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38158A - Wall Shelf Fixing Apparatus - Google Patents
Wall Shelf Fixing Apparatu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00038158A KR20200038158A KR1020180147980A KR20180147980A KR20200038158A KR 20200038158 A KR20200038158 A KR 20200038158A KR 1020180147980 A KR1020180147980 A KR 1020180147980A KR 20180147980 A KR20180147980 A KR 20180147980A KR 20200038158 A KR20200038158 A KR 20200038158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erforated plate
- fixed
- hole
- fixing
- wall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Granted
Links
- 238000003860 storage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5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05520 cutt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5484 gravity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4080 punching Methods 0.000 abstract 7
- 230000035515 penetration Effects 0.000 abstract 4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796 convention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2—Shelves
- A47B96/021—Structural features of shelf base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6—Brackets or similar supporting means for cabinets, racks or shelve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F—SPECIAL FURNITURE, FITTINGS, OR ACCESSORIES FOR SHOPS, STOREHOUSES, BARS, RESTAURANTS OR THE LIKE; PAYING COUNTERS
- A47F5/00—Show stands, hangers, or shelves characterised by their constructional features
- A47F5/08—Show stands, hangers, or shelves characterised by their constructional features secured to the wall, ceiling, or the like; Wall-bracket display devices
- A47F5/0807—Display panels, grids or rods used for suspending merchandise or cards supporting articles; Movable brackets therefor
- A47F5/0815—Panel constructions with apertures for article supports, e.g. hooks
- A47F5/0823—Article supports for peg-boards
Landscapes
- Connection Of Plates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벽에 다양한 종류의 수납물을 거치할 수 있는 거치대를 설치할 수 있는 벽 거치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다수의 구멍이 형성된 타공판을 벽에 설치하고 타공판에 원하는 형태의 거치대를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벽 거치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ll mounting device capable of installing a holder that can mount various types of storage on a wall, and in particular, a perforated plate having a plurality of holes can be installed on the wall, and a desired type of holder can be easily installed on the perforated plate. It relates to a wall mounting device.
다양한 종류의 물건을 벽에 수납할 수 있는 기술로서, 등록특허 제10-1826610호에 개시된 벽면형 수납장치는 벽면을 활용하여 물건을 수납할 수 있도록 벽면에 부착되는 보드(10)와 보드에 부착되는 수납도구(20)를 포함한다. As a technique for storing various types of objects on a wall, the wall-type storage device disclosed in Patent No. 10-1826610 is attached to a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등록특허 제10-1826610호에서 보드(10)는 탄력을 갖는 쿠션층(11)과 쿠션층(11)의 양면을 덮는 펠트층(12)을 구비하고, 수납도구(20)는 보드(10)에 형성된 구멍(10a)에 끼워지는 고정부(21)를 구비하고, 고정부(21)는 외경이 구멍(10a)의 직경 사이즈에 대응하는 막대 형태로 마련하여 수납도구들의 위치와 자세를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도록 하였다.As shown in FIG. 5, in the registered patent No. 10-1826610, the
그런데, 개시된 발명은 고정부(21)를 억지끼움식으로 구멍(21a)에 삽입하는 것만으로 고정이 완료되기 때문에 수납도구의 하중이 큰 경우 고정부(21)가 구멍(21a)에서 이탈될 수 있는 가능성이 높다. 또한, 쿠션층(11)과 펠트층(12)의 사용에 의하여 마찰력을 강화하여 수납도구(20)가 이탈되지 않도록 하고 있으나, 이러한 요소는 제품의 단가를 높이고, 내구성이 낮아지는 문제를 안고 있다.However, in the disclosed invention, since the fixing is completed only by inserting the
또한, 선행기술이 특정되지 않았으나, 종래의 수납도구 부착 방법 중, 고정부(21)를 구멍(21a)에 삽입하고 너트로 조이는 볼트-너트 체결 방법이 많이 사용되고 있는데, 이 방법은 수납도구(20)의 탈부착 시에 보드(10)를 벽면에서 먼저 분리해야 하고, 고정부(21)에 체결된 너트를 풀거나 조이면서 수납도구(20)를 고정 또는 분리해야 함으로 인해, 번거롭고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었다.In addition, although the prior art is not specified, among conventional methods of attaching the storage tool, a bolt-nut fastening method in which the
본 발명의 목적은 벽에 설치되는 타공판에 피고정물인 다양한 형태의 수납대를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타공판의 제1 원형 관통홀과 같은 크기로 수납대에 제2 원형 관통홀을 형성하고, 제1 및 제2 관통홀을 통과하도록 삽입되고 일단이 피고정물을 타공판으로 가압하도록 하면서 타단이 타공판에 걸리도록 구성된 고정수단을 포함하는 벽 거치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기타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되는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의하여 모두 달성될 수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form a second circular through-hole in the storage base in the same size as the first circular through-hole of the perforated plate so that the various types of storage bases to be fixed can be easily installed on the perforated plate installed on the wall. It is intended to provide a wall mounting device including a fixing means that is inserted to pass through the second through-hole and has one end pressed against the perforated plate while the other end is engaged with the perforated plate. Other other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chieved by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벽 거치장치는 중간 이격 수단에 의하여 벽과의 사이에 사잇 공간이 형성되도록 상기 벽과 간격을 두고 설치되고 일정한 두께를 가지며 다수의 제1 관통홀(110)이 형성된 타공판(100); 및 상기 타공판(100)의 제1 관통홀(110) 크기로 형성된 피고정물(200)의 제2 관통홀(210) 및 상기 제1 관통홀(110)을 모두 통과하도록 삽입되어 일단이 상기 피고정물(200)을 상기 타공판(100)으로 가압하고 타단이 상기 타공판(100)에 걸리도록 함으로써 상기 피고정물(200)을 상기 타공판(100)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 수단(3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wall mount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at a distance from the wall so as to form a space between the wall by means of an intermediate separation means and has a certain thickness and has a plurality of first through holes 110 ) Formed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피고정물(200)은 물건을 수납 또는 거치할 수 있는 수납대로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제2 관통홀(210)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 수단(300)은 상기 제1, 2 관통홀(110, 210)을 직진 통과한 후에 하강하여 상기 타공판(100)에 걸리도록 구성된 걸림부(310), 상기 피고정물(200)을 상기 타공판(100)으로 가압하여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320), 및 상기 걸림부(310)와 상기 고정부(320) 사이를 연결하여 상호 구속되도록 하는 이음부(330)를 포함하고, 상기 걸림부(310)는 상기 제1 관통홀(110) 및 상기 제2 관통홀(210)의 구경보다 작은 지름을 갖는 원통 형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고정부(320)는 상기 피고정물(200)이 중력에 의하여 완전히 하강하여 상기 이음부(330)가 상기 피고정물(200)에 형성된 제2 관통홀(210)의 상단에 접촉할 때에 상기 제2 관통홀(210)의 상단 가장자리를 넘어서는 밀착 영역(A)에 밀착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이음부(330)는 상기 걸림부(310)와 동축을 갖는 원통 형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타공판(100)과 상기 피고정물(200)을 합한 두께의 1.01 내지 1.2배의 길이이고, 상기 걸림부(310)의 지름의 0.3 내지 0.7배이고, 상기 이음부(330)와 상기 걸림부(310)의 연결부위에서 상기 이음부(330)의 외주와 상기 걸림부(310)의 외주 사이의 폭은 2mm 내지 10mm이고, 상기 고정 수단(300)이 상기 피고정물(200)을 상기 타공판(100)에 거치한 상태에서 상기 피고정물(200)의 경사각은 2° 내지 15°가 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to-be-fixed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고정부(320)는 상기 걸림부(310)와 상기 이음부(330)와 동축을 갖는 원통 형상으로서, 상기 걸림부(310) 및 상기 이음부(330)와 단일 소재의 금속을 회전 절삭 가공하여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이와 같은 본 발명의 피고정물을 타공판으로 가압하도록 하면서 타단이 타공판에 걸리도록 구성된 고정수단을 포함하는 벽 거치장치에 의하면, 타공판의 제1 관통홀의 크기로 수납대에 2 관통홀을 형성하기만 하면, 수납대를 타공판에 접하여 관통홀을 일치시키고 고정 수단을 삽입하는 과정만으로 간단하게 수납대를 설치하여 수납물이나 거치물을 수납대에 수납 또는 거치할 수 있으며, 설치된 수납대는 매우 안정적으로 견고하게 타공판에 고정되어 임의로 제거하지 않은 이상 부주의에 의하여 이탈될 가능성이 매우 낮은 장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wall-mounting device including a fixing means configured to engage the other end of the perforated plate while pressing the fixed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the perforated plate, only by forming 2 through-holes in the receiving table with the size of the first through-hole of the perforated plate , It is possible to store or mount the storage or mounting items in the storage rack simply by installing the storage rack by just touching the perforated plate to match the through holes and inserting the fixing means, and the installed storage rack is very stable and robust It has the advantage that it is very unlikely to be dislodged by carelessness unless it is fixed to the perforated plate and removed arbitrarily.
또한, 본 발명은 고정 수단을 구성하는 각 부분의 형두께, 지름, 폭 등의 형상을 특정범위로 한정하여 설계함으로써, 고정 수단의 이탈을 방지하면서 피고정물을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거치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designed to limit the shape of the mold thickness, diameter, width, etc. of each part constituting the fixing means to a specific range, so that the fixture can be securely and stably mounted while preventing detachment of the fixing means. Can get
특히, 본 발명은 타공판을 벽면에서 분리할 필요없이, 수납대를 벽면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고정수단을 끼워 거는 방식, 반대로 위로 들어서 빼는 방식으로 수납대를 쉽고 간편하게 설치·해체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obtains the effect of easily and conveniently installing and dismounting the storage base by removing the perforated plate from the wall, and attaching the fixing means in a state where the storage base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wall, and vice versa You ca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벽 거치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도 1의 벽 거치장치가 결합된 상태의 측단면도.
도 3은 도 1의 벽 거치장치에 포함된 고정 수단을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도 1의 벽 거치장치의 거치과정을 순서대로 나타낸 과정도.
도 5는 종래의 벽 거치장치를 나타낸 도면.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wall moun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the wall mounting device of Figure 1 coupled.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fixing means included in the wall mounting apparatus of Figure 1;
Figure 4 is a process diagram showing the mounting process of the wall mounting device of Figure 1 in order.
5 is a view showing a conventional wall mounting device.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벽 거치장치의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과 관련하여 공지된 기술에 대한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공지된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wall moun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description of the known technology in connection with the present invention ma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known technology will be omitt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벽 거치장치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벽 거치장치가 결합된 상태의 측단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벽 거치장치에 포함된 고정 수단을 나타낸 사시도이다.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wall moun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side sectional view of a state in which the wall mounting apparatus of FIG. 1 is coupled, and FIG. 3 is fixed included in the wall mounting apparatus of FIG. 1 It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means.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벽 거치장치는 다수의 구멍이 형성된 타공판을 벽에 설치하고 타공판에 원하는 형태의 거치대를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벽 거치장치로서, 타공판(100), 피고정물(200) 및 고정 수단(3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Referring to FIG. 1, the wall moun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wall mounting apparatus capable of easily installing a perforated plate having a plurality of holes on a wall and easily installing a desired type of mount on the perforated plate, perforated
타공판(100)은 일정한 두께를 갖는 판상으로서, 중간 이격 수단(미도시)에 의하여 벽과의 사이에 사잇 공간이 형성되도록 상기 벽과 간격을 두고 설치되고, 다수의 제1 관통홀(110)이 면에 대하여 종횡으로 형성된다.The
피고정물(200)은 물건을 수납 또는 거치할 수 있는 수납대로서, 타공판(100)의 제1 관통홀(110) 크기와 대등한 크기로 제2 관통홀(210)이 형성된다.The to-be-fixed
제2 관통홀(210)은 적어도 하나 이상이 형성되며, 본 실시예에서는 좌우로 하나씩 형성된다.At least one of the second through
고정 수단(300)은 타공판(100)의 제1 관통홀(110)을 모두 통과하도록 삽입되어 일단이 피고정물(200)을 타공판(100) 측으로 가압하고, 타단이 타공판(100)에 걸리도록 하는 작용을 함으로써, 피고정물(200)을 타공판(100)에 고정하기 위한 구성이다.The
고정 수단(300)은 도 2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부(310), 고정부(320) 및 이음부(330)로 구분된다. 걸림부(310), 이음부(330) 및 고정부(320)는 동축을 갖는 원통 형상으로서, 단일 소재의 금속을 회전 절삭 가공하여 형성되는 것이 제작 편의성 측면에서 바람직하다.2 and 3, the fixing means 300 is divided into a
걸림부(310)는 서로 일치되게 정렬된 제1, 2 관통홀(110, 210)을 직진 통과한 후에 피고정물(200)의 하중을 받으면서 하강하여 타공판(100)에 걸리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걸림부(310)는 제1 관통홀(110) 및 제2 관통홀(210)의 구경보다 작은 지름을 갖는 원통 형상으로 구성된다.The
고정부(320)는 피고정물(200)을 타공판(100) 측으로 가압하여 고정하는 구성이다.The
이음부(330)는 걸림부(310)와 고정부(320) 사이를 연결하여 상호 구속되도록 하는 구성이다.The
여기서, 고정부(320)는 피고정물(200)이 중력에 의하여 완전히 하강하여 이음부(330)가 피고정물(200)에 형성된 제2 관통홀(210)의 상단에 접촉할 때에, 제2 관통홀(210)의 상단 가장자리를 넘어서는 밀착 영역(A)에 밀착되도록 구성된다.Here, the
즉, 고정 수단(300)에서 걸림부(310)와 이음부(330)의 연결부위 중, 하단 연결부위가 타공판(100)의 제1 관통홀(110)의 하단 턱면(111)에 걸리고, 고정부(320)와 이음부(330)의 연결부위 중, 상단 연결부위가 피고정물(200)의 밀착 영역(A)에 걸리도록 고정 수단(300)이 구성되는 것이다.That is, among the connection portions of the
본 실시예에서 이음부(330)는 걸림부(310)와 동축을 갖는 원통 형상으로 구성되고, 이음부(330)의 길이는 타공판(100)과 피고정물(200)을 합한 두께의 1.01 내지 1.2배의 길이로 제작되며, 이음부(330)의 지름은 걸림부(310)의 지름의 0.3 내지 0.7배로 제작된다.In this embodiment, the
이음부(330)의 길이가 상기 하한치보다 짧게 제작되면, 타공판(100)과 피고정물(200)이 고정 수단(300) 사이에 제대로 삽입되지 않고 고정 수단(300)이 타공판(100)의 하단 턱면(111)에 걸리지 않음으로 인해, 피고정물(200)과 고정 수단(300)이 타공판(100)으로부터 이탈될 가능성이 생기게 된다.If the length of the
반대로, 이음부(330)의 길이가 상기 상한치보다 길게 제작되면, 타공판(100)과 피고정물(200)이 삽입되는 폭이 넓게 형성됨에 따라, 고정 수단(300)에 의해 지지되는 고정 수단(300)의 경사각(θ)이 커지게 되므로 바람직하지 않다.Conversely, when the length of the
이음부(330)의 길이 한정과 연계하여, 피고정물(200)을 타공판(100)에 거치한 상태에서, 피고정물(200)이 이루는 경사각(θ)은 2° 내지 15°인 것이 거치 안정성 및 외관 측면에서 바람직하다.In connection with the length limitation of the
또한, 이음부(330)와 걸림부(310)의 연결부위에서 이음부(330)의 외주와 걸림부(310)의 외주 사이의 폭(w, 도 3 참조)은 2mm 내지 10mm로 설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폭(w)이 2mm보다 좁으면, 걸림부(310)가 타공판(100)의 턱면(111)을 쉽게 타고 넘으면서 고정 수단(300)이 이탈되는 경향이 급격히 높아지게 되고, 상기 폭(w)이 10mm보다 넓으면, 고정 수단(300)의 중량이 커지고 삽입 동작이 원활하지 않게 된다.In addition, the width (w, see FIG. 3) between the outer periphery of the
지금부터는 벽 거치장치에 의해 피고정물이 거치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도 4는 도 1의 벽 거치장치의 거치과정을 순서대로 나타낸 과정도이다.From now on, the process in which the object to be fixed is mounted by the wall mounting device will be described. Figure 4 is a process diagram showing the mounting process of the wall mounting device of Figure 1 in order.
먼저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고정물(200)을 타공판(100)에 밀착시킨다. 피고정물(200)의 제2 관통홀(210)이 타공판(100)의 제1 관통홀(110)과 일치되게 밀착시킨다.First, as shown in Figure 4 (a), the object to be fixed 20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그 다음,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부(310)가 제1, 2 관통홀(110, 210)을 통과하도록 고정 수단(300)을 삽입한다. 정확히는,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공판(100)과 피고정물(200)이 고정 수단(300) 사이, 즉 이음부(330) 상에 오도록 삽입한다.Then, as shown in (b), the
이 상태에서, 피고정물(200)을 놓으면,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고정물(200)이 자중에 의해 내려가면서 이음부(330) 상에 지지됨과 동시에 고정부(320)에 걸리게 된다. In this state, when the object to be fixed 200 is released, as shown in (d), the object to be fixed 200 is lowered by its own weight and is supported on the
고정 수단(300)도 피고정물(200)과 함께 약간 내려지고, 걸림부(310)가 타공판(100)에 걸림으로써, 피고정물(200)의 거치가 완료된다.The fixing means 300 is also slightly lowered with the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벽 거치장치는 타공판의 제1 관통홀의 크기로 수납대에 2 관통홀을 형성하기만 하면, 수납대를 타공판에 접하여 관통홀을 일치시키고 고정 수단을 삽입하는 과정만으로 간단하게 수납대를 설치하여 수납물이나 거치물을 수납대에 수납 또는 거치할 수 있으며, 설치된 수납대는 매우 안정적으로 견고하게 타공판에 고정되어 강제로 제거하지 않은 이상 부주의에 의하여 이탈될 가능성이 매우 낮은 장점이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wall moun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simply formed by forming the two through-holes in the receiving table in the size of the first through-holes of the perforated plate, matching the through-holes with the perforating plate to match the through-holes and inserting the fixing means. By installing the storage rack, you can store or mount the storage or mounting on the storage rack, and the installed storage rack is very stable and securely fixed to the perforated plate, so it is very unlikely to be dislodged by carelessness unless it is forcibly removed. have.
또한, 본 발명은 고정 수단을 구성하는 각 부분의 형두께, 지름, 폭 등의 형상을 특정범위로 한정하여 설계함으로써, 고정 수단의 이탈을 방지하면서 피고정물을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거치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designed to limit the shape of the mold thickness, diameter, width, etc. of each part constituting the fixing means to a specific range, so that the fixture can be securely and stably mounted while preventing detachment of the fixing means. Can get
특히, 본 발명은 타공판을 벽면에서 분리할 필요없이, 수납대를 벽면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고정수단을 끼워 거는 방식, 반대로 위로 들어서 빼는 방식으로 수납대를 쉽고 간편하게 설치·해체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obtains the effect of easily and conveniently installing and dismounting the storage base by removing the perforated plate from the wall, and attaching the fixing means in a state where the storage base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wall, and vice versa. You can.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예 및 변형례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변형 가능한 다양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본다.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modifications, but can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of embodiments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Any person having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invention pertai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invention as claimed in the claims is deemed to be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of the invention to a wide range that can be modified.
100 : 타공판
200 : 피고정물
300 : 고정 수단100: perforated board
200: fixed object
300: fixing means
Claims (3)
상기 타공판(100)의 제1 관통홀(110) 크기로 형성된 피고정물(200)의 제2 관통홀(210) 및 상기 제1 관통홀(110)을 모두 통과하도록 삽입되어 일단이 상기 피고정물(200)을 상기 타공판(100)으로 가압하고 타단이 상기 타공판(100)에 걸리도록 함으로써 상기 피고정물(200)을 상기 타공판(100)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 수단(3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 거치장치.
A perforated plate 100 installed at a distance from the wall and having a certain thickness and having a plurality of first through-holes 110 formed so as to form a space between the walls by an intermediate separation means; And
The first through-hole 110 of the perforated plate 100 is inserted to pass through both the second through-hole 210 and the first through-hole 110 of the fixed object 200 formed in the size of the fixed object (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fixing means 300 for fixing the object to be fixed 200 to the perforated plate 100 by pressing 200) to the perforated plate 100 and allowing the other end to be caught by the perforated plate 100 Wall mounting device made.
상기 피고정물(200)은 물건을 수납 또는 거치할 수 있는 수납대로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제2 관통홀(210)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 수단(300)은 상기 제1, 2 관통홀(110, 210)을 직진 통과한 후에 하강하여 상기 타공판(100)에 걸리도록 구성된 걸림부(310), 상기 피고정물(200)을 상기 타공판(100)으로 가압하여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320), 및 상기 걸림부(310)와 상기 고정부(320) 사이를 연결하여 상호 구속되도록 하는 이음부(330)를 포함하고,
상기 걸림부(310)는 상기 제1 관통홀(110) 및 상기 제2 관통홀(210)의 구경보다 작은 지름을 갖는 원통 형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고정부(320)는 상기 피고정물(200)이 중력에 의하여 완전히 하강하여 상기 이음부(330)가 상기 피고정물(200)에 형성된 제2 관통홀(210)의 상단에 접촉할 때에 상기 제2 관통홀(210)의 상단 가장자리를 넘어서는 밀착 영역(A)에 밀착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이음부(330)는 상기 걸림부(310)와 동축을 갖는 원통 형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타공판(100)과 상기 피고정물(200)을 합한 두께의 1.01 내지 1.2배의 길이이고, 상기 걸림부(310)의 지름의 0.3 내지 0.7배이고,
상기 이음부(330)와 상기 걸림부(310)의 연결부위에서 상기 이음부(330)의 외주와 상기 걸림부(310)의 외주 사이의 폭은 2mm 내지 10mm이고,
상기 고정 수단(300)이 상기 피고정물(200)을 상기 타공판(100)에 거치한 상태에서 상기 피고정물(200)의 경사각은 2° 내지 1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 거치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to-be-fixed object 200 is at least one or more of the second through-holes 210 as a storage stand for storing or mounting an object,
The fixing means 300 descends after passing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through-holes 110 and 210, and then descends and engages the perforated plate 100 and the fixed object 200 to the perforated plate 200 It includes a fixing portion 320 for fixing by pressing with (100), and the joint portion 330 to connect between the locking portion 310 and the fixing portion 320 to be mutually constrained,
The engaging portion 310 is composed of a cylindrical shape having a diameter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first through-hole 110 and the second through-hole 210,
The fixing part 320 is when the object to be fixed 200 is completely lowered by gravity so that the joint 330 contacts the upper end of the second through hole 210 formed in the object to be fixed 200. 2 is formed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contact area (A) beyond the upper edge of the through-hole 210,
The joint part 330 is formed of a cylindrical shape having a coaxial shape with the locking part 310, and is a length of 1.01 to 1.2 times the thickness of the perforated plate 100 and the fixed object 200 combined, and the locking part 0.3 to 0.7 times the diameter of 310,
The width between the outer periphery of the fitting portion 330 and the outer periphery of the engaging portion 310 at the connection portion between the joint portion 330 and the engaging portion 310 is 2 mm to 10 mm,
Wall mount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fixing means 300 is the inclined angle of the object to be fixed 200 while the object to be fixed 200 is mounted on the perforated plate 100.
상기 고정부(320)는 상기 걸림부(310)와 상기 이음부(330)와 동축을 갖는 원통 형상으로서, 상기 걸림부(310) 및 상기 이음부(330)와 단일 소재의 금속을 회전 절삭 가공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 거치장치.According to claim 2,
The fixing part 320 is a cylindrical shape having a coaxial shape with the locking part 310 and the fitting part 330, and the cutting part 310 and the fitting part 330 and a metal of a single material are rotated and cut. Wall mount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b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117596 | 2018-10-02 | ||
KR20180117596 | 2018-10-02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38158A true KR20200038158A (en) | 2020-04-10 |
KR102177396B1 KR102177396B1 (en) | 2020-11-11 |
Family
ID=702921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147980A Active KR102177396B1 (en) | 2018-10-02 | 2018-11-27 | Wall Shelf Fixing Apparatus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177396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5532333A (en) * | 2022-09-19 | 2022-12-30 | 四川省天晟源环保股份有限公司 | Absorption bottle drying support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421177B1 (en) | 2021-06-30 | 2022-07-14 | 주원준 | Assembly-type plants cultivation apparatus |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7222657A (en) * | 1994-02-10 | 1995-08-22 | Kanebo Ltd | Merchandise display structure |
KR19980062104U (en) * | 1997-03-31 | 1998-11-16 | 박승부 | Hanger |
KR19990018784U (en) * | 1997-11-14 | 1999-06-05 | 박승부 | Hanger |
KR20050021636A (en) * | 2003-08-25 | 2005-03-07 | 양경철 | Display stand |
US20090249592A1 (en) * | 2008-04-07 | 2009-10-08 | Ironsides Storage Solutions, Llc | Fastener and storage systems |
KR101826610B1 (en) | 2016-05-04 | 2018-02-08 | 주식회사 디자인원 | wall type storage device |
-
2018
- 2018-11-27 KR KR1020180147980A patent/KR102177396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7222657A (en) * | 1994-02-10 | 1995-08-22 | Kanebo Ltd | Merchandise display structure |
KR19980062104U (en) * | 1997-03-31 | 1998-11-16 | 박승부 | Hanger |
KR19990018784U (en) * | 1997-11-14 | 1999-06-05 | 박승부 | Hanger |
KR20050021636A (en) * | 2003-08-25 | 2005-03-07 | 양경철 | Display stand |
US20090249592A1 (en) * | 2008-04-07 | 2009-10-08 | Ironsides Storage Solutions, Llc | Fastener and storage systems |
KR101826610B1 (en) | 2016-05-04 | 2018-02-08 | 주식회사 디자인원 | wall type storage device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5532333A (en) * | 2022-09-19 | 2022-12-30 | 四川省天晟源环保股份有限公司 | Absorption bottle drying support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177396B1 (en) | 2020-11-1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D900073S1 (en) | Housing for a ceiling array microphone | |
USD813241S1 (en) | Mount for electronic device | |
US9801477B2 (en) | Picture hanging bracket and method of installation | |
US20070056921A1 (en) | Adjustable wall rack | |
KR20200038158A (en) | Wall Shelf Fixing Apparatus | |
EP2915461A1 (en) | Wall hanger | |
JP2017519647A (en) | Magazine that stores shaft-shaped workpieces for machine tools | |
EP3253187B1 (en) | Electronic device housing and disassembly fixture thereof | |
US11225203B2 (en) | Holder for vehicle | |
CN203913910U (en) | Table device | |
JP6530730B2 (en) | Hanger system for suspended ceiling | |
JP2007202631A (en) | Fastener of box-shaped body | |
KR101549520B1 (en) | Shelf supporting unit | |
JP2007024127A (en) | Claw-shaped fixing member | |
KR101883990B1 (en) | Plate support fixture for furniture | |
KR200468390Y1 (en) | Rotary device for a cutting tool assembling and disassembling apparatus | |
CN211117017U (en) | Anti-drop plastic rivet | |
JP5785292B1 (en) | Receiving roller for slitter, ring-shaped lower blade provided on receiving roller for slitter | |
KR102368896B1 (en) | Feeding clamp | |
CN204319443U (en) | A kind of fast assembling disassembling structure | |
KR200491561Y1 (en) | Device for installation of fire alert | |
KR200481868Y1 (en) | Fixing Bracket of Built-in Gas Stove at Sink | |
CN204141162U (en) | Fixed mechanism and use the The Cloud Terrace of this fixed mechanism | |
KR200468391Y1 (en) | Clamping device for a cutting tool assembling and disassembling apparatus | |
KR20140025072A (en) | Objects fastening apparatu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1127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041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01026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110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0110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120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81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