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90125599A - 생체인식 기술을 이용한 쉐어룸 시스템 - Google Patents

생체인식 기술을 이용한 쉐어룸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25599A
KR20190125599A KR1020180049592A KR20180049592A KR20190125599A KR 20190125599 A KR20190125599 A KR 20190125599A KR 1020180049592 A KR1020180049592 A KR 1020180049592A KR 20180049592 A KR20180049592 A KR 20180049592A KR 20190125599 A KR20190125599 A KR 201901255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om system
space
share room
share
biometric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95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의철
리메이르
이덕찬
Original Assignee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800495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125599A/ko
Publication of KR201901255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25599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K9/00006
    • G06K9/00597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2Fingerprints or palmpri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8Eye characteristics, e.g. of the iri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conom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ultimedia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Collating Specific Patter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1개의 주거를 다수의 이용자가 개인공간과 공용공간으로 나누어 사용하는 쉐어룸 시스템에서,
상기 개인공간에서 발생한 에너지 사용에 대한 비용은 각각의 개인이 부담하며,
상기 공용공간에서 발생한 에너지 사용에 대한 비용은 사용한 기구에 부착된 생체인식 센서에 의해서 사용자만이 부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인식 기술을 이용한 쉐어룸 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생체인식 기술을 이용한 쉐어룸 시스템{the share room system using tthe biometric information recognition technology}
본 발명은 1개의 주거를 다수의 이용자가 개인공간과 공용공간으로 나누어 사용하는 쉐어룸 시스템에서, 상기 개인공간에서 발생한 에너지 사용에 대한 비용은 각각의 개인이 부담하며, 상기 공용공간에서 발생한 에너지 사용에 대한 비용은 사용한 기구에 부착된 생체인식 센서에 의해서 사용자만이 부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인식 기술을 이용한 쉐어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통상적인 쉐어룸 시스템을 도시한 것이다.
쉐어룸(share room)이란 중국과 같이 비싼 집값에 대응하여 다수의 사용자가 1개의 주거를 공유하는 개념으로, 근래에는 한국에서도 증가하고 있다.
종래의 쉐어룸 시스템은 사용자마다 에너지 사용량이 다름에도 불구하고 동일한 비용을 나누어 부담하게 되므로 분쟁이 빈번한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자는 1개의 주거를 다수의 이용자가 개인공간과 공용공간으로 나누어 사용하는 쉐어룸 시스템에서, 상기 개인공간에서 발생한 에너지 사용에 대한 비용은 각각의 개인이 부담하며, 상기 공용공간에서 발생한 에너지 사용에 대한 비용은 사용한 기구에 부착된 생체인식 센서에 의해서 사용자만이 부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인식 기술을 이용한 쉐어룸 시스템을 개발하기에 이르렀다.
[문헌 1]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6-0138544호 ‘듀얼 접속성 시나리오들에서의 전력 공유 및 전력 헤드룸 리포팅’, 2016년12월05일 [문헌 2]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7-0055374호 ‘공유공간의 정보제공 시스템 및 방법’, 2017년05월19일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서 제시되는 것이다. 그 목적은 1개의 주거를 다수의 이용자가 개인공간과 공용공간으로 나누어 사용하는 쉐어룸 시스템에서, 상기 개인공간에서 발생한 에너지 사용에 대한 비용은 각각의 개인이 부담하며, 상기 공용공간에서 발생한 에너지 사용에 대한 비용은 사용한 기구에 부착된 생체인식 센서에 의해서 사용자만이 부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인식 기술을 이용한 쉐어룸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1개의 주거를 다수의 이용자가 개인공간과 공용공간으로 나누어 사용하는 쉐어룸 시스템에서,
상기 개인공간에서 발생한 에너지 사용에 대한 비용은 각각의 개인이 부담하며,
상기 공용공간에서 발생한 에너지 사용에 대한 비용은 사용한 기구에 부착된 생체인식 센서에 의해서 사용자만이 부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인식 기술을 이용한 쉐어룸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1개의 주거를 다수의 이용자가 개인공간과 공용공간으로 나누어 사용하는 쉐어룸 시스템에서,
상기 개인공간에서 발생한 에너지 사용에 대한 비용은 각각의 개인이 부담하며,
상기 공용공간에서 발생한 에너지 사용에 대한 비용은 사용한 기구에 부착된 생체인식 센서에 의해서 사용자만이 부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인식 기술을 이용한 쉐어룸 시스템을 제공한다.
도 1은 통상적인 쉐어룸 시스템을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종래의 쉐어룸 시스템과 본 발명의 생체인식 기술을 이용한 쉐어룸 시스템을 비교하여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생체인식 기술을 이용한 쉐어룸 시스템의 개념을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서 결산모드 단계의 개념을 도시한 것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과 함께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개념이 바람직하게 구현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통상적인 쉐어룸 시스템을 도시한 것이다.
기존의 쉐어룸 시스템은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 각자가 거주하는 시간이 다르고 생활패턴이 달라 에너지 사용량이 다름에도 불구하고 이를 정확히 측정하여 부담을 정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도 2는 종래의 쉐어룸 시스템과 본 발명의 생체인식 기술을 이용한 쉐어룸 시스템을 비교하여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생체인식 기술을 이용한 쉐어룸 시스템의 개념을 도시한 것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생체인식 기술을 이용한 쉐어룸 시스템은,
1개의 주거를 다수의 이용자가 개인공간과 공용공간으로 나누어 사용하는 쉐어룸 시스템에서,
상기 개인공간에서 발생한 에너지 사용에 대한 비용은 각각의 개인이 부담하며,
상기 공용공간에서 발생한 에너지 사용에 대한 비용은 사용한 기구에 부착된 생체인식 센서에 의해서 사용자만이 부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기구가 거실의 조명장치, 에어컨, 텔레비전일 경우 상기 생체인식 센서는 홍채인식 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기구가 화장실의 조명장치, 수도일 경우와 부엌의 조리기구, 냉장고, 수도일 경우 상기 생체인식 센서는 지문인식 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에서 결산모드 단계의 개념을 도시한 것이다.
사용자 개인의 스마트폰에 전용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상술한 에너지 사용에 대한 비용은 서버에서 집계되고 상기 전용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사용자 개개인에게 전송된다.
상기 서버는 집에 설치된 별도의 계량기 등의 장치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며,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청구범위는 이건 발명의 진정한 범위 내에 속하는 수정 및 변형을 포함한다.

Claims (3)

1개의 주거를 다수의 이용자가 개인공간과 공용공간으로 나누어 사용하는 쉐어룸 시스템에서,
상기 개인공간에서 발생한 에너지 사용에 대한 비용은 각각의 개인이 부담하며,
상기 공용공간에서 발생한 에너지 사용에 대한 비용은 사용한 기구에 부착된 생체인식 센서에 의해서 사용자만이 부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인식 기술을 이용한 쉐어룸 시스템.
제1항에서,
상기 기구가 거실의 조명장치, 에어컨, 텔레비전일 경우,
상기 생체인식 센서는 홍채인식 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인식 기술을 이용한 쉐어룸 시스템.
제1항 또는 제2항에서,
상기 기구가 화장실의 조명장치, 수도일 경우와 부엌의 조리기구, 냉장고, 수도일 경우,

상기 생체인식 센서는 지문인식 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인식 기술을 이용한 쉐어룸 시스템.

KR1020180049592A 2018-04-30 2018-04-30 생체인식 기술을 이용한 쉐어룸 시스템 Ceased KR2019012559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9592A KR20190125599A (ko) 2018-04-30 2018-04-30 생체인식 기술을 이용한 쉐어룸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9592A KR20190125599A (ko) 2018-04-30 2018-04-30 생체인식 기술을 이용한 쉐어룸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5599A true KR20190125599A (ko) 2019-11-07

Family

ID=685791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9592A Ceased KR20190125599A (ko) 2018-04-30 2018-04-30 생체인식 기술을 이용한 쉐어룸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12559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60846B1 (ko) * 2021-12-07 2022-10-31 케빈랩 주식회사 공간별 최적화된 공조에 대한 과금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38544A (ko) 2014-03-31 2016-12-05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듀얼 접속성 시나리오들에서의 전력 공유 및 전력 헤드룸 리포팅
KR20170055374A (ko) 2015-11-11 2017-05-19 유원 공유공간의 정보제공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38544A (ko) 2014-03-31 2016-12-05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듀얼 접속성 시나리오들에서의 전력 공유 및 전력 헤드룸 리포팅
KR20170055374A (ko) 2015-11-11 2017-05-19 유원 공유공간의 정보제공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60846B1 (ko) * 2021-12-07 2022-10-31 케빈랩 주식회사 공간별 최적화된 공조에 대한 과금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12132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monitoring water in a building
CN107257984A (zh) 监视器具使用情况的方法和系统
US11722985B2 (en) Object tracking and authentication using modular wall units
CN108040410B (zh) 一种酒店楼层的灯光控制系统及方法
US20200301378A1 (en) Deducing floor plans using modular wall units
CN108700645A (zh) 用于随智能设备利用雷达的系统、方法和设备
US9423432B2 (en) Tracking electrical appliance usage
Galván-Tejada et al. An analysis of audio features to develop a human activity recognition model using genetic algorithms, random forests, and neural networks
GB2458049A (en) Biometric access sensitivity
Morgner et al. Privacy implications of room climate data
CN110391959B (zh) 基于智能家居控制系统的控制权限的设置方法及装置
EP3690777A3 (en) Electronic device, certification agency server, and payment system
FR3020564B1 (fr) Ensemble electronique d'information du fonctionnement d'appareils electromenagers
US11315376B2 (en) Continuous authorization monitoring
KR20190125599A (ko) 생체인식 기술을 이용한 쉐어룸 시스템
EP4373146A3 (en) Systems and methods for advanced application security
SG11201804864VA (en) Processing of remote meter-reading data to analyse consumption modes
US20200051352A1 (en) Body-worn device for capturing user intent when interacting with multiple access controls
Fulk et al. Cloud-based low-cost energy monitoring system through internet of things
WO2017114173A1 (en) Lighting device, related method for lighting control, and related control system
CN104000496B (zh) 一种能定位水杯的饮水机及水杯定位系统和定位方法
AU2017348375B2 (en) Method of disaggregating an energy usage signal of a usage area
D’Alessandro et al. The Abruzzese Tv system: feature spreading and the double auxiliary construction
CN105868086B (zh) 一种信息处理方法及电子设备
CN103758368A (zh) 无纸化自助监考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043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08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200214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90828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