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84033A - 스위칭 과정에서 핵심망 타입을 결정하는 방법, 단말 기기, 접속망 기기 및 핵심망 기기 - Google Patents
스위칭 과정에서 핵심망 타입을 결정하는 방법, 단말 기기, 접속망 기기 및 핵심망 기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00084033A KR20200084033A KR1020207016823A KR20207016823A KR20200084033A KR 20200084033 A KR20200084033 A KR 20200084033A KR 1020207016823 A KR1020207016823 A KR 1020207016823A KR 20207016823 A KR20207016823 A KR 20207016823A KR 20200084033 A KR20200084033 A KR 20200084033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re network
- network type
- network device
- target cell
- terminal devic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Gran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4—Reselecting a cell layer in multi-layered cell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55—Transmission or use of information for re-establishing the radio link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55—Transmission or use of information for re-establishing the radio link
- H04W36/0058—Transmission of hand-off measurement information, e.g. measurement report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55—Transmission or use of information for re-establishing the radio link
- H04W36/0064—Transmission or use of information for re-establishing the radio link of control information between different access point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14—Reselecting a network or an air interface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34—Reselection control
- H04W36/36—Reselection control by user or terminal equipment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02—Processing of mobility data, e.g. registration information at HLR [Home Location Register] or VLR [Visitor Location Register]; Transfer of mobility data, e.g. between HLR, VLR or external network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6—Terminal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or having at least two operational modes, e.g. multi-mode terminal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Access point devic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14—Backbone network devic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8—Reselecting an access point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14—Reselecting a network or an air interface
- H04W36/142—Reselecting a network or an air interface over the same radio air interface technolog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eLTE 프로토콜 계층 아키텍처 모식도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위칭 과정에서 핵심망 타입을 결정하는 방법의 예시적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른 스위칭 과정에서 핵심망 타입을 결정하는 방법의 예시적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또 다른 스위칭 과정에서 핵심망 타입을 결정하는 방법의 예시적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또 다른 스위칭 과정에서 핵심망 타입을 결정하는 방법의 예시적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위칭 과정의 예시적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또 다른 스위칭 과정에서 핵심망 타입을 결정하는 방법의 예시적 흐름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또 다른 스위칭 과정에서 핵심망 타입을 결정하는 방법의 예시적 흐름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른 스위칭 과정의 예시적 흐름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또 다른 스위칭 과정의 예시적 흐름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또 다른 스위칭 과정에서 핵심망 타입을 결정하는 방법의 예시적 흐름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또 다른 스위칭 과정에서 핵심망 타입을 결정하는 방법의 예시적 흐름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또 다른 스위칭 과정에서 핵심망 타입을 결정하는 방법의 예시적 흐름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또 다른 스위칭 과정의 예시적 흐름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 기기의 예시적 블록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접속망 기기의 예시적 블록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른 접속망 기기의 예시적 블록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핵심망 기기의 예시적 블록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또 다른 접속망 기기의 예시적 블록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른 핵심망 기기의 예시적 블록도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또 다른 접속망 기기의 예시적 블록도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또 다른 핵심망 기기의 예시적 블록도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또 다른 핵심망 기기의 예시적 블록도이다.
도 2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스위칭 과정에서 핵심망 타입을 결정하는 기기의 예시적 블록도를 나타낸다.
도 2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 온 칩의 예시적 구조도이다.
Claims (50)
- 스위칭 과정에서 핵심망 타입을 결정하는 방법으로서,
단말 기기가 소스 셀로부터 타겟 셀로 스위칭되는 과정에서, 상기 단말 기기가 소스 접속망 기기에 상기 타겟 셀에 대한 최적 핵심망 타입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최적 핵심망 타입 정보는 상기 타겟 셀의 핵심망 타입을 결정하는 참조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칭 과정에서 핵심망 타입을 결정하는 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기기가 소스 접속망 기기에 상기 타겟 셀에 대한 최적 핵심망 타입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 기기의 비접속 계층이 상기 단말 기기의 접속 계층에 상기 최적 핵심망 타입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 기기의 접속 계층이 상기 소스 접속망 기기에 상기 최적 핵심망 타입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칭 과정에서 핵심망 타입을 결정하는 방법. -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기기가 소스 접속망 기기에 상기 타겟 셀에 대한 최적 핵심망 타입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소스 접속망 기기에 측정 리포트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측정 리포트에 상기 최적 핵심망 타입 정보가 베어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칭 과정에서 핵심망 타입을 결정하는 방법. -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최적 핵심망 타입 정보는 진화된 패킷 코어(EPC), 또는 5G 핵심망, 또는 5G 핵심망과 EPC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칭 과정에서 핵심망 타입을 결정하는 방법. - 스위칭 과정에서 핵심망 타입을 결정하는 방법으로서,
단말 기기가 소스 셀로부터 타겟 셀로 스위칭되는 과정에서, 소스 접속망 기기가 상기 단말 기기가 송신한 상기 타겟 셀에 대한 최적 핵심망 타입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최적 핵심망 타입 정보는 상기 타겟 셀의 핵심망 타입을 결정하는 참조 정보임 - ; 및
상기 소스 접속망 기기가 타겟 접속망 기기에 상기 최적 핵심망 타입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칭 과정에서 핵심망 타입을 결정하는 방법.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소스 접속망 기기가 상기 단말 기기가 송신한 상기 타겟 셀에 대한 최적 핵심망 타입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소스 접속망 기기가 상기 단말 기기의 접속 계층이 송신한 상기 최적 핵심망 타입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칭 과정에서 핵심망 타입을 결정하는 방법. -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소스 접속망 기기가 상기 단말 기기가 송신한 상기 타겟 셀에 대한 최적 핵심망 타입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소스 접속망 기기가 상기 단말 기기가 송신한 측정 리포트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측정 리포트에 상기 최적 핵심망 타입 정보가 베어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칭 과정에서 핵심망 타입을 결정하는 방법. - 제 5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소스 접속망 기기가 타겟 접속망 기기에 상기 최적 핵심망 타입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소스 접속망 기기가 타겟 접속망 기기에 스위칭 요청을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스위칭 요청은 상기 최적 핵심망 타입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칭 과정에서 핵심망 타입을 결정하는 방법. - 제 5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최적 핵심망 타입 정보는 진화된 패킷 코어(EPC), 또는 5G 핵심망, 또는 5G 핵심망과 EPC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칭 과정에서 핵심망 타입을 결정하는 방법. - 스위칭 과정에서 핵심망 타입을 결정하는 방법으로서,
단말 기기가 소스 셀로부터 타겟 셀로 스위칭되는 과정에서, 타겟 접속망 기기가 소스 접속망 기기로부터 상기 타겟 셀에 대한 최적 핵심망 타입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최적 핵심망 타입 정보는 상기 타겟 셀의 핵심망 타입을 결정하는 참조 정보임 - ; 및
상기 타겟 접속망 기기가 핵심망 기기에 상기 최적 핵심망 타입 정보를 송신하여 상기 핵심망 기기가 상기 최적 핵심망 타입 정보에 따라 상기 타겟 셀의 핵심망 타입을 결정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칭 과정에서 핵심망 타입을 결정하는 방법. -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타겟 접속망 기기가 소스 접속망 기기로부터 상기 타겟 셀에 대한 최적 핵심망 타입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타겟 접속망 기기가 소스 접속망 기기로부터 스위칭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스위칭 요청은 상기 최적 핵심망 타입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칭 과정에서 핵심망 타입을 결정하는 방법. - 제 10 항 또는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최적 핵심망 타입 정보는 진화된 패킷 코어(EPC), 또는 5G 핵심망, 또는 5G 핵심망과 EPC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칭 과정에서 핵심망 타입을 결정하는 방법. - 제 10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 과정에서 핵심망 타입을 결정하는 방법은,
상기 타겟 접속망 기기가 상기 핵심망 기기로부터 상기 타겟 셀의 핵심망 타입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타겟 접속망 기기가 상기 타겟 셀의 핵심망 타입에 따라 셀 스위칭을 진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칭 과정에서 핵심망 타입을 결정하는 방법. - 스위칭 과정에서 핵심망 타입을 결정하는 방법으로서,
단말 기기가 소스 셀로부터 타겟 셀로 스위칭되는 과정에서, 핵심망 기기가 타겟 접속망 기기가 송신한 상기 타겟 셀에 대한 최적 핵심망 타입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최적 핵심망 타입 정보는 상기 타겟 셀의 핵심망 타입을 결정하는 참조 정보임 - ; 및
상기 핵심망 기기가 상기 최적 핵심망 타입 정보에 따라 상기 타겟 셀의 핵심망 타입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칭 과정에서 핵심망 타입을 결정하는 방법. -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핵심망 기기가 상기 최적 핵심망 타입 정보에 따라 상기 타겟 셀의 핵심망 타입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핵심망 기기가 상기 최적 핵심망 타입 정보, 및 상기 단말 기기의 계약 정보, 상기 단말 기기에 대한 진화된 패킷 시스템(EPS) 베어링 정보, 상기 단말 기기에 대한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PDU) 세션 정보, 서비스 품질(QoS) 스트림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상기 타겟 셀의 핵심망 타입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칭 과정에서 핵심망 타입을 결정하는 방법. - 제 14 항 또는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최적 핵심망 타입 정보는 진화된 패킷 코어(EPC), 또는 5G 핵심망, 또는 5G 핵심망과 EPC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칭 과정에서 핵심망 타입을 결정하는 방법. - 제 14 항 내지 제 1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 과정에서 핵심망 타입을 결정하는 방법은,
상기 핵심망 기기가 결정된 상기 타겟 셀의 핵심망 타입을 상기 타겟 접속망 기기에 피드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칭 과정에서 핵심망 타입을 결정하는 방법. - 스위칭 과정에서 핵심망 타입을 결정하는 방법으로서,
단말 기기가 소스 셀로부터 타겟 셀로 스위칭되는 과정에서, 접속망 기기가 핵심망 기기에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 - 상기 요청 메시지는 상기 타겟 셀의 핵심망 타입을 요청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소스 셀로부터 상기 타겟 셀로 스위칭되는 과정에서, 상기 핵심망 기기가 변하지 않음 - ; 및
상기 접속망 기기가 상기 핵심망 기기가 상기 요청 메시지에 대해 피드백한 상기 타겟 셀의 핵심망 타입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칭 과정에서 핵심망 타입을 결정하는 방법. -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 과정에서 핵심망 타입을 결정하는 방법은,
상기 접속망 기기가 상기 타겟 셀의 핵심망 타입에 따라 셀 스위칭을 진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칭 과정에서 핵심망 타입을 결정하는 방법. - 제 18 항 또는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타겟 셀의 핵심망 타입 정보는 진화된 패킷 코어(EPC), 또는 5G 핵심망, 또는 5G 핵심망과 EPC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칭 과정에서 핵심망 타입을 결정하는 방법. - 제 18 항 내지 제 2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핵심망 기기는 액세스 및 이동성 관리 기능(AMF), 또는 이동성 관리 엔티티(MME), 또는 통합 데이터 관리(UDM), 또는 홈 가입자 서버(HSS)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칭 과정에서 핵심망 타입을 결정하는 방법. - 스위칭 과정에서 핵심망 타입을 결정하는 방법으로서,
단말 기기가 소스 셀로부터 타겟 셀로 스위칭되는 과정에서, 핵심망 기기가 접속망 기기가 송신한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요청 메시지는 상기 타겟 셀의 핵심망 타입을 요청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소스 셀로부터 상기 타겟 셀로 스위칭되는 과정에서, 상기 핵심망 기기가 변하지 않음 - ; 및
상기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후, 상기 핵심망 기기가 상기 단말 기기의 계약 정보, 상기 단말 기기에 대한 진화된 패킷 시스템(EPS) 베어링 정보, 상기 단말 기기에 대한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PDU) 세션 정보, 서비스 품질(QoS) 스트림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상기 타겟 셀의 핵심망 타입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칭 과정에서 핵심망 타입을 결정하는 방법. -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 과정에서 핵심망 타입을 결정하는 방법은,
상기 핵심망 기기가 상기 접속망 기기에 상기 타겟 셀의 핵심망 타입을 피드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칭 과정에서 핵심망 타입을 결정하는 방법. - 제 22 항 또는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타겟 셀의 핵심망 타입 정보는 진화된 패킷 코어(EPC), 또는 5G 핵심망, 또는 5G 핵심망과 EPC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칭 과정에서 핵심망 타입을 결정하는 방법. - 제 22 항 내지 제 2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핵심망 기기는 액세스 및 이동성 관리 기능(AMF), 또는 이동성 관리 엔티티(MME), 또는 통합 데이터 관리(UDM), 또는 홈 가입자 서버(HSS)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칭 과정에서 핵심망 타입을 결정하는 방법. - 단말 기기로서,
소스 셀로부터 타겟 셀로 스위칭되는 과정에서, 소스 접속망 기기에 상기 타겟 셀에 대한 최적 핵심망 타입 정보를 송신하는 송신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최적 핵심망 타입 정보는 상기 타겟 셀의 핵심망 타입을 결정하는 참조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기기. -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기기는,
상기 단말 기기의 접속 계층에 상기 최적 핵심망 타입 정보를 송신하는 비접속 계층 기기; 및
상기 소스 접속망 기기에 상기 최적 핵심망 타입 정보를 송신하는 접속 계층 기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기기. - 제 26 항 또는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유닛은 또한, 상기 소스 접속망 기기에 측정 리포트를 송신하고,
상기 측정 리포트에 상기 최적 핵심망 타입 정보가 베어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기기. - 제 26 항 내지 제 2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최적 핵심망 타입 정보는 진화된 패킷 코어(EPC), 또는 5G 핵심망, 또는 5G 핵심망과 EPC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기기. - 접속망 기기로서,
단말 기기가 소스 셀로부터 타겟 셀로 스위칭되는 과정에서, 상기 단말 기기가 송신한 상기 타겟 셀에 대한 최적 핵심망 타입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 유닛 - 상기 최적 핵심망 타입 정보는 상기 타겟 셀의 핵심망 타입을 결정하는 참조 정보임 - ; 및
타겟 접속망 기기에 상기 최적 핵심망 타입 정보를 송신하는 송신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망 기기. - 제 30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유닛은 또한, 상기 단말 기기의 접속 계층이 송신한 상기 최적 핵심망 타입 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망 기기. - 제 30 항 또는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유닛은 또한, 상기 단말 기기가 송신한 측정 리포트를 수신하고,
상기 측정 리포트에 상기 최적 핵심망 타입 정보가 베어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망 기기. - 제 30 항 내지 제 3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유닛은 또한, 타겟 접속망 기기에 스위칭 요청을 송신하고,
상기 스위칭 요청은 상기 최적 핵심망 타입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망 기기. - 제 30 항 내지 제 3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최적 핵심망 타입 정보는 진화된 패킷 코어(EPC), 또는 5G 핵심망, 또는 5G 핵심망과 EPC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망 기기. - 접속망 기기로서,
단말 기기가 소스 셀로부터 타겟 셀로 스위칭되는 과정에서, 소스 접속망 기기로부터 상기 타겟 셀에 대한 최적 핵심망 타입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 유닛 - 상기 최적 핵심망 타입 정보는 상기 타겟 셀의 핵심망 타입을 결정하는 참조 정보임 - ; 및
핵심망 기기에 상기 최적 핵심망 타입 정보를 송신하여 상기 핵심망 기기가 상기 최적 핵심망 타입 정보에 따라 상기 타겟 셀의 핵심망 타입을 결정하도록 하는 송신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망 기기 - 제 35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유닛은 또한, 소스 접속망 기기로부터 스위칭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스위칭 요청은 상기 최적 핵심망 타입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망 기기. - 제 35 항 또는 제 36 항에 있어서,
상기 최적 핵심망 타입 정보는 진화된 패킷 코어(EPC), 또는 5G 핵심망, 또는 5G 핵심망과 EPC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망 기기. - 제 35 항 내지 제 3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망 기기는 처리 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수신 유닛은 또한, 상기 핵심망 기기로부터 상기 타겟 셀의 핵심망 타입을 수신하며;
상기 처리 유닛은, 상기 타겟 셀의 핵심망 타입에 따라 셀 스위칭을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망 기기. - 핵심망 기기로서,
단말 기기가 소스 셀로부터 타겟 셀로 스위칭되는 과정에서, 타겟 접속망 기기가 송신한 상기 타겟 셀에 대한 최적 핵심망 타입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 유닛 - 상기 최적 핵심망 타입 정보는 상기 타겟 셀의 핵심망 타입을 결정하는 참조 정보임 - ; 및
상기 최적 핵심망 타입 정보에 따라 상기 타겟 셀의 핵심망 타입을 결정하는 처리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핵심망 기기. - 제 39 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유닛은 또한, 상기 최적 핵심망 타입 정보, 및 상기 단말 기기의 계약 정보, 상기 단말 기기에 대한 진화된 패킷 시스템(EPS) 베어링 정보, 상기 단말 기기에 대한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PDU) 세션 정보, 서비스 품질(QoS) 스트림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상기 타겟 셀의 핵심망 타입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핵심망 기기. - 제 39 항 또는 제 40 항에 있어서,
상기 최적 핵심망 타입 정보는 진화된 패킷 코어(EPC), 또는 5G 핵심망, 또는 5G 핵심망과 EPC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핵심망 기기. - 제 39 항 내지 제 4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핵심망 기기는,
결정된 상기 타겟 셀의 핵심망 타입을 상기 타겟 접속망 기기에 피드백하는 송신 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핵심망 기기. - 접속망 기기로서,
단말 기기가 소스 셀로부터 타겟 셀로 스위칭되는 과정에서, 핵심망 기기에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는 송신 유닛 - 상기 요청 메시지는 상기 타겟 셀의 핵심망 타입을 요청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소스 셀로부터 상기 타겟 셀로 스위칭되는 과정에서, 상기 핵심망 기기가 변하지 않음 - ; 및
상기 핵심망 기기가 상기 요청 메시지에 대해 피드백한 상기 타겟 셀의 핵심망 타입을 수신하는 수신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망 기기. - 제 43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망 기기는,
상기 타겟 셀의 핵심망 타입에 따라 셀 스위칭을 진행하는 처리 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망 기기. - 제 43 항 또는 제 44 항에 있어서,
상기 타겟 셀의 핵심망 타입 정보는 진화된 패킷 코어(EPC), 또는 5G 핵심망, 또는 5G 핵심망과 EPC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망 기기. - 제 43 항 내지 제 4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핵심망 기기는 액세스 및 이동성 관리 기능(AMF), 또는 이동성 관리 엔티티(MME), 또는 통합 데이터 관리(UDM), 또는 홈 가입자 서버(HSS)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망 기기. - 핵심망 기기로서,
단말 기기가 소스 셀로부터 타겟 셀로 스위칭되는 과정에서, 접속망 기기가 송신한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수신 유닛 - 상기 요청 메시지는 상기 타겟 셀의 핵심망 타입을 요청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소스 셀로부터 상기 타겟 셀로 스위칭되는 과정에서, 상기 핵심망 기기가 변하지 않음 - ; 및
상기 수신 유닛이 상기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후, 상기 핵심망 기기가 상기 단말 기기의 계약 정보, 상기 단말 기기에 대한 진화된 패킷 시스템(EPS) 베어링 정보, 상기 단말 기기에 대한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PDU) 세션 정보, 서비스 품질(QoS) 스트림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상기 타겟 셀의 핵심망 타입을 결정하는 처리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핵심망 기기. - 제 47 항에 있어서,
상기 핵심망 기기는,
상기 접속망 기기에 상기 타겟 셀의 핵심망 타입을 피드백하는 송신 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핵심망 기기. - 제 47 항 또는 제 48 항에 있어서,
상기 타겟 셀의 핵심망 타입 정보는 진화된 패킷 코어(EPC), 또는 5G 핵심망, 또는 5G 핵심망과 EPC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핵심망 기기. - 제 47 항 내지 제 4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핵심망 기기는 액세스 및 이동성 관리 기능(AMF), 또는 이동성 관리 엔티티(MME), 또는 통합 데이터 관리(UDM), 또는 홈 가입자 서버(HSS)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핵심망 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PCT/CN2017/110714 WO2019090770A1 (zh) | 2017-11-13 | 2017-11-13 | 切换过程中确定核心网类型的方法、终端设备、接入网设备和核心网设备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84033A true KR20200084033A (ko) | 2020-07-09 |
KR102466157B1 KR102466157B1 (ko) | 2022-11-10 |
Family
ID=664376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7016823A Active KR102466157B1 (ko) | 2017-11-13 | 2017-11-13 | 스위칭 과정에서 핵심망 타입을 결정하는 방법, 단말 기기 및 접속망 기기 |
Country Status (8)
Country | Link |
---|---|
US (2) | US11259224B2 (ko) |
EP (1) | EP3706465B1 (ko) |
JP (1) | JP7062764B2 (ko) |
KR (1) | KR102466157B1 (ko) |
CN (2) | CN111510975B (ko) |
AU (1) | AU2017438694B2 (ko) |
TW (1) | TWI791069B (ko) |
WO (1) | WO2019090770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1510975B (zh) * | 2017-11-13 | 2022-07-15 |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 切换过程中确定核心网类型的方法、终端设备、接入网设备和核心网设备 |
CN110167082B (zh) * | 2018-02-14 | 2021-11-30 |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 网络的切换方法、装置及系统,切换确定方法及装置 |
CN113810957B (zh) * | 2020-06-12 | 2022-10-11 | 大唐移动通信设备有限公司 | 一种用于简化切换流程的实现方法及装置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80019169A (ko) * | 2006-08-23 | 2008-03-03 | 닛본 덴끼 가부시끼가이샤 | 이동 통신 시스템, 코어 네트워크 노드 선택 방법, 및기지국과 이 기지국에서 사용되는 이동국 |
KR20100013270A (ko) * | 2008-07-30 | 2010-02-09 | 삼성전자주식회사 | 코어 네트워크 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
KR20140103330A (ko) * | 2012-01-16 | 2014-08-26 | 닛본 덴끼 가부시끼가이샤 | 기지국, 통신 시스템, 통신 방법, 및 프로그램의 기록 매체 |
EP2827642A1 (en) * | 2012-04-16 | 2015-01-21 | Huawei Technologies Co., Ltd | Plmn selection method, mobile terminal, bsc and core network device |
Family Cites Families (2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1677455A (zh) * | 2008-09-19 | 2010-03-24 | 三星电子株式会社 | 协助网络寻找目的节点的方法 |
CN101790221B (zh) * | 2009-01-22 | 2015-05-06 |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 家用基站切换时网络接入控制方法及系统 |
CN101730104A (zh) * | 2009-06-23 | 2010-06-09 |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 用户设备接入认证方法、装置及无线局域网接入网络 |
US9801102B2 (en) * | 2010-04-28 | 2017-10-24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Method and apparatus for handover using X2 interface based on closed subscriber group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
EP2751966B1 (en) * | 2011-08-30 | 2016-06-08 |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 Methods of and nodes for selecting a target core network for handing over a voice session of a terminal |
CN102448137B (zh) * | 2012-01-31 | 2015-05-20 | 大唐移动通信设备有限公司 | 一种重定位方法及其设备 |
CN103313328A (zh) * | 2012-03-15 | 2013-09-18 | 北京三星通信技术研究有限公司 | 一种支持切换到csg小区或者混合小区的方法 |
WO2013137462A1 (ja) * | 2012-03-16 | 2013-09-19 | 京セラ株式会社 | 通信制御方法、移動管理装置、ホーム基地局、及び基地局 |
WO2014048455A1 (en) * | 2012-09-25 | 2014-04-03 |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 Method for moving back a ue to a preferred communication network after the completion of a cs fallback call |
US9439107B2 (en) * | 2014-02-06 | 2016-09-06 | Cisco Technology, Inc. | Handover in a wireless telecommunication network environment |
WO2015119557A1 (en) * | 2014-02-10 | 2015-08-13 |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 Interworking between networks operating according to different radio access technologies |
US10004004B2 (en) * | 2014-07-15 | 2018-06-19 | T-Mobile Usa, Inc. | Telecommunication equipment measuring pre-establishment service interruptions |
US10631356B2 (en) * | 2015-01-13 | 2020-04-21 | Nec Corporation | Communication apparatus, core network node, system, computer program and methods for rerouting NAS-messages |
US10470246B2 (en) * | 2015-02-02 | 2019-11-05 |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 First radio access node, a second radio access node, a first core network node and methods therein for preparing handover |
US9894706B2 (en) * | 2015-05-19 | 2018-02-13 |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 Toggling discontinuous recep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s |
CN107005906B (zh) * | 2015-08-07 | 2020-08-14 | 华为技术有限公司 | 一种数据传输和接入网络方法及相关设备、系统 |
CN113115412A (zh) * | 2015-10-09 | 2021-07-13 | 日本电气株式会社 | 专用核心网(dcn)选择 |
US10257078B2 (en) * | 2016-04-01 | 2019-04-09 | Qualcomm Incorporated | Interworking with legacy radio access technologies for connectivity to next generation core network |
US9832697B2 (en) * | 2016-04-04 | 2017-11-28 | Verizon Patent And Licensing Inc. | Providing wireless services using multiple core networks |
CN112040516B (zh) * | 2016-08-12 | 2021-11-26 | 华为技术有限公司 | 切换方法、基站及通信系统 |
WO2018038497A1 (ko) * | 2016-08-23 | 2018-03-01 | 엘지전자 주식회사 | 5g 이동통신에서 음성 통화를 위해 4g로 폴백하는 방법 및 사용자 장치 |
CN108024301B (zh) * | 2016-11-04 | 2022-07-26 | 夏普株式会社 | 基站、用户设备及其执行的方法 |
KR102117098B1 (ko) * | 2017-01-12 | 2020-06-02 | 주식회사 케이티 | 이종 네트워크 핸드오버 제어 방법 및 그 장치 |
US10383046B2 (en) * | 2017-10-20 | 2019-08-13 | Verizon Patent And Licensing Inc. | RAN-core pairing service |
CN111510975B (zh) * | 2017-11-13 | 2022-07-15 |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 切换过程中确定核心网类型的方法、终端设备、接入网设备和核心网设备 |
CN110167082B (zh) * | 2018-02-14 | 2021-11-30 |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 网络的切换方法、装置及系统,切换确定方法及装置 |
-
2017
- 2017-11-13 CN CN202010339319.2A patent/CN111510975B/zh active Active
- 2017-11-13 WO PCT/CN2017/110714 patent/WO2019090770A1/zh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7-11-13 EP EP17931192.3A patent/EP3706465B1/en active Active
- 2017-11-13 JP JP2020526199A patent/JP7062764B2/ja active Active
- 2017-11-13 CN CN201780095009.7A patent/CN111108773A/zh active Pending
- 2017-11-13 AU AU2017438694A patent/AU2017438694B2/en active Active
- 2017-11-13 KR KR1020207016823A patent/KR102466157B1/ko active Active
-
2018
- 2018-11-13 TW TW107140195A patent/TWI791069B/zh active
-
2020
- 2020-05-11 US US16/871,932 patent/US11259224B2/en active Active
-
2021
- 2021-12-30 US US17/646,676 patent/US12185173B2/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80019169A (ko) * | 2006-08-23 | 2008-03-03 | 닛본 덴끼 가부시끼가이샤 | 이동 통신 시스템, 코어 네트워크 노드 선택 방법, 및기지국과 이 기지국에서 사용되는 이동국 |
KR20100013270A (ko) * | 2008-07-30 | 2010-02-09 | 삼성전자주식회사 | 코어 네트워크 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
KR20140103330A (ko) * | 2012-01-16 | 2014-08-26 | 닛본 덴끼 가부시끼가이샤 | 기지국, 통신 시스템, 통신 방법, 및 프로그램의 기록 매체 |
EP2827642A1 (en) * | 2012-04-16 | 2015-01-21 | Huawei Technologies Co., Ltd | Plmn selection method, mobile terminal, bsc and core network device |
Non-Patent Citations (3)
Title |
---|
CATT, "Further Consideration for CN selection", 3GPP TSG-RAN WG2 Meeting #99bis, R2-1710305, 2017.09.29* * |
Huawei etal, "Discussion on mobility scenario for E-UTRA connected to 5GC", 3GPP TSG-RAN WG2 Meeting #99bis, R2-1711112, 2017.09.29* * |
Samsung, "CN selection for E-UTRAN connected to 5G CN", 3GPP TSG RAN WG2 Meeting #99, R2-1707749, 2017.08.11* *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N111510975A (zh) | 2020-08-07 |
WO2019090770A1 (zh) | 2019-05-16 |
US11259224B2 (en) | 2022-02-22 |
KR102466157B1 (ko) | 2022-11-10 |
EP3706465A1 (en) | 2020-09-09 |
EP3706465A4 (en) | 2021-03-17 |
US12185173B2 (en) | 2024-12-31 |
EP3706465B1 (en) | 2023-04-05 |
US20220124582A1 (en) | 2022-04-21 |
CN111108773A (zh) | 2020-05-05 |
TW201924385A (zh) | 2019-06-16 |
JP2021509547A (ja) | 2021-03-25 |
US20200280893A1 (en) | 2020-09-03 |
CN111510975B (zh) | 2022-07-15 |
TWI791069B (zh) | 2023-02-01 |
AU2017438694B2 (en) | 2023-07-27 |
AU2017438694A1 (en) | 2020-07-02 |
JP7062764B2 (ja) | 2022-05-0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5243658B2 (ja) | 負荷情報を取得するための方法、装置、およびシステム | |
KR102488273B1 (ko) | 무선 통신 방법, 단말기 디바이스 및 네트워크 디바이스 | |
US12096219B2 (en) | Communication method, terminal device and network device | |
US11758568B2 (en) | Method and device for transmitting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based on configuration information | |
US20200260321A1 (en) | Transmission parameter determination method, terminal device and network device | |
US8463260B2 (en) | Method of handling system information reception and related communication device | |
US12185173B2 (en) | Method for determining core network type during handover process, terminal device, access network device, and core network device | |
WO2012152310A1 (en) | Extended access barring mechanisms for machine type communications | |
JP2020509664A (ja) | 通信方法、端末機器及びネットワーク機器 | |
US11297637B2 (en) | Method for data transmission based on uplink grant, and terminal device thereof | |
KR20200088852A (ko) | 이중 등록 단말 장치 무선 통신의 방법, 단말 장치와 네트워크 장치 | |
US20220311569A1 (en) | Communication method and apparatus, and device | |
CN119450383A (zh) | 一种通信方法、装置及设备 | |
US20170118668A1 (en) | Load Information Exchange for Interference Coordination | |
EP3737136A1 (en) | Parameter configuration method and related products | |
US11082868B2 (en) | Service access method and device to determine the availability of a service path for service access | |
CN119450385A (zh) | 控制方法、装置、通信设备及处理器可读存储介质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5 | International application |
Patent event date: 20200611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01027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09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0408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21005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2110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2110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