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200024850A - 인이어 수신기 - Google Patents

인이어 수신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24850A
KR20200024850A KR1020207002260A KR20207002260A KR20200024850A KR 20200024850 A KR20200024850 A KR 20200024850A KR 1020207002260 A KR1020207002260 A KR 1020207002260A KR 20207002260 A KR20207002260 A KR 20207002260A KR 20200024850 A KR20200024850 A KR 202000248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ar
housing
receiver
ear canal
acoustic transduc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bandoned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022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드레아 루스코니 클레리치 벨트라미
페루치오 보토니
Original Assignee
유사운드 게엠바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62636198&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200024850(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유사운드 게엠바하 filed Critical 유사운드 게엠바하
Publication of KR202000248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4850A/ko
Abandon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16Earpieces of the intra-aural typ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58Manufacture or assemb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20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 H04R1/22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characteristic only 
    • H04R1/28Transducer mountings or enclosures modified by provision of mechanical or acoustic impedances, e.g. resonator, damping means
    • H04R1/2807Enclosures comprising vibrating or resonat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20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 H04R1/22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characteristic only 
    • H04R1/28Transducer mountings or enclosures modified by provision of mechanical or acoustic impedances, e.g. resonator, damping means
    • H04R1/2807Enclosures comprising vibrating or resonating arrangements
    • H04R1/2811Enclosures comprising vibrating or resonating arrangements for loudspeaker transduc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20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 H04R1/22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characteristic only 
    • H04R1/28Transducer mountings or enclosures modified by provision of mechanical or acoustic impedances, e.g. resonator, damping means
    • H04R1/2869Reduction of undesired resonances, i.e. standing waves within enclosure, or of undesired vibrations, i.e. of the enclosure itsel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20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 H04R1/22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characteristic only 
    • H04R1/28Transducer mountings or enclosures modified by provision of mechanical or acoustic impedances, e.g. resonator, damping means
    • H04R1/2869Reduction of undesired resonances, i.e. standing waves within enclosure, or of undesired vibrations, i.e. of the enclosure itself
    • H04R1/2876Reduction of undesired resonances, i.e. standing waves within enclosure, or of undesired vibrations, i.e. of the enclosure itself by means of damping material, e.g. as clad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1/00Transducers of moving-armature or moving-core type
    • H04R11/14Resonant transducers, i.e. adapted to produce maximum output at a predetermined frequenc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5/00Magnetostrictive transducers
    • H04R15/02Resonant transducers, i.e. adapted to produce maximum output at a predetermined frequenc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7/00Piezoelectric transducers; Electrostrictive transducers
    • H04R17/10Resonant transducers, i.e. adapted to produce maximum output at a predetermined frequenc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5/00Deaf-aid sets, i.e. electro-acoustic or electro-mechanical hearing aids; Electric tinnitus maskers providing an auditory perception
    • H04R25/65Housing parts, e.g. shells, tips or moulds, or their manufacture
    • H04R25/652Ear tips; Ear moul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5/00Deaf-aid sets, i.e. electro-acoustic or electro-mechanical hearing aids; Electric tinnitus maskers providing an auditory perception
    • H04R25/65Housing parts, e.g. shells, tips or moulds, or their manufacture
    • H04R25/652Ear tips; Ear moulds
    • H04R25/656Non-customized, universal ear tips, i.e. ear tips which are not specifically adapted to the size or shape of the ear or ear ca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5/00Deaf-aid sets, i.e. electro-acoustic or electro-mechanical hearing aids; Electric tinnitus maskers providing an auditory perception
    • H04R25/65Housing parts, e.g. shells, tips or moulds, or their manufacture
    • H04R25/658Manufacture of housing par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9/00Transducers of moving-coil, moving-strip, or moving-wire type
    • H04R9/18Resonant transducers, i.e. adapted to produce maximum output at a predetermined frequenc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58Manufacture or assembly
    • H04R1/1075Mountings of transducers in earphones or head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9/00Electrostatic transducers
    • H04R19/005Electrostatic transducers using semiconductor materi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9/00Electrostatic transducers
    • H04R19/02Loudspeak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20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covered by H04R1/0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01/003Mems transducers or their us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20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covered by H04R1/0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01/02Details casings, cabinets or mounting therein for transducers covered by H04R1/02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01/029Manufacturing aspects of enclosures transduc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20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covered by H04R1/0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01/10Details of 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earphones or monophonic headphones covered by H04R1/1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01/105Manufacture of mono- or stereophonic headphone compon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225/00Details of deaf aids covered by H04R25/00,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25/77Design aspects, e.g. CAD, of hearing aid tips, moulds or housing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20/00Details of connection covered by H04R,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R2420/07Applications of wireless loudspeakers or wireless micro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40/00Bending wave transducers covered by H04R,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R2440/03Resonant bending wave transducer used as a microphon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40/00Bending wave transducers covered by H04R,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R2440/05Aspects relating to the positioning and way or means of mounting of exciters to resonant bending wave pane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40/00Bending wave transducers covered by H04R,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R2440/07Loudspeakers using bending wave resonance and pistonic motion to generate soun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5/00Deaf-aid sets, i.e. electro-acoustic or electro-mechanical hearing aids; Electric tinnitus maskers providing an auditory perception
    • H04R25/55Deaf-aid sets, i.e. electro-acoustic or electro-mechanical hearing aids; Electric tinnitus maskers providing an auditory perception using an external connection, either wireless or wired
    • H04R25/554Deaf-aid sets, i.e. electro-acoustic or electro-mechanical hearing aids; Electric tinnitus maskers providing an auditory perception using an external connection, either wireless or wired using a wireless connection, e.g. between microphone and amplifier or using Tco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5/00Deaf-aid sets, i.e. electro-acoustic or electro-mechanical hearing aids; Electric tinnitus maskers providing an auditory perception
    • H04R25/60Mounting or interconnection of hearing aid parts, e.g. inside tips, housings or to ossicles
    • H04R25/604Mounting or interconnection of hearing aid parts, e.g. inside tips, housings or to ossicles of acoustic or vibrational transduc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eurosurgery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Headphones And Earpho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체적으로는 헤드셋 및/또는 보청기와 같은 인이어 수신기(in-ear receiver)(1)로서, 인이어 수신기가 의도한 대로 사용될 때 착용자의 이도(ear canal)(10) 내에 삽입되는 적어도 하나의 이도 섹션(3)과, 적어도 하나의 섹션에서 이도(10)에 맞춰지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윤곽(4)을 포함하는 하우징(2), 하우징(2)에 배치되는 음향 트랜스듀서(5), 및 하우징(2)에 형성되며 음향 트랜스듀서(5)에 의해 전방 볼륨(7)과 후방 볼륨(8)으로 나뉘는 적어도 하나의 공진 공동(6)을 포함하는 인이어 수신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라, 음향 트랜스듀서(5)는 MEMS 음향 트랜스듀서이며, 전방 볼륨(7) 및/또는 후방 볼륨(8)은 이도(10)에 맞춰지는 내부 윤곽(9)을 갖는다.

Description

인이어 수신기
본 발명은, 구체적으로는 헤드셋 및/또는 보청기와 같은 인이어 수신기(in-ear receiver)로서, 인이어 수신기가 의도한 대로 사용될 때 착용자의 이도(ear canal) 내에 삽입되는 적어도 하나의 이도 섹션과, 적어도 하나의 섹션에서 이도에 맞춰지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윤곽을 포함하는 하우징, 하우징에 배치되는 음향 트랜스듀서, 및 하우징에 형성되며 음향 트랜스듀서에 의해 전방 볼륨과 후방 볼륨으로 나뉘는 적어도 하나의 공진 공동을 포함하는 인이어 수신기에 관한 것이다.
미국 출원 제 US2016/0066081A1호는, 공진 공동이 형성되는 하우징을 포함하는 이어 수신기를 기재한다. 이어 수신기의 음향 트랜스듀서는 공진 공동을 전방 볼륨과 후방 볼륨으로 세분한다. 이어 수신기는, 이어 수신기가 의도한 대로 사용될 때 착용자의 이도 내에 삽입되는 이도 섹션을 또한 포함한다. 이 이어 수신기의 단점은, 음향 트랜스듀서의 형상으로 인해, 공진 공동의 기하학적 모양이 미리 규정되어 있으며 매우 제한된 방식으로만 변화할 수 있다는 점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그러므로 관련된 기술의 단점을 제거하는데 이용되는 인이어 수신기를 만드는 것이다.
이 목적은 독립항 1의 특성을 갖는 인이어 수신기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은 하우징을 포함하는 인이어 수신기를 기재한다. 인이어 수신기는 음악이나 음성을 들을 수 있기 위해 예컨대 스마트폰과 같은 통신 디바이스 또는 음악 재생기에 결합될 수 있는 예컨대 헤드셋일 수 있다. 추가로 또는 대안적으로, 인이어 수신기는 또한, 청각 장애인의 경우 톤(tone)과 음향을 증폭하기 위해, 보청기일 수 있다.
하우징은, 인이어 수신기가 의도한 대로 사용될 때 착용자의 이도 내에 삽입되는 이도 섹션을 포함한다. 이도 섹션이 이도에 배치된다는 점으로 인해, 톤, 음악 또는 음성은 귀에 바로 전달될 수 있다. 이런 식으로, 한편으론, 인이어 수신기의 성능이 감소될 수 있으며, 이는 톤, 음악 또는 음성이 귀에 바로 전달되기 때문이다. 다른 한편으론, 톤, 음악 또는 음성이 더 적게 외부로 빠져나가며, 그에 따라 다른 사람에 대한 방해가 감소한다.
더 나아가, 하우징은 적어도 하나의 섹션에서 이도에 맞춰지는 외부 윤곽을 갖는다. 결국, 인이어 수신기의 착용 편의성이 개선된다. 더 나아가, 결국, 이도의 전체 이용 가능한 내부 볼륨이 하우징을 설계하는데 활용될 수 있다. 외부 윤곽은 바람직하게는 자유-형태의 기하학적 모양 및/또는 유기적인 이도 형상을 갖는다. 자유-형태의 기하학적 모양은 바람직하게는 특정 사용자의 특히 외부 이도의 개별 형상에 대응한다. 이점은 바람직하게는 3D 인쇄 공정을 이용하여 측정되며 및/또는 제조된다.
게다가, 인이어 수신기는 하우징에 배치되는 음향 트랜스듀서를 포함한다. 음향 트랜스듀서는 스피커로서 동작할 수 있어서, 톤, 음악 또는 음성이 이 스피커를 이용하여 출력될 수 있다.
게다가, 공진 공동이 하우징에 형성되며, 음향 트랜스듀서에 의해 전방 볼륨과 후방 볼륨을 나뉜다. 공진 공동을 이용하여, 음향 트랜스듀서에 의해 생성되는 음파는 그 스펙트럼에 관하여 증폭되며 및/또는 변경될 수 있다.
음향 트랜스듀서는 MEMS 음향 트랜스듀서이다. 약어, MEMS는 Micro-ElectroMechanical Systems를 상징한다. MEMS 음향 트랜스듀서는, 예컨대 전기역학 음향 트랜스듀서 또는 밸런스드-아머추어(balanced-armature) 음향 트랜스듀서 보다 더 복잡한 형상으로 설계될 수 있으며, 따라서 MEMS 음향 트랜스듀서에 의한 공진 공동 또는 전방 및/또는 후방 볼륨의 형상에는 거의 제한이 이뤄지지 않는다. 결국, 전방 볼륨 및/또는 후방 볼륨의 형상은, 최적 공진 효과, 즉 증폭 및 주파수 변경이 달성될 수 있도록 되어 있을 수 있다.
게다가, 적어도 전방 볼륨은 이도에 맞춰지는 내부 윤곽 및/또는 대응하는 외부 윤곽을 갖는다. 추가로 또는 대안적으로, 후방 볼륨은 이도에 맞춰지는 내부 윤곽 및/또는 대응하는 외부 윤곽을 갖는다. 맞춰진 내부 윤곽으로 인해, 각 볼륨에서의 공진 공동은, 음향 트랜스듀서에 의해 생성되는 음파를 가능한 잘 증폭하기 위해 가능한 한 크게 되도록 설계된다. 전방 볼륨은 부분적으로, 특히 일 또는 다수 섹션에서 또는 완전히, 즉 특히 그 전체 길이를 따라 이도의 내부 윤곽에 맞춰질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로, 후방 볼륨은 부분적으로, 특히 일 또는 다수 섹션에서 또는 완전히, 즉 특히 그 전체 길이를 따라 이도의 내부 윤곽에 맞춰질 수 있다. 전방 볼륨의 내부 윤곽 및/또는 후방 볼륨의 내부 윤곽은 바람직하게는 자유-형태의 기하학적 모양을 갖는다. 하우징의 외부 윤곽이, 전방 볼륨 및/또는 후방 볼륨의 영역에서, 내부 윤곽에 대응하는 자유-형태의 기하학적 모양을 갖는 경우가 또한 유리하다.
본 발명의 유리하게 향상된 실시예에서, 단지 전방 볼륨의 내부 윤곽과 그에 대응하는 외부 윤곽은 이도에 맞춰진 형상, 특히 자유-형태의 기하학적 모양을 가질 수 있다. 인이어 수신기가 의도한 대로 사용될 때, 하우징의 후방 볼륨과 그에 대응하는 외부 윤곽은 이도의 형상에 맞춰지지 않고 및/또는 이도 외부, 특히 귓바퀴의 영역에 배치되지 않는다.
하우징은, 적어도 전방 볼륨의 영역에서, 체온의 존재 시에 변형될 수 있는 소재로 만들어져, 하우징이, 이도 내에 삽입된 후, 시간 윈도우 내에서, 이도의 유기적인 자유-형태의 기하학적 모양에 자동으로 맞춰지는 경우가 유리하다.
전방 및/또는 후방 볼륨을 이도에 맞춤으로 인해, 전방 및/또는 후방 볼륨은 이도의 공진 속성과 유사한 공진 속성을 갖는다. 이런 식으로, 음향 트랜스듀서와 공진 공동을 이용하여, 자연스러운 음향 패턴(즉, 귀에 인이어 수신기가 없었던 것처럼)이 생성될 수 있다. 특히 3D 오디오 응용의 경우, 간략화된 외이(outer ear) 송신 기능, 특히 귓바퀴 형상만을 고려하며 이도 형상을 고려하지 않는 기능이 그에 따라 활용될 수 있으며, 이는 이도의 실제 형상은 전방 볼륨 및/또는 후방 볼륨의 내부 윤곽에 의해 본질적으로 재현되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유리한 개선된 실시예에서, 내부 윤곽은 본질적으로 외부 윤곽의 부형상(negative shape)이다. 이것이 의미하는 점은, 예컨대 오목 형상을 갖는 외부 윤곽의 영역의 경우에, 내부 윤곽의 관련 영역은 볼록하게 되도록 설계된다는 점이다. 볼록 형상을 갖는 외부 윤곽의 영역은 그러나 오목하도록 설계된 내부 윤곽의 대응하는 영역을 갖는다. 결국, 내부 윤곽은 이도에 용이하게 맞춰질 수 있다.
하우징이 3D 인쇄 공정으로 제조될 경우 또한 유리하다. 하우징은 3D 인쇄 공정을 이용하여 신속하게 형성될 수 있다. 게다가, 하우징은 여러 착용자의 이도의 여러 형상에 맞춰질 수 있다. 추가로 또는 대안적으로, 하우징은 또한 사출성형 공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사출성형 공정을 이용하여 많은 양이 비용-효과적으로 제조될 수 있다.
추가로 또는 대안적으로, 예컨대 이도 섹션은 3D 인쇄 공정을 이용하여 또한 제조될 수 있으며, 이는 하우징의 이 부분만이 이도에 배치되기 때문이다. 이도 외부에 배치되는 하우징의 부분은 사출성형 공정을 이용하여 형성될 수 도 있다. 결국, 이도 섹션은 착용자의 이도의 해부학적 모양에 맞춰질 수 있는 반면, 하우징의 나머지 부분은 저가로 형성될 수 있다.
게다가, 하우징이 단단하게 설계될 경우가 유리하다. 이도 섹션만이 단단하게 설계되는 것도 가능하다. 단단한 하우징은 그러므로 그 형상을 유지하며, 따라서 이도에 맞춰진 외부 윤곽은 유지된다.
이를 위해, 하우징 및/또는 이도 섹션은 예컨대 열가소성 및/또는 열경화성 플라스틱과 같은 플라스틱으로 만들 수 있다. 추가로 또는 대안적으로, 하우징 및/또는 이도 섹션은 또한 탄성중합체로 만들 수 있다.
전방 볼륨의 경계를 정하는 하우징 벽이 균일한 두께를 갖는 경우가 유리하다. 추가로 또는 대안적으로, 후방 벽의 경계를 정하는 하우징 벽도 균일한 두께를 가질 수 있다. 결국, 전방 및/또는 후방 볼륨은, 각각의 공진 공동의 증폭 효과를 개선하기 위해, 가능한 크게 되도록, 용이하게 설계될 수 있다.
게다가, 전방 볼륨이 이도 섹션에 배치되는 경우가 유리하다. 추가로 또는 대안적으로, 후방 볼륨도 이도 섹션에 배치될 수 있다. 게다가, 추가로 또는 대안적으로, MEMS 음향 트랜스듀서는 이도 섹션에 또한 배치될 수 있다. 결국, 톤, 음악 및/또는 음성은 이도에서 바로 생성될 수 있으며, 따라서, 예컨대, 주위의 사람들에 대한 잡음 방해가 또한 감소한다.
MEMS 음향 트랜스듀서가 하우징의 종방향에 수직으로 배치될 경우가 또한 유리하다. 결국, 음향 트랜스듀서에 의해 생성되는 음파는 전방 볼륨 및/또는 후방 볼륨 내로 바로 방사될 수 있다.
하우징 벽이 전방 볼륨에서, 적어도 일부 영역에서 두꺼운 부분 및/또는 얇은 부분을 갖는 경우 또한 유리하다. 추가로 또는 대안적으로, 하우징 벽은 후방 볼륨에서, 적어도 일부 영역에서 두꺼운 부분 및/또는 얇은 부분을 또한 가질 수 있다. 결국, 공진 공동은 전방 볼륨 및/또는 후방 볼륨에서 적어도 일부 영역에서 확대 및/또는 감소할 수 있다. 결국, 전방 및/또는 후방 볼륨의 공진 속성은 조정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공진 요소가 하우징에 배치되는 경우 또한 유리하다. 공진 공동의 공진 속성은 공진 요소를 이용하여 또한 조정될 수 있다. 공진 요소는 예컨대 이를 위해 전방 볼륨에 배치될 수 있다. 추가로 또는 대안적으로, 공진 요소는 또한 후방 볼륨에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도, 공진 요소와 하우징은, 서로 상이한 소재로 만든다. 바람직하게도, 공진 요소는 다공성 소재로 만든다. 결국, 표면은 확대될 수 있다.
게다가, MEMS 음향 트랜스듀서의 에지 구역이 하우징 벽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세팅되는 경우가 유리하다. 결국, MEMS 음향 트랜스듀서는 고정되게 하우징에 연결된다.
이도 섹션은 이도에 배치되는 제1 단부의 영역에서 음향 출구를 포함하는 경우가 유리하다. 인이어 수신기가 의도한 대로 사용될 때 음향 출구는 착용자의 고막에 면한다. 결국, 음향 트랜스듀서에 의해 생성되는 음파는 고막에 바로 전달될 수 있다.
인이어 수신기는 제1 단부 반대편에 위치하는 제2 단부의 영역에 인이어 수신기를 동작하기 위한 동작 수단을 포함할 경우가 유리하다. 동작 수단은 예컨대 인이어 수신기의 에너지 공급을 위한 에너지 유닛, 톤 및/또는 음악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 유닛, 톤 및/또는 음악을 재생하기 위한 제어 유닛 및/또는 외부 유닛과 인이어 수신기 사이에서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데이터 송신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 송신 유닛은 예컨대 블루투스 인터페이스 및/또는 W-LAN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인이어 수신기 상의 동작 수단으로 인해, 인이어 수신기는 자체적으로 충분하게 동작할 수 있다.
인이어 수신기의 동작 수단을 위한 인터페이스가 제2 단부의 영역에 배치될 경우가 유리하다. 인터페이스는 예컨대 잭 소켓, W-LAN 인터페이스 및/또는 블루투스 인터페이스일 수 있다.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인이어 수신기를 위한 동작 수단은 예컨대 귀 뒤에, 특히 귓바퀴(auricle)에 착용할 수 있는 유닛에 배치될 수 있다. 음악, 톤 및/또는 음성을 포함하는 오디오 신호 및/또는 인이어 수신기를 동작하기 위한 에너지가 인터페이스를 통해 음향 트랜스듀서에 전달될 수 있다. 게다가, 스마트폰으로의 연결은 또한 이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구축될 수 있어서, 음악 등은 스마트폰으로부터 재생할 수 있다. 결국, 인이어 수신기는 더욱 콤팩트하게 설계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 동작 수단 및/또는 MEMS 음향 트랜스듀서 사이를 연장하는 오디오 선이 하우징 벽에 내장되는 경우가 또한 유리하다. 오디오 선은 하우징에 또한 내장될 수 있다. 유리하게도, 오디오 선은 사출성형 공정 및/또는 3D 인쇄 공정의 범위 내에서 덧인쇄될 수 있다. 결국, 오디오 선은, 공진 공동 - 이 경우 공진 속성에 악영향을 미칠 것임 - 에나 하우징 외부 - 이 경우 착용 편의성을 악화시킬 것임 - 중 어디에도 배치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추가 장점은 다음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기재될 것이다.
도 1은, 하우징 및 그 내부에 배치되는 음향 트랜스듀서를 포함하는 인이어 수신기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2는, 이도 섹션이 착용자의 이도에 배치되는 도 1에 따른 인이어 수신기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3은, 공진 공동에 배치되는 하우징 벽의 두꺼운 부분을 포함하는 인이어 수신기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4는, 공진 공동에 배치되는 공진 요소를 포함하는 인이어 수신기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5는, 인이어 수신기의 제2 단부의 영역에 음향 트랜스듀서를 포함하는 인이어 수신기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1은 하우징(2)을 포함하는 인이어 수신기(1)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이도에 배치되는 인이어 수신기(1)가 도 2에 도시된다. 인이어 수신기(1)의 핵심 특성부는 도 1 및 도 2 둘 모두에서 동일하며, 따라서 특성부 및 그 기능을 기재하기 위해 도 1 및 도 2 모두에서 참조한다.
인이어 수신기(1)는 예컨대 보청용으로 활용되는 보청기일 수 있다. 인이어 수신기(1)는 또한 그러나 헤드셋일 수 있어서, 예컨대 이것을 이용하여 음악을 들을 수 있다. 그러나 인이어 수신기(1)는 또한, 예컨대 전화 통화 동안 음성을 귀에 바로 전달하기 위해 통신에 활용될 수 있다.
하우징(2)은, 인이어 수신기(1)가 의도한 대로 사용될 때 착용자의 이도(10) 내에 삽입되는 적어도 하나의 이도 섹션(3)을 포함한다. 게다가, 하우징은 높은 착용 편의성을 위해 이도(10)에 맞춰지는 외부 윤곽(4)을 갖는다.
인이어 수신기(1)는 음파를 생성하기 위해 하우징(2)에 음향 트랜스듀서(5)를 포함한다. 예컨대, 톤, 음악 및/또는 음성이 음향 트랜스듀서(5)를 이용하여 생성될 수 있다.
게다가, 공진 공동(6)이 하우징(2)에 배치된다. 게다가, 음향 트랜스듀서(5)는 공진 공동(6)을 전방 볼륨(7)과 후방 볼륨(8)으로 나눈다. 음향 트랜스듀서(5)에 의해 생성된 음파는 공진 공동(6)을 이용하여 증폭될 수 있다. 추가로 또는 대안적으로, 음파는 또한 공진 공동(6)을 이용하여 변경될 수 있다. 증폭 및/또는 변경은 공진 공동(6)의 형상 및/또는 기하학적 모양에 의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음향 트랜스듀서(5)는 MEMS 음향 트랜스듀서이다. MEMS 음향 트랜스듀서는 장점, 즉 간단하게 설계된다는 장점을 갖는다. 게다가, MEMS 음향 트랜스듀서는 특수한 형상 요인, 즉 음향 트랜스듀서(5)의 형상이나 기하학적 모양에 의존하지 않는다. 오히려, MEMS 음향 트랜스듀서는 여러 형상으로 상대적으로 용이하게 설계될 수 있다. 예컨대, MEMS 음향 트랜스듀서는 원형, 계란형, 타원형 및/또는 모난 횡단면을 갖도록 설계될 수 있다. 관련된 기술로부터 알려진 음향 트랜스듀서에 관하여, 사실, 하우징(2) 및 또한 공진 공동(6)은 음향 트랜스듀서(5)의 미리 규정된 형상에 맞춰져야 한다. MEMS 음향 트랜스듀서(5)를 이용하여, 무엇보다도, 공진 공동(6)은, 그 공진 속성이 최적화되도록 조정될 수 있다. 그 후, MEMS 음향 트랜스듀서(5)는 공진 공동(6) 또는 하우징(2)의 기하학적 모양 요건에 따라 설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라, 전방 볼륨(7)은 이도(10)에 맞춰진 내부 윤곽(9)을 갖는다. 추가로 또는 대안적으로, 후방 볼륨(8)의 내부 윤곽(9)은 또한 이도(10)에 맞춰질 수 있다. 결국, 예컨대, 전방 볼륨(7) 및/또는 후방 볼륨(8)의 공진 속성은 이도(10)의 공진 속성에 맞춰진다. 결국, 인이어 수신기(1)가 없을 경우의 이도(10)의 음향 패턴과 본질적으로 유사한 음향 패턴이 전해진다. 톤, 음악 및/또는 음성은, 인이어 수신기(1)가 이도(10)에 배치되지 않았던 것과 같은 방식으로 증폭, 변경 및/또는 중계된다. 이도(10)에 맞춰진 전방 볼륨(7) 및/또는 후방 볼륨(8)의 내부 윤곽(9)은 본질적으로 변화되지 않은 자연 음향을 야기한다.
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하우징(2)은, 도 2에 따라, 인이어 수신기(1)가 의도한 대로 사용될 때 착용자의 고막(13)에 면하는 출구 개구(12)를, 이도(10)에 배치되는 제1 단부(11) 상에서, 더 포함한다. 결국, 출구 개구(12)를 통해 빠져나온 음파는 바로 고막(13)에 도달할 수 있다.
본 예시적인 실시예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향 트랜스듀서(5)는 하우징(2)의 횡단면 및/도는 이도 섹션(3)의 횡단면에 본질적으로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결국, 음향 트랜스듀서(5)는 공진 공동(6)을 전방 볼륨(7)과 후방 볼륨(8)으로 나눈다. 게다가, 결국, 음향 트랜스듀서(5)에 의해 생성된 음파는 출구 개구(12) 방향으로 방사된다.
게다가, 내부 윤곽(9)은 예컨대 본 예시적인 실시예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윤곽(4)의 부형상일 수 있다. 이것이 의미하는 점은, 예컨대 제1 단부(11)의 영역에서처럼 외부 윤곽(4)이 볼록하게 되도록 설계된 영역에서 내부 윤곽(9)이 오목하게 되도록 설계된다는 점이다. 이와 비교하여, 외부 윤곽(4)이 오목하게 되도록 설계될 때, 내부 윤곽(9)의 관련 영역은 볼록하게 되도록 설계된다. 결국, 내부 윤곽(9)은 용이하게 이도(10)에 맞춰질 수 있다.
게다가, 하우징(2)의 하우징 벽(15)이 균일한 두께를 가질 경우가 유리하다. 결국, 내부 윤곽(9)은 또한 용이하게 이도(10)에 맞춰질 수 있다.
본 예시적인 실시예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작 수단(16a 내지 c)이 제1 단부(11) 반대편에 위치한 하우징(2)의 제2 단부(14) 상에 배치된다. 여기 도시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동작 수단(16a 내지 c)은 단지 예를 들어 나타낸다. 인이어 수신기(1)는 또한 3개 보다 많은 동작 수단(16a 내지 c)을 포함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동작 수단(16a 내지 c)은 또한 단일 유닛으로 배치될 수 있다. 동작 수단(16a 내지 c)은 예컨대 인이어 수신기(1)의 에너지 공급을 위한 에너지 저장 유닛, 음악, 톤 및/또는 음향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 유닛, 인이어 수신기(1)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유닛 및/또는 외부 유닛과 인이어 수신기(1) 사이에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데이터 송신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 송신 유닛은 예컨대 블루투스 인터페이스 및/또는 W-LAN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결국, 인이어 수신기(1)는 자체적으로 충분히 동작할 수 있다.
추가로 또는 대안적으로, (여기서 도시되지 않은) 인터페이스가 제2 단부(14)에 또한 배치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는 예컨대 오디오 신호가 인이어 수신기(1)에 전달될 때 이용되는 잭 소켓일 수 있다. 결국, 인이어 수신기(1)는 예컨대 귀 뒤에 착용되는 외부 유닛에 의해 동작될 수 있다. 인이어 수신기(1)는 결국 더욱 컴팩트하게 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스마트폰과 인이어 수신기(1) 사이의 연결은 그러나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구축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는 그러나 또한 블루투스 인터페이스일 수 있다.
제2 단부(14)의 영역에서의 인이어 수신기(1)의 섹션은 제1 단부(11)의 영역에서나 이도 섹션(3)의 영역에서 인이어 수신기(1)의 섹션과 비교하여 확대된 것으로서 설계된다. 특히, 제2 단부(14)의 영역에서의 섹션은 귓바퀴의 내부 윤곽에 맞춰져, 인이어 수신기(1)는 편안하게 착용될 수 있다. 제2 섹션(14)의 영역에서의 인이어 수신기(1)의 확대된 또는 두꺼운 부분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이도 입구(19)를 덮을 수 있다. 결국, 귀의 외부로부터의 방해 잡음의 침입은 감소할 수 있다. 추가로 또는 대안적으로, 음향 트랜스듀서(5)에 의해 생성되는 음파는 이도(10)로 제한될 수 있다. 결국, 더 적은 음파가 외부로 빠져나가서, 주변의 방해가 감소할 수 있다.
하우징(2)이 3D 인쇄 공정으로 제조될 경우 본 발명에서 유리하다. 추가로 또는 대안적으로, 하우징(2)은 또한 사출성형 공정으로 제조될 수 있다. 3D 인쇄 공정은 특히 하우징(2)이 3D 인쇄 공정을 이용하여 신속하게 제조될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 게다가, 특히, 이도 섹션(3)은 3D 인쇄 공정을 이용하여 여러 착용자의 이도(10)에 개별적으로 맞춰질 수 있다. 게다가, 전방 볼륨(7) 및/또는 후방 볼륨(8)은 3D 인쇄 공정을 이용하여 특수한 공진 속성에 맞춰질 수 있다.
대조적으로, 하우징(2)은 사출성형 공정을 이용하여 저가로 대량으로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예컨대 이도 섹션(3)이 3D 인쇄 공정을 이용하여 제조되며, 하우징(2)의 나머지, 특히 동작 수단(16a 내지 c) 및/또는 인터페이스가 배치되는 제2 단부(14) 상의 영역이 사출성형 공정을 이용하여 제조되는 경우가 유리하다. 결국, 이도 섹션(3)은 모든 착용자의 개별 이도(10)에 맞춰질 수 있는 반면, 하우징(2)의 나머지는 저가로 제조된다.
도 3은, 공진 공동(6)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두꺼운 부분(17a, 17b)을 포함하는 인이어 수신기(1)의 대안적인 예시적인 실시예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2개의 두꺼운 부분(17a, 17b)이 이 예시적인 실시예에 배치된다. 또한, 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두꺼운 부분(17a, 17b)은 후방 볼륨(8)에 배치된다. 두꺼운 부분(17a, 17b)은 이들 영역에서 하우징 벽(15)을 두껍게 한다. 추가로 또는 대안적으로, 두꺼운 부분(17a, 17b)은 또한 전방 볼륨(7)에 배치될 수 있다. 게다가, 추가로 또는 대안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얇은 부분이 공진 공동(6), 특히 전방 볼륨(7) 및/또는 후방 볼륨(8)에 배치될 수 있다. 얇은 부분은, 이 얇은 부분이 형성되는 영역에서 하우징 벽(15)을 얇게 한다.
공진 공동(6) 및 특히 전방 볼륨(7) 및/또는 후방 볼륨(8)의 공진 속성은 두꺼운 부분(17a, 17b) 및/또는 얇은 부분(미도시됨)을 이용하여 조정될 수 있다.
도 4는 인이어 수신기(1)의 추가로 대안적인 예시적인 실시예를 도시한다. 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공진 요소(18)가 공진 공동(6)에 배치된다. 공진 요소(18)는 이 경우 후방 볼륨(8)에 배치된다. 추가로 또는 대안적으로, 공진 공동(18)은 전방 볼륨(7)에 또한 배치될 수 있다. 공진 공동(6), 특히 전방 볼륨(7) 및/또는 후방 볼륨(8)의 공진 속성은 또한 공진 요소(18)를 이용하여 조정될 수 있다.
도 5는 인이어 수신기(1)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단면도를 도시하며, 음향 트랜스듀서(5)는 제2 단부(14)의 영역에 배치된다. 음향 트랜스듀서(5)는, 음향 출구(12) 또는 제1 단부(11) 반대편에 위치하는 이도 섹션(3)의 단부 상에 배치된다. 이도 섹션(3)은 그러므로 음향 트랜스듀서(5)에서 시작하여 음향 출구(12) 또는 제1 단부(11)까지 연장한다. 이도 섹션(3)은 음향 트랜스듀서(5)와 제1 단부(11) 또는 음향 출구(12) 사이에서 연장한다. 인이어 수신기(1)가 의도한 대로 사용될 때, 음향 트랜스듀서(5)는 이도 입구(19) 및/또는 귓바퀴의 영역에 배치된다. 인이어 수신기(1)의 섹션이 제2 단부(14)의 영역에서 확대되므로, 음향 트랜스듀서(5)는 더 커지도록 설계될 수 있으며, 이점은 인이어 수신기(1)의 제조의 장점을 제공한다. 본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음향 트랜스듀서(5)는 공진 공동(6)을 후방 볼륨(8)과 전방 볼륨(7)으로 나눈다. 제2 단부(14)의 영역에서 인이어 수신기(1)의 확대된 섹션으로 인해, 후방 볼륨 및/또는 전방 볼륨(7)의 스피커 측 단부 섹션도 확대된다. 결국, 우수한 음향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추가로 또는 대안적으로, 공진 요소(18)(미도시)가 후방 볼륨(8) 및/또는 전방 볼륨(7)에 배치될 수 있다.
도 5에 따라, 이도 섹션(3)의 영역에서만 연장하는 하우징 벽(15)이 제2 단부(14)의 영역에서 인이어 수신기(1)의 섹션에서 또한 연장한다. 본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하우징 벽(15)은 또한 후방 볼륨(8)의 영역에서 연장할 수 있다.
도 1, 도 2, 도 3, 도 4 및 도 5에 나타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전방 볼륨(7)의 내부 윤곽(9)은 자유-형태 기하학적 모양 및/또는 이도의 내부 윤곽에 맞춰진 유기적인 이도 기하학적 모양을 갖는다. 도 1, 도 2 및 도 4에 나타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이것은 또한 후방 볼륨(8)의 내부 윤곽(9)에 관련된다. 후방 볼륨의 내부 윤곽(9)은, 적어도 일부 영역에서는, 도 3 및 도 5에 나타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만 이도의 내부 윤곽이나 하우징의 외부 윤곽에 맞춰지지 않는다. 자유-형태 기하학적 모양은, 모든 경우에 외부 이도의 유기적인 형상을 따라 모델링된다.
본 발명은 앞서 기재한 예시적인 실시예로 제한되지 않는다. 청구범위 내의 변경은, 상이한 예시적인 실시예로 나타내며 기재될지라도 특성의 임의의 조합이므로, 가능하다.
1: 인이어 수신기 2: 하우징
3: 이도 섹션 4: 외부 윤곽
5: 음향 트랜스듀서 6: 공진 공동
7: 전방 볼륨 8: 후방 볼륨
9: 내부 윤곽 10: 이도
11: 제1 단부 12: 출구 개구
13: 고막 14: 제2 단부
15: 하우징 벽 16: 동작 수단
17: 두꺼운 부분 18: 공진 요소
19: 이도 입구

Claims (13)

  1. 인이어 수신기(in-ear receiver)(1), 구체적으로는 헤드셋 및/또는 보청기로서,
    상기 인이어 수신기가 의도한 대로 사용될 때 착용자의 이도(ear canal)(10) 내에 삽입되는 적어도 하나의 이도 섹션(3)과, 적어도 하나의 섹션에서 상기 이도(10)에 맞춰지며 그에 따라 자유-형태 기하학적 모양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윤곽(4)을 포함하는 하우징(2),
    상기 하우징(2)에 배치되는 음향 트랜스듀서(5), 및
    상기 하우징(2)에 형성되며 상기 음향 트랜스듀서(5)에 의해 전방 볼륨(7)과 후방 볼륨(8)으로 나뉘는 적어도 하나의 공진 공동(6)을 포함하되,
    상기 음향 트랜스듀서(5)가 MEMS 음향 트랜스듀서이며,
    상기 전방 볼륨(7) 및/또는 상기 후방 볼륨(8)이 상기 이도(10)에 맞춰지는 내부 윤곽(9)을 가지며, 그에 따라 상기 내부 윤곽은 자유-형태의 기하학적 모양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이어 수신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내부 윤곽(9)이 본질적으로 상기 외부 윤곽(4)의 부형상(negative shap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이어 수신기.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2)이 3D 인쇄 공정 및/또는 사출성형 공정으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이어 수신기.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2), 구체적으로는 상기 이도 섹션(3)이 단단하게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이어 수신기.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볼륨(7) 및/또는 상기 후방 볼륨(8)의 경계를 정하는 하우징 벽(15)이 균일한 두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이어 수신기.
  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볼륨(7), 상기 후방 볼륨(8) 및/또는 상기 MEMS 음향 트랜스듀서가 상기 이도 섹션(3)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이어 수신기.
  7.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우징 벽(15)이, 상기 전방 볼륨(7) 및/또는 후방 볼륨(8)에 두꺼운 부분(17a, 17b) 및/또는 얇은 부분을 적어도 일부 영역에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이어 수신기.
  8.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공진 요소(18)가 상기 하우징(2)에 배치되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하우징과 비교하여 상이한 소재로 만들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이어 수신기.
  9.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8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MEMS 음향 트랜스듀서의 에지 영역이 상기 하우징 벽(15)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세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이어 수신기.
  10.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9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도 섹션(3)이 상기 이도(10)에 배치되는 제1 단부(11)의 영역에 음향 출구(1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이어 수신기.
  11.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0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인이어 수신기(1)가, 상기 제1 단부(11) 반대편에 위치지정되는 제2 단부(14)의 영역에 상기 인이어 수신기(1)를 동작하기 위한 동작 수단(16a 내지 16c)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이어 수신기.
  12.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1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인이어 수신기(1)의 동작 수단을 위한 인터페이스가 제2 단부(14)의 영역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이어 수신기.
  13.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2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인터페이스, 동작 수단(16a 내지 16c) 및/또는 MEMS 음향 트랜스듀서 사이에서 연장하는 오디오 선이 하우징 벽(15) 및/또는 상기 하우징(2) 내에 내장되며, 구체적으로는 사출성형 공정의 범위 내에서 사출되며 및/또는 3D 인쇄 공정의 범위 내에서 덧인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이어 수신기.
KR1020207002260A 2017-06-23 2018-06-14 인이어 수신기 Abandoned KR2020002485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7114008.5A DE102017114008A1 (de) 2017-06-23 2017-06-23 In-Ohr Hörer
DE102017114008.5 2017-06-23
PCT/EP2018/065749 WO2018234132A1 (de) 2017-06-23 2018-06-14 In-ohr hör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4850A true KR20200024850A (ko) 2020-03-09

Family

ID=626361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02260A Abandoned KR20200024850A (ko) 2017-06-23 2018-06-14 인이어 수신기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11178497B2 (ko)
EP (1) EP3643077B1 (ko)
KR (1) KR20200024850A (ko)
CN (1) CN110915229B (ko)
AU (1) AU2018286816A1 (ko)
CA (1) CA3067533A1 (ko)
DE (1) DE102017114008A1 (ko)
SG (1) SG11201912477TA (ko)
TW (1) TW201906420A (ko)
WO (1) WO201823413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395058B2 (en) 2018-07-19 2022-07-19 Cochlear Limited Contaminant-proof microphone assembly
EP3739904B1 (de) 2019-05-14 2024-10-16 Fraunhofer-Gesellschaft zur Förderung der angewandten Forschung e.V. Akustisches biegewandlersystem und akustische vorrichtung
TWI803124B (zh) 2021-12-29 2023-05-21 財團法人工業技術研究院 具多重振動部的微機電裝置

Family Cites Families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325590A (en) 1940-05-11 1943-08-03 Sonotone Corp Earphone
US4311206A (en) 1978-05-15 1982-01-19 Johnson Rubein V Hearing aid ear mold with improved discrimination
JPS5781799A (en) * 1980-11-10 1982-05-21 Murata Mfg Co Ltd Piezo-electric speaker
ATA312481A (de) * 1981-07-15 1982-11-15 Viennatone G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ein in-ohr -hoergeraet aufnehmenden ohrmuldenkoerpers
JPS60127092A (ja) 1983-12-12 1985-07-06 Tanaka Kikinzoku Kogyo Kk ろう材
JPS60127092U (ja) * 1984-02-04 1985-08-27 日本圧電気株式会社 イヤホンマイクロホン
US4870688A (en) 1986-05-27 1989-09-26 Barry Voroba Mass production auditory canal hearing aid
EP0451784A3 (en) 1990-04-12 1991-11-13 Beltone Electronics Corporation Modular hearing aid system
DE4233651A1 (de) 1992-10-07 1994-04-14 Wolfgang Dreve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Hörgeräten
SE9402631L (sv) 1994-08-04 1995-07-24 Peter Joakim Lenz Anordning vid hörapparat
KR20050059075A (ko) 2002-08-20 2005-06-17 더 리전트 오브 더 유니버시티 오브 캘리포니아 진동 검출기, 음 검출기, 보청기, 와우각 이식물 및 이와관련된 방법
DK1853091T3 (da) 2005-01-10 2011-10-24 Sonion Nederland Bv Høreapparat med miniaturehøjtaler
EP2432255B1 (en) 2005-01-14 2013-07-31 Phonak AG Hearing instrument
US8594351B2 (en) 2006-06-30 2013-11-26 Bose Corporation Equalized earphones
DE102007037024A1 (de) * 2007-08-06 2009-02-26 Siemens Medical Instruments Pte. Ltd. Hörereinrichtung mit elastisch gelagertem Hörer
EP2335426B1 (en) * 2008-10-10 2017-07-12 Widex A/S Method for manufacturing a hearing aid having a custom fitted resilient component
JP5627679B2 (ja) 2009-06-16 2014-11-19 シーメンス メディカル インストゥルメンツ ピーティーイー リミテッド 補聴器
CN102763431B (zh) 2009-12-24 2015-08-19 诺基亚公司 一种设备
KR101612851B1 (ko) 2010-02-01 2016-04-18 삼성전자주식회사 초소형 보청기
WO2012103935A1 (en) 2011-02-01 2012-08-09 Phonak Ag Hearing device with a receiver modul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a receiver module
EP2699021B1 (en) 2012-08-13 2016-07-06 Starkey Laboratorie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own-voice sensing in a hearing assistance device
DK2723102T3 (da) 2012-10-18 2019-01-02 Sonion Nederland Bv Transducer, høreapparat med transducer og en fremgangsmåde til betjening af transduceren
DK2750413T3 (en) 2012-12-28 2017-05-22 Sonion Nederland Bv Hearing aid
DK3025511T3 (da) 2013-07-22 2020-03-23 Sonova Ag Høreapparat med forbedret lav frekvensrespons samt metoden for fremstillingen af sagte høreapparat
EP2843971B1 (en) 2013-09-02 2018-11-14 Oticon A/s Hearing aid device with in-the-ear-canal microphone
US9686615B2 (en) * 2014-10-24 2017-06-20 Taiyo Yuden Co., Ltd. Electroacoustic converter and electronic device
JP6330649B2 (ja) * 2014-12-19 2018-05-30 株式会社Jvcケンウッド マイク付イヤホン
DE202015100370U1 (de) 2015-01-27 2015-02-18 Audia Akustik Gmbh Ohrhörermodul und Wiedergabevorrichtung
DE102015107560A1 (de) * 2015-05-13 2016-11-17 USound GmbH Schallwandleranordnung mit MEMS-Schallwandler
US10397714B2 (en) 2015-10-01 2019-08-27 Starkey Laboratories, Inc. Hybrid shell for hearing aid
US9654856B1 (en) * 2015-12-29 2017-05-16 Harman International Industries, Inc. Noise-canceling concha headpho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643077B1 (de) 2023-08-16
CN110915229B (zh) 2022-03-11
US20200221238A1 (en) 2020-07-09
DE102017114008A1 (de) 2018-12-27
WO2018234132A1 (de) 2018-12-27
CA3067533A1 (en) 2018-12-27
EP3643077A1 (de) 2020-04-29
TW201906420A (zh) 2019-02-01
SG11201912477TA (en) 2020-01-30
CN110915229A (zh) 2020-03-24
US11178497B2 (en) 2021-11-16
AU2018286816A1 (en) 2020-0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34085B2 (en) Earpieces and related articles and devices
CN107950034B (zh) 入耳式耳机的降噪
CN109937579B (zh) 入耳式有源降噪耳机
TWI530199B (zh) 具有聲學調諧機制之耳機
CN106921924B (zh) 助听器及用于助听器的接收器
US8139806B2 (en) Earphone for placement in an ear
WO2016063462A1 (ja) イヤホン
EP4197198B1 (en) Earpiece porting
JP2009219122A (ja) インイヤーイヤホン
CN113923550A (zh) 用于主动阻塞消除的耳机、听力设备和系统
US11178497B2 (en) In-ear receiver
CN113163297B (zh) 音频装置以及智能头戴设备
CN117581562A (zh) 主动降噪耳塞
JP2504932Y2 (ja) 補聴器
CN213073036U (zh) Tws耳机
CN211089924U (zh) 一种耳机
CN220985818U (zh) 耳机
CN205754759U (zh) 耳机
CN213403438U (zh) 耳机调音的双层音腔结构
CN215818535U (zh) 一种具有前腔调音孔的入耳式降噪耳机
HK40017738A (en) In-ear receiver
CN114584912B (zh) 制造定制无线耳机的前腔导音管的方法
US20240147132A1 (en) Ear bud
KR101775501B1 (ko) 착용시 울림현상이 없는 보청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00122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10524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C1902 Submission of document of abandonment before decis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