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710372B1 - 로워암 조립장치 - Google Patents

로워암 조립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10372B1
KR101710372B1 KR1020150076469A KR20150076469A KR101710372B1 KR 101710372 B1 KR101710372 B1 KR 101710372B1 KR 1020150076469 A KR1020150076469 A KR 1020150076469A KR 20150076469 A KR20150076469 A KR 20150076469A KR 101710372 B1 KR101710372 B1 KR 1017103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fixing
cam bolt
lower arm
disposed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764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40179A (ko
Inventor
최강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화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화신 filed Critical 주식회사화신
Priority to KR10201500764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10372B1/ko
Publication of KR201601401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401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03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0372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7/00Pivoted suspension arms; Accessories thereof
    • B60G7/02Attaching arms to sprung part of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5/00Designing, manufacturing, e.g. assembling, facilitating disassembly, or structurally modifying 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65/02Joining sub-units or components to, or positioning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 B62D65/12Joining sub-units or components to, or positioning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the sub-units or components being suspensions, brakes or wheel un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40Auxiliary suspension parts; Adjustment of suspensions
    • B60G2204/42Joints with cam surfa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Automobile Manufacture Line, Endless Track Vehicle, Trail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로워암 조립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차체에 결합되는 멤버부와, 멤버부에 결합되는 고정부와, 멤버부에 결합되고 고정부와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지지부와, 고정부와 지지부 사이에 배치되는 로워암을 고정시키는 캠볼트부를 포함하고, 지지부는 캠볼트부의 설치위치를 유도하여 조립성을 개선할 수 있다.

Description

로워암 조립장치{ASSEMBLY DEVICE FOR LOWER ARM}
본 발명은 로워암 조립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조립 부품수를 줄여주어 제조단가를 절감하고, 조립성을 개선하는 로워암 조립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현가장치는 차량의 승차감 및 주행 안정성을 도모하기 위한 장치로서, 차체를 차륜으로부터 안정적으로 지지하면서 차륜으로부터 제공되는 진동을 억제 및 신속히 감소시킨다.
차륜을 차체에 연결하여 지지하도록 로워암이 사용되는바, 로워암에는 제1부쉬, 제2부쉬 및 볼조인트가 장착된다. 제1부쉬와 제2부쉬는 차체에 결합되고, 볼조인트는 차륜의 너클과 연결되어 어퍼암과 함께 차륜을 지지한다.
종래에는 차량에 장착되는 멤버에 로워암의 부쉬가 조립되는데, 멤버와 로워암 간의 조립시 캠볼트의 장착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1-0098376호(2011.09.01 공개, 발명의 명칭 : 로워암 조립 장치)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조립 부품수를 줄여주어 제조단가를 절감하고, 조립성을 개선하는 로워암 조립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로워암 조립장치는: 차체에 결합되는 멤버부; 상기 멤버부에 결합되는 고정부; 상기 멤버부에 결합되고, 상기 고정부와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지지부; 및 상기 고정부와 상기 지지부 사이에 배치되는 로워암을 고정시키는 캠볼트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캠볼트부의 설치위치를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지부는: 상기 캠볼트부가 관통되는 관통홀부가 형성되고, 상기 멤버부에 양단부가 결합되는 지지몸체부; 및 상기 지지몸체부에서 돌출되고, 상기 관통홀부의 양측방향으로 각각 배치되어 상기 캠볼트부를 안내하는 지지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지부는: 상기 관통홀부와 상기 지지돌출부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지지몸체부의 전면에서 함몰되어 상기 캠볼트부와 상기 지지돌출부 간의 간섭을 방지하는 지지함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지함몰부는: 상기 관통홀부와 상기 지지돌출부 사이에 배치되는 함몰직선부; 및 상기 함몰직선부의 단부에서 상기 지지돌출부 방향으로 경사를 갖도록 형성되는 함몰경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지부는: 상기 지지몸체부의 배면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로워암을 안내하는 지지가이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캠볼트부는: 상기 지지돌출부 사이에 삽입되어 상기 지지몸체부에 밀착되는 고정판부; 상기 고정판부의 중심에서 치우쳐 연장되고, 상기 관통홀부를 관통하는 고정막대부; 상기 고정판부의 중심에서 치우쳐 연장되는 고정머리부; 및 상기 고정막대부에 체결되는 고정너트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로워암 조립장치는 지지부가 캠볼트부의 설치위치를 유도하여 조립성을 개선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로워암 조립장치는 한 쌍의 지지돌출부 사이로 캠볼트부가 삽입되어 캠볼트부의 좌우 유동을 제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로워암 조립장치는 관통홀부와 지지돌출부 사이에 지지함몰부가 형성되어 캠볼트부와 지지돌출부 간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로워암 조립장치는 지지함몰부가 지지몸체부의 전면에서 함몰되도록 형성되어 지지몸체부의 강성을 보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로워암 조립장치는 지지가이드부가 로워암을 안내하여 조립성을 개선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워암 조립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워암 조립장치에서 로워암이 조립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워암 조립장치에서 지지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2의 A-A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2의 B-B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워암 조립장치에서 캠볼트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로워암 조립장치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워암 조립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워암 조립장치에서 로워암이 조립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워암 조립장치(1)는 멤버부(10)와, 고정부(20)와, 지지부(30)와, 캠볼트부(40)를 포함한다.
멤버부(10)는 차체에 결합된다. 일 예로, 멤버부(10)는 멤버메인부(11)와, 멤버메인부(11)에 각각 일단부가 결합되어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한 쌍의 멤버연장부(12)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부(20)는 멤버부(10)에 결합된다. 일 예로, 고정부(20)는 멤버연장부(12) 사이에 배치되고, 양단부가 멤버연장부(12)에 결합될 수 있다.
지지부(30)는 멤버부(10)에 결합되고, 고정부(20)와 마주보도록 배치된다. 일 예로, 지지부(30)는 멤버연장부(12) 사이에 배치되고, 양단부가 멤버연장부(12)에 결합될 수 있다. 지지부(30)는 고정부(20)의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캠볼트부(40)는 고정부(20)와 지지부(30) 사이에 배치되는 로워암(100)을 고정시킨다. 이때, 지지부(30)는 캠볼트부(40)의 설치위치를 유도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워암 조립장치에서 지지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는 도 2의 A-A 단면도이며, 도 5는 도 2의 B-B 단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30)는 지지몸체부(31)와 지지돌출부(32)를 포함한다.
지지몸체부(31)는 멤버부(10)에 양단부가 결합되고, 캠볼트부(40)가 관통되기 위한 관통홀부(311)가 형성된다. 일 예로, 지지몸체부(31)의 양단부는 멤버연장부(12)에 결합될 수 있다. 관통홀부(311)는 지지몸체부(31)의 길이방향으로 길이를 갖는 장방홀이 형성될 수 있다.
지지돌출부(32)는 지지몸체부(31)에서 돌출되고, 관통홀부(311)의 양측방향으로 각각 배치되어 캠볼트부(40)를 안내한다. 일 예로, 지지몸체부(31)의 배면에 대한 프레스 가공으로, 지지돌출부(32)가 지지몸체부(31)의 전면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이때, 관통홀부(311)에 관통되는 캠볼트부(40)는 한 쌍의 지지돌출부(3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지지돌출부(32)는 지지몸체부(31)에 일체로 형성되어 캠볼트부(40)를 안내하므로, 별물의 가이드물을 지지몸체부(31)에 결합하는 과정이 삭제되어 제조단가를 낮출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30)는 지지함몰부(3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지지함몰부(33)는 관통홀부(311)와 지지돌출부(32) 사이에 배치되고, 지지몸체부(31)의 전면에서 함몰되어 캠볼트부(40)와 지지돌출부(32) 간의 간섭을 방지한다. 즉, 지지몸체부(31) 자체 내구성이 저하되면, 지지돌출부(32)의 형상이 변경되어 캠볼트부(40)와 간섭될 수 있다. 그러나, 관통홀부(311)와 지지돌출부(32) 사이에 지지함몰부(33)가 배치되면, 지지돌출부(32)의 형상이 유지되어 캠볼트부(40)와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다. 지지함몰부(33)는 지지돌출부(32)와 인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지지함몰부(33)는 함몰직선부(331)와 함몰경사부(332)를 포함한다. 함몰직선부(331)는 관통홀부(311)와 지지돌출부(32) 사이에 배치된다. 일 예로, 함몰직선부(331)는 지지몸체부(31)의 상하방향으로 길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함몰경사부(332)는 함몰직선부(331)의 단부에서 지지돌출부(32) 방향으로 경사를 갖도록 형성된다. 일 예로, 함몰경사부(332)는 함몰직선부(331)의 양단부에서 각각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함몰직선부(331)는 지지몸체부(31)의 상하방향으로 작용되는 하중에 대한 강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함몰경사부(332)는 지지몸체부(31)의 경사 방향으로 작용되는 하중에 대한 강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30)는 지지가이드부(3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지지가이드부(34)는 지지몸체부(31)의 배면 방향으로 돌출되어 로워암(100)을 안내한다. 일 예로, 지지가이드부(34)는 지지몸체부(31)의 전면에서 함몰되고, 지지몸체부(31)의 길이방향으로 길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지지가이드부(34)의 양단부는 지지함몰부(33)의 하단부와 연결될 수 있다. 로워암(100)의 하단부는 지지가이드부(34)에 걸려 조립 위치가 안내될 수 있다. 지지가이드부(34)는 지지몸체부(31)의 좌우방향으로 작용되는 하중에 대한 강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워암 조립장치에서 캠볼트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캠볼트부(40)는 고정판부(41)와, 고정막대부(42)와, 고정머리부(43)와, 고정너트부(44)를 포함한다.
고정판부(41)는 지지돌출부(32) 사이에 삽입되어 지지몸체부(31)에 밀착된다. 일 예로, 고정판부(41)는 원판 형상을 하고, 지지몸체부(31)의 전면에 밀착되며, 양측이 지지돌출부(32)에 밀착되어 좌우 유동이 제한될 수 있다. 고정판부(41)의 원주면을 따라 눈금(411)이 형성되고, 지지몸체부(31)에는 기준선(312)이 형성될 수 있다. 고정판부(41)가 회전되면, 기준선(312)과 눈금(411)을 비교하여, 고정판부(41)의 회전각을 산출할 수 있다.
고정막대부(42)는 고정판부(41)의 중심에서 치우쳐 관통홀부(311) 방향으로 연장되고, 관통홀부(311)를 관통한다. 일 예로, 고정막대부(42)는 관통홀부(311)와, 로워암(100)과, 고정부(20)를 관통할 수 있다.
고정머리부(43)는 고정판부(41)의 중심에서 치우쳐 고정막대부(42)의 반대방향으로 연장된다. 고정머리부(43)는 각진 형상을 하여 도구와 맞물릴 수 있으며, 고정막대부(42)와 동일선상에 배치될 수 있다.
고정너트부(44)는 고정막대부(42)에 체결된다. 일 예로, 고정너트부(44)는 고정부(20)의 배면에서 고정막대부(42)에 체결되어 고정막대부(42)를 고정시킬 수 있다. 고정부(20)의 배면과 고정너트부(44) 사이에는 고정와셔부(45)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워암 조립장치의 성형과정 및 조립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홀가공을 통해 지지몸체부(31)에 관통홀부(311)가 형성되고, 관통홀부(311)를 사이에 두고 한 쌍의 지지돌출부(32)가 지지몸체부(31)의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가공된다. 그리고, 지지몸체부(31)와 관통홀부(311)의 사이에 위치되는 지지함몰부(33)가 지지몸체부(31)의 전방에서 함몰되도록 가공된다. 또한, 이격된 지지함몰부(33)와 연결되는 지지가이드부(34)가 지지몸체부(31)의 전방에서 함몰되도록 가공된다.
가공 완료된 지지몸체부(31)는 멤버연장부(12)에 결합되고, 지지몸체부(31)의 후방에 고정부(20)가 결합된다.
상기한 상태에서, 지지몸체부(31)와 고정부(20) 사이에 로워암(100)을 배치시키고, 캠볼트부(40)를 사용하여 로워암(100)을 지지몸체부(31)와 고정부(20) 사이에 고정시킨다. 이때, 로워암(100)은 지지몸체부(31)의 배면방향으로 돌출된 지지가이드부(34)에 의해 관통홀부(311)로 안내된다.
캠볼트부(40)의 고정판부(41)는 지지돌출부(32) 사이에 배치되며, 지지돌출부(32)와 인접된 지지함몰부(33)에 의해 지지돌출부(32)의 형상이 유지되어, 고정판부(41)와 지지돌출부(32) 간의 간섭이 방지된다.
실차 조립시 휠얼라이먼트를 확인하면서 고정판부(41)를 회전시킬 수 있다. 이때, 작업자는 고정판부(41)에 형성되는 눈금(411)과 기준선(312)을 비교하여 고정판부(41)를 조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워암 조립장치(1)는 지지부(30)가 캠볼트부(40)의 설치위치를 유도하여 조립성을 개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워암 조립장치(1)는 한 쌍의 지지돌출부(32) 사이로 캠볼트부(40)가 삽입되어 캠볼트부(40)의 좌우 유동을 제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워암 조립장치(1)는 관통홀부(311)와 지지돌출부(32) 사이에 지지함몰부(33)가 형성되어 지지돌출부(32)의 형상이 유지됨으로써, 캠볼트부(40)의 고정판부(41)와 지지돌출부(32) 간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워암 조립장치(1)는 지지함몰부(33)가 지지몸체부(31)의 전면에서 함몰되도록 형성됨으로써, 지지몸체부(31)의 강성을 보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워암 조립장치(1)는 지지가이드부(34)가 로워암(100)을 안내하여 로워암(100)의 조립 위치 선정이 용이하다. 또한, 지지가이드부(34)가 지지몸체부(31)의 전면에서 함몰되도록 형성되어 지지몸체부(31)의 강성을 보강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 멤버부 11 : 멤버메인부
12 : 멤버연장부 20 : 고정부
30 : 지지부 31 : 지지몸체부
32 : 지지돌출부 33 : 지지함몰부
34 : 지지가이드부 40 : 캠볼트부
41 : 고정판부 42 : 고정막대부
43 : 고정머리부 44 : 고정너트부
45 : 고정와셔부 311 : 관통홀부
312 : 기준선 331 : 함몰직선부
332 : 함몰경사부 411 : 눈금

Claims (6)

  1. 차체에 결합되는 멤버부;
    상기 멤버부에 결합되는 고정부;
    상기 멤버부에 결합되고, 상기 고정부와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지지부; 및
    상기 고정부와 상기 지지부 사이에 배치되는 로워암을 고정시키는 캠볼트부를 포함하고,
    상기 캠볼트부의 설치위치를 유도하는 상기 지지부는
    상기 캠볼트부가 관통되는 관통홀부가 형성되고, 상기 멤버부에 양단부가 결합되며, 기준선이 형성되는 지지몸체부;
    상기 지지몸체부에서 돌출되고, 상기 관통홀부의 양측방향으로 각각 배치되어 상기 캠볼트부를 안내하는 지지돌출부;
    상기 관통홀부와 상기 지지돌출부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지지몸체부의 전면에서 함몰되어 상기 캠볼트부와 상기 지지돌출부 간의 간섭을 방지하는 지지함몰부; 및
    상기 지지몸체부의 배면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로워암을 안내하는 지지가이드부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함몰부는
    상기 관통홀부와 상기 지지돌출부 사이에 배치되는 함몰직선부; 및
    상기 함몰직선부의 단부에서 상기 지지돌출부 방향으로 경사를 갖도록 형성되는 함몰경사부를 포함하고,
    상기 캠볼트부는
    상기 지지돌출부 사이에 삽입되어 상기 지지몸체부에 밀착되고, 원판 형상을 하며, 원주면을 따라 눈금이 형성되는 고정판부;
    상기 고정판부의 중심에서 치우쳐 연장되고, 상기 관통홀부를 관통하는 고정막대부;
    상기 고정판부의 중심에서 치우쳐 연장되는 고정머리부; 및
    상기 고정막대부에 체결되는 고정너트부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판부가 회전되면, 상기 기준선과 상기 눈금을 비교하여 상기 고정판부의 회전각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워암 조립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150076469A 2015-05-29 2015-05-29 로워암 조립장치 Active KR1017103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6469A KR101710372B1 (ko) 2015-05-29 2015-05-29 로워암 조립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6469A KR101710372B1 (ko) 2015-05-29 2015-05-29 로워암 조립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0179A KR20160140179A (ko) 2016-12-07
KR101710372B1 true KR101710372B1 (ko) 2017-03-06

Family

ID=575739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76469A Active KR101710372B1 (ko) 2015-05-29 2015-05-29 로워암 조립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1037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67437A1 (en) * 2019-02-12 2020-08-20 Mahindra N.A. Tech Center Cam adjustment mechanism for vehicle suspension control arm mount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39370B1 (ko) * 2017-02-14 2023-06-02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용 토우 조절장치
KR102539426B1 (ko) * 2019-05-17 2023-06-02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용 리어 크로스 멤버
EP4378718A1 (de) * 2022-11-30 2024-06-05 Benteler Automobiltechnik GmbH Fahrwerkbauteil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fahrwerkbauteils
CN116395031A (zh) * 2023-05-12 2023-07-07 奇瑞汽车股份有限公司 用于车辆的副车架组件和车辆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1951198U (zh) * 2010-12-27 2011-08-31 东风汽车公司 汽车四连杆后悬架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6826B1 (ko) * 2011-12-09 2013-11-2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크로스 멤버 조립체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1951198U (zh) * 2010-12-27 2011-08-31 东风汽车公司 汽车四连杆后悬架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67437A1 (en) * 2019-02-12 2020-08-20 Mahindra N.A. Tech Center Cam adjustment mechanism for vehicle suspension control arm mount
US10899186B2 (en) 2019-02-12 2021-01-26 Mahindra N.A. Tech Center Cam adjustment mechanism for vehicle suspension control arm mou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0179A (ko) 2016-1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10372B1 (ko) 로워암 조립장치
JP2011168190A (ja) ステアリング位置調整装置
KR101338966B1 (ko) 차량용 현가장치
US9802637B2 (en) Steering device
JP4639248B2 (ja) 車体前部構造
US10093343B2 (en) Steering device
CN108407881A (zh) 转向装置
KR101613470B1 (ko) 자동차용 로워암
JP4511389B2 (ja) ステアリングハンドルの位置調整装置
KR101127802B1 (ko) 차량용 현가장치 및 그 제조방법
JP5380339B2 (ja) 車両用前照灯
KR102539426B1 (ko) 차량용 리어 크로스 멤버
KR101710373B1 (ko) 차량의 로어암조립체
KR20150033479A (ko) 로어암 부시장치
KR101829393B1 (ko) 클램핑 면을 구비하는 차량용 너클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너클 조립체
JP6061993B1 (ja) フロントサブフレームのステイ締結構造およびフロントサブフレームの車体組付け方法
JP7122222B2 (ja) ダンパマウント取付構造
KR100568995B1 (ko) 차량의 카울크로스바 마운팅브래킷
CN217530600U (zh) 紧凑型夹具
KR200493790Y1 (ko) 업소버 고정용 마운트를 그대로 활용하는 suv차량용 쇼크 업소버 결합 장치
KR20240105524A (ko) 목적 기반 차량의 일체형 트레일링 암 마운트 브라켓
KR102565332B1 (ko) 커플드 토션빔 액슬 타입 리어서스펜션 장치
JP5321634B2 (ja) 自動車用ステアリングコラムの支持装置
KR102696505B1 (ko) 어퍼암
JP6615665B2 (ja) ナックルブラケット及び懸架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052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062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61018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60620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PX0901 Re-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161018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160819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X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61208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3S01D

Patent event date: 20161114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161018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1S01I

Patent event date: 20160819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7022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7022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1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30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30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21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208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219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