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60073108A - 면역기능 강화용 저주파 자극기 - Google Patents

면역기능 강화용 저주파 자극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73108A
KR20160073108A KR1020140181498A KR20140181498A KR20160073108A KR 20160073108 A KR20160073108 A KR 20160073108A KR 1020140181498 A KR1020140181498 A KR 1020140181498A KR 20140181498 A KR20140181498 A KR 20140181498A KR 20160073108 A KR20160073108 A KR 201600731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imulation
pad
low
low frequency
hemostatic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bandoned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814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슬기
Original Assignee
이슬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슬기 filed Critical 이슬기
Priority to KR10201401814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73108A/ko
Publication of KR201600731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73108A/ko
Abandon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 A61N1/36002Cancer treatment, e.g. tumou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7/02Compresses or poultices for effecting heating or cool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9/00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specific reflex points of the body for physical therapy, e.g. acupuncture
    • A61H39/06Devices for heating or cooling such points within cell-life limi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20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continuous direct currents
    • A61N1/28Apparatus for applying thermoelectric curr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Oncology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lectrotherapy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면역기능 강화용 저주파 자극기에 관한 것으로, 내측의 특정부위에 혈 자리 자극용 패드가 고정된 상태에서 양 무릎 또는 양 팔꿈치 부분에 탄력적으로 착용할 수 있도록 성형한 한 쌍의 자극용 패드 착용수단와; 본체의 외부에는 키 입력부 및 표시부가 구비되고, 전원 공급부와 상기 키 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는 정보에 대응하여 저주파 신호 발생기 및 혈 자리 자극용 패드 측에 구동신호와 스위칭신호를 각각 출력함은 물론 각종 상태 정보를 표시부를 통해 표시해 주는 메인 중앙처리장치, 상기 메인 중앙처리장치에서 출력되는 제어신호에 부응하는 저주파 신호를 발생시켜 주는 저주파 신호 발생기가 내장된 상태에서 자유단부에 각각 암 컨넥터가 구비된 두 전원 공급선과 하나의 제어신호 전달선이 혈 자리 자극용 패드측을 향해 두 줄로 설치된 조작 및 구동기와; 원판 형상을 갖는 몸체의 저면에 하나의 공통 전극과 다수의 작동 전극이 설치되고, 상기 작동 전극의 외측으로는 와셔 형상의 접착용 젤리판이 부착되며, 상면 중앙에는 상기 조작 및 구동기의 암 컨넥터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숫 컨넥터가 설치되고, 내부에는 상기 작동 전극 개수에 대응하는 스위칭소자를 포함하여 상기 조작 및 구동기의 메인 중앙처리장치로부터 전송되어 오는 제어신호에 부응하여 상기 스위칭소자들의 구동을 제어하는 보조 중앙처리장치가 실장된 인쇄회로기판이 내장된 형태를 갖고 자극용 패드 착용수단의 내측에 고정 설치되어 족삼리혈 또는 수삼리혈 부위에 저주파신호를 출력하여 자극하는 한 쌍의 혈 자리 자극용 패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사람들이 상기 자극용 패드 착용수단을 이용하여 무릎이나 팔꿈치 부분에 간단히 착용하게 되면 혈 자리 자극용 패드의 저면이 족삼리혈 또는 수삼리혈 자리에 일치하게 되므로 비전문가도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저주파 자극기를 이용하여 면역 강화효과가 있는 족삼리혈 또는 수삼리혈을 정확하고도 효과적으로 자극을 줄 수 있고, 특히 무릎이나 팔꿈치 부분에 착용하였을 때 상기 혈 자리 자극용 패드의 저면에 구비된 접착용 젤리판의 접착력에 의해 전혀 움직이지 않게 되므로 해당 혈 자리의 저주파 치료중 일상생활 또는 간단한 운동도 수행할 수 있어 족삼리혈 또는 수삼리혈의 저주파 자극에 따른 신뢰도를 대폭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면역기능 강화용 저주파 자극기{Low frequency stimulator for immune enhancement}
본 발명은 면역기능 강화용 저주파 자극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인체에 존재하는 각종 '혈(穴)'자리 중 무릎 세 치 아래의 경골결절하단(脛骨結節下端) 한 치와 비골소두하단(脾骨小頭下端) 한 치의 자리를 연결하는 중간부에 위치되는 족삼리혈(足三里穴) 자리 또는 팔꿈치의 곡지에서 아래로 3 센티 정도에 위치에 있는 수삼리혈(手三里穴) 자리에 간단하면서도 정확하게 착용 및 부착한 상태에서 원활하고 효과적으로 저주파 자극할 수 있음은 물론 해당 혈 자리의 저주파 치료중 일상생활 또는 간단한 운동을 하더라도 무관하도록 발명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삼리혈(三里穴)은 수삼리(手三里)와 족삼리(足三里)로 구별되는데, 족삼리가 시술하기 쉽고 다양한 효과가 있기 때문에 삼리혈이라 하면 곧 족삼리를 말한다.
자리는 무릎 세 치 아래, 즉 경골결절하단(脛骨結節下端) 한 치와 비골소두하단(脾骨小頭下端) 한 치의 자리를 연결하는 중간이 해당되며, 시술할 때에는 여기를 취혈(取穴)한다.
예전부터 두한족열(頭寒足熱:머리는 차게, 발은 따뜻하게)은 보건과 장수의 비결이라 하였으며, 침이나 뜸으로 족삼리혈을 시술하면 모든 호르몬 분비를 촉진시켜 주므로 전신상태를 조절하는 대표적인 경혈이다.
이와 같은 족삼리혈을 장수혈(長壽穴)이라고도 부르는 것은 신경을 많이 쓰는 30세 이후에 계속 시술하면 상기(上氣)를 가라앉히게 되어 노쇠를 예방하기 때문이다.
삼리는 위열(胃熱)을 사(瀉)하는 명혈(名穴)로 꼽이며, 고전에 두복삼리류(杜腹三里留)라고 하였는데, 복통 즉 위장병 전체가 이 혈과 관계되는데, 이 혈을 시술하면 부신피질(副腎皮質)에 작용하여 에피네프린 분비를 촉진시켜 심신 모두 효과가 있으므로 신경쇠약, 히스테리, 발광, 정신병 등 신경질환과 각기, 좌골신경통, 경골 및 비골신경통, 고혈압의 예방과 치료에도 효과가 있고, 소아마비, 축농증 등에도 효험을 볼 수 있다.
또, 이 혈은 건각(健脚)에도 도움이 되는데, 많이 걸어다니던 옛날에는 매일 여기에 뜸을 뜨며 여행하였다고 한다.
또한, 족삼리혈은 비장과 위를 튼튼히 하게 하는 건강보장의 중요한 혈의 하나로 위액분비기능을 조절하고 소화기능을 세게 하며 몸의 면역기능을 높이는 작용도 하므로 일정한 기간 뜸을 뜨거나 매일 안마 등을 하면 건강에 좋다.
따라서, 한방에서는 면역기능을 증가시키고 각 경락을 소통시키는 방법으로 상기 족삼리혈에 침이나 뜸 시술하거나 저주파 자극을 하고 있으며, 중완(CV12), 족삼리(S36), 관원(CV4), 기해(CV6), 위수(B21), 비수(B20) 혈 위에 구법을 많이 응용하고 있고, 대장경의 합곡혈과 수삼리혈, 신경의 태계 3번, 담낭-방광경 풍지혈, 견정혈에 대한 경혈 마사지는 우울증, 피로, 무기력, 어지러움 증을 이기는데 도움을 주기도 한다.
또, 수삼리혈은 팔꿈치의 곡지에서 아래로 3 센티 정도에 위치(사람에 따라서 그 위치가 다를 수도 있음)에 주로 있는데, 여기서 수(手)는 손을 말하며, 삼리(三里)는 안정을 뜻하고, 주로 위장을 위시한 소화기능을 안정시키며 팔굼치 이하의 마비나 통증에 도움을 주는 것으로 중풍, 당뇨 등등 혈류(血流)나 기소통(氣疏通)에 응용하지만 평소에 건강상 취하기도 한다.
한편, 저주파 치료기(low-frequency therapeutic apparatus, 低周波治療器)는 생체에 저주파 펄스를 통전하여 신경이나 근육 등의 치료에 이용하는 장치로써 60~150[V]의 전압과 수~수십[㎂]의 전류를 패드에 구비된 전극을 통해 1~500㎐ 대의 주파수를 갖는 구형파 펄스 형태로 공급시켜 신경이나 근육 등의 치료를 하는 것이다.
즉, 저주파 치료기는 전류로 사람 피부를 자극해서 치료하는 기기로써, 각 외신경계와 내신경계의 모든 기관을 정상 유도시키고 모든 질환의 예방과 원인제거를 통해 근원치료를 하기 위해 개발된 물리치료 기기이다.
또한, 인체의 신경전류와 미세하고 정련된 전자리듬으로 신경계 운동과 혈액의 작용을 원활하게 하여 신진대사를 촉진시켜 인체의 기능적 조절과 생체 조직 간에 균형을 유지시켜 주는 기능도 한다.
한편, 인체에서 느끼는 통증은 심한 자극에 의해 발생되거나 혹은 자연 발생되는 경우도 있는데, 이러한 통증은 저주파의 자극을 5~15분 정도 하루에 2~3회 실시하면 통증치료에 큰 효과가 있음이 이미 학계에 보고된 바 있다.
따라서, 저주파 치료기를 이용하여 저주파펄스로 일정한 리듬의 약한 전류를 인체에 흘려 보내어 신경이나 근육을 자극하면 통증부위나 일시 마비된 부분 등에 주무르거나 마사지, 지압하는 효과가 있어 근육이 풀리고 통증이 완화되는 것이다.
저주파 치료시 발생되는 마사지 효과는 전류의 세기와 주파수 변화, 전류를 흘려 보내는 시간 등에 의해 결정되는데, 일반적으로 10㎐ 이하의 낮은 주파수는 손으로 가볍게 두드리는 정도로 운동신경을 자극하며, 주파수가 높아지면 신경통 등 각종 질환을 진정시키는 효과가 나타나게 된다.
종래 대부분의 가정용 저주파 치료기는 하나의 조작 및 구동기에 하나의 전극이 각각 설치된 두 개의 패드를 구비시킨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가정용 저주파 치료기를 사용하여 인체의 특정 부위에 대한 신경이나 근육 등을 치료 또는 자극시키고자 할 때에는 도 1의 (a) 및 (b)와 같이 동일방향을 갖는 근육의 상,하 또는 좌,우로 일정거리 떨어지게 각각 패드(3)를 부착하고 조작 및 구동기(1)를 작동시켜 주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저주파 치료기는 각각의 패드(3)에 하나의 전극(즉, 단일 전극으로 "+"전극 또는 "-"전극)이 설치된 형태를 갖고 있어 무릎 세 치 아래 외측 및 팔꿈치의 곡지에서 아래로 3 센티 정도에 위치한 족삼리혈이나 수삼리혈 부근에 두 패드들을 부착하고 저주파 자극을 주었을 때, 패드 하나당 전극이 하나씩 구비되어 저주파 자극에 의한 저주파 자극 효과가 크지 않고, 특히 두 패드 사이에 있는 근육이 동일 방향으로만 수축 및 이완작용을 반복하게 될 뿐, 인접한 다른 근육 방향으로는 전혀 자극이 일어나지 않게 되어 족삼리혈이나 수삼리혈의 자극을 통한 면역 강화효과를 기대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온열을 이용하여 혈행(血行)과 물질대사를 좋게 하고 신경 및 근육의 피로를 없애 주는 인체의 물리요법수단의 하나로 온열요법(thermotherapy, 溫熱療法)이 널리 알려져 있는데, 이와 같은 온열의 응용은 국소 또는 전신의 혈액증가를 촉진하고 신진대사가 활발해져 근 긴장의 완화, 진통작용 등이 있다.
열원으로서는 온욕, 광선, 전기 등이 주로 이용되고 있으며, 전도열을 이용하는 것으로는 온암법, 핫팩, 파라핀욕 등이 있고, 복사열을 이용하는 것으로는 적외선 요법이나 열기욕(전기욕)이 있으며, 고주파에 의한 것으로는 초단파나 극초단파 등의 전기요법이 대표적이고 그밖에 각종 물리치료법도 온열효과를 노릴 수 있다.
이와 같은 온열치료기는 일반적으로 동통[疼痛]이나 지각과민, 혈행개선, 근육이나 조직의 연화를 목적으로 사용하는데, 암세포가 정상 세포에 비해 상대적으로 고온에 약하기 때문에 최근에는 암을 치료하는데도 많이 활용되고 있다.
정상 세포는 46∼47℃에 죽는 반면 암세포는 39∼40℃의 열에 손상을 입고 40∼43℃에 죽기 때문에, 암세포에 유효한 40∼43℃의 열을 지속적으로 암세포에 가함으로써 암세포를 죽이는 것이다.
온열치료를 통해 암을 치료하는 방법으로는 국소가열법과 전신가열법이 활용되고 있으며, 이중 국소 온열요법은 암세포의 특정한 부위에 전기를 통하게 하거나 마이크로파, 고주파(RF파) 및 초음파 등을 쪼여 42℃ 전후에서 가열하는 방법으로, 암세포가 특정 부위에만 발생했을 때 주로 활용하는 치료법이다.
또, 전신온열요법은 암세포가 다른 부위로 전이되었을 가능성이 높은 재발성 암이나 진행성 암에 대해 시행하는데, 혈액을 열교환기에 가열시켜 대퇴정맥 측으로 되돌림으로써 전신온도를 42℃ 정도로 상승시켜 광범위한 암세포에 열을 가하는 방법이다.
그런데, 종래 저주파 치료기 또는 자극기에는 상기와 같은 온열치료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온열치료장치가 동시에 구비된 것이 없다.
즉, 종래 저주파 치료기 또는 자극기와, 온열치료기는 각각 별도로 제작되어 있으므로 인체의 족삼리 및 수삼리와 같은 삼리혈에 대해 저주파 자극치료와 온열치료를 동시에 실시할 수 없어 가정에서 두 치료를 동시에 받고자 할 경우 두 치료기를 모두 구입해야 하므로 소비자에게 경제적인 부담을 많이 주고 있는 실정일 뿐만 아니라 두 치료를 하는데 많은 시간이 걸리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족삼리 및 수삼리와 같은 삼리혈 전용 저주파 자극기를 포함하여 해당 혈 자리 부근을 동시에 온열치료도 겸용할 수 있는 면역기능 강화용 저주파 자극기를 필요로 하고 있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20-0233876호(2001년 05월 31일)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02-0004196호(2002년 01월 16일)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20-0212090호(2000년 11월 17일)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신축성이 좋은 섬유를 이용하여 무릎 또는 팔꿈치 부분에 탄력적으로 착용할 수 있도록 한 쌍의 자극용 패드 착용수단을 제작하고, 상기 자극용 패드 착용수단들의 내측에서 착용시 양다리의 족삼리혈 또는 양팔의 수삼리혈에 대응하는 위치에는 상면에 숫 컨넥터가 구비되고 저면에는 하나의 공통 전극과 다수의 작동 전극 및 접착용 젤리판이 구비된 혈 자리 자극용 패드를 각각 고정 설치하고, 사용자의 허리에 착용할 수 있도록 클램프를 구비시킨 조작 및 구동기의 전원 공급선 및 제어신호 전달선 단부에는 한 쌍의 자극용 패드 착용수단 외측으로 각각 노출된 형태를 갖는 혈 자리 자극용 패드의 숫 컨넥터에 각각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암 컨넥터들을 설치하여 줌으로써 삼리혈 자리에 대한 저주파 자극 치료를 원하는 사람들이 상기 자극용 패드 착용수단을 이용하여 무릎이나 팔꿈치 부분에 간단히 착용하게 되면 혈 자리 자극용 패드의 저면이 족삼리혈 또는 수삼리혈 자리에 일치하게 되므로 비전문가도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저주파 자극기를 이용하여 면역 강화효과가 있는 족삼리혈 또는 수삼리혈을 정확하고도 효과적으로 저주파신호를 이용하여 자극을 줄 수 있고, 특히 내면에 상기 혈 자리 자극용 패드가 고정 설치된 상태를 갖는 자극용 패드 착용수단을 이용하여 무릎이나 팔꿈치 부분에 착용하였을 때 상기 혈 자리 자극용 패드의 저면에 구비된 접착용 젤리판의 접착력에 의해 전혀 움직이지 않게 되므로 해당 혈 자리의 저주파 치료중 일상생활 또는 간단한 운동도 수행할 수 있어 족삼리혈 또는 수삼리혈의 저주파 자극에 따른 신뢰도를 대폭 향상시킬 수 있는 면역기능 강화용 저주파 자극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의 허리에 찰 수 있도록 성형한 조작 및 구동기에서 혈 자리 자극용 패드에 구비된 하나의 공통 전극과 다수의 작동 전극 사이에 삼각파, 정형파, 사다리파 및 구형파 등의 형상을 갖는 저주파 펄스를 정해진 시간차를 두고 순차적으로 또는 다양한 시간차 간격을 두고 또는 동시에 정해진 시간(수~수분) 동안 공급(즉, 단일 및 다중 전기출력을 공급)시켜 줄 수 있도록 함으로써 족삼리혈 또는 수삼리혈 자리에 저주파 자극을 줄 때 해당 혈 자리 부위에 형성된 근육의 형성 방향(즉, 근육의 결 방향)에 무관하게 다양한 방향으로 저주파 자극을 고르게 줄 수 있으므로 해당 혈 자리의 자극효과는 물론 해당 혈 자리 부근의 피부와 신경 및 근육 등을 저주파 전류 및 전압으로 자극하여 통증 완화 및 치료효과를 극대화시켜 줄 수 있음은 물론 제품 자체의 상품성과 저주파 치료에 따른 신뢰도를 대폭 향상시킬 수 있는 면역기능 강화용 저주파 자극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혈 자리 자극용 패드의 중앙부에 정특성 써미스터라고도 하는 피티씨(PTC)소자나 카본 소자 또는 니크롬선 등을 포함하는 열 발생수단을 더 구비시켜 줌으로써 족삼리혈 또는 수삼리혈 자리에 대한 저주파 자극과 동시에 또는 저주파 자극과 별개로 열 발생수단에서 발생되는 열(예를 들어 40~50℃)을 이용하여 온열치료(즉, 온열을 이용하여 경혈 및 뜸 자리의 혈행(血行)과 물질대사를 좋게 하고 신경 및 근육의 피로를 없앨 수 있도록 하는 치료)를 수행할 수 있으므로 저주파 자극 및 온열치료 효과를 대폭 증대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품 자체의 사용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고, 또한 소비자 측면에서는 하나의 저주파 자극기만 구비하면 되므로 경제적인 부담을 줄여 줄 수 있음은 물론 저주파 자극 및 온열치료를 수행하는데 걸리는 시간도 대폭 줄일 수 있는 면역기능 강화용 저주파 자극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조작 및 구동기와, 복수의 스위칭소자가 구비된 메인 인쇄회로기판이 내설된 혈 자리 자극용 패드 사이에 두 전원 공급선과 하나의 제어신호 전달선(즉, 3선)만 착탈 가능하게 결합시켜 줄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조작 및 구동기에서 패드 측으로 전송하는 제어신호를 직렬신호로 전송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제품의 생산원가를 줄일 수 있고, 전원 공급선 및 제어신호 전달선이 단선되는 등의 원인으로 발생할 수 있는 고장율 등을 크게 줄일 수 있으며, 특히 다수의 전극 및 열 발생수단이 일체로 구비된 패드와 조작 및 구동기 사이의 연결이 매우 간편하여 사용자의 조작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는 면역기능 강화용 저주파 자극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사용자의 허리에 찰 수 있도록 성형된 조작 및 구동기에 걸음을 뗄 때마다 그 횟수를 세어 자동적으로 표시부에 표시하는 만보기를 부가 설치하여 줌으로써 제품 자체의 사용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는 면역기능 강화용 저주파 자극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내측의 특정부위에 혈 자리 자극용 패드가 고정된 상태에서 인체의 양 무릎 또는 양 팔꿈치 부분에 탄력적으로 착용할 수 있도록 성형한 한 쌍의 자극용 패드 착용수단와;
본체의 외부에는 전원 온/오프 스위치와 저주파 신호의 파형 형태, 저주파 인가시간 및 저주파 신호의 출력 세기와 같은 파라메터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키 입력부 및 각종 상태 정보가 표시되는 표시부가 구비되고, 내부에는 건전지 또는 충전식 배터리를 구비하고 각부에 전원전압을 공급시켜 주는 전원 공급부와, 상기 키 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는 정보에 대응하여 저주파 신호 발생기 및 혈 자리 자극용 패드 측에 구동신호와 스위칭신호를 각각 출력함은 물론 각종 상태 정보를 표시부를 통해 표시해 주는 메인 중앙처리장치, 상기 메인 중앙처리장치에서 출력되는 제어신호에 부응하는 저주파 신호를 발생시켜 주는 저주파 신호 발생기가 내장된 상태에서 자유단부에 각각 암 컨넥터가 구비된 두 전원 공급선과 하나의 제어신호 전달선이 혈 자리 자극용 패드측을 향해 두 줄로 설치된 조작 및 구동기와;
원판 형상을 갖는 몸체의 저면에 하나의 공통 전극과 다수의 작동 전극이 설치되고, 상기 작동 전극의 외측으로는 와셔 형상의 접착용 젤리판이 부착되며, 상면 중앙에는 상기 조작 및 구동기의 암 컨넥터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숫 컨넥터가 설치되고, 내부에는 상기 작동 전극 개수에 대응하는 스위칭소자를 포함하여 상기 조작 및 구동기의 메인 중앙처리장치로부터 전송되어 오는 제어신호에 부응하여 상기 스위칭소자들의 구동을 제어하는 보조 중앙처리장치가 실장된 인쇄회로기판이 내장된 형태를 갖고 자극용 패드 착용수단의 내측에 고정 설치되어 족삼리혈 또는 수삼리혈 부위에 저주파신호를 출력하여 자극하는 한 쌍의 혈 자리 자극용 패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조작 및 구동기의 본체 배면에는 사용자의 허리에 찰 수 있도록 하는 탄성 클립을 더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혈 자리 자극용 패드 몸체의 저면에 설치되는 공통 전극은 소정 폭과 지름을 갖되 중앙에는 구멍이 뚫린 와셔 형상으로 형성하고, 다수의 작동 전극은 상기 공통 전극의 외측으로 일정거리 떨어진 위치에서 각각 정해진 간격 및 각도를 갖는 소정지름의 원판 형상으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공통 전극 및 다수의 작동 전극은 도전성 고무나 도전성 젤리 또는 도전성 금속 막 중 어느 한 재료를 소정 두께로 부착 또는 증착 또는 도포하는 형태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공통 전극과 다수 작동 전극 사이에 각각 인가되는 저주파 전압은 1~150[V]이고, 전류는 수~수십[mA] 이하이며, 주파수는 1~8,000㎐ 대역의 삼각파 또는 정현파 또는 사다리파 또는 사각파 또는 구형파 중 어느 한 파형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와셔 형상을 갖는 상기 공통 전극의 내측에 위치되는 혈 자리 자극용 패드 몸체의 저면 중심에는 열 발생수단을 더 설치하고, 상기 인쇄회로기판상에는 상기 열 발생수단 구동용 스위칭소자를 더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열 발생수단으로는 피티씨(PTC)소자 또는 카본 소자 또는 니크롬선 중 어느 한 발열소자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열 발생수단을 통해 발생되는 열은 40~50℃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조작 및 구동기 내에는 걸음을 뗄 때마다 그 횟수를 세어 표시부에 표시해 주는 만보기를 부가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면역기능 강화용 저주파 자극기에 의하면, 신축성이 좋은 섬유를 이용하여 무릎 또는 팔꿈치 부분에 탄력적으로 착용할 수 있도록 한 쌍의 자극용 패드 착용수단을 제작하고, 상기 자극용 패드 착용수단들의 내측에서 착용시 양다리의 족삼리혈 또는 양팔의 수삼리혈에 대응하는 위치에는 상면에 숫 컨넥터가 구비되고 저면에는 하나의 공통 전극과 다수의 작동 전극 및 접착용 젤리판이 구비된 혈 자리 자극용 패드를 각각 고정 설치하고, 사용자의 허리에 착용할 수 있도록 클램프를 구비시킨 조작 및 구동기의 전원 공급선 및 제어신호 전달선 단부에는 한 쌍의 자극용 패드 착용수단 외측으로 각각 노출된 형태를 갖는 혈 자리 자극용 패드의 숫 컨넥터에 각각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암 컨넥터들을 설치하여 줌으로써 삼리혈 자리에 대한 저주파 자극 치료를 원하는 사람들이 상기 자극용 패드 착용수단을 이용하여 무릎이나 팔꿈치 부분에 간단히 착용하게 되면 혈 자리 자극용 패드의 저면이 족삼리혈 또는 수삼리혈 자리에 일치하게 되므로 비전문가도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저주파 자극기를 이용하여 면역 강화효과가 있는 족삼리혈 또는 수삼리혈을 정확하고도 효과적으로 저주파신호를 이용하여 자극을 줄 수 있고, 특히 내면에 상기 혈 자리 자극용 패드가 고정 설치된 상태를 갖는 자극용 패드 착용수단을 이용하여 무릎이나 팔꿈치 부분에 착용하였을 때 상기 혈 자리 자극용 패드의 저면에 구비된 접착용 젤리판의 접착력에 의해 전혀 움직이지 않게 되므로 해당 혈 자리의 저주파 치료중 일상생활 또는 간단한 운동도 수행할 수 있어 족삼리혈 또는 수삼리혈의 저주파 자극에 따른 신뢰도를 대폭 향상시킬 수 있다.
또,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의 허리에 찰 수 있도록 성형한 조작 및 구동기에서 혈 자리 자극용 패드에 구비된 하나의 공통 전극과 다수의 작동 전극 사이에 삼각파, 정형파, 사다리파 및 구형파 등의 형상을 갖는 저주파 펄스를 정해진 시간차를 두고 순차적으로 또는 다양한 시간차 간격을 두고 또는 동시에 정해진 시간(수~수분) 동안 공급(즉, 단일 및 다중 전기출력을 공급)시켜 줄 수 있도록 함으로써 족삼리혈 또는 수삼리혈 자리에 저주파 자극을 줄 때 해당 혈 자리 부위에 형성된 근육의 형성 방향(즉, 근육의 결 방향)에 무관하게 다양한 방향으로 저주파 자극을 고르게 줄 수 있으므로 해당 혈 자리의 자극효과는 물론 해당 혈 자리 부근의 피부와 신경 및 근육 등을 저주파 전류 및 전압으로 자극하여 통증 완화 및 치료효과를 극대화시켜 줄 수 있음은 물론 제품 자체의 상품성과 저주파 치료에 따른 신뢰도를 대폭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혈 자리 자극용 패드의 저면 중앙부에 정특성 써미스터라고도 하는 피티씨(PTC)소자나 카본 소자 또는 니크롬선 등을 포함하는 열 발생수단을 더 구비시켜 줌으로써 족삼리혈 또는 수삼리혈 자리에 대한 저주파 자극과 동시에 또는 저주파 자극과 별개로 열 발생수단에서 발생되는 열(예를 들어 40~50℃)을 이용하여 온열치료(즉, 온열을 이용하여 경혈 및 뜸 자리의 혈행(血行)과 물질대사를 좋게 하고 신경 및 근육의 피로를 없앨 수 있도록 하는 치료)를 수행할 수 있으므로 저주파 자극 및 온열치료 효과를 대폭 증대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품 자체의 사용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고, 또한 소비자 측면에서는 하나의 저주파 자극기만 구비하면 되므로 경제적인 부담을 줄여 줄 수 있음은 물론 저주파 자극 및 온열치료를 수행하는데 걸리는 시간도 대폭 줄일 수 있다.
또, 본 발명에서는 조작 및 구동기와, 복수의 스위칭소자가 구비된 인쇄회로기판이 내설된 혈 자리 자극용 패드 사이에 두 전원 공급선과 하나의 제어신호 전달선(즉, 3선)만 착탈 가능하게 결합시켜 줄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조작 및 구동기에서 패드 측으로 전송하는 제어신호를 직렬신호로 전송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제품의 생산원가를 줄일 수 있고, 전원 공급선 및 제어신호 전달선이 단선되는 등의 원인으로 발생할 수 있는 고장율 등을 크게 줄일 수 있으며, 특히 다수의 전극 및 열 발생수단이 일체로 구비된 패드와 조작 및 구동기 사이의 연결이 매우 간편하여 사용자의 조작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의 허리에 찰 수 있도록 성형된 조작 및 구동기에 걸음을 뗄 때마다 그 횟수를 세어 자동적으로 표시부에 표시하는 만보기를 부가 설치하여 줌으로써 제품 자체의 사용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는 등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도 1의 (a)(b)는 종래 가정용 저주파 치료기를 사용하여 인체의 특정 부위에 대해 자극시키고 있는 상태의 예시도.
도 2는 본 발이 적용된 면역기능 강화용 저주파 자극기의 사용 상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중 혈 자리 자극용 패드의 저면도 및 저주파 자극을 할 때 다양한 방향으로 자극이 이루어지는 것을 보인 자극 작동 상태도.
도 4는 본 발명 중 혈 자리 자극용 패드의 정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이 적용된 면역기능 강화용 저주파 자극기의 전기적인 블록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 중 혈 자리 자극용 패드 내 스위칭소자의 베이스에 가해지는 다일 출력 파형도.
도 7의 (a)~(g)는 본 발명 중 혈 자리 자극용 패드 내 스위칭소자의 베이스에 가해지는 다중 출력 파형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이 적용된 면역기능 강화용 저주파 자극기의 사용 상태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3은 본 발명 중 혈 자리 자극용 패드의 저면도 및 저주파 자극을 할 때 다양한 방향으로 자극이 이루어지는 것을 보인 자극 작동 상태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 4는 본 발명 중 혈 자리 자극용 패드의 정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5는 본 발명이 적용된 면역기능 강화용 저주파 자극기의 전기적인 블록 구성도를 나타낸 것이다.
또한, 도 6은 본 발명 중 혈 자리 자극용 패드 내 스위칭소자의 베이스에 가해지는 다일 출력 파형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7의 (a)~(g)는 본 발명 중 혈 자리 자극용 패드 내 스위칭소자의 베이스에 가해지는 다중 출력 파형도를 나타낸 것이다.
이에 따르면 본 발명의 면역기능 강화용 저주파 자극기는,
내측의 특정부위(즉, 착용시 족삼리혈 또는 수삼리혈과 대응되는 위치)에 혈 자리 자극용 패드(3)가 고정된 상태에서 인체의 양 무릎 또는 양 팔꿈치 부분에 탄력적으로 착용할 수 있도록 신축성 섬유로 성형한 한 쌍의 자극용 패드 착용수단(4)와;
대략 속이 빈 사각 함체 형상을 갖는 본체(10)의 외부에는 전원 온/오프 스위치와 저주파 신호의 파형 형태, 저주파 인가시간 및 저주파 신호의 출력 세기와 같은 파라메터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키 입력부(11) 및 각종 상태 정보가 표시되는 표시부(12)가 구비되고, 내부에는 건전지 또는 충전식 배터리를 구비하고 각부에 전원전압을 공급시켜 주는 전원 공급부(13)와, 상기 키 입력부(11)를 통해 입력되는 정보에 대응하여 저주파 신호 발생기(14) 및 혈 자리 자극용 패드(3) 측에 구동신호와 스위칭신호를 각각 출력함은 물론 각종 상태 정보를 표시부(12)를 통해 표시해 주는 메인 중앙처리장치(15), 상기 메인 중앙처리장치(15)에서 출력되는 제어신호에 부응하는 저주파 신호를 발생시켜 주는 저주파 신호 발생기(14)가 내장된 상태에서 자유단부에 각각 암 컨넥터(18)가 구비된 두 전원 공급선(16)과 하나의 제어신호 전달선(17)이 혈 자리 자극용 패드(3) 측을 향해 두 줄로 설치된 조작 및 구동기(1)와;
원판 형상을 갖는 몸체(30)의 저면에 하나의 공통 전극(31)과 다수의 작동 전극(32)이 설치되고, 상기 작동 전극(32)의 외측으로는 소정지름과 두께를 갖는 와셔 형상의 접착용 젤리판(38)이 부착되며, 상면 중앙에는 상기 조작 및 구동기(1)의 암 컨넥터(18)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숫 컨넥터(33)가 설치되고, 내부에는 상기 작동 전극(32) 개수에 대응하는 스위칭소자(34)를 포함하여 상기 조작 및 구동기(1)의 메인 중앙처리장치(15)로부터 전송되어 오는 제어신호에 부응하여 상기 스위칭소자(34)들의 구동을 제어하는 보조 중앙처리장치(35)가 실장된 인쇄회로기판(36)이 내장된 형태를 갖고 자극용 패드 착용수단(4)의 내측에 고정 설치되어 족삼리혈 또는 수삼리혈 부위에 저주파신호를 출력하여 자극하는 한 쌍의 혈 자리 자극용 패드(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조작 및 구동기(1)의 본체(10) 배면에는 사용자의 허리에 찰 수 있도록 하는 탄성 클립(20)을 더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혈 자리 자극용 패드 몸체(30)의 저면에 설치되는 공통 전극(31)은 소정 폭과 지름을 갖되 중앙에는 구멍이 뚫린 와셔 형상으로 형성하고,
다수의 작동 전극(32)은 상기 공통 전극(31)의 외측으로 일정거리 떨어진 위치에서 각각 정해진 간격 및 각도를 갖는 소정지름의 원판 형상으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공통 전극(31) 및 다수의 작동 전극(32)은 도전성 고무나 도전성 젤리 또는 도전성 금속 막 중 어느 한 재료를 소정 두께로 부착 또는 증착 또는 도포하는 형태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공통 전극(31)과 다수 작동 전극(32) 사이에 각각 인가되는 저주파 전압은 1~150[V]이고, 전류는 수~수십[mA] 이하이며, 주파수는 1~8,000㎐ 대역의 삼각파 또는 정현파 또는 사다리파 또는 사각파 또는 구형파 중 어느 한 파형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와셔 형상을 갖는 상기 공통 전극(31)의 내측에 위치되는 혈 자리 자극용 패드 몸체(30)의 저면 중심에는 열 발생수단(27)을 더 설치하고,
상기 인쇄회로기판(36)상에는 상기 열 발생수단 구동용 스위칭소자(34)를 더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열 발생수단(27)으로는 피티씨(PTC)소자 또는 카본 소자 또는 니크롬선 중 어느 한 발열소자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열 발생수단(27)을 통해 발생되는 열은 40~50℃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조작 및 구동기(1) 내에는 걸음을 뗄 때마다 그 횟수를 세어 표시부(12)에 표시해 주는 만보기(21)를 부가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면역기능 강화용 저주파 자극기에 대한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이 적용된 면역기능 강화용 저주파 자극기는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좌,우 한 쌍의 자극용 패드 착용수단(4)과 조작 및 구동기(1) 및 한 쌍의 혈 자리 자극용 패드(3)로 구성하여 사용자가 상기 자극용 패드 착용수단(4)을 이용하여 무릎이나 팔꿈치 부분에 간단히 착용하게 되면 혈 자리 자극용 패드(3)의 저면이 족삼리혈 또는 수삼리혈 자리에 일치하게 하는 방식을 통해 비전문가도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저주파 자극기를 이용하여 면역 강화효과가 있는 족삼리혈 또는 수삼리혈을 정확하고도 효과적으로 저주파신호를 이용하여 자극할 수 있도록 한 것을 주요기술 구성요소로 한다.
상기한 구성요소 중 상기 자극용 패드 착용수단(4)은 신축성 좋은 섬유(예를 들어 망사형 섬유사나 고무줄이 내장된 밴드 등)를 이용하여 인체의 양 무릎 또는 양 팔꿈치 부분에 탄력적으로 착용할 수 있도록 소정지름과 높이를 갖는 원통형으로 제작한 것으로, 내측의 특정부위(즉, 착용시 족삼리혈 또는 수삼리혈과 대응되는 위치)에 혈 자리 자극용 패드(3)를 고정한 상태에서 인체의 양 무릎 또는 양 팔꿈치 부분에 탄력적으로 착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때, 상기 자극용 패드 착용수단(4)의 중간 부분에는 착용시 불편함이 없도록 함과 동시에 팔, 다리가 움직일 때 발생하는 신축력 변화에 대응하여 상기 자극용 패드 착용수단(4) 자체가 무릎 또는 팔꿈치 부분에서 상,하부로 오르내리거나 무릎 또는 팔꿈치 부분에서 좌,우 방향으로 회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무릎 또는 팔꿈치 노출 구멍(41)을 형성시켜 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조작 및 구동기(1)는 속이 빈 사각 함체 형상을 갖게 사출 성형한 본체(10)의 외부(전면)에 키 입력부(11)와 표시부(12)를 설치하고, 내부에는 전원 공급부(13)와 메인 중앙처리장치(15) 및 저주파 신호 발생기(14)를 하나의 메인 인쇄회로기판(19)에 실장하여 내설하되, 상기 메인 인쇄회로기판(19)의 출력단자에는 자유단부에 숫 컨넥터(33)가 각각 구비된 두 전원 공급선(16)과 하나의 제어신호 전달선(17)을 2줄로 연결한 형태를 갖는다.
이때, 상기 조작 및 구동기(1)의 본체(10) 배면에는 탄성 클립(20)이 구비되어 있으므로 본 발명이 적용된 저주파 자극기를 이용하여 족삼리혈 또는 수삼리혈을 포함하여 그 주변을 저주파 자극할 때, 상기 조작 및 구동기(1)를 탄성 클립(20)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허리에 차고 일상생활이나 걷는 운동과 같은 간편한 운동 등을 할 수 있어 휴대성이 매우 좋고 외관을 해치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상기 조작 및 구동기(1)의 구성요소 중 키 입력부(11)에는 도면부호 기입을 생략한 전원 온/오프 스위치를 포함하여 사용자가 저주파 신호의 파형 형태, 저주파 인가시간 및 저주파 신호의 출력 세기 등과 같은 파라메터를 임으로 선택하여 입력할 있는 각종 키 및 스위치 등이 구비됨은 물론 후술하는 열 발생수단(27) 작동 스위치와 만보기 온/오프 스위치 및 리세트 스위치 등이 구비되어 있다.
또한, 상기 표시부(12)는 사용자가 키 입력부(11)를 통해 입력시키는 각종 정보를 포함하여 혈 자리 자극용 패드(3)를 통해 족삼리혈 또는 수삼리혈을 저주파 자극하거나 또는 후술하는 열 발생수단(27)을 통해 온열 뜸질을 할 때 또는 만보기(21)를 작동시켰을 때 각각의 작동 상태 정보 등이 표시된다.
또, 상기 전원 공급부(13)는 본체(10) 내에 설치된 상태에서 각 구성 부품의 구동에 필요한 전원전압을 공급시켜 주는 것으로, 일반 건전지를 포함하여 직류 어뎁터나 USB 전원 등을 통해 충전할 수 있는 충전식 배터리 등으로 구성할 수 있는데, 만약 충전식 배터리를 설치한 경우에는 본체(10) 상에 도시 생략한 직류 어뎁터나 USB 전원 연결 짹을 설치하고, 메인 인쇄회로기판(19)상에는 충전회로를 실장하면 된다.
또한, 상기 메인 중앙처리장치(15)는 상기 키 입력부(11)를 통해 입력되는 각종 정보에 대응하여 저주파 신호 발생기(14) 및 혈 자리 자극용 패드(3) 측에 구동신호 및 스위칭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표시부(12)에 각종 상태 정보 등을 표시해 주는 등 본 발명이 적용된 저주파 자극기의 전반적인 제어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또, 상기 저주파 신호 발생기(14)는 상기 메인 중앙처리장치(15)에서 출력되는 제어신호에 부응하여 작동되며 1~150[V]의 전압과 수~수십[mA] 이하의 전류를 갖는 1~8,000㎐ 대역의 저주파 신호를 삼각파 또는 정현파 또는 사다리파 또는 사각파 또는 구형파 중 어느 한 파형 형태로 출력하게 된다.
이때, 상기 메인 중앙처리장치(15)에서 혈 자리 자극용 패드(3) 측으로 출력하는 제어신호는 물론 저주파신호는 혈 자리 자극용 패드(3) 내의 인쇄회로기판(36)에 실장된 보조 중앙처리장치(35)로 직렬 형태로 전달하게 되므로 상기 조작 및 구동기(1)의 메인 인쇄회로기판(19)에 구비된 출력단자에는 저주파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두 전원 공급선(16)과 제어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하나의 제어신호 전달선(17) 일단부를 한 쌍의 혈 자리 자극용 패드(3)에 대응하여 두 줄로 연결하고, 상기 두 전원 공급선(16)과 하나의 제어신호 전달선(17)의 타단부에는 혈 자리 자극용 패드(3)의 숫 컨넥터(33)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는 암 컨넥터(18)를 각각 설치하면 된다.
한편, 상기 한 쌍의 혈 자리 자극용 패드(3)는 각각 원판 형상을 갖는 몸체(30)의 저면에 하나의 공통 전극(31)과 다수의 작동 전극(32)이 설치되고, 상기 작동 전극(32)의 외측으로는 혈 자리 자극용 패드(3)가 상기 자극용 패드 착용수단(4)의 탄력에 의해 족삼리혈 또는 수삼리혈 부위에 밀착될 때 상기 혈 자리 자극용 패드(3)의 저면이 피부에 일체로 부착되어 유동되지 않도록 하는 접착용 젤리판(38)을 소정지름과 두께를 갖는 와셔 형상으로 부착한 형태를 갖는다.
또한, 상기 혈 자리 자극용 패드(3)의 몸체(30) 상면에는 자유단부 일부가 도 4와 같이 상기 자극용 패드 착용수단(4)을 뚫고 외부로 노출된 형태를 갖고 상기 조작 및 구동기(1)의 암 컨넥터(18)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숫 컨넥터(33)가 설치된 형태를 갖는다.
이때, 상기 혈 자리 자극용 패드(3)의 몸체(30)는 합성수지재를 이용하여 소정지름과 높이를 갖는 원판 형상으로 사출 성형한 것으로, 상면 뚜껑체와 저면 바닥판으로 구성하여 분해 조립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혈 자리 자극용 패드(3)의 몸체(30) 내부에는 상기 작동 전극 개수에 대응하는 개수의 스위칭소자(34)를 포함하여 상기 조작 및 구동기(1)의 메인 중앙처리장치(15)로부터 전송되어 오는 제어신호에 부응하여 상기 스위칭소자(34)들의 구동을 제어하여 저주파신호가 공통 전극(31)과 다수의 작동 전극(32) 사이에 정해진 패턴을 갖고 공급될 수 있도록 제어하는 보조 중앙처리장치(35)를 구비한 인쇄회로기판(36)이 내장된 형태를 갖는다.
이때, 상기 조작 및 구동기(1)의 메인 중앙처리장치(15)로부터 전송되어 오는 제어신호(다수의 작동 전극(32) 중 어느 전극을 어느 시간대에 작동시킬 것인지 등에 대한 정보신호)와 더불어 전송되어와 혈 자리 자극용 패드(3) 내의 보조 중앙처리장치(35)를 통해 상기 스위칭소자(34)들의 베이스에 인가되는 다일 출력 파형 또는 다중 출력 파형은 도 6 및 도 7의 (a)~(g)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양한 형태를 가지게 된다.
또한, 각각의 작동 전극(32)에 대응하여 각각 하나씩 설치되어 있는 상기 스위칭소자(34)들은 자체의 베이스에 인가되는 출력 파형의 형태 및 주기에 대응하여 온/오프 작동되며 하나의 공통 전극(31)과 다수의 작동 전극(32) 사이에 공급되는 저주파전압을 사용자가 원하는 시간간격을 두고 순차적으로 또는 다양한 시간차 간격을 두고 또는 동시에 공급시켜 주게 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상기 혈 자리 자극용 패드(3)는 전술한 바와 같이 자극용 패드 착용수단(4)의 내측에서 저주파 자극을 원하는 족삼리혈 또는 수삼리혈과 대응되는 위치와 일치되는 부분에 각각 고정 설치된 상태를 갖는다.
따라서, 사용자가 상기 자극용 패드 착용수단(4)를 이용하여 혈 자리 자극용 패드(3)를 무릎이나 팔꿈치 부분에 착용하였을 때, 하나의 공통 전극(31)과 다수의 작동 전극(32)이 설치되어 있는 몸체(30)의 저면이 저주파 자극을 주고자 하는 족삼리혈(도 2 참조) 또는 수삼리혈 부위에 밀착됨과 동시에 본체(10)의 저면에 설치되어 있는 접착용 젤리판(38)에 의해 족삼리혈 또는 수삼리혈 부위의 피부에 일체로 부착된 형태를 갖는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조작 및 구동기(1)를 통해 혈 자리 자극용 패드(3)들을 작동시켜 하나의 공통 전극(21)과 다수개의 작동 전극(22) 사이에서 순차적으로 또는 다양한 시간차 간격을 두고 또는 동시에 발생하는 저주파 신호를 족삼리혈 또는 수삼리혈 자리에 인가시켜 저주파 자극을 줄 수 있다.
이때, 상기 혈 자리 자극용 패드(3)는 전술한 바와 같이 본체(10)의 저면에 구비된 접착용 젤리판(38)의 접착력에 의해 전혀 움직이지 않게 되므로 해당 혈 자리의 저주파 치료중 일상생활 또는 간단한 운동도 수행할 수 있어 족삼리혈 또는 수삼리혈에 저주파 자극을 주며 면역 강화를 시키는데 따른 신뢰도를 대폭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혈 자리 자극용 패드 몸체(30)의 저면에 설치되는 공통 전극(31)은 소정폭과 지름을 갖되 중앙에는 구멍이 뚫린 와셔 형상으로 형성하고, 상기 다수의 작동 전극(32)은 상기 혈 자리 자극용 패드 몸체(30)의 저면에서 상기 공통 전극(31)의 외측으로 일정거리 떨어진 위치에 각각 정해진 간격 및 각도를 갖게 하여 소정지름을 갖는 원판 형상으로 형성하였다.
이때, 상기 공통 전극(31) 및 다수의 작동 전극(32)은 전기 전도성이 매우 좋은 도전성 고무나 도전성 젤리 또는 도전성 금속 막 중 어느 한 재료를 소정두께로 부착하거나 증착 또는 도포하는 형태로 형성하여 줌으로써 상기 공통 전극(31)과 다수의 작동 전극(32) 중 어느 하나 또는 수개 또는 모든 작동 전극(32)에 도 6과 같은 단일 출력 파형 또는 도 7의 (a)~(g)와 같은 다중 출력 파형을 갖는 저주파 신호를 인가할 경우, 인체를 매개로 하나의 공통 전극(31)과 다수의 작동 전극(32) 사이에 소정전압이 걸림과 동시에 전류가 흐르게 되어 족삼리혈 또는 수삼리혈 대한 다양한 저주파 자극효과를 얻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주변 피부와 신경 및 근육 등이 저주파 전류 및 전압에 의해 자극되어 통증 완화 및 치료효과도 얻을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혈 자리 자극용 패드(3)의 공통 전극(31)과 다수 작동 전극(32) 사이에는 각각 1~150[V]의 전압과 수~수십[mA] 이하의 전류를 갖는 1~8,000㎐의 저주파 신호를 삼각파 또는 정현파 또는 사다리파 또는 사각파 또는 구형파 중 어느 한 파형의 형태로 공급 및 흘려주되, 하나의 공통 전극(31)과 다수 작동 전극(32) 사이에는 사용자가 정한 시간차를 두고 순차적으로 또는 다양한 시간차 간격을 두고 또는 동시에 정해진 시간(수~수분) 동안 공급시켜 주게 되면, 해당 혈 부위에 형성된 근육의 결 방향에 무관하게 도 3과 같이 다양한 방향으로 자주파 자극을 줄 수 있다.
따라서, 족삼리혈 또는 수삼리혈 자리의 저주파 자극을 통한 면역 강화효과와 더불어 해당 혈 자리 부위의 피부와 신경 및 근육 등을 동시에 다양한 방향으로 저주파 자극하여 통증 완화 등 저주파 치료효과를 극대화시켜 줄 수 있음은 물론 제품 자체의 상품성과 저주파 치료에 따른 신뢰도를 대폭 향상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공통 전극(31)과 다수 작동 전극(32) 사이에 도 7의 (a)와 같은 다중 출력 파형을 갖는 저주파 신호를 인가시켜 줄 경우 반복적으로 두드려 주는 느낌을 줄 수 있고, 도 7의 (b)와 같은 다중 출력 파형을 인가시켜 줄 경우 간헐적으로 두드려 주는 느낌을 줄 수 있으며, 도 7의 (c)와 같은 다중 출력 파형을 인가시켜 줄 경우 비주기적으로 두드려 주는 느낌을 줄 수 있다.
또한, 도 7의 (d)와 같은 다중 출력 파형을 인가시켜 줄 경우 꽉 쥐어짜는 듯한 느낌을 줄 수 있고, 도 7의 (e)(f)와 같은 다중 출력 파형을 인가시켜 줄 경우 강약 세기를 변화시키면서 두드려 주는 느낌을 줄 수 있으며, 도 7의 (g)와 같은 다중 출력 파형을 인가시켜 줄 경우 따끔한 침을 맞는 느낌을 줄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나의 공통 전극(31)과 다수 작동 전극(32) 사이에 다양한 형태와 세기 및 반복 주기를 갖는 파형을 선택하여 공급(즉, 사용자 또는 진료자 등이 저주파 자극을 받고자 하는 사람의 건강 정도 등을 감안하여 선택하여 공급)시켜 족삼리혈 또는 수삼리혈은 물론 그 부근의 신체 경피를 포함한 근육 등에 전기적 간섭자극을 주게 되면 면역 강화기능과 더불어 급성 및 만성 통증 관리, 동통 완화, 근육긴장(muscle tone), 조직의 혈관 형성 및 재형성 촉진 등을 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와셔 형상을 갖는 상기 공통 전극(31)의 내측 즉, 혈 자리 자극용 패드 몸체(30)의 저면 중심점에 피티씨(PTC)소자 또는 카본 소자 또는 니크롬선 등으로 구성되는 열 발생수단(27)을 더 설치하고, 상기 인쇄회로기판(36)상에는 상기 열 발생수단 구동용 스위칭소자(34)를 더 설치하여 사용자가 원할 경우 족삼리혈 또는 수삼리혈 자리에 대한 온열 찜질 또는 뜸질도 할 수 있도록 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이 적용된 저주파 자극기를 이용하여 족삼리혈 또는 수삼리혈 부위에 대한 저주파 자극을 수행할 때, 또는 저주파 자극과 별개로 사용자가 조작 및 구동기(1)를 통해 상기 열 발생수단(27)을 구동시켜 상기 열 발생수단(27)으로부터 40~50℃의 열이 발생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족삼리혈 또는 수삼리혈 부위에 상기 열 발생수단(27)을 통해 40~50℃의 열을 발생시켜 주게 되면, 해당 혈 부위가 온열 뜸질이 이루어지게 되므로 혈행(血行)과 물질대사가 증대되고, 신경 및 근육 등의 피로가 없어지는 온열치료 및 뜸질효과를 얻을 수 있어 면역 강화효과를 더욱 증대시킬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이 적용된 저주파 자극기 자체의 사용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고, 또 소비자는 하나의 저주파 자극기만 구비하면 되므로 경제적인 부담을 줄여 줄 수 있음은 물론 족삼리혈 또는 수삼리혈에 대한 저주파 자극 및 온열을 통한 뜸 치료를 수행하는데 걸리는 시간도 대폭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조작 및 구동기(1)와 혈 자리 자극용 패드(3) 사이에 저주파신호와 함께 전원전압이 공급되는 두 전원 공급선(16)과 하나의 제어신호 전달선(17)만 암,수 커넥터를 통해 착탈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제품의 생산원가를 줄일 수 있음은 물론 전원 공급선 및 제어신호 전달선이 단선되는 등의 원인으로 발생할 수 있는 고장율 등을 크게 줄일 수 있고, 특히 조작 및 구동기(1)와 혈 자리 자극용 패드(3) 사이의 연결이 매우 간편하여 사용자의 조작성 및 사용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상기 조작 및 구동기(1) 내에 만보기(21)를 부가 설치하여 줌으로써 상기 혈 자리 자극용 패드(3)들은 자극용 패드 착용수단(4)와 함께 무릎이나 팔꿈치 부분에 착용하고 조작 및 구동기(1)는 탄성 클립(20)을 이용하여 허리에 차거나 또는 조작 및 구동기(1) 만 탄성 클립(20)을 이용하여 허리에 차고 걸을 경우 걸음을 뗄 때마다 그 횟수가 표시부(12)에 자동으로 표시되므로 본 발명이 적용된 면역 강화용 저주파 자극기에 대한 상품성과 사용성 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다.
상술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예에 대하여 설명한 것이지만, 상기한 실시 예 및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내용만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다.
1 : 조작 및 구동기
10 : 본체 11 : 키 입력부
12 : 표시부 13 : 전원 공급부
14 : 저주파 신호 발생기 15 : 메인 중앙처리장치
16 : 전원 공급선 17 :제어신호 전달선
18 : 암 컨넥터 19 : 메인 인쇄회로기판
20 : 탄성 클립 21 : 만보기
3 : 혈 자리 자극용 패드
30 : 몸체 31 : 공통 전극
32 : 작동 전극 33 : 숫 컨넥터
34 : 스위칭소자 35 : 보조 중앙처리장치
36 : 인쇄회로기판 37 : 열 발생수단
38 : 접착용 젤리판
4 : 자극용 패드 착용수단
41 : 무릎 또는 팔꿈치 노출 구멍

Claims (9)

  1. 내측의 특정부위에 혈 자리 자극용 패드가 고정된 상태에서 인체의 양 무릎 또는 양 팔꿈치 부분에 탄력적으로 착용할 수 있도록 성형한 한 쌍의 자극용 패드 착용수단와;
    본체의 외부에는 전원 온/오프 스위치와 저주파 신호의 파형 형태, 저주파 인가시간 및 저주파 신호의 출력 세기와 같은 파라메터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키 입력부 및 각종 상태 정보가 표시되는 표시부가 구비되고, 내부에는 건전지 또는 충전식 배터리를 구비하고 각부에 전원전압을 공급시켜 주는 전원 공급부와, 상기 키 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는 정보에 대응하여 저주파 신호 발생기 및 혈 자리 자극용 패드 측에 구동신호와 스위칭신호를 각각 출력함은 물론 각종 상태 정보를 표시부를 통해 표시해 주는 메인 중앙처리장치, 상기 메인 중앙처리장치에서 출력되는 제어신호에 부응하는 저주파 신호를 발생시켜 주는 저주파 신호 발생기가 내장된 상태에서 자유단부에 각각 암 컨넥터가 구비된 두 전원 공급선과 하나의 제어신호 전달선이 혈 자리 자극용 패드측을 향해 두 줄로 설치된 조작 및 구동기와;
    원판 형상을 갖는 몸체의 저면에 하나의 공통 전극과 다수의 작동 전극이 설치되고, 상기 작동 전극의 외측으로는 와셔 형상의 접착용 젤리판이 부착되며, 상면 중앙에는 상기 조작 및 구동기의 암 컨넥터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숫 컨넥터가 설치되고, 내부에는 상기 작동 전극 개수에 대응하는 스위칭소자를 포함하여 상기 조작 및 구동기의 메인 중앙처리장치로부터 전송되어 오는 제어신호에 부응하여 상기 스위칭소자들의 구동을 제어하는 보조 중앙처리장치가 실장된 인쇄회로기판이 내장된 형태를 갖고 자극용 패드 착용수단의 내측에 고정 설치되어 족삼리혈 또는 수삼리혈 부위에 저주파신호를 출력하여 자극하는 한 쌍의 혈 자리 자극용 패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역기능 강화용 저주파 자극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작 및 구동기의 본체 배면에는 사용자의 허리에 찰 수 있도록 하는 탄성 클립을 더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역기능 강화용 저주파 자극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혈 자리 자극용 패드 몸체의 저면에 설치되는 공통 전극은 소정 폭과 지름을 갖되 중앙에는 구멍이 뚫린 와셔 형상으로 형성하고,
    다수의 작동 전극은 상기 공통 전극의 외측으로 일정거리 떨어진 위치에서 각각 정해진 간격 및 각도를 갖는 소정지름의 원판 형상으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역기능 강화용 저주파 자극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공통 전극 및 다수의 작동 전극은,
    도전성 고무나 도전성 젤리 또는 도전성 금속 막 중 어느 한 재료를 소정 두께로 부착 또는 증착 또는 도포하는 형태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역기능 강화용 저주파 자극기.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공통 전극과 다수 작동 전극 사이에 각각 인가되는 저주파 전압은 1~150[V]이고, 전류는 수~수십[mA] 이하이며, 주파수는 1~8,000㎐ 대역의 삼각파 또는 정현파 또는 사다리파 또는 사각파 또는 구형파 중 어느 한 파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역기능 강화용 저주파 자극기.
  6. 청구항 3에 있어서,
    와셔 형상을 갖는 상기 공통 전극의 내측에 위치되는 혈 자리 자극용 패드 몸체의 저면 중심에는 열 발생수단을 더 설치하고, 상기 인쇄회로기판상에는 상기 열 발생수단 구동용 스위칭소자를 더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역기능 강화용 저주파 자극기.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열 발생수단으로는 피티씨(PTC)소자 또는 카본 소자 또는 니크롬선 중 어느 한 발열소자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역기능 강화용 저주파 자극기.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열 발생수단을 통해 발생되는 열은 40~5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역기능 강화용 저주파 자극기.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작 및 구동기 내에는 걸음을 뗄 때마다 그 횟수를 세어 표시부에 표시해 주는 만보기를 부가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역기능 강화용 저주파 자극기.
KR1020140181498A 2014-12-16 2014-12-16 면역기능 강화용 저주파 자극기 Abandoned KR2016007310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1498A KR20160073108A (ko) 2014-12-16 2014-12-16 면역기능 강화용 저주파 자극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1498A KR20160073108A (ko) 2014-12-16 2014-12-16 면역기능 강화용 저주파 자극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3108A true KR20160073108A (ko) 2016-06-24

Family

ID=563432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81498A Abandoned KR20160073108A (ko) 2014-12-16 2014-12-16 면역기능 강화용 저주파 자극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73108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595598A (zh) * 2017-09-05 2018-01-19 陈家林 一种电子针灸设备
CN107670172A (zh) * 2017-09-14 2018-02-09 四川建玮高科技有限公司 一种便携式多功能脉络磁穴理疗仪
WO2021049726A1 (ko) * 2019-09-11 2021-03-18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인공관절 수술환자의 관절운동장치
KR20220027588A (ko) * 2020-08-27 2022-03-08 백진 저주파 뜸기 세트
CN115845215A (zh) * 2022-10-10 2023-03-28 亮声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降血压训练设备
KR20230168315A (ko) * 2022-06-07 2023-12-14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기능성 소화불량 및 과민성대장증후군 증상을 완화하는 전기 자극 밴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2090Y1 (ko) 2000-08-07 2001-02-01 원인호 건강 생활용 하의
KR200233876Y1 (ko) 2000-07-18 2001-09-25 원인호 족삼리혈 자장구
KR20020004196A (ko) 2000-07-03 2002-01-16 원인호 통기 및 자력 기능을 갖게 한 바지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04196A (ko) 2000-07-03 2002-01-16 원인호 통기 및 자력 기능을 갖게 한 바지
KR200233876Y1 (ko) 2000-07-18 2001-09-25 원인호 족삼리혈 자장구
KR200212090Y1 (ko) 2000-08-07 2001-02-01 원인호 건강 생활용 하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595598A (zh) * 2017-09-05 2018-01-19 陈家林 一种电子针灸设备
CN107670172A (zh) * 2017-09-14 2018-02-09 四川建玮高科技有限公司 一种便携式多功能脉络磁穴理疗仪
WO2021049726A1 (ko) * 2019-09-11 2021-03-18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인공관절 수술환자의 관절운동장치
KR20220027588A (ko) * 2020-08-27 2022-03-08 백진 저주파 뜸기 세트
KR20230168315A (ko) * 2022-06-07 2023-12-14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기능성 소화불량 및 과민성대장증후군 증상을 완화하는 전기 자극 밴드
CN115845215A (zh) * 2022-10-10 2023-03-28 亮声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降血压训练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073108A (ko) 면역기능 강화용 저주파 자극기
CN204582326U (zh) 智能鞋
KR101291036B1 (ko) 인체 미세전류의 발생을 위한 발마사지 장치
WO2007069854A1 (en) Microcurrent stimulus apparatus
KR20160073105A (ko) 한방 치료용 경혈 저주파 자극기
KR100735855B1 (ko) 성인병 예방용 휴대용 전기 뜸 밴드
CN204582325U (zh) 智能护膝
KR100994208B1 (ko) 미세전류 자극용 양말
KR20180015998A (ko) 수중 헬스케어용 저주파 자극기
KR20230014478A (ko) 비뇨생식기질환 치료장치
CN204582329U (zh) 智能面膜仪
KR101872819B1 (ko) 생체전극발열체를 이용한 직접 발열 방식의 온열 저주파치료기
KR200355189Y1 (ko) 고주파 전기치료기
CN102743816A (zh) 手持便携式经皮神经电刺激镇痛方法及镇痛器和用途
KR20160073101A (ko) 단일 및 다중 전기출력을 갖는 저주파 자극기
KR101289441B1 (ko) 비대칭 면적 전극패드를 구비한 간섭전류형 저주파 자극기
CN204582327U (zh) 智能背心
KR20070098384A (ko) 고주파치료장치
KR200427531Y1 (ko) 경혈자극 지압 돌기가 구비된 복합 기능 저주파 물리치료기
KR102645687B1 (ko) 헬스밴드
CN204840667U (zh) 智能围脖
CN204653851U (zh) 智能护肘
KR200419090Y1 (ko) 고주파치료장치
CN204581680U (zh) 智能眼罩
KR200279850Y1 (ko) 벨트형 온열 저주파 치료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1216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41216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042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50720

PC1904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