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200003413A - 사이드 에어백 장치 - Google Patents

사이드 에어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03413A
KR20200003413A KR1020197035843A KR20197035843A KR20200003413A KR 20200003413 A KR20200003413 A KR 20200003413A KR 1020197035843 A KR1020197035843 A KR 1020197035843A KR 20197035843 A KR20197035843 A KR 20197035843A KR 20200003413 A KR20200003413 A KR 202000034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mber
cushion
airbag device
inflator
gas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358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52139B1 (ko
Inventor
마코토 푸마
유토 고바야시
Original Assignee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filed Critical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Publication of KR202000034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34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21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2139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07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in vehicle sea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60R21/23138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specially adapted for side prot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60R21/233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comprising a plurality of individual compartments; comprising two or more bag-like members, one within the o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9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ven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 B60R21/264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using instantaneous generation of gas, e.g. pyrotechn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021/003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characterised by occupant or pedestian
    • B60R2021/0039Body parts of the occupant or pedestrian affected by the accident
    • B60R2021/0044Ches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021/003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characterised by occupant or pedestian
    • B60R2021/0039Body parts of the occupant or pedestrian affected by the accident
    • B60R2021/0048Hea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021/003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characterised by occupant or pedestian
    • B60R2021/0039Body parts of the occupant or pedestrian affected by the accident
    • B60R2021/0058Shoul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60R21/23138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specially adapted for side protection
    • B60R2021/23146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specially adapted for side protection seat moun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60R2021/2316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specially adapted for protecting at least two passengers, e.g. preventing them from hitting each o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60R21/233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comprising a plurality of individual compartments; comprising two or more bag-like members, one within the other
    • B60R2021/23324Inner walls crating separate compartments, e.g. communicating with v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 B60R21/264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using instantaneous generation of gas, e.g. pyrotechnic
    • B60R2021/2642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using instantaneous generation of gas, e.g. pyrotechnic comprising a plurality of combustion chambers or sub-cha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Air Bags (AREA)

Abstract

소형 인플레이터로 호적하게 팽창 전개 시키면서 두부 및 흉부를 적절한 구속력으로 보호할 수 있고, 또한 높은 OOP 성능을 확보하는 것이 가능한 사이드 에어백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관한 사이드 에어백 장치(100)의 구성은 주머니 형상의 쿠션(110)과, 인플레이터(150)와, 쿠션(110)을 차량 후방측의 제1 챔버(132)와 차량 전방측 제2 챔버(134)로 구획하는 제1 구획부(130a)와, 쿠션(110)의 제1 챔버(132) 및 제2 챔버(134)의 상측에 제3 챔버(136)를 구획하는 제2 구획부(130b)와, 제1 구획부(130a) 위에 배치되는 제1 이너 벤트(142)와, 제2 구획부(130b) 위에 배치되어 제2 챔버로 흐른 가스를 제3 챔버에 흐르게 하고, 또한 가스의 역류를 방지하는 체크 밸브 구조를 구비하는 제2 이너 벤트(14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사이드 에어백 장치
본 발명은 차량 시트의 측면으로부터 상방을 향하여 팽창 전개하는 사이드 에어백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차량에는 에어백 장치가 거의 표준으로 장비되어 있다. 에어백은 차량 충돌 등의 긴급 시에 작동하는 안전 장치로서, 가스압으로 팽창 전개하여 승차인을 받아내어 보호한다. 에어백에는 설치 장소나 용도에 따라 다양한 종류가 있다. 그 하나로서 측면 충돌이나 그것에 이어져 발생하는 롤 오버(횡전)로부터 승차인을 보호하기 위해, 좌석 측면에서 승차인의 바로 옆으로 팽창 전개하는 사이드 에어백 장치가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에는 차량내 측면과 승차인 사이에 전개시키는 사이드 에어백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의 사이드 에어백 장치에서 에어백은 승차인의 흉부에 대응하는 흉부 팽창실과 승차인의 두부에 대응하는 두부 팽창실로 구성되어 있다. 특허문헌 1에도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승차인의 두부 및 흉부의 양방을 보호하는 사이드 에어백 장치는 에어백 용량이 커진다. 이 때문에 완전히 팽창 전개 시킬 때까지 시간이 걸리고 가스 발생 시간이 긴 대형 인플레이터를 채용할 필요가 발생한다.
그래서 특허문헌 1에서는 제한부에 의해 에어백 내면부 사이가 이격하는 방향의 전개를 제한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팽창 시의 에어백 용량이 억제되기 때문에 인플레이터의 소형화를 도모하고 있다. 또한 특허문헌 1에서는 에어백 내면부 사이가 이격하는 방향의 전개를 제한하는 제한부를, 흉부 팽창실로부터 두부 팽창실을 향하는 가스 흐름 방향에 대하여 곡선 형상으로 하고 있다. 이것에 의하면 팽창 전개 시의 가스 압력에 의한 제한부의 파손을 억제하고, 에어백의 신뢰성 향상을 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특허문헌1 : 일본특허 특개평10-175497호 공보
특허문헌 1의 사이드 에어백 장치에서는 흉부 팽창실와 두부 팽창실 사이에 제한부가 설치되어 있는데, 흉부 팽창실과 두부 팽창실은 연통하고 있다. 이 때문에 에어백이 팽창 전개했을 때의 흉부 팽창실과 두부 팽창실 내부 압력은 거의 동일해진다. 그러면 두부를 구속하는 영역과 흉부를 구속하는 영역에서의 구속력을 개별적으로 조정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또한 에어백 장치는 충돌했을 때에 승차인이 통상 승차인 자세(정규 착석 자세)였을 때에 최대한의 성능이 발휘 가능하도록 설계되어 있는데, 승차인이 비정규 착석 자세였을 경우에도 과도한 충격을 부여하지 않는 것이 요구된다. 이 때문에 에어백 장치에서는 비정규 착석 자세에 있어서 가해성이 없는 것, 다시 말해 OOP성능(Out of Position)을 확인하는 OOP시험이 실시된다. 그러나 특허문헌 1의 사이드 에어백 장치에서는 OOP 성능에 대하여 어떠한 고려도 되어 있지 않아 더 한층 개선할 여지가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과제를 감안하여, 승차인의 두부 및 흉부를 보호하는 쿠션이어도 소형 인플레이터로 양호하게 팽창 전개 시키면서 두부 및 흉부를 적절한 구속력으로 보호하는 것이 가능하며, 또한 높은 OOP성능을 확보하는 것이 가능한 사이드 에어백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관한 사이드 에어백 장치의 대표적인 구성은 차량용 시트의 측면부로부터 상방을 향하여 팽창 전개하는 사이드 에어백 장치에 있어서, 해당 사이드 에어백 장치는 주머니 형상의 쿠션과, 쿠션에 가스를 공급하여 팽창 전개 시키는 인플레이터와, 팽창 전개 시의 쿠션의 하연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하여 쿠션을 차량 후방측의 제1 챔버와 차량 전방측의 제2 챔버로 구획하는 제1 구획부와, 팽창 전개 시의 쿠션의 전연부터 후연까지 제1 구획부의 상단을 경유하여 연장하고 쿠션의 제1 챔버 및 제2 챔버의 상측에 제3 챔버를 구획하는 제2 구획부를 포함하며, 제1 챔버는 인플레이터를 내장하고 있는 시트의 측면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긴 형상을 가지고 해당 사이드 에어백 장치는 또한 제1 구획부 위에 배치되어 인플레이터로부터 공급된 가스를 제1 챔버로부터 제2 챔버에 흐르는 제1 이너 벤트와, 제2 구획부 위에 배치되어 제2 챔버에 흐른 가스를 제3 챔버에 흐르게 하고 제3 챔버로부터 해당 제2 챔버에의 가스 역류를 방지하는 체크 밸브 구조를 구비하는 제2 이너 벤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에서 사이드 에어백 장치의 쿠션은 제1 구획부 및 제2 구획부에 의해 세 개의 챔버로 구획된다. 세 개의 챔버 중 제2 챔버는 승차인의 견부 및 흉부를 구속하고 제3 챔버는 승차인의 두부를 구속한다. 이것에 의해 충돌 시에 승차인의 상반신 전체를 충분히 보호할 수 있다. 특히, 제2 챔버와 제3 챔버가 제2 구획부에 의해 구획되어 있음으로써 그들 챔버에 있어서의 내부 압력을 적절히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승차인의 두부 및 흉부를 적절한 구속력으로 보호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제1 챔버는 시트의 측면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긴 형상이다. 이 때문에 팽창 전개 시에 제1 챔버는, 시트의 측면에는 접촉하지만 승차인에는 접촉하지 않는다. 따라서 팽창 전개 시에 승차인이 비정규 착석 자세였을 경우에도 승차인에 대한 충격을 비약적으로 경감할 수 있고 높은 OOP 성능을 확보하는 것이 가능하다.
팽창 전개 시에 인플레이터로부터 공급되는 가스는 제1 이너 벤트를 통하여 제1 챔버로부터 제2 챔버로 흐른다. 제2 챔버에 흐른 가스는 제2 이너 벤트를 통하여 제3 챔버에 흘러든다. 이때 제2 이너 벤트가 체크 밸브 구조이므로 제3 챔버에 흐른 가스의 제2 챔버에의 역류가 방지된다. 따라서, 제3 챔버에 있어서의 내부 압력을 높게 유지할 수 있고, 승차인의 두부 구속력을 높이는 것이 가능해진다.
해당 사이드 에어백 장치는 제2 구획부 위에 배치되어 인플레이터로부터 공급된 가스를 제1 챔버에서 제3 챔버로 흐르게 하고 제3 챔버에서 제1 챔버로의 가스 역류를 방지하는 체크 밸브 구조를 구비하는 제3 이너 벤트를 더 포함해도 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쿠션의 팽창 전개 시에는 제3 이너 벤트를 통하여 제1 챔버에서 제3 챔버에 가스를 흐르게 할 수 있다. 즉, 제2 챔버를 경유하는 일 없이 제3 챔버에 가스가 공급된다. 이것에 의해 제3 챔버를 신속하게 팽창 전개 시키고 승차인의 두부를 신속하게 구속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제3 이너 벤트에 있어서도 체크 밸브 구조를 가지기 때문에 제3 챔버에서 제1 챔버로의 가스 역류가 방지된다. 따라서, 승차인의 두부 구속력을 높이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쿠션은 시트 파사이드에서 팽창 전개해도 된다. 이것에 의해 예를 들어, 운전석과 조수석 사이에서 팽창 전개하는 사이드 에어백 장치, 이른바 파사이드 에어백 장치에 있어서 상기한 효과가 얻어진다.
상기 제2 챔버는 승차인의 견부 및 흉부를 보호하는 위치에 있고 제2 구획부는 승차인의 목부에 상당하는 높이에 위치하고, 제3 챔버는 승차인의 두부를 보호하는 위치에 있으면 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제2 챔버에 의한 승차인의 견부 및 흉부를 구속하고 제3 챔버에 의해 승차인의 두부를 구속하는 효과가 확실하게 얻어진다.
본 발명에 의하면 승차인의 두부 및 흉부를 보호하는 쿠션이어도 소형 인플레이터로 호적하게 팽창 전개 시키면서 두부 및 흉부를 적절한 구속력으로 보호할 수 있고, 또한 높은 OOP 성능을 확보하는 것이 가능한 사이드 에어백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실시형태에 관한 사이드 에어백 장치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2는 팽창 충돌 시의 쿠션과 승차인의 위치 관계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a의 에어백 쿠션의 상세도이다.
이하에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호적한 실시형태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러한 실시형태에 나타내는 치수, 재료, 기타 구체적인 수치 등은 발명의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예시에 불과하며, 특별히 적시된 경우를 제외하고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 및 도면에 있어서,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 구성을 가지는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붙임으로써 중복 설명을 생략하고, 나아가 본 발명에 직접 관계가 없는 요소는 도시를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사이드 에어백 장치(100)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2는 팽창 충돌 시의 쿠션(110)과 승차인(104)의 위치 관계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또한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도 1에서는 차량(전체는 도시 없음)의 시트(102) 및 인플레이터(150)를 가상선으로 도시하고 있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사이드 에어백 장치(100)는 차량 시트(102)의 측면(102a)으로부터 상방을 향하여 쿠션(110)이 팽창 전개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쿠션(110)은 차량에 충격이 발생했을 경우 등의 긴급 시에 승차인(104)을 받아내는 주머니 형상의 부위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쿠션(110)은 시트(102)의 차량 중앙측, 이른바 파사이드에서 편평한 형상으로 팽창 전개한다.
쿠션(110)은 복수의 기포를 겹쳐서 봉제하거나 접착함으로써 주머니 형상으로 형성된다. 쿠션(110)은 시트(102)의 측면(102a)에 구비된 하우징(도시 생략)에 감기거나 또는 접혀져 수납되어 있다. 수납 상태의 쿠션(110)은 그 위를 시트 커버 등이 덮고 있기 때문에 외부에서는 육안 식별이 불가하다. 그리고 사이드 에어백 장치(100)의 가동 시, 쿠션(110)은 시트 커버 등을 개열시켜 승차인(104) 측방으로 팽창 전개하고, 승차인을 측방에서 구속한다. 이것에 의해 차량 측방 충돌 시에 있어서, 차량 중앙 방향으로 이동하려고 하는 승차인을 쿠션(110)에 의해 받을 수 있다.
시트(102)의 측면(102a)에는 쿠션(110)과 함께 인플레이터(150)가 설치된다. 인플레이터(150)는 가스 발생 장치로서 충돌 발생 시에 차량측에서 발신되는 가동 신호를 받고, 쿠션(110)의 내부에 가스를 공급하여 팽창 전개 시킨다. 본 실시형태에서 채용하고 있는 인플레이터(150)는 실린더형(통 형상)이며 쿠션(110)에 길이 방향을 상하 방향으로 하여 내포되어 설치된다. 인플레이터(150)는 표면에 일체화된 스터드 볼트(도시 생략)를 쿠션(110)의 내부에서 외부로 노출시키고 시트(102)의 측면(102a) 하우징 등에 체결된다.
현재 보급되어 있는 인플레이터(150)에는 가스 발생제가 충전되어 있어 이것을 연소시켜 가스를 발생시키는 타입이나 압축 가스가 충전되어 있어 열을 발생시키는 일 없이 가스를 공급하는 타입, 또는 연소 가스와 압축 가스를 모두 이용하는 하이브리드 타입인 것 등이 있다. 인플레이터(150)로서는 어느 타입인 것도 이용 가능하다.
도 1에 예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사이드 에어백 장치(100)에서는 쿠션은 세 개의 챔버로 구획된다. 팽창 전개 시의 쿠션(110)의 하연(110a)으로부터 상방을 향하여 제1 구획부(130a)가 연장하고 있다. 이 제1 구획부(130a)에 의해 쿠션(110)의 내부가 차량 후방측의 제1 챔버(132)와 차량 전방측 제2 챔버(134)로 구획된다.
팽창 전개 시의 쿠션(110)의 전연(110b)으로부터 후연(110c)까지에는 제1 구획부(130a)의 상단을 경유하여 제2 구획부(130b)가 연장하고 있다. 본원 발명에서 ‘승차인’은 예를 들어 ISO/TC22/SC12/WG5에 의거하여 개발된 국제 통일 측면 충돌 더미 중 성인 남성의 인체 데이터에 의거하여 제정된 World SID(World Side Impact Dummy)에 의거한 체격과 동등한 것으로 하고 있다. 제2 구획부(130b)는 승차인(104)의 목부(104a)에 상당하는 높이에 위치한다. 이 제2 구획부(130b)에 의해 쿠션(110)의 내부에 있어서 제1 챔버(132) 및 제2 챔버(134)의 상측이 제3 챔버(136)로서 구획된다.
제1 챔버(132)는 시트(102)의 측면(102a)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긴 형상을 가지고, 인플레이터(150)가 내장된다. 제2 챔버(134)는 승차인(104)의 견부(104b) 및 흉부(104c)를 보호하는 위치에 배치된다. 제2 구획부(130b)가 승차인(104)의 목부(104a)에 상당하는 높이에 위치함으로써, 제3 챔버(136)는 승차인(104)의 두부(104d)를 보호하는 위치에 배치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제1 구획부(130a) 및 제2 구획부(130b)에 의해 구획된 세 개의 챔버 중 제2 챔버(134)는 승차인(104)의 견부(104b) 및 흉부(104c)를 구속하고 제3 챔버(136)는 승차인(104)의 두부(104d)를 구속한다. 이것에 의해 충돌 시에 승차인(104)의 상반신 전체를 확실하게 보호할 수 있다.
한편, 시트(102)의 측면을 따라 제1 챔버(132)는 팽창 전개 시에 시트(102)의 측면(102a)에는 접촉하지만, 승차인(104)에는 거의 접촉하지 않는다. 즉, 제1 챔버(132)는 팽창 전개 시의 초기에 승차인(104)에 과도한 충격을 주지 않는 LRD(Low risk deployment: out of position/OOP용) 챔버로서 기능한다. 따라서, 팽창 전개 시에 승차인(104)이 비정규 착석 자세인 경우에도 승차인에 대한 충격을 비약적으로 경감할 수 있고, 높은 OOP 능력을 확보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제2 챔버(134)와 제3 챔버(136)가 제2 구획부(130b)에 의해 구획되어 있음으로써 이들 챔버에 있어서의 내부 압력을 적절히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승차인(104)의 두부(104d), 견부(104b) 및 흉부(104c)를 적절한 구속력으로 보호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나아가 제1 구획부(130a) 및 제2 구획부(130b)에 의해 쿠션 내부가 세 개의 챔버로 구획되고, 후술하는 체크 밸브 구조를 가지는 이너 벤트를 설치함으로써 구획하지 않는 경우에 비해 쿠션(110)의 내부 용량이 작아진다. 이것에 의해 승차인(104)의 두부(104d), 견부(104b) 및 흉부(104c)를 보호하는 대형 쿠션(110)이어도 소형 인플레이터(150)에 의해 충분히 팽창 전개 시킬 수 있다. 따라서, 사이드 에어백 장치(100)에 소형 인플레이터(150)를 채용할 수 있고, 장치의 소형화 및 비용의 삭감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다시 도 1을 참조한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구획부(130a) 위에는 제1 이너 벤트(142)가 배치된다. 이 제1 이너 벤트(142)를 통하여 인플레이터(150)로부터 공급된 가스가 제1 챔버(132)로부터 제2 챔버(134)로 흐른다. 제2 구획부(130b) 위에는 체크 밸브 구조를 구비하는 제2 이너 벤트(144)가 배치된다. 이 제2 이너 벤트(144)를 통하여 제2 챔버(134)에 흐른 가스가 제3 챔버(136)에 흐른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인플레이터(150)로부터 공급되는 가스가 쿠션(110) 안을 흐름으로써 제1 챔버(132), 제2 챔버(134), 제3 챔버(136) 순서로 팽창한다. 이것에 의해 팽창 전개 초기에 견부를 구속 가능하고, 제2 이너 벤트(144)가 체크 밸브 구조를 구비함으로써 제3 챔버(136)에 흐른 가스가 제2 챔버(134)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제3 챔버(136)에 있어서의 내부 압력을 높게 유지할 수 있고, 승차인(104)의 두부(104d) 구속력을 높이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사이드 에어백 장치(100)에서는 제2 구획부(130b) 위에 체크 밸브 구조를 구비하는 제3 이너 벤트(146)를 배치하고 있다. 이 제3 이너 벤트(146)를 통하여 인플레이터(150)로부터 공급된 가스가 제1 챔버(132)로부터 제3 챔버(136)에 흐른다. 이것에 의해 제2 챔버(134)를 경유하는 일 없이 제3 챔버(136)에도 가스가 공급된다. 따라서 제3 챔버(136)도 신속하게 팽창 전개 시킬 수 있고 승차인(104)의 두부(104d)를 재빠르게 구속하는 것도 가능해진다.
나아가 제1 이너 벤트(142)를 설치함으로써, 차량 전방으로의 쿠션(110) 전개력을 높일 수 있다. 제2 이너 벤트(144) 및 제3 이너 벤트(146)를 설치함으로써 상방으로의 쿠션(110) 전개력을 높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구성에 의하면 팽창 전개 시의 시트(102)의 측면(102a)을 개열하는 힘을 높이고, 또한 쿠션(110)을 전체적으로 효율적으로 팽창 전개 시키는 것도 가능해진다.
또한 제3 이너 벤트(146)에 있어서도 체크 밸브 구조를 구비하기 때문에, 제3 챔버(136)로부터 제1 챔버(132)에의 가스 역류가 방지된다. 따라서, 승차인(104)의 두부(104d) 구속력을 높이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2 구획부(130b) 위에 제3 이너 벤트(146)를 설치하는 구성을 예시했는데,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3 이너 벤트(146)을 설치하지 않은 구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어서 도 2를 참조하여 팽창 충돌 시의 쿠션(110)과 승차인(104)의 위치 관계를 설명한다. 도 2(a) ~ (c)는 차량의 시트 및 그곳에 착석하고 있는 승차인을 전방에서 관찰한 상태를 예시하고 있다. 또한 도 2(a) ~ (c)에서는 사이드 에어백 장치(100) 중 외관상 관찰 가능한 쿠션(110)만을 도시하고 있다. 또한 설명의 편의상 차량 폭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는 두 개의 시트 중 도면 좌측 시트를 운전석(102b)으로 명명하고, 도면 우측 시트를 조수석(102c)으로 명명한다.
도 2(a)에 예시한 바와 같이 차량 측방 충돌에 의해 차체의 조수석(102c)측에 충돌 하중이 가해지면 조수석(102c)의 파사이드 측면(102a)(도 1 참조)을 쿠션(110)이 개열하고 쿠션(110)의 팽창 전개가 시작된다. 이때, 조수석(102c) 승차인(106c)의 니어사이드에는 별도의 사이드 에어백 장치 쿠션(210)이 전개함으로써 조수석(102c)의 승차인(106c)은 차량 폭 방향 중앙측으로 압압된다.
도 2(b)에 예시한 바와 같이 쿠션(110)이 팽창 전개하면 니어사이드 쿠션(110)에 의해 차량 폭 방향 중앙측으로 이동한 조수석(102c) 승차인의 상반신(견부(104b) 및 흉부(104c))이 쿠션(110)에 구속된다. 이때, 충돌 하중에 의해 차량 폭 방향 중앙측으로 압압된 운전석(102b) 승차인(106b)의 상반신(견부(104b) 및 흉부(104c))도 쿠션(110)에 구속된다.
이후, 도 2(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운전석(102b) 및 조수석(102c)의 승차인(106b, 106c)의 두부(104d)가 쿠션(110)에 구속된다. 이때, 도 2(b)에 예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운전석(102b)의 승차인(106b) 및 조수석(102c)의 승차인(106c)의 상반신을 구속함으로써 제2 챔버(134) 가스의 제3 챔버(136)에의 흐름이 촉진된다. 이 때문에 승차인(106b, 106c)의 견부 근방 에너지 흡수를 하면서 쿠션(110)(엄밀하게는 제3 챔버(136))에 있어서의 두부(104d)의 구속력을 증대시킬 수 있다. 따라서, 승차인의 상반신 및 두부의 양방을 구속하는 사이드 에어백 장치(100)에 있어서도 소형의 인플레이터(150)로 높은 구속력을 확보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 설명한 실시형태에서는 시트(102)의 파사이드에서 쿠션(110)이 팽창 전개하는 사이드 에어백 장치(100), 이른바 파사이드 에어백을 예시했는데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시트(102)의 반대측 측면인 니어사이드로부터 쿠션(110)이 팽창하는 사이드 에어백 장치에도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도 2에서는 운전석(102b) 및 조수석(102c)의 양방에 승차인이 착석하고 있는 경우를 예시하여 설명했는데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운전석(102b)에만 승차인이 착석하고 있는 경우이면 본 실시형태의 사이드 에어백 장치에 의해 운전석(102b) 승차인(106b)의 두부 및 상반신을 호적하게 구속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호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했는데 이상에서 서술한 실시형태는 본 발명의 호적한 예로서 이것 이외의 실시형태도 각종 방법으로 실시 또는 수행 가능하다. 특별히 본원 명세서 중에 한정하는 내용의 기재가 없는 한, 이 발명은 첨부 도면에 나타낸 상세한 부품 형태, 크기 및 구성 배치 등에 제약받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원 명세서 중에 이용된 표현 및 용어는 설명을 목적으로 한 것이며, 특별히 한정하는 내용의 기재가 없는 한,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통상 기술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 내에 있어서 각종 변경예 또는 수정예를 상정할 수 있는 것은 명백하며, 이들에 대해서도 당연히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속한 것으로 이해된다.
본 발명은 차량 시트의 측면으로부터 상방을 향하여 팽창 전개하는 사이드 에어백 장치에 이용할 수 있다.
100…사이드 에어백 장치, 102…시트, 102a…측면, 102b…운전석, 102c…조수석, 104…승차인, 104a…목부, 104b…견부, 104c…흉부, 104d…두부, 106b…승차인, 106c…승차인, 110…쿠션, 110a…하연, 110b…전연, 110c…후연, 130a…제1 구획부, 130b…제2 구획부, 132…제1 챔버, 134…제2 챔버, 136…제3 챔버, 142…제1 이너 벤트, 144…제2 이너 벤트, 146…제3 이너 벤트, 150…인플레이터, 210…쿠션

Claims (4)

  1. 차량 시트의 측면으로부터 상방을 향하여 팽창 전개하는 사이드 에어백 장치로서,
    상기 사이드 에어백 장치는,
    주머니 형상의 쿠션과,
    상기 쿠션에 가스를 공급하여 팽창 전개 시키는 인플레이터와,
    팽창 전개 시의 상기 쿠션 하연에서 상방으로 연장하여 상기 쿠션을 차량 후방측 제1 챔버와 차량 전방측 제2 챔버로 구획하는 제1 구획부와,
    팽창 전개 시의 상기 쿠션의 전연으로부터 후연까지 상기 제1 구획부의 상단을 경유하여 연장하고, 상기 쿠션의 상기 제1 챔버 및 상기 제2 챔버의 상측에 제3 챔버를 구획하는 제2 구획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챔버는 상기 인플레이터를 내장하고 있어 상기 시트의 측면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긴 형상을 가지고,
    또한 상기 사이드 에어백 장치는,
    상기 제1 구획부 위에 배치되어 상기 인플레이터로부터 공급된 가스를 상기 제1 챔버에서 상기 제2 챔버로 흐르게 하는 제1 이너 벤트와,
    상기 제2 구획부 위에 배치되어 상기 제2 챔버에 흐른 가스를 상기 제3 챔버에 흐르게 하고 상기 제3 챔버에서 상기 제2 챔버로 가스의 역류를 방지하는 체크 밸브 구조를 구비하는 제2 이너 벤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드 에어백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에어백 장치는 상기 제2 구획부 위에 배치되어 상기 인플레이터로부터 공급된 가스를 상기 제1 챔버에서 상기 제3 챔버로 흐르게 하고, 상기 제3 챔버에서 상기 제1 챔버에로의 가스 역류를 방지하는 체크 밸브 구조를 구비하는 제3 이너 벤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드 에어백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쿠션은 상기 시트의 파사이드에서 팽창 전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드 에어백 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챔버는 승차인의 견부 및 흉부를 보호하는 위치에 있고,
    상기 제2 구획부는 승차인의 목부에 상당하는 높이에 위치하고,
    상기 제3 챔버는 승차인의 두부를 보호하는 위치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드 에어백 장치.
KR1020197035843A 2017-05-19 2018-04-17 사이드 에어백 장치 Active KR10235213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7-100010 2017-05-19
JP2017100010 2017-05-19
PCT/JP2018/015829 WO2018211894A1 (ja) 2017-05-19 2018-04-17 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3413A true KR20200003413A (ko) 2020-01-09
KR102352139B1 KR102352139B1 (ko) 2022-01-18

Family

ID=642735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35843A Active KR102352139B1 (ko) 2017-05-19 2018-04-17 사이드 에어백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104288B2 (ko)
EP (1) EP3626546B1 (ko)
JP (1) JP6768943B2 (ko)
KR (1) KR102352139B1 (ko)
CN (1) CN110546043A (ko)
WO (1) WO2018211894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200032A1 (ko) * 2022-04-15 2023-10-19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자동차의 사이드 에어백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26538A1 (ja) * 2017-08-01 2019-02-07 オートリブ ディベロップメント エービー 乗員保護装置
DE102019107364A1 (de) * 2019-03-22 2020-09-24 Audi Ag Seitengassackmodul, Fahrzeugsitz und Fahrzeug
WO2021149576A1 (ja) * 2020-01-23 2021-07-29 オートリブ ディベロップメント エービー エアバッグ装置
KR20210158485A (ko) * 2020-06-24 2021-12-31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용 사이드 에어백장치
US11858446B2 (en) * 2021-04-22 2024-01-02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Seatback-mounted airbag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75497B1 (ko) 1996-07-26 1999-02-01 담철곤 산화환원 전위조절에 의한 자일리톨의 제조방법
KR20010101935A (ko) * 1999-02-05 2001-11-15 드레이어 론니 알 측면 에어백
KR20060029595A (ko) * 2003-01-31 2006-04-06 아시모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에어백 장치
KR20100132731A (ko) * 2009-06-10 2010-12-20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에어백 시스템
JP2013233863A (ja) * 2012-05-09 2013-11-21 Ashimori Industry Co Ltd エアバッグ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00827A (ja) * 1996-09-26 1998-04-21 Mitsubishi Motors Corp エアバッグ装置
JP3760537B2 (ja) 1996-12-20 2006-03-29 マツダ株式会社 サイドエアバック装置
JP3900765B2 (ja) * 1999-12-08 2007-04-04 タカタ株式会社 エアバッグ装置
DE102005028702A1 (de) * 2004-06-28 2006-03-16 Mazda Motor Corp. Airbag-Vorrichtung
JP4453966B2 (ja) * 2004-06-28 2010-04-21 マツダ株式会社 エアバッグ装置
ATE535424T1 (de) * 2004-11-04 2011-12-15 Autoliv Dev Seitenairbagvorrichtung für fahrzeug
EP1829755A4 (en) * 2004-11-05 2009-04-01 Autoliv Dev SIDE AIRBAG DEVICE AND SIDE AIRBAG SYSTEM
US7338070B2 (en) * 2005-03-14 2008-03-04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Multi-chambered air bag for a motor vehicle
DE202006010362U1 (de) * 2006-06-29 2006-09-14 Takata-Petri Ag Seitengassackanordnung
US7770921B2 (en) * 2007-05-25 2010-08-10 Autoliv Development Ab Airbag for protection of a vehicle occupant
US20090200774A1 (en) * 2008-02-13 2009-08-13 Cis Tech, Llc Low risk deployment side airbag system
US8480124B2 (en) * 2011-01-18 2013-07-09 Autoliv Asp, Inc. Seat bolster chamber
JP5831634B2 (ja) * 2012-06-06 2015-12-09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KR101406409B1 (ko) * 2012-11-16 2014-06-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사이드에어백
WO2014098027A1 (ja) * 2012-12-20 2014-06-26 オートリブ ディベロップメント エービー エアバッグ装置
JP5696748B2 (ja) * 2013-07-31 2015-04-08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及び車両用シート
JP6018313B2 (ja) * 2013-08-06 2016-11-02 オートリブ ディベロップメント エービー 車両用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JP6222008B2 (ja) * 2013-12-26 2017-11-01 豊田合成株式会社 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US9580039B2 (en) 2014-04-22 2017-02-28 Autoliv Asp, Inc. Multi-chamber airbag with unidirectional vent
JP6115542B2 (ja) 2014-10-10 2017-04-19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JP6454404B2 (ja) * 2015-03-23 2019-01-16 オートリブ ディベロップメント エービー エアバッグ装置
JP6354044B2 (ja) * 2015-04-27 2018-07-11 オートリブ ディベロップメント エービー 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US10124759B2 (en) 2016-09-20 2018-11-13 Autoliv Asp, Inc. Aspirating airbag assemblies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75497B1 (ko) 1996-07-26 1999-02-01 담철곤 산화환원 전위조절에 의한 자일리톨의 제조방법
KR20010101935A (ko) * 1999-02-05 2001-11-15 드레이어 론니 알 측면 에어백
KR20060029595A (ko) * 2003-01-31 2006-04-06 아시모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에어백 장치
KR20100132731A (ko) * 2009-06-10 2010-12-20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에어백 시스템
JP2013233863A (ja) * 2012-05-09 2013-11-21 Ashimori Industry Co Ltd エアバッグ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200032A1 (ko) * 2022-04-15 2023-10-19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자동차의 사이드 에어백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211894A1 (ja) 2018-11-22
US11104288B2 (en) 2021-08-31
CN110546043A (zh) 2019-12-06
JP6768943B2 (ja) 2020-10-14
EP3626546B1 (en) 2021-10-13
US20200180540A1 (en) 2020-06-11
EP3626546A1 (en) 2020-03-25
EP3626546A4 (en) 2020-11-18
KR102352139B1 (ko) 2022-01-18
JPWO2018211894A1 (ja) 2020-0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014877B2 (ja) エアバッグ装置およびエアバッグ装置の製造方法
KR101919550B1 (ko) 승차인 구속 장치
CN104349945B (zh) 车辆用侧面安全气囊装置
JP5800035B2 (ja) 車両用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KR102352139B1 (ko) 사이드 에어백 장치
US7350811B2 (en) Side airbag apparatus
CN101184654B (zh) 带有t形安全气囊的安全气囊装置
KR20200029022A (ko) 승차인 보호 장치
JP2016078768A (ja) 車両用ファー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JP6604707B2 (ja) 内部ディフューザを有するサイドエアバッグ
KR102569645B1 (ko) 승차인 구속 장치
JP6380064B2 (ja) 車両用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JP5549577B2 (ja) 後席用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CN111886161B (zh) 安全气囊装置
CN110871765B (zh) 气囊装置
WO2023282017A1 (ja) エアバッグ装置
KR20250059412A (ko) 승차인 보호 장치
WO2025089097A1 (ja) 車両用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JP6249680B2 (ja) 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JP2015039962A (ja) 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JP2015039965A (ja) 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1204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040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211008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210409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AMND Amendment
PX0901 Re-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211008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210517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X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11111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3S01D

Patent event date: 20211029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211008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1S01I

Patent event date: 20210517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2011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2011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122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