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200058629A - 웨어러블 미세전류 전기자극기 및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웨어러블 미세전류 전기자극기 및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58629A
KR20200058629A KR1020180142320A KR20180142320A KR20200058629A KR 20200058629 A KR20200058629 A KR 20200058629A KR 1020180142320 A KR1020180142320 A KR 1020180142320A KR 20180142320 A KR20180142320 A KR 20180142320A KR 20200058629 A KR20200058629 A KR 202000586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cro
human body
stimulator
band
curren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23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주용
임동희
Original Assignee
(주)디지링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디지링크 filed Critical (주)디지링크
Priority to KR10201801423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58629A/ko
Publication of KR202000586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58629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 A61N1/36014External stimulators, e.g. with patch electrod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9/0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 A01M29/12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using odoriferous substances, e.g. aromas, pheromones or chemical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404Electrodes for external use
    • A61N1/0472Structure-related aspects
    • A61N1/0484Garment electrodes worn by the pati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404Electrodes for external use
    • A61N1/0472Structure-related aspects
    • A61N1/0492Patch electro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 A61N1/36014External stimulators, e.g. with patch electrodes
    • A61N1/3603Control system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physics (AREA)
  • Birds (AREA)
  • Toxicology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lectrotherapy Devices (AREA)
  • Finger-Pressure Massage (AREA)

Abstract

이 발명은 이 발명은 웨어러블 미세전류 전기 자극기 및 제어 방법 관한 것으로 인체에 휴대, 부착하여 사용이 가능한 웨어러블 미세전류 자극기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함을 그 특징으로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미세전류 전기 자극기에 있어서, 손목이나 발목, 목등의 인체 부위에 착용이 가능한 웨어러블 형태로 구성되며, 실리콘류의 재질로 형성된 밴드와,
플라스틱류의 재질로 된 본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전류 전기 자극기로 이루어지며, 또한 본 발명은 인체의 접촉여부를 감지하는 인체 접촉 감지부와, 입력되는 신호를 제어하는 마이크로 컨트롤러와, 동작 및 기능 모드를 조작하는 조작부와, 조작된 출력을 표시하는 표시부와, 미세전류를 출력하는 미세전류 파형 발생부와, 출력레벨을 조절하는 레벨 제어부와, 저전압츨 출력하고 감지하는 저전압 감지부, 전원을 인가하는전원부와. 인체에 접촉하는 전극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웨어러블 미세전류 전기 자극기 및 제어 방법{Wearable micro current stimulator and control Method}
이 발명은 미세전류를 이용한 웨어러블 미세전류 전기 자극기 및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일반적으로 미세전류 자극기는 인체에 미세전류를 유도 인가하여 혈액 순환을 돕고 신진대사를 촉진시켜 인체통증을 완화시키고 근골격계 질환의 치료 효과 및 예방 효과가 있으며, 피로 회복, 혈행을 개선시켜 피부 미용에 사용되어 왔으며 체중 감소에 도움을 주기 때문에 및 건강 증진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미세전류를 이용하여 휴대 착용이 가능하여 지속적 부착이 가능한 웨어러블 미세전류 자극기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손목이나 발목 또는 목등의 인체 부위에 착용이 가능한 웨어러블 형태로 구성되며, 실리콘류의 재질로 형성된 밴드와, 플라스틱류의 재질로 된 본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본체는 부저 및 충전 밧데리가 내장도며, 밴드는 실리콘 재질로 만들며 해충 퇴치향을 코팅하거나 첨가 함유하여 본체와 결합하여 팔목, 발목, 목등에 착용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이 발명에 의하면 소형이며 밧데리를 사용한 휴대 착용이 가능하여 외출, 운동, 여행, 일을 할 때에도 치료의 중단없이 지속적인 치료가 가능한 미세전류를 이용한 밴드형 스마트 전기자극기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함을 그 특징으로 한다.
일반적으로 전기치료란 인체에 미세한 전류를 통하게 함으로써 각종 질환을 치료하는 방법으로 전기요법이라고도 하는 것으로, 전기치료는 주파수의 파형, 전류의 세기, 적용부위 등에 따라 그 기능이나 용도가 다양하다.
인가되는 주파수에 따라 고주파 치료와 저주파 치료기가 많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으며, 저주파 전기치료는 수 Hz 내지 1,000Hz의 주파수를 사용하고 중주파 전기치료는 1KHz 내지 10KHz를 사용하며 고주파 전기치료는 100KHz 이상의 주파수를 사용한다.
또한 통증 완화 및 요통, 관절염, 척추염, 스포츠손상등 각종 근골격계 질환의 회복용으로 사용하는 치료기에는 중주파, 고주파등의 전기적 치료 및 초음파, 광상치료기등이 도입되고 있다. 초음파 치료는 20KHz~10MHz의 주파수를 사용하며 인체심부조직에 진동을 가하며 열효과를 이용하여 연부 조직 손상의 회복등의 치료에 이용되기도 한다.
이러한 종래의 저주파, 중주파, 고주파, 초음파, 기기는 복합기기로 되어 있거나 크기 및 무게가 무거워 휴대하기가 어려우며 고가의 문제점이 있다.
종래의 본 특허 출원인의 선행 특허 문헌 (출원인/디지링크. 등록번호10-0992931호)에는 병원용을 가정용으로 제안하였던 바 이는 상대적으로 고가이며 휴대하여 착용이 안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또한 선행 특허 문헌 (등록번호10-1340764)은 복잡한 장치로 구성되어 휴대하여 지속적 착용이 힘든 문제점이 있다.
종래의 이러한 문제 때문에 최근에는 인체에 약 10uA에서 500uA 범위 또는 그 이상의 출력 강도 조절에 따라 미세전류를 인체에 유도 인가하여 치료하는 미세전류 자극 치료기가 많이 적용되어 사용되고 있다.
또한 종래의 휴대용 기기의 인체에 부착하는 부착 수단에는 시계와 같은 단순한 결합수단이 있으나 이는 단순한 인체 부착 용도로써 밴드 결합 이외의 다른 용도는 없는 용도의 단순한 한계점이 있다.
(문헌 1) 등록특허 제 10-0992931 신체심부 측정 진단장치 및 이에 연결되는 의료용 투열기 (등록 2010.11.2) (문헌 2) 등록특허 제 10-1340764 휴대용 고전위를 이용한 미세전류 치료기
상기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에서는 각 기능의 치료기 본체, 연결 케이블, 패드로 구성되어지거나, 저주파, 중주파, 고주파, 초음파, 광파등의 전기적 출력 단자를 복합기기로 구성하여 운용하기 때문에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들이 해소되지 못하는 실정이다.
이 발명은 최근 피로 회복, 혈행 개선으로 통증 완화, 체중감소로 건강 증진 및 피부미용으로 각광받고 있는 미세 전류를 인체 유입하고 장소와 시간에 관계없이 지속적으로 착용하여 효과가 극대화 될수 있는 웨어러블 미세 전류 자극기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이 발명은 종래의 용도의 한계점을 극복하여 실리콘 재질에 해충을 퇴치할 수 있는 해충 퇴치향을 코팅하거나 첨가 함유하여 본체와 결합하여 팔목에 착용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미세전류의 전기적 출력을 이용하여 인체통증 완화와, 미용 및 건강을 증진시키는 미세전류 전기자극기에 있어서, 손목이나 발목등의 인체 부위에 착용이 가능한 웨어러블 형태로 구성되며, 실리콘류의 재질로 형성된 밴드와, 플라스틱류의 재질로 된 본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밴드는 좌측과 우측단 일측이 장공으로 이루어지며,
반대 일측은 정공으로 이루어져 체결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한 본 발명의 제어 출력 방법은 인체의 접촉여부를 감지하는 인체 접촉 감지부와, 입력되는 신호를 제어하는 마이크로 컨트롤러와, 동작 및 기능 모드를 조작하는 조작부와, 조작된 출력을 표시하는 표시부와, 미세전류를 출력하는 미세 전류 파형 발생부와, 출력레벨을 조절하는 레벨 제어부와,
저전압츨 출력하고 감지하는 저전압 감지부, 전원을 인가하는 전원부와.
인체에 접촉하는 전극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전류 전기 자극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체에는 동작 상태가 표시되도록 하는 엘이디(LED) 표시의 편의성을 제공하며 동작 전원을 을 확인 하는 동작을 경보해주는 기능을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이 발명은 워어러블 기기로써 휴대성이 편리하여 사용상의 현저한 편의성을 제공하며, 본체 표시부에서 그 동작 상태 확인이 가능하기 때문에 웨어러블 기기로써 기기를 인체에서 분리한 후 조작해야 하는 불편함을 해소하고 인체에 부착된 상태로 조작함으로서 출력의 중단없이 지속적인 치료 및 관리를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팔목에 착용하는 밴드 형태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구조와 장치를 소형화 함으로서 보다 저렴한 가격이 가능하며 기기를 외출, 운동, 여행이나 일을 할 때에도 언제, 어느 장소에서나 사용이 가능한 웨어러블 기기를 제공한다.
또한 이 발명은 밴드 실리콘 재질에 해충 퇴치를 할 수 있는 해충 퇴치제를 코팅하거나 첨가 함유한다. 따라서 적은 비용으로 소형의 기기로서 치료와 해충 퇴치를 겸할 수 있기 때문에 저렴한 비용, 소형화, 용도의 효과가 있으며, 또한 이 실리콘 재질 밴드를 소비자가 교환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해충 퇴치 겸용 제품으로도 기기와 함께 반영구적으로 사용이 가능하다.
도 1은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미세전류 전기자극기의 개념도
도 2는 이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미세전류 자극기의 본체와 밴드 결합도
도 3은 이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미세전류 자극 동작 블록도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이 발명은 인체와 접촉하는 미세전류를 출력하는 전극 및 인체 접촉 감지부를 포함한 인쇄회로기판(PCB)을 내장하고 이 출력을 제어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 제어부 및 해충 퇴치제를 코팅하거나 첨가 함유한 실리콘 재질의 밴드를 구비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이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도 1은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미세전류 전기자극기의 개념도이다.
도1을 참조하면 이 발명의 웨어러블 미세전류 자극기(100)의 개념도로써 실리콘 재질의 밴드(1) 형태로 구성되며, 이 실리콘에는 해충퇴치향이 첨가된다. 밴드의 내측 중앙에는 플라스틱 재질로 된 본체(2)가 결합되며 이 본체의 좌, 우 일측에는 전원 작동 스위치가 위치한다. 이 작동 전원 스위치는 기능 모드를 포함하며 길게 누르면 전원 온, 오프가 되며 짧게 1회씩 누름을 반복할 때마다 기능 모드가 변경된다.
도 2는 이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미세전류 자극기의 본체와 밴드 결합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밴드(1)의 내측 중앙부에 있는 본체(2)에는 사용자가 전원 및 모드 변환을 확인할 수 있는 엘이디(LED)(6)가 위치하며 밴드(1)의 좌우 일측에는 밴드를 결합하는 장공(3)과 정공(4)이 위치하여 사용자가 팔목등에 착용시 결합된다. 밴드(1)이 일측에는 금속 돌기(3)가 있으며 이는 장공(3)을 통하여 정공(4)에 착탈 결합된다. 이 정공(4)은 한 개 이상의 정공으로 이루지며 돌기(3) 사용자의 필요에 의해 돌기(3) 결합이 선택된다. 또한 본체(2) 플라스틱은 밴드(1)에 보스(2-1)로 결합되거나 또는 밴드(1)에 홈(6-2)을 두어 착탈 결합되는 구조로 구성된다.
본체(2)의 내측에는 인쇄회로기판(6)이 위치하여 각 회로 및 제어부가 실장되며 전원 및 모드 변환을 확인할 수 있는 엘이디(LED)(6-1)가 위치한다.
이 본체(2)에는 인체에 접촉하여 미세전류를 출력하는 전극(+,-)(15)을 두며 이 전극은 인체에 접촉되어 전원 스위치(5)를 온(ON)하면 미세전류가 출력되어 인체에 인가된다.
도 3은 이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미세전류 동작 블록도이다
도 3의 이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미세전류의 전기적 출력을 이용하여 인체통증 완화와, 미용 및 건강을 증진시키는 미세전류 치료기에 있어서,
제품(100)의 인쇄회로기판(6)에는 밴드부 인체의 접촉여부를 감지하는 인체 접촉 감지부(7)와, 입력되는 신호를 제어하는 마이크로 컨트롤러(9)와, 동작 및 기능 모드를 조작하는 조작부(10)와, 조작된 출력을 표시하는 표시부(8)와, 미세전류를 출력하는 미세전류 파형 발생부(14)와, 출력레벨을 조절하는 레벨 제어부(13)와, 저전압을 출력하고 감지하는 저전압 감지부(12), 전원을 인가하는 전원부(11)와. 인체에 접촉하는 전극부(15)를 포함한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웨어러블 미세전류 전기 자극기
1 : 밴드 2 : 본체
2-1 : 결합 보스
3 : 밴드 장공 4 : 밴드 정공
5 : 본체 스위치 6 : 인쇄회로기판(PCB)
6-1 : 엘이디(LED) 6-2 : 밴드 홈
7 : 인체접촉감지부 8 : 표시부
9 : 마이크로프로세서 10 : 조작부
11 : 전원부 12 : 저전압감지부
13 : 레벨 제어부 14 : 미세전류 파형 발생부
15 : 전극

Claims (6)

  1. 미세전류 전기 자극기에 있어서,
    손목이나 발목, 또는 목등의 인체 부위에 착용이 가능한 웨어러블 형태로 구성되며,
    실리콘류의 재질로 형성된 밴드와,
    플라스틱류의 재질로 된 본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전류 전기 자극기
  2. 제 1항에 있어서 ,
    상기 밴드는 좌측과 우측단 일측이 장공으로 이루어지며,
    그 반대 일측은 정공을 포함하여,
    또한 밴드에는 해충 퇴치제를 코팅하거나 첨가 함유한 실리콘 재질의 밴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전류 전기 자극기
  3. 제 1항에 있어서 ,
    상기 본체는 그 내부에 회로부 인쇄회로기판(PCB)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 인쇄회로기판에는 엘이디(LED)를 더 포함하며,
    본체 일측에는 자극기 조작을 하는 스위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전류 전기 자극기
  4. 제 1항에 있어서 ,
    상기 본체는 그 내부에 회로부를 포함하는 인쇄회로기판(PCB)를 포함하며,
    본체 일측에는 자극기 조작을 하는 스위치와,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밑면에는 인체에 접촉하는 전극돌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전류 전기 자극기
  5. 제 1항에 있어서 ,
    상기 본체는 밴드의 중앙 또는 일측에 위치하여 보스 또는 밴드 홈에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전류 전기 자극기
  6. 인체의 접촉여부를 감지하는 인체 접촉 감지부와;
    입력되는 신호를 제어하는 마이크로 컨트롤러와,
    동작 및 기능 모드를 조작하는 조작부와;
    조작된 출력을 표시하는 표시부와,
    미세전류를 출력하는 미세전류 파형 발생부와,
    출력레벨을 조절하는 레벨 제어부와,
    저전압을 출력하고 감지하는 저전압 감지부,
    전원을 인가하는 전원부와.
    인체에 접촉하는 전극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전류 전기 자극기
KR1020180142320A 2018-11-19 2018-11-19 웨어러블 미세전류 전기자극기 및 제어방법 Ceased KR2020005862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2320A KR20200058629A (ko) 2018-11-19 2018-11-19 웨어러블 미세전류 전기자극기 및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2320A KR20200058629A (ko) 2018-11-19 2018-11-19 웨어러블 미세전류 전기자극기 및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8629A true KR20200058629A (ko) 2020-05-28

Family

ID=709202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2320A Ceased KR20200058629A (ko) 2018-11-19 2018-11-19 웨어러블 미세전류 전기자극기 및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58629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0059B1 (ko) * 2020-11-16 2021-04-14 리파인 주식회사 착용형 초음파 자극기
KR20220071049A (ko) 2020-11-23 2022-05-31 한경민 전류 생성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류 생성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2931B1 (ko) 2008-02-13 2010-11-09 (주)디지링크 신체심부 측정진단 장치 및 이에 연결되는 의료용 투열기
KR101340764B1 (ko) 2013-04-25 2013-12-11 오재숙 휴대용 고전위를 이용한 미세전류 치료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2931B1 (ko) 2008-02-13 2010-11-09 (주)디지링크 신체심부 측정진단 장치 및 이에 연결되는 의료용 투열기
KR101340764B1 (ko) 2013-04-25 2013-12-11 오재숙 휴대용 고전위를 이용한 미세전류 치료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0059B1 (ko) * 2020-11-16 2021-04-14 리파인 주식회사 착용형 초음파 자극기
KR20220071049A (ko) 2020-11-23 2022-05-31 한경민 전류 생성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류 생성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12781Y1 (ko) 복합 기능 물리치료기
KR101528195B1 (ko) 심부근육 자극용 전기 치료 자극기
KR101291036B1 (ko) 인체 미세전류의 발생을 위한 발마사지 장치
KR20090098541A (ko) 장갑형 전극을 갖는 전기치료기
KR20180015998A (ko) 수중 헬스케어용 저주파 자극기
KR102166290B1 (ko) 스마트 웨어러블 미세전류 치료기
KR20160073105A (ko) 한방 치료용 경혈 저주파 자극기
KR20160073108A (ko) 면역기능 강화용 저주파 자극기
KR20200058629A (ko) 웨어러블 미세전류 전기자극기 및 제어방법
EP3019237A1 (en) Footwear for magnetotherapy and assembly for magnetotherapy comprising said footwear
KR20210027725A (ko) 초음파 및 저주파 치료기
KR200427531Y1 (ko) 경혈자극 지압 돌기가 구비된 복합 기능 저주파 물리치료기
CN202822490U (zh) 产生电刺激的电疗装置
KR100393885B1 (ko) 저주파 치료 장치
KR102645687B1 (ko) 헬스밴드
TWM552811U (zh) 循經感傳穴位電療裝置
KR101396191B1 (ko) 스캐닝 방식의 저주파 자극기
KR20210055840A (ko) 미세전류와 광원을 이용한 일체형 다기능 전기 자극기 및 그 제어방법
KR200328971Y1 (ko) 손바닥을 저주파 펄스로 자극하기 위한 지압봉
TWM517619U (zh) 可刺激穴位之穿戴裝置
KR20200105553A (ko) 광원을 구비한 휴대 일체형 복합 전기자극기 및 그 제어방법
KR20040023866A (ko) 벨트형 온열 저주파 치료기
KR20150105065A (ko) 고주파 패드를 활용한 개인용 다이어트 및 치료 벨트
KR200384814Y1 (ko) 피부측정장치 및 레이저 조사기가 장착된 마사지기
KR20160073112A (ko) 긴장 완화용 저주파 자극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111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041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10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210426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201027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2I

Patent event date: 20200416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