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90122977A - 항해 교육을 위한 오토파일럿 통합형 선박운항 시뮬레이터 - Google Patents

항해 교육을 위한 오토파일럿 통합형 선박운항 시뮬레이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22977A
KR20190122977A KR1020180046553A KR20180046553A KR20190122977A KR 20190122977 A KR20190122977 A KR 20190122977A KR 1020180046553 A KR1020180046553 A KR 1020180046553A KR 20180046553 A KR20180046553 A KR 20180046553A KR 20190122977 A KR20190122977 A KR 201901229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ip
simulator
autopilot
navigation
integrated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65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훈
Original Assignee
김정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정훈 filed Critical 김정훈
Priority to KR10201800465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122977A/ko
Publication of KR201901229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22977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9/00Simulators for teaching or training purposes
    • G09B9/02Simulators for teaching or training purposes for teaching control of vehicles or other craft
    • G09B9/06Simulators for teaching or training purposes for teaching control of vehicles or other craft for teaching control of ships, boats, or other waterborne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49/00Arrangements of nautical instruments or navigational ai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선박운항 시뮬레이터(1)는 오토파일럿 시스템(AUTO PILOT SYSTEM)(31)의 선박자동운항 모사 및 모의로 오토파일럿 시스템(AUTO PILOT SYSTEM)(31)과 연계된 오토파일럿 연동장비(INDICATOR)(33)에 대한 조작 및 동작을 습득시켜주는 시뮬레이터 본체(10), 항해 화면을 재생하는 영상 모듈(20), 자동/수동조타제어로 선박자동운항 모의를 제어하는 시뮬레이터 LAB(40)로 구성됨으로써 항해 교육을 위한 오토파일럿 통합형으로 실제 선박과 흡사한 선박운항교육이 이루어지고, 특히 오토파일럿을 위한 실 선박 전자장비들의 사용법, 조타 기술, 돌발 상황 시 등의 전반적인 선박 운항방법의 교육이 가능한 특징을 갖는다.

Description

항해 교육을 위한 오토파일럿 통합형 선박운항 시뮬레이터{Shipping Operation Simulator Integrated Auto Pilot for Training Shipping Operations}
본 발명은 선박운항 시뮬레이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수동 조타 교육에 머물던 교육의 한계성이 자동조타교육으로 극복된 오토파일럿(Auto Pilot) 통합형 선박운항 시뮬레이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시뮬레이터는 실재 장치의 움직임을 해석하기 위하여 그것과 동작이 같게 설계된 기계 및 전기적 장치로서, 거의 전 산업 분야에서 보편화 된 기술이다.
일례로 선박 분야의 선박 시뮬레이터는 선박 및 항만 설계에 대한 타당성을 바탕으로 접이안 안정성 및 통합 안정성 등을 검증하기 위한 설계 시스템으로 활용되고, 나아가 잦은 선박 침몰사고 대비 선박운항교육을 위한 교육 시스템으로 그 활용이 증가하고 있다.
특히 상기 교육 시스템은 선박운항 시뮬레이터로 제공되고, 상기 선박운항 시뮬레이터는 실 선박운항 교육에서 요구되는 선박 운용비 및 전문가 섭외 등의 고가 비용 지출 없이 선박운항교육이 가능하다는 장점을 제공하여 준다.
그러므로 선박운항 시뮬레이터는 선박의 침몰 사고가 잦아지면서 선박운항 교육에 대한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는 세계적인 관심에 부흥할 수 있는 대안으로 그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국내공개특허 10-2017-0114483(2017년10월16일)
하지만 기존의 선박운항 시뮬레이터는 선박항해 교육을 수동 조타에 치중하는 방식으로, 하기와 같은 한계성을 갖고 있다.
첫째, 수동 조타로 국한된 선박항해 교육으로 선박에 널리 적용된 오토파일럿시스템(Auto Pilot System)의 교육이 불가하다. 둘째, 오토파일럿시스템(Auto Pilot System)과 연계된 선박용 자동항법장치 및 선박 전자장비의 조작을 위한 스킬(skill) 습득이 불가하다. 셋째, 실 선박 장비(Indicator)와 연동되지 않아 실 선박 기술 및 실 선박 운항과 비슷한 교육이 어렵거나 불가하다. 넷째, 시뮬레이터를 통한 운항교육의 규제 추세 및 상황에서 요구되는 수동 및 자동 조타 교육 및 실제 선박 장비(통상, Indicator로 칭함) 연동 교육의 수행이 불가하다.
이에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한 본 발명은 오토파일럿시스템의 적용으로 실제 선박과 흡사한 선박운항교육이 가능하고, 특히 오토파일럿을 위한 실 선박 전자장비들의 사용법, 조타 기술, 돌발 상황 시 등의 전반적인 선박 항해 교육이 가능한 오토파일럿 통합형 선박운항 시뮬레이터의 제공에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오토파일럿 통합형 선박운항 시뮬레이터는 오토파일럿시스템의 오토파일럿을 적용한 선박자동운항 모사가 이루어지고, 상기 오토파일럿시스템과 연계된 실 선박 시스템에 대한 조작 및 동작을 습득시켜주는 선박자동운항 모의가 이루어지는 시뮬레이터 본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시뮬레이터 본체는 오토파일럿 조작모듈을 구비하고, 상기 오토파일럿 조작모듈은 상기 오토파일럿 시스템에 상기 실 선박 시스템을 연동시켜준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실 선박 시스템은 오토파일럿 연동장비 또는/및 선박 전자 장비를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시뮬레이터 본체는 영상모듈과 연계되고, 상기 영상모듈은 상기 선박자동운항 모의에 대한 항해 영상을 스크린 또는 LCD로 재생하여 준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시뮬레이터 본체는 시뮬레이터 LAB과 연계되고, 상기 시뮬레이터 LAB는 상기 선박자동운항 모사 및 상기 선박자동운항 모의를 제어하여 주며, 상기 선박자동운항 모의를 자동조타제어 및 수동조타제어로 구분하여 준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시뮬레이터 LAB은 인터넷 또는 무선통신망과 연결이 이루어지는 중앙통제모듈을 구비하고, 상기 중앙통제모듈(50)은 항해 교육을 위한 오토파일럿 통합형 선박운항 시뮬레이션을 위한 시나리오 계획, 선박운동 산출, 항해 영상 수립, 선박형상자료 및 해역형상자료가 결합된 시뮬레이션영상자료 생성으로 상기 선박자동운항 모사를 수립하고, 사용자 운동 자료의 디지털명령어 변환, 시뮬레이션 제어값 출력/작동 제어/조작 통제로 상기 선박자동운항 모의를 수행하는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중앙통제모듈은 데이터베이스 모듈과 연계되고, 상기 데이터베이스 모듈은 상기 선박자동운항 모사를 위한 데이터로 구축된 시나리오, 선박/해역 DB 및 선박장비데이터 DB로 구분된다. 상기 선박장비데이터 DB는 상기 오토파일럿 시스템과 연계된 오토파일럿 연동장비와 선박전자장비의 정보 및 선박의 수동조타제어에 적용되는 수동 조타 선박장비의 정보로 데이터구축이 이루어진다.
이러한 본 발명의 오토파일럿 통합형 선박운항 시뮬레이터는 실 선박 연동을 통한 운항교육이 이루어짐으로써 하기와 같은 작용 및 효과를 구현한다.
첫째, 자동 조타 영역을 제공하여 수동 조타에 국한되었던 선박항해교육의 영역을 넓혀 줄 수 있다. 둘째, 선박항해교육을 통한 조작 스킬(operation skill)의 습득이 오토파일럿시스템(Auto Pilot System)과 연계된 선박용 자동항법장치 및 선박 전자장비로 넓어질 수 있다. 셋째, 실 선박 장비(Indicator)와 연동되므로 실 선박 기술 및 실 선박 운항과 비슷한 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다. 넷째, 수동 및 자동 조타 교육 및 실제 선박 장비(Indicator) 연동 교육으로 선박 시뮬레이터를 활용한 선박운항교육에 적용되는 규제 추세 및 상황이 모두 충족될 수 있다. 다섯째, 선박 전자장비들의 사용법, 조타 기술, 돌발 상황 시 등의 전반적인 선박 운항방법에 대한 실제적인 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항해 교육을 위한 오토파일럿(Auto Pilot System) 통합형 선박운항 시뮬레이터의 블록 구성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시뮬레이터 LAB의 구성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베이스 모듈의 선박장비데이터 DB의 구축 예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하며, 이러한 실시 예는 일례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므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을 참조하면, 오토파일럿 통합형 선박운항 시뮬레이터(1)는 실 선박 연동이 가능한 실 선박 시스템(30)으로 항해 교육을 위한 오토파일럿(Auto Pilot) 통합형 선박운항 시뮬레이터로 구성된다.
이를 위해 상기 오토파일럿 통합형 선박운항 시뮬레이터(1)는 시뮬레이터 본체(10), 영상모듈(20), 실 선박 시스템(30), 시뮬레이터 LAB(40)을 포함한다. 일례로 상기 시뮬레이터 본체(10)는 실 선박 시스템(30)의 오토파일럿(AUTO PILOT)의 동작 및 제어 특성을 구현하여 항해 교육이 이루어진다. 상기 영상모듈(20)은 해상 화면을 재생하는 디스플레이장비로 동작한다. 상기 실 선박 시스템(30)은 오토파일럿(AUTO PILOT)과 이에 연동된 선박 장치에 대한 각각의 동작 및 제어 특성을 제공한다. 상기 시뮬레이터 LAB(40)은 선박의 오토파일럿에 대한 자동 및 수동의 조타제어모드 제공으로 시뮬레이터 본체(10)에서 오토파일럿 통합으로 항해 교육을 가능하게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시뮬레이터 본체(10)는 오토파일럿 조작모듈(11), 어댑터(16), 보조 어댑터(16-1), 커넥터(18)를 포함하고, 선박자동운항을 모사한 오토파일럿 제어와 연계된 실 선박 시스템(30)의 오토파일럿 연동장비(INDICATOR)(33)와 선박 전자장비(35)의 각각에 대한 조작 및 동작을 모의한다.
일례로 상기 오토파일럿 조작모듈(11)은 조종자의 조정에 따른 물리적 변화량을 디지털 형태의 전기적 변화량으로 출력하여 선박의 방향 조정을 수행하는 조타기(12), 조종자의 조정에 따른 물리적 변화량을 디지털 형태의 전기적 변화량으로 출력하여 선박의 속도 조정 및 오토파일럿제어를 모사하는 제어기(13), 항해 교육에 대한 오토파일럿(Auto Pilot)의 적용 유무를 구분하도록 자동 조타 제어 모드의 ON 및 수동 조타 제어 모드의 OFF를 구분하는 표시기(14)로 구성된다. 특히 상기 조타기(12)는 조종자가 선박의 방향을 조종할 수 있도록 하는 원형의 핸들로 이루어지고, 조종자가 중심축을 기준으로 한 핸들의 좌우 회전방향으로 선박의 움직임 방향을 동일하게 구현한다. 상기 제어기(13))는 막대 레버로 이루어지고, 레버 전진으로 선박의 운행 속도를 현재 속도 보다 가속하고 반면 레버 후진으로 선박의 운행 속도를 현재 속도 보다 감속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어댑터(16)는 실 선박 시스템(30)을 구성하는 장치의 각각을 연결하여 통신하고, 상기 보조 어댑터(16-1)는 어댑터(16)의 수요를 초과하는 장치 연결을 위한 보조 수단으로 이용된다. 상기 커넥터(18)는 조타기(12)와 제어기(13) 및 표시기(14)의 동작을 자동조타제어 또는 수동조타제어로 전환시켜주도록 시뮬레이터 LAB(40)를 연결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영상모듈(20)은 디스플레이(21)와 프로젝터(23)로 구성되고, 시뮬레이터 LAB(40)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다. 상기 디스플레이(21)는 하나의 스크린일 수 있으나 중앙 스크린(21-1)과 좌우측 스크린(21-2,21-3)으로 구분되고, 프로젝터(23)를 통해 항해 영상을 재생한다. 특히 상기 디스플레이(21)는 프로젝터(23)를 거치지 않고 시뮬레이터 LAB(40)와 직접 연결되어 영상을 재생하는 LCD(Liquid Crystal Display)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프로젝터(23)는 시뮬레이터 LAB(40)에 연결되어 항해 영상을 제공받고, 중앙 스크린(21-1)과 좌우측 스크린(21-2,21-3)으로 출력하여 준다.
일례로 상기 디스플레이(21)는 항해 영상을 3차원 형상의 시뮬레이션영상으로 재생한다. 특히 상기 항해 영상은 실제 운항 영상에 기반한 선박 운항 환경을 표현하며, 항해 교육 중 발생된 선박 조작에 대한 센서 값 변화량을 즉각적 반영하여 변화되고, 양안식 방법을 적용하여 시차/깊이/텍스처 정보 등을 이용하여 중앙 및 좌우영상을 위한 시차 맵으로 작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실 선박 시스템(30)은 오토파일럿시스템(AUTO PILOT SYSTEM)(31), 오토파일럿 연동장비(INDICATOR)(33), 선박 전자장비(35) 및 수동 조타 선박장비(37)를 포함한다.
일례로 상기 오토파일럿시스템(AUTO PILOT SYSTEM)(31)은 위도/경도/고도로 감지된 선박 위치에서 목표물 또는 목적지 항로를 찾아 선박 스스로 궤도를 벗어나지 않도록 운행해 주는 제어동작으로 오토파일럿을 구현한다. 상기 오토파일럿 연동장비(INDICATOR)(33)는 선박 운행의 오토파일럿을 위한 구동장치이다. 상기 선박 전자장비(35)는 선박 운행의 오토파일럿을 위한 검출장치이다. 상기 수동 조타 선박장비(37)는 오토파일럿과 연동되지 않으나 수동조타제어에 적용되는 구동장치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시뮬레이터 LAB(40)는 자동/수동 조타 제어모드를 시뮬레이터 본체(10)로 제공하고, 항해 영상을 영상모듈(20)로 제공한다. 특히 상기 시뮬레이터 LAB(40)는 인터넷과 무선통신망과 연결된다.
한편 도 2는 상기 시뮬레이터 LAB(40)에 대한 세부 구성을 예시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시뮬레이터 LAB(40)은 중앙통제모듈(50), 데이터베이스 모듈(60) 및 프로그램 모듈(70)로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중앙통제모듈(50)은 컴퓨터로 구성되고, 항해 교육을 위한 오토파일럿 통합형 선박운항 시뮬레이션을 위한 시나리오 계획, 선박운동 산출, 항해 영상 수립, 선박형상자료 및 해역형상자료를 결합한 시뮬레이션영상자료를 생성하여 영상모듈(20)로 전달, 사용자 운동 자료의 디지털명령어 변환, 시뮬레이터 본테(10)에 대한 제어값 출력/작동 제어/조작 통제를 수행한다. 특히 상기 중앙통제모듈(50)은 인터넷과 무선통신망을 통해 선박 운항에서 획득된 실제적인 정보를 제공받아 데이터 갱신이 이루어 질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중앙통제모듈(50)은 선박자동운항 모사 및 선박자동운항 모의를 제어 및 통제하여 준다.
구체적으로 상기 데이터베이스 모듈(60)은 시나리오 DB(60-1), 선박/해역 DB(60-2) 및 선박장비데이터 DB(60-3)로 구분되고, 선박자동운항 모사를 위한 데이터를 구축한다.
일례로 상기 시나리오 DB(60-1)는 실시간으로 센서 데이터의 변화량을 화면에 반영하여 선박 운항시 발생하는 환경을 깊이 있게 익힐 수 있도록 하고, 선박 조종에 대한 기술을 필요로 하는 대상에게 선박 조종 중 발생할 수 있는 위험 요소를 그대로 재현하여 상황 대한 대처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항해자가 실제 환경을 미리 연습하면서 운항 실수 및 사전 사고 위험 방지를 위해 항해 중 나타나는 주변 사물에 대한 크기/속도감/원근감/전후좌우 요동감이 적용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시나리오 DB(60-1)의 선박 시뮬레이터 시나리오에는 자연환경 설정기준 및 통항환경 설정기준을 포함한다. 일례로 상기 자연환경 설정기준은 풍속/풍향의 바람, 운항 해역의 조류, 해도상의 수심, 실제 시뮬레이션 대상선박이 접/이안 할 수 있는 파고의 파랑, 최저 시계의 안개를 고려한다. 일례로 상기 통항환경 설정기준은 대상선박 상호간 양방(교행) 통항의 통항 형태, 해당 해역의 통항 규제, 시뮬레이션 시작과 종료 위치의 시뮬레이션 시작 및 종료, 대상 선박들 사이에 발생하는 영향의 양방(교행) 통행 시뮬레이션, 항해자에게 적절히 알리기 위한 항로표지 배치가 적용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선박/해역 DB(60-2)는 선박 운항의 현장에서 수집된 풍향/풍속, 장애물 속도 거리 계산, 파도에 의한 선박의 기울어짐 등의 정보와 각종 계기 장치의 판독에 필요한 정보를 가공한다. 즉, 선박 조종 시뮬레이션에서 조종자에 의해 요구된 환경에 따라 수치적으로 변화시켜 화면에 표현될 수 있도록 가공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선박장비데이터 DB(60-3)는 가상의 선교 모형, 항해장비, 운항해역, 3차원 자선/타선 형상, 운항환경(항만/등대/부표/교각 등)을 항해사/조타수에 대한 선원 교육/훈련을 위해 생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프로그램 모듈(70)은 시뮬레이터 본체(10)에서 구현되는 항해 교육을 위한 오토파일럿 통합형 선박운항 시뮬레이션이 구현되는 로직으로 이루어진다. 그러므로 상기 프로그램 모듈(70)은 선박자동운항 모의를 실시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도 3은 시뮬레이터 LAB(40)의 데이터베이스 모듈(60)을 구성하는 선박장비데이터 DB(60-3)의 데이터 구축 예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선박장비데이터 DB(60-3)는 오토파일럿시스템(AUTO PILOT SYSTEM)(31)과 연계된 오토파일럿 연동장비(INDICATOR)(33)와 선박전자장비(35)의 정보를 데이터로 구축되고, 필요시 기타 필요 선박장비(37)의 정보를 데이터로 구축될 수 있다. 이하에서 정보는 각 장치가 갖는 고유한 제어 값, 작동 조건, 피드백 데이터, 구성요소 등을 포함하고, 상기 오토파일럿 연동장비(INDICATOR)(33)와 상기 선박전자장비(35)의 분류는 단순히 DB 데이터 구축의 예로 설명될 뿐 이므로 분류 항목으로 한정될 수 없다.
구체적으로 상기 오토파일럿 연동장비(INDICATOR)(33)는 선박 평형수 처리장치, 선박 추진 장치, 위성항법장치, 전자플로팅설비(Electronic Plotting Aid), 선수방위발신기(Transmitting Heading Device), 자동추적장치(Automatic Tracking Aid) 및 선박 자동식별 장치(Automatic Identification System)를 포함한다.
일례로 상기 선박 평형수 처리장치는 선박의 평형수(밸러스트 워터) 이동에 따른 해양생태계 파괴와 교란을 방지하는 장치이다. 상기 선박 추진 장치는 추진력을 발생하는 장치이다. 상기 위성항법장치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또는 DGPS(Differential Global Positioning System)와 연계되어 선박의 위치와 항로를 결정하기 위한 연속적인 위치 정보를 제공하는 장치이다. 상기 전자플로팅설비 (Electronic Plotting Aid)는 주로 총톤수 300-500톤 범위의 규모가 작은 선박에서 충돌위험을 사전에 판단할 수 있도록 목표물의 거리와 방위를 레이더에 전자적으로 표시하기 위한 장치이다. 상기 선수방위발신기(Transmitting Heading Device)는 자이로컴퍼스가 설치되지 않는 총톤수 500톤 미만 선박에 설치되어 RADAR(레이다), EPA(전자플로팅설비) 및 AIS(선박정보식별장치) 등의 항해장비에 정확한 선수방위를 전기신호로 제공하기 위한 장치이다. 상기 자동추적장치(Automatic Tracking Aid)는 선박 충돌 여부를 사전에 탐지하여 항해사가 안전하게 운항하도록 도와주기 위한 장치이다. 상기 선박 자동식별 장치(Automatic Identification System)는 상대 선박의 식별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장치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선박 전자장비(33)는 항해자료 기록기(Voyage Data Recorder), 전자해도 시스템(Electronic Chart Display and Information System), 음향수신장치(Sound Reception System) 및 레이다 반사기 (Radar Reflector)를 포함한다.
일례로 상기 항해자료 기록기(Voyage Data Recorder)는 항해정보 등을 실시간으로 기록하게 하기 위한 장치이다. 상기 전자해도 시스템(Electronic Chart Display and Information System)은 선박의 항해와 관련된 해도정보, 위치정보, 선박의 침로, 속력, 수심 자료등을 종합하여 컴퓨터 스크린에 도식하기 위한 장치이다. 상기 음향수신장치(Sound Reception System)는 선교가 폐위된 상태에서도 외부의 작은 음향신호를 증폭하고 소리의 방향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장치이다. 상기 레이다 반사기(Radar Reflector)는 상대 선박의 레이더에 용이하게 탐지되도록 하여 소형선박의 해양충돌사고를 예방하기 위한 장치이다.
전술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선박운항 시뮬레이터(1)는 오토파일럿 시스템(AUTO PILOT SYSTEM)(31)의 선박자동운항 모사 및 모의로 오토파일럿 시스템(AUTO PILOT SYSTEM)(31)과 연계된 오토파일럿 연동장비(INDICATOR)(33)에 대한 조작 및 동작을 습득시켜주는 시뮬레이터 본체(10), 항해 화면을 재생하는 영상 모듈(20), 자동/수동조타제어로 선박자동운항 모의를 제어하는 시뮬레이터 LAB(40)로 구성됨으로써 항해 교육을 위한 오토파일럿 통합형으로 실제 선박과 흡사한 선박운항교육이 이루어지고, 특히 오토파일럿을 위한 실 선박 전자장비들의 사용법, 조타 기술, 돌발 상황 시 등의 전반적인 선박 운항방법의 교육이 가능하다.
1 : 선박운항 시뮬레이터
10 : 시뮬레이터 본체 11 : 오토파일럿 조작모듈
12 : 조타기 13 : 제어기
14 : 표시기(모드/ON/OFF) 16 : 어댑터
16-1 : 보조 어댑터 18 : 커넥터
20 : 영상모듈 21 : 디스플레이
21-1 : 중앙 스크린 21-2,21-3 : 좌우측 스크린
23 : 프로젝터
30 : 실 선박 시스템 31 : 오토파일럿시스템(AUTO PILOT SYSTEM)
33 : 오토파일럿 연동장비(INDICATOR)
35 : 선박 전자장비 37 : 수동 조타 선박장비
40 : 시뮬레이터 LAB(Laboratory)
50 : 중앙통제모듈 60 : 데이터베이스 모듈
60-1 : 시나리오 DB(Database)
60-2 : 선박/해역 DB 60-3 : 선박장비데이터 DB
70 : 프로그램 모듈

Claims (15)

  1. 오토파일럿 시스템(AUTO PILOT SYSTEM)의 오토파일럿을 적용한 선박자동운항 모사가 이루어지고, 상기 오토파일럿 시스템(AUTO PILOT SYSTEM)과 연계된 실 선박 시스템에 대한 조작 및 동작을 습득시켜주는 선박자동운항 모의가 이루어지는 시뮬레이터 본체;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토파일럿 통합형 선박운항 시뮬레이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시뮬레이터 본체는 오토파일럿 조작모듈을 구비하고, 상기 오토파일럿 조작모듈은 상기 오토파일럿 시스템(AUTO PILOT SYSTEM)에 상기 실 선박 시스템을 연동시켜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토파일럿 통합형 선박운항 시뮬레이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실 선박 시스템은 오토파일럿 연동장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토파일럿 통합형 선박운항 시뮬레이터.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실 선박 시스템은 오토파일럿 연동장비 및 선박 전자장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토파일럿 통합형 선박운항 시뮬레이터.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시뮬레이터 본체는 영상모듈과 연계되고, 상기 영상모듈은 상기 선박자동운항 모의에 대한 항해 영상을 재생하여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토파일럿 통합형 선박운항 시뮬레이터.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영상모듈은 스크린 또는 LCD(Liquid Crystal Display)로 상기 항해 영상을 재생하여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토파일럿 통합형 선박운항 시뮬레이터.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시뮬레이터 본체는 시뮬레이터 LAB과 연계되고, 상기 시뮬레이터 LAB는 상기 선박자동운항 모사 및 상기 선박자동운항 모의를 제어하여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토파일럿 통합형 선박운항 시뮬레이터.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시뮬레이터 LAB은 상기 선박자동운항 모의를 자동조타제어 및 수동조타제어로 구분하여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토파일럿 통합형 선박운항 시뮬레이터.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시뮬레이터 LAB은 인터넷 또는 무선통신망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토파일럿 통합형 선박운항 시뮬레이터.
  10.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시뮬레이터 LAB은 중앙통제모듈을 구비하고, 상기 중앙통제모듈은 항해 교육을 위한 오토파일럿 통합형 선박운항 시뮬레이션을 위한 시나리오 계획, 선박운동 산출, 항해 영상 수립, 선박형상자료 및 해역형상자료가 결합된 시뮬레이션영상자료 생성으로 상기 선박자동운항 모사를 수립하고, 사용자 운동 자료의 디지털명령어 변환, 시뮬레이션 제어값 출력/작동 제어/조작 통제로 상기 선박자동운항 모의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토파일럿 통합형 선박운항 시뮬레이터.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중앙통제모듈은 데이터베이스 모듈과 연계되고, 상기 데이터베이스 모듈은 상기 선박자동운항 모사를 위한 데이터로 구축된 시나리오 DB, 선박/해역 DB 및 선박장비데이터 DB로 구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토파일럿 통합형 선박운항 시뮬레이터.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선박장비데이터 DB는 상기 오토파일럿 시스템(AUTO PILOT SYSTEM)과 연계된 오토파일럿 연동장비와 선박전자장비의 정보가 데이터로 구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토파일럿 통합형 선박운항 시뮬레이터.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오토파일럿 연동장비는 선박 평형수 처리장치, 선박 추진 장치, 위성항법장치, 전자플로팅설비(Electronic Plotting Aid), 선수방위발신기(Transmitting Heading Device), 자동추적장치(Automatic Tracking Aid) 및 선박 자동식별 장치(Automatic Identification System)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토파일럿 통합형 선박운항 시뮬레이터.
  14.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선박 전자장비는 항해자료 기록기(Voyage Data Recorder), 전자해도 시스템(Electronic Chart Display and Information System), 음향수신장치(Sound Reception System) 및 레이다 반사기 (Radar Reflector)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토파일럿 통합형 선박운항 시뮬레이터.
  15.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선박장비데이터 DB는 선박의 수동조타제어에 적용되는 수동 조타 선박장비의 정보가 구축 데이터에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토파일럿 통합형 선박운항 시뮬레이터.
KR1020180046553A 2018-04-23 2018-04-23 항해 교육을 위한 오토파일럿 통합형 선박운항 시뮬레이터 Ceased KR2019012297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6553A KR20190122977A (ko) 2018-04-23 2018-04-23 항해 교육을 위한 오토파일럿 통합형 선박운항 시뮬레이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6553A KR20190122977A (ko) 2018-04-23 2018-04-23 항해 교육을 위한 오토파일럿 통합형 선박운항 시뮬레이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2977A true KR20190122977A (ko) 2019-10-31

Family

ID=684209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6553A Ceased KR20190122977A (ko) 2018-04-23 2018-04-23 항해 교육을 위한 오토파일럿 통합형 선박운항 시뮬레이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12297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34533A (ko) * 2022-09-07 2024-03-14 (주)세이프텍리서치 윙브리지 시뮬레이터 및 이를 이용한 선박운항 시뮬레이션 시스템 및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14483A (ko) 2016-04-05 2017-10-16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박의 운항 성능 제공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운항 성능 제공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14483A (ko) 2016-04-05 2017-10-16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박의 운항 성능 제공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운항 성능 제공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34533A (ko) * 2022-09-07 2024-03-14 (주)세이프텍리서치 윙브리지 시뮬레이터 및 이를 이용한 선박운항 시뮬레이션 시스템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404943B1 (ja) 無人ボート自動観測システムおよび無人ボート自動観測方法
KR100793640B1 (ko) 전자해도를 이용한 휴대용 선박 항해 안내 보조단말기 및그 운영 방법
US11892298B2 (en) Navigational danger identification and feedback systems and methods
KR20210046500A (ko) 선박 자율 항해 장치, 방법 및 기록 매체
KR101155603B1 (ko) 선박용 자동조타 항해 시뮬레이터
CN105241457A (zh) 一种用于船舶驾驶的三维辅助导航系统建立方法
KR101799216B1 (ko) 해양 내비게이션 장치 및 항로 제공 방법
KR101894674B1 (ko) 해양 내비게이션 장치 및 항로 제공 방법
JP5102886B2 (ja) 画像表示システム及び画像表示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1719142B1 (ko) 해양 내비게이션 장치 및 항로 제공 방법
McFarland et al. Toward ice-relative navigation of underwater robotic vehicles under moving sea ice: Experimental evaluation in the arctic sea
Phillips et al. Autosub Long Range 1500: A continuous 2000 km field trial
Tenbrink et al. Sailing: Cognition, action, communication
KR20190122977A (ko) 항해 교육을 위한 오토파일럿 통합형 선박운항 시뮬레이터
AU618298B2 (en) System for sea navigation or traffic control/assistance
RU2315365C2 (ru) Способ и моделиру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тренировки лоцмана судна
Dooling Navigating close to shore
RU2828932C1 (ru) Навигационный испытательный комплекс
Kitowski et al. Computer system of simulation of ship's motion
TWI854928B (zh) 水下載具操作訓練模擬系統及方法
He et al. A ship manoeuvring desktop simulator for developing and validating automatic control algorithms
Herritt et al. AR visualization for coastal water navigation
Lee et al. Study on the development of a ship-handling simulation system based on actual maritime traffic conditions
Wakabayashi et al. The Development of a Route Generation Procedure Incorporating Collision Avoidance Applicable to Automatic Maneuvering—the Effective Utilization of Collision Avoidance Polygons—
Templin et al. Using Augmented and Virtual Reality (AR/VR) to Support Safe Navigation on Inland and Coastal Water Zones. Remote Sens. 2022, 14, 1520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0423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80523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80423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102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200428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91021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