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30010801A - 세탁기의 세탁수 공급방법 - Google Patents

세탁기의 세탁수 공급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10801A
KR20130010801A KR1020110071678A KR20110071678A KR20130010801A KR 20130010801 A KR20130010801 A KR 20130010801A KR 1020110071678 A KR1020110071678 A KR 1020110071678A KR 20110071678 A KR20110071678 A KR 20110071678A KR 20130010801 A KR20130010801 A KR 201300108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tergent
water
washing water
washing
supply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716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라영
김경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716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10801A/ko
Priority to ES12815558.7T priority patent/ES2612193T3/es
Priority to EP12815558.7A priority patent/EP2735635B1/en
Priority to US14/129,391 priority patent/US10145052B2/en
Priority to PCT/KR2012/005727 priority patent/WO2013012247A2/ko
Priority to CN201280035735.7A priority patent/CN103687987B/zh
Publication of KR201300108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10801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3Liquid discharge or recirculation arrangements
    • D06F39/086Arrangements for avoiding detergent wastage in the discharge conduit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3/00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washing machines or washer-dryers 
    • D06F33/30Control of washing machine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33/32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 D06F33/34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of water filling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1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measuring specific parameters
    • D06F34/18Condition of the laundry, e.g. nature or weight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30Driving arrangements 
    • D06F37/40Driving arrangements  for driving the receptacle and an agitator or impeller, e.g. alternativel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2Devices for adding soap or other washing agents
    • D06F39/028Arrangements for selectively supplying water to detergent compart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8Liquid supply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02Characteristics of laundry or load
    • D06F2103/04Quantity, e.g. weight or variation of weight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02Water supp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Washing Machine And Dryer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세탁대상물에 분사하는 세제를 포함하는 세탁수의 세제 농도를 효율적으로 높여 세탁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세탁수의 순환시스템을 구비한 세탁기의 세탁수 공급방법에 관한 것으로, 외부수원으로부터의 원수가 세제저장수단을 경유하여 펌프로 공급하는 세제액 공급단계; 드럼에 공급된 세탁수가 모이는 섬프의 하부에 형성된 배수구에 연결된 배수챔버와 펌프 사이에서 세제가 함유된 세탁수를 소정의 시간동안 순환시키는 세제용해단계; 및 펌프에서 드럼으로 상기 세제가 용해된 세탁수를 공급하는 세탁수 공급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세제용해단계에서 상기 섬프와 상기 배수챔버에 잔존하는 세제 및 상기 세제저장수단에서 공급된 세제가 세탁수에 용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세탁기의 세탁수 공급방법{A METHOED FOR SUPPLYING WASHING WATER OF THE WASHING MACHINE}
본 발명은 세탁대상물에 분사하는 세제를 포함하는 세탁수의 세제 농도를 효율적으로 높여 세탁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세탁수의 순환시스템을 구비한 세탁기의 세탁수 공급방법에 관한 것이다.
세탁기는 외관을 형성하는 케비넷과, 상기 케비넷 내부에 수용되는 터브 및 터브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드럼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세탁기는 세탁물을 드럼에 투입하는 방식에 따라 탑로딩 방식과 프론트로딩 방식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프론트로딩 방식은 일반적으로 드럼세탁기라고 지칭된다.
이하에서는 종래의 세탁기의 일 예로 프론트로딩 방식의 드럼 세탁기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프론트로딩 방식의 드럼 세탁기는, 케비넷의 전면에 세탁물이 출입할 수 있도록 개구 및 도어가 구비되어 있으며, 터브는 케비넷의 내부에서 스프링 및 댐퍼에 의해 지지된다.
상기 터브는 일측이 개방된 원통형상을 가지며, 상기 터브의 내부에는 상기 드럼이 회전가능하게 장착된다. 상기 터브에는 세탁수 또는 세제가 함유된 세제액이 수용될 수 있으며, 드럼이 회전하는 경우에 드럼의 하부만이 세탁수 또는 세제액에 잠길 수 있다. 또한, 터브의 하부에 수용된 세탁수 또는 세제액은 케비넷 내부에 구비된 순환유로와 펌프에 의해 다시 터브 또는 드럼에 공급되어 사용된다.
한편, 이러한 세탁수 또는 세제액은 일반적으로 드럼의 전단부에 구비되는 노즐을 통해 드럼 내부로 분사되어 세탁대상물에 공급된다. 여기서, 노즐은 개스킷에 구비된다. 개스킷은 터브와 케비넷에 형성된 전면 개구부 주변에 장착되어, 터브의 세탁수가 케비넷 내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노즐은 일반적으로 개스킷의 상부에서 드럼 내부를 향해 세제액이나 세탁수를 분사한다. 드럼 내부에 수용된 세탁대상물에 고르게 세제액 등을 분사하기 위해서 상기 노즐은 상기 드럼의 종방향을 따라 분사되기도 한다.
세제가 함유된 세탁수는 드럼 하부의 펌프와 드럼 사이에서 순화하는 순환유로를 통해 이동되고, 드럼 내부의 세탁대상물로 분사된다. 여기서 세제는 세탁대상물에 고르게 흡착 및 투과되어야 세탁대상물에 묻어있는 오염물질들과 반응하여 세탁효과가 좋아진다. 특히, 세제의 농도가 높을수록 세탁대상물에 묻어 있는 오염물질과의 반응이 높아지게 되어 세탁효과가 좋아진다.
세탁수에서 세제의 농도를 높이는 것은 단순히 세제를 세탁수에 많이 투입하는 것으로 달성되지 않는다. 세제가 세탁수에 용해가 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또한, 세탁에 소요되는 시간도 고려하여야 하기 때문에 세제용해에 많이 시간이 소요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세제농도를 높이고 세제 용해시간을 단축하기 위한 여러 기술들이 개발되어 있다. 예를 들어 세탁기의 하부에 있는 펌프를 이용하여 드럼으로 공급하기 전에 세제가 투입된 세탁수만을 자체적으로 순환하는 방식이 있다. 이를 통해 드럼으로 공급하기 전에 신속하게 세제를 세탁수에 공급할 수 있게 된다.
하지만, 이러한 자체 순환방식의 세제 용해는 투입되어야 하는 세제의 양이 많고, 세제가 완전 용해되기까지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을 가진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세제 용해를 효율적으로 하여 세탁수의 세제 농도를 빠른 시간에 이룰 수 있는 세탁기의 세탁수 공급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세탁수의 세제 농도를 효율적으로 높일 수 있는 세탁수 공급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적은 양의 세제를 투입하고도 효율적으로 세제 농도를 높일 수 있는 세탁수 공급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세제 용해 시간을 단축시키고 세제의 완전 용해를 이룰 수 있는 세탁수 공급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구성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세탁기의 드럼으로 세제가 함유된 세탁수를 공급하는 세탁기의 세탁수 공급방법은, 외부수원으로부터의 원수가 세제저장수단을 경유하여 펌프로 공급하는 세제액 공급단계; 드럼에 공급된 세탁수가 모이는 섬프의 하부에 형성된 배수구에 연결된 배수챔버와 펌프 사이에서 세제가 함유된 세탁수를 소정의 시간동안 순환시키는 세제용해단계; 및 펌프에서 드럼으로 상기 세제가 용해된 세탁수를 공급하는 세탁수 공급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세제용해단계에서 상기 섬프와 상기 배수챔버에 잔존하는 세제 및 상기 세제저장수단에서 공급된 세제가 세탁수에 용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세제용해단계는 상기 세탁수의 세제 농도가 높아지도록 한다. 또한, 상기 세제용해단계는 상기 섬프 및 상기 배수챔버에 잔존하는 세제가 세척되도록 한다.
상기 구성의 측면은 이전 세탁시에 터브 내부 및 섬프 및 배수챔버에 잔존하는 세제를 재사용하여 투입하는 세제 사용량을 줄이면서도 세제의 농도를 효율적으로 높일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세제가 포함된 세탁수만으로 자체적인 순환유로를 형성하여 드럼에 세제가 포함된 세탁수를 공급하기 전에 고농도의 세탁수를 형성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세제용해단계에서는 상기 섬프에 구비되는 히터를 가동하여 상기 세탁수의 온도를 높일 수 있다. 상기 구성의 측면은 세탁수의 온도를 높여 세제의 용해도를 높여 고농도의 세탁수가 생성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세제용해단계에서 상기 펌프로 외부수원으로부터 원수를 직접 공급하여 순환되는 세탁수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세제용해단계에서 외부수원으로부터 원수를 드럼을 경유하여 상기 펌프로 공급하여 순환되는 세탁수의 양을 조절할 수도 있다. 이는 세제가 세탁수에 용해되기 위해 적정 온도에서 어느 정도의 원수가 필요하기 때문에, 필요한 세탁수를 공급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세제용해단계는 상기 펌프에서 상기 배수챔버로 공급되는 세탁수를 상기 배수챔버 내부에 분사하여, 상기 배수챔버 및 상기 섬프에서 와류를 형성하도록 한다. 이는 세탁수에 와류를 형성하여 보다 효율적으로 잔존세제를 사용하고 세제의 용해도를 높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세제용해단계 이전에 상기 세제공급수단으로부터 공급된 세제가 포함된 세탁수가 상기 펌프의 임펠러에 의해 교반되도록 하는 교반단계;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이는 세제 용해도를 높이기 위함이다.
한편 상기 세제액공급단계는 세제저장수단을 경유한 세제액이 드럼을 경유하지 않는 별도의 유로를 통해 상기 펌프로 직접 공급된다. 이는 드럼 또는 터브를 통해 세제액을 공급할 경우, 세제액이 터브의 표면을 따라 섬프로 이동되면서 터브의 내면에 잔존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세제액을 터브를 통해 공급하지 않고 직접 터브 하부의 펌프로 공급하여 잔존세제가 없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에 따라 세탁수에 공급되는 세제의 유실을 줄일 수 있어서 세제 사용량을 줄이게 된다.
한편, 상기 세탁수 공급단계는 상기 세제가 함유된 세탁수를 드럼 내부의 세탁대상물에 분사한다. 여기서, 상기 세탁수 공급단계는 상기 세제가 함유된 세탁수를 미립화 하여 세탁대상물에 투과시킨다. 또한, 상기 세탁수 공급단계에는 상기 드럼을 회전시키며 상기 세탁수를 세탁대상물에 분사시킨다. 상기 구성의 측면은 고농도의 세제가 효율적으로 세탁대상물에 침투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세제액 공급단계 이전에 드럼에 수용된 세탁대상물의 양을 측정하는 포량감지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포량감지단계에서 측정된 포량을 기준으로 상기 세탁수 공급단계에서 상기 세탁수의 세제 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세탁수 공급단계는 외부수원으로부터 원수를 펌프로 직접 공급하여 상기 세탁수의 세제 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세탁수 공급단계는 외부수원으로부터 원수를 드럼을 경유하여 상기 펌프로 공급하여 상기 세탁수의 세제 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구성의 측면은, 드럼에 투입된 세탁대상물의 양에 따라 적절한 세제 농도를 맞추어 세제가 효율적으로 세탁대상물에 침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은 이전 세탁시에 터브 내부 및 섬프 및 배수챔버에 잔존하는 세제를 재사용하여 투입하는 세제 사용량을 줄이면서도 세제의 농도를 효율적으로 높이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세제가 포함된 세탁수만으로 자체적인 순환유로를 형성하여 드럼에 세제가 포함된 세탁수를 공급하기 전에 고농도의 세탁수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세탁수의 온도를 높이고 공급되는 원수의 양을 조절하여 세제의 용해도를 높여 고농도의 세탁수가 생성되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은 세탁수에 와류를 형성하여 보다 효율적으로 잔존세제를 사용하고 세제의 용해도를 높이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은 세제액을 터브를 통해 공급하지 않고 직접 터브 하부의 펌프로 공급하여 잔존세제를 줄이는 세척효과를 가지며, 세제의 유실을 줄일 수 있어서 세제 사용량을 줄이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은 고농도의 세제가 효율적으로 세탁대상물에 침투될 수 있도록 하여 세탁 성능을 높이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세탁기의 외관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세탁기의 내부를 보여주는 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세탁기의 드럼으로 세제가 함유된 세탁수를 공급하는 세탁기의 세탁수 공급방법의 흐름도.
도 4는 세제액이 펌프로 유입되는 경로를 보여주는 개략도.
도 5는 도 3의 실시예보다 확장된 세탁수 공급방법의 흐름도.
도 6은 도 1의 세탁기의 하부에 구비되는 배수관련 구성을 보여주는 개략도.
도 7은 섬프 및 배수챔버에서의 세탁수의 흐름을 보여주는 개략도.
도 8과 도 9는 배수챔버를 상세하게 보여주는 개략도.
도 10은 세탁수가 드럼에 공급되어 순환되는 경로를 보여주는 개략도.
도 11은 외부원수가 직접 드럼으로 공급되는 경로를 보여주는 개략도.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세탁기의 외관을 보여준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세탁기(100)는 기기의 외형을 구성하는 케비넷(110)을 포함한다. 상기 케비넷(110)의 전면에는 세탁 대상물인 의류를 케비넷(110) 내부로 투입하기 위한 투입구(120)가 형성된다. 상기 투입구(120)는 케비넷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된 도어(130)에 의해 개폐된다. 상기 케비넷의 상측에는 세탁기를 조작하기 위한 각종 조작 버튼이 배치되어 있는 조작 패널(140)이 위치하고, 상기 조작 패널(140)의 일측에는 세제 등을 넣을 수 있는 세제공급장치(150)가 구비된다.
도 2는 도 1의 세탁기의 내부구조를 개략적으로 보여준다. 도 2를 참고하면, 상기 케비넷(110)의 내부에 형성되는 수용공간에는 세탁수를 저장하는 원통형의 터브(160)와, 상기 터브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세탁대상물이 투입되는 드럼(170)이 구비된다. 상기 드럼의 후방부에는 드럼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장치(175)가 구비된다.
상기 터브(160)는 원통형의 구성으로, 내부에 드럼(170)을 수용할 수 있다. 상기 터브(160)의 전면은 전술한 케비넷(110)의 개방된 투입구(120)와 연결되도록 개방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터브의 전면부와 케비넷의 투입구 주변을 둘러싸는 개스킷(164)이 터브의 전면부와 케비넷의 투입구 사이에 구비된다. 이는 터브 내부에 수용되는 세탁수가 케비넷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이다. 또한, 상기 개스킷(164)에는 세제가 포함된 세탁수를 분사하는 순환노즐(196)과 외부수원으로부터 직접 공급되는 원수가 분사되는 원수노즐(183)이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드럼은(170) 원통형의 구성으로, 상기 터브 내부에서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또한, 상기 터브와 마찬가지로 전면이 개방되어 있어서 세탁대상물이 투입될 수 있다. 상기 드럼의 후방부에는 구동장치(175)가 구비되어 드럼에 회전력을 전달한다. 상기 드럼의 측면에는 다수개의 관통공이 형성되어 세탁수가 드럼을 통과하여 터브로 이동되거나 터브에서 드럼으로 유입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세탁기의 드럼으로 세제가 함유된 세탁수를 공급하는 세탁기의 세탁수 공급방법를 보여준다. 도 3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세탁기의 드럼으로 세제가 함유된 세탁수를 공급하는 세탁기의 세탁수 공급방법은, 외부수원(180)으로부터의 원수가 세제저장수단(151)을 경유하여 펌프(190)로 공급되는 세제액 공급단계(S10), 드럼(170)에 공급된 세탁수가 모이는 섬프(161)의 하부에 형성된 배수구(163)에 연결된 배수챔버(191)와 펌프(190) 사이에서 세제가 함유된 세탁수를 소정의 시간동안 순환시키는 세제용해단계(S20) 및 펌프(190)에서 드럼(170)으로 상기 세제가 용해된 세탁수를 공급하는 세탁수 공급단계(S30)를 포함한다.
상기 세제액 공급단계(S10) 외부수원(180)으로부터의 원수가 공급되어 세제저장수단(151)을 경유하여 펌프(190)로 공급되는 단계를 말한다. 상기 세제공급장치(150)는 세탁 세제, 섬유 유연제 또는 표백제 등의 세제가 수용되어 세탁대상물에 공급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세제공급장치(150)는 상기 케비넷(110)의 전면으로 인출가능하도록 형성하여 전술한 세제등을 공급할 수 있으며, 세제박스 또는 세제저장수단(151)에 세제 등이 수용된다. 이러한 세제박스 또는 세제저장수단(151)에 수용된 세제 등은 외부수원(180)으로부터 공급되는 원수를 공급받아 세제를 세탁수에 포함시킨다. 이는 원수공급유로(182)를 통과한 원수가 세제저장수단(151)을 경유하여 세제액 공급유로(152)를 통해 후술할 펌프(190)로 공급되도록 한다. 여기서 세제액은 세제가 함유된 세탁수를 지칭하는 것으로, 세제가 함유되지 않은 세탁수와의 구별을 위해 세제액이라고 이하에서 지칭한다.
도 4는 상기 세제저장수단을 통과하여 펌프에 공급되는 세제액의 이동경로를 보여준다. 도 4를 참고하면, 상기 세제공급장치(150)를 통과한 세제액은 세제액 공급유로(152)를 통해 터브 하부의 펌프(190)에 모인다. 그 후 후술하겠지만, 펌프의 임펠러(190a)에 의해 교반되고, 후술할 배수측 순환유로를 통해 섬프의 하부와 펌프 사이에서 순환하게 된다.
여기서 세제저장수단을 경유한 세제액은 펌프로 공급되는 세제액 공급유로를 형성하게 된다. 도 4를 참고하면, 세제저장수단(151)을 경후한 세제액은 세제액 공급유로(152)를 통해 펌프로 공급되는데, 상기 세제액 공급유로(152)는 후술할 제2유로(192)에 연통되어 있다.
한편, 상기 세제액 공급단계(S10) 이후에 세제액을 교반하여 세제의 용해도를 높이는 과정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이는 도 5의 흐름도에 도시되어 있다. 즉, 상기 세제액 공급단계 이후에 상기 세제공급수단으로부터 공급된 세제가 포함된 세탁수가 펌프의 임펠러(190a)에 의해 교반되도록 하는 교반단계가 더 포함되는 것이다. 이는 세제 용해도를 높이기 위함이다.
한편, 상기 세제액 공급유로(152)는 외부수원으로부터 공급된 원수를 상기 세제저장수단을 경유하여 직접 펌프(190)로 공급한다. 즉, 세제저장수단을 경유한 세제액이 드럼을 경유하지 않는 별도의 유로를 통해 상기 펌프로 직접 공급된다. 나아가 상기 세제액 공급유로는 외부수원으로부터 공급된 원수가 상기 세제저장수단을 경유시 세제를 선택적으로 함유할 수 있다. 즉, 세제액이 포함되지 않은 원수를 직접 펌프에 공급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의 측면은 드럼 또는 터브를 통해 세제액을 공급할 경우, 세제액이 터브의 표면을 따라 섬프로 이동되면서 터브의 내면에 잔존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세제액을 터브를 통해 공급하지 않고 직접 터브 하부의 펌프로 공급하여 잔존세제가 없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에 따라 세탁수에 공급되는 세제의 유실을 줄일 수 있어서 세제 사용량을 줄이게 된다.
또한, 상기 구성의 측면은 세제의 농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외부수원으로부터의 원수가 세제를 함유하지 않고 직접 펌프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하여, 세제의 용해에 필요한 세탁수의 양을 효율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세제용해단계(S20)는 드럼(170)에 공급된 세탁수가 모이는 섬프(161)의 하부에 형성된 배수구(163)에 연결된 배수챔버(191)와 펌프(190) 사이에서 세제가 함유된 세탁수를 소정의 시간동안 순환시키는 단계를 말한다.
상기 터브의 하부에는 터브 내부에 수용되는 세탁수가 모여서 배수될 수 있는 섬프(161)가 형성되어 있다. 도 6은 터브의 하부에 구비되는 섬프를 개략적으로 보여준다. 도 6을 참고하면, 상기 섬프(161)는 배수를 위해 세탁수가 모일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기 때문에 터브의 하부에서 외측으로 돌출되어 공간을 형성하고 있으며, 배수구(163)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원할한 배수를 위해 상기 섬프(161)는 배수구를 향해 경사를 가지도록 하부면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세탁수의 가열을 위해 히터(162)가 섬프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배수구(163)의 하부에는 배수되는 세탁수 또는 세제액이 일시적으로 수용될 수 있는 반원형의 배수챔버(191)가 구비되어 있으며, 배수챔버를 통과한 세탁수 등은 밸로우즈 형태의 배수관(192)을 통해 펌프(190)로 유입될 수 있다.
펌프(190)로 유입된 세탁수 등은 세탁이 완료된 경우에는 외부배수관(미도시)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그렇지 않은 경우, 세제액이 포함되어 있는 세탁수를 세탁에 사용하기 위해 후술할 배수챔버 또는 드럼으로 순환시켜 재공급하게 된다.
상기 세제용해단계(S20)는 배수측 순환유로상에서 수행된다. 배수측 순환유로는 상기 배수챔버(191)와 상기 펌프(190) 사이에서 세탁수의 경로가 되도록 배관에 의해 형성된다. 도 7에는 이러한 배수측 순환유로가 도시되어 있다. 도 7을 참고하면, 상기 배수측 순환유로는 상기 펌프(190)에서 상기 배수챔버(191)로 세탁수가 이동되는 제1유로(194)와, 상기 배수챔버(191)에서 상기 펌프(190)로 세탁수가 이동되는 제2유로(192)로 구성된다. .
상기 임펠러(190a)에 의해 교반된 세제액은 상기 제1유로(194)를 통해 배수챔버(191)로 공급된 후 제2유로(192)를 통해 펌프(190)로 복귀하여 하나의 순환경로를 형성하게 된다.
이러한 배수측 순환유로는 세제가 포함된 세탁수만으로 자체적인 순환유로를 형성하여 세제가 포함된 세탁수를 드럼에 공급하기 전에 고농도의 세탁수를 형성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전술한 세제액 공급유로는, 도 4를 참고하면, 세제저장수단(151)을 경후한 세제액은 세제액 공급유로(152)를 통해 펌프로 공급되되며, 상기 제2유로(192)에 연통되어 있다.
도 6은 상기 세제액 공급유로(152)와 제2유로(192)가 연통되는 지점(198)을 보여준다. 상기 연통되는 지점(198)에서 상기 세제액 공급유로(152)와 제2유로(192)는 연통되어 모두 펌프로 세제액 또는 세탁수를 공급하지만, 상기 세제액 공급유로를 통해 공급되는 세제액이 상기 제2유로를 통해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류방지수단(미도시)이 구비되어 역류가 방지되다.
상기 역류방지수단은 상기 제2유로와 상기 세제액 공급유로의 연통지점(198)에 구비되는 격막일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역류방지수단이 상기 제2유로상에 구비되는 체크밸브로 구성되어 세제액이 역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면 충분하다.
한편 펌프(190)에서 공급된 세제액은 배수챔버(191) 내부로 분사된다. 도 8과 도 9는 배수챔버를 보다 상세하게 보여준다. 도 8과 도 9를 참고하면, 상기 배수챔버(191)는 섬프의 바닥면에 형성된 배수구의 하부에 연결되어 배수되는 세탁수가 일시적으로 저장되는 공간을 형성한다.
상기 배수챔버(191)는 도 8과 같이 반구형으로 형성되고, 내부에는 펌프에 의해 순환된 세탁수를 상기 배수챔버 내부로 분사하는 분사수단(193)이 구비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분사수단은 노즐이다.
상기 세제 용해단계(S20)에서는 펌프에서 제1유로(194)를 통해 배수챔버로 유입되는 세제액 또는 세탁수는 노즐을 통해 배수챔버 내부에 분사된다. 여기서, 상기 노즐은 상기 반구형 배수챔버의 내측 접선방향으로 분사구가 구비된다. 즉, 도 9에 도시되듯이 노즐에서 분사된 세제액 또는 세탁수는 배수챔버의 내측 접선방향으로 분사되어 화살표(A) 방향의 수류를 형성하게 된다. 이에 의해 상기 분사수단에 의해 분사된 세탁수는 상기 배수챔버 내부에서 와류를 형성한다.
한편, 상기 배수챔버는 배수구에 연결되어 있는데, 섬프 및 배수챔버에는 항상 어느 정도의 세탁수가 수용되어 있다. 그에 따라, 배수챔버에서 형성된 세탁수의 와류는 섬프에 수용된 세탁수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즉, 상기 배수챔버에 분사된 세탁수가 상기 배수구를 통해 상기 섬프에 모인 세탁수에 와류를 형성하는 것이다.
섬프에 잔존하는 세제는 단순한 배수구를 향하는 수류만으로는 충분히 제거되지는 않는다. 특히 섬프 내부에 구비되는 히터와 같은 구조물 및 섬프 자체의 형상에 의해 특정 부위에 세제가 적층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섬프 내부에 와류를 형성하게 되면, 특정 부위에 적층될 수 있는 세제를 효율적으로 세탁수에 의해 제거할 수 있다.
상기 구성의 측면은 이전 세탁시에 터브 내부 및 섬프 및 배수챔버에 잔존하는 세제를 재사용하여 투입하는 세제 사용량을 줄이면서도 세제의 농도를 효율적으로 높일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세탁수에 와류를 형성하여 보다 효율적으로 잔존세제를 사용하고 세제의 용해도를 높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세제용해단계(S20)에서는 상기 섬프에 구비되는 히터를 가동하여 상기 세탁수의 온도를 높일 수 있다. 상기 섬프(161)에는 히터(162)가 구비되어 있다. 전술하였듯이 상기 섬프에는 어느 정도의 수위를 유지하며 세탁수가 수용되어 있으며, 상기 히터(162)는 과열이 방지되기 위해 섬프에 수용된 세탁수에 잠겨 있다. 이러한 경우에 상기 히터를 작동시키면, 세탁수의 수온이 상승하여 세제의 용해도를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세제용해단계(S20)는 세탁수의 세제 농도가 높아지도록 한다. 또한, 세제용해단계는 상기 섬프 및 상기 배수챔버에 잔존하는 세제가 세척되도록 한다. 그에 따라 상기 세제용해단계에서 상기 섬프와 상기 배수챔버에 잔존하는 세제 및 상기 세제저장수단에서 공급된 세제가 세탁수에 용해된다.
이러한 구성의 측면은 이전 세탁시에 터브 내부 및 섬프 및 배수챔버에 잔존하는 세제를 재사용하여 투입하는 세제 사용량을 줄이면서도 세제의 농도를 효율적으로 높일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세제가 포함된 세탁수만으로 자체적인 순환유로를 형성하여 드럼에 세제가 포함된 세탁수를 공급하기 전에 고농도의 세탁수를 형성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세제용해단계(S20)에서 상기 펌프로 외부수원으로부터 원수를 직접 공급하여 순환되는 세탁수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이는 전술한 세제액 공급유로를 통한 원수 공급시 세제저장장치에서 세제가 투입되지 않도록 하여 원수만 펌프로 공급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세제용해단계(S20)에서 외부수원으로부터 원수를 드럼을 경유하여 상기 펌프로 공급하여 순환되는 세탁수의 양을 조절할 수도 있다. 이는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외부수원으로부터의 직수유로(181)에 의해 공급되는 것이다. 이 또한, 섬프 및 배수구를 통해 펌프로 공급될 것이기 때문에 큰 차이는 없다.
이러한 구성의 측면은 세제가 세탁수에 용해되기 위해 적정 온도에서 어느 정도의 원수가 필요하기 때문에, 필요한 세탁수를 적정하게 공급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세탁수 공급단계(S30)는 펌프(190)에서 드럼(170)으로 상기 세제가 용해된 세탁수를 공급하는 단계를 말한다. 상기 세탁수 공급단계(S30)는 후술할 드럼측 순환유로를 통해 수행된다.
도 10은 이러한 드럼측 순환유로가 도시되어 있다. 도 10을 참고하면, 펌프(190)에서 상기 드럼(170) 또는 터브(160)로 세탁수가 공급되는 경로가 되도록 배관에 의해 제3유로(195)가 형성되어 있다.
도 10에서, 상기 제3유로는 상기 펌프(190)에서 상기 드럼(170)으로의 세탁수 공급경로를 형성한다. 또한, 상기 드럼(170)을 관통하여 상기 섬프(191)를 통해 상기 펌프로의 세탁수 공급경로를 형성한다. 이에 의해 전술한 배수측 순환유로와는 다른 드럼측 순환유로를 형성한다.
상기 제3유로(195)는 상기 제1유로(194)에서 분기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제1유로는 제3유로의 공동유로(194a)와 제3유로가 분기된 후의 유로(194b)로 구분된다. 여기서 상기 공동유로(194a)에서 상기 제3유로의 분기지점에는 세탁수의 공급방향을 선택적으로 결정하는 3방밸브(197)가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하나의 동일한 펌프를 사용하여 효율적으로 배수측 순환유로와 드럼측 순환유로를 제어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펌프로에서 제1유로와는 별도의 관로를 통해 드럼으로 공급되도록 펌프에 별도의 출구를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별도의 펌프를 사용하여 드럼으로 공급되도록 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드럼측으로 공급된 세제액 또는 세탁수는 펌프에 의해 가압되어 제3유로(195)을 통해 순환노즐(196)로 이동된다. 상기 세탁수 공급단계는 세제액 또는 세탁수를 순환노즐(196)을 통해 드럼 내부의 세탁대상물로 분사하고, 드럼의 관통공을 통과한 후 다시 섬프(161)에 모이도록 하여 펌프로 공급한다.
드럼 내부로 세제액을 분사하는 순환노즐(196)은 본 실시예에서 전술한 개스킷(164)의 상부에 구비된다. 즉, 드럼을 기준으로 보았을 때, 상기 순환노즐은 상기 드럼의 전면 상측에 구비된다. 그에 따라 상기 순환노즐은 드럼 내측으로 하방 분사를 하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순환노즐(196)은 상기 드럼의 종방향을 따라 세제액을 분사할 수 있다. 즉, 상기 순환노즐에 의해 분사되는 세제액은 상기 드럼(170)의 종방향을 따라 드럼의 내측면 및 후면으로 분사된다. 세제액이 노즐로부터 분사될 때, 드럼은 회전하고 있다. 따라서, 드럼 내부에 수용된 세탁대상물에 세제액을 고르게 공급하기 위해서는, 전면적으로 세제액을 분사할 필요는 없다. 드럼의 종방향을 따라 드럼의 내측면과 후면의 일부에만 세제액이 공급되도록 하여도 드럼의 회전에 의해 드럼 내부의 세탁대상물에 고르게 공급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의 측면은 효율적으로 세제액을 세탁대상물에 분사하기 위한 것으로, 회전하는 드럼을 고려하여 드럼의 종방향으로 세제액을 분사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순환노즐에 인접하여 외부수원으로부터 원수가 드럼에 직접공급되도록 원수노즐(183)이 추가적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이러한 원수노즐에 의한 세탁수 공급은 도 11에 도시되어 있다. 도 11을 참고하면, 상기 세탁수 공급단계(S30)에서 순환노즐을 통한 세탁수 분사와 원수 노즐에 의한 세탁수(원수) 분사가 동시 또는 이시에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원수노즐(183)은 외부수원(180)에 직수유로(181)를 통해 연결되어 원수를 공급받는다. 이에 의해 세탁에 필요한 헹굼수 공급 및 세탁 중 세제 농도의 조절도 가능해진다.
한편, 상기 세제액 공급단계(S10) 이전에 드럼에 수용된 세탁대상물의 양을 측정하는 포량감지단계(S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포량감지단계(S5)는 드럼의 구동수단(175)에 구비된 센서를 통해 드럼에 수용된 세탁대상물의 양을 감지하게 된다. 이러한 기술은 일반적으로 알려진 것이기 때문에 보다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세탁수 공급단계(S30)에서는 상기 포량감지단계(S5)에서 측정된 포량을 기준으로 세탁수의 세제 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세탁수 공급단계는 전술하였듯이 외부수원으로부터 원수를 펌프로 직접 공급하여 상기 세탁수의 세제 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세탁수 공급단계는 전술하였듯이 외부수원으로부터 원수를 드럼을 경유하여 상기 펌프로 공급하여 상기 세탁수의 세제 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구성의 측면은, 드럼에 투입된 세탁대상물의 양에 따라 적절한 세제 농도를 맞추어 세제가 효율적으로 세탁대상물에 침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상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그러한 실시예 및/또는 도면에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 결정된다. 그리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되어 있는 발명의 당업자에게 자명한 개량, 변경, 수정 등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된다는 점이 명백하게 이해되어야 한다.
S5 : 포량 감지단계 S10 : 세제액 공급단계
S15 : 교반 단계 S20 : 세제 용해단계
S30 : 세탁수 공급단계
100 : 세탁기 110 : 케비넷
120 : 투입구 130 : 도어
140 : 조작패널 150 : 세제공급장치
151 : 세제저장수단 152 : 세제액 공급유로
160 : 터브 161 : 섬프
162 : 히터 163 : 배수구
164 : 개스킷 170 : 드럼
180 : 외부수원 181 : 직수유로
183 : 원수노즐 190 : 펌프
191 : 배수챔버 192 : 제2유로
193 : 분사수단 194 : 제1유로
195 : 제3유로 196 : 순환노즐

Claims (16)

  1. 세탁기의 드럼으로 세제가 함유된 세탁수를 공급하는 세탁기의 세탁수 공급방법에 있어서,
    외부수원으로부터의 원수가 세제저장수단을 경유하여 펌프로 공급하는 세제액 공급단계;
    드럼에 공급된 세탁수가 모이는 섬프의 하부에 형성된 배수구에 연결된 배수챔버와 펌프 사이에서 세제가 함유된 세탁수를 소정의 시간동안 순환시키는 세제용해단계; 및
    펌프에서 드럼으로 상기 세제가 용해된 세탁수를 공급하는 세탁수 공급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세제용해단계에서 상기 섬프와 상기 배수챔버에 잔존하는 세제 및 상기 세제저장수단에서 공급된 세제가 세탁수에 용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의 세탁수 공급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제용해단계는 상기 세탁수의 세제 농도가 높아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의 세탁수 공급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제용해단계는 상기 섬프 및 상기 배수챔버에 잔존하는 세제가 세척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의 세탁수 공급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제용해단계에서 상기 섬프에 구비되는 히터를 가동하여 상기 세탁수의 온도를 높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의 세탁수 공급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제용해단계에서 상기 펌프로 외부수원으로부터 원수를 직접 공급하여 순환되는 세탁수의 양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의 세탁수 공급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제용해단계에서 외부수원으로부터 원수를 드럼을 경유하여 상기 펌프로 공급하여 순환되는 세탁수의 양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의 세탁수 공급방법.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세제용해단계는 상기 펌프에서 상기 배수챔버로 공급되는 세탁수를 상기 배수챔버 내부에 분사하여, 상기 배수챔버 및 상기 섬프에서 와류를 형성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의 세탁수 공급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제용해단계 이전에 상기 세제공급수단으로부터 공급된 세제가 포함된 세탁수가 상기 펌프의 임펠러에 의해 교반되도록 하는 교반단계;를 더 포함하는,
    세탁기의 세탁수 공급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제액공급단계는 세제저장수단을 경유한 세제액이 드럼을 경유하지 않는 별도의 유로를 통해 상기 펌프로 직접 공급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의 세탁수 공급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탁수 공급단계는 상기 세제가 함유된 세탁수를 드럼 내부의 세탁대상물에 분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의 세탁수 공급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세탁수 공급단계는 상기 세제가 함유된 세탁수를 미립화 하여 세탁대상물에 투과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의 세탁수 공급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세탁수 공급단계에는 상기 드럼을 회전시키며 상기 세탁수를 세탁대상물에 분사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의 세탁수 공급방법.
  1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세제액 공급단계 이전에 드럼에 수용된 세탁대상물의 양을 측정하는 포량감지단계;를 더 포함하는,
    세탁기의 세탁수 공급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포량감지단계에서 측정된 포량을 기준으로 상기 세탁수 공급단계에서 상기 세탁수의 세제 농도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의 세탁수 공급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세탁수 공급단계는 외부수원으로부터 원수를 펌프로 직접 공급하여 상기 세탁수의 세제 농도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의 세탁수 공급방법.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세탁수 공급단계는 외부수원으로부터 원수를 드럼을 경유하여 상기 펌프로 공급하여 상기 세탁수의 세제 농도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의 세탁수 공급방법.
KR1020110071678A 2011-07-18 2011-07-19 세탁기의 세탁수 공급방법 Ceased KR20130010801A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1678A KR20130010801A (ko) 2011-07-19 2011-07-19 세탁기의 세탁수 공급방법
ES12815558.7T ES2612193T3 (es) 2011-07-18 2012-07-18 Máquina de lavar y procedimiento de alimentación de agua de lavado de la máquina de lavar
EP12815558.7A EP2735635B1 (en) 2011-07-18 2012-07-18 Washing machine and method for supplying wash water of washing machine
US14/129,391 US10145052B2 (en) 2011-07-18 2012-07-18 Washing machine and method for supplying wash water of washing machine
PCT/KR2012/005727 WO2013012247A2 (ko) 2011-07-18 2012-07-18 세탁기 및 세탁기의 세탁수 공급방법
CN201280035735.7A CN103687987B (zh) 2011-07-18 2012-07-18 洗衣机及洗衣机的洗涤水供给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1678A KR20130010801A (ko) 2011-07-19 2011-07-19 세탁기의 세탁수 공급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0801A true KR20130010801A (ko) 2013-01-29

Family

ID=478399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71678A Ceased KR20130010801A (ko) 2011-07-18 2011-07-19 세탁기의 세탁수 공급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10801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221462A1 (ko) * 2018-05-16 2019-11-21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기
WO2023128153A1 (ko) * 2022-01-03 2023-07-06 삼성전자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WO2023210951A1 (ko) * 2022-04-25 2023-11-02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기 및 세탁기의 제어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221462A1 (ko) * 2018-05-16 2019-11-21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기
US11834773B2 (en) 2018-05-16 2023-12-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Washing machine
WO2023128153A1 (ko) * 2022-01-03 2023-07-06 삼성전자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WO2023210951A1 (ko) * 2022-04-25 2023-11-02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기 및 세탁기의 제어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19154B2 (en) Washing machine
KR101708658B1 (ko) 드럼 세탁기의 제어방법
CN103069068B (zh) 滚筒式洗衣机
EP2987902B1 (en) Washing machin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20070084000A1 (en) Stain removal process using combination of low and high speed spin
KR20160044901A (ko)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00082481A (ko) 세탁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세탁방법
JP2012090829A (ja) ドラム式洗濯機
CN102844489B (zh) 滚筒式洗衣机
KR101457163B1 (ko) 세탁기 및 그 헹굼 제어방법
KR20110072974A (ko) 세탁 방법 및 세탁기
KR20130010801A (ko) 세탁기의 세탁수 공급방법
KR102013187B1 (ko) 세탁기 및 세탁기의 세탁수 공급방법
KR100848908B1 (ko) 세탁 장치
EP2578739B1 (en) Method for washing laundry in a laundry washing machine
KR20110067469A (ko) 세탁물 처리기기 및 세탁물 처리기기의 헹굼방법
KR20160111686A (ko)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114329B1 (ko) 세탁기
KR20110072977A (ko) 세탁 방법 및 세탁기
KR102771869B1 (ko)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JP2009261450A (ja) ドラム式洗濯機
KR0172883B1 (ko) 전자동 세탁기의 섬유 유연제 투입 제어방법
KR20170028127A (ko)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KR101721869B1 (ko) 세탁장치
KR20240125163A (ko) 의류처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10719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60524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10719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021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70720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70210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AMND Amendment
PX0901 Re-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170720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170308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X0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6014S01D

Patent event date: 20170911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6012R01I

Patent event date: 20170808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6011S01I

Patent event date: 20170720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6012R01I

Patent event date: 20170308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X06013S01I

Patent event date: 20170210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PJ0201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Patent event date: 20171011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code: PJ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70911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J02011S01I

Patent event date: 20170720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J02011S01I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Decision date: 20190603

Appeal identifier: 2017101004905

Request date: 20171011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7101004905;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71011

Effective date: 20190603

PJ1301 Trial decision

Patent event code: PJ13011S01D

Patent event date: 20190603

Comment text: Trial Decision on Objection to Decision on Refusal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 date: 20171011

Decision date: 20190603

Appeal identifier: 20171010049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