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90111530A - 조리기기 - Google Patents

조리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11530A
KR20190111530A KR1020180033777A KR20180033777A KR20190111530A KR 20190111530 A KR20190111530 A KR 20190111530A KR 1020180033777 A KR1020180033777 A KR 1020180033777A KR 20180033777 A KR20180033777 A KR 20180033777A KR 20190111530 A KR20190111530 A KR 201901115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bration sensor
cooking vessel
vibration
upper plate
heating modul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Withdrawn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37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두용
김양경
김의성
문현욱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337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111530A/ko
Priority to PCT/KR2019/000433 priority patent/WO2019182238A1/ko
Publication of KR201901115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1530A/ko
Withdrawn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10Induction heating apparatus, other than furna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 H05B6/12Cooking devices
    • H05B6/1209Cooking devices induction cooking plates or the like and devices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m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06Control, e.g. of temperature, of power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06Control, e.g. of temperature, of power
    • H05B6/062Control, e.g. of temperature, of power for cooking plates or the lik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10Induction heating apparatus, other than furna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 H05B6/12Cooking devic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2206/00Aspects relating to 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covered by group H05B6/00
    • H05B2206/02Induction heating
    • H05B2206/022Special supports for the induction coil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2213/00Aspects relating both to resistive heating and to induction heating, covered by H05B3/00 and H05B6/00
    • H05B2213/05Heating plates with pan detection mea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Induction Heating Cook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열모듈이 조리용기가 배치된 위치에 대응하도록 2차원 공간에서 이동 가능한 조리기기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조리용기를 지지하는 상판; 상기 상판 하측에 마련된 공간에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고, 코일을 구비하는 가열모듈; 상기 상판에 구비되어 상기 상판의 진동을 감지하는 진동센서; 및 상기 가열모듈과 상기 진동센서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진동센서로부터의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상판 상의 조리용기의 위치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조리기기 상에 배치된 조리용기의 위치를 정확하게 인식하고, 인식된 위치로 가열모듈을 이동시킬 수 있는 조리기기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조리기기{Cooking appliance}
본 발명은 조리기기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조리용기를 가열하기 위한 가열모듈의 위치를 가변할 수 있는 조리기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조리기기는 가정이나 실내에서 전기 또는 기타 에너지(예를 들어, 가스)를 이용하여 음식을 조리하는 제품들을 의미할 수 있다.
이러한 조리기기 중, 열원으로서 가스를 이용한 조리기기에는 가스 레인지, 가스 오븐 또는 가스 오븐 레인지 등이 있고, 열원으로서 전기를 이용한 조리기기에는 인덕션 레인지, 라디언트 히터를 이용한 전기 레인지, 전자 레인지 등이 있으며, 전기를 이용한 인덕션 레인지와 가스를 이용한 가스 오븐이 결합된 형태의 조리기기도 있다.
특히, 상기 인덕션 레인지는 유도가열(IH, Induction Heating)을 이용하는 조리기기이다. 유도가열은 가열하려는 대상에 직접 접촉하지 않고 유도 전류가 흐르게 하는 기술을 의미할 수 있다. 즉, 유도가열은 코일에 전류를 인가하면 코일 주면에 자기장이 형성되어, 이러한 자기장 공간 내에 배치된 조리용기에 열을 발생시키는 기술을 의미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조리용기는 자석이 붙는 재질(예를 들어, 자석이 붙는 금속)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907-0127097호는 종래의 조리기기를 개시하고 있다.
종래의 조리기기는 조리용기의 가열을 위한 코일이 조리기기의 기설정된 위치에 구비되어, 사용자는 코일에 대응하는 위치에 조리용기를 배치해야만 하는 불편함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조리용기를 조리기기 상의 임의의 위치에 배치하더라도, 조리용기의 가열이 가능한 조리기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조리기기 상에 배치된 조리용기의 위치를 정확하게 인식할 수 있는 조리기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인식된 조리용기의 위치에 기초하여 가열모듈을 조리용기 하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조리기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조리기기에 구비된 가열모듈이 움직이더라도, 전류를 공급의 중단이나 단선이 없이, 가열모듈에 안정적으로 전류를 공급할 수 있는 조리기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것으로서, 조리기기의 상판 상에 놓이는 조리용기의 위치를 정확히 인식하여, 조리용기의 하측으로 가열모듈을 자동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조리기기를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이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는 조리용기를 지지하는 상판; 상기 상판 하측에 마련된 공간에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고, 코일을 구비하는 가열모듈; 상기 상판에 구비되어 상기 상판의 진동을 감지하는 진동센서; 및 상기 가열모듈과 상기 진동센서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진동센서로부터의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상판 상의 조리용기의 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상판 상의 임의의 위치에 조리용기가 배치되더라도, 조리용기의 위치가 자동으로 판단되고, 가열모듈이 조리용기에 대응하는 위치로 자동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진동센서는 상기 상판의 하면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진동센서가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될 수 있고, 조리기기의 외관이 미려해질 수 있다.
상기 진동센서는 상기 상판의 둘레를 따라서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된 복수개의 진동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는 복수개의 진동센서로부터의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상판 상의 조리용기의 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조리용기의 위치에 대한 판단 정확도가 향상될 수 있다.
상기 복수개의 진동센서는 상기 상판 하측에 마련된 공간의 둘레 외측에서 상기 상판의 하면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가열모듈과 진동센서 사이의 간섭이 방지될 수 있고, 가열모듈에서 발생되는 자기장에 의한 진동센서의 오작동 및 파손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복수개의 진동센서는 상기 상판의 중심을 기준으로 기설정된 각도로 이격된 제1 내지 제4 진동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조리용기의 위치 좌표가 정확하게 판단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상판의 길이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는 제1진동센서 및 제2진동센서의 출력전압의 비교값을 이용하여, 상기 상판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한 조리용기의 제1좌표를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조리용기의 제1좌표가 자동으로 판단될 수 있다.
또한, 제3진동센서 및 제4진동센서는 상기 상판의 길이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는 동시에 상기 제1진동센서 및 상기 제2진동센서와 상판의 폭방향으로 각각 이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3진동센서 및 제4진동센서의 출력전압의 비교값을 더 이용하여 상기 제1좌표를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조리용기의 제1좌표가 보다 정확히 판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상판의 폭방향으로 서로 마주하는 제1진동센서 및 제3진동센서의 출력전압의 비교값을 이용하여, 상기 상판의 폭방향을 기준으로 한 조리용기의 제2좌표를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조리용기의 제2좌표가 자동으로 판단될 수 있다.
또한, 제2진동센서 및 제4진동센서는 상기 상판의 폭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는 동시에 상기 제1진동센서 및 상기 제3진동센서와 상판의 길이방향으로 각각 이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진동센서 및 제4진동센서의 출력전압의 비교값을 더 이용하여 상기 제2좌표를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조리용기의 제2좌표가 보다 정확히 판단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복수개의 진동센서는, 제1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제1진동센서와 제2진동센서; 및 상기 제1방향에 직교하는 제2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제3진동센서와 제4진동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조리용기의 제1방향 및 제2방향을 기준으로 한 위치가 자동으로 판단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진동센서와 상기 제2진동센서의 출력전압의 비교값을 이용하여, 상기 제1방향을 기준으로 한 조리용기의 제1좌표를 판단하고, 상기 제3진동센서와 상기 제4진동센서의 출력전압의 비교값을 이용하여, 상기 제2방향을 기준으로 한 조리용기의 제2좌표를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조리용기의 제1좌표 및 제2좌표가 비교적 정확하게 판단될 수 있다.
상기 제1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가상선과 상기 제2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가상선의 교차점이 상기 상판의 하측에 마련된 공간의 중심에 있도록, 상기 제1 내지 제4 진동센서가 배치될 수 있다. 이는, 조리용기와 진동센서 사이의 거리에 따른 출력전압의 차이를 이용하여, 조리용기의 위치를 정확하게 판단하기 위함이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상판 하측에 마련된 공간은 서로 구분되도록 구획된 제1 내지 제4 공간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열모듈은 상기 제1 내지 제4 공간에 각각 배치되는 제1 내지 제4 가열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조리용기가 놓인 위치에 대응하는 제1좌표 및 제2좌표뿐만 아니라, 제1 내지 제4공간 중 조리용기에 대응하는 공간이 정확하게 판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대응하는 공간에 구비된 가열모듈을 조리용기의 하측으로 자동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조리용기를 조리기기 상의 임의의 위치에 배치하더라도, 조리용기의 가열이 가능한 조리기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조리기기 상에 배치된 조리용기의 위치를 정확하게 인식할 수 있는 조리기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인식된 조리용기의 위치에 기초하여 가열모듈을 조리용기 하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조리기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조리기기에 구비된 가열모듈이 움직이더라도, 전류를 공급의 중단이나 단선이 없이, 가열모듈에 안정적으로 전류를 공급할 수 있는 조리기기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2는 도 1의 조리기기에 구비되는 가열모듈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레일과 가열모듈에 구비된 코일의 전기적 연결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주요 구성들의 연결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조리용기의 위치를 판단하기 위한 센서의 배치를 나타내는 일 실시예에 따른 개념도이다.
도 6은 상판 상에 놓인 조리용기의 위치를 판단하기 위한 센서의 배치를 나타내는 다른 실시에에 따른 개념도이다.
도 7은 상판 상에 놓인 조리용기의 위치를 판단하기 위한 센서의 배치를 나타내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개념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수공급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형태를 도시한 것으로, 이는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일 뿐 이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되는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며,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시된 각 구성 부재의 크기 및 형상은 과장되거나 축소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고, 도 2는 도 1의 조리기기에 구비되는 가열모듈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도 1은 조리용기가 올려지는 상판이 제거된 상태의 평면도를 개략적으로 나타내고, 도 2는 가열모듈의 측면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또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 1에서 X축은 조리기기의 길이방향을 나타내고 Y축은 조리기기의 폭방향을 나타낼 수 있다.
도 1 및 2를 함께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10)는 코일에 인가되는 전류에 의해 발생되는 자기장에 의해 조리용기가 가열되는 인덕션 레인지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조리기기(10)는 상판(100)의 하측에 배치되는 가열모듈(200), 상기 가열모듈(200)의 하측에 배치되는 레일(310, 32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판(100)은 유리, 대리석, 세라믹 및 나무 중 적어도 하나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판(100) 위에는 조리용기(150)가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조리용기(150)는 상기 상판(10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조리용기(150)는 상기 가열모듈(200)에서 발생되는 자기장에 의해 가열될 수 있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조리용기(150)는 자석이 붙는 재질(예를 들어, 자석이 붙는 금속)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열모듈(200)은 상기 상판(100)의 하측에 마련된 공간(S)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가열모듈(200)은 상기 공간(S)에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가열모듈(200)은 상기 공간(S)에서 조리기기의 길이방향 및 폭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가열모듈(200)은 코일(210)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코일(210)은 구리를 포함하는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코일(210)은 구리선이 원형으로 복수회 감긴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코일(210)은 구리선이 서로 다른 반경으로 복수회 감긴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상기 코일(210)은 구리선의 반경이 점진적으로 증가하도록 복수회 감긴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코일(210)에 전류가 인가되면 자기장이 발생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전류는 교류전류가 될 수 있다. 상기 코일(210)에서 발생된 자기장에 의해 상기 코일(210)의 상측에 배치되는 조리용기(150)가 가열될 수 있다.
상기 가열모듈(200)은 상기 코일(210)의 하측에 배치되는 인버터(27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인버터(270)는 상기 가열모듈(200)에 공급되는 전류를 고주파 전류로 변환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외부 전원으로부터 상기 인버터(270)에 전류가 공급되고, 상기 인버터(270)는 외부 전원으로부터 공급된 전류를 고주파 전류로 변환하여 상기 코일(210)에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인버터(270)는 상기 가열모듈(200)에 구비되어, 상기 가열모듈(200)이 이동할 때, 상기 인버터(270)도 함께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인버터(270)는 후술할 제어부(C)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인버터(270)는 상기 제어부(C)에 의해 무선통신을 통해 제어될 수 있다.
즉, 상기 가열모듈(200)이 이동할 때, 상기 인버터(270)가 상기 코일(210)과 함께 이동하므로, 상기 가열모듈(200)이 움직이더라도 상기 인버터(270)와 상기 코일(210) 사이의 전기적 단락 또는 단선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가열모듈(200)은 상기 코일(210)과 상기 인버터(270)의 사이에 배치되는 자기장 차단부재(25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즉, 위에부터 상기 코일(210), 상기 자기장 차단부재(250) 및 상기 인버터(270)가 순차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자기장 차단부재(250)는 상기 코일(210)에서 발생된 자기장이 상기 인버터(270)로 진행하는 것을 차단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자기장 차단부재(250)는 알루미늄 플레이트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자기장 차단부재(250)에 의해 상기 인버터(270)의 오작동 및 파손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가열모듈(200)은 상기 코일(210)과 상기 인버터(270) 사이에 배치되는 페라이트 코어(23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페라이트 코어(230)는 상기 코일(210)과 상기 자기장 차단부재(25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페라이트 코어(230)에 의해 상기 코일(210)에서 발생되는 자기장의 경로가 상기 코일(210)의 상측에 배치되는 조리용기(150)로 집중될 수 있다. 즉, 상기 페라이트 코어(230)는 상기 코일(210)에서 발생되는 자기장의 경로를 코일(210)의 상측으로 집중할 수 있다. 상기 페라이트 코어(230)에 의해 조리용기에 영향을 미치는 자기장의 세기가 증폭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레일(310, 320)은 상기 가열모듈(200)의 이동을 가이드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레일(310, 320)은 상기 가열모듈(200)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레일(310, 320)은 전술한 상판(100) 하측에 마련된 공간(S)에서, 상기 가열모듈(200)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외부 전원으로부터의 전류가 상기 레일(310, 320)에 인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레일(310, 320)은 통전 금속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열모듈(200)은 상기 레일(310, 320)을 통해 전류를 공급받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가열모듈(200)이 상기 공간(S) 내에서 이동하더라도 상기 레일(310, 320)과 상기 가열모듈(200) 사이에 전기적 단락의 발생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레일(310, 320)은 상기 가열모듈(200)이 위에 배치되어 상기 가열모듈(2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1레일(31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레일(310)은 조리기기(10)의 폭방향(즉, Y축 방향)으로 연장하도록 기설정된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열모듈(200)은 상기 제1레일(310) 상에서 상기 제1레일(310)의 연장방향을 따라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가열모듈(200)이 상기 제1레일(310) 상에서 이동할 때, 상기 제1레일(310)과 상기 가열모듈(200) 사이의 전기적 연결은 유지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가열모듈(200)이 상기 제1레일(310) 상의 어느 위치에 있더라도, 상기 가열모듈(200)은 상기 제1레일(310)을 통해 외부 전원으로부터 전류를 공급받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레일(310)은 상기 가열모듈(200)에 교류전류를 공급하기 위하여 한 쌍으로 구비될 수 있다. 즉, 한 쌍의 제1레일(310)이 서로 평행하게 조리기기(200)의 폭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열모듈(200)에는 상기 제1레일(310)에 접한 상태로 유지되는 접촉단자(28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접촉단자(280) 역시 한 쌍의 제1레일(310)에 대응하도록 한 쌍으로 구비될 수 있다. 한 쌍의 제1레일(310) 및 한 쌍의 접촉단자(280)를 통해 코일(210)에 가열모듈(200)에 교류전류가 인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시된 실시예에서, 한 쌍의 제1레일(310)과 한 쌍의 접촉단자(280)는 한 쌍의 제1접촉영역(315)에서 서로 접촉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제1접촉영역(315)은 상기 제1레일(310) 상에서 상기 가열모듈(200)의 움직임에 따라서 그 위치가 변경될 수 있다.
상기 접촉단자(280)의 일 단부는 상기 인버터(270)에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접촉단자(280)의 타 단부(즉, 자유 단부)는 상기 제1레일(310)에 접할 수 있다. 따라서, 외부 전원으로부터의 전류는 상기 제1레일(310), 상기 접촉단자(280) 및 상기 인버터(270)를 순차적으로 경유하여 상기 코일(210)에 인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은 레일과 가열모듈에 구비된 코일의 전기적 연결관계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 및 3을 함께 참조하면, 한 쌍의 제1레일(310)은 서로 이격되어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레일(310)은 상단의 면적이 하단의 면적보다 작을 수 있으며, 상단에 상기 접촉단자(280)가 접촉될 수 있다. 이는, 상기 제1레일(310)과 상기 접촉단자(280) 사이에서 발생될 수 있는 쇼트를 방지하기 위함이다.
상기 접촉단자(280)에 의해 상기 제1레일(310)과 상기 인버터(270)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접촉단자(280)의 자유단부(289)가 상기 제1레일(310)의 상단에 접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접촉단자(280)는 상기 자유단부(289)가 상기 제1레일(310)의 상단에 탄성적으로 접하도록 하기 위한 절곡부(281)를 구비할 수 있다.
즉, 상기 제1레일(310)에 상기 절곡부(281)가 형성되어, 상기 제1레일(310)의 자유단부가 상기 제1레일(310)의 상단에 탄성적으로 접할 수 있다. 상기 절곡부(281)는 상기 접촉단자(280)의 일 단부보다 타 단부에 더 근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상기 절곡부(281)는 상기 접촉단자(280)의 자유단부(289)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접촉단자(280)의 자유단부가 상기 제1레일(310) 상에서 상기 제1레일(310)을 향해 하방으로 눌려서 상기 제1레일(310)과 상기 접촉단자(280) 사이의 접촉력이 증가될 수 있다.
다시 도 1 및 2를 참조하면, 상기 레일(310, 320)은 상기 제1레일(310)에 직교하는 제2레일(32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레일(320)은 상기 제1레일(3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레일(310)은 상기 제2레일(320)과 전기적 연결을 유지한 상태로 상기 제2레일(320)의 연장방향을 따라서 이동할 수 있다. 즉, 상기 제2레일(320)은 기설정된 길이로 조리기기(10)의 길이방향(즉, X축 방향)으로 연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레일(310)은 상기 제2레일(320) 상에서 상기 제2레일(320)의 연장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레일(310)이 상기 제2레일(320) 상에서 이동하더라도, 상기 제1레일(310)과 상기 제2레일(320)의 전기적 연결은 유지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한 쌍의 제1레일(310)에 대응하도록 한 쌍의 제2레일(320)이 구비될 수 있다. 한 쌍의 제1레일(310)과 한 쌍의 제2레일(320)은 한 쌍의 제2접촉영역(325)에서 서로 접촉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제2접촉영역(325)은 상기 제2레일(320) 상에서 상기 제1레일(310)의 움직임에 따라서 그 위치가 변경될 수 있다.
외부 전원으로부터 상기 제1레일(310) 및 상기 제2레일(320) 중 하나에 전류가 인가되면, 다른 하나에도 전류가 인가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레일(310)과 상기 제2레일(320)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외부전원을 통한 전기적 연결의 자유도가 증가될 수 있다.
한편, 제1레일(310)은 제2레일(320) 상에서 제2레일(320)의 연장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으므로, 외부 전원은 상기 제2레일(32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1레일(310)은 상기 제2레일(320)을 통해 전류를 공급받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즉, 상기 제1레일(310)은 이동 가능하고, 상기 제2레일(320)은 기설정된 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레일(320)은 상기 공간(S) 내에서 폭방향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동 가능한 제1레일(310)에 외부 전원이 직접 전기적으로 연결되면, 외부 전원과 제1레일(310) 사이에 전기적인 단락 또는 단선이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고정된 제2레일(320)에 외부 전원이 연결되고, 상기 제1레일(310)은 상기 제2레일(320)을 통해 전류를 공급받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외부 전원은 상기 제2레일(320)에 전기적으로 직접 연결되어, 외부 전원으로부터의 전류는 상기 제2레일(320), 상기 제1레일(310), 상기 접촉단자(280) 및 상기 인버터(270)를 순차적으로 경유하여 상기 코일(210)에 인가될 수 있다.
상기 조리기기(10)는 상기 가열모듈(200)의 위치를 이동시키기 위한 하나 이상의 이동수단(410, 42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이동수단(410, 420)은 바퀴, 모터, 기어 및 유압 실린더 중 적어도 하나 또는 그 조합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이동수단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해서는 이미 다양한 이동수단이 개시되어 있으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이동수단(410, 420)은 상기 제1레일(310) 상에서 상기 가열모듈(200)을 이동시키기 위한 제1이동수단(410) 및 상기 제2레일(320) 상에서 상기 제2레일(310)을 이동시키기 위한 제2이동수단(42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이동수단(410)은 상기 제1레일(310) 상에서 상기 가열모듈(200)을 이동시키기 위한 동력을 제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이동수단(420)은 상기 제2레일(320) 상에서 상기 제2레일(310)을 이동시키기 위한 동력을 제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제1이동수단(410)은 가열모듈(200)에 구비되거나 상기 가열모듈(200)로부터 이격되어 구비될 수 있다. 가열모듈(200)의 이동 시에 간섭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제1이동수단(410)은 상기 가열모듈(200)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상기 제2이동수단(420) 역시, 가열모듈(200)의 이동 시에 간섭을 최소화할 수 있는 위치에 배치되는 것이 비람직하다. 상기 제2이동수단(420)은 상기 제2레일(320)의 일 측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레일(320) 및 상기 제2이동수단(420)은 모두 조리기기(10)의 폭방향 일 측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이동수단(420)은 상기 제2레일(320)에 비해 조리기기(200)의 폭방향 일측으로 더 치우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2이동수단(420)과 상기 가열모듈(200) 사이의 간섭이 방지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가열모듈(200)은 제1지지브라켓(29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지지브라켓(290)은 폭보다 길이가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지지브라켓(290)은 제1레일(310)이 배치되는 제2지지브라켓(39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지지브라켓(290)은 제1레일(310)의 연장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2지지브라켓(390)은 길이보다 폭이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지지브라켓(290)은 상기 제1이동수단(410)에 의해 상기 제2지지브라켓(390)에 대해 상대이동할 수 있다. 즉, 상기 제1지지브라켓(290)은 상기 제1이동수단(410)에 의해 상기 제2지지브라켓(390)의 연장방향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지지브라켓(290)은 상기 제1이동수단(410)에 의해 상기 제2지지브라켓(390) 상에서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지지브라켓(390)은 제2이동수단(420)에 의해 제2레일(320)에 대해 상대이동할 수 있다. 즉, 상기 제2지지브라켓(390)은 상기 제2이동수단(420)에 의해 상기 제2레일(320)의 연장방향을 따라서 이동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레일(320)은 전술한 상판(100) 하측에 마련된 공간(S)의 바닥면에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제2지지브라켓(390)은 상기 제2이동수단(420)에 의해 상기 제2레일(320) 상에서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제2지지브라켓(390)에 상기 제1레일(310) 및 상기 제2이동수단(420)이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레일(320)은 상기 제2지지브라켓(390)의 하측에서 상기 제2지지브라켓(390)을 길이방향(X축방향)으로 가로지르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이동수단(410, 420)은 상기 제1레일(310) 및 제2레일(320)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전류를 공급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이동수단(410) 및 상기 제2이동수단(420)은 상기 제1레일(310) 또는 상기 제2레일(32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류를 공급받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레일(310) 및 상기 제2레일(320)에 전류를 공급하기 위한 배선이 간단히 구현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제1이동수단(410) 및 상기 제2이동수단(420)은 모두 제1레일(310)을 통해 전류를 공급받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이동수단(410)과 상기 접촉단자(280) 사이에 제1연결선(411)이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제1이동수단(410)은 상기 제1연결선(411)을 통해 전류를 공급받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이동수단(420)과 상기 제1레일(310) 사이에 제2연결선(421)이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제2이동수단(420)은 상기 제2연결선(421)을 통해 전류를 공급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연결선(421)은 제1레일(310)의 길이방향 일 단부와 상기 제2이동수단(420)을 연결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제1레일(310)의 길이방향 일 단부는 제1레일(310)의 길이방향 양 단부 중 상기 제2이동수단(420)에 상대적으로 가까운 단부가 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제1연결선(411) 및 제2연결선(421)의 배치에 의해, 가열모듈(200)과의 간섭이 방지될 수 있고, 최소한의 연결선의 길이를 이용하여 제1이동수단(410)과 제2이동수단(420)에 전류가 공급될 수 있다.
이하, 다른 도면을 참조하여, 조리기기(10)에 구비되는 주요 구성들의 전기적 연결관계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는 주요 구성들의 연결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제2레일(320)은 외부 전원(50)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즉, 상기 제2레일(320)은 상기 외부 전원(50)에 직접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2레일(320)은 제1레일(3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외부 전원(50)으로부터의 전류는 상기 제2레일(320)을 통해 상기 제1레일(310)로 공급될 수 있다.
상기 제1레일(310)은 가열모듈(200), 제1이동수단(410) 및 제2이동수단(420)에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레일(310)과 상기 제2이동수단(420)은 직접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레일(310)과 상기 가열모듈(200) 역시 직접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레일(310)과 상기 제1이동수단(410)은 상기 가열모듈(200)에 구비되는 접촉단자(280)를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가열모듈(200), 상기 제1이동수단(410) 및 상기 제2이동수단(420)은 제어부(C)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가열모듈(200), 상기 제1이동수단(410) 및 상기 제2이동수단(420)은 무선통신 방식을 통해 상기 제어부(C)와 통신할 수 있다.
상기 가열모듈(200), 상기 제1이동수단(410) 및 상기 제2이동수단(420)은 상기 제어부(C)와 통신하기 위한 통신모듈(미도시)을 각각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제어부(C) 역시 통신모듈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가열모듈(200), 상기 제1이동수단(410) 및 상기 제2이동수단(420)이 무선통신을 통해 상기 제어부(C)에 의해 제어되므로, 통신선을 통해 제어부(C)에 의해 제어되는 경우에 비해 가열모듈(200)의 이동에 따른 가열모듈(200)과 통신선 사이의 간섭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외부 전원(50)으로부터의 전류는 제2레일(320) 및 제1레일(310)을 순차적으로 경유하여, 제2이동수단(420) 및 가열모듈(200)에 각각 공급될 수 있다. 또한, 가열모듈(200)에 공급되는 전류는 상기 가열모듈(200)에 구비되는 접촉단자(280)를 통해 제1이동수단(410)에 공급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10)는 상판(100)에 구비되는 복수개의 진동센서(510, 520, 530, 5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개의 진동센서(510, 520, 530, 540)는 4개의 진동센서들(즉, 제1진동센서(510), 제2진동센서(520), 제3진동센서(530) 및 제4진동센서(54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C)는 상기 복수개의 진동센서(510, 520, 530, 54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복수개의 진동센서(510, 520, 530, 540)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C)는 상기 복수개의 진동센서(510, 520, 530, 540)로부터의 신호를 전달받을 수 있다. 상기 복수개의 진동센서(510, 520, 530, 540)는 진동을 감지하고, 진동의 크기에 따른 신호를 출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복수개의 진동센서(510, 520, 530, 540)로부터의 신호는 복수개의 진동센서(510, 520, 530, 540)의 출력 전압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개의 진동센서(510, 520, 530, 540) 각각은 진동의 크기가 클수록 신호의 세기(출력전압의 크기)가 크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C)는 상기 복수개의 진동센서(510, 520, 530, 540)로부터의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상판(100) 위에 놓인 조리용기의 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
즉, 상기 가열모듈(200)의 위치 이동은 조리용기의 위치에 기초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가열모듈(200)은 조리용기의 하측에 배치되도록 위치 이동되어야 한다. 따라서, 가열모듈(200)의 이동 이전에 조리용기의 위치를 판단할 필요가 있다.
이하, 다른 도면을 참조하여, 상기 상판 위에 놓인 조리용기의 위치를 판단하기 위한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5는 상판 상에 놓인 조리용기의 위치를 판단하기 위한 센서의 배치를 나타내는 일 실시예에 따른 개념도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가열모듈(200)은 상판(100)의 하측에 마련된 공간(S)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판(100) 위에 놓인 조리용기(150)를 가열하기 위하여, 상기 가열모듈(200)은 상기 조리용기(150)의 하측에 배치될 필요가 있다.
즉, 사용자가 조리용기(150)를 상판(100) 위의 임의의 위치에 놓았을 때, 상기 가열모듈(200)이 상기 조리용기(150)의 하측으로 자동으로 이동하게 되면, 사용자의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다.
상기 가열모듈(200)가 조리용기(150)의 하측으로 자동으로 이동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상판(100) 위에 놓인 상기 조리용기(150)의 위치를 판단할 필요가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조리용기(150)가 상판(100) 위에 놓일 때, 상기 상판(100)에서 발생되는 진동의 감지를 통하여 조리용기(150)의 위치가 판단될 수 있다.
도 4 및 6을 함께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10)는 상기 상판(100)의 진동을 감지하는 진동센서(510, 520,530, 5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진동센서(510, 520,530, 540)는 상판(100)에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진동센서(510, 520,530, 540)는 상기 상판(100)에 접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때, 도 4를 통해 설명된 제어부(C)는 상기 진동센서(510, 520,530, 540)로부터의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상판(100) 상의 조리용기(150)의 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C)는 진동센서(510, 520,530, 540)로부터 전달되는 신호의 크기(즉, 출력전압의 크기)에 기초하여, 상기 상판(100) 상의 조리용기(150)의 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상판(100) 상의 임의의 위치에 상기 조리용기(150)를 올려놓기만 하면, 제어부(C)에 의해 조리용기(150)의 위치가 판단되고 조리용기(150) 하측으로 가열모듈(200)이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진동센서(510, 520,530, 540)는 상기 상판(100)의 하면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진동센서(510, 520,530, 540)는 상기 상판(100)의 상측으로 노출되지 않을 수 있다. 즉, 상기 진동센서(510, 520,530, 540)는 외부로 노출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외부 충격에 의한 상기 진동센서(510, 520,530, 540)의 파손이 방지될 수 있고, 조리기기(10)의 외관이 미려해질 수 있다.
상기 진동센서(510, 520,530, 540)는 상기 상판(100)의 둘레를 따라서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된 진동센서(510, 520,530, 54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C)는 상기 복수개의 진동센서(510, 520,530, 540)로부터의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상판(100) 상의 조리용기(150)의 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
즉, 제어부(C)는 상기 복수개의 진동센서(510, 520,530, 540)로부터 복수개의 신호를 전달받으며, 복수개의 신호에 대한 분석을 통해 상기 조리용기(150)의 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조리용기(150)의 위치에 대한 판단 정확도가 향상될 수 있다.
상기 복수개의 진동센서(510, 520,530, 540)는 상기 상판(100)의 하측에 마련된 공간(S)의 둘레 외측에 마련될 수 있다. 즉, 상기 복수개의 진동센서(510, 520,530, 540)는 상기 공간(S)의 둘레와 상판(100)의 둘레 사이에서 상기 상판(100)의 하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는, 상기 공간(S)에서 이동하는 상기 가열모듈(200)과 상기 복수개의 진동센서(510, 520,530, 540)의 간섭을 방지함과 동시에, 상기 가열모듈(200)에서 발생된 자기장에 의한 상기 복수개의 진동센서(510, 520,530, 540)의 오작동 및 파손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예를 들어, 상기 복수개의 진동센서(510, 520,530, 540)는 상기 상판(100)의 중심(o)을 기준으로 기설정된 각도로 이격된 제1 내지 제4 진동센서(510, 520,530, 54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상판(100)의 중심(o)은 상기 공간(S)의 중심과 일치할 수 있다.
즉, 상기 복수개의 진동센서(510, 520,530, 540)는 제1진동센서(510), 제2진동센서(520), 제3진동센서(530) 및 제4진동센서(54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내지 제4 진동센서(510, 520,530, 540)는 상기 상판(100)의 중심(o)을 기준으로 기설정된 각도로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진동센서(510) 및 상기 제2진동센서(520)는 상기 상판(100)의 길이방향(L)으로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진동센서(510) 및 상기 제2진동센서(520)는 상기 상판(100)의 길이방향(L)으로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상판(100)은 사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제1진동센서(510) 및 상기 제2진동센서(520)는 상기 상판(100))의 폭방향 일측의 2개의 코너부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C)는 상기 제1진동센서(510) 및 상기 제2진동센서(520)로부터의 신호(출력전압)에 기초하여, 상판(100)의 길이방향(L)을 기준으로 한 조리용기(150)의 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C)는 상기 제1진동센서(510) 및 상기 제2진동센서(520)로부터의 신호의 비교값을 이용하여, 상판(100)의 길이방향(L)을 기준으로 한 조리용기(150)의 제1좌표를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좌표는 상기 상판(100)의 길이방향(L)을 기준으로 한 조리용기(150)의 위치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판(100)의 길이방향(L)을 기준으로 조리용기(150)가 제1진동센서(510)에 비해 제2진동센서(510)에 가까이 놓이면, 제1진동센서(510)의 출력전압에 비해 제2진동센서(520)의 출력전압이 커질 수 있다. 따라서, 제1진동센서(510)의 출력전압과 제2진동센서(520)의 출력전압의 비교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제1좌표가 판단될 수 있다.
제1진동센서(510)의 출력전압과 제2진동센서(520)의 출력전압의 비교결과에 따른 상기 제1좌표는 제어부(C)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도시되지 않은 메모리에 실험에 기초하여 미리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복수개의 진동센서를 이용하여, 상판(100)의 길이방향(L)을 기준으로 한 조리용기(150)의 제1좌표가 정확하고 용이하게 판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진동센서(530) 및 상기 제4진동센서(540)는 상기 상판(100)의 길이방향(L)으로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제3진동센서(530) 및 상기 제4진동센서(540)는 상기 상판(100)의 길이방향(L)으로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상판(100)은 사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제3진동센서(530) 및 상기 제4진동센서(540)는 상기 상판(100))의 폭방향 타측의 2개의 코너부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3진동센서(530) 및 상기 제4진동센서(540)는 상기 상판(100)의 폭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진동센서(510) 및 상기 제2진동센서(520)로부터 각각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제3진동센서(530) 및 상기 제4진동센서(540)는 상기 상판(100)의 폭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진동센서(510) 및 상기 제2진동센서(520)와 각각 마주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조리용기(150)의 제1좌표의 판단 정확도를 높이기 위하여, 상기 제어부(C)는 상기 제3진동센서(530) 및 상기 제4진동센서(540)로부터의 신호(출력전압)에 기초하여, 상판(100)의 길이방향(L)을 기준으로 한 조리용기(150)의 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C)는 상기 제3진동센서(530) 및 상기 제4진동센서(540)로부터의 신호의 비교값을 더 이용하여, 상판(100)의 길이방향(L)을 기준으로 한 조리용기(150)의 제1좌표를 판단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상기 제어부(C)는 상기 제1진동센서(510) 및 상기 제2진동센서(520)로부터의 출력전압 비교값과, 상기 제3진동센서(530) 및 상기 제4진동센서(540)의 출력전압 비교값을 모두 이용하여, 상기 제1좌표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C)는 상기 제1진동센서(510) 및 상기 제2진동센서(520)로부터의 출력전압 비교값과 상기 제3진동센서(530) 및 상기 제4진동센서(540)의 출력전압 비교값의 평균에 기초하여, 상기 제1좌표를 판단할 수 있다.
조리용기(150)에 상대적으로 가까이 배치된 진동센서의 출력 전압이 상대적으로 멀리 배치된 진동센서의 출력 전압에 비해 큰 것은 전술한 바와 같다.
제3진동센서(530)의 출력전압과 제4진동센서(540)의 출력전압의 비교결과에 따른 상기 제1좌표 역시, 제어부(C)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도시되지 않은 메모리에 실험에 기초하여 미리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복수개의 진동센서를 이용하여, 상판(100)의 길이방향(L)을 기준으로 한 조리용기(150)의 제1좌표가 정확하고 용이하게 판단될 수 있다.
한편, 보다 정확한 조리용기(150)의 위치를 판단하기 위하여, 상판(100)의 폭방향(W)을 기준으로 한 조리용기(150)의 제2좌표를 판단할 필요가 있다. 여기서, 제2좌표는 상기 상판(100)의 폭방향(W)을 기준으로 한 조리용기(150)의 위치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C)는 상판(100)의 폭방향(W)으로 서로 마주하는 제1진동센서(510) 및 제3진동센서(530)의 출력전압의 비교값을 이용하여, 조리용기(150)의 상기 제2좌표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판(100)의 폭방향(W)을 기준으로 조리용기(150)가 제1진동센서(510)에 비해 제3진동센서(510)에 가까이 놓이면, 제1진동센서(510)의 출력전압에 비해 제3진동센서(530)의 출력전압이 커질 수 있다. 따라서, 제1진동센서(510)의 출력전압과 제3진동센서(530)의 출력전압의 비교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제2좌표가 판단될 수 있다.
제1진동센서(510)의 출력전압과 제3진동센서(530)의 출력전압의 비교결과에 따른 상기 제2좌표는 제어부(C)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도시되지 않은 메모리에 실험에 기초하여 미리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좌표의 판단 정확도를 높이기 위하여, 상기 제어부(C)는 상기 제2진동센서(520) 및 상기 제4진동센서(540)로부터의 신호(출력전압)에 기초하여, 상판(100)의 폭방향(W)을 기준으로 한 조리용기(150)의 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제2진동센서(520)와 상기 제4진동센서(540)는 상기 상판(100)의 폭방향(W)으로 서로 이격되어 마주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진동센서(520) 및 상기 제4진동센서(540)는 각각 상기 제1진동센서(510) 및 상기 제3진동센서(530)와 상판(100)의 길이방향(L)으로 이격되어 마주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C)는 상기 제2진동센서(520) 및 상기 제4진동센서(540)로부터의 신호의 비교값을 더 이용하여, 상판(100)의 폭방향(W)을 기준으로 한 조리용기(150)의 제2좌표를 판단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상기 제어부(C)는 상기 제1진동센서(520) 및 상기 제3진동센서(530)로부터의 출력전압 비교값과, 상기 제2진동센서(520) 및 상기 제4진동센서(540)의 출력전압 비교값을 모두 이용하여, 상기 제2좌표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C)는 상기 제1진동센서(510) 및 상기 제3진동센서(530)로부터의 출력전압 비교값과 상기 제2진동센서(520) 및 상기 제4진동센서(540)의 출력전압 비교값의 평균에 기초하여, 상기 제2좌표를 판단할 수 있다.
제2진동센서(520)의 출력전압과 제4진동센서(540)의 출력전압의 비교결과에 따른 상기 제2좌표 역시, 제어부(C)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도시되지 않은 메모리에 실험에 기초하여 미리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복수개의 진동센서를 이용하여, 상판(100)의 길이방향(L) 및 폭방향(W)을 기준으로 한 조리용기(150)의 제1좌표 및 제2좌표가 정확하고 용이하게 판단될 수 있다.
이하, 다른 도면을 참조하여,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동센서의 배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6은 상판 상에 놓인 조리용기의 위치를 판단하기 위한 센서의 배치를 나타내는 다른 실시에에 따른 개념도이다. 이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도 5의 실시예와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며, 도 5의 실시예와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특히, 조리용기에 상대적으로 가까이 배치되는 진동센서의 출력전압이 상대적으로 멀리 배치되는 진동센서의 출력전압에 비해 크며, 출력전압의 비교값에 기초한 제1좌표 제2좌표의 판단은 도 5의 실시예와 동일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실시에서, 복수개의 진동센서(510, 520, 530, 540)는 기설정된 제1방향으로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되는 제1진동센서(510)와 제2진동센서(52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개의 진동센서(510, 520, 530, 540)는 상기 제1방향에 직교하는 제2방향으로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되는 제3진동센서(530)와 제4진동센서(540)를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제1진동센서(510)와 제2진동센서(520)는 상판(100)의 폭방향(W) 중심에서 상기 상판(100)의 길이방향(L)으로 서로 이격되어 마주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진동센서(530) 및 상기 제4진동센서(540)는 상판(100)의 길이방향(L) 중심에서 상기 상판(100)의 폭방향(W)으로 서로 이격되어 마주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진동센서(510)와 상기 제2진동센서(520)로부터의 출력전압 비교를 통해 상기 상판(100)의 길이방향(L)을 기준으로 한 조리용기(150)의 제1좌표가 판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진동센서(530)와 상기 제4진동센서(540)로부터의 출력전압 비교를 통해 상판(100)의 폭방향(W)을 기준으로 한 조리용기(150)의 제2좌표가 판단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C)는 상기 제1진동센서(510)와 상기 제2진동센서(520)의 출력전압의 비교값을 이용하여, 상기 제1방향을 기준으로 한 조리용기(150)의 제1좌표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C)는 상기 제3진동센서(530)와 상기 제4진동센서(540)의 출력전압의 비교값을 이용하여, 상기 제2방향을 기준으로 한 조리용기(150)의 제2좌표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제1진동센서(510)의 출력전압과 제2진동센서(520)의 출력전압의 비교결과에 따른 상기 제1좌표 및 기 제3진동센서(530)와 상기 제4진동센서(540)의 출력전압의 비교결과에 따른 상기 제2좌표는 제어부(C)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도시되지 않은 메모리에 실험에 기초하여 미리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진동센서(510) 및 상기 제2진동센서(520)는 상기 제1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가상선(L1)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3진동센서(530) 및 상기 제4진동센서(540)는 상기 제2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가상선(L2)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가상선(L1)과 상기 제2가성선(L2)의 교차점은 상기 상판(100)의 하측에 마련된 공간의 중심(o)이 있을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상판(100)의 하측에 마련된 공간의 중심(o)은 상판(100)의 중심과 같은 의미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상기 제1가상선(L1)과 상기 제2가성선(L2)의 교차점이 상기 상판(100)의 하측에 마련된 공간의 중심(o)에 있도록 상기 제1 내지 제4 진동센서(510, 520, 530, 540)가 각각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 내지 제4 진동센서(510, 520, 530, 540)의 출력전압을 이용한 상기 제1좌표 및 상기 제2좌표의 판단 정확도가 향상될 수 있다.
이하, 다른 도면을 참조하여,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동센서의 배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7은 상판 상에 놓인 조리용기의 위치를 판단하기 위한 센서의 배치를 나타내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개념도이다. 이하, 또 다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도 5의 실시예와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며, 도 5의 실시예와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10)는 상판(100)의 하측에 마련된 공간이 복수개의 공간(S1, S2, S3, S4)으로 구획될 수 있다. 즉, 상판(100)의 하측에 마련된 공간은 서로 구분되도록 구획된 복수개의 공간(S1, S2, S3, S4)을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상판(100)의 하측에는 서로 별개의 공간으로 구획된 제1 내지 제4공간(S1, S2, S3, S4)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전술한 가열모듈(200)은 상기 제1 내지 제4공간(S1, S2, S3, S4)에 각각 배치되는 제1 내지 제4 가열모듈(201, 202, 203, 204)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제1공간(S1)에 제1가열모듈(201)이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제2공간(S2)에 제2가열모듈(202)이 이동가능하게 배치되며, 제3공간(S3)에 제3가열모듈(203)이 이동가능하게 배치되고, 제4공간(S4)에 제4가열모듈(204)이 이동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도 5을 통해 설명한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제1 내지 제4 진동센서(510, 520,530, 540)가 상판(100)의 중심(o)을 기준으로 기설정된 각도로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어부(C)는 제1 내지 제4 진동센서(510, 520,530, 540)로부터의 신호(출력전압)에 기초하여, 제1 내지 제4 공간(S1, S2, S3, S4) 중 조리용기(150)가 배치된 공간을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C)는 제1 내지 제4 진동센서(510, 520,530, 540)로부터의 신호(출력전압)에 기초하여, 조리용기(150)가 배치된 위치(즉, 제1좌표 및 제2좌표)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C)는 제1진동센서(510)와 제2진동센서(520)의 출력전압의 비교값 및 제3진동센서(530)와 제4진동센서(540)의 출력전압의 비교값을 이용하여, 조리용기(150)가 놓인 제1좌표 및 제2좌표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C)는 판단된 제1좌표 및 제2좌표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내지 제4 공간(S1, S2, S3, S4) 중 조리용기(150)가 놓인 위치에 대응하는 공간을 판판할 수 있으며, 상기 대응하는 공간에 구비된 가열모듈을 조리용기(150)의 하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개의 진동센서(510, 520,530, 540)로부터의 신호를 통해, 조리용기(150)가 배치되는 위치를 정확히 판단하고, 대응하는 공간에 배치된 가열모듈을 조리용기(150) 하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기술되었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있어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첨부된 청구 범위에 정의된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발명을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앞으로의 실시예들의 변경은 본 발명의 기술을 벗어날 수 없을 것이다.
100 상판 200 가열모듈
210 코일 270 인버터
280 접촉단자 310 제1레일
320 제2레일 410 제1이동수단
420 제2이동수단 510 제1진동센서
520 제2진동센서 530 제3진동센서
540 제4진동센서 C 제어부

Claims (13)

  1. 조리용기를 지지하는 상판;
    상기 상판 하측에 마련된 공간에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고, 코일을 구비하는 가열모듈;
    상기 상판에 구비되어 상기 상판의 진동을 감지하는 진동센서; 및
    상기 가열모듈과 상기 진동센서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진동센서로부터의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상판 상의 조리용기의 위치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센서는 상기 상판의 하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센서는 상기 상판의 둘레를 따라서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된 복수개의 진동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복수개의 진동센서로부터의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상판 상의 조리용기의 위치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진동센서는 상기 상판 하측에 마련된 공간의 둘레 외측에서 상기 상판의 하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진동센서는 상기 상판의 중심을 기준으로 기설정된 각도로 이격된 제1 내지 제4 진동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상판의 길이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는 제1진동센서 및 제2진동센서의 출력전압의 비교값을 이용하여, 상기 상판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한 조리용기의 제1좌표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기.
  7. 제6항에 있어서,
    제3진동센서 및 제4진동센서는 상기 상판의 길이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는 동시에 상기 제1진동센서 및 상기 제2진동센서와 상판의 폭방향으로 각각 이격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3진동센서 및 제4진동센서의 출력전압의 비교값을 더 이용하여 상기 제1좌표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기.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상판의 폭방향으로 서로 마주하는 제1진동센서 및 제3진동센서의 출력전압의 비교값을 이용하여, 상기 상판의 폭방향을 기준으로 한 조리용기의 제2좌표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기.
  9. 제8항에 있어서,
    제2진동센서 및 제4진동센서는 상기 상판의 폭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는 동시에 상기 제1진동센서 및 상기 제3진동센서와 상판의 길이방향으로 각각 이격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진동센서 및 제4진동센서의 출력전압의 비교값을 더 이용하여 상기 제2좌표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기.
  10.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진동센서는,
    제1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제1진동센서와 제2진동센서; 및
    상기 제1방향에 직교하는 제2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제3진동센서와 제4진동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진동센서와 상기 제2진동센서의 출력전압의 비교값을 이용하여, 상기 제1방향을 기준으로 한 조리용기의 제1좌표를 판단하고,
    상기 제3진동센서와 상기 제4진동센서의 출력전압의 비교값을 이용하여, 상기 제2방향을 기준으로 한 조리용기의 제2좌표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기.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가상선과 상기 제2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가상선의 교차점이 상기 상판의 하측에 마련된 공간의 중심에 있도록, 상기 제1 내지 제4 진동센서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기.
  13.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 하측에 마련된 공간은 서로 구분되도록 구획된 제1 내지 제4 공간을 포함하고,
    상기 가열모듈은 상기 제1 내지 제4 공간에 각각 배치되는 제1 내지 제4 가열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기.
KR1020180033777A 2018-03-23 2018-03-23 조리기기 Withdrawn KR20190111530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3777A KR20190111530A (ko) 2018-03-23 2018-03-23 조리기기
PCT/KR2019/000433 WO2019182238A1 (ko) 2018-03-23 2019-01-11 조리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3777A KR20190111530A (ko) 2018-03-23 2018-03-23 조리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1530A true KR20190111530A (ko) 2019-10-02

Family

ID=679874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3777A Withdrawn KR20190111530A (ko) 2018-03-23 2018-03-23 조리기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90111530A (ko)
WO (1) WO2019182238A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46284B2 (ja) * 2005-02-23 2010-09-15 クリナップ株式会社 システムキッチン
JP4914995B2 (ja) * 2006-03-29 2012-04-11 クリナップ株式会社 システムキッチン及び誘導加熱ユニット
KR20100010249A (ko) * 2008-07-22 2010-02-01 엘지전자 주식회사 조리기기
JP5272612B2 (ja) * 2008-09-25 2013-08-28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誘導加熱調理器
US10635241B2 (en) * 2015-06-19 2020-04-28 Alab Inc. Coordinate detection device and coordinate detection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182238A1 (ko) 2019-09-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56220B1 (ko) 가열 조리 시스템, 유도가열 조리기, 및 전기기기
KR102306813B1 (ko) 유도 가열 방식의 쿡탑
KR102049864B1 (ko) 조리기기
US10605464B2 (en) Induction cooktop
KR20030076436A (ko) 유도가열장치
CN108291724A (zh) 用于智能下置型感应灶的支撑烹饪容器的装置
KR20060083151A (ko) 가열 조리기
EP4170867A1 (en) Wireless power station and control method thereof
WO2018070003A1 (ja) 非接触電力伝送装置、及び非接触電力伝送システム
EP4120797A1 (en) Under-induction range system
KR20190111530A (ko) 조리기기
JP2007329025A (ja) 誘導加熱調理器
JPWO2020166061A1 (ja) 誘導加熱調理器
JP2007323887A (ja) 誘導加熱装置
KR102049865B1 (ko) 조리기기
KR20150117433A (ko) 유도 가열 조리기 및 그 제어방법
JP6899696B2 (ja) 誘導加熱調理器
KR102137337B1 (ko) 인덕션 장치
JP2017183020A (ja) 加熱調理システム、受電装置、及び誘導加熱調理器
JP4843460B2 (ja) 誘導加熱調理器
JP2010015764A (ja) 誘導加熱調理器
US20220279630A1 (en) Under-induction range system
JP4848792B2 (ja) 誘導加熱装置
KR102787322B1 (ko) 유도가열 조리장치
EP3975663A1 (en) Temperature sensor assembly for induction cooktop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0323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C1203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