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90142564A - 뽕잎을 함유하는 장수풍뎅이 누디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또는 개선용 사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뽕잎을 함유하는 장수풍뎅이 누디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또는 개선용 사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42564A
KR20190142564A KR1020180069671A KR20180069671A KR20190142564A KR 20190142564 A KR20190142564 A KR 20190142564A KR 1020180069671 A KR1020180069671 A KR 1020180069671A KR 20180069671 A KR20180069671 A KR 20180069671A KR 20190142564 A KR20190142564 A KR 201901425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etle
larvae
feed composition
weight
infect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696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45624B1 (ko
Inventor
박관호
이희삼
곽규원
송명하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filed Critical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Priority to KR10201800696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5624B1/ko
Publication of KR201901425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425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56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5624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30Animal feeding-stuffs from material of plant origin, e.g. roots, seeds or hay; from material of fungal origin, e.g. mushroom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10Animal feeding-stuffs obtained by microbiological or biochemical processes
    • A23K10/12Animal feeding-stuffs obtained by microbiological or biochemical processes by fermentation of natural products, e.g. of vegetable material, animal waste material or biomas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50/0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 A23K50/9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for insects, e.g. bees or silkwor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60Moraceae (Mulberry family), e.g. breadfruit or fig
    • A61K36/605Morus (mulber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12Antiviral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Bio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otan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ycology (AREA)
  • Phys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Birds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ncolog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Biochemist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Communicable Diseases (AREA)
  • Vir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Epidemiology (AREA)
  • Feed For Specific Animals (AREA)
  • Fodder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뽕잎을 함유하는 장수풍뎅이 누디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또는 개선용 사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조성물을 장수풍뎅이 유충에 공급하고 그 급이 시기를 조절함으로써, 기존에 누디바이러스 감염으로 인해 번데기 시기 전에 대부분 사멸되던 장수풍뎅이 유충을 성충 시기까지 건강하게 사육하는 것이 가능해졌다.

Description

뽕잎을 함유하는 장수풍뎅이 누디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또는 개선용 사료 조성물 {Feed composition comprising melberry leaf for preventing or improving infection of Allomyrina dichotoma Nudivirus}
본 발명은 뽕잎을 함유하는 장수풍뎅이 누디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또는 개선용 사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장수풍뎅이(Allomyrina dichotoma)는 딱정벌레목(Coleoptera), 풍뎅이과 (Family Scarabaeidae)에 속하는 곤충이다. 장수풍뎅이는 습도나 온도에 민감하지 않고 먹이가 까다롭지 않아 사육이 간편하여 애완곤충으로 각광받고 있으며, 최근에는 장수풍뎅이의 유충이 간 질환에 효과가 있다는 민간요법이 알려지면서 이를 건강보조용 약재로 이용하는 경향이 증가되고 있다. 예로부터 한약재로 자주 이용되어 온 굼벵이, 누에, 동충하초, 지네 등은 유용한 곤충자원으로 이용되고 있으며 최근 신약 개발에 있어서 이러한 천연자원의 기능에 대한 연구도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이와 같이 장수풍뎅이는 애완용으로도 널리 이용되며 유용한 곤충자원의 하나로 자리 잡고 있다.
한국의 장수풍뎅이에 감염되는 누디바이러스는 장수풍뎅이 유충에 가장 흔히 감염되는 것으로서, 이러한 바이러스 감염증은 장수풍뎅이 유충의 집단 폐사를 일으켜 심각한 경제적 손실이 빈번하지만 아직까지는 국내에서 발생하는 누디바이러스 감염이 남방장수풍뎅이(Oryctes rhinoceros)를 감염시키는 오릭테스 누디바이러스의 유전자와 [Oryctes rhinoceros virus isolate Ma07 from Malaysia, complete genome](Genbank number : EU747721.1)와 95~99%의 상동성이 있다는 정도의 연구가 진행되고 있어, 이를 진단하기 위한 방법 등이 연구되고 있을 뿐(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8-0024813호), 이러한 바이러스가 일으키는 감염을 예방 또는 개선하기 위한 조성물에 대한 연구는 거의 미미한 상태이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뽕잎 분말을 이러한 바이러스에 감염된 장수풍뎅이 유충에 급이하여 장수풍뎅이 유충이 감염증으로부터 개선되어 건강한 상태를 유지하면서 번데기 시기를 거쳐 성충으로 성장하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72174호 (발명의 명칭 : 곤충 먹이용 것로딩 젤과 그 제조방법, 출원인 : 이더블 주식회사, 등록일 : 2016년10월28일)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786501호 (발명의 명칭 : 풍뎅이과 애벌레의 혼합사료 조성물, 출원인 : 윤주삼, 등록일 : 2007년12월10일)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8-0002307호 (발명의 명칭 : 흰점박이꽃무지 백강병 방제용 조성물, 출원인 :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공개일 : 2018년01월08일)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8-0024813호 (발명의 명칭 : 장수풍뎅이 병원성 바이러스 또는 오릭테스 누디바이러스의 감염 진단을 위한 등온 핵산연쇄중합법용 프라이머 세트 및 이를 이용한 장수풍뎅이 병원성 바이러스 또는 오릭테스 누디바이러스 감염 진단법, 출원인 :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공개일 : 2018년03월08일)
본 발명의 목적은 뽕잎을 함유하는 장수풍뎅이 누디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또는 개선용 사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은 뽕잎을 함유하는 장수풍뎅이 누디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또는 개선용 사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사료 조성물에는 뽕잎이 1~5 중량%로 함유될 수 있다.
상기 사료 조성물에는 참나무 톱밥, 밀기울, 당류 및 EM 발효액이 포함된 혼합물이 발효된 발효톱밥이 추가될 수 있다.
상기 혼합물의 발효조건은 20~35℃에서 20~30일간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당류로는 과당, 설탕, 꿀, 올리고당으로 이루어진 것 중 선택되는 1종 이상 선택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EM 발효액은 EM 원액 또는 EM 활성액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EM 활성액은 물 100 중량부에 당류 0.1~2 중량부를 혼합하고, 상기 당류가 혼합된 물에 EM 원액 5~20 중량부를 섞은 다음 29~35℃에서 1~5일 동안 혐기성 상태에서 배양한 것일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은, 뽕잎; 및, 참나무 톱밥, 밀기울, 당류 및 EM 발효액이 포함된 혼합물을 발효한 발효 톱밥;을 혼합하여 장수풍뎅이 유충의 사료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뽕잎은 분말 상태로 포함될 수 있다. 이로 인해, 본 발명은 상기 방법으로 제조한 장수풍뎅이 유충의 누디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또는 개선용 사료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사료 조성물을 장수풍뎅이 유충에 급이하여 장수풍뎅이를 사육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1단계) 장수풍뎅이의 알을 채란하고, 상기 알로부터 부화 유충을 얻는 단계;
(2단계) 상기 1단계에서 얻은 부화 유충(1령)을 사육하면서 2령 시기의 유충에 본 발명의 사료 조성물을 공급하며 사육하여 종령(3령) 유충을 얻는 단계;
(3단계) 상기 2단계에서 얻은 종령 유충을 용화시켜 번데기를 얻는 단계;
(4단계) 상기 3단계에서 얻은 번데기를 우화시켜 성충을 얻는 단계; 및,
(5단계) 상기 4단계에서 얻은 우화된 성충이 교미 및 산란하도록 유도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다른 양태에서 본 발명은 뽕잎을 함유하는 장수풍뎅이 누디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용어 중 1령 유충은 부화 후 약 14일까지의 유충으로 머리직경은 2~3mm이며 2령 유충의 시기는 약 15일부터 시작하고 머리직경은 약 4~6mm이다. 3령 유충의 시기는 약35일부터 시작하고 머리직경은 3mm~1.2cm로 증가하고 이 기간은 3~4개월 정도 유지된다. 번데기 시기는 20~25일 동안 유지된다.
상기 본 발명의 사료 조성물에, 상기 뽕잎은 1~5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사료 조성물에 뽕잎이 1 중량% 미만으로 포함될 경우, 누디바이러스의 감염을 억제하지 못할 수 있으며, 뽕잎이 5 중량%를 초과할 경우 오히려 유충의 생육에 장애를 발생하여여 생존율이 감소할 수도 있다.
상기 사료 조성물은 장수풍뎅이 유충의 사육을 위해 포함된 사료에 혼합되어 사용될 수 있는데, 바람직하게는, 상기 사료 조성물에는 참나무 톱밥, 밀기울, 당류 및 EM 발효액이 포함된 혼합물이 발효된 발효 톱밥이 추가될 수 있다. 상기 혼합물에는 참나무 톱밥 88~96 중량%, 밀기울 1~5 중량%, 당류 1~5 중량% 및 EM 발효액 0.5~2 중량%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사료 조성물은 유충의 성장과정에서 2령 초기부터 종령까지 공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1령 시기(부화 직후부터 2령 직전까지) 유충에 뽕잎을 공급하는 것은 오히려 생존률을 낮출 수도 있다.
'용화'라는 용어는 유충이 탈피하여 번데기가 되는 것, '우화'라는 용어는 번데기가 성충이 되는 것을 의미한다. '부화 유충'은 알에서 막 깨어난 유충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참나무 톱밥은 상수리나무, 신갈나무, 졸참나무, 굴참나무 등의 톱밥 어느 것을 사용해도 무방하다. 상기 참나무 톱밥은 250메쉬 내지 350메쉬 범위의 크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참나무 톱밥의 크기가 250메쉬 미만인 경우에는 유충이 먹이 섭식이 불량하고, 350메쉬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입자가 작아 수분유지에 바람직하지 않다. 참나무 톱밥은 건조된 나무를 참나무 톱밥으로 제조하여 사용할 수도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생나무의 톱밥(생톱밥)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뽕잎은 건조하지 않은 생잎이나 건조된 잎 모두 사용하여도 좋으나, 바람직하게는 건조 후 분말화하여 사용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밀기울은 밀가루 제조 후 남은 찌꺼기이며, 밀의 속껍질이 12~15% 가량 섞여있다. 독특한 식감으로 인해 식재료로도 많이 사용되며 된장이나 누룩 등의 원료로도 쓰이며, 소화가 잘 되어 가축의 사료로도 사용된다. 열량은 적으나 무기물이 많이 들어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EM 발효액은 EM 원액 또는 EM 활성액을 사용할 수 있다. EM(Effective Microorganism)균은 유용한 미생물군의 약자로 자연계에 존재하는 많은 미생물 중에서 사람에게 유익한 미생물 10종 80군을 조합 배양한 복합 미생물 제제이다. EM균을 구성하는 원균은 일반적으로 효모(Yeast), 유산균(Lactic acid bacteria), 누룩균, 광합성세균(photosynthetic bacteria), 방선균(Actinomyces), 사상균(mold fungi) 등 인류가 오래전부터 식품 발효 등에서 이용해 왔던 미생물들이 서로 공생하며 항산화 작용 또는 항산화 물질을 생성하고 부패를 억제하여 자연을 소생시키는 방향으로 이끌어 가는 미생물 군이다. EM균 최초의 개발자인 일본 류큐대학의 히가데루오 교수는 이러한 발효계 미생물을 "유용미생물(EM균)" 이라고 명명하였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EM(Effective-Microorgarnisms) 발효액은, 시중에서 유통되는 EM 원액(종균), EM 활성액 중 어느 것이라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EM 활성액은 물 100 중량부에 당류(과당, 설탕, 꿀, 올리고당으로 이루어진 것 중 선택되는 1종 이상) 0.1~2 중량부를 혼합하고, 상기 당류가 혼합된 물에 EM 원액 5~20 중량부를 섞은 다음 29~35℃의 온도에서 1~5일 동안 혐기성 상태에서 배양하여 만들 수 있으며, 더 바람직하게는 물 100 중량부, 당류 1 중량부, EM 원액 20 중량부를 혼합한 것을 32℃의 온도에서 3일간 배양하여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뽕잎에, 참나무 톱밥, 밀기울, 당류 및 EM 발효액이 포함된 혼합물이 발효된 발효 톱밥이 첨가된 장수수풍뎅이 유충의 사료 조성물을 제공하며, 상기 혼합물의 발효조건은 20~35℃에서 20~30일간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상기 혼합물에는, 상기 혼합물에는 참나무 톱밥 88~96 중량%, 밀기울 1~5 중량%, 당류 1~5 중량% 및 EM 발효액 0.5~2 중량%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혼합물에 참나무 톱밥이 88 중량% 미만이 되어도 목질 소재로부터 성장원을 공급받는 장수풍뎅이의 성장이 더딜 수 있다. 밀기울이 1 중량% 미만이 되거나 당류가 1 중량% 미만이 될 때에도 장수풍뎅이의 성장이 더딜 수 있다. 상기 참나무 톱밥이 96 중량%를 초과하거나, 밀기울이 5 중량%를 초과하거나 당류가 5 중량%를 초과할 때, 각각 상대적으로 다른 구성성분의 공급이 줄어들기 때문에 영양상의 불균형이 일어나 장수풍뎅이 유충의 성장이 저해될 수 있다. EM 발효액은 0.5 중량% 미만이 되면 발효가 잘 되지 않거나 잡균이 발생되어 사료 조성물이 부패될 수 있다. 또한 발효 시간이 길어질 수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 EM 발효액이 2 중량%를 초과하게 되면 사료 조성물이 과발효되고 pH가 변하여 유충이 섭취하기에 좋지 않은 상태로 변질되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으며, 과발효로 인해 EM 균이 너무 우세할 경우 장수풍뎅이의 생육에 바람직하지 않은 영향을 끼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료 조성물용 혼합물을 발효할 때, 참나무 톱밥, 밀기울, 당류 및 EM 발효액이 포함된 혼합물을 발효하는 조건은 바람직하게는 20~35℃의 온도에서 20일~30일간 유지하는 것이 좋다. 상기 온도 조건에서 20℃ 미만이 되면 EM 발효액 내의 미생물이 활성화되지 않아 발효가 잘 수행되지 않을 수 있으며, 35℃를 벗어나도 미생물이 생육하기에 적합한 조건을 벗어나 발효가 잘 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혼합물의 발효 기간이 20일 미만이 되어도 발효가 잘 진행되지 않을 수 있으며 30일을 초과해서 과발효되어 사료 조성물의 이용이 어려울 수 있다.
발효 시의 습도는 바람직하게는 35~85%, 더 바람직하게는 40~70%, 가장 바람직하게는 40~60%의 범위로 유지시켜 주는 것이 적절하다. 상기 조건에서 비지박, 참나무 톱밥, 밀기울, 당류 및 EM 발효액이 포함된 혼합물은 EM 발효액의 발효 작용을 통해, 누디바이러스를 효과적으로 방제하여 장수풍뎅이 유충을 사육하기에 적합한 사료 조성물로서 이용되기에 적절한 상태로 변화한다.
본 발명은 장수풍뎅이 유충의 사료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바람직하게는,
뽕잎을 준비하고,
참나무 톱밥, 밀기울, 당류 및 EM 발효액이 포함된 혼합물을 포함하는 혼합물을 제조한 후 상기 혼합물을 20~35℃의 온도에서 20~30일간 유지하여 발효 톱밥을 제조하는 단계; 및,
뽕잎과 상기 발효톱밥을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장수풍뎅이 유충에 감염을 일으키는 누디바이러스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8-0024813호에 공개된 장수풍뎅이 병원성 바이러스(Allomyrina dichotoma Virus:AdV)와 동일한 것으로서, 남방장수풍뎅이(Oryctes rhinoceros)를 감염시키는 오릭테스 누디바이러스의 유전자[Oryctes rhinoceros virus isolate Ma07 from Malaysia, complete genome](Genbank number : EU747721.1)와 95~99%의 상동성이 있는 것으로 확인된다.
본 발명은 상기 사료 조성물을 장수풍뎅이 유충에게 급이하여 장수풍뎅이를 사육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장수풍뎅이의 사육조건은 본 발명의 사료 조성물을 급이하는 것 외에는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으나, 구체적 일례로서, (1단계) 장수풍뎅이의 알을 채란하고, 상기 알로부터 부화 유충을 얻는 단계;
(2단계) 상기 1단계에서 얻은 부화 유충을 사육하면서 2령 말기에 도달한 유충에 본 발명의 사료 조성물을 공급하며 사육하여 종령 유충을 얻는 단계;
(3단계) 상기 2단계에서 얻은 종령 유충을 용화시켜 번데기를 얻는 단계;
(4단계) 상기 3단계에서 얻은 번데기를 우화시켜 성충을 얻는 단계; 및,
(5단계) 상기 4단계에서 얻은 우화된 성충이 교미 및 산란하도록 유도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장수풍뎅이 유충의 사료 조성물에는 곤충사료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영양제, 방부제, 보존제, 항생제, 비타민 등의 미량 영양성분 등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영양제, 방부제, 보존제, 항생제, 미량 영양성분 등은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가 통상적으로 사료에 첨가하는 함량으로 임의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료 조성물을 장수풍뎅이 유충에 공급할 경우, 자연상태로 자란 장수풍뎅이 유충에 비해 크기 및 무게가 증가하고, 누디 바이러스의 방제 효과가 매우 뛰어나 유충의 생존율이 크게 증가하면서 성장이 양호하게 되므로, 크기 및 무게를 월등히 증가된 양질의 장수풍뎅이 유충 또는 성충을 공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서 장수풍뎅이 유충의 사육 환경으로 온도는 23~30℃인 것이 바람직하고, 광주기는 15~17L(Light; 명기), 9~7D(Dark; 암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장수풍뎅이 유충을 사육하는 사육상자는 일정기간을 두고 세척, 소독하거나 교환함으로써 청결을 유지하여 유충이 질병에 걸리지 않도록 하고, 보습시 멸균수를 적신 티슈를 용기에 넣어 습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습도는 60~70% R.H.로 유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사육상자는 곤충의 유충 또는 성충의 사육에 이용되는 것이라면 어떤 것이라도 사용가능하나, 뚜껑에 구멍이 일정하게 있는 것으로서(바람직하게는 3~5mm 간격으로 구멍이 있는 것), 유리 또는 플라스틱 상자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상자의 크기 또한 어떤 크기의 것이든 사용 가능하며, 일 예로서, 270(세로)x400(가로)x270(높이)(mm)를 사용할 수 있다.
장수풍뎅이 유충이 용화되어 번데기가 되면, 번데기가 마르지 않도록 물 스프레이를 이용하여 수시로 수분을 보충하여 주는 것이 바람직하고, 사람의 손을 번데기에 대지 않도록 주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용화된 번데기는 우화시켜 성충을 얻을 수 있다. 우화된 성충은 교미하고 산란하도록 유도하여 다음 세대로 번식가능하다.
본 발명의 사료 조성물은 장수풍뎅이 유충 또는 성충의 급이에 모두 사용할 수 있지만, 성충의 급이에는 젤리(jelly)와 식용단백질이 포함된 성충용 혼합 사료용 조성물을 추가로 급이할 수도 있다. 상기 성충용 혼합 사료용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1주일에 2~3회 급이할 수 있다. 상기 성충용 혼합 사료용 조성물은 젤리 100 중량부 기준으로 식용단백질이 4~6 중량부가 함유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젤리는 펙틴, 젤라틴, 한천, 알긴산 등의 교질분을 재료로 응고시킨 식품으로, 젤라틴과 한천 등에 과즙이나 설탕 등의 당분을 넣어 굳혀서 젤(gel) 상태로 제조된 것이며, 시판되는 것을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식용 단백질로는 카제인, 분유, 대두 단백질, 대두분, 대두박, 미강, 쌀단백질 등의 통상 사용되는 식재료나 사료 조성물로서 사용되는 단백질류의 식품이라면 어느 것이든지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뽕잎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수풍뎅이 누디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하며, 톱밥과 같은 다른 먹이원에 포함되어 상기 감염증을 치료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뽕잎을 함유하는 장수풍뎅이 누디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또는 개선용 사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조성물을 장수풍뎅이 유충에 공급하고 그 급이 시기를 조절함으로써, 기존에 누디바이러스 감염으로 인해 번데기 시기 전에 대부분 사멸되던 장수풍뎅이 유충을 성충 시기까지 건강하게 사육하는 것이 가능해졌다.
도 1은 바이러스에 감염된 2령 시기부터 뽕잎 분말이 5중량%가 함유된 사료 조성물을 9주간 급이한 후 살아남은 장수풍뎅이 유충의 크기를 비교하여 나타낸 사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지도록,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충분히 전달하기 위해 제공하는 것이다.
<실시예 1. 사료 조성물의 제조>
참나무 톱밥 93g, 밀기울 3g, 설탕 3g, EM 원액 1g을 혼합하여 25℃에서 25일간 발효하여 발효톱밥을 제조하였다. 이 발효톱밥과 뽕잎 분말을 혼합하여 사료 조성물을 제조하되, 뽕잎 분말이 각각 1 중량%, 5 중량%가 되도록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장수풍뎅이의 2령 유충에 대한 뽕잎 함유 사료 조성물의 급이, 생존 상태와 체중 확인>
바이러스에 감염된 2령 초기의 장수풍뎅이 유충을 선택하여 준비하고, 각각의 실험군과 대조군에는 30두 또는 15두씩 유충을 준비하였다. 실험을 위해서는 유충을 1두씩 insect breeding 통에 넣은 후 먹이를 공급하였는데, 실험군에는 뽕잎 분말이 1 중량% 또는 5 중량% 함유된 사료 조성물(전체 100g 사료에서 뽕잎 분말 각각 1g, 5g이고 나머지는 발효톱밥)을 급이하고, 대조군에는 다른 것이 첨가되지 않은 발효톱밥만 급이하였다.
실험은 28일(4주)에서부터 최대 63일(9주) 간 수행하였고, 생존한 개체수 또는 유충의 무게를 측정하였다. 또한 실험 수행 동안에는 톱밥에 적당한 수분을 주기 위해 1주일에 한번씩 5ml 정도의 3차 증류수를 톱밥에 뿌려주었다.
- 사육 조건: 온도 26~28℃, 습도 50~60%
- 유충의 무게와 치사율 확인 : 7일에 한번씩 확인
실험 결과, 하기의 표 1과 표 2에서 확인된 바와 같이, 발효톱밥만 제공된 대조군에서는 시간이 흐를수록 바이러스 감염 상태에서 먹이를 잘 먹지 못하다가 체중저하 현상이 나타나거나(1주째), 발육상태가 좋지 않은 상태를 유지하면서 대부분의 유충이 사멸되었다.
대조군 시작일 1주 4주 9주
살아있는 개체수 30두 10두 1두 1두
살아있는 개체의 평균 체중 0.939g 0.601g 2.630g 6.770g
뽕잎 분말 5 중량% 처리군 시작일 1주 4주 9주
살아있는 개체수 30두 30두 25두 25두
살아있는 개체의 평균 체중 0.895g 2.467g 4.426g 9.481g
대조군 시작일 4주
살아있는 개체수 15두 0두
살아있는 개체의 평균 체중 1.024g (측정 불가)
뽕잎 분말 1 중량% 처리군 시작일 4주
살아있는 개체수 15두 13두
살아있는 개체의 평균 체중 1.001g 3.932g
반면, 뽕잎 분말 1~5 중량%와 발효톱밥이 포함된 사료 조성물을 공급한 실험군에서는 높은 생존율을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되며, 체중도 현저하게 증가하는 것으로 확인되며, 유충의 외형 또한 바이러스에 감염되지 않은 유충과 상태가 거의 비슷한 건강한 상태로 회복되었다.
또한 뽕잎 분말의 5 중량% 처리군이 1 중량% 처리군에 비해 4주째에서 좀 더 체중이 증가되는 것을 알 수 있고, 이 때의 뽕잎 분말의 5 중량% 처리군 유충의 체중은, 바이러스에 한번도 감염되지 않고 건강한 상태로 자란 다른 유충과 거의 유사하였다.
이 실험을 다시 반복하여 실험하여도 유사한 결과가 나타났는데, 발효톱밥만 급이된 바이러스 감염 유충의 경우, 4주째에 거의 사멸되며, 9주째까지 산다해도 크기면에서 도 1(좌:발효톱밥처리군, 우:발효톱밥+5중량% 뽕잎처리군)과 같이 현저하게 차이가 나기 때문에 장수풍뎅이의 유충을 사육하는 데에 있어서 뽕잎의 공급이 매우 중요함을 입증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장수풍뎅이 유충의 바이러스 감염 여부는 육안 검증을 통해 확인하였다. 육안 검증의 경우, 건강한 장수풍뎅이 유충은 톱밥 때문에 장 부분만 검정색을 띄는 형태이고 단단한 상태를 유지한다. 바이러스에 감염이 되면, 유충의 먹이활동이 둔화되고 체액이 과다하게 증가되며 하복부가 팽윤되면서 물렁증을 보이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이는 유충 전체적으로 검은색을 띠는 현상이 발생하는 곰팡이나 박테리아 감염과는 확연하게 대비되는 증상으로 바이러스성 질환의 진단 이유가 된다.
또한 육안검증을 통해 바이러스 감염된 유충이 사멸하면, 한국공개특허 제10-2018-0024813호의 방법으로 바이러스에 대한 유전자 검출을 하여 측정하여 다른 장수풍뎅이의 질병이 아닌 누디바이러스 감염으로 인해 사멸했음을 확인하였다.

Claims (5)

  1. 뽕잎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수풍뎅이 누디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또는 개선용 사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료 조성물에는 참나무 톱밥, 밀기울, 당류 및 EM 발효액이 포함된 혼합물이 발효된 발효톱밥이 추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수풍뎅이 누디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또는 개선용 사료 조성물.
  3. 뽕잎; 및, 참나무 톱밥, 밀기울, 당류 및 EM 발효액이 포함된 혼합물을 발효한 발효 톱밥;을 혼합하여 장수풍뎅이 유충의 사료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
  4. (1단계) 장수풍뎅이의 알을 채란하고, 상기 알로부터 부화 유충을 얻는 단계;
    (2단계) 상기 1단계에서 얻은 부화 유충을 사육하면서 2령 시기의 유충에 제1항의 사료 조성물을 공급하며 사육하여 종령 유충을 얻는 단계;
    (3단계) 상기 2단계에서 얻은 종령 유충을 용화시켜 번데기를 얻는 단계;
    (4단계) 상기 3단계에서 얻은 번데기를 우화시켜 성충을 얻는 단계; 및,
    (5단계) 상기 4단계에서 얻은 우화된 성충이 교미 및 산란하도록 유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수풍뎅이의 사육 방법.
  5. 뽕잎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수풍뎅이 누디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0180069671A 2018-06-18 2018-06-18 뽕잎을 함유하는 장수풍뎅이 누디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또는 개선용 사료 조성물 Active KR1021456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9671A KR102145624B1 (ko) 2018-06-18 2018-06-18 뽕잎을 함유하는 장수풍뎅이 누디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또는 개선용 사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9671A KR102145624B1 (ko) 2018-06-18 2018-06-18 뽕잎을 함유하는 장수풍뎅이 누디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또는 개선용 사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42564A true KR20190142564A (ko) 2019-12-27
KR102145624B1 KR102145624B1 (ko) 2020-08-20

Family

ID=690626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9671A Active KR102145624B1 (ko) 2018-06-18 2018-06-18 뽕잎을 함유하는 장수풍뎅이 누디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또는 개선용 사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562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77398A (ko) * 2019-12-17 2021-06-25 전라남도 쌍별귀뚜라미의 유리 아미노산의 함량 증가용 사료보조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그에 따른 조성물
KR20210154003A (ko) 2020-06-11 2021-12-20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장수풍뎅이 누디바이러스 검출을 위한 프라이머 세트 및 이를 이용한 진단 방법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6501B1 (ko) 2000-07-05 2007-12-17 윤주삼 풍뎅이과 애벌레의 혼합사료 조성물
KR20100056064A (ko) * 2008-11-19 2010-05-27 주식회사 바이오리쏘스 뽕잎을 함유하는 기능성 사료 및 그의 제조 방법
CN104256174A (zh) * 2014-09-30 2015-01-07 浙江海洋学院 松江鲈鱼用复合免疫增强剂及其制备方法
KR101672174B1 (ko) 2016-04-04 2016-11-17 이더블 주식회사 곤충 먹이용 것로딩 젤과 그 제조방법
KR20180002307A (ko) 2016-06-29 2018-01-08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흰점박이꽃무지 백강병 방제용 조성물
KR20180024813A (ko) 2016-08-31 2018-03-08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장수풍뎅이 병원성 바이러스 또는 오릭테스 누디바이러스의 감염 진단을 위한 등온 핵산연쇄중합법용 프라이머 세트 및 이를 이용한 장수풍뎅이 병원성 바이러스 또는 오릭테스 누디바이러스 감염 진단법
KR20180062536A (ko) * 2016-11-30 2018-06-11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감귤 부산물을 포함하는 흰점박이꽃무지 유충 사료 및 이를 이용한 흰점박이꽃무지 유충의 사육방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6501B1 (ko) 2000-07-05 2007-12-17 윤주삼 풍뎅이과 애벌레의 혼합사료 조성물
KR20100056064A (ko) * 2008-11-19 2010-05-27 주식회사 바이오리쏘스 뽕잎을 함유하는 기능성 사료 및 그의 제조 방법
CN104256174A (zh) * 2014-09-30 2015-01-07 浙江海洋学院 松江鲈鱼用复合免疫增强剂及其制备方法
KR101672174B1 (ko) 2016-04-04 2016-11-17 이더블 주식회사 곤충 먹이용 것로딩 젤과 그 제조방법
KR20180002307A (ko) 2016-06-29 2018-01-08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흰점박이꽃무지 백강병 방제용 조성물
KR20180024813A (ko) 2016-08-31 2018-03-08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장수풍뎅이 병원성 바이러스 또는 오릭테스 누디바이러스의 감염 진단을 위한 등온 핵산연쇄중합법용 프라이머 세트 및 이를 이용한 장수풍뎅이 병원성 바이러스 또는 오릭테스 누디바이러스 감염 진단법
KR20180062536A (ko) * 2016-11-30 2018-06-11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감귤 부산물을 포함하는 흰점박이꽃무지 유충 사료 및 이를 이용한 흰점박이꽃무지 유충의 사육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77398A (ko) * 2019-12-17 2021-06-25 전라남도 쌍별귀뚜라미의 유리 아미노산의 함량 증가용 사료보조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그에 따른 조성물
KR20210154003A (ko) 2020-06-11 2021-12-20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장수풍뎅이 누디바이러스 검출을 위한 프라이머 세트 및 이를 이용한 진단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45624B1 (ko) 2020-08-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80187574A1 (en) Mycellated grain and other myceliated agricultural materials to be used as animal food supplement
KR101997365B1 (ko) 농업부산물을 활용한 갈색거저리 전용 사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갈색거저리의 사육방법
KR19990082623A (ko) 동물 사료
CN1057563C (zh) 一种枯草芽孢杆菌菌株及其应用
CN105475623A (zh) 一种生态真菌复合饲料的生产方法及饲喂方法
KR102145624B1 (ko) 뽕잎을 함유하는 장수풍뎅이 누디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또는 개선용 사료 조성물
KR101018270B1 (ko) 식품폐기부산물을 이용한 발효사료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한 발효사료
CN104230570A (zh) 一种莲藕种植专用生物有机肥
RU2725801C1 (ru) Способ повышения эффективности выращивания молоди осетровых рыб
CN108740313A (zh) 一种微生物饲料添加剂
CN108541665A (zh) 一种富硒黄粉虫的养殖方法
KR100839038B1 (ko) 유기대사물 함유 생균복합제 및 그 제조방법
MXPA05001725A (es) El uso de germen de trigo fermentado en la alimentacion y practica veterinaria.
KR102448416B1 (ko) 굼벵이와 비타민 c를 혼합한 간손상 개선용 굼벵이 건강보조식품 제조방법
JP4052535B2 (ja) 動物用薬剤及び動物用飼料
KR102393124B1 (ko) 동애등에와 곤충키틴을 포함하는 발효 곤충사료첨가제의 제조방법 및 그에 따라 제조된 발효 곤충사료첨가제
CN1177637A (zh) 一种枯草芽孢杆菌活菌制剂及其制做方法
RU2292156C1 (ru) Способ выращивания бройлеров
Mutlag et al. Assessment of the addition of oyster mushroom (Pleurotus ostreatus) on the weights sectors ratios and giblets weight of broiler chicken and microbial contents
KR100585500B1 (ko) 양식 민물장어 사료첨가제 및 이것을 함유한 양식민물장어 사료
KR100877975B1 (ko) 민들레를 함유한 양계용 발효 사료 조성물 및 이의제조방법
KR101858222B1 (ko) 차콜을 포함하는 꽃송이버섯 대량생산용 배지 기술 및 이를 이용한 폐사율 저감방법
JP2007137888A (ja) 植物用薬剤
JPH0231651A (ja) 飼料
KR102461003B1 (ko) 발효 동충하초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가축용 사료 첨가제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0618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06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1231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00625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2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of national patent

Patent event code: PR0702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of National Patent

Patent event date: 2020081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00811

End annual number: 20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