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200099326A - 콩 함유 이소플라본 추출방법 - Google Patents

콩 함유 이소플라본 추출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99326A
KR20200099326A KR1020190017170A KR20190017170A KR20200099326A KR 20200099326 A KR20200099326 A KR 20200099326A KR 1020190017170 A KR1020190017170 A KR 1020190017170A KR 20190017170 A KR20190017170 A KR 20190017170A KR 20200099326 A KR20200099326 A KR 202000993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ion
isoflavones
solvent
soybeans
isoflavon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171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정운
박건수
박상익
유구상
김효경
임아름
김연무
양희진
정보경
윤장한
정규호
최재우
Original Assignee
유미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미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유미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171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99326A/ko
Publication of KR202000993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99326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1/00Pulses, i.e. fruits of leguminous plants, for production of food; Products from legum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1/05Mashed or comminuted pulses or legumes; Products made therefrom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1/00Pulses, i.e. fruits of leguminous plants, for production of food; Products from legum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1/05Mashed or comminuted pulses or legumes; Products made therefrom
    • A23L11/07Soya beans, e.g. oil-extracted soya bean flak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38Other non-alcoholic beverag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18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skin health and hair or coa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 A23V2250/2116Flavonoids, isoflavones
    • A23V2250/21172Soy Isoflavones, daidzein, genistei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14Extractio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Botany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Mycology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건조 및 분쇄된 콩을 증류수 또는 증류수가 혼합된 60~75%의 에탄올을 용매로 하여 3~5시간 환류 추출하는 콩 함유 이소플라본 추출방법이 소개된다. 생체 활성이 높은 비배당체 성분의 다량 추출이 가능하며, 추출된 이소플라본 성분을 식품, 음료용 등으로 사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콩 함유 이소플라본 추출방법{Method for extracting isoflavones from soybean}
본 발명은 콩에 함유된 이소플라본(isoflavone)을 추출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자극적으로 변해가는 외부 환경, 잘못된 생활 습관, 각종 스트레스 속에 놓인 현대인들에게 있어 피부 노화 방지는 남녀노소할 것 없이 꾸준하고 지속적인 관심의 대상이다.
피부 노화가 외형적으로 나타나는 형태는 주름이다. 외인성 노화에 해당하는 자외선 노출 등에 진행되는 노화는 MMPs(Matrix Metallo Proteases), 특히 MMP-1의 발현이 주요인이다. MMP-1은 콜라겐을 분해 하는 효소로서 피부 주름의 개선을 위해 MMP-1의 발현 억제를 위한 생리활성 성분의 탐색이 요구된다.
여성 호르몬인 에스트로겐(estrogen)이 감소하면 피부 속 수분과 콜라겐이 감소하고 피부 노화 및 피부의 주름으로 진행이 된다고 알려져 있다. 이소플라본은 에스트로겐과 유사한 분자 구조를 가지며 우리 몸에서의 효능도 유사하다고 알려져 있다. 콩에 천연적으로 존재하는 이소플라본 성분을 이용한 MMP-1 발현의 억제 등 피부 노화 방지 및 개선 효과가 기대된다.
콩은 한국 사람의 식생활에서 가장 비중이 큰 단백질 공급원일 뿐만 아니라 수많은 화학제품의 원료로도 활용되고 있다. 콩의 수분 8.6%, 단백질 40%, 지방18%, 섬유질 3.5%, 회분 4.6%, 펜토산 4.4%, 당분 7%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소플라본은 콩에서 유래된 플라보노이드(flavonoid)계 물질로 비배당체인 제니스테인(genistein), 다이드제인(daidzein), 글리시테인(glycitein)과 이들의 배당체(glucoside)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콩의 이소플라본 함유량은 약 0.1~0.4% 정도이고 그 대부분은 제니스틴(genistin) 및 다이드진(daizin)과 같은 배당체 형태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소플라본에 대한 연구는 국내·외에서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며, 주요 효능은 항산화제, 암 유발 억제, 항염증 활성, 심근경색증 및 동맥경화증의 예방 등으로 보고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국내 콩 유전자원의 이소플라본 함량 변이에 관한 논문[한국작물학회지, 51(S):146~151(2006)]에 의하면, 한국산 콩 주요 43품종의 평균 함량은 다이드제인은 484.4±223.9μg/g, 제니스테인은 448.4±156.2μg/g 그리고 글리시테인은 84.9±48.7μg/g으로 콩 100g당 평균 다이드제인은 48.44mg, 제니스테인은 44.84mg 그리고 글리시테인은 8.49mg 정도이다.
콩에 함유된 비배당체 형태의 이소플라본 함량이 극히 적어 종래에는 염산(1N-HCL), 메탄올(methanol), 헥산(hexane) 등 식품용에는 적용할 수 없는 용매를 사용하여 콩에서 이소플라본을 추출하고 성분 분석을 한 것이 대부분이다. 콩에 천연적으로 존재하는 이소플라본 성분을 식품이나 음료용으로도 활용할 수 있는 개선된 이소플라본 추출방법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종래기술에 대한 인식에 기초한 것으로, 콩에서 추출된 이소플라본 성분을 식품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보다 개선된 콩 함유 이소플라본 추출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반드시 위에 언급된 사항에 국한되지 않으며, 미처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이하 기재되는 사항에 의해서도 이해될 수 있을 수 있을 것이다.
위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콩 함유 이소플라본 추출방법은 건조된 선유 콩을 분쇄한 후, 분쇄된 콩을 증류수 또는 증류수와 혼합된 에탄올을 용매로 하여 환류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에탄올 혼합 용매로는 증류가가 혼합된 60~75%의 에탄올을 용매가 바람직하며, 추출시간은 2~5, 나아가 3~5시간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콩 함유 이소플라본 추출방법에 의하면, 콩에서 이소플라본 성분을 상대적으로 다량 추출할 수 있으며 헥산 등의 화학 용매를 사용하지 않으므로 추출된 이소플라본 성분을 식품으로 사용할 수 있다.
환류 추출에 의해 생체 활성이 높은 비배당체 성분을 기존보다 상대적으로 다량 추출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예에 따른 추출 방법과 그에 따른 이소플라본의 수득율을 보인 것이다.
도 2는 도 1의 결과에서 용매 조건별 이소플라본의 수득율을 보인 것이다.
도 3은 도 1의 결과에서 추출 시간별 소플라본의 수득율을 보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여러 특징적인 측면을 이해할 수 있도록 실시예를 들어 보다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첨부된 도면들에서 동일 또는 동등한 구성요소들 또는 부품들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부호로 표시될 수 있고, 도면들은 본 발명의 특징에 대한 명확한 이해와 설명을 위해 과장되게 그리고 개략적으로 도시될 수 있다.
식품이나 음료용으로도 사용할 수 있는 최적의 이소플라본 추출법 도출을 위해 다양한 방법을 이용하여 콩으로부터 이소플라본을 추출하는 연구를 수행하였다. 유의미한 추출법으로 최종적으로는 환류 추출, 냉침 추출 및 초음파(sonication) 추출을 선택하였고, 이 중에서도 환류 추출이 가장 적합하다는 결론을 얻게 되었다.
이하 콩 함유 이소플라본 추출방법을 살펴본다.
2004, 2005년도 하계작물 신품종개발 공동연구 보고서에 따르면 선유콩은 표준 품종인 태광콩에 비해 이소플라본의 비배당체에 해당하는 다이드제인, 제니스테인, 글리시테인과 과 아미노산의 조성이 높고 개화기와 성숙기 또한 빠르며 수확량도 더 9% 높고 전국 어디서나 재배가 가능한 품종으로 알려져 있다.
항노화 활성 효능이 있는 비배당체 이소플라본의 함량이 높은 선유콩이 총 이소플라본 함량의 최적 추출 조건의 탐색에 부합하며, 나아가 이소플라본이 함유된 추출물을 이용한 식품 개발 및 기능성 음료 개발에서도 이소플라본 함량에 대한 경쟁력을 가질 것으로 판단된다. 이하 실험 예에서 콩은 전남산 선유가 사용되었다.
환류 추출은 건조된 콩을 분쇄기로 분쇄한 후, 분쇄된 콩 100g을 이에 20배수에 해당하는 2L의 증류수(D.W.) 혹은 증류수와 혼합된 주정, 즉 에탄올(ethanol: EtoOH)을 넣고 환류장치(미성과학기기, MS-E106, 한국)를 이용하여 열수 추출하는 과정을 반복하는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증류수의 경우 100℃ 도달 후 여러 조건으로 나누어 추출하고, 에탄올 혼합 용매에 의한 추출은 70~80℃ 도달 후 여러 시간 추출하였다. 추출 후에는 종이필터(filter paper)를 이용하여 여과 후 성분 분석을 하였다.
초음파 추출은 앞서 환류 추출에서와 동일하게 건조된 콩을 분쇄기로 분쇄한 후, 초음파 세정기(성동초음파, SDd-350H, 한국)를 이용하여 40℃의 항온수조에서 여러 조건으로 나누어 열수 및 용매 추출을 반복적으로 수행하는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추출 후에는 종이필터를 이용하여 여과 후 성분 분석을 하였다.
초음파 추출은 앞서 환류 추출에서와 동일하게 건조된 콩을 분쇄기로 분쇄한 후, 삼각 플라스크를 이용하여 4℃ 냉장 조건에서 3~5일에 걸쳐 여러 조건으로 반복 추출하는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추출 후에는 종이필터를 이용하여 여과 후 성분 분석을 하였다.
아래 표 1은 여러 실험예들 중에서 몇 가지의 대표적인 추출 조건을추출 방법, 용매별, 시간별로 세분화하여 나타낸 것이다.
Figure pat00001
아래 표 2에는 표 1의 추출 조건별 이소플라본의 수득율을 나타낸 것이다. 각 추출 조건별 수득률의 편차를 조정하기 위해 각각 3회 반복 추출을 한 후 평균값을 기재하였다.
Figure pat00002
도 1에는 추출방법별 이소플라본 수득률이 도시되어 있다. 도 1에서 보듯이 환류 추출이 가장 수득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초음파 추출과 냉침 추출 순으로 유의성 있게 수득률이 나타났으나 초음파 추출과 냉침 추출의 두 조건에서는 큰 수득률 차이가 없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2에는 용매별 방법별 이소플라본 수득률이 도시되어 있다. 도 2에서 보듯이 100% 열수 추출이 가장 높은 수득률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에탄올 용매를 사용한 경우는 열수 추출에 비해 수득량은 낮게 나타났고, 에탄올 용매 60%와 70%의 두 조건에서는 큰 수득률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도 3에는 추출시간별 이소플라본 수득률이 도시되어 있다. 도 3에서 보듯이 에탄올 용매의 환류 추출법에 3시간과 5 시간은 큰 수득률 차이를 나타나지 않으나, 열수 추출에서는 추출 방법과 상관없이 상대적으로 큰 차이를 나타내는 것으로 나타났다.
위와 같은 추출 방법, 용매별 방법 및 추출 시간에 결과를 종합해 보면, 추출방법으로는 환류 추출이 가장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초음파 추출은 이소플라본 추출 수득률이 높게 나타나기도 했으나 콩 추출 이소플라본을 식, 음료로 적용하고자 하는 경우 초음파 추출에 의한 대규모 양산은 어려울 것으로 판단된다. 한편 극성이 상대적으로 강한 100% 열수 추출에서 높은 수득률을 나타나 콩에서는 비교적 극성에 해당하는 성분이 많이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아래 표 3에는 환류 추출법에 의해 추출된 이소플라본 6종에 대한 성분 분석을 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Figure pat00003
표 3에서 보듯이 이소플라본 함량 결과를 보면 배당체 형태의 이소플라본 총 함량이 상대적으로 높은 샘플은 10-A, 10-B, 10-C, 10-D, 10-J, 10-Q, 10-R 등 으로 60% EtOH 환류 추출법과 60% EtOH 냉침 추출법 그리고 100% 증류수 초음파 추출법 에서는 추출 시간과 상관없이 상대적으로 많은 함량이 검출되는 것을 알 수 있다. 특히 샘플 10-C와 10-D에 해당하는 60% EtOH 냉침 추출법이 배당체 형태의 이소플라본을 추출 하는데 가장 최적화 된 추출법으로 판단된다.
활성 성분인 비배당체 형태의 이소플라본 총 함량이 상대적으로 높은 샘플은 10-E, 10-F, 10-G, 10-H로서, 상대적으로 두드러지게 높은 함량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나는 것을 알 수 확인할 수 있다. 10-G, 10-H에 해당하는 70% EtOH 환류 추출법은 활성 성분인 비배당체 형태의 이소플라본 총 함량뿐만 아니라 배당체 형태의 이소플라본 총 함량도 비교적 높은 편이다. 이들 중 샘플 10-H인 70% EtOH 환류 5hr 추출법이 비배당체 형태의 이소플라본은 물론이고 배당체 형태의 이소플라본의 함량도 비교적 높게 나타나, 콩에 천연적으로 존재하는 이소플라본을 추출하는데 가장 최적화 된 추출법이라 판단된다.
이소플라본 최적 추출조건으로 확립한 70% EtOH 환류 5시간 추출법을 토대로 더 명확한 추출조건을 확립하기 위해 추출 시간을 늘려 7시간의 조건을 추가하고, 용매의 양을 원물의 각 30배수와 40배수의 조건을 추가하여 연구해 보았으며 그 결과는 아래 표 4와 표 5에 나타냈다.
Figure pat00004
Figure pat00005
표 4 및 도 5에서 보듯이 배당체 형태의 이소플라본은 추출시간과 용매의 양이 늘어남에 따라 비교적 더 많은 함량이 나타났고, 비배당체 형태의 이소플라본은 확립된 최적추출 조건보다 추출시간 7시간에서 비교적 더 많은 함량이 나타났으나 용매의 양과는 함량 변화의 차이가 크게 나타나지 않는 것을 알 수 있다.
종합해 보면 이소플라본 최적 추출조건으로 확립한 70% EtOH 환류 5시간에 비해 추출시간과 용매의 양을 늘리면 이소플라본의 함량은 비교적 높게 나타날 수 있으나, 제품화에 투자되는 시간과 비용을 대비해보면 70% EtOH 환류 5시간의 조건이 더 생산성에 적합한 추출 조건이라 판단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 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은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형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필요가 있다.

Claims (1)

  1. 건조된 선유 콩을 분쇄한 후, 환류장치를 이용하여 분쇄된 콩을 증류수 또는 증류수가 혼합된 60~75%의 에탄올을 용매로 하여 3~5시간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콩 함유 이소플라본 추출방법.
KR1020190017170A 2019-02-14 2019-02-14 콩 함유 이소플라본 추출방법 Ceased KR2020009932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7170A KR20200099326A (ko) 2019-02-14 2019-02-14 콩 함유 이소플라본 추출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7170A KR20200099326A (ko) 2019-02-14 2019-02-14 콩 함유 이소플라본 추출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9326A true KR20200099326A (ko) 2020-08-24

Family

ID=722353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7170A Ceased KR20200099326A (ko) 2019-02-14 2019-02-14 콩 함유 이소플라본 추출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9932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018666A (zh) * 2021-11-04 2022-02-08 山东东宇生态科技有限公司 一种大豆异黄酮的检测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018666A (zh) * 2021-11-04 2022-02-08 山东东宇生态科技有限公司 一种大豆异黄酮的检测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474930B (en) Recovery of isoflavones from soy molasses
Rickert et al. Effect of extraction pH and temperature on isoflavone and saponin partitioning and profile during soy protein isolate production
JP3967554B2 (ja) フラボノイド化合物及びその製造方法
KR20140137549A (ko) 알코올 분해 효능과 숙취해소가 우수한 헛개나무 추출방법 및 이의 추출물을 함유한 건강기능식품
JP2011178730A (ja) メイラード反応阻害剤およびAGEs生成抑制剤
KR20180117391A (ko) 초임계 추출을 이용한 유자향 정유의 고효율 추출 방법
WO1999035138A1 (fr) Procede de preparation de composes d'isoflavone
KR20200099326A (ko) 콩 함유 이소플라본 추출방법
KR20140026725A (ko) 콩 배아로부터 이소플라본 및 사포닌의 분리정제 방법
JPH0436242A (ja) 大豆サポニンの製造法
KR100832231B1 (ko)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균주 및 이로부터 불쾌취가 적고기능성이 강화된 청국장의 제조방법
JP6976014B1 (ja) 新規ポリフェノール化合物
WO2022254868A1 (ja) 新規イソフラボン化合物
JP2000281673A (ja) イソフラボン化合物の製造法
KR100945670B1 (ko) 청국장 분말을 포함하는 건강 식품 조성물
KR102810611B1 (ko) 유방암 세포 생육 억제 효과를 갖는 신규 하이드록실화 이소플라본 유도체 및 이를 생산하는 곰팡이
JPH11228430A (ja) 脂肪分解促進剤
KR100620568B1 (ko) 초임계/아임계 수를 이용한 콩으로부터 이소플라본의추출, 분리 및 정제방법
JP3967558B2 (ja) フラボノイド化合物の製造方法
KR102803881B1 (ko) 견과류가 포함된 순대 및 그 제조방법
KR100646126B1 (ko) 메밀허브로부터 루틴 추출물 및 루틴 분말을 제조하는 방법
KR102789270B1 (ko) 베르게닌 함량이 증강된 예덕나무 및 코나루스 세미데칸드러스의 프로바이오틱스 발효물을 함유하는 피부톤 개선 및 에너지 부스팅 화장료 조성물
Kim et al. Antioxidant activity and isoflavone profile of Rhynchosia nolubilis seeds pickled in vinegar (chokong)
WO2006065852A1 (en) Methods of using grape seed extract to stimulate tyrosinase expression or melanin synthesis
KR102770582B1 (ko) 항산화, 항염 및/또는 미백 활성이 증진된 병풀과 콩단백의 복합 가공물,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0214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04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200730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200428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