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200070675A - 보온성과 사방신축성을 갖는 이중직물의 제직방법 - Google Patents

보온성과 사방신축성을 갖는 이중직물의 제직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70675A
KR20200070675A KR1020180158073A KR20180158073A KR20200070675A KR 20200070675 A KR20200070675 A KR 20200070675A KR 1020180158073 A KR1020180158073 A KR 1020180158073A KR 20180158073 A KR20180158073 A KR 20180158073A KR 20200070675 A KR20200070675 A KR 202000706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ope
weft
fabric
yarn
inclinat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580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36124B1 (ko
Inventor
박형규
Original Assignee
박형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형규 filed Critical 박형규
Priority to KR10201801580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36124B1/ko
Publication of KR202000706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706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61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6124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1/00Double or multi-ply fabr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3D11/02Fabrics formed with pockets, tubes, loops, folds, tucks or flap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3/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special disposition of the warp or weft threads, e.g. with curved weft threads, with discontinuous warp threads, with diagonal warp or weft
    • D03D15/08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D03D15/5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yarns or threads
    • D03D15/56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yarns or threads elastic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1/00Physical properties
    • D10B2401/06Load-responsive characteristics
    • D10B2401/061Load-responsive characteristics elastic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1/00Wearing apparel
    • D10B2501/04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5/00Industrial
    • D10B2505/18Outdoor fabrics, e.g. tents, tarpauli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Woven Fabr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포츠의류나 아웃도어 의류제조에 적합한 이중직물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가벼우면서 보온성이 우수하고, 사방신축성, 즉 경사방향과 위사방향으로 신축성을 부여하여 착용감과 활동성이 우수한 고품질의 이중직물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신축성있는 원사로 경사를 배열하되, 접결부경사와 이격부경사를 반복배열한 다음, 신축성이 없는 일반원사로 된 표면위사와, 신축성있는 원사로 된 이면위사를 교호로 위입하여 접결부경사에서는 표면위사와 이면위사가 교착되어 한겹직물로 된 접결부를 구성하고, 이격부 경사에서는 표면위사는 이격부경사와 교직되어 표면직물이 형성되고, 이면위사는 이격부경사와 조직되지 않고 이면위사만 잔류하는 무조직부가 형성되게 하여 표면직물과 무조직부 사이에 이격부가 형성되게 하고, 상기 이격부를 통하여 무조직부는 이면위사의 신축성에 의해 폭이 줄어들게 되고, 따라서 표면직물은 만곡형태로 굴곡되면서 공기층이 형성되게 한 것이다.

Description

보온성과 사방신축성을 갖는 이중직물 및 그 제직방법{TWO-LAYER FABRICS WITH HEAT INSUALATION/ALL DIRECTIONS ELASTICITY AND ITS WEAVING METHOD}
본 발명은 가벼우면서 보온성과 사방신축성, 즉 경사방향과 위사방향으로 신축성을 갖는 이중직물 및 그 제직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직물에서 보온성을 높이기 위한 수단으로서, 직물을 이중직으로 제직하여 공기층이 형성되게 하는 수단이 있으며, 또한 스포츠의류나 아웃도어의류의 경우 많은 활동이 요구되기 때문에 신축성이 우수한 직물을 선호하게 된다.
보온성을 높이기 위한 수단으로서, 이중직으로 제직하여 공기층이 형성되게 한 직물과 관련한 선행기술을 검토하여 보면, 특허공개번호 10-2017-0100955호 "무봉제용 튜브형 직물원단 및 그를 이용한 용도"(특허문헌 1)와, 특허 제10-1914280호 "삼중직 보온직물지와 이를 이용한 패딩지 및 패딩제품"(특허문헌 2)등이 있다.
상기 특허문헌 1의 기술내용을 검토하여 보면, 무봉제용 튜브형 직물원단은 자카드 직기에 의해 다중조직으로 제직된 2겹의 직물이 마주한 바탕 천, 상기 바탕 천에 다중조직의 패턴을 따라 소정의 충전 공간으로 분획된 복수개의 접결부 및 상기 바탕 천에서 접결부에 의해 분획된 소정의 충전 공간부로 이루어진 구조로서, 직물 제직단계에서 다중조직의 패턴에 의해 2겹의 직물이 무봉제로 접합되어 직물 고유의 조밀한 조직과 봉제선의 바늘땀없이 가공되므로, 충전공간에 채워진 충전물의 이탈을 근본적으로 방지할 수 있고, 상기 무봉제용 튜브형 직물원단의 일면 또는 양면에 방수, 방풍, 방충, 방우 등의 기능성이 부여된 필름층을 적층하거나 직물 또는 편물의 표면층의 추가 적층이 가능하므로, 그를 이용한 다운 프루프성 방한의류 및 진드기 프루프성 침구류에 특히 유용하다는 것이다.
또한 특허문헌 2의 기술내용을 검토하여 보면, 직조에 의해 형성되고, 상층과 중층 및 하층의 3개 층을 가지는 삼중직형태의 직물지로서, 상기 상층과 중층간에는 이들 층간에 선상으로 형성된 상부 접결선들이 이격하여 2 이상 반복 형성되어, 상기 상부 접결선들의 사이에 상부 충전공간들이 형성되고, 상기 중층과 하층간에는 이들 층간에 선상으로 형성된 하부 접결선들이 이격하여 2 이상 반복 형성되어, 상기 하부 접결선들의 사이에 하부 충전공간들이 형성되고, 상층과 하층간에는 접결이 이루어지지 않으며, 상기 상부 접결선들과 상기 하부 접결선은 상하로 서로 중첩되지 않도록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는 것이다.
상기 특허문헌 1 및 특허문헌 2의 경우에도 제직과정에서 접결부와 이격부를 통한 공간, 즉 공기층이 형성되게 함으로써, 보온성이 우수한 직물을 제공하게 되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상기 직물의 경우 보온성은 담보될 수 있다 하겠으나, 신축성이 부족하여 많은 활동을 하게 되는 스포츠의류나 아웃도어 의류에는 다소의 불편함이 있는 것이었다.
특허공개번호 10-2017-0100955호 "무봉제용 튜브형 직물원단 및 그를 이용한 용도" 특허 제10-1914280호 "삼중직 보온직물지와 이를 이용한 패딩지 및 패딩제품"
본 발명은 스포츠의류나 아웃도어 의류의 제조에 적합한 이중직물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가벼우면서 보온성이 우수하고, 사방신축성, 즉 경사방향과 위사방향으로 신축성을 부여하여, 착용감과 활동성이 우수한 고품질의 이중직물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신축성있는 원사로 경사를 배열하되, 접결부경사와 이격부경사를 반복배열한 다음, 신축성이 없는 일반원사로 된 표면위사와, 신축성있는 원사로 된 이면위사를 교호로 위입하여, 접결부경사에서는 표면위사와 이면위사가 교착되어 한겹직물로 된 접결부를 구성하고, 이격부 경사에서는, 표면위사는 이격부경사와 교직되어 표면직물이 형성되고, 이면위사는 이격부경사와 조직되지 않고 이면위사만 잔류하는 무조직부가 형성되게 하여, 표면직물과 무조직부 사이에 이격부가 형성되게 하고, 상기 이격부를 통하여 무조직부는 이면위사의 신축성에 의해 폭이 줄어들게 되고, 따라서 표면직물은 만곡형태로 굴곡되면서 공기층이 형성되게 한 것이다.
본 발명은 신축성있는 원사로 경사를 배열하되, 접결부경사와 이격부경사를 반복배열한 다음, 신축성이 없는 일반원사로 된 표면위사와, 신축성있는 원사로 된 이면위사를 교호로 위입하여 접결부경사에서는 표면위사와 이면위사가 교착된 접결직물, 즉 접결부를 구성하고, 이격부 경사에서는, 표면위사는 이격부경사와 교직이 되어 표면직물이 형성되고, 이면위사는 이격부경사와 조직되지 않고 이면위사만 잔류하는 무조직가 형성되게 하여, 표면직물과 무조직부 사이에 이격부가 형성되게 하고, 상기 이격부를 통하여 무조직부는 이면위사의 신축성에 의해 폭이 줄어들게 되고, 따라서 표면직물은 만곡형태로 굴곡되면서 공기층이 형성되게 함으로서, 가벼우면서 보온성이 우수하고, 사방신축성, 즉 경사방향과 위사방향으로 신축성을 부여하여 착용감과 활동성이 우수한 고품질의 이중직물을 얻고, 상기 이중직물을 소재로 하여 스포츠의류나 아웃도어의류에 유용하게 적용할 수 있게 되는 등의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 1 : 본 발명의 1순환기본조직도
도 2 : 도 1의 조직도에서 이면1번위사 위입시 경사의 개구상태도
도 3 : 도 1의 조직도에서 표면1번위사 위입시 경사의 개구상태도
도 4 : 도 1의 조직도에서 이면2번위사 위입시 경사의 개구상태도
도 5 : 도 1의 조직도에서 표면2번위사 위입시 경사의 개구상태도
도 6 : 본 발명의 1순환기분조직도를 반복한 이중직물 조직도
도 7 : 본 발명 이중직물의 개략구성도
도 8 : 본 발명 이중직물을 구성하는 이면직물의 개락구성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고자 하는 이중직물은 가벼우면서 보온성이 우수하고, 특히 사방신축성, 즉 경사방향과 위사방향으로 신축성을 부가하여 스포츠의류나 아웃도어의류에 적용시 착용감과 보온성 및 활동성이 우수한 고품질의 의류제품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개략적인 기본구성은 직기를 이용한 이중직물(10) 제직시 사용되는 모든 경사(WP)를 신축성있는 원사로 하되, 상기 경사(WP)는 다시 접결부경사(WP1)와 이격부경사(WP2)로 구분한다.
위사의 경우 표면직물(40)에 적용되는 표면위사와, 이면부의 무조직부(60)를 구성하는 이면위사로 구분하되, 표면직물(40)에 사용되는 표면위사는 신축성이 없는 일반원사를 사용하고, 이면직물, 즉 무조직부(60)를 구성하는 이면위사는 경사(WP)와 동일한 신축성있는 원사를 사용한다.
상기에서 사용되는 신축성원사는 스트레치사, 커버링사, 스판덱스사 등과 같이 신축성이 있는 모든 섬유사를 포함한다.
직기를 이용한 이중직물(10)의 제직형태는 종광에 의해 개구된 접결부경사(WP1)에 표면위사 및 이면위사가 교호로 위입되어 한겹의 직물형태로 제직되는 접결부(20)와, 이격부경사(WP2)와 표면위사가 조직되는 표면직물(40)과, 이격부경사(WP2)와는 조직되지 않고, 이면위사만 잔류하는 무조직부(60)를 통하여 표면직물(40)과 무조직부(60) 사이에 격리부(30)가 형성되게 한다.
따라서 기능성 이중직물(10)이 제직되면 신축성있는 원사를 사용한 경사방향과 위사방향으로 신축성이 부여되고, 특히 이격부(30)에서는 신축성원사를 사용한 이면위사, 즉 접결부(20)와 접결부(20)를 연결하는 무조직부(60)에서는 폭이 줄어들게 되므로 상대적으로 무조직부(60)와 이격부(30)를 통하여 분리된 표면직물(40)은, 이면위사의 폭이 줄어든만큼 만곡돌출되면서 공기층을 형성하게 된다.
발명의 이중직물을 구성함에 있어서, 경사(WP)를 신축성있는 원사를 사용하는 이유는, 경사방향으로 신축성을 부여하면서, 이중직물의 위사밀도를 적절히 유지시켜 이중직물의 형태안정성을 유지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이중직물(10) 이면에 이면위사만으로 구성되는 무조직부(60)는 위사방향으로 충분한 신축성을 부여하면서, 이면위사와 조직이 되지 않는 경사를 표면직물과 교직되게 함으로서, 표면직물(40)의 경사밀도를 높여, 형태안정성과 내구성을 높이는 기능을 하게 된다.
또다른 목적으로서 이면위사를 무조직부(60)로 구성하지 않고, 경사와 교직시킬 경우, 경사의 밀도만큼 신축성원사로 된 이면위사의 신축범위가 줄어들게 될뿐 아니라, 무조직부(60)로 된 이면위사의 부드러운 터치감이 떨어지게 되므로, 신축성과 터치감향상을 위하여 무조직부(60)가 형성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고자 하는 이중직물(10)의 제직과정 일실시예를 설명한다.
접결부경사(WP1)와 이격부경사(WP2)로 구분되는 경사(WP)는 신축성있는 폴리에스테르75D원사를 사용하고, 위사(WT)중 표면위사는 신축성이 없는 폴리에스테르150D원사를 사용하고, 이면위사는 경사(WP)와 동일하게 신축성있는 폴리에스테르75D원사를 사용하였다.
상기에서 사용된 경사 및 위사의 굵기는 한정할 필요없이, 기능성 이중직물의 사용목적과 용도에 따라 다양한 굵기의 원사를 사용할 수 있으며, 원사의 종류 역시 천연섬유나 합성섬유 등 다양하게 적용이 가능하다.
상기에서 경사 및 이면위사는 신축성있는 원사를 사용하면서, 이면 위사의 일부가 무조직부(60)로 구성되게 하고, 표면위사는 신축성이 없는 원사를 사용함으로서, 경위사 양방향으로 신축성이 부여되고, 동시에 표면직물(40)이 만곡형태를 굴곡되면서 이격부(30)를 통하여 공기층이 형성되게 하여 보온성을 유지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 이중직물(10)의 1순환조직도(A)를 표시한 것으로서, 경사(WP)는 접결부경사(WP1)와 이격부경사(WP2)로 구분되며, 상기 접결부경사(WP1)는 4가닥으로서 제1경사(1WP), 제2경사(2WP), 제3경사(3WP), 제4경사(4WP)로 되고, 이격부경사(WP2)는 제5경사(5WP)와, 제6경사(6WP), 제7경사(7WP), 제8경사(8WP)가 5회반복되어 20가닥으로 구성된다.
이때 접결부경사(WP1)의 가닥수나, 이격부경사(WP2)의 가닥수는 증감할 수 있으며, 접결부경사(WP1)의 가닥수를 늘리면, 접결부(20)의 폭이 넓어지면서 위사방향으로 신축성이 떨어지게 되고, 이격부경사(WP2)의 가닥수를 늘리면 이격부(30), 즉 무조직부(60)의 폭이 늘어나게 되므로 신축성과 공기층이 커지게 된다.
그러나 이격부경사(WP2)의 가닥수가 늘어나는만큼 신축성과 공기층이 커지게 되나, 직물의 형태안정성이나, 내구성이 떨어질 수도 있기 때문에 이중직물(10)의 사용용도와 목적에 따라 적절히 조정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1순환조직도(A)의 경사가닥수를 제직하고자 하는 이중직물(10)의 폭, 즉 총경사가닥수만큼 반복배열하여 직기에 설치하고, 종광에 의해 개구되게 한 다음 위사를 위입시켜 직물을 제직하게 된다.
개구된 경사사이로 위입되는 위사는 신축성있는 이면위사와, 신축성이 없는 표면위사가 교호로 반복위입된다.
도 1의 1순환조직도(A)를 기준으로 설명한다.
즉 이면1번위사(1WT) 위입을 위하여 경사(WP)를 개구시키면, 도 2에서와 같이 접결부경사(WP1)의 1번경사(1WP)와 3번경사(3WP) 두가닥과, 모든 이격부경사(WP2), 즉 5번경사(5WP) 5가닥과, 6번경사(6WP) 5가닥, 7번경사(7WP) 5가닥, 8번경사(8WP) 5가닥, 총20가닥의 경사는 상승하고, 접결부경사(WP1)의 2번경사(2WP)와 4번경사(4WP)만 하강한 상태로 개구되고, 상기에서와 같이 개구된 상태에서 신축성있는 이면1번위사(1WT)가 위입된다.
따라서 이면1번위사(1WT)는 접결부경사(WP1)에서만 교직이 되어 접결부(20)를 구성하고, 이격부경사(WP2)에서는 모든 경사와 조직이 되지 않는 무조직상태가 되면서 표면직물(40)과는 이격된 무조직부(60)를 형성한다.
표면1번위사(1WT') 위입을 위하여 경사(WP)를 개구시키면, 도 3에서와 같이 접결부경사(WP1)의 1번경사(1WP)와, 3번경사(3WP) 및 이격부경사(WP2)의 5번경사(5WP) 5가닥과, 7번경사(7WP) 5가닥은 상승하고, 접결부경사(WP1)의 2번경사(2WP)와, 4번경사(4WP) 및 이격부경사(WP2)의 6번경사(6WP) 5가닥과, 8번경사(8WP)는 하강한 상태로 개구되고, 상기에서와 같이 개구된 상태에서 신축성이 없는 표면1번위사(1WT')가 위입된다.
따라서 표면1번위사(1WT')는 접결부경사(WP1)와, 이격부경사(WP2)와 조직이 이루어지면서 접결부(20)와 표면직물(40)이 제직된다.
이면2번위사(2WT) 위입을 위하여 경사(WP)를 개구시키면, 도 4에서와 같이 접결부경사(WP1)의 2번경사(2WP)와 4번경사(4WP) 및 모든 이격부경사(WP2), 즉 5번경사(5WP) 5가닥과, 6번경사(6WP) 5가닥, 7번경사(7WP) 5가닥, 8번경사(8WP) 5가닥, 총20가닥의 경사는 상승하고, 접결부경사(WP1)의 1번경사(1WP)와 3번경사(3WP)만 하강한 상태로 개구되고, 상기에서와 같이 개구된 상태에서 신축성있는 이면2번위사(2WT)가 위입된다.
따라서 이면2번위사(2WT)는 접결부경사(WP1)에서만 교직이 되어 접결부(20)를 구성하고, 이격부경사(WP2)에서는 모든 경사와 조직이 되지 않는 무조직상태가 되면서 표면직물(40)과는 이격된 무조직부(60)를 유지한다.
표면2번위사(2WT') 위입을 위하여 경사(WP)를 개구시키면, 도 5에서와 같이 접결부경사(WP1)의 2번경사(2WP)와, 4번경사(4WP) 및 이격부경사(WP2)의 6번경사(6WP) 5가닥과, 8번경사(8WP) 5가닥은 상승하고, 접결부경사(WP1)의 1번경사(1WP)와, 3번경사(3WP) 및 이격부경사(WP2)의 5번경사(5WP) 5가닥과, 7번경사(7WP)는 하강한 상태로 개구되고, 상기에서와 같이 개구된 상태에서 신축성이 없는 표면2번위사(2WT')가 위입된다.
따라서 표면2번위사(2WT')는 접결부경사(WP1)와, 이격부경사(WP2)와 조직이 이루어지면서 접결부(20)와 표면직물(40)이 제직된다.
도 2 내지 도 5에서와 같이 경사(WP)를 순차적으로 개구시키면서 신축성있는 이면1번위사(1WT)와, 신축성이 없는 표면1번위사(1WT')와, 다시 신축성있는 이면2번위사(2WT)와, 신축성이 없는 표면2번위사(2WT')를 위입시키는 제직수단의 반복으로, 본 발명에서 제공하고자 하는 이중직물(10)을 제직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에서와 같이 제직된 이중직물(10)의 경우, 도 7 및 도 8에서와 같이 이중직물(10)을 구성하는 접결부경사(WP1), 즉 1번경사(1WP) 내지 4번경사(4WP)에서는, 이면1번위사(1WT), 표면1번위사(1WT'), 이면2번위사(2WT), 표면2번위사(2WT')와 교직되어 한겹의 직물형태로 접결부(20)가 제직이 되고, 이격부경사(WP2)의 5번경사(5WP) 내지 8번경사(8WP) 부분에서 이면1번위사(1WT) 및 이면2번위사(2WT)는 이격부경사(WP2)들과 교직이 되지 않고, 접결부(20)와 접결부(20) 사이에 신축성있는 이면1,2번위사(1WT)(2WT)만 잔류하는 무조직부(60)가 형성되고, 표면1번위사(1WT') 및 표면2번위사(2WT')는 5번경사(5WP) 내지 8번경사(8WP)와 교직이 되어 표면직물(40)을 형성하게 된다.
따라서 경사와 교직되지 않는 무조직부(60)에 위치하는 이면1,2번위사(1WT)(2WT)는 신축성에 의해 폭이 줄어들게 되므로, 신축성이 없는 일반위사로 제직된 표면직물(40)은 신축성있는 이면위사의 길이가 줄어든만큼, 만곡형태로 절곡되면서 무조직부(60)로 된 이면1,2번위사(1WT)(2WT)와 표면직물(40) 사이에는 격리부(30)에 의해 공기층이 형성된다.
또한 이중직물(10) 제직에 사용된 모든 경사(WP)는 신축성있는 원사를 사용하였기 때문에 제직이 완료된 상태에서 경사방향으로도 신축성이 부여된다.
특히 발명에서 제공하고자 하는 이중직물(10)의 경우, 모든 경사(WP)와 모든 이면위사를 신축성있는 원사를 사용하였기 때문에 경위사 양방향, 즉 사방신축성이 부여되고, 신축성있는 원사를 사용한 이면위사는 경사와 교직이 되지 않고, 무조직상태로 폭이 줄어들면서 벌키성이 유지되므로, 이중직물(10)의 이면부분의 터치감이 부드럽게 유지되고, 또한 이격부(30)에 위치하는 공기층이 보온성을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이중직물(10)을 이용하여 스포츠의류나 아웃도어의류의 소재로 사용할 경우, 활동성이 우수하면서 가볍고, 터치감과 보온성이 탁월한 고품질의류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A)--1순환조직도 (WP)--경사
(WP1)--접결부경사 (WP2)--이격부경사
(1WP)--1번경사 (2WP)--2번경사
(3WP)--3번경사 (4WP)--4번경사
(5WP)--5번경사 (6WP)--6번경사
(7WP)--7번경사 (8WP)--8번경사
(WT)--위사 (1WT)--이면1번위사
(2WT)--이면2번위사 (1WT')--표면1번위사
(2WT')--표면2번위사 (10)--이중직물
(20)--접결부 (30)--이격부
(40)--표면직물 (60)--무조직부

Claims (3)

  1. 공기층이 형성된 기능성 이중직물을 구성함에 있어서, 경사(WP)를, 접결부경사(WP1)와 이격부경사(WP2)로 구분하되, 상기 모든 경사(WP)는 신축성있는 원사로 설정하고, 상기 경사(WP)를 개구시킨 다음 개구된 경사(WP) 사이로 신축성있는 원사로 된 이면위사와, 신축성이 없는 원사로 된 표면위사를 교호로 위입하되, 접결부경사(WP1)에서는 이면위사와 표면위사가 교직되어 한겹의 직물로 된 접결부(20)를 구성하고, 격리부경사(WP2)에서는, 위입되는 이면위사가 격리부경사(WP2)와 교직되지 않게 하여 접결부(20) 사이에 무조직부(60)가 형성되게 하고, 표면위사는 격리부경사(WP2)와 교직되어 표면직물(40)이 형성되게 함으로서, 표면직물(40)과 무조직부(60) 사이에 이격부(30)가 형성되고, 이격부(30)에 의해 접결부(20) 사이에 위치하는 무조직부(60)의 이면위사가 수축하면서 위사방향으로 폭이 줄어들게 되므로, 표면직물(40)과 무조직부(60) 사이에 이격부(30)에 의한 공기층이 형성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온성과 사방신축성을 갖는 이중직물.
  2. 직기를 이용하여 공기층이 형성된 이중직물을 제직함에 있어서, 신축성있는 원사를 경사(WP)로 하되, 접결부경사(WP1)와, 이격부경사(WP2)로 구분하여 총경사가닥수만큼 반복배열하고, 상기 경사(WP)를 개구시킨 다음, 신축성있는 원사로 된 이면위사와, 신축성없는 원사로 된 표면위사를 교호로 위입시켜 직물을 제직하되, 이면위사 위입시, 접결부경사(WP1)는 상하로 개구시키고, 이격부경사(WP2)는 모두 상승개구시킨 다음 이면위사를 위입시켜, 접결부경사(WP1)에서는 경위사가 교직된 한겹직물의 접결부(20)가 형성되고, 이격부경사(WP2)에서는 이격부경사(WP2)와 교직되지 않은 이면위사만 잔류하는 무조직부(60)가 형성되게 하고, 표면경사 위입시, 접결부경사(WP1) 및 이격부경사(WP2)를 상하로 개구시킨 다음, 표면위사를 위입시켜, 접결부경사(WP1)에서는 경위사가 교직된 접결부(20)가 형성되고, 이격부경사(WP2)에서는 경위사가 교직된 표면직물(40)이 형성되게 함으로서, 표면직물(40)과 이면위사로 된 무조직부(60) 사이에 이격부(30)가 형성되게 하고, 상기한 상태에서 무조직부(60)의 이면위사가 수축하면, 표면직물(40)과 무조직부(60) 사이의 이격부(30)에 공기층이 형성되게 제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온성과 사방신축성을 갖는 이중직물의 제직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접결부경사(WP1)는, 1번경사(1WP), 2번경사(2WP), 3번경사(3WP), 4번경사(4WP)로 하고, 이격부경사(WP2)는, 5번경사(5WP), 6번경사(6WP), 7번경사(7WP), 8번경사(8WP)를 5회반복배열하여, 이격부경사(WP2)로 하고, 상기 접결부경사(WP1)와 이격부경사(WP2)를 총경사가닥수만큼 반복배열하고, 신축성있는 원사로 구성한 이면위사는 이면1번위사(1WT)와 이면2번위사(2WT)로 하고, 신축성없는 원사로 구성한 표면위사는 표면1번위사(1WT')와 표면2번위사(2WT')로 하고, 이면1번위사(1WT) 위입시 경사(WP)의 개구상태는, 접결부경사(WP1)의 1번, 3번경사(1WP)(3WP)는 상승하고, 2번,4번경사(2WP)(4WP)는 하강하고, 이격부경사(WP2)의 5번내지 8번경사(5WP)~(8WP)는 모두 상승상태로 개구시킨 다음, 이면1번위사(1WT)를 위입시키고, 표면1번위사(1WT') 위입시 경사(WP)의 개구상태는, 접결부경사(WP1)의 1번,3번경사(1WP)(3WP)는 상승하고, 2번,4번경사(2WP)(4WP)는 하강하고, 이격부경사(WP2)의 5번,7번경사(5WP)(7WP)는 상승하고, 6번,8번경사(6WP)(8WP)는 하강상태로 개구시킨 다음 표면1번위사(1WT')를 위입시키고, 이면2번위사(2WT) 위입시 경사(WP)의 개구상태는, 접결부경사(WP1)의 2번, 4번경사(2WP)(4WP)는 상승하고, 1번,3번경사(1WP)(3WP)는 하강하고, 이격부경사(WP2)의 5번내지 8번경사(5WP)~(8WP)는 모두 상승상태로 개구시킨 다음, 이면2번위사(2WT)를 위입시키고, 표면2번위사(2WT') 위입시 경사(WP)의 개구상태는, 접결부경사(WP1)의 2번,4번경사(2WP)(4WP)는 상승하고, 1번,3번경사(1WP)(3WP)는 하강하고, 이격부경사(WP2)의 6번,8번경사(6WP)(8WP)는 상승하고, 5번,7번경사(5WP)(7WP)는 하강상태로 개구시킨 다음 표면2번위사(2WT')를 위입시키는 동작의 반복으로 제직되게 함으로서, 접결부경사(WP1)에서는 이면1번,2번위사(1WT)(2WT)와, 표면1번,2번위사(1WT')(2WT')와 교직되어 한겹의 직물로 된 접결부(20)를 구성하고, 이격부경사(WP2)에 위치하는 이면1번,2번위사(1WT)(2WT)는, 이격부경사(WP2)와 교직되지 않게 한 무조직부(60)를 구성하고, 표면1번,2번위사(1WT')(2WT')는 이격부경사(WP2)와 교직되어 표면직물(40)이 형성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온성과 사방신축성을 갖는 이중직물의 제직방법.
KR1020180158073A 2018-12-10 2018-12-10 보온성과 사방신축성을 갖는 이중직물의 제직방법 Active KR1021361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8073A KR102136124B1 (ko) 2018-12-10 2018-12-10 보온성과 사방신축성을 갖는 이중직물의 제직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8073A KR102136124B1 (ko) 2018-12-10 2018-12-10 보온성과 사방신축성을 갖는 이중직물의 제직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0675A true KR20200070675A (ko) 2020-06-18
KR102136124B1 KR102136124B1 (ko) 2020-07-21

Family

ID=711434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8073A Active KR102136124B1 (ko) 2018-12-10 2018-12-10 보온성과 사방신축성을 갖는 이중직물의 제직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3612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00824B1 (ko) 2021-12-16 2023-02-16 황인호 공기층을 갖고 보온성과 착용감이 우수한 패션의류용 직물
WO2024019233A1 (ko) * 2022-07-21 2024-01-25 고재정 공기층을 포함하는 원단의 직조방법
EP4428279A1 (de) * 2023-03-10 2024-09-11 Iprotex GmbH & Co. KG Textiles flächengebilde und verfahren zu dessen herstellung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321948A (ja) * 1988-03-15 1989-12-27 Motomikurosu Kogyo Kk クッション性織物
KR20110009529A (ko) * 2009-07-22 2011-01-28 코오롱글로텍주식회사 탄성 강화 입체직물 및 상기 입체직물로 제조된 카시트
KR20170100955A (ko) 2016-02-26 2017-09-05 (주)영보월드와이드 무봉제용 튜브형 직물원단 및 그를 이용한 용도
KR101914280B1 (ko) 2017-10-23 2018-11-01 이호숙 삼중직 보온 직물지와 이를 이용한 패딩지 및 패딩제품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321948A (ja) * 1988-03-15 1989-12-27 Motomikurosu Kogyo Kk クッション性織物
KR20110009529A (ko) * 2009-07-22 2011-01-28 코오롱글로텍주식회사 탄성 강화 입체직물 및 상기 입체직물로 제조된 카시트
KR20170100955A (ko) 2016-02-26 2017-09-05 (주)영보월드와이드 무봉제용 튜브형 직물원단 및 그를 이용한 용도
KR101914280B1 (ko) 2017-10-23 2018-11-01 이호숙 삼중직 보온 직물지와 이를 이용한 패딩지 및 패딩제품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00824B1 (ko) 2021-12-16 2023-02-16 황인호 공기층을 갖고 보온성과 착용감이 우수한 패션의류용 직물
WO2024019233A1 (ko) * 2022-07-21 2024-01-25 고재정 공기층을 포함하는 원단의 직조방법
EP4428279A1 (de) * 2023-03-10 2024-09-11 Iprotex GmbH & Co. KG Textiles flächengebilde und verfahren zu dessen herstellu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36124B1 (ko) 2020-07-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19676B1 (ko) 단열성 충전재를 위한 배플 구조체
KR102136124B1 (ko) 보온성과 사방신축성을 갖는 이중직물의 제직방법
JP4339116B2 (ja) 3次元フィレットスティチ織物壁補強材
KR100673742B1 (ko) 편성 면파스너
EP3056594A3 (en) Woven multi-layer fabrics and methods of fabricating same
JP2015061958A (ja) ネット状立体編地
JP2017524833A (ja) 複数のゾーンの単一の織られた生地構築体
KR101908622B1 (ko) 차광기능을 향상시킨 고밀도 이중직물 및 그 제직방법
CN111683550A (zh) 具有保温腔室的结构体
EP1630270A3 (en) Industrial two-layer fabric
CN108083222A (zh) 一种具有方格立衬结构的可填充立体织物
JP3944613B2 (ja) 立体構造状ネット
JP2023051823A (ja) 緯三重組織コーデュロイ及びその生産プロセス
CN215103792U (zh) 防止纱线滑脱的纱布结构、单层纱布面料和双层纱布面料
JP2008075230A (ja) 伸縮性を備えた細幅織物
JP5546199B2 (ja) 弾性復元力を備えた細幅織物
CN213947713U (zh) 一种棉感弹力布
CN109680384B (zh) 一种填充式梭织弹性织物及其制作方法
CN207891040U (zh) 一种具有方格立衬结构的可填充立体织物
JP3113666U (ja) 車両等のシート材
US2640508A (en) Elastic fabric
JP5383456B2 (ja) 細巾織物及び細巾織物の製造方法
KR101937584B1 (ko) 더블 양면지 포토 슬로건 제직방법
JP5784814B1 (ja) かさ高織物とその製造方法
KR101475597B1 (ko) 삼중직 누비 직물 제직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121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011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0071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071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0071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71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71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