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200059859A - 차량용 스티어링 컬럼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스티어링 컬럼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59859A
KR20200059859A KR1020180145120A KR20180145120A KR20200059859A KR 20200059859 A KR20200059859 A KR 20200059859A KR 1020180145120 A KR1020180145120 A KR 1020180145120A KR 20180145120 A KR20180145120 A KR 20180145120A KR 20200059859 A KR20200059859 A KR 202000598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cket
cowl
column
tilt
coupled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51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35490B1 (ko
Inventor
강한나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451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5490B1/ko
Publication of KR202000598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598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54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5490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16Steering columns
    • B62D1/18Steering columns yieldable or adjustable, e.g. tiltable
    • B62D1/187Steering columns yieldable or adjustable, e.g. tiltable with tilt adjustment; with tilt and axial adjus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16Steering columns
    • B62D1/18Steering columns yieldable or adjustable, e.g. tiltable
    • B62D1/184Mechanisms for locking columns at selected pos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16Steering columns
    • B62D1/18Steering columns yieldable or adjustable, e.g. tiltable
    • B62D1/19Steering columns yieldable or adjustable, e.g. tiltable incorporating energy-absorbing arrangements, e.g. by being yieldable or collapsi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5Reducing production costs, e.g. by redesig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7Facilitating assembling or moun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10/00Constructional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410/102Shaft arrangements; Shaft supports, e.g. bea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eering Controls (AREA)

Abstract

차량용 스티어링 컬럼장치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차량용 스티어링 컬럼장치는: 스티어링샤프트부에 연결되고 차체에 결합되는 컬럼하우징부와, 컬럼하우징부의 상측에 배치되는 카울 브라켓부와, 틸트 브라켓과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되, 카울 브라켓부 측으로 또는 카울 브라켓부의 반대측으로 회동가능하며, 카울 브라켓부가 결합되는 마운팅 브라켓을 구비하는 컬럼 브라켓부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차량용 스티어링 컬럼장치{STEERING COLUMN APPARATUS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스티어링 컬럼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카울 브라켓부에 발생된 단차로 인해 컬럼 브라켓부와 카울 브라켓부의 결합시 컬럼 브라켓부가 변형되어 기능이 저하되는 것이 방지되는 차량용 스티어링 컬럼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운전석에는 차량의 진행방향을 임의로 변경할 수 있는 스티어링 컬럼장치가 구비된다.
스티어링 컬럼장치는 컬럼하우징, 컬럼 브라켓 및 카울 브라켓을 구비하며, 컬럼하우징에 장착된 컬럼 브라켓에 카울 브라켓이 결합된다. 그러나, 카울 브라켓의 제작시 발생된 공차로 인한 단차로 컬럼 브라켓이 카울 브라켓에 결합되면, 컬럼 브라켓이 변형됨에 따라 컬럼 브라켓의 기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그 결과, 스티어링 컬럼장치가 제기능을 수행하지 못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575337호(2015.12.01 등록, 발명의 명칭: 차량용 스티어링 컬럼 마운팅 유닛)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필요성에 의해 창출된 것으로서, 카울 브라켓부에 발생된 단차로 인해 컬럼 브라켓부와 카울 브라켓부의 결합시 컬럼 브라켓부가 변형되어 기능이 저하되는 것이 방지되는 차량용 스티어링 컬럼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차량용 스티어링 컬럼장치는: 스티어링샤프트부에 연결되고 차체에 결합되는 컬럼하우징부; 상기 컬럼하우징부의 상측에 배치되는 카울 브라켓부; 및 상기 컬럼하우징부에 장착되는 틸트 브라켓과, 상기 틸트 브라켓과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되, 상기 카울 브라켓부 측으로 또는 상기 카울 브라켓부의 반대측으로 회동가능하며, 상기 카울 브라켓부와 결합되는 마운팅 브라켓을 구비하는 컬럼 브라켓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틸트 브라켓은 상기 카울 브라켓부와 마주보는 면에 결합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마운팅 브라켓은 상기 결합홈부에 결합되어 상기 카울 브라켓부 측으로 또는 상기 카울 브라켓부의 반대측으로 회동가능한 결합돌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결합홈부는 오목한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결합돌기는 상기 결합홈부에 대응되는 라운진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틸트 브라켓은, 양측부에 너비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상기 결합홈부가 구비되는 틸트 브라켓본체; 및 상기 틸트 브라켓본체와 결합되어 상기 틸트 브라켓본체에서 상기 컬럼하우징부 측으로 길게 배치되며, 상기 컬럼하우징부의 틸트 힌지축에 각각 고정되는 한 쌍의 틸트 브라켓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마운팅 브라켓은, 상기 카울 브라켓결합홀부가 형성되는 마운팅 브라켓본체; 및 상기 마운팅 브라켓본체의 측부에서 일측으로 돌출되되, 상기 마운팅 브라켓본체의 측부 너비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상기 결합홈부에 결합되는 상기 결합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카울 브라켓부에 장착되며, 상기 카울 브라켓결합홀부를 관통하는 제1결합부; 및 상기 제1결합부와 결합되어 상기 카울 브라켓부와 상기 마운팅 브라켓를 결합시키는 제2결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스티어링 컬럼장치는 카울 브라켓부의 제작시 공차로 인한 단차로 컬럼 브라켓부와 카울 브라켓부 사이에 간극이 발생하더라도, 컬럼 브라켓부의 마운팅 브라켓이 틸트 브라켓 상에서 회전되어 카울 브라켓부와 결합될 수 있어, 컬럼 브라켓부와 카울 브라켓부의 결합시 컬럼 브라켓부가 변형되어 기능이 저하되는 것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차량의 충돌발생시 마운팅 브라켓과 틸트 브라켓이 분리되므로, 카울 브라켓부가 결합되며, 마운팅 브라켓에 장착되되, 차량의 충돌발생시 분리가능한 별물의 캡슐 등 부품이 없어도 그 기능을 수행할 수 있어, 부품의 수가 줄어들어 부품비용이 절감됨은 물론, 조립시간이 단축될 수 있어 작업의 효율성이 향상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틸트 브라켓의 결합홈부가 오목한 형상으로 형성되고, 마운팅 브라켓의 결합홈부에 결합되는 결합돌기가 결합홈부에 대응되는 라운진 형상을 가지므로, 마운팅 브라켓은 틸트 브라켓 상에서 카울 브라켓부 측으로 또는 카울 브라켓부의 반대측으로 용이하게 회전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틸트 브라켓본체의 양측부에 너비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결합홈부에 마운팅 브라켓본체의 측부 너비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결합돌기가 결합되므로, 마운팅 브라켓이 보다 안정적으로 틸트 브라켓에 결합된 상태에서 회전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스티어링 컬럼장치를 대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스티어링 컬럼장치의 컬럼하우징부과 컬럼 브라켓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스티어링 컬럼장치의 컬럼 브라켓부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A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스티어링 컬럼장치의 컬럼 브라켓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B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컬럼하우징부, 카울 브라켓부 및 컬럼 브라켓부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울 브라켓부에 발생된 단차로 인해 컬럼 브라켓부의 마운팅 브라켓이 틸트 브라켓 상에서 회전되어 카울 브라켓부와 결합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스티어링 컬럼장치를 설명하도록 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스티어링 컬럼장치를 대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스티어링 컬럼장치의 컬럼하우징부과 컬럼 브라켓부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스티어링 컬럼장치의 컬럼 브라켓부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A부분을 확대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스티어링 컬럼장치의 컬럼 브라켓부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B부분을 확대한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컬럼하우징부, 카울 브라켓부 및 컬럼 브라켓부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울 브라켓부에 발생된 단차로 인해 컬럼 브라켓부의 마운팅 브라켓이 틸트 브라켓 상에서 회전되어 카울 브라켓부와 결합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스티어링 컬럼장치(1)는 컬럼하우징부(100), 카울 브라켓부(200) 및 컬럼 브라켓부(300)를 포함한다. 컬럼하우징부(100)는 스티어링샤프트부(10)에 연결되고 차체에 결합된다. 스티어링샤프트부(10)는 스티어링휠(미도시)에 연결되어, 스티어링휠의 회전력을 전달한다. 운전자가 스티어링휠을 조작함에 따라 스티어링샤프트부(10)가 회전되어 스티어링휠의 조향각이 조절될 수 있다. 컬럼하우징부(100)는 차량 충돌시 조향축부(10)에서 전달되는 충격을 전달받는다.
카울 브라켓부(200)는 컬럼하우징부(100)의 상측에 배치된다. 카울 브라켓부(200)는 컬럼 브라켓부(300)를 통해 컬럼하우징부(100)와 연결된다. 구체적으로, 컬럼 브라켓부(300)는 컬럼하우징부(100)에 장착되며, 컬럼 브라켓부(300)에 카울 브라켓부(200)이 결합됨으로써, 카울 브라켓부(200)와 컬럼하우징부(100)가 연결될 수 있다(도 1 참조).
컬럼 브라켓부(300)는 틸트 브라켓(310)과 마운팅 브라켓(320)을 포함한다. 틸트 브라켓(310)은 컬럼하우징부(100)에 장착된다. 마운팅 브라켓(320)은 틸트 브라켓(310)과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되, 카울 브라켓부(200) 측으로 또는 카울 브라켓부(200)의 반대측으로 회동가능하며, 카울 브라켓부(200)와 결합된다(도 3 내지 도 8 참조).
도 8과 같이, 카울 브라켓부(200)의 제작시 발생된 공차로 인한 단차로 컬럼 브라켓부(300)와 카울 브라켓부(200) 사이에 간극이 발생될 수 있다. 이렇게 컬럼 브라켓부(300)의 마운팅 브라켓(320)와 카울 브라켓부(200) 사이에 간극이 발생되면, 마운팅 브라켓(320)와 카울 브라켓부(200) 사이에 간극만큼 마운팅 브라켓(320)가 틸트 브라켓(310) 상에서 소정각도(θ) 회전되어 카울 브라켓부(200)에 접촉된 후, 카울 브라켓부(200)와 결합될 수 있다. 즉, 컬럼 브라켓부(300)와 카울 브라켓부(200)이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컬럼 브라켓부(300)은 틸트 브라켓(310)과 마운팅 브라켓(320)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마운팅 브라켓(320)이 틸트 브라켓(310)의 양측부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되, 카울 브라켓부(200) 측으로 또는 카울 브라켓부(200)의 반대측으로 회동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카울 브라켓부(200)의 제작시 발생된 공차로 인한 단차로 컬럼 브라켓부(300)와 카울 브라켓부(200) 사이에 간극이 발생하더라도, 컬럼 브라켓부(300)의 마운팅 브라켓(320)이 틸트 브라켓(310) 상에서 회전되어 카울 브라켓부(200)와 결합될 수 있어, 컬럼 브라켓부(300)는 변형없이 카울 브라켓부(200)와 결합될 수 있다. 그 결과, 컬럼 브라켓부(300)가 변형되어 기능이 저하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컬럼 브라켓부(300)가 변형되어 컬럼 브라켓부(300)와 컬럼하우징부(100)의 사이 간극이 변화되면서 컬럼하우징부(100)를 지지하는 지지력이 저하되는 등 컬럼하우징부(100)의 기능이 저하될 수 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나아가, 차량의 충돌발생시 틸트 브라켓(310)과 마운팅 브라켓(320)가 분리가능하므로, 카울 브라켓부(200)가 결합되며, 마운팅 브라켓(320)에 장착되되, 차량의 충돌발생시 분리가능한 별물의 캡슐 등 부품이 없어도 그 기능을 수행할 수 있어, 부품의 수가 줄어들어 부품비용이 절감됨은 물론, 조립시간이 단축될 수 있어 작업의 효율성이 향상될 수 있다.
틸트 브라켓(310)은 카울 브라켓부(200)와 마주보는 면에 결합홈부(311a)가 형성되고, 마운팅 브라켓(320)은 결합홈부(311a)에 결합되어 카울 브라켓부(200) 측으로 또는 카울 브라켓부(200)의 반대측으로 회동가능한 결합돌기(322)를 구비한다.
결합홈부(311a)는 오목한 형상으로 형성되고, 결합돌기(322)는 결합홈부(311a)에 대응되는 라운진 형상을 가진다. 이로 인해, 마운팅 브라켓(320)은 틸트 브라켓(310) 상에서 카울 브라켓부(200) 측으로 또는 카울 브라켓부(200)의 반대측으로 용이하게 회전될 수 있다.
틸트 브라켓(310)은 틸트 브라켓본체(311)와 한 쌍의 틸트 브라켓 플레이트(312)를 포함한다. 틸트 브라켓본체(311)는 양측부에 너비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결합홈부(311a)가 구비된다.
한 쌍의 틸트 브라켓 플레이트(312)는 틸트 브라켓본체(311)와 결합되어 틸트 브라켓본체(311)에서 컬럼하우징부(100) 측으로 길게 배치되며, 컬럼하우징부(100)의 틸트 힌지축(110)에 각각 고정된다. 도 1, 도 2와 같이, 틸트 브라켓본체(311)는 컬럼하우징부(100)의 상측에(도 1, 도 2 기준) 위치되며, 틸트 브라켓 플레이트(312)는 틸트 브라켓본체(311)의 양측부에 각각 결합되어 컬럼하우징부(100)의 틸트 힌지축(110)에 고정될 수 있다. 틸트 브라켓 플레이트(312)는 판 형상으로 틸트 브라켓본체(311)의 양측부에서 하측으로(도 1, 도 2 기준) 길게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틸트 브라켓(310)은 컬럼하우징부(100)의 외측면을 감싸도록 결합될 수 있다.
마운팅 브라켓(320)은 마운팅 브라켓본체(321)와 결합돌기(322)를 포함한다. 마운팅 브라켓본체(321)에는 카울 브라켓결합홀부(321a)가 형성된다(도 3 내지 도 6 참조).
도 6과 같이, 결합돌기(322)는 마운팅 브라켓본체(321)의 측부에서 일측으로 돌출되되, 마운팅 브라켓본체(321)의 측부 너비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결합홈부(311a)에 결합된다. 이때, 결합돌기(322)는 결합홈부(311a)에 슬라이딩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틸트 브라켓본체(311)의 양측부에 너비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결합홈부(311a)에 마운팅 브라켓본체(321)의 측부 너비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결합돌기(322)가 결합되므로, 마운팅 브라켓(320)이 보다 안정적으로 틸트 브라켓(310)에 결합된 상태에서 회전될 수 있다.
차량용 스티어링 컬럼장치(1)는 제1결합부(400)와 제2결합부(500)를 더 포함한다. 제1결합부(400)는 카울 브라켓부(200)에 장착되며, 카울 브라켓결합홀부(321a)를 관통한다. 제2결합부(500)는 제1결합부(400)와 결합되어 카울 브라켓부(200)와 마운팅 브라켓(320)를 결합시킨다. 이에 따라, 컬럼 브라켓부(300)와 카울 브라켓부(200)가 보다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 : 차량용 스티어링 컬럼장치 10 : 스티어링샤프트부
100 : 컬럼하우징부 110 : 틸트 힌지축
200 : 카울 브라켓부 300 : 컬럼 브라켓부
310 : 틸트 브라켓 311 : 틸트 브라켓본체
311a : 결합홈부 312 : 틸트 브라켓 플레이트
320 : 마운팅 브라켓 321 : 마운팅 브라켓본체
322 : 결합돌기 400 : 제1결합부
500 : 제2결합부

Claims (6)

  1. 스티어링샤프트부에 연결되고 차체에 결합되는 컬럼하우징부;
    상기 컬럼하우징부의 상측에 배치되는 카울 브라켓부; 및
    상기 컬럼하우징부에 장착되는 틸트 브라켓과, 상기 틸트 브라켓과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되, 상기 카울 브라켓부 측으로 또는 상기 카울 브라켓부의 반대측으로 회동가능하며, 상기 카울 브라켓부와 결합되는 마운팅 브라켓을 구비하는 컬럼 브라켓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티어링 컬럼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틸트 브라켓은 상기 카울 브라켓부와 마주보는 면에 결합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마운팅 브라켓은 상기 결합홈부에 결합되어 상기 카울 브라켓부 측으로 또는 상기 카울 브라켓부의 반대측으로 회동가능한 결합돌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티어링 컬럼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홈부는 오목한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결합돌기는 상기 결합홈부에 대응되는 라운진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티어링 컬럼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틸트 브라켓은,
    양측부에 너비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상기 결합홈부가 구비되는 틸트 브라켓본체; 및
    상기 틸트 브라켓본체와 결합되어 상기 틸트 브라켓본체에서 상기 컬럼하우징부 측으로 길게 배치되며, 상기 컬럼하우징부의 틸트 힌지축에 각각 고정되는 한 쌍의 틸트 브라켓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티어링 컬럼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마운팅 브라켓은,
    상기 카울 브라켓결합홀부가 형성되는 마운팅 브라켓본체; 및
    상기 마운팅 브라켓본체의 측부에서 일측으로 돌출되되, 상기 마운팅 브라켓본체의 측부 너비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상기 결합홈부에 결합되는 상기 결합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차량용 스티어링 컬럼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카울 브라켓부에 장착되며, 상기 카울 브라켓결합홀부를 관통하는 제1결합부; 및
    상기 제1결합부와 결합되어 상기 카울 브라켓부와 상기 마운팅 브라켓를 결합시키는 제2결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티어링 컬럼장치.
KR1020180145120A 2018-11-22 2018-11-22 차량용 스티어링 컬럼장치 Active KR1025354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5120A KR102535490B1 (ko) 2018-11-22 2018-11-22 차량용 스티어링 컬럼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5120A KR102535490B1 (ko) 2018-11-22 2018-11-22 차량용 스티어링 컬럼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9859A true KR20200059859A (ko) 2020-05-29
KR102535490B1 KR102535490B1 (ko) 2023-05-23

Family

ID=709117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5120A Active KR102535490B1 (ko) 2018-11-22 2018-11-22 차량용 스티어링 컬럼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35490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4085225A1 (ja) * 2003-03-26 2004-10-07 Nsk Ltd. 車両用ステアリング装置
CN101291839A (zh) * 2005-10-18 2008-10-22 日本精工株式会社 转向柱装置
WO2013069340A1 (ja) * 2011-11-07 2013-05-16 日本精工株式会社 ステアリング装置
JP2013233827A (ja) * 2012-05-07 2013-11-21 Jtekt Corp ステアリングコラムの取付構造及びこれを備えたステアリングコラム装置
JP2014076804A (ja) * 2011-08-09 2014-05-01 Nsk Ltd エネルギ吸収部材および衝撃吸収式ステアリング装置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4085225A1 (ja) * 2003-03-26 2004-10-07 Nsk Ltd. 車両用ステアリング装置
CN101291839A (zh) * 2005-10-18 2008-10-22 日本精工株式会社 转向柱装置
JP2014076804A (ja) * 2011-08-09 2014-05-01 Nsk Ltd エネルギ吸収部材および衝撃吸収式ステアリング装置
WO2013069340A1 (ja) * 2011-11-07 2013-05-16 日本精工株式会社 ステアリング装置
JP2013233827A (ja) * 2012-05-07 2013-11-21 Jtekt Corp ステアリングコラムの取付構造及びこれを備えたステアリングコラム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35490B1 (ko) 2023-05-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353966B1 (en) Steering column device
EP3000690B1 (en) Position adjusting-type steering device
JP4615545B2 (ja) 回転型掛止部材を備えたチルト及びテレスコープ操向装置
US20080106086A1 (en) Tilt-type steering apparatus
US10640025B2 (en) Vehicle seat
JP5595807B2 (ja) ステアリングコラム装置
JP5811232B2 (ja) 車両用ステアリング装置
KR101710372B1 (ko) 로워암 조립장치
JP2008143396A (ja) ステアリング装置
KR20200059859A (ko) 차량용 스티어링 컬럼장치
JP5905098B2 (ja) 建設機械用運転室の下部ガラス固定装置
KR100746665B1 (ko) 방사상 고정 기어를 구비한 틸트식 조향장치
JP3906092B2 (ja) チルトステアリング装置
JP5034548B2 (ja) ステアリングコラム装置
JP2016165938A (ja) ステアリング装置
JP5966700B2 (ja) 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JP2003112633A (ja) ステアリング装置
KR200299031Y1 (ko) 자동차용조향장치의액티브센터필구조
JP5874168B2 (ja) 車両用ステアリング装置
WO2022138193A1 (ja) ステアリング装置およびステアリング装置のライナースロット
JP2010274708A (ja) ステアリングコラム装置
JP4626128B2 (ja) 携帯用電気切断機
KR100820393B1 (ko) 자동차용 스티어링 휠 및 src의 결합구조
JP6480177B2 (ja) ステアリングコラム装置
JP2015230833A (ja) バッテリ端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1122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10608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81122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011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3051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3051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3051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