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90131279A - 세탁기 - Google Patents

세탁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31279A
KR20190131279A KR1020180055960A KR20180055960A KR20190131279A KR 20190131279 A KR20190131279 A KR 20190131279A KR 1020180055960 A KR1020180055960 A KR 1020180055960A KR 20180055960 A KR20180055960 A KR 20180055960A KR 20190131279 A KR20190131279 A KR 201901312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tergent
mixed water
tub
circulation hose
circulat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59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43851B1 (ko
Inventor
이건웅
조황묵
김진백
김현주
박준홍
서응렬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559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43851B1/ko
Priority to US17/054,016 priority patent/US11834773B2/en
Priority to PCT/KR2019/005719 priority patent/WO2019221462A1/ko
Priority to EP19804455.4A priority patent/EP3779021B1/en
Publication of KR201901312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12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38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3851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2Devices for adding soap or other washing agents
    • D06F39/026Devices for adding soap or other washing agents the powder or tablets being added directly, e.g. without the need of a flushing liqu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1/00Dissolving
    • B01F21/20Dissolving using flow mix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5/00Flow mixers; Mixers for falling materials, e.g. solid p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5/00Flow mixers; Mixers for falling materials, e.g. solid particles
    • B01F25/10Mixing by creating a vortex flow, e.g. by tangential introduction of flow components
    • B01F5/0057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17/00Washing machines having receptacles, stationary for washing purposes, wherein the washing action is effected solely by circulation or agitation of the washing liquid
    • D06F17/06Washing machines having receptacles, stationary for washing purposes, wherein the washing action is effected solely by circulation or agitation of the washing liquid by rotary impellers
    • D06F17/10Impell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3/00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washing machines or washer-dryers 
    • D06F33/30Control of washing machine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33/32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 D06F33/37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of metering of detergents or additiv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2Devices for adding soap or other washing ag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2Devices for adding soap or other washing agents
    • D06F39/024Devices for adding soap or other washing agents mounted on the agitator or the rotating drum; Free body dispens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2Devices for adding soap or other washing agents
    • D06F39/028Arrangements for selectively supplying water to detergent compart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3Liquid discharge or recirculation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3Liquid discharge or recirculation arrangements
    • D06F39/085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pum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101/00Mixing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mixed materials or by the application field
    • B01F2101/4505Mixing ingredients comprising detergents, soaps, for washing, e.g. washing machin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02Water suppl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06Recirculation of washing liquids, e.g. by pumps or diverting val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Abstract

터브에 저수된 혼합수에 용해되지 않고 남아있는 가루 세제의 용해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세탁기를 제공한다.
세탁기는 세제 공급 장치를 갖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 내부에 상기 세제공급장치와 연결되도록 마련되며, 상기 세제공급장치로 급수된 세탁수와 가루 세제가 혼합된 혼합수가 저수되는 터브, 상기 터브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드럼, 상기 터브와 상기 드럼을 연결하여 상기 터브 하부에 저수된 혼합수가 순환되도록 하는 순환호스, 상기 순환호스를 통해 순환되는 혼합수에 와류를 발생시켜 가루 세제의 용해도를 향상시키는 세제용해장치 및 상기 순환호스에 마련되며, on/off 제어를 통해 상기 세제용해장치로 혼합수의 급수 및 배수가 반복되도록 하는 순환펌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세탁기{WASHING MACHINE}
본 발명은 터브에 저수된 혼합수에 용해되지 않고 남아있는 가루 세제의 용해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세탁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드럼세탁기는 캐비닛의 내부에 수평으로 배치된 드럼이 시계방향과 반시계 방향으로 교번 회전함에 따라 세탁물이 세탁수와 함께 드럼의 내주면을 따라 상향으로 올려진 후에 낙하하게 함으로써 세탁물을 세탁하게 된다.
캐비닛에는 터브로 세제를 공급하는 세제공급장치가 마련되며, 외부에서 급수되는 세탁수는 세제공급장치를 경유하여 세탁수와 세제가 혼합된다.
세탁수와 세제가 혼합된 혼합수는 공급관에 의해 터브로 공급되는데, 세제가 가루 세제인 경우 터브로 공급된 혼합수에는 가루 세제의 일부가 용해되지 않고 남아있게 된다.
혼합수 내에 용해되지 않은 가루 세제는 터브의 바닥에 침전되는데, 침전된 가루 세제는 드럼의 회전에 의해 일정 수준까지는 용해가 되지만, 전부 용해되지는 않는다.
혼합수 내의 가루 세제를 용해시키기 위해 터브와 드럼을 순환유로로 연결하고, 순환펌프에 의해 혼합수가 펌핑되도록 하여 혼합수가 터브와 드럼 사이를 순환하면서 혼합수 내의 가루 세제가 용해되도록 할 수 있다.
그러나, 순환유로를 통해 터브와 드럼 사이를 순환하는 혼합수는 터브에서 드럼으로 향하는 한 방향으로만 순환되기 때문에, 혼합수 내의 가루 세제를 용해시키는데는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터브에 저수된 혼합수에 용해되지 않고 남아있는 가루 세제의 용해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세탁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세탁기는 세제 공급 장치를 갖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 내부에 상기 세제공급장치와 연결되도록 마련되며, 상기 세제공급장치로 급수된 세탁수와 가루 세제가 혼합된 혼합수가 저수되는 터브, 상기 터브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드럼, 상기 터브와 상기 드럼을 연결하여 상기 터브 하부에 저수된 혼합수가 순환되도록 하는 순환호스, 상기 순환호스를 통해 순환되는 혼합수에 와류를 발생시켜 가루 세제의 용해도를 향상시키는 세제용해장치 및 상기 순환호스에 마련되며, on/off 제어를 통해 상기 세제용해장치로 혼합수의 급수 및 배수가 반복되도록 하는 순환펌프를 포함한다.
상기 세제용해장치는 상기 순환펌프보다 높은 위치에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순환펌프가 on이 되도록 제어되면, 상기 터브 하부에 저수된 혼합수는 상기 순환호스를 통해 상기 세제용해장치로 급수될 수 있다.
상기 세제용해장치로 급수된 혼합수는 상기 세제용해장치에서 발생되는 와류에 의해 상기 세제용해장치 내부에서 체류되는 시간이 증가되고, 증가된 시간만큼 가루 세제의 용해도가 향상된 혼합수가 상기 드럼으로 공급될 수 있다.
상기 순환펌프가 off가 되도록 제어되면, 상기 세제용해장치 내부로 급수된 혼합수는 중력에 의해 상기 세제용해장치로부터 상기 순환펌프를 향해 배수될 수 있다.
상기 세제용해장치에서 배수되는 혼합수는 상기 세제용해장치에서 발생되는 와류에 의해 상기 세제용해장치 내부에서 체류되는 시간이 증가되고, 증가된 시간만큼 가루 세제의 용해도가 향상된 혼합수가 상기 터브로 공급될 수 있다.
상기 순환펌프는 혼합수가 상기 세제용해장치에서 넘치는 것이 방지되도록 혼합수가 상기 세제용해장치에 급수 및 배수되는 시간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순환호스는 상기 터브와 상기 순환펌프를 연결하는 제1순환호스와, 상기 순환펌프와 상기 세제용해장치를 연결하는 제2순환호스와, 상기 세제용해장치와 상기 드럼을 연결하는 제3순환호스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세제용해장치는 와류를 발생시키는 와류발생부재와, 상기 와류발생부재에 의해 와류가 발생된 혼합수가 유동하는 유동부와, 상기 와류발생부재가 고정되도록 상기 유동부의 하부에 마련되는 와류발생부재 고정부와, 상기 와류발생부재 고정부의 하부에 마련되어 상기 제2순환호스와 연결되는 제1연결부와, 상기 유동부의 상부에 마련되어 상기 제3순환호스와 연결되는 제2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순환펌프의 on/off 제어에 의해 혼합수는 상기 유동부 내부로 급수되거나 상기 유동부 내부에서 배수될 수 있다.
상기 제2연결부는 상기 유동부의 가장 높은 부분에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와류발생부재 고정부는 상기 제1연결부와 상기 유동부를 연통시키는 연통부와, 상기 와류발생부재가 고정되는 고정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와류발생부재는 원통형의 테두리부와, 상기 테두리부 내측에 마련되어 와류를 발생시키는 임펠러 형상의 와류발생부와, 상기 테두리부의 외측에 마련되어 상기 고정돌기에 끼워져 고정되는 고정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와류발생부재는 원통형의 테두리부와, 상기 테두리부에서 상기 테두리부의 내측으로 복수개가 연장되도록 마련되어 와류를 발생시키는 배플 형상의 와류발생부와, 상기 테두리부의 외측에 마련되어 상기 고정돌기에 끼워져 고정되는 고정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세제용해장치는 혼합수가 유동하는 유동부와, 상기 유동부의 내측면에 일체로 마련되며 와류를 발생시키도록 나선 형상을 갖는 와류발생부재와, 상기 유동부의 하부에 마련되어 상기 제2순환호스와 연결되는 제1연결부와, 상기 유동부의 상부에 마련되어 상기 제3순환호스와 연결되는 제2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세탁기는 세제 공급 장치를 갖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 내부에 상기 세제공급장치와 연결되도록 마련되며, 상기 세제공급장치로 급수된 세탁수와 가루 세제가 혼합된 혼합수가 저수되는 터브, 상기 터브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드럼, 상기 터브와 상기 드럼을 연결하여 상기 터브 하부에 저수된 혼합수가 순환되도록 하는 순환호스, 상기 순환호스를 통해 혼합수가 순환되도록 혼합수를 펌핑하는 순환펌프 및 상기 순환호스를 통해 순환되는 혼합수에 와류를 발생시키는 임펠러 형상의 와류발생부재를 갖는 세제용해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순환호스는 상기 터브와 상기 순환펌프를 연결하는 제1순환호스와, 상기 순환펌프와 상기 세제용해장치를 연결하는 제2순환호스와, 상기 세제용해장치와 상기 드럼을 연결하는 제3순환호스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세제용해장치는 상기 와류발생부재에 의해 와류가 발생된 혼합수가 유동하는 유동부와, 상기 와류발생부재가 고정되도록 상기 유동부의 하부에 마련되는 와류발생부재 고정부와, 상기 와류발생부재 고정부의 하부에 마련되어 상기 제2순환호스와 연결되는 제1연결부와, 상기 유동부의 상부에 마련되어 상기 제3순환호스와 연결되는 제2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순환펌프의 on/off 제어에 의해 혼합수는 상기 유동부 내부로 급수되거나 상기 유동부 내부에서 배수되어 상기 순환호스의 양 방향으로 유동될 수 있다.
상기 순환펌프의 on/off 제어를 통해 혼합수는 상기 유동부 내부로 급수되거나 상기 유동부 내부에서 배수되는 시간이 조절되어 혼합수가 상기 유동부에서 넘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터브에 저수된 혼합수에 남아있는 가루 세제의 용해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측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도어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세제용해장치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세제용해장치 내부에 와류발생부재가 고정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세제용해장치의 와류발생부재가 와류발생부재 고정부에 고정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순환펌프가 on 일 때, 혼합수가 순환되는 방향을 표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순환펌프가 off 일 때, 혼합수가 순환되는 방향을 표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세제용해장치 내부에 와류발생부재가 고정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세제용해장치의 와류발생부재가 와류발생부재 고정부에 고정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세제용해장치를 도시한 도면.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개시된 발명의 바람직한 일 예에 불과할 뿐이며, 본 출원의 출원시점에 있어서 본 명세서의 실시예와 도면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각 도면에서 제시된 동일한 참조번호 또는 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품 또는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개시된 발명을 제한 및/또는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으며,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한편, 하기의 설명에서 사용된 용어 “선단”, “후단”, “상부”, “하부”, “전면”, “후면”, “상단” 및 “하단”등은 도면을 기준으로 정의한 것이며, 이 용어에 의하여 각 구성요소의 형상 및 위치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측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도어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탁기는 외관을 형성하고 내부에 각종 구성품을 수용하는 캐비닛(10)과, 세탁수와 세제가 혼합된 혼합수를 저수하도록 캐비닛(10)의 내부에 마련되는 터브(20)와, 터브(20) 내부에 마련되어 세탁물을 수용하고 회전하는 드럼(30)과, 드럼(30)을 회전시키는 구동장치(60)를 포함한다.
캐비닛(10)은 대략 박스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전면판(11a)과, 후면판(11b)과, 상면판(11c)과, 바닥판(11d)과, 측면판(11e)을 포함할 수 있다.
전면판(11a)에는 사용자로부터 동작 명령을 입력 받는 입력부(12a)와 세탁기의 동작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12b)를 갖는 컨트롤 패널(12)이 마련될 수 있다.
전면판(11a)에는 드럼(30)의 내부로 세탁물을 투입할 수 있도록 투입구(13)가 형성될 수 있다.
전면판(11a)에 마련되는 투입구(13)는 도어(40)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도어(40)는 힌지 부재(미도시)에 의해 캐비닛(10)의 전면판(11a)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도어(40)는 도어 프레임(41)과, 글라스 부재(43)로 구성될 수 있다.
글라스 부재(43)는 캐비닛(10) 내부를 투시할 수 있도록 투명한 강화 유리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글라스 부재(43)는 세탁물이 도어(40) 측으로 치우치는 것이 방지되도록 터브(20)의 내부를 향해 돌출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캐비닛(10)의 상부에는 터브(20)의 내부로 세탁수를 공급하기 위한 급수 장치(14)가 마련될 수 있다.
급수 장치(14)는 외부의 급수원으로부터 세탁수가 공급되는 급수관(14a)과, 급수관(14a)을 개폐하는 급수 밸브(14b)로 구성될 수 있다.
캐비닛(10)의 전방 상부에는 터브(20)에 세제를 공급하는 세제공급장치(15)가 마련될 수 있다.
세제공급장치(15)는 공급관(16)을 통해 터브(20)와 연결될 수 있다.
급수관(14a)을 통해 공급되는 세탁수는 세제공급장치(15)를 경유하여 세제와 혼합되며, 세탁수와 세제가 혼합된 혼합수는 터브(20)의 내부로 공급될 수 있다.
터브(20)의 후면에는 드럼(30)을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구동장치(60)가 마련될 수 있다.
구동장치(60)는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구동 모터(61)와, 구동 모터(61)에서 발생된 회전력을 드럼(30)으로 전달하는 구동축(67)을 포함할 수 있다.
구동 모터(61)는 고정된 스테이터(63)와, 스테이터(63)와 전자기적으로 상호 작용하여 회전하는 로터(65)로 구성되어, 전기력을 기계적 회전력을 전환시킬 수 있다.
구동축(67)은 구동 모터(71)의 로터(65)에 압입되어 로터(65)와 함께 회전하도록 마련되며, 터브(20)의 후벽을 관통하여 드럼(30)과 구동 모터(61)를 연결할 수 있다.
터브(20)는 세탁수와 세제가 혼합된 혼합수를 저수하며 대략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터브(20)는 캐비닛(10)의 내부에 고정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터브(20)는 그 중심축이 수평면에 다소 경사지게 배치되고 있으나 이와 달리 평행하게 배치될 수도 있다.
터브(20)의 전면에는 투입구(13)에 대응되도록 개구(21)가 형성될 수 있다.
전면판(11a)의 투입구(13)와, 터브(20)의 개구(21)는 다이아프램(50)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다이아프램(50)은 전면판(11a)의 투입구(13)와 터브(20)의 개구(21) 사이의 통로를 형성하여, 투입구(13)로 투입된 세탁물을 드럼(30)의 내부로 안내하고, 드럼(30)의 회전 시에 발생하는 진동이 캐비닛(10)으로 전달되는 것을 저감한다.
다이아프램(30)의 대략 좌측 상부에는 하기할 순환호스(80)와 연결되어 순환호스(80)에 의해 순환되는 혼합수를 드럼(30)의 내부로 분사하는 분사노즐(70)이 마련될 수 있다.
분사노즐(70)은 드럼(30)의 내부에 수용되는 세탁물 전체에 고르게 혼합수를 분사할 수 있다.
드럼(30)은 전면이 개방된 대략 원통 형상을 가지며, 터브(20)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드럼(30)은 그 중심축이 터브(20)의 중심축과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드럼(30)은 터브(20) 내부에서 회전하면서 세탁물을 상승 및 낙하시킴으로써 세탁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드럼(30)의 내주면에는 드럼(30)이 회전할 때 세탁물을 상승시키는 복수의 리프터(31)가 마련될 수 있다.
드럼(30)의 둘레에는 터브(20)에 저수된 혼합수가 유통되도록 다수의 통공(33)이 형성될 수 있다.
혼합수는 터브(20)의 하부에 저수되는데, 세제공급장치(15)에서 공급되는 세제가 가루 세제인 경우 급수 장치(14)에서 공급되는 세탁수와 가루 세제가 혼합된 혼합수에는 용해되지 않은 가루 세제가 남아있을 수 있다.
혼합수에서 용해되지 않고 남아있는 가루 세제는 드럼(30)의 회전에 의해 일정 수준까지는 용해가 될 수 있지만, 모든 가루 세제가 용해되지는 않고, 터브(20)의 하부에 침전될 수 있다.
세탁기는 혼합수에 남아있는 가루 세제의 용해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터브(20)와 드럼(30) 사이에서 혼합수가 순환되도록 하는 순환호스(80)를 포함할 수 있다.
혼합수가 터브(20)와 드럼(30) 사이에서 순환될 수 있도록 순환호스(80)는 터브(20)와 드럼(30)을 연결할 수 있다.
순환호스(80)와 드럼(30)이 연결되는 부분에는 분사노즐(70)이 마련되어 순환호스(80)를 통해 터브(20)로부터 드럼(30)으로 공급되는 혼합수는 분사노즐(70)을 통해 드럼(30) 내부로 분사될 수 있다.
혼합수는 순환호스(80)를 통해 터브(20)와 드럼(30) 사이를 순환하는 유동을 반복하여 혼합수에 용해되지 않고 남아있는 가루 세제의 용해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순환호스(80)에는 혼합수가 순환호스(80)를 통해 순환될 수 있도록 터브(20)의 하부에 저수된 혼합수를 펌핑하는 순환펌프(90)가 마련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세탁기는 배수 행정 시에 터브(20)에 저수된 혼합수를 캐비닛(10) 외부로 배수시키는 배수호스(미도시)와, 배수호스를 통해 혼합수가 배수되도록 혼합수를 펌핑하는 배수펌프(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순환호스(80)에는 순환호스(80)를 통해 순환되는 혼합수에 와류를 발생시켜 가루 세제의 용해도를 향상시키는 세제용해장치(100)가 마련될 수 있다.
순환호스(80)는 터브(20)와 순환펌프(90)를 연결하는 제1순환호스(81)와, 순환펌프(90)와 세제용해장치(100)를 연결하는 제2순환호스(83)와, 세제용해장치(100)와 드럼(30)을 연결하는 제3순환호스(85)를 포함할 수 있다.
순환펌프(90)는 제1순환호스(81)와 제2순환호스(83) 사이에 마련되어 제1순환호스(81)에 의해 터브(20)와 연결될 수 있다.
순환펌프(90)의 on/off 제어를 통해 순환호스(80)를 순환하는 혼합수는 세제용해장치(100)로 급수되거나, 세제용해장치(100)로부터 배수되는데, 이에 대해서는 하기하도록 한다.
세제용해장치(100)는 제2순환호스(83)와 제3순환호스(85) 사이에 마련되며, 순환호스(80)를 통해 순환되는 혼합수에 와류를 발생시켜 혼합수에 용해되지 않고 남아있는 가루 세제의 용해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세제용해장치(100)는 순환펌프(90)가 off되었을 때, 중력에 의해 혼합수가 세제용해장치(100)로부터 배수될 수 있도록, 순환펌프(90)보다 높은 위치에 마련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세제용해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세제용해장치 내부에 와류발생부재가 고정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세제용해장치의 와류발생부재가 와류발생부재 고정부에 고정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내 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제용해장치(100)는 와류를 발생시키는 와류발생부재(110)와, 와류발생부재(110)에 의해 와류가 발생된 혼합수가 유동하는 유동부(120)와, 와류발생부재(110)가 고정되도록 유동부(120)의 하부에 마련되는 와류발생부재 고정부(130)와, 와류발생부재 고정부(130)의 하부에 마련되어 제2순환호스(83)와 연결되는 제1연결부(140)와, 유동부(120)의 상부에 마련되어 제3순환호스(85)와 연결되는 제2연결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와류발생부재(110)는 제2순환호스(83)를 통해 세제용해장치(100) 내부로 급수되는 혼합수에 와류가 발생되도록 하여 혼합수가 세제용해장치(100) 내부에서 체류되는 시간이 증가되도록 할 수 있다.
혼합수가 세제용해장치(100) 내부에서 체류되는 시간이 증가되면, 증가된 시간 만큼 혼합수의 유동시간이 증가되기 때문에, 혼합수에 용해되지 않고 남아있는 가루 세제의 용해도가 향상될 수 있다.
와류발생부재(110)는 원통형의 테두리부(111)와, 테두리부(111) 내측에 마련되어 와류를 발생시키는 임펠러 형상의 와류발생부(113)와, 테두리부(111)의 외측에 마련되어 와류발생부재 고정부(130)에 고정되는 고정홈(117)을 포함할 수 있다.
임펠러 형상의 와류발생부(113)를 통과하는 혼합수는 유동을 방해하는 임펠러 형상의 와류발생부(113)에 의해 압력은 상승하고 방향이 바뀌면서 와류를 형성할 수 있다.
고정홈(117)은 하기할 와류발생부재 고정부(130)의 고정돌기(133)에 끼워져 와류발생부재(110)가 와류발생부재 고정부(130)에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도면 상에는 와류발생부재(110)가 와류발생부재 고정부(130)에 회전 되지 않도록 고정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임펠러 형상의 와류발생부(113)가 회전될 수 있도록 와류발생부재(110)가 와류발생부재 고정부(130)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될 수도 있다.
유동부(120)는 와류발생부재(110)의 상부에 내부가 비어있는 원통형상을 갖도록 마련되며, 와류발생부재(110)를 통과하여 와류가 형성된 혼합수가 유동되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와류발생부재 고정부(130)는 유동부(120)의 하부에 마련될 수 있다.
와류발생부재 고정부(130)는 제1연결부(140)와 유동부(120)를 연통시키는 연통부(131)와, 와류발생부재(110)의 고정홈(117)이 끼워져 고정되는 고정돌기(133)를 포함할 수 있다.
순환펌프(90)에 의해 펌핑되어 제2순환호스(83)를 거쳐 제1연결부(140)로 유동되는 혼합수는 연통부(131)를 거치면서 연통부(131) 내부에 고정된 와류발생부재(110)에 의해 와류를 형성하고, 유동부(120)로 유동할 수 있다. 유동부(120)로 유동한 혼합수는 제2연결부(150)를 통해 제3순환호스(85)로 유동하여 분사노즐(70)을 통해 드럼(30) 내부로 분사될 수 있다.(도 1 및 도 3 참조)
제2연결부(150)는 유동부(120)의 가장 높은 부분에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순환펌프가 on 일 때, 혼합수가 순환되는 방향을 표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순환펌프가 off 일 때, 혼합수가 순환되는 방향을 표시한 도면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순환펌프(90)가 on으로 제어되면, 터브(20) 하부에 저수된 혼합수는 제1순환호스(81)와 제2순환호스(83)를 통해 세제용해장치(100)로 급수될 수 있다.
세제용해장치(100)로 급수된 혼합수는 와류가 형성되어 제3순환호스(85)를 통해 드럼(30) 내부로 공급될 수 있다.
세제용해장치(100)로 급수되어 와류가 형성된 혼합수는 유동부(120) 내부에서 체류되는 시간이 증가되고, 증가된 시간만큼 가루 세제의 용해도가 향상된 혼합수가 드럼(30) 내부로 공급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순환펌프(90)가 off로 제어되면, 세제용해장치(100) 내부로 급수된 혼합수는 중력에 의해 세제용해장치(100)로부터 제2순환호스(83)를 통해 순환펌프(90)를 향하는 방향으로 배수될 수 있다.
세제용해장치(100)에서 배수되는 혼합수는 세제용해장치(100)에서 발생되는 와류에 의해 세제용해장치(100) 내부에서 체류되는 시간이 증가되고, 증가된 시간만큼 가루 세제의 용해도가 향상된 혼합수가 제2순환호스(83)와 제1순환호스(81)를 통해 터브(20)로 공급될 수 있다.
순환펌프(90)가 on으로 제어되었을 때, 순환호스(80)로 유동되지 못하고 터브(20)의 하부에 남아있던 혼합수는 순환펌프(90)가 off되었을 때, 드럼(30)에서 터브(20)로 유동되는 혼합수와 섞이면서 유동되어 혼합수에 남아있는 가루 세제의 용해도가 향상될 수 있다.
순환펌프(90)의 on/off 제어를 통해 혼합수가 터브(20)에서 드럼(30)으로 순환되거나, 드럼(30)에서 터브(20)로 순환되기 때문에, 혼합수의 유동 방향이 바뀌어 유동 교란이 발생되기 때문에, 혼합수에 남아있는 가루 세제의 용해도는 보다 향상될 수 있다.
순환펌프(90)는 on/off 제어를 통해 혼합수가 유동부(120)에서 넘치는 것이 방지되도록 혼합수가 세제용해장치(100)에 급수되는 시간과, 세제용해장치(100)에서 배수되는 시간을 조절할 수 있다.
세탁기의 행굼 행정 시에는 순환펌프(90)의 on/off 제어 없이 지속적으로 on이 되게 하여 순환호스(80)를 순환유로로 사용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세제용해장치 내부에 와류발생부재가 고정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세제용해장치의 와류발생부재가 와류발생부재 고정부에 고정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제용해장치(100)는 와류를 발생시키는 와류발생부재(110)와, 와류발생부재(110)에 의해 와류가 발생된 혼합수가 유동하는 유동부(120)와, 와류발생부재(110)가 고정되도록 유동부(120)의 하부에 마련되는 와류발생부재 고정부(130)와, 와류발생부재 고정부(130)의 하부에 마련되어 제2순환호스(83)와 연결되는 제1연결부(140)와, 유동부(120)의 상부에 마련되어 제3순환호스(85)와 연결되는 제2연결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세제용해장치(100)와 와류발생부(115)의 구성을 제외하고는 모두 동일하기 때문에, 와류발생부재(110) 외의 구성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와류발생부재(110)는 원통형의 테두리부(111)와, 테두리부(111) 내측에 마련되어 와류를 발생시키는 배플 형상의 와류발생부(115)와, 테두리부(111)의 외측에 마련되어 와류발생부재 고정부(130)에 고정되는 고정홈(117)을 포함할 수 있다.
배플 형상의 와류발생부(115)를 통과하는 혼합수는 유동을 방해하는 배플 형상의 와류발생부(113)에 의해 압력은 상승하고 방향이 바뀌면서 와류를 형성할 수 있다.
고정홈(117)은 하기할 와류발생부재 고정부(130)의 고정돌기(133)에 끼워져 와류발생부재(110)가 와류발생부재 고정부(130)에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세제용해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제용해장치(200)는 혼합수가 유동하는 유동부(210)와, 유동부(210)의 내측면에 유동부(210)와 일체로 마련되며 와류를 발생시키도록 나선 형상을 갖는 와류발생부재(220)와, 유동부(210)의 하부에 마련되어 제2순환호스(83)와 연결되는 제1연결부(230)와, 유동부(210)의 상부에 마련되어 제3순환호스(85)와 연결되는 제2연결부(240)를 포함할 수 있다.(도 3 참조)
순환펌프(90)에 의해 펌핑되어 제2순환호스(83)를 거쳐 제1연결부(230)로 유동되는 혼합수는 유동부(210)를 거치면서 유동부(210) 내부에 일체로 형성된 나선 형상의 와류발생부재(220)에 의해 와류를 형성할 수 있다. 와류를 형성하여 유동부(210)를 유동하는 혼합수는 제2연결부(240)를 통해 제3순환호스(85)로 유동하여 분사노즐(70)을 통해 드럼(30) 내부로 분사될 수 있다.(도 1 및 도 3 참조)
제2연결부(240)는 유동부(210)의 가장 높은 부분에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상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세탁기를 설명함에 있어 특정 형상 및 방향을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통상의 기술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캐비닛 11a : 전면판
11b : 후면판 11c : 상면판
11d : 바닥판 11e : 측면판
12 : 컨트롤 패널 12a : 입력부
12b : 표시부 13 : 투입구
14 : 급수장치 14a : 급수관
14b : 급수밸브 15 : 세제공급장치
16 : 공급관
20 : 터브 21 : 개구
30 : 드럼 31 : 리프터
33 : 통공
40 : 도어 41 : 도어 프레임
43 : 글라스 부재
50 : 다이아프램
60 : 구동장치 61 : 구동모터
63 : 스테이터 65 : 로터
67 : 구동축
70 : 분사노즐
80 : 순환호스 81 : 제1순환호스
83 : 제2순환호스 85 : 제3순환호스
90 : 순환펌프
100, 200 : 세제용해장치
110 : 와류발생부재 111 : 테두리부
113, 115 : 와류발생부 117 : 고정홈
120 : 유동부
130 : 와류발생부재 고정부 131 : 연통부
133 : 고정돌기
140 : 제1연결부
150 : 제2연결부
210 : 유동부
220 : 와류발생부재
230 : 제1연결부
240 : 제2연결부

Claims (20)

  1. 세제 공급 장치를 갖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 내부에 상기 세제공급장치와 연결되도록 마련되며, 상기 세제공급장치로 급수된 세탁수와 가루 세제가 혼합된 혼합수가 저수되는 터브;
    상기 터브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드럼;
    상기 터브와 상기 드럼을 연결하여 상기 터브 하부에 저수된 혼합수가 순환되도록 하는 순환호스;
    상기 순환호스를 통해 순환되는 혼합수에 와류를 발생시켜 가루 세제의 용해도를 향상시키는 세제용해장치; 및
    상기 순환호스에 마련되며, on/off 제어를 통해 상기 세제용해장치로 혼합수의 급수 및 배수가 반복되도록 하는 순환펌프;
    를 포함하는 세탁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세제용해장치는 상기 순환펌프보다 높은 위치에 마련되는 세탁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순환펌프가 on이 되도록 제어되면, 상기 터브 하부에 저수된 혼합수는 상기 순환호스를 통해 상기 세제용해장치로 급수되는 세탁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세제용해장치로 급수된 혼합수는 상기 세제용해장치에서 발생되는 와류에 의해 상기 세제용해장치 내부에서 체류되는 시간이 증가되고, 증가된 시간만큼 가루 세제의 용해도가 향상된 혼합수가 상기 드럼으로 공급되는 세탁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순환펌프가 off가 되도록 제어되면, 상기 세제용해장치 내부로 급수된 혼합수는 중력에 의해 상기 세제용해장치로부터 상기 순환펌프를 향해 배수되는 세탁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세제용해장치에서 배수되는 혼합수는 상기 세제용해장치에서 발생되는 와류에 의해 상기 세제용해장치 내부에서 체류되는 시간이 증가되고, 증가된 시간만큼 가루 세제의 용해도가 향상된 혼합수가 상기 터브로 공급되는 세탁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순환펌프는 혼합수가 상기 세제용해장치에서 넘치는 것이 방지되도록 혼합수가 상기 세제용해장치에 급수 및 배수되는 시간을 조절하는 세탁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순환호스는 상기 터브와 상기 순환펌프를 연결하는 제1순환호스와, 상기 순환펌프와 상기 세제용해장치를 연결하는 제2순환호스와, 상기 세제용해장치와 상기 드럼을 연결하는 제3순환호스를 포함하는 세탁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세제용해장치는 와류를 발생시키는 와류발생부재와, 상기 와류발생부재에 의해 와류가 발생된 혼합수가 유동하는 유동부와, 상기 와류발생부재가 고정되도록 상기 유동부의 하부에 마련되는 와류발생부재 고정부와, 상기 와류발생부재 고정부의 하부에 마련되어 상기 제2순환호스와 연결되는 제1연결부와, 상기 유동부의 상부에 마련되어 상기 제3순환호스와 연결되는 제2연결부를 포함하는 세탁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순환펌프의 on/off 제어에 의해 혼합수는 상기 유동부 내부로 급수되거나 상기 유동부 내부에서 배수되는 세탁기.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연결부는 상기 유동부의 가장 높은 부분에 마련되는 세탁기.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와류발생부재 고정부는 상기 제1연결부와 상기 유동부를 연통시키는 연통부와, 상기 와류발생부재가 고정되는 고정돌기를 포함하는 세탁기.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와류발생부재는 원통형의 테두리부와, 상기 테두리부 내측에 마련되어 와류를 발생시키는 임펠러 형상의 와류발생부와, 상기 테두리부의 외측에 마련되어 상기 고정돌기에 끼워져 고정되는 고정홈을 포함하는 세탁기.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와류발생부재는 원통형의 테두리부와, 상기 테두리부에서 상기 테두리부의 내측으로 복수개가 연장되도록 마련되어 와류를 발생시키는 배플 형상의 와류발생부와, 상기 테두리부의 외측에 마련되어 상기 고정돌기에 끼워져 고정되는 고정홈을 포함하는 세탁기.
  15.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세제용해장치는 혼합수가 유동하는 유동부와, 상기 유동부의 내측면에 일체로 마련되며 와류를 발생시키도록 나선 형상을 갖는 와류발생부재와, 상기 유동부의 하부에 마련되어 상기 제2순환호스와 연결되는 제1연결부와, 상기 유동부의 상부에 마련되어 상기 제3순환호스와 연결되는 제2연결부를 포함하는 세탁기.
  16. 세제 공급 장치를 갖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 내부에 상기 세제공급장치와 연결되도록 마련되며, 상기 세제공급장치로 급수된 세탁수와 가루 세제가 혼합된 혼합수가 저수되는 터브;
    상기 터브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드럼;
    상기 터브와 상기 드럼을 연결하여 상기 터브 하부에 저수된 혼합수가 순환되도록 하는 순환호스;
    상기 순환호스를 통해 혼합수가 순환되도록 혼합수를 펌핑하는 순환펌프; 및
    상기 순환호스를 통해 순환되는 혼합수에 와류를 발생시키는 임펠러 형상의 와류발생부재를 갖는 세제용해장치;
    를 포함하는 세탁기.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순환호스는 상기 터브와 상기 순환펌프를 연결하는 제1순환호스와, 상기 순환펌프와 상기 세제용해장치를 연결하는 제2순환호스와, 상기 세제용해장치와 상기 드럼을 연결하는 제3순환호스를 포함하는 세탁기.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세제용해장치는 상기 와류발생부재에 의해 와류가 발생된 혼합수가 유동하는 유동부와, 상기 와류발생부재가 고정되도록 상기 유동부의 하부에 마련되는 와류발생부재 고정부와, 상기 와류발생부재 고정부의 하부에 마련되어 상기 제2순환호스와 연결되는 제1연결부와, 상기 유동부의 상부에 마련되어 상기 제3순환호스와 연결되는 제2연결부를 포함하는 세탁기.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순환펌프의 on/off 제어에 의해 혼합수는 상기 유동부 내부로 급수되거나 상기 유동부 내부에서 배수되어 상기 순환호스의 양 방향으로 유동되는 세탁기.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순환펌프의 on/off 제어를 통해 혼합수는 상기 유동부 내부로 급수되거나 상기 유동부 내부에서 배수되는 시간이 조절되어 혼합수가 상기 유동부에서 넘치는 것이 방지되는 세탁기.
KR1020180055960A 2018-05-16 2018-05-16 세탁기 Active KR1025438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5960A KR102543851B1 (ko) 2018-05-16 2018-05-16 세탁기
US17/054,016 US11834773B2 (en) 2018-05-16 2019-05-13 Washing machine
PCT/KR2019/005719 WO2019221462A1 (ko) 2018-05-16 2019-05-13 세탁기
EP19804455.4A EP3779021B1 (en) 2018-05-16 2019-05-13 Washing machi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5960A KR102543851B1 (ko) 2018-05-16 2018-05-16 세탁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1279A true KR20190131279A (ko) 2019-11-26
KR102543851B1 KR102543851B1 (ko) 2023-06-16

Family

ID=685404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5960A Active KR102543851B1 (ko) 2018-05-16 2018-05-16 세탁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1834773B2 (ko)
EP (1) EP3779021B1 (ko)
KR (1) KR102543851B1 (ko)
WO (1) WO2019221462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111824A1 (ko) * 2022-11-25 2024-05-30 삼성전자 주식회사 세제공급장치를 포함하는 세탁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2252833B2 (en) 2020-12-28 2025-03-18 Dongguan Fengyi Instrument Co., Ltd Washing powder feeding device and feeding method thereof
CN112760936A (zh) * 2020-12-28 2021-05-07 东莞市丰易仪器有限公司 洗衣粉加注方法
DE102021208430A1 (de) 2021-08-04 2023-02-09 BSH Hausgeräte GmbH Wäschepflegendes Haushaltsgerä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14506A (ko) * 2003-07-31 2005-02-07 삼성전자주식회사 드럼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
KR20050066356A (ko) * 2003-12-26 2005-06-30 삼성전자주식회사 세제용해장치 및 이를 구비한 세탁기
KR101568209B1 (ko) * 2013-12-24 2015-11-11 동부대우전자 주식회사 마이크로 버블 생성 유닛을 포함하는 세탁기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8703647U1 (de) 1987-03-11 1987-10-29 Licentia Patent-Verwaltungs-Gmbh, 6000 Frankfurt Trommelwaschmaschine
DE3717477A1 (de) 1987-05-23 1988-12-01 Licentia Gmbh Trommelwaschmaschine
KR20100094797A (ko) 2009-02-19 2010-08-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장치
DE102010039566A1 (de) 2010-08-20 2012-02-23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Laugenpumpe für wasserführende Haushaltgeräte und wasserführendes Haushaltgerät
KR20130010801A (ko) 2011-07-19 2013-01-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의 세탁수 공급방법
WO2015178657A1 (en) * 2014-05-22 2015-11-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Washing machin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14506A (ko) * 2003-07-31 2005-02-07 삼성전자주식회사 드럼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
KR20050066356A (ko) * 2003-12-26 2005-06-30 삼성전자주식회사 세제용해장치 및 이를 구비한 세탁기
KR101568209B1 (ko) * 2013-12-24 2015-11-11 동부대우전자 주식회사 마이크로 버블 생성 유닛을 포함하는 세탁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111824A1 (ko) * 2022-11-25 2024-05-30 삼성전자 주식회사 세제공급장치를 포함하는 세탁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43851B1 (ko) 2023-06-16
EP3779021B1 (en) 2025-01-29
EP3779021A1 (en) 2021-02-17
EP3779021A4 (en) 2021-02-17
WO2019221462A1 (ko) 2019-11-21
US20210238791A1 (en) 2021-08-05
US11834773B2 (en) 2023-1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87904B2 (en) Detergent dissolution device for laundry treating apparatus
US9441321B2 (en) Bubble generating device and washing machine having the same
CN108239847B (zh) 洗衣机
CN112899967B (zh) 衣物处理系统
KR20190131279A (ko) 세탁기
EP3029193B1 (en) Washing machine
JP2006192249A (ja) ドラム洗濯機
US20150225888A1 (en) Washing machine
US20230323588A1 (en) Washing machine
US10858776B2 (en) Washing machine
US20170067200A1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CN108239843B (zh) 洗衣机
KR20190142846A (ko) 세탁기
KR102486261B1 (ko) 세탁기
US11913161B2 (en) Washing machine
KR102069523B1 (ko) 드럼세탁기
KR20220114709A (ko) 세탁기
KR102591537B1 (ko) 세탁물 처리장치
KR102477943B1 (ko) 세탁기의 제어방법
KR20170048619A (ko) 세탁기
KR20190111361A (ko) 세탁기
KR20070031767A (ko) 드럼세탁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0516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10506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80516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091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3032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3061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3061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