorporated Enabling low power mode in a mobile device
KR102419492B1 (ko) 2017-03-28 2022-07-11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송신 전력 제어 방법
US10492206B2 (en) * 2017-06-02 2019-11-26 Apple Inc. Coexistence of collocated radios
US10420023B2 (en) * 2018-01-10 2019-09-17 Dell Products, Lp Method and apparatus for multiple radio access technology antenna front end controller integration
US20190246408A1 (en) * 2018-02-02 2019-08-08 Qualcomm Incorporated Wireless coexistence interface signaling in a multiple-wwan scenario
KR20200104017A (ko) * 2019-02-26 2020-09-03 삼성전자주식회사 5g 네트워크 통신을 지원하는 전자 장치 및 상기 전자 장치가 송신 전력을 제어하는 방법
TWI700901B (zh) * 2019-05-06 2020-08-01 瑞昱半導體股份有限公司 無線通訊裝置與其動態抗干擾方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53747A (ko) 2020-10-22 2022-05-02 주식회사 에스엔와이티 5G MIMO 시스템용 GaN 기반 무선주파수 집적회로
US12167348B2 (en) 2021-07-08 2024-12-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controlling transmission power of signal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WO2024053843A1 (ko) * 2022-09-08 2024-03-14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tas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00275383A1 (en) 2020-08-27
US11304147B2 (en) 2022-04-12
WO2020175803A1 (en) 2020-09-03
EP3703432A1 (en) 2020-09-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04147B2 (en) Electronic device supporting 5G network communication and method for electronic device to control transmit power
KR20200099735A (ko) 무선 네트워크 환경에서 핸드오버를 수행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그에 관한 방법
US11442493B2 (en) Electronic device for controlling clock frequency and operating method therefor
EP3780769B1 (en) Electronic device for reducing power consumption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EP4110009A1 (en) Electronic device using plurality of communication methods,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KR20210086268A (ko)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US11503451B2 (en) Device and method for transmitting signals in plurality of frequency bands
KR20200071491A (ko) 안테나를 통해 수신된 신호의 적어도 일부를 감쇄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통신 신호 제어 방법
US20220417645A1 (en) Electronic device for audio, and method for managing power in electronic device for audio
KR20210011166A (ko)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에서 발열 기반의 데이터 처리량 제어 방법
KR20210089854A (ko) 복수의 가입자 식별 모듈을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
KR20190101818A (ko) 안테나 튜닝(tuning)을 수행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방법
US11304178B2 (en) Electronic device for receiving paging message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KR102393824B1 (ko) 복수의 통신 방식들 중 신호의 강도에 기반하여 선택된 통신 방식에 따라 데이터를 전송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작동 방법
KR20210017157A (ko) 다중 연결 환경에서 전송 전력 제어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전자 장치
KR20200144759A (ko) 블루투스 통신 연결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WO2020175769A1 (ko) Dual sim 동작을 동시에 지원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US11546014B2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supporting heterogeneous communication techniques sharing frequency band
US20240322770A1 (e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front end modules for wireless environment
US20230410633A1 (en) Electronic device and loss reporting method therefor
US20220150038A1 (en) Antenna optimization method in multiple connection environment and electronic device using same
EP4145709A1 (en) Electronic device and antenna control method for electronic device
KR20230060412A (ko) 멀티 심(sim)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20210021868A (ko) 셀룰러 통신의 품질 측정 주기를 조절하는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US12200789B2 (en) Electronic device for transmitting data packets in Bluetooth network environment, and method theref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0226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20216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90226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5010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