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12598A - Detecting Size of Print Medium Using Sensors Available Along Paper Path - Google Patents
Detecting Size of Print Medium Using Sensors Available Along Paper Path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90112598A KR20190112598A KR1020180034769A KR20180034769A KR20190112598A KR 20190112598 A KR20190112598 A KR 20190112598A KR 1020180034769 A KR1020180034769 A KR 1020180034769A KR 20180034769 A KR20180034769 A KR 20180034769A KR 20190112598 A KR20190112598 A KR 20190112598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rint medium
- sensor
- mode
- printing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Withdraw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1/00—Supports or magazines for piles from which articles are to be separated
- B65H1/04—Supports or magazines for piles from which articles are to be separated adapted to support articles substantially horizontally, e.g. for separation from top of pil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1/00—Pile receivers
- B65H31/02—Pile receivers with stationary end support against which pile accumulat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43/00—Use of control, checking, or safety devices, e.g. automatic devices comprising an element for sensing a variable
- B65H43/06—Use of control, checking, or safety devices, e.g. automatic devices comprising an element for sensing a variable detecting, or responding to, completion of pil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7/00—Controlling article feeding, separating, pile-advancing, or associated apparatus, to take account of incorrect feeding, absence of articles, or presence of faulty articles
- B65H7/02—Controlling article feeding, separating, pile-advancing, or associated apparatus, to take account of incorrect feeding, absence of articles, or presence of faulty articles by feelers or detecto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7/00—Controlling article feeding, separating, pile-advancing, or associated apparatus, to take account of incorrect feeding, absence of articles, or presence of faulty articles
- B65H7/02—Controlling article feeding, separating, pile-advancing, or associated apparatus, to take account of incorrect feeding, absence of articles, or presence of faulty articles by feelers or detectors
- B65H7/04—Controlling article feeding, separating, pile-advancing, or associated apparatus, to take account of incorrect feeding, absence of articles, or presence of faulty articles by feelers or detectors responsive to absence of articles, e.g. exhaustion of pil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7/00—Controlling article feeding, separating, pile-advancing, or associated apparatus, to take account of incorrect feeding, absence of articles, or presence of faulty articles
- B65H7/02—Controlling article feeding, separating, pile-advancing, or associated apparatus, to take account of incorrect feeding, absence of articles, or presence of faulty articles by feelers or detectors
- B65H7/06—Controlling article feeding, separating, pile-advancing, or associated apparatus, to take account of incorrect feeding, absence of articles, or presence of faulty articles by feelers or detectors responsive to presence of faulty articles or incorrect separation or feed
- B65H7/12—Controlling article feeding, separating, pile-advancing, or associated apparatus, to take account of incorrect feeding, absence of articles, or presence of faulty articles by feelers or detectors responsive to presence of faulty articles or incorrect separation or feed responsive to double feed or separatio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7/00—Controlling article feeding, separating, pile-advancing, or associated apparatus, to take account of incorrect feeding, absence of articles, or presence of faulty articles
- B65H7/20—Controlling associated apparatus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50—Machine control of 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e.g. regulating differents parts of the machine, multimode copiers, microprocessor control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50—Machine control of 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e.g. regulating differents parts of the machine, multimode copiers, microprocessor control
- G03G15/5029—Machine control of 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e.g. regulating differents parts of the machine, multimode copiers, microprocessor control by measuring the copy material characteristics, e.g. weight, thickness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65—Apparatus which relate to the handling of copy material
- G03G15/6502—Supplying of sheet copy material; Cassettes therefor
- G03G15/6511—Feeding devices for picking up or separation of copy shee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40—Type of handling process
- B65H2301/42—Piling, depiling, handling piles
- B65H2301/421—Forming a pile
- B65H2301/4212—Forming a pile of articles substantially horizontal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511/00—Dimensions; Position; Numbers; Identification; Occurrences
- B65H2511/10—Size; Dimensions
- B65H2511/12—Width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511/00—Dimensions; Position; Numbers; Identification; Occurrences
- B65H2511/20—Location in spac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511/00—Dimensions; Position; Numbers; Identification; Occurrences
- B65H2511/40—Identification
- B65H2511/414—Identification of mode of operatio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513/00—Dynamic entities; Timing aspects
- B65H2513/10—Speed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553/00—Sensing or detecting means
- B65H2553/60—Details of intermediate means between the sensing means and the element to be sensed
- B65H2553/61—Mechanical means, e.g. contact arm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553/00—Sensing or detecting means
- B65H2553/80—Arangement of the sensing means
- B65H2553/82—Arangement of the sensing means with regard to the direction of transport of the handled material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601/00—Problem to be solved or advantage achieved
- B65H2601/10—Ensuring correct operatio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601/00—Problem to be solved or advantage achieved
- B65H2601/20—Avoiding or preventing undesirable effects
- B65H2601/27—Other problems
- B65H2601/271—Over stack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801/00—Application field
- B65H2801/03—Image reproduction devices
- B65H2801/06—Office-type machines, e.g. photocopiers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70—Detecting malfunctions relating to paper handling, e.g. jams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0362—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relating to the copy medium handling
- G03G2215/00443—Copy medium
- G03G2215/00447—Plural types handled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0362—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relating to the copy medium handling
- G03G2215/00535—Stable handling of copy medium
- G03G2215/00556—Control of copy medium feeding
- G03G2215/0059—Effect of changed recording medium size, e.g. originating from heating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0362—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relating to the copy medium handling
- G03G2215/00535—Stable handling of copy medium
- G03G2215/00611—Detector details, e.g. optical detector
- G03G2215/00628—Mechanical detector or switch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0362—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relating to the copy medium handling
- G03G2215/00535—Stable handling of copy medium
- G03G2215/00717—Detection of physical properties
- G03G2215/00721—Detection of physical properties of sheet position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0362—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relating to the copy medium handling
- G03G2215/00535—Stable handling of copy medium
- G03G2215/00717—Detection of physical properties
- G03G2215/00725—Detection of physical properties of sheet presence in input tray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0362—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relating to the copy medium handling
- G03G2215/00535—Stable handling of copy medium
- G03G2215/00717—Detection of physical properties
- G03G2215/00729—Detection of physical properties of sheet amount in input tray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0362—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relating to the copy medium handling
- G03G2215/00535—Stable handling of copy medium
- G03G2215/00717—Detection of physical properties
- G03G2215/00734—Detection of physical properties of sheet size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0362—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relating to the copy medium handling
- G03G2215/00535—Stable handling of copy medium
- G03G2215/00717—Detection of physical properties
- G03G2215/00746—Detection of physical properties of sheet velocity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0362—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relating to the copy medium handling
- G03G2215/00886—Sorting or discharging
- G03G2215/00911—Detection of copy amount or presence in discharge tray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0362—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relating to the copy medium handling
- G03G2215/00919—Special copy medium handling apparatus
- G03G2215/00949—Copy material feeding speed switched according to current mode of the apparatus, e.g. colour mode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20—Details of the fixing device or porcess
- G03G2215/2003—Structural features of the fixing device
- G03G2215/2045—Variable fixing speed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rolling Sheets Or Webs (AREA)
- Control Or Security For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개시된 화상형성장치는 급지부에 위치되어 상기 인쇄매체의 적재 여부를 검지하는 적재 여부 검지 센서와, 배지부의 적재 용량 초과를 검지하는 초과 적재 검지 센서와, 적재 여부 검지 센서와 초과 적재 검지 센서의 검지 신호의 조합에 의하여 인쇄매체의 크기를 검지하고 검지된 인쇄매체의 크기에 따라서 서로 다른 인쇄모드를 적용하여 인쇄를 수행하도록 화상형성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The disclosed image forming apparatus is located in a paper feeder, a load detection sensor for detecting whether the print medium is loaded, an excess load detection sensor for detecting an excess load capacity of a discharge unit, a detection signal for a load detection sensor and an excess load detection sensor. And a control unit for detecting the size of the print medium by the combination of the control units and controlling the image forming unit to perform printing by applying different print modes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detected print medium.
Description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는 감광체에 형성된 정전잠상에 토너를 공급하여 감광체 상에 가시적인 토너화상을 형성하고, 이 토너화상을 인쇄매체로 전사한 후, 전사된 토너화상을 인쇄매체에 정착시켜 인쇄매체에 화상을 인쇄한다. The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supplies toner to an electrostatic latent image formed on the photosensitive member to form a visible toner image on the photosensitive member, transfers the toner image onto a print medium, and then fixes the transferred toner image on a print medium to print. Print an image on the medium.
정착기는 서로 맞물려 정착닙을 형성하는 가열부재와 가압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 인쇄매체는 정착닙을 통과하면서 열과 압력을 받는다. 이에 의하여, 토너 화상이 인쇄매체에 정착된다. 가열부재의 폭은 사용가능한 최대 크기의 인쇄매체의 폭에 대응된다. 인쇄과정에서 가열부재의 폭 전체가 가열된다.The fixing unit may have a heating member and a pressing member engaged with each other to form the fixing nip. The print medium is subjected to heat and pressure as it passes through the fixing nip. As a result, the toner image is fixed to the print medium. The width of the heating element corresponds to the width of the print medium of the maximum size available. In the printing process, the entire width of the heating member is heated.
폭이 좁은 인쇄매체가 정착닙을 통과하는 경우, 인쇄매체가 통과되지 않는 영역에서는 가열부재의 열이 인쇄매체로 전달되지 않으므로, 인쇄매체가 통과되는 영역에 비하여 온도가 높을 수 있다. 폭이 좁은 인쇄매체의 연속 인쇄 시에는 인쇄매체가 통과되는 영역의 온도가 인쇄매체가 통과되는 영역에 비하여 더욱 높을 수 있다. When a narrow width of the print medium passes through the fixing nip, since the heat of the heating member is not transferred to the print medium in the area where the print medium does not pass, the temperature may be higher than that in which the print medium passes. In the continuous printing of the narrow print media, the temperature of the region through which the print media passes may be higher than that of the region through which the print media passes.
도 1은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의 일 실시예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2는 급지부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3은 센서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제1, 제2센서의 배치 위치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5는 제어 블록도의 일 예이다. 1 is a schematic structural diagram of an embodiment of an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2 is a schematic plan view of a paper feeding unit.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 sensor.
4 is a plan view illustrating an arrangement position of first and second sensors.
5 is an example of a control block diagram.
도 1은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의 일 실시예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1을 보면, 인쇄매체(P)가 적재되는 급지부(100)와, 인쇄가 완료된 인쇄매체(P)가 적재되는 배지부(300)가 도시되어 있다. 인쇄경로(400)는 급지부(100)와 배지부(300)를 연결한다. 인쇄경로(400) 중에 화상형성부(200)가 배치된다. 1 is a schematic structural diagram of an embodiment of an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Referring to FIG. 1, a
급지부(100)에 적재된 인쇄매체(P)는 한 장씩 인출되어 인쇄경로(400)를 따라 이송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급지부(100)는 급지 카세트의 형태로 도시되어 있으나, 급지부(100)의 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급지부(100)는 예를 들어, 다목적 급지 트레이의 형태일 수도 있다. The print media P loaded on the
도 2는 급지부(100)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인쇄매체(P)는 급지부(100)에 중앙 정렬 방식으로 적재될 수 있다. 급지부(100)는 한 쌍의 가이드 부재(101)(102)를 구비할 수 있다. 한 쌍의 가이드 부재(101)(102)는 인쇄매체(P)가 급지부(100)에 중앙 정렬 방식으로 적재되도록 인쇄매체(P)의 폭방향의 양단부를 안내한다. 인쇄매체(P)의 폭에 대응하여 한 쌍의 가이드 부재(101)(102) 사이의 간격을 조정하기 위하여, 한 쌍의 가이드 부재(101)(102)는 서로에 대하여 접근/이격가능하다. 한 쌍의 가이드 부재(101)(102)는 동기되어 서로에 대하여 접근/이격가능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폭이 큰 인쇄매체(P1)를 적재하기 위하여 한 쌍의 가이드 부재(101)(102)는 도 2에 실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위치될 수 있으며, 폭이 좁은 인쇄매체(P2)을 적재하기 위하여 한 쌍의 가이드 부재(101)(102)는 도 2에 점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위치될 수 있다.2 is a schematic plan view of the
화상형성부(200)는 인쇄경로(400)를 따라 이송되는 인쇄매체(P)에 전자사진방식에 의하여 화상을 인쇄한다. 화상형성부(200)는 현상기(210), 노광기(220), 전사롤러(230), 및 정착기(240)를 포함할 수 있다. 현상기(210)는 그 내부에 수용된 토너를 감광드럼(21)에 형성된 정전 잠상에 공급하여 정전 잠상을 가시적인 토너 화상으로 현상시킨다. The
감광드럼(21)은 그 표면에 정전잠상이 형성되는 감광체의 일 예로서, 도전성 금속 파이프와 그 외주에 형성되는 감광층을 포함할 수 있다. 대전롤러(22)는 감광드럼(21)의 표면을 균일한 전위로 대전시킨다. The
노광기(220)는 화상정보에 대응되어 변조된 광을 감광드럼(21)에 조사하여 감광드럼(21)에 정전잠상을 형성한다. 노광기(220)로서, 레이저 다이오드를 광원으로 사용하는 LSU(laser scanning unit), LED(light emitting diode)를 광원으로 사용하는 LED노광기 등이 채용될 수 있다.The
현상롤러(23)는 현상기(210)에 수용된 현상제, 예를 들어 토너를 감광드럼(21)으로 공급하여 정전잠상을 가시적인 토너화상으로 현상시키기 위한 것이다. 현상롤러(23)에는 현상바이어스전압이 인가될 수 있다. 일성분 현상방식이 채용되는 경우 현상기(210)에는 토너가 수용될 수 있다. 이성분 현상방식이 채용되는 경우 현상기(210)에는 토너 또는 토너와 캐리어가 수용될 수 있다. 도면으로 도시되지 않았지만, 현상기(210)는 현상기(210)에 수용된 현상제를 현상롤러(23)로 공급하는 공급롤러, 현상롤러(23)의 표면에 부착되어 감광드럼(21)과 현상롤러(23)가 대면된 현상영역으로 공급되는 현상제의 양을 규제하는 규제부재, 현상기(210)에 수용된 현상제를 교반시키는 교반부재 등을 더 구비할 수 있다. The developing
전사롤러(230)는 감광드럼(21)으로부터 인쇄매체(P)로 토너화상을 전사시키는 전사기의 일 예이다. 전사롤러(230)에는 인쇄매체(P)로 토너화상을 전사시키기 위한 전사바이어스전압이 인가된다. 전사롤러(230) 대신에 코로나 전사기나 핀 스코로트론(pin scorotron)방식의 전사기가 채용될 수도 있다.The
인쇄매체(P)는 픽업롤러(11)에 의하여 급지부(100)로부터 한 장씩 픽업되고, 이송 롤러(12)(13)에 의하여 감광드럼(21)과 전사롤러(230)가 대면된 영역으로 이송된다. The printing medium P is picked up one by one from the
정착기(240)는 인쇄매체(P)로 전사된 토너화상에 열과 압력을 가하여 인쇄매체(P)에 정착시킨다. 정착기(240)를 통과한 인쇄매체(P)는 배출롤러(19)에 의하여 배지부(300)로 배출되어 적재된다. The
클리닝 블레이드(24)는 전사과정 후에 감광드럼(21)의 표면에 잔류되는 토너와 이물질을 제거하는 클리닝 수단의 일 예이다. 클리닝 블레이드(24) 대신에 회전되는 브러쉬 등의 다른 형태의 클리닝 장치가 채용될 수도 있다. The
상기한 구성에 의하여, 노광기(220)는 화상정보에 대등하여 변조된 광을 감광드럼(21)에 주사하여 정전잠상을 형성시킨다. 현상롤러(23)는 정전잠상에 토너를 공급하여 감광드럼(21)의 표면에 가시적인 토너화상을 형성한다. 급지부(100)에 적재된 인쇄매체(P)는 픽업롤러(11)와 이송롤러(12)(13)에 의하여 감광드럼(21)과 전사롤러(230)가 대면된 영역으로 이송되며, 토너화상은 전사롤러(230)에 인가되는 전사바어스전압에 의하여 감광드럼(21)으로부터 인쇄매체(P) 상으로 전사된다. 인쇄매체(P)가 정착기(240)를 통과하면, 토너화상은 열과 압력에 의하여 인쇄매체(P)에 정착된다. 정착이 완료된 인쇄매체(P)는 배출롤러(19)에 의하여 배출되어 배지부(300)에 적재된다. With the above configuration, the
정착기(240)는 서로 맞물려 인쇄매체(P)가 통과되는 정착닙을 형성하는 가열 부재(241)와 가압부재(242)를 구비할 수 있다. 가열부재(241)는 열원(243)에 의하여 가열될 수 있다. 가열부재(241)는 예를 들어 금속 롤러, 무단 벨트 등의 형태일 수 있다. 열원(243)은 예를 들어 할로겐 램프, 세리믹 히터 등일 수 있다. 가열부재(241)의 폭은 인쇄매체(P)의 폭에 대응될 수 있다. 인쇄매체(P)가 정착닙을 통과하는 동안에 가열부재(241)의 열이 인쇄매체(P)와 토너화상으로 전달된다. 인쇄가 수행되는 동안에 가열부재(241)의 폭 전체가 가열된다. 폭이 좁은 인쇄매체(P2)가 정착닙을 통과하는 경우, 가열부재(241)의 표면은 폭방향으로 인쇄매체(P2)와 접촉되는 접촉영역과 접촉되지 않는 비접촉 영역으로 구분된다. 비접촉 영역에서는 가열부재(241)의 열이 인쇄매체(P2)로 전달되지 않으므로, 접촉 영역에 비하여 온도가 높을 수 있다. 폭이 좁은 인쇄매체(P2)를 이용하여 여러 장을 연속 인쇄하면 비접촉 영역의 온도가 접촉 영역에 비하여 더욱 높아질 수 있다. 이와 같은 가열부재(241)의 온도 상승은 정착기(240)의 수명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또한, 열이 화상형성장치 내부의 다른 부재들로 전달되어 화상형성장치의 전체의 수명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The
이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제어부(500)는 인쇄매체(P)의 폭에 따라서 서로 다른 인쇄 모드, 예를 들어 제1모드와 제2모드 중 선택된 하나의 모드로 화상을 인쇄하도록 화상형성부(200)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500)는 인쇄매체(P)의 급지 상태에 따라서, 인쇄를 중지하고 인쇄 에러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제1모드는 정상 인쇄모드로서, 급지부(100)에 적재될 수 있는 최대의 크기를 가진 인쇄매체(P1)에 대하여 적용된다. 제2모드는 저속 인쇄모드로서, 폭이 인쇄매체(P1)보다 좁은 인쇄매체(P2)에 대하여 적용된다. 예를 들어, 인쇄매체(P1)는 A4, LTR 용지일 일 수 있으며, 인쇄매체(P2)는 A5 또는 B5 용지일 수 있다. 폭이 좁은 인쇄매체(P2)가 사용될 때에는 인쇄 속도를 작게 함으로써, 비접촉 영역의 냉각 시간을 확보하여 비접촉 영역의 과열 위험을 줄일 수 있다.In view of the above, the
일 예로서, 제어부(500)는, 제1모드에서는 제1프로세스 속도로 화상을 인쇄하도록 화상형성부(200)를 제어하고, 제2모드에서는 제1프로세스 속도보다 낮은 제2프로세스 속도로 화상을 인쇄하도록 화상형성부(200)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스 속도는 화상형성부(200)에서 화상을 형성하는 속도로서, 감광드럼(21)의 선속도 또는 인쇄매체(P)의 이송 속도를 의미한다. As an example, the
일 예로서, 제어부(500)는 연속 인쇄시에 선행 인쇄와 다음 인쇄 사이의 간격을 제1모드에서는 제1간격으로 설정하고, 제2모드에서는 제1간격보다 큰 제2간격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프로세스 속도와 제2프로세스 속도는 동일할 수 있으며, 제2프로세스 속도가 제1프로세스 속도보다 작을 수도 있다.For example, the
제1모드와 제2모드를 구분하기 위하여, 인쇄매체(P)의 폭을 검지할 필요가 있다. 제어부(500)는 화상형성과정에서 인쇄매체(P)를 검지하는 두 개의 센서(제1센서와 제2센서)의 검지 신호의 조합에 의하여 인쇄매체(P)의 폭을 검지하고, 검지된 인쇄매체(P)의 폭에 따라서 제1모드와, 제1모드보다 인쇄 속도가 느린 제2모드 중 선택된 하나의 모드로 인쇄를 수행하도록 화상형성부(200)를 제어한다. 제어부(500)는 화상형성과정에서 인쇄매체(P)를 검지하는 두 개의 센서(제1센서와 제2센서)의 검지 신호의 조합에 의하여 인쇄매체(P)의 급지 상태를 검지하고, 검지된 인쇄매체(P)의 급지 상태에 따라서, 인쇄를 중지하고 인쇄 에러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In order to distinguish between the first mode and the second mode, it is necessary to detect the width of the print medium P. The
도 3은 센서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센서는 인쇄매체(P)에 접촉되어 회전되는 액추에이터(551)와, 액추에이터(551)에 의하여 온/오프되는 센싱부(552)를 포함할 수 있다. 센싱부(552)는 예를 들어 발광부와 수광부를 구비하는 포토 인터럽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인쇄매체(P)가 감지되지 않을 때에 액추에이터(551)는 도 3에 실선으로 도시된 위치에 위치되며, 발광부로부터 조사되는 광이 수광부에 의하여 수광되며, 센싱부(552)는 오프(OFF) 상태가 된다. 인쇄매체(P)가 액추에이터(551)를 밀어 도 3에 점선으로 도시된 위치로 회동시키면, 액추에이터(551)는 발광부와 수광부 사이에 위치되고, 발광부로부터 조사되는 광이 액추에이터(551)에 의하여 차단되어 광이 수광부에서 검지되지 않으며, 센싱부(552)는 온(ON) 상태가 된다. 센싱부(552)는 도시되지 않은 전기적 수단에 의하여 제어부(500)와 연결될 수 있다. 이하에서 센서에 의하여 인쇄매체(P)가 검지된 경우 센서의 검지 신호를 "온 상태"라 하고, 인쇄매체(P)가 검지되지 않은 경우 센서의 검지 신호를 "오프 상태"라 한다.3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 sensor. Referring to FIG. 3, the sensor may include an
도 4는 제1, 제2센서의 배치 위치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제1모드가 적용되는 제1인쇄매체(P1)와 제2모드가 적용되는 제2인쇄매체(P2)가 도시되어 있다. 제2인쇄매체(P2)는 제1인쇄매체(P1)보다 폭이 좁다. 제2인쇄매체(P2)는 제2모드가 적용되는 최대 폭을 갖는 인쇄매체이다. 4 is a plan view illustrating an arrangement position of first and second sensors. Referring to FIG. 4, a first printing medium P1 to which a first mode is applied and a second printing medium P2 to which a second mode is applied are shown. The second print medium P2 is narrower in width than the first print medium P1. The second print medium P2 is a print medium having a maximum width to which the second mode is applied.
중앙 정렬된 제1인쇄매체(P1)는 폭방향으로 일단부(P1-1)와 타단부(P1-2)를 구비한다. 중앙 정렬된 제2인쇄매체(P2C)는 폭방향으로 일단부(P2C-1)와 타단부(P2C-2)를 구비한다. 제1센서(561)는 중앙 정렬된 제1인쇄매체(P1)의 일단부(P1-1)와 중앙 정렬된 제2인쇄매체(P2C)의 일단부(P2C-1) 사이의 영역(S1)에서 인쇄매체(P)를 검지하도록 배치된다. 예를 들어, 제1센서(561)의 액추에이터(551)가 영역(S1)에 위치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가이드 부재(101)(102)가 적절하게 조절된 경우, 제2인쇄매체(P2) 도 4에 참조부호 P2C로 표시된 바와 같이 중앙 정렬 방식으로 급지부(100)에 적재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제1센서(561) 만으로도 제1인쇄매체(P1)와 제2인쇄매체(P2)가 구별되어 검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500)는 제1센서(561)로부터 온 상태의 검지 신호가 입력되면 제1인쇄매체(P1)가 검지된 것으로 인식할 수 있다. 제어부(500)는 제1센서(561)로부터 온 상태의 검지 신호가 입력되지 않으면, 즉 제1센서(561)로부터 오프 상태의 검지 신호만 입력되면 제2인쇄매체(P2)가 검지된 것으로 인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인쇄매체(P)가 정상적인 급지 상태인 경우에는 제어부(500)는 제1센서(561)로부터 입력되는 검지 신호에 따라서 인쇄매체(P)의 폭과 인쇄매체(P)의 급지상태를 검지할 수 있다.The centered first print medium P1 has one end P1-1 and the other end P1-2 in the width direction. The centrally aligned second printing medium P2C includes one end P2C-1 and the other end P2C-2 in the width direction. The
인쇄매체(P)는 비정상적인 급지 상태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한 쌍의 가이드 부재(101)(102)가 도 2의 실선으로 도시된 위치에 위치된 상태에서 제2인쇄매체(P2)가 급지부(100)에 적재될 수도 있다. 그러면, 제2인쇄매체(P)는 도 4에 P2R로 표시된 바와 같이 제1인쇄매체(P1)의 일단부(P1-1)에 측부 정렬되거나 도 4에 P2L로 표시된 바와 같이 제1인쇄매체(P1)의 타단부(P1-2)에 측부 정렬될 수 있다. 제2인쇄매체(P2)가 P2L로 표시된 바와 같이 제1인쇄매체(P1)의 타단부(P1-2)에 측부 정렬된 경우에 제1센서(561)는 오프가 되므로, 제어부(500)는 제1센서(561)의 검지 신호에 기반하여 제1인쇄매체(P1)와 제2인쇄매체(P2)를 구별하여 검지할 수 있다. 그러나, 제2인쇄매체(P)가 P2R로 표시된 바와 같이 제1인쇄매체(P1)의 일단부(P1-1)에 측부 정렬된 경우에는 제1센서(561)로부터 온 상태의 검지 신호가 입력되므로, 제어부(500)는 제1센서(561)의 검지 신호에 기반하여 제1인쇄매체(P1)와 제2인쇄매체(P2)를 구별하여 검지할 수 없다. The print medium P may be abnormally fed. For example, the second print medium P2 may be loaded on the
본 실시예에서는 제2센서(562)가 추가적으로 채용된다. 제2센서(562)는 중앙 정렬된 제1인쇄매체(P1)의 일단부(P1-1) 쪽으로 측부 정렬된 제2인쇄매체(P2)(도 4에 P2R로 표시)의 타단부(P2R-2)와 중앙 정렬된 제2인쇄매체(P2)(도 4에 P2C로 표시)의 타단부(P2C-2) 사이의 영역(S2)에서 인쇄매체(P)를 검지하도록 배치된다. 예를 들어, 제2센서(562)의 액추에이터(551)가 영역(S2)에 위치될 수 있다. 제2센서(562)가 영역(S2)에서 인쇄매체(P)를 검지하도록 배치됨으로써, 화상형성과정에서 인쇄매체(P)를 검지하는 후술하는 다수의 센서가 본연의 기능을 수행하면서 동시에 제2센서(562)로서 활용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제어부(500)는 제1센서(561)와 제2센서(562)의 검지 신호의 조합에 의하여 제1인쇄매체(P1)와 제2인쇄매체(P2)가 중앙 정렬 방식으로 정상적인 급지 상태로 급지부(100)에 적재된 경우는 물론 제2인쇄매체(P2)가 측부 정렬 방식으로 잘못 적재된 경우에도 제1인쇄매체(P1)와 제2인쇄매체(P2)를 구별하여 검지할 수 있다. 제어부(500)는 인쇄매체(P)의 폭의 검지 결과에 따라서 제1모드와 제2모드 중 선택된 하나의 모드를 적용하여 화상형성부(200)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500)는 인쇄매체(P)의 급지 상태의 검지 결과에 따라서 인쇄를 중지하고 인쇄 에러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표 1은 인쇄매체(P)의 종류, 제1센서(561)와 제2센서(562)의 검지 신호의 조합, 인쇄모드 사이의 관계를 보여준다.The
제어부(500)는 제1센서(561)와 제2센서(562) 모두로부터 온 상태의 검지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제1모드로 인쇄를 수행하도록 화상형성부(200)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500)는 제1센서(561)로부터 오프 상태의 검지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다시 말하면 온 상태의 검지 신호가 입력되지 않는 경우)에, 제2모드로 인쇄를 수행하도록 화상형성부(200)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500)는 제1센서(561)로부터 온 상태의 검지 신호가 입력되고 제2센서(562)로부터 오프 상태의 검지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다시 말하면 제2센서(562)로부터 온 상태의 검지 신호가 입력되지 않는 경우)에, 급지 에러 상태로 인식하고 인쇄 에러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이에 의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인쇄매체(P)의 적재 상태, 인쇄매체(P)의 이송 상태 등을 확인하도록 유도할 수 있으며, 불필요한 인쇄 및 이로 인한 정착기(240)의 과열을 방지할 수 있다.The
도 5는 제어 블록도의 일 예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제어부(500)는 중앙처리장치(CPU)(501)와 메모리(502)를 구비할 수 있다. 메모리(501)에는 제1, 제2모드에 각각 대응되는 제1, 제2제어인자가 저장될 수 있다. 제어부(500)는 제1, 제2센서(561)(562)의 검지 신호의 조합으로부터 제1, 제2모드 중 어느 한 모드를 선택하고, 메모리(502)로부터 제1, 제2제어인자 중 해당되는 제어인자를 읽어내어 화상형성부(20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쇄모드에 따라서 프로세서 속도를 제어하는 경우, 제어인자는 화상형성부(200)의 회전 부재들을 구동하는 구동 모터(201)의 구동 속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인쇄모드에 따라서 인쇄 사이의 간격을 제어하는 경우, 제어인자는 예를 들어 픽업 롤러(11)의 구동을 단속하는 클러치(202)의 작동 간격일 수 있다.5 is an example of a control block diagram. Referring to FIG. 5, the
화상형성장치는 인쇄 경로(400)를 따라 이송되는 인쇄매체(P)를 검지하는 다수의 센서를 구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인쇄매체(P)의 폭을를 검지하는 별도의 센서가 채용되지 않는다. 제어부(500)는 다수의 센서 중에서 두 개의 센서의 검지 신호의 조합에 의하여 인쇄매체(P)의 폭을 검지하고, 검지된 인쇄매체(P)의 폭에 따라서 제1모드와, 제1모드보다 인쇄 속도가 느린 제2모드 중 선택된 하나의 모드로 인쇄를 수행하도록 화상형성부(200)를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500)는 다수의 센서 중에서 두 개의 센서의 검지 신호의 조합에 의하여 인쇄매체(P)의 급지 상태를 검지하고, 검지된 인쇄매체(P)의 급지 상태에 따라서 인쇄를 중지하고 인쇄 에러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인쇄매체(P)의 폭과 급지 상태를 검지하는 별도의 센서 및 이 센서의 신호를 제어부(500)로 전달하는 전기 배선 등이 생략될 수 있어 부품비가 절감될 수 있다. 또한, 캄팩트한 화상형성장치의 구현에도 유리하다.The image forming apparatus may include a plurality of sensors that detect the print medium P transported along the
예를 들어, 다수의 센서는 급지부(100)에의 인쇄매체(P)의 적재 여부를 검지하는 적재 여부 검지 센서(paper empty sensor)(510), 화상형성부(200)로 공급되는 인쇄매체(P)의 기준 위치를 제공하는 정렬 센서(registration sensor)(520), 정착기(240)의 출구에 설치되어 정착기(240)에서의 잼을 검지하는 배지 잼 센서(530), 배지부(300)에 설치되어 배지부(300)의 적재 용량 초과를 검지하는 초과 적재 검지 센서(540)를 포함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plurality of sensors may include a paper
센서들(510, 520, 530, 540)은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적재 여부 검지 센서(paper empty sensor)(510)는 급지부(100)에 인쇄매체(P)가 적재되지 않은 때에 도 3의 실선으로 도시된 위치에 위치되며, 검지 신호는 오프 상태로 유지된다. 정렬 센서(520)는 이송롤러(13)의 입구측에 위치될 수 있다. 정렬센서(520)에 의하여 인쇄매체(P)가 검지되면, 제어부(500)는 인쇄매체(P)의 선단이 정렬센서(520)를 통과한 것으로 인식한다. 이에 의하여, 인쇄매체(P)의 기준 위치가 제공될 수 있다. 제어부(500)는 인쇄매체(P)의 선단이 감광드럼(21)과 전사롤러(230)가 대면된 전사닙에 도달되는 시점에 맞추어 감광드럼(21)에 형성된 토너 화상의 선단이 전사닙에 도달되도록 노광기(220)의 노광 개시 시점을 제어할 수 있다. 배지 잼 센서(530)는 인쇄매체(P)가 통과될 때에 도 3에 점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온 상태가 된다. 제어부(500)는 배지 잼 센서(530)가 온 상태가 되고 소정 시간이 경과된 후에도 배지 잼 센서(530)가 오프 상태가 되지 않으면, 정착기(240)에서 잼이 발생된 것으로 인식할 수 있다. 초과 적재 검지 센서(540)는 배지부(300)로 배출되는 인쇄매체(P)에 의하여 도 3에 점선으로 도시된 온 상태가 되며, 배지가 완료된 후에는 도 3에 실선으로 도시된 오프 상태가 된다. 초과 적재 검지 센서(540)가 오프 상태로 복귀되지 않고 온 상태로 유지되면, 제어부(500)는 배지부(300)에 적재된 인쇄매체(P)의 양이 적재 용량을 초과한 것으로 인식할 수 있다. The
제1센서(561)는 초과 적재 검지 센서(540)일 수 있다. 초과 적재 검지 센서(540)는 폭방향으로 도 4의 영역(S1)에서 배출되는 인쇄매체(P)를 검지하도록 배치된다. The
제2센서(562)는 급지부(100)와, 급지부(100)와 배지부(300) 사이의 인쇄경로(400)에 설치되어 인쇄매체(P)를 검지하는 센서들 중에서 선택될 수 있다. 도 1에는 적재 여부 검지 센서(510), 정렬센서(520), 배지 잼 센서(530) 만이 도시되어 있으나, 픽업롤러(11)와 이송롤러(13) 사이에 추가적인 센서가 더 배치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2센서(562)로서, 적재 여부 검지 센서(510), 정렬센서(520), 배지 잼 센서(530) 중 어느 하나가 채용된다. 적재 여부 검지 센서(510), 정렬센서(520), 배지 잼 센서(530) 중 어느 하나는 폭방향으로 도 4의 영역(S2)에서 인쇄매체(P)를 검지하도록 배치된다. 제2센서(562)가 영역(S2)에서 인쇄매체(P)를 검지하도록 배치됨으로써, 다수의 센서, 예를 들어 적재 여부 검지 센서(510), 정렬센서(520), 배지 잼 센서(530)가 제2센서(562)로서 활용될 수 있다. 적재 여부 검지 센서(510), 정렬센서(520), 배지 잼 센서(530)를 영역(S2)에 배치함으로써, 이들 센서의 본연의 기능이 수행될 수 있으며, 동시에 인쇄매체(P)의 폭과 급지 상태를 검지하는 제2센서(562)로서의 기능도 수행될 수 있다. The
제어부(500)는 표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센서(562)로서의 적재 여부 검지 센서(510), 정렬센서(520), 배지 잼 센서(530) 중 어느 하나와, 제1센서(561)로서의 초과 적재 검지 센서(540)의 검지 신호의 조합에 따라서 화상형성부(200)를 제1모드와 제2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드로 인쇄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500)는 전술한 검지 신호의 조합에 따라서 인쇄를 중지하고 인쇄 에러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이에 의하여, 인쇄매체(P)의 폭을 검지하는 별도의 센서를 채용하지 않고도, 제어부(500)는 제1인쇄매체(P1)와, 도 4에 P2C, P2L, P2R로 표시된 제2인쇄매체(P2)를 구분하여 인식할 수 있으며, 제1인쇄매체(P1)에 대하여는 제1모드로, 제2인쇄매체(P2)에 대하여는 제2모드로 화상을 인쇄하도록 화상형성부(20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2인쇄매체(P2)가 P2R 상태로 급지되는 경우, 인쇄 에러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As shown in Table 1, the
실질적으로, 제1인쇄매체(P1)와, P2C 상태의 제2인쇄매체(P2)에만 화상이 성공적으로 인쇄되며, P2L, P2R 상태의 제2인쇄매체(P2)에는 화상이 제대로 인쇄되지 않는다. 즉, P2L, P2R 상태의 제2인쇄매체(P2)에는 인쇄하고자 하는 화상의 일부만이 인쇄된다. 사용자와 화상형성장치 사이의 거리가 먼 경우, 예를 들어 화상형성장치가 네트워크 프린터인 경우, 사용자가 급지부(100)에의 인쇄매체(P)의 적재 상태를 알 수 없다. 그러나 급지부(100)에 적절히 적재된 P2C 상태의 제2인쇄매체(P2)뿐 아니라 부적절하게 적재된 P2L, P2R 상태의 제2인쇄매체(P2)에 대하여도 제2모드를 적용할 수 있으므로, 특히 제2인쇄매체(P2)에 대한 여러 장의 연속 인쇄시에 정착기(240)의 과열이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제2인쇄매체(P2)가 P2R 상태로 급지되는 경우, 인쇄 에러 신호를 출력함으로써, 불필요한 인쇄 및 이로 인한 정착기(240)의 과열을 방지할 수 있다.Substantially, the image is successfully printed only on the first printing medium P1 and the second printing medium P2 in the P2C state, and the image is not properly printed on the second printing medium P2 in the P2L and P2R states. That is, only a part of the image to be printed is printed on the second printing medium P2 in the P2L and P2R states. When the distance between the user and the image forming apparatus is far, for example, when the image forming apparatus is a network printer, the user cannot know the loading state of the print medium P in the
화상형성과정에서 적재 여부 검지 센서(510)의 검지 신호가 오프 상태라면, 급지부(100)에 인쇄매체(P)가 적재되어 있지 않거나, 급지부(100)에 적재된 인쇄매체(P)가 모두 사용되었거나, 제2인쇄매체(P2)가 P2R 상태로 적재된 경우에 해당된다. 위의 어느 경우에도 정상적인 인쇄가 될 수 없으므로, 제어부(500)는 인쇄를 중지하고 인쇄 에러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이에 의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인쇄매체(P)의 적재 상태를 확인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P2R 상태의 제2인쇄매체(P2)에는 화상이 제대로 인쇄되지 않으므로 불필요한 인쇄가 방지될 수 있다. 인쇄 에러 신호는 출력 장치(도 5: 503)를 통하여 출력될 수 있다. 출력 장치(503)는 예를 들어 버저, 디스플레이, 등화, 사용자의 호스트 장치 등일 수 있다. If the detection signal of the
화상형성과정에서 정렬 센서(520)의 검지 신호가 오프 상태에서 온 상태로 변하지 않으면, 급지부(100)로부터 정렬 센서(520)까지의 인쇄 경로(400)에서 이송 불량이 발생되었거나, 제2인쇄매체(P2)가 P2R 상태로 적재된 경우에 해당된다. 제2센서(562)로서 정렬 센서(520)가 채용되는 경우, 정렬 센서(520)의 검지 신호가 오프 상태에서 온 상태로 변하지 않으면, 제어부(500)는 인쇄매체(P)가 배지부(300)에 도달되기에 충분한 시간 동안 화상형성장치를 구동하고, 구동 시간 동안에 초과 적재 검지 센서(540)로부터 온 상태의 검지 신호가 입력되는지 확인할 수 있다. 초과 적재 검지 센서(540)로부터 온 상태의 검지 신호가 입력되면, 제2인쇄매체(P2)가 P2R 상태로 급지부(100)에 적재된 경우에 해당된다. 물론, P2R 상태의 제2인쇄매체(P2)에는 화상이 제대로 인쇄되지 않으므로, 제어부(500)는 인쇄를 중지하고 인쇄 에러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초과 적재 검지 센서(540)로부터 온 상태의 검지 신호가 입력되지 않으면, 이송 불량이 발생된 상태이므로, 제어부(500)는 인쇄를 중지하고 인쇄 에러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인쇄 에러 신호는 출력 장치(도 5: 503)를 통하여 출력될 수 있다. 출력 장치(503)는 예를 들어 버저, 디스플레이, 등화, 사용자의 호스트 장치 등일 수 있다. When the detection signal of the
화상형성과정에서 배지 잼 센서(530)의 검지 신호가 오프 상태에서 온 상태로 변하지 않으면, 급지부(100)로부터 정착기(240)까지의 인쇄 경로(400)에서 이송 불량이 발생되었거나, 제2인쇄매체(P2)가 P2R 상태로 적재된 경우에 해당된다. 제2센서(562)로서 배지 잼 센서(530)가 채용되는 경우, 배지 잼 센서(530)의 검지 신호가 오프 상태에서 온 상태로 변하지 않으면, 제어부(500)는 인쇄매체(P)가 배지부(300)에 도달되기에 충분한 시간 동안 화상형성장치를 구동하고, 구동 시간 동안에 초과 적재 검지 센서(540)로부터 온 상태의 검지 신호가 입력되는지 확인할 수있다. 초과 적재 검지 센서(540)로부터 온 상태의 검지 신호가 입력되면, 제2인쇄매체(P2)가 P2R 상태로 적재된 경우에 해당된다. 물론, P2R 상태의 제2인쇄매체(P2)에는 화상이 제대로 인쇄되지 않으므로, 제어부(500)는 인쇄를 중지하고 인쇄 에러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초과 적재 검지 센서(540)로부터 온 상태의 검지 신호가 입력되지 않으면, 이송 불량이 발생된 상태이므로, 제어부(500)는 인쇄를 중지하고 인쇄 에러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인쇄 에러 신호는 출력 장치(도 5: 503)를 통하여 출력될 수 있다. 출력 장치(503)는 예를 들어 버저, 디스플레이, 등화, 사용자의 호스트 장치 등일 수 있다. If the detection signal of the
본 개시는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개시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disclosure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illustrated in the drawings, this is merely exemplary,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I will understand. Therefore,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disclosure will be defined by the claims below.
Claims (15)
상기 급지부로부터 공급되는 인쇄매체에 전자사진방식에 의하여 화상을 인쇄하는 화상형성부;
화상이 인쇄된 인쇄매체가 배출되어 적재되는 배지부;
상기 급지부에 위치되어 상기 인쇄매체의 적재 여부를 검지하는 적재 여부 검지 센서;
상기 배지부의 적재 용량 초과를 검지하는 초과 적재 검지 센서;
상기 적재 여부 검지 센서와 상기 초과 적재 검지 센서의 검지 신호의 조합에 의하여 인쇄매체의 크기를 검지하고, 검지된 인쇄매체의 크기에 따라서 서로 다른 인쇄모드를 적용하여 인쇄를 수행하도록 상기 화상형성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A center-aligned paper feeder on which a print medium is loaded;
An image forming unit for printing an image by an electrophotographic method on a printing medium supplied from the paper feeding unit;
A discharge unit for discharging and stacking a print medium on which an image is printed;
A load detection sensor positioned in the paper feeder and detecting whether the print medium is loaded;
An excess load detection sensor for detecting an excess load capacity of the discharge unit;
The image forming unit is configured to detect the size of the print medium by a combination of the detection signals of the load detection sensor and the excess load detection sensor, and to perform printing by applying different print modes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detected print medium. And a control unit.
상기 인쇄모드는 제1모드와, 상기 제1모드보다 인쇄속도가 느린 제2모드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The method of claim 1,
The print mode includes a first mode and a second mode in which a printing speed is lower than that of the first mode.
상기 인쇄매체는 상기 제1모드가 적용되는 제1인쇄매체와, 상기 제1인쇄매체보다 폭이 좁고 상기 제2모드가 적용되는 최대 폭의 제2인쇄매체를 포함하며,
상기 초과 적재 검지 센서는 중앙 정렬된 상기 제1인쇄매체의 일단부와 중앙 정렬된 상기 제2인쇄매체의 일단부 사이에서 인쇄매체를 검지하며,
상기 적재 여부 검지 센서는 상기 제1인쇄매체의 상기 일단부 쪽으로 측부 정렬된 상기 제2인쇄매체의 타단부와 중앙 정렬된 상기 제2인쇄매체의 타단부 사이에서 인쇄매체를 검지하는 화상형성장치.The method of claim 2,
The print medium includes a first print medium to which the first mode is applied, and a second print medium having a width smaller than that of the first print medium and to which the second mode is applied.
The overload detection sensor detects a print medium between one end of the centered first print medium and one end of the second centered print medium,
And the loading detection sensor detects a print medium between the other end of the second print medium which is laterally aligned toward the one end of the first print medium and the other end of the second print medium which is centrally aligned.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적재 여부 검지 센서와 상기 초과 적재 검지 센서의 검지 신호의 조합에 의하여 상기 인쇄매체의 급지 상태를 검지하고, 검지된 상기 인쇄매체의 급지 상태에 따라서 인쇄를 중지하고 인쇄에러신호를 출력하는 화상형성장치.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control unit detects a paper feed state of the print medium by a combination of the detection signals of the load detection sensor and the excess stack detection sensor, stops printing according to the fed state of the detected print medium, and outputs a print error signal. An image forming apparatus.
상기 제어부는, 상기 초과 적재 검지 센서와 상기 적재 여부 검지 센서 모두로부터 온 상태의 검지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제1모드로 인쇄를 수행하도록 상기 화상형성부를 제어하는 화상형성장치.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And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image forming unit to perform printing in the first mode when a detection signal in a state from both the excess stacking detection sensor and the stacking detection sensor is input.
상기 제어부는, 상기 초과 적재 검지 센서로부터 오프 상태의 검지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제2모드로 인쇄를 수행하도록 상기 화상형성부를 제어하는 화상형성장치.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And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image forming unit to perform printing in the second mode when an off state detection signal is input from the excess stacking detection sensor.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적재 여부 검지 센서로부터 오프 상태의 검지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인쇄를 중지하고 인쇄 에러 신호를 출력하는 화상형성장치.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And the control unit stops printing and outputs a print error signal when an off state detection signal is input from the loading status detection sensor.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모드에서 제1프로세스 속도로 화상을 인쇄하도록 상기 화상형성부를 제어하며, 상기 제2모드에서 상기 제1프로세스 속도보다 낮은 제2프로세스 속도로 화상을 인쇄하도록 상기 화상형성부를 제어하는 화상형성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7,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image forming unit to print an image at a first process speed in the first mode, and the image forming unit to print an image at a second process speed lower than the first process speed in the second mode. Image forming apparatus for controlling.
상기 제어부는 연속 인쇄시에 인쇄 사이의 간격을 제1모드에서는 제1간격으로 설정하고, 제2모드에서는 제1간격보다 큰 제2간격으로 설정하는 화상형성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7,
And the control unit sets the interval between printings during the continuous printing to a first interval in the first mode and to a second interval larger than the first interval in the second mode.
전자사진방식에 의하여 인쇄매체에 화상을 인쇄하는 화상형성부;
화상이 인쇄된 인쇄매체가 적재되는 배지부;
상기 급지부로부터 상기 배지부까지의 인쇄 경로 상에 위치되어 상기 인쇄매체를 검지하는 다수의 센서;
상기 다수의 센서 중 두 개의 센서의 검지 신호의 조합에 의하여 상기 인쇄매체의 폭을 검지하고, 검지된 인쇄매체의 폭에 따라서 제1모드와 상기 제1모드보다 속도가 느린 제2모드 중 선택된 하나의 모드로 인쇄를 수행하도록 상기 화상형성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인쇄매체는 상기 제1모드가 적용되는 제1인쇄매체와, 상기 제1인쇄매체보다 폭이 좁고 상기 제2모드가 적용되는 최대 폭의 제2인쇄매체를 포함하며,
상기 두 개의 센서는,
중앙 정렬된 상기 제1인쇄매체의 일단부와 중앙 정렬된 상기 제2인쇄매체의 일단부 사이에서 인쇄매체를 검지하는 제1센서;
상기 제1인쇄매체의 상기 일단부 쪽으로 측부 정렬된 상기 제2인쇄매체의 타단부와 중앙 정렬된 상기 제2인쇄매체의 타단부 사이에서 인쇄매체를 검지하는 제2센서;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A paper feeder on which a print medium is loaded;
An image forming unit for printing an image on a printing medium by an electrophotographic method;
A discharge unit on which a print medium on which an image is printed is loaded;
A plurality of sensors positioned on a printing path from the paper feeder to the discharge unit to detect the print medium;
A width of the print medium is detected by a combination of detection signals of two sensors among the plurality of sensors, and a selected one of a first mode and a second mode slower than the first mode according to the detected width of the print medium And a controller which controls the image forming unit to perform printing in a mode of,
The print medium includes a first print medium to which the first mode is applied, and a second print medium having a width smaller than that of the first print medium and to which the second mode is applied.
The two sensors,
A first sensor detecting a print medium between one end of the centered first print medium and one end of the centered second print medium;
And a second sensor detecting a print medium between the other end of the second print medium which is laterally aligned toward the one end of the first print medium and the other end of the second print medium which is centrally aligned. .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센서와 상기 제2센서 모두로부터 온 상태의 검지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제1모드로 인쇄를 수행하도록 상기 화상형성부를 제어하는 화상형성장치.The method of claim 10,
And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image forming unit to perform printing in the first mode when a detection signal in a state of being turned on from both the first sensor and the second sensor is input.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센서로부터 오프 상태의 검지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제2모드로 인쇄를 수행하도록 상기 화상형성부를 제어하는 화상형성장치.The method of claim 11,
And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image forming unit to perform printing in the second mode when a detection signal of an off state is input from the first sensor.
상기 제1센서는 상기 배지부의 적재 용량 초과를 검지하는 초과 적재 검지 센서이며,
상기 제2센서는, 상기 급지부에 위치되어 상기 인쇄매체의 적재 여부를 검지하는 적재 여부 검지 센서와, 상기 화상형성부로 공급되는 인쇄매체의 기준 위치를 제공하는 정렬 센서와, 정착기의 출구에 설치되어 상기 정착기에서의 잼을 검지하는 배지 잼 센서 중 어느 하나인 화상형성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0 to 12,
The first sensor is an excess load detection sensor for detecting an excess load capacity of the discharge unit,
The second sensor may be installed at the paper feeder to detect whether or not the print medium is loaded, an alignment sensor to provide a reference position of the print medium supplied to the image forming unit, and an outlet of the fixing unit. The image forming apparatus of any one of the media jam sensor for detecting the jam in the fixing unit.
상기 제2센서는 상기 적재 여부 검지 센서이며,
상기 적재 여부 검지 센서로부터 오프 상태의 검지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인쇄를 중지하고 인쇄 에러 신호를 출력하는 화상형성장치.The method of claim 13,
The second sensor is the loading status detection sensor,
And a control unit stops printing and outputs a print error signal when an off state detection signal is input from the loading status detection sensor.
상기 제2센서는 상기 정렬 센서와 상기 배지 잼 센서 중 어느 하나이며,
상기 제2센서로부터 오프 상태의 검지 신호가 입력되고 상기 제1센서로부터 온 상태의 검지 신호가 입력되지 않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출력장치를 통하여 인쇄 에러 신호를 출력하는 화상형성장치.The method of claim 13,
The second sensor is any one of the alignment sensor and the media jam sensor,
And the control unit outputs a print error signal through an output device when the detection signal in the off state is input from the second sensor and the detection signal in the on state from the first sensor is not input.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34769A KR20190112598A (en) | 2018-03-26 | 2018-03-26 | Detecting Size of Print Medium Using Sensors Available Along Paper Path |
EP19777720.4A EP3746847B1 (en) | 2018-03-26 | 2019-03-22 | Detecting size of print medium using sensors available along paper path |
PCT/US2019/023658 WO2019190926A1 (en) | 2018-03-26 | 2019-03-22 | Detecting size of print medium using sensors available along paper path |
US17/040,918 US12013656B2 (en) | 2018-03-26 | 2019-03-22 | Detecting size of print medium using sensors available along paper path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34769A KR20190112598A (en) | 2018-03-26 | 2018-03-26 | Detecting Size of Print Medium Using Sensors Available Along Paper Path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112598A true KR20190112598A (en) | 2019-10-07 |
Family
ID=680584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034769A Withdrawn KR20190112598A (en) | 2018-03-26 | 2018-03-26 | Detecting Size of Print Medium Using Sensors Available Along Paper Path |
Country Status (4)
Country | Link |
---|---|
US (1) | US12013656B2 (en) |
EP (1) | EP3746847B1 (en) |
KR (1) | KR20190112598A (en) |
WO (1) | WO2019190926A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7268482B2 (en) * | 2019-05-24 | 2023-05-08 |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 sheet conveying device |
Family Cites Families (2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5105265A (en) | 1991-10-15 | 1993-04-27 | Fuji Xerox Co Ltd | Paper sheet size detecting device |
JP3130718B2 (en) | 1993-11-04 | 2001-01-31 | キヤノン株式会社 | Image forming device |
US6471429B1 (en) * | 1999-01-29 | 2002-10-29 | Canon Kabushiki Kaisha | Sheet processing apparatus for discharging sheets in a bundle |
JP2001002279A (en) | 1999-06-18 | 2001-01-09 | Canon Inc | Image output device and control method for it |
JP2001072304A (en) | 1999-09-01 | 2001-03-21 | Canon Inc | Image forming device and image forming system |
US6722646B2 (en) | 2002-02-19 | 2004-04-20 | Canon Kabushiki Kaisha | Sheet treat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
US6807383B2 (en) | 2002-07-31 | 2004-10-19 | Riso Kagaku Corporation | Apparatus, system for forming image, and method for controlling image forming apparatus |
JP2005263402A (en) | 2004-03-18 | 2005-09-29 | Fuji Xerox Co Ltd | Recording sheet detecting device, and fixing device and image forming device using detecting device |
JP4781173B2 (en) * | 2005-06-29 | 2011-09-28 | キヤノン株式会社 | Sheet size detection device |
JP5153285B2 (en) | 2006-10-18 | 2013-02-27 | キヤノン株式会社 | Image forming apparatus |
JP2011064773A (en) | 2009-09-15 | 2011-03-31 | Brother Industries Ltd | Image forming apparatus |
KR101725093B1 (en) | 2009-12-24 | 2017-04-10 | 에스프린팅솔루션 주식회사 | Image forming apparatus |
JP6040714B2 (en) * | 2012-11-06 | 2016-12-07 | 株式会社リコー | Automatic document conveying device, image reading device equipped with automatic document convey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
US9354569B2 (en) * | 2013-06-13 | 2016-05-31 | Lexmark International, Inc. | Heat transfer system for a fuser assembly |
US9274463B2 (en) * | 2013-06-13 | 2016-03-01 | Lexmark International, Inc. | Heat transfer system for a fuser assembly |
JP6292873B2 (en) * | 2013-12-27 | 2018-03-14 | キヤノン株式会社 | Sheet process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system |
JP6341443B2 (en) * | 2014-02-25 | 2018-06-13 | 株式会社リコー | Sheet placing apparatus, image forming apparatus, and image reading apparatus |
JP6305166B2 (en) * | 2014-03-31 | 2018-04-04 | キヤノン株式会社 | Printing device |
JP2017122768A (en) * | 2016-01-05 | 2017-07-13 | キヤノン株式会社 | Image forming apparatus |
JP7370750B2 (en) * | 2019-07-11 | 2023-10-30 | キヤノン株式会社 | Image forming device |
JP7475865B2 (en) * | 2020-01-08 | 2024-04-30 | キヤノン株式会社 | Image processing device, control method for image processing device, and program |
-
2018
- 2018-03-26 KR KR1020180034769A patent/KR20190112598A/en not_active Withdrawn
-
2019
- 2019-03-22 WO PCT/US2019/023658 patent/WO2019190926A1/en unknown
- 2019-03-22 US US17/040,918 patent/US12013656B2/en active Active
- 2019-03-22 EP EP19777720.4A patent/EP3746847B1/en active Activ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EP3746847B1 (en) | 2024-01-03 |
WO2019190926A1 (en) | 2019-10-03 |
EP3746847A4 (en) | 2022-01-26 |
US20210034005A1 (en) | 2021-02-04 |
US12013656B2 (en) | 2024-06-18 |
EP3746847A1 (en) | 2020-12-0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449708B2 (en) | Paper detection apparatus and printing method | |
KR101725093B1 (en) | Image forming apparatus | |
US20170075273A1 (en) | Fix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 |
US6728497B2 (en) |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a heating member to heat the recording medium | |
JP2014032236A (en) | Image forming device | |
KR0153417B1 (en) | Manual Feed Paper Width Detection Device in Image Forming Device | |
JP3800118B2 (en) | Thermal fix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 |
US20100244353A1 (en) | Paper feeder and image forming apparatus | |
EP3746847B1 (en) | Detecting size of print medium using sensors available along paper path | |
US8725012B2 (en) | Image forming apparatus and a method for determining a condition of toner | |
US10474072B2 (en) | Fixing apparatus and image processing apparatus | |
JP3501735B2 (en) | Image forming device | |
JP2008122513A (en) | Image forming apparatus | |
US20070201890A1 (en) | Fusing system of image form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 |
JP2005231887A (en) | Paper feeding device and image forming device | |
JP2006078797A (en) | Image forming device | |
JP7380232B2 (en) | Fixing device, image forming device | |
JP2005024667A (en) | Image forming apparatus | |
JP5074778B2 (en) | Image forming apparatus | |
US20220100129A1 (en) | Image form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image forming apparatus | |
JP2002072754A (en) | Image forming apparatus | |
JP2016206332A (en) | Image forming apparatus | |
JP2024126119A (en) | Image forming device | |
JP2003005570A (en) | Image forming apparatus | |
JP4782087B2 (en) | Sheet convey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0326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Patent event date: 20190614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C1203 |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