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22240A - 자동차의 충격 흡수 부재 및 사이드 멤버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충격 흡수 부재 및 사이드 멤버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90122240A KR20190122240A KR1020197028239A KR20197028239A KR20190122240A KR 20190122240 A KR20190122240 A KR 20190122240A KR 1020197028239 A KR1020197028239 A KR 1020197028239A KR 20197028239 A KR20197028239 A KR 20197028239A KR 20190122240 A KR20190122240 A KR 20190122240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ide end
- collision side
- vehicle
- end portion
- collision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Granted
Links
- 230000035939 shock Effect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43
- 230000005484 gravity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0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7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0000009466 transforma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0000013011 mat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0000001629 suppress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82
- 238000010521 absorp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7
- 230000000052 compar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6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6
- 238000009826 distrib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5
- 238000004088 sim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4
- 238000006073 displacement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1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9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8000005304 joi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7935 neut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8000013459 approach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8000012795 ver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9000011324 bea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520 cutt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6872 improv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40000001973 Ficus microcarpa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725 suspens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745 absorben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250 absorb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35 com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906 compres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704 phys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303 wrinkles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1/00—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 B62D21/15—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having impact absorbing means, e.g. a frame designed to permanently or temporarily change shape or dimension upon impact with another body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1/00—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 B62D21/15—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having impact absorbing means, e.g. a frame designed to permanently or temporarily change shape or dimension upon impact with another body
- B62D21/157—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having impact absorbing means, e.g. a frame designed to permanently or temporarily change shape or dimension upon impact with another body for side impac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1/00—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 B62D21/02—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comprising longitudinally or transversely arranged frame memb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1/00—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 B62D21/15—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having impact absorbing means, e.g. a frame designed to permanently or temporarily change shape or dimension upon impact with another body
- B62D21/152—Front or rear fram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20—Floors or bottom sub-un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 Vibration Dampers (AREA)
- Vibration Prevention Devices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는 프런트 사이드 멤버의 형상의 일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프런트 사이드 멤버의 형상의 일례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4는 리어 사이드 멤버의 형상의 일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충격 흡수 부재의 정의를 설명하기 위해서 예시된 프런트 사이드 멤버의 평면도이다.
도 6은 충격 흡수 부재의 정의를 설명하기 위해서 예시된 리어 사이드 멤버의 측면도이다.
도 7은 종래의 충격 흡수 부재(프런트 레프트측)의 개략 형상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7 중의 A-A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7 중의 B-B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7 중의 C-C 단면도이다.
도 11은 종래의 충격 흡수 부재(프런트 레프트측)에 있어서의 충격 하중 입력 시의 응력 분포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충격 흡수 부재(프런트 레프트측)의 개략 형상을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13은 도 12 중의 A-A 단면도이다.
도 14는 도 12 중의 B-B 단면도이다.
도 15는 도 12 중의 C-C 단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충격 흡수 부재(프런트 레프트측)에 있어서의 충격 하중 입력 시의 응력 분포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충격 흡수 부재(프런트 레프트측)의 개략 형상을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18은 도 17 중의 A-A 단면도이다.
도 19는 도 17 중의 B-B 단면도이다.
도 20은 도 17 중의 C-C 단면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충격 흡수 부재(프런트 레프트측)에 있어서의 충격 하중 입력 시의 응력 분포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관한 프런트 사이드 멤버의 개략 형상을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관한 충격 흡수 부재(프런트 레프트측)의 개략 형상을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24는 도 23 중의 A-A 단면도이다.
도 25는 도 23 중의 B-B 단면도이다.
도 26은 도 23 중의 C-C 단면도이다.
도 2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관한 충격 흡수 부재(프런트 레프트측)에 있어서의 충격 하중 입력 시의 응력 분포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8은 본 발명의 제4 실시 형태에 관한 충격 흡수 부재(리어 레프트측)의 개략 형상을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29는 도 28 중의 A-A 단면도이다.
도 30은 도 28 중의 B-B 단면도이다.
도 31은 도 28 중의 C-C 단면도이다.
도 32는 본 발명의 제4 실시 형태에 관한 충격 흡수 부재(리어 레프트측)에 있어서의 충격 하중 입력 시의 응력 분포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3은 본 발명의 제5 실시 형태에 관한 충격 흡수 부재(리어 레프트측)의 개략 형상을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34는 도 33 중의 A-A 단면도이다.
도 35는 도 33 중의 B-B 단면도이다.
도 36은 도 33 중의 C-C 단면도이다.
도 37은 본 발명의 제5 실시 형태에 관한 충격 흡수 부재(리어 레프트측)에 있어서의 충격 하중 입력 시의 응력 분포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8은 충격 하중 입력 시뮬레이션에 있어서의 본 발명의 실시예의 검증 모델을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39는 충격 하중 입력 시뮬레이션에 있어서의 본 발명의 실시예의 검증 모델을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40은 충격 하중 입력 시뮬레이션에 있어서의 비교예의 검증 모델을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41은 충격 하중 입력 시뮬레이션에 있어서의 비교예의 검증 모델을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42는 충격 하중 입력 시뮬레이션의 해석 조건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3은 시뮬레이션 후의 실시예의 충격 흡수 부재의 변형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4는 시뮬레이션 후의 비교예의 충격 흡수 부재의 변형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5는 강체 벽의 변위와 충격 흡수 부재에 대한 입력 하중의 관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6은 강체 벽의 변위와 충격 흡수 부재의 충격 흡수 에너지의 관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2: 아우터 부재
2a: 아우터 부재의 플랜지부
2b: 아우터 부재의 정상부
3: 이너 부재
3a: 이너 부재의 플랜지부
3b: 이너 부재의 정상부
51: 종래의 충격 흡수 부재
52: 종래의 아우터 부재
52a: 종래의 아우터 부재의 플랜지부
53: 종래의 이너 부재
53a: 종래의 이너 부재의 플랜지부
E: 충격 흡수 부재의 충돌측 단부
E': 충격 흡수 부재의 비충돌측 단부
G: 무게 중심
G0: 충돌측 단부의 무게 중심
Gin: 무게 중심으로부터 이너 부재 정상부까지의 길이
Gout: 무게 중심으로부터 아우터 부재 정상부까지의 길이
Hin: 이너 부재의 해트 높이
Hout: 아우터 부재의 해트 높이
J: 아우터 부재와 이너 부재의 결합면
L: 차량 길이 방향
L1: 충격 흡수 부재의 차량 길이 방향의 길이
N: 중립축
V: 연직 방향
V0: 연직 방향에 있어서의 비충돌측 단부에 대한 충돌측 단부의 오프셋양
Vin: 충돌측 단부에 있어서의 이너 부재의 정상부로부터 결합면까지의 연직 방향 길이
Vin': 비충돌측 단부에 있어서의 이너 부재의 정상부로부터 결합면까지의 연직 방향 길이
Vout: 충돌측 단부에 있어서의 아우터 부재의 정상부로부터 결합면까지의 연직 방향 길이
Vout': 비충돌측 단부에 있어서의 아우터 부재의 정상부로부터 결합면까지의 연직 방향 길이
W: 차량 폭 방향
W0: 차량 폭 방향에 있어서의 비충돌측 단부에 대한 충돌측 단부의 오프셋양
Win: 충돌측 단부에 있어서의 이너 부재의 정상부로부터 결합면까지의 차량 폭 방향 길이
Win': 비충돌측 단부에 있어서의 이너 부재의 정상부로부터 결합면까지의 차량 폭 방향 길이
Wout: 충돌측 단부에 있어서의 아우터 부재의 정상부로부터 결합면까지의 차량 폭 방향 길이
Wout': 비충돌측 단부에 있어서의 아우터 부재의 정상부로부터 결합면까지의 차량 폭 방향 길이
Claims (11)
- 자동차의 차량 길이 방향으로 뻗고, 상기 차량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양단부가, 상기 차량 길이 방향으로부터 본 경우에 서로 다른 위치로 되도록 오프셋된 충격 흡수 부재이며,
플랜지부에서 서로 결합된 해트 형상의, 아우터 부재 및 이너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아우터 부재 및 상기 이너 부재의, 상기 차량 길이 방향에 대한 수직인 절단면의 무게 중심으로부터 상기 이너 부재의 정상부까지의 오프셋 방향의 길이 Gin과, 해당 절단면의 무게 중심으로부터 상기 아우터 부재의 정상부까지의 오프셋 방향의 길이 Gout의 비(Gin/Gout)를 무게 중심비라고 정의하였을 때,
상기 양단부 중, 상기 차량 길이 방향으로부터 본 위치가 차외측으로 오프셋된 단부측으로부터, 차내측으로 오프셋된 단부측을 향해서 상기 무게 중심비가 커지는, 자동차의 충격 흡수 부재. - 자동차의 차량 길이 방향으로 뻗고, 상기 차량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양단부가, 상기 차량 길이 방향으로부터 본 경우에 서로 다른 위치로 되도록 오프셋된 충격 흡수 부재이며,
플랜지부에서 서로 결합된 해트 형상의, 아우터 부재 및 이너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아우터 부재 및 상기 이너 부재의, 상기 차량 길이 방향에 대한 수직인 절단면에 있어서, 상기 이너 부재의 해트 높이 Hin과, 상기 아우터 부재의 해트 높이 Hout의 비(Hin/Hout)를 해트 높이비라고 정의하였을 때,
상기 양단부 중, 상기 차량 길이 방향으로부터 본 위치가 차외측으로 오프셋된 단부측으로부터, 차내측으로 오프셋된 단부측을 향해서 상기 해트 높이비가 커지는, 자동차의 충격 흡수 부재.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플랜지 돌출 방향이 연직 방향이며, 상기 오프셋의 방향이 차량 폭 방향인, 자동차의 충격 흡수 부재.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양단부는, 충돌측 단부와 비충돌측 단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충돌측 단부에 있어서의 상기 아우터 부재의 정상부로부터 상기 아우터 부재와 상기 이너 부재의 결합면까지의 차량 폭 방향 길이를 Wout, 상기 비충돌측 단부에 있어서의 상기 아우터 부재의 정상부로부터 상기 결합면까지의 차량 폭 방향 길이를 Wout', 상기 충돌측 단부에 있어서의 상기 이너 부재의 정상부로부터 상기 결합면까지의 차량 폭 방향 길이를 Win, 상기 비충돌측 단부에 있어서의 상기 이너 부재의 정상부로부터 상기 결합면까지의 차량 폭 방향 길이를 Win'이라 하였을 때,
상기 충돌측 단부가 상기 비충돌측 단부에 대해서 상기 차량 폭 방향의 차외측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Wout≥Wout'×2.8을 만족시키고,
상기 충돌측 단부가 상기 비충돌측 단부에 대해서 상기 차량 폭 방향의 차내측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Win≥Win'×2.8을 만족시키는, 자동차의 충격 흡수 부재. -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양단부는, 충돌측 단부와 비충돌측 단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비충돌측 단부에 있어서의 상기 아우터 부재의 정상부로부터 상기 아우터 부재와 상기 이너 부재의 결합면까지의 차량 폭 방향 길이를 Wout', 상기 비충돌측 단부에 있어서의 상기 이너 부재의 정상부로부터 상기 결합면까지의 차량 폭 방향 길이를 Win'이라 하였을 때,
상기 충돌측 단부가 상기 비충돌측 단부에 대해서 상기 차량 폭 방향의 차외측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Wout'≥8mm를 만족시키고,
상기 충돌측 단부가 상기 비충돌측 단부에 대해서 상기 차량 폭 방향의 차내측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Win'≥8mm를 만족시키는, 자동차의 충격 흡수 부재.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플랜지 돌출 방향이 차량 폭 방향이며, 상기 오프셋의 방향이 연직 방향인, 자동차의 충격 흡수 부재.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양단부는, 충돌측 단부와 비충돌측 단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충돌측 단부에 있어서의 상기 아우터 부재의 정상부로부터 상기 아우터 부재와 상기 이너 부재의 결합면까지의 연직 방향 길이를 Vout, 상기 비충돌측 단부에 있어서의 상기 아우터 부재의 정상부로부터 상기 결합면까지의 연직 방향 길이를 Vout', 상기 충돌측 단부에 있어서의 상기 이너 부재의 정상부로부터 상기 결합면까지의 연직 방향 길이를 Vin, 상기 비충돌측 단부에 있어서의 상기 이너 부재의 정상부로부터 상기 결합면까지의 연직 방향 길이를 Vin'이라 하였을 때,
상기 충돌측 단부가 상기 비충돌측 단부에 대해서 상기 연직 방향의 차외측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Vout≥Vout'×2.8을 만족시키고,
상기 충돌측 단부가 상기 비충돌측 단부에 대해서 상기 연직 방향의 차내측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Vin≥Vin'×2.8을 만족시키는, 자동차의 충격 흡수 부재. -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양단부는, 충돌측 단부와 비충돌측 단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비충돌측 단부에 있어서의 상기 아우터 부재의 정상부로부터 상기 아우터 부재와 상기 이너 부재의 결합면까지의 연직 방향 길이를 Vout', 상기 비충돌측 단부에 있어서의 상기 이너 부재의 정상부로부터 상기 결합면까지의 연직 방향 길이를 Vin'이라 하였을 때,
상기 충돌측 단부가 상기 비충돌측 단부에 대해서 상기 연직 방향의 차외측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Vout'≥8mm를 만족시키고,
상기 충돌측 단부가 상기 비충돌측 단부에 대해서 상기 연직 방향의 차내측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Vin'≥8mm를 만족시키는, 자동차의 충격 흡수 부재. -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충격 흡수 부재를 갖는 부재와, 캐빈측에 접속되는, 만곡부를 갖는 변형 억제 부재를 구비한, 자동차의 사이드 멤버.
- 제9항에 있어서,
프런트 사이드 멤버로서 사용되는, 자동차의 사이드 멤버. - 제9항에 있어서,
리어 사이드 멤버로서 사용되는, 자동차의 사이드 멤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PCT/JP2017/013566 WO2018179321A1 (ja) | 2017-03-31 | 2017-03-31 | 自動車の衝撃吸収部材およびサイドメンバー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122240A true KR20190122240A (ko) | 2019-10-29 |
KR102257663B1 KR102257663B1 (ko) | 2021-05-31 |
Family
ID=596782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7028239A Active KR102257663B1 (ko) | 2017-03-31 | 2017-03-31 | 자동차의 충격 흡수 부재 및 사이드 멤버 |
Country Status (10)
Country | Link |
---|---|
US (1) | US10981601B2 (ko) |
EP (1) | EP3604086B1 (ko) |
JP (1) | JP6183579B1 (ko) |
KR (1) | KR102257663B1 (ko) |
CN (1) | CN110475706B (ko) |
BR (1) | BR112019016801A2 (ko) |
CA (1) | CA3056192A1 (ko) |
MX (1) | MX2019011293A (ko) |
RU (1) | RU2019130392A (ko) |
WO (1) | WO2018179321A1 (ko) |
Citation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5105110A (ja) | 1991-10-18 | 1993-04-27 | Toyota Motor Corp | 自動車のフロントサイドメンバ |
JPH06135355A (ja) * | 1992-10-26 | 1994-05-17 | Mazda Motor Corp | フレーム及び自動車の車体構造 |
JP2000289646A (ja) | 1999-04-12 | 2000-10-17 | Mitsubishi Motors Corp | シャーシフレーム構造 |
JP2005199741A (ja) * | 2004-01-13 | 2005-07-28 | Toyota Motor Corp | 車体構造体 |
JP2009227104A (ja) * | 2008-03-24 | 2009-10-08 | Mazda Motor Corp | 自動車のフレーム構造 |
WO2012026028A1 (ja) * | 2010-08-26 | 2012-03-01 |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 車体のロッカ構造 |
JP2014040209A (ja) | 2012-08-23 | 2014-03-06 | Daihatsu Motor Co Ltd | 車両の車体下部構造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8174104A (ja) * | 2007-01-18 | 2008-07-31 | Honda Motor Co Ltd | 車体フレーム |
JP5246139B2 (ja) * | 2009-02-26 | 2013-07-24 |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 車両の前部構造 |
MX381909B (es) * | 2014-12-22 | 2025-03-13 | Nippon Steel Corp | Miembro estructural. |
-
2017
- 2017-03-31 EP EP17903256.0A patent/EP3604086B1/en active Active
- 2017-03-31 WO PCT/JP2017/013566 patent/WO2018179321A1/ja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7-03-31 RU RU2019130392A patent/RU2019130392A/ru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2017-03-31 CA CA3056192A patent/CA3056192A1/en not_active Abandoned
- 2017-03-31 JP JP2017529109A patent/JP6183579B1/ja active Active
- 2017-03-31 US US16/496,340 patent/US10981601B2/en active Active
- 2017-03-31 MX MX2019011293A patent/MX2019011293A/es unknown
- 2017-03-31 CN CN201780088844.8A patent/CN110475706B/zh active Active
- 2017-03-31 KR KR1020197028239A patent/KR102257663B1/ko active Active
- 2017-03-31 BR BR112019016801A patent/BR112019016801A2/pt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5105110A (ja) | 1991-10-18 | 1993-04-27 | Toyota Motor Corp | 自動車のフロントサイドメンバ |
JPH06135355A (ja) * | 1992-10-26 | 1994-05-17 | Mazda Motor Corp | フレーム及び自動車の車体構造 |
JP2000289646A (ja) | 1999-04-12 | 2000-10-17 | Mitsubishi Motors Corp | シャーシフレーム構造 |
JP2005199741A (ja) * | 2004-01-13 | 2005-07-28 | Toyota Motor Corp | 車体構造体 |
JP2009227104A (ja) * | 2008-03-24 | 2009-10-08 | Mazda Motor Corp | 自動車のフレーム構造 |
WO2012026028A1 (ja) * | 2010-08-26 | 2012-03-01 |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 車体のロッカ構造 |
JP2014040209A (ja) | 2012-08-23 | 2014-03-06 | Daihatsu Motor Co Ltd | 車両の車体下部構造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A3056192A1 (en) | 2018-10-04 |
BR112019016801A2 (pt) | 2020-04-07 |
US10981601B2 (en) | 2021-04-20 |
JP6183579B1 (ja) | 2017-08-23 |
EP3604086A1 (en) | 2020-02-05 |
EP3604086A4 (en) | 2020-11-11 |
US20200039585A1 (en) | 2020-02-06 |
KR102257663B1 (ko) | 2021-05-31 |
CN110475706A (zh) | 2019-11-19 |
JPWO2018179321A1 (ja) | 2019-04-04 |
RU2019130392A (ru) | 2021-03-26 |
RU2019130392A3 (ko) | 2021-03-26 |
EP3604086B1 (en) | 2021-09-15 |
CN110475706B (zh) | 2022-06-14 |
MX2019011293A (es) | 2019-10-24 |
WO2018179321A1 (ja) | 2018-10-0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0442466B2 (en) | Frame structure of vehicle | |
JP6703322B1 (ja) | 自動車骨格部材および電気自動車 | |
JP6176468B2 (ja) | 自動車の車体構造 | |
CN108973907A (zh) | 保险杠横梁结构 | |
CN109421815B (zh) | 车体构造 | |
JP5147003B2 (ja) | サイドメンバー | |
JP5235007B2 (ja) | クラッシュボックス | |
JP2009154617A (ja) | 車両用アンダメンバ構造 | |
CN114132386B (zh) | 车体后部结构 | |
JP2013147189A (ja) | 車体前部構造 | |
JP2005329789A (ja) | 車体前部のメンバ部材の補強構造 | |
KR20190122240A (ko) | 자동차의 충격 흡수 부재 및 사이드 멤버 | |
JP6565291B2 (ja) | 衝撃吸収部材、車体および衝撃吸収方法 | |
JP7568928B2 (ja) | 衝撃吸収部材 | |
WO2020085383A1 (ja) | 自動車骨格部材および電気自動車 | |
JP7376797B2 (ja) | 自動車骨格部材および電気自動車 | |
JP6687179B1 (ja) | 自動車骨格部材および電気自動車 | |
WO2018088099A1 (ja) | 車両の衝撃吸収構造 | |
JP7213292B2 (ja) | 車体後部構造 | |
JP2004148955A (ja) | 自動車用の衝突エネルギー吸収部材 | |
JP5521875B2 (ja) | 前部車体構造 | |
JP2020040594A (ja) | 車両前部構造 | |
JP2009280145A (ja) | 車両用衝撃吸収具及び車両用バンパ装置 | |
JP2018144638A (ja) | 自動車の耐衝撃部材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5 | International application |
Patent event date: 20190926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102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10408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1052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1052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42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5040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