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11785A - Article transport facility - Google Patents
Article transport facility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90111785A KR20190111785A KR1020190030045A KR20190030045A KR20190111785A KR 20190111785 A KR20190111785 A KR 20190111785A KR 1020190030045 A KR1020190030045 A KR 1020190030045A KR 20190030045 A KR20190030045 A KR 20190030045A KR 20190111785 A KR20190111785 A KR 20190111785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rticle
- region
- posture
- change control
- posture chang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Gran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0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24—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by means of a cart or a vehicul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3/00—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13/04—Auxiliary devices for controlling movements of suspended loads, or preventing cable slack
- B66C13/08—Auxiliary devices for controlling movements of suspended loads, or preventing cable slack for depositing loads in desired attitudes or posi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3/00—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13/16—Applications of indicating, registering, or weighing devic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3/00—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13/18—Control systems or devices
- B66C13/48—Automatic control of crane drives for producing a single or repeated working cycle; Programme control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05—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242—Apparatus for monitoring, sorting or marking
- H01L21/67259—Position monitoring, e.g. misposition detection or presence detection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0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3—Conveying cassettes, containers or carrier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0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33—Overhead convey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 Container, Conveyance, Adherence, Positioning, Of Wafer (AREA)
- 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Moving Bodies (AREA)
- Control Of Conveyors (AREA)
- Sewing Machines And Sewing (AREA)
Abstract
[해결하려고 하는 과제] 물품의 자세 변경 중에 상기 물품과 간섭 대상물이 간섭하는 것을 억제 가능한 물품 반송 설비를 실현한다.
[해결 수단] 물품 반송 설비는 물품 반송차(2)와, 상기 물품 반송차를 제어하는 제어 장치를 포함하고 있다. 제어 장치는, 자세 변경 기구에 의해 물품(W)의 자세를 변경하는 자세 변경 제어를 실행하는 경우에, 물품 반송차(2)가 좌측 허용 구간 내에 있는 상태에서는, 좌방 영역(A1)에 물품(W)을 돌출시키는 제1 자세 변경 제어를 실행하고, 물품 반송차(2)가 우측 허용 구간 내에 있는 상태에서는, 우방 영역(A2)에 물품(W)을 돌출시키는 제2 자세 변경 제어를 실행하고, 물품 반송차(2)가 양측 허용 구간 내에 있는 상태에서는, 제1 자세 변경 제어, 제2 자세 변경 제어, 또는, 좌방 영역(A1) 및 우방 영역(A2)의 양쪽으로 물품(W)을 돌출시키는 제3 자세 변경 제어를 실행한다.PROBLEMS TO BE SOLVED An article carrying facility capable of suppressing interference between the article and the interference object during a posture change of the article is realized.
Solution The article transport facility includes an article transport vehicle 2 and a control device for controlling the article transport vehicle. When the control apparatus performs the attitude change control which changes the attitude of the article W by the attitude change mechanism, in the state in which the article conveyance vehicle 2 is in a left side tolerance section, the control apparatus will be carried out in the left area | region A1. The first posture change control for protruding W) is executed, and the second posture change control for protruding the article W into the right area A2 is executed in the state where the article transport vehicle 2 is within the right allowable section. In a state where the article transport vehicle 2 is in both side allowable sections, the article W is projected to both the first posture change control, the second posture change control, or both the left region A1 and the right region A2. Third attitude control is executed.
Description
본 발명은, 복수의 반송(搬送) 대상 장소 사이에서 이동 경로를 따라 이동하여 물품을 반송하는 물품 반송차를 포함하는 물품 반송 설비에 관한 것이다.TECHNICAL FIELD This invention relates to the goods conveyance facility containing the goods conveyance vehicle which moves along a movement path between a some conveyance object place, and conveys an article.
예를 들면, 하기의 특허문헌 1(일본공개특허 제2012-253070호 공보)에 개시된 설비에서는, 복수의 반송 대상 장소[1] 사이에서 물품[4]의 반송이 행해지고 있다. 특허문헌 1의 설비에 있어서 반송 대상으로 되는 물품[4]은, 그 일측면에 내용물을 출납하기 위한 개구부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특허문헌 1의 설비는, 각 반송 대상 장소[1]에 있어서 물품[4]의 개구부로부터 내용물의 출납을 적절하게 행할 수 있도록, 반송원(搬送元)의 반송 대상 장소[1]로부터 반송처(搬送處)의 반송 대상 장소[1]에 물품[4]이 반송되는 도중에 상기 물품[4]의 자세 변경을 행하는 자세 변경 장치[31]를, 물품 반송차[3]와는 별도로 포함하고 있다. 이 자세 변경 장치[31]에 의해, 물품[4]의 자세가 반송처의 반송 대상 장소[1]에서 적절한 자세로 되도록, 즉 반송처의 물품 처리 장치[1]에 대하여 개구부가 대향하는 자세로 되도록, 상기 물품[4]의 자세 변경이 행해지고 있다.For example, in the facility disclosed in the following Patent Document 1 (Japanese Patent Laid-Open No. 2012-253070), the article [4] is conveyed between a plurality of destinations for conveyance [1]. The article [4] to be conveyed in the facility of
여기에서, 설비 내에서의 자세 변경 장치의 배치 공간을 삭감하는 관점에서, 물품의 자세를 변경하는 자세 변경 기구(機構)를 물품 반송차와 일체적으로 설치하는 것이 고려된다. 그러나, 물품 반송차에 의한 물품의 반송 중에 그 자세 변경이 행해지는 경우에는, 물품 반송차의 수납부에 있어서 자세 변경 중인 물품이, 수납부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어 이동 경로의 주위에 존재하는 것(예를 들면, 벽, 기둥, 다른 물품 반송차 등, 이하, 물품과 간섭할 가능성이 있는 것을 간섭 대상물이라고 함)에 간섭할 가능성이 있다. 자세 변경 중인 물품과 간섭 대상물의 간섭을 회피하기 위하여, 이동 경로의 주위 공간을 넓게 확보하도록 설비 전체를 설계하는 것도 고려되지만, 설비의 대형화나 공간 효율의 저하를 초래하게 된다.Here, from the viewpoint of reducing the arrangement space of the posture change device in the facility, it is considered to install the posture change mechanism integrally with the article transport vehicle to change the posture of the article. However, when the posture change is performed during the conveyance of the article by the article transport vehicle, the article in the posture change in the storage section of the article transport vehicle protrudes outward from the storage section and exists around the moving path ( For example, there is a possibility of interfering with a wall, a pillar, another article carrier, and the like, which may interfere with the article, hereinafter referred to as an interference object). In order to avoid the interference between the article in the posture change and the interference object, it is also conceivable to design the entire facility so as to secure a wide space around the moving path, but it causes the enlargement of the facility and the deterioration of the space efficiency.
상기 실정에 감안하여, 물품의 자세 변경 중에 상기 물품과 간섭 대상물이 간섭하는 것을 억제 가능한 물품 반송 설비의 실현이 요망되고 있다.In view of the above circumstances, it is desired to realize an article carrying facility which can suppress the interference between the article and the interference object during the posture change of the article.
본 개시에 관한 물품 반송 설비는, 복수의 반송 대상 장소의 사이에서 이동 경로를 따라 이동하여 물품을 반송하는 물품 반송차와, 상기 물품 반송차를 제어하는 제어 장치를 포함한 물품 반송 설비로서, 상기 물품 반송차는, 상기 물품을 수용하는 수용부와, 상기 물품의 자세를 변경하는 자세 변경 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이동 경로에서의 상기 물품 반송차의 진행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수용부에 대하여 좌측의 영역을 좌방 영역, 상기 수용부에 대하여 우측의 영역을 우방 영역으로 하고, 상기 자세 변경 기구에 의한 상기 물품의 자세 변경 중에 상기 물품이 상기 수용부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수용부 및 상기 자세 변경 기구가 구성되며, 상기 수용부로부터 외측으로의 상기 물품의 돌출을, 상기 좌방 영역에서 허용하는 좌측 허용 구간과, 상기 우방 영역에서 허용하는 우측 허용 구간과, 상기 좌방 영역 및 상기 우방 영역 양쪽에서 허용하는 양측 허용 구간이 상기 이동 경로 중에 설정되고,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자세 변경 기구에 의해 상기 물품의 자세를 변경하는 자세 변경 제어를 실행하는 경우에, 상기 물품 반송차가 상기 좌측 허용 구간 내에 있는 상태에서는, 상기 좌방 영역 및 상기 우방 영역 중 상기 좌방 영역에 상기 물품을 돌출시키는 제1 자세 변경 제어를 실행하고, 상기 물품 반송차가 상기 우측 허용 구간 내에 있는 상태에서는, 상기 좌방 영역 및 상기 우방 영역 중 상기 우방 영역에 상기 물품을 돌출시키는 제2 자세 변경 제어를 실행하고, 상기 물품 반송차가 상기 양측 허용 구간 내에 있는 상태에서는, 상기 제1 자세 변경 제어, 상기 제2 자세 변경 제어, 또는, 상기 좌방 영역 및 상기 우방 영역의 양쪽에 상기 물품을 돌출시키는 제3 자세 변경 제어를 실행한다.An article carrying facility according to the present disclosure is an article carrying facility including an article carrying vehicle for moving an article along a moving path between a plurality of places to be conveyed, and a control device for controlling the article carrying vehicle. The conveyance vehicle includes a receptacle for accommodating the article and a posture change mechanism for changing the posture of the article, and based on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article transport vehicle in the movement path, The receptacle and the posture change so that an area is a left region and an area on the right side with respect to the receptacle are the right side, and the article protrudes outwardly from the receptacle during the posture change of the article by the posture changing mechanism. A mechanism is constructed, the left side permitting of the projection of the article outwardly from the receiving portion in the left region And a right side allowable section allowed in the right side region and both side allowable sections allowed in both the left side region and the right side region are set during the movement path, and the control device is configured to posture of the article by the posture changing mechanism. In the case of performing the posture change control for changing the posture, the first posture change control for projecting the article in the left side region of the left side region and the right side region in the state where the article transport vehicle is within the left allowable section, And in the state where the article transport vehicle is within the right allowable section, second posture change control for projecting the article to the right region of the left region and the right region, and wherein the article transport vehicle is within the two allowable sections. In a state, the first posture change control, the second posture change control, or an image Jwabang region and executes the third control position change of the article projecting on either side of the ally region.
본 구성에 의하면, 자세 변경 기구에 의해 물품의 자세를 변경하는 경우에, 이동 경로 중에 설정된 좌측 허용 구간, 우측 허용 구간 및 양측 허용 구간에 따라서, 각 허용 구간에서의 물품의 돌출이 허용되고 있는 측의 영역에 물품을 돌출시켜, 물품의 자세 변경을 행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물품의 돌출이 허용되고 있는 영역 이외의 영역으로의 물품의 돌출을 없애고, 또는 물품의 돌출량을 적게 할 수 있다. 그 결과, 자세 변경 중의 물품이 간섭 대상물에 간섭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은 허용 구간을 이동 경로 중에 설치함으로써, 예를 들면, 물품과 간섭 대상물의 간섭을 회피하기 위해 설비 전체에 있어서 이동 경로의 주위 공간을 넓게 확보할 필요도 없고, 설비의 대형화 억제도 도모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when the posture of the article is changed by the posture changing mechanism, the side on which the protrusion of the article in each permitted section is permitted in accordance with the left allowable section, the right allowable section, and both side allowable sections set during the movement path. The article can be projected to the region of to change the attitude of the article. Thereby, the protrusion of the article to a region other than the region where the protrusion of the article is allowed can be eliminated or the amount of protrusion of the article can be reduced. As a result, the article during the posture change can be suppressed from interfering with the interference object. In addition, by providing such an allowable section in the moving path, it is not necessary to secure a large space around the moving path in the entire facility, for example, in order to avoid interference between the article and the interference object, and to suppress the enlargement of the facility. can do.
본 개시에 관한 기술의 새로운 특징과 이점은, 도면을 참조하여 기술하는 이하의 예시적이면서 비한정적인 실시형태의 설명에 따라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New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technology related to the present disclosure will become more apparent in accordance with the description of the following exemplary and non-limiting embodiment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 물품 반송 설비의 일부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 물품의 이송탑재(移載)의 모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 물품 반송차의 이동 방향에서 볼 때의 도면이다.
[도 4] 물품 반송 설비의 제어 블록도이다.
[도 5] 자세 변경 제어의 설명도이다.
[도 6] 제어 종류를 결정할 때의 순서를 나타내는 플로차트다.
[도 7] 허용 구간의 설명도이다.
[도 8] 자세 변경 제어의 설명도이다.1 is a plan view showing a part of an article carrying facility.
2 is a view showing the shape of the conveyance mounting of the article.
It is a figure when it sees from the moving direction of an article conveyance vehicle.
4 is a control block diagram of an article carrying facility.
5 is an explanatory diagram of the attitude change control.
Fig. 6 is a flowchart showing the procedure when determining the control type.
7 is an explanatory diagram of an allowable section.
It is explanatory drawing of the attitude change control.
1. 제1 실시형태1. First embodiment
물품 반송 설비의 제1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물품 반송 설비(1)는, 복수의 반송 대상 장소(6) 사이에서 이동 경로(R)를 따라 이동하여 물품(W)을 반송하는 물품 반송차(2)와, 상기 물품 반송차(2)를 제어하는 제어 장치(H)(도 4 참조)를 포함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물품 반송 설비(1)는, 복수의 반송 대상 장소(6) 중 반송원으로 되는 반송 대상 장소(6)로부터 반송처로 되는 다른 반송 대상 장소(6)까지 물품(W)을 반송하는 도중에 상기 물품(W)의 자세를 변경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A first embodiment of an article carrying facility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As shown in FIG. 1, the
이하의 설명에서는, 물품 반송차(2)가 이동 경로(R)를 따라 주행하는 방향을 「진행 방향 X」로 하고, 평면에서 볼 때 진행 방향 X에 직교하는 방향을 「폭 방향 Y」로 한다. 또한, 진행 방향 X를 기준으로 하여 좌우를 정의한 것으로 하고, 구체적으로는, 진행 방향 X를 향하여 폭 방향 Y로서의 좌측을 「좌측 Y1」로 하고, 우측을 「우측 Y2」로 한다.In the description below, the direction in which the
1-1. 물품 반송 설비의 기계 구성1-1. Machine Configuration of Goods Conveying Equipment
물품(W)은 물품 반송차(2)에 의해 반송되는 대상이다. 여기에서, 물품(W)은 평면에서 볼 때 비(非)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물품(W)은 예를 들면, 평면에서 볼 때 다각형상, 보다 구체적으로는, 사각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사각형상에는, 엄밀하게는 사각형이 아니어도, 전체로서 보면 사각형으로 간주할 수 있는 형상도 포함한다. 또한, 다각형상의 일부의 변이 원호 등의 곡선으로 형성된 평면에서 볼 때의 형상을 가지고 있어도 된다. 예를 들면, 물품(W)의 평면에서 볼 때의 형상은 D형이어도 된다. 이하, 「형」이라는 표현을 사용하여 사물 등의 형상을 설명하는 경우에는, 이것과 동일한 취지이다. 또한, 물품(W)의 입체적 형상에 관해서는, 여기서는, 기둥형체로 되어 있다. 물품(W)은 예를 들면 내용물이 수납되는 용기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물품(W)은, 반도체 기판이 수납되는 용기이다. 본 예에서는, 물품(W)은 직육면체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복수 개의 반도체 기판을 복수 단으로 나누어 수납 가능하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물품(W)의 상면 및 바닥면은 막힌 상태이다. 또한, 물품(W)의 상면에는, 물품(W)의 반송 시에 물품 반송차(2)에 의해 파지되기 위한 플랜지부(Wa)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물품(W)의 4개의 측면 중 한 면에는, 반도체 기판을 출납하기 위한 개구부(Wb)가 형성되어 있다(도 2 등 참조). 물품(W)의 나머지 3개의 측면은 막힌 상태이다.The article W is the object conveyed by the
반송 대상 장소(6)는 물품(W)의 반송원으로 되는 장소이고, 또는, 물품(W)의 반송처로 되는 장소이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반송 대상 장소(6)는, 물품 반송 설비(1) 내의 복수 개소에 형성되어 있다[도 1에서는 물품 반송 설비(1)의 일부를 나타내고 있음]. 반송 대상 장소(6)에서는, 예를 들면 물품(W)의 처리가 행해진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1 및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반송 대상 장소(6)에는, 반도체 기판에 대한 처리를 행하는 처리 장치(6a)와 물품 반송차(2) 사이에서의 물품(W)의 수수(授受)를 위한 수수부(6b)가 포함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수수부(6b)에는, 처리 장치(6a)에 대하여 개구부(Wb)를 대향시킨 상태의 물품(W)이 반송된다. 또한, 물품(W)에 수납된 반도체 기판이, 처리 장치(6a)가 구비하는 취출 장치 등에 의해 개구부(Wb)로부터 취출된다. 그리고, 반도체 기판은 처리 장치(6a)에 의해 처리된다. 이와 같이 처리 장치(6a)에 의해 반도체 기판을 처리하기 위하여, 물품(W)은, 개구부(Wb)가 처리 장치(6a)에 대하여 대향하는 적절한 자세로 된 후에, 물품 반송차(2)에 의해 수수부(6b)에 반송된다.The
이동 경로(R)는, 물품 반송 설비(1)에 있어서 물품 반송차(2)가 이동하는 경로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동 경로(R)는 복수의 반송 대상 장소(6)를 경유하고 있다. 이동 경로(R)는 예를 들면, 바닥면 상에 설치되거나, 또는, 바닥면으로부터 상방으로 거리를 둔 위치에 설치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이동 경로(R)는 천장(99)으로부터 매달아 지지된 레일(98)에 의해 정해져 있다(도 2 및 도 3 참조).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레일(98)은 복수의 수수부(6b)를 경유하는 경로를 따라 설치되어 있고, 복수의 수수부(6b)의 각각과 평면에서 볼 때 중복되도록 배치되어 있다.The movement path R is a path | route in which the
본 실시형태에서는, 물품 반송차(2)는 이동 경로(R) 내에서의 상기 물품 반송차(2)의 현재 위치를 검출하는 위치 검출 센서(도시하지 않음)를 구비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이동 경로(R)에는, 복수의 위치 정보 기억부(도시하지 않음)가 분산되어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위치 정보 기억부는 이동 경로(R)를 구획한 복수의 영역의 각각에 할당되어 있다. 또한, 복수의 위치 정보 기억부의 각각은, 이동 경로(R) 내에서 각각이 배치되어 있는 위치의 정보를 기억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위치 검출 센서는, 이동 경로(R) 내에 배치된 복수의 위치 정보 기억부의 각각에 기억된 위치 정보를 판독함으로써, 이동 경로(R) 내에서의 물품 반송차(2)의 현재 위치를 검출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예를 들면, 위치 정보 기억부로서는 바코드가 표시된 플레이트 등이어도 되고, 그 경우의 위치 검출 센서는 바코드 리더로 된다.In this embodiment, the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물품 반송차(2)는, 이동 경로(R)를 주행하기 위한 주행부(21)와, 물품(W)을 수용하는 수용부(22a)를 가지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주행부(21)는 레일(98)의 위쪽에 위치하고 있다. 주행부(21)는 모터 등의 구동 수단에 의해 구동되어 이동 경로(R)를 따라 주행한다. 여기서는, 주행부(21)는, 주행용 모터(21M)에 의해 구동되어 수평축 주위에 회전하고, 또한 레일(98)의 상면을 진행 방향 X를 따라 전동하는 주행륜(21a)을 가지고 있다. 주행륜(21a)이 레일(98)의 상면을 전동하는 것에 의해, 주행부(21)가 이동 경로(R)를 따라 주행 가능해지고 있다.As shown to FIG. 2 and FIG. 3, the
본 실시형태에서는, 수용부(22a)는 주행부(21)에 매달아 지지되어 레일(98)의 하측에 위치하는 본체부(22)에 형성되어 있다. 도시한 예에서는, 본체부(22)는, 수용부(22a)를 진행 방향 X의 양측에서 덮는 커버부(22b)를 가지고 있고[도 2 및 도 3에서는 커버부(22b)의 일부를 절결하여 나타내고 있음], 수용부(22a)는 커버부(22b)에 덮히는 공간으로 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커버부(22b)는 진행 방향 X에서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대향면(22f)을 가지고 있고, 수용부(22a)는 한 쌍의 대향면(22f) 사이의 공간으로 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커버부(22b)는 폭 방향 Y의 양측 및 하방이 개방된 형상으로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커버부(22b)는 폭 방향 Y로부터 볼 때 네모진 역U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러므로, 수용부(22a)는 폭 방향 Y의 양측 및 하측에서, 상기 수용부(22a)의 외측과 연통하고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물품 반송차(2)는 반송 대상 장소(6)와의 사이에서 물품(W)을 이송탑재하는 이송탑재 기구(3)를 가지고 있다. 도시한 예에서는, 이송탑재 기구(3)는, 처리 장치(6a)에 인접하여 설치된 수수부(6b)와 수용부(22a) 사이에서 물품(W)을 이송탑재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본 예에서는, 이송탑재 기구(3)는, 물품(W)을 파지하는 파지 기구(3G)와 물품(W)을 승강시키는 승강 기구(3H)를 구비하고 있다.As shown in FIG.2 and FIG.3, in this embodiment, the
본 실시형태에서는, 파지 기구(3G)는 물품(W)을 상방으로부터 파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는, 파지 기구(3G)는, 파지부(3Ga)에 설치된 파지용 모터(3GM)(도 4 참조)와, 파지용 모터(3GM)에 의해 구동되어 파지 자세와 해제 자세 사이에서 전환 가능한 한 쌍의 파지 클로우(3Gb)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한 쌍의 파지 클로우(3Gb)는 서로 접근하는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파지 자세로 되고, 서로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해제 자세로 된다. 한 쌍의 파지 클로우(3Gb)는, 파지 자세로 물품(W)의 플랜지부(Wa)를 파지하고, 플랜지부(Wa)를 파지한 상태로부터 해제 자세로 됨으로써, 플랜지부(Wa)의 파지를 해제한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본 실시형태에서는, 승강 기구(3H)는 파지부(Ga)를 승강시킴으로써 상기 파지부(Ga)에 파지된 물품(W)을 승강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는, 승강 기구(3H)는, 수용부(22a)[커버부(22b)]가 배치되는 높이로부터, 적어도 수수부(6b)가 배치되는 높이까지의 사이에서, 물품(W)을 승강시킨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승강 기구(3H)는, 승강용 모터(3HM)에 의해 구동되는 승강용 풀리(3Hc)와, 승강용 드럼(3Hd)과, 파지부(Ga)에 연결되면서 또한 승강용 드럼(3Hd)에 권회되는 승강용 벨트(3Hb)와, 승강용 모터(3HM)와 승강용 풀리(3Hc)와 승강용 드럼(3Hd)과 승강용 벨트(3Hb)를 구비하는 승강부(3Ha)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승강 기구(3H)는 승강용 모터(3HM)에 의해 승강용 풀리(3Hc)를 구동시킴으로써, 승강용 벨트(3Hb)를 승강용 드럼(3Hd)에 감거나 또는 풀어내어, 파지부(Ga)와 함께 물품(W)을 승강시킨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이상 설명한 구성에 의해, 본 실시형태에 관한 물품 반송차(2)는, 반송 대상 장소(6)에서 물품(W)을 이송탑재 가능하고, 반송원으로 되는 반송 대상 장소(6)로부터 반송처로 되는 반송 대상 장소(6)까지 물품(W)을 반송 가능하게 되어 있다.By the structure demonstrated above, the
여기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물품 반송차(2)는 반송 대상 장소(6)에서 적절한 자세로 되도록 물품(W)을 반송한다. 상세하게는, 물품(W)의 내용물인 반도체 기판을 처리 장치(6a)에 의해 적절하게 처리할 수 있게 하기 위해, 물품(W)은 반송되는 과정에서, 개구부(Wb)가 반송처의 처리 장치(6a)에 대하여 대향하는 적절한 자세로 된다. 그러므로,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물품 반송차(2)는 물품(W)의 자세를 변경하는 자세 변경 기구(4)를 가지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자세 변경 기구(4)는, 개구부(Wb)가 반송처의 처리 장치(6a)에 대하여 대향하는 적절한 자세로 되도록, 물품(W)의 자세 변경을 행한다. 그리고, 반송원의 반송 대상 장소(6)에서 이송탑재가 완료된 후의 물품(W)의 자세가, 이미 반송처의 반송 대상 장소(6)에서의 적절한 자세가 되어 있는 경우에는, 물품 반송차(2)는 자세 변경 기구(4)에 의한 물품(W)의 자세 변경은 행하지 않고, 그대로의 자세로 반송처의 반송 대상 장소(6)에 물품(W)을 반송한다.Here, as mentioned above, the
자세 변경 기구(4)는 물품(W)을 특정한 축 주위에 선회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 물품(W)의 자세를 변경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자세 변경 기구(4)는, 연직 방향 Z를 따르는 선회축(4b) 주위에 물품(W)을 선회시켜 상기 물품(W)의 자세를 변경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는, 자세 변경 기구(4)는, 파지부(Ga)를 연직 방향 Z를 따르는 선회축(4b) 주위에 선회시키는 선회부(4a)를 가지고 있다. 본 예에서는, 선회부(4a)는 승강부(3Ha)를 통하여 파지부(Ga)를 선회시킨다. 선회부(4a)의 내부에는, 연직 방향 Z를 따르는 선회축(4b)과, 상기 선회축(4b)을 구동하는 선회용 모터(4M)가 설치되어 있다. 선회축(4b)은 승강부(3Ha)를 통하여 파지부(Ga)와 연결되어 있고, 선회용 모터(4M)에 구동되어 파지부(Ga)와 함께 회전한다. 이에 의해, 파지부(Ga)에 파지된 물품(W)을 선회축(4b) 주위에 선회시킬 수 있다.The
그리고, 상기 물품 반송차(2)에서는, 자세 변경 기구(4)에 의한 물품(W)의 자세 변경 중에 물품(W)이 수용부(22a)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수용부(22a) 및 자세 변경 기구(4)가 구성되어 있다. 설명을 부가하면, 선회축(4b) 주위에 물품(W)이 선회한 경우의 선회 궤적의 외측 에지(Wc)(도 5 참조)이, 수용부(22a)로부터 외측으로 밀려나오도록 수용부(22a) 및 자세 변경 기구(4)가 구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물품(W)의 선회 궤적의 외측 에지(Wc)는, 평면에서 볼 때의 물품(W)의 최대 폭[본 예에서는 평면에서 볼 때 사각형상의 물품(W)의 대각선]을 직경으로 하는 원형으로 된다. 따라서, 여기서는, 평면에서 볼 때의 물품(W)의 최대 폭이, 수용부(22a)의 폭 방향 Y의 길이보다 커지도록 구성되어 있다.And in the said
도 5의 상측 도면은, 물품(W)의 자세 변경을 행하고 있지 않은 상태를 나타내고, 도 5의 하측 도면은, 물품(W)의 자세 변경을 행하고 있는 상태(후술하는 제1 자세 변경 제어 또는 제2 자세 변경 제어를 실행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여기서는, 수용부(22a)에 대하여 좌측 Y1의 영역을 좌방 영역(A1)으로 하고, 수용부(22a)에 대하여 우측 Y2의 영역을 우방 영역(A2)으로 하고 있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서는, 선회축(4b) 주위의 제1 방향 C1으로 물품(W)을 선회시킨 경우에 물품(W)이 좌방 영역(A1)으로 돌출되고, 선회축(4b) 주위의 제1 방향 C1과는 역방향인 제2 방향 C2로 물품(W)을 선회시킨 경우에 물품(W)이 우방 영역(A2)으로 돌출되도록, 수용부(22a) 및 자세 변경 기구(4)가 구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제1 방향 C1」은, 선회축(4b)을 중심으로 하는 회전 방향에 있어서의 한쪽 방향(도시한 예에서는 반시계 방향)을 가르키고, 「제2 방향 C2」는, 다른 쪽 방향(도시한 예에서는 시계 방향)을 가리킨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물품(W)이 좌방 영역(A1)으로 돌출」이란, 물품(W)이 주로 좌방 영역(A1)으로 돌출되는 것을 가르키고, 물품(W)이 우방 영역(A2)으로 전혀 돌출되지 않는 태양(態樣) 외에,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물품(W)이 좌방 영역(A1)보다 적은 돌출량으로 우방 영역(A2)에도 돌출되는 태양도 포함한다. 마찬가지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물품(W)이 우방 영역(A2)으로 돌출」이란, 물품(W)이 주로 우방 영역(A2)으로 돌출되는 것을 가르키고, 물품(W)이 좌방 영역(A1)에 전혀 돌출되지 않는 태양 외에, 물품(W)이 우방 영역(A2)보다 적은 돌출량으로 좌방 영역(A1)에도 돌출되는 태양도 포함한다.The upper figure of FIG. 5 shows the state which does not change the attitude | position of the article W, and the lower figure of FIG. 5 shows the state which is changing the attitude | position of the article W (1st posture change control or article mentioned later) 2) the state where the posture change control is being executed. Here, the area | region of the left side Y1 is made into the left area | region A1 with respect to the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물품 반송차(2)는, 물품(W)을 폭 방향 Y로 이동시키는 폭 방향 이동 기구를 더 가지고 있다. 여기서는, 폭 방향 이동 기구는, 물품(W)을 폭 방향 Y를 따라 슬라이딩시키는 슬라이드 기구(5)로서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슬라이드 기구(5)는, 커버부(22b)에 장착되어 있고, 슬라이드용 모터(5M)에 의해 구동 또는 종동(從動)되는 한 쌍의 슬라이드용 풀리(5c)와, 한 쌍의 슬라이드용 풀리(5c)의 각각에 권회되는 슬라이드용 벨트(5b)와, 슬라이드용 벨트(5b)에 연결되어 폭 방향 Y로 슬라이드 가능한 슬라이드부(5a)를 가지고 있다. 슬라이드부(5a)는 선회부(4a)와 연결되어 있고, 폭 방향 Y를 따라 슬라이드함으로써, 선회부(4a) 및 승강부(3Ha)를 통하여, 파지부(Ga) 및 파지부(Ga)에 파지된 물품(W)을 폭 방향 Y를 따라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상기 슬라이드 기구(5)에 의해 물품(W)을 폭 방향 Y로 이동시킴으로써, 물품(W)의 이송탑재 시에, 수수부(6b)[반송 대상 장소(6)]에 대한 위치 어긋남을, 폭 방향 Y에 있어서 조정 가능하게 되어 있다.As shown to FIG. 2 and FIG. 3, in this embodiment, the
1-2. 물품 반송 설비의 제어 구성1-2. Control Configuration of Goods Conveying Equipment
다음에, 물품 반송 설비(1)의 제어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물품 반송 설비(1)는 물품 반송차(2)를 제어하는 제어 장치(H)를 포함하고 있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어 장치(H)는, 물품 반송 설비(1) 전체의 제어를 행하는 상위 제어 장치(Hu)와, 물품 반송차(2)의 제어를 행하는 하위 제어 장치(Hd)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상위 제어 장치(Hu)는, 물품 반송 설비(1)의 어딘가의 영역에 배치되어 있다. 하위 제어 장치(Hd)는 물품 반송차(2)에 배치되어 있다. 제어 장치(H)는 마이크로 컴퓨터 등의 프로세서, 메모리 등의 주변 회로 등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이들 하드웨어와, 컴퓨터 등의 프로세서상에서 실행되는 프로그램과의 협동(協動)에 의해, 제어 장치(H)의 각 기능이 실현된다.Next, the control structure of the
상위 제어 장치(Hu)는 하위 제어 장치(Hd)에 대하여, 반송원의 반송 대상 장소(6)로부터 반송처의 반송 대상 장소(6)에 물품(W)을 반송시키는 반송 지령을 출력한다. 반송 지령을 받은 하위 제어 장치(Hd)는, 반송처의 반송 대상 장소(6)를 향하여 물품(W)을 반송하도록 물품 반송차(2)를 제어한다.The higher-order control apparatus Hu outputs the conveyance instruction which conveys the goods W to the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위 제어 장치(Hu)는, 복수의 반송 대상 장소(6)의 각각에 대한 물품(W)이 적정한 자세를 적정 자세 정보(Ja)로서 기억하고 있다. 그리고, 상위 제어 장치(Hu)는 하위 제어 장치(Hd)에 대하여, 반송 지령을 출력하고, 또한 적정 자세 정보(Ja)를 송신한다. 적정 자세 정보(Ja)를 수신한 하위 제어 장치(Hd)는, 반송원의 반송 대상 장소(6)에서의 물품(W)의 자세와, 적정 자세 정보(Ja)에 따른 반송처의 반송 대상 장소(6)에서의 물품(W)의 자세를 비교하여, 물품(W)의 자세 변경이 필요한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하위 제어 장치(Hd)는, 물품(W)의 자세 변경이 필요하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물품(W)의 반송 도중에 물품(W)의 자세를 변경하는 자세 변경 제어를 실행한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host controller Hu stores the posture at which the article W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상기 물품 반송차(2)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물품(W)의 자세 변경을 행하는 경우에, 물품(W)이 수용부(22a)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된다(도 5 참조). 그러므로, 이동 경로(R)를 따라 물품(W)을 반송하고 있는 도중에 물품(W)의 자세 변경을 행하는 경우에는, 이동 경로(R)의 주위에 존재하는 간섭 대상물(97)(도 7 참조)에 물품(W)이 간섭할 가능성이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간섭 대상물(97)이란, 예를 들면 물품 반송 설비(1)가 설치된 시설 내에 설치된 벽이나 기둥 등의 구조물, 반송 대상 장소(6)로 되는 처리 장치(6a), 또는, 다른 물품 반송차(2) 등이다.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와 같은 간섭 대상물(97)은, 이동 경로(R)의 주위의 복수 개소에 분산되어 존재할 가능성이 있고, 물품 반송차(2)의 위치를 기준으로 하면, 좌방 영역(A1) 및 우방 영역(A2)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양쪽에 존재할 가능성이 있다. 그래서, 하위 제어 장치(Hd)는, 물품(W)의 자세를 변경하는 자세 변경 제어로서, 제1 자세 변경 제어와 제2 자세 변경 제어와 제3 자세 변경 제어를 실행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In the
제1 자세 변경 제어에서는, 하위 제어 장치(Hd)는 좌방 영역(A1) 및 우방 영역(A2) 중 좌방 영역(A1)에 물품(W)을 돌출시켜 물품(W)의 자세를 변경한다. 여기에서, 제1 자세 변경 제어의 실행 중에, 우방 영역(A2)에도 물품(W)이 돌출되는 구성이어도 된다. 이 경우에도, 좌방 영역(A1)으로의 물품(W)의 돌출량이 우방 영역(A2)으로의 물품(W)의 돌출량보다 커지도록, 제1 자세 변경 제어가 실행된다. 제1 자세 변경 제어의 실행에 의해, 자세 변경 중인 물품(W)을 주로 좌방 영역(A1)으로 돌출시킬 수 있고, 그 결과, 우방 영역(A2)으로의 물품(W)의 돌출을 없애고 물품(W)의 돌출량을 적게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우방 영역(A2)에 간섭 대상물(97)이 존재하는 경우라도(도 7 참조), 상기 간섭 대상물(97)과 자세 변경 중인 물품(W)이 간섭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In the first posture change control, the lower control device Hd protrudes the article W into the left region A1 of the left region A1 and the right region A2 to change the attitude of the article W. FIG. Here, the structure in which the article W protrudes also in the right side area | region A2 during execution of a 1st attitude change control may be sufficient. Also in this case, the first attitude change control is executed so that the amount of protrusion of the article W into the left region A1 is larger than the amount of protrusion of the article W into the right region A2. By the execution of the first posture change control, the article W in posture change can be mainly projected to the left area A1, and as a result, the projection of the article W to the right area A2 is eliminated and the article ( The amount of protrusion of W) can be reduced. Thereby, even if the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하위 제어 장치(Hd)는 제1 자세 변경 제어로서 물품(W)을 제1 방향 C1로 선회시킴으로써, 물품(W)을 좌방 영역(A1)으로 돌출시키면서 자세 변경을 행한다. 설명을 부가하면, 도 5의 상측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물품(W)은, 자세 변경이 행해지지 않고 있는 기본 자세에 있어서, 개구부(Wb)가 진행 방향 X의 후방 측을 향하게 되어 있다. 그리고, 파지 기구(3G)에 의해 파지되는 플랜지부(Wa)는, 물품(W)의 상면에 있어서의 진행 방향 X를 따른 방향의 중심 위치보다 개구부(Wb)에 가까운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물품(W)은 선회축(4b)의 회전에 의해 상기 플랜지부(Wa)를 중심으로 선회한다. 그러므로,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5의 하측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자세 변경 제어에 의해 물품(W)을 제1 방향 C1로 선회시킬 경우, 물품(W)은, 주로 좌방 영역(A1)으로 돌출된다[도시한 예에서는 우방 영역(A2)으로도 약간 돌출됨].As shown in FIG. 5,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lower control device Hd protrudes the article W to the left region A1 by turning the article W in the first direction C1 as the first posture change control. Change your posture while you make it. In addition, as shown in the upper figure of FIG. 5, in this embodiment, the article W is a basic posture in which the posture change is not performed, and the opening part Wb is rearward of the advancing direction X in this embodiment. It's supposed to face you. And the flange part Wa hold | gripped by the
또한, 제2 자세 변경 제어에서는, 하위 제어 장치(Hd)는, 좌방 영역(A1) 및 우방 영역(A2) 중 우방 영역(A2)에 물품(W)을 돌출시켜 물품(W)의 자세를 변경한다. 여기에서, 제2 자세 변경 제어의 실행 중에, 좌방 영역(A1)으로도 물품(W)이 돌출되는 구성이어도 된다. 이 경우에도, 우방 영역(A2)으로의 물품(W)의 돌출량이 좌방 영역(A1)으로의 물품(W)의 돌출량보다 커지도록, 제2 자세 변경 제어가 실행된다. 제2 자세 변경 제어의 실행에 의해, 자세 변경 중인 물품(W)을 주로 우방 영역(A2)으로 돌출시킬 수 있고, 그 결과, 좌방 영역(A1)으로의 물품(W)의 돌출을 없애거나 또는 물품(W)의 돌출량을 적게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좌방 영역(A1)에 간섭 대상물(97)이 존재하는 경우라도(도 7 참조), 상기 간섭 대상물(97)과 자세 변경 중인 물품(W)이 간섭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In the second posture change control, the lower control device Hd protrudes the article W into the right region A2 of the left region A1 and the right region A2 to change the attitude of the article W. do. Here, the structure in which the article W protrudes also to the left area | region A1 during execution of a 2nd attitude change control may be sufficient. Also in this case, the second attitude change control is executed so that the amount of protrusion of the article W into the right region A2 is larger than the amount of protrusion of the article W into the left region A1. By executing the second posture change control, the article W in posture change can be mainly projected to the right area A2, and as a result, the projection of the article W to the left area A1 is eliminated or The amount of protrusion of the article W can be reduced. Thereby, even if the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하위 제어 장치(Hd)는, 제2 자세 변경 제어로서 물품(W)을 제2 방향 C2로 선회시킴으로써, 물품(W)을 우방 영역(A2)으로 돌출시키면서 자세 변경을 행한다. 설명을 부가하면, 전술한 바와 같이, 파지 기구(3G)에 의해 파지되는 플랜지부(Wa)는, 물품(W)의 상면에 있어서의 진행 방향 X를 따른 방향의 중심 위치보다 개구부(Wb)에 가까운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물품(W)은, 자세 변경이 행해지고 있지 않은 기본 자세에서, 개구부(Wb)가 진행 방향 X의 반대 측을 향하게 되어 있다(도 5의 상측 도면 참조). 그러므로,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5의 하측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자세 변경 제어에 의해 물품(W)을 제2 방향 C2로 선회시키는 경우, 물품(W)은 주로 우방 영역(A2)으로 돌출된다[도시한 예에서는 좌방 영역(A1)으로도 약간 돌출됨].As shown in FIG. 5,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lower control device Hd turns the article W in the second direction C2 as the second posture change control, thereby moving the article W to the right region A2. The posture is changed while protruding. As described above, as described above, the flange portion Wa gripped by the
또한, 제3 자세 변경 제어에서는, 하위 제어 장치(Hd)는 좌방 영역(A1) 및 우방 영역(A2)의 양쪽에 물품(W)을 돌출시켜 물품(W)의 자세를 변경한다. 제3 자세 변경 제어에서, 제1 방향 C1 및 제2 방향 C2 중 어떠한 방향으로 물품(W)을 선회시켜도 된다. 또한, 제3 자세 변경 제어를 실행하는 경우에서의, 좌방 영역(A1)으로의 물품(W)의 돌출량과 우방 영역(A2)으로의 물품(W)의 돌출량이 상이해도 되고, 동일해도 된다. 예를 들면, 물품(W)을 제1 방향 C1 및 제2 방향 C2 중 어느 한 방향으로 270° 선회시키는 경우 등, 물품(W)을 선회축(4b) 주위에 180° 이상 선회시키는 경우에는, 자세 변경 중에 물품(W)이 좌방 영역(A1)과 우방 영역(A2)의 양쪽으로 돌출되는 경우가 있다. 선회부(4a)의 선회 가능한 방향이 일방향만인 경우 등에는, 이와 같은 물품(W)을 선회축(4b) 주위에 180° 이상 선회시키는 구성으로 되는 경우가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이와 같은 자세 변경 제어가 제3 자세 변경 제어에 해당한다.In the third attitude change control, the lower control device Hd protrudes the article W in both the left region A1 and the right region A2 to change the attitude of the article W. FIG. In the third attitude change control, the article W may be rotated in any of the first direction C1 and the second direction C2. In addition, the amount of protrusion of the article W into the left region A1 and the amount of protrusion of the article W into the right region A2 may be different or the same when the third posture change control is executed. . For example, when the article W is rotated 180 degrees or more around the
하위 제어 장치(Hd)는 자세 변경 제어를 실행하기 전에, 실행할 제어 종류를 결정한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하위 제어 장치(Hd)는 제1 자세 변경 제어, 제2 자세 변경 제어 및 제3 자세 변경 제어의 3개의 제어 종류 중에서, 실행할 제어 종류를 결정하는 제어 종류 결정부(Hd1)를 가지고 있다.The lower control device Hd determines the type of control to be executed before executing the attitude change control. As shown in FIG. 4,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lower control device Hd determines a control type to be executed among three control types of the first posture change control, the second posture change control, and the third posture change control. It has a type determination part Hd1.
제어 종류 결정부(Hd1)에 의해 제어 종류를 결정하는 순서에 대하여, 도 6의 플로차트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제어 종류 결정부(Hd1)는, 상위 제어 장치(Hu)로부터 반송 지령 및 적정 자세 정보(Ja)를 취득한다(S11, S12). 이에 의해, 반송처의 반송 대상 장소(6)와, 상기 반송 대상 장소(6)에서의 물품(W)의 적정 자세를 파악한다. 그리고, 반송처의 반송 대상 장소(6)에서의 물품(W)의 적정 자세에 기초하여, 물품(W)을 선회시켜야 할 선회 방향을 제1 방향 C1 및 제2 방향 C2 중에서 결정한다(S13). 구체적으로는, 반송처의 반송 대상 장소(6)에서의 물품(W)의 적정 자세가, 개구부(Wb)가 우측 Y2를 향하는 자세인 경우에는, 물품(W)의 선회 방향을 제1 방향 C1로 결정하고, 개구부(Wb)가 좌측 Y1을 향하는 자세인 경우에는, 제2 방향 C2로 결정한다(도 5도 참조). 바꾸어 말하면, 도 5의 상측 도면에 나타낸 기본 자세로부터 반송처의 반송 대상 장소(6)에서의 적정 자세로 물품(W)의 자세를 변경하기 위한 최소의 선회량으로 되는 선회 방향을 제1 방향 C1 및 제2 방향 C2 중에서 결정한다. 그리고, 제어 종류 결정부(Hd1)는, 결정한 선회 방향을 따라 자세 변경 제어의 종류를 결정한다(S14). 본 실시형태에서는, 물품(W)의 선회 방향을 제1 방향 C1로 결정한 경우에는, 제어 종류로서 제1 자세 변경 제어를 행하는 것을 결정한다. 그리고, 물품(W)의 선회 방향을 제2 방향 C2로 결정한 경우에는, 제어 종류로서 제2 자세 변경 제어를 행하는 것을 결정한다.The procedure of determining the control type by the control type determination unit Hd1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flowchart of FIG. 6. First, the control type determination part Hd1 acquires a conveyance instruction | command and appropriate posture information Ja from the host control apparatus Hu (S11, S12). Thereby, the appropriate posture of the
상기 물품 반송 설비(1)에서는, 예를 들면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용부(22a)로부터 외측으로의 물품(W)의 돌출을 허용하는 허용 구간(SA)이, 이동 경로(R) 중에 복수 설정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수용부(22a)로부터 외측으로의 물품(W)의 돌출을, 좌방 영역(A1)에서 허용하는 좌측 허용 구간(SA1)과, 우방 영역(A2)에서 허용하는 우측 허용 구간(SA2)과, 좌방 영역(A1) 및 우방 영역(A2)의 양쪽에서 허용하는 양측 허용 구간(SA3)이 이동 경로(R) 중에 설정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이들 허용 구간(SA)과는 별도로, 수용부(22a)로부터 외측으로의 물품(W)의 돌출을 좌방 영역(A1) 및 우방 영역(A2)의 양쪽에서 금지하는 금지 구간(SR)이 설정되어 있다. 그리고, 여기서의 이동 경로(R)란, 물품 반송 설비(1) 전체에 있어서의 물품 반송차(2)가 이동 가능한 경로를 말하고, 각 반송 지령에 기초하는 반송원의 반송 대상 장소(6)로부터 반송처의 반송 대상 장소(6)까지의 경로에는 한정되지 않는다.In the said
당연한 것이지만, 반송원의 반송 대상 장소(6)로부터 반송처의 반송 대상 장소(6)까지의 경로에 따라서는, 도중에 허용 구간(SA)이 하나밖에 존재하지 않는 경우나, 전혀 존재하지 않는 경우도 있을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자세 변경 제어를 실행하는 것이 결정되어 있지만, 반송원의 반송 대상 장소(6)로부터 반송처의 반송 대상 장소(6)까지의 경로에 좌측 허용 구간(SA1)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하위 제어 장치(Hd)는, 물품 반송차(2)의 경로를 좌측 허용 구간(SA1)이 존재하는 경로로 변경하여 좌측 허용 구간(SA1)으로 자세 변경을 행하거나, 또는, 반송원이나 반송처의 반송 대상 장소(6)에서 자세 변경이 가능한 경우에는 상기 반송 대상 장소(6)에서 자세 변경을 행한다. 마찬가지로, 제2 자세 변경 제어를 실행하는 것이 결정되어 있지만, 반송원의 반송 대상 장소(6)로부터 반송처의 반송 대상 장소(6)까지의 경로에 우측 허용 구간(SA2)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하위 제어 장치(Hd)는, 물품 반송차(2)의 경로를 우측 허용 구간(SA2)이 존재하는 경로로 변경하여 우측 허용 구간(SA2)에서 자세 변경을 행하거나, 또는, 반송원이나 반송처의 반송 대상 장소(6)에서 자세 변경이 가능한 경우에는 상기 반송 대상 장소(6)에서 자세 변경을 행한다.As a matter of course, depending on the route from the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좌측 허용 구간(SA1)은 좌방 영역(A1)에 간섭 대상물(97)이 존재하지 않고, 또한 우방 영역(A2)에 간섭 대상물(97)이 존재하는 구간이다. 우측 허용 구간(SA2)은 우방 영역(A2)에 간섭 대상물(97)이 존재하지 않고, 또한 좌방 영역(A1)에 간섭 대상물(97)이 존재하는 구간이다. 양측 허용 구간(SA3)은 좌방 영역(A1) 및 우방 영역(A2)의 양쪽에 간섭 대상물(97)이 존재하지 않는 구간이다. 그리고, 금지 구간(SR)은 좌방 영역(A1) 및 우방 영역(A2)의 양쪽에 간섭 대상물(97)이 존재하는 구간이다.As shown in FIG. 7, the left allowable section SA1 is a section in which the
여기에서, 전술한 「좌방 영역(A1)에 간섭 대상물(97)이 존재함」이란, 본 실시형태에서는, 좌방 영역(A1)의 수용부(22a)로부터 좌측 Y1을 향하여 설정 거리 SD까지의 범위 내에, 간섭 대상물(97)이 존재하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좌방 영역(A1)에 간섭 대상물(97)이 존재하고 있어도, 수용부(22a)로부터 상기 간섭 대상물(97)까지의 거리가 설정 거리 SD보다 큰 경우에는, 허용 구간(SA)을 설정하는 데에는, 「좌방 영역(A1)에 간섭 대상물(97)이 존재하지 않는」것으로 한다.Here, the above-mentioned "the
또한, 마찬가지로, 전술한 「우방 영역(A2)에 간섭 대상물(97)이 존재함」이란, 본 실시형태에서는, 우방 영역(A2)의 수용부(22a)로부터 우측 Y2를 향하여 설정 거리 SD까지의 범위 내에, 간섭 대상물(97)이 존재하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우방 영역(A2)에 간섭 대상물(97)이 존재하고 있어도, 수용부(22a)로부터 상기 간섭 대상물(97)까지의 거리가 설정 거리 SD보다 큰 경우에는, 허용 구간(SA)를 설정하는 데에는, 「우방 영역(A2)에 간섭 대상물(97)이 존재하지 않는」것으로 한다.In addition, similarly, the "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서는, 「설정 거리 SD」는, 수용부(22a)에 있어서의 폭 방향 Y의 양단부의 각각을 기준으로 설정된다. 다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설정 거리 SD」는 물품 반송차(2)의 각 부분, 또는, 이동 경로(R)[레일(98)]를 기준으로 설정되어도 된다. 그리고, 상기의 어느 것을 기준으로 하여 설정하는 경우라도, 「설정 거리 SD」는 물품(W), 수용부(22a) 및 자세 변경 기구(4)의 구성에 따라서 결정되는, 수용부(22a)로부터 외측으로의 물품(W)의 돌출량에 따라서, 적절한 값으로 설정하면 된다.And in this embodiment, "setting distance SD" is set based on each of the both ends of the width direction Y in the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하위 제어 장치(Hd)는 이동 경로(R) 중에 설정된 좌측 허용 구간(SA1), 우측 허용 구간(SA2) 및 양측 허용 구간(SA3)을 기억한 기억부(Hd2)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기억부(Hd2)는 이동 경로(R) 중의 금지 구간(SR)도 기억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기억부(Hd2)에는, 물품 반송 설비(1)의 전체의 이동 경로(R)와, 이 이동 경로(R) 상의 위치에 관련지어 설정된, 좌측 허용 구간(SA1), 우측 허용 구간(SA2), 양측 허용 구간(SA3) 및 금지 구간(SR)의 각 구간 정보를 가지는 구간 맵이 기억되어 있다. 그리고, 하위 제어 장치(Hd)는, 기억부(Hd2)에 기억된 각 허용 구간(SA)의 설정 정보에 기초하여, 자세 변경 제어를 실행한다. 본 예에서는, 하위 제어 장치(Hd)는, 기억부(Hd2)에 기억된 금지 구간(SR)의 설정 정보에도 더 기초하여, 자세 변경 제어를 실행한다.As shown in FIG. 4,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lower control device Hd stores the left allowable section SA1, the right allowable section SA2, and the two allowable section SA3 set in the movement path R. FIG. The part Hd2 is provided. In addition, the storage unit Hd2 also stores the prohibited section SR in the movement path R. FIG. Specifically, in the storage unit Hd2, the left allowable section SA1 and the right allowable section, which are set in association with the entire movement path R of the
하위 제어 장치(Hd)는 자세 변경 제어를 실행하는 경우에, 물품 반송차(2)가 좌측 허용 구간(SA1) 내에 있는 상태에서는, 좌방 영역(A1) 및 우방 영역(A2) 중 좌방 영역(A1)으로 물품(W)을 돌출시키는 제1 자세 변경 제어를 실행하고, 물품 반송차(2)가 우측 허용 구간(SA2) 내에 있는 상태에서는, 좌방 영역(A1) 및 우방 영역(A2) 중 우방 영역(A2)으로 물품(W)을 돌출시키는 제2 자세 변경 제어를 실행하고, 물품 반송차(2)가 양측 허용 구간(SA3) 내에 있는 상태에서는, 제1 자세 변경 제어, 제2 자세 변경 제어, 또는 제3 자세 변경 제어를 실행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하위 제어 장치(Hd)는, 물품 반송차(2)가 금지 구간(SR) 내에 있는 상태에서는, 제1 자세 변경 제어, 제2 자세 변경 제어 및 제3 자세 변경 제어 중 어느 것도 실행하지 않는다.When the lower control device Hd performs the attitude change control, in a state where the
2. 제2 실시형태2. Second Embodiment
다음에, 물품 반송 설비(1)의 제2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의 제1 실시형태에서는, 자세 변경 제어에 있어서 슬라이드 기구(5)에 의한 물품(W)의 폭 방향 Y의 슬라이드 이동을 행하지 않고, 물품(W)을 선회축(4b) 주위에 선회시키는 것만으로 자세 변경을 행하는 구성의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한편, 본 실시형태에서는, 자세 변경 제어에 있어서 슬라이드 기구(5)에 의한 물품(W)의 폭 방향 Y의 슬라이드 이동을 행한다. 이에 의해, 본 실시형태에서는, 물품(W)의 선회 방향으로 제약되지 않고 제1 자세 변경 제어 및 제2 자세 변경 제어를 실행할 수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하, 본 실시형태에 대하여, 상기의 제1 실시형태와는 상이한 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특별히 설명하지 않는 점에 대해서는, 상기의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하다.Next, a second embodiment of the
본 실시형태에서는, 하위 제어 장치(Hd)는 제1 자세 변경 제어를 실행하는 경우에, 슬라이드 기구(5)에 의해 좌방 영역(A1) 측(좌측 Y1)으로 물품(W)을 이동시키고, 제2 자세 변경 제어를 실행하는 경우에, 슬라이드 기구(5)에 의해 우방 영역(A2) 측(우측 Y2)으로 물품(W)을 이동시킨다. 즉, 제1 자세 변경 제어에서는, 수용부(22a)의 폭 방향 Y에 있어서의 중앙 위치보다 좌방 영역(A1) 측(좌측 Y1)으로 물품(W)을 이동시킨 상태에서, 물품(W)을 선회축(4b) 주위에 선회시킨다. 이에 의해, 제1 자세 변경 제어를 실행하는 경우에는, 자세 변경 중인 물품(W)을 수용부(22a)로부터 좌방 영역(A1) 측으로 돌출시키고, 수용부(22a)로부터 우방 영역(A2) 측으로 물품(W)이 돌출되지 않거나, 또는 돌출되는 경우라도 그 돌출량을 적게 할 수 있다. 또한, 제2 자세 변경 제어에서는, 수용부(22a)의 폭 방향 Y에 있어서의 중앙 위치보다 우방 영역(A2) 측(우측 Y2)으로 물품(W)을 이동시킨 상태에서, 물품(W)을 선회축(4b) 주위에 선회시킨다. 이에 의해, 제2 자세 변경 제어를 실행하는 경우에는, 자세 변경 중인 물품(W)을 수용부(22a)로부터 우방 영역(A2) 측으로 돌출시키고, 수용부(22a)로부터 좌방 영역(A1) 측으로 물품(W)이 돌출되지 않거나, 또는 돌출되는 경우라도 그 돌출량을 적게 할 수 있다. 제1 자세 변경 제어 및 제2 자세 변경 제어에서의 물품(W)의 선회 방향은, 제1 방향 C1 및 제2 방향 C2의 어느 것이어도 된다. 그리고, 하위 제어 장치(Hd)는, 물품 반송차(2)가 좌측 허용 구간(SA1) 내에 있는 상태에서는, 물품(W)의 선회 방향에 관계없이 제1 자세 변경 제어를 실행하고, 물품 반송차(2)가 우측 허용 구간(SA2) 내에 있는 상태에서는, 물품(W)의 선회 방향에 관계없이 제2 자세 변경 제어를 실행한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lower control device Hd moves the article W to the left region A1 side (left Y1) by the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1 자세 변경 제어를 실행하는 경우에, 자세 변경 중에 물품(W)이 수용부(22a)로부터 우방 영역(A2)으로 돌출되지 않도록(돌출량이 제로로 되도록), 슬라이드 기구(5)에 의한 폭 방향 Y의 이동량을 제어한다. 그리고, 제2 자세 변경 제어를 실행하는 경우에, 자세 변경 중에 물품(W)이 수용부(22a)로부터 좌방 영역(A1)으로 돌출되지 않도록(돌출량이 제로로 되도록), 슬라이드 기구(5)에 의한 슬라이드량을 제어한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서는, 선회축(4b)이 수용부(22a)의 폭 방향 Y에 있어서의 중앙 위치에 있는 상태를 기준 상태로 하고, 상기 중앙 위치를 기준 위치로서 설명한다. 구체적으로는,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위 제어 장치(Hd)는 제1 자세 변경 제어를 실행하는 경우에, 선회축(4b) 주위의 물품(W)의 선회 궤적의 외측 에지(Wc)가 수용부(22a)와 우방 영역(A2)의 경계부(B)를 통하는 위치로 되도록, 슬라이드 기구(5)(도 3 등 참조)에 의해 물품(W)을 폭 방향 Y로 이동시킨다. 이에 의해, 제1 자세 변경 제어의 실행에, 물품(W)이 수용부(22a)로부터 우방 영역(A2)의 측으로 돌출되지 않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우방 영역(A2)에 존재하는 간섭 대상물(97)과 물품(W)이 간섭하는 것을 확실성 높게 방지할 수 있다. 도시한 예에서는, 하위 제어 장치(Hd)는 제1 자세 변경 제어를 실행하는 경우에, 슬라이드 기구(5)에 의해, 폭 방향 Y에 있어서의 좌측 Y1로 선회축(4b)을 이동시킨다. 구체적으로는, 선회축(4b)이 기준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물품(W)을 선회시켰다고 가정한 경우의 우방 영역(A2)으로의 물품(W)의 최대 돌출량에 상당하는 거리만큼, 선회축(4b)을 기준 위치에 대하여 좌측 Y1로 이동시킨다. 이 때의 선회축(4b)의 이동량은, 물품(W)의 크기나 형상, 물품(W)의 선회 방향, 수용부(22a)의 크기나 형상 및 자세 변경 기구(4)의 구성 등의 관계에서, 적절히 설정되면 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제1 자세 변경 제어를 실행하는 경우에, 물품(W)의 선회 궤적의 외측 에지(Wc)가 경계부(B)보다 좌측 Y1을 통하는 위치로 되도록, 슬라이드 기구(5)에 의한 폭 방향 Y의 이동량을 설정해도 된다. 이 경우, 물품(W)의 선회 방향에 관계없이, 선회축(4b)을 폭 방향 Y로 이동시키는 이동량을 일정하게 할 수 있다. 또는, 크기나 형상이 상이한 복수 종류의 물품(W)을 반송하는 경우에도, 선회축(4b)을 폭 방향 Y로 이동시키는 이동량을 일정하게 할 수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when the first posture change control is executed, the slide mechanism (not to protrude from the
또한, 하위 제어 장치(Hd)는 제2 자세 변경 제어를 실행하는 경우에, 선회축(4b) 주위의 물품(W)의 선회 궤적의 외측 에지(Wc)가 수용부(22a)와 좌방 영역(A1)의 경계부(B)를 통하는 위치로 되도록, 슬라이드 기구(5)에 의해 물품(W)을 폭 방향 Y로 이동시킨다. 이에 의해, 제2 자세 변경 제어의 실행에, 물품(W)이 수용부(22a)로부터 좌방 영역(A1)의 측으로 돌출되지 않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좌방 영역(A1)에 존재하는 간섭 대상물(97)과 물품(W)이 간섭하는 것을 확실성 높게 방지할 수 있다. 도시한 예에서는, 하위 제어 장치(Hd)는 제2 자세 변경 제어를 실행하는 경우에, 슬라이드 기구(5)에 의해, 폭 방향 Y에 있어서의 우측 Y2로 선회축(4b)을 이동시킨다. 구체적으로는, 선회축(4b)이 기준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물품(W)을 선회시켰다고 가정한 경우의 좌방 영역(A1)으로의 물품(W)의 최대 돌출량에 상당하는 거리만큼, 선회축(4b)을 기준 위치에 대하여 우측 Y2로 이동시킨다. 이 제2 자세 변경 제어에서의 선회축(4b)의 이동량의 설정 방법은, 상기 제1 자세 변경 제어와 동일하게 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lower control device Hd executes the second posture change control, the outer edge Wc of the swing trajectory of the article W around the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하위 제어 장치(Hd)는 제3 자세 변경 제어를 실행하는 경우에, 물품(W)을 폭 방향 Y로 이동시키지 않고 선회축(4b) 주위에 선회시켜, 좌방 영역(A1) 및 우방 영역(A2)의 양쪽으로 돌출시킨다. 제3 자세 변경 제어를 실행하는 경우에도, 제1 자세 변경 제어 및 제2 자세 변경 제어를 실행하는 경우와 마찬가지로, 물품(W)을 선회시키는 선회 방향은 제1 방향 C1 및 제2 방향 C2 중 어느 것이어도 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물품(W)의 선회 각도와는 관계없이 제3 자세 변경 제어를 실행한다. 즉, 하위 제어 장치(Hd)는, 물품 반송차(2)가 양측 허용 구간(SA3) 내에 있는 상태에서는, 물품(W)의 선회 방향에 관계없이 제3 자세 변경 제어를 실행한다. 이에 의해, 슬라이드 기구(5)에 의한 물품(W)의 폭 방향 Y로의 이동 동작을 생략할 수 있으므로, 물품(W)의 자세 변경의 개시로부터 완료까지의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도, 물품 반송차(2)가 양측 허용 구간(SA3) 내에 있는 상태에서, 제3 자세 변경 제어가 아니고, 제1 자세 변경 제어 또는 제2 자세 변경 제어를 실행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embodiment, when the lower control device Hd executes the third posture change control, the lower control device Hd is rotated around the
상기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구성에 의하면, 제1 자세 변경 제어 및 제2 자세 변경 제어 중 어느 것이어도, 물품(W)의 선회 방향에 관계없이 실행할 수 있다. 따라서, 반송원의 반송 대상 장소(6)로부터 반송처의 반송 대상 장소(6)까지의 경로 중에, 좌측 허용 구간(SA1)만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하위 제어 장치(Hd)는 원하는 선회 방향으로 제1 자세 변경 제어를 실행하고, 우측 허용 구간(SA2)만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하위 제어 장치(Hd)는 원하는 선회 방향으로 제2 자세 변경 제어를 실행한다. 그리고, 반송원의 반송 대상 장소(6)로부터 반송처의 반송 대상 장소(6)까지의 경로에 따라서는, 도중에 허용 구간(SA)이 전혀 존재하지 않는 경우도 있을 수 있다. 이 경우에는, 하위 제어 장치(Hd)는, 물품 반송차(2)의 경로를 허용 구간(SA)이 존재하는 경로로 변경하여 상기 허용 구간(SA)로 자세 변경을 행하거나, 또는 반송원 또는 반송처의 반송 대상 장소(6)로 자세 변경이 가능한 경우에는 상기 반송 대상 장소(6)로 자세 변경을 행한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embodiment, any of the first posture change control and the second posture change control can be executed regardless of the turning direction of the article W. As shown in FIG. Therefore, when only left permissible section SA1 exists in the path | route from the
3. 기타의 실시형태3. Other Embodiments
다음에, 물품 반송 설비의 기타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Next, another embodiment of the article carrying facility will be described.
(1) 상기의 실시형태에서는, 물품(W)의 플랜지부(Wa)가, 물품(W)의 상면에 있어서의 중심 위치보다 개구부(Wb)에 가까운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이와 같은 예에 한정되지 않고, 플랜지부(Wa)는 물품(W)의 상면에 있어서의 어느 위치에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예를 들면, 플랜지부(Wa)는 물품(W)의 상면에 있어서의 중심 위치에 배치되어 있어도 되고, 상기 중심 위치보다 개구부(Wb)로부터 먼 위치에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1) In said embodiment, the example in which the flange part Wa of the article W is arrange | positioned at the position closer to the opening part Wb rather than the center position in the upper surface of the article W was demonstrated. However, it is not limited to such an example, The flange part Wa may be arrange | positioned in any position in the upper surface of the article W. As shown in FIG. For example, the flange part Wa may be arrange | positioned at the center position in the upper surface of the article W, and may be arrange | positioned in the position farther from the opening part Wb than the said center position.
(2) 상기의 제1 실시형태에서는, 제어 장치(H)는, 제1 자세 변경 제어로서 물품(W)을 제1 방향 C1로 선회시키고, 제2 자세 변경 제어로서 물품(W)을 제2 방향 C2로 선회시키는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이와 같은 예에 한정되지 않고, 물품(W), 수용부(22a) 및 자세 변경 기구(4) 등의 각 조건에 따라서, 자세 변경 제어를 실행할 때의 물품(W)의 선회 방향을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5에서는, 파지 기구(3G)에 의해 파지되는 플랜지부(Wa)가, 물품(W)의 상면에 있어서의 중심 위치보다 개구부(Wb)에 가까운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구성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플랜지부(Wa)가 물품(W)의 상면에 있어서의 중심 위치보다 개구부(Wb)로부터 먼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경우, 제1 자세 변경 제어는 물품(W)을 제2 방향 C2로 선회시켜 좌방 영역(A1)으로 돌출시키도록 실행된다. 반대로, 제2 자세 변경 제어는 물품(W)을 제1 방향 C1로 선회시켜 우방 영역(A2)으로 돌출시키도록 실행된다.(2) In said 1st Embodiment, the control apparatus H turns the article W to 1st direction C1 as 1st attitude change control, and makes the article W 2nd as 2nd attitude change control. An example of turning in the direction C2 has been described. However,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article W at the time of performing the posture change control is set according to the conditions of the article W, the
(3) 상기의 실시형태에서는, 제어 장치(H)는 기억부(Hd2)에 기억된 각 허용 구간(SA)의 설정 정보에 기초하여, 자세 변경 제어를 실행하는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이와 같은 예에 한정되지 않고, 제어 장치(H)는 물품 반송차(2)가 이동 경로(R)를 주행하고 있을 때, 장해물 센서의 검출 정보 등에 기초하여 허용 구간(SA)의 판정을 행하고, 그 판정 결과에 기초하여 어느 하나의 자세 변경 제어를 실행하는 구성이어도 된다.(3) In the above embodiment, the control device H has described an example of performing posture change control based on the setting information of each allowable section SA stored in the storage unit Hd2.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example, and the control device H determines the allowable section SA based on the detection information of the obstacle sensor or the like when the
(4) 상기의 실시형태에서는, 레일(98)[이동 경로(R)]에 대하여 평면에서 볼 때 중복되는 위치에 수수부(6b)[반송 대상 장소(6)]가 배치되고, 물품 반송차(2)는 이 수수부(6b)와의 사이에서 물품(W)을 이송탑재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이와 같은 예에 한정되지 않고, 수수부(6b)는 레일(98)에 대하여 폭 방향 Y로 벗어난 위치에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이 경우, 이송탑재 기구(3)는, 물품(W)을 폭 방향 Y를 따라 이동시켜 레일(98)에 대하여 폭 방향 Y로 돌출되도록 파지 기구(3G) 및 승강 기구(3H)를 이동시키는 이송탑재용 슬라이드 기구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이송탑재용 슬라이드 기구에 의해, 평면에서 볼 때 수수부(6b)와 중복되는 위치에 파지 기구(3G) 및 승강 기구(3H)를 배치하는 것에 의해, 레일(98)에 대하여 폭 방향 Y로 벗어난 위치에 배치된 수수부(6b)와의 사이에서 물품(W)을 이송탑재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리고, 이 경우, 이송탑재용 슬라이드 기구는, 상기 제2 실시형태에서의 자세 변경 제어 시에 물품(W)을 폭 방향 Y로 이동시키는 폭 방향 이동 기구[슬라이드 기구(5)]와 겸용되고 있으면 호적하다.(4) In the above embodiment, the
(5) 상기의 각 실시형태에서는, 하위 제어 장치(Hd)가 제1 자세 변경 제어 및 제2 자세 변경 제어에 더하여, 제3 자세 변경 제어를 실행하는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이와 같은 예에 한정되지 않고, 하위 제어 장치(Hd)는 제3 자세 변경 제어를 실행하지 않고, 자세 변경 제어로서, 제1 자세 변경 제어 및 제2 자세 변경 제어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실행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예를 들면, 상기의 제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자세 변경 제어에 있어서 물품(W)의 폭 방향 Y의 슬라이드 이동을 행하지 않는 구성으로서, 물품(W)이, 선회축(4b) 주위의 선회 중에 수용부(22a)에 대하여 폭 방향 Y의 어느 한쪽밖에 돌출되지 않고, 또한, 물품(W)의 선회 각도가 180° 이하인 경우 등에는, 제3 자세 변경 제어는 존재하지 않는다. 또한, 상기의 제2 실시형태에 있어서, 양측 허용 구간(SA3)에 있어서도 제3 자세 변경 제어가 아니고, 제1 자세 변경 제어 및 제2 자세 변경 제어 중 어느 하나를 실행하도록 구성해도 된다.(5) In each of the above embodiments, the example in which the lower control device Hd executes the third posture change control in addition to the first posture change control and the second posture change control has been described.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example, and the lower controller Hd does not execute the third posture change control and selects and executes any one of the first posture change control and the second posture change control as the posture change control. It may be configured to do so. For example, similarly to the above-described first embodiment, the article W is accommodated during the swing around the
(6) 그리고, 전술한 각 실시형태에서 개시된 구성은 모순이 생기지 않는 한, 다른 실시형태에서 개시된 구성과 조합하여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 외의 구성에 관해서도, 본 명세서에서 개시된 실시형태는 모든 점에서 단순한 예시에 지나지 않는다. 따라서, 본 개시의 취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적절하게 각종 개변을 행할 수 있다.(6) And the structure disclosed by each embodiment mentioned above can also be applied in combination with the structure disclosed by other embodiment, unless a contradiction arises. Regarding other configurations,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re merely examples in all respects. Accordingly,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as appropriat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present disclosure.
4. 상기 실시형태의 개요4. Outline of the Embodiment
이하, 상기에 있어서 설명한 물품 반송 설비의 개요에 대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the outline | summary of the article conveyance facility demonstrated above is demonstrated.
복수의 반송 대상 장소의 사이에서 이동 경로를 따라 이동하여 물품을 반송하는 물품 반송차와, 상기 물품 반송차를 제어하는 제어 장치를 포함한 물품 반송 설비로서, 상기 물품 반송차는 상기 물품을 수용하는 수용부와, 상기 물품의 자세를 변경하는 자세 변경 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이동 경로에서의 상기 물품 반송차의 진행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수용부에 대하여 좌측의 영역을 좌방 영역, 상기 수용부에 대하여 우측의 영역을 우방 영역으로 하고, 상기 자세 변경 기구에 의한 상기 물품의 자세 변경 중에 상기 물품이 상기 수용부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수용부 및 상기 자세 변경 기구가 구성되고, 상기 수용부로부터 외측으로의 상기 물품의 돌출을 상기 좌방 영역에서 허용하는 좌측 허용 구간과, 상기 우방 영역에서 허용하는 우측 허용 구간과, 상기 좌방 영역 및 상기 우방 영역의 양쪽에서 허용하는 양측 허용 구간이 상기 이동 경로 중에 설정되고,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자세 변경 기구에 의해 상기 물품의 자세를 변경하는 자세 변경 제어를 실행하는 경우에, 상기 물품 반송차가 상기 좌측 허용 구간 내에 있는 상태에서는, 상기 좌방 영역 및 상기 우방 영역 중 상기 좌방 영역에 상기 물품을 돌출시키는 제1 자세 변경 제어를 실행하고, 상기 물품 반송차가 상기 우측 허용 구간 내에 있는 상태에서는, 상기 좌방 영역 및 상기 우방 영역 중 상기 우방 영역으로 상기 물품을 돌출시키는 제2 자세 변경 제어를 실행하고, 상기 물품 반송차가 상기 양측 허용 구간 내에 있는 상태에서는, 상기 제1 자세 변경 제어, 상기 제2 자세 변경 제어, 또는, 상기 좌방 영역 및 상기 우방 영역의 양쪽으로 상기 물품을 돌출시키는 제3 자세 변경 제어를 실행한다.An article carrying facility comprising a article carrying vehicle for moving an article along a moving path between a plurality of places to be conveyed, and a control device for controlling the article carrying vehicle, wherein the article carrying vehicle is a receiving portion for accommodating the article. And a posture change mechanism for changing the posture of the article, wherein the region on the left side with respect to the accommodating portion is a left region with respect to the accommodating portion, based on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article transport vehicle in the movement path. The accommodating part and the posture changing mechanism are configured so that the right side region is a right area, and the article protrudes outward from the accommodating part during the posture change of the article by the posture changing mechanism. The left allowable section allowing the projection of the article to the left region and the right region A side permissible section and both side permissible sections allowed by both the left side region and the right side region are set during the movement path, and the control device performs posture change control for changing the posture of the article by the posture changing mechanism. In the case of execution, in the state in which the said goods conveyance vehicle is in the said left tolerance area | region, the 1st attitude change control which protrudes the said goods to the said left area | region of the said left area | region and the right side area | region is performed, and the said goods conveyance truck is the said right side In a state within the allowable section, the second posture change control for projecting the article to the right region among the left region and the right region is executed, and in the state where the article transport vehicle is within the two allowable sections, the first posture Change control, the second posture change control, or the left region and the right region; And it executes the third control position change of the article projecting on either side.
본 구성에 의하면, 자세 변경 기구에 의해 물품의 자세를 변경하는 경우에, 이동 경로 중에 설정된 좌측 허용 구간, 우측 허용 구간 및 양측 허용 구간에 따라서, 각 허용 구간에서의 물품의 돌출이 허용되고 있는 측의 영역으로 물품을 돌출시켜, 물품의 자세 변경을 행하게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물품의 돌출이 허용되고 있는 영역 이외의 영역으로의 물품의 돌출을 없애거나, 또는 물품의 돌출량을 적게 할 수 있다. 그 결과, 자세 변경 중인 물품이 간섭 대상물에 간섭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은 허용 구간을 이동 경로 중에 설치함으로써, 예를 들면, 물품과 간섭 대상물의 간섭을 회피하기 위해 설비 전체에 있어서 이동 경로의 주위 공간을 넓게 확보할 필요도 없고, 설비의 대형화 억제도 도모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when the posture of the article is changed by the posture changing mechanism, the side on which the protrusion of the article in each permitted section is permitted in accordance with the left allowable section, the right allowable section, and both side allowable sections set during the movement path. The article can be projected to the region of to change the attitude of the article. As a result, the projection of the article to a region other than the region where the projection of the article is allowed can be eliminated, or the projection amount of the article can be reduced.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suppress the article in the posture change from interfering with the interference object. In addition, by providing such an allowable section in the moving path, it is not necessary to secure a large space around the moving path in the entire facility, for example, in order to avoid interference between the article and the interference object, and to suppress the enlargement of the facility. can do.
여기에서, 상기 자세 변경 기구는, 연직 방향을 따르는 선회축 주위에 상기 물품을 선회시켜 이 물품의 자세를 변경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선회축 주위의 제1 방향으로 상기 물품을 선회시켰을 경우에 상기 물품이 상기 좌방 영역으로 돌출되고, 상기 선회축 주위의 상기 제1 방향과는 역방향인 제2 방향으로 상기 물품을 선회시켰을 경우에 상기 물품이 상기 우방 영역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수용부 및 상기 자세 변경 기구가 구성되며,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제1 자세 변경 제어로서 상기 물품을 상기 제1 방향으로 선회시키고, 상기 제2 자세 변경 제어로서 상기 물품을 상기 제2 방향으로 선회시키면 호적하다.The posture changing mechanism is configured to change the posture of the article by pivoting the article around a pivotal axis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and when the article is pivoted in a first direction around the pivotal axis. The accommodation portion and the posture changing mechanism such that the article protrudes into the right region when the article protrudes into the left region and the article is pivoted in a second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st direction around the pivot axis. The control apparatus is suitable when the article is pivoted in the first direction as the first posture change control and the article is pivoted in the second direction as the second posture change control.
본 구성에 의하면, 간이한 구성으로 물품의 자세 변경을 행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자세 변경 제어에서는 물품을 제1 방향으로 선회시킴으로써, 이 물품을 좌방 영역으로 돌출시켜 자세 변경시킬 수 있고, 그 결과, 우방 영역으로의 물품의 돌출을 없애거나 또는 물품의 돌출량을 적게 할 수 있다. 또한, 제2 자세 변경 제어에서는, 물품을 제2 방향으로 선회시킴으로써, 이 물품을 우방 영역으로 돌출시켜 자세 변경시킬 수 있고, 그 결과, 좌방 영역으로의 물품의 돌출을 없애거나 또는 물품의 돌출량을 적게 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structure, the attitude | position of an article can be changed with a simple structure. In the first posture change control, by turning the article in the first direction, the article can be protruded to the left region to change the posture. As a result, the protrusion of the article to the right region is eliminated or the amount of protrusion of the article is reduced. You can do less. In the second posture change control, by turning the article in the second direction, the article can be protruded to the right region and the posture can be changed. As a result, the protrusion of the article to the left region is eliminated, or the amount of protrusion of the article. Can be less.
또한, 상기 물품 반송차의 진행 방향으로 직교하는 방향을 폭 방향으로서, 상기 물품 반송차는, 상기 물품을 상기 폭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폭 방향 이동 기구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제1 자세 변경 제어를 실행하는 경우에, 상기 폭 방향 이동 기구에 의해 상기 폭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좌방 영역 측으로 상기 물품을 이동시키고, 상기 제2 자세 변경 제어를 실행하는 경우에, 상기 폭 방향 이동 기구에 의해 상기 폭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우방 영역 측으로 상기 물품을 이동시키면 호적하다.Moreover, as the width direction is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advancing direction of the said goods conveyance vehicle, the said goods conveyance vehicle further comprises the width direction moving mechanism which moves the said article in the said width direction, The said control apparatus is a said 1st attitude | position When the change control is executed, the article is moved by the width direction moving mechanism to the left region side in the width direction, and when the second posture change control is executed, the width direction moving mechanism is used. It is suitable to move the said article to the said right side area side in the said width direction.
본 구성에 의하면, 제1 자세 변경 제어를 행하는 경우에, 물품의 돌출이 허용되고 있는 좌방 영역의 측으로 이 물품을 이동시키기 위해, 우방 영역으로 물품이 돌출될 가능성을 더 적게 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2 자세 변경 제어를 행하는 경우에, 물품의 돌출이 허용되고 있는 우방 영역의 측으로 상기 물품을 이동시키기 위해, 좌방 영역으로 물품이 돌출될 가능성을 더욱 적게 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in the case of performing the first posture change control, in order to move the article to the side of the left region where the projection of the article is allowed, the possibility of the article protruding to the right region can be reduced. Similarly, in the case of performing the second posture change control, in order to move the article to the side of the right region where the projection of the article is allowed, the possibility of the article protruding to the left region can be further reduced.
또한, 상기 자세 변경 기구는, 연직 방향을 따르는 선회축 주위에 상기 물품을 선회시켜 상기 물품의 자세를 변경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제1 자세 변경 제어를 실행하는 경우에, 상기 선회축 주위의 상기 물품의 선회 궤적의 외측 에지가 상기 수용부와 상기 우방 영역의 경계부를 통하는 위치로 되도록, 상기 폭 방향 이동 기구에 의해 상기 물품을 상기 폭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제2 자세 변경 제어를 실행하는 경우에, 상기 선회축 주위의 상기 물품의 선회 궤적의 외측 에지가 상기 수용부와 상기 좌방 영역의 경계부를 통하는 위치로 되도록, 상기 폭 방향 이동 기구에 의해 상기 물품을 상기 폭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호적하다.The posture changing mechanism is configured to change the posture of the article by pivoting the article around a pivot axis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control device turns the pivot when the first posture change control is executed. The article is moved in the width direction by the width direction moving mechanism so that the outer edge of the turning trajectory of the article around the axis is in a position through the boundary between the receiving portion and the right side region, and the second posture change control. In the case of carrying out, the article is moved in the width direction by the width direction moving mechanism such that the outer edge of the turning trajectory of the article around the pivot axis is in a position through the boundary between the accommodation portion and the left region. If it is suitable.
본 구성에 의하면, 제1 자세 변경 제어에서는, 물품의 선회 궤적의 외측 에지가 우방 영역으로 돌출되지 않게 하면서, 물품의 폭 방향의 이동 거리를 최소한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제2 자세 변경 제어에서는, 물품의 선회 궤적의 외측 에지가 좌방 영역으로 돌출되지 않게 하면서, 물품의 폭 방향의 이동 거리를 최소한으로 억제할 수 있다. 이에 의해, 효율적인 자세 변경 제어의 실행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According to this structure, in the 1st attitude change control, the movement distance of the width direction of an article can be suppressed to the minimum, so that the outer edge of the turning trace of an article may not protrude to a right side area | region. In the second posture change control, the movement distance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article can be minimized while the outer edge of the turning trajectory of the article does not protrude to the left region. Thereby, it becomes possible to implement efficient attitude change control.
또한,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이동 경로 중에 설정된 상기 좌측 허용 구간, 상기 우측 허용 구간 및 상기 양측 허용 구간을 기억한 기억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기억부에 기억된 각 허용 구간의 설정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자세 변경 제어를 실행하면 호적하다.The control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storage unit that stores the left allowable section, the right allowable section, and the both allowable sections set in the movement path, and the control device is configured for each allowable section stored in the storage section. It is suitable to execute the posture change control based on the setting information.
본 구성에 의하면, 간이한 제어 구성에 의해 각 허용 구간에 따른 자세 변경 제어를 적절하게 실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According to this structure, it becomes possible to perform suitably the attitude change control according to each allowable section by a simple control structure.
본 개시에 관한 기술은, 복수의 반송 대상 장소의 사이에서 이동 경로를 따라 이동하여 물품을 반송하는 물품 반송차를 포함한 물품 반송 설비에 이용할 수 있다.The technique according to the present disclosure can be used for an article conveying facility including an article conveying vehicle that moves along a moving path between a plurality of conveying destination places and conveys an article.
1 : 물품 반송 설비
2 : 물품 반송차
4 : 자세 변경 기구
4b : 선회축
5 : 슬라이드 기구(폭 방향 이동 기구)
6 : 반송 대상 장소
22a : 수용부
97 : 간섭 대상물
A1 : 좌방 영역
A2 : 우방 영역
B : 경계부
C1 : 제1 방향
C2 : 제2 방향
H : 제어 장치
Hu : 상위 제어 장치
Hd : 하위 제어 장치
Hd2 : 기억부
R : 이동 경로
SA : 허용 구간
SA1 : 좌측 허용 구간
SA2 : 우측 허용 구간
SA3 : 양측 허용 구간
W : 물품
Wb : 개구부
Wc : 물품의 선회 궤적의 외측 에지
X : 진행 방향
Y : 폭 방향
Y1 : 좌측
Y2 : 우측
Z : 연직 방향1: goods conveying equipment
2: goods return vehicle
4: posture change mechanism
4b: pivot axis
5: slide mechanism (width movement mechanism)
6: return destination
22a: receptacle
97: interference object
A1: left area
A2: allies
B: boundary
C1: first direction
C2: second direction
H: control unit
Hu: upper control unit
Hd: lower control unit
Hd2: memory
R: travel path
SA: Permissible section
SA1: left side allowance
SA2: right side allowable section
SA3: Permissible section on both sides
W: Goods
Wb: opening
Wc: outer edge of the turning trajectory of the article
X: direction of travel
Y: width direction
Y1: left
Y2: right
Z: vertical direction
Claims (5)
상기 물품 반송차를 제어하는 제어 장치;
를 포함하고,
상기 물품 반송차는, 상기 물품을 수용하는 수용부와, 상기 물품의 자세를 변경하는 자세 변경 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이동 경로에 있어서의 상기 물품 반송차의 진행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수용부에 대하여 좌측의 영역을 좌방 영역, 상기 수용부에 대하여 우측의 영역을 우방 영역으로 하고,
상기 자세 변경 기구에 의한 상기 물품의 자세 변경 중에 상기 물품이 상기 수용부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수용부 및 상기 자세 변경 기구가 구성되며,
상기 수용부로부터 외측으로의 상기 물품의 돌출을, 상기 좌방 영역에서 허용하는 좌측 허용 구간; 상기 우방 영역에서 허용하는 우측 허용 구간; 및 상기 좌방 영역 및 상기 우방 영역의 양쪽에서 허용하는 양측 허용 구간;이 상기 이동 경로 중에 설정되고,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자세 변경 기구에 의해 상기 물품의 자세를 변경하는 자세 변경 제어를 실행하는 경우에, 상기 물품 반송차가 상기 좌측 허용 구간 내에 있는 상태에서는, 상기 좌방 영역 및 상기 우방 영역 중 상기 좌방 영역에 상기 물품을 돌출시키는 제1 자세 변경 제어를 실행하고, 상기 물품 반송차가 상기 우측 허용 구간 내에 있는 상태에서는, 상기 좌방 영역 및 상기 우방 영역 중 상기 우방 영역에 상기 물품을 돌출시키는 제2 자세 변경 제어를 실행하고, 상기 물품 반송차가 상기 양측 허용 구간 내에 있는 상태에서는, 상기 제1 자세 변경 제어, 상기 제2 자세 변경 제어, 또는, 상기 좌방 영역 및 상기 우방 영역의 양쪽에 상기 물품을 돌출시키는 제3 자세 변경 제어를 실행하는,
물품 반송 설비.An article transport vehicle for moving goods along a moving path between a plurality of destinations; And
A control device for controlling the article transport vehicle;
Including,
The article transport vehicle is provided with a housing portion accommodating the article, and a posture change mechanism for changing the posture of the article,
Based on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said goods conveyance vehicle in the said movement path, the area | region on the left side with respect to the said accommodating part is made into a left area | region, and the area | region to the right side with respect to the said accommodating part is a right area | region,
The accommodation portion and the posture changing mechanism are configured such that the article protrudes outwardly from the accommodation portion during the posture change of the article by the posture changing mechanism,
A left side allowance section which allows projection of the article outwardly from the accommodation section in the left region; A right allowable section allowed in the right side region; And both side allowable sections allowed in both the left side region and the right side region;
When the said control apparatus performs the attitude | position change control which changes the attitude | position of the said article by the said attitude | position change mechanism, in the state in which the said goods conveyance vehicle is in the said left permissible section, the said left side of the said left area | region and the right side area | region A first posture change control for projecting the article into an area, and in a state where the article transport vehicle is within the right allowable section, a second posture change for projecting the article to the right side region of the left side region and the right side region; A control for executing the article and projecting the article to both the first posture change control, the second posture change control, or both the left side region and the right side region in a state where the article transport vehicle is within the two allowable sections; 3 to perform posture change control,
Goods conveying equipment.
상기 자세 변경 기구는, 연직 방향을 따르는 선회축 주위에 상기 물품을 선회시켜 상기 물품의 자세를 변경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선회축 주위의 제1 방향으로 상기 물품을 선회시켰을 경우에 상기 물품이 상기 좌방 영역으로 돌출되고, 상기 선회축 주위의 상기 제1 방향과는 역방향인 제2 방향으로 상기 물품을 선회시켰을 경우에 상기 물품이 상기 우방 영역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수용부 및 상기 자세 변경 기구가 구성되며,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제1 자세 변경 제어로서 상기 물품을 상기 제1 방향으로 선회시켜, 상기 제2 자세 변경 제어로서 상기 물품을 상기 제2 방향으로 선회시키는, 물품 반송 설비.The method of claim 1,
The posture changing mechanism is configured to change the posture of the article by pivoting the article around a pivot axis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The article protrudes into the left region when the article is pivoted in a first direction around the pivot axis, and when the article is pivoted in a second direction which is opposite to the first direction around the pivot axis. The receptacle and the posture change mechanism are configured such that the article protrudes into the right side region,
The said control apparatus turns an article in the said 1st direction as said 1st attitude change control, and makes an article conveyance facility which turns the said article in the 2nd direction as said 2nd attitude change control.
상기 물품 반송차의 진행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을 폭 방향으로 하여,
상기 물품 반송차는, 상기 물품을 상기 폭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폭 방향 이동 기구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제1 자세 변경 제어를 실행하는 경우에, 상기 폭 방향 이동 기구에 의해 상기 폭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좌방 영역 측으로 상기 물품을 이동시키고, 상기 제2 자세 변경 제어를 실행하는 경우에, 상기 폭 방향 이동 기구에 의해 상기 폭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우방 영역 측으로 상기 물품을 이동시키는, 물품 반송 설비.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In the width direction, the direction orthogonal to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article transport vehicle is used.
The article transport vehicle further includes a width direction moving mechanism for moving the article in the width direction,
In the case where the first posture change control is executed, the control device moves the article to the left region side in the width direction by the width direction moving mechanism, and executes the second posture change control. The article carrying facility which moves the article to the said right side area side in the said width direction by the said width direction moving mechanism.
상기 자세 변경 기구는, 연직 방향을 따르는 선회축 주위에 상기 물품을 선회시켜 상기 물품의 자세를 변경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제1 자세 변경 제어를 실행하는 경우에, 상기 선회축 주위의 상기 물품의 선회 궤적의 외측 에지가 상기 수용부와 상기 우방 영역의 경계부를 통하는 위치로 되도록, 상기 폭 방향 이동 기구에 의해 상기 물품을 상기 폭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제2 자세 변경 제어를 실행하는 경우에, 상기 선회축 주위의 상기 물품의 선회 궤적의 외측 에지가 상기 수용부와 상기 좌방 영역의 경계부를 통하는 위치로 되도록, 상기 폭 방향 이동 기구에 의해 상기 물품을 상기 폭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물품 반송 설비.The method of claim 3,
The posture changing mechanism is configured to change the posture of the article by pivoting the article around a pivot axis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The control apparatus moves in the width direction such that when the first posture change control is executed, the outer edge of the swing trajectory of the article around the pivot axis is in a position passing through a boundary between the accommodation portion and the right side region. In the case where the article is moved in the width direction by the mechanism and the second posture change control is executed, the outer edge of the turning trajectory of the article around the pivot axis passes through the boundary between the accommodation portion and the left region. The article carrying facility which moves the said article in the said width direction by the said width direction movement mechanism so that it may become a position.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이동 경로 중에 설정된 상기 좌측 허용 구간, 상기 우측 허용 구간, 및 상기 양측 허용 구간을 기억한 기억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기억부에 기억된 각 허용 구간의 설정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자세 변경 제어를 실행하는, 물품 반송 설비.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control device further includes a storage unit that stores the left allowable section, the right allowable section, and the both allowable section set in the movement path,
The said control apparatus carries out the said attitude | position change control based on the setting information of each allowable section stored in the said storage par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018055282A JP6919610B2 (en) | 2018-03-22 | 2018-03-22 | Goods transport equipment |
JPJP-P-2018-055282 | 2018-03-22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111785A true KR20190111785A (en) | 2019-10-02 |
KR102525864B1 KR102525864B1 (en) | 2023-04-25 |
Family
ID=680264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030045A Active KR102525864B1 (en) | 2018-03-22 | 2019-03-15 | Article transport facility |
Country Status (4)
Country | Link |
---|---|
JP (1) | JP6919610B2 (en) |
KR (1) | KR102525864B1 (en) |
CN (1) | CN110294415B (en) |
TW (1) | TWI772620B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7238733B2 (en) * | 2019-11-07 | 2023-03-14 | 株式会社ダイフク | Goods transport equipment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1187606A (en) * | 1999-12-28 | 2001-07-10 | Murata Mach Ltd | Unmanned carrying vehicle |
KR20120134034A (en) * | 2011-05-31 | 2012-12-11 | 가부시키가이샤 다이후쿠 | Article transport facility |
KR20170076591A (en) * | 2015-12-24 | 2017-07-04 | 가부시키가이샤 다이후쿠 | Article transport facility |
Family Cites Families (1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2053039A (en) * | 2000-08-08 | 2002-02-19 | Toyota Industries Corp | Carrier |
KR100479494B1 (en) * | 2002-09-18 | 2005-03-30 | 삼성전자주식회사 | Board conveyance robot |
US8192137B2 (en) * | 2004-05-03 | 2012-06-05 | Jervis B. Webb Company | Automatic transport loading system and method |
JP2007276958A (en) * | 2006-04-07 | 2007-10-25 | Murata Mach Ltd | Carrier, carrier system, article transferring method between carrier and station |
JP4849331B2 (en) * | 2006-11-14 | 2012-01-11 | 株式会社ダイフク | Goods transport equipment |
JP4321631B2 (en) * | 2007-07-05 | 2009-08-26 | 村田機械株式会社 | Transport system, transport method, and transport vehicle |
CN101569988B (en) * | 2009-04-16 | 2011-06-08 | 上海汉虹精密机械有限公司 | Device for loading and unloading crystal bars |
JP5756032B2 (en) * | 2012-01-24 | 2015-07-29 | 株式会社安川電機 | Robot system |
KR101407417B1 (en) * | 2012-07-24 | 2014-06-18 |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 Overhead hoist tranport |
CN102795442A (en) * | 2012-09-06 | 2012-11-28 |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 Automatic material transporting system |
KR20150130850A (en) * | 2014-05-14 | 2015-11-24 | 삼성전자주식회사 | Overhead Hoist Transfer System and Factory System employing the same |
JP6358142B2 (en) * | 2015-03-26 | 2018-07-18 | 株式会社ダイフク | Goods transport equipment |
CN105666486A (en) * | 2016-04-22 | 2016-06-15 | 广东凯宝机器人科技有限公司 | Multi-axis horizontal joint intelligent robot |
CN107472786B (en) * | 2017-08-08 | 2019-01-18 | 深圳普智联科机器人技术有限公司 | A kind of bilayer AGV vehicle and its driving method and robot transportation system |
-
2018
- 2018-03-22 JP JP2018055282A patent/JP6919610B2/en active Active
-
2019
- 2019-03-07 TW TW108107626A patent/TWI772620B/en active
- 2019-03-15 KR KR1020190030045A patent/KR102525864B1/en active Active
- 2019-03-22 CN CN201910221879.5A patent/CN110294415B/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1187606A (en) * | 1999-12-28 | 2001-07-10 | Murata Mach Ltd | Unmanned carrying vehicle |
KR20120134034A (en) * | 2011-05-31 | 2012-12-11 | 가부시키가이샤 다이후쿠 | Article transport facility |
JP2012253070A (en) | 2011-05-31 | 2012-12-20 | Daifuku Co Ltd | Article conveyance device |
KR20170076591A (en) * | 2015-12-24 | 2017-07-04 | 가부시키가이샤 다이후쿠 | Article transport facility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TWI772620B (en) | 2022-08-01 |
TW201941345A (en) | 2019-10-16 |
CN110294415B (en) | 2022-08-26 |
CN110294415A (en) | 2019-10-01 |
KR102525864B1 (en) | 2023-04-25 |
JP6919610B2 (en) | 2021-08-18 |
JP2019169566A (en) | 2019-10-0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279602B1 (en) | Article transport facility | |
US11530120B2 (en) | Transport vehicle and transport facility | |
JP6314713B2 (en) | Inter-floor transfer equipment | |
KR102463268B1 (en) | Article transport facility and article transport vehicle | |
KR20230004691A (en) | Ceiling transport vehicle and ceiling transport system | |
KR20180123979A (en) | Article transport facility | |
JP6809062B2 (en) | Goods transport equipment | |
JP7238733B2 (en) | Goods transport equipment | |
EP4177187A1 (en) | Transfer device | |
KR20190111785A (en) | Article transport facility | |
TWI829780B (en) | Loading system | |
KR102390054B1 (en) | Container storage facility | |
CN111741911B (en) | Conveying device | |
JP7485149B2 (en) | Trays and conveying equipment | |
JP7323059B2 (en) | carrier system | |
EP4089036A1 (en) | Article storage facility | |
JP7238859B2 (en) | Goods carrier | |
KR102794364B1 (en) | Article transport vehicle | |
US20230322503A1 (en) | Inter-Container Transfer Apparatus and Inter-Container Transfer Method | |
TW202200468A (en) | Article transport vehicl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0315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10802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90315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112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30208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3042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3042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