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55374A - 공유공간의 정보제공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공유공간의 정보제공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70055374A KR20170055374A KR1020150158452A KR20150158452A KR20170055374A KR 20170055374 A KR20170055374 A KR 20170055374A KR 1020150158452 A KR1020150158452 A KR 1020150158452A KR 20150158452 A KR20150158452 A KR 20150158452A KR 20170055374 A KR20170055374 A KR 20170055374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information
- bed
- space
- input
- shared spac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Withdrawn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6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125000002066 L-histidyl group Chemical group [H]N1C([H])=NC(C([H])([H])[C@](C(=O)[*])([H])N([H])[H])=C1[H]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361 pathway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16—Real estate
-
- G06F19/00—
-
- G06Q50/30—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실내에 배치된 각 침대별 정보를 제공하는 공유공간의 정보제공 시스템 및 방법이 제공된다. 개시되는 공유공간의 정보제공 방법은, 공유공간의 사진을 입력받는 단계, 상기 사진의 특정 지점에 대한 터치를 인식하는 단계, 상기 터치된 지점에 대응하는 개인별 공간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입력창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입력창을 통해 입력된 정보를 상기 터치된 지점에 대응시켜서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를 통해 공유공간을 구하려는 사용자들은 공유공간에 대한 상세정보 및 공유자에 대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어서 자신이 가장 희망하는 곳을 찾기까지의 시간과 노력을 줄일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공유공간의 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공유공간 내에 배치된 각 개인별 공간의 사용조건에 대한 정보 및 각 개인별 공간을 사용하는 공유자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공유공간의 정보제공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무선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휴대 단말기가 널리 보급됨에 따라 다양한 상품에 대한 온라인 거래가 활성화 되었다. 부동산 역시 하나의 상품으로서 온라인을 통한 광고, 중개 등의 거래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종래 온라인을 통한 부동산 거래 방식을 살펴보면, 부동산의 매도나 임대를 희망하는 사람들이 중개 서버에 접속하여 해당 부동산의 종류, 위치, 면적, 가격 등의 상세정보를 입력하고, 매입 또는 임차를 희망하는 사람들은 중개 서버에 저장된 부동산의 종류, 위치, 면적, 가격 등의 정보를 검색하여 자신이 원하는 부동산을 찾아내는 방식이다.
이와 같은 온라인을 통한 부동산 거래 방식은, 부동산 중개업소를 일일이 방문하지 않아도, 임대인이나 매도인 입장에서는 매물을 쉽게 등록할 수 있고 임차인이나 매수인 입장에서도 원하는 유형의 부동산을 쉽게 검색할 수 있어서 시간과 노력을 줄이는 장점이 있다.
그런데, 종래의 부동산에 대한 정보 입력방식의 경우 개별 부동산의 호수단위(house unit)로 정보를 입력하도록 구성된 것이 대부분이다. 이와 같이 각 호수 단위로 정보를 입력하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호수 내 하나의 방(room)을 임대차하고자 할 때나 2인 이상이 공유하는 방을 임대차하고자 할 때에는 임대인의 입장에서는 체계적인 홍보가 어렵고 임차인 입장에서도 자신이 원하는 조건의 부동산을 찾기가 어렵다.
예컨대, 한 개 호수의 주택이나 오피스텔 등을 임대하는 경우에는 정해진 양식에 따라 해당 부동산의 위치, 면적, 가격 등의 객관적인 정보만을 입력하는 것으로 이를 매수하거나 임차하려는 사람들에게 제공하는 정보로서 부족함이 없다. 하지만, 집 전체가 아닌 하나의 방 단위로 임대차하거나 방을 공유하는 경우에는 해당 부동산의 위치, 면적, 가격 등의 객관적인 정보뿐만 아니라, 집 안에 구비된 시설이나 비품, 같은 집 안에서 생활하는 사람들에 대한 정보 등도 중요한 비중을 차지하는 반면, 이러한 정보를 온라인 상에서 체계적으로 입력하거나 입수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다.
즉 현재의 온라인을 통한 부동산 정보 입력방식은 집 전체에 대한 객관적인 정보만을 입력하는 방식이라서 상기와 같이 집 전체가 아닌 하나의 방 단위로 임대차하거나 2인 이상이 공유하는 공간에 대하여 임대차하는 경우에는 활용도가 크게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한 것으로서, 집 전체가 아닌 하나의 방 단위로 임대차하거나 2인 이상이 공유하는 방에 대하여 임대차하는 경우에 이러한 공유공간에 대한 정보 및 공유공간을 공유하는 공유자에 대한 정보를 효율적으로 입력하거나 열람할 수 있는 공유공간의 정보제공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유공간의 정보제공 방법은, 공유공간의 사진을 입력받는 단계, 상기 사진의 특정 지점에 대한 터치를 인식하는 단계, 상기 터치된 지점에 대응하는 개인별 공간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입력창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입력창을 통해 입력된 정보를 상기 터치된 지점에 대응시켜서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유공간의 정보제공 방법은, 침대 이미지가 포함된 사진을 입력받는 단계, 상기 입력된 사진 속의 침대 이미지를 인식하는 단계, 사용자의 단말기 화면 상에서 상기 사진의 터치를 인식하는 단계, 상기 터치된 영역의 침대 또는 터치된 지점과 가장 근접한 침대의 침대별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입력창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입력창을 통해 입력된 침대별 정보를 상기 침대 이미지에 대응시켜서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관점에 따른 정보제공 서버는, 공유공간의 사진 및 개인별 공간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 사용자의 단말기 화면 상에서 상기 사진의 특정 지점에 대한 터치가 인식되면 상기 터치된 지점에 대응하는 개인별 공간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입력창을 생성하는 제어부, 및 상기 입력창을 통해 입력된 정보를 상기 터치된 지점에 대응시켜서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관점에 따른 정보제공 시스템은, 공유공간의 사진을 입력받고 개인별 공간 정보를 입력받는 정보입력 단말기, 상기 정보입력 단말기의 화면 상에서 상기 공유공간의 사진의 특정 지점에 대한 터치가 인식되면 상기 터치된 지점에 대응하는 개인별 공간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입력창을 생성하고, 상기 입력창을 통해 입력된 정보를 상기 터치된 지점에 대응시켜서 저장하는 정보제공 서버, 및 상기 정보제공 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저장된 정보를 검색하는 정보검색 단말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입주대상으로서 공유공간을 구하려는 사용자들은 공유공간에 대한 상세정보 및 공유자에 대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어서 자신이 가장 희망하는 곳을 찾기까지의 시간과 노력을 줄일 수 있다. 아울러 공유공간을 제공하는 측 역시 개인별 공간에 대한 정보를 체계적으로 입력하고 홍보할 수 있어서 효과적인 영업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공유공간 정보를 입력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공유공간의 상세 정보 및 이미지를 입력하는 화면을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공유공간 안에 있는 방의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화면을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개인별 공간의 사용조건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화면을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사용 중인 개인별 공간의 공유자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화면을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침대별 정보가 등록된 화면을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침대 사용자의 프로필 정보 화면을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유공간 내 전체 공유자 정보의 화면을 나타낸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유공간의 정보제공 시스템을 나타낸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유공간의 정보제공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유공간의 정보제공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공유공간의 상세 정보 및 이미지를 입력하는 화면을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공유공간 안에 있는 방의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화면을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개인별 공간의 사용조건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화면을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사용 중인 개인별 공간의 공유자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화면을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침대별 정보가 등록된 화면을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침대 사용자의 프로필 정보 화면을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유공간 내 전체 공유자 정보의 화면을 나타낸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유공간의 정보제공 시스템을 나타낸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유공간의 정보제공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유공간의 정보제공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공유공간'이라 함은, 2인 이상의 사람들이 모여서 함께 일하거나 생활할 수 있는 공간을 통칭하는 것으로서, 주택, 오피스텔은 물론 사무실, 상가 등도 이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는 하나의 주택이 하나의'공유공간'이 될 수 있고, 하나의 주택 내에 배치된 각 방(room) 역시 하나의 '공유공간'이 될 수 있으며, 나아가 여러 세대가 합쳐진 아파트나 오피스텔의 건물 한 동 전체가 하나의 '공유공간'이 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공유공간을 제공하고자 하는 사용자(이하 “호스트”라고도 한다)가 정보입력 단말기를 통해 정보제공 서버에 접속하여 공유공간 정보를 입력하고, 공유공간을 이용하고자 하는 사용자(이하 “게스트”라고도 한다)는 정보검색 단말기를 통해 정보제공 서버에 접속하여 공유공간 정보를 검색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호스트는 정보제공 서버에 접속하여 회원가입 과정 등을 거친 후에 공유공간 정보를 입력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정보제공 서버에 접속한 호스트의 정보입력 단말기의 화면 상에서 공유공간 정보를 입력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1은 공유공간으로서 하나의 주택(쉐어하우스)을 예로 들고 있다. 도 1의 (a)는 공유공간으로서 등록하고자 하는 주택의 ‘종류’를 선택할 수 있는 화면이고, 도 1의 (b)는 등록하고자 하는 주택의 ‘주소’를 입력할 수 있는 화면이다. 그리고, 도 1의 (c)는 등록하고자 하는 주택의 ‘구성’, 예컨대, 방과 욕실의 개수, 복층여부, 전체 면적 등의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화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공유공간의 상세 정보 및 이미지를 입력하는 화면이다. 도 2의 (a)는 공유공간으로서 등록하고자 하는 주택의 상세 정보, 예컨대 호스트가 직접 기재하는 주택의 명칭, 설명을 비롯하여, 공용공간 선택입력, 편의시설 선택입력, 반려동물 유무 선택입력, 주차시설 유무 선택입력, 공동생활규칙, 기타 사항의 기재 등이 가능한 화면이다. 도 2의 (b)는 주택 내부의 사진을 입력(업로드)하는 화면으로서, 예컨대, 메인사진, 집 전체 사진, 방1, 방2 사진 등으로 분류하여 입력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공유공간 안에 있는 방의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화면을 나타낸 것이다. 도 3의 (a)는 공유공간 안에 있는 ‘방1’에 대한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초기화면이고, 도 3의 (b)는 정보를 입력한 후의 화면을 나타낸 것이다. 호스트가 방1의 사진을 입력한 경우,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진 상에 침대를 터치하여 침대 정보를 등록하시면 사진위에 아이콘이 생성됩니다’라는 메시지가 나타날 수 있다. 이에 따라 침대 이미지를 터치한 경우, 도 4와 같은 정보입력창이 생성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공유공간 내 개인별 공간의 사용조건에 대한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화면을 나타낸 것으로서, 도 4의 (a)는 초기화면이고 도 4의 (b)는 정보를 입력한 후의 화면을 나타낸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각 개인별 공간과 관련하여 해당 침대에 대한 상세설명 뿐만 아니라, 해당 침대에 입주하게 되는 공유자에 대한 희망사항, 관심사, 침대명칭, 침대유형, 월세, 보증금, 계약기간 등과 같은 개인별 공간의 사용 조건 등을 기재할 수 있는 항목이 나타나 있다.
도 4의 실시예에서는 각 개인별 공간에 대한 기준을 침대로 정하였다. 즉 하나의 침대마다 1명이 사용하는 것을 기준으로 하였기 때문에, 개인별 공간 정보는 각 침대의 침대별 정보(침대사용조건에 대한 정보 또는 침대를 사용하는 사용자에 대한 정보)에 해당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공유공간 내에서 비어있는 각 침대마다 침대별 정보를 입력하여 저장하면, 공유공간에 입주를 희망하는 사용자들은 침대별 정보를 손쉽게 검색할 수 있다. 다만 개인별 공간의 기준을 반드시 침대로 특정해야 하는 것은 아니고, 책상, 침구, 옷장 등의 다른 가구를 기준으로 할 수도 있고, 1인실의 경우에는 해당 방 자체가 개인별 공간의 기준이 될 수도 있다.
한편, 같은 공유공간 내에서 이미 침대를 사용하고 있는 사용자에 대한 정보 역시 동일한 방식으로 입력할 수 있다. 즉, 도 3의 (b)의 사진 상에서 이미 사용자가 있는 침대 이미지를 터치하여, 예컨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메이트 정보’, 즉 공유자에 대한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입력창이 생성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공유자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화면을 나타낸 것이다. 침대를 기준으로 개인별 공간을 구분하는 경우에는 개인별 공간 정보로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재 침대를 사용 중인 사용자에 대한 사진, 성별, 연령대, 직업, 관심사 등과 같은 공유자 정보를 기재항목으로 둘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개인별 공간정보가 등록된 화면을 나타낸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화면의 사진 상에는 3개의 침대가 놓여져 있고 각각의 침대에 대응하여 아이콘(51, 52, 53)이 형성되어 있다. 각 아이콘을 터치하면 해당 침대에 대하여 저장된 침대별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한편 도 6의 화면을 검색한 사용자는 세 개의 침대 중에서 두 개의 아이콘(51, 52)에 대응하는 침대는 아이콘 상에 사람 이미지가 나타난 것으로 보아 이미 사용 중인 침대이고 나머지 하나의 아이콘(53)에 대응하는 침대는 사람 이미지가 없는 것으로 보아 현재 비어있는 침대임을 알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6의 화면을 검색한 사용자가, 현재 침대를 사용하고 있는 사람에 대한 정보를 확인하기 위해 도 6의 화면 상에서 아이콘(51)을 터치한 경우, 예컨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침대를 사용 중인 사람에 대한 프로필 정보가 나타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침대 사용자의 프로필 정보 화면을 나타낸 것으로서, 이러한 정보를 확인함으로써 입주를 희망하는 사용자들은 입주여부를 결정하는 데에 참고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유공간 내 전체 침대별 정보(개인별 공간 정보)를 나타낸 화면으로서, 총 3개의 방의 명칭(81, 85, 87)이 표시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첫 번째 방(81)은 3인실로서 이미 입주하고 있는 두 명에 대한 프로필 정보(83, 84) 및 나머지 비어있는 하나의 침대에 입주할 사람에 대한 희망정보(82)가 간략히 기재되어 있다. 두 번째 방(85)은 1인실로서 이미 입주하고 있는 한 명에 대한 프로필 정보(86)가 간략히 기재되어 있다. 세 번째 방(87)은 2인실로서 이미 입주하고 있는 한 명에 대한 프로필 정보(88) 및 나머지 비어있는 하나의 침대에 입주할 사람에 대한 희망정보(89)가 간략히 기재되어 있다.
그리고 화면 상에서 각각의 간략정보를 터치할 경우, 해당 부분에 대한 상세정보 화면으로 전환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공유공간 안에서 각 방마다 모든 침대별 정보(개인별 공간정보)를 제공함으로써, 공유공간에 입주를 희망하는 사람들은 필요한 정보의 검색을 용이하게 체계적으로 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유공간의 정보제공 시스템(1000)을 나타낸 것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정보입력 단말기(100)는 공유공간의 사진 및 공유공간에 관한 정보, 예컨대 공유공간 내 각 개인별 공간의 사용조건에 관한 정보, 공유자 정보 등을 입력하기 위한 호스트 측의 단말기이고, 정보제공 서버(200)는 정보입력 단말기(100)로부터 입력된 공유공간 정보를 공유공간의 사진이미지에 대응시켜서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정보검색 단말기(300)는 정보제공 서버(200)에 접속하여 정보제공 서버(200)에 저장된 정보를 검색할 수 있는 게스트 측의 단말기이다.
정보제공 서버(200)는 구체적으로 통신부(210), 제어부(220) 및 데이터베이스(230)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210)는 정보입력 단말기(100) 및 정보검색 단말기(300)와의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고, 특히 정보입력 단말기(100)로부터 각 개인별 공간에 대한 이미지가 포함된 공유공간의 사진 및 공유공간에 관한 정보, 예컨대 공유공간 내 각 개인별 공간의 사용조건에 관한 정보, 공유자 정보 등을 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220)는 정보입력 단말기(100)의 화면 상에서 공유공간의 사진 내 특정 지점에 대응하는 영역의 터치가 인식되면 정보입력 단말기(100)의 화면 상에 개인별 공간의 사용조건에 대한 정보 또는 공유자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입력창을 생성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230)는 정보입력 단말기(100)의 화면 상에서 입력창을 통해 입력된 사용조건 정보 또는 공유자 정보를 공유공간의 사진에서 각 개인별 공간에 해당하는 이미지(예컨대 침대이미지)에 대응시켜서 저장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공유공간의 침대별 정보가 데이터베이스(230)에 저장되면, 제어부(220)는 침대 이미지에 대응하여 저장된 침대별 정보(침대별 사용조건 정보 또는 공유자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아이콘을 상기 사진속 침대 이미지 상에 생성할 수 있다.
정보제공 서버(200)의 구성은 본 발명의 효과를 달성하기 위하여 반드시 상기의 구성으로 특정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고 다르게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에서는 침대별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입력창을 생성하는 것과 침대별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아이콘을 생성하는 것을 정보제공 서버(200)의 제어부(220)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재하였으나, 이러한 과정은 정보제공 서버(200)에 접속되기 전에 정보입력 단말기(100)에서 수행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입력창을 생성하는 것과 아이콘을 생성하는 과정을 정보입력 단말기(100)에서 수행하든 정보제공 서버(200)에서 수행하든 양자 모두 본 발명의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유공간의 정보제공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유공간의 정보제공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공유공간을 제공하려는 사용자는 자신의 정보입력 단말기(100)를 통하여 공유공간에 대한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이 경우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유공간의 종류, 주소, 구성, 상세정보, 전체 구조 사진 등을 입력할 수 있다. 나아가 사용자는 공유공간 안의 각 방에 배치된 개인별 공간에 대한 이미지, 예컨대 침대 이미지가 포함된 사진을 입력한다(S10). 즉, 공유공간 안에 있는 각 방을 촬영한 사진을 입력하되 각 사진에 해당 방안의 침대가 포함되도록 찍은 사진을 입력한다. 예컨대,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안에 배치된 침대가 나타나도록 촬영된 사진을 입력한다.
이와 같이 침대 이미지가 포함된 사진이 입력된 상태에서 각 침대별 사용조건에 대한 정보를 입력하기 위하여 사용자가 정보입력 단말기(100)의 화면을 터치하면 정보제공 서버(200)는 이러한 터치를 인식하여(S20), 터치된 지점에 대응하는 개인 공간별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입력창을 생성한다(S30).
입력창에는 예컨대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재 비어있는 침대에 대한 상세설명, 해당 침대에 입주하게 되는 공유자에 대한 희망사항, 관심사, 침대명칭, 침대유형, 월세, 보증금, 계약기간 등과 같은 침대사용조건 등을 기재할 수 있는 항목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입력창에는 예컨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재 침대를 사용 중인 공유자에 대한 사진, 성별, 연령대, 직업, 관심사 등의 기재항목이 포함될 수 있다.
입력창을 통한 개인별 공간 정보의 입력이 완료되면 터치된 지점에 대응하는 해당 침대 이미지(개인별 공간에 대한 이미지)에 대응시켜서 침대별 정보를 정보제공 서버(200)의 데이터베이스(230)에 저장한다(S40).
이와 같이 공유공간의 개인별 공간에 대한 정보가 데이터베이스(230)에 저장되면, 침대 이미지(개인별 공간에 대한 이미지)에 대응하여 저장된 침대별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아이콘을 상기 사진속 침대 이미지 상에 생성한다(S50). 즉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침대 이미지에 대응하는 아이콘(51, 52, 53)을 생성하여, 각 아이콘을 터치하면 그에 대응하는 침대별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공유공간 내 개인별 공간을 이미 사용 중인 사용자(공유자)에 대한 정보가 등록된 경우 해당 사용자(공유자)에게 상기 침대별 정보를 입력하거나 수정하는 권한을 부여할 수 있다(S60). 즉 침대별 정보에는 해당 침대를 사용하는 사용자에 대한 정보도 포함될 수 있으므로, 자신의 정보를 직접 입력/수정할 수 있도록 하는 권한을 침대 사용자에게 부여하는 것이다.
한편, 정보제공 서버(200)는 동일한 공유공간 내에 있는 공유자들 간에 온라인 커뮤니티를 진행할 수 있는 온라인 커뮤니티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S70).
예컨대, 입력창을 통해 입력된 침대 사용자의 온라인계정을 근거로 하여 동일한 공유공간 별로 온라인 커뮤니티 공간을 형성하거나 공유공간 내 동일한 방을 사용하는 침대 사용자들 간에 온라인 커뮤니티 공간을 형성함으로써, 이를 통해 공동생활에 필요한 사항의 공지, 친목도모 등의 통로로써 활용되도록 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정보제공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1의 정보제공 방법을 이하에서 설명한다.
공유공간을 제공하려는 호스트가 정보입력 단말기(100)을 통해 개인별 공간에 대한 이미지(예컨대, 침대 이미지)가 포함된 사진을 입력하면(S110), 정보입력 단말기(100) 또는 정보제공 서버(200)는 입력된 사진 속의 침대이미지를 인식한다(S120).
일실시예로서, 정보입력 단말기(100)에‘방1’에 해당하는 사진이 입력된 경우 정보입력 단말기(100) 또는 정보제공 서버(200)는 해당 사진 내에 위치하고 있는 침대이미지를 인식한다. 침대이미지를 인식하기 위해 정보입력 단말기(100) 또는 정보제공 서버(200)는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거나 활용되고 있는 이미지 내 사물인식 기술을 활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진 속의 침대이미지 존재여부를 인식하여, 침대이미지가 인식되지 않은 경우에는 침대이미지가 포함된 사진을 입력하라는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고, 침대이미지가 인식된 경우에는 ‘사진 속 침대를 터치하여 침대정보를 등록하라’는 취지의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S130).
사진 속에 침대이미지가 포함된 것으로 인식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정보입력 단말기(100)의 화면 상의 사진을 터치함으로써 터치가 인식된 경우(S140), 정보입력 단말기(100) 또는 정보제공 서버(200)는 터치된 지점의 침대 또는 터치된 지점과 가장 근접한 침대에 해당하는 침대별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입력창을 생성한다(S150).
상기 S150 이후에 입력창을 통해 입력된 침대별 정보는 정보제공 서버(200)의 데이터베이스(230)에 저장될 수 있다(S160).
상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유공간의 정보제공 방법은, 컴퓨터 상에서 실행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라 함은 데스크탑 피씨, 노트북 컴퓨터 등과 같이 ‘컴퓨터’라는 명칭을 가진 제품 뿐만 아니라 일반 디지털 프로그램을 실행할 수 있는 제품을 총괄하는 명칭이다.
일예로서, 상기한 실시예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정보입력 단말기에 해당하는 스마트폰 등의 이동 단말기가 다운로드 받아서 이를 실행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정보제공 방법을 수행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Claims (14)
- 공유공간의 사진을 입력받는 단계;
상기 사진의 특정 지점에 대한 터치를 인식하는 단계;
상기 터치된 지점에 대응하는 개인별 공간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입력창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입력창을 통해 입력된 정보를 상기 터치된 지점에 대응시켜서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공유공간의 정보제공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유공간의 사진은 침대 이미지를 포함하고, 상기 터치된 지점은 상기 침대 이미지에 대응하는 영역이고, 상기 입력창에는 침대별 정보를 입력할 수 있고, 상기 입력된 침대별 정보는 상기 침대 이미지에 대응하여 저장되는 공유공간의 정보제공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아이콘을 상기 사진속 터치된 지점 상에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공유공간의 정보제공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된 입력창에는 개인별 공간을 현재 사용하고 있는 사용자에 대한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항목이 표시되는, 공유공간의 정보제공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개인별 공간을 현재 사용하는 사용자에게 상기 개인별 공간 정보를 입력하거나 수정할 권한을 부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공유공간의 정보제공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동일한 공유공간을 사용하는 사용자들 간에 온라인 커뮤니티를 진행할 수 있는 온라인 커뮤니티 공간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공유공간의 정보제공 방법.
-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컴퓨터 상에서 실행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매체.
- 침대 이미지가 포함된 사진을 입력받는 단계;
상기 입력된 사진 속의 침대 이미지를 인식하는 단계;
사용자의 단말기 화면 상에서 상기 사진의 터치를 인식하는 단계;
상기 터치된 영역의 침대 또는 터치된 지점과 가장 근접한 침대의 침대별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입력창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입력창을 통해 입력된 침대별 정보를 상기 침대 이미지에 대응시켜서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공유공간의 정보제공 방법. - 공유공간의 사진 및 개인별 공간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
사용자의 단말기 화면 상에서 상기 사진의 특정 지점에 대한 터치가 인식되면 상기 터치된 지점에 대응하는 개인별 공간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입력창을 생성하는 제어부; 및
상기 입력창을 통해 입력된 정보를 상기 터치된 지점에 대응시켜서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는, 정보제공 서버.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공유공간의 사진은 침대 이미지를 포함하고, 상기 터치된 지점은 상기 침대 이미지에 대응하는 영역이고, 상기 입력창에는 침대별 정보를 입력할 수 있고, 상기 입력된 침대별 정보는 상기 침대 이미지에 대응하여 저장되는, 정보제공 서버.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개인별 공간을 현재 사용하는 사용자에게 개인별 공간 정보를 입력하거나 수정할 권한을 부여하는, 정보제공 서버.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동일한 공유공간을 사용하는 사용자들 간에 온라인 커뮤니티를 진행할 수 있는 온라인 커뮤니티 공간을 형성하는, 정보제공 서버.
- 공유공간의 사진을 입력받고 개인별 공간 정보를 입력받는 정보입력 단말기;
상기 정보입력 단말기의 화면 상에서 상기 공유공간의 사진의 특정 지점에 대한 터치가 인식되면 상기 터치된 지점에 대응하는 개인별 공간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입력창을 생성하고, 상기 입력창을 통해 입력된 정보를 상기 터치된 지점에 대응시켜서 저장하는 정보제공 서버; 및
상기 정보제공 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저장된 정보를 검색하는 정보검색 단말기를 포함하는, 공유공간의 정보제공 시스템. -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공유공간의 사진은 침대 이미지를 포함하고, 상기 터치된 지점은 상기 침대 이미지에 대응하는 영역이고, 상기 입력창에는 침대별 정보를 입력할 수 있고, 상기 입력된 침대별 정보는 상기 침대 이미지에 대응하여 저장되는, 공유공간의 정보제공 시스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58452A KR20170055374A (ko) | 2015-11-11 | 2015-11-11 | 공유공간의 정보제공 시스템 및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58452A KR20170055374A (ko) | 2015-11-11 | 2015-11-11 | 공유공간의 정보제공 시스템 및 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55374A true KR20170055374A (ko) | 2017-05-19 |
Family
ID=590494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158452A Withdrawn KR20170055374A (ko) | 2015-11-11 | 2015-11-11 | 공유공간의 정보제공 시스템 및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70055374A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90125599A (ko) | 2018-04-30 | 2019-11-07 |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 생체인식 기술을 이용한 쉐어룸 시스템 |
KR20200022950A (ko) | 2018-08-24 | 2020-03-04 | 주식회사 5웨이크업 | 공유기를 이용한 공유공간 정보 관리 방법 및 서버 |
KR102190692B1 (ko) * | 2019-11-21 | 2020-12-15 | 이민욱 | 블록체인 기반의 셰어하우스 임대관리 방법 |
-
2015
- 2015-11-11 KR KR1020150158452A patent/KR20170055374A/ko not_active Withdrawn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90125599A (ko) | 2018-04-30 | 2019-11-07 |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 생체인식 기술을 이용한 쉐어룸 시스템 |
KR20200022950A (ko) | 2018-08-24 | 2020-03-04 | 주식회사 5웨이크업 | 공유기를 이용한 공유공간 정보 관리 방법 및 서버 |
KR102190692B1 (ko) * | 2019-11-21 | 2020-12-15 | 이민욱 | 블록체인 기반의 셰어하우스 임대관리 방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0445373B2 (en) | Social where next suggestion | |
US20130222373A1 (en) | Computer program, system, method and device for displaying and searching units in a multi-level structure | |
WO2019237571A1 (zh) | 定向推荐用户的方法、装置及存储介质、服务器 | |
JP6359001B2 (ja) | 情報処理システム、及び情報処理方法 | |
US11977714B2 (en) | Methods and systems for provisioning a collaborative virtual experience | |
US20220318441A1 (en) | Methods and systems for provisioning a virtual experience of a building | |
US20230162439A1 (en) | Methods and systems for provisioning a virtual experience based on reaction data | |
CN111310952A (zh) | 房间预订信息的处理方法、房间预订方法、系统及服务器 | |
US20190243809A1 (en) | Visual file system | |
CN111898058B (zh) | 个人主页信息处理方法、装置及电子设备 | |
KR20170055374A (ko) | 공유공간의 정보제공 시스템 및 방법 | |
JP2016206783A (ja) | 情報提供方法及び情報提供装置 | |
KR102544081B1 (ko) | 인테리어 시뮬레이션 및 견적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 |
KR100749961B1 (ko) | 부동산 평면도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 |
JP6575322B2 (ja) | チェックイン端末、チェックイン制御装置、チェックイン制御方法、及びチェックイン制御プログラム | |
JP6915030B2 (ja) | ストーリー映像提示プログラム、方法及びシステム | |
JP6626166B1 (ja) | 不動産情報提供装置、及び不動産情報提供プログラム | |
US20150154514A1 (en) | Event organising method and apparatus | |
JP6278425B1 (ja) | 不動産情報提供システム及び不動産情報提供方法 | |
Chauhan et al. | On rent—an android mobile application | |
JP7460725B2 (ja) |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理方法、及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 |
US12118140B2 (en) | Methods and systems for provisioning a virtual experience based on user preference | |
KR102523515B1 (ko) | 단위공간 개념을 도입한 사용자 선택형 메타버스 공간 조합 디자인 시스템 | |
JP7678279B2 (ja) | 検索支援システム、検索支援方法、及び検索支援プログラム | |
Kai Khiun et al. | Skeuomorphic Domestic Television’s Analog Divide: Television and Social Stratification in Singapor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1111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C1203 |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