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88852A - 이중 등록 단말 장치 무선 통신의 방법, 단말 장치와 네트워크 장치 - Google Patents
이중 등록 단말 장치 무선 통신의 방법, 단말 장치와 네트워크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00088852A KR20200088852A KR1020207017111A KR20207017111A KR20200088852A KR 20200088852 A KR20200088852 A KR 20200088852A KR 1020207017111 A KR1020207017111 A KR 1020207017111A KR 20207017111 A KR20207017111 A KR 20207017111A KR 20200088852 A KR20200088852 A KR 20200088852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network
- terminal device
- network device
- indication information
- uplink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Withdraw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5—Setup of multiple wireless link connec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5—Setup of multiple wireless link connections
- H04W76/16—Involving different core network technologies, e.g. a packet-switched [PS] bearer in combination with a circuit-switched [CS] bearer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0/00—Affiliation to network, e.g. registration; Terminating affiliation with the network, e.g. de-registration
- H04W60/005—Multiple registrations, e.g. multihoming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0/00—Affiliation to network, e.g. registration; Terminating affiliation with the network, e.g. de-registration
- H04W60/04—Affiliation to network, e.g. registration; Terminating affiliation with the network, e.g. de-registration using triggered event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8/00—User notification, e.g. alerting and paging, for incoming communication, change of service or the like
- H04W68/005—Transmission of information for alerting of incoming communication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46—Resources in time domain, e.g. slots or fram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12—Wireless traffic scheduling
- H04W72/1215—Wireless traffic scheduling for collaboration of different radio technologi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6—Terminal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or having at least two operational modes, e.g. multi-mode termi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출원의 실시예에서는 이중 등록 단말 장치 무선 통신의 방법, 단말 장치와 네트워크 장치를 제공하는 바, 단말 장치가 합리적으로 제1 네트워크 장치와 제2 네트워크 장치 상으로 업링크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해당 방법에는, 해당 단말 장치가 동시에 제1 네트워크와 제2 네트워크에서 등록되고, 해당 단말 장치가 제1 네트워크 장치로 제1 메시지를 송신하는 바, 해당 제1 네트워크 장치는 해당 제1 네트워크 하의 네트워크 장치이며; 해당 단말 장치가 해당 제1 네트워크 장치가 송신하는 구성 정보를 수신하는 바, 해당 구성 정보는 해당 단말 장치가 제1 시간대 내에 제2 네트워크 장치로 업링크 메시지를 송신하도록 지시하고, 해당 제2 네트워크 장치는 해당 제2 네트워크 하의 네트워크 장치인 것이 포함된다.
Description
본 출원은 통신 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이중 등록 단말 장치 무선 통신의 방법, 단말 장치와 네트워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제5세대 이동통신 기술(5-Generation, 5G) 엔알(New Radio, NR) 통신에서, 단말 장치는 두 개의 네트워크(롱텀 에볼루션(Long Term Evolution, LTE)과 NR)에서 동시에 수신(Receive, Rx) 또는 송신(Transmission, Tx)하는 것을 지원할 수 있고, 단말 장치는 두 네트워크에서 모두 등록된다. 단지 단일 송신(1Rx/1Tx)을 지원하는 단말 장치로서,
하나의 등록 네트워크에서 업링크 송신을 진행할 때, 다른 한 등록 네트워크 중에서 데이터 송신을 진행할 수 없는 문제가 존재하며, 어떻게 두 개의 등록 네트워크 중에서 업링크 송신을 구현할 것인가 하는 것은 시급히 해결하여야 할 과제이다.
본출원의 실시예에서는 이중 등록 단말 장치 무선 통신의 방법, 단말 장치와 네트워크 장치를 제공하는 바, 단말 장치가 합리적으로 제1 네트워크 장치와 제2 네트워크 장치 상으로 업링크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제1 방면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는 이중 등록 단말 장치 무선 통신의 방법을 제공하는 바, 해당 단말 장치가 동시에 제1 네트워크와 제2 네트워크에서 등록되며;
해당 방법에는,
해당 단말 장치가 제1 네트워크 장치로 제1 메시지를 송신하는 바, 해당 제1 네트워크 장치는 해당 제1 네트워크 하의 네트워크 장치이며;
해당 단말 장치가, 해당 제1 네트워크 장치가 송신하는 구성 정보를 수신하는 바, 해당 구성 정보는 해당 단말 장치가 제1 시간대 내에 제2 네트워크 장치로 업링크 메시지를 송신하도록 지시하고, 해당 제2 네트워크 장치는 해당 제2 네트워크 하의 네트워크 장치인 것이 포함된다.
그러므로, 본출원의 실시예의 이중 등록 단말 장치 무선 통신의 방법에서, 단말 장치가 제1 네트워크 장치로 제1 메시지를 송신하는 동시에, 제1 네트워크 장치가 송신하는 구성 정보에 의하여 제2 네트워크 장치로 업링크 정보를 송신하여, 단말 장치가 합리적으로 제1 네트워크 장치와 제2 네트워크 장치 상으로 업링크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제1 방면의 일 구현 방식에서, 해당 단말 장치가 해당 제1 네트워크 장치로 해당 제1 메시지를 송신하기 전, 또는 해당 단말 장치가 해당 제1 네트워크 장치로 해당 제1 메시지를 송신할 때, 해당 방법에는 또한,
해당 단말 장치가 해당 제2 네트워크 장치로 제1 지시 정보를 송신하는 바, 해당 제1지시 정보는 해당 단말 장치가 현재 해당 제2 네트워크 장치로 업링크 메시지를 송신할 수 없다는 것을 지시하기 위한 것이거나, 또는 해당 제1 지시 정보는 해당 단말 장치가 해당 제2 네트워크 장치로 업링크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는 시간을 지시하기 위한 것인 것이 포함된다.
그러므로, 본출원의 실시예의 이중 등록 단말 장치 무선 통신의 방법에서, 단말 장치가 제1 네트워크 장치로 업링크 정보를 송신하기 전 또는 동시에, 단말 장치가 제2 네트워크 장치로 업링크 정보를 송신하는 시간을 지시하여, 단말 장치가 합리적으로 제1 네트워크 장치와 제2 네트워크 장치 상으로 업링크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제1 방면의 일 구현 방식에서, 상기 제1 지시 정보에는 제2 시간대가 포함되고, 상기 제1 지시 정보는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제2 시간대 내에 상기 제2 네트워크 장치로 업링크 메시지를 송신할 수 없다는 것을 지시하기 위한 것이다.
선택적으로, 제1 방면의 일 구현 방식에서, 해당 단말 장치가 해당 제1 네트워크 장치가 송신하는 해당 구성 정보를 수신하기 전, 해당 방법에는 또한,
해당 단말 장치가 해당 제1 네트워크 장치로 제2 지시 정보를 송신하는 바, 해당 제2 지시 정보는 해당 단말 장치가 해당 제2 네트워크 장치로 업링크 데이터, 페이징 응답, 위치 업데이트 요청 중의 적어도 한 가지를 송신하여야 한다는 것을 지시하기 위한 것인 것이 포함된다.
선택적으로, 제1 방면의 일 구현 방식에서, 해당 제1 메시지에는 업링크 데이터, 페이징 응답, 위치 업데이트 요청 중의 적어도 한 가지가 포함된다.
선택적으로, 제1 방면의 일 구현 방식에서, 해당 방법에는 또한,
해당 단말 장치가 해당 제2 네트워크 장치로 업링크 메시지를 송신하는 바, 해당 업링크 메시지에는 업링크 데이터, 페이징 응답, 위치 업데이트 요청 중의 적어도 한 가지가 포함되는 것이 포함된다.
선택적으로, 제1 방면의 일 구현 방식에서, 해당 단말 장치가 동시에 해당 제1 네트워크와 해당 제2 네트워크에서 업링크 송신을 진행하는 것을 지원하는 않는다.
선택적으로, 제1 방면의 일 구현 방식에서, 해당 제1 네트워크가 롱텀 에볼루션(LTE) 네트워크이고, 해당 제2 네트워크가 엔알(NR) 네트워크이며, 또는 해당 제1 네트워크가 NR 네트워크이고, 해당 제2 네트워크가 LTE 네트워크이며, 또는 해당 제1 네트워크가 NR 네트워크이고, 해당 제2 네트워크가 NR 네트워크이며, 또는 해당 제1 네트워크가 LTE 네트워크이고, 해당 제2 네트워크가 LTE 네트워크이다.
제2 방면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는 이중 등록 단말 장치 무선 통신의 방법을 제공하는 바, 해당 단말 장치가 동시에 제1 네트워크와 제2 네트워크에서 등록되며;
해당 방법에는,
제1 네트워크 장치가, 해당 단말 장치가 송신하는 제1 메시지를 수신하는 바, 해당 제1 네트워크 장치는 해당 제1 네트워크 하의 네트워크 장치이며;
해당 제1 네트워크 장치가 제2 네트워크 장치로 제1 지시 정보를 송신하는 바, 해당 제1 지시 정보는 해당 단말 장치가 현재 해당 제2 네트워크 장치로 업링크 메시지를 송신할 수 없다는 것을 지시하기 위한 것이거나, 또는 해당 제1 지시 정보는 해당 단말 장치가 해당 제2 네트워크 장치로 업링크 메시지를 송신하는 시간을 지시하기 위한 것이고, 해당 제2 네트워크 장치는 해당 제2 네트워크 하의 네트워크 장치인 것이 포함된다.
그러므로, 본출원의 실시예의 이중 등록 단말 장치 무선 통신의 방법에서, 제1 네트워크 장치가, 단말 장치가 송신하는 제1 메시지를 수신하고, 제1 네트워크 장치가 제2 네트워크 장치로 지시 정보를 송신하여, 단말 장치가 제2 네트워크 장치로 업링크 정보를 송신하는 시간을 지시하여, 단말 장치가 합리적으로 제1 네트워크 장치와 제2 네트워크 장치 상으로 업링크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제2 방면의 일 구현 방식에서, 해당 방법에는 또한,
해당 제1 네트워크 장치가 해당 단말 장치로 구성 정보를 송신하는 바, 해당 구성 정보는 해당 단말 장치가 제1 시간대 내에 해당 제2 네트워크 장치로 업링크 메시지를 송신하도록 지시하고, 해당 제2 네트워크 장치는 해당 제2 네트워크 하의 네트워크 장치인 것이 포함된다.
선택적으로, 제2 방면의 일 구현 방식에서, 해당 제1 네트워크 장치가, 해당 단말 장치가 송신하는 해당 구성 정보를 수신하기 전, 해당 방법에는 또한,
해당 제1 네트워크 장치가, 해당 단말 장치가 송신하는 지시 정보를 수신하는 바, 해당 지시 정보는 해당 단말 장치가 해당 제2 네트워크 장치로 업링크 데이터, 페이징 응답, 위치 업데이트 요청 중의 적어도 한 가지를 송신하여야 한다는 것을 지시하기 위한 것인 것이 포함된다.
선택적으로, 제2 방면의 일 구현 방식에서, 해당 방법에는 또한,
해당 제1 네트워크 장치가 해당 단말 장치로 제2 지시 정보를 송신하는 바, 해당 제2 지시 정보는 해당 단말 장치가 제2 시간대 내에 해당 제2 네트워크 장치로 업링크 메시지를 송신하도록 지시하기 위한 것인 것이 포함된다.
선택적으로, 제2 방면의 일 구현 방식에서, 해당 제1 메시지에는 업링크 데이터, 페이징 응답, 위치 업데이트 요청 중의 적어도 한 가지가 포함된다.
선택적으로, 제2 방면의 일 구현 방식에서, 해당 업링크 메시지에는 업링크 데이터, 페이징 응답, 위치 업데이트 요청 중의 적어도 한 가지가 포함된다.
선택적으로, 제2 방면의 일 구현 방식에서, 해당 단말 장치가 동시에 해당 제1 네트워크와 해당 제2 네트워크에서 업링크 송신을 진행하는 것을 지원하는 않는다.
선택적으로, 제2 방면의 일 구현 방식에서, 해당 제1 네트워크가 롱텀 에볼루션(LTE) 네트워크이고, 해당 제2 네트워크가 엔알(NR) 네트워크이며, 또는 해당 제1 네트워크가 NR 네트워크이고, 해당 제2 네트워크가 LTE 네트워크이며, 또는 해당 제1 네트워크가 NR 네트워크이고, 해당 제2 네트워크가 NR 네트워크이며, 또는 해당 제1 네트워크가 LTE 네트워크이고, 해당 제2 네트워크가 LTE 네트워크이다.
제3 방면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는 이중 등록 단말 장치 무선 통신의 방법을 제공하는 바, 해당 단말 장치가 동시에 제1 네트워크와 제2 네트워크에서 등록되며;
해당 방법에는,
제2 네트워크 장치가, 제1 장치가 송신하는 지시 정보를 수신하는 바, 해당 지시 정보는 해당 단말 장치가 현재 해당 제2 네트워크 장치로 업링크 메시지를 송신할 수 없다는 것을 지시하기 위한 것이거나, 또는 해당 지시 정보는 해당 단말 장치가 해당 제2 네트워크 장치로 업링크 메시지를 송신하는 시간을 지시하기 위한 것이고, 해당 제2 네트워크 장치는 해당 제2 네트워크 하의 네트워크 장치이며;
해당 제2 네트워크 장치가 해당 지시 정보에 의하여, 해당 단말 장치가 송신하는 업링크 메시지를 수신하는 시점을 결정하는 것이 포함된다.
그러므로, 본출원의 실시예의 이중 등록 단말 장치 무선 통신의 방법에서, 제2 네트워크 장치가 제1 장치가 송신하는 지시 정보를 수신하고, 또한 지시 정보에 의하여 단말 장치에서 송신하는 업링크 정보를 수신하여, 단말 장치가 합리적으로 제1 네트워크 장치와 제2 네트워크 장치 상으로 업링크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제3 방면의 일 구현 방식에서, 해당 제2 네트워크 장치가, 해당 단말 장치가 송신하는 해당 지시 정보를 수신하기 전, 해당 방법에는 또한,
해당 제2 네트워크 장치가 해당 단말 장치로 페이징 메시지를 송신하는 것이 포함된다.
선택적으로, 제3 방면의 일 구현 방식에서, 해당 방법에는 또한,
해당 제2 네트워크 장치가, 해당 단말 장치가 송신하는 업링크 메시지를 수신하는 것이 포함된다.
선택적으로, 제3 방면의 일 구현 방식에서, 해당 업링크 메시지에는 업링크 데이터, 페이징 응답, 위치 업데이트 요청 중의 적어도 한 가지가 포함된다.
선택적으로, 제3 방면의 일 구현 방식에서, 해당 제1 장치가 해당 단말 장치 또는 제1 네트워크 장치이고, 해당 제1 네트워크 장치가 해당 제1 네트워크 하의 네트워크 장치다.
선택적으로, 제3 방면의 일 구현 방식에서, 해당 단말 장치가 동시에 해당 제1 네트워크와 해당 제2 네트워크에서 업링크 송신을 진행하는 것을 지원하는 않는다.
선택적으로, 제3 방면의 일 구현 방식에서, 해당 제1 네트워크가 롱텀 에볼루션(LTE) 네트워크이고, 해당 제2 네트워크가 엔알(NR) 네트워크이며, 또는 해당 제1 네트워크가 NR 네트워크이고, 해당 제2 네트워크가 LTE 네트워크이며, 또는 해당 제1 네트워크가 NR 네트워크이고, 해당 제2 네트워크가 NR 네트워크이며, 또는 해당 제1 네트워크가 LTE 네트워크이고, 해당 제2 네트워크가 LTE 네트워크이다.
제4 방면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는 단말 장치를 제공하는 바, 제1 방면 또는 제1 방면의 어느 한 선택가능한 구현 방식 중의 방법의 모듈 또는 유닛을 실행할 수 있다.
제5 방면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는 네트워크 장치를 제공하는 바, 제2 방면 또는 제2 방면의 어느 한 선택가능한 구현 방식 중의 방법의 모듈 또는 유닛을 실행할 수 있다.
제6 방면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는 네트워크 장치를 제공하는 바, 제3 방면 또는 제3 방면의 어느 한 선택가능한 구현 방식 중의 방법의 모듈 또는 유닛을 실행할 수 있다.
제7 방면으로, 단말 장치를 제공하는 바, 해당 단말 장치에는 프로세서, 기억장치와 통신 인터페이스가 포함된다. 프로세서는 기억장치 및 통신 인터페이스와 연결된다. 기억장치는 명령을 저장하고, 프로세서는 해당 명령을 실행하며, 통신 인터페이스는 프로세서의 제어 하에서 기타 네트워크 요소와 통신을 진행한다. 해당 프로세서가, 해당 기억장치가 해당 기억장치에 저장한 명령을 실행할 때, 해당 프로세서는 제1 방면 또는 제1 방면의 어느 한 가능한 구현 방식 중의 방법을 실행한다.
제8 방면으로, 네트워크 장치를 제공하는 바, 해당 네트워크 장치에는 프로세서, 기억장치와 통신 인터페이스가 포함된다. 프로세서는 기억장치 및 통신 인터페이스와 연결된다. 기억장치는 명령을 저장하고, 프로세서는 해당 명령을 실행하며, 통신 인터페이스는 프로세서의 제어 하에서 기타 네트워크 요소와 통신을 진행한다. 해당 프로세서가, 해당 기억장치가 저장한 명령을 실행할 때, 해당 프로세서는 제2 방면 또는 제2 방면의 어느 한 가능한 구현 방식 중의 방법을 실행한다.
제9 방면으로, 네트워크 장치를 제공하는 바, 해당 네트워크 장치에는 프로세서, 기억장치와 통신 인터페이스가 포함된다. 프로세서는 기억장치 및 통신 인터페이스와 연결된다. 기억장치는 명령을 저장하고, 프로세서는 해당 명령을 실행하며, 통신 인터페이스는 프로세서의 제어 하에서 기타 네트워크 요소와 통신을 진행한다. 해당 프로세서가, 해당 기억장치가 저장한 명령을 실행할 때, 해당 프로세서는 제3 방면 또는 제3 방면의 어느 한 가능한 구현 방식 중의 방법을 실행한다.
제10 방면으로, 컴퓨터 저장 매체를 제공하는 바, 해당 컴퓨터 저장 매체에는 프로그램 코드가 저장되어 있고, 해당 프로그램 코드는 컴퓨터가 상기 각 방면의 방법을 실행하도록 지시한다.
제11 방면으로, 명령이 포함된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을 제공하는 바, 이가 컴퓨터 상에서 실행될 때, 컴퓨터가 상기 각 방면의 방법을 실행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일 응용 상황 도면이다.
도 2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의한 일 이중 등록 단말 장치 무선 통신의 방법의 예시적 흐름도.
도 3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의한 다른 일 이중 등록 단말 장치 무선 통신의 방법의 예시적 흐름도.
도 4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의한 또 다른 일 이중 등록 단말 장치 무선 통신의 방법의 예시적 흐름도.
도 5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의한 단말 장치의 예시적 블록도.
도 6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의한 일 네트워크 장치의 예시적 블록도.
도 7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의한 다른 일 네트워크 장치의 예시적 블록도.
도 8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무선 통신의 장치의 예시적 블록도.
도 9는 본 출원의 실시예의 시스템 칩의 예시적 구조도.
도 2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의한 일 이중 등록 단말 장치 무선 통신의 방법의 예시적 흐름도.
도 3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의한 다른 일 이중 등록 단말 장치 무선 통신의 방법의 예시적 흐름도.
도 4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의한 또 다른 일 이중 등록 단말 장치 무선 통신의 방법의 예시적 흐름도.
도 5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의한 단말 장치의 예시적 블록도.
도 6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의한 일 네트워크 장치의 예시적 블록도.
도 7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의한 다른 일 네트워크 장치의 예시적 블록도.
도 8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무선 통신의 장치의 예시적 블록도.
도 9는 본 출원의 실시예의 시스템 칩의 예시적 구조도.
아래 본 출원 실시예 중의 도면을 참조하여 본 출원 실시예 중의 기술방안에 대하여 명확하고 완전한 설명을 진행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의 기술방안은 여러 가지 통신 시스템, 예를 들면 롱텀 에볼루션(Long Term Evolution, LTE) 시스템, LTE 주파수 분할 듀플렉스(Frequency Division Duplex, FDD) 시스템, LTE 시간 분할 듀플렉스(Time Division Duplex, TDD) 시스템, 범용 이동통신 시스템(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ystem, UMTS), 월드와이드 상호운영성 마이크로파 접속(Worldwide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WiMAX) 통신 시스템 또는 5G NR통신 시스템 등에 적용될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 중의 단말 장치는 사용자 단말(User Equipment, UE), 접속 단말, 사용자 유닛, 사용자 스테이션, 이동 무선 스테이션, 이동 스테이션, 원격 스테이션, 원격 단말, 이동 장치, 사용자 단말, 단말, 무선통신 장치, 사용자 에이전트 또는 사용자 장치일 수 있다. 접속 단말은 셀룰로오스 전화, 무선 전화, 세션 개시 프로토콜(Session Initiation Protocol, SIP) 전화, 무선 로컬 루프(Wireless Local Loop, WLL) 스테이션, 개인용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무선통신 기능을 갖는 핸드핼드 장치, 컴퓨팅 장치 또는 무선 모뎀에 연결된 기타 처리 장치, 차량용 장치, 웨어러블 장치, 5G 네트워크 중의 단말 장치 또는 미래 향상된 공공 지상 모바일 네트워크(Public Land Mobile Network, PLMN) 중의 단말 장치 등일 수 있으나, 본 출원의 실시예는 이를 제한하지 않는다.
본 출원은 네트워크 장치를 참조하여 각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 중의 네트워크 장치는 단말 장치와 통신을 진행하기 위한 장치일 수 있으며, 해당 접속 네트워크 장치는 LTE 시스템 중의 향상된 기지국(Evolutional NodeB, eNB 또는 eNodeB)일 수도 있고, 또는 클라우드 무선 접속 네트워크(Cloud Radio Access Network, CRAN) 환경 하의 무선 제어기일 수 있거나, 또는 해당 접속 네트워크 장치는 중계국, 접속점, 차량용 장치, 웨어러블 장치, 차세대 향상된 기지국(Next Generation Evolutional NodeB, NG-eNB) 및 5G 네트워크 중의 접속 네트워크 장치(예를 들면, gNB) 또는 미래 향상된 공공 지상 모바일 네트워크(Public Land Mobile Network, PLMN) 중의 접속 네트워크 장치 등일 수 있으나, 본 출원의 실시예는 이를 제한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일 응용 상황의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무선 통신 시스템(100) 중의 단말 장치(110)는 링크를 통하여 네트워크 A에 등록되고, 링크2를 통하여 네트워크 B에 등록되며, 단말 장치(110)는 링크1을 통하여 코어 네트워크 장치(120) 및 접속 네트워크 장치(130)와 통신 연결되고, 단말 장치(110)는 링크2를 통하여 코너 네트워크 장치(140) 및 접속 네트워크 장치(150)와 연결된다. 코어 네트워크 장치(120)와 접속 네트워크 장치(130)가 통신 연결되고, 코어 네트워크 장치(140)와 접속 네트워크 장치(150)가 통신 연결된다. 코어 네트워크 장치(120)와 코어 네트워크 장치(140)가 동시에 단말 장치(110)를 위하여 서비스하고, 본 출원의 실시예는 이에 대하여 제한하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해당 무선 통신 시스템(100)에는 또한 기타 네트워크 실체가 포함될 수 있으며, 본 출원의 실시예는 이에 대하여 제한하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네트워크 A가 LTE 네트워크이고, 네트워크 B가 NR 네트워크이며, 또는 네트워크 A가 NR 네트워크이고, 네트워크 B가 LTE 네트워크이며, 또는 네트워크 A가 NR 네트워크이고, 네트워크 B가 NR 네트워크이며, 또는 네트워크 A가 LTE 네트워크이고, 네트워크 B가 LTE 네트워크이다.
선택적으로, LTE 네트워크 하의 코어 네트워크 장치가 이동성 관리 실체(Mobility Management Entity, MME)이고, 접속 네트워크 장치가 eNB이며; NR 네트워크 하의 코어 네트워크 장치가 접속 및 이동성 관리 기능(Access and Mobility Management Function, AMF)이고, 접속 네트워크 장치가 gNB이다.
그리고, 본 출원의 각 방면 또는 특징은 방법, 장치 또는 표준 프로그래밍 및/또는 공정 기술을 사용하는 제품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출원에 사용되는 용어 "제품"은 임의의 컴퓨터 판독가능 장치, 캐리어 또는 매체로부터 방문할 수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한다. 예를 들면,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에는 자기 기억장치(예를 들면,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켓 또는 자기 테이프 등), 광디스크(예를 들면, 압축 디스크(Compact Disc, CD), 디지털 범용 디스크(Digital Versatile Disc, DVD) 등), 스마트 카드와 플래시 메모리 장치(예를 들면, 소거가능 프로그램가능 읽기전용 메모리(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EPROM), 카드, 스틱 또는 키 드라이버 등)가 포함되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그리고, 본문에 기재된 여러 가지 저장 매체는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하나 또는 다수의 장치 및/또는 기타 기계 판독가능 매체를 대표할 수 있다. 용어 "기계 판독가능 매체"에는 명령 및/또는 데이터를 저장, 포함 및/또는 베어링하는 여러 가지 매체가 포함되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의 용어 "시스템"과 "네트워크"는 본 명세서에서 경상적으로 서로 바꾸어 사용할 수 있다. 본 명세서 중의 용어 "및/또는"은 단지 관련 대상의 관련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세 가지 관계가 존재할 수 있다는 것을 표시하는 바, 예를 들면 A 및/또는 B는 단독으로 A가 존재하거나, 동시에 A와 B가 존재하거나, 단독으로 B가 존재하는 세 가지 상황을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부호"/"는 일반적으로 전후 관련 대상이 "또는"의 관계라는 것을 표시한다.
도 2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의한 일 이중 등록 단말 장치 무선 통신의 방법(200)의 예시적 흐름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방법(200)은 단말 장치가 실행할 수 있고, 해당 단말 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단말 장치일 수 있으며, 해당 단말 장치가 동시에 제1 네트워크와 제2 네트워크에서 등록되고, 해당 방법(200)에는 하기 단계가 포함된다.
210: 해당 단말 장치가 제1 네트워크 장치로 제1 메시지를 송신하는 바, 해당 제1 네트워크 장치는 해당 제1 네트워크 하의 네트워크 장치다.
선택적으로, 해당 단말 장치가 동시에 해당 제1 네트워크와 해당 제2 네트워크에서 업링크 송신을 진행하는 것을 지원하는 않는다.
예를 들면, 해당 단말 장치는 단지 단일 송신(1Tx, 2Rx/1Tx와 1Rx/1Tx)을 지원한다.
선택적으로, 해당 제1 메시지에는 업링크 데이터, 페이징 응답, 위치 업데이트 요청 중의 적어도 한 가지가 포함된다.
선택적으로, 해당 제1 네트워크가 LTE 네트워크이고, 해당 제2 네트워크가 NR 네트워크이며, 또는 해당 제1 네트워크가 NR 네트워크이고, 해당 제2 네트워크가 LTE 네트워크이며, 또는 해당 제1 네트워크가 NR 네트워크이고, 해당 제2 네트워크가 NR 네트워크이며, 또는 해당 제1 네트워크가 LTE 네트워크이고, 해당 제2 네트워크가 LTE 네트워크이다.
선택적으로, 해당 제1 네트워크 장치는 코어 네트워크 장치일 수도 있고, 또한 접속 네트워크 장치일 수도 있는 바, 예를 들면, 만일 해당 제1 네트워크가 LTE 네트워크라면, 해당 제1 네트워크 장치는 MME일 수도 있고, 또한 eNB일 수도 있다.
220: 해당 단말 장치가 해당 제1 네트워크 장치가 송신하는 구성 정보를 수신하는 바, 해당 구성 정보는 해당 단말 장치가 제1 시간대 내에 제2 네트워크 장치로 업링크 메시지를 송신하도록 지시하고, 해당 제2 네트워크 장치는 해당 제2 네트워크 하의 네트워크 장치다.
선택적으로, 제1 시간대는 타이머(Timer)를 통하여 정의할 수 있고, 타이머가 타임아웃될 때, 즉 제1 시간대가 종료되었을 뜻하며, 단말은 제2 네트워크 장치로 업링크 메시지를 송신할 수 없고, 단지 제1 네트워크 장치와 업링크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해당 제2 네트워크 장치는 불연속 수신(Discontinuous Reception, DRX) 방식을 사용하여 다른 시간대에서 단말 장치가 송신하는 업링크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해당 업링크 메시지에는 업링크 데이터, 페이징 응답, 위치 업데이트 요청 중의 적어도 한 가지가 포함된다.
선택적으로, 해당 제2 네트워크 장치는 코어 네트워크 장치일 수도 있고, 또한 접속 네트워크 장치일 수도 있는 바, 예를 들면, 만일 해당 제2 네트워크가 NR 네트워크라면, 해당 제2 네트워크 장치는 AME일 수도 있고, 또한 gNB일 수도 있다.
선택적으로, 해당 제1 네트워크 장치가 해당 제1 시간대를 구성하여, 해당 단말 장치가, 해당 제2 네트워크 장치가 이로 업링크 정보를 송신하는 시점을 통지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해당 단말 장치가 해당 제1 네트워크 장치로 해당 제1 메시지를 송신하기 전, 또는 해당 단말 장치가 해당 제1 네트워크 장치로 해당 제1 메시지를 송신할 때, 해당 방법에는 또한,
해당 단말 장치가 해당 제2 네트워크 장치로 제1 지시 정보를 송신하는 바, 해당 제1지시 정보는 해당 단말 장치가 현재 해당 제2 네트워크 장치로 업링크 메시지를 송신할 수 없다는 것을 지시하기 위한 것이거나, 또는 해당 제1 지시 정보는 해당 단말 장치가 해당 제2 네트워크 장치로 업링크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는 시간을 지시하기 위한 것인 것이 포함된다.
선택적으로, 해당 제1 지시 정보에는 제2 시간대가 포함되고, 상기 제1 지시 정보는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제2 시간대 내에 상기 제2 네트워크 장치로 업링크 메시지를 송신할 수 없다는 것을 지시하기 위한 것이다.
선택적으로, 해당 제2 시간대의 기간은 해당 제1 시간대와 같거나, 또는 해당 제1 시간대보다 약간 클 수 있다.
선택적으로, 해당 단말 장치는 해당 제1 메시지의 송신을 완성한 후, 해당 제2 네트워크 장치로 업링크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해당 단말 장치가, 해당 제1 네트워크 장치가 송신하는 해당 구성 정보를 수신하기 전, 해당 방법에는 또한,
해당 단말 장치가 해당 제1 네트워크 장치로 제2 지시 정보를 송신하는 바, 해당 제2 지시 정보는 해당 단말 장치가 해당 제2 네트워크 장치로 업링크 데이터, 페이징 응답, 위치 업데이트 요청 중의 적어도 한 가지를 송신하여야 한다는 것을 지시하기 위한 것인 것이 포함된다.
선택적으로, 해당 방법에는 또한, 해당 단말 장치가 해당 제2 네트워크 장치로 업링크 메시지를 송신하는 것이 포함된다.
그러므로, 본출원의 실시예의 이중 등록 단말 장치 무선 통신의 방법에서, 단말 장치가 제1 네트워크 장치로 제1 메시지를 송신하는 동시에, 제1 네트워크 장치가 송신하는 구성 정보에 의하여 제2 네트워크 장치로 업링크 정보를 송신하여, 단말 장치가 합리적으로 제1 네트워크 장치와 제2 네트워크 장치 상으로 업링크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도 3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의한 일 이중 등록 단말 장치 무선 통신의 방법(300)의 예시적 흐름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방법(300)은 제1 네트워크 장치가 실행할 수 있고, 해당 제1 네트워크 장치는 도 1에 도시된 코어 네트워크 장치 또는 접속 네트워크 장치일 수 있으며, 해당 단말 장치가 동시에 제1 네트워크와 제2 네트워크에서 등록되고, 해당 방법(300)에는 하기 단계가 포함된다.
310: 제1 네트워크 장치가, 해당 단말 장치가 송신하는 제1 메시지를 수신하는 바, 해당 제1 네트워크 장치는 해당 제1 네트워크 하의 네트워크 장치다.
선택적으로, 해당 제1 메시지에는 업링크 데이터, 페이징 응답, 위치 업데이트 요청 중의 적어도 한 가지가 포함된다.
선택적으로, 해당 단말 장치가 동시에 해당 제1 네트워크와 해당 제2 네트워크에서 업링크 송신을 진행하는 것을 지원하는 않는다.
선택적으로, 해당 제1 네트워크가 롱텀 에볼루션(LTE) 네트워크이고, 해당 제2 네트워크가 엔알(NR) 네트워크이며, 또는 해당 제1 네트워크가 NR 네트워크이고, 해당 제2 네트워크가 LTE 네트워크이며, 또는 해당 제1 네트워크가 NR 네트워크이고, 해당 제2 네트워크가 NR 네트워크이며, 또는 해당 제1 네트워크가 LTE 네트워크이고, 해당 제2 네트워크가 LTE 네트워크이다.
320: 해당 제1 네트워크 장치가 제2 네트워크 장치로 제1 지시 정보를 송신하는 바, 해당 제1 지시 정보는 해당 단말 장치가 현재 해당 제2 네트워크 장치로 업링크 메시지를 송신할 수 없다는 것을 지시하기 위한 것이거나, 또는 해당 지시 정보는 해당 단말 장치가 해당 제2 네트워크 장치로 업링크 메시지를 송신하는 시간을 지시하기 위한 것이고, 해당 제2 네트워크 장치는 해당 제2 네트워크 하의 네트워크 장치다.
선택적으로, 해당 방법에는 또한,
해당 제1 네트워크 장치가 해당 단말 장치로 구성 정보를 송신하는 바, 해당 구성 정보는 해당 단말 장치가 제1 시간대 내에 제2 네트워크 장치로 업링크 메시지를 송신하도록 지시하고, 해당 제2 네트워크 장치는 해당 제2 네트워크 하의 네트워크 장치인 것이 포함된다.
선택적으로, 해당 제1 네트워크 장치가, 해당 단말 장치가 송신하는 해당 구성 정보를 수신하기 전, 해당 방법에는 또한,
해당 제1 네트워크 장치가, 해당 단말 장치가 송신하는 지시 정보를 수신하는 바, 해당 지시 정보는 해당 단말 장치가 해당 제2 네트워크 장치로 업링크 데이터, 페이징 응답, 위치 업데이트 요청 중의 적어도 한 가지를 송신하여야 한다는 것을 지시하기 위한 것인 것이 포함된다.
선택적으로, 해당 방법에는 또한,
해당 제1 네트워크 장치가 해당 단말 장치로 제2 지시 정보를 송신하는 바, 해당 제2 지시 정보는 해당 단말 장치가 제2 시간대 내에 해당 제2 네트워크 장치로 업링크 메시지를 송신하도록 지시하기 위한 것인 것이 포함된다.
선택적으로, 해당 업링크 메시지에는 업링크 데이터, 페이징 응답, 위치 업데이트 요청 중의 적어도 한 가지가 포함된다.
이중 등록 단말 장치 무선 통신의 방법(300) 중의 단계는 이중 등록 단말 장치 무선 통신의 방법(200) 중의 상응한 단계의 설명을 참조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며, 간략화를 위하여 여기에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그러므로, 본출원의 실시예의 이중 등록 단말 장치 무선 통신의 방법에서, 제1 네트워크 장치가, 단말 장치가 송신하는 제1 메시지를 수신하고, 제1 네트워크 장치가 제2 네트워크 장치로 지시 정보를 송신하여, 단말 장치가 제2 네트워크 장치로 업링크 정보를 송신하는 시간을 지시하여, 단말 장치가 합리적으로 제1 네트워크 장치와 제2 네트워크 장치 상으로 업링크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도 4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의한 일 이중 등록 단말 장치 무선 통신의 방법(400)의 예시적 흐름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방법(400)은 제2 네트워크 장치가 실행할 수 있고, 해당 제2 네트워크 장치는 도 1에 도시된 코어 네트워크 장치 또는 접속 네트워크 장치일 수 있으며, 해당 단말 장치가 동시에 제1 네트워크와 제2 네트워크에서 등록되고, 해당 방법(400)에는 하기 단계가 포함된다.
410: 제2 네트워크 장치가, 제1 장치가 송신하는 지시 정보를 수신하는 바, 해당 지시 정보는 해당 단말 장치가 현재 해당 제2 네트워크 장치로 업링크 메시지를 송신할 수 없다는 것을 지시하기 위한 것이거나, 또는 해당 지시 정보는 해당 단말 장치가 해당 제2 네트워크 장치로 업링크 메시지를 송신하는 시간을 지시하기 위한 것이고, 해당 제2 네트워크 장치는 해당 제2 네트워크 하의 네트워크 장치다.
420: 해당 제2 네트워크 장치가 해당 지시 정보에 의하여, 해당 단말 장치가 송신하는 업링크 메시지를 수신하는 시점을 결정한다.
선택적으로, 해당 제2 네트워크 장치가, 해당 단말 장치가 송신하는 해당 지시 정보를 수신하기 전, 해당 방법에는 또한,
해당 제2 네트워크 장치가 해당 단말 장치로 페이징 메시지를 송신하는 것이 포함된다.
선택적으로, 해당 방법에는 또한,
해당 제2 네트워크 장치가, 해당 단말 장치가 송신하는 업링크 메시지를 수신하는 것이 포함된다.
선택적으로, 해당 업링크 메시지에는 업링크 데이터, 페이징 응답, 위치 업데이트 요청 중의 적어도 한 가지가 포함된다.
선택적으로, 해당 제1 장치가 해당 단말 장치 또는 제1 네트워크 장치이고, 해당 제1 네트워크 장치가 해당 제1 네트워크 하의 네트워크 장치다.
선택적으로, 해당 단말 장치가 동시에 해당 제1 네트워크와 해당 제2 네트워크에서 업링크 송신을 진행하는 것을 지원하는 않는다.
선택적으로, 해당 제1 네트워크가 롱텀 에볼루션(LTE) 네트워크이고, 해당 제2 네트워크가 엔알(NR) 네트워크이며, 또는 해당 제1 네트워크가 NR 네트워크이고, 해당 제2 네트워크가 LTE 네트워크이며, 또는 해당 제1 네트워크가 NR 네트워크이고, 해당 제2 네트워크가 NR 네트워크이며, 또는 해당 제1 네트워크가 LTE 네트워크이고, 해당 제2 네트워크가 LTE 네트워크이다.
이중 등록 단말 장치 무선 통신의 방법(400) 중의 단계는 이중 등록 단말 장치 무선 통신의 방법(200) 중의 상응한 단계의 설명을 참조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며, 간략화를 위하여 여기에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그러므로, 본출원의 실시예의 이중 등록 단말 장치 무선 통신의 방법에서, 제2 네트워크 장치가, 제1 네트워크 장치가 송신하는 지시 정보를 수신하고, 또한 지시 정보에 의하여 단말 장치가 송신한 업링크 정보를 수신하여, 단말 장치가 합리적으로 제1 네트워크 장치와 제2 네트워크 장치 상으로 업링크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도 5는 본 출원의 실시예의 일 단말 장치(500)의 예시적 블록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단말 장치(500)가 동시에 제1 네트워크와 제2 네트워크에서 등록되며, 해당 단말 장치(500)에는,
제1 네트워크 장치로 제1 메시지를 송신하는 바, 해당 제1 네트워크 장치는 해당 제1 네트워크 하의 네트워크 장치인 송신 유닛(510);
해당 제1 네트워크 장치가 송신하는 구성 정보를 수신하는 바, 해당 구성 정보는 해당 단말 장치가 제1 시간대 내에 제2 네트워크 장치로 업링크 메시지를 송신하도록 지시하고, 해당 제2 네트워크 장치는 해당 제2 네트워크 하의 네트워크 장치인 수신 유닛이 포함된다.
선택적으로, 해당 송신 유닛(510)이 해당 제1 네트워크 장치로 해당 제1 메시지를 송신하기 전, 또는 해당 송신 유닛(510)이 해당 제1 네트워크 장치로 해당 제1 메시지를 송신할 때, 해당 송신 유닛(510)이 또한 해당 제2 네트워크 장치로 제1 지시 정보를 송신하는 바, 해당 제1지시 정보는 해당 단말 장치가 현재 해당 제2 네트워크 장치로 업링크 메시지를 송신할 수 없다는 것을 지시하기 위한 것이거나, 또는 해당 제1 지시 정보는 해당 단말 장치가 상기 제2 네트워크 장치로 업링크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는 시간을 지시하기 위한 것이다.
선택적으로, 해당 제1 지시 정보에는 제2 시간대가 포함되고, 해당 제1 지시 정보는 해당 단말 장치가 해당 제2 시간대 내에 해당 제2 네트워크 장치로 업링크 메시지를 송신할 수 없다는 것을 지시하기 위한 것이다.
선택적으로, 해당 수신 유닛(520)이 해당 제1 네트워크 장치가 송신하는 해당 구성 정보를 수신하기 전, 해당 송신 유닛(510)이 또한 해당 제1 네트워크 장치로 제2 지시 정보를 송신하는 바, 해당 제2 지시 정보는 해당 단말 장치가 해당 제2 네트워크 장치로 업링크 데이터, 페이징 응답, 위치 업데이트 요청 중의 적어도 한 가지를 송신하여야 한다는 것을 지시하기 위한 것이다.
선택적으로, 해당 제1 메시지에는 업링크 데이터, 페이징 응답, 위치 업데이트 요청 중의 적어도 한 가지가 포함된다.
선택적으로, 해당 송신 유닛(510)이 또한 해당 제2 네트워크 장치로 업링크 메시지를 송신하는 바, 해당 업링크 메시지에는 업링크 데이터, 페이징 응답, 위치 업데이트 요청 중의 적어도 한 가지가 포함된다.
선택적으로, 해당 단말 장치(500)가 동시에 해당 제1 네트워크와 해당 제2 네트워크에서 업링크 송신을 진행하는 것을 지원하는 않는다.
선택적으로, 해당 제1 네트워크가 롱텀 에볼루션(LTE) 네트워크이고, 해당 제2 네트워크가 엔알(NR) 네트워크이며, 또는 해당 제1 네트워크가 NR 네트워크이고, 해당 제2 네트워크가 LTE 네트워크이며, 또는 해당 제1 네트워크가 NR 네트워크이고, 해당 제2 네트워크가 NR 네트워크이며, 또는 해당 제1 네트워크가 LTE 네트워크이고, 해당 제2 네트워크가 LTE 네트워크이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의한 단말 장치(500) 중의 각 모듈의 상기와 기타 조작 및/또는 기능은 각각 도 2의 방법(200) 중의 단말 장치의 상응한 흐름을 구현하며, 간략화를 위하여, 여기에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도 6은 본 출원의 실시예의 일 네트워크 장치(600)의 예시적 블록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네트워크 장치(600)가 단말 장치와 통신을 진행하고, 해당 단말 장치가 동시에 제1 네트워크와 제2 네트워크에서 등록되며, 해당 네트워크 장치(600)에는,
해당 단말 장치가 송신하는 제1 메시지를 수신하는 바, 해당 제1 네트워크 장치는 해당 제1 네트워크 하의 네트워크 장치인 수신 유닛(610);
제2 네트워크 장치로 제1 지시 정보를 송신하는 바, 해당 제1 지시 정보는 해당 단말 장치가 현재 해당 제2 네트워크 장치로 업링크 메시지를 송신할 수 없다는 것을 지시하기 위한 것이거나, 또는 해당 지시 정보는 해당 단말 장치가 해당 제2 네트워크 장치로 업링크 메시지를 송신하는 시간을 지시하기 위한 것이고, 해당 제2 네트워크 장치는 해당 제2 네트워크 하의 네트워크 장치인 송신 유닛(620)이 포함된다.
선택적으로, 해당 송신 유닛(620)이 또한 해당 단말 장치로 구성 정보를 송신하는 바, 해당 구성 정보는 해당 단말 장치가 제1 시간대 내에 해당 제2 네트워크 장치로 업링크 메시지를 송신하도록 지시하고, 해당 제2 네트워크 장치는 해당 제2 네트워크 하의 네트워크 장치다.
선택적으로, 해당 수신 유닛(610)이 해당 단말 장치가 송신하는 해당 구성 정보를 수신하기 전, 해당 수신 유닛(610)이 또한 해당 단말 장치가 송신하는 지시 정보를 수신하는 바, 해당 지시 정보는 해당 단말 장치가 해당 제2 네트워크 장치로 업링크 데이터, 페이징 응답, 위치 업데이트 요청 중의 적어도 한 가지를 송신하여야 한다는 것을 지시하기 위한 것이다.
선택적으로, 해당 송신 유닛(620)이 또한 해당 단말 장치로 제2 지시 정보를 송신하는 바, 해당 제2 지시 정보는 해당 단말 장치가 제2 시간대 내에 해당 제2 네트워크 장치로 업링크 메시지를 송신하도록 지시하기 위한 것이다.
선택적으로, 해당 제1 메시지에는 업링크 데이터, 페이징 응답, 위치 업데이트 요청 중의 적어도 한 가지가 포함된다.
선택적으로, 해당 업링크 메시지에는 업링크 데이터, 페이징 응답, 위치 업데이트 요청 중의 적어도 한 가지가 포함된다.
선택적으로, 해당 단말 장치가 동시에 해당 제1 네트워크와 해당 제2 네트워크에서 업링크 송신을 진행하는 것을 지원하는 않는다.
선택적으로, 해당 제1 네트워크가 롱텀 에볼루션(LTE) 네트워크이고, 해당 제2 네트워크가 엔알(NR) 네트워크이며, 또는 해당 제1 네트워크가 NR 네트워크이고, 해당 제2 네트워크가 LTE 네트워크이며, 또는 해당 제1 네트워크가 NR 네트워크이고, 해당 제2 네트워크가 NR 네트워크이며, 또는 해당 제1 네트워크가 LTE 네트워크이고, 해당 제2 네트워크가 LTE 네트워크이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의한 네트워크 장치(600) 중의 각 모듈의 상기 및 기타 조작 및/또는 기능은 각각 도 3 중의 방법(300) 중의 제1 네트워크 장치의 상응한 흐름을 구현하며, 간략화를 위하여, 여기에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도 7은 본 출원의 실시예의 일 네트워크 장치(700)의 예시적 블록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네트워크 장치(700)가 단말 장치와 통신을 진행하고, 해당 단말 장치가 동시에 제1 네트워크와 제2 네트워크에서 등록되며, 해당 네트워크 장치(700)에는,
제1 장치가 송신하는 지시 정보를 수신하는 바, 해당 지시 정보는 해당 단말 장치가 현재 해당 제2 네트워크 장치로 업링크 메시지를 송신할 수 없다는 것을 지시하기 위한 것이거나, 또는 해당 지시 정보는 해당 단말 장치가 해당 제2 네트워크 장치로 업링크 메시지를 송신하는 시간을 지시하기 위한 것이고, 해당 제2 네트워크 장치는 해당 제2 네트워크 하의 네트워크 장치인 수신 유닛(710);
해당 지시 정보에 의하여, 해당 단말 장치가 송신하는 업링크 메시지를 수신하는 시점을 결정하는 처리 유닛(720)이 포함된다.
선택적으로, 해당 수신 유닛(710)이 해당 단말 장치가 송신하는 해당 지시 정보를 수신하기 전, 해당 네트워크 장치(700)에는 또한,
해당 단말 장치로 페이징 메시지를 송신하는 송신 유닛(730)이 포함된다.
선택적으로, 해당 수신 유닛(710)이 또한 해당 단말 장치가 송신하는 업링크 메시지를 수신한다.
선택적으로, 해당 업링크 메시지에는 업링크 데이터, 페이징 응답, 위치 업데이트 요청 중의 적어도 한 가지가 포함된다.
선택적으로, 해당 제1 장치가 해당 단말 장치 또는 제1 네트워크 장치이고, 해당 제1 네트워크 장치가 해당 제1 네트워크 하의 네트워크 장치다.
선택적으로, 해당 단말 장치가 동시에 해당 제1 네트워크와 해당 제2 네트워크에서 업링크 송신을 진행하는 것을 지원하는 않는다.
선택적으로, 해당 제1 네트워크가 롱텀 에볼루션(LTE) 네트워크이고, 해당 제2 네트워크가 엔알(NR) 네트워크이며, 또는 해당 제1 네트워크가 NR 네트워크이고, 해당 제2 네트워크가 LTE 네트워크이며, 또는 해당 제1 네트워크가 NR 네트워크이고, 해당 제2 네트워크가 NR 네트워크이며, 또는 해당 제1 네트워크가 LTE 네트워크이고, 해당 제2 네트워크가 LTE 네트워크이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의한 네트워크 장치(700) 중의 각 모듈의 상기와 기타 조작 및/또는 기능은 각각 도 4 중의 방법(400) 중의 제2 네트워크 장치의 상응한 흐름을 구현하며, 간략화를 위하여, 여기에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도 8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무선 통신의 장치(800)의 예시적 블록도로서, 해당 장치(800)에는,
프로그램을 저장하기 위한 것으로서, 해당 프로그램에는 코드가 포함되는 기억장치(810);
기타 장치와 통신을 진행하기 위한 송수신기(820);
기억장치(810) 중의 프로그램 코드를 실행하기 위한 프로세서(830)가 포함된다.
선택적으로, 송수신기(820)는 프로세서(830)의 구동 하에서 구체적인 신호 송수신을 실행하기 위한 것이다.
선택적으로, 해당 코드가 실행될 때, 해당 프로세서(830)는 도 2 중의 방법(200) 중의 단말 장치가 실행하는 각 조작을 실행하며, 간략화를 위하여 여기에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이때, 해당 장치(800)는 단말 장치(예를 들면, 핸드폰)일 수 있다.
선택적으로, 해당 코드가 실행될 때, 해당 프로세서(830)는 도 3 중의 방법(300) 중의 제1 네트워크 장치, 또는 도 4 중의 방법(400) 중의 제2 네트워크 장치가 실행하는 각 조작을 실행하며, 간략화를 위하여 여기에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이때, 해당 장치(800)는 접속 네트워크 장치(예를 들면, gNB), 또는 코어 네트워크 장치(예를 들면, AMF)일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해당 프로세서(830)는 중앙 처리 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CPU)일 수 있고, 해당 프로세서(830)는 또한 기타 범용 프로세서,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 응용 주문형 집적 회로(ASIC), 필드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FPGA) 또는 기타 프로그램가능 논리 소자, 개별 게이트 또는 트랜지스터 논리 소자, 개별 하드웨어 모듈 등일 수 있다. 범용 프로세서는 마이크로프로세서일 수 있고, 해당 프로세서는 또한 임의의 일반적인 프로세서 등일 수 있다.
해당 기억장치(810)에는 ROM과 RAM이 포함될 수 있고, 또한 프로세서(830)로 명령과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기억장치(810)의 일부분에는 또한 비휘발성 RAM이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억장치(810)는 또한 장치 유형의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송수신기(820)는 신호 송신과 수신 기능을 구현할 수 있는 바, 예를 들면 주파수 변조와 복조 기능 또는 업 변환과 다운 변환 기능이라 불린다.
구현 과정에, 상기 방법의 적어도 하나의 단계는 프로세서(830) 중의 하드웨어의 집적 논리회로를 통하여 완성되거나, 또는 해당 집적 논리회로는 소프트웨어 형식의 명령의 구동 하에서 해당 적어도 하나의 단계를 완성할 수 있다. 그러므로, 무선 통신의 장치(800)는 칩 또는 칩셋일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공개된 방법의 단계와 결합시켜 직접 하드웨어 프로세서로 구현되어 실행되거나, 또는 프로세서 중의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모듈 조합으로 실행하여 완성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무작위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읽기전용 메모리, 프로그래머블 읽기전용 메모리 또는 전기 휘발성 프로그래머블 메모리, 레지스터 등 당업계의 성숙된 저장 매체에 위치할 수 있다. 해당 저장 매체는 기억장치에 위치하고, 프로세서(830)가 기억장치 중의 정보를 읽으며, 그 하드웨어와 결합시켜 상기 방법의 단계를 완성한다. 복잡성을 피하기 위하여 여기에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도 9는 본 출원의 실시예의 시스템 칩(900)의 예시적 구조도이다. 도 9의 시스템 칩(900)에는 입력 인터페이스(901), 출력 인터페이스(902), 프로세서(903) 및 기억장치(904)가 포함되고, 이들 사이는 내부 통신 연결 회로를 통하여 연결되며, 해당 프로세서(903)는 해당 기억장치(904) 중의 코드를 실행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코드가 실행될 때, 상기 프로세서(903)는 방법 실시예 중의 단말 장치가 실행하는 방법을 구현한다. 간략화를 위하여 여기에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코드가 실행될 때, 상기 프로세서(903)는 방법 실시예 중의 제1 네트워크 장치 또는 제2 네트워크 장치가 실행하는 방법을 구현한다. 간략화를 위하여 여기에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상기 실시예에서, 전부 또는 부분적으로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펌웨어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구현할 때, 전부 또는 부분적으로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형식으로 구현할 수 있다. 해당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에는 하나 또는 다수의 컴퓨터 명령이 포함된다. 컴퓨터 상에서 해당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을 로딩 및 실행할 때, 전부 또는 부분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의 상기 과정 또는 기능에 따른다. 해당 컴퓨터는 범용 컴퓨터, 전용 컴퓨터, 컴퓨터 네트워크 또는 기타 프로그래머블 장치일 수 있다. 해당 컴퓨터 명령은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에 저장되거나, 또는 하나의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로부터 다른 하나의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로 전송될 수 있는 바, 예를 들면, 해당 컴퓨터 명령은 하나의 컴퓨터 스테이션, 컴퓨터, 서버 또는 데이터 센터로부터 유선(예를 들면 동축 케이블, 광섬유, 디지털 가입자 회선(DSL)) 또는 무선(예를 들면 적외선, 무선, 마이크로파 등) 방식을 통하여 다른 하나의 컴퓨터 스테이션, 컴퓨터, 서버 또는 데이터 센터로 전송될 수 있다. 해당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는 컴퓨터가 접속할 수 있는 임의의 사용가능한 매체 또는 하나 또는 다수의 사용가능한 매체 집적체를 포함하는 서버, 데이터 센터 등 데이터 저장 장치일 수 있다. 해당 사용가능한 매체는 자기 매체(예를 들면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자기 테이프), 광 매체(예를 들면 DVD) 또는 반도체 매체(예를 들면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 Solid State Disk (SSD)) 등일 수 있다.
또한 본 출원의 여러 가지 실시예에서, 상기 각 과정의 번호의 크기는 실행 순서의 선후를 나타내는 것이 아니고, 각 과정의 실행 순서는 그 기능과 내적인 논리에 의하여 결정되어야 하며, 본 출원의 실시예의 실시 과정에 대하여 아무런 제한도 하지 말아야 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설명의 편리와 간략화를 위하여, 상기 시스템, 장치와 유닛의 구체적인 작동 과정은 상기 방법 실시예 중의 대응되는 과정을 참조할 수 있음 당업계의 기술자들은 이해할 것이며, 여기에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출원을 구체적인 실시방식에 대해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출원은 상술한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출원의 보호 범위는 상기 청구항의 보호 범위를 기준으로 하여야 한다.
Claims (46)
- 이중 등록 단말 장치 무선 통신의 방법으로서,
상기 단말 장치가 동시에 제1 네트워크와 제2 네트워크에서 등록되며;
상기 방법에는,
상기 단말 장치가 제1 네트워크 장치로 제1 메시지를 송신하는 바, 상기 제1 네트워크 장치는 상기 제1 네트워크 하의 네트워크 장치이며;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제1 네트워크 장치가 송신하는 구성 정보를 수신하는 바, 상기 구성 정보는 상기 단말 장치가 제1 시간대 내에 제2 네트워크 장치로 업링크 메시지를 송신하도록 지시하고, 상기 제2 네트워크 장치는 상기 제2 네트워크 하의 네트워크 장치인 것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등록 단말 장치 무선 통신의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제1 네트워크 장치로 상기 제1 메시지를 송신하기 전, 또는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제1 네트워크 장치로 상기 제1 메시지를 송신할 때, 상기 방법에는 또한,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제2 네트워크 장치로 제1 지시 정보를 송신하는 바, 상기 제1 지시 정보는 상기 단말 장치가 현재 상기 제2 네트워크 장치로 업링크 메시지를 송신할 수 없다는 것을 지시하기 위한 것이거나, 또는 상기 제1 지시 정보는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제2 네트워크 장치로 업링크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는 시간을 지시하기 위한 것인 것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등록 단말 장치 무선 통신의 방법.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시 정보에는 제2 시간대가 포함되고, 상기 제1 지시 정보는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제2 시간대 내에 상기 제2 네트워크 장치로 업링크 메시지를 송신할 수 없다는 것을 지시하기 위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등록 단말 장치 무선 통신의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제1 네트워크 장치가 송신하는 상기 구성 정보를 수신하기 전, 상기 방법에는 또한,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제1 네트워크 장치로 제2 지시 정보를 송신하는 바, 상기 제2 지시 정보는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제2 네트워크 장치로 업링크 데이터, 페이징 응답, 위치 업데이트 요청 중의 적어도 한 가지를 송신하여야 한다는 것을 지시하기 위한 것인 것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등록 단말 장치 무선 통신의 방법. -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메시지에는 업링크 데이터, 페이징 응답, 위치 업데이트 요청 중의 적어도 한 가지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등록 단말 장치 무선 통신의 방법. -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에는 또한,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제2 네트워크 장치로 업링크 메시지를 송신하는 바, 상기 업링크 메시지에는 업링크 데이터, 페이징 응답, 위치 업데이트 요청 중의 적어도 한 가지가 포함되는 것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등록 단말 장치 무선 통신의 방법. -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장치가 동시에 상기 제1 네트워크와 상기 제2 네트워크에서 업링크 송신을 진행하는 것을 지원하는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등록 단말 장치 무선 통신의 방법. -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네트워크가 롱텀 에볼루션(LTE) 네트워크이고, 상기 제2 네트워크가 엔알(NR) 네트워크이며, 또는 상기 제1 네트워크가 NR 네트워크이고, 상기 제2 네트워크가 LTE 네트워크이며, 또는 상기 제1 네트워크가 NR 네트워크이고, 상기 제2 네트워크가 NR 네트워크이며, 또는 상기 제1 네트워크가 LTE 네트워크이고, 상기 제2 네트워크가 LTE 네트워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등록 단말 장치 무선 통신의 방법. - 이중 등록 단말 장치 무선 통신의 방법으로서,
상기 단말 장치가 동시에 제1 네트워크와 제2 네트워크에서 등록되며;
상기 방법에는,
제1 네트워크 장치가, 상기 단말 장치가 송신하는 제1 메시지를 수신하는 바, 상기 제1 네트워크 장치는 상기 제1 네트워크 하의 네트워크 장치이며;
상기 제1 네트워크 장치가 제2 네트워크 장치로 제1 지시 정보를 송신하는 바, 상기 제1 지시 정보는 상기 단말 장치가 현재 상기 제2 네트워크 장치로 업링크 메시지를 송신할 수 없다는 것을 지시하기 위한 것이거나, 또는 상기 지시 정보는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제2 네트워크 장치로 업링크 메시지를 송신하는 시간을 지시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제2 네트워크 장치는 상기 제2 네트워크 하의 네트워크 장치인 것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등록 단말 장치 무선 통신의 방법.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에는 또한,
상기 제1 네트워크 장치가 상기 단말 장치로 구성 정보를 송신하는 바, 상기 구성 정보는 상기 단말 장치가 제1 시간대 내에 제2 네트워크 장치로 업링크 메시지를 송신하도록 지시하고, 상기 제2 네트워크 장치는 상기 제2 네트워크 하의 네트워크 장치인 것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등록 단말 장치 무선 통신의 방법.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네트워크 장치가, 상기 단말 장치가 송신하는 상기 구성 정보를 수신하기 전, 상기 방법에는 또한,
상기 제1 네트워크 장치가, 상기 단말 장치가 송신하는 지시 정보를 수신하는 바, 상기 지시 정보는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제2 네트워크 장치로 업링크 데이터, 페이징 응답, 위치 업데이트 요청 중의 적어도 한 가지를 송신하여야 한다는 것을 지시하기 위한 것인 것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등록 단말 장치 무선 통신의 방법. - 제9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에는 또한,
상기 제1 네트워크 장치가 상기 단말 장치로 제2 지시 정보를 송신하는 바, 상기 제2 지시 정보는 상기 단말 장치가 제2 시간대 내에 상기 제2 네트워크 장치로 업링크 메시지를 송신하도록 지시하기 위한 것인 것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등록 단말 장치 무선 통신의 방법. - 제9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메시지에는 업링크 데이터, 페이징 응답, 위치 업데이트 요청 중의 적어도 한 가지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등록 단말 장치 무선 통신의 방법. - 제9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업링크 메시지에는 업링크 데이터, 페이징 응답, 위치 업데이트 요청 중의 적어도 한 가지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등록 단말 장치 무선 통신의 방법. - 제9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장치가 동시에 상기 제1 네트워크와 상기 제2 네트워크에서 업링크 송신을 진행하는 것을 지원하는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등록 단말 장치 무선 통신의 방법. - 제9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네트워크가 롱텀 에볼루션(LTE) 네트워크이고, 상기 제2 네트워크가 엔알(NR) 네트워크이며, 또는 상기 제1 네트워크가 NR 네트워크이고, 상기 제2 네트워크가 LTE 네트워크이며, 또는 상기 제1 네트워크가 NR 네트워크이고, 상기 제2 네트워크가 NR 네트워크이며, 또는 상기 제1 네트워크가 LTE 네트워크이고, 상기 제2 네트워크가 LTE 네트워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등록 단말 장치 무선 통신의 방법. - 이중 등록 단말 장치 무선 통신의 방법으로서,
상기 단말 장치가 동시에 제1 네트워크와 제2 네트워크에서 등록되며;
상기 방법에는,
제2 네트워크 장치가, 제1 장치가 송신하는 지시 정보를 수신하는 바, 상기 지시 정보는 상기 단말 장치가 현재 상기 제2 네트워크 장치로 업링크 메시지를 송신할 수 없다는 것을 지시하기 위한 것이거나, 또는 상기 지시 정보는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제2 네트워크 장치로 업링크 메시지를 송신하는 시간을 지시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제2 네트워크 장치는 상기 제2 네트워크 하의 네트워크 장치이며;
상기 제2 네트워크 장치가 상기 지시 정보에 의하여, 상기 단말 장치가 송신하는 업링크 메시지를 수신하는 시점을 결정하는 것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등록 단말 장치 무선 통신의 방법. -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네트워크 장치가, 상기 단말 장치가 송신하는 상기 지시 정보를 수신하기 전, 상기 방법에는 또한,
상기 제2 네트워크 장치가 상기 단말 장치로 페이징 메시지를 송신하는 것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등록 단말 장치 무선 통신의 방법. - 제17항 또는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에는 또한,
상기 제2 네트워크 장치가, 상기 단말 장치가 송신하는 업링크 메시지를 수신하는 것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등록 단말 장치 무선 통신의 방법. - 제17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업링크 메시지에는 업링크 데이터, 페이징 응답, 위치 업데이트 요청 중의 적어도 한 가지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등록 단말 장치 무선 통신의 방법. - 제17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장치가 상기 단말 장치 또는 제1 네트워크 장치이고, 상기 제1 네트워크 장치가 상기 제1 네트워크 하의 네트워크 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등록 단말 장치 무선 통신의 방법. - 제17항 내지 제2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장치가 동시에 상기 제1 네트워크와 상기 제2 네트워크에서 업링크 송신을 진행하는 것을 지원하는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등록 단말 장치 무선 통신의 방법. - 제17항 내지 제2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네트워크가 롱텀 에볼루션(LTE) 네트워크이고, 상기 제2 네트워크가 엔알(NR) 네트워크이며, 또는 상기 제1 네트워크가 NR 네트워크이고, 상기 제2 네트워크가 LTE 네트워크이며, 또는 상기 제1 네트워크가 NR 네트워크이고, 상기 제2 네트워크가 NR 네트워크이며, 또는 상기 제1 네트워크가 LTE 네트워크이고, 상기 제2 네트워크가 LTE 네트워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등록 단말 장치 무선 통신의 방법. - 단말 장치로서,
상기 단말 장치가 동시에 제1 네트워크와 제2 네트워크에서 등록되며;
상기 단말 장치에는,
제1 네트워크 장치로 제1 메시지를 송신하는 바, 상기 제1 네트워크 장치는 상기 제1 네트워크 하의 네트워크 장치인 송신 유닛;
상기 제1 네트워크 장치가 송신하는 구성 정보를 수신하는 바, 상기 구성 정보는 상기 단말 장치가 제1 시간대 내에 제2 네트워크 장치로 업링크 메시지를 송신하도록 지시하고, 상기 제2 네트워크 장치는 상기 제2 네트워크 하의 네트워크 장치인 수신 유닛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유닛이 상기 제1 네트워크 장치로 상기 제1 메시지를 송신하기 전, 또는 상기 송신 유닛이 상기 제1 네트워크 장치로 상기 제1 메시지를 송신할 때, 상기 송신 유닛이 또한 상기 제2 네트워크 장치로 제1 지시 정보를 송신하는 바, 상기 제1지시 정보는 상기 단말 장치가 현재 상기 제2 네트워크 장치로 업링크 메시지를 송신할 수 없다는 것을 지시하기 위한 것이거나, 또는 상기 제1 지시 정보는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제2 네트워크 장치로 업링크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는 시간을 지시하기 위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시 정보에는 제2 시간대가 포함되고, 상기 제1 지시 정보는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제2 시간대 내에 상기 제2 네트워크 장치로 업링크 메시지를 송신할 수 없다는 것을 지시하기 위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유닛이 상기 제1 네트워크 장치가 송신하는 상기 구성 정보를 수신하기 전, 상기 송신 유닛이 또한 상기 제1 네트워크 장치로 제2 지시 정보를 송신하는 바, 상기 제2 지시 정보는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제2 네트워크 장치로 업링크 데이터, 페이징 응답, 위치 업데이트 요청 중의 적어도 한 가지를 송신하여야 한다는 것을 지시하기 위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 제24항 내지 제2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메시지에는 업링크 데이터, 페이징 응답, 위치 업데이트 요청 중의 적어도 한 가지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 제24항 내지 제2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유닛이 또한 상기 제2 네트워크 장치로 업링크 메시지를 송신하는 바, 상기 업링크 메시지에는 업링크 데이터, 페이징 응답, 위치 업데이트 요청 중의 적어도 한 가지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 제24항 내지 제2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장치가 동시에 상기 제1 네트워크와 상기 제2 네트워크에서 업링크 송신을 진행하는 것을 지원하는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 제24항 내지 제3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네트워크가 롱텀 에볼루션(LTE) 네트워크이고, 상기 제2 네트워크가 엔알(NR) 네트워크이며, 또는 상기 제1 네트워크가 NR 네트워크이고, 상기 제2 네트워크가 LTE 네트워크이며, 또는 상기 제1 네트워크가 NR 네트워크이고, 상기 제2 네트워크가 NR 네트워크이며, 또는 상기 제1 네트워크가 LTE 네트워크이고, 상기 제2 네트워크가 LTE 네트워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 네트워크 장치로서,
상기 네트워크 장치가 단말 장치와 통신을 진행하고, 상기 단말 장치가 동시에 제1 네트워크와 제2 네트워크에서 등록되며;
상기 네트워크 장치에는,
상기 단말 장치가 송신하는 제1 메시지를 수신하는 바, 상기 제1 네트워크 장치는 상기 제1 네트워크 하의 네트워크 장치인 수신 유닛;
제2 네트워크 장치로 제1 지시 정보를 송신하는 바, 상기 제1 지시 정보는 상기 단말 장치가 현재 상기 제2 네트워크 장치로 업링크 메시지를 송신할 수 없다는 것을 지시하기 위한 것이거나, 또는 상기 지시 정보는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제2 네트워크 장치로 업링크 메시지를 송신하는 시간을 지시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제2 네트워크 장치는 상기 제2 네트워크 하의 네트워크 장치인 송신 유닛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장치. -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유닛이 또한 상기 단말 장치로 구성 정보를 송신하는 바, 상기 구성 정보는 상기 단말 장치가 제1 시간대 내에 제2 네트워크 장치로 업링크 메시지를 송신하도록 지시하고, 상기 제2 네트워크 장치는 상기 제2 네트워크 하의 네트워크 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장치. -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유닛이 상기 단말 장치가 송신하는 상기 구성 정보를 수신하기 전, 상기 수신 유닛이 또한 상기 단말 장치가 송신하는 지시 정보를 수신하는 바, 상기 지시 정보는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제2 네트워크 장치로 업링크 데이터, 페이징 응답, 위치 업데이트 요청 중의 적어도 한 가지를 송신하여야 한다는 것을 지시하기 위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장치. - 제32항 내지 제3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유닛이 또한 상기 단말 장치로 제2 지시 정보를 송신하는 바, 상기 제2 지시 정보는 상기 단말 장치가 제2 시간대 내에 상기 제2 네트워크 장치로 업링크 메시지를 송신하도록 지시하기 위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장치. - 제32항 내지 제3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메시지에는 업링크 데이터, 페이징 응답, 위치 업데이트 요청 중의 적어도 한 가지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장치. - 제32항 내지 제3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업링크 메시지에는 업링크 데이터, 페이징 응답, 위치 업데이트 요청 중의 적어도 한 가지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장치. - 제32항 내지 제3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장치가 동시에 상기 제1 네트워크와 상기 제2 네트워크에서 업링크 송신을 진행하는 것을 지원하는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장치. - 제32항 내지 제3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네트워크가 롱텀 에볼루션(LTE) 네트워크이고, 상기 제2 네트워크가 엔알(NR) 네트워크이며, 또는 상기 제1 네트워크가 NR 네트워크이고, 상기 제2 네트워크가 LTE 네트워크이며, 또는 상기 제1 네트워크가 NR 네트워크이고, 상기 제2 네트워크가 NR 네트워크이며, 또는 상기 제1 네트워크가 LTE 네트워크이고, 상기 제2 네트워크가 LTE 네트워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장치. - 네트워크 장치로서,
상기 네트워크 장치가 단말 장치와 통신을 진행하고, 상기 단말 장치가 동시에 제1 네트워크와 제2 네트워크에서 등록되며;
상기 네트워크 장치에는,
제1 장치가 송신하는 지시 정보를 수신하는 바, 상기 지시 정보는 상기 단말 장치가 현재 상기 제2 네트워크 장치로 업링크 메시지를 송신할 수 없다는 것을 지시하기 위한 것이거나, 또는 상기 지시 정보는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제2 네트워크 장치로 업링크 메시지를 송신하는 시간을 지시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제2 네트워크 장치는 상기 제2 네트워크 하의 네트워크 장치인 수신 유닛;
상기 지시 정보에 의하여, 상기 단말 장치가 송신하는 업링크 메시지를 수신하는 시점을 결정하는 처리 유닛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장치. - 제40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유닛이 상기 단말 장치가 송신하는 상기 지시 정보를 수신하기 전, 상기 네트워크 장치에는 또한,
상기 단말 장치로 페이징 메시지를 송신하는 송신 유닛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장치. - 제40항 또는 제4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유닛이 또한 상기 단말 장치가 송신하는 업링크 메시지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장치. - 제40항 내지 제4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업링크 메시지에는 업링크 데이터, 페이징 응답, 위치 업데이트 요청 중의 적어도 한 가지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장치. - 제40항 내지 제4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장치가 상기 단말 장치 또는 제1 네트워크 장치이고, 상기 제1 네트워크 장치가 상기 제1 네트워크 하의 네트워크 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장치. - 제40항 내지 제4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장치가 동시에 상기 제1 네트워크와 상기 제2 네트워크에서 업링크 송신을 진행하는 것을 지원하는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장치. - 제40항 내지 제4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네트워크가 롱텀 에볼루션(LTE) 네트워크이고, 상기 제2 네트워크가 엔알(NR) 네트워크이며, 또는 상기 제1 네트워크가 NR 네트워크이고, 상기 제2 네트워크가 LTE 네트워크이며, 또는 상기 제1 네트워크가 NR 네트워크이고, 상기 제2 네트워크가 NR 네트워크이며, 또는 상기 제1 네트워크가 LTE 네트워크이고, 상기 제2 네트워크가 LTE 네트워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PCT/CN2017/112940 WO2019100339A1 (zh) | 2017-11-24 | 2017-11-24 | 双注册终端设备无线通信的方法、终端设备和网络设备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88852A true KR20200088852A (ko) | 2020-07-23 |
Family
ID=666304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7017111A Withdrawn KR20200088852A (ko) | 2017-11-24 | 2017-11-24 | 이중 등록 단말 장치 무선 통신의 방법, 단말 장치와 네트워크 장치 |
Country Status (7)
Country | Link |
---|---|
US (1) | US11690039B2 (ko) |
EP (1) | EP3713369A4 (ko) |
JP (1) | JP2021512513A (ko) |
KR (1) | KR20200088852A (ko) |
CN (1) | CN111699751B (ko) |
AU (1) | AU2017440653A1 (ko) |
WO (1) | WO2019100339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8019152A (zh) | 2018-05-30 | 2024-05-10 | 华为技术有限公司 | 通信方法、装置及存储介质 |
WO2021174388A1 (en) * | 2020-03-02 | 2021-09-10 | Nec Corporation | Method, device and computer storage medium of communication |
US20240340713A1 (en) * | 2021-07-14 | 2024-10-10 | Beijing Xiaomi Mobile Software Co., Ltd. | Method of controlling a terminal and communication device |
Family Cites Families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8908656B2 (en) | 2011-01-10 | 2014-12-09 | Qualcomm Incorporated | Support for multi-radio coexistence during connection setup |
US8725145B2 (en) * | 2011-01-25 | 2014-05-13 | Qualcomm Incorporated | Mobile device requests of non-communication time periods to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
DE112013004736B4 (de) | 2012-09-26 | 2018-07-12 | Apple Inc. | Verfahren zum gleichzeitigen Empfangen von LTE und 1x in einer SRLTE-Vorrichtung |
WO2015058379A1 (zh) * | 2013-10-23 | 2015-04-30 | 华为技术有限公司 | 传输信息的方法、装置和系统 |
EP3141037B1 (en) * | 2014-05-09 | 2019-04-24 |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 Uplink reconfiguration for split bearer in dual connectivity |
EP3189682A4 (en) * | 2014-09-02 | 2018-04-18 | QUALCOMM Incorporated | Method and apparatus of ue throughput improvement for lte+gsm phone in tdd-lte network with no dtx detection support |
US10694393B2 (en) | 2015-11-10 | 2020-06-23 |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 Uplink and/or downlink signaling related to different radio access technologies |
CN111343672A (zh) * | 2015-11-30 | 2020-06-26 | 华为技术有限公司 | 无线通信的方法和装置 |
US10588146B2 (en) * | 2016-04-05 | 2020-03-10 | Qualcomm Incorporated | Scheduling request collection through license-assisted operation |
-
2017
- 2017-11-24 US US16/763,421 patent/US11690039B2/en active Active
- 2017-11-24 EP EP17932604.6A patent/EP3713369A4/en not_active Withdrawn
- 2017-11-24 WO PCT/CN2017/112940 patent/WO2019100339A1/zh unknown
- 2017-11-24 KR KR1020207017111A patent/KR20200088852A/ko not_active Withdrawn
- 2017-11-24 JP JP2020526069A patent/JP2021512513A/ja not_active Withdrawn
- 2017-11-24 CN CN201780097175.0A patent/CN111699751B/zh active Active
- 2017-11-24 AU AU2017440653A patent/AU2017440653A1/en not_active Abandone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N111699751B (zh) | 2024-10-22 |
EP3713369A1 (en) | 2020-09-23 |
US20210368467A1 (en) | 2021-11-25 |
WO2019100339A1 (zh) | 2019-05-31 |
US11690039B2 (en) | 2023-06-27 |
AU2017440653A1 (en) | 2020-07-02 |
EP3713369A4 (en) | 2020-12-02 |
CN111699751A (zh) | 2020-09-22 |
JP2021512513A (ja) | 2021-05-1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7182628B2 (ja) | 無線通信方法、端末デバイス及びネットワークデバイス | |
CN106489282B (zh) | 用于3gpp电路交换回退的过程 | |
US11178634B2 (en) | Paging method, network device and terminal device | |
CA3062360C (en) | Handover method, apparatus, system, computer program storage medium and chip system | |
US20210185578A1 (en) | Data transmission method, radio access network device, and terminal device | |
US11528366B2 (en) | Policy transmission method, policy control function (PCF) network element, and computer storage medium | |
TWI602458B (zh) | 處理節能的裝置及方法 | |
TW201831002A (zh) | 處理新無線能力的裝置及方法 | |
KR20190140037A (ko) | 무선 통신 방법, 네트워크 기기 및 단말 기기 | |
US11212809B2 (en) | Method for wireless communication and terminal device | |
US20190141769A1 (en) | Data Transmission Method and Device | |
US11310658B2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status of terminal device, and device | |
KR20200119813A (ko) | 물리 상향 공유 채널의 전송 방법 및 단말기 디바이스 | |
KR20200108295A (ko) | 무선 통신의 방법, 단말 장치와 네트워크 장치 | |
KR20200088852A (ko) | 이중 등록 단말 장치 무선 통신의 방법, 단말 장치와 네트워크 장치 | |
US10104669B2 (en) | User equipment of device-to-device communications and resource selection method thereof | |
KR20200088867A (ko) | 이중 등록 단말 장치 무선 통신의 방법, 네트워크 장치와 단말 장치 | |
KR20200084033A (ko) | 스위칭 과정에서 핵심망 타입을 결정하는 방법, 단말 기기, 접속망 기기 및 핵심망 기기 | |
KR20210009323A (ko) | 정보 전송 방법, 단말기 디바이스 및 네트워크 디바이스 | |
WO2024092606A1 (zh) | 无线通信的方法、终端设备和网络设备 | |
KR20200037771A (ko) | 무선 통신 방법, 네트워크 기기 및 단말 기기 | |
AU2017427355A1 (en) | Service access method and devic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5 | International application |
Patent event date: 20200615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01111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
|
PC1202 | Submission of document of withdrawal before decision of registration |
Comment text: [Withdrawal of Procedure relating to Patent, etc.] Withdrawal (Abandonment) Patent event code: PC12021R01D Patent event date: 20210630 |
|
WITB | Written withdrawal of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